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549150B1 -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150B1
KR102549150B1 KR1020160116209A KR20160116209A KR102549150B1 KR 102549150 B1 KR102549150 B1 KR 102549150B1 KR 1020160116209 A KR1020160116209 A KR 1020160116209A KR 20160116209 A KR20160116209 A KR 20160116209A KR 102549150 B1 KR102549150 B1 KR 102549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generator
water supply
pump
steam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8643A (ko
Inventor
조진희
조가영
황금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6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150B1/ko
Priority to PCT/KR2017/009146 priority patent/WO2018048119A1/ko
Priority to US16/331,730 priority patent/US20190203944A1/en
Publication of KR20180028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4/00Stoves or ranges having self-cleaning provisions, e.g. continuous catalytic cleaning or electrostatic cleaning
    • F24C14/005Stoves or ranges having self-cleaning provisions, e.g. continuous catalytic cleaning or electrostatic cleaning using a cleaning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3Details moisturising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7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with air moisturi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24C3/12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in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30/00Other cleaning aspects applicable to all B08B range
    • B08B2230/01Cleaning with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조리기기는 조리실, 증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증기를 조리실로 공급하는 증기발생장치, 증기발생장치 내부에 저장된 세정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측정센서, 세정액을 수용하는 저장유닛과, 저장유닛에 수용된 세정액을 증기발생장치에 공급하는 급수펌프와, 증기발생장치에 잔존하는 세정액을 저장유닛에 공급하는 배수펌프를 포함하는 급수장치, 및 급수펌프와 배수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어부는 세정 모드에서 급수펌프를 작동시키고 세정액이 증기발생장치에 가득 찬 경우 배수펌프를 작동시키고, 세정액이 증기발생장치에서 비워진 경우 다시 급수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븐(oven)은 조리 재료를 밀폐, 가열하여 조리하는 기구로서, 일반적으로 그 열원에 따라서 전기식, 가스식, 전자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기 오븐은 전기 히터를 열원으로 이용하고, 가스 오븐과 전자레인지는 각각 가스에 의한 열과 고주파로 인한 물분자의 마찰열을 열원으로 이용한다.
오븐은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실과, 전장부품을 수용하는 전장실을 구비한다.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조리실 내부는 고온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밀폐된다.
최근에는 음식물의 식감을 높이고, 음식물에 포함된 영양소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 음식물 조리 중 조리실 내부로 증기를 제공하여 증기 열에 의해 간접적으로 조리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증기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조리기기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증기발생장치가 오랜 시간 구동되다 보면 증기발생장치 표면에 불순물들이 부착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러한 불순물들은 증기발생장치의 내구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
개시된 일 실시예는 증기발생장치 내 불순물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 증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증기를 조리실로 공급하는 증기발생장치; 증기발생장치 내부에 저장된 세정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측정센서; 세정액을 수용하는 저장유닛과, 저장유닛에 수용된 세정액을 증기발생장치에 공급하는 급수펌프와, 증기발생장치에 잔존하는 세정액을 저장유닛에 공급하는 배수펌프를 포함하는 급수장치; 및 급수펌프와 배수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어부는 세정 모드에서 급수펌프를 작동시키고 세정액이 증기발생장치에 가득 찬 경우 배수펌프를 작동시키고, 세정액이 증기발생장치에서 비워진 경우 다시 급수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세정액의 수위가 감지된 이후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이 경과한 경우 증기발생장치에 세정액이 가득 찬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세정액이 증기발생장치에 가득 찬 경우 급수펌프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급수펌프를 작동시키고 세정액이 증기발생장치에 가득 찬 경우 배수펌프를 작동시키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조리기기는 조리기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되, 제어부는 사용자에게 저장유닛에 수용된 세정액을 교체할 것을 알리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급수장치는 저장유닛으로부터 분기하여 급수펌프 및 배수펌프에 각각 연결된 연결관과, 증기발생장치로부터 분기하여 급수펌프 및 배수펌프에 각각 연결된 급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위측정센서는 증기발생장치와 별도로 마련되어 증기발생장치와 유로관을 통해 연결된 보조증기발생장치에 배치될 수 있다.
조리기기는 세정 모드로의 진입명령을 수신하는 제어패널을 더 포함하되, 제어부는 제어패널이 세정 모드로의 진입명령을 수신한 경우 급수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제어패널이 세정 모드로의 진입명령을 수신한 경우 증기발생장치의 증기 공급을 중지시킬 수 있다.
수위측정센서는 증기발생장치 내부에 저장된 세정액과 닿으면 전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수위를 감지하는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은 세정 모드에서 저장유닛에 수용된 세정액을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발생장치에 공급하는 급수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 증기발생장치에 세정액이 가득 찬 경우, 증기발생장치에 잔존하는 세정액을 저장유닛에 공급하는 배수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급수펌프를 다시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세정액의 수위가 감지된 이후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이 경과한 경우 증기발생장치에 세정액이 가득 찬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은 증기발생장치에 세정액이 가득 찬 경우, 배수펌프를 다시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은 급수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에게 저장유닛에 수용된 세정액을 교체할 것을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세정액이 가득 찬 경우,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 경과 후 배수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다.
배수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세정액이 가득 찬 경우, 급수펌프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증기발생장치의 증기 공급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은 급수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 이전에 세정 모드로의 진입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급수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세정 모드로의 진입 명령을 수신한 경우 급수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다.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은 증기발생장치에 세정액이 가득 찬 경우, 배수펌프를 다시 작동시키는 단계; 헹굼 모드로의 진입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헹굼 모드로의 진입 명령을 수신한 경우 급수펌프를 다시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은 배수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 이전에 수위측정센서가 포함하는 전극이 증기발생장치 내부에 저장된 세정액과 닿는 경우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배수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수위가 감지된 이후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이 경과한 경우 배수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별도의 구성요소의 추가 없이도 세정액의 배수와 급수의 반복을 통해 불순물들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히터를 켜지 않고도 세정액의 순환을 이용하여 증기발생장치 내 존재하는 불순물들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일 측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다른 일 측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증기발생장치 및 보조증기발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증기발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증기발생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다른 실시예의 도어 동작에 따른 급수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세정 모드와 헹굼 모드에서 진행되는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세정 모드에서의 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헹굼 모드에서의 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일 측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다른 일 측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조리실(17)을 가열하기 위해 마련되는 히터는 다양한 종류의 히터를 포함한다. 일 예로써, 히터는 컨벡션히터(convection heater)(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컨벡션히터(5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히터의 종류는 컨벡션히터(50)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1)는 본체(10), 커버(30), 도어(40), 컨벡션히터(50), 컨벡션팬(60) 및 증기발생장치(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커버(30)와 결합하여 조리기기(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조리실(17)이 구비될 수 있다.
조리실(17) 내부는 증기 및 과열증기 중 적어도 하나의 응축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응축수 또는 음식물 자체가 함유하고 있는 수분 등에 의해 조리실(17)의 내벽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코팅 처리될 수 있다. 조리실(17) 내부는 음식물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본체(10)는 음식물의 출입을 위해 개방된 일 면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조리실(17)은 음식물의 출입을 위해 개방된 일 면을 가질 수 있다.
본체(10)는 복수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프레임은 상면 프레임(11), 하면 프레임(12), 우측면 프레임(13), 좌측면 프레임(미도시), 전면 프레임(14) 및 후면 프레임(15)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프레임(14)의 일부는 음식물의 출입을 위해 개방될 수 있다. 복수의 프레임은 서로 결합하여 본체(10)를 형성할 수 있다.
커버(30)는 본체(10)를 덮을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30)는 본체(10)의 상면 프레임(11), 우측면 프레임(13), 좌측면 프레임(미도시) 및 후면 프레임(15)을 덮을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30)는 본체(10)와 결합하여 조리기기(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17)은 본체(10)의 전방에 결합되는 도어(4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40)는 본체(10)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어(40)는 본체(10)의 전면 프레임(14)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어(40)는 전면 프레임(14)의 개방된 부분을 개폐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체(10)의 전면 상부에는 사용자가 조리기기(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각종 동작스위치(21)가 구비된 제어패널(2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패널(20)에는 조리기기(1)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2)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사용자가 화면의 특정부분에 신체 또는 특수한 장치를 갖다 대면 일정한 명령이 실행되도록 만들어진 입력 장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동작스위치(21) 및 디스플레이부(22)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킴으로써 조리기기(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패널(20)은 세정 모드로의 진입명령 또는 헹굼 모드로의 진입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세정 모드와 헹굼 모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패널(20)은 본체(10)의 전면 프레임(14)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제어패널(20)은 본체(10)의 전면 프레임(14)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컨벡션히터(convection heater)(50)는 조리실(17)을 가열할 수 있도록, 다시 말하면, 조리실(17)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적어도 일 벽에 배치될 수 있다. 컨벡션히터(50)는 조리실(17)과 마주하도록 본체(10)의 적어도 일 내벽에 마련될 수 있다. 컨벡션히터(50)는 본체(10)의 적어도 일 내벽에 설치 내지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컨벡션히터(50)는 본체(10)의 후면 프레임(15)에 설치 내지 고정될 수 있다. 조리실(17)을 가열하기 위해 사용되는 히터는 컨벡션히터(50)에 한정하지 않는다.
컨벡션히터(50)는 조리실(17)을 가열하기 위해 사용될 뿐만 아니라, 조리실(17)에 과열증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증기발생장치(70)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가열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처럼, 과열증기를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컨벡션히터(50)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히터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컨벡션팬(convection fan)(60)은 컨벡션히터(50)에서 생성된 열이 조리실(17) 내부를 순환할 수 있도록 본체(10)에 마련될 수 있다. 컨벡션팬(60)은 본체(10)의 내벽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컨벡션팬(60)은 컨벡션히터(50)에서 생성된 열 뿐만 아니라 컨벡션히터(50)에 의해 가열된 과열증기가 조리실(17) 내부를 순환할 수 있도록 본체(10)에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컨벡션팬(60)은 컨벡션히터(50)에서 생성된 열 및 증기배출구(미도시)를 통해 토출되는 과열증기 중 적어도 하나가 조리실(17) 내부를 순환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내벽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컨벡션팬(60)은 조리실(17)과 마주하도록 본체(10)의 적어도 일 내벽에 마련될 수 있다. 컨벡션팬(60)은 본체(10)의 적어도 일 내벽에 설치 내지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컨벡션팬(60)은 본체(10)의 후면 프레임(15)에 설치 내지 고정될 수 있다.
컨벡션히터(50) 및 컨벡션팬(60)의 개수 및 배치위치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증기발생장치(70)는 증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증기를 조리실(17)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증기발생장치(70)는 급수장치(90)에 의해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증기발생장치(70)는 본체(10)의 외부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증기발생장치(70)는 본체(10)의 후면 프레임(15)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증기발생장치(70)는 본체(10)의 후면 프레임(15) 및 커버(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증기발생장치(70)는 컨벡션히터(50) 및 컨벡션팬(60) 중 적어도 하나와 본체(10)의 일 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증기발생장치(70)는 컨벡션히터(50) 및 컨벡션팬(60) 중 적어도 하나와 본체(10)의 후면 프레임(15)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증기발생장치(70)의 배치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증기발생장치(7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급수장치(90)는 증기발생장치(70)에 물 또는 세정액과 같은 용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급수장치(90)는 본체(10)에 배치될 수 있다. 급수장치(90)는 본체(10) 및 커버(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수장치(90)는 본체(10)의 상면 프레임(11) 및 커버(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급수장치(90)는 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급수장치(90)는 본체(10)의 상면 프레임(11)에 고정될 수 있다.
급수장치(90)는 저장유닛(91) 및 적어도 하나의 펌프(97)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유닛(91)은 본체(10)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유닛(91)은 본체(1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인출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저장유닛(91)은 본체(10)의 전면 프레임(14) 또는 제어패널(20)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인출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저장유닛(91)은 적어도 하나의 펌프(97)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저장유닛(91)을 인출하여 증기발생장치(70)에 용액을 공급하거나 증기발생장치(70)에 잔존하는 용액을 제거할 수 있다.
저장유닛(91)은 홀더(92) 및 홀더(92)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더(93)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92)는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더(92)는 본체(10)의 전면 프레임(14) 및 상면 프레임(11)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 내지 고정될 수 있다. 홀더(92)의 내부에는 슬라이더(93)를 수용할 수 있도록 슬라이더 수용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더 수용부(미도시)의 내측에는 슬라이더(93)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더(93)는 외부에서 급수되는 용액을 수용하는 수용부(94) 및 수용부(94)의 후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연결부(95)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95)에는 연결관(96)이 연결될 수 있다. 연결관(96)은 저장유닛(91) 및 적어도 하나의 펌프(97)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관(96)은 슬라이더(93)가 본체(10)의 전방으로 인출되거나 본체(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슬라이더(93)와 함께 수시로 움직이므로, 쉽게 구부러질 수 있고, 반복적인 움직임에 의해 쉽게 형상이 변형되지 않는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써, 연결관(96)은 합성수지 및 고무 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유닛(91)은 홀더(92)의 일 측에 결합되어 슬라이더(93)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펌프(97)는 저장유닛(91) 및 증기발생장치(70) 사이에서 용액이 이동하는 원동력을 제공하도록 저장유닛(91) 및 증기발생장치(7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펌프(97)는 저장유닛(9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펌프(97)는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펌프(97)는 본체(10)의 상면 프레임(11)에 결합 내지 고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펌프(97)는 급수펌프(97a) 및 배수펌프(97b)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펌프(97a)는 수용부(94)에 저장된 용액을 증기발생장치(7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배수펌프(97b)는 증기발생장치(70)에 잔존하는 용액을 수용부(94)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급수펌프(97a) 및 배수펌프(97b)는 수용부(94)와 증기발생장치(70) 사이에서의 용액의 이동뿐만 아니라, 수용부(94)와 보조증기발생장치(120) 사이에서의 용액의 이동에도 관여할 수 있다. 즉, 급수펌프(97a)는 수용부(94)에 저장된 용액을 증기발생장치(70) 및 보조증기발생장치(12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배수펌프(97b)는 증기발생장치(70) 및 보조증기발생장치(120)에 잔존하는 용액을 수용부(94)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급수장치(90) 및 증기발생장치(70)는 급수관(98)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펌프(97) 및 증기발생장치(70)는 급수관(98)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저장유닛(91)에 연결된 연결관(96)은 분기하여 적어도 하나의 펌프(97)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즉, 저장유닛(91)에 연결된 연결관(96)은 분기하여 급수펌프(97a) 및 배수펌프(97b)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증기발생장치(70)에 연결된 급수관(98)은 분기하여 적어도 하나의 펌프(97)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즉, 증기발생장치(70)에 연결된 급수관(98)은 분기하여 급수펌프(97a) 및 배수펌프(97b)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보조증기발생장치(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증기발생장치(120)는 증기발생장치(70)에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조증기발생장치(120)에는 증기발생장치(70)의 내부에 저장된 용액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수위측정센서(121)가 마련될 수 있다. 보조증기발생장치(1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조리기기(1)는 수로(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로(100)는 급수장치(90) 및 증기발생장치(70)를 연결할 수 있다.
수로(100)는 급수유로(101) 및 배수유로(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유닛(91)의 수용부(94)에 공급된 용액은 급수유로(101)를 따라 증기발생장치(70)를 향하여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저장유닛(91)의 수용부(94)에 공급된 용액은 연결관(96)을 통해 급수펌프(97a)에 전달되고, 급수펌프(97a)를 통과한 용액은 급수관(98)을 통해 증기발생장치(70)로 이동한다. 증기발생장치(70)에 잔존하는 용액은 배수유로(102)를 따라 저장유닛(91)의 수용부(94)를 향하여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증기발생장치(70)에 잔존하는 용액은 급수관(98)을 통해 배수펌프(97b)에 전달되고, 배수펌프(97b)를 통과한 용액은 연결관(96)을 통해 저장유닛(91)의 수용부(94)로 이동한다.
급수유로(101) 및 배수유로(102)는 서로 교차하여 적어도 하나의 교차점(103)을 형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교차점(103)은 연결관(96) 및 급수관(98)이 각각 분기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급수펌프(97a)는 급수유로(101)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배수펌프(97b)는 배수유로(102)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연결관(96) 및 급수관(98)은 수로(10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증기발생장치(70)에서 토출되는 증기가 조리실(17)에 공급될 수 있도록 증기발생장치(70) 및 조리실(17)을 연결하는 증기공급관(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증기발생장치(70)에서 토출되는 증기는 증기공급관(110)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열되어 과열증기로 변할 수 있다. 증기공급관(110)은 본체(10)의 일 벽을 관통하여 증기발생장치(70) 및 조리실(17)을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증기공급관(110)은 본체(10)의 후면 프레임(15)을 관통하여 증기발생장치(70) 및 조리실(17)을 연결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증기발생장치 및 보조증기발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증기발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증기발생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다.
조리실(17)의 외부에는 증기발생장치(70) 및 보조증기발생장치(120)가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체(10)의 후면 프레임(15) 및 커버(30) 사이에는 증기발생장치(70) 및 보조증기발생장치(120)가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증기발생장치(70) 및 보조증기발생장치(120)의 배치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증기발생장치(70)는 가열관(71)을 포함할 수 있다.
증기발생장치(70)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관(71)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관(71)의 일 단부는 급수관(98)에 연결되고, 가열관(71)의 다른 단부는 증기공급관(110)에 연결될 수 있다.
가열관(71)의 내부에는 급수관(98)을 통해 증기발생장치(70)에 공급된 용액이 이동할 수 있도록 중공부(71a)가 마련될 수 있다.
가열관(71)은 발열층(72)을 포함할 수 있다. 발열층(72)은 가열관(71)의 적어도 일부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발열층(72)은 코팅 형태로 가열관(71)의 적어도 일부 표면에 마련될 수 있다. 발열층(72)은 박막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발열층(72)은 100n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발열층(72)은 전력밀도가 높은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발열층(72)은 금속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박막 형상 및 전력밀도가 높은 재질을 가지는 발열층(72)은 순간적으로 높은 온도에 달하는 열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가열관(71) 내부의 중공부(71a)를 따라 이동하는 용액을 증기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열관(71)은 후면 프레임(15)에 배치될 수 있다. 가열관(71)은 수직방향으로 후면 프레임(15)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가열관(71)은 조리실(17)의 상하방향으로 후면 프레임(15)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가열관(71)은 수평방향으로 후면 프레임(15)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가열관(71)은 조리실(17)의 양측방향으로 후면 프레임(15)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가열관(71)은 비스듬한 방향으로 후면 프레임(15)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열관(71)은 조리실(17)의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하도록 후면 프레임(15)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가열관(71)은 조리실(17)의 양측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하도록 후면 프레임(15)에 배치될 수 있다.
발열층(72)은 급수관(98)을 통해 증기발생장치(70)에 공급된 용액이 중공부(71a)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중공부(71a)와 접촉하는 부위에 대응하는 가열관(71)의 표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는 가열관(71)의 불필요한 과열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 예로써, 가열관(71)을 조리실(17)의 양측방향으로 후면 프레임(15)에 배치할 경우, 급수관(98)을 통해 공급된 용액은 중공부(71a)의 하단에만 고이고, 급수관(98)을 통해 공급된 용액과 접촉하지 않는 중공부(71a)의 상단은 과열될 위험이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발열층(72)은 급수관(98)을 통해 공급된 용액이 접촉하는 중공부(71a)의 하단에 대응하는 가열관(71)의 표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증기발생장치(70)는 복수의 전극(7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전극(73)은 가열관(71)의 표면에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전극(73)은 서로 이격되도록 가열관(71)의 표면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전극(73)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발열층(72)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전극(73)은 전원(미도시)을 인가할 수 있도록 실버 페이스트로 처리될 수 있다. 복수의 전극(73)은 전원(미도시)과 연결되어 발열층(72)에 전류가 흐르게 함으로써 발열층(72)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증기발생장치(70)는 복수의 커넥터(connector)(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커넥터(74)는 복수의 전극(73)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커넥터(74)는 복수의 전극(73)이 마련되는 위치에 대응하도록 가열관(7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커넥터(74)는 볼트(75) 및 너트(76)의 결합에 의해 복수의 전극(73)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커넥터(74)에는 결합단자(77)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커넥터(74)에 마련되는 결합단자(77)는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와이어(78)(도5참고)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커넥터(74) 및 결합단자(77)는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증기발생장치(70)는 연결부재(7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79)는 급수관(98) 및 가열관(71)을 연결하는 제 1연결부재(79a) 및 증기공급관(110) 및 가열관(71)을 연결하는 제 2연결부재(79b)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79)는 급수관(98)과 가열관(71) 및 증기공급관(110)과 가열관(71)의 결합을 견고히 함으로써, 누수를 방지한다.
증기발생장치(70)는 케이스(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열관(71)은 케이스(8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가열관(71)은 후면 프레임(15) 및 케이스(8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가열관(71)은 체결부재(85)에 의해 케이스(80)에 형성되는 가열관 안착부(84)에 고정될 수 있다. 케이스(80)는 가열관(71)이 케이스(80)의 가열관 안착부(84)에 고정된 상태로 후면 프레임(15)에 고정될 수 있다.
증기발생장치(70)는 가열관(71)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온도측정센서(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측정센서(81)는 발열층(72)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케이스(80)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온도측정센서(81)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며, 케이스(80)의 일 측에 한정하지 않는다.
증기발생장치(70)는 과열방지센서(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과열방지센서(82)는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과열방지센서(82)는 물리적으로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여 발열층(72)이 일정온도 이상으로 과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복수의 과열방지센서(82) 중 어느 하나는 복수의 커넥터(74) 중 어느 하나의 결합단자(77)에 연결되고, 복수의 과열방지센서(82) 중 다른 하나는 복수의 커넥터(74) 중 다른 하나의 결합단자(77)에 연결된다. 복수의 과열방지센서(82) 및 복수의 커넥터(74)의 결합단자(77)는 와이어(8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과열방지센서(82)는 케이스(8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과열방지센서(82)의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고, 케이스(80) 상에 한정하지 않는다.
보조증기발생장치(120)는 증기발생장치(70)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증기발생장치(120)는 유로관(122)을 통해 증기발생장치(70)와 연결되고, 보조증기발생장치(120)에는 증기발생장치(70)의 내부에 저장된 용액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측정센서(121)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증기발생장치(70)의 내부에 저장된 용액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해 별도로 보조증기발생장치(120)를 배치하는 이유는 증기발생장치(70) 자체에 수위측정센서(121)를 결합시켜 작동시킬 경우 증기발생장치(70) 내부에서 생성되는 증기의 압력 등으로 인해 실제 수위보다 더 높은 측정값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수위측정센서(121)는 접지전극과 감지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수위측정센서(121)의 감지전극은 증기발생장치(70)의 내부에 저장된 용액이 일정 수위만큼 차면 저장된 용액과의 접촉으로 인해 전압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수위측정센서(121)가 수위를 감지한 경우 용액이 어느 정도 찼는 지 추정될 수 있다.
가열관(71)의 내부로 유입된 용액은 동시에 유로관(122)을 통해 보조증기발생장치(120) 내부로 유입되고, 보조증기발생장치(120)의 내부는 연통관(123)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므로, 증기발생장치(70)의 내부에 저장된 용액의 수위(조리기기(1)가 설치되는 바닥면으로부터 증기발생장치(70)의 내부에 저장된 용액의 표면까지의 높이)와 보조증기발생장치(120)의 내부에 저장된 용액의 수위(조리기기(1)가 설치된 바닥면으로부터 보조증기발생장치(120)의 내부에 저장된 용액의 표면까지의 높이)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보조증기발생장치(120) 내부에 저장된 용액의 수위를 측정함으로써 증기발생장치(70) 내부에 저장된 용액의 수위를 알 수 있다.
과열증기(super-heated steam)는 포화증기를 정압 하에서 가열하여 포화 온도보다 온도를 상승시킨 증기를 말한다. 다시 말하면, 과열증기는 대기압 100℃ 조건에서 생성된 포화증기를 더 높은 온도로 가열시킨 증기를 말한다. 과열증기는 음식물의 조리과정에서 음식물에 공급될 수 있다. 일 예로써, 과열증기는 빵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빵에 공급될 수 있다. 빵의 조리과정은 발효과정 및 가열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빵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과열증기가 더해질 경우, 빵의 표면이 단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충분한 오븐 스프링(oven spring, 발효가 끝난 빵 반죽을 구울 때 빵 반죽의 부피가 커지는 현상)을 기대할 수 있어 빵의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써, 과열증기는 육류를 조리하는 과정에서 육류에 공급될 수 있다. 육류를 조리하는 과정에서 과열증기가 더해질 경우, 과열증기의 응축열이 육류에 전달되어 육류의 표면은 노릇노릇 또는 바삭바삭하고, 육류의 내부는 촉촉할 수 있다. 과열증기는 증기(포화증기)보다 더 많은 응축열을 가질 수 있으므로, 음식물에 더 많은 응축열을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과열증기의 분사시점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과열증기의 분사시점을 주기적으로 또는 단발적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 내지 도 10은 다른 실시예의 도어 동작에 따른 급수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1)는 주방 공간과의 일체감을 가지도록 벽 또는 캐비닛(2-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조리기기(1-1)가 설치되기 위한 캐비닛(2-1)은 일례로 전면 일부가 개구되며, 개구된 부분을 통해 조리기기(1-1)가 수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1)는 본체(10-1)와, 그 내부에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형성하는 제1공간(이하, 조리실(17-1))과, 각종 전자 부품들이 설치되도록 본체(10-1)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2공간(이하, 전장실(18-1))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3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30-1)는 본체(10-1)의 외측에서 본체(10-1)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버(30-1)의 전방에는 사용자가 조리기기(1-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버튼(미도시)이 구비된 제어패널(20-1)이 설치될 수 있다.
본체(10-1)의 상부 및 양측부, 그리고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조리실(17-1)을 가열하기 위해 마련되는 컨벡션히터(50-1) 및 컨벡션팬(60-1)이 설치될 수 있다. 또, 본체(10-1)는 증기를 생성하고 증기를 조리실(17-1)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증기발생장치(70-1)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벡션히터(50-1)는 조리실(17-1)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제공하고, 컨벡션팬(60-1)은 컨벡션히터(50-1)에서 생성된 열이 조리실(17-1) 내부에서 대류되도록 하거나, 컨벡션히터(50-1)와는 별개로 증기발생장치(70-1)에서 생성된 증기가 조리실(17-1) 내부에 고르게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증기발생장치(70-1)는 본체(10-1)에 마련되고, 증기발생장치(70-1)로 물 또는 세정액과 같은 용액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90-1)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장치(90-1)는 본체(10-1)의 조리실(17-1)로 증기를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다. 급수장치(90-1)는 본체(10-1)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1)의 상측에는 조리실(17-1)의 내부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부품들이 마련되는 전장실(18-1)이 마련된다. 본체(10-1)의 전면 상부에는 사용자가 조리기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20-1)이 배치될 수 있다.
급수장치(90-1)는 본체(10-1)의 전장실(18-1)에 마련될 수 있다. 급수장치(90-1)는 전장실(18-1)의 전면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급수장치(90-1)는 전장실(18-1)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는 전방이 개구(17a)된 육면체 형상으로, 전방의 개구(17a)를 통해 조리를 위한 음식물이 출입될 수 있다. 음식물이 놓이는 조리실(17-1)은 본체(10-1)의 전방에 결합되는 도어(40-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40-1)는 조리실(17-1)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도어(40-1)는 본체(10-1)의 전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도어(40-1)는 조리실(17-1)을 개폐하기 위하여 본체(10-1)의 전면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40-1)는 본체(10-1)의 하단이 힌지장치(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어가 여닫히는 방식이나 결합되는 방식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1)의 전면은 조리실(17-1)을 형성하는 개구(17a)를 포함한다. 그리고 개구(17a)의 상부에는 전면 프레임(14-1)이 형성될 수 있다. 전면 프레임(14-1)은 조리실(17-1)의 외측에 형성된다. 전면 프레임(14-1)은 전장실(18-1)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프레임(14-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14a)이 형성될 수 있다. 홀(14a)은 외기를 조리기기(1-1)의 전장실(18-1)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전면 프레임(14-1)은 개구(17a)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면 프레임은 개구의 하부 또는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전면 프레임(14-1)에는 급수장치(90-1)가 설치되기 위한 급수장치설치구(16-1)가 형성된다. 급수장치설치구(16-1)는 전면 프레임(14-1)의 일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급수장치(90-1)는 급수장치설치구(16-1)의 후방, 즉 전장실(18-1)의 내측에 배치되어 전면 프레임(14-1)으로부터 인출 및 인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40-1)는 본체(10-1)의 전면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40-1)는 조리실(17-1)을 개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어(40-1)는 본체(10-1)의 개구(17a)를 개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어(40-1)는 본체(10-1)의 전면 프레임(14-1)을 커버 할 수 있도록, 전면 프레임(14-1)을 포함하는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40-1)의 열림 시, 도어(40-1)는 본체(10)의 하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도어(40-1)의 상단이 전방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조리실(17-1)을 개방한다. 도어(40-1)의 열림 시, 본체(10-1)의 전면 상측에 배치되는 급수장치(90-1)는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도어(40-1)의 열림 상태 시, 급수장치(90-1)는 본체(10-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급수장치(90-1)는 사용자가 용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도어(40-1)의 열림 시, 전방으로 인출되거나 내측으로 인입 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어(40-1)의 닫힘 시, 도어(40-1)는 본체(10-1)의 하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도어(40-1)의 상단이 전방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조리실(17-1)을 폐쇄한다. 도어(40-1)의 닫힘 시, 급수장치(90-1)는 본체(10-1)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40-1)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도어(40-1)의 닫힘 시, 급수장치(90-1)는 조리기기(1-1)의 외측으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도어(40-1)에 의해 숨김 될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장치(90-1)는 증기발생장치(70-1)에 연결될 수 있다. 증기발생장치(70-1)는 본체(10-1)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증기발생장치(70-1)는 급수장치(90-1)를 통해 공급되는 용액을 가열하여 증기로 생성하여 조리실(17-1) 내부로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증기발생장치(70-1)는 보조증기발생장치(120-1)와 연결될 수 있다. 보조증기발생장치(120-1)에는 증기발생장치(70-1) 내부에 저장된 용액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측정센서(121-1)가 마련될 수 있다.
급수장치(90-1)는 증기발생장치(70-1)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펌프(97-1)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급수장치(90-1)는 펌프(97-1)에 연결관(96-1)을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증기발생장치(70-1)는 급수관(98-1)을 통해 펌프(97-1)와 연결되고 급수장치(90-1)의 용액은 증기발생장치(70-1)로 전달된다.
증기발생장치(70-1)는 급수장치(90-1)로부터 유입되는 용액을 저장하는 스팀용기(71-1)와, 스팀용기(71-1) 내부에 저장된 용액을 가열하는 가열히터(72-1), 그리고 가열히터(72-1)에 의해 가열되어 생성된 증기를 조리실(17-1) 내부로 안내하는 증기공급관(110-1)을 포함할 수 있다. 증기공급관(110-1)은 본체(10-1)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스팀용기(71-1) 내부에 마련되는 가열히터(72-1)는 대략 코일 형상으로 감겨지도록 형성되는 가열부(73a)와, 가열부(73a)가 스팀용기(71-1)의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전극부(73b)를 포함한다. 전극부(73b)는 외부전원(미도시)과 연결되어 가열부(73a)에 전류가 흐르게 함으로써 가열부(73a)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증기발생장치(70-1)와 보조증기발생장치(120-1)는 유로관(122-1)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유로관(122-1)은 증기발생장치(70-1)로 유입된 용액이 동시에 보조증기발생장치(120-1)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보조증기발생장치(120-1)에는 일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증기발생장치(70-1)의 내부에 저장된 용액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수위측정센서(121-1)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1)의 수위측정센서(121-1)는 접지전극과 감지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수위측정센서(121-1)의 감지전극은 증기발생장치(70-1)의 내부에 저장된 용액이 일정 수위만큼 차면 저장된 용액과의 접촉으로 인해 전압을 발생시킨다.
급수장치(90-1)는 펌프(97-1)와 연결될 수 있다. 펌프(97-1)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1)와 마찬가지로 급수펌프와 배수펌프를 포함할 수 있고, 본체(10-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펌프(97-1)는 급수장치(90-1)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펌프(97-1)는 전장실(18-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펌프(97-1)는 증기발생장치(70-1)의 스팀용기(71-1)와 연결될 수 있다.
급수장치(90-1)는 본체(10-1)의 전장실(18-1)에 고정되는 하우징(92-1)과, 하우징(92-1)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저장유닛(91-1)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장치(90-1)의 하우징(92-1)은 전장실(18-1)의 일측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92-1)은 전장실(18-1)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92-1)은 전장실(18-1)의 전방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저장유닛(91-1)은 외부에서 급수되는 용액을 수용하도록 마련된다. 저장 유닛(91-1)은 연결관(96-1)을 통해 펌프(97-1)와 연결되고, 펌프(97-1)와 증기발생장치(70-1)의 스팀용기(71-1)는 급수관(98-1)을 통해 연결된다.
급수관(98-1)은 펌프(97-1)로 공급되는 급수장치(90-1)의 용액을 증기발생장치(70-1)로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급수장치(90-1)와 증기발생장치(70-1)는 연결관(96-1), 펌프(97-1) 및 급수관(98-1)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증기발생장치(70-1) 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급수장치(90-1)로부터 용액은 자중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 1-1)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어패널(20, 20-1)과 인접하여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조리기기(1, 1-1) 내 어느 부분에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가 포함하는 제어부의 제어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기술되는 제어부의 제어과정은 다른 실시예의 조리기기(1-1)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기술된 구성요소들과 동일한 바, 이미 기술된 구성요소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30)는 조리기기(1)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조리기기(1)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슬라이더(93)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슬라이더(93)가 전방으로 인출되거나 본체(10)의 내측으로 삽입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저장유닛(91)에 저장된 용액을 증기발생장치(70)에 공급하거나 증기발생장치(70)에 잔존하는 용액을 제거하도록 급수장치(9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증기발생장치(70)의 급수펌프(97a)를 작동시키고 배수펌프(97b)는 작동 중지시킴으로써 급수 과정을 진행할 수 있고, 저장유닛(91)에 저장된 용액이 증기발생장치(70)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급수펌프(97a)가 작동되고 배수펌프(97b)가 작동 중지된 경우 저장유닛(91)에 저장된 용액은 연결관(96), 급수펌프(97a), 및 급수관(98)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증기발생장치(70)에 공급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저장유닛(91)에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액이 투입된 경우, 제어부(130)의 급수펌프(97a)의 작동 및 배수펌프(97b)의 작동 중지에 의해 저장유닛(91)에 존재하는 세정액의 일부는 증기발생장치(70)로 유입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증기발생장치(70)가 세척될 수 있다. 다만, 고농도의 세정액이 증기발생장치(70)에 유입된 경우 증기발생장치(70) 내 존재하는 불순물 또는 다른 용액에 의해 증기발생장치(70)에 유입된 세정액의 농도가 낮아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농도가 낮아진 세정액을 다시 저장유닛(91)으로 공급하여 증기발생장치(70)에 공급되지 아니한 고농도의 세정액과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30)는 증기발생장치(70)의 급수펌프(97a)를 작동 중지시키고 배수펌프(97b)를 작동시킴으로써 배수 과정을 진행시킬 수 있고, 증기발생장치(70)에 잔존하는 용액이 다시 저장유닛(91)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급수펌프(97a)가 작동 중지되고 배수펌프(97b)가 작동된 경우 증기발생장치(70)에 잔존하는 용액은 급수관(98), 배수펌프(97b), 및 연결관(96)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저장유닛(91)에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기발생장치(70)에서 잔존하였던 농도가 낮은 세정액은 저장유닛(91)으로 공급되어 저장유닛(91)에 저장된 고농도의 세정액과 혼합됨으로써 농도가 높아질 수 있다.
한편, 급수펌프(97a)가 작동 중지되고 배수펌프(97b)가 작동되는 동안 급수펌프(97a)에 연결된 연결관(96)에는 용액이 고여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배수과정에서 연결관(96)에 고여있는 용액을 제거하기 위해 배수과정의 마지막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 동안 배수펌프(97b)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급수펌프(97a) 또한 작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연결관(96)에 고였던 용액이 순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다시 급수펌프(97a)를 작동시키고 배수펌프(97b)를 작동 중지시킴으로써 다시 급수 과정을 진행할 수 있고, 농도가 높아진 세정액을 증기발생장치(70)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기발생장치(70)가 더욱 청결하게 세척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보조증기발생장치(120)의 수위측정센서(121)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증기발생장치(70)에 저장된 용액의 수위를 추정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수위측정센서(121)가 수위를 감지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어느 시점에 수위를 감지한 경우 제어부(130)는 수위를 감지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제 2 시간(예를 들어, 30초)이 경과하면 증기발생장치(70)가 가득 찬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수위측정센서(121)가 수위를 감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어느 시점에 수위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30)는 수위가 감지되지 않는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예를 들어, 30초)이 경과하면 저장유닛(91)에 저장된 용액이 전부 제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증기를 생성하도록 증기발생장치(7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30)는 컨벡션히터(50)와 컨백션팬(60)을 가동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증기를 생성하지 않도록 증기발생장치(70)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제어패널(20)에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기초하여 조리기기(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어패널(20)을 통해 세정 모드로의 진입 명령을 수신한 경우, 후술할 세정 모드에 진입하여 세정액의 급수 및 배수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어패널(20)을 통해 헹굼 모드로의 진입 명령을 수신한 경우, 후술할 헹굼 모드에 진입하여 물의 급수 및 배수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22)가 세정이 필요함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30)는 증기발생장치(70)가 12시간 이상 증기를 생성한 경우 디스플레이부(22)가 세정이 필요함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증기발생장치(70)가 14시간 이상 증기를 생성한 경우 디스플레이부(22)가 세정이 필요함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더 이상 증기발생장치(70)가 증기를 생성하지 않도록 증기발생장치(70)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제어부(130)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조리기기(1)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기술되는 조리기기(1)의 제어방법은 도 7 내지 도 11과 관련하여 전술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1)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세정 모드와 헹굼 모드에서 진행되는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세정 모드에서의 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헹굼 모드에서의 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제어패널(20)이 세정 모드로의 진입명령을 수신한 경우(1111) 세정 모드로 진입하여 급수펌프(97a)를 작동시키고 배수펌프(97b)를 작동 중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유닛(91)에 저장된 세정액이 증기발생장치(70)로 급수된다(1112).
또한, 제어부(130)는 세정 모드로의 진입명령을 수신한 경우 증기발생장치(70)의 증기 생성을 중지시킬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급수펌프(97a)를 작동시키기 이전에 저장유닛(91)에 수용된 용액을 세정액으로 교체할 것을 알리도록 디스플레이부(22)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어서, 제어부(130)는 수위측정센서(121)를 모니터링하고 수위측정센서(121)가 수위를 감지한 경우(1113의 "예"), 수위를 감지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T1 시간 동안 급수를 진행하고(1114의 "아니오"), T1 시간이 경과하면(1114의 "예") 증기발생장치(70)가 가득 찬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급수를 중지한다. 급수를 중지하기 위하여 제어부(130)는 급수펌프(97a)의 작동을 중지시킨다(1115). 급수가 중지된 경우, 저장유닛(91)에 저장되어 있던 일부 세정액이 증기발생장치(70)에 공급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30)는 세정액이 충분히 증기발생장치(70)에서 불순물과 섞이도록 미리 설정된 T2 시간 동안 대기한다(1116). 그리고, 제어부(130)는 T2 시간이 경과한 경우 농도가 낮아진 세정액이 다시 저장유닛(91)에 저장된 고농도의 세정액과 섞일 수 있도록 배수펌프(97b)를 작동시키고 급수펌프(97a)를 작동 중지시킨다(1117). 이에 따라, 증기발생장치(70)에 잔존하던 세정액이 다시 저장유닛(91)으로 공급될 수 있다.
증기발생장치(70)에 잔존하던 세정액이 다시 저장유닛(91)으로 공급됨으로써 세정액의 농도는 높아질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30)는 수위측정센서(121)를 모니터링하고 수위측정센서(121)가 수위를 감지하던 상태에서 수위를 더 이상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1118의 "아니오"), 수위가 감지되지 않는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T3 시간 동안 배수를 진행하고(1119의 "아니오"), T3 시간이 경과하면(1119의 "예") 증기발생장치(70)가 빈 것으로 판단하고 배수를 중지한다.
그리고 저장유닛(91)에 저장되어 있던 고농도의 세정액이 증기발생장치(70)에 다시 공급될 수 있도록 증기발생장치(70)가 가득 찰 때까지 급수를 진행한다. 배수 중지 및 급수 진행을 위하여, 제어부(130)는 급수펌프(97a)를 작동시키고 배수펌프(97b)를 작동 중지시킨다(1120).
세정 모드가 진행되는 경우 이와 같은 급수와 배수 과정을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미리 설정된 횟수(k)만큼 진행할 수 있다(1121). 미리 설정된 횟수(k)만큼 급수와 배수 과정이 반복되는 경우, 급수가 진행되는 T1 시간은 매번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세정 모드만이 진행된 경우 세정액이 증기발생장치(70)에 어느 정도 잔존할 수 있으므로, 증기발생장치(70)에 잔존하는 세정액을 물로 헹구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도 13 및 도 1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헹굼 모드로의 진입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1211), 헹굼 모드로 진입하여 급수펌프(97a)를 작동시키고 배수펌프(97b)를 작동 중지시킬 수 있다(1212). 이에 따라, 저장유닛(91)에 저장된 물이 증기발생장치(70)로 급수된다. 또한, 제어부(130)는 헹굼 모드로의 진입명령을 수신한 경우 증기발생장치(70)의 증기 공급을 중지시킬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급수펌프(97a)를 작동시키기 이전에 저장유닛(91)에 수용된 용액을 물로 교체할 것을 알리도록 디스플레이부(22)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어서, 제어부(130)는 수위측정센서(121)를 모니터링하고 수위측정센서(121)가 수위를 감지한 경우(1213의 "예"), 수위를 감지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T1 시간 동안 급수를 진행하고(1214의 "아니오"), T1 시간이 경과하면(1214의 "예") 증기발생장치(70)가 가득 찬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급수를 중지한다. 급수를 중지하기 위하여 제어부(130)는 급수펌프(97a)의 작동을 중지시킨다(1215).
이어서, 제어부(130)는 물이 충분히 증기발생장치(70)를 충분히 헹굴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T2 시간 동안 대기한다(1216). 그리고, 제어부(130)는 T2 시간이 경과한 경우 증기발생장치(70)의 물이 배수되도록 배수펌프(97b)를 작동시키고 급수펌프(97a)를 작동 중지시킨다(1217). 이에 따라, 증기발생장치(70)에 잔존하던 물이 다시 저장유닛(91)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30)는 수위측정센서(121)를 모니터링하고 수위측정센서(121)가 수위를 감지하던 상태에서 수위를 더 이상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1218의 "아니오"), 수위가 감지되지 않는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T3 시간 동안 배수를 진행하고(1219의 "아니오"), T3 시간이 경과하면(1219의 "예") 증기발생장치(70)가 빈 것으로 판단하고 배수를 중지한다.
사용자는 저장유닛(91)으로 배수된 물을 확인하고 물의 청결도를 판단함으로써 헹굼 모드로 재진입할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헹굼이 더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다시 제어패널(20)을 조작하여 헹굼 모드로의 진입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헹굼 모드는 반드시 제어패널(20)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진입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서 제어부(130)는 세정 모드에서 급수 과정과 배수 과정(도 14의 1112 내지 1121)을 미리 설정된 횟수(k)만큼 진행한 이후 자동으로 헹굼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예 따른 조리기기(1)가 세정 모드에서 급수 과정과 배수 과정을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하는 경우 저장유닛(91)에 공급된 세정액이 지속적으로 고농도 상태로 증기발생장치(70)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가 헹굼 모드에서 급수 과정과 배수 과정을 진행하는 경우, 저장유닛(91)에 공급된 깨끗한 물이 증기발생장치(70)를 헹굴 수 있고 증기발생장치(70) 내 존재했던 불순물이나 세정액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조리기기
16: 제어패널
17: 조리실
70: 증기발생장치
90: 급수장치
91: 저장유닛
96: 연결관
97: 펌프
97a: 급수펌프 97b: 배수펌프
98: 급수관
110: 증기공급관
120: 보조증기발생장치 121: 수위측정센서
130: 제어부

Claims (20)

  1. 조리실;
    증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증기를 상기 조리실로 공급하는 증기발생장치;
    상기 증기발생장치 내부에 저장된 세정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측정센서;
    세정액을 수용하는 저장유닛과, 상기 저장유닛에 수용된 세정액을 상기 증기발생장치에 공급하는 급수펌프와, 상기 증기발생장치에 잔존하는 세정액을 상기 저장유닛에 공급하는 배수펌프를 포함하는 급수장치; 및
    상기 급수펌프와 상기 배수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세정 모드로의 진입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증기발생장치의 증기 공급을 중지 및 상기 급수펌프를 작동시키고, 상기 세정액이 상기 증기발생장치에 가득 찬 경우 상기 배수펌프를 작동시키고, 상기 세정액이 상기 증기발생장치에서 비워진 경우 다시 급수펌프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정액의 수위가 감지된 이후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증기발생장치에 상기 세정액이 가득 찬 것으로 판단하는 조리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정액이 상기 증기발생장치에 가득 찬 경우 상기 급수펌프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조리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급수펌프를 작동시키고 상기 세정액이 상기 증기발생장치에 가득 찬 경우 상기 배수펌프를 작동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는 조리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게 상기 저장유닛에 수용된 세정액을 교체할 것을 알리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조리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장치는 상기 저장유닛으로부터 분기하여 상기 급수펌프 및 상기 배수펌프에 각각 연결된 연결관과, 상기 증기발생장치로부터 분기하여 상기 급수펌프 및 상기 배수펌프에 각각 연결된 급수관을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측정센서는 상기 증기발생장치와 별도로 마련되어 상기 증기발생장치와 유로관을 통해 연결된 보조증기발생장치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세정 모드로의 진입명령을 수신하는 제어패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패널이 상기 세정 모드로의 진입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급수펌프를 작동시키는 조리기기.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측정센서는 상기 증기발생장치 내부에 저장된 세정액과 닿으면 전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수위를 감지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11. 세정 모드에서 저장유닛에 수용된 세정액을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발생장치에 공급하는 급수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증기발생장치에 상기 세정액이 가득 찬 경우, 상기 증기발생장치에 잔존하는 세정액을 상기 저장유닛에 공급하는 배수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급수펌프를 다시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증기발생장치의 증기 공급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세정액의 수위가 감지된 이후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증기발생장치에 상기 세정액이 가득 찬 것으로 판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발생장치에 상기 세정액이 가득 찬 경우, 상기 배수펌프를 다시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에게 상기 저장유닛에 수용된 세정액을 교체할 것을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세정액이 가득 찬 경우,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 경과 후 상기 배수펌프를 작동시키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세정액이 가득 찬 경우, 상기 급수펌프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17. 삭제
  18. 세정 모드에서 저장유닛에 수용된 세정액을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발생장치에 공급하는 급수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증기발생장치에 상기 세정액이 가득 찬 경우, 상기 증기발생장치에 잔존하는 세정액을 상기 저장유닛에 공급하는 배수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급수펌프를 다시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급수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 이전에 세정 모드로의 진입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급수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세정 모드로의 진입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급수펌프를 작동시키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발생장치에 상기 세정액이 가득 찬 경우, 상기 배수펌프를 다시 작동시키는 단계;
    헹굼 모드로의 진입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헹굼 모드로의 진입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급수펌프를 다시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 이전에 수위측정센서가 포함하는 전극이 상기 증기발생장치 내부에 저장된 세정액과 닿는 경우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수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수위가 감지된 이후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배수펌프를 작동시키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20160116209A 2016-09-09 2016-09-09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49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209A KR102549150B1 (ko) 2016-09-09 2016-09-09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PCT/KR2017/009146 WO2018048119A1 (ko) 2016-09-09 2017-08-22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16/331,730 US20190203944A1 (en) 2016-09-09 2017-08-22 Coo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209A KR102549150B1 (ko) 2016-09-09 2016-09-09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643A KR20180028643A (ko) 2018-03-19
KR102549150B1 true KR102549150B1 (ko) 2023-06-30

Family

ID=61562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209A KR102549150B1 (ko) 2016-09-09 2016-09-09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203944A1 (ko)
KR (1) KR102549150B1 (ko)
WO (1) WO20180481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1937B (zh) * 2017-05-12 2022-04-22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烹饪器具
CN110250926A (zh) 2017-08-09 2019-09-20 沙克忍者运营有限责任公司 烹饪系统
KR102490845B1 (ko) 2018-06-15 2023-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리기기
KR102490846B1 (ko) 2018-06-15 2023-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리기기
KR102555384B1 (ko) 2018-06-15 2023-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2611409B1 (ko) 2018-07-26 2023-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펌프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2126485B1 (ko) * 2018-10-23 2020-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된 전자 조리 기기
KR102433053B1 (ko) 2018-10-23 2022-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된 전자 조리 기기
KR102133286B1 (ko) 2018-12-14 2020-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실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전자 조리 기기
EP3931493A1 (en) 2019-02-25 2022-01-0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system with guard
US20190254476A1 (en) 2019-02-25 2019-08-22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20210121012A1 (en) 2020-03-30 2021-04-29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TR202016787A2 (tr) * 2020-10-21 2022-05-23 Vestel Beyaz Esya San Ve Tic A S Tütsüleme fonksiyonuna sahip bir pişirici cihaz.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2103A (ja) * 2010-05-21 2011-12-01 Sharp Corp 加熱調理器
KR101217996B1 (ko) * 2011-09-27 2013-01-0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스팀 컨벡션 오븐의 자동 청소 정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6267B1 (ja) * 2005-08-01 2007-01-31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KR101059818B1 (ko) * 2007-01-08 2011-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팀발생기와 이를 갖는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20883B1 (ko) * 2008-04-14 2014-07-17 주식회사 동양매직 스팀오븐
KR101388874B1 (ko) * 2009-04-10 2014-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1931364B1 (ko) * 2012-08-30 2018-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기
US20160061458A1 (en) * 2014-09-02 2016-03-03 B/E Aerospace, Inc. Steam Injection System and Method
KR102226003B1 (ko) * 2014-09-02 2021-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JP6425471B2 (ja) * 2014-09-05 2018-11-21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2103A (ja) * 2010-05-21 2011-12-01 Sharp Corp 加熱調理器
KR101217996B1 (ko) * 2011-09-27 2013-01-0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스팀 컨벡션 오븐의 자동 청소 정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643A (ko) 2018-03-19
US20190203944A1 (en) 2019-07-04
WO2018048119A1 (ko) 201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9150B1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26003B1 (ko) 조리기기
US91137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hwasher with common heating element for multiple treating chambers
US96686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hwasher with common heating element for multiple treating chambers
US8674267B2 (en) Steam cooker
US7837802B2 (en)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TWI412347B (zh) Tableware cleaning machine
KR102133286B1 (ko) 조리실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전자 조리 기기
KR20050027460A (ko) 과열증기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20122141A (ko) 스팀조리기기
JP2004154576A (ja) 物品洗浄器の洗浄サイクルを制御して水位を検出して物品洗浄器の化学薬品送りラインを装填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CN107854083B (zh) 水槽式洗碗机及其保管控制方法
US10758108B2 (en) Heating assembly for a washing appliance
KR20160122969A (ko) 식기세척기용 가열 및 건조장치
EP3189762A1 (en) Dishwash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60025342A (ko) 식기세척용 히터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30174872A1 (en) Prolonged operation heater protection in an appliance
US20200214536A1 (en) Methods of operating and protecting a dishwashing appliance from runaway heating conditions
JP2017062103A (ja) 蒸気調理器
US20180092508A1 (en) Diswashing appliance and method of operation
KR20090124148A (ko) 식기세척기
JP3858874B2 (ja) 食器洗い機
US20190059694A1 (en) Heating assembly for a washing appliance
KR200464429Y1 (ko) 스팀 오븐 장치
JP5797729B2 (ja) 蒸気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