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6735A - 플랙시블 프린트배선판 압착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코어의압착구조 - Google Patents
플랙시블 프린트배선판 압착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코어의압착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76735A KR20000076735A KR1020000009372A KR20000009372A KR20000076735A KR 20000076735 A KR20000076735 A KR 20000076735A KR 1020000009372 A KR1020000009372 A KR 1020000009372A KR 20000009372 A KR20000009372 A KR 20000009372A KR 20000076735 A KR20000076735 A KR 200000767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pc
- bottom plate
- core
- lead wire
- crimp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H01R12/67—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 H01R12/68—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comprising deformable por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3—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another shape cab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2—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flat conductive elements, e.g. flat cab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95—Insulation penetration combined with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contact member, e.g. crimp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1—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13—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by means of interconnecting elemen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평판으로 형성된 바닥판(11)과, 바닥판(11)의 단부에서 기립하는 걸림편(12)을 구비한 FPC압착단자(10)로서, 이 FPC압착단자(10)는, 코어(41) 또는 리드선(51)을 FPC(30)의 도체(32)에 밀착시키고, 걸림편(12)을 FPC(30)에 이면 또는 표면에서 꽂고, FPC(30)로부터 돌출된 걸림편(12)의 선단을 바닥판(11)을 향해서 구부리면, 걸림편(12)의 선단과 바닥판(11)사이에서 코어(41) 또는 리드선(51) 및 FPC(30)를 끼워 유지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걸림편(12)을 이용해서 블랭킹공정과 접속공정을 한 번에 행함으로써, FPC압착단자(10)를 소형화하고, 또 공정감소에 의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요성을 갖는 플랙시블 프린트배선판(이하, FPC라 함)에 전선의 코어 또는 전기부품의 리드선을 접속하기 위해 이용되는 FPC압착단자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FPC에 상대측 단자 등을 접속하기 위해 이용되는 FPC압착단자로서, 도 8에 나타내듯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바닥판(91)과, 바닥판(91)의 일단에서 폭방향 양단에서 직립하고 또한 선단이 뾰족한 걸림편(92, 92, 92)과, 바닥판(91)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대측 단자 등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93)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편(92, 92, 92)을 FPC의 이면에서 꽂아,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걸림편(92, 92)을 바닥판(91)을 향해서 구부리고(이 작업을 피어싱(piercing)이라 함), 접속부(93)를 상대측 단자 등에 접속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4-223069호 공보를 참조)
상기 FPC압착단자에서는, 바닥판(91)의 일단에 걸림편(92)을, 타단에 접속부(93)를 각각 형성하기 때문에, 바닥판(91)이 길어져 점유 공간이 크고, 이 FPC압착단자를 조립한 커넥터 등의 소형화에 지장을 주고 있다. 또, 걸림편(92)을 FPC에 꽂아 구부리는 피어싱공정과, 접속부(93)를 상대측 단자 등에 접속하는 접속공정의 2공정을 필요로 하므로, 작업성이 나쁘다라는 결점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FPC에 전선의 코어 또는 전기부품의 리드선을 접속하기 위한 FPC압착단자를 전제로 하고, 걸림편을 이용해서 피어싱공정과 접속공정을 한 번에 행함으로써, FPC압착단자를 소형화하는 동시에, 공정의 감소에 의해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여기에서 개시하는 FPC압착단자는, 평판으로 형성된 바닥판과, 바닥판의 단부에서 기립하는 걸림편을 구비하고 있고, 이 FPC압착단자는, 코어 또는 리드선을 FPC의 도체에 밀착시키고, 걸림편을 FPC에 이면 또는 표면에서 꽂고, FPC로부터 돌출한 걸림편의 선단을 바닥판을 향해서 구부리면, 걸림편의 선단과 바닥판 사이에서 코어 또는 리드선 및 FPC를 끼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코어 또는 리드선을 FPC의 도체에 밀착시켜 두고, 상기 FPC압착단자의 걸림편을 FPC에 꽂고, FPC로부터 돌출한 걸림편의 선단을 바닥판을 향해서 구부리면, 걸림편의 선단과 바닥판사이에서 코어 또는 리드선 및 FPC가 끼워져 유지지고, FPC에 코어 또는 리드선이 접속된다. 이러한 경우, 걸림편에 의해 피어싱을 행하는 동시에 코어 또는 리드선을 접속하므로, 종래기술처럼 별도로 접속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고, 그 만큼 단자가 짧게 소형화로 되고, 이것을 조립한 커넥터 등이 대폭 소형화로 된다. 또, 피어싱공정과 접속공정이 한 번에 행해지므로, 공정감소에 의해 FPC에 코어 또는 리드선을 접속할 때의 작업성이 향상한다.
다음에 개시하는 FPC압착단자는, 평판에 의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바닥판과, 바닥판의 폭방향 양단에서 기립하는 걸림편을 구비하고 있고, 이 FPC압착단자는, 코어 또는 리드선을 FPC의 도체에 밀착시키고, 바닥판 폭방향 양단의 걸림편이 코어 또는 리드선을 타넘듯이 걸림편을 FPC에 이면 또는 표면에서 꽂고, FPC로부터 돌출한 걸림편의 선단을 바닥판을 향해서 구부리면, 걸림편의 선단과 바닥판사이에서 코어 또는 리드선 및 FPC를 끼워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코일 또는 리드선을 FPC의 도체에 밀착시켜 두고, 상기 FPC압착단자의 바닥판 폭방향 양단의 걸림편이 코일 또는 리드선을 타넘듯이 걸림편을 FPC에 꽂고, FPC로부터 돌출한 걸림편의 선단을 바닥판을 향해서 구부리면, 걸림편의 선단과 바닥판사이에서 코일 또는 리드선 및 FPC가 끼워져 유지되고, FPC에 코일 또는 리드선이 접속된다. 그 경우, 걸림편에 의해 피어싱을 행하는 동시에 코일 또는 리드선을 접속하기 때문에, 종래관련기술과 같이 별도로 접속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고, 그 만큼 단자가 짧게 소형화로 되고, 이것을 조립한 커넥터 등이 대폭 소형화로 된다. 또, 피어싱공정과 접속공정이 한 번에 행해지므로, 공정감소에 의해 FPC에 코일 또는 리드선을 접속할 때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적어도 한 쌍의 걸림편이 바닥판의 폭방향 양단에서 기립하고 있으므로, 걸림편에 의한 고정력이 안정되고, 코일 또는 리드선의 압착력이 균형 좋게 작용한다.
여기에서는 또, 상기 각각의 FPC압착단자에 있어서, 바닥판의 길이방향 일단에, 코일 또는 리드선의 빠짐 방향으로부터 돌출하는 스토퍼편을 형성한 FPC압착단자를 개시한다.
이렇게 하면, 코일 또는 리드선을 접속한 상태에서 FPC압착단자를 커넥터 케이싱 등에 수납한 경우, 코일 또는 리드선이 빠짐방향으로 잡아당겨져도, 스토퍼편이 케이싱 등에 걸려지므로, FPC압착단자가 케이싱 등에서 빠지기 어렵게 되고, 접속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또, 상기 각각의 FPC압착단자를 이용해서 코일을 FPC에 접속한 압착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이 압착구조는, 코일이 FPC의 도체에 밀착하고, 걸림편이 FPC에 이면 또는 표면에서 꽂히고, FPC로부터 돌출한 걸림편의 선단이 바닥판을 향해서 구부려져, 걸림편의 선단과 바닥판사이에서 코일 및 FPC가 끼워져 있는 동시에, 걸림편이 코일에, 코일선단을 남기고 압착하고 있다.
이 코일의 압착구조에서는, 상기 FPC압착단자에 의해 얻어지는 작용 및 효과에 첨가해서, 코일에 있어서, 걸림편에 압착된 부위와, 압착되지 않은 선단사이에서 단차가 생기므로, 코일의 유지력이 확보되고, 코일이 빠지기 어렵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FPC압착단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실시예의 FPC압착단자를 이용해서 FPC에 코어 또는 리드선을 접속하고, 이것을 커넥터 케이싱에 수납하고자 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실시예의 FPC압착단자의 걸림편을 FPC의 이면에서 꽂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실시예의 FPC압착단자를 이용해서 FPC에 코어를 접속한 상태를, FPC를 절단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 코어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단면으로 절단해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제1실시예의 변형예인 FPC압착단자의 걸림편을 FPC의 표면에서 꽂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는 제2실시예에 따른 FPC압착단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7b는 제2실시예의 FPC압착단자를 이용해서 FPC에 코어를 접속한 상태를, FPC를 절단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종래기술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0…FPC압착단자 11…바닥판
12…걸림편 13…스토퍼
30…FPC 32…도체
41…코어 51…리드선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FPC압착단자(10)를 나타낸다. 이 FPC압착단자(10)는, 도 2에 나타내듯이, 커넥터 케이싱(20)안에서 FPC(30)에 전선(40)의 코일(41) 또는 컨덴서 등의 전기부품(50)의 리드선(51)을 접속하기 위해 사용했을 때의 형태로 예시되고 있다. 여기에서, FPC란, 유연성이 풍부한 수지 등의 박판 또는 막(31)에 도체(32)를 고정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박판 또는 막(31)의 적어도 한 쪽면에 도체(32)를 노출시킨 것이다. 이 경우, FPC(30)표면이란, 도체(32)가 노출하는 면이고, 다른 쪽 면이 이면이 된다. 이 실시예에서 예시하는 FPC(30)는 도체(32)가 서로 거의 평행하게 되도록 배선되어 있다.
상기 FPC압착단자(10)는, 평판에 의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바닥판(11)과, 바닥판(11)의 폭방향 양단에서 기립하는 걸림편(12, 12, 12)을 구비하고 있다. 이 바닥판(11)은 단면이 W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반드시 그렇지 않아도 좋고, 형상은 임의로 해도 된다. 이 걸림편(12)은, 예를 들면 끝을 가늘게 형성해서 FPC(30)에 꽂기 쉽게 하지만, 반드시 그렇게 하지 않아도 되고, 형상은 임의대로이다. 여기에서 끝이 가늘다라는 것은, 선단을 향해서 폭을 좁게 형성한 형태, 선단을 향해서 판두께를 얇게 형성한 형태, 그 양쪽 모두를 실시한 형태 등으로 예시된다.
상기 FPC압착단자(10)는, 코일(41) 또는 리드선(51)을 FPC(30)의 도체(32)에 밀착시키고, 바닥판 폭방향 양단의 걸림편(12, 12, 12)이 코일(41) 또는 리드선(51)을 타넘듯이 걸림편(12, 12, 12)을 FPC(30)에 이면 또는 표면으로 꽂고, FPC(30)로부터 돌출한 걸림편(12, 12, 12)의 선단을 바닥판(11)을 향해서 구부리면, 걸림편(12)의 선단과 바닥판(11)사이에서 코일(41) 또는 리드선(51) 및 FPC(30)를 끼워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바닥판(11)은, 코일(41) 또는 리드선(51)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는 폭을 가지고 있다. 또, 걸림편(12)의 바닥판(11)에서 기립하는 높이가, 적어도 FPC(30)의 두께와, 코일(41) 또는 리드선(51)의 외경의 합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 걸림편(12)의 바닥판(11)에서 기립하는 높이를 더욱 높게 하면, 코일(41) 또는 리드선(51)을 FPC와의 사이에서 더욱 높은 면압으로 안정적으로 끼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FPC압착단자(10)의 바닥판(11)의 길이방향 일단에, 코일(41) 또는 리드선(51)의 빠짐방향으로부터 돌출하는 스토퍼편(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편(13)은, 필요에 따라 바닥판(11)에서 걸림편(12)가 기립하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약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 도면부호 14는 필요에 따라 바닥판(11)의 중앙부를 솟아오르게 해서 형성된 보강용 딤플(dimple), 15는 필요에 따라 바닥판(11)의 상면을 오목하게 해서 형성된 보강용 비드이다.
상기 FPC압착단자(10)는 1장의 판재로 성형된다. 즉, 예를 들면 판재를 블랭킹하고, 바닥판(11)에 대해서 걸림편(12, 12, 12)을 구부리는 것으로 성형된다. 그 동안에, 필요에 따라 딤플(14) 및 비드(15)를 성형하고, 바닥판(11)에 대해서 스토퍼판(13)을 구부린다.
다음에, 제1실시예의 FPC압착단자(10)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코어(41) 또는 리드선(51)을 FPC(30)의 도체(32)에 밀착시켜 두고, 바닥판 폭방향 양단의 걸림편(12, 12, 12)이 코어(41) 또는 리드선(51)을 타넘듯이 걸림편(12, 12, 12)을 FPC(30)에 이면에서 꽂고, 도 4에 나타내듯이 FPC(3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한 걸림편(12, 12, 12)의 선단을 바닥판(11)을 향해서 구부리면, 걸림편(12)의 선단과 바닥판(11)사이에서 코어(41) 또는 리드선(51) 및 FPC(30)가 끼워져 유지되고, FPC(30)에 코어(41) 또는 리드선(51)이 접속된다. 제1실시예에서는, 도 5에서 예시하듯이, 걸림편(12)이 코어(41)에 코어(41)의 선단(41a)를 남기고 압착하고 있다.
또, 도 6은 제1실시예의 다른 사용방법을 나타낸다. 이 도 6에 나타낸 FPC압착단자(10)는, 바닥판(11)을 코어(41) 또는 리드선(51)의 단면형상에 맞게 U자형으로 굽혀지는 것으로 바닥판(11)을 코어(41) 또는 리드선(51)에 밀착시키도록 하고 있지만, 그 이외에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형상이다. 그러나, 여기에서도, 바닥판(11)의 형상은 임의대로이다. 도 6에 나타내듯이, 코어(41) 또는 리드선(51)을 FPC(30)의 도체(32)에 밀착시키고, 바닥판 폭방향 양단의 걸림편(12, 12, 12)이 코어(41) 또는 리드선(51)을 타넘듯이 걸림편(12, 12, 12)을 FPC(30)에 표면에서 꽂고, FPC(30)의 이면에서 돌출한 걸림편(12, 12, 12)의 선단을 바닥판(11)을 향해서 구부리면, 걸림편(12, 12, 12)의 선단과 바닥판(11)사이에서 코어(41) 또는 리드선(51) 및 FPC(30)가 끼워져 유지되고, FPC(30)에 코어(41) 또는 리드선(51)이 접속된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FPC압착단자(10)에 의해 접속된 FPC(30), 코어(41) 및 리드선(51)을 커넥터 케이싱(20)에 수납하려는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예시한 FPC(30)는 4개의 도체(32)를 가지고 있고, 이 중 2개에 FPC압착단자(10)를 통해 전선(40)의 코어(41)가 접속되고, 다른 2개에 FPC압착단자(10)를 통해 전기부품(50)의 리드선(51)이 접속되어 있다. 이 케이싱(20)은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얇은 박스형의 2장의 케이싱부재(21, 22)가 한 변에 있어서 얇은 부분(23)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FPC압착단자(10)에 의해 접속된 FPC(30), 전선(40) 및 전기부품(50)을 한 쪽 케이싱부재(21)위에 올려 놓고, 다른 쪽 케이싱부재(22)를 얇은 부분(23)을 변형시키는 것으로 절곡해서 상기 한 쪽 케이싱부재(21)에 겹치고, 양 케이싱부재(21, 22)를 두께가 얇은 부분(23)과 대향하는 변에 형성한 로크부재(24)에 의해 걸리게 하는 것으로, FPC압착단자(10)가 케이싱(20)에 수납된다. 그 경우, FPC압착단자(10)에 있어서 코어(41) 또는 리드선(51)의 빠짐방향으로부터 돌출하는 스토퍼편(13)이, 케이싱부재(21)의 내벽에 형성된 구멍(25)에 들어가 걸려서 케이싱(20)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걸림편(12)에 의해 피어싱을 행하는 동시에 코어(41) 또는 리드선(51)을 압착접속하므로, 종래관련기술과 같이 별도로 접속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고, 그 만큼 FPC압착단자(10)가 짧아 소형화로 된다. 또, 피어싱공정과 접속공정이 한 번에 행해지므로, 공정감소에 의해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 적어도 한 쌍의 걸림편(12, 12)이 바닥판(11)의 폭방향 양단에서 기립하고 있으므로, 걸림편(12)에 의한 유지력이 안정되고, 코어(41) 또는 리드선(51)의 압착력이 균형 좋게 작용한다. 본 발명은, 걸림편(12)의 총수가 2장인 실시예 및 4장 이상의 실시예를 포함하고, 또 바닥판(11)의 폭방향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형성하는 걸림편(12)의 개수의 조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제1실시예와 같이, 걸림편(12)을 합계 3장으로 하여, 폭방향의 일단에 1장을 형성하고, 타단에 2장을 형성하면, 걸림편(12, 12, 12)을 위한 재료사용량을 감소할 수 있는 데다가, 걸림편(12, 12, 12)을 꽂고, 구부리는데 필요한 힘이 들지 않으므로, 비용면에서도 유리하다.
본 발명은 바닥판(11)에 스토퍼편(13)을 설치하지 않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바닥판(11)의 길이방향 일단에, 코어(41) 또는 리드선(51)의 빠짐방향으로부터 돌출하는 스토퍼편(13)을 형성했을 때에는, 코어(41) 또는 리드선(51)을 접속한 상태에서 FPC압착단자(10)를 커넥터 케이싱(20)에 수납한 경우, 코어(41) 또는 리드선(51)이 빠짐방향으로 당겨져도, 스토퍼편(13)이 케이싱(20)에 걸리게 되므로, FPC압착단자(10)가 케이싱(20)으로부터 빠지기 어렵다.
본 발명은, 코어(41)선단(41a)이, 절곡된 걸림편(12)아래에 모아져 있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걸림편(12)이 코어(41)에, 코어(41)선단(41a)을 남기고 압착하고 있을 때에는, 걸림편(12)에 압착된 코어(41)가 압축되므로, 코어(41)에 있어서, 걸림편(12)에 압착된 부위와, 압착되지 않은 선단(41a)부위사이에서 단차가 생긴다. 그 때문에, 이 단차부가 걸림편(12)가장자리에 걸리는 것으로 코어(41)의 유지력이 확보되고, 코어(41)가 당겨빼는 힘을 받아도 빠지기 어렵다.
도 7a는 제2실시예를 나타낸다. 제2실시예에서는 걸림편(12)이 1장이다. 즉, 이 FPC압착단자(10)는, 평판으로 형성된 바닥판(11)과, 바닥판(11)의 단부에서 기립하는 1장의 걸림편(12)을 구비하고 있다. 이 FPC압착단자(10)는, 코어(41) 또는 리드선(51)을 FPC(30)의 도체(32)에 밀착시키고, 걸림편(12)을 FPC(30)에 꽂고, FPC(30)로부터 돌출한 걸림편(12)의 선단을 바닥판(11)을 향해서 구부리면, 걸림편(12)의 선단과 바닥판(11)사이에서 코어(41) 또는 리드선(51) 및 FPC(30)를 끼워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걸림편(12)의 바닥판(11)에서 기립하는 높이가, 적어도 FPC(30)의 두께와, 코어(41) 또는 리드선(51)의 외경의 합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 걸림편(12)의 바닥판(11)에서 기립하는 높이를 더욱 높게 하면, 코어(41) 또는 리드선(51)을 FPC(30)사이에서 더욱 높은 면압으로 안정적으로 끼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바람직하다. 상기 FPC압착단자(10)의 바닥판(11)의 길이방향 일단에, 코어(41) 또는 리드선(51)의 빠짐방향으로부터 돌출하는 스토퍼편(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편(13)은, 필요에 따라 바닥판(11)에서 걸림편(12)가 입상하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약간 경사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FPC압착단자(10)는 1장의 판재로 성형된다. 즉, 예를 들면 판재를 블랭킹하고, 바닥판(11)에 대해서 걸림편(12)을 구부리는 것으로 성형된다. 이 동안에, 필요에 따라 딤플(14) 및 비드(15)를 성형하고, 바닥판(11)에 대해서 스토퍼편(13)을 구부린다.
제2실시예의 FPC압착단자(10)의 사용방법을 도 7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코어(41) 또는 리드선(51)을 FPC(30)의 도체(32)에 밀착시켜 두고, 걸림편(12)을 FPC(30)에 꽂고, FPC(30)로부터 돌출한 걸림편(12) 선단을 바닥판(11)을 향해서 구부리면, 걸림편(12)의 선단과 바닥판(11)사이에서 코어(41) 또는 리드선(51) 및 FPC(30)가 끼워져 유지되고, FPC(30)에 코어(41) 또는 리드선(51)이 접속된다. 이 경우, 걸림편(12)을 FPC(30)에 이면에서 꽂고, FPC(3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한 걸림편(12)의 선단을 바닥판(11)을 향해서 구부려도 좋고, 걸림편(12)을 FPC(30)에 표면에서 꽂고, FPC(30)의 이면으로부터 돌출한 걸림편(12)의 선단을 바닥판(11)을 향해서 구부려도 좋다. 이 제2실시예에서도, 걸림편(12)이 코어(41)에, 코어(41)의 선단(41a)을 남기고 압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걸림편(12)에 의해 피어싱을 행하는 동시에 코어(41) 또는 리드선(51)을 압착접속하므로, 종래관련기술과 같이 별도로 접속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그 만큼 FPC압착단자(10)가 짧게 소형화로 된다. 또, 피어싱공정과 접속공정이 한 번에 행해지므로, 공정감소에 의해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 본 발명은 제2실시예에 있어서, 걸림편(12)이 바닥판(11)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된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바닥판(11)에 스토퍼편(13)을 설치하지 않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그러나, 제2실시예와 같이 바닥판(11)의 길이방향 일단에, 코어(41) 또는 리드선(51)의 빠짐방향으로부터 돌출하는 스토퍼편(13)을 형성했을 때에는, 코어(41) 또는 리드선(51)을 접속한 상태에서 FPC압착단자(10)를 커넥터 케이싱(20)에 수납한 경우, 코어(41) 또는 리드선(51)이 빠짐방향으로 잡아당겨져도, 스토퍼편(13)이 케이싱(20)에 걸리게 되므로, FPC압착단자(10)가 케이싱(20)으로부터 빠지기 어렵다.
본 발명은, 코어(41)의 선단(41a)이, 구부러진 걸림편(12)의 아래에 모아져 있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제2실시예와 같이, 걸림편(12)이 코어(41)에, 코어(41)의 선단(41a)를 남기고 압착하고 있을 때에는, 걸림편(12)에 압착된 코어(41)가 압축되므로, 코어(41)에 있어서, 걸림편(12)에 압착된 부위와, 압착되지 않은 선단(41a)사이에서 단차가 생긴다. 그 때문에, 이 단차부가 걸림편(12)가장자리에 걸리게 되는 것으로 코어(41)의 유지력이 확보되고, 코어(41)가 당겨빼는 힘을 받아도 빠지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걸림편(12)을 도체(32)에 관통시켰지만, 본 발명은 걸림편(12)을 FPC(30)의 박판 또는 막(31)에만 관통시키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즉, 코어(41) 또는 리드선(51)을 FPC(30)의 도체(32)에 밀착시키고, 걸림편(12)을 FPC(30)에 꽂을 때에 도체(32)에 관통시키지 않고 박판 또는 막(31)에만 관통시키고, FPC(30)로부터 돌출한 걸림편(12)의 선단을 바닥판(11)을 향해서 구부리면, 걸림편(12)의 선단과 바닥판(11)사이에서 코어(41) 또는 리드선(51) 및 FPC(30)가 끼워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FPC압착단자(10)에 의해 접속된 FPC(30), 코어(41) 및 리드선(51)을 커넥터 케이싱(20)에 수납했지만, 케이싱에의 조립형태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게다가 본 발명은 이들이 케이싱에 수납되지 않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1장의 FPC(30)에 고정되는 도체(32)의 수가 여러개인 것, 그것에 이용되는 FPC압착단자(10)의 수가 여러개인 것, 접속대상이 코어(41)만인 것, 리드선(51)만인 것이 포함된다. 또,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를 여러 가지로 조합한 실시예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걸림편을 이용해서 블랭킹공정과 접속공정을 한 번에 행함으로써, FPC압착단자를 소형화하고, 또 공정감소에 의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 평판으로 형성된 바닥판(11)과, 바닥판(11)의 단부에서 기립하는 걸림편(12)을 구비한 FPC압착단자(10)로서, 상기 FPC압착단자(10)는, 코어(41) 또는 리드선(51)을 FPC(30)의 도체(32)에 밀착시키고, 걸림편(12)을 FPC(30)에 이면 또는 표면에서 꽂고, FPC(30)로부터 돌출한 걸림편(12)의 선단을 바닥판(11)을 향해서 구부리면, 걸림편(12)의 선단과 바닥판(11)사이에서 코어(41) 또는 리드선(51) 및 FPC(30)를 끼워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C압착단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12)의 바닥판(11)에서 기립하는 높이가 적어도 FPC(30)의 두께와, 코어(41) 또는 리드선(51)의 외경과의 합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C압착단자.
- 평판에 의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바닥판(11)과, 바닥판(11)의 폭방향 양단에서 기립하는 걸림편(12)을 구비한 FPC압착단자(10)로서, 상기 FPC압착단자(10)는, 코어(41) 또는 리드선(51)을 FPC(30)의 도체(32)에 밀착시키고, 바닥판 폭방향 양단의 걸림편(12)이 코어(41) 또는 리드선(51)을 타넘듯이 걸림편(12)을 FPC(30)에 이면 또는 표면에서 꽂고, FPC(30)로부터 돌출한 걸림편(12)의 선단을 바닥판(11)을 향해서 구부리면, 걸림편(12)의 선단과 바닥판(11)사이에서 코어(41) 또는 리드선(51) 및 FPC(30)를 끼워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C압착단자.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1)은, 코어(41) 또는 리드선(51)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는 폭을 가지고 있고, 걸림편(12)의 바닥판(11)에서 기립하는 높이가, 적어도 FPC(30)의 두께와, 코어(41) 또는 리드선(51)의 외경과의 합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C압착단자.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1)의 길이방향 일단에, 코어(41) 또는 리드선(51)의 빠짐방향으로부터 돌출하는 스토퍼편(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C압착단자.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FPC압차단자를 이용해서 코어(41)를 FPC(30)에 접속하는 압착구조로서, 코어(41)가 FPC(30)의 도체(32)에 밀착하고, 걸림편(12)이 FPC(30)에 이면 또는 표면에서 꽂히고, FPC(30)로부터 돌출한 걸림편(12)의 선단이 바닥판(11)을 향해서 구부려져, 걸림편(12)의 선단과 바닥판(11)사이에서 코어(41) 및 FPC(30)가 끼워 유지되어 있는 동시에, 걸림편(12)이 코어(41)에 코어(41)의 선단을 남기고 압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1065694A JP2000260504A (ja) | 1999-03-11 | 1999-03-11 | Fpc圧着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芯線の圧着構造 |
JP99-65694 | 1999-03-1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76735A true KR20000076735A (ko) | 2000-12-26 |
KR100702399B1 KR100702399B1 (ko) | 2007-04-02 |
Family
ID=13294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09372A KR100702399B1 (ko) | 1999-03-11 | 2000-02-25 | 플랙시블 프린트배선판 압착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코어의압착구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6350145B1 (ko) |
EP (1) | EP1035616B1 (ko) |
JP (1) | JP2000260504A (ko) |
KR (1) | KR100702399B1 (ko) |
DE (1) | DE69911911T2 (ko) |
HK (1) | HK1030836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0734B1 (ko) * | 2012-05-15 | 2014-12-08 |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 크림프 단자 및 방수 터미네이션 |
KR20160031561A (ko) * | 2013-08-06 | 2016-03-22 |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 압착단자 및 압착단자 부가 전선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44030A (ja) * | 2000-02-29 | 2001-09-07 | Fci Japan Kk | プラグコネクタ |
JP2002042941A (ja) * | 2000-07-24 | 2002-02-08 | Yazaki Corp | 電気接続端子 |
US6364668B1 (en) * | 2001-01-22 | 2002-04-02 | Molex Incorporated |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for flat circuits |
JP2003142796A (ja) * | 2001-10-31 | 2003-05-16 | Furukawa Electric Co Ltd:The | 配線回路体への電子部品の実装方法及び実装構造 |
DE20207230U1 (de) * | 2002-05-07 | 2003-09-18 | Grote & Hartmann Gmbh & Co Kg, 42369 Wuppertal | Crimpkralle eines elektrischen Kontaktelements |
JP4568210B2 (ja) * | 2005-11-14 | 2010-10-27 | 矢崎総業株式会社 | 端子金具及び端子付きフラット回路体 |
US7591666B2 (en) * | 2006-11-10 | 2009-09-22 | Zierick Manufacturing Corporation | Surface mount crimp terminal and method of crimping an insulated conductor therein |
US20090117774A1 (en) * | 2006-11-10 | 2009-05-07 | Janos Legrady | Surface mount crimp terminal and method of crimping an insulated conductor therein |
US7837494B2 (en) * | 2007-02-26 | 2010-11-23 |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 Connection of wire to a lead frame |
FR2935551B1 (fr) * | 2008-09-02 | 2012-03-23 | Nicomatic Sa | Element de connexion electrique |
JP5300136B2 (ja) * | 2009-03-04 | 2013-09-25 | 矢崎総業株式会社 | 圧着端子及び圧着構造 |
JP2011096452A (ja) * | 2009-10-28 | 2011-05-12 | Yazaki Corp | 圧着端子 |
US7955147B1 (en) | 2010-03-15 | 2011-06-07 | Zierick Manufacturing Corporation | Surface mount (SMT) crimp terminal and method of securing wire to same |
US8368613B2 (en) * | 2010-05-10 | 2013-02-05 |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8376759B2 (en) * | 2010-09-20 | 2013-02-19 |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Connectors for E-textiles |
EP2731203B1 (de) * | 2012-08-29 | 2018-05-09 | Nexans | Verfahren zum feuchtigkeitsdichten Abdecken einer Verbindungsstelle zwischen einem elektrischen Leiter und einem Kontaktelement |
JP6724590B2 (ja) * | 2016-06-21 | 2020-07-15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端子および端子付き電線 |
KR102508168B1 (ko) | 2018-01-10 | 2023-03-09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 |
JP6796621B2 (ja) * | 2018-07-06 | 2020-12-09 | 矢崎総業株式会社 | 電線と端子の接続構造の製造方法及び電線と端子の接続構造の製造方法に使用される端子 |
US11600937B2 (en) * | 2020-07-02 | 2023-03-07 |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 Electrical terminal for flat flexible cables |
JP2023017321A (ja) * | 2021-07-26 | 2023-02-07 | 日本メクトロン株式会社 | 接続端子を備える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及びそ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H353422A (de) * | 1956-06-05 | 1961-04-15 | Amp Inc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lektrischen Verbindung und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 Verbindung |
GB1287865A (ko) * | 1970-06-30 | 1972-09-06 | ||
US3728473A (en) * | 1971-10-06 | 1973-04-17 | Thomas & Betts Corp | Multi-orificed electrical connector |
JPH0665090B2 (ja) * | 1985-09-06 | 1994-08-22 | Fpcコネクタ | |
KR890003064A (ko) * | 1987-07-21 | 1989-04-12 | 마사이치 사토오 | 전선용 접속단자 및 이에 대한 전선의 접속방법 |
JPH0747810Y2 (ja) * | 1990-05-09 | 1995-11-01 | 住友電装株式会社 | 可撓性平型導体ケーブル用電気接続子 |
JPH04223069A (ja) | 1990-12-26 | 1992-08-12 | Sumitomo Wiring Syst Ltd | 可とう性平型導体ケーブルにおける導体接続方法および導体接続構造 |
JP2582876Y2 (ja) * | 1993-05-20 | 1998-10-15 | バーグ・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電気コネクタ |
US5772454A (en) * | 1995-11-03 | 1998-06-30 | The Whitaker Corporation | Wire to board contact terminal |
-
1999
- 1999-03-11 JP JP11065694A patent/JP2000260504A/ja active Pending
- 1999-12-20 EP EP99125442A patent/EP1035616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9-12-20 DE DE69911911T patent/DE69911911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
- 2000-01-05 US US09/477,670 patent/US6350145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02-25 KR KR1020000009372A patent/KR10070239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
- 2001-03-07 HK HK01101664A patent/HK1030836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0734B1 (ko) * | 2012-05-15 | 2014-12-08 |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 크림프 단자 및 방수 터미네이션 |
KR20160031561A (ko) * | 2013-08-06 | 2016-03-22 |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 압착단자 및 압착단자 부가 전선 |
US9787003B2 (en) | 2013-08-06 | 2017-10-10 | Nisshin Steel Co., Ltd. | Crimp terminal and electric wire with crimp termina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035616B1 (en) | 2003-10-08 |
DE69911911T2 (de) | 2004-05-13 |
DE69911911D1 (de) | 2003-11-13 |
KR100702399B1 (ko) | 2007-04-02 |
US6350145B1 (en) | 2002-02-26 |
HK1030836A1 (en) | 2003-04-23 |
EP1035616A1 (en) | 2000-09-13 |
JP2000260504A (ja) | 2000-09-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02399B1 (ko) | 플랙시블 프린트배선판 압착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코어의압착구조 | |
US7118409B2 (en) | Connector and cable retainer | |
EP2348583A2 (en) | Cable connecting apparatus | |
US6997749B1 (en) | Shield connector | |
JP4440160B2 (ja) | コネクタ | |
JPH04277471A (ja) | 電線用コネクタ | |
JP3745318B2 (ja) | 電気コネクタ組立体 | |
CN110416786B (zh) | 导电端子、包括其的联接器和电机以及联接器的装配方法 | |
US20020127904A1 (en) | Relay connector | |
JP2009048941A (ja) | コネクタ装置 | |
JP4068092B2 (ja) | 多極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て方法 | |
US10756478B2 (en) | Terminal and method of connecting electric wire to terminal | |
US7351100B2 (en) | Electric connector | |
CN112242632B (zh) | 连接结构、连接结构的形成方法及连接结构的电缆 | |
KR101456806B1 (ko) | 커넥터 구조 | |
CN115377719A (zh) | 端子、电线连接器及线对板连接器 | |
JP7144290B2 (ja) | 端子接続構造 | |
JPS60240072A (ja) |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04236416A (ja) | 分岐接続箱 | |
US5423698A (en) | Electrical connector system for a video display tube yoke | |
JP3378991B2 (ja) |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 |
JP3735042B2 (ja) | フラット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 |
JPH021819Y2 (ko) | ||
JP3450072B2 (ja) |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 |
JP2976325B2 (ja) | 同軸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217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