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045B1 - 충돌센서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에어백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충돌센서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에어백 제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61045B1 KR102661045B1 KR1020190060968A KR20190060968A KR102661045B1 KR 102661045 B1 KR102661045 B1 KR 102661045B1 KR 1020190060968 A KR1020190060968 A KR 1020190060968A KR 20190060968 A KR20190060968 A KR 20190060968A KR 102661045 B1 KR102661045 B1 KR 1026610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collision
- airbag control
- sensor
- groun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60 explo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90 polydopam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충돌센서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에어백 제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충돌센서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에어백 제어 장치는, 충돌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부와, 차량에 장착된 차량 섀시 그라운드에 접지되는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충돌센서부; 및 충돌센서부의 신호출력부와 연결되어 신호출력부로부터 충돌 감지 신호를 입력받고, 차량 섀시 그라운드에 접지되어 충돌센서부의 그라운드부와 차량 섀시 그라운드를 공유하는 에어백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충돌센서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에어백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 개의 신호선이 구비된 충돌센서와 차량 섀시 그라운드(Ground)를 통해 연결되어, 충돌 신호를 입력받아 에어백 제어를 수행하는 충돌센서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에어백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은 탑승자가 핸들이나 유리창에 부딪히거나 안면부의 심각한 손상을 막기 위해 고안되어, 차량 충돌 때 충격으로부터 자동차 승객을 보호하는 장치로, 안전벨트와 더불어 대표적인 탑승객 보호 장치이다. 또한 에어백이나 안전벨트는 사고를 예방하는 차원이 아닌 사고가 났을 때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부품으로, 수동적 안전장치라고 한다. 이러한 에어백은 차량 사고 발생 시 운전자나 승객에게 가해지는 충격량을 경감시키고, 생명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으로, 오늘날 대부분의 차량에 장착되어 상당히 보편화된 추세이다.
에어백 제어기(Airbag Control Unit, ACU)는 검지 시스템과 에어백 모듈로 이루어져 있는데, 검지 시스템은 센서, 배터리, 진단장치 등으로 이루어지며, 에어백 모듈은 에어백과 충격감지시스템, 작동기체팽창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에어백 제어기는 센서에 의해 충돌이 감지되면 작동기체장치가 폭발되며, 점화가 되면 폭발가스로 인해 백이 순간적으로 부풀게 된다. 그리고 에어백에 사용되는 가스는 고체의 급격한 연소로 발생되는 고압가스나 고압가스 용기에 저장된 기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에어백 제어기는 에어백의 종류와 차량마다 작동되는 조건이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 정면 충돌 에어백은 유효충돌 속도가 30km 이상일 때 작동될 수 있다. 유효충돌속도란 자동차에 충격이 발생했을 때의 속도를 의미한다.
충돌로부터 에어백이 완전히 작동되는 시간은 보통 0.03초~0.05초 사이로 눈 깜박이는 시간보다 빠른 속도로 부풀어 올라 운전자를 보호하게 된다. 자동차 내부에는 에어백을 충격 발생 시 터뜨리기 위해 차종에 따라 3~5개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며, 충돌센서(충격감지센서)가 오작동 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안전센서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에어백 제어기에는 충돌 값을 측정하는 충돌센서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충돌센서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나, 특히 위성(Satellite)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위성 가속도 센서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제어기와 두 개의 PIN(신호선, 그라운드(GND)선), 즉 두 개의 와이어로 연결된다. 위성 가속도 센서의 신호선과 그라운드선은 에어백 제어기의 커넥터로 직접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가속도 신호를 송신하고, 에어백 제어기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충돌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자율 주행 차량의 시대가 도래하고, 점차 안전 법규가 강화됨에 따라 보다 안전한 에어백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차량에 장착되는 충돌센서가 많아지고 있다. 이때 충돌센서는 직접 에어백 제어기와 연결되어 가속도 신호를 송신하며, 이에 따라 물리적인 와이어가 늘어나고 에어백 제어기의 커넥터도 커지는 문제가 있다. 즉 충돌센서의 수에 따라 차량 내에 와이어 수가 늘어나고 에어백 제어기의 커넥터가 복잡해져 와이어 단선 및 단락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커넥터의 크기가 증가하여 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한 개의 신호선이 구비된 충돌센서와 차량 섀시 그라운드(Ground)를 통해 연결되어, 충돌 신호를 입력받아 에어백 제어를 수행하는 충돌센서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에어백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충돌센서 연결 구조는, 충돌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부와, 차량에 장착된 차량 섀시 그라운드에 접지되는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충돌센서부; 및 상기 충돌센서부의 신호출력부와 연결되어 상기 신호출력부로부터 충돌 감지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차량 섀시 그라운드에 접지되어 상기 충돌센서부의 그라운드부와 상기 차량 섀시 그라운드를 공유하는 에어백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어백 제어부는, 상기 충돌센서부와 핀투핀(PIN to PIN)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그라운드부는, 그라운드 핀(GND PIN)과 부싱 핀(BUSHING PIN)이 연결되어 하나의 핀으로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부싱 핀이 차량 섀시 그라운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은, 상기 충돌센서부와 에어백 제어부가 공통으로 연결되는 차량 섀시 그라운드를 통해 차량 노이즈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충돌센서부와 에어백 제어부의 그라운드 노이즈 레벨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충돌센서부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신호출력부가 각각 상기 에어백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그라운드부는 차량 섀시 그라운드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충돌센서부는, 상기 에어백 제어부와의 연결 와이어가 한 개의 선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충돌센서 연결 구조를 이용한 에어백 제어 장치는, 충돌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부와, 차량에 장착된 차량 섀시 그라운드에 접지되는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충돌센서부; 및 상기 충돌센서부의 신호출력부와 연결되어 상기 신호출력부로부터 충돌 감지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차량 섀시 그라운드에 접지되어 상기 충돌센서부의 그라운드부와 상기 차량 섀시 그라운드를 공유하는 에어백 제어부;를 포함하는 충돌센서 연결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에어백 제어부는, 상기 충돌센서부의 신호출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충돌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에어백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충돌센서부는, 위성(satellite)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충돌센서부와 에어백 제어부가 공통으로 연결되는 차량 섀시 그라운드를 통해 차량 노이즈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충돌센서부와 에어백 제어부의 그라운드 노이즈 레벨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충돌센서부는, PFIS(Passenger Front Impact Sensor), CFIS(Center Front Impact Sensor), DFIS(Driver Front Impact Sensor), PSIS(Passenger Side Impact Sensor), RPSIS(Rear Passenger Side Impact Sensor), DSIS(Driver Side Impact Sensor) 및 RDSIS(Rear Driver Side Impact Senso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돌센서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에어백 제어 장치는, 한 개의 신호선이 구비된 충돌센서와 차량 섀시 그라운드(Ground)를 통해 연결되어, 충돌 신호를 입력받아 에어백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충돌센서의 수에 따라 차량 내에 늘어나는 와이어 수를 줄일 수 있고 에어백 제어기의 커넥터 수를 줄여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 내 와이어 및 에어백 제어기의 커넥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돌센서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에어백 제어 장치는, 에어백 제어기와 충돌센서 간의 연결 와이어 수를 줄여 와이어 단선 및 단락의 위험성을 줄이고 고장률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섀시 그라운드(Ground)를 직접적으로 공유함으로써 차체 노이즈에 대해 강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어백 제어 장치의 충돌센서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제어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제어 장치의 복수 개의 충돌센서와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제어 장치의 충돌센서의 외부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제어 장치의 충돌센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제어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제어 장치의 복수 개의 충돌센서와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제어 장치의 충돌센서의 외부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제어 장치의 충돌센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돌센서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에어백 제어 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제어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제어 장치의 복수 개의 충돌센서와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제어 장치의 충돌센서의 외부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제어 장치의 충돌센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충돌센서 연결 구조를 이용한 에어백 제어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돌센서 연결 구조를 이용한 에어백 제어 장치는, 충돌센서부(10) 및 에어백 제어부(20)를 포함하며, 상기 충돌센서부(10)와 에어백 제어부(20)는 차량 섀시 그라운드(1)에 접지될 수 있다. 즉, 충돌센서부(10)와 에어백 제어부(20)는 차량 섀시 그라운드(1)를 직접적으로 공유하여 연결될 수 있다.
먼저 본 실시예는 에어백 제어부(20)의 충돌 값을 측정하는 충돌센서부(10)의 구조의 간소화를 위한 것이다.
종래에는 충돌센서부(10)의 두 개의 와이어로 에어백 제어부(20)의 커넥터와 직접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충돌 감지 신호를 송신하도록 하였으나, 차량 내에 충돌센서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와이어 수가 증가하여 구조가 복잡해지고 와이어 단선 및 단락의 위험성 및 고장률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충돌센서부(10)의 에어백 제어부(20)와의 연결 와이어를 두 개에서 한 개의 선으로 줄여 신호 연결 방식을 바꾸고 충돌센서부(10)와 에어백 제어부(20)가 차량 섀시 그라운드(1)에 공통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와이어 단선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충돌센서부(10)는 신호출력부(12) 및 그라운드부(14)를 포함하며, 신호출력부(12)는 에어백 제어부(20)와 신호선이 연결되어 충돌 감지 신호를 에어백 제어부(20)에 출력하며, 그라운드부(14)는 차량에 장착된 차량 섀시 그라운드(1)에 접지되어 에어백 제어부(20)의 그라운드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에어백 제어부(20)는 충돌센서부(10)와 핀투핀(PIN to PIN) 방식으로 연결되며, 따라서 신호선 및 그라운드선은 신호 핀 및 그라운드 핀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에어백 제어부(20)는 차량 섀시 그라운드(1)에 접지되어, 차량 섀시 그라운드(1)를 통해 충돌센서부(10)의 그라운드부(14)와 연결되며, 충돌센서부(10)의 신호출력부(12)로부터 충돌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에어백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충돌센서부(10)와 에어백 제어부(ACU, 20)가 공통으로 연결되는 차량 섀시 그라운드(1)를 통해 차량 노이즈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충돌센서부(10)와 에어백 제어부(20)의 그라운드 노이즈 레벨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에어백 제어부(20)의 외부의 차체 전원(Battery, 섀시 그라운드)이 차량 노이즈에 의해 흔들리게 되어도, 충돌센서부(10)와 에어백 제어부(20)가 동일한 차량 섀시 그라운드(1)로 직접 연결되어, 충돌 감지 값, 즉 가속도 데이터의 기준이 되는 그라운드가 동일하게 유지되므로 데이터 레벨과 유효성, 즉 노이즈에 의한 신호 왜곡에 강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충돌센서부(10)가 차량 내 다양한 위치에 구비된 복수 개의 충돌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한 개의 신호선, 즉 신호출력부(12)가 각각 에어백 제어부(20)와 연결되고, 그라운드부(14)는 차량 섀시 그라운드(1)를 통해 연결된다.
즉, 충돌센서부(10)는 한 개의 와이어만 이용하여 에어백 제어부(20)에 직접 연결되고 충돌센서 내부 부싱을 통해 자체에서 차량 섀시 그라운드(1)에 연결되며, 이에 차량 섀시 그라운드(1)를 통해 들어오는 차량 노이즈에 대해 에어백 제어부(20)와 충돌센서부(10)의 복수 개의 충돌센서들과의 그라운드 노이즈 레벨을 동일하게 하여 데이터 유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충돌센서부(10)는 PFIS(Passenger Front Impact Sensor), CFIS(Center Front Impact Sensor), DFIS(Driver Front Impact Sensor), PSIS(Passenger Side Impact Sensor), RPSIS(Rear Passenger Side Impact Sensor), DSIS(Driver Side Impact Sensor), RDSIS(Rear Driver Side Impact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충돌센서부(10)의 외부 구조를 살펴보면, 충돌센서부(10)는 한 개의 신호출력부(12)가 구비되고, 그라운드부(14)는 부싱(Bushing)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부싱측이 차량에 장착되고 차량 섀시 그라운드(1) 역할을 하게 된다. 다만 이러한 충돌센서부(10)의 구조는 구체적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충돌센서부(10)의 내부 구조를 살펴보면, 충돌센서부(10)의 그라운드부(14)는 그라운드 핀(GND PIN)과 부싱 핀(BUSHING PIN)이 연결되어 하나의 핀으로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부싱 핀은 차량 섀시 그라운드에 연결될 수 있다.
삭제
이러한 부싱 핀 구조는 센서 하우징 사출 시, 인서트 사출로 고정될 수 있으며, 연결 형상 및 꺾임 방향 및 두께, 각도는 하우징의 형상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돌센서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에어백 제어 장치는, 한 개의 신호선이 구비된 충돌센서와 차량 섀시 그라운드(Ground)를 통해 연결되어, 충돌 신호를 입력받아 에어백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충돌센서의 수에 따라 차량 내에 늘어나는 와이어 수를 줄일 수 있고 에어백 제어기의 커넥터 수를 줄여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 내 와이어 및 에어백 제어기의 커넥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돌센서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에어백 제어 장치는, 에어백 제어기와 충돌센서 간의 연결 와이어 수를 줄여 와이어 단선 및 단락의 위험성을 줄이고 고장률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섀시 그라운드(Ground)를 직접적으로 공유함으로써 차체 노이즈에 대해 강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차량 섀시 그라운드
10 : 충돌센서부
12 : 신호출력부
14 : 그라운드부
20 : 에어백 제어부
10 : 충돌센서부
12 : 신호출력부
14 : 그라운드부
20 : 에어백 제어부
Claims (11)
- 충돌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부와, 차량에 장착된 차량 섀시 그라운드에 접지되는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충돌센서부; 및
상기 충돌센서부의 신호출력부와 연결되어 상기 신호출력부로부터 충돌 감지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차량 섀시 그라운드에 접지되어 상기 충돌센서부의 그라운드부와 상기 차량 섀시 그라운드를 공유하는 에어백 제어부;를 포함하는 충돌센서 연결 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제어부는,
상기 충돌센서부와 핀투핀(PIN to PIN)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센서 연결 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부는,
그라운드 핀(GND PIN)과 부싱 핀(BUSHING PIN)이 연결되어 하나의 핀으로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부싱 핀이 차량 섀시 그라운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센서 연결 구조.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센서부와 상기 에어백 제어부가 공통으로 연결되는 차량 섀시 그라운드를 통해 차량 노이즈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충돌센서부와 상기 에어백 제어부가 동일한 차량 섀시 그라운드로 직접 연결되어, 상기 충돌센서부와 상기 에어백 제어부의 그라운드 노이즈 레벨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센서 연결 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센서부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신호출력부가 각각 상기 에어백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그라운드부는 차량 섀시 그라운드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센서 연결 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센서부는,
상기 에어백 제어부와의 연결 와이어가 한 개의 선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센서 연결 구조.
- 충돌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부와, 차량에 장착된 차량 섀시 그라운드에 접지되는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충돌센서부; 및
상기 충돌센서부의 신호출력부와 연결되어 상기 신호출력부로부터 충돌 감지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차량 섀시 그라운드에 접지되어 상기 충돌센서부의 그라운드부와 상기 차량 섀시 그라운드를 공유하는 에어백 제어부;를 포함하는 충돌센서 연결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에어백 제어부는,
상기 충돌센서부의 신호출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충돌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에어백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센서 연결 구조를 이용한 에어백 제어 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센서부는,
위성(satellite)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센서 연결 구조를 이용한 에어백 제어 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센서부와 상기 에어백 제어부가 공통으로 연결되는 차량 섀시 그라운드를 통해 차량 노이즈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충돌센서부와 상기 에어백 제어부가 동일한 차량 섀시 그라운드로 직접 연결되어, 상기 충돌센서부와 상기 에어백 제어부의 그라운드 노이즈 레벨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센서 연결 구조를 이용한 에어백 제어 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센서부는,
PFIS(Passenger Front Impact Sensor), CFIS(Center Front Impact Sensor), DFIS(Driver Front Impact Sensor), PSIS(Passenger Side Impact Sensor), RPSIS(Rear Passenger Side Impact Sensor), DSIS(Driver Side Impact Sensor) 및 RDSIS(Rear Driver Side Impact Senso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센서 연결 구조를 이용한 에어백 제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0968A KR102661045B1 (ko) | 2019-05-24 | 2019-05-24 | 충돌센서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에어백 제어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0968A KR102661045B1 (ko) | 2019-05-24 | 2019-05-24 | 충돌센서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에어백 제어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4854A KR20200134854A (ko) | 2020-12-02 |
KR102661045B1 true KR102661045B1 (ko) | 2024-04-26 |
Family
ID=73791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0968A KR102661045B1 (ko) | 2019-05-24 | 2019-05-24 | 충돌센서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에어백 제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61045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071421A (ja) | 2008-08-28 | 2015-04-16 | ティーアールダブリュー・オートモーティブ・ユーエス・エルエルシー | 作動可能な安全装置を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39600A (ko) * | 1995-12-16 | 1997-07-24 | 전성원 | 자동차 에어백 오동작 방지 장치 |
KR101541283B1 (ko) * | 2013-12-23 | 2015-08-05 |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주) | 차량용 에어백의 충격 감지장치 |
KR102182830B1 (ko) * | 2014-08-12 | 2020-11-25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차량용 압력식 측면 충돌 센서 및 그 장착 구조 |
-
2019
- 2019-05-24 KR KR1020190060968A patent/KR10266104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071421A (ja) | 2008-08-28 | 2015-04-16 | ティーアールダブリュー・オートモーティブ・ユーエス・エルエルシー | 作動可能な安全装置を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4854A (ko) | 2020-1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35087B2 (en) | Collision determination apparatus for vehicle | |
US20110004377A1 (en) | Activation apparatus for occupant protection system | |
US7493983B2 (en) | System for detecting pedestrian colliding with vehicle | |
US8442725B2 (en) | Occupant protection device for vehicle | |
US8855884B1 (en) | Occupant protection system | |
US8903611B2 (en) | Vehicle-occupant protection system | |
US9586548B2 (en) | Method and control unit for detecting an impact of a collision object on a vehicle | |
JP2015009774A (ja) | 車両用衝突検知装置 | |
US7568543B2 (en) | Device for controlling restraining means in a vehicle | |
KR102661045B1 (ko) | 충돌센서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에어백 제어 장치 | |
JP7362200B2 (ja) | 乗員保護装置 | |
US6288636B1 (en) | Active occupant restraint system having an ignition bus line laid in a ring shape and/or in a stub shape | |
CN112793530A (zh) | 车辆气囊系统的碰撞传感器的功能安全校验方法及气囊控制器 | |
JP4407572B2 (ja) | 車両の衝突検知装置 | |
JP4203814B2 (ja) | 車両用乗員保護装置 | |
JP2012056543A (ja) | エアバッグ制御装置 | |
KR100603710B1 (ko) |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서 상대방 속도에 따른 에어백 전개제어 장치 및 방법 | |
JP5759933B2 (ja) | 乗員保護制御装置 | |
KR101627502B1 (ko) |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 | |
JP2013154838A (ja) | 乗員保護制御装置 | |
JP2007331577A (ja) | 車両用歩行者保護装置 | |
JP5229140B2 (ja) | 車両衝突判別装置 | |
KR19980054039U (ko) | 범퍼내의 에어백장치 | |
KR100552196B1 (ko) | 측면 에어벡 제어 시스템 | |
CN105835823A (zh) | 一种用于汽车追尾安全保护的安全气囊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