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730951B1 -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폴리아믹산 조성물 및 폴리이미드 필름 - Google Patents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폴리아믹산 조성물 및 폴리이미드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30951B1
KR102730951B1 KR1020200023760A KR20200023760A KR102730951B1 KR 102730951 B1 KR102730951 B1 KR 102730951B1 KR 1020200023760 A KR1020200023760 A KR 1020200023760A KR 20200023760 A KR20200023760 A KR 20200023760A KR 102730951 B1 KR102730951 B1 KR 102730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arbon atoms
tetracarboxylic dianhydride
unsubstituted
polyimid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8755A (ko
Inventor
김지선
김경환
송철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200023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30951B1/ko
Publication of KR20210108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30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309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 C07D49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1/04Ortho-condensed systems
    • C07D491/044Ortho-condensed systems with only one oxygen atom as ring hetero atom in the oxygen-containing ring
    • C07D491/048Ortho-condensed systems with only one oxygen atom as ring hetero atom in the oxygen-containing ring the oxygen-containing ring being five-memb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03Preparatory processes
    • C08G73/1007Preparatory processes from tetra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and di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39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comprising halogen-containing substitu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Abstract

본 발명은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폴리아믹산 조성물 및 폴리이미드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을 사용하면, 내열성이 우수하며 낮은 열팽창 계수를 갖는 투명한 폴리이미드 수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용 투명 플라스틱 기판 등에 유용한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폴리아믹산 조성물 및 폴리이미드 필름{TETRACARBOXYLIC ACID DIANHYDRIDE, POLYAMIC ACID COMPOSITION AND POLYIMIDE FILM}
본 발명은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폴리아믹산 조성물 및 폴리이미드 필름에 관한 것이다.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의 경박화 및 소형화를 위해 유리 기판 대신에 투명 플라스틱 기판이 사용되고 있다.
투명 플라스틱 필름으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나 폴리에테르 설폰(Polyether sulfone, PES)과 같은 고분자 수지를 필름화하여 제조된 것들이 소개되었다. 상기 PET 또는 PES와 같은 고분자 수지를 이용한 투명 플라스틱 기판은 유리 기판에 비해 연성이 좋은 반면, 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가 낮기 때문에 내열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유리 기판에 비해 열팽창 계수(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CTE)가 높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 중 고온에서 이루어지는 공정(예를 들어, 220℃ 이상의 TFT 공정)에 의해 쉽게 변형이 일어나는 문제도 있다.
이에,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이미드 수지를 이용하여 투명 플라스틱 기판을 제조하는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PI)는 전하 이동 착물(CTC: Change transfer complex)에 의한 영향으로 갈색 또는 황색을 띄어 유리 기판과 같은 고투명성을 나타내는데 한계가 있고 유기 기판에 비해 열팽창 계수가 높다. 따라서, 폴리이미드 수지의 기본적인 특성을 유지하면서 광학적 특성을 향상시키고 열 이력 변화 등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신규한 구조의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폴리아믹산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폴리아믹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공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폴리아믹산 조성물 및 폴리이미드 필름 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이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20020437653-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시아노기, 하이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헤테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6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60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60의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60의 헤테로아릴옥시기, 혹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릴옥시기이다.
본 명세서에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라는 용어는 R'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것을 의미할 수 있고, R'는 중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아미노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6의 할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O, N, Si 및 S 중 1 개 이상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6의 헤테로알킬기, 혹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O, N, Si 및 S 중 1 개 이상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6의 헤테로할로알킬기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할로겐은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는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 알킬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알킬기; 혹은 탄소수 3 내지 6의 분지쇄 또는 고리형 알킬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so-프로필기, n-부틸기, iso-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iso-펜틸기, neo-펜틸기 또는 사이클로헥실기 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탄소수 1 내지 6의 할로알킬기는 상술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의 하나 이상의 수소가 할로겐으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탄소수 1 내지 6의 헤테로알킬기는 알킬기의 1 개 이상의 탄소가 각각 독립적으로 O, N, Si 또는 S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직쇄 알킬기의 예로 n-부틸기의 1번 탄소가 O로 치환된 헤테로알킬기는 n-프로폭시기이고, N으로 치환된 헤테로알킬기는 n-프로필아미노기이며, Si로 치환된 헤테로알킬기는 n-프로필실릴기이고, S로 치환된 헤테로알킬기는 n-프로필티오기이다. 그리고, 분지쇄 알킬기의 예로 neo-펜틸기의 1번 탄소가 O로 치환된 헤테로알킬기는 t-부톡시기이고, N으로 치환된 헤테로알킬기는 t-부틸아미노기이며, Si로 치환된 헤테로알킬기는 t-부틸실릴기이고, S로 치환된 헤테로알킬기는 t-부틸티오기이다. 또한, 고리형 알킬기의 예로 사이클로헥실기의 2번 탄소가 O로 치환된 헤테로알킬기는 2-테트라히드로피라닐(2-tetrahydropyranyl)기이고, N으로 치환된 헤테로알킬기는 2-피페리디닐기이며, Si로 치환된 헤테로알킬기는 1-실라-사이클로헥실(1-sila-cyclohexyl)기이고, S로 치환된 헤테로알킬기는 2-테트라히드로티오피라닐(2-tetrahydrothiopyranyl)기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헤테로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 히드록시알킬기;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 알콕시기; 탄소수 2 내지 6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 알콕시알킬기;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 아미노알킬기;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 알킬아미노기; 탄소수 2 내지 6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 알킬아미노알킬기;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 실릴알킬(옥시)기;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 알킬(옥시)실릴기; 탄소수 2 내지 6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 알킬(옥시)실릴알킬(옥시)기;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 머캅토알킬기;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 알킬티오기; 혹은 탄소수 2 내지 6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 알킬티오알킬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헤테로알킬기는 히드록시메틸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iso-프로폭시기, t-부톡시기, 사이클로헥톡시기, 메톡시메틸기, iso-프로폭시메틸기, 2-테트라히드로피라닐(2-tetrahydropyranyl)기, 아미노메틸기, 메틸아미노기, n-프로필아미노기, t-부틸아미노기, 메틸아미노프로필기, 2-피페리디닐기, n-프로필실릴기, 트리메틸실릴기, 디메틸메톡시실릴기, t-부틸실릴기, 1-실라-사이클로헥실(1-sila-cyclohexyl)기, n-프로필티오기, t-부틸티오기 또는 2-테트라히드로티오피라닐(2-tetrahydrothiopyranyl)기 등을 들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탄소수 1 내지 6의 헤테로할로알킬기는 상술한 탄소수 1 내지 6의 헤테로알킬기의 하나 이상의 수소가 할로겐으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탄소수 6 내지 60의 아릴기는 단환식 아릴기 또는 다환식 아릴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6 내지 60의 아릴기는 탄소수 6 내지 30의 단환식 또는 다환식 아릴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20의 단환식 또는 다환식 아릴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6 내지 60의 아릴기는 단환식 아릴기로서 페닐기, 바이페닐기 또는 터페닐기 등일 수 있고, 다환식 아릴기로서 나프틸기, 안트라세닐기, 페난트릴기, 트리페닐레닐기, 나프틸페닐기, 파이레닐기, 페릴레닐기, 크라이세닐기 또는 플루오레닐기 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탄소수 2 내지 60의 헤테로아릴기는 아릴기의 1 개 이상의 탄소가 각각 독립적으로 O, N, Si 또는 S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플루오레닐기의 9번 탄소가 O로 치환된 헤테로아릴기는 디벤조퓨라닐기이고, N으로 치환된 헤테로아릴기는 카바졸리기이며, Si로 치환된 헤테로아릴기는 9-실라-플로오레닐기이고, S로 치환된 헤테로아릴기는 디벤조티오페닐기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2 내지 60의 헤테로아릴기는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또는 탄소수 2 내지 20의 헤테로아릴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2 내지 60의 헤테로아릴기는 싸이오펜기, 퓨라닐기, 피롤기, 이미다졸기, 티아졸기, 옥사졸기, 옥사디아졸기, 트리아졸기, 피리딜기, 비피리딜기, 피리미딜기, 트리아진기, 트리아졸기, 아크리딜기, 피리다진기, 피라지닐기, 퀴놀리닐기, 퀴나졸린기, 퀴녹살리닐기, 프탈라지닐기, 피리도 피리미디닐기, 피리도 피라지닐기, 피라지노 피라지닐기, 이소퀴놀린기, 인돌리기, 카바졸리기, 디아자나프틸기, 벤조옥사졸기, 벤조이미다졸기, 벤조티아졸기, 벤조카바졸기, 벤조티오펜기, 디벤조티오펜기, 벤조퓨라닐기, 페난쓰롤린기(phenanthroline), 티아졸릴기, 이소옥사졸릴기, 옥사디아졸릴기, 티아디아졸릴기, 벤조티아졸릴기, 페노티아지닐기 및 디벤조퓨라닐기 등이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탄소수 6 내지 60의 아릴옥시기는 상술한 탄소수 6 내지 60의 아릴기가 -O-를 통해 모체에 연결되는 치환기를 의미하고, 탄소수 2 내지 60의 헤테로아릴옥시기는 상술한 탄소수 2 내지 60의 헤테로아릴기가 -O-를 통해 모체에 연결되는 치환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투명 플라스틱 기판 등에 적용될 수 있는 폴리이미드 수지를 제공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 구조의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을 사용하는 경우 내열성이 우수하며 낮은 열팽창 계수를 갖는 투명한 폴리이미드 수지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로부터 제조된 폴리이미드 필름은 우수한 내열성 및 투명성과 낮은 열팽창 계수를 가져 디스플레이용 투명 플라스틱 기판 등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은 프탈산 무수물의 2 개의 탄소가 질소로 치환된 2 개의 화합물이 중심 벤젠의 para-위치에 결합되어 있는 특이한 구조를 포함함에 따라 우수한 투명성 및 낮은 열팽창 계수를 가지는 폴리이미드 수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에 도입 가능한 알킬기, 헤테로알킬기, 아릴기, 아릴옥시기, 헤테로아릴기, 헤테로아릴옥시기 혹은 알릴옥시기는 전자흡인성기(EWG)으로 치환되어 폴리이미드 수지의 사슬 내에 π 전자의 이동을 제한하여 전하 이동 착물(CTC: Change transfer complex)에 의해 폴리이미드 수지의 투명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에 도입 가능한 알킬기, 헤테로알킬기, 아릴기, 아릴옥시기, 헤테로아릴기, 헤테로아릴옥시기 혹은 알릴옥시기는 전자흡인성기로서 불소 및 트리플루오로메틸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치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혹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옥시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불소, 메틸기, 메톡시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페닐기, 나프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기 또는 페녹시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R1 및 R2는 서로 동일하며, 수소, 불소, 메틸기, 메톡시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페닐기, 나프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기 또는 페녹시기이고, R3 및 R4는 서로 동일하며, 수소 또는 불소일 수 있다.
일 예로, R1 및 R2는 서로 동일하며, 불소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이고, R3 및 R4는 서로 동일하며, 수소 또는 불소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은 Color Eye 7000A를 이용하여 측정한 황색도가 0 내지 2로 우수한 투명성을 나타낼 뿐 아니라 열기계 분석기(TMA)를 이용하여 50 ℃ 에서 150 ℃ 범위에서 측정한 열팽창 계수가 1 내지 7 ppm/℃로 매우 낮은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황색도 및 열팽창 계수의 구체적인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시험예를 참고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은 하기 구조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Figure 112020020437653-pat00002
한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을 포함하는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과 디아민의 반응을 통해 형성되는 폴리아믹산을 포함하는 폴리아믹산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폴리아믹산은 이미드화 반응을 통해 폴리이미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폴리이미드 전구체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은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총 중량에 대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을 50 중량% 이상, 70 중량% 이상, 90 중량% 이상 혹은 10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이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총 중량에 대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을 10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공지의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지의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로는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이무수물,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4-(트리플루오로메틸)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바이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4,4'-옥시디프탈산 이무수물, 사이클로부탄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1,2,3,4-사이클로펜탄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바이사이클로[2,2,2]-7-옥텐-2,3,5,6-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은 다양한 디아민과 반응하여 원하는 수준의 고투명도, 고내열성 및 낮은 열팽창 계수 등을 나타내는 폴리이미드 수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디아민으로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디아민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상기 디아민으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디아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20020437653-pat00003
상기 화학식 2에서, Y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지방족 또는 지환족 2가 유기기, 탄소수 6 내지 30의 방향족 2가 유기기, 혹은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방향족 2가 유기기이거나, 또는 지방족, 지환족 방향족 및 헤테로방향족 2가 유기기 중 적어도 2 이상이 직접 혹은 링커를 통해 연결된 2가 유기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Y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렌기이거나 혹은 하기 구조의 2가 유기기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Figure 112020020437653-pat00004
상기 L은 단일 결합, -O-, -S-, -CH2-, -CF2-, -C(CF3)2-, -CO-, -CONH- 또는 -SO2-이다.
상기 폴리아믹산은 상술한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및 디아민 외에 이들과 중합 가능한 단량체 및/또는 올리고머를 추가로 중합하여 형성된 고분자일 수 있다. 상기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및/또는 올리고머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단량체 및/또는 올리고머일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믹산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과 디아민 등을 용액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아민의 몰 수에 대한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의 몰 수의 비는 0.7 내지 1.3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용액 중합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유기 용매로는 m-크레졸, N-메틸-2-피롤리돈(NMP), 디메틸포름아미드(DMF), N,N-디메틸 아세트아미드(DMAc),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아세톤, 디에틸 아세테이트, 디메틸 프탈레이트(DMP) 및 n-부톡시에탄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극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클로로포름과 같은 저비점 용액 또는 γ-부티로락톤과 같은 저흡수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믹산 조성물은 상술한 유기 용매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95 중량% 혹은 70 내지 9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아믹산을 이미드화 반응시켜 형성되는 폴리이미드 필름이 제공된다.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은 상기 폴리아믹산 조성물을 유리 기판 등의 기판 상에 코팅한 후 열처리하여 폴리아믹산의 이미드화 반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처리는 약 30 내지 350 ℃의 온도 범위에서 온도를 점진적으로 올려 3 분 내지 8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아르곤이나 질소 등의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믹산의 이미드화 반응을 통해 형성되는 폴리이미드 수지는 실제 100 몰%의 이미드화율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측면에서 이미드기 함유 반복 단위 외에 아믹산기 함유 반복 단위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아믹산은 상술한 바와 같이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및 디아민 외에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및/또는 올리고머를 추가로 포함하여 중합된 것일 수 있으므로, 이로부터 제조된 폴리이미드 수지도 이미드기 함유 반복 단위와 아믹산기 함유 반복 단위 외에 다른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및/또는 올리고머 유래의 반복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이미드 수지는 랜덤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는 이미드 고리를 함유하는 고분자로서 알려진 우수한 내열성, 내화학성, 내마모성 및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면서도 상술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구조의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로부터 유래하는 잔기를 포함하여 고투명도와 낮은 열팽창 계수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은 Color Eye 7000A를 이용하여 측정한 황색도가 0 내지 10, 0 내지 7, 0 내지 6, 0 내지 5, 0 내지 4, 0 내지 3 또는 0 내지 2로 우수한 투명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은 열기계 분석기(TMA)를 이용하여 50 ℃ 에서 150 ℃ 범위에서 측정한 열팽창 계수가 1 내지 20 ppm/℃, 1 내지 15 ppm/℃, 1 내지 11 ppm/℃, 1 내지 10 ppm/℃, 1 내지 9 ppm/℃, 1 내지 8 ppm/℃ 또는 1 내지 7 ppm/℃일 수 있다.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은 열중량 분석기를 이용하여 중량 감소율이 1 %일 때의 열분해 온도가 510 내지 550 ℃, 515 내지 550 ℃, 518 내지 550 ℃, 520 내지 550 ℃ 또는 522 내지 550 ℃일 수 있다.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은 380 내지 760 nm 파장의 빛에 대한 투과율이 80 내지 90 %, 81 내지 90 %, 82 내지 90 %, 83 내지 90 %, 84 내지 90 %, 85 내지 90 % 또는 86 내지 90 %일 수 있다. 상기 황색도, 열팽창 계수, 열분해 온도 및 투과율(투과도)의 구체적인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시험예를 참고할 수 있다.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비제한적인 예로 약 0.01 내지 50 ㎛, 약 0.01 내지 10 ㎛ 또는 약 0.05 내지 1 ㎛일 수 있다.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은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고투명성 및 내열성이 요구되는 유기 EL 소자(OLED)용 디스플레이, 액정 소자용 디스플레이, TFT 기판,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 플렉서블 OLED 면조명 기판, 전자 종이용 기판 소재와 같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기판 및 보호막으로 활용될 수 있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신규한 구조의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을 사용하면, 내열성이 우수하며 낮은 열팽창 계수를 갖는 투명한 폴리이미드 수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용 투명 플라스틱 기판 등에 유용한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발명의 작용,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발명의 예시로서 제시된 것으로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어떠한 의미로든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예 1: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AN-1)의 제조
Figure 112020020437653-pat00005
60.5 g (545 mmol)의 SeO2를 400 mL 1,4-Dioxane과 20 mL의 물에 넣고 50 ℃에서 1 시간 교반한 후, 200 mL 1,4-Dioxane에 녹인 36.8 g (227 mmol)의 화합물 A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8 시간 동안 가열 교반한 뒤, 고체를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무수 마그네슘 설페이트(MgSO4)를 사용하여 건조시키고, 감압증류장치를 통해 농축하여 28.1 g의 화합물 B를 제조하였다(수율 65 %).
상기 화합물 B의 MS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MS: [M+H]+= 191.5266
Figure 112020020437653-pat00006
28.1 g (147 mmol)의 화합물 B와 33.5 g (310 mmol)의 DAMN (diaminomaleonitrile), 2.5 g (14.72 mmol)의 p-toluenesulfonic acid를 400 mL methanol에 넣고 8 시간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상온으로 식히고 고체를 여과하여 43.5 g의 화합물 C를 합성하였다(수율 88 %).
상기 화합물 C의 MS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MS: [M+H]+= 335.5715
Figure 112020020437653-pat00007
43.5 g (130 mmol)의 화합물 C와 131 g (2.3 mol)의 KOH를 400 mL 물에 넣고 6 시간 동안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상온으로 식히고 pH가 2~3이 되도록 염산을 천천히 투입한 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50.8 g의 화합물 D를 제조하였다(수율 95 %).
상기 화합물 D의 MS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MS: [M+H]+= 411.7980
Figure 112020020437653-pat00008
50.8 g (124 mmol)의 상기 화합물 D를 350 mL acetic anhydride와 350 mL acetic acid에서 8 시간 동안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상온으로 식히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45.0 g의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AN-1)을 제조하였다(수율 97 %).
상기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AN-1)의 MS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MS: [M+H]+= 375.7680
합성예 2: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AN-2)의 제조
Figure 112020020437653-pat00009
73.6 g (663 mmol)의 SeO2를 500 mL 1,4-Dioxane과 25 mL의 물에 넣고 50 ℃에서 1 시간 교반한 후, 300 mL 1,4-Dioxane에 녹인 52.6 g (276 mmol)의 화합물 E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8 시간 동안 가열 교반한 뒤, 고체를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무수 마그네슘 설페이트(MgSO4)를 사용하여 건조시키고, 감압증류장치를 통해 농축하여 36.8 g의 화합물 F를 제조하였다(수율 61 %).
상기 화합물 F의 MS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MS: [M+H]+= 219.6579
Figure 112020020437653-pat00010
36.8 g (168 mmol)의 화합물 F와 18.2 g (168 mmol)의 DAMN (diaminomaleonitrile), 2.9 g (16.8 mmol)의 p-toluenesulfonic acid를 350 mL methanol에 넣고 8 시간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상온으로 식히고 고체를 여과하여 52.0 g의 화합물 G를 합성하였다(수율 85 %).
상기 화합물 G의 MS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MS: [M+H]+= 363.6028
Figure 112020020437653-pat00011
52.0 g (143 mmol)의 화합물 G와 145 g (2.6 mol)의 KOH를 500 mL 물에 넣고 6 시간 동안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상온으로 식히고 pH가 2~3이 되도록 염산을 천천히 투입한 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58.5 g의 화합물 H를 제조하였다(수율 93 %).
상기 화합물 H의 MS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MS: [M+H]+= 439.8520
Figure 112020020437653-pat00012
58.5 g (133 mmol)의 상기 화합물 H를 400 mL acetic anhydride와 400 mL acetic acid에서 8 시간 동안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상온으로 식히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51.0 g의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AN-2)을 제조하였다(수율 95 %).
상기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AN-2)의 MS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MS: [M+H]+= 403.5600
합성예 3: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AN-3)의 제조
Figure 112020020437653-pat00013
41.9 g (378 mmol)의 SeO2를 300 mL 1,4-Dioxane과 15 mL의 물에 넣고 50 ℃에서 1 시간 교반한 후, 300 mL 1,4-Dioxane에 녹인 46.9 g (157 mmol)의 화합물 I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8 시간 동안 가열 교반한 뒤, 고체를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무수 마그네슘 설페이트(MgSO4)를 사용하여 건조시키고, 감압증류장치를 통해 농축하여 33.9 g의 화합물 J를 제조하였다(수율 66 %).
상기 화합물 J의 MS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MS: [M+H]+= 327.4014
Figure 112020020437653-pat00014
33.9 g (104 mmol)의 화합물 J와 11.2 g (104 mmol)의 DAMN (diaminomaleonitrile), 1.8 g (10.4 mmol)의 p-toluenesulfonic acid를 350 mL methanol에 넣고 8 시간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상온으로 식히고 고체를 여과하여 42.1g의 화합물 K를 합성하였다(수율 86 %).
상기 화합물 K의 MS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MS: [M+H]+= 471.5463
Figure 112020020437653-pat00015
42.1 g (89.5 mmol)의 화합물 K와 90.4 g (1.6 mol)의 KOH를 400 mL 물에 넣고 6 시간 동안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상온으로 식히고 pH가 2~3이 되도록 염산을 천천히 투입한 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47.4 g의 화합물 L을 제조하였다(수율 97 %).
상기 화합물 L의 MS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MS: [M+H]+= 547.3246
Figure 112020020437653-pat00016
47.4 g (86.8 mmol)의 상기 화합물 L을 300 mL acetic anhydride와 300 mL acetic acid에서 8 시간 동안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상온으로 식히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43.0 g의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AN-3)을 제조하였다(수율 97 %).
상기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AN-3)의 MS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MS: [M+H]+= 511.4035
합성예 4: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AN-4)의 제조
Figure 112020020437653-pat00017
38.8 g (196 mmol)의 화합물 M과 46.1 g (490 mmol)의 페놀을 500 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DMF)에 녹인 후, 81.2 g (588 mmol)의 포타슘 카보네이트(K2CO3)를 넣고 200 ℃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반응물에 1 L의 물을 넣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59.1 g의 화합물 N을 제조하였다(수율 87 %).
상기 화합물 N의 MS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MS: [M+H]+= 347.6205
Figure 112020020437653-pat00018
45.4 g (409 mmol)의 SeO2를 350 mL 1,4-Dioxane과 13 mL의 물에 넣고 50 ℃에서 1 시간 교반한 후, 300 mL 1,4-Dioxane에 녹인 59.1 g (170 mmol)의 화합물 N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8 시간 동안 가열 교반한 뒤, 고체를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무수 마그네슘 설페이트(MgSO4)를 사용하여 건조시키고, 감압증류장치를 통해 농축하여 47.3 g의 화합물 O를 제조하였다(수율 74 %).
상기 화합물 O의 MS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MS: [M+H]+= 375.5790
Figure 112020020437653-pat00019
47.3 g (126 mmol)의 화합물 O와 13.6 g (126 mmol)의 DAMN (diaminomaleonitrile), 2.1 g (12.6 mmol)의 p-toluenesulfonic acid를 450 mL methanol에 넣고 8 시간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상온으로 식히고 고체를 여과하여 53.8 g의 화합물 P를 합성하였다(수율 82 %).
상기 화합물 P의 MS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MS: [M+H]+= 519.6240
Figure 112020020437653-pat00020
53.8 g (104 mmol)의 화합물 P와 105 g (1.8 mol)의 KOH를 500 mL 물에 넣고 6 시간 동안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상온으로 식히고 pH가 2~3이 되도록 염산을 천천히 투입한 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59.3 g의 화합물 Q를 제조하였다(수율 96 %).
상기 화합물 Q의 MS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MS: [M+H]+= 595.7023
Figure 112020020437653-pat00021
59.3 g (99.9 mmol)의 상기 화합물 Q를 400 mL acetic anhydride와 400 mL acetic acid에서 8 시간 동안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상온으로 식히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53.0 g의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AN-4)을 제조하였다(수율 95 %).
상기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AN-4)의 MS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MS: [M+H]+= 559.6812
합성예 5: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AN-5)의 제조
Figure 112020020437653-pat00022
29.2 g (91.3 mmol)의 화합물 R과 43.3 g (228 mmol)의 화합물 S를 300 mL의 THF 용매에 용해시키고, 37.8 g (274 mmol)의 포타슘 카보네이트(K2CO3)를 150 mL 물에 용해시켜 같이 가열 교반하였다. 3.2 g (2.7 mmol)의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을 천천히 투입하고 12 시간 동안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상온으로 식히고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은 무수 마그네슘 설페이트(MgSO4)를 사용하여 건조시키고 감압증류장치를 통해 농축하여 36.2 g의 화합물 T를 제조하였다(수율 88 %).
상기 화합물 T의 MS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MS: [M+H]+= 451.6054
Figure 112020020437653-pat00023
36.2 g (326 mmol)의 SeO2를 300 mL 1,4-Dioxane과 15 mL의 물에 넣고 50 ℃에서 1 시간 교반한 후, 400 mL 1,4-Dioxane에 녹인 61.2 g (136 mmol)의 화합물 T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8 시간 동안 가열 교반한 뒤, 고체를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무수 마그네슘 설페이트(MgSO4)를 사용하여 건조시키고, 감압증류장치를 통해 농축하여 46.2 g의 화합물 U를 제조하였다(수율 71 %).
상기 화합물 U의 MS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MS: [M+H]+= 479.6640
Figure 112020020437653-pat00024
46.2 g (96.7 mmol)의 화합물 U와 10.4 g (96.7 mmol)의 DAMN (diaminomaleonitrile), 1.7 g (9.6 mmol)의 p-toluenesulfonic acid를 450 mL methanol에 넣고 8 시간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상온으로 식히고 고체를 여과하여 52.4 g의 화합물 V를 합성하였다(수율 87 %).
상기 화합물 V의 MS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MS: [M+H]+= 623.7089
Figure 112020020437653-pat00025
52.4 g (84.1 mmol)의 화합물 V와 85.0 g (1.5 mol)의 KOH를 600 mL 물에 넣고 6 시간 동안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상온으로 식히고 pH가 2~3이 되도록 염산을 천천히 투입한 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57.0 g의 화합물 W를 제조하였다(수율 97 %).
상기 화합물 W의 MS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MS: [M+H]+= 699.8872
Figure 112020020437653-pat00026
57.0 g (81.6 mmol)의 상기 화합물 W를 450 mL acetic anhydride와 450 mL acetic acid에서 8 시간 동안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상온으로 식히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53.0 g의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AN-5)을 제조하였다(수율 98 %).
상기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AN-5)의 MS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MS: [M+H]+= 663.5661
합성예 6: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AN-6)의 제조
Figure 112020020437653-pat00027
51.7 g (465 mmol)의 SeO2를 300 mL 1,4-Dioxane과 15 mL의 물에 넣고 50 ℃에서 1 시간 교반한 후, 500 mL 1,4-Dioxane에 녹인 45. 4g (194 mmol)의 화합물 X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8 시간 동안 가열 교반한 뒤, 고체를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무수 마그네슘 설페이트(MgSO4)를 사용하여 건조시키고, 감압증류장치를 통해 농축하여 35.1 g의 화합물 Y를 제조하였다(수율 69 %).
상기 화합물 Y의 MS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MS: [M+H]+= 263.4889
Figure 112020020437653-pat00028
35.1 g (134 mmol)의 화합물 Y와 14.5 g (134 mmol)의 DAMN (diaminomaleonitrile), 2.3 g (13.4 mmol)의 p-toluenesulfonic acid를 400 mL methanol에 넣고 8 시간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상온으로 식히고 고체를 여과하여 47.9 g의 화합물 Z를 합성하였다(수율 88 %).
상기 화합물 Z의 MS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MS: [M+H]+= 407.5339
Figure 112020020437653-pat00029
47.9 g (118 mmol)의 화합물 Z와 119 g (2.1 mol)의 KOH를 700 mL 물에 넣고 6 시간 동안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상온으로 식히고 pH가 2~3이 되도록 염산을 천천히 투입한 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54.0 g의 화합물 a를 제조하였다(수율 95 %).
상기 화합물 a의 MS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MS: [M+H]+= 483.6122
Figure 112020020437653-pat00030
54.0 g (112 mmol)의 상기 화합물 a를 500 mL acetic anhydride와 500 mL acetic acid에서 8 시간 동안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상온으로 식히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49.0 g의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AN-6)을 제조하였다(수율 98 %).
상기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AN-6)의 MS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MS: [M+H]+= 447.7296
실시예 1: 폴리아믹산 조성물 및 폴리이미드 필름의 제조
(1) 폴리아믹산 조성물
상기 합성예 1에서 얻어진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AN-1)을 무수 N-메틸 피롤리돈(NMP)에 완전히 녹였다. 그리고, ice bath 하에서 2,2'-비스(트리플루오메틸)벤지딘(TFMB)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약 16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여 폴리아믹산 중합체를 합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폴리아믹산을 NMP와 n-부톡시에탄올 혼합 용매에 넣고, 25 ℃에서 16 시간 교반하여 얻어진 용액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질의 기공 사이즈가 0.1 ㎛인 필터로 가압 여과하여 폴리아믹산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 폴리이미드 필름
2.5 cm x 2.7 cm의 크기를 갖는 사각형 유리 기판 상에 스핀 코팅 방식으로 상기 실시예 1의 (1)에서 얻어진 폴리아믹산 조성물을 0.1 ㎛의 두께로 도포하였다. 이후, 폴리아믹산 조성물이 도포된 기판을 80 ℃의 핫플레이트 위에 두어 2 분간 건조하였다. 이후, 230 ℃의 오븐에서 15 분간 소성(경화)하여 두께 0.1 ㎛의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폴리아믹산 조성물 및 폴리이미드 필름의 제조
상기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로 합성예 3에서 합성한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AN-3)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아믹산 조성물 및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폴리아믹산 조성물 및 폴리이미드 필름의 제조
상기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로 합성예 4에서 합성한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AN-4)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아믹산 조성물 및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폴리아믹산 조성물 및 폴리이미드 필름의 제조
상기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로 합성예 5에서 합성한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AN-5)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아믹산 조성물 및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폴리아믹산 조성물 및 폴리이미드 필름의 제조
상기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로 합성예 6에서 합성한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AN-6)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아믹산 조성물 및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폴리아믹산 조성물 및 폴리이미드 필름의 제조
상기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로 하기 화학식 a로 표시되는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아믹산 조성물 및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a]
Figure 112020020437653-pat00031
시험예: 폴리이미드 필름의 물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폴리이미드 필름의 물성을 하기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열분해 온도 (Td 1 %)
폴리이미드 필름의 내열성을 확인하기 위해, 열중량 분석기(TGA)를 이용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폴리이미드 필름을 가열하였다. 폴리이미드 필름을 가열하여, 폴리이미드 필름을 구성하는 중합체의 중량 감소율이 1 %일 때의 온도를 열분해 온도로 규정하였다.
(2) 황색도
폴리이미드 필름의 황색도(YI)는 Color Eye 7000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3) 열팽창 계수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CTE)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폴리이미드 필름의 열팽창 계수를 TMA (TA Instruments, Q40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10 ℃/min의 일정한 승온 속도로 30 ℃에서 260 ℃까지 승온하면서, 온도 변화에 따른 폴리이미드 필름의 신장량을 측정한 후, 50 ℃ 에서 150 ℃ 범위의 측정값을 열팽창 계수(ppm/℃)로 기록하였다.
(4) 투과도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폴리이미드 필름에 대하여, UV-vis spectroscopy (Agillent, UV 8453) 장치를 이용하여 380 내지 760 nm 파장의 빛에 대한 투과율(T)을 측정하였다.
열분해 온도
(℃)
황색도 CTE
(ppm/℃)
투과도
(%)
실시예 1 530 5.6 4.3 82
실시예 2 519 1.9 6.9 84
실시예 3 515 2.1 9.3 83
실시예 4 523 1.4 10.8 86
실시예 5 520 1.5 5.5 85
비교예 1 521 10.8 6.1 79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폴리이미드 필름은 내열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낮은 황색도와 높은 투과도를 나타내며 낮은 열팽창 계수를 나타내는 것이 확인된다.
특히, 비치환된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을 사용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비교하면, 상기 화학식 a와 같이 프탈산 무수물이 결합된 벤젠 고리의 2 개의 탄소가 질소로 치환된 화합물을 사용하더라도, 상기 화학식 1의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을 사용한 경우와 동등한 물성(높은 열분해 온도, 낮은 황색도, 낮은 열팽창 계수 및 높은 투과도)를 구현할 수 없다는 것이 확인된다.
한편, 상기 화학식 1의 R1 및 R2는 서로 동일하며 불소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이고, R3 및 R4는 서로 동일하며 수소 또는 불소인 화합물을 사용한 실시예 2 및 5는 다른 실시예에 비해서도 매우 낮은 황색도 및 열팽창 계수를 나타내는 것이 확인된다.

Claims (14)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화학식 1]
    Figure 112024104226128-pat0003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시아노기, 하이드록시기, R'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R'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헤테로알킬기, R'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60의 아릴기, R'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60의 아릴옥시기, R'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60의 헤테로아릴기, R'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60의 헤테로아릴옥시기, 혹은 R'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릴옥시기이고,
    R'는 중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아미노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6의 할로알킬기, O, N, Si 및 S 중 1 개 이상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6의 헤테로알킬기, 혹은 O, N, Si 및 S 중 1 개 이상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6의 헤테로할로알킬기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R'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R'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 R'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혹은 R'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옥시기이고,
    R'는 중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아미노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6의 할로알킬기, O, N, Si 및 S 중 1 개 이상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6의 헤테로알킬기, 혹은 O, N, Si 및 S 중 1 개 이상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6의 헤테로할로알킬기인,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3. 제 1 항에 있어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불소, 메틸기, 메톡시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페닐기, 나프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기 또는 페녹시기인,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4. 제 1 항에 있어서, R1 및 R2는 서로 동일하며, 수소, 불소, 메틸기, 메톡시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페닐기, 나프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기 또는 페녹시기이고,
    R3 및 R4는 서로 동일하며, 수소 또는 불소인,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5. 제 1 항에 있어서, R1 및 R2는 서로 동일하며, 불소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이고,
    R3 및 R4는 서로 동일하며, 수소 또는 불소인,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은 하기 구조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화합물인,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Figure 112020020437653-pat00033
    .
  7. 제 1 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과 디아민의 반응을 통해 형성되는 폴리아믹산을 포함하는 폴리아믹산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아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디아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폴리아믹산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24104226128-pat00034

    상기 화학식 2에서, Y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지방족 또는 지환족 2가 유기기, 탄소수 6 내지 30의 방향족 2가 유기기, 혹은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방향족 2가 유기기이거나, 또는 지방족, 지환족 방향족 및 헤테로방향족 2가 유기기 중 적어도 2 이상이 직접 혹은 링커를 통해 연결된 2가 유기기이다.
  9. 제 8 항에 있어서, Y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렌기이거나 혹은 하기 구조의 2가 유기기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인, 폴리아믹산 조성물:
    Figure 112024104226128-pat00035

    상기 L은 단일 결합, -O-, -S-, -CH2-, -CF2-, -C(CF3)2-, -CO-, -CONH- 또는 -SO2-이다.
  10. 제 7 항의 폴리아믹산을 이미드화 반응시켜 형성되는, 폴리이미드 필름.
  11. 제 10 항에 있어서, Color Eye 7000A를 이용하여 측정한 황색도가 0 내지 10인, 폴리이미드 필름.
  12. 제 10 항에 있어서, 열기계 분석기(TMA)를 이용하여 50 ℃ 에서 150 ℃ 범위에서 측정한 열팽창 계수가 1 내지 20 ppm/℃인, 폴리이미드 필름.
  13. 제 10 항에 있어서, 열중량 분석기를 이용하여 중량 감소율이 1 %일 때의 열분해 온도가 510 내지 550 ℃인, 폴리이미드 필름.
  14. 제 10 항에 있어서, 380 내지 760 nm 파장의 빛에 대한 투과율이 80 내지 90 %인, 폴리이미드 필름.
KR1020200023760A 2020-02-26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폴리아믹산 조성물 및 폴리이미드 필름 KR102730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760A KR102730951B1 (ko) 2020-02-26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폴리아믹산 조성물 및 폴리이미드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760A KR102730951B1 (ko) 2020-02-26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폴리아믹산 조성물 및 폴리이미드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755A KR20210108755A (ko) 2021-09-03
KR102730951B1 true KR102730951B1 (ko) 2024-11-14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57109B (zh) 聚酰胺酸溶液、利用其的透明聚酰亚胺树脂膜及透明基板
JP7163437B2 (ja) 接着力が向上したポリアミック酸組成物及びこれを含むポリイミドフィルム
JP6899830B2 (ja) 新規な構造を有するジアミンモノマーを適用したポリアミック酸溶液及びこれを含むポリイミドフィルム
KR101385279B1 (ko) 두 개의 치환기를 비대칭 구조로 포함하는 디아민 화합물,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중합체
KR101968258B1 (ko) 폴리(아미드-이미드) 블록 코폴리머,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및 상기 성형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7387742B2 (ja) ポリアミック酸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透明ポリイミドフィルム
KR101748931B1 (ko) 폴리이미드계 필름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이미드계 필름
KR20180093203A (ko) 폴리아믹산, 폴리이미드 필름 및 폴리이미드 필름의 제조 방법
KR101951305B1 (ko) 신규 광학필름용 물질, 고분자, 상기 고분자를 사용하여 제조한 성형품 및 상기 성형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2204085A (zh) 基于聚酰亚胺的聚合物膜、使用其的显示装置用基底和光学装置
KR102730951B1 (ko)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폴리아믹산 조성물 및 폴리이미드 필름
JP2024028411A (ja) ポリアミック酸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透明ポリイミドフィルム
KR102236903B1 (ko) 액정 배향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액정 배향막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 배향막
KR20210012506A (ko) 산무수물 화합물, 이를 이용한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고분자 필름, 및 광학 장치
KR102450354B1 (ko) 디아민 화합물, 산무수물 화합물, 이를 이용한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고분자 필름,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판 및 광학 장치
KR20210108755A (ko)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폴리아믹산 조성물 및 폴리이미드 필름
KR20190123631A (ko) 폴리 아미드-이미드, 이를 포함하는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소자
KR20210108756A (ko)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폴리아믹산 조성물 및 폴리이미드 필름
KR102196880B1 (ko) 액정 배향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액정 배향막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 배향막
CN113278002A (zh) 用于电子装置中的聚合物
KR102573177B1 (ko) 산무수물 화합물, 이를 이용한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고분자 필름,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판 및 광학 장치
KR102581352B1 (ko) 디아민 화합물, 이를 이용한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고분자 필름,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판 및 광학 장치
RU2796817C2 (ru) Соединение ангидрида кислоты, полимер на основе полиимида, полимерная пленка и оп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торого их используют
KR101384967B1 (ko) 알릴기 또는 비닐기 측쇄기로 가교된 방향족 폴리이미드계 수지
EP4321574A1 (en) Polymer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ymer resin film, polymer resin film and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using same, and optical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