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632495B1 - 퓨어 화이트 컬러를 구현하기 위한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 - Google Patents

퓨어 화이트 컬러를 구현하기 위한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495B1
KR102632495B1 KR1020220066375A KR20220066375A KR102632495B1 KR 102632495 B1 KR102632495 B1 KR 102632495B1 KR 1020220066375 A KR1020220066375 A KR 1020220066375A KR 20220066375 A KR20220066375 A KR 20220066375A KR 102632495 B1 KR102632495 B1 KR 102632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yarns
light
fabric
polyes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6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67212A (ko
Inventor
김재홍
남성욱
황진년
최종덕
김희동
최익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원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원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원텍스
Priority to KR1020220066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495B1/ko
Publication of KR20230167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7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49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8Threads in which fibres, filaments, or yarns are wound with other yarns or filaments, e.g. wrap yarns, i.e. strands of filaments or staple fibres are wrapped by a helically wound binder yar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6Curtain heading tap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4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inorganic, e.g. basalt
    • D03D15/275Carbon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1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twis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D03D15/46Flat yarns, e.g. tapes or fil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colour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4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D06M15/24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containing chlorin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3Inside roller shades or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은 차광부와 투광부가 교번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차광부는 폴리에스테르 LM(Low Melt)사를 경사로 하고 폴리에스테르 FD(full dull)사를 위사로 하는 한 쌍의 외층 및 폴리에스테르 LM사를 경사로 하고 중간사를 위사로 하는 상기 한 쌍의 외층 사이의 중간층을 포함하는 3중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FD사는 복수의 화이트 원착사를 합사하여 ITY 가공한 다음 DTY 가공된, 200개 내지 250개의 필라멘트로 구성된 400d ~ 500d의 하이 멀티-필라멘트사(high multi-filament yarn)일 수 있다. 상기 중간사의 단면은 카본블랙 원착사를 포함하는 광흡수층 및 상기 광흡수층을 감싸는 화이트 컬러의 광반사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퓨어 화이트 컬러를 구현하기 위한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fabric for combination type blackout blinds to realize pure white color}
본 발명은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광부에서 한 쌍의 외층 사이에 마련된 중간층을 구성하는 중간사의 단면이 광흡수층과 이를 감싸는 광반사층으로 구성되어 있어 퓨어 화이트 컬러 구현이 용이한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에 관한 것이다.
블라인드는 거실, 방안, 사무실 등 유리창 또는 유리벽 공간에 설치되어 실내로 입사되는 외부 광 또는 시선을 차단하거나 채광량을 조절한다. 블라인드는 구조나 재질에 따라 롤 블라인드, 우드 블라인드, 버티칼 블라인드 등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이중 롤 블라인드인 콤비형 블라인드가 많이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콤비형 블라인드 원단은 메쉬 재질로 이루어져 빛을 투과할 수 있는 투광부와 다중직으로 이루어져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차광부가 수직방향으로 교번되게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차광부는 외층에서의 섬유 사이의 미세한 다수의 틈을 통해 빛이 투과하지 못하도록, 카본블랙이 혼합된 원착사로 중간층을 포함한다. 이때, 블라인드로 입사되는 빛은 중간층에서는 대부분 흡수되나 표면층에서는 반사되나, 특히 표면층이 화이트 색상이면, 외층의 섬유 사이로 중간층의 블랙 색상이 노출되어 퓨어 화이트 구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중간층을 구성하는 카본블랙 원착사의 외주를 화이트 광반사층으로 감싸줌으로써 퓨어 화이트 컬러를 구현하는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퓨어 화이트 컬러를 구현하는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은, 길이방향으로 교번되는 차광부와 투광부를 포함한다.
상기 차광부는, 폴리에스테르 LM(Low Melt)사를 경사로 하고 폴리에스테르 FD(full dull)사를 위사로 하는 한 쌍의 외층; 및 폴리에스테르 LM사를 경사로 하고 중간사를 위사로 하는 상기 한 쌍의 외층 사이의 중간층을 포함하는 3중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FD사는, 복수의 화이트 원착사를 합사하여 ITY 가공한 다음, DTY 가공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중간사의 단면은, 카본블랙 원착사를 포함하는 광흡수층; 및 상기 광흡수층을 감싸는 화이트 컬러의 광반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FD사는, TiO2를 2.5% ~ 3% 함유하며, 200개 내지 250개의 필라멘트로 구성된 400d ~ 500d의 하이 멀티-필라멘트사(high multi-filament yarn)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화이트 원착사는, 적어도 하나의 편평단면사 및 적어도 하나의 원형단면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반사층은, 화이트 컬러의 PVC 코팅층일 수 있다.
상기 광반사층은, 코어사인 상기 카본블랙 원착사를, 교차되게 반대방향으로 2중 커버링한, 화이트 컬러의 더블 이펙트사층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광반사층은, 상기 더블 이펙트사층의 감싸는 화이트 PVC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블 이펙트사는, 300TPM ~ 800TPM의 꼬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외층 및 상기 중간층은, 경사 립-스탑(rib-stop) 조직을 가질 수 있다.
3중직으로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은, 차광부에서, 중간층의 위사를 구성하는 카본블랙 원착사의 외주를 화이트 컬러의 광반사층으로 감싸고, 화이트 원착사를 합사하여 ITY 가공후 DTY 가공한 하이 멀티-필라멘트사를 외층의 위사로 포함하고 있으므로, 매우 높은 백색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퓨어 화이트 컬러를 구현하는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을 포함하는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10)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50)의 조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50)에 적용되는 선ITY, 후DTY 가공된 제1 폴리에스테르 FD사(54)와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선DTY, 후ITY 가공된 제2 폴리에스테르 FD사(54')의 측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50)의 외층(51)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상기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50)의 단면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50)의 중간층(52)의 위사를 구성하는 중간사(55)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6은 도 5의 (a)에 따른 중간사(55)를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50)의 단면사진이다.
도 7은 카본블랙 원착사와 도 5의 (a)에 따라 제조된 중간사와 도 5의 (b)에 따라 제조된 중간사의 컬러를 육안으로 비교하기 위한 사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50)의 조직구조와 기존 원단의 조직구조를 설명하 위한 사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50)에 대한 CCM L값을 측정한 시험성적서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 또는 기능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한 것일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퓨어 화이트 컬러를 구현하는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을 포함하는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10)를 나타낸다.
상기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10)는 상단의 권취봉(20)과 하단의 중량봉(30) 사이에 전면 및 후면 두 겹으로 권취되며 메쉬 재질로 이루어져 빛을 투과할 수 있는 투광부(30)와, 다중직으로 이루어져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차광부(40)가 수직방향으로 교번되게 형성된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50) 및 작동줄(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줄(60)을 당기면을 권취봉(20)이 정회전 혹은 역회전시켜 원단(50) 전후면의 투광부(30)를 일직선상에 위치시키면 외부의 빛이 내부로 유입되고, 전면의 투광부(30)와 후면의 차광부(40)를 일직선상에 위치시키면 외부의 빛을 차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50)의 조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차광부(50)는 한 쌍의 외층(51) 및 상기 한 쌍의 외층 사이에 마련된 중간층(52)을 포함하는 3중직 구조를 갖는다. 상기 한 쌍의 외층(51)에 있어서, 경사(54)는 폴리에스테르 LM(Low Melt)사이고, 위사(53)는 폴리에스테르 FD(full dull)사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 LM사는 저융점사로써 원단 제직 후 수행되는 180℃ ~ 200℃의 열고정 공정을 거치면 용융된 다음 고화되어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50)의 형태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고, 위사와 경사 사이의 공극을 매꾸어 차광부(50)에서 중간층(52)의 컬러 비침을 차단하여 백색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FD사는 화이트 컬러로 원착된 복수의 원착사(예컨대, 2 내지 3 가닥)를 합사하여 ITY(interlaced yarn) 가공한 다음 DTY(drawn textured yarn) 가공한 것일 수 있다. 이는 필라멘트사의 교락 형성과정에서 발생하는 인터 자국을 최소화하면서도 필라멘트사의 우수한 집속력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통상적으로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FD사는 DTY 가공을 한 다음 ITY 가공을 수행하는데, 이 경우에는 인터 자국이 본 발명에서보다 강하게 남아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50)에 적용되는 선ITY, 후DTY 가공된 제1 폴리에스테르 FD사(54)와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선DTY, 후ITY 가공된 제2 폴리에스테르 FD사(54')의 측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을 비교하면,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FD사(54)에는 인터 자국이 거의 식별되지 않으나,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FD사(54')에는 인터 자국이 선명하게 남아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선ITY 가공 후DTY 가공을 수행한 폴리에스테르 FD사를 적용하면, 인터 자국에 의한 비침 현상이 감소되어 선 DTY가공 후선ITY 가공을 수행한 폴리에스테르 FD사보다 퓨어 화이트 컬러 구현에도 더 용이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FD사는 TiO2를 2.5% ~ 3% 함유하여 SD(semi dull)사에 비하여 TiO2 함량이 높아, 자외선 차단기능을 가지면서도 중간층 컬러의 비침을 방지하는 효과가 좋아 퓨어 화이트 컬러 구현에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FD사는 200개 내지 250개의 필라멘트사로 구성된 400d ~ 500d의 하이 멀티-필라멘트사(high multi-filament yarn)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하이 멀티-필라멘트사라 함은, 블라인드 원단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FD사가 통상적으로 100개 내지 150개 정도의 필라멘트사로 구성된 400d ~ 500d인 것을 감안하여, 구성하는 필라멘트의 개수가 훤씬 많은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하이 필라멘트사를 사용하면, 원단을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FD사를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부드러워지며, 풍부한 필라멘트로 인하여 중간층(52)의 컬러 비침이 차단되어 퓨어 화이트 컬러 구현에도 유리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FD사를 구성하는 복수의 화이트 원착사는 적어도 하나의 편평단면사와 적어도 하나의 원형단면사가 합사되어 ITY 가공후 DTY 가공된 것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50)의 외층(51)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상기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50)의 단면사진이다.
상기 외층(51)의 위사(53)는 화이트 컬러로 원착된 원형단면사(53-1) 및 화이트 컬러로 원착된 2가닥의 편평단면사(53-2 및 53-3)가 합사되어 ITY 가공후 DTY 가공된 것이다. 상기 위사(53)는 원형단면의 필라멘트들과 편평단면의 필라멘트들이 혼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편평단면사와 원형단면사를 ITY 가공하여 필라멘트 교락을 형성하면, 원형단면사만 ITY 가공하여 교락하거나 편평단면사만 ITY 가공하여 필라멘트 교락을 형성하는 경우보다,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50)의 퓨어 화이트에 유리하다. 이는 상기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50)의 광반사율이 더 높아지고 중간층(52)의 블랙 컬러의 비침의 차단율이 더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중간층(52)은 폴리에스테를 LM사를 경사로 하고, 중간사(55)를 위사로 한다. 상기 중간사(55)는 기본적으로 카본블랙 원착사를 포함하여 광이 상기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50)을 투과하는 것을 차단하는 광흡수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카본블랙 원착사(55)의 블랙 컬러가 상기 외층(51)의 섬유 사이로 비춰지면 상기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50)의 백색도(whiteness)를 저하시킨다.
그러므로 상기 중간사(55)는 백색도 향상을 위하여 그 단면이 상기 카본블랙 원착사로 구성된 광흡수층 및 상기 광흡수층을 감싸는 화이트 컬러의 광반사층을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50)의 중간층(52)의 위사를 구성하는 중간사(55)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6은 도 5의 (a)에 따른 중간사(55)를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50)의 단면사진이다. 도 7은 카본블랙 원착사와 도 5의 (a)에 따라 제조된 중간사와 도 5의 (b)에 따라 제조된 중간사의 컬러를 육안으로 비교하기 위한 사진들이다.
도 5의 (a)의 중간사(55)는 상기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50)에 대한 광투과를 차단하기 위한 광흡수층 역할을 하는 블랙카본 원착사(55-1) 및 상기 카본블랙 원착사(55-1)를 감싸서 광반사층을 형성하는 화이트 컬러의 PVC 코팅층(55-2)을 포함한다.
상기 PVC 코팅층(55-2)은 상기 카본블랙 원착사(55-1)의 블랙 컬러가 외층(51)을 통과하여 비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50)의 퓨어 화이트 컬러 구현에 기여한다.
도 5의 (b)의 중간사(55)는, 광흡수층이며 코어사인 카본블랙 원착사(55-1)를, 교차되게 반대방향으로 2중으로 커버링한, 화이트 컬러의 더블 이펙트사(55-3 및 55-4)층을 광반사층으로 포함한다. 상기 더블 이펙트사(55-3 및 55-4)층은 상기 카본블랙 원착사(55-1)의 블랙 컬러가 외층(51)을 통과하여 비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50)의 퓨어 화이트 컬러 구현에 기여한다. 상기 더블 이펙트사(55-3 및 55-4)는 폴리에스테르 FD사일 수 있다.
도 5의 (c)의 중간사(55)는, 도 5의 (b)의 예에서 상기 더블 이펙트사(55-3 및 55-4)층을 감싸는 화이트 컬러의 PVC 코팅층(55-2)을 더 포함하여, 보다 확실하게 상기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50)의 퓨어 화이트 컬러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더블 이펙트사(55-3 및 55-4)는 상기 카본블랙 원착사(55-1)의 외주에 적절한 꼬임수로 감겨야 하는데, 만일 낮은 꼬임수로 감기면 상기 카본블랙 원착사(55-1)의 블랙 컬러가 비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이 약해지며, 너무 높은 꼬임수로 감기면 커버링사의 강도가 약해지고 상기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50)이 뻣뻣해질 수 있으므로, 더블 이펙트사(55-3 및 55-4)는 300TPM ~ 800TPM의 꼬임수로 감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카본블랙 원착사(55-1)에 도 5의 (a)에 따라 화이트 컬러의 PVC 코팅층(55-2)을 감싸거나, 도 5의 (b)에 따라 화이트 컬러의 이펙트사로 더블 커버링을 수행하면, 중간사(55) 자체에서도 블랙컬러가 대부분 차단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에 따르면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50)의 퓨어 화이트 컬러 구현이 훨씬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도 5의 (c)의 예는 도 5의 (a) 및 도 5의 (b)의 가공을 모두 적용한 것이므로,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50)의 퓨어 화이트 컬러 구현에 더욱 적합할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라 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50)의 조직구조와 기존 원단의 조직구조를 설명하 위한 사진들이다.
상기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50)은 그 경사에 폴리에스테르 LM사를 포함하는데, 장시간 동안 햇빛이나 고온에 노출될 경우 LM사의 고화부분이 강도가 약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50)은 인열강도 및 인장강도의 약화(특히 위사방향)를 보완하기 위하여, 도 5의 (a)와 같이, 경사 립-스탑(rib-stop) 조직 구조를 가진다. 이에 반해 기존의 원단은 도 5의 (b)와 같이 단순한 평직 조직을 가진다. 그러므로 경사 립-스탑 조직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50)은 평직 조직의 기존 원단에 비하여 보다 강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 1, 2>
실시예 1은 외층 및 중간층 공통의 경사로 폴리에스테르 LM사 20/1(밀도 9720 본), 외층의 위사로는 화이트 원착 폴리에스테르 DTY 450/216 FD(3합), 중간층에서는 폴리에스테르 DTY(카본블랙 2.5 중량% 함유)된 원착사(2합)에 화이트 원착 폴리에스테르 75d FD를 더블 커버링한 300d의 중간사를 이용하여, 3중직 립-스탑 조직으로 제직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2는 실시예 1에서 중간사만을 폴리에스테르 DTY(카본블랙 2.5 중량% 함유)에 화이트 컬러의 PVC 코팅을 한 300d의 중간사로 변경하여, 3중직 립-스탑 조직으로 제직하였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50)에 대한 CCM L값을 측정한 시험성적서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50)은 적어도 90 이상의 L값을 가져 백색도가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다른 시험을 통하여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50)은 99% 이상의 암막도를 가져, 암막 블라인드로써의 기본 성능도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 20: 권취봉
30: 투광부 40: 차광부
50: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 60: 작동줄

Claims (6)

  1. 차광부와 투광부가 교번 형성되며,
    상기 차광부는,
    폴리에스테르 LM(Low Melt)사를 경사로 하고 폴리에스테르 FD(full dull)사를 위사로 하는 한 쌍의 외층; 및 폴리에스테르 LM사를 경사로 하고 중간사를 위사로 하는 상기 한 쌍의 외층 사이의 중간층을 포함하는 3중직 구조를 가지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FD사는,
    복수의 화이트 원착사를 합사하여 ITY 가공한 다음 DTY 가공된, 200개 내지 250개의 필라멘트로 구성된 400d ~ 500d의 하이 멀티-필라멘트사(high multi-filament yarn)이며,
    상기 중간사의 단면은,
    카본블랙 원착사를 포함하는 광흡수층; 및
    상기 광흡수층을 감싸는 화이트 컬러의 광반사층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화이트 원착사는,
    적어도 하나의 편평단면사 및 적어도 하나의 원형단면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층은,
    화이트 컬러의 PVC 코팅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층은,
    코어사인 상기 카본블랙 원착사를, 교차되게 반대방향으로 2중 커버링한, 화이트 컬러의 더블 이펙트사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층은,
    상기 더블 이펙트사층의 감싸는 화이트 PVC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
  6. 삭제
KR1020220066375A 2022-05-30 2022-05-30 퓨어 화이트 컬러를 구현하기 위한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 Active KR102632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375A KR102632495B1 (ko) 2022-05-30 2022-05-30 퓨어 화이트 컬러를 구현하기 위한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375A KR102632495B1 (ko) 2022-05-30 2022-05-30 퓨어 화이트 컬러를 구현하기 위한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212A KR20230167212A (ko) 2023-12-08
KR102632495B1 true KR102632495B1 (ko) 2024-02-05

Family

ID=89166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6375A Active KR102632495B1 (ko) 2022-05-30 2022-05-30 퓨어 화이트 컬러를 구현하기 위한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4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933B1 (ko) * 2020-01-20 2021-06-25 김재홍 다중직 차광부 표면의 반사율 차이를 저감시켜 표면의 퓨어 화이트 컬러를 구현할 수 있는 콤비 블라인드 원단
KR102340615B1 (ko) 2021-08-27 2021-12-20 (주)효원섬유 빛 차단의 암막기능이 우수하고 부드러운 터치감 및 멜란지 효과를 갖는 이중직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직된 이중직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190B1 (ko) * 2008-02-20 2010-04-06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저융점 난연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 및 원단과 이의제조방법
KR20200007398A (ko) * 2018-07-13 2020-01-22 주식회사 나경 콤비암막블라인드지
KR20220069318A (ko) *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여주티앤씨 공극율이 낮은 블라인드직물용 합성섬유 복합가공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933B1 (ko) * 2020-01-20 2021-06-25 김재홍 다중직 차광부 표면의 반사율 차이를 저감시켜 표면의 퓨어 화이트 컬러를 구현할 수 있는 콤비 블라인드 원단
KR102340615B1 (ko) 2021-08-27 2021-12-20 (주)효원섬유 빛 차단의 암막기능이 우수하고 부드러운 터치감 및 멜란지 효과를 갖는 이중직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직된 이중직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212A (ko) 2023-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24461B2 (en) Fire protection fabric
KR100912862B1 (ko) 일체 제직으로 이루어지는 횡 방향 각도조절형 블라인드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026569B1 (ko) 콤비 롤 블라인드용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블라인드지
KR101669016B1 (ko) 블라인드용 커튼지 제조방법 및 커튼지 직물구조
CN113874568A (zh) 具有织造材料的建筑覆盖物
KR102632495B1 (ko) 퓨어 화이트 컬러를 구현하기 위한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
JP4065764B2 (ja) 防視認性織物を用いてなるインテリア用品
KR102269933B1 (ko) 다중직 차광부 표면의 반사율 차이를 저감시켜 표면의 퓨어 화이트 컬러를 구현할 수 있는 콤비 블라인드 원단
EP2789732B1 (en) Resin-coated flame-retardant glass fiber bundle and resin-coated flame-retardant fiber woven fabric
CN115748062B (zh) 一种高清透景窗帘布及制造方法和应用
JP7168466B2 (ja) スクリーン及びスクリーン装置
KR102564493B1 (ko) 차광율이 향상되어 퓨어 화이트 컬러를 구현하는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 직물
CN214522455U (zh) 一种功能面料
KR102193131B1 (ko) 상부와 하부의 디자인이 상이한 커튼을 위한 원단의 제조방법
JP2022166677A (ja) 装飾性遮光織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カーテン
KR101160029B1 (ko) 차광부의 양면에 각각의 무늬를 가지는 블라인드지
CN220619257U (zh) 一种高强度阻燃型复合涤纶
WO2014069025A1 (ja) 樹脂被覆難燃性繊維糸及びそれを用いる樹脂被覆難燃性繊維織物
CN219637445U (zh) 防晒面料
JP2020059261A (ja) 生地および遮蔽装置
KR101348005B1 (ko) 블라인드용 직물지 및 이의 제조방법
CN220009030U (zh) 抗紫外线面料
CN218477232U (zh) 阻燃防水罗马布
CN221997551U (zh) 梭织窗帘布
CN220374066U (zh) 一种遮光涤纶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