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06246B1 - 차량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06246B1 KR102706246B1 KR1020190066473A KR20190066473A KR102706246B1 KR 102706246 B1 KR102706246 B1 KR 102706246B1 KR 1020190066473 A KR1020190066473 A KR 1020190066473A KR 20190066473 A KR20190066473 A KR 20190066473A KR 102706246 B1 KR102706246 B1 KR 1027062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ction
- vehicle
- panel
- center floor
- reinforcemen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12783 reinforcing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3677 Sheet moulding compou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70 electro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33 fiber-reinforced compos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8 mo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1 pain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37 unsaturated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1—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characterised by combining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 단면을 덕트 경로로 활용하면서 강성을 보강한 차량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는 차량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영역에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로어 터널부가 상부로 굴곡되어 형성되고, 양측 단부영역에는 차량의 사이드실과 면접합되는 로어 사이드실부가 상부로 굴곡되어 형성되는 로어 패널과; 상기 로어 패널의 상면에 접합되되, 중앙영역에는 상기 로어 터널부에 대응되는 어퍼 터널부가 상부로 굴곡되어 형성되고, 양측 단부영역에는 상기 로어 사이드실부에 대응되는 사이드실 결합부가 형성되는 어퍼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로어 패널과 어퍼 패널은 수지에 강화섬유가 함침된 시트 형태의 복합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는 차량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영역에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로어 터널부가 상부로 굴곡되어 형성되고, 양측 단부영역에는 차량의 사이드실과 면접합되는 로어 사이드실부가 상부로 굴곡되어 형성되는 로어 패널과; 상기 로어 패널의 상면에 접합되되, 중앙영역에는 상기 로어 터널부에 대응되는 어퍼 터널부가 상부로 굴곡되어 형성되고, 양측 단부영역에는 상기 로어 사이드실부에 대응되는 사이드실 결합부가 형성되는 어퍼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로어 패널과 어퍼 패널은 수지에 강화섬유가 함침된 시트 형태의 복합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체 단면을 덕트 경로로 활용하면서 강성을 보강한 차량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플로어는 운전석과 조수석을 지지하는 프런트 플로어와, 뒷좌석을 지지하는 센터 플로어 및 트렁크룸을 형성하는 리어플로어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센터 플로어의 중간부위에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실내 쪽으로 굴곡되어 돌출되는 터널부가 일체로 구비되고, 양측단에는 사이드실과 면접합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센터 플로어는 강성을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스틸 재질로 제조되었다. 하지만, 최근 차량의 연비 개선을 위하여 차량이 경량화에 대한 요구가 발생하면서 센터 플로어의 중량을 저감시키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스틸 소재의 일부를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대체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은 스틸 소재와 섬유강화 복합소재를 기계적으로 결합을 해야하기 때문에 별도의 체결수단을 구성해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센터 플로어의 소재를 변경하고 구조를 변경하는 경우에 덕트 구조와의 간섭때문에 그 변경에 한계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내용은 본 발명에 대한 배경을 이해하기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지에 강화섬유가 분산된 SMC(Sheet Molding Compound)를 사용하여 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차체 단면을 덕트 경로로 활용하면서 강성을 보강한 차량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는 차량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영역에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로어 터널부가 상부로 굴곡되어 형성되고, 양측 단부영역에는 차량의 사이드실과 면접합되는 로어 사이드실부가 상부로 굴곡되어 형성되는 로어 패널과; 상기 로어 패널의 상면에 접합되되, 중앙영역에는 상기 로어 터널부에 대응되는 어퍼 터널부가 상부로 굴곡되어 형성되고, 양측 단부영역에는 상기 로어 사이드실부에 대응되는 사이드실 결합부가 형성되는 어퍼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로어 패널과 어퍼 패널은 수지에 강화섬유가 함침된 시트 형태의 복합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퍼 패널에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차량의 폭방향으로 프론트 크로스부와 리어 크로스부가 상부로 굴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어퍼 패널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기준으로 상기 프론트 크로스부의 전방 영역인 제 1 구간과, 상기 프론트 크로스부와 리어 크로스부 사이 영역인 제 2 구간과, 상기 리어 크로스부의 후방 영역인 제 3 구간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 1 구간에는 선단의 중간 위치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후방으로 향할수록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분기되는 역 "Y"자 형의 충돌 보강부가 상부로 굴곡되어 상기 어퍼 터널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한 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구간에 형성되는 충돌 보강부는 상기 프론트 크로스부 및 리어 크로스부 보다 상단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구간에 형성되는 충돌 보강부 중 후방으로 분기된 영역 중 어퍼 터널부 측의 영역은 사이드실 결합부 측의 영역보다 상단 높이가 더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어 패널의 로어 터널부와 상기 어퍼 패널의 어퍼 터널부는 소정 영역이 서로 이격되어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어퍼 패널의 제 2 구간에는 상기 어퍼 터널부에서 사이드실 결합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부로 굴곡되면서 사이드실 결합부 방향 단부가 개구되어 상기 유로의 출구를 형성하는 덕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어 패널의 로어 터널부와 상기 어퍼 패널의 어퍼 터널부는 상부 영역이 서로 접하고, 측부 영역이 서로 이격되어 폐단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퍼 패널의 제 2 구간에는 상기 충돌 보강부의 사이드실 결합부측 후단에서 연장되는 연장 보강부가 형성되고, 상기 덕트부는 상기 충돌 보강부의 어퍼 터널부측에서 연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 보강부는 제 3 구간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 보강부 및 덕트부는 상기 프론트 크로스부 및 리어 크로스부 보다 상단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상기 덕트부는 상기 연장 보강부 보다 상단 높이가 더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퍼 패널의 프론트 크로스부, 리어 크로스부, 충돌 보강부, 연장 보강부 및 덕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부로 돌출된 영역의 저면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보강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어 패널과 어퍼 패널은 SMC(Sheet Molding Compound)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에 스틸 소재로 제작되거나 스틸 소재와 복합 소재가 조립되어 제작되는 센터플로어를 SMC를 사용하여 제작하여 센터플로어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로어 패널과 어퍼 패널을 모두 SMC를 사용하여 제작함에 따라 형상 제작의 자유도가 커져서 센터플로어의 구조를 개선하여 차체 단면을 덕트 경로로 활용하면서 강성도 보강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때, 도 4는 도 3의 A-A 선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 선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C-C 선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D-D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는 수지에 강화섬유가 함침된 시트 형태의 복합소재로 형성되는 로어 패널(100)과 어퍼 패널(200)이 서로 접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복합소재로는 SMC(Sheet Molding Compound)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MC(Sheet Molding Compound)는 수지에 강화섬유가 분산된 시트(sheet) 형태의 복합소재를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에 충진제, 촉매, 이형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Compound)에 유리섬유(glass fiber) 또는 탄소섬유(carbon fiber)를 함침시켜서 시트로 제작된 복합성형 재료를 의미한다. 이때 유리섬유(glass fiber) 및 탄소섬유(carbon fiber)는 잘게 절단된(chopped) 형태로 함침된다.
로어 패널(100)과 어퍼 패널(200)은 각각 한 장의 SMC를 성형하여 제작되어 로어 패널(100)과 어퍼 패널(200)을 소정 영역에서 서로 대면 되도록 접한 다음 접착제 및 리벳으로 서로 접합 및 조립시켜서 센터플로어를 제작한다.
SMC는 스틸 소재에 비하여 30 ~ 40%의 경량 효과를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센터플로어를 구성하는 로어 패널(100)과 어퍼 패널(200)을 모두 SMC로 제작함에 따라 센터플로어의 경량화를 기대할 수 있다.
로어 패널(100)은 차량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영역에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로어 터널부(110)가 상부로 굴곡되어 형성되고, 양측 단부에는 차량의 사이드실과 면접합되는 로어 사이드실부(120)가 상부로 굴곡되어 형성된다.
어퍼 패널(200)은 상기 로어 패널(100)의 상면에 접합되는 요소로서, 소정 영역에서는 로어 패널(100)과 면접합 되고, 다른 영역에서는 로어 패널(100)과 이격되어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로어 패널(100)과 이격되어 생성되는 공간을 활용하여 차량의 내부로 연통되는 덕트의 경로인 유로 구조를 형성하기도 하고, 충돌 하중을 분산시키는 보강구조를 형성하기도 한다.
부연하자면, 어퍼 패널(200)은 차량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영역에는 상기 로어 터널부(110)에 대응되는 어퍼 터널부(210)가 상부로 굴곡되어 형성되고, 양측 단부영역에는 상기 로어 사이드실부(120)에 대응되는 사이드실 결합부(2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어퍼 패널(200)에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차량의 폭방향으로 프론트 크로스부(230)와 리어 크로스부(240)가 상부로 굴곡되어 형성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 패널(200)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기준으로 프론트 크로스부(230)의 전방 영역인 제 1 구간(201)과, 프론트 크로스부(230)와 리어 크로스부(240) 사이 영역인 제 2 구간(202)과, 리어 크로스부(240)의 후방 영역인 제 3 구간(203)으로 구분된다.
그래서, 제 1 구간(201)에는 충돌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한 보강구조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 1 구간(201)에는 선단의 중간 위치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후방으로 향할수록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분기되는 역 "Y"자 형의 충돌 보강부(250)가 상부로 굴곡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충돌 보강부(250)는 제 1 구간(201)에서 어퍼 터널부(210)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한 쌍이 형성된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대한 단면도로서, 로어 패널(100)의 로어 터널부(110)와 어퍼 패널(200)의 어퍼 터널부(210)는 소정 영역이 서로 이격되어 덕트 역할을 하는 유로(280)가 형성된다. 이때 어퍼 터널부(210)에는 소정 영역이 상부로 개구되어 유로(280)의 입구(281)를 형성한다.
그리고, 로어 패널(100)의 로어 터널부(110)의 양측 영역은 다른 영역보다 그 최저점이 낮도록 하부로 굴곡되어 형성되는 배수로(130)를 형성할 수 있다. 그래서, 도장 작업시에 전착액이 상기 유로(280)의 입구(281)를 통하여 유입되더라도 다른 영역으로 유동되지 않고 배수로(130)를 통하여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충돌 보강부(250)는 프론트 크로스부(230) 및 리어 크로스부(240) 보다 상단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충돌 보강부(250) 중 후방으로 분기된 영역 중 어퍼 터널부(210) 측의 영역은 사이드실 결합부(220) 측의 영역보다 상단 높이가 더 낮게 형성된다.
그래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장 작업시에 전착액이 어퍼 패널(200)의 상부면을 따라 유동되는 경우에 어퍼 패널(200)을 형성하는 각 영역의 높이에 편차를 두어 전착액이 어퍼 패널(200)의 특정 위치에 머무르지 않고 원하는 위치로 유동시켜서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어퍼 패널(200) 중 최저점에는 전착액을 배출시킬 수 있는 어퍼 배출구(29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어퍼 패널(200)에 어퍼 배출구(290)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로어 패널(100)에도 어퍼 배출구(290)와 대응되는 위치에 서로 연통되는 로어 배출구(14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어퍼 패널(200)에 형성되는 충돌 보강부(250)는 상부로 굴곡됨에 따라 로어 패널(100)과 이격되어 폐단면을 형성하여 정면, 옵셋, 스몰오버랩과 같은 충돌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어퍼 패널(200)에 형성된 충돌 보강부(250)의 저면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보강립(251)이 형성되어 충돌 보강부(250)에 의한 강성 보강을 강화시킨다.
도 5는 도 3의 B-B 선에 대한 단면도로서, 어퍼 패널(200)에 형성된 프론트 크로스부(230)를 보여준다.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로어 패널(100)의 로어 터널부(110)와 어퍼 패널(200)의 어퍼 터널부(210)는 소정 영역이 서로 이격되어 덕트 역할을 하는 유로(280)가 전방부터 연통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프론트 크로스부(230)의 저면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보강립(231)이 형성되어 프론트 크로스부(230)에 의한 강성 보강을 강화시킨다.
도면에는 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았지만 프론트 크로스부(230)와 마찬가지로 리어 크로스부(240)에의 저면에도 하부로 연장되는 보강립이 형성되어 리어 크로스부(240)에 의한 강성 보강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도 3의 C-C 선에 대한 단면도로서, 제 2 구간(202)을 보여준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로어 패널(100)의 로어 터널부(110)와 어퍼 패널(200)의 어퍼 터널부(210)는 소정 영역이 서로 이격되어 덕트 역할을 하는 유로(280)가 전방부터 연통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어퍼 패널(200)의 제 2 구간(202)에는 어퍼 터널부(210)에서 사이드실 결합부(22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부로 굴곡되면서 사이드실 결합부(220) 방향 단부가 개구되어 상기 유로(280)의 출구(282)를 형성하는 덕트부(270)가 형성된다.
그래서, 도 4에 도시된 유로(280)의 입구(281)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로어 패널(100)의 로어 터널부(110)와 어퍼 패널(200)의 어퍼 터널부(210)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유로(280)를 통과한 다음 덕트부(270)의 출구(282)를 통하여 차량의 실내로 토출된다.
한편, 덕트부(270)는 충돌 보강부(250)의 어퍼 터널부(210) 측에서 연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덕트 역할과 함께 강성 보강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그리고, 어퍼 패널(200)의 제 2 구간(202)에는 충돌 보강부(250)의 사이드실 결합부(220)측 후단에서 연장되는 연장 보강부(260)가 형성된다. 그래서 충돌 보강부(250)에서 충격이 전달되는 로드 패스가 연장 보강부(260) 및 덕트부(270)로 연장되어 충격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때 연장 보강부(260)은 제 3 구간(203)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장 보강부(260)와 덕트부(270)의 저면에도 하부로 연장되는 보강립(261, 171)이 형성되어 연장 보강부(260)와 덕트부(270)에 의한 강성 보강을 강화시킨다.
한편, 연장 보강부(260) 및 덕트부(270)는 프론트 크로스부(230) 및 리어 크로스부(240) 보다 상단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덕트부(270)는 연장 보강부(260) 보다 상단 높이가 더 낮게 형성된다. 그래서, 도장 작업시에 전착액이 어퍼 패널(200)의 상부면을 따라 유동되는 경우에 어퍼 패널(200)을 형성하는 각 영역의 높이에 편차를 두어 전착액이 어퍼 패널의 특정 위치에 머무르지 않고 원하는 위치로 유동시켜서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도 3의 D-D 선에 대한 단면도로서, 로어 패널(100)의 로어 터널부(110)와 어퍼 패널(200)의 어퍼 터널부(210)는 소정 영역이 서로 이격되어 폐단면을 형성하여 로어 터널부(110) 및 어퍼 터널부(210)의 강성을 보강시킨다. 이때 형성되는 폐단면은 그 위치에 따라 전술된 유로(280)의 역할을 할 수 있고, 강성 보강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유로의 역할과 강성 보강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로어 패널 110: 로어 터널부
120: 로어 사이드실부 130: 배수로
140: 로어 배출구 200: 어퍼 패널
210: 어퍼 터널부 220: 사이드실 결합부
230: 프론트 크로스부 240: 리어 크로스부
250: 충돌 보강부 260: 연장 보강부
270: 덕트부 280: 유로
281: 입구 282: 출구
290: 어퍼 배출구 231, 251, 261, 271: 보강립
120: 로어 사이드실부 130: 배수로
140: 로어 배출구 200: 어퍼 패널
210: 어퍼 터널부 220: 사이드실 결합부
230: 프론트 크로스부 240: 리어 크로스부
250: 충돌 보강부 260: 연장 보강부
270: 덕트부 280: 유로
281: 입구 282: 출구
290: 어퍼 배출구 231, 251, 261, 271: 보강립
Claims (10)
- 차량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영역에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로어 터널부가 상부로 굴곡되어 형성되고, 양측 단부영역에는 차량의 사이드실과 면접합되는 로어 사이드실부가 상부로 굴곡되어 형성되는 로어 패널과;
상기 로어 패널의 상면에 접합되되, 중앙영역에는 상기 로어 터널부에 대응되는 어퍼 터널부가 상부로 굴곡되어 형성되고, 양측 단부영역에는 상기 로어 사이드실부에 대응되는 사이드실 결합부가 형성되는 어퍼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로어 패널과 어퍼 패널은 수지에 강화섬유가 함침된 시트 형태의 복합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어퍼 패널에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차량의 폭방향으로 프론트 크로스부와 리어 크로스부가 상부로 굴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어퍼 패널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기준으로 상기 프론트 크로스부의 전방 영역인 제 1 구간과, 상기 프론트 크로스부와 리어 크로스부 사이 영역인 제 2 구간과, 상기 리어 크로스부의 후방 영역인 제 3 구간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 1 구간에는 선단의 중간 위치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후방으로 향할수록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분기되는 역 "Y"자 형의 충돌 보강부가 상부로 굴곡되어 상기 어퍼 터널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한 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간에 형성되는 충돌 보강부는 상기 프론트 크로스부 및 리어 크로스부 보다 상단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구간에 형성되는 충돌 보강부 중 후방으로 분기된 영역 중 어퍼 터널부 측의 영역은 사이드실 결합부 측의 영역보다 상단 높이가 더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어 패널의 로어 터널부와 상기 어퍼 패널의 어퍼 터널부는 소정 영역이 서로 이격되어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어퍼 패널의 제 2 구간에는 상기 어퍼 터널부에서 사이드실 결합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부로 굴곡되면서 사이드실 결합부 방향 단부가 개구되어 상기 유로의 출구를 형성하는 덕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로어 패널의 로어 터널부와 상기 어퍼 패널의 어퍼 터널부는 상부 영역이 서로 접하고, 측부 영역이 서로 이격되어 폐단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어퍼 패널의 제 2 구간에는 상기 충돌 보강부의 사이드실 결합부측 후단에서 연장되는 연장 보강부가 형성되고,
상기 덕트부는 상기 충돌 보강부의 어퍼 터널부측에서 연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장 보강부는 제 3 구간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장 보강부 및 덕트부는 상기 프론트 크로스부 및 리어 크로스부 보다 상단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상기 덕트부는 상기 연장 보강부 보다 상단 높이가 더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어퍼 패널의 프론트 크로스부, 리어 크로스부, 충돌 보강부, 연장 보강부 및 덕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부로 돌출된 영역의 저면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보강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어 패널과 어퍼 패널은 SMC(Sheet Molding Compound)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6473A KR102706246B1 (ko) | 2019-06-05 | 2019-06-05 | 차량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6473A KR102706246B1 (ko) | 2019-06-05 | 2019-06-05 | 차량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9938A KR20200139938A (ko) | 2020-12-15 |
KR102706246B1 true KR102706246B1 (ko) | 2024-09-11 |
Family
ID=73780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6473A KR102706246B1 (ko) | 2019-06-05 | 2019-06-05 | 차량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0624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416758B (zh) * | 2022-08-10 | 2024-07-09 | 岚图汽车科技有限公司 | 一种地板骨架总成、地板总成以及车辆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69086A1 (ja) * | 2011-11-07 | 2013-05-16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の樹脂フロア構造 |
JP5988167B2 (ja) * | 2013-09-25 | 2016-09-07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自動車の車体構造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6286A (ko) | 2016-12-07 | 2018-06-1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복합재질 센터플로어 |
KR102588926B1 (ko) * | 2016-12-13 | 2023-10-1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체 하부구조 |
-
2019
- 2019-06-05 KR KR1020190066473A patent/KR10270624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69086A1 (ja) * | 2011-11-07 | 2013-05-16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の樹脂フロア構造 |
JP5988167B2 (ja) * | 2013-09-25 | 2016-09-07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自動車の車体構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9938A (ko) | 2020-1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E112014002863B4 (de) | Fahrzeugrahmenstruktur | |
RU2468953C1 (ru) | Конструкция кузова автомобиля | |
DE69002127T2 (de) | Fahrzeugaufbau. | |
EP1897787B1 (en) | Car body frame member | |
EP1532040B1 (de) | Kraftwagen-karosserie mit einer tragstruktur aus grossformatigen teilmodulen | |
US20040080188A1 (en) | Rear vehicle body structure | |
DE102012006528A1 (de) | Bodenstruktur einer Kraftfahrzeugkarosserie | |
MX2007011004A (es) | Bastidor para el techo de un vehiculo. | |
DE102011117682A1 (de) | Längsrahmen für die Unterbaustruktur eines Kraftfahrzeuges und Kraftfahrzeug-Unterbaustruktur | |
KR102706246B1 (ko) | 차량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 | |
DE102010021994A1 (de) | Fahrzeugkarosserieaufbau im Fersenblechbereich einer Insassenkabine | |
DE102017007357A1 (de) | Luftstrom-Glättungsstruktur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m Glätten eines Luftstroms | |
JP7259580B2 (ja) | 側部車体構造 | |
DE102007039315A1 (de) | Transporter-Fahrzeug | |
CN111284567A (zh) | 车身构造 | |
CN109109893B (zh) | 轨道车辆的底架组件及轨道车辆 | |
US10822040B2 (en) | Roof panel assembly of vehicle | |
CN112203926B (zh) | 车身侧面板 | |
DE19802092A1 (de) | Boden-Konstruktion am kippbaren Fahrerhaus eines Lastkraftwagen | |
DE102008020435B4 (de) | Fahrzeugdach | |
DE19709347C1 (de) | Tragstruktur im Radhausbereich einer Kraftfahrzeugkarosserie | |
CN210133187U (zh) | 一种汽车前围板和前地板的加强结构 | |
DE102010054688A1 (de) | Bodenstruktur für ein Kraftfahrzeug, Fahrzeugkarosserie und Kraftfahrzeug | |
DE102011089164B4 (de) | Anordnung eines Sitzträgerrahmens an einem Fahrzeugboden für einen Kraftwagen | |
DE102006015415B4 (de) | Karosserie für einen Personenkraftwag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