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572644B1 - 동기buck회로의 제어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동기buck회로의 제어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644B1
KR102572644B1 KR1020217036453A KR20217036453A KR102572644B1 KR 102572644 B1 KR102572644 B1 KR 102572644B1 KR 1020217036453 A KR1020217036453 A KR 1020217036453A KR 20217036453 A KR20217036453 A KR 20217036453A KR 102572644 B1 KR102572644 B1 KR 102572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ty ratio
synchronous
buck circuit
current
main switc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6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8264A (ko
Inventor
레이 왕
시 천
Original Assignee
에코플로우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플로우 인크. filed Critical 에코플로우 인크.
Publication of KR20220128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64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9Devices or circuits for detecting current in a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comprising at least one synchronous rectifier el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reducing losses
    • H02M1/0054Transistor switching los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with digital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Abstract

동기BUCK회로의 제어 방법은, 동기BUCK회로의 입력 전압,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취득하는 것; 동기 스위치관의 현재 상태를 취득하는 것; 동기 스위치관이 온 상태일 경우, 오프 전류 임계값을 취득하는 것; 출력 전류가 오프 전류 임계값보다도 낮을 경우, 동기 스위치관을 오프 상태로 바꾸는 것; 입력 전압, 출력 전압 및 오프 전류 임계값으로 메인 스위치관의 듀티비를 계산하는 것; 및 상기 듀티비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동기BUCK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동기BUCK회로의 제어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전자장치
관련 출원의 참조
본 출원은, 2021년03월11일에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번호2021102636346호, 발명의 명칭 "동기BUCK회로의 제어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전자장치"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에 인용결합한다.
본 발명은, 회로 제어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동기BUCK회로의 제어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의 설명은 본 출원에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이며, 반드시 예시적인 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BUCK회로는, 감압 회로의 일종이고, DC-DC회로 구조를 채용하여 직류로부터 직류에의 감압 변환을 실현하는 것에 이용된다. BUCK회로는 각종 회로에 널리 사용되어 있고, 대전류를 출력할 경우,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동기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환류시킨다. 작은 전류 작은 부하일 경우, 무효전류에 의한 손실을 절감시키기 위하여, 동기 스위치관은 동작하지 않고,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환류를 행한다. 또한 작은 전류 작은 부하일 경우, BUCK회로는 단속 동작 모드에서 동작한다. 특히 동기 다이오드가 다른 동작 상태로 전환할 때, 단속 모드와 연속 모드의 돌연적인 전환도 존재한다. 이 2개의 모드에서 BUCK회로의 출력/입력의 이득 차이가 크기 때문에, BUCK회로에는 비교적 큰 충격전류가 발생되고, 회로의 출력에도 일시적인 오버슈트 또는 하강하는 등 현상이 발생할 경우도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동기BUCK회로의 제어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회로 중의 스위치관이 온/오프시에 발생되는 동적 충격을 감소시킴으로써 회로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의하면, 동기BUCK회로의 제어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전자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동기BUCK회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동기BUCK회로의 입력 전압,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취득하는 것,
상기 동기BUCK회로 중의 동기 스위치관의 현재 상태를 취득하는 것,
상기 동기 스위치관이 온 상태에 있을 경우, 오프 전류 임계값을 취득하는 것,
상기 출력 전류가 상기 오프 전류 임계값보다도 낮을 경우, 상기 동기 스위치관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것,
상기 입력 전압, 상기 출력 전압 및 상기 오프 전류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동기BUCK회로 중의 메인 스위치관의 듀티비를 계산하는 것,
상기 듀티비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동기BUCK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동기BUCK회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동기BUCK회로의 입력 전압,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취득하는 것,
상기 동기BUCK회로 중의 동기 스위치관의 현재 상태를 취득하는 것,
상기 동기 스위치관이 온 상태에 있을 경우, 오프 전류 임계값을 취득하는 것,
상기 출력 전류가 상기 오프 전류 임계값보다도 작을 경우, 상기 동기 스위치관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것,
상기 입력 전압, 상기 출력 전압 및 상기 오프 전류 임계값에 근거하여 제1듀티비의 공식에 의해 상기 동기BUCK회로 중의 메인 스위치관의 듀티비를 계산하는 것,
상기 듀티비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동기BUCK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1듀티비의 공식은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산출되고,
<수학식>
여기서, D는 상기 메인 스위치관의 듀티비를 나타내고, Vin는 현재 샘플링의 입력 전압을 나타내고, Vout는 현재 샘플링의 출력 전압을 나타내고, L는 상기 동기BUCK회로 중의 인덕터의 인덕턴스를 나타내고, Ix는 상기 오프 전류 임계값을 나타내고, Ts는 상기 메인 스위치관의 온/오프 주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동기BUCK회로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동기BUCK회로의 입력 전압,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 및 상기 동기BUCK회로 중의 동기 스위치관의 현재 상태를 취득하고, 또한 상기 동기 스위치관이 온 상태에 있을 경우, 오프 전류 임계값을 취득하는 취득 모듈과,
상기 출력 전류가 상기 오프 전류 임계값보다 낮을 경우, 상기 동기 스위치관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모듈과,
상기 입력 전압, 상기 출력 전압 및 상기 오프 전류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동기BUCK회로 중의 메인 스위치관의 듀티비를 계산하는 계산 모듈과,
상기 듀티비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동기BUCK회로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동기BUCK회로 및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동기BUCK회로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동기BUCK회로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며,
상기 동기BUCK회로는, 메인 스위치관, 인덕터, 동기 스위치관, 에너지 저장 콘덴서 및 샘플링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샘플링 회로는, 상기 동기BUCK회로의 입력 전압,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채집하여 상기 제어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메인 스위치관의 제1단자는 전원의 정극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상기 인덕터의 제1단자에 연결되고, 제어 단자는 상기 제어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동기 스위치관의 제1단자는 상기 메인 스위치관의 제2단자 및 상기 인덕터의 제1단자에 각각 연결되고, 제2단자는 상기 전원의 부극에 연결되고, 제어 단자는 상기 제어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인덕터의 제2단자는 상기 에너지 저장 콘덴서의 정극에 연결되고, 상기 에너지 저장 콘덴서의 부극은 상기 전원의 부극에 연결되고, 상기 에너지 저장 콘덴서의 양단은 부하에도 병렬 연결되고,
상기 동기BUCK회로의 제어 방법은,
상기 동기BUCK회로의 입력 전압,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취득하는 것,
상기 동기BUCK회로 중의 동기 스위치관의 현재 상태를 취득하는 것,
상기 동기 스위치관이 온 상태에 있을 경우, 오프 전류 임계값을 취득하는 것,
상기 출력 전류가 상기 오프 전류 임계값보다도 낮을 경우, 상기 동기 스위치관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것,
상기 입력 전압, 상기 출력 전압 및 상기 오프 전류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동기BUCK회로 중의 메인 스위치관의 듀티비를 계산하는 것,
상기 듀티비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동기BUCK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동기BUCK회로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자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1개 또는 복수의 실시 형태는 이하의 도면 및 설명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도면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목적 및 이점이 밝혀진다.
본 발명은 회로 중의 스위치관이 온/오프시에 발생되는 동적 충격을 감소시킴으로써 회로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
본 발명의 기술방안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실시예에 필요한 도면을 이용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은, 본 출원의 몇가지의 실시예를 제시하고 있을 뿐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동기BUCK회로의 구조모식도를 나타낸다.
도2는 동기BUCK회로의 제어 방법의 제1순서도를 나타낸다.
도3은 실시예에 관련되는 동기BUCK회로의 루프 보상 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모식도를 나타낸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동기BUCK회로의 제어 방법의 제2순서도를 나타낸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동기BUCK회로의 제어 방법의 제3순서도를 나타낸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동기BUCK회로의 제어장치 구조모식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명확히 또한 완전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재된 실시예는 모든 실시예가 아니고,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일부에 지나치지 않는 것은 명확하다.
통상적으로, 본 명세서의 도면에 기재되거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각종 다른 구성으로 배치하거나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도면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특허청구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만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근거하여 당업자가 창조적인 노동을 하지 않고 획득한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특히 한정이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외 동일한 분야에 속하는 일반적인 기술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포함한다. 이러한 용어(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규정되어 있는 용어)는, 본 기술분야에서의 언어적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것이라고 해석되고, 또한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에서 명확히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화된 의미 또는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포함한다고는 해석되지 않는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동기BUCK회로의 제어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회로 중의 스위치관이 온/오프시에 발생되는 동적 충격을 감소시킴으로써 회로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는,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동기BUCK회로(100)은, 메인 스위치관(Q1), 인덕터(L), 동기 스위치관(Q2) 및 에너지 저장 콘덴서(C)를 포함한다. 메인 스위치관(Q1)의 제1단자가 전원(BAT)의 정극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인덕터(L)의 제1단자에 연결되고, 제어 단자는 제어장치에 연결된다. 동기 스위치관(Q2)의 제1단자는, 메인 스위치관(Q1)의 제2단자 및 인덕터(L)의 제1단자에 각각 연결되고, 제2단자는 전원의 부극에 연결되고, 제어 단자는 제어장치에 연결된다. 인덕터(L)의 제2단자는 에너지 저장 콘덴서(C)의 정극에 연결되고, 에너지 저장 콘덴서(C)의 부극은 상기 전원(BAT)의 부극에 연결된다. 에너지 저장 콘덴서(C)의 양단은, 부하(RL)에 병렬 연결되어 부하(RL)에 대응하는 에너지 등을 제공하는 것에 더 이용된다.
예를 들면, 메인 스위치관(Q1) 및 동기 스위치관(Q2)는 모두 MOS트랜지스터를 채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동기BUCK회로 중의 동기 스위치관(Q2)는, 통용적인 BUCK회로 중의 환류 다이오드 대신에 작은 온 저항을 가지는 정류MOS트랜지스터로 대체하여, 회로의 정류 손실을 절감시키고, 회로의 전환 효율을 대폭으로 향상시킨다.
이해가 가게끔, 작은 전류 작은 부하일 경우, 도1에 나타내는 동기 스위치관(Q2) 중의 바디 다이오드는, 단속 모드에서 동기BUCK회로의 환류 작용을 실현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동기 스위치관(Q2)는 기생 다이오드(즉 바디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다른 경우, 동기 스위치관(Q2) 중의 바디 다이오드는 외부의 독립적인 다이오드로 대체하여도 된다.
종래의 동기BUCK회로에서는, 동기 스위치관(Q2)을 온 및 오프시에, 회로에는 단속 모드와 연속 모드의 돌연적인 전환이 발생하기 때문에, 비교적 큰 동적 충격이 일어나기 쉽다. 단속 모드에서는, BUCK회로 중 인덕터에 흐른 전류는 메인 스위치관(Q1)이 오프된 일정한 시간이 지난후에 서서히 0으로 된다. 연속 모드에서는, 인덕터에 흐른 전류는 매개 주기에서도 0이 되지 않는다.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출력 전류의 크기 및 동기 스위치관(Q2)의 상태에 근거하여, 다른 시각에서 메인 스위치관(Q1)의 듀티비를 예측 하여 제어하고, 회로에서 발생되는 동적 충격이 감소되게끔, 예측 값에 근거하여 메인 스위치관(Q1) 및 동기 스위치관(Q2)을 제어한다.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기에서는 상기 동기BUCK회로의 제어 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이해가 가게끔, 도1의 동기BUCK회로는 기초회로이고, 본 실시예에 영향을 미치는 제어 방법은 다른 변형 동기BUCK회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스텝S110: 동기BUCK회로(100)의 입력 전압,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취득한다.
예시적으로는, 대응 위치에 대응하는 샘플링 회로를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기BUCK회로(100)의 입력단에 샘플링 유닛을 설치하여, 연결된 전원 전압(Vin)을 샘플링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샘플링 유닛은, 분압 저항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등으로부터 구성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출력 전류(Iout) 및 출력 전압(Vout)에 대하여서는, 회로의 출력단에 다른 샘플링 유닛을 설치하여 샘플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변류기 등을 이용하여 출력 전류를 샘플링할 수 있다. 이해가 가게끔, 여기에서 말하는 샘플링 회로의 구체적인 구조는, 특히 제한되지 않고, 실제의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스텝S120: 동기 스위치관(Q2)의 현재 상태를 취득한다.
스텝S130: 동기 스위치관(Q2)이 온 상태일 경우, 오프 전류 임계값을 취득한다.
동기 스위치관(Q2)의 상태는, 온 상태 및 오프 상태로 나눌 수 있다. 온 상태는, 통한 상태 또는 개통 상태라고 칭하여도 되고, 오프 상태는, 폐쇄 상태 또는 차단 상태라고 칭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오프 전류 임계값 및 온 전류 임계값인 2개의 전류 임계값을 설정한다. 오프 전류 임계값이 온 전류 임계값보다도 작고, 온 전류 임계값 및 오프 전류 임계값은 각각 동기 스위치관(Q2)의 온 시각 및 오프 시각을 결정한다.
예시적으로는, 동기 스위치관(Q2)이 현재 온 상태에 있을 경우, 오프 전류 임계값을 취득하여, 오프 전류 임계값 및 출력 전류에 의하여 현재 상기 동기 스위치관(Q2)을 오프할 필요가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현재의 출력 전류가 상기 오프 전류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동기 스위치관(Q2)을 제어하여 현재의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전환한다(즉, 스텝S140). 그렇지 않을 경우, 현재의 온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한다.
스텝S140: 상기 출력 전류가 오프 전류 임계값보다도 작을 경우, 동기 스위치관(Q2)을 오프 상태로 전환한다.
스텝S150: 상기 입력 전압, 상기 출력 전압 및 상기 오프 전류 임계값에 근거하여 메인 스위치관(Q1)의 듀티비를 계산한다.
예시적으로, 동기 스위치관(Q2)을 차단한 후, 동기BUCK회로는 단속 동작 모드로 들어간다. 이 경우, 동기BUCK회로의 단속 모드의 이득 특성에 근거하여, 이하의 제1듀티비 공식에 의하여 이 경우의 메인 스위치관(Q1)의 듀티비를 계산한다.
제1듀티비의 공식은 아래의 수학식 1에 따라 산출된다.:
수학식 1에서, D는 메인 스위치관의 듀티비이고, Vin는 현재 샘플링의 입력 전압이고, Vout는 현재 샘플링의 출력 전압이고, L는 동기BUCK회로 중의 인덕터의 인덕턴스이고, Ix는 오프 전류 임계값이고, Ts는 메인 스위치관(Q1)의 온/오프 주기이다.
스텝S160: 상기 듀티비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동기BUCK회로(100)를 제어한다.
메인 스위치관(Q1)의 듀티비를 산출한 후, 상기 듀티비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PWM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메인 스위치관(Q1) 및 동기 스위치관(Q2)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듀티비는 메인 스위치관(Q1)의 다음 동작 모드에 근거하여 예측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예측된 듀티비를 그대로 이용하여 메인 스위치관(Q1)을 제어함으로써, CCM(연속 모드)와 DCM(단속 모드)의 2개의 동작 모드의 전환과정 중에 메인 스위치관(Q1)에 발생되는 전류충격이 감소되어, 메인 스위치관(Q1)의 신뢰성 및 출력 성능을 제고시킬 수 있다.
이해가 가게끔, 동기BUCK회로가 단속 모드에서 동작할 때, 메인 스위치관(Q1)이 온으로 되면, 동기 스위치관(Q2)이 차단되고, 이 때, 인덕터(L)는 에너지를 저장한다. 메인 스위치관(Q1)이 차단된 경우, 인덕터(L)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동기 스위치관(Q2) 중의 바디 다이오드 또는 외부의 다이오드를 통하여 환류를 행한다.
통상적으로, 동기BUCK회로(100)는, 전압 제어, 평균 전류 제어 또는 피크 전류 제어 등 각종 제어 기술을 통하여 제어할 수 있으며, 실제 필요에 따라 적절한 제어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기BUCK회로(100)는 루프 보상 모듈을 더 포함한다. 샘플링하여 얻은 출력 전압(Vout)과 소정의 기준 전압Vref 사이의 편차치E를 루프 보상 모듈의 입력으로 하고, 출력되는 전압U에 근거하여 편차를 보정하기 위한 조정량을 계산함으로써, 출력 전압의 조정을 실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루프 보상 모듈은, 전류 루프 구조를 더 포함하여도 된다. 출력 전압U를 전류 루프의 소정값로 하여, 상기 소정값 및 출력 전류에 근거하여 제어 조정하여 대응되는 듀티비의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루프 보상 모듈에는, 대응하는 이산 영역 차분 방정식이 구축된다. 상기 이산 영역 차분 방정식에 의해 메인 스위치관(Q1)의 듀티비 또는 듀티비를 구하기 위한 중간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이산 영역 차분 방정식은 아래의 수학식 2와 같다.
수학식 2에서, U는 듀티비 또는 듀티비를 구하기 위한 중간량을 나타내고, n는 현재의 샘플링을 나타내고, n-1은 일회전의 샘플링을 나타내고, E는 출력 전압과 기준 전압의 편차를 나타내고, i 및 j는 모두 2이상의 정수를 나타내고, A1, Ai, B1, B2 및 Bj는 각각 대응항의 이득 계수를 나타낸다. 이해가 가게끔, 만약 어느항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대응항의 이득 계수는 0이고, 즉 차분 방정식의 출력은 상기 항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동기BUCK회로의 제어 방법은, 스텝S210을 더 포함한다.
스텝S210: 동기 스위치관(Q2)이 온 상태이고 또한 상기 출력 전류가 상기 오프 전류 임계값 이상일 경우, 동기 스위치관(Q2)의 현재의 상태를 유지한다.
예시적으로, 현재의 샘플링 시각에서, 동기 스위치관(Q2)이 온 상태이고, 또한 이 때의 출력 전류가 오프 전류 임계값 이상일 경우, 동기 스위치관(Q2)은 온 상태로 계속 유지된다. 이 단계에서, 상기 이산 영역 차분 방정식에 의해 메인 스위치관(Q1)의 듀티비를 계산할 수 있고, 또한 종래의 듀티비의 확정 방법에 의해 듀티비, 또는 상기 듀티비를 확정하기 위한 중간량을 확정한다.
스텝S220: 상기 출력 전압과 기준 전압의 편차 및 상기 이산 영역 차분 방정식에서 의해 메인 스위치관(Q1)의 듀티비 또는 상기 듀티비를 구하기 위한 중간량을 계산한다.
다른 루프 보상 구조는, 다른 이산 영역 차분 방정식을 가지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실제의 수요에 따라서 듀티비 또는 듀티비를 구하기 위한 중간량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압 제어 방식의 PID루프 보상 구조를 예로 하면, 대응되는 차분 방정식은 수학식 3과 같다.
수학식 3에서, U(n)는 현재 출력되는 듀티비를 계산하기 위한 중간량을 나타내고, 제어 전압이며, U(n-1)는 일회전의 출력, 즉 일회전의 이력 중간량을 나타내고, E(n)는 현재 샘플링의 출력 전압과 기준 전압의 편차치를 나타내고, E(n-1) 및 E(n-2)는 각각 일회전 및 2회전의 이력편차치를 나타낸다.
또한, 예를 들면, 다른 전류 루프PI의 제어 방식에서 대응하는 차분 방정식의 출력은, PWM신호의 듀티비를 직접 출력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을 생략한다. 듀티비를 산출한 후, 동기BUCK회로(100) 중의 2개의 스위치관에 대하여 대응 제어할 수 있다. 이해가 가게끔, PI제어, PD제어 또는 PID제어 등 다른 유형의 루프 제어장치는 대응하는 차분 방정식도 다르다.
스텝S230: 상기 듀티비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동기BUCK회로(100)를 제어하고, 혹은 상기 중간량에 근거하여 듀티비를 구한 후, 상기 듀티비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동기BUCK회로(100)를 제어한다.
예시적으로는, 차분 방정식에 의하여 듀티비를 직접 출력할 수 있을 경우, 제어장치는 상기 듀티비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PWM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메인 스위치관(Q1) 및 동기 스위치관(Q2)을 구동 제어할 수 있다. 차분 방정식에 의하여 중간량, 예를 들면, 상기 제어 전압 등을 출력할 경우, 제어장치는 그것을 메인 스위치관(Q1)의 듀티비로 전환하여 대응하는 PWM구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게다가,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텝S120에서, 동기 스위치관(Q2)은 오프 상태도 존재한다. 이 경우, 온 전류 임계값을 기준으로 하여 크기가 다른 출력 전류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다른 방식에 의해 메인 스위치관(Q1)의 듀티비를 계산한다. 상기 스텝S120후에, 상기 동기BUCK회로의 제어 방법은, 이하의 스텝S310-S340을 더 포함한다.
스텝S310: 동기 스위치관(Q2)이 오프 상태일 경우, 온 전류 임계값을 취득한다.
스텝S320: 상기 출력 전류가 상기 온 전류 임계값보다도 높을 경우, 동기 스위치관(Q2)을 온 상태로 전환한다.
예시적으로 동기 스위치관(Q2)이 현재 오프 상태에 있을 경우, 온 전류 임계값을 취득하고, 상기 온 전류 임계값 및 출력 전류의 사이즈에 근거하여, 현재 상기 동기 스위치관(Q2)을 온으로 할 필요가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현재의 출력 전류가 상기 온 전류 임계값보다도 높을 경우, 동기 스위치관(Q2)을 현재의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전환하고, 즉 스텝S320을 실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현재의 오프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한다.
스텝S330: 상기 입력 전압 및 상기 출력 전압에 근거하여 메인 스위치관(Q1)의 듀티비를 계산한다.
예시적으로, 동기 스위치관(Q2)이 온으로 되면, 동기BUCK회로는 연속 모드로 들어간다. 이 경우 BUCK회로의 연속 모드의 이득 특성에 근거하여, 이하의 제2듀티비의 공식에 의해 메인 스위치관(Q1)의 듀티비를 계산할 수 있다. 제2듀티비의 공식은 수학식 4와 같다.
수학식 4에서, D는 메인 스위치관의 듀티비를 나타내고, Vin는 현재 샘플링의 입력 전압을 나타내고, Vout는 현재 샘플링의 출력 전압을 나타낸다.
스텝S340: 상기 듀티비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동기BUCK회로(100)를 제어한다.
메인 스위치관(Q1)의 듀티비를 산출한 후, 상기 듀티비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PWM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메인 스위치관(Q1) 및 동기 스위치관(Q2)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듀티비는, 메인 스위치관(Q1)의 다음 동작 모드에 근거하여 예측한 것이기 때문에, 예측한 상기 듀티비에 의해 메인 스위치관(Q1)을 제어함으로써, 모드 전환과정에서의 메인 스위치관(Q1)에 발생되는 전류충격이 감소되어, 메인 스위치관(Q1)의 신뢰성 및 출력 성능이 향상된다.
게다가,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동기BUCK회로의 제어 방법은 스텝S410부터 430을 더 포함한다.
스텝S410: 동기 스위치관(Q2)이 오프 상태이고 또한 상기 출력 전류가 상기 온 전류 임계값 이하일 경우, 동기 스위치관(Q2)의 현재 상태를 유지한다.
스텝S420: 상기 출력 전압과 기준 전압의 편차로부터 상기 이산 영역 차분 방정식에 의해 상기 메인 스위치관(Q1)의 듀티비 또는 상기 듀티비를 구하기 위한 중간량을 계산한다.
예시적으로, 현재의 샘플링 시각에서 동기 스위치관(Q2)이 오프 상태이고 또한 이 때의 출력 전류가 온 전류 임계값 이하일 경우, 상기 동기 스위치관(Q2)을 온으로 하는 시각이 아니기 때문에, 현재의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출력 전류가 온 전류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동기 스위치관(Q2)을 온으로 제어한다.
스텝S430: 상기 듀티비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동기BUCK회로(100)를 제어하고, 또는 상기 중간량에 근거하여 듀티비를 구한 후, 상기 듀티비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동기BUCK회로(100)를 제어한다.
동일하게, 듀티비를 산출한 후, 상기 듀티비에 의해 동기BUCK회로(100)를 제어한다. 상기 스텝은 상기 스텝S230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1듀티비의 공식 또는 제2듀티비의 공식에 의해 메인 스위치관(Q1)의 듀티비를 산출하는 스텝 후에, 이하를 더 포함한다.
산출된 메인 스위치관(Q1)의 듀티비에 근거하여 상기 이산 영역 차분 방정식 중의 변량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후의 이산 영역 차분 방정식의 출력 값이, 상기 듀티비 또는 상기 듀티비를 구하기 위한 중간량이 된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듀티비의 공식 또는 제2듀티비의 공식에 의해 듀티비를 계산할 때, 상기 경우의 듀티비는 공식에 의해 직접 산출되기 때문에, 상기 듀티비에 근거하여 이산 영역 차분 방정식의 조정 가능한 변수에 값을 할당하고, 예를 들면, 이력 출력 값 U(n-1),……, U(n-i) 등이다.
이해가 가게끔, 상기 동기 스위치관(Q2)은 통상적으로 온 상태와 오프 상태의 사이에서 전환되고, 출력 전류도 계속하여 변화된다. 본 실시예의 동기BUCK회로의 제어 방법에서는, 스위치관에 대한 제어를 다분기로 더 나누기 위하여, 다른 시각에서는 대응하는 듀티비의 공식을 채용하여 듀티비의 예측 제어 값을 부여하여, 스위치관의 신뢰성 및 출력 성능 등에 영향을 미치는 큰 동적 충격이 발생되는 것을 회피한다.
도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동기BUCK회로를 제어하여 전력변환을 실현하기 위한 동기BUCK회로의 제어장치(200)가 제공된다. 예시적으로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기BUCK회로(100)는, 메인 스위치관(Q1), 인덕터(L), 동기 스위치관(Q2) 및 에너지 저장 콘덴서(C)를 포함한다. 메인 스위치관(Q1)의 제1단자는 전원(BAT)의 정극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인덕터(L)의 제1단자에 연결되고, 제어 단자는 제어장치(200)에 접속된다. 동기 스위치관(Q2)의 제1단자는 메인 스위치관(Q1)의 제2단자 및 인덕터(L)의 제1단자에 각각 연결되고, 제2단자는 전원(BAT)의 부극에 연결되고, 제어 단자는 제어장치(200)에 연결된다. 인덕터(L)의 제2단자는 에너지 저장 콘덴서(C)의 정극에 연결되고, 에너지 저장 콘덴서(C)의 부극은 전원(BAT)의 부극에 연결되고, 에너지 저장 콘덴서(C)의 양단은 부하에도 병렬 연결된다.
예시적으로,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장치(200)는 취득 모듈(210), 전환 모듈(220), 계산 모듈(230) 및 구동 제어 모듈(240)을 포함한다. 취득 모듈(210)은, 동기BUCK회로(100)의 입력 전압,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 및 동기 스위치관(Q2)의 현재 상태를 취득한다. 취득 모듈(210)은 또한, 동기 스위치관(Q2)이 온 상태일 경우에 오프 전류 임계값을 취득한다. 전환 모듈(220)은, 상기 출력 전류가 오프 전류 임계값보다도 낮을 경우에 동기 스위치관(Q2)을 오프 상태로 전환한다. 계산 모듈(230)은, 상기 입력 전압, 상기 출력 전압 및 상기 오프 전류 임계값에 근거하여 메인 스위치관(Q1)의 듀티비를 계산한다. 구동 제어 모듈(240)은, 상기 듀티비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동기BUCK회로(100)를 제어한다.
게다가, 취득 모듈(210)은 또한, 상기 동기 스위치관(Q2)이 오프 상태에 있을 경우, 온 전류 임계값을 취득한다. 전환 모듈(220)은 또한, 상기 출력 전류가 상기 온 전류 임계값보다도 높을 경우, 상기 동기 스위치관(Q2)을 온 상태로 전환한다. 계산 모듈(230)은 또한, 상기 입력 전압 및 상기 출력 전압에 근거하여 상기 메인 스위치관(Q1)의 듀티비를 계산한다.
게다가, 상기 동기BUCK회로(100)는 루프 보상 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루프 보상 모듈에는 상기 메인 스위치관(Q1)의 듀티비 또는 상기 듀티비를 구하기 위한 중간량을 확정하기 위한, 대응하는 이산 영역 차분 방정식이 구축된다.
때문에, 전환 모듈(220)은 또한, 상기 동기 스위치관(Q2)이 온 상태이고 또한 상기 출력 전류가 상기 오프 전류 임계값 이상일 경우, 또는 상기 동기 스위치관(Q2)이 오프 상태이고 또한 상기 출력 전류가 상기 온 전류 임계값 이하일 경우, 상기 동기 스위치관(Q2)의 현재의 상태를 유지한다. 계산 모듈(230)은 또한, 상기 출력 전압과 기준 전압의 편차로부터 상기 이산 영역 차분 방정식에 의해 상기 메인 스위치관(Q1)의 듀티비 또는 상기 듀티비를 구하기 위한 중간량을 계산한다. 구동 제어 모듈(240)은, 상기 듀티비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동기BUCK회로(100)를 제어하고, 혹은 상기 중간량에 근거하여 듀티비를 구한 후, 상기 듀티비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동기BUCK회로(100)를 제어한다.
이해가 가게끔, 상기 실시예1 중의 선택 가능한 항은 본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동기BUCK회로 시스템이 더 제공된다. 예시적으로, 상기 동기BUCK회로 시스템은, 동기BUCK회로 및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실시예2 중의 동기BUCK회로의 제어장치(200)를 사용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기BUCK회로(100)는 메인 스위치관(Q1), 인덕터(L), 동기 스위치관(Q2), 에너지 저장 콘덴서(C) 및 샘플링 회로를 포함한다. 메인 스위치관(Q1)의 제1단자는 전원(BAT)의 정극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상기 인덕터(L)의 제1단자에 연결되고, 제어 단자는 제어장치 중의 제어장치(200)에 연결된다. 동기 스위치관(Q2)의 제1단자는 메인 스위치관(Q1)의 제2단자 및 인덕터(L)의 제1단자에 각각 연결되고, 제2단자는 전원(BAT)의 부극에 연결되고, 제어 단자는 제어장치(200)에 연결된다. 인덕터(L)의 제2단자는 에너지 저장 콘덴서(C)의 정극에 연결되고, 에너지 저장 콘덴서(C)의 부극은 전원(BAT)의 부극에 연결되고, 에너지 저장 콘덴서(C)의 양단은 부하에도 병렬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샘플링 회로는, 주로 동기BUCK회로(100)의 입력 전압,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샘플링하고, 샘플링된 상기 전기신호를 제어장치(200)에 입력한다. 제어장치(200)는 상기 샘플링 데이터에 근거하여 회로를 제어한다. 입력 전압 및 출력 전압을 샘플링할 때에, 예를 들면, 분압저항에 대응되는 회로의 입력단 및 출력단을 통하여 샘플링할 수 있다. 출력 전류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변류기 등에 의해 샘플링할 수 있다.
이해가 가게끔, 상기 실시예1 중의 선택 가능한 항은 동일하게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자장치를 더 제공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실시예의 동기BUCK회로 시스템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장치는 전원 설비 등이여도 된다.
본 발명의 의하여 제공되는 몇가지의 실시예에서, 공개된 장치 및 방법은 또한 다른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지나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면에 있어서의 순서도 및 구조도는, 본 발명의 몇가지의 실시예에 의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실현될 수 있는 체계구조, 기능 및 조작을 나타낸다. 순서도 및 블록도의 각 블록은, 하나의 모듈, 프로그램 세그먼트 및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모듈, 프로그램 세그먼트 및 코드의 일부에는, 소정의 로직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1개 이상의 실행 가능한 명령이 포함된다. 여기에 주의해야 할 것은, 대체적인 실현 방법에서, 사각형에 나타내는 기능은, 도면에 나타내는 순서와 다른 순서로 발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2개의 연속되는 사각형은, 실제적으로는 기본적으로 병행하여 실행할 수 있지만, 관련 기능에 따라서 반대 순서로 실행될 수도 있다. 한편, 구조도 및/또는 순서도의 각 사각형, 및 구조도 및/또는 순서도의 사각형의 조합은, 소정의 기능 또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전용 하드웨어에 근거되는 시스템에 의해 실현되고, 혹은 전용의 하드웨어와 컴퓨터 명령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각 기능 모듈 또는 유닛은, 독립된 1개의 부분으로 집성되어도 좋고, 각각 단독으로 존재하여도 좋고, 2개 이상의 1개의 독립된 부분으로 집성되어도 된다.
상기의 서술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방식에 지나치지 않고,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출원에 공개된 기술의 범위내에서 변화나 변경을 용이하게 생각 할 수 있고, 상기 변화나 대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20)

  1. 동기BUCK회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기BUCK회로의 입력 전압,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취득하는 것;
    상기 동기BUCK회로중의 동기 스위치관의 현재 상태를 취득하는 것;
    상기 동기 스위치관이 온 상태에 있을 경우, 오프 전류 임계값을 취득하는 것;
    상기 출력 전류가 상기 오프 전류 임계값보다도 낮을 경우, 상기 동기 스위치관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것;
    상기 입력 전압, 상기 출력 전압 및 상기 오프 전류 임계값에 근거하여 제1 듀티비 공식에 의해 상기 동기BUCK회로중의 메인 스위치관의 듀티비를 계산하는 것; 및
    상기 듀티비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동기BUCK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압, 상기 출력 전압 및 상기 오프 전류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메인 스위치관의 듀티비를 계산할 때, 제1듀티비의 공식에 의해 계산하고,
    상기 제1듀티비의 공식은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산출되고,
    <수학식>

    여기서, D는 상기 메인 스위치관의 듀티비를 나타내고, Vin는 현재 샘플링의 입력 전압을 나타내고, Vout는 현재 샘플링의 출력 전압을 나타내고, L는 상기 동기BUCK회로중의 인덕터의 인덕턴스를 나타내고, Ix는 상기 오프 전류 임계값을 나타내고, Ts는 상기 메인 스위치관의 온/오프 주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스위치관이 오프 상태에 있을 경우, 온 전류 임계값을 취득하는 것;
    상기 출력 전류가 상기 온 전류 임계값보다도 높을 경우, 상기 동기 스위치관을 온 상태로 전환하는 것;
    상기 입력 전압 및 상기 출력 전압에 근거하여 제2 듀티비 공식에 의해 상기 메인 스위치관의 듀티비를 계산하는 것; 및
    상기 듀티비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동기BUCK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압 및 상기 출력 전압에 근거하여 상기 메인 스위치관의 듀티비를 계산할 때, 제2듀티비의 공식에 의해 계산하고,
    상기 제2듀티비의 공식은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산출되고,
    <수학식>

    여기서, D는 상기 메인 스위치관의 듀티비를 나타내고, Vin는 현재 샘플링의 입력 전압을 나타내고, Vout는 현재 샘플링의 출력 전압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BUCK회로는 루프 보상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루프 보상 모듈에는 이산 영역 차분 방정식이 구축되어 있어서, 상기 메인 스위치관의 듀티비 또는 상기 듀티비를 구하기 위한 중간량을 확정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동기 스위치관이 온 상태이고 또한 상기 출력 전류가 상기 오프 전류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동기 스위치관의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
    상기 출력 전압과 기준 전압의 편차 및 상기 이산 영역 차분 방정식에 의해 상기 메인 스위치관의 듀티비 또는 상기 듀티비를 구하기 위한 중간량을 계산하는 것; 및
    상기 듀티비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동기BUCK회로를 제어하고, 혹은 상기 중간량으로부터 듀티비를 구한 후, 상기 듀티비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동기BUCK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스위치관이 오프 상태이고 또한 상기 출력 전류가 상기 온 전류 임계값 이하일 경우, 상기 동기 스위치관의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
    상기 출력 전압과 기준 전압의 편차 및 상기 이산 영역 차분 방정식에 의해 상기 메인 스위치관의 듀티비 또는 상기 듀티비를 구하기 위한 중간량을 계산하는 것; 및
    상기 듀티비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동기BUCK회로를 제어하고, 혹은 상기 중간량으로부터 듀티비를 구한 후, 상기 듀티비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동기BUCK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 영역 차분 방정식은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산출되고,
    <수학식>

    여기서, U는 듀티비 또는 상기 듀티비를 산출하기 위한 중간량을 나타내고, n는 현재의 샘플링을 나타내고, n-1은 먼저번의 샘플링을 나타내고, E는 수출전압과 기준 전압의 편차를 나타내고, i 및 j는 모두 2이상의 정수를 나타내고, A1, Ai, B1, B2 및 Bj는 각각 대응항의 이득 계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압, 상기 출력 전압 및 상기 오프 전류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메인 스위치관의 듀티비를 계산하는 스텝 후에,
    조정후의 이산 영역 차분 방정식의 출력 값이 상기 듀티비 또는 상기 듀티비를 산출하기 위한 중간량이 되게끔, 산출된 상기 메인 스위치관의 듀티비에 근거하여 상기 이산 영역 차분 방정식 중의 변수를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압 및 상기 출력 전압에 근거하여 상기 메인 스위치관의 듀티비를 계산하는 스텝 후에는,
    조정후의 이산 영역 차분 방정식의 출력 값이 상기 듀티비 또는 상기 듀티비를 산출하기 위한 중간량이 되게끔, 산출된 상기 메인 스위치관의 듀티비에 근거하여 상기 이산 영역 차분 방정식 중의 변수를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보상 모듈은, PI제어, PD제어 또는 PID제어를 채용한 루프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동기BUCK회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기BUCK회로의 입력 전압,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취득하는 것;
    상기 동기BUCK회로 중의 동기 스위치관의 현재 상태를 취득하는 것;
    상기 동기 스위치관이 온 상태에 있을 경우, 오프 전류 임계값을 취득하는 것;
    상기 출력 전류가 상기 오프 전류 임계값보다도 낮을 경우, 상기 동기 스위치관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것;
    상기 입력 전압, 상기 출력 전압 및 상기 오프 전류 임계값에 근거하여 제1듀티비의 공식에 의해 상기 동기BUCK회로 중의 메인 스위치관의 듀티비를 계산하는 것; 및
    상기 듀티비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동기BUCK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듀티비의 공식은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산출되며,
    <수학식>

    여기서, D는 상기 메인 스위치관의 듀티비를 나타내고, Vin는 현재 샘플링의 입력 전압을 나타내고, Vout는 현재 샘플링의 출력 전압을 나타내고, L는 상기 동기BUCK회로 중의 인덕터 인덕턴스를 나타내고, Ix는 상기 오프 전류 임계값을 나타내고, Ts는 상기 메인 스위치관의 온/오프 주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동기BUCK회로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기BUCK회로의 입력 전압,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 및 상기 동기BUCK회로 중의 동기 스위치관의 현재 상태를 취득하고, 또한 상기 동기 스위치관이 온 상태에 있을 경우, 오프 전류 임계값을 취득하는 취득 모듈;
    상기 출력 전류가 상기 오프 전류 임계값보다 낮을 경우, 상기 동기 스위치관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모듈;
    상기 입력 전압, 상기 출력 전압 및 상기 오프 전류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동기BUCK회로 중의 메인 스위치관의 듀티비를 계산하는 계산 모듈; 및
    상기 듀티비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동기BUCK회로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 모듈은, 상기 입력 전압, 상기 출력 전압 및 상기 오프 전류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메인 스위치관의 듀티비를 계산할 때에, 제1듀티비의 공식에 의해 계산하고, 상기 제1듀티비의 공식은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산출되고,
    <수학식>

    여기서, D는 상기 메인 스위치관의 듀티비를 나타내고, Vin는 현재 샘플링의 입력 전압을 나타내고, Vout는 현재 샘플링의 출력 전압을 나타내고, L는 상기 동기BUCK회로 중의 인덕터의 인덕턴스를 나타내고, Ix는 상기 오프 전류 임계값을 나타내고, Ts는 상기 메인 스위치관의 온/오프 주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된 제어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모듈은 상기 동기 스위치관이 오프 상태에 있을 경우, 온 전류 임계값을 취득하는 것에 더 이용되고,
    상기 전환 모듈은 상기 출력 전류가 상기 온 전류 임계값보다도 높을 경우, 상기 동기 스위치관을 온 상태로 전환하는 것에 더 이용되고,
    상기 계산 모듈은 상기 입력 전압 및 상기 출력 전압에 근거하여 상기 메인 스위치관의 듀티비를 계산하는 것에 더 이용되고,
    상기 구동 제어 모듈은 상기 듀티비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동기BUCK회로를 제어하는 것에 더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 모듈이 상기 입력 전압 및 상기 출력 전압에 근거하여 상기 메인 스위치관의 듀티비를 계산할 때에, 제2듀티비의 공식에 의해 계산하고, 상기 제2듀티비의 공식은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산출되고,
    <수학식>

    여기서, D는 상기 메인 스위치관의 듀티비를 나타내고, Vin는 현재 샘플링의 입력 전압을 나타내고, Vout는 현재 샘플링의 출력 전압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BUCK회로는, 루프 보상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루프 보상 모듈에는, 상기 메인 스위치관의 듀티비 또는 상기 듀티비를 추구하기 위한 중간량을 확정하기 위하여, 대응하는 이산 영역 차분 방정식이 구축되고,
    상기 전환 모듈은 상기 동기 스위치관이 온 상태이고 또한 상기 출력 전류가 상기 오프 전류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동기 스위치관의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에 더 이용되고,
    상기 계산 모듈은 상기 출력 전압과 기준 전압의 편차 및 상기 이산 영역 차분 방정식에 근거하여 상기 메인 스위치관의 듀티비 또는 상기 듀티비를 구하기 위한 중간량을 계산하는 것에 더 이용되고,
    상기 구동 제어 모듈은 상기 듀티비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동기BUCK회로를 제어하고, 혹은 상기 중간량에 근거하여 듀티비를 구한 후, 상기 듀티비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동기BUCK회로를 제어하는 것에 더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 영역 차분 방정식은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산출되고,
    <수학식>

    여기서, U는 듀티비 또는 상기 듀티비를 산출하기 위한 중간량을 나타내고, n는 현재의 샘플링을 나타내고, n-1은 일회전의 샘플링을 나타내고, E는 출력 전압과 기준 전압의 편차를 나타내고, i 및 j는 모두 2이상의 정수를 나타내고, A1, Ai, B1, B2 및 Bj는 각각 대응항의 이득 계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 모듈은, 상기 입력 전압, 상기 출력 전압 및 상기 오프 전류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메인 스위치관의 듀티비를 계산한 후, 혹은 상기 입력 전압 및 상기 출력 전압에 근거하여 상기 메인 스위치관의 듀티비를 계산한 후에,
    조정후의 이산 영역 차분 방정식의 출력 값이 상기 듀티비 또는 상기 듀티비를 산출하기 위한 중간량이 되게 끔, 산출된 상기 메인 스위치관의 듀티비에 근거하여 상기 이산 영역 차분 방정식 중의 변수를 조정하는 것에 더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19. 동기BUCK회로 시스템에 있어서,
    동기BUCK회로 및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동기BUCK회로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고,
    상기 동기BUCK회로는, 메인 스위치관, 인덕터, 동기 스위치관, 에너지 저장 콘덴서 및 샘플링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샘플링 회로는, 상기 동기BUCK회로의 입력 전압,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채집하여 상기 제어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메인 스위치관의 제1단자는 전원의 정극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상기 인덕터의 제1단자에 연결되고, 제어 단자는 상기 제어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동기 스위치관의 제1단자는 상기 메인 스위치관의 제2단자 및 상기 인덕터의 제1단자에 각각 연결되고, 제2단자는 상기 전원의 부극에 연결되고, 제어 단자는 상기 제어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인덕터의 제2단자는 상기 에너지 저장 콘덴서의 정극에 연결되고, 상기 에너지 저장 콘덴서의 부극은 상기 전원의 부극에 연결되고, 상기 에너지 저장 콘덴서의 양단은 부하에 병렬 연결되고,
    상기 동기BUCK회로의 제어 방법은,
    상기 동기BUCK회로의 입력 전압,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취득하는 것;
    상기 동기BUCK회로 중의 동기 스위치관의 현재 상태를 취득하는 것;
    상기 동기 스위치관이 온 상태에 있을 경우, 오프 전류 임계값을 취득하는 것;
    상기 출력 전류가 상기 오프 전류 임계값보다도 낮을 경우, 상기 동기 스위치관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것;
    상기 입력 전압, 상기 출력 전압 및 상기 오프 전류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동기BUCK회로 중의 메인 스위치관의 듀티비를 계산하는 것; 및
    상기 듀티비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동기BUCK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BUCK회로 시스템.
  20. 제19항의 동기BUCK회로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0217036453A 2021-03-11 2021-08-05 동기buck회로의 제어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전자장치 Active KR1025726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263634.6A CN112636598B (zh) 2021-03-11 2021-03-11 同步buck电路的控制方法、装置、系统和电子装置
CN202110263634.6 2021-03-11
PCT/CN2021/110805 WO2021254534A2 (zh) 2021-03-11 2021-08-05 同步buck电路的控制方法、装置、系统和电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264A KR20220128264A (ko) 2022-09-20
KR102572644B1 true KR102572644B1 (ko) 2023-08-29

Family

ID=75297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6453A Active KR102572644B1 (ko) 2021-03-11 2021-08-05 동기buck회로의 제어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전자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11390A1 (ko)
EP (1) EP4307547A4 (ko)
JP (1) JP7106769B2 (ko)
KR (1) KR102572644B1 (ko)
CN (1) CN112636598B (ko)
WO (1) WO202125453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36598B (zh) * 2021-03-11 2021-05-25 深圳市正浩创新科技有限公司 同步buck电路的控制方法、装置、系统和电子装置
CN116345906A (zh) * 2023-03-28 2023-06-27 苏州海鹏科技有限公司 基于双向直流变换器电路的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00894A1 (en) 2002-04-03 2004-01-01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Multiphase synchronous buck converter with improved power loss balancing
US20060232252A1 (en) 2005-04-15 2006-10-19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Buck converter having improved transient response to load step down
US20130063114A1 (en) 2011-09-14 2013-03-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ircuit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wm input of driver circuit
CN106374748A (zh) 2016-10-09 2017-02-01 昂宝电子(上海)有限公司 Buck变换器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43266B2 (en) * 2002-12-21 2010-06-22 Power-One, Inc.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filter compensation coefficients for a digital power control system
US7911816B2 (en) * 2006-09-13 2011-03-22 Hypertherm, Inc. Linear, inductance based control of regulated electrical properties in a switch mode power supply of a thermal processing system
US7535210B2 (en) * 2006-10-18 2009-05-1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redictive duty ratio generating circuit and method for synchronous boost converters operating in PFM mode
US7800352B2 (en) * 2007-05-16 2010-09-21 Intersil Americas Inc. Controller having comp node voltage shift cancellation for improved discontinuous conduction mode (DCM) regulator performance and related methods
US8686698B2 (en) * 2008-04-16 2014-04-01 Enpirion, Inc. Power converter with controller operable in selected modes of operation
US8742744B2 (en) * 2009-01-13 2014-06-03 University Of Alabama Sensor-less operation and detection of CCM and DCM operation modes in synchronous switching power converters
US9124177B2 (en) * 2010-08-10 2015-09-0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of smooth light load operation in a DC/DC converter
CN102202449B (zh) * 2011-06-30 2014-07-02 杭州士兰微电子股份有限公司 Led驱动控制电路及方法
US8791647B2 (en) * 2011-12-28 2014-07-29 Dialog Semiconductor Inc. Predictive control of power converter for LED driver
US9444332B2 (en) * 2013-10-07 2016-09-13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supply during discontinuous conduction mode
CN104362851B (zh) * 2014-10-15 2017-04-26 西安交通大学 一种dc‑dc转换器控制系统
JP6323389B2 (ja) * 2015-04-27 2018-05-1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Dc/dcコンバータ
US10090663B2 (en) * 2016-01-11 2018-10-02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and method for voltage regulators
US9806617B1 (en) * 2016-09-09 2017-10-31 Dialog Semiconductor (Uk) Limited Switch mode power converter with overshoot and undershoot transient control circuits
JP6289574B1 (ja) * 2016-09-30 2018-03-07 三菱電機株式会社 直流電力変換器
US10525841B2 (en) * 2016-10-12 2020-01-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Gate driver with short circuit protection
US10715039B1 (en) * 2018-03-07 2020-07-14 Cirrus Logic, Inc. Peak current controlled switch mode power supply with embedded adaptive pulse frequency modulation control
DE102019200697A1 (de) * 2019-01-21 2020-07-23 Dialog Semiconductor (Uk) Limited Steuerung der Pulsfrequenzmodulation eines Leistungswandlers
CN110138209B (zh) * 2019-05-13 2021-08-06 矽力杰半导体技术(杭州)有限公司 开关电源的模式切换电路和模式切换方法
CN112636598B (zh) * 2021-03-11 2021-05-25 深圳市正浩创新科技有限公司 同步buck电路的控制方法、装置、系统和电子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00894A1 (en) 2002-04-03 2004-01-01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Multiphase synchronous buck converter with improved power loss balancing
US20060232252A1 (en) 2005-04-15 2006-10-19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Buck converter having improved transient response to load step down
US20130063114A1 (en) 2011-09-14 2013-03-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ircuit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wm input of driver circuit
CN106374748A (zh) 2016-10-09 2017-02-01 昂宝电子(上海)有限公司 Buck变换器及其控制方法
CN111697828A (zh) 2016-10-09 2020-09-22 昂宝电子(上海)有限公司 Buck变换器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54534A2 (zh) 2021-12-23
KR20220128264A (ko) 2022-09-20
WO2021254534A3 (zh) 2022-02-10
CN112636598B (zh) 2021-05-25
CN112636598A (zh) 2021-04-09
US20230011390A1 (en) 2023-01-12
JP7106769B2 (ja) 2022-07-26
EP4307547A4 (en) 2024-08-14
EP4307547A2 (en) 2024-01-17
JP2022532301A (ja) 2022-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4566B2 (en) Current-mode control switching regulator and operations control method thereof
Leung et al. Dynamic hysteresis band control of the buck converter with fast transient response
JP5313252B2 (ja) スイッチモード電源(smps)およびその方法
US9356510B2 (en) Constant on-time switching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538526B2 (en) Switching regulator, and a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regulator
US10320291B2 (en) Control circuit and device with edge comparison for switching circuit
CN112688538A (zh) 准恒定导通时间控制电路及其开关变换器和方法
JP5431445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JP2010516223A (ja) スナバを有する電力コンバータ
EP3327916B1 (en) Current-mode dc/dc converter and method therefor
TWI470908B (zh) 控制電路、時間計算單元及控制電路操作方法
KR102572644B1 (ko) 동기buck회로의 제어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전자장치
CN117155074A (zh) Turbo模式开关变换器及其控制电路
CN112398335B (zh) 开关型调节器的控制电路和控制方法及开关型调节器
JP4464263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14112996A (ja) 軽負荷検出回路、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とその制御方法
CN108631271B (zh) 过流保护控制电路
CN113783421B (zh) 一种直流升压转换装置
CN106033930A (zh) 切换式稳压器
CN109936294B (zh) 控制电路和应用其的反激式变换器
Vasconselos et al. A hybrid digital control method for synchronous buck converters using multisampled linear PID and V 2 constant on-time controllers
CN109980925B (zh) 谷底电流控制的dcdc转换器加快动态响应的方法
US12015348B2 (en) Control circuit for adaptive noise margin control for a constant on time converter
JP2014222969A (ja) 電圧変換装置
CN119697828A (zh) Led驱动电路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0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8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8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