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몸체와 수평각부와 수직각부를 가지는 형태의 소파블록을 제공하되,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고, 월파를 방지할 수 있는 소파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의 파손이 일어나지 않는 소파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파 효과가 뛰어나고 미관이 뛰어난 소파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방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각부, 후방에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각부를 포함하는 소파블록을 제공한다.
상기 수직각부와 수평각부는 전후방향으로 서로 연결된다.
상기 수직각부와 수평각부는 그 길이방향의 중앙부에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와 수평각부는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직각부와 수평각부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좌우방향 폭은 상기 수직각부의 좌우방향 폭과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상하방향 폭은 상기 수평각부의 상하방향 폭과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와 수평각부는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단면의 크기가 유지되는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직각부와 수평각부는, 연장방향을 따라 중심부에서 단부로 갈수록 점차 단면의 크기가 줄어드는 뿔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와 수평각부의 형태는 실질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와 수평각부의 형태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에는 그 전방 중앙에 전방 절취면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평각부에는 그 후방 중앙에 후방 절취면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에는 전방 절취면이 마련된 반면, 상기 수평각부에는 후방 절취면이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에는 전방 절취면이 마련되지 않은 반면, 상기 수평각부에는 후방 절취면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에는 전방 절취면이 마련되고, 상기 수평각부에는 후방 절취면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방 절취면과 후방 절취면의 절취 형상은 서로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절취면과 후방 절취면의 절취 형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는 상기 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일 수 있다. 즉 상기 수직각부는 상기 몸체의 전방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부각부 부분과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부각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는 수직전방각부와 수직후방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는 전후방향의 중심축, 즉 상기 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직전방각부는 전후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다. 즉 상기 수직전방각부는 상기 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수직전방좌측분체부와 우측에 배치되는 수직전방우측분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각부는 전후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다. 즉 상기 수직후방각부는 상기 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수직후방좌측분체부와 우측에 배치되는 수직후방우측분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는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단면의 크기가 유지되는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는, 연장방향을 따라 중심부에서 단부로 갈수록 점차 단면의 크기가 줄어드는 뿔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우측분체부는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단면의 크기가 유지되는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직전방우측분체부는, 연장방향을 따라 중심부에서 단부로 갈수록 점차 단면의 크기가 줄어드는 뿔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좌측분체부는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단면의 크기가 유지되는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직후방좌측분체부는, 연장방향을 따라 중심부에서 단부로 갈수록 점차 단면의 크기가 줄어드는 뿔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우측분체부는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단면의 크기가 유지되는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직후방우측분체부는, 연장방향을 따라 중심부에서 단부로 갈수록 점차 단면의 크기가 줄어드는 뿔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각부는 상기 수평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각부는 상기 몸체를 통해 상기 수평각부에 연결되거나, 직접 상기 수평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각부의 형태와 수직후방각부의 형태는 서로 대응하거나, 다를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와 상기 수직전방우측분체부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 내지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좌측분체부와 상기 수직후방우측분체부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 내지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각부는 상기 수직후방각부를 통해 상기 수평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는 좌우방향으로는 상기 수직전방우측분체부와 연결되고 전후방향으로는 상기 수직후방좌측분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우측분체부는 좌우방향으로는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와 연결되고 전후방향으로는 상기 수직후방우측분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좌측분체부는 좌우방향으로는 상기 수직후방우측분체부와 연결되고, 전방으로는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와 연결되며, 후방으로는 상기 몸체와 연결되거나 상기 수평각부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우측분체부는 좌우방향으로는 상기 수직후방좌측분체부와 연결되고, 전방으로는 상기 수직전방우측분체부와 연결되며, 후방으로는 상기 몸체와 연결되거나 상기 수평각부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각부는 전후방향의 중심축, 즉 상기 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평전방각부는 전후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일 수 있다. 즉 상기 수평전방각부는 상기 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수평전방상부분체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수평전방하부분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각부는 전후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일 수 있다. 즉 상기 수평후방각부는 상기 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수평후방상부분체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수평후방하부분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상부분체부는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단면의 크기가 유지되는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평전방상부분체부는, 연장방향을 따라 중심부에서 단부로 갈수록 점차 단면의 크기가 줄어드는 뿔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하부분체부는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단면의 크기가 유지되는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평전방하부분체부는, 연장방향을 따라 중심부에서 단부로 갈수록 점차 단면의 크기가 줄어드는 뿔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는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단면의 크기가 유지되는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는, 연장방향을 따라 중심부에서 단부로 갈수록 점차 단면의 크기가 줄어드는 뿔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하부분체부는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단면의 크기가 유지되는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직후방하부분체부는, 연장방향을 따라 중심부에서 단부로 갈수록 점차 단면의 크기가 줄어드는 뿔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각부는 상기 수직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각부는 상기 몸체를 통해 상기 수직각부에 연결되거나, 직접 상기 수직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각부의 형태와 수평후방각부의 형태는 서로 대응하거나, 다를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상부분체부와 상기 수평전방하부분체부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 내지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와 상기 수평후방하부분체부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 내지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각부는 상기 수평전방각부를 통해 상기 수직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는 상하방향으로는 상기 수평후방하부분체부와 연결되고 전후방향으로는 상기 수평전방상부분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하부분체부는 상하방향으로는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와 연결되고 전후방향으로는 상기 수평전방하부분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상부분체부는 상하방향으로는 상기 수평전방하부분체부와 연결되고, 후방으로는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와 연결되며, 전방으로는 상기 몸체와 연결되거나 상기 수직각부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하부분체부는 상하방향으로는 상기 수평전방상부분체부와 연결되고, 후방으로는 상기 수평후방하부분체부와 연결되며, 전방으로는 상기 몸체와 연결되거나 상기 수직각부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각부의 형태와 상기 수평후방각부의 형태는 서로 대응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각부의 형태와 상기 수평전방각부의 형태는 서로 대응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의, 상부각부의 중심축과 하부각부의 중심축은 곧은 직선 형태로 1자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직각부의, 상부각부의 중심축과 하부각부의 중심축은,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상부각부의 상단부 및 하부각부의 하단부로 연장됨에 따라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일 수 있다. 즉 이는 매우 사이각이 큰 "V"자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의 중심축과 수직전방우측분체부의 중심축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의 중심축과 수직전방우측분체부의 중심축은,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두 분체부의 단부로 연장됨에 따라 서로 멀어지는 형태일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의 중심축과 수직전방우측분체부의 중심축은,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두 분체부의 단부로 연장됨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는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수직후방좌측분체부의 중심축과 수직후방우측분체부의 중심축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직후방좌측분체부의 중심축과 수직후방우측분체부의 중심축은,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두 분체부의 단부로 연장됨에 따라 서로 멀어지는 형태일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직후방좌측분체부의 중심축과 수직후방우측분체부의 중심축은,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두 분체부의 단부로 연장됨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는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의 중심축과 수직후방좌측분체부의 중심축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의 중심축과 수직후방좌측분체부의 중심축은,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두 분체부의 단부로 연장됨에 따라 서로 멀어지는 형태일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의 중심축과 수직후방좌측분체부의 중심축은,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두 분체부의 단부로 연장됨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는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수직전방우측분체부의 중심축과 수직후방우측분체부의 중심축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직전방우측분체부의 중심축과 수직후방우측분체부의 중심축은,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두 분체부의 단부로 연장됨에 따라 서로 멀어지는 형태일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직전방우측분체부의 중심축과 수직후방우측분체부의 중심축은,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두 분체부의 단부로 연장됨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는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수직각부의 전방 단부는 상하로 곧게 일직선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직각부의 전방 단부는 상하로 연장될수록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수평각부의, 좌측각부의 중심축과 우측각부의 중심축은 곧은 직선 형태로 "_"자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평각부의, 좌측각부의 중심축과 우측각부의 중심축은, 몸체의 후방 단부로부터 좌측각부의 좌단부 및 우측각부의 우단부로 연장됨에 따라 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일 수 있다. 즉 이는 매우 사이각이 큰 "V"자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의 중심축과 수평후방하부분체부의 중심축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의 중심축과 수평후방하부분체부의 중심축은,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두 분체부의 단부로 연장됨에 따라 서로 멀어지는 형태일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의 중심축과 수평후방하부분체부의 중심축은,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두 분체부의 단부로 연장됨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는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수평전방상부분체부의 중심축과 수평전방하부분체부의 중심축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평전방상부분체부의 중심축과 수평전방하부분체부의 중심축은,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두 분체부의 단부로 연장됨에 따라 서로 멀어지는 형태일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평전방상부분체부의 중심축과 수평전방하부분체부의 중심축은,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두 분체부의 단부로 연장됨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는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의 중심축과 수평전방상부분체부의 중심축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의 중심축과 수평전방상부분체부의 중심축은,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두 분체부의 단부로 연장됨에 따라 서로 멀어지는 형태일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의 중심축과 수평전방상부분체부의 중심축은,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두 분체부의 단부로 연장됨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는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수평후방하부분체부의 중심축과 수평전방하부분체부의 중심축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평후방하부분체부의 중심축과 수평전방하부분체부의 중심축은,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두 분체부의 단부로 연장됨에 따라 서로 멀어지는 형태일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평후방하부분체부의 중심축과 수평전방하부분체부의 중심축은,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두 분체부의 단부로 연장됨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는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수평각부의 후방 단부는 좌우로 곧게 일직선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평각부의 후방 단부는 좌우로 연장될수록 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몸체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원형, 육각형, 팔각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 수직전방우측분체부, 수직후방좌측분체부 또는 수직후방우측분체부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원형, 육각형, 팔각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 수평후방하부분체부, 수평전방상부분체부 또는 수평전방하부분체부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원형, 육각형, 팔각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육각형은 정육각형일 수 있다. 상기 팔각형은 정팔각형일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와 수직전방우측분체부는,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원형일 때, 중심각이 예각, 직각 또는 둔각에 해당하는 호 부분이 서로 중첩되며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좌측분체부와 수직후방우측분체부는,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원형일 때, 중심각이 예각, 직각 또는 둔각에 해당하는 호 부분이 서로 중첩되며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와 수직후방좌측분체부는,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원형일 때, 중심각이 예각, 직각 또는 둔각에 해당하는 호 부분이 서로 중첩되며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우측분체부와 수직후방우측분체부는,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원형일 때, 중심각이 예각, 직각 또는 둔각에 해당하는 호 부분이 서로 중첩되며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와 수직전방우측분체부는,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정육각형일 때, 정육각형의 한 변 또는 두 변 또는 세 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접하거나 일부 또는 전부 중첩되는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좌측분체부와 수직후방우측분체부는,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정육각형일 때, 정육각형의 한 변 또는 두 변 또는 세 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접하거나 일부 또는 전부 중첩되는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와 수직후방좌측분체부는,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정육각형일 때, 정육각형의 한 변 또는 두 변 또는 세 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접하거나 일부 또는 전부 중첩되는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우측분체부와 수직후방우측분체부는,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정육각형일 때, 정육각형의 한 변 또는 두 변 또는 세 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접하거나 일부 또는 전부 중첩되는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와 수직전방우측분체부는,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정팔각형일 때, 정팔각형의 한 변 또는 두 변 또는 세 변 또는 네 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접하거나 일부 또는 전부 중첩되는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좌측분체부와 수직후방우측분체부는,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정팔각형일 때, 정팔각형의 한 변 또는 두 변 또는 세 변 또는 네 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접하거나 일부 또는 전부 중첩되는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와 수직후방좌측분체부는,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정팔각형일 때, 정팔각형의 한 변 또는 두 변 또는 세 변 또는 네 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접하거나 일부 또는 전부 중첩되는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우측분체부와 수직후방우측분체부는,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정팔각형일 때, 정팔각형의 한 변 또는 두 변 또는 세 변 또는 네 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접하거나 일부 또는 전부 중첩되는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와 수평후방하부분체부는,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원형일 때, 중심각이 예각, 직각 또는 둔각에 해당하는 호 부분이 서로 중첩되며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상부분체부와 수평전방하부분체부는,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원형일 때, 중심각이 예각, 직각 또는 둔각에 해당하는 호 부분이 서로 중첩되며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와 수평전방상부분체부는,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원형일 때, 중심각이 예각, 직각 또는 둔각에 해당하는 호 부분이 서로 중첩되며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하부분체부와 수평전방하부분체부는,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원형일 때, 중심각이 예각, 직각 또는 둔각에 해당하는 호 부분이 서로 중첩되며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와 수평후방하부분체부는,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정육각형일 때, 정육각형의 한 변 또는 두 변 또는 세 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접하거나 일부 또는 전부 중첩되는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상부분체부와 수평전방하부분체부는,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정육각형일 때, 정육각형의 한 변 또는 두 변 또는 세 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접하거나 일부 또는 전부 중첩되는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와 수평전방상부분체부는,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정육각형일 때, 정육각형의 한 변 또는 두 변 또는 세 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접하거나 일부 또는 전부 중첩되는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하부분체부와 수평전방하부분체부는,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정육각형일 때, 정육각형의 한 변 또는 두 변 또는 세 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접하거나 일부 또는 전부 중첩되는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와 수평후방하부분체부는,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정팔각형일 때, 정팔각형의 한 변 또는 두 변 또는 세 변 또는 네 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접하거나 일부 또는 전부 중첩되는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상부분체부와 수평전방하부분체부는,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정팔각형일 때, 정팔각형의 한 변 또는 두 변 또는 세 변 또는 네 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접하거나 일부 또는 전부 중첩되는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와 수평전방상부분체부는,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정팔각형일 때, 정팔각형의 한 변 또는 두 변 또는 세 변 또는 네 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접하거나 일부 또는 전부 중첩되는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하부분체부와 수평전방하부분체부는,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정팔각형일 때, 정팔각형의 한 변 또는 두 변 또는 세 변 또는 네 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접하거나 일부 또는 전부 중첩되는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와 상기 수직전방우측분체부가 연결되는 부위의 전방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수직홈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좌측분체부와 상기 수직후방우측분체부가 연결되는 부위의 후방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수직홈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와 상기 수직후방좌측분체부가 연결되는 부위의 좌측방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측수직홈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우측분체부와 상기 수직후방우측분체부가 연결되는 부위의 우측방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우측수직홈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와 상기 수직전방우측분체부가 연결되는 부위, 상기 수직후방좌측분체부와 상기 수직후방우측분체부가 연결되는 부위,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와 상기 수직후방좌측분체부가 연결되는 부위 및 상기 수직전방우측분체부와 상기 수직후방우측분체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수직홀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전방수직홈, 후방수직홈, 좌측수직홈 및 우측수직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이웃하는 두 분체부를 연결하는 형태의 수평막음판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전방수직홈에는,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 및 수직전방우측분체부의 전방 단부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전방돌출채움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후방수직홈은, 수직후방좌측분체부와 수직후방우측분체부의 후방 단부가 평평하게 매워진 형태의 수직채움부로 매워질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와 상기 수평후방하부분체부가 연결되는 부위의 후방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수평홈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상부분체부와 상기 수평전방하부분체부가 연결되는 부위의 전방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수평홈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와 상기 수평전방상부분체부가 연결되는 부위의 상부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수평홈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하부분체부와 상기 수평전방하부분체부가 연결되는 부위의 하부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수평홈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와 상기 수평후방하부분체부가 연결되는 부위, 상기 수평전방상부분체부와 상기 수평전방하부분체부가 연결되는 부위,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와 상기 수평전방상부분체부가 연결되는 부위 및 상기 수평후방하부분체부와 상기 수평전방하부분체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수평홀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후방수평홈, 전방수평홈, 상부수평홈 및 하부수평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좌우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이웃하는 두 분체부를 연결하는 형태의 수직막음판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후방수평홈에는,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 및 수직후방하부분체부의 후방 단부보다 더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후방돌출채움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방수평홈은, 수평전방상부분체부와 수평전방하부분체부의 전방 단부가 평평하게 매워진 형태의 수평채움부로 매워질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전방단부와 상기 수직각부의 연결부위에는 전방헌치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방헌치는 상기 수직각부의 상부각부의 후방단부의 일부분 또는 전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를 연결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헌치는 상기 수직각부의 하부각부의 후방단부의 일부분 또는 전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를 연결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후방단부와 상기 수평각부의 연결부위에는 후방헌치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후방헌치는 상기 수평각부의 좌측각부의 전방단부의 일부분 또는 전체와 상기 몸체의 좌측부를 연결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헌치는 상기 수평각부의 우측각부의 전방단부의 일부분 또는 전체와 상기 몸체의 우측부를 연결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후방각부의 연장길이는 수직전방각부의 연장길이와 대응할 수 있다.
수평전방각부의 연장길이는 수평후방각부의 연장길이와 대응할 수 있다.
수직후방각부의 연장길이는 수직전방각부의 연장길이보다 더 짧을 수 있다.
수평전방각부의 연장길이는 수평후방각부의 연장길이보다 더 짧을 수 있다.
수직후방각부의 연장길이는 수직전방각부의 연장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수평전방각부의 연장길이는 수평후방각부의 연장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좌측분체부의 상단에는 좌측방을 바라보는 수직절단면과, 상방을 바라보는 수평절단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좌측분체부의 하단에는 좌측방을 바라보는 수직절단면과, 하방을 바라보는 수평절단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우측분체부의 상단에는 우측방을 바라보는 수직절단면과, 상방을 바라보는 수평절단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우측분체부의 하단에는 우측방을 바라보는 수직절단면과, 하방을 바라보는 수평절단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상부분체부의 좌측단에는 좌측방을 바라보는 수직절단면과, 상방을 바라보는 수평절단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상부분체부의 우측단에는 우측방을 바라보는 수직절단면과, 상방을 바라보는 수평절단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하부분체부의 좌측단에는 좌측방을 바라보는 수직절단면과, 하방을 바라보는 수평절단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하부분체부의 우측단에는 우측방을 바라보는 수직절단면과, 하방을 바라보는 수평절단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각부는, 상기 전방 절취면에 의해 수직전방상부분체부와 수직전방하부분체부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전방 절취면에 의해, 상기 수직전방상부분체부와 수직전방하부분체부는 후방의 일부가 연결된 형태를 이루거나, 상호 완전히 분리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전방 절취면은 전방으로부터 상기 수직전방각부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분할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절취면은, 상기 수직후방각부의 전방을 부분적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방 절취면은, 상기 수직전방각부를 전체적으로 분할할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상부분체부에 마련된 전방 절취면은 하방을 바라보고, 상기 수직전방하부분체부에 마련된 전방 절취면은 상방을 바라볼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상부분체부에 마련된 전방 절취면은 전방 하부를 바라보고, 상기 수직전방하부분체부에 마련된 전방 절취면은 전방 상부를 바라볼 수 있다.
상기 전방 절취면은, 전후방향으로 수평면 형태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평의 절취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절취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상하 경사진 절취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절취면은, 상하로 배치된 상기 한 쌍의 절취면을 연결하는 좌우 연결 절취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절취면은, 상기 수평의 절취면과 상하 경사진 절취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절취면은 상기 소파블록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면에 대해 상하 대칭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전방 절취면은 평평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절취면은 오목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각부에 마련된 전방 절취면은, 수직전방각부에 마련된 전방 절취면과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각부에 마련된 전방 절취면은, 수직전방각부에 마련된 전방 절취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며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각부에 마련된 전방 절취면은, 수직전방각부에 마련된 전방 절취면과 단차를 이루며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각부에 마련된 전방 절취면은, 수직전방각부에 마련된 전방 절취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각부에 마련된 전방 절취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좌우방향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각부에 마련된 전방 절취면이 좁아지는 정도는, 상기 수직전방각부에 마련된 전방 절취면이 좁아지는 정도와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각부에 마련된 전방 절취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좌우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두 쌍의 추가 좌우 경사 절취면을 포함할 수 있다. 두 쌍의 추가경사 절취면은 상기 수직후방좌측분체부와 상기 수직후방우측분체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중심수직홀은 수직방향의 일부 구간이 막힌 형태이며, 상기 전방 절취면은 막힌 상기 일부 구간을 절취할 수 있다. 이 때, 추가적으로, 상기 수직후방각부에 마련된 전방 절취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좌우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추가경사 절취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경사 절취면은 수직후방좌측분체부와 수직후방우측분체부에 각각 하나씩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각부는, 상기 후방 절취면에 의해 수평후방좌측분체부와 수평후방우측분체부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후방 절취면에 의해, 상기 수평후방좌측분체부와 수평후방우측분체부는 전방의 일부가 연결된 형태를 이루거나, 상호 완전히 분리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후방 절취면은 후방으로부터 상기 수평후방각부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분할할 수 있다.
상기 후방 절취면은, 상기 수평전방각부의 후방을 부분적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후방 절취면은, 상기 수평후방각부를 전체적으로 분할할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좌측분체부에 마련된 후방 절취면은 우측을 바라보고, 상기 수평후방우측분체부에 마련된 후방 절취면은 좌측을 바라볼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좌측분체부에 마련된 후방 절취면은 후방 우측을 바라보고, 상기 수평후방우측분체부에 마련된 후방 절취면은 후방 좌측을 바라볼 수 있다.
상기 후방 절취면은, 전후방향으로 수직면 형태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의 절취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 절취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좌우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좌우 경사진 절취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 절취면은, 좌우로 배치된 상기 한 쌍의 절취면을 연결하는 좌우 연결 절취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 절취면은, 상기 수직의 절취면과 좌우 경사진 절취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 절취면은 상기 소파블록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면에 대해 좌우 대칭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후방 절취면은 평평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 절취면은 오목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각부에 마련된 후방 절취면은, 수평후방각부에 마련된 후방 절취면과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각부에 마련된 후방 절취면은, 수평후방각부에 마련된 후방 절취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며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각부에 마련된 후방 절취면은, 수평후방각부에 마련된 후방 절취면과 단차를 이루며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각부에 마련된 후방 절취면은, 수평후방각부에 마련된 후방 절취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각부에 마련된 후방 절취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상하방향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각부에 마련된 후방 절취면이 좁아지는 정도는, 상기 수평후방각부에 마련된 후방 절취면이 좁아지는 정도와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각부에 마련된 후방 절취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두 쌍의 추가 상하 경사 절취면을 포함할 수 있다. 두 쌍의 추가 상하 경사 절취면은 수평전방상부분체부와 수평전방하부분체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중심수평홀은 수평방향의 일부 구간이 막힌 형태이며, 상기 후방 절취면은 막힌 상기 일부 구간을 절취할 수 있다. 이 때, 추가적으로, 상기 수평전방각부에 마련된 후방 절취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추가 상하 경사 절취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상하 경사 절취면은 상기 수평전방상부분체부와 상기 수평전방하부분체부에 각각 하나씩 마련될 수 있다.
거치단계에서,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후방좌측분체부의 하단의 수평절단면은, 하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평전방상부분체부의 우측단의 수평절단면과 마주하거나 거기에 놓일 수 있다.
거치단계에서,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후방좌측분체부의 하단의 수직절단면은, 하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평전방상부분체부의 우측 선단면을 마주보거나 이에 접할 수 있다.
거치단계에서, 하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평전방상부분체부의 우측단의 수직절단면은,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후방좌측분체부의 좌측면을 마주보거나 이에 접할 수 있다.
거치단계에서,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후방우측분체부의 하단의 수평절단면은, 하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평전방상부분체부의 좌측단의 수평절단면과 마주하거나 거기에 놓일 수 있다.
거치단계에서,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후방우측분체부의 하단의 수직절단면은, 하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평전방상부분체부의 좌측 선단면을 마주보거나 이에 접할 수 있다.
거치단계에서, 하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평전방상부분체부의 좌측단의 수직절단면은,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후방우측분체부의 우측면을 마주보거나 이에 접할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각부의 상단에는 후방 상부를 바라보는 경사절단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절단면은 상기 전방헌치에 연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각부의 하단에는 후방 하부를 바라보는 경사절단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절단면은 상기 전방헌치에 연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각부의 좌측단에는 좌측 전방을 바라보는 경사절단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절단면은 상기 후방헌치에 연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각부의 우측단에는 우측 전방을 바라보는 경사절단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절단면은 상기 후방헌치에 연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
거치단계에서,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후방좌측분체부의 하부각부의 외주면은, 하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평전방각부의 우측단의 경사절단면과 마주하거나 거기에 놓일 수 있다. 상기 외주면은 상기 전방헌치에 연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
거치단계에서,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후방우측분체부의 하부각부의 외주면은, 하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평전방각부의 좌측단의 경사절단면과 마주하거나 거기에 놓일 수 있다. 상기 외주면은 상기 전방헌치에 연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수직후방각부와 전방헌치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경사절단면이 더욱 이어지는 형태를 구성하도록, 실질적인 삼각형 형태의 전방홈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경사절단면과 전방홈은 전체적으로 하트 형태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좌측과 우측에는, 상기 수평전방각부와 후방헌치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경사절단면이 더욱 이어지는 형태를 구성하도록, 실질적인 삼각형 형태의 후방홈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경사절단면과 후방홈은 전체적으로 하트 형태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전후방향 길이는, 수평각부의 전후방향 두께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생략(삭제)될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의 전후방향 두께는, 수평각부의 전후방향 두께와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각부의 전후방향 두께는, 수직후방각부의 전후방향 두께와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각부의 전후방향 두께는, 수평전방각부의 전후방향 두께와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각부의 좌우방향 길이는, 상기 수평후방각부의 좌우방향 길이보다 짧되, 실질적으로 상기 수직후방각부의 하부각부의 좌우방향 두께만큼 짧거나 그보다 약간 더 짧을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각부의 좌우방향 길이는, 상기 수평후방각부의 좌우방향 길이보다 짧되, 실질적으로 상기 수직후방각부의 하부각부의 두 수직절단면 사이의 거리만큼 짧거나 그보다 약간 더 짧을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각부의 두 수직절단면 사이의 길이는, 상기 수평후방각부의 좌우방향 길이보다 짧되, 실질적으로 상기 수직후방각부의 하부각부의 좌우방향 두께만큼 짧거나 그보다 약간 더 짧을 수 있다.
사면에 소파블록을 거치하였을 때,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몸체와 수평각부 일부가 하부 단의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수평각부 상에 놓일 수 있고,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각부의 하부각부의 후면이 하부 단의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수평각부의 전면 상에 놓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후방향으로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평전방각부의 일부가 하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평후방각부 상에 놓일 수 있고, 전후방향으로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몸체가 하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평전방각부 및 수평후방각부 상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위치 관계는, 소파블록의 수직전방각부의 연장길이와 수직후방각부의 연장길이가 서로 대응하고, 수평후방각부의 연장길이와 수평전방각부의 연장길이가 서로 대응할 때 적용될 수 있다.
사면에 소파블록을 거치하였을 때,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몸체와 수평전방각부 일부가 하부 단의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수평후방각부 상에 놓일 수 있고,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후방각부의 하부각부의 후면이 하부 단의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수평후방각부의 전면 상에 놓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후방각부의 좌측면은 하부 단의 좌측 소파블록의 수평전방각부의 우측면과 마주하거나 이와 접할 수 있고,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후방각부의 우측면은 하부 단의 우측 소파블록의 수평전방각부의 좌측면과 마주하거나 이와 접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관계는, 소파블록의 수직전방각부의 연장길이가 수직후방각부의 연장길이보다 더 길고, 수평후방각부의 연장길이가 수평전방각부의 연장길이보다 더 길 때 적용될 수 있다.
사면에 소파블록을 거치하였을 때,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평전방각부가 하부 단의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수평후방각부 상에 놓일 수 있고,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후방각부의 하부각부의 후면이 하부 단의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수평후방각부의 전면 상에 놓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후방각부의 좌측면은 하부 단의 좌측 소파블록의 수평전방각부의 우측면과 마주하거나 이와 접할 수 있고,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후방각부의 우측면은 하부 단의 우측 소파블록의 수평전방각부의 좌측면과 마주하거나 이와 접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관계는, 소파블록의 수직전방각부의 연장길이가 수직후방각부의 연장길이보다 더 길고, 수평후방각부의 연장길이가 수평전방각부의 연장길이보다 더 길고, 몸체가 생략(삭제)된 구조(수직각부와 수평각부가 전후방향으로 직접 연결된 구조)일 때 적용될 수 있다.
사면에 소파블록을 거치하였을 때,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평전방각부가 하부 단의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수평후방각부 상에 놓일 수 있고,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후방각부의 하부각부의 후면이 하부 단의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수평후방각부의 전면 상에 놓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후방각부의 하부각부의 두 수평절단면은 하부 단의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수평전방각부에 각각 마련된 수평절단면 상에 각각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위치 관계는, 소파블록의 수직전방각부의 연장길이가 수직후방각부의 연장길이보다 더 길고, 수평후방각부의 연장길이가 수평전방각부의 연장길이보다 더 길고, 몸체가 거의 생략(삭제)된 구조(수직각부와 수평각부가 전후방향으로 직접 연결된 구조)를 가지면서, 수직후방각부와 수평전방각부에 수직절단면과 수평절단면이 형성된 구조일 때 적용될 수 있다.
사면에 소파블록을 거치하였을 때,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몸체와 수평전방각부 일부가 하부 단의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수평후방각부 상에 놓일 수 있고,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후방각부의 하부각부의 외주면이 하부 단의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수평전방각부의 경사절단면 상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위치 관계는, 소파블록의 수평전방각부에 경사절단면이 마련된 구조일 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파블록은 수평각부와 수직각부를 가지는 형태로서, 몸체가 강건하다. 또한 몸체를 생략함으로써 몸체가 파손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파블록은 수평각부와 수직각부가 서로 대응하는 형상이되, 이들이 하나의 큰 각부가 아닌 복수 개의 분체부로 이루어져 다양한 형상을 구현함으로써, 소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파블록은, 몸체와 수직각부와 수평각부의 치수 내지 그 비율이, 사면의 상부단에 거치된 소파블록의 몸체의 하단면 및 수직각부의 후단면이, 그 하부단에 거치된 소파블록의 수평각부의 상단면 및 전단면과 각각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비율을 가지므로,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고, 몸체가 강건하며, 월파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파블록은, 거치가 용이하면서도, 상하로 이웃하는 소파블록들 간에 인터록킹이 매우 긴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강건한 해양구조물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파블록은, 수평각부의 복수 개의 분체부와 수직각부의 복수 개의 분체부의 길이를 달리하여, 거치 상태에서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각부가 하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평각부와 더 긴밀히 인터록킹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파블록은, 수평전방각부와 수직후방각부에 다양한 형상을 부가함으로써, 거치 상태에서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후방각부와 하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평전방각부의 형상들이 맞물리도록 하여, 상하단 소파블록 간에 더 긴밀히 인터록킹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대칭 형상의 소파블록이면서도, 위와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방 절취부에 의해 마련된 절취 형상으로 인해, 월파 방지 효과가 탁월하다.
본 발명은 후방 절취부에 의해 마련된 절취 형상으로 인해, 이안류가 빠져나갈 때 소파블록을 해저 쪽으로 끌어 내리려는 외력이 소파블록에 작용하는 정도를 크게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직각부와 수평각부의 형상이 서로 대응하고, 수직각부와 수평각부가 소파블록의 중심에 대해 점대칭 배치되므로, 전체적으로 전후방향과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으로 모두 대칭 형상이어서, 거푸집의 제작, 소파블록의 양생, 소파블록의 야드 적치, 소파블록의 양중 및 거치 작업이 매우 쉽다.
아울러 본 발명은 소파 효과가 뛰어나면서도 미관이 아름답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하방향은 대략 중력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전후방향은 대략 사면의 경사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좌우방향은 대략 사면의 등고선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소파블록은 이동과 거치 과정에서 자세가 변화하지만, 소파블록의 형상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몸체의 연장방향이 전후방향과 대응하고, 몸체의 전방에 연결된 수직각부의 연장방향이 상하방향과 대응하며, 몸체의 후방에 연결된 수평각부의 연장방향이 좌우방향과 대응하는 자세를 하고 있다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따라서, 소파블록의 자세가 변화한다고 해서 그 형상이 달리 해석되지 않을 것임이 명백하다.
아울러 소파블록의 몸체, 수직각부 및 수평각부가 연장되는 방향은 연장방향, 또는 길이방향이라 표현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방향 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상기 축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구심방향, 상기 축에 멀어지는 방향을 원심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을 둘러싸는 방향을 둘레방향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몸체, 수직각부 및 수평각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몸체, 수직각부 및 수평각부의 단면의 기하학적 중심을 따라 연장되는 선을 중심축이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들의 각 구성이나 형상, 구조는, 실시예들 간에 서로 치환이나 부가가 가능하고, 삭제 역시 가능하다.
[제1실시예]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의 소파블록(1)은, 전방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각부(13), 후방에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각부(15)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각부(13)와 수평각부(15)는 전후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되, 그 길이방향의 중앙부에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13)와 수평각부(15)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11)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몸체(11)의 좌우방향 폭은 상기 수직각부(13)의 좌우방향 폭과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몸체(11)의 상하방향 폭은 상기 수평각부(15)의 상하방향 폭과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11)의 강건도를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몸체(11)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정팔각형일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13)와 수평각부(15)는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단면의 크기가 유지되는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13)와 수평각부(15)의 형태는 실질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13)는 상기 몸체(1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일 수 있다. 즉 상기 수직각부(13)는 상기 몸체(11)의 전방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부각부 부분과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부각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13)는 수직전방각부(131)와 수직후방각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13)는 전후방향의 중심축, 즉 상기 몸체(1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직전방각부(131)는 전후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다. 즉 상기 수직전방각부(131)는 상기 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수직전방좌측분체부(1311)와 우측에 배치되는 수직전방우측분체부(1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각부(132)는 전후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다. 즉 상기 수직후방각부(132)는 상기 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수직후방좌측분체부(1321)와 우측에 배치되는 수직후방우측분체부(1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각부(131)의 형태와 수직후방각부(132)의 형태는 서로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1311)와 상기 수직전방우측분체부(1312)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 내지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좌측분체부(1321)와 상기 수직후방우측분체부(1322)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 내지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1311), 상기 수직전방우측분체부(1312), 상기 수직후방좌측분체부(1321) 및 상기 수직후방우측분체부(1322)는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단면의 크기가 유지되는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기둥 형상은 정팔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각부(132)는 상기 몸체(11)를 통해 상기 수평각부(15)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각부(131)는 상기 수직후방각부(132)를 통해 상기 수평각부(15)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1311)는 좌우방향으로는 상기 수직전방우측분체부(1312)와 연결되고 전후방향으로는 상기 수직후방좌측분체부(132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우측분체부(1312)는 좌우방향으로는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1311)와 연결되고 전후방향으로는 상기 수직후방우측분체부(132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좌측분체부(1321)는 좌우방향으로는 상기 수직후방우측분체부(1322)와 연결되고, 전방으로는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1311)와 연결되며, 후방으로는 상기 몸체(1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우측분체부(1322)는 좌우방향으로는 상기 수직후방좌측분체부(1321)와 연결되고, 전방으로는 상기 수직전방우측분체부(1312)와 연결되며, 후방으로는 상기 몸체(1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각부(15)는 전후방향의 중심축, 즉 상기 몸체(1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평전방각부(151)는 전후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일 수 있다. 즉 상기 수평전방각부(151)는 상기 몸체(1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수평전방상부분체부(1511)와 하부에 배치되는 수평전방하부분체부(15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각부(152)는 전후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일 수 있다. 즉 상기 수평후방각부(152)는 상기 몸체(1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수평후방상부분체부(1521)와 하부에 배치되는 수평후방하부분체부(15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각부(151)의 형태와 수평후방각부(152)의 형태는 서로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상부분체부(1511)와 상기 수평전방하부분체부(1512)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 내지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1521)와 상기 수평후방하부분체부(1522)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 내지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상부분체부(1511), 상기 수평전방하부분체부(1512),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1521) 및 상기 수평후방하부분체부(1522)는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단면의 크기가 유지되는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기둥 형상은 정팔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각부(151)는 상기 몸체(11)를 통해 상기 수직각부(1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각부(152)는 상기 수평전방각부(151)를 통해 상기 수직각부(1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1521)는 상하방향으로는 상기 수평후방하부분체부(1522)와 연결되고 전후방향으로는 상기 수평전방상부분체부(151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하부분체부(1522)는 상하방향으로는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1521)와 연결되고 전후방향으로는 상기 수평전방하부분체부(151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상부분체부(1511)는 상하방향으로는 상기 수평전방하부분체부(1512)와 연결되고, 후방으로는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1521)와 연결되며, 전방으로는 상기 몸체(1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하부분체부(1512)는 상하방향으로는 상기 수평전방상부분체부(1511)와 연결되고, 후방으로는 상기 수평후방하부분체부(1522)와 연결되며, 전방으로는 상기 몸체(1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각부(131)의 형태와 상기 수평후방각부(152)의 형태는 서로 대응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각부(132)의 형태와 상기 수평전방각부(151)의 형태는 서로 대응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13)의, 상부각부의 중심축과 하부각부의 중심축은 곧은 직선 형태로 1자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1311)의 중심축과 수직전방우측분체부(1312)의 중심축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좌측분체부(1321)의 중심축과 수직후방우측분체부(1322)의 중심축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1311)의 중심축과 수직후방좌측분체부(1321)의 중심축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우측분체부(1312)의 중심축과 수직후방우측분체부(1322)의 중심축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13)의 전방 단부는 상하로 곧게 일직선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수평각부(15)의, 좌측각부의 중심축과 우측각부의 중심축은 곧은 직선 형태로 "_"자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1521)의 중심축과 수평후방하부분체부(1522)의 중심축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상부분체부(1511)의 중심축과 수평전방하부분체부(1512)의 중심축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1521)의 중심축과 수평전방상부분체부(1511)의 중심축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하부분체부(1522)의 중심축과 수평전방하부분체부(1512)의 중심축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수평각부(15)의 후방 단부는 좌우로 곧게 일직선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1311)와 수직전방우측분체부(1312)는, 정팔각형의 한 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접하거나 중첩되는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좌측분체부(1321)와 수직후방우측분체부(1322)는, 정팔각형의 한 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접하거나 중첩되는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1311)와 수직후방좌측분체부(1321)는, 정팔각형의 한 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접하거나 중첩되는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우측분체부(1312)와 수직후방우측분체부(1322)는, 정팔각형의 한 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접하거나 중첩되는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1521)와 수평후방하부분체부(1522)는, 정팔각형의 한 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접하거나 중첩되는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상부분체부(1511)와 수평전방하부분체부(1512)는, 정팔각형의 한 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접하거나 중첩되는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1521)와 수평전방상부분체부(1511)는, 정팔각형의 한 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접하거나 중첩되는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하부분체부(1522)와 수평전방하부분체부(1512)는, 정팔각형의 한 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접하거나 중첩되는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1311)와 상기 수직전방우측분체부(1312)가 연결되는 부위의 전방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수직홈(1331)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전방수직홈(1331)의 단면 형상은 직각이등변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좌측분체부(1321)와 상기 수직후방우측분체부(1322)가 연결되는 부위의 후방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수직홈(1332)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후방수직홈(1332)의 단면 형상은 직각이등변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1311)와 상기 수직후방좌측분체부(1321)가 연결되는 부위의 좌측방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측수직홈(1333)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좌측수직홈(1333)의 단면 형상은 직각이등변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우측분체부(1312)와 상기 수직후방우측분체부(1322)가 연결되는 부위의 우측방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우측수직홈(1334)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우측수직홈(1334)의 단면 형상은 직각이등변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1311)와 상기 수직전방우측분체부(1312)가 연결되는 부위, 상기 수직후방좌측분체부(1321)와 상기 수직후방우측분체부(1322)가 연결되는 부위, 상기 수직전방좌측분체부(1311)와 상기 수직후방좌측분체부(1321)가 연결되는 부위 및 상기 수직전방우측분체부(1312)와 상기 수직후방우측분체부(1322)가 연결되는 부위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수직홀(1335)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중심수직홀(1335)의 단면 형상은 정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1521)와 상기 수평후방하부분체부(1522)가 연결되는 부위의 후방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수평홈(1532)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후방수평홈(1532)의 단면 형상은 직각이등변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상부분체부(1511)와 상기 수평전방하부분체부(1512)가 연결되는 부위의 전방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수평홈(1531)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전방수평홈(1531)의 단면 형상은 직각이등변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1521)와 상기 수평전방상부분체부(1511)가 연결되는 부위의 상부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수평홈(1533)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수평홈(1533)의 단면 형상은 직각이등변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하부분체부(1522)와 상기 수평전방하부분체부(1512)가 연결되는 부위의 하부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수평홈(1534)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수평홈(1534)의 단면 형상은 직각이등변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1521)와 상기 수평후방하부분체부(1522)가 연결되는 부위, 상기 수평전방상부분체부(1511)와 상기 수평전방하부분체부(1512)가 연결되는 부위, 상기 수평후방상부분체부(1521)와 상기 수평전방상부분체부(1511)가 연결되는 부위 및 상기 수평후방하부분체부(1522)와 상기 수평전방하부분체부(1512)가 연결되는 부위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수평홀(1535)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중심수평홀(1535)의 단면 형상은 정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몸체(11)의 상부면은 상기 수평전방상부분체부(1511)의 상부면과 연결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몸체(11)의 하부면은 상기 수평전방하부분체부(1512)의 하부면과 연결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몸체(11)의 좌측면은 상기 수직후방좌측분체부(1321)의 좌측면과 연결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몸체(11)의 우측면은 상기 수직후방우측분체부(1322)의 우측면과 연결되는 형상일 수 있다.
수직후방각부(132)의 연장길이는 수직전방각부(131)의 연장길이와 대응할 수 있다.
수평전방각부(151)의 연장길이는 수평후방각부(152)의 연장길이와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몸체(11)의 전후방향 길이는, 수평각부(15)의 전후방향 두께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13)의 전후방향 두께는, 수평각부(15)의 전후방향 두께와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각부(131)의 전후방향 두께는, 수직후방각부(132)의 전후방향 두께와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각부(152)의 전후방향 두께는, 수평전방각부(151)의 전후방향 두께와 대응할 수 있다.
사면에 소파블록을 거치하였을 때,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몸체와 수평각부 일부가 하부 단의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수평각부 상에 놓일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각부의 하부각부의 후면이 하부 단의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수평각부의 전면 상에 놓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후방향으로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평전방각부의 일부가 하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평후방각부 상에 놓일 수 있고, 전후방향으로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몸체가 하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평전방각부 및 수평후방각부 상에 놓일 수 있다.
한편, 앞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모서리를 이루는 두 면의 내각이 90도보다 작은 뾰족한 부위는 모따기가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제2실시예]
이하 도 11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제2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제2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앞서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의 소파블록과 대비하여, 제2실시예의 소파블록(1)은, 수직후방각부(132)의 길이가 수직전방각부(131)의 길이보다 짧고, 수평전방각부(151)의 길이가 수평후방각부(152)의 길이보다 더 짧다. 또한 제2실시예의 소파블록(1)의 몸체(11)의 길이는 제1실시예의 소파블록의 몸체의 길이보다 더 짧다. 제2실시예의 소파블록의 몸체(11)의 길이는, 제1실시예의 소파블록의 몸체의 길이보다, 수평전방각부(151)의 전후방향 두께만큼 더 짧을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각부(151)의 좌우방향 길이는, 상기 수평후방각부(152)의 좌우방향 길이보다 짧되, 실질적으로 상기 수직후방각부(132)의 하부각부의 좌우방향 두께만큼 짧거나 그보다 약간 더 짧을 수 있다.
제2실시예의 소파블록(1)에 따르면, 사면에 소파블록을 거치하였을 때,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몸체와 수평전방각부 일부가 하부 단의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수평후방각부 상에 놓일 수 있고,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후방각부의 하부각부의 후면이 하부 단의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수평후방각부의 전면 상에 놓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후방각부의 좌측면은 하부 단의 좌측 소파블록의 수평전방각부의 우측면과 마주하거나 이와 접할 수 있고,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후방각부의 우측면은 하부 단의 우측 소파블록의 수평전방각부의 좌측면과 마주하거나 이와 접할 수 있다.
소파블록들을 거치한 상태에서 위와 같은 위치 관계는, 제2실시예의 소파블록처럼, 소파블록의 수직전방각부의 연장길이가 수직후방각부의 연장길이보다 더 길고, 수평후방각부의 연장길이가 수평전방각부의 연장길이보다 더 길 때 적용될 수 있다.
[제3실시예]
이하 도 21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제3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제3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앞서 제2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의 소파블록과 대비하여, 제3실시예의 소파블록(1)은, 아예 몸체(11)가 생략된 상태에서, 수직각부(13)와 수평각부(15)가 전후방향으로 직접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물론 수직각부(13)와 수평각부(15)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연결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정팔각형 기둥의 수직면과 수평면을 제외한 비스듬한 면들 사이에 보강살이 더해질 수 있다.
제3실시예의 소파블록(1)에 따르면, 사면에 소파블록을 거치하였을 때,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평전방각부가 하부 단의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수평후방각부 상에 놓일 수 있고,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후방각부의 하부각부의 후면이 하부 단의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수평후방각부의 전면 상에 놓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후방각부의 좌측면은 하부 단의 좌측 소파블록의 수평전방각부의 우측면과 마주하거나 이와 접할 수 있고,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후방각부의 우측면은 하부 단의 우측 소파블록의 수평전방각부의 좌측면과 마주하거나 이와 접할 수 있다.
소파블록들을 거치한 상태에서 위와 같은 위치 관계는, 제3실시예의 소파블록처럼, 소파블록의 수직전방각부의 연장길이가 수직후방각부의 연장길이보다 더 길고, 수평후방각부의 연장길이가 수평전방각부의 연장길이보다 더 길고, 몸체가 생략(삭제)된 구조(수직각부와 수평각부가 전후방향으로 직접 연결된 구조)일 때 적용될 수 있다.
[제4실시예]
이하 도 31 내지 도 40을 참조하여, 제4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제4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앞서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4실시예의 소파블록(1)은, 그 몸체(11)의 길이가, 제2실시예의 소파블록의 몸체의 길이보다 짧다. 또한 제4실시예의 소파블록(1)은, 제3실시예와 달리 몸체(11)가 완전히 생략된 형태는 아니다.
한편, 제4실시예의 소파블록(1)의 수직후방각부(132)의 길이는 수직전방각부(131)의 길이보다 짧고, 수평전방각부(151)의 길이는 수평후방각부(152)의 길이보다 짧다.
수직후방좌측분체부(1321)의 상단에는 좌측방을 바라보는 수직절단면(17)과, 상방을 바라보는 수평절단면(18)이 구비될 수 있다.
수직후방좌측분체부(1321)의 하단에는 좌측방을 바라보는 수직절단면(17)과, 하방을 바라보는 수평절단면(18)이 구비될 수 있다.
수직후방우측분체부(1322)의 상단에는 우측방을 바라보는 수직절단면(17)과, 상방을 바라보는 수평절단면(1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직후방우측분체부(1322)의 하단에는 우측방을 바라보는 수직절단면(17)과, 하방을 바라보는 수평절단면(18)이 구비될 수 있다.
수평전방상부분체부(1511)의 좌측단에는 좌측방을 바라보는 수직절단면(17)과, 상방을 바라보는 수평절단면(18)이 구비될 수 있다.
수평전방상부분체부(1511)의 우측단에는 우측방을 바라보는 수직절단면(17)과, 상방을 바라보는 수평절단면(18)이 구비될 수 있다.
수평전방하부분체부(1512)의 좌측단에는 좌측방을 바라보는 수직절단면(17)과, 하방을 바라보는 수평절단면(18)이 구비될 수 있다.
수평전방하부분체부(1512)의 우측단에는 우측방을 바라보는 수직절단면(17)과, 하방을 바라보는 수평절단면(18)이 구비될 수 있다.
수직절단면(17)과 수평절단면(18)은 서로 이어진 형태일 수 있다. 즉 수직절단면(17)과 수평절단면(18)은, 분체부의 길이방향 단부의 가장자리를 "L"자 형태로 절취한 것과 같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직절단면(17)과 수평절단면(18)에 의해, 상기 수직후방각부(132)의 양단부와 수평전방각부(151)의 양단부에는 나비넥타이와 유사한 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소파블록(1)을 거치한 상태에서, 해양구조물이 너무 삭막하지 않고 도 37 및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미감을 발휘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이러한 형상의 기능이 단순히 미감을 발휘하는 데에 그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평전방각부(151)의 좌우방향 길이는, 상기 수평후방각부(152)의 좌우방향 길이보다 짧되, 실질적으로 상기 수직후방각부(132)의 하부각부의 두 수직절단면(17) 사이의 거리만큼 짧거나 그보다 약간 더 짧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전방각부(151)의 양단부에 대향하도록(등지도록) 각각 형성된 두 수직절단면(17) 사이의 길이는, 상기 수평후방각부(152)의 좌우방향 길이보다 짧되, 실질적으로 상기 수직후방각부(132)의 하부각부의 좌우방향 두께만큼 짧거나 그보다 약간 더 짧을 수 있다.
그러면, 거치단계에서 다음과 같은 맞물림 구조가 실현될 수 있다.
먼저,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후방좌측분체부(1321)의 하단의 수평절단면(18)은, 하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평전방상부분체부(1511)의 우측단의 수평절단면(18)과 마주하거나 거기에 놓일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후방우측분체부(1322)의 하단의 수평절단면(18)은, 하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평전방상부분체부(1511)의 좌측단의 수평절단면과 마주하거나 거기에 놓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후방좌측분체부(1321)의 하단의 수직절단면(17)은, 하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평전방상부분체부(1511)의 우측 선단면을 마주보거나 이에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후방우측분체부(1322)의 하단의 수직절단면(17)은, 하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평전방상부분체부(1511)의 좌측 선단면을 마주보거나 이에 접할 수 있다.
또, 하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평전방상부분체부(1511)의 우측단의 수직절단면(17)은,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후방좌측분체부(1321)의 좌측면을 마주보거나 이에 접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평전방상부분체부(1511)의 좌측단의 수직절단면(17)은,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후방우측분체부(1322)의 우측면을 마주보거나 이에 접할 수 있다.
제4실시예의 소파블록(1)에 따르면, 사면에 소파블록을 거치하였을 때,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평전방각부가 하부 단의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수평후방각부 상에 놓일 수 있고,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후방각부의 하부각부의 후면이 하부 단의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수평후방각부의 전면 상에 놓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후방각부의 하부각부의 두 수평절단면은 하부 단의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수평전방각부에 각각 마련된 수평절단면 상에 각각 놓일 수 있다.
소파블록들을 거치한 상태에서 위와 같은 위치 관계는, 제4실시예의 소파블록처럼, 소파블록의 수직전방각부의 연장길이가 수직후방각부의 연장길이보다 더 길고, 수평후방각부의 연장길이가 수평전방각부의 연장길이보다 더 길고, 몸체가 생략 내지 거의 생략된 구조를 가지면서, 수직후방각부와 수평전방각부에 수직절단면과 수평절단면이 형성된 구조일 때 적용될 수 있다.
[제5실시예]
이하 도 41 내지 도 50를 참조하여, 제5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제5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의 소파블록과 대비하여, 제5실시예의 소파블록(1)은 후술할 경사절단면(16)을 더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경사절단면(16)이 없는 제1실시예와 대비하여, 제5실시예의 소파블록에 형성된 경사절단면(16)은, 소파블록(1)을 사면에 거치한 상태에서, 상부 단에 거치된 소파블록이 하부 단에 거치된 소파블록보다 더 육측(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거치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5실시예의 소파블록(1)은, 상기 수평전방각부(151)의 좌측단에, 좌측 전방을 바라보는 경사절단면(16)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전방각부(151)의 우측단에, 우측 전방을 바라보는 경사절단면(16)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후방각부(132)의 상단에, 후방 상부를 바라보는 경사절단면(16)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후방각부(132)의 하단에, 후방 하부를 바라보는 경사절단면(16)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거치단계에서,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후방좌측분체부의 하부각부의 외주면은, 하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평전방각부의 우측단의 경사절단면과 마주하거나 거기에 놓일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후방우측분체부의 하부각부의 외주면(132C)은, 하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평전방각부의 좌측단의 경사절단면과 마주하거나 거기에 놓일 수 있다.
그러면 제1실시예와 대비하여, 상부 단의 소파블록이 조금 더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거치될 수 있다.
제5실시예에 따르면, 사면에 소파블록을 거치하였을 때,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몸체와 수평전방각부 일부가 하부 단의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수평후방각부 상에 놓일 수 있고, 상부 단의 소파블록의 수직후방각부의 하부각부의 외주면(132C)이 하부 단의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의 수평전방각부의 경사절단면 상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위치 관계는, 소파블록의 수평전방각부에 경사절단면이 마련된 구조일 때 적용될 수 있다.
[제6실시예]
이하 도 51 내지 도 60을 참조하여, 제6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제6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제5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6실시예의 소파블록(1)은, 제5실시예의 소파블록과 대비하여, 몸체(11)의 전방단부와 수직각부(13)의 연결부위에 전방헌치(132H)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11)의 후방단부와 상기 수평각부(15)의 연결부위에 후방헌치(151H)가 마련됨에 차이가 있다.
상기 전방헌치(132H)는, 상기 수직각부(13)의 상부각부의 후방단부와 상기 몸체(11)의 상부를 연결하고, 상기 수직각부(13)의 하부각부의 후방단부와 상기 몸체(11)의 하부를 연결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헌치(151H)는, 상기 수평각부(15)의 좌측각부의 전방단부와 상기 몸체(11)의 좌측부를 연결하고 상기 수평각부(15)의 우측각부의 전방단부와 상기 몸체(11)의 우측부를 연결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후방각부(132) 상부 및 하부의 경사절단면(16)은 상기 전방헌치(132H)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형태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평전방각부(151) 좌측 및 우측의 경사절단면(16)은 상기 후방헌치(151H)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형태일 수 있다.
수직후방각부에서 전방헌치로 이어지는 경사절단면(16)은, 도시된 바와 같이 둥글둥글한 하트 형태로 보일 수도 있다(도 52, 도 55, 도 59 등 참조). 그리고 상기 경사절단면(16)과 연결되는 수직전방각부의 단부면은, 상기 경사절단면(16)과 함께, 소위 "미키마우스"와 같은 형태로 보일 수도 있다(도 53, 도 54, 도 60 등 참조). 가령 경사절단면은 얼굴, 수직전방각부의 단부면은 귀로 보일 수도 있는 것이다. 이는 삭막한 콘크리트 블록에 상당한 미감을 부여한다. 이러한 사항은 수평전방각부와 후방헌치에 대한 구조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상기 수직후방각부(132)의 외주면(132C) 역시 전방헌치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형태일 수 있다.
[제7실시예]
이하 도 61 내지 도 70을 참조하여, 제7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제7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제6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7실시예의 소파블록(1)은, 제6실시예의 소파블록과 대비하여, 그 몸체(11)의 상부와 하부에, 수직후방각부(132)와 전방헌치(132H)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경사절단면(16)이 더욱 이어지는 형태를 구성하도록, 실질적인 삼각형 형태의 전방홈(113)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경사절단면(16)과 전방홈(113)은 전체적으로 뾰족한 하트 형태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더불어 상기 전방홈(113)은 소파블록의 표면에 요철을 부여하여, 소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몸체(11)의 좌측과 우측에는, 수평전방각부(151)와 후방헌치(151H)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경사절단면(16)이 더욱 이어지는 형태를 구성하도록, 실질적인 삼각형 형태의 후방홈(115)이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삭막한 콘크리트 블록에 상당한 미감을 부여한다.
[제8실시예]
이하 도 71 내지 도 80을 참조하여, 제8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제8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앞서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8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대비하여, 수직전방각부(131)가 전방 절취면(135)에 의해 수직전방상부분체부(1317)와 수직전방하부분체부(1318)로 완전히 분리된 형태를 구비한다.
상기 전방 절취면(135)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 절취면과, 상기 한 쌍의 수직 절취면의 전방에서 이들을 연결하는 좌우 연결 절취면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직전방상부분체부(1317)에 마련된 수직 절취면은 하방을 바라보고, 상기 수직전방하부분체부(1318)에 마련된 수직 절취면은 상방을 바라본다.
상기 좌우 연결 절취면은 수직전방각부(131)의 후단부와 정렬된 위치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수직전방상부분체부(1317)와 수직전방하부분체부(1318) 사이로 수직후방각부(132)의 전면이 노출된다.
이러한 형태의 소파블록에 따르면, 소파블록 전방의 굴곡 형상으로 인해 월파 방지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다.
[제9실시예]
이하 도 81 내지 도 90을 참조하여, 제9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제9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앞서 제2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9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대비하여, 수직전방각부(131)가 전방 절취면(135)에 의해 수직전방상부분체부(1317)와 수직전방하부분체부(1318)로 완전히 분리된 형태를 구비한다.
상기 전방 절취면(135)은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상하 경사 절취면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직전방상부분체부(1317)에 마련된 절취면은 전방 하부를 바라보고, 상기 수직전방하부분체부(1318)에 마련된 절취면은 전방 상부를 바라본다.
상기 한 쌍의 상하 경사 절취면은 후단부에서 서로 만난다. 즉 제 8실시예와 달리, 제9실시예에서 전방 절취면(135)은 좌우 연결 절취면을 구비하지 않는다.
이러한 형태의 소파블록에 따르면, 소파블록 전방의 굴곡 형상으로 인해 월파 방지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전방에서 바라본 전방 절취면(135)은 나비넥타이와 같은 형상을 제공하여 미감을 높인다.
[제10실시예]
이하 도 91 내지 도 100을 참조하여, 제10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제10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앞서 제3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0실시예는 제3실시예와 대비하여, 수직전방각부(131)가 전방 절취면(135)에 의해 수직전방상부분체부(1317)와 수직전방하부분체부(1318)로 완전히 분리된 형태를 구비한다.
상기 전방 절취면(135)은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상하 경사 절취면과, 상기 한 쌍의 상하 경사 절취면의 전방에서 이들을 연결하는 좌우 연결 절취면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직전방상부분체부(1317)에 마련된 절취면은 전방 하부를 바라보고, 상기 수직전방하부분체부(1318)에 마련된 절취면은 전방 상부를 바라본다.
상기 좌우 연결 절취면은 수직전방각부(131)의 후단부와 정렬된 위치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수직전방상부분체부(1317)와 수직전방하부분체부(1318) 사이로 수직후방각부(132)의 전면이 노출된다.
이러한 형태의 소파블록에 따르면, 소파블록 전방의 굴곡 형상으로 인해 월파 방지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전방에서 바라본 전방 절취면(135)과 이들 사이로 노출되는 수직후방각부(132)의 전면은 나비넥타이 또는 아령과 같은 형상을 제공하여 미감을 높인다.
[제11실시예]
이하 도 101 내지 도 110을 참조하여, 제11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제11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앞서 제4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1실시예는 제4실시예와 대비하여, 수직전방각부(131)가 전방 절취면(135)에 의해 수직전방상부분체부(1317)와 수직전방하부분체부(1318)로 완전히 분리되고, 수직후방각부(132)가 전방 절취면(135)에 의해 부분적으로 구분되는 형태를 제공한다.
상기 전방 절취면(135)은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상하 경사 절취면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직전방상부분체부(1317)에 마련된 절취면은 전방 하부를 바라보고, 상기 수직전방하부분체부(1318)에 마련된 절취면은 전방 상부를 바라본다.
상기 한 쌍의 상하 경사 절취면은 후단부에서 서로 만난다. 즉 제11실시예에서 전방 절취면(135)은 좌우 연결 절취면을 구비하지 않는다.
이러한 형태의 소파블록에 따르면, 소파블록 전방의 굴곡 형상으로 인해 월파 방지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전방에서 바라본 전방 절취면(135)은 나비넥타이 내지 꽈배기와 같은 형상을 제공하여 미감을 높인다.
[제12실시예]
이하 도 111 내지 도 120을 참조하여, 제12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제12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앞서 제5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2실시예는 제5실시예와 대비하여, 수직전방각부(131)가 전방 절취면(135)에 의해 수직전방상부분체부(1317)와 수직전방하부분체부(1318)로 완전히 분리되고, 수직후방각부(132)가 전방 절취면(135)에 의해 부분적으로 구분되는 형태를 제공한다.
상기 전방 절취면(135)은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상하 경사 절취면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직전방상부분체부(1317)에 마련된 절취면은 전방 하부를 바라보고, 상기 수직전방하부분체부(1318)에 마련된 절취면은 전방 상부를 바라본다.
상기 한 쌍의 상하 경사 절취면은 후단부에서 서로 만나지 않는다. 대신 상기 수직후방좌측분체부(1321)과 수직후방우측분체부(1322)에는 각각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좌우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추가 좌우 경사 절취면들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상하 경사 절취면은, 상기 추가 좌우 경사 절취면들에 의해 상하로 연결된다. 즉 제12실시예에서 전방 절취면(135)은 좌우 연결 절취면 대신 추가 좌우 경사 절취면들이 한 쌍의 상하 경사 절취면을 연결한다.
이러한 형태의 소파블록에 따르면, 소파블록 전방의 굴곡 형상으로 인해 월파 방지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전방에서 바라본 전방 절취면(135)은 나비넥타이 내지 꽈배기와 같은 형상을 제공하여 미감을 높인다.
[제13실시예]
이하 도 121 내지 도 130을 참조하여, 제13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제13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앞서 제6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3실시예는 제6실시예와 대비하여, 수직전방각부(131)가 전방 절취면(135)에 의해 수직전방상부분체부(1317)와 수직전방하부분체부(1318)로 완전히 분리되고, 수직후방각부(132)가 전방 절취면(135)에 의해 부분적으로 구분되는 형태를 제공한다.
상기 전방 절취면(135)은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상하 경사 절취면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직전방상부분체부(1317)에 마련된 절취면은 전방 하부를 바라보고, 상기 수직전방하부분체부(1318)에 마련된 절취면은 전방 상부를 바라본다.
도 124를 참조하면, 중심수직홀(1335)은 그 연장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 구간이 막혀 있는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상하 경사 절취면이 이렇게 막혀 있는 구간을 지난다.
도 122를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상하 경사 절취면은 후단부에서 서로 만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상하 경사 절취면은 수직후방각부(132)에서 점차 그 좌우방향 폭이 줄어드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상하 경사 절취면의 폭이 줄어드는 형태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수직후방좌측분체부(1321)과 수직후방우측분체부(1322)에는 각각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좌우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추가 좌우 경사 절취면이 각각 하나씩 마련된다.
상기 상하 경사 절취면은 상기 수직전방각부(131)와 수직후방각부(132)에 걸쳐 형성되는데, 상기 수직전방각부(131)에 마련된 상하 경사 절취면 부분과 상기 수직후방각부(132)에 마련된 상하 경사 절취면 부분은 서로 단차를 가지거나 각이 지지 않은 형태로 부드럽게 연결된다. 제13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전방각부(131)에 마련된 상하 경사 절취면 부분과 상기 수직후방각부(132)에 마련된 상하 경사 절취면 부분은 동일 평면을 이룬다.
이러한 형태의 소파블록에 따르면, 소파블록 전방의 굴곡 형상으로 인해 월파 방지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전방에서 바라본 전방 절취면(135)은 하트와 같은 형태를 가진다. 아울러 도 122를 참조하면, 이는 마치 네잎 클로버와 같은 형상을 연상시킨다.
[제14실시예]
이하 도 131 내지 도 140을 참조하여, 제14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제14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앞서 제7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4실시예는 제7실시예와 대비하여, 수직전방각부(131)가 전방 절취면(135)에 의해 수직전방상부분체부(1317)와 수직전방하부분체부(1318)로 완전히 분리되고, 수직후방각부(132)가 전방 절취면(135)에 의해 부분적으로 구분되는 형태를 제공한다.
상기 전방 절취면(135)은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상하 경사 절취면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직전방상부분체부(1317)에 마련된 절취면은 전방 하부를 바라보고, 상기 수직전방하부분체부(1318)에 마련된 절취면은 전방 상부를 바라본다.
도 134를 참조하면, 중심수직홀(1335)은 그 연장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 구간이 막혀 있는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상하 경사 절취면이 이렇게 막혀 있는 구간을 지난다.
도 132를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상하 경사 절취면은 후단부에서 서로 만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상하 경사 절취면은 수직후방각부(132)에서 점차 그 좌우방향 폭이 줄어드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상하 경사 절취면의 폭이 줄어드는 형태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수직후방좌측분체부(1321)과 수직후방우측분체부(1322)에는 각각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좌우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추가 좌우 경사 절취면이 각각 하나씩 마련된다.
제13실시예와 대비하여, 제14실시예에서는 추가 좌우 경사 절취면도 서로 실질적으로 만나는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상하 경사 절취면은 완전한 하트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상하 경사 절취면은 상기 수직전방각부(131)와 수직후방각부(132)에 걸쳐 형성되는데, 상기 수직전방각부(131)에 마련된 상하 경사 절취면 부분과 상기 수직후방각부(132)에 마련된 상하 경사 절취면 부분은 서로 단차를 가지거나 각이 지지 않은 형태로 부드럽게 연결된다. 제13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전방각부(131)에 마련된 상하 경사 절취면 부분과 상기 수직후방각부(132)에 마련된 상하 경사 절취면 부분은 동일 평면을 이룬다.
이러한 형태의 소파블록에 따르면, 소파블록 전방의 굴곡 형상으로 인해 월파 방지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전방에서 바라본 전방 절취면(135)은 하트와 같은 형태를 가진다. 아울러 도 132를 참조하면, 이는 하트 형상을 연상시킨다.
[제15실시예]
이하 도 141 내지 도 150을 참조하여, 제15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제15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앞서 제8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5실시예는 제8실시예와 대비하여, 수평후방각부(152)가 후방 절취면(155)에 의해 수평후방좌측분체부(1527)와 수평후방우측분체부(1528)로 완전히 분리된 형태를 구비한다.
상기 후방 절취면(155)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 절취면과, 상기 한 쌍의 수직 절취면의 전방에서 이들을 연결하는 좌우 연결 절취면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수평후방좌측분체부(1527)에 마련된 수직 절취면은 우측방을 바라보고, 상기 수평후방우측분체부(1528)에 마련된 수직 절취면은 좌측방을 바라본다.
상기 좌우 연결 절취면은 수평후방각부(152)의 후단부와 정렬된 위치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수평후방좌측분체부(1527)와 수평후방우측분체부(1528) 사이로 수평전방각부(151)의 후면이 노출된다.
이러한 형태의 소파블록에 따르면, 소파블록 후방의 굴곡 형상으로 인해 소파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이안류가 소파블록에 가하는 하중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16실시예]
이하 도 151 내지 도 160을 참조하여, 제16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제16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앞서 제9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6실시예는 제9실시예와 대비하여, 수평후방각부(152)가 후방 절취면(155)에 의해 수평후방좌측분체부(1527)와 수평후방우측분체부(1528)로 완전히 분리된 형태를 구비한다.
상기 후방 절취면(155)은 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좌우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좌우 경사 절취면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수평후방좌측분체부(1527)에 마련된 절취면은 후방 우측을 바라보고, 상기 수평후방우측분체부(1528)에 마련된 절취면은 후방 좌측을 바라본다.
상기 한 쌍의 좌우 경사 절취면은 전단부에서 서로 만난다. 즉 제15실시예와 달리, 제16실시예에서 후방 절취면(155)은 좌우 연결 절취면을 구비하지 않는다.
이러한 형태의 소파블록에 따르면, 소파블록 후방의 굴곡 형상으로 인해 소파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이안류가 소파블록에 가하는 하중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17실시예]
이하 도 161 내지 도 170을 참조하여, 제17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제17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앞서 제10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7실시예는 제10실시예와 대비하여, 수평후방각부(152)가 후방 절취면(155)에 의해 수평후방좌측분체부(1527)와 수평후방우측분체부(1528)로 완전히 분리된 형태를 구비한다.
상기 후방 절취면(155)은 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좌우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좌우 경사 절취면과, 상기 한 쌍의 좌우 경사 절취면의 전방에서 이들을 연결하는 좌우 연결 절취면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수평후방좌측분체부(1527)에 마련된 절취면은 후방 우측을 바라보고, 상기 수평후방우측분체부(1528)에 마련된 절취면은 후방 좌측을 바라본다.
상기 좌우 연결 절취면은 수평후방각부(152)의 전단부와 정렬된 위치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수평후방좌측분체부(1527)와 수평후방우측분체부(1528) 사이로 수평전방각부(151)의 후면이 노출된다.
이러한 형태의 소파블록에 따르면, 소파블록 후방의 굴곡 형상으로 인해 소파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이안류가 소파블록에 가하는 하중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18실시예]
이하 도 171 내지 도 180을 참조하여, 제18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제18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앞서 제1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8실시예는 제11실시예와 대비하여, 수평후방각부(152)가 후방 절취면(155)에 의해 수평후방좌측분체부(1527)와 수평후방우측분체부(1528)로 완전히 분리되고, 수평전방각부(151)가 후방 절취면(155)에 의해 부분적으로 구분되는 형태를 제공한다.
상기 후방 절취면(155)은 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좌우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좌우 경사 절취면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수평후방좌측분체부(1527)에 마련된 절취면은 후방 우측을 바라보고, 상기 수평후방우측분체부(1528)에 마련된 절취면은 후방 좌측을 바라본다.
상기 한 쌍의 좌우 경사 절취면은 전단부에서 서로 만난다. 즉 제18실시예에서 후방 절취면(155)은 좌우 연결 절취면을 구비하지 않는다.
이러한 형태의 소파블록에 따르면, 소파블록 후방의 굴곡 형상으로 인해 소파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이안류가 소파블록에 가하는 하중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19실시예]
이하 도 181 내지 도 190을 참조하여, 제19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제19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앞서 제12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9실시예는 제12실시예와 대비하여, 수평후방각부(152)가 후방 절취면(155)에 의해 수평후방좌측분체부(1527)와 수평후방우측분체부(1528)로 완전히 분리되고, 수평전방각부(151)가 후방 절취면(155)에 의해 부분적으로 구분되는 형태를 제공한다.
상기 후방 절취면(155)은 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좌우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좌우 경사 절취면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수평후방좌측분체부(1527)에 마련된 절취면은 후방 우측을 바라보고, 상기 수평후방우측분체부(1528)에 마련된 절취면은 후방 좌측을 바라본다.
상기 한 쌍의 좌우 경사 절취면은 전단부에서 서로 만나지 않는다. 대신 상기 수평전방상부분체부(1511)과 수평전방하부분체부(1512)에는 각각 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좌우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추가 상하 경사 절취면들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좌우 경사 절취면은, 상기 추가 상하 경사 절취면들에 의해 좌우로 연결된다. 즉 제19실시예에서 후방 절취면(155)은 좌우 연결 절취면 대신 추가 상하 경사 절취면들이 한 쌍의 좌우 경사 절취면을 연결한다.
이러한 형태의 소파블록에 따르면, 소파블록 후방의 굴곡 형상으로 인해 소파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이안류가 소파블록에 가하는 하중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20실시예]
이하 도 191 내지 도 200을 참조하여, 제20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제20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앞서 제13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20실시예는 제13실시예와 대비하여, 수평후방각부(152)가 후방 절취면(155)에 의해 수평후방좌측분체부(1527)와 수평후방우측분체부(1528)로 완전히 분리되고, 수평전방각부(151)가 후방 절취면(155)에 의해 부분적으로 구분되는 형태를 제공한다.
상기 후방 절취면(155)은 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좌우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좌우 경사 절취면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수평후방좌측분체부(1527)에 마련된 절취면은 후방 좌측을 바라보고, 상기 수평후방우측분체부(1528)에 마련된 절취면은 후방 우측을 바라본다.
도 194를 참조하면, 중심수평홀(1535)은 그 연장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 구간이 막혀 있는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좌우 경사 절취면이 이렇게 막혀 있는 구간을 지난다.
도 192를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좌우 경사 절취면은 전단부에서 서로 만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좌우 경사 절취면은 수평전방각부(151)에서 점차 그 좌우방향 폭이 줄어드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좌우 경사 절취면의 폭이 줄어드는 형태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수평전방상부분체부(1511)과 수평전방하부분체부(1512)에는 각각 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추가 상하 경사 절취면이 각각 하나씩 마련된다.
상기 좌우 경사 절취면은 상기 수평후방각부(152)와 수평전방각부(151)에 걸쳐 형성되는데, 상기 수평후방각부(152)에 마련된 좌우 경사 절취면 부분과 상기 수평전방각부(151)에 마련된 좌우 경사 절취면 부분은 서로 단차를 가지거나 각이 지지 않은 형태로 부드럽게 연결된다. 제20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후방각부(152)에 마련된 좌우 경사 절취면 부분과 상기 수평전방각부(151)에 마련된 좌우 경사 절취면 부분은 동일 평면을 이룬다.
이러한 형태의 소파블록에 따르면, 소파블록 후방의 굴곡 형상으로 인해 소파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이안류가 소파블록에 가하는 하중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21실시예]
이하 도 201 내지 도 210을 참조하여, 제21실시예의 소파블록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제21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앞서 제14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21실시예는 제14실시예와 대비하여, 수평후방각부(152)가 후방 절취면(155)에 의해 수평후방좌측분체부(1527)와 수평후방우측분체부(1528)로 완전히 분리되고, 수평전방각부(151)가 후방 절취면(155)에 의해 부분적으로 구분되는 형태를 제공한다.
상기 후방 절취면(155)은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좌우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좌우 경사 절취면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수평후방좌측분체부(1527)에 마련된 절취면은 후방 우측을 바라보고, 상기 수평후방우측분체부(1528)에 마련된 절취면은 후방 좌측을 바라본다.
도 204를 참조하면, 중심수평홀(1535)은 그 연장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 구간이 막혀 있는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좌우 경사 절취면이 이렇게 막혀 있는 구간을 지난다.
도 202를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좌우 경사 절취면은 전단부에서 서로 만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좌우 경사 절취면은 수평전방각부(151)에서 점차 그 좌우방향 폭이 줄어드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좌우 경사 절취면의 폭이 줄어드는 형태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수평전방상부분체부(1511)과 수평전방하부분체부(1512)에는 각각 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추가 상하 경사 절취면이 각각 하나씩 마련된다.
제20실시예와 대비하여, 제21실시예에서는 추가 상하 경사 절취면도 서로 실질적으로 만나는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좌우 경사 절취면은 완전한 하트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좌우 경사 절취면은 상기 수평후방각부(152)와 수평전방각부(151)에 걸쳐 형성되는데, 상기 수평후방각부(152)에 마련된 좌우 경사 절취면 부분과 상기 수평전방각부(151)에 마련된 좌우 경사 절취면 부분은 서로 단차를 가지거나 각이 지지 않은 형태로 부드럽게 연결된다. 제13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후방각부(152)에 마련된 좌우 경사 절취면 부분과 상기 수평전방각부(151)에 마련된 좌우 경사 절취면 부분은 동일 평면을 이룬다.
이러한 형태의 소파블록에 따르면, 소파블록 후방의 굴곡 형상으로 인해 소파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이안류가 소파블록에 가하는 하중을 완화시킬 수 있다.
앞서 제8 내지 제14실시예에서는, 전방각부에 전방 절취면이 형성된 구조를 예시하고, 제15 내지 제21실시예에서는, 전방각부에 전방 절취면이 형성되고 후방각부에 후방 절취면이 형성된 구조를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본 발명은 전방각부에 전방 절취면이 형성되지 않고 후방각부에는 후방 절취면이 형성된 구조를 배제하지 않는다.
[소파블록의 치수관계 및 소파블록들의 거치 시공]
제4실시예, 제11실시예, 및 제18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단계에서, 상부 단의 소파블록(1)의 수직후방좌측분체부(1321)의 하단의 수평절단면(18)은, 하부 단의 소파블록(1)의 수평전방상부분체부(1511)의 우측단의 수평절단면(18)과 마주하거나 거기에 놓일 수 있다.
제4실시예, 제11실시예, 및 제18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단계에서, 상부 단의 소파블록(1)의 수직후방좌측분체부(1321)의 하단의 수직절단면(17)은, 하부 단의 소파블록(1)의 수평전방상부분체부(1511)의 우측 선단면을 마주보거나 이에 접할 수 있다.
제4실시예, 제11실시예, 및 제18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단계에서, 하부 단의 소파블록(1)의 수평전방상부분체부(1511)의 우측단의 수직절단면(17)은, 상부 단의 소파블록(1)의 수직후방좌측분체부(1321)의 좌측면을 마주보거나 이에 접할 수 있다.
제4실시예, 제11실시예, 및 제18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단계에서, 상부 단의 소파블록(1)의 수직후방우측분체부(1322)의 하단의 수평절단면(18)은, 하부 단의 소파블록(1)의 수평전방상부분체부(1511)의 좌측단의 수평절단면(18)과 마주하거나 거기에 놓일 수 있다.
제4실시예, 제11실시예, 및 제18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단계에서, 상부 단의 소파블록(1)의 수직후방우측분체부(1322)의 하단의 수직절단면(17)은, 하부 단의 소파블록(1)의 수평전방상부분체부(1511)의 좌측 선단면을 마주보거나 이에 접할 수 있다.
제4실시예, 제11실시예, 및 제18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단계에서, 하부 단의 소파블록(1)의 수평전방상부분체부(1511)의 좌측단의 수직절단면(17)은, 상부 단의 소파블록(1)의 수직후방우측분체부(1322)의 우측면을 마주보거나 이에 접할 수 있다.
제5 내지 제7실시예, 제12 내지 제14실시예, 및 제19 내지 제2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후방각부(132)의 상단에는 후방 상부를 바라보는 경사절단면(16)이 구비될 수 있다. 제6, 7, 13, 14, 20 및 2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사절단면(16)은 상기 전방헌치(132H)에 연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제5 내지 제7실시예, 제12 내지 제14실시예, 제19 내지 제2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후방각부(132)의 하단에는 후방 하부를 바라보는 경사절단면(16)이 구비될 수 있다. 제6, 7, 13, 14, 20 및 2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사절단면(16)은 상기 전방헌치(132H)에 연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제5 내지 제7실시예, 제12 내지 제14실시예, 제19 내지 제2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전방각부(151)의 좌측단에는 좌측 전방을 바라보는 경사절단면(16)이 구비될 수 있다. 제6, 7, 13, 14, 20 및 2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사절단면(16)은 상기 후방헌치(151H)에 연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제5 내지 제7실시예, 제12 내지 제14실시예, 제19 내지 제2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전방각부(151)의 우측단에는 우측 전방을 바라보는 경사절단면(16)이 구비될 수 있다. 제6, 7, 13, 14, 20 및 2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사절단면(16)은 상기 후방헌치(151H)에 연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제5 내지 제7실시예, 제12 내지 제14실시예, 제19 내지 제21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단계에서, 상부 단의 소파블록(1)의 수직후방좌측분체부(1321)의 하부각부의 외주면(132C)은, 하부 단의 소파블록(1)의 수평전방각부(151)의 우측단의 경사절단면(16)과 마주하거나 거기에 놓일 수 있다. 제6, 7, 13, 14, 20 및 2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주면(132C)은 상기 전방헌치(132H)에 연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제5 내지 제7실시예, 제12 내지 제14실시예, 제19 내지 제21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단계에서, 상부 단의 소파블록(1)의 수직후방우측분체부(1322)의 하부각부의 외주면(132C)은, 하부 단의 소파블록(1)의 수평전방각부(151)의 좌측단의 경사절단면(16)과 마주하거나 거기에 놓일 수 있다. 제6, 7, 13, 14, 20 및 2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주면(132C)은 상기 전방헌치(132H)에 연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제7, 14, 및 2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11)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수직후방각부(132)와 전방헌치(132H)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경사절단면(16)이 더욱 이어지는 형태를 구성하도록, 실질적인 삼각형 형태의 전방홈(113)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경사절단면(16)과 전방홈(113)은 전체적으로 하트 형태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제7, 14, 및 2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11)의 좌측과 우측에는, 상기 수평전방각부(151)와 후방헌치(151H)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경사절단면(16)이 더욱 이어지는 형태를 구성하도록, 실질적인 삼각형 형태의 후방홈(115)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경사절단면(16)과 후방홈(115)은 전체적으로 하트 형태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몸체(11)의 전후방향 길이는, 수평각부(15)의 전후방향 두께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몸체(11)는 제3, 10, 및 17실시예에서와 같이 아예 생략(삭제)될 수 있다.
상기 수직각부(13)의 전후방향 두께는, 수평각부(15)의 전후방향 두께와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수직전방각부(131)의 전후방향 두께는, 수직후방각부(132)의 전후방향 두께와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수평후방각부(152)의 전후방향 두께는, 수평전방각부(151)의 전후방향 두께와 대응할 수 있다.
제2, 3, 9, 10, 16, 및 17실시예와 같이, 상기 수평전방각부(151)의 좌우방향 길이는, 상기 수평후방각부(152)의 좌우방향 길이보다 짧되, 실질적으로 상기 수직후방각부(132)의 하부각부의 좌우방향 두께만큼 짧거나 그보다 약간 더 짧을 수 있다.
제4, 11 및 18실시예와 같이, 상기 수평전방각부(151)의 좌우방향 길이는, 상기 수평후방각부(152)의 좌우방향 길이보다 짧되, 실질적으로 상기 수직후방각부(132)의 하부각부의 두 수직절단면(17) 사이의 거리만큼 짧거나 그보다 약간 더 짧을 수 있다. 상기 수평전방각부(151)의 두 수직절단면(17) 사이의 길이는, 상기 수평후방각부(152)의 좌우방향 길이보다 짧되, 실질적으로 상기 수직후방각부(132)의 하부각부의 좌우방향 두께만큼 짧거나 그보다 약간 더 짧을 수 있다.
사면에 소파블록(1)을 거치하였을 때, 제1, 8 및 15실시예와 같이, 상부 단의 소파블록(1)의 몸체(11)와 수평각부(15) 일부가 하부 단의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1)의 수평각부(15) 상에 놓일 수 있고, 상부 단의 소파블록(1)의 수직각부(13)의 하부각부의 후면이 하부 단의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1)의 수평각부(15)의 전면 상에 놓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후방향으로 상부 단의 소파블록(1)의 수평전방각부(151)의 일부가 하부 단의 소파블록(1)의 수평후방각부(152) 상에 놓일 수 있고, 전후방향으로 상부 단의 소파블록(1)의 몸체(11)가 하부 단의 소파블록(1)의 수평전방각부(151) 및 수평후방각부(152) 상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위치 관계는, 제1, 8 및 15실시예와 같이, 소파블록(1)의 수직전방각부(131)의 연장길이와 수직후방각부(132)의 연장길이가 서로 대응하고, 수평후방각부(152)의 연장길이와 수평전방각부(151)의 연장길이가 서로 대응할 때 적용될 수 있다.
사면에 소파블록(1)을 거치하였을 때, 제2, 9, 및 16실시예와 같이, 상부 단의 소파블록(1)의 몸체(11)와 수평전방각부(151) 일부가 하부 단의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1)의 수평후방각부(152) 상에 놓일 수 있고, 상부 단의 소파블록(1)의 수직후방각부(132)의 하부각부의 후면이 하부 단의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1)의 수평후방각부(152)의 전면 상에 놓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부 단의 소파블록(1)의 수직후방각부(132)의 좌측면은 하부 단의 좌측 소파블록(1)의 수평전방각부(151)의 우측면과 마주하거나 이와 접할 수 있고, 상부 단의 소파블록(1)의 수직후방각부(132)의 우측면은 하부 단의 우측 소파블록(1)의 수평전방각부(151)의 좌측면과 마주하거나 이와 접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관계는, 제2, 9, 및 16실시예와 같이, 소파블록(1)의 수직전방각부(131)의 연장길이가 수직후방각부(132)의 연장길이보다 더 길고, 수평후방각부(152)의 연장길이가 수평전방각부(151)의 연장길이보다 더 길 때 적용될 수 있다.
사면에 소파블록(1)을 거치하였을 때, 제3, 10, 및 17실시예와 같이, 상부 단의 소파블록(1)의 수평전방각부(151)가 하부 단의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1)의 수평후방각부(152) 상에 놓일 수 있고, 상부 단의 소파블록(1)의 수직후방각부(132)의 하부각부의 후면이 하부 단의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1)의 수평후방각부(152)의 전면 상에 놓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부 단의 소파블록(1)의 수직후방각부(132)의 좌측면은 하부 단의 좌측 소파블록(1)의 수평전방각부(151)의 우측면과 마주하거나 이와 접할 수 있고, 상부 단의 소파블록(1)의 수직후방각부(132)의 우측면은 하부 단의 우측 소파블록(1)의 수평전방각부(151)의 좌측면과 마주하거나 이와 접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관계는, 제3, 10, 및 17실시예와 같이, 소파블록(1)의 수직전방각부(131)의 연장길이가 수직후방각부(132)의 연장길이보다 더 길고, 수평후방각부(152)의 연장길이가 수평전방각부(151)의 연장길이보다 더 길고, 몸체(11)가 생략(삭제)된 구조(수직각부(13)와 수평각부(15)가 전후방향으로 직접 연결된 구조)일 때 적용될 수 있다.
사면에 소파블록(1)을 거치하였을 때, 제4, 11, 및 18실시예와 같이, 상부 단의 소파블록(1)의 수평전방각부(151)가 하부 단의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1)의 수평후방각부(152) 상에 놓일 수 있고, 상부 단의 소파블록(1)의 수직후방각부(132)의 하부각부의 후면이 하부 단의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1)의 수평후방각부(152)의 전면 상에 놓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부 단의 소파블록(1)의 수직후방각부(132)의 하부각부의 두 수평절단면(18)은 하부 단의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1)의 수평전방각부(151)에 각각 마련된 수평절단면(18) 상에 각각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위치 관계는, 제4, 11, 및 18실시예와 같이, 소파블록(1)의 수직전방각부(131)의 연장길이가 수직후방각부(132)의 연장길이보다 더 길고, 수평후방각부(152)의 연장길이가 수평전방각부(151)의 연장길이보다 더 길고, 몸체(11)가 거의 생략(삭제)된 구조(수직각부(13)와 수평각부(15)가 전후방향으로 직접 연결된 구조)를 가지면서, 수직후방각부(132)와 수평전방각부(151)에 수직절단면(17)과 수평절단면(18)이 형성된 구조일 때 적용될 수 있다.
사면에 소파블록(1)을 거치하였을 때, 제5 내지 제7실시예, 제12 내지 제14실시예, 제19 내지 제21실시예와 같이, 상부 단의 소파블록(1)의 몸체(11)와 수평전방각부(151) 일부가 하부 단의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1)의 수평후방각부(152) 상에 놓일 수 있고, 상부 단의 소파블록(1)의 수직후방각부(132)의 하부각부의 외주면(132C)이 하부 단의 이웃하는 두 소파블록(1)의 수평전방각부(151)의 경사절단면(16) 상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위치 관계는, 제5 내지 제7실시예, 제12 내지 제14실시예, 제19 내지 제21실시예와 같이, 소파블록(1)의 수평전방각부(151)에 경사절단면(16)이 마련된 구조일 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소파블록의 실시예들을 적용한 거치방법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부 단의 소파블록(1)의 몸체(11) 및/또는 수직각부(13)와, 하부 단의 소파블록(1)의 몸체(11) 및/또는 수평각부(15)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며 면접촉 하고(하거나), 전후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며 면접촉 하고(하거나), 좌우방향으로, 좌우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며 면접촉 한다. 이러한 소파블록의 형상과 상호 맞물림 구조에 따르면, 소파블록을 거치한 구조물에서, 각 소파블록이 기우뚱거리는(Rocki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파랑에 의해 소파블록의 기우뚱거리는 현상은 소파블록을 반복 하중에 노출시키고, 이는 피로 파괴 등의 요인이 되나, 본 발명의 소파블록의 형상과 치수 관계 및 이에 따른 거치방법에 의하면, 다방향으로 소파블록들 간의 면접촉이 가능하여, 미세한 흔들림 없이 소파블록이 매우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소파블록의 제작]
본 발명의 소파블록은, 전방각부에 4개의 분체부, 그리고 후방각부에 4개의 분체부가 구비되고, 전방 절취면과 후방 절취면으로 인해 그 형상이 매우 복잡함에도 불구하고, 도 2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한 내면을 가지는 한 쌍의 전후 거푸집 분체, 그리고 서로 동일한 내면을 가지는 4개의 상하좌우 거푸집 분체, 즉 총 6개의 거푸집 분체로 제작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