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316B1 - Elevator system with improved technical performance of safety and convenience for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when boarding and using elevators - Google Patents
Elevator system with improved technical performance of safety and convenience for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when boarding and using elevato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4316B1 KR102534316B1 KR1020220162332A KR20220162332A KR102534316B1 KR 102534316 B1 KR102534316 B1 KR 102534316B1 KR 1020220162332 A KR1020220162332 A KR 1020220162332A KR 20220162332 A KR20220162332 A KR 20220162332A KR 102534316 B1 KR102534316 B1 KR 1025343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vator
- disabled
- people
- button
- safety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8000032041 Hearing impaired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373 anti-fou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28 ero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17 excl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41 toughened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n accident, e.g. fi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53—Call registering systems 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using portable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61—Call registering systems for priority us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76—Call registering systems for checking authorization of the passe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장애인을 위한 안전과 편리성의 기술적 성능이 향상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장애인들의 편의기능을 더욱 강화시켜 사용상 안전성, 편리성을 강화하고, 비장애인과 동일 승강기 사용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충돌사고 및 안전한 승강기 사용 및 나아가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즉시 검출하여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화재로 인한 재산상, 인명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장애인 및 비장애인을 위한 안전과 편리성의 기술적 성능이 향상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외부 승강기 버튼에서 음성 및 방향신호를 출력함으로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보다 안전한 승강기 사용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system with improved technical performance of safety and convenience for the disabled, and more particularly, to further enhance the convenience function of the disabled using the elevator to enhance safety and convenience in use, and when using the same elevator as a non-disabled person Safety and safety for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improved to prevent property damage and loss of life due to fire by promptly detecting and responding to collisions between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safe use of elevators, and fires occurring inside elevators It relates to an elevator system with improved technical performance of convenience. In addition, by outputting voice and direction signals from external elevator buttons,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can use the elevator more safely.
장애인 또는 노약자는 사회적 약자로서 사회적으로 배려해야 하는 대상이다.The handicapped or the elderly are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and are the subject of social consideration.
하지만, 주위 환경을 보면 전혀 그렇지 못한 부분들이 많다.However, if you look a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re are many parts that are not at all.
특히, 선천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들은 활동에 제한이 크다.In particular,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are inherently incapable of moving have significant restrictions on their activities.
다만,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장애인이나 시각장애인중 일부는 경제활동이 가능하여 비교적 많은 부분에서 활동하고 있다.However, some of the disabled or visually impaired who can ride a wheelchair are able to engage in economic activities and are active in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areas.
그런데, 시설이 이를 뒷받침하지 못하여 많은 불편함들이 아직도 곳곳에 분포되어 있다. 가장 보편적인 것으로 엘리베이터를 들 수 있다.However, many inconveniences are still distributed everywhere because the facilities do not support this. Elevators are the most common.
엘리베이터의 경우 장애인버튼이 비교적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 휠체어에 탑승한 채 누를 수 있도록 된 것 외에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은 많이 부족한게 현실이다.In the case of elevators, the handicapped button is placed in a relatively low position so that it can be pressed while riding in a wheelchair, but the reality is that there are a lot of lack of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이에, 본 출원인은 하기한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엘리베이터 기술을 개발하여 특허 출원하고 등록받은 바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eloped an elevator technology disclosed in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 applied for a patent, and received registration.
등록기술은 엘리베이터의 카 내부에 장애인 탑승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LED 바를 통해 점등되게 하여 구역을 확보하도록 하고, 카 운행시에는 LED 바의 조도를 낮추어 운행함으로써 휠체어 및 장애인들의 탑승 편의성을 높이도록 한 것이다. The registration technology secures the area by turning on the LED bar to secure a space for the disabled inside the elevator car, and lowers the illumination of the LED bar when operating the car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boarding for wheelchairs and disabled people. will be.
이후, 기술 적용을 지속하는 과정에서 더 많은 편의 기능이 요구되고 있기에 이에 대한 개량이 필요한 상황이다.Since then, in the process of continuing the application of the technology, more convenient functions are required,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m.
또한, 엘리베이터 내부에는 화재감지 기능이 없고 소화기도 갖추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불측의 원인으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는 능력이 없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아지는 단점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evator does not have a fire detection function and is not equipped with a fire extinguish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increases because there is no ability to detect a fire due to an unexpected cause.
또한 시각장애인은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스스로 찾아갈 수 있는 방법이 제한적이어서 이동의 제약을 받고 있는 현실이다.In addition, the visually impaired have a limited way to find the location of the elevator on their own, so it is a reality that they are restricted from moving.
또한 장애인을 위한 안전과 편리성을 확보하면서 장애인 및 비장애인이 만족할수 있는 승강기 사용이 목적이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elevator is to ensure the safety and convenience for the disabled and to use the elevator satisfactorily for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장애인들의 편의기능을 더욱 강화시켜 사용상 안전성, 편리성을 강화하고, 비장애인과 동일 승강기 사용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충돌사고 및 안전한 승강기 사용 및 나아가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즉시 검출하여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화재로 인한 재산상, 인명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장애인을 위한 안전과 편리성의 기술적 성능이 향상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se problems in view of the various problems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further strengthens the convenience function of the disabled using the elevator to enhance safety and convenience in use, and when using the same elevator as a non-disabled person, the disabled and the disabled Improved technical performance of safety and convenience for the disabled to prevent property damage and loss of life due to fire by promptly detecting and responding to crashes and safe use of elevators by non-disabled people and fires occurring inside the elevator Its primary purpose is to provide an improved elevator system.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장애인용 무선신호송신기(11)와 무선신호수신부(12)로 구성되어 장애인이 발신버턴(11-1)을 누르면 무선신호송신기(11)에서 무선데이타를 전파를 통하여 송출한다. 이때 무선신호수신부(12)는 수신된 무선데이타 신호를 제어부(1)으로 전송하고 제어부(1)에서는 신호를 인식하여 장애인안내 음성정보를 음성출력부(4)로 송출한다. 음성출력부(4)에서는 수신된 음성정보를 스피커를 통하여 안내방송을 출력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is composed of a
제어부(1)와, 상기 제어부(1)에 연결되고 엘리베이터버턴부(EB) 내부에 설치된 카드인식부(2)와, 상기 카드인식부(2)에 장애인인식용 카드가 인식되면 LED바(9)가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LED바 제어부(3)와, 상기 카드인식부(2)에 장애인인식용 카드가 인식되면 장애인 탑승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4)와, 엘리베이터 내부의 바닥판에 설치된 진동자와; 엘리베이터(8)의 내벽에 부착되고 통신이 가능한 화재감지기(10)와, 상기 엘리베이터(8) 설비의 탑에 설치되고 상기 화재감지기(10)와 통신하며, 화재감지기(10)의 신호가 수신되면 즉시 관리서버(S)로 화재발생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된 엘베통신부(6)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정보생성부에 의해 엘리베이터가 정지하고 도어가 열리면, 진동자로 하여금 진동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진동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When the
또한, 상기 진동제어부는,In addition, the vibration control unit,
상기 제어정보생성부에 의해 엘리베이터가 정지후 도어가 열리고 닫히는 동안 진동자 통해 진동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controls so that vibration is generated through a vibrator while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after the elevator stops.
이로 인해 시각장애인이 지정 위치에 안전하게 탑승할수 있도록 한다.This makes it possible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board safely at the designated location.
상기 카드인식부(2)는 외부 버튼부 및 내부 버튼부 모두에 설치되고, The
휠체어 탑승 장애인이 탑승 후 내부에서 장애인인식용 카드를 인식 후 목적지가 설정되면 장애인우선모드로 전환되어 목적지 층으로 우선 운행하도록 제어되도록 가능한 시스템이 장착되어 만차 시 휠체어 탑승 장애인이 내렸다 다시 탑승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돌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애인 및 비장애인을 위한 안전과 편리성의 기술적 성능이 향상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이다.After boarding, a disabled person in a wheelchair recognizes a disability identification card inside, and when a destination is set, the system is equipped with a system that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disabled priority mode is switched to the destination floor. It is an elevator system with improved technical performance of safety and convenience for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who can prevent collision accidents that occur.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장애인들의 편의기능을 더욱 강화시켜 사용상 안전성, 편리성을 강화하고, 장애인과 동일 승강기 사용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충돌사고 및 안전한 승강기 사용 및 나아가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즉시 검출하여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화재로 인한 재산상, 인명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nience function of the disabled using the elevator is further strengthened to enhance safety and convenience in use, and when using the same elevator as the disabled, collision accidents between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safe use of the elevator, and fire occurring inside the elevator are prevented. By promptly detecting and responding, improved effects can be obtained to prevent loss of property and human life due to fi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예시적인 버튼부 및 엘리베이터을 평단면처리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로고 도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화재감지기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승강기 사용에 따른 안전과 편리성이 향상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진동자와 그 원리를 적용한 엘리베이터 바닥판을 예시로 나타낸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화재감지기의 장탈착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block diagram of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emplary button unit and an elevator constituting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lane sectional processin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abled log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a fire detector constituting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n elevator floor plate to which the vibrator of the elevator system with improved safety and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use of the elevator by the disabled and the non-disa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inciple thereof is applied as an example.
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detachable structure of a fire detector constituting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본 출원인이 등록받은 등록특허를 기본 개념으로 하고 이를 더욱 개량한 기술에 해당한다. 때문에, 기본도면을 비롯한 개념은 생략하고 본 발명에서 논하고자하는 핵심적인 특징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 technology further improved based on the registered patent registered by the present applicant as a basic concept. Therefore, concepts including basic drawings will be omitted and only the key features to be discus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2의 예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장애인용 무선신호송신기(11)와 무선신호수신부(12)로 구성되어 장애인이 발신버턴(11-1)을 누르면 무선신호전송기(11)에서 무선데이타를 전파를 통하여 송출하고. 이때 무선신호수신부(12)는 수신된 무선데이타 신호를 제어부(1)로 전송하고 제어부(1)에서는 신호를 인식하여 장애인안내 음성정보를 음성출력부(4)로 송출한다. 음성출력부(4)에서는 수신된 음성정보를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으로 안내방송을 출력한다.1 to 2,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또한 상기 제어부(1)와, 상기 제어부(1)에 연결되고 호출버턴부(7)의 하단내부에 설치된 카드인식부(2)와, 상기 카드인식부(2)에 장애인인식용 카드가 인식하는 인식부와, 상기 카드인식부(2)에 장애인카드가 인식되면 장애인 탑승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4)와, 엘리베이터(8)의 내벽에 부착되고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화재감지기(10)와, 상기 화재감지기(10)와 통신하며, 화재감지기(10)의 해당 신호가 수신되면 즉시 관리서버(S)로 화재발생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된 엘베통신부(6)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그리하여, 장애인인식용 카드를 카드인식부(2)에 터치하면 제어부(1)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us, when the card for recognizing the disabled is touched to the
또한, 엘리베이터 바닥에 구비된 진동자는 첨부된 도면의 도5와 같이 소정의 범위(점선 참조) 만큼 진동이 확산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vibrator provided on the floor of the elevator spreads the vibratio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refer to the dotted line) as shown in FIG. 5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때, 진동자는 진동을 발생시켜 시각장애인이 탑승지점(또는 승강기 바닥판의 중심)에 안전하게 탑승할수 있도록 하여 비장애인과의 접촉으로 인한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수 있다.At this time, the vibrator generates vibration so that the visually impaired can safely board at the boarding point (or the center of the elevator floor plate), thereby preventing a collision accident due to contact with a non-disabled person in advance.
또한 진동자는 엘리베이터내 탑승지점(또는 카 바닥판의 중심)에 위치하여 진동이 탑승지점을 중심으로 퍼져나가게 함으로서 장애인이 탑승지점을 진동의 세기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장애인은 진동의 최대점이 탑승지점의 중심임을 인지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brator may be located at a boarding point in the elevator (or at the center of the car floor plate) so that the vibration spreads around the boarding point, so that the disabled person can recognize the boarding point by the strength of the vibration. At this time, the disabled person can recognize that the maximum point of vibration is the center of the boarding point.
또한, 진동제어부는, 엘리베이터가 정지하고 도어가 열리고 닫히는 동안에 진동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장애인 특히 시각장애인으로 하여금 엘리베이터의 문이 닫힌다는 것을 인지 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vibration control unit enables vibration to be generated while the elevator is stopped and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disabled, especially the visually impaired, can recognize that the elevator door is closed.
한편, 진동자를 구성함에 있어서 아래 [표 1]의 구성을 참조하여 선택적으로 설계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configuring the vibrator, it can be selectively designed with reference to the configuration in [Table 1] below.
[표 1]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바닥판은 그 하면에 진동자를 설치하기 위한 기계적인 결합 구조로 설계할 수 있는데 이는 보편적인 기계구조 설계를 벗어나지 않는다. 또한, 진동확산판의 상측으로는 마감판이 형성되는데, 상기 마감판은 연장홈과 진동확산판에 의해 지지되며, 볼트, 접착, 용접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Table 1], the elevator floor plate can be designed as a mechanical coupling structure for installing the vibrator on its lower surfac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general mechanical structure design. In addition, a closing plat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vibration diffusion plate, and the closing plate is supported by the extension groove and the vibration diffusion plate, and may be coupled using bolts, adhesion, welding, or the like.
엘리베이터 바닥판과 진동판 일체형으로 바닥판의 재질이 진동전달에 용이한 재질을 사용함으로서 구조를 단순화 할 수 있다. 또한 그 하면에 진동자의 부착 및 진동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기계적인 설계로 구성할 수도 있다.As the elevator floor plate and vibration plate are integrated,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by using a material that is easy to transmit vibration. In addition, it may be configured with a mechanical design for facilitating the attachment of the vibrator to the lower surface and transmission of vibration.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What has been described using the drawings above is only the main poi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drawings as various desig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특히, 시각장애인이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 무선신호송신기(11)의 발신버턴(11-1)을 작동하면 무선신호가 전파를 통하여 발신되고 무선신호수신시 음성출력부(4)에서는 음성으로 “엘리베이터 탑승구역입니다. 장애인 탑승시 양보 바랍니다” 등과 같은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며 또는 “띵동” 과 같은 음향 신호로도 출력할 수 있다. 시각장애인은 이러한 음성신호 및 음향신호를 인지하여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operates the sending button 11-1 of the
또한 장애인인식용 카드가 터치되면, 제어부(1)는 장애인 모드로 전환하고, 동시에 음성출력부(4)를 통해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handicapped recognition card is touched, the
즉, 제어부(1)는 '장애인이 탑승합니다' 등과 같은 음성을 카 내부에 출력할 수 있으며, 승강장에서 장애인이 탑승할 것을 미리 알려줌으로서 비장애인과 장애인이 안전한 탑승이 가능하다.That is, the
또한 승강장에서 상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상향버튼(B1)을 누르면 선택된 표시 램프와 함께 '상승버튼이 등록되었습니다' 혹은 반대로 하향버튼(B2)을 누르면 '하강버튼이 등록되었습니다'와 같은 음성을 출력하여 시각 장애인이 버튼 등록이 되었음을 확인하여 줌으로서 보다 안전한 승강기 사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if you press the up button (B1) to move upward on the platform, it outputs a voice such as 'The up button has been registered' along with the selected display lamp or, conversely, 'the down button has been registered' when you press the down button (B2). It is possible to use the elevator more safely by confirming that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has registered the button.
또한 청각 장애인을 위한 상승방향 승강기가 도착 시는 도착 전층부터는 상승방향 램프가 깜빡이며. 하강 방향 승강기가 도착 시는 도착 전층부터는 하강 방향 램프가 깜빡이며 사전에 승강기가 도착함을 한번 더 알려줄 수 잇다 Also, when an elevator in the upward direc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arrives, the upward direction lamp flickers from the previous floor. When a descending elevator arrives, the descending direction lamp flickers from the previous floor, indicating the arrival of the elevator in advance.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전으로 상승방향 카가 곧 도착시는 “상승방향 카가 곧 도착합니다”란 안내 방송으로 알려주며,As a safety measure for the visually impaired, when an ascending car arrives soon, an announcement is made that “an ascending car will arrive soon”.
하강 방향 카가 곧 도착 시는 “하강방향 카가 곧 도착합니다”란 안내 방송으로 알려주어 시각장애인이 승강기가 도착함을 미연에 알수 있어 안전한 탑승이 가능하다. When a descending car arrives soon, it is notified with an announcement saying “A descending car will arrive soon” so that the visually impaired can know beforehand that the elevator is arriving, enabling safe boarding.
또한, 휠체어 탑승장애인이 탑승하게 되면, '장애인 행선지로 우선 이동하겠습니다. 장애인 운행이 완료되는대로 일반운행하겠습니다. 장애인을 위해 조금만 기다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등과 같은 음성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person with a disability boarding a wheelchair is boarded, 'We will move to the destination of the disabled first. As soon as the disabled operation is completed, general operation will be carried out. I would appreciate it if you wait a little for the disabled' etc. can be output.
그리고, 장애인이 탑승한 후 목적지 층을 누르면 엘리베이터(8)는 장애인운행모드에서 무조건 장애인이 지정한 목적지로 먼저 이동하도록 동작된다.In addition, when the disabled person boards and presses the destination floor, the elevator 8 is operated to first move to the destination designated by the disabled person unconditionally in the disabled operation mode.
이를 위해, 카드인식부(2)는 엘리베이터(8) 내부의 버튼설정부에도 함께 할당되어 있어야 하며, 장애인이 탑승 후 엘리베이터(8) 내부에서도 장애인카드를 먼저 인식시킨 후 목적지 층을 눌러야 장애인우선모드가 실행된다.To this end, the card recognition unit (2) must also be assigned to the button setting unit inside the elevator (8), and the disabled person must first recognize the disabled card inside the elevator (8) after boarding and then press the destination floor in the disabled priority mode. is executed
또한, 엘리베이터(8)를 출입하기 위한 바닥면에도 장애인표시(P)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강화유리가 포함된 칼라 엘시디(LCD)로 이루어지거나 시각적으로 잘 뜨이도록 부분 도색해두면 더욱 좋다. 도 3 에 실시예에 의한 장애인표시가 잘 도시되어 있다. In addition, it is better if the disabled sign (P) is made of a color LCD (LCD) containing tempered glass with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on the floor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elevator (8) or partially painted to visually stand out. 3 shows the display of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아울러, 화재감지기(10)는 연기 또는 열 혹은 양자를 모두 감지할 수 있는 감지기이고, 근거리 통신모듈이 탑재되어 있어 화재가 감지되면 무조건 특정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그러면, 엘리베이터 통신부(6)는 해당 특정신호를 받을 수 있도록 세팅되어 있고, 신호를 받는 순간 곧바로 화재임을 인식하고 관리서버(S)로 신호 송출하여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n, the
화재 감지기가 동작하면 피난층 또는 가장 근접한층으로 자동호출이 되어 지정층에 도착하여 탑승객을 빠르고 안전하게 대피할수 있도록 유도한다.If the fire detector operates, the evacuation floor Or, it is automatically called to the nearest floor to arrive at the designated floor and induce passengers to evacuate quickly and safely.
이 경우, 엘베통신부(6)는 고유 할당코드를 가지고 있어 신호 송출시 고유 할당코드가 함께 송출되게 함으로써 관리서버(S)는 어느 위치의 엘리베이터(8)에서 화재가 발생했는지를 즉시 알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재감지기(10)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교체가능한 배터리 사용방식을 통해 상용전원을 끌어오지 않고도 설치할 수 있어 설치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재감지기(10)를 쉽게 분리, 장착할 수 있도록 도 4 내지 도 6 와 같은 고정유닛(50)을 포함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unit 50 as shown in FIGS. 4 to 6 so that the
상기 고정유닛(50)은 엘리베이터의 내부 벽체에 고정되는 부착시트(51)와, 상기 부착시트(51)에 부착되는 커버(52)와, 상기 커버(52)가 덮여 있는 베이스하우징(53)과, 상기 베이스하우징(53)의 커버(52) 반대면에서 사각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54)와, 상기 돌출부(54)의 표면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다시 돌출된 핀고정부(55)와, 상기 핀고정부(55)를 가로질러 고정된 고정핀(56)과, 상기 고정핀(56)에 끼워져 결속되는 'ㄷ'형상의 삽입편(57)과, 상기 삽입편(57)이 일체로 형성되고 화재감지기(10)의 저면에 나사 고정되는 편베이스(58)와, 상기 베이스하우징(53)에 내장되고 상기 삽입편(57)이 고정핀(56)에 끼워졌을 때 삽입편(57)의 일측 편면에 끼워져 걸림 고정되는 걸림구(59)를 포함한다.The fixing unit 50 includes an
이때, 상기 부착시트(51)는 겔타입의 시트이다. 이러한 부착시트(51)는 일반 접착제와 달리 액상이 아니며, 고정력은 높이고, 방수성, 내열성, 방오성, 내침식성, 내후성, 내수성을 강하게 하여 외부 환경에서 장기간 사용하여도 쉽게 열화되지 않아 장수명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베이스하우징(53)은 내부가 비어 있고, 돌출부(54)에 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림구(59)가 출몰가능하게 내장된다.Meanwhile, the inside of the
이때, 걸림구(59)는 상기 베이스하우징(53)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는 걸림구블럭(59a)과, 상기 걸림구블럭(59a)의 일측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삽입편(57)의 일측 외면에 형성된 걸림홈(57a)에 걸림되는 걸림후크(59b)와, 상기 걸림후크(59b) 대향측에 돌출된 스프링바(59c)와, 상기 스프링바(59c)에 끼워지고 베이스하우징(53) 내벽에 걸림되어 상기 걸림구블럭(59a)을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59d)와, 상기 걸림구블럭(59a)의 상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하우징(53) 일측면을 관통하여 노출된 작동바(59e)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locking
그리하여, 삽입편(57)이 고정핀(56)에 삽입될 때는 걸림후크(59b)가 걸림홈(57a)에 걸려 삽입편(57)이 분리되지 못하도록 고정하고, 분리시키고자 할 때는 작동바(59e)를 젖히면 코일스프링(59d)이 압축되면서 걸림후크(59b)가 걸림홈(57a)에서 빠져나오기 때문에 삽입편(57)이 분리될 수 있게 된다.Thus, when the
이와 같이, 간단 용이하게 조립 고정 분리 해체할 수 있어서 설치 사용하게 편리하고, 엘리베이터 내부 등 취약지구에 자유롭게 설치하여 화재를 감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is way, it is convenient to install and use because it can be easily assembled, fixed, separated, and dismantled,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freely installed in vulnerable areas such as inside the elevator to monitor fire.
한편, 진동자를 구성함에 있어서 아래 [표 2]의 구성을 참조할 수 있다.Meanwhile, in configuring the vibrator, the configuration in [Table 2] below may be referred to.
[표 2]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바닥판은 그 하면에 진동자의 삽입을 위한 삽입홀이 형성되며, 이러한 삽입홀은 오목한 홈 형상으로만 구성된다.According to [Table 2], an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a vibrator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levator floor plate, and this insertion hole is formed only in a concave groove shape.
또한, 상기 바닥판의 상면으로는 하방으로 오목한 내삽홈을 가지며, 이러한 내삽홈은 바닥판의 최상면보다 낮은 위치까지만 형성되다가, 그 상측으로 연장홈이 더 형성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has an interpolation groove concave downward, and such an interpolation groove is formed only to a position lower than the uppermost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then an extension groove is further formed upward.
이때, 상기 내삽홈에는 진동확산판이 내삽되고, 진동확산판은, 진동자에 의한 진동이 가지는 범위까지의 크기를 가진다. 이러한 진동확산판의 크기만큼의 내삽홈 크기를 가짐은 당연하다.At this time, a vibration diffusion plate is interpolated into the interpolation groove, and the vibration diffusion plate has a size within the range of vibration by the vibrator. It is natural to have the size of the interpolation groove equal to the size of the vibration diffusion plate.
또한, 진동확산판의 상측으로는 마감판이 형성되는데, 상기 마감판은 연장홈과 진동확산판에 의해 지지되며, 볼트, 접착, 용접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마감판은 바닥판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어 엘리베이터 내부 바닥판의 심미성을 해치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a closing plat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vibration diffusion plate, and the closing plate is supported by the extension groove and the vibration diffusion plate, and may be coupled using bolts, adhesion, welding, or the like. The finishing plate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loor plate so as not to harm the aesthetics of the floor plate inside the elevator.
다만, 상기 진동확산판은, 진동 확산에 유리한 재질로 구성되어 일체의 판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 및 하판으로 구분하되, 상판과 하판 사이를 이격시키고, 그 사이에 연결기둥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기둥 사이에 스프링을 구비시킨다.However, the vibration diffusion plate may be composed of a material that is advantageous for vibration diffusion and may be configured in an integral plate shape, but as shown in [Table 2], it is divided into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and the upper and lower plates are spaced apart, A connecting pillar is connected therebetween, and a spring is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ng pillars.
이때, 스프링은 연결기둥 외면에 끼워진 상태로 하판에 용접 등으로 결합되고, 상판과는 일정간격만큼 떨어지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spring is coupled to the lower plate by welding or the like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column, and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upper plat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다만, 진동확산판에 있어서, [표 2]와 다르게 연결기둥과 스프링의 간격을 진동확산판의 외측으로 향할수록 간격이 커지도록 할 수도 있고, 중심부에는 연결기둥과 스프링의 구조가 제외되도록 할 수도 있다.However, in the vibration diffusion plate, differently from [Table 2], the gap between the connecting pillar and the spring may be increased toward the outside of the vibration diffusion plate, or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ng pillar and spring may be excluded from the center. there is.
이러한 간격조절과 제외구성을 통해서 진동자에 의한 진동이 진동자로부터 멀어질수록 세기가 감소되도록 하고, 진동자 설치위치에서의 진동은 세기가 제일 세도록 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장애인 중, 특히 시각장애인은 지팡이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중심으로 유도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안전한 엘리베이터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Through this spacing adjustment and exclusion configuration, the intensity of vibration by the vibrator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vibrator increases, and the intensity of vibration at the location where the vibrator is installed can be the strongest. Accordingly, among the disabled, especially the visually impaired, It can be guided to the center of the elevator using a means such as a cane, and it is possible to use the elevator safely accordingly.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What has been described using the drawings above is only the main poi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drawings as various desig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1: 제어부 2: 카드인식부
3: LED바 제어부 4: 음성출력부
5: 진동제어부 6: 엘베 통신부
7: 호출버턴부 8: 카
9: LED 바 10: 화재감지기
11: 무선신호송신기 11-1: 발신버턴
12: 무선신호 수신부 EB: 엘리베이터버턴부1: control unit 2: card recognition unit
3: LED bar control unit 4: audio output unit
5: vibration control unit 6: Elbe communication unit
7: call button part 8: car
9: LED bar 10: Smoke detector
11: wireless signal transmitter 11-1: sending button
12: wireless signal receiving unit EB: elevator button unit
Claims (7)
상기 제어부(1)와;
상기 제어부(1)에 연결되고 엘리베이터버턴부(EB) 내부에 설치된 카드인식부(2)와;
상기 카드인식부(2)에 장애인인식용 카드가 인식되면 엘리베이터(8) 설비의 바닥면 일부분에 설치된 LED바(9)가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LED바 제어부(3)와;
엘리베이터 내부의 바닥판에 설치된 진동자와;
상기 카드인식부(2)에 장애인인식용 카드가 인식되면 장애인 탑승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4)와;
엘리베이터(8)의 내벽에 부착되고 화재감지기(10)와;
상기 엘리베이터(8) 설비의 탑에 설치되고 상기 화재감지기(10)와 통신하며, 화재감지기(10)의 신호가 수신되면 즉시 관리서버(S)로 화재발생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된 엘베통신부(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의 바닥판은 진동자의 설치를 위해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의 바닥판의 상면으로는 하방으로 오목한 내삽홈을 가지되, 상기 내삽홈은 주변부로 연장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내삽홈에는, 상기 진동자에 의한 진동을 확산시키는 진동확산판이 내삽되되, 상기 진동확산판은 상판 및 하판으로 구분하되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를 이격시키고, 그 사이에 연결기둥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기둥 사이에 스프링을 구비시키며,
상기 진동확산판의 상측으로는 연장홈과 진동확산판에 의해 지지되는 마감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승강기 탑승시에 따른 안전과 편리성의 기술적 성능이 향상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It consists of a wireless signal transmitter 11 for the disabled, a sending button 11-1, and a wireless signal receiver 12 for receiving a wireless data signal, and a control unit 1 for controlling the received wireless data signal with voice information, voice Including a voice output unit 4 for outputting information,
with the control unit 1;
A card recognition unit 2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 and installed inside the elevator button unit EB;
An LED bar control unit 3 for controlling the LED bar 9 installed on a part of the floor of the elevator 8 equipment to turn on when the card for recognizing the disabled is recognized by the card recognition unit 2;
A vibrator installed on the floor plate inside the elevator;
an audio output unit 4 outputting boarding information for the disabled as voice when the card for recognizing the disabled is recognized by the card recognition unit 2;
It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8) and the fire detector (10);
An elevator communication unit (6) installed on the tower of the elevator (8) equipment, communicating with the fire detector (10), and immediately outputting a fire signal to the management server (S) when a signal from the fire detector (10) is received. ); is composed of,
The floor plate inside the elevator includes an insertion hole for installing the vibrator,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plate inside the elevator has an interpolation groove concave downward, and the interpolation groove is further formed with an extension groove toward the periphery,
A vibration diffusion plate for diffusing vibration by the vibrator is inserted into the interpolation groove, and the vibration diffusion plate is divided into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spaced apart, and a connecting column is connected therebetween, and the connecting column A spring is provided between them,
Elevator system with improved technical performance of safety and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boarding the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ide of the vibration diffusion plate is formed with an extension groove and a closing plate supported by the vibration diffusion plate.
상기 엘리베이터버턴부(EB) 내부에 설치된 카드인식부에 장애인 카드가 인식후 층버튼을 선택하면 휠체어 탄 장애인을 위한 옵션기능으로 선택층으로 우선 운행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비장애인을 불편을 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승강기 탑승시에 따른 안전과 편리성의 기술적 성능이 향상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fter the disabled card is recognized in the card recognition unit installed inside the elevator button unit (EB), when a floor button is selected, it is an optional function for disabled people in wheelchairs. It is possible to drive to the selected floor first, thereby reducing inconvenience to non-disabled people. Elevator system with improved technical performance for safety and convenience when boarding the elevator for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상기 카드인식부(2)는 외부버튼부 및 내부버튼부 모두에 설치되되,
상기 외부버튼부는,
카드인식부 일체형으로 시각장애인과 청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및 표시램프를 포함하고 있어서, 장애인의 안전한 승강기 탑승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승강기 탑승시에 따른 안전과 편리성의 기술적 성능이 향상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card recognition unit 2 is installed on both the outer button and the inner button,
The outer button part,
It is a card reader integrated type and includes voice and display lamps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hearing impaired, so that the disabled can safely board the elevator. Elevator system with improved performance.
상기 제어부는,
진동자로 하여금 저주파 진동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진동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진동제어부는,
엘리베이터가 정지하고 도어가 열리고 닫히는 동안에 진동자 통해 진동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승강기 탑승시에 따른 안전과 편리성의 기술적 성능이 향상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A vibr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ibrator to generate low-frequency vibration;
The vibration control unit,
Elevator system with improved technical performance of safety and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boarding the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vibration is controlled so that the vibration is generated while the elevator is stopped and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음성정보를 생성하고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정보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음성정보출력부는,
승강장에서 상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상향버튼을 누르면 선택된 표시램프와 함께 '상승버튼이 등록되었습니다'의 음성을 출력되도록 하고,
반대로 하향버튼을 누르면 '하강버튼이 등록되었습니다'의 음성을 출력하여,
시각 장애인이 버튼 등록이 되었음을 확인하여 줌으로서 보다 안전한 승강기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승강기 탑승시에 따른 안전과 편리성의 기술적 성능이 향상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A voice information output unit for generating predetermined voice information and outputting it through a speaker; including,
The audio information output unit,
When you press the up button to move upward on the platform, the selected indicator lamp and the voice of 'the up button has been registered' are output.
Conversely, when the down button is pressed, it outputs a voice saying 'The down button has been registered'.
An elevator system with improved technical performance of safety and convenience for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when boarding the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allows the visually impaired to use the elevator more safely by confirming that the button is registered.
상기 제어부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상승방향 승강기가 도착 시는 도착 전층부터는 상승방향 램프가 깜빡이며,
하강 방향 승강기가 도착 시는 도착 전층부터는 하강 방향 램프가 깜빡이며 사전에 승강기가 도착함을 한번 더 알려주도록 제어하되,
상기 음성정보출력부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전으로 상승방향 카가 곧 도착시는 '상승방향 카가 곧 도착합니다'란 음성정보를 출력하고, 하강 방향 카가 곧 도착 시는 '하방향 카가 곧 도착합니다'란 음성정보를 출력하여,
시각장애인이 승강기가 도착함을 미연에 알수 있어 안전한 탑승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승강기 탑승시에 따른 안전과 편리성의 기술적 성능이 향상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When an elevator in the ascending direc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arrives, the upward direction lamp flickers from the previous floor.
When the elevator in the descending direction arrives, the lamp in the descending direction flickers from the previous floor to inform you of the arrival of the elevator in advance.
The audio information output unit,
As a safety measure for the visually impaired, when an ascending car arrives soon, the voice information of 'Upward car will arrive soon' is output, and when a descending car arrives soon, 'downward car will arrive soon' is output.
An elevator system with improved technical performance of safety and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time of boarding the elevator by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characterized in that the visually impaired can know in advance that the elevator will arrive, enabling safe board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62332A KR102534316B1 (en) | 2022-11-29 | 2022-11-29 | Elevator system with improved technical performance of safety and convenience for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when boarding and using elevato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62332A KR102534316B1 (en) | 2022-11-29 | 2022-11-29 | Elevator system with improved technical performance of safety and convenience for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when boarding and using elevator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34316B1 true KR102534316B1 (en) | 2023-05-26 |
Family
ID=86536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62332A KR102534316B1 (en) | 2022-11-29 | 2022-11-29 | Elevator system with improved technical performance of safety and convenience for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when boarding and using elevator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34316B1 (en)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8372U (en) * | 1992-08-18 | 1994-03-08 |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サービス | Elevator power saving operation device |
JP2013056751A (en) * | 2011-09-08 | 2013-03-28 | Toshiba Elevator Co Ltd | Passenger guiding device of elevator |
KR101315816B1 (en) * | 2013-06-05 | 2013-10-08 | (주)영진엘리베이터 | Elevator priority boarding system for disabled people |
KR200472642Y1 (en) | 2012-09-19 | 2014-05-13 |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 Elevator call apparatus for the disabled |
KR20160012314A (en) | 2014-07-23 | 2016-02-03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Automatic control system of elevator based on handicapped person identification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KR101655360B1 (en) | 2016-02-23 | 2016-09-08 | 주식회사 한림기업 | Elevator for disabled person |
KR20190055563A (en) * | 2017-11-15 | 2019-05-23 |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 Calling device for elevator car |
KR20210038864A (en) * | 2021-03-25 | 2021-04-08 | (주) 에스테팜 | Method for producing filler composition using vibrator for filler composition |
KR102393293B1 (en) | 2022-02-18 | 2022-05-03 | 주식회사 한림기업 | Elevator system with improved technical performance for safety and convenience for the disabled |
-
2022
- 2022-11-29 KR KR1020220162332A patent/KR10253431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8372U (en) * | 1992-08-18 | 1994-03-08 |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サービス | Elevator power saving operation device |
JP2013056751A (en) * | 2011-09-08 | 2013-03-28 | Toshiba Elevator Co Ltd | Passenger guiding device of elevator |
KR200472642Y1 (en) | 2012-09-19 | 2014-05-13 |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 Elevator call apparatus for the disabled |
KR101315816B1 (en) * | 2013-06-05 | 2013-10-08 | (주)영진엘리베이터 | Elevator priority boarding system for disabled people |
KR20160012314A (en) | 2014-07-23 | 2016-02-03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Automatic control system of elevator based on handicapped person identification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KR101655360B1 (en) | 2016-02-23 | 2016-09-08 | 주식회사 한림기업 | Elevator for disabled person |
KR20190055563A (en) * | 2017-11-15 | 2019-05-23 |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 Calling device for elevator car |
KR20210038864A (en) * | 2021-03-25 | 2021-04-08 | (주) 에스테팜 | Method for producing filler composition using vibrator for filler composition |
KR102393293B1 (en) | 2022-02-18 | 2022-05-03 | 주식회사 한림기업 | Elevator system with improved technical performance for safety and convenience for the disable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68710B1 (en) | Bus riding notification system of solar led using bus riding notification apparatus of solar led | |
JP5572018B2 (en) | Autonomous mobile equipment riding elevator system | |
KR100936472B1 (en) | Bed for a safing accident prevention | |
KR101554752B1 (en) | Method for determining a destination call for use in a lift system and a lift system | |
EP0970911A2 (en) | Individual elevator call changing device | |
JP5951834B1 (en) | elevator | |
CN112209192A (en) | Elevator control device and method | |
KR101315816B1 (en) | Elevator priority boarding system for disabled people | |
KR20190142032A (en) | Building disaster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disaster notification using the same | |
EP0971330A1 (en) | Verbal remote control device | |
US8253548B2 (en) | Elevator system with wireless hall call buttons | |
JP2557939B2 (en) | Elevator call registration device | |
KR102534316B1 (en) | Elevator system with improved technical performance of safety and convenience for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when boarding and using elevators | |
CN111039110B (en) | Intelligent voice elevator taking system | |
KR102393293B1 (en) | Elevator system with improved technical performance for safety and convenience for the disabled | |
JP2010023934A (en) | Elevator operating device and elevator system | |
JP2000244674A (en) | Facility user support system | |
CN207618812U (en) | A kind of elevator informs system | |
JP2012116575A (en) | Call registration device for elevator | |
CN214087192U (en) | Elevator control device | |
CN114261863B (en) | Communication system for elevator trapped person self-help rescue | |
CN215755787U (en) | Elevator calling system and elevator comprising same | |
CN212863681U (en) | Emergency rescue channel system for closing people in elevator | |
CN204173713U (en) | Elevator for disabled persons | |
CN220502387U (en) | Audible and visual alarm system suitable for passengers going into and out of escal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