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681324B1 - 뿜칠 단열가벽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뿜칠 단열가벽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1324B1
KR102681324B1 KR1020230134065A KR20230134065A KR102681324B1 KR 102681324 B1 KR102681324 B1 KR 102681324B1 KR 1020230134065 A KR1020230134065 A KR 1020230134065A KR 20230134065 A KR20230134065 A KR 20230134065A KR 102681324 B1 KR102681324 B1 KR 102681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are
galvalume steel
steel plate
spray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4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성오
장경아
이정윤
류재희
Original Assignee
류성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성오 filed Critical 류성오
Priority to KR1020230134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13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1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13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of plastic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ying, e.g. plas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4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covering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뿜칠 단열가벽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건물의 바닥과 천장 사이에 하지철물(下持鐵物)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하지철물의 내측에 제1 갈바륨강판을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갈바륨강판의 내면에 각목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갈바륨강판의 내면에 발포단열층을 뿜칠하는 단계와, 상기 발포단열층의 내면에 제2 갈바륨강판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열가벽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뿜칠 단열가벽의 시공방법{Construction process for spray coating heat insulation free-standing wall}
본 발명은 뿜칠 단열가벽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건물의 바닥과 천장 사이에 하지철물(下持鐵物)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하지철물의 내측에 제1 갈바륨강판을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갈바륨강판의 내면에 각목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갈바륨강판의 내면에 발포단열층을 뿜칠하는 단계와, 상기 발포단열층의 내면에 제2 갈바륨강판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열가벽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뿜칠(spray coating)은 도장법의 하나로 압축 공기를 통해 도료를 미립자 상태로 분무하여 도포하는 공법의 하나이다. 이러한 뿜칠 공법은 건물의바닥이나 벽면 등에 폴리우레탄폼을 분무하여 단열 시공을 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특허 제10-1759448호(2017년 07월 12일)에는 수성 폴리우레탄 수지 분산체와 수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마그네슘, 활석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단열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뿜칠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특허 제10-1913388호(2018년 10월 24일)에는 작업 현장에서 물만 섞어서 용이하게 뿜칠하여 시공할 수 있는 준불연 단열 마감재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제10-2435272호(2022년 08월 18일)에는, a) 건물 벽체에다 갈바륨 강판을 고정하기 위한 목재를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벽체에 경질우레탄 스프레이폼을 발포하는 단계, c) 상기 발포된 경질우레탄 스프레이폼 표면에 불연성 퍼라이트 모르타르를 뿜칠하는 단계, 및 d) 상기 퍼라이트 모르타르 뿜칠 위에 갈바륨 강판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동 또는 냉장창고의 방열 시공공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뿜칠 단열 시공방법은, 건물 벽체에 직접 발포단열층을 뿜칠하기 때문에 벽체의 온도와 이에 접하는 실내 공기의 온도 차이가 벌어질 경우, 건물 내벽에 결로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특히 벽체가 없는 건물 기둥 사이에는 시공이 불가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특허 제10-1759448호(2017년 07월 12일) 특허 제10-1913388호(2018년 10월 24일) 특허 제10-2435272호(2022년 08월 18일)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열기능이 우수하고, 실내 측에 결로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없는 준불연성 뿜칠 단열가벽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물품 보관창고나 공장 등과 같은 건물의 벽체가 없는 기둥 사이에 가벽(Free-standing Wall) 형태로 설치할 수 있는 뿜칠 단열가벽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가벽’이라 함은, 건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내력벽이나 기둥 사이에 내부공간을 차단 또는 분할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벽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가벽은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철거하거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외면’과 ‘내면’, 그리고 ‘외측’과 ‘내측’은 하나의 부재에서 서로 반대쪽을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뿜칠 단열가벽의 시공방법은,
A) 건물의 벽체가 없는 바닥과 천장 사이에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진 하지수직재(11)와 하지수평재(12)를 격자 구조로 배치하여 하지철물(10)을 설치하는 단계와;
B) 상기 하지철물(10)의 내측에 제1 갈바륨강판(20)을 부착하는 단계와;
C) 상기 제1 갈바륨강판(20)의 내면에 소정의 높이(H1)로 각목프레임(30)을 설치하는 단계와;
D) 상기 제1 갈바륨강판(20)의 내면에 상기 각목프레임(20)의 단부가 노출되는 두께로 폴리우레탄폼을 뿜칠하여 발포단열층(40)을 도포하는 단계와;
E) 상기 발포단열층(40)의 내면에 제2 갈바륨강판(50)을 덮고 이를 각목프레임(30)의 노출단부에 부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지철물(10)을 구성하는 하지수직재(11)의 상하 단부는 각각 L자형 앵커브라켓(13)과 앵커볼트(13a)를 이용하여 건물 바닥 및 천장에 고정하고, 상기 하지수평재(12)의 좌우 단부는 각각 L자형 고정브라켓(14)과 고정볼트(14a)를 이용하여 상기 하지수직재(11) 또는 건물 기둥 사이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목프레임(30)은, 소정 길이로 절단되어 제1 갈바륨강판(20)의 내면에 나란히 부착되는 고정각목(31)과, 상기 고정각목(31)에 각각 지지된 상태로 세워지는 세움각목(32)과, 상기 세움각목(32)의 단부에 지지되어 제1 갈바륨강판(20)의 내면에서 소정의 높이(H1) 만큼 이격된 상태로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가로각목(3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가벽은 발포단열층(40)과 함께 단열기능을 하는 공기층이 겹겹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단열기능이 우수하고, 특히 실내 측에 결로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가벽은, 물품 보관창고나 공장 등 건물의 외벽에는 물론, 벽체가 없는 건물 기둥 사이에도 가벽 형태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지철물(10)이 설치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
도 2는 상기 하지철물(10)을 구성하는 하지수직재(11)와 하지수평재(12)의 고정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각목프레임(3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제1 갈바륨강판(20)의 내면에 각목프레임(30)이 설치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
도 5는 제1 갈바륨강판(20)의 내면에 발포단열층(40)이 뿜칠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
도 6은 내측가벽이 마감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므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종래기술에 소개되어 있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사항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뿜칠 단열가벽의 시공방법은, A) 하지철물(下持鐵物) 설치단계와, B) 제1 갈바륨강판 부착단계, C) 각목프레임 설치단계, D) 발포단열층 도포단계, 그리고 E) 제1 갈바륨강판 부착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A) 하지철물 설치단계에서는, 건물의 벽체가 없는 바닥과 천장 사이에 다수개의 하지수직재(11)와 하지수평재(12)를 격자구조로 배치하여 하지철물(10)을 설치한다. 상기 하지수직재(11)와 하지수평재(12)는 상용화 되어 있는 사각 금속파이프를 사용하되, 규격이 같은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규격이 다른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지철물(10)은 첨부 도 1과 같이 건물의 벽체가 없는 바닥과 천장 사이 또는 기둥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라 시공되는 단열벽체는 건물의 내부공간을 분할하거나, 내부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는 가벽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첨부 도 2와 같이, 상기 하지수직재(11)는 상하 단부가 각각 L자형 앵커브라켓(13)과 앵커볼트(13a)에 의해 건물 바닥 및 천장에 고정되고, 하지수평재(12)는 좌우 단부가 각각 L자형 고정브라켓(14)과 고정볼트(14a)에 의해 상기 하지수직재(11) 또는 건물 기둥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B) 제1 갈바륨강판 부착단계에서는, 상기 하지철물(10)의 내측에 제1 갈바륨강판(20)을 부착, 고정한다. 상기 제1 갈바륨강판(20)은 예컨대 두께가 0.5mm인 것이 바람직하고, 통상적인 리벳 등을 사용하여 하지철물(10)에 부착할 수 있다.
다음 C) 각목프레임 설치단계에서는 상기 제1 갈바륨강판(20)의 내면에 소정의 높이(H1)로 각목프레임(30)을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각목프레임(30)은 도 3과 같이 고정각목(31)과 세움각목(32) 및 가로각목(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각목(31)은 통상적인 각목을 소정 길이, 예컨대 15~20 Cm 정도로 절단한 것으로, 제1 갈바륨강판(20)의 내면에 나란히 부착되며, 나사못 등을 퉁해서 하지철물(10)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세움각목(32)은 상기 고정각목(31)에 각각 지지된 상태에서 제1 갈바륨강판(20)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설치된다.
마지막으로 가로각목(33)은 상기 세움각목(32)의 단부에 지지되는 것으로, 제1 갈바륨강판(20)의 내면에서 소정의 높이(H1) 만큼 이격된 상태로 지면에 대하여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첨부 도 4는 제1 갈바륨강판(20)의 내면에 각목프레임(30)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각목프레임(30)을 구성하는 고정각목(31)과 세움각목(32) 및 가로각목(33)은 도 3과 같이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도 4와 같이 고정각목(31)과 가로각목(33)은 지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세움각목(32)은 이들과 교차하도록 1 갈바륨강판(2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다음 D) 발포단열층 도포단계에서는, 상기 제1 갈바륨강판(20)의 내면에 폴리우레탄폼을 뿜칠하여 발포단열층(40)을 도포한다. 이때, 상기 폴리우레탄폼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뿜칠할 수 있고, 발포단열층(40)은 각목프레임(20)의 단부가 노출되는 두께, 구체적으로 15~25Cm의 두께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단열층(40)의 두께가 10Cm 이상일 경우 뿜칠할 때 폴리우레탄폼이 밑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1차 뿜칠층과 2차 뿜칠층으로 나뉘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발포단열층(40) 전체 두께를 절반 정도, 구체적으로 10cm 정도를 1차로 뿜칠하여 경화시키고, 그 위에 와이어메쉬를 배치하여 각목프레임(30)에 고정한 다음, 그 위에 나머지 두께를 2차로 뿜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단열층(40)의 내면에는 질석을 포함하는 불연층(41)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 도 5는 제1 갈바륨강판(20)의 내면에 발포단열층(40)이 뿜칠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상기 발포단열층 도포단계가 완료되면, 도 5와 같이 가로각목(33)의 일면이 발포단열층(40)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
마지막 E) 제2 갈바륨강판 부착단계에서는 상기 발포단열층(40)의 내면에 제2 갈바륨강판(50)을 덮고 이를 각목프레임(30)의 노출단부, 즉 가로각목(33)의 노출면에 고정하여 단열벽체를 마감한다. 첨부 도 6은 제2 갈바륨강판(50)이 부착된 단열벽체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시공되는 단열가벽은 0.20 KN/m2의 중력하중과 0.20 KN/m2의 횡하중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지철물(10)이 이러한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하지수직재(11)는 규격이 가로 15 Cm, 세로 10 Cm, 두께 0.32 Cm인 사각 파이프를 2~3m의 간격으로 설치하고, 하지수평재(12)는 규격이 가로 10 Cm, 세로 5 Cm, 두께 0.23 Cm인 사각 파이프를 1.5~ 2.5m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10) 하지철물(下持鐵物) (11) 하지수직재
(12) 하지수평재 (13) 앵커브라켓
(13a) 앵커볼트 (14) 고정브라켓
(14a) 고정볼트 (20) 제1 갈바륨강판
(30) 각목프레임 (31) 고정각목
(32) 세움각목 (33) 가로각목
(40) 발포단열층 (41) 불연층
(50) 제2 갈바륨강판
(H1) 각목프레임의 높이 (W) 건물 외벽

Claims (5)

  1. A) 건물의 벽체가 없는 바닥과 천장 사이에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진 하지수직재(11)와 하지수평재(12)를 격자 구조로 배치하여 하지철물(10)을 설치하는 단계와;
    B) 상기 하지철물(10)의 내측에 제1 갈바륨강판(20)을 부착하는 단계와;
    C) 상기 제1 갈바륨강판(20)의 내면에 소정의 높이(H1)로 각목프레임(30)을 설치하는 단계와;
    D) 상기 제1 갈바륨강판(20)의 내면에 상기 각목프레임(30)의 단부가 노출되는 두께로 폴리우레탄폼을 뿜칠하여 발포단열층(40)을 도포하는 단계와;
    E) 상기 발포단열층(40)의 내면에 제2 갈바륨강판(50)을 덮고 이를 각목프레임(30)의 노출단부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지철물(10)을 구성하는 하지수직재(11)의 상하 단부는 각각 L자형 앵커브라켓(13)과 앵커볼트(13a)를 이용하여 건물 바닥 및 천장에 고정하고, 상기 하지수평재(12)의 좌우 단부는 각각 L자형 고정브라켓(14)과 고정볼트(14a)를 이용하여 상기 하지수직재(11) 또는 건물 기둥 사이에 고정하며,
    상기 하지수직재(11)는 규격이 가로 15 Cm, 세로 10 Cm, 두께 0.32 Cm인 사각 파이프를 2~3m의 간격으로 설치하고, 상기 하지수평재(12)는 규격이 가로 10 Cm, 세로 5 Cm, 두께 0.23 Cm인 사각 파이프를 1.5~ 2.5m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뿜칠 단열가벽의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목프레임(30)은, 소정 길이로 절단되어 제1 갈바륨강판(20)의 내면에 나란히 부착되는 고정각목(31)과, 상기 고정각목(31)에 각각 지지된 상태로 세워지는 세움각목(32)과, 상기 세움각목(32)의 단부에 지지되어 제1 갈바륨강판(20)의 내면에서 소정의 높이(H1)로 이격된 상태로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가로각목(3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뿜칠 단열가벽의 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단열층(40)은 1차 뿜칠층과 2차 뿜칠층으로 나뉘어 도포하고, 상기 1차 뿜칠층과 2차 뿜칠층 사이에는 보강용 와이어메쉬를 배치하여 각목프레임(30)에 고정하며, 상기 발포단열층(40)의 표면에는 질석을 포함하는 불연층(41)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뿜칠 단열가벽의 시공방법
KR1020230134065A 2023-10-10 2023-10-10 뿜칠 단열가벽의 시공방법 KR102681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4065A KR102681324B1 (ko) 2023-10-10 2023-10-10 뿜칠 단열가벽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4065A KR102681324B1 (ko) 2023-10-10 2023-10-10 뿜칠 단열가벽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81324B1 true KR102681324B1 (ko) 2024-07-03

Family

ID=91899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4065A KR102681324B1 (ko) 2023-10-10 2023-10-10 뿜칠 단열가벽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8132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9448B1 (ko) 2016-11-18 2017-07-19 주식회사 홍성이엔지 단열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뿜칠 시공방법
KR101913388B1 (ko) 2018-05-11 2018-10-30 (주)홍성이엔지 준불연 단열 마감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27898B1 (ko) * 2020-01-09 2020-06-29 셀파산업 주식회사 경질우레탄 단열재와 내화피복재를 복합 적층 형성하는 단열구조
KR102140957B1 (ko) * 2020-02-11 2020-08-05 (주)가나외장 내진성능 개선형 내진패널
KR102435272B1 (ko) 2022-03-10 2022-08-23 지성이에스 주식회사 냉동 또는 냉장 창고 방열 시공 공법
KR102572386B1 (ko) * 2023-02-13 2023-08-30 주식회사 엘제이건설 저온창고 내부기둥의 단열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9448B1 (ko) 2016-11-18 2017-07-19 주식회사 홍성이엔지 단열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뿜칠 시공방법
KR101913388B1 (ko) 2018-05-11 2018-10-30 (주)홍성이엔지 준불연 단열 마감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27898B1 (ko) * 2020-01-09 2020-06-29 셀파산업 주식회사 경질우레탄 단열재와 내화피복재를 복합 적층 형성하는 단열구조
KR102140957B1 (ko) * 2020-02-11 2020-08-05 (주)가나외장 내진성능 개선형 내진패널
KR102435272B1 (ko) 2022-03-10 2022-08-23 지성이에스 주식회사 냉동 또는 냉장 창고 방열 시공 공법
KR102572386B1 (ko) * 2023-02-13 2023-08-30 주식회사 엘제이건설 저온창고 내부기둥의 단열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8781B2 (en) Barrier wall and method of forming wall panels between vertical wall stiffeners with support members extending partially through the wall panels
EP3258021A1 (en) Construction module and modular construction system comprising one or more of said construction modules
KR102681324B1 (ko) 뿜칠 단열가벽의 시공방법
CN214786284U (zh) 一种钢结构装配式住宅外围护体系
JP2017014745A (ja) 建物の外周壁構造
KR102460796B1 (ko) 벽식 구조를 갖는 조립식 건축용 모듈 유닛
JP6775138B2 (ja) 建物ユニット
US634145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pedited construction of a building
JP7229085B2 (ja) 間仕切耐火壁
JP6754554B2 (ja) 建物の外周壁構造及び建物の外周壁の改修方法
KR102711282B1 (ko) 건축물 마감재용 무용접 보강마감 시스템
JP5926840B2 (ja) 壁の改修方法
CN110748107A (zh) 一种装配式钢结构钢柱装饰结构及方法
US120658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odular building structures based on site-specific conditions
JP7178730B2 (ja) 躯体ユニット及び簡易構造物
JP7545273B2 (ja) 耐火断熱装置、耐火断熱方法、および耐火断熱構造
WO2000047836A1 (en) Wall construction system
JP3142995B2 (ja) ユニット式建物
JPH05214785A (ja) 建築物の床施工法
JP3147673B2 (ja) 鉄骨造り建築物における耐火性間仕切壁の設置工法
RU2609035C2 (ru) Каркасный блок для модуль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здания и система таких блоков
JP6765209B2 (ja) 壁構造および壁構造の構築方法
JP2024065922A (ja) 耐火気密構造及び耐火建築物
JP2023054269A (ja) 耐震天井構造
JP6427013B2 (ja) 木造建物及びその外周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10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25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7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