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9980042017A - 차량 핸들용 에어백 모듈 - Google Patents

차량 핸들용 에어백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017A
KR19980042017A KR1019970057555A KR19970057555A KR19980042017A KR 19980042017 A KR19980042017 A KR 19980042017A KR 1019970057555 A KR1019970057555 A KR 1019970057555A KR 19970057555 A KR19970057555 A KR 19970057555A KR 19980042017 A KR19980042017 A KR 19980042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generator
airbag module
gas generator
generator sup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7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카엘밀텐베르거
Original Assignee
티알더블유오토모티브세이프티시스템즈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알더블유오토모티브세이프티시스템즈게엠베하 filed Critical 티알더블유오토모티브세이프티시스템즈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19980042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017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원은 예비결정된 파괴점(8)을 가지고 모서리에서 발생기 지지체(3)에 접속되는 커버링(4)과, 가스 발생기(1)와, 접힘 에어백(2)과, 접시형 발생기 지지체(3)를 구비하고 또한 발생기 지지체(3)에 에어백(2)을 고정시키는 보유 판(5)을 가진 차량 핸들용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이고, 상기 요소들은 모두 핸들에 접속되어질 수 있는 일 파트 구조체 유니트를 형성하는 것이다.
본원은 접힘 에어백(2)에 의한 커버링(4)용으로 형성된 접촉을 상실하지 않고 에어백 모듈 내측 용적이 다양한 용적 요구에 부합할 수 있도록, 접힘 에어백(2), 및 가스 발생기(1) 사이에서 정렬되고, 접힘 에어백(2)용 커버링(4)과 가스 발생기(1)와, 발생기 지지체(3) 사이에서 활용가능한 예비결정된 용적성질로 채워진 변위 요소(6, 7)를 제안한것이다.

Description

차량 핸들용 에어백 모듈
본원은 예비결정된 파괴점을 가지고 모서리에서 발생기 지지체에 접속되는 커버링과, 가스 발생기와, 접힘 에어백과, 접시형 발생기 지지체를 구비하고 또한 발생기 지지체에 에어백을 고정시키는 보유 판을 가진 차량 핸들용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이고, 상기 요소들은 모두 핸들에 접속되어질 수 있는 일 파트 구조체 유니트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모듈은 오늘날 모든 승합차에 표준적으로 설치되고 따라서 대량 생산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야한다. 이러하 사실은 상기 모듈이 가능한 고수율의 잇점이 완전하게 활용되도록, 차량 또는 핸들의 일 형태에만 적합할 뿐만 아니라 다수 타입의 설치에 적합한 크기로 사용되기에도 적절한 것으로 되어야한다. 이러한 경우에 모듈의 외경은 모듈의 적용범위 내에 있어야하는 최대한의 가스 발생기와 에어백이 상기 모듈에 수용되게 선택되어야 한다. 이것은 에어백 모듈의 디자인에 일 상태를 한정지게 한다.
전체적으로 다른 한정상태가 에어백이 사용시에 방해받지 않고 급속하게 펼쳐질 수 있는 방식으로 커버링에는 예비결정된 파괴점이 제공되어야 하는 사실로 부터 제기된다. 다르게는, 예비결정된 파괴점이 적어도 10년 정도 차량을 사용하는 중에, 약화되지 않아야하고 또는 비의도적인 파괴 조차도 없어야한다. 이러한 관계로 제조되어질 목적으로, 커버링 밑에 접혀진 에어백은, 커버링이 핸들의 일반적인 방식으로의 조작시에 예비결정된 파괴점의 과부하가 발생하는 연장부로 내방향으로 압압될 수 없으며, 접촉부로서 역활을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입증되어지도 한 다양한 사양이 제안되어져 있다. 따라서, 접힘 에어콘은 전체적으로 활용가능한 용적으로 채워져야만 한다.
이러한 예비상태는 만일 예를들어 보다적은 총용적의 신규한 가스 발생기가 사용된다면, 에어벡용의 신규한 구조가 적은 용적을 취한다면, 또는 대량 생산에서 가스 발생기용으로 필요한 용적과 접힘 에어백이 너무 대형인 예비결정된 외경의 에어백 모듈을 사용한다면 더이상 필요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서는 커버링용 접촉이 없고, 임의적인 상태하에서는 예비결정된 파괴점이, 핸들을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중에 비의도적인 파괴로 유도하여 수리작업이 필요한 과도한 부하를 받게되고, 일반적으로 전체 에어백 모듈의 대체는 개별적인 커버를 시장에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없거나 다르게는 작업장에서 활용가능한 수단을 설치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선택성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어진 외경 상태에서, 그 접촉부를 손실하지 않는 커버링이 없고 과부하를 받는 예비결정된 파괴점이 없는 다른 사이즈의 용적 필요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상술된 타입의 에어백 모듈을 개량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발생기와 접힘 에어백 사이에 배치되고 변위 요소는 가스 발생기, 발생기 지지체 그리고 접힘 에어백용 커버링 사이에서 활용가능한 예비결정된 용적성으로 채워지는 것을 제안 한 것이다.
상기 변위 요소는 간단하게 생산되고, 다른 것이 변경되지 않는 에어백 모듈 내측이 자유롭게 활용가능한 용적내부가 특정한 적용을 위해 상당히 큰 경우에 다양한 용적 요구를 간단한 방식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물론, 만일 영구적 기부위에 예외없이 발생기와 에어백을 수용하는데 소 용적에 것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체 에어백 모듈이 소형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예비설정된 파괴점의 기계적 과부하를 받을 가능성 없이 한편에서 대량생산되는 모듈에 의지하면서도 다른 한편에서 이용 용적 내부의 다른 필요성과 직면하게 되는 개시부에서 기술된 문제가 제기된다. 즉, 본 발명은 핸들용 에어백 모듈의 전체 사이즈를 감소시킬수 있는 발생부인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보유판을 가진 일 피스로 형성된 변위 요소가 있는 에어백 모듈의 단면도.
도 2 는 분리 성분으로 후방측으로 부터 발생기 지지체 내로 미는 가스 발생기형 변위요소가 있는 에어백 모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스 발생기 2 : 에어백
3 : 발생기 지지체 4 : 커버링
5 : 보유판 6 : 컵형상 성분(변위 요소)
7 : 모자형상 성분(변위 요소) 8 : 파괴점
10 : 볼트
도 1 에 따른 실시예인 경우에, 가수 발생기(1)는 나사, 리벳 또는 그와같은 종류의 수단으로 발생기 지지체(3)에 접속되는 둘레 플랜지(9)를 가진다. 동일한 접속점으로, 에어백(2)은 보유판(5)과 발생기 지지체(3)와의 사이에 동시적으로 클램프되고, 볼트(10)는 사용시에 에어백(2)의 클램프 접속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모서리에 제공된다.
모서리에 발생기 지지체(3)에 클립된 커버링(4)에는 물질이 선형적으로 확장되어 약화되는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한개의 예비결정된 파괴점(8)이 제공된다. 가수 발생기(1)와, 발생기 지지체(3)와 커버링(4) 사이에 용적은, 전체적으로 청결함이 상처를 받지 않도록 구속점 지대에서만 나타나는 접힘 에어백(2)용으로 활용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러한 용적 파트는, 도 1 에 따른 예를든 실시예에서 보유판(5)을 가진 일 피스의 컵형상 성분으로 형성된 변위요소(6)를 취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컵형상 파트에는 사용시에 발생되는 가스가 에어백(2) 내로 흐르도록 벽 구멍이 제공된다. 다르게는, 컵형상 성분(6)이 접힘 에어백(2)용의 케이지형 접촉부를 형성하는 개별적인 바아가 있는 격자형 벽을 가질수도 있다. 도 1 은 그러한 바아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다른 한편에 도 2 에 따른 실시예인 경우에, 비절단된 변위 몸체(7)는 분할 성분으로 형성되며, 보유판(5)과 독립적이고, 가스 발생기(1)와 유사하게, 후방측으로 부터 발생기 지지체(3) 내로 밀려지고, 외측에 모서리에 발생기 지지체(3)에 대하여 맞닿아져 나사, 리벳 또는 그와같은 류의 수단으로 발생기 지지체와 가스 발생기의 플랜지(9) 사이에 고정되어진다. 다른것은, 도 2 에 따른 실시예는 도 1 의 것에 부합된다.
변위 요소(6 또는 7)는 각각의 용적상태에 적합하게 용이하게 채택되고, 금속판, 와이어 매시 또는 플라스틱제의 섹션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제조되고, 도 2 에 따른 고정방식으로 발생기 지지체(3)와 가스 발생기의 플랜지(9) 사이에 필요한 기밀작업이 보장되게 제조됨이 부가적인 설명없이 이해될 수 있을것이다.

Claims (8)

  1. 모든 요소가 핸들에 접속되는 일 파트 구조체 유니트를 형성하고, 발생기 지지체(3)에 에어백(2)을 고정하는 보유판(5)을 가지고, 예비결정된 파괴점(8)을 가지고 모서리에 발생기 지지체(3)에 접속된 커버링(4)과, 접시형 발생기 지지체(3)와 접힘 에어백(2)과, 가스 발생기(1)를 가진 차량 핸들용 에어백 모듈에 있어서, 가스 발생기(1)와 접힘 에어백(2) 사이에 배치되고, 변위 요소(6, 7)는 가스 발생기(1)와, 발생기 지지체(3)와 접힘 에어백(2)용 커버링(4) 사이에서 활용가능한 예비결정된 성능의 용적으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요소는, 보유판(5)에 모서리에서 접속된 천공 또는 격자형 벽이 있는 컵형상 성분(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요소는, 보유판(5)을 가진 일피스형 천공 또는 격자형 벽이 있는 컵형상 성분(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컵형상 성분(6)과 보유판(5)은 펀칭 구멍과 비절단 형상작업으로 모자형 케이지 형태가 주어져 있는 시트 금속의 섹션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5. 제 3 항에 있어서, 컵형상 성분(6)과 보유판(5)은 사출성형 또는 펀칭 및 열성형으로 제조되는 모자형 케이지 형태의 플라스틱 파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변위 요소는, 가스 발생기(1)와 같이, 후방측으로 부터 발생기 지지체(3) 내로 밀려지고 가스 발생기(1)와 발생기 지지체(3) 사이에 모서리에 고정되는 모자형 성분(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모자형 성분(7)은 펀칭 구멍과 비절단 형상 작업으로 모자형 케이지형태로 주어져 있는 시트 금속의 섹션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8. 제 6 항에 있어서, 모자형 성분(7)은 사출성형 또는 펀칭 및 열성형작업으로 제조되는 플라스틱 파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KR1019970057555A 1996-11-02 1997-11-01 차량 핸들용 에어백 모듈 Abandoned KR199800420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45217A DE19645217A1 (de) 1996-11-02 1996-11-02 Airbag-Modul für Kraftfahrzeuglenkräder
DE19645217.1-21 1996-1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017A true KR19980042017A (ko) 1998-08-17

Family

ID=7810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7555A Abandoned KR19980042017A (ko) 1996-11-02 1997-11-01 차량 핸들용 에어백 모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97029A (ko)
EP (1) EP0839693A1 (ko)
JP (1) JPH10226296A (ko)
KR (1) KR19980042017A (ko)
BR (1) BR9705201A (ko)
CA (1) CA2217426A1 (ko)
DE (1) DE1964521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48904B2 (en) 2021-08-27 2023-05-16 Hyundai Mobis Co., Ltd. Apparatus for coupling airbag module to steering wheel
US11858445B2 (en) 2020-07-17 2024-01-02 Hyundai Mobis Co., Ltd. Apparatus for connecting steering wheel and airbag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20929C5 (de) 2000-04-28 2006-07-13 Key Safety Systems, Inc.(n.d.Ges.d.Staates Delaware), Sterling Heights Airbagmodul
DE20315347U1 (de) 2003-09-30 2003-12-18 Takata-Petri Ag Anordnung zur Befestigung eines Gassacks in einem Fahrer-Airbagmodul
JP2005255153A (ja) * 2004-03-12 2005-09-22 Takata Corp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WO2006050720A1 (de) * 2004-11-15 2006-05-18 Takata-Petri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assackpaketes für ein airbagmodul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43165A1 (de) * 1971-08-28 1973-03-08 Heckler & Koch Gmbh Lenkrad fuer ein kraftfahrzeug o. dgl
US3819205A (en) * 1972-09-25 1974-06-25 Gen Motors Corp Modular occupant restraint system
DE3630685C2 (de) * 1986-07-22 1994-03-10 Trw Repa Gmbh Gaskissen-Aufprallschutz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insassen
JPH0545588Y2 (ko) * 1988-08-08 1993-11-22
DE3919840A1 (de) * 1989-06-17 1991-01-17 Hoechs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romatischen sulfonsaeurechloriden
GB2290268B (en) * 1994-06-07 1998-02-18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afety arrangement
GB2290267B (en) * 1994-06-07 1998-02-04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afety arrangement
DE4430588C2 (de) * 1994-08-19 1999-02-25 Petri Ag Gassack (Airbag)-System für Kraftfahrzeuge
US5498029A (en) * 1995-01-19 1996-03-12 Morton International, Inc. Toothed inflator adapter for an airbag assembly
US5505488A (en) 1995-04-03 1996-04-09 Morton International, Inc. Integral airbag cushion retainer, filter and diffuser
DE29606322U1 (de) * 1996-03-26 1996-06-20 Petri Ag, 63743 Aschaffenburg Airbagabdeckung mit Hupenfolien
JP3639045B2 (ja) * 1996-06-14 2005-04-13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58445B2 (en) 2020-07-17 2024-01-02 Hyundai Mobis Co., Ltd. Apparatus for connecting steering wheel and airbag module
US11648904B2 (en) 2021-08-27 2023-05-16 Hyundai Mobis Co., Ltd. Apparatus for coupling airbag module to steering wh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645217A1 (de) 1998-05-07
EP0839693A1 (de) 1998-05-06
US5997029A (en) 1999-12-07
CA2217426A1 (en) 1998-05-02
JPH10226296A (ja) 1998-08-25
BR9705201A (pt) 1999-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98532B1 (en) Inflator secured in diffuser housing of airbag module assembly by locking end cap
US6056313A (en) Gas bag module for a vehicular occupant restraint system
JP4336041B2 (ja) エアーバッグモジュール取り付け機構及びその製作方法
US5829777A (en) Air bag device
US5613700A (en) Air bag device
KR960000644A (ko) 에어백 모듀울(Module)
JPH1159304A (ja) エアバッグ装置
US5443284A (en) Air bag cushion rivetless retainer ring, axial pin method
US5765860A (en) Apparatus for mounting an inflatable vehicle occupant restraint module to a vehicle steering wheel
US20020030352A1 (en) Air bag cover with ornament
US6325407B1 (en) Airbag module cover attachment
KR19980042017A (ko) 차량 핸들용 에어백 모듈
US6161862A (en) Snap-together airbag module reaction canister
US5704635A (en) Air bag cover holding structure
JPH01160756A (ja) エアーバッグカバーとリテーナとの連結構造
JP3003578B2 (ja) 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用ケーシング及びそのカバー部材
WO1999020494A1 (en) An air-bag arrangement
KR960029165A (ko) 자동차 안전 장치
GB2247214A (en) Vehicle airbag
JP2995012B2 (ja) ガスバッグ拘束モジュール
EP0754597B1 (en) Driver's side airbag cover incorporating function switches
JPH09104307A (ja) エアバッグ装置
JP3355924B2 (ja) ホーンスイッチを備えたエアバッグ装置
JPH0640042Y2 (ja) エア−バッグ装置
JP4187234B2 (ja) 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1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4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11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22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