[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00077115A -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7115A
KR20000077115A KR1020000023152A KR20000023152A KR20000077115A KR 20000077115 A KR20000077115 A KR 20000077115A KR 1020000023152 A KR1020000023152 A KR 1020000023152A KR 20000023152 A KR20000023152 A KR 20000023152A KR 20000077115 A KR20000077115 A KR 20000077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reinforcing
cover member
reinforcing means
flexible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3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2885B1 (ko
Inventor
미우라가즈토
미야오타이치로
우치다신지
Original Assignee
요시무라 마사오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무라 마사오,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무라 마사오
Publication of KR20000077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7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8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1)는 하우징(4)의 개구부(6)를 개폐가능한 덮개부재(7)와, 덮개부재(7)를 닫힘상태로 걸어잠그는 잠금기구를 보유한다. 덮개부재(7)는 덮개부재(7)의 성형시에 일부가 매설된 금속제의 제1 보강수단을 구비한다. 하우징(4)에는 금속제의 제2 보강수단(10)이 고정된다. 제1 보강수단에 포함되는 결합부(C)와, 제2 보강수단(10)에 포함되는 결합부(50)를 서로 결합시켜서, 덮개부재(7)를 닫힘상태로 걸어 잠근다.

Description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BOARD}
본 발명은 FPC(플렉시블 프린티드 서킷(flexible printed circuit))라고 불리는 가요성 기판용의 전기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커넥터로서, 개구부 및 이 개구부로 향하는 접촉자를 가지는 합성수지제의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개구부를 회전에 의해 개폐할 수 있어서, 또한 닫힘위치에서 FPC의 접촉자에 대한 가압상태를 유지하는 합성수지제의 덮개부재를 구비한 것이 있다.
상기 덮개부재의 한 끝가장자리의 양측부에는 한 쌍의 돌기부로 이루어지는 지지축이 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이들 지지축이 하우징(또는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부재)의 회전지지부에 의해서 지지된 상태에서, 덮개부재가 상기 개구부를 닫는 닫힘위치와 개방위치 사이를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덮개부재의 다른 끝가장자리의 양측부에는 한 쌍의 걸림돌기가 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각 걸림돌기를 하우징에 설치한 잠금홈과 결합시켜서, 잠금을 달성하고 있다(예를들면, 실용신안등록 제2580074호 공보 참조).
상기 수지로 이루어지는 걸림돌기는 비교적 작은 지름이고, 변형하거나 파손하기가 쉽다. 특히, 덮개부재를 반복하여 개폐하면, 걸림돌기가 변형하여 잠금이 헐겁게게 되거나, 파손하여 잠금이 고장날 우려가 있다.
특히, 근래에 접촉자 사이의 핀치의 협소화 및 접촉자의 다극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덮개부재를 형성하는 합성수지로서, 유동성이 좋아 치수정밀도를 확보하기 용이한 수지를 채용하고 있지만, 이 종류의 합성수지는 근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고, 이 때문에, 걸림돌기가 끊어지기 쉽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덮개부재의 잠금이 확실하고, 또한 반복하여 덮개부재를 개폐하여도 잠금기구가 파손하지 않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의 FPC용 커넥터와 FPC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덮개부재를 개방한 상태의 커넥터의 일부생략 평면도
도 3(a)는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아울러, 도 3(b)는 도 3(a)의 덮개부재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3(a) 및 도 3(b)에 있어서, 보강탭의 단면을 나타내는 하우징을 생략한 도면.
도 4는 도 2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제1 접촉자의 단면을 나타내는 하우징을 생략한 도면.
도 5는 도 2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제2 접촉자의 단면을 나타내는 하우징을 생략한 도면.
도 6은 덮개부재가 닫히기 바로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커넥터의 사시도.
도 7은 덮개부재의 일부생략 평면도.
도 8은 도 7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FPC를 접속한 상태의 도 5에 대응하는 커넥터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선재와 보강탭의 조합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덮개부재의 개략정면도 및 개략하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개략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개략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넥터 (2) ‥‥ 가요성 기판(FPC)
(3) ‥‥ 삽입탈락공간 (4) ‥‥ 하우징
(5) ‥‥ 하우징 상판부 (6) ‥‥ 개구부
(7) ‥‥ 덮개부재 (8,9) ‥‥ 측판부
(10) ‥‥ 보강탭(제2 보강부재) (11) ‥‥ 고정공
(12),(36) ‥‥ 본체부 (13),(57) ‥‥ 연설편
(14) ‥‥ 회전지지부 (16) ‥‥ 하판부
(17),(18) ‥‥ 연설부 (19),(20) ‥‥ 안내벽
(21) ‥‥ 오목홈 (22,23) ‥‥ 제1 및 제2 접촉자
(24) ‥‥ 수용홈 (25),(33) ‥‥ 고정편부
(26),(35) ‥‥ 탄성편부 (27) ‥‥ 걸림편
(28) ‥‥ 고정공 (29),(37) ‥‥ 리드부
(30),(31) ‥‥ 산형상돌기 (45),(51) ‥‥ 와이어
(50) ‥‥ 잠금홈 (53),(54) ‥‥ 개구
(55),(59) ‥‥ 노출부 (60) ‥‥ 접촉부
(C) ‥‥ 걸림돌기(제1 결합부) (A) ‥‥ 회전지지축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로 향하는 접촉자를 가지는 합성수지제의 하우징과, 개구부를 닫는 닫힘위치와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의 사이를 소정의 회전축선의 둘레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닫힘위치에서 가요성 기판을 상기 접촉자에 누르는 합성수지제의 덮개부재를 구비하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를 닫힘위치에 걸어 잠그는 잠금기구와, 덮개부재에 이 덮개부재의 성형시에 일부가 매립된 금속제의 제1 보강수단과, 하우징에 고정된 금속제의 제2 보강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잠금기구는 제1 및 제2 보강수단에 각각 설치되고, 서로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및 제2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덮개부재의 잠금을 강도있는 초금속부재 끼리의 결합에 의해 달성함으로써, 잠금이 확실하다. 또한, 덮개부재를 반복하여 개폐시에도 잠금기구가 파손되지 않는다. 또한, 제1 보강수단을 덮개부재의 수지성형시에 삽입하게 되어서, 제1 보강수단과 덮개부재의 밀착성이 높다.
또한, 상기 제1 보강수단은 덮개부재로부터 노출하는 한 쌍의 대향하는 끝부를 포함하고, 각 대향하는 끝부에 상기 제1 결합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보강수단은 한 쌍의 보강판을 포함하고, 각 보강판은 하우징에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제1 보강수단의 각 대향하는 끝부에 설치되는 제1 결합부에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가지고 있다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하우징의 강도향상을 도모하는 보강판에서, 잠금기구의 일부를 겸용하는 것으로,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상기 덮개부재의 한 쌍의 측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소정의 회전축선을 따라서 한 쌍의 회전지지축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각 보강판은 대응하는 회전지지축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면, 덮개부재의 실질적인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제1 보강수단은 덮개부재에서 노출하는 한 쌍의 대향하는 끝부를 포함하고, 각 대향하는 끝부에 상기 제1 결합부가 설치되고, 제1 보강수단은 덮개부재의 한 쌍의 측부 사이의 중간부에서 노출하는 하나 이상의 노출부를 더 포함하고, 제2 보강수단은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끝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노출부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는 3개 이상의 보강판을 포함하고, 각 보강판은 각각 하우징에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제2 결합부를 가지고 있다면 바람직하다. 특히, 다극으로(접촉자의 수가 많아서) 덮개부재가 넓은 폭으로 되는 경우에, 덮개부재의 폭방향의 중간부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어서 잠금이 보다 확실하게 된다.
또한, 일부가 덮개부재에 매립된 금속제의 제3 보강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보강수단의 한 쌍의 대향하는 끝부는 상기 덮개부재의 한 쌍의 측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소정의 회전축선을 따라서 한 쌍의 회전지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강수단의 한 쌍의 대향하는 끝부는 각각 덮개부재의 대응하는 측부로부터 노출함과 아울러 상기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강수단은 한 쌍의 보강판을 포함하고, 각 보강판은 대응하는 제1 결합부에 결합하는 제2 결합부와, 대응하는 회전지지축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재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보강수단의 한 쌍의 대향하는 끝부와, 상기 제3 보강수단의 한 쌍의 대향하는 끝부가 대응하는 보강판에 의해서 연결됨으로써, 제1 및 제3 보강수단, 및 한 쌍의 보강판에 의해 대략 직사각형의 폐루프가 형성되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수지로 이루어지는 덮개부재가 폐루프를 이루는 금속제의 부재로 보강됨으로써, 덮개부재의 잠금을 보다 확실히 달성할 수 있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의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1)(이하에서는 간단히 커넥터(1)라 한다)는 전방으로부터 가요성 기판(2)(이하에서는 간단히 FPC(2)라 한다)이 끼워지고 빠지는 삽입탈락 공간(3)을 구획하는 합성수지제의 하우징(4)을 구비하고 있다. 이 하우징(4)의 전반부분에는 하우징(4)의 상판부(5)의 개구부(6)를 끼워서 위쪽으로 개방하고 있고, 회전에 의해 상기 개구부(6)를 개폐할 수 있는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덮개부재(7)가 설치되어 있다.
(51)은 덮개부재(7)에 매설된 제1 보강부재로서의 금속제의 와이어이고, 와이어(51)의 양 끝부에는 한 쌍의 제1 결합부로서의 걸림돌기(C)가 설치되어 있다. 각 걸림돌기(C)는 도 3(b)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4)에 고정되는 제2 보강부재로서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대응하는 보강탭(10)의 제2 결합부로서의 잠금홈(50)에 걸려서, 덮개부재(7)의 닫힘상태를 걸어잠근다. 와이어(51)의 걸림돌기(C)와 잠금홈(50)으로 잠금기구가 구성된다.
(45)는 덮개부재(7)에 매설된 제3 보강부재로서의 금속제의 와이어이다. 와이어(45)의 양 끝부에는 한 쌍의 회전지지축(A)이 설치되어 있다. (53,54)는 각각 대응하는 와이어(45,51)의 일부를 노출부(55,59)로서 덮개부재(7)의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덮개부재(7)에 설치된 개구이다.
하우징(4)의 대향하는 측판부(8,9)는 삽입탈락 공간(3)의 양 끝부룰 구획하고 있다. 측판부(8,9)의 전단면에는 한 쌍의 고정공(11)이 개구하여 있다. (도 1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도 2 및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인 도 3(a)를 참조.) 각 고정공(11)은 덮개부재(7)의 양쪽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회전지지축(A)을 각각 지지하기 위해 보강탭(10)을 앞측으로부터 수용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보강탭(10)은 본체부(12)와, 회전지지축(A)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부(14)와, 기판표면에 납땜되는 갈고리형상의 고정부(15)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12)는 고정공(11) 내에 앞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걸림돌기를 끼워서 고정된다. 회전지지부(14)는 본체부(12)의 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설되는 연설편(13)에 의해 구획되는 오목홈으로 이루어지고, 대응하는 회전지지축(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고정부(15)는 본체부(12)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설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12)의 전단 상부에는 연설편(57)이 연설되어 있다. 이 연설편(57)의 전단면에, 걸림돌기(C)와 결합하여 덮개부재(7)의 닫힘상태를 잠그는 상기한 잠금홈(50)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지지부(14)로서의 오목홈에 도입된 회전지지축(A)에, 하우징(4)의 접촉부(60)를 접합시키는 것에 의해서, 회전지지축(A)을 오목홈으로 지지하고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측판부(8,9)에는 전방으로 연장하는 연설부(17,18)가 형성되어 있다. 각 연설부(17,18)는 측판부(8,9)보다도 몸체가 얇고, 근접하는 고정공(11)보다도 외측쪽으로 위치하여 개구부(6)의 양측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19,20)은 하우징(4)의 하판부(16)의 앞부분의 양 끝가장자리로부터 세워지는 안내벽이고, 각 안내벽(19,20)은 덮개부재(7)의 닫힘상태에서, 덮개부재(7)의 측가장자리에 형성된 대응하는 오목홈(21) 내에 도입되고, 덮개부재(7)의 좌우방향의 이동을 규제한다.
또한, 하우징(4)의 삽입탈락 공간(3)에는 각 복수의 포크형상의 제1 및 제2 접촉자(22,23)가 서로 다른 가로줄의 2열로 배열되어 있다.
도 1, 도2 및 도2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인 도 4를 참조하여, 제1 접촉자(22)는 금속부재로 이루어지고, 하우징(4)의 삽입탈락 공간(3)에 앞쪽으로부터 삽입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제1 접촉자(22)는 하우징(4)의 하판부(16) 상면에 형성된 수용홈(24)에 앞쪽으로부터 수용되는 고정편부(25)와, 삽입탈락 공간(3)의 후반부에 있어서 고정편부(25)의 위쪽으로 배치되는 탄성편부(26)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편부(25)와 탄성편부(26)의 연결부분에서는 걸림돌기를 보유하는 걸림편(27)이 후방으로 연장하여 있다. 이 걸림편(27)은 하우징(4)의 고정공(28) 내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고정편부(25)의 전단에는 역T자 형상을 이루는 리드부(29)가 설치되어 있다. 리드부(29)는 본 커넥터(4)가 장착되는 기판표면에 납땜되는 것과 아울러, 하우징(4)의 하판부(16)의 앞가장자리에 걸려서 고정편부(25)가 위로 뜨는 것을 방지한다. (30,31)은 고정편부(25) 및 탄성편부(26)에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산(山)형상돌기이고, 삽입된 FPC(2)를 그들 산형상돌기(30,31) 사이에 꼭 끼워 FPC(2)에 대한 접촉압력을 확보한다.
도 1, 도 2 및 도 2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인 도 5를 참조하여, 제2 접촉자(23)는 금속부재로 이루어지고, 하우징(4)의 삽입탈락 공간(3)에 뒤쪽으로부터 삽입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제2 접촉자(23)는 걸림돌기부착의 고정편부(33)와, 고정편부(33)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탄성편부(35)와, 본체부(36)와, 리드부(37)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편부(33)는 하우징(4)의 상부의 고정공(32)에 뒤쪽으로부터 삽입되어서 고정된다. 탄성편부(35)는 하우징(4)의 하판부(16)의 상면에 형성된 수용홈(34)에 뒤쪽으로부터 수용된다. 본체부(36)는 고정편부(33)와 탄성편부(35)의 후단부를 연결한다. 리드부(37)는 본체부(36)로부터 뒤로 경사지는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기판표면에 납땜된다.
고정편부(33) 및 탄성편부(35)의 각각의 전단(38,39)은 하우징(4)의 전후방향의 중간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고정편부(33)의 전단(38)은 도 5에 나타내는 덮개부재(7)의 닫힘상태에서 덮개부재(7)에 형성된 투과공(40) 내에 투입된다. 또한, 상기 전단(38)은 도 6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덮개부재(7)의 닫힘상태에서, 덮개부재(7)의 한 끝가장자리에 설치된 개방부분(B)을 끼워서 외부 위쪽으로 향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덮개부재(7)가 닫혀진 상태에서 개방부분(B)을 끼워서, 도통검사프롭을 제2 접촉자(23)의 고정편부(33)의 전단(38)에 접촉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도통검사를 행한다.
한편, 탄성편부(35)의 전단(39)에는 FPC(2)에 대한 접촉압력을 확보하기 위한 상향의 산형상 돌기(41)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덮개부재의 평면도인 도 7을 참조하여, 덮개부재(7)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상을 하고 있고,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끝가장자리(42,43)를 가지고 있다. 제1 끝가장자리(42)의 서로 대향하는 좌우의 측부(44,44)로부터는 상기한 한 쌍의 회전지지축(A)이 각각 돌출하여 있다.
이들 한 쌍의 회전지지축(A)은 덮개부재(7)의 성형시에 매설된 금속제의 와이어(45)의 노출하는 대향하는 끝부(46,4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45)는 전체가 크랭크형상을 이루고, 그 중간부(47)가 제1 끝가장자리(42)로부터 소정거리 떨어져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덮개부재(7)의 제1 끝가장자리(42)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접촉자(23)의 전단(38)을 출입시키기 위한 복수의 투과공(40)이 가로줄로 배치되어 있다. 도 7에 있어서 투과공(40)보다도 제1 끝가장자리(42)측에 있는 부분이 가압부(48)를 구성하고 있다.
가압부(48)는 덮개부재(7)를 닫힘위치로 변위시킬 시에,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접촉자(23)의 탄성편부(35) 상에 배치된 FPC(2)와 고정편부(33)의 사이에 꼭 끼워진 상태에서, FPC(2)를 탄성편부(35)에 가압하는 것이다.
또한, 도 7을 참조하여, 덮개부재(7)의 제2 끝가장자리(43)의 서로 대향하는 좌우의 측부(49,49)에는 각각 대응하는 탭단자(10)의 잠금홈(50)에 결합하는 한 쌍의 걸림돌기(C)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덮개부재(7)의 닫힘상태에서, 걸림돌기(C)가 잠금홈(50)에 결함함으로써, 덮개부재(7)의 닫힘상태가 잠겨지도록 되어 있다. 이 덮개부재(7)의 닫힘상태에서 도 7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한 쌍의 보강탭(10)이, 선부재(45)의 각 끝부(회전지지축(A)에 상당)와, 잠금축으로서의 와이어(51)의 대응하는 끝부(걸림돌기(C)에 상당)를 연결하여, 와이어(45), 와이어(51) 및 한 쌍의 보강탭(10,10)이 사각환 형상의 폐루프를 이루도록 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걸림돌기(C)는 덮개부재(7)의 성형시에 매설된 금속제의 와이어(51)의 노출하는 대향하는 끝부(52,5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51)는 전체가 크랭크형상을 이루고, 그 중간부(52) 가 제1 끝가장자리(43)로부터 소정의 거리 떨어져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도 7 및 도 7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도 8을 참조하여, (53)은 와이어(45)를 한 개 내지 복수개 노출시키는 개구이고, (54)는 와이어(51)의 중간부를 한 개 내지 복수개 노출시키는 개구이다. 이들 개구(53,54)는 하기의 역할을 부과했다. 즉, 금속제의 와이어(45,51)을 덮개부재(7)의 성형시에 삽입하여 덮개부재(7)의 성형품에 매설하기 위해서는, 금속제의 와이어(45,51)를 성형금형 내에 소정의 자세로 지지하여 둘 필요가 있지만, 금형 내에 있어서 개구(53,54)에 대응하는 부위에 폭이 넓은 지지핀(인서트핀)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53,54)를 금형 내에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결과, 성형품에 있어서 와이어(45,51)의 대향하는 끝부로 이루어지는 회전지지축(A) 및 걸림돌기(C)의 위치정밀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덮개부재(7)의 잠금을 금속제의 와이어(51)의 끝부인 걸림돌기(C)를 금속제의 보강탭(10)의 잠금홈(50)에 결합시켜서 달성함으로써, 잠금이 확실하다. 또한, 덮개부재(7)를 투입하고 개폐하여도, 잠금기구가 휘어지지 않는다. 또한, 잠금홈을 구성하는 와이어(51)를 덮개부재(7)의 수지성형시에 인서트함으로써, 잠금축과 덮개부재(7)의 밀착성이 높다.
또한, 하우징(9)의 강도향상을 도모하는 보강탭(10)에 잠금홈(50)이 설치되어 있고, 잠금홈을 가지는 별도 부재를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회전지지축(A)도 금속제로 되어 있고, 금속제의 보강탭(10)의 회전지지부(14)로 지지함으로써, 덮개부재(7)의 실질적인 강도가 향상된다. 덮개부재(7)의 회전을 지지하는 기구는 잠금의 반력을 받게 되는데, 가령 회전을 지지하는 기구를 수지부재 끼리의 결합에 의해 달성하고 있다면,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하게 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을 지지하는 기구에 관하여도 금속부재 끼리의 결합을 이용하여 강도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특히, 덮개부재(7)의 닫힘상태에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로 이루어지는 덮개부재(7)를 사각환 형상의 폐루프를 금속제의 부재(45,10,51,10)로 보강하는 것으로 되고, 덮개부재(7)의 잠금을 보다 확실히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잠금축으로서의 와이어(51)의 양 끝부에 결합하는 보강탭(10,10)에 추가하여,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51)의 축방향의 중간부의 하나 이상의 노출부(59)를 결합하는 보강탭(58)을 하우징(4)에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특히 접촉자가 다극이어서 덮개부재(7)의 폭이 넓은 경우에, 덮개부재(7)의 폭방향의 중간부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어서, 잠금이 보다 확실하게 된다. 중간부에 대응하는 보강탭(58)은 복수이어도 좋다.
또한,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금축으로서의 와이어(51)가 덮개부재(7)의 양측방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하여, 덮개부재(7)의 하면에 설치한 한 쌍의 오목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노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와이어(51)가 돌출하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외력을 받는 일이 없게 와이어(51)의 보호가 도모된다.
또한, 도 3a의 실시형태에서는 잠금홈(50)을 보강탭(10)의 연설편(57)에 형성하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금홈(50)을 본체부(12)의 전단면에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강탭(10)의 거의 L자형 형상의 연설편(13)에 대신해서, 본체부(12)에 대략 직교형상으로 연설되는 곧바른 연설편(13a)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연설편(13a)은 대응하는 회전지지축(A)이 가요성 기판(2)의 뽑아내는 방향(도면에 있어서 좌측)으로 뽑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제1 결합부를 돌기(C)로 하고, 제2 결합부를 홈(50)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양 결합부가 서로 오목과 볼록이 결합된다면 좋다. 예를 들면, 제1 보강부재의 끝부를 반원호 형상으로 구부려서 제1 결합부로서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에 하우징측 제2 결합부로서의 돌기를 결합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제1 결합부로서의 걸림돌기(C)는 상기 각 실시형태와 같이, 모든 둘레가 노출하여 있어도 좋고, 반단면이 매설되는 반둘레가 노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제1 보강부재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에, 덮개부재의 표면에 따른 반원기둥 형상의 돌기로서 노출되도록 하고, 이 반원주 형상의 돌기를 잠금홈과 결합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제1 보강부재의 단면은 절단면이어도, 각단면이어도 좋고, 각단면인 경우에는 제1 보강부재와 덮개부재의 밀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드타입의 FPC용 커넥터에 적용할 수 있고, 슬라이드와 보강탭의 조합에 있어서의 잠금을 금속부재 끼리의 결합으로 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 밖에, 본 발명의 범위에서 다른 변경을 시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덮개부재의 잠금을 강도의 어떤 금속부재 끼리의 결합에 의해 달성함으로써, 잠금이 확실하다. 또한, 덮개부재를 투입하고 개폐하여도, 잠금기구가 휘어지지 않는다. 또한, 제1 보강수단을 덮개부재의 수지성형시에 삽입함으로써, 제1 보강수단과 덮개부재의 밀착성이 높다.

Claims (14)

  1. 개구부(6) 및 상기 개구부(6)를 향하는 접촉자(22)를 가지는 합성수지제의 하우징(4)과,
    개구부(6)를 닫는 닫힘위치와 개구부(6)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를 소정의 회전축선(56) 둘레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닫힘위치에서 가요성 기판(2)을 상기 접촉자(22)로 누르는 합성수지제의 덮개부재(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7)를 닫힘위치로 잠그는 잠금기구(C,50)와,
    덮개부재(7)에 그 덮개부재(7)의 성형시에 일부가 매립된 금속제의 제1 보강수단(51)과,
    하우징(4)에 고정된 금속제의 제2 보강수단(10,10,58)을 더 구비하고,
    상기 잠금기구(C,50)는 제1 및 제2 보강수단(51;10,10,58)에 각각 설치되고, 서로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및 제2 결합부(C,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수단(51)은 덮개부재(7)로부터 노출하는 한 쌍의 대향하는 끝부(52,52)를 포함하고, 각 대향하는 끝부(52)에 상기 제1 결합부(C)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수단(10,10,58)은 한 쌍의 보강판(10,10)을 포함하고, 각 보강판(10)은, 하우징(4)에 고정되는 본체부(12)와, 상기 제1 보강수단(51)의 각 대향하는 끝부(52)에 설치되는 제1 결합부(C)에 결합하는 제2 결합부(5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7)의 한 쌍의 측부(44)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소정의 회전축선(56)을 따라서 한 쌍의 회전지지축(A,A)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각 보강판(10)은 대응하는 회전지지축(A)을 지지하는 지지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덮개부재(7)에 그 덮개부재(7)의 성형시에 일부가 매립된 금속제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제3 보강수단(45)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보강수단(45)의 한 쌍의 대향하는 끝부(46,46)에 상기 한 쌍의 회전지지축(A,A)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7. 제2항에 있어서, 제1 보강수단(51)은 덮개부재(7)의 한 쌍의 측부(49,49) 사이의 중간부로부터 노출하는 한 개 이상의 노출부(59)를 더 포함하고,
    제2 보강수단(10,10,58)은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끝부(52,52) 및 상기 한 개 이상의 노출부(59)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는 3개 이상의 보강판(10,10,58)을 포함하며,
    각 보강판(10,10,58)은 각각 하우징(4)에 고정되는 본체부(12)와 상기 제2 결합부(5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일부가 덮개부재(7)에 매립된 금속제의 제3 보강수단(45)을 더 구비하고,
    덮개부재(7)가 닫혀진 상태에서, 제1, 제2 및 제3 보강수단(51;10,10,45)에 의해 폐루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일부가 덮개부재(7)에 매립된 금속제의 제3 보강수단(45)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보강수단(45)의 한 쌍의 대향하는 끝부(46,46)는 상기 덮개부재(7)의 한 쌍의 측부(44)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소정의 회전축선(56)을 따라서 한 쌍의 회전지지축(A,A)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강수단(51)의 한 쌍의 대향하는 끝부(52,52)는 각각 덮개부재(7)의 대응하는 측부(49)로부터 노출함과 아울러, 상기 제1 결합부(C)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보강수단(10,10,58)은 한 쌍의 보강판(10,10)을 포함하고, 각 보강판(10)은 대응하는 제1 결합부(C)에 결합하는 제2 결합부(50)와, 대응하는 회전지지축(A)을 지지하는 지지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7)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보강수단(51)의 한 쌍의 대향하는 끝부(52)와, 상기 제3 보강수단(45)의 한 쌍의 대향하는 끝부(46)가 대응하는 보강판(10)에 의해서 연결됨으로써, 제1 및 제3 보강수단(51,45), 및 한 쌍의 보강판(10,10)에 의해 대략 직사각형의 폐루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7)의 한 쌍의 측부(44)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소정의 회전축선(56)을 따라서 한 쌍의 회전지지축(A,A)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보강수단(10,10,58)은 한 쌍의 보강판(10,10)을 포함하며,
    상기 각 보강판(10)은 하우징(4)에 고정되는 본체부(12)와, 본체부(12)로부터 연장되는 대략 L자형 형상의 연설편(13)을 포함하고,
    본체부(12)와 대략 L자형 형상의 연설편(13)에 의해, 대응하는 회전지지축(A)을 지지하는 홈(14)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7)의 한 쌍의 측부(44)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소정의 회전축선(56)을 따라서 한 쌍의 회전지지축(A,A)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보강수단(10,10,58)은 한 쌍의 보강판(10,10)을 포함하고,
    상기 각 보강판(10)은 하우징(4)에 고정되는 본체부(12)와, 본체부(12)로부터 대략 직교형상으로 연장되는 곧은 연설편(13a)을 포함하며, 상기 곧은 연설편(13a)은 대응하는 회전지지축(A)이 가요성 기판(2)의 발취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수단(51)은 와이어(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보강수단(45)는 와이어(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KR1020000023152A 1999-04-30 2000-04-29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KR1005728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24566 1999-04-30
JP12456699A JP4248672B2 (ja) 1999-04-30 1999-04-30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7115A true KR20000077115A (ko) 2000-12-26
KR100572885B1 KR100572885B1 (ko) 2006-04-24

Family

ID=14888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152A KR100572885B1 (ko) 1999-04-30 2000-04-29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38648B1 (ko)
EP (1) EP1049203B1 (ko)
JP (1) JP4248672B2 (ko)
KR (1) KR100572885B1 (ko)
CN (1) CN1140941C (ko)
DE (1) DE60035543T2 (ko)
TW (1) TW457750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863B1 (ko) * 2001-02-22 2009-02-26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KR100885862B1 (ko) * 2001-02-22 2009-02-26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KR101029639B1 (ko) * 2002-12-11 2011-04-15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휴대 전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2083B2 (ja) * 2001-02-22 2008-09-1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02252048A (ja) * 2001-02-23 2002-09-06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端子及び同コネクタ端子の製造方法
JP3786400B2 (ja) * 2001-03-23 2006-06-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3666445B2 (ja) 2001-11-13 2005-06-2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Fpc用コネクタ
JP2003297465A (ja) * 2002-03-26 2003-10-17 Molex Inc Fpc用コネクタ
JP2004071160A (ja) * 2002-08-01 2004-03-04 D D K Ltd コネクタ
US7044773B2 (en) * 2002-08-01 2006-05-16 Ddk Ltd. Connector
JP3925919B2 (ja) * 2002-11-14 2007-06-0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の接続のための電気コネクタ
TW591830B (en) * 2003-05-20 2004-06-11 P Two Ind Inc Flat flexible circuit board connector
KR100562776B1 (ko) * 2003-08-27 2006-03-21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US6811425B1 (en) * 2003-09-25 2004-11-02 Excel Cell Electronic Co., Ltd. Controller module responsive to input signals for controlling an electrical appliance
JP4054741B2 (ja) 2003-09-26 2008-03-0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低背型fpc用zifコネクタ
JP4054740B2 (ja) 2003-09-26 2008-03-0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Fpc用zifコネクタ
JP4098287B2 (ja) * 2003-10-03 2008-06-11 山一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CN2682624Y (zh) * 2003-11-28 2005-03-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1993867B (zh) * 2004-08-10 2011-04-27 第一电子工业株式会社 连接器
CN2735564Y (zh) * 2004-08-27 2005-10-1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4578931B2 (ja) * 2004-10-18 2010-11-10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388879B2 (ja) * 2004-10-26 2009-12-2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6196424A (ja) * 2005-01-17 2006-07-27 Jst Mfg Co Ltd Fpc用コネクタ
TWM282346U (en) * 2005-05-06 2005-12-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7387528B2 (en) * 2005-06-23 2008-06-17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JP4576349B2 (ja) * 2006-03-24 2010-11-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7118419B1 (en) * 2006-04-04 2006-10-10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Foldable SIM card connector
KR100798758B1 (ko) * 2006-05-10 2008-01-29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 고정구조
KR100762988B1 (ko) * 2006-05-10 2007-10-08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 개폐구조
JP4435256B1 (ja) * 2008-11-11 2010-03-17 株式会社竹内技術研究所 平型導体用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4817466B2 (ja) * 2009-01-22 2011-11-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4793471B2 (ja) * 2009-05-19 2011-10-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分離可能なコネクタ
US7727006B1 (en) * 2009-07-23 2010-06-01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JP5630365B2 (ja) * 2011-04-13 2014-11-26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用接続端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
CN102882069A (zh) * 2011-07-15 2013-01-16 索尼爱立信移动通讯有限公司 电路板连接器及电路板的连接方法
JP5905776B2 (ja) * 2012-05-18 2016-04-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7925181B (zh) * 2015-08-26 2019-10-29 京瓷株式会社 连接器
CN112164914B (zh) * 2020-10-21 2021-04-06 珠海市汇一宏光电有限公司 一种单面柔性线路板
JP7572873B2 (ja) 2021-02-18 2024-10-2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29279A (ja) * 1991-04-30 1992-11-18 Yamaichi Electron Co Ltd 電気部品用ソケット
US5194017A (en) * 1992-02-24 1993-03-16 Amp Incorporated Connector for a flexible circuit
US5354214A (en) * 1993-07-23 1994-10-11 Molex Incorporated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with mounting latch clip
JP2892945B2 (ja) * 1994-08-05 1999-05-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852496B2 (ja) * 1995-02-23 1999-02-0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無挿抜力コネクタ
US5695359A (en) 1995-02-23 1997-12-09 Molex Incorporated Zero insertion force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
JP3029985B2 (ja) * 1995-07-14 2000-04-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967509B2 (ja) * 1995-09-05 1999-10-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JP2710593B2 (ja) * 1995-09-18 1998-02-10 日本電気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3160665B2 (ja) * 1997-02-14 2001-04-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Fpc用コネクタ及びそれを用いたエンボス巻
JP4030077B2 (ja) * 1997-07-30 2008-01-09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回路板コネクタ
JPH11111404A (ja) * 1997-10-02 1999-04-23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サーキット用コネクタ
JP3075707B2 (ja) * 1997-12-24 2000-08-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863B1 (ko) * 2001-02-22 2009-02-26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KR100885862B1 (ko) * 2001-02-22 2009-02-26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KR101029639B1 (ko) * 2002-12-11 2011-04-15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휴대 전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48672B2 (ja) 2009-04-02
CN1272702A (zh) 2000-11-08
DE60035543T2 (de) 2008-03-20
KR100572885B1 (ko) 2006-04-24
JP2000315536A (ja) 2000-11-14
TW457750B (en) 2001-10-01
DE60035543D1 (de) 2007-08-30
US6338648B1 (en) 2002-01-15
EP1049203A2 (en) 2000-11-02
EP1049203B1 (en) 2007-07-18
EP1049203A3 (en) 2001-09-12
CN1140941C (zh) 2004-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2885B1 (ko)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KR100645288B1 (ko)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KR100847304B1 (ko) 전기 커넥터
JP3929763B2 (ja) フラット配線材用コネクタ
JP3124505U (ja) Fpc用電気コネクタ
JP3964583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KR940001442Y1 (ko) 단자 지지 장치가 힌지된 전기커넥터 하우징
JP3732157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2002252067A (ja) 電気コネクタ
EP1235303A2 (en) A connector terminal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030120B2 (ja) コネクタ
KR100514596B1 (ko)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
JP4184881B2 (ja) 電気コネクタ
JP3472532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KR20040037274A (ko) 하우징, 커넥터 및 커넥터의 접속 방법
JP2006032285A (ja) ソケット
JP2006059724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3677596B2 (ja)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用コネクタ
KR100591116B1 (ko) 전기 커넥터
JP4275453B2 (ja) 電気コネクタ
KR100562774B1 (ko)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
JPH10199615A (ja) Lifコネクタ
KR100605566B1 (ko)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하우징
JP4205524B2 (ja) 電気コネクタ
JP2004265612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