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605705B1 -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 - Google Patents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705B1
KR102605705B1 KR1020220148085A KR20220148085A KR102605705B1 KR 102605705 B1 KR102605705 B1 KR 102605705B1 KR 1020220148085 A KR1020220148085 A KR 1020220148085A KR 20220148085 A KR20220148085 A KR 20220148085A KR 102605705 B1 KR102605705 B1 KR 102605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hinge axis
tip
reclining
vehicl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8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지성
최희갑
장대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에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에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에이텍
Priority to KR1020220148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7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09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longitudinal displacement of the cushion, e.g. back-rest hinged on the bottom to the cushion and linked on the top to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개시된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는, 착좌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둔부 지지부; 둔부 지지부의 좌우 양 측에 연결된 연결부; 착좌자의 등을 지지하며, 좌우 양 측이 연결부에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부; 및 상부가 등받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둔부 지지부 및 연결부가 전진하면 등받이부가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둔부 지지부에 대해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등받이부를 당기고, 둔부 지지부 및 연결부가 후퇴하면 등받이부가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둔부 지지부에 대해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등받이부를 미는 리클라이닝 링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RECLINING VEHICLE SEA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 등받이가 뒤로 기울어지는 리클라이닝(reclining) 기능을 구비한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탑승 공간에는 탑승자가 앉을 수 있도록 차량 시트가 설치된다. 차량 시트에 앉는 착좌자는 자동차의 주행 중에 차량 시트에 편하게 기대어 쉬기를 원할 수 있다. 차량 시트에 등받이부가 뒤로 기울어지는 리클라이닝 기능이 구비되면 착좌자의 편안한 휴식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 시트는 리클라이닝 기능이 없거나, 리클라이닝 기능이 있더라도 차량 탑승자가 차량 시트에 앉은 상태로 리클라이닝 기능이 구현되도록 조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전동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리클라이닝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차량 시트도 존재하지만, 구성이 복잡하고, 제조 원가가 높으며, 오작동과 고장이 잦아 품질의 신뢰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16680호(2018.01.03. 등록, 발명의 명칭: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둔부 지지부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동작에 연계하여 등받이부가 뒤로 기울어지는 리클라이닝 동작이 구현되는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착좌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둔부 지지부; 상기 둔부 지지부의 좌우 양 측에 연결된 연결부; 상기 착좌자의 등을 지지하며, 좌우 양 측이 상기 연결부에 제1 힌지축(hinge axis)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부; 및 상부가 등받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둔부 지지부 및 상기 연결부가 전진하면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둔부 지지부에 대해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등받이부를 당기고, 상기 둔부 지지부 및 상기 연결부가 후퇴하면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둔부 지지부에 대해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등받이부를 미는 리클라이닝 링크(reclining link);를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는, 상기 둔부 지지부 및 상기 연결부가 전진 및 후퇴하도록 상기 연결부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guide rail);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상기 리클라이닝 링크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연결부에 상기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딩 래치(folding latch); 및 상기 폴딩 래치에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 프레임(frame);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등받이 프레임은 상기 둔부 지지부에 대해 겹쳐지게 접힌 폴딩(folding) 자세, 및 상기 둔부 지지부에 대해 접히지 않고 세워진 언폴딩(unfolding) 자세 사이에서 상기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폴딩 래치는, 상기 연결부에 상기 제1 힌지축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등받이 프레임이 상기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암 플레이트; 상기 등받이 프레임과 함께 상기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플레이트; 및 상기 등받이 프레임이 상기 언폴딩 자세에서 상기 폴딩 자세로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선택적으로 가로막는 록 플레이트(lock plate);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암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회전하는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stopper)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힌지축이 상기 제1 힌지축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등받이부의 상기 좌우 양 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및 일 측이 제3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측이 상기 둔부 지지부의 상기 좌우 양 측에 결합된 한 쌍의 팁업 브라켓(tip-up bracket);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둔부 지지부는 상기 둔부 지지부의 전단부가 상승하면서 후퇴하는 팁업(tip-up) 자세, 및 상기 전단부가 상기 팁업 자세인 상태보다 하강하면서 전진하는 팁다운(tip-down) 자세 사이에서 상기 제3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는, 상기 둔부 지지부가 상기 팁업 자세 또는 상기 팁다운 자세에서 정지되도록 상기 한 쌍의 팁업 브라켓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팁업 조작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는 착좌자가 앉은 상태에서 둔부 지지부를 전진시키면 등받이부가 뒤로 기울어지고 둔부 지지부를 후퇴시키면 등받이부가 원래 자세로 복귀한다. 따라서, 착좌자가 등받이부에 기대어 편안하게 휴식할 수 있고, 차량 탑승시의 불편과 그로 인한 피로를 예방할 수 있다.
등받이부가 폴딩(folding)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등받이부가 세워진 상태에서는 차량의 탑승자가 앉을 수 있고, 등받이부를 접은 상태에서는 그 위에 짐을 올리거나 탑승자가 눕는 등 차량 내부의 공간을 필요에 따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둔부 지지부가 팁업(tip-up)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둔부 지지부를 팁업하여 형성된 등받이부 전방의 공간에 짐을 놓을 수 있어서 필요에 따라 차량 내부에 짐을 효율적으로 더 많이 실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로서, 리클라이닝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가 리클라이닝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의 폴딩 래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2의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가 폴딩(folding)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폴딩 래치가 조립된 상태의 측면도로서, 도 6은 등받이 프레임이 폴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등받이 프레임이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1 및 도 2의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의 팁업(tip-up)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측면도로서, 도 9는 팁업 조작 레버가 눌려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둔부 지지부가 팁업되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로서, 리클라이닝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가 리클라이닝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10)는 차량의 승차자가 앉을 수 있게 차량의 승차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둔부 지지부(11), 등받이부(20), 헤드 레스트부(head rest portion)(97), 연결부(70), 한 쌍의 가이드 레일(guide rail)(88), 팁업 조작 레버(lever)(90), 및 한 쌍의 리클라이닝 링크(reclining link)(100)를 포함한다.
둔부 지지부(11)는 착좌자의 둔부를 지지한다. 둔부 지지부(11)는 방석 프레임(12) 및 한 쌍의 프레임 홀더(holder)(15)를 구비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둔부 지지부(11)는 방석 프레임(12)에 의해 지지되는 방석 쿠션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방석 프레임(12)은 대략 사각형상이고, 한 쌍의 프레임 홀더(15)는 방석 프레임(12)의 좌우 양 측에 하나씩 고정된다.
연결부(70)는 둔부 지지부(11)의 좌우 양 측에 연결된다. 연결부(70)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side frame)(71), 한 쌍의 팁업 브라켓(tip-up bracket)(80), 및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slide rail)(87)을 구비한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71)은 둔부 지지부(11)의 좌우 양 측에 배치된다. 한 쌍의 팁업 브라켓(80)은 일 측이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7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측이 둔부 지지부(11)의 좌우 양 측, 구체적으로 한 쌍의 프레임 홀더(15)에 고정 결합된다.
등받이부(20)는 착좌자의 등(back)을 지지하며, 좌우 양 측이 연결부(70)에 제1 힌지축(AX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등받이부(20)는 등받이 프레임(21) 및 한 쌍의 폴딩 래치(folding latch)(30)를 구비한다. 등받이 프레임(21)은 대략 사각형상이며, 좌우 양 측에 대칭되게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side plate)(25),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25)의 상단부에 길이 방향 양 측 단부가 결합된 상부 바(bar)(22), 및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25)의 하단부에 길이 방향 양 측 단부가 결합된 하부 바(23)를 구비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등받이부(20)는 등받이 프레임(21)에 의해 지지되는 등받이 쿠션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 쌍의 폴딩 래치(30)는 하단부가 제1 힌지축(AX1)을 중심으로 연결부(70), 구체적으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7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부가 제2 힌지축(AX2)을 중심으로 등받이 프레임(21), 구체적으로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25)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힌지축(AX2)이 제1 힌지축(AX1)보다 높게 위치한다. 한 쌍의 폴딩 래치(30)와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71)은 제1 힌지축(AX1)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리클라이닝 힌지핀(hinge pin)(60)에 의해 결합되고, 한 쌍의 폴딩 래치(30)와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25)는 제2 힌지축(AX2)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폴딩 힌지핀(61)에 의해 결합된다. 헤드 레스트부(97)는 착좌자의 머리를 지지하며, 등받이부(20)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88)은 둔부 지지부(11) 및 연결부(70)가 전진 및 후퇴하도록 연결부(70)를 슬라이드(slide) 가능하게 지지한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88)은 차체에 고정 결합된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71)은 각각 리클라이닝 힌지핀(60)이 체결되는 힌지핀 통공(73)이 형성된 상부(72), 및 상부(72)의 아래에 일체로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하부(77)를 구비한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71)의 하부(77)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87)에 고정 결합된다.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87)은 한 쌍의 가이드 레일(88)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87)이 한 쌍의 가이드 레일(88)의 연장 방향을 따라 앞뒤로 이동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10)는 슬라이드 레일(87)이 가이드 레일(88)에 대해 미끄러져 이동하거나 멈추도록 조작할 수 있는 이동 조작 레버를 더 구비한다. 따라서, 착좌자가 이동 조작 레버를 잡아당긴 상태로 둔부 지지부(11)를 앞으로 또는 뒤로 밀면 둔부 지지부(11) 및 연결부(70)가 한 쌍의 가이드 레일(88)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고, 착좌자가 이동 조작 레버를 잡아당기지 않으면 둔부 지지부(11) 및 연결부(70)가 이동한 위치에서 정지한다.
한 쌍의 리클라이닝 링크(100)는 등받이부(20), 구체적으로 한 쌍의 폴딩 래치(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단부와, 한 쌍의 가이드 레일(8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단부를 구비한다. 부연하면, 각각의 리클라이닝 링크(100)의 상단부는 폴딩 힌지핀(61)에 의해 각각의 폴딩 래치(30)에 제2 힌지축(AX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각각의 가이드 레일(88)의 후단부에는 힌지핀 결합 브라켓(89)이 형성되고, 각각의 리클라이닝 링크(100)의 하단부는 링크핀(103)에 의해 각각의 가이드 레일(8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리클라이닝 링크(100)의 하단부는 가이드 레일(88)에 대해 앞뒤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리클라이닝 링크(100)의 하단부가 링크핀(103)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리클라이닝 링크(100)의 상단부, 구체적으로 폴딩 힌지핀(61)은 링크핀(103)을 중심으로 하는 원궤도를 따라 회전한다.
이에 따라, 착좌자에 의해 둔부 지지부(11) 및 연결부(70)가 도 2에 도시된 원래 위치에서 도 3에 도시된 전진 위치로 전진 이동하면, 등받이부(20)가 제1 힌지축(AX1)을 중심으로 둔부 지지부(11)에 대해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 쌍의 리클라이닝 링크(100)가 등받이부(20)를 뒤로 잡아당긴다. 부연하면, 등받이부(20)의 상부 바(22) 및 헤드 레스트부(97)가 원래 위치보다 후퇴한다.
반대로, 착좌자에 의해 둔부 지지부(11) 및 연결부(70)가 도 3에 도시된 전진 위치에서 도 3에 도시된 원래 위치로 후진 이동하면, 등받이부(20)가 제1 힌지축(AX1)을 중심으로 둔부 지지부(11)에 대해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 쌍의 리클라이닝 링크(100)가 등받이부(20)를 앞으로 민다. 부연하면, 등받이부(20)의 상부 바(22) 및 헤드 레스트부(97)가 후퇴된 위치에서 원래 위치로 전진 복귀한다.
도 4는 도 1 및 도 2의 폴딩 래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 및 도 2의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가 폴딩(folding)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5의 폴딩 래치가 조립된 상태의 측면도로서, 도 6은 등받이 프레임이 폴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등받이 프레임이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한 쌍의 폴딩 래치(30)는 각각 암 플레이트(arm plate)(31), 회전 플레이트(rotating plate)(45), 록 플레이트(lock plate)(52), 인너 플레이트(inner plate)(57)를 구비한다. 암 플레이트(31)는 연결부(70)의 사이드 프레임(71)에 제1 힌지축(AX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와, 등받이 프레임(21), 구체적으로 사이드 플레이트(25)의 하부가 제2 힌지축(AX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를 구비한다.
부연하면, 암 플레이트(31)의 하부에 형성된 힌지핀 통공(33)과 사이드 프레임(71)의 상부에 형성된 힌지핀 통공(73)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리클라이닝 힌지핀(60)에 의해 암 플레이트(31)가 사이드 프레임(7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암 플레이트(31)의 상부에 형성된 힌지핀 통공(35)과 사이드 플레이트(25)의 하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폴딩 힌지핀(61)에 의해 사이드 플레이트(25)가 암 플레이트(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 플레이트(45)는 등받이 프레임(21)의 사이드 플레이트(25)와 함께 제2 힌지축(AX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회전 플레이트(45)에는 폴딩 힌지핀(61)이 관통하여 체결되는 힌지핀 결합 통공(46)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회전 플레이트(45)는 제2 힌지축(AX2)을 중심으로 암 플레이트(31)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회전 플레이트(45)에는 힌지핀 결합 통공(46)과 이격된 위치에 가이드핀 결합 통공(47)이 형성된다. 폴딩 가이드핀(62)이 가이드핀 결합 통공(47)을 관통하고 사이드 플레이트(25)의 하부를 관통하여 회전 플레이트(45) 및 사이드 플레이트(25)에 체결된다. 이에 따라 사이드 플레이트(25)는 제2 회전축(AX2)을 중심으로 사이드 플레이트(25)와 함께 회전한다.
암 플레이트(31)에는 폴딩 가이드핀(62)이 암 플레이트(31)를 관통한 상태로 제2 힌지축(AX2)을 중심으로 하는 원궤도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원호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장공(40)이 형성된다. 폴딩 가이드핀(62)은 가이드 장공(40) 내에서 가이드 장공(4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다. 암 플레이트(31)는 가이드 장공(40)의 길이 방향 말단인 데드 엔드(dead end)(42)와, 가이드 장공(40)의 입구에서 제2 힌지축(AX2)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43)를 구비한다.
데드 엔드(42)는 등받이 프레임(21)이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세워진 언폴딩(unfolding) 자세에서 제2 힌지축(AX2)을 중심으로 둔부 지지부(11)에 대해 펼쳐지는 방향, 즉 상부 바(22)가 후퇴하는 방향으로 과도하게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언폴딩 스토퍼(unfolding stopper)가 된다. 다시 말해, 폴딩 가이드핀(62)이 언폴딩 스토퍼(42)에 가로막혀 회전 플레이트(45)와 등받이 프레임(21)이 언폴딩 자세에서 둔부 지지부(11)에 대해 더 펴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돌기부(43)는 등받이 프레임(21)의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힌 폴딩(folding) 자세에서 제2 힌지축(AX2)을 중심으로 둔부 지지부(11)에 대해 더 접혀지는 방향, 즉 둔부 지지부(11)에 더 가깝게 접근하는 방향으로 과도하게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폴딩 스토퍼가 된다. 다시 말해, 폴딩 가이드핀(62)이 폴딩 스토퍼(43)에 가로막혀 회전 플레이트(45)와 등받이 프레임(21)이 폴딩 자세에서 둔부 지지부(11)에 대해 더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게 된다.
폴딩 래치(30)는 암 플레이트(31)에서 데드 엔드(42)의 전방에 마련된 스토퍼핀 통공(36)에 체결되는 스토퍼핀(stopper pin)(64)을 더 구비한다. 스토퍼핀(64)은 데드 엔드(42)에 더하여 등받이 프레임(21)이 언폴딩 자세에서 더 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추가적으로 제한하는 또 하나의 언폴딩 스토퍼가 된다.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등받이 프레임(21)이 세워진 언폴딩 자세에서 회전 플레이트(45)의 전단 모서리가 스토퍼핀(64)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회전 플레이트(45)와 등받이 프레임(21)이 언폴딩 자세에서 둔부 지지부(11)에 대해 더더욱 펴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다.
인너 플레이트(57)는 사이드 플레이트(25)가 암 플레이트(31)에 신뢰성있게 결합되도록 사이드 플레이트(25)의 내측에 배치된다. 암 플레이트(31)는 사이드 플레이트(25)의 외측에 배치된다. 인너 플레이트(57)에는 폴딩 힌지핀(61)이 회전 플레이트(45)의 힌지핀 결합 통공(46), 암 플레이트(31)의 힌지핀 통공(35), 및 사이드 플레이트(25)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힌지핀 통공(58), 및 폴딩 가이드핀(62)이 회전 플레이트(45)의 가이드핀 결합 통공(47), 암 플레이트(31)의 가이드 장공(40), 및 사이드 플레이트(25)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가이드핀 통공(59)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인너 플레이트(57)는 회전 플레이트(45)와 마찬가지로 사이드 플레이트(25)와 함께 제2 힌지축(AX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암 플레이트(31), 회전 플레이트(45), 사이드 플레이트(45)가 연계되는 구성을 통해서 등받이 프레임(21)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둔부 지지부(11)에 대해 겹쳐지게 접힌 폴딩 자세, 및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둔부 지지부(11)에 대해 접히지 않고 세워진 언폴딩 자세 사이에서 제2 힌지축(AX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록 플레이트(52)는 등받이 프레임(21)이 언폴딩 자세에서 폴딩 자세로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 플레이트(45)를 선택적으로 가로막는다. 록 힌지핀(63)은 록 플레이트(52)에 형성된 힌지핀 통공(53) 및 암 플레이트(31)의 후단부에 형성된 힌지핀 통공(37)을 관통하여 체결된다. 이에 따라 록 힌지핀(63)은 록 힌지핀(6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암 플레이트(31)에 지지된다.
록 플레이트(52)는 전방으로 돌출된 후크(hook)(54) 및 후크(54)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레버 연결 돌기(55)를 구비한다. 회전 플레이트(45)는 가이드핀 결합 통공(47)과 이격되게 전방에 마련된 걸림턱(49)을 더 구비하고, 가이드핀 결합 통공(47)과 걸림턱(49) 사이에는 후크 수용 홈(groove)(48)이 형성된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레버 연결 돌기(55)는 폴딩 조작 레버에 예컨대, 케이블 와이어와 같은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된다. 록 플레이트(52)는 후크(54)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록 힌지핀(63)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탄성 바이어스(elastic bias)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 프레임(21)이 세워진 언폴딩 자세에서는 후크(54)가 후크 수용 홈(48)에 끼워져 수용된다. 이 경우에 걸림턱(49)이 후크(54)의 말단에 가로막혀 회전 플레이트(45) 및 이에 연결된 등받이 프레임(21)의 사이드 플레이트(25)가 둔부 지지부(11)에 대해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등받이 프레임(21)이 폴딩(folding)되지 않도록 록킹(locking)된다.
한편, 차량의 탑승자가 폴딩 조작 레버를 잡아당기면 도 6의 이점쇄선 및 도 7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54)가 아래로 이동하도록 록 플레이트(52)가 록 힌지핀(63)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로 인해 걸림턱(49)이 후크(54)에 의해 가로막히지 않게 된다. 즉, 등받이 프레임(21)의 록킹이 해제된다. 이때에 탑승자가 등받이 프레임(21)을 앞으로 밀면 등받이 프레임(21)이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된다. 등받이 프레임(21)이 폴딩된 후에 탑승자가 폴딩 조작 레버를 잡아당기지 않으면 록 플레이트(52)는 후크(54)가 상승하도록 탄성 복원될 수 있다.
폴딩 자세인 등받이 프레임(21)을 탑승자가 뒤로 잡아당기면 회전 플레이트(45)와 등받이 프레임(21)이 제2 힌지축(AX2)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폴딩 가이드핀(62)이 가이드 장공(40)을 따라 전진하면서 후크(54)가 아래로 밀리기 때문에 후크(54)에 의해 등받이 프레임(21)의 언폴딩 동작이 방해받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 프레임(21)이 다시 언폴딩 자세가 되면 후크(54)가 후크 수용 홈(48)에 끼워지도록 탄성력에 의해 록 힌지핀(63)이 다시 상승하므로 등받이 프레임(21)이 언폴딩 자세에서 다시 록킹된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으나 폴딩 래치(30)는 회전 플레이트(45)를 보호하도록 회전 플레이트(45)를 노출시키지 않으며 암 플레이트(31)에 결합되는 아우터 플레이트(outer plate)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는 도 1 및 도 2의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의 팁업(tip-up)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측면도로서, 도 9는 팁업 조작 레버가 눌려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둔부 지지부가 팁업되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도 2,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한 쌍의 팁업 브라켓(80)은 제3 힌지축(AX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71)의 상부(72)에 결합된다. 부연하면, 사이드 프레임(71)의 상부(72)에 제3 힌지축(AX3)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팁업 힌지 돌기(74)가 팁업 브라켓(80)을 관통하여 체결된다. 제3 힌지축(AX3)은 제1 힌지축(AX1)의 전방에 제1 힌지축(AX1)과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둔부 지지부(1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부, 구체적으로 방석 프레임(12)의 전단(13)이 상승하면서 후퇴하는 팁업(tip-up) 자세,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13)이 팁업 자세인 상태보다 하강하면서 전진하는 팁다운(tip-down) 자세 사이에서 제3 힌지축(AX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팁다운 자세에서는 방석 프레임(12)의 전단(13)과 후단(14) 사이의 높이 차이가 작지만, 팁업 자세에서는 전단(13)과 후단(14) 사이의 높이 차이가 확연하게 커진다.
팁업 조작 레버(90)는 둔부 지지부(11)가 팁업 자세 또는 팁다운 자세에서 정지되도록 한 쌍의 팁업 브라켓(80) 중 하나의 팁업 브라켓(80)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킨다. 팁업 조작 레버(90)는 앞뒤 방향으로 연장되고,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71) 중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부연하면, 사이드 프레임(71)의 후단부에 팁업 힌지 돌기(74)와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레버 힌지 돌기(75)가 팁업 조작 레버(90)를 관통하여 체결된다.
팁업 조작 레버(90)는 전단부에 손잡이부(91), 및 후단부에 스프링 연결부(94)를 구비한다. 탑승자가 손잡이부(91)를 아래로 누르면 도 8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91)가 하강하고 스프링 연결부(94)가 상승하도록 레버 힌지 돌기(75)를 중심으로 팁업 조작 레버(90)가 회전한다. 스프링 연결부(94)에는 손잡이부(91)가 상승하여 원래 자세로 복귀하도록 팁업 조작 레버(90)를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미도시)이 연결된다. 따라서, 탑승자가 손잡이부(91)를 더 이상 아래로 누르지 않으면 도 8에 점선으로 도시되고 도 9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팁업 조작 레버(90)는 손잡이부(91)가 상승한 원래 자세로 복귀한다.
한 쌍의 팁업 브라켓(80) 중에서 팁업 조작 레버(90)와 이웃한 팁업 브라켓(80)은 팁업 조작 레버(90) 측으로 돌출된 팁다운 록킹 돌기(83) 및 팁업 록킹 돌기(84)를 구비한다. 팁다운 록킹 돌기(83)는 팁업 브라켓(80)의 하단부에 마련되고, 탑업 록킹 돌기(84)는 팁업 브라켓(80)의 후단부에 마련된다.
팁업 조작 레버(90)의 손잡이부(91)와 스프링 연결부(94) 사이에는 상측으로 개방된 돌기 끼움 홈(groove)(92)이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둔부 지지부(11)가 팁다운 자세인 때에는 팁다운 록킹 돌기(83)가 돌기 끼움 홈(92)에 끼워진다. 따라서, 한 쌍의 팁업 브라켓(80)이 제3 힌지축(AX3)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으며 둔부 지지부(11)가 팁다운 자세로 고정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둔부 지지부(11)가 팁업 자세인 때에는 팁업 록킹 돌기(84)가 돌기 끼움 홈(92)에 끼워진다. 따라서, 한 쌍의 팁업 브라켓(80)이 제3 힌지축(AX3)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으며 둔부 지지부(11)가 팁업 자세로 고정된다.
한편, 탑승자가 손잡이부(91)를 아래로 누르면 돌기 끼움 홈(92)이 아래로 하강하여 팁다운 록킹 돌기(83) 또는 팁업 록킹 돌기(84)가 돌기 끼움 홈(92)에서 분리 이탈된다. 이 상태에서 탑승자는 둔부 지지부(11)를 위로 들어올려 팁다운 자세에서 팁업 자세로 변경하거나, 둔부 지지부(11)를 아래로 내려 팁업 자세에서 팁다운 자세로 변경할 수 있다. 둔부 지지부(11)의 자세가 변경된 후에 탑승자가 손잡이부(91)를 가압하지 않으면 팁업 조작 레버(90)의 돌기 끼움 홈(92)이 원래 위치로 상승하여 팁다운 록킹 돌기(83) 또는 팁업 록킹 돌기(84)가 돌기 끼움 홈(92)에 다시 끼워지므로, 둔부 지지부(11)가 변경된 자세로 고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10)는 착좌자가 앉은 상태에서 둔부 지지부(11)를 전진시키면 등받이부(20)가 뒤로 기울어지고 둔부 지지부(11)를 후퇴시키면 등받이부(20)가 원래 자세로 복귀한다. 따라서, 착좌자가 등받이부(20)에 기대어 편안하게 휴식할 수 있고, 차량 탑승시의 불편과 그로 인한 피로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등받이부(20)가 세워진 언폴딩 자세에서는 차량의 탑승자가 앉을 수 있고, 등받이부(20)가 접힌 폴딩 자세에서는 등받이부(20) 위에 짐을 올리거나 탑승자가 눕는 등 차량 내부의 공간을 필요에 따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둔부 지지부(11)를 팁업 자세로 변경하고 이로 인해 형성된 등받이부(20) 전방의 공간에 짐을 놓을 수 있어서 필요에 따라 차량 내부에 짐을 효율적으로 더 많이 실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 11: 둔부 지지부
12: 방석 프레임 20: 등받이부
21: 등받이 프레임 25: 사이드 플레이트
30: 폴딩 래치 31: 암 플레이트
45: 회전 플레이트 52: 록 플레이트
57: 인너 플레이트 70: 연결부
71: 사이드 프레임 80: 팁업 브라켓
87: 슬라이드 레일 88: 가이드 레일
90: 팁업 조작 레버 100: 리클라이닝 링크

Claims (10)

  1. 착좌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둔부 지지부;
    상기 둔부 지지부의 좌우 양 측에 연결된 연결부;
    상기 착좌자의 등을 지지하며, 좌우 양 측이 상기 연결부에 제1 힌지축(hinge axis)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부; 및
    상부가 등받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둔부 지지부 및 상기 연결부가 전진하면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둔부 지지부에 대해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등받이부를 당기고, 상기 둔부 지지부 및 상기 연결부가 후퇴하면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둔부 지지부에 대해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등받이부를 미는 리클라이닝 링크(reclining link);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연결부에 상기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딩 래치(folding latch); 및
    상기 폴딩 래치에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 프레임(frame);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는,
    상기 둔부 지지부 및 상기 연결부가 전진 및 후퇴하도록 상기 연결부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guide rail);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상기 리클라이닝 링크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프레임은 상기 둔부 지지부에 대해 겹쳐지게 접힌 폴딩(folding) 자세, 및 상기 둔부 지지부에 대해 접히지 않고 세워진 언폴딩(unfolding) 자세 사이에서 상기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래치는,
    상기 연결부에 상기 제1 힌지축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등받이 프레임이 상기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암 플레이트;
    상기 등받이 프레임과 함께 상기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플레이트; 및
    상기 등받이 프레임이 상기 언폴딩 자세에서 상기 폴딩 자세로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선택적으로 가로막는 록 플레이트(lock plate);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암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회전하는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stoppe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축이 상기 제1 힌지축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등받이부의 상기 좌우 양 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및
    일 측이 제3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측이 상기 둔부 지지부의 상기 좌우 양 측에 결합된 한 쌍의 팁업 브라켓(tip-up bracket);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둔부 지지부는 상기 둔부 지지부의 전단부가 상승하면서 후퇴하는 팁업(tip-up) 자세, 및 상기 전단부가 상기 팁업 자세인 상태보다 하강하면서 전진하는 팁다운(tip-down) 자세 사이에서 상기 제3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둔부 지지부가 상기 팁업 자세 또는 상기 팁다운 자세에서 정지되도록 상기 한 쌍의 팁업 브라켓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팁업 조작 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
KR1020220148085A 2022-11-08 2022-11-08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 KR102605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085A KR102605705B1 (ko) 2022-11-08 2022-11-08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085A KR102605705B1 (ko) 2022-11-08 2022-11-08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705B1 true KR102605705B1 (ko) 2023-11-29

Family

ID=88969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8085A KR102605705B1 (ko) 2022-11-08 2022-11-08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70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5837A (ja) * 1993-02-24 1994-09-06 Ikeda Bussan Co Ltd 車両用シート
JP2008254514A (ja) * 2007-04-03 2008-10-23 Delta Kogyo Co Ltd チップアップ・スライド式自動車用シート
JP2010246599A (ja) * 2009-04-10 2010-11-04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JP2013107445A (ja) * 2011-11-18 2013-06-06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US20140327284A1 (en) * 2012-03-19 2014-11-06 Lear Corporation Slouch rear seat
JP2017178162A (ja) * 2016-03-31 2017-10-05 天龍工業株式会社 乗物用座席
KR101897405B1 (ko) * 2017-04-19 2018-09-12 주식회사다스 차량 시트의 듀얼 모션 워크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5837A (ja) * 1993-02-24 1994-09-06 Ikeda Bussan Co Ltd 車両用シート
JP2008254514A (ja) * 2007-04-03 2008-10-23 Delta Kogyo Co Ltd チップアップ・スライド式自動車用シート
JP2010246599A (ja) * 2009-04-10 2010-11-04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JP2013107445A (ja) * 2011-11-18 2013-06-06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US20140327284A1 (en) * 2012-03-19 2014-11-06 Lear Corporation Slouch rear seat
JP2017178162A (ja) * 2016-03-31 2017-10-05 天龍工業株式会社 乗物用座席
KR101897405B1 (ko) * 2017-04-19 2018-09-12 주식회사다스 차량 시트의 듀얼 모션 워크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5399B2 (en) Thin profile folding vehicle seat
KR101398333B1 (ko)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US8091945B2 (en) Vehicle seating system
JP4223495B2 (ja) 乗物シートおよびそのようなシートを備えた乗物
US9108544B2 (en) Vehicle seat device
EP3071443B1 (en) Sedan slouch seat
EP0803398A2 (en) Vehicle seat assembly including integral child restraint seat with automatic headrest
US10675998B2 (en) Stow-in-floor seat assembly with pitched easy entry position
KR102621617B1 (ko) 자동차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EP1316468A1 (en) Seat arrangement
KR102605705B1 (ko) 리클라이닝 차량 시트
JP4337292B2 (ja) 車両のシート前倒し装置
US3498670A (en) Wehicle seats
US10266075B2 (en) Stowable vehicle seat with slotted guide linkage
KR100649090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
JP4081053B2 (ja) 車両用シート
CN115243954A (zh) 座椅装置
JP3597497B2 (ja) 車両用シート
JP3982006B2 (ja) フルフラット可能な折畳式シート
JP4192694B2 (ja) 車両のシート構造
KR100318078B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틸팅 조절장치
JP2011131821A (ja) シート装置
KR200395740Y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디바이스
JP4200826B2 (ja) 車両のシート構造
JP5393437B2 (ja) シ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