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861B1 - 전자명판을 이용한 소방재난관리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명판을 이용한 소방재난관리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12861B1 KR102512861B1 KR1020200174206A KR20200174206A KR102512861B1 KR 102512861 B1 KR102512861 B1 KR 102512861B1 KR 1020200174206 A KR1020200174206 A KR 1020200174206A KR 20200174206 A KR20200174206 A KR 20200174206A KR 102512861 B1 KR102512861 B1 KR 1025128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nic
- electronic nameplate
- firefighting
- nameplate
- fi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5—Display details
- G08B5/226—Display details with alphanumeric or graphic display mea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4—Alarm propagated along alternative communication path or using alternative communication medium according to a hierarchy of available ways to communicate, e.g. if Wi-Fi not available use GS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명판을 이용한 소방재난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명판을 이용한 소방재난관리시스템은, 소방대상시설의 내부 구조 및 소방안전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에 접속 가능한 구난 행위자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전자명판, 및 소방대상시설의 비상 상황 발생시, 전자명판과 통신하여 (기)저장한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정당 권한자 여부를 인증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전자명판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명판을 이용한 소방재난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전자명판을 이용하여 평상시에는 소방관리를 하고, 비상시에는 각종 비상 정보를 제공하며, 기간 통신망과 근거리 통신망을 모두 사용하여 화재로 기간 통신망이 불통될 때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화재 장소의 정보를 소방관 등이 신속하게 취득하여 초기 대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자명판을 이용한 소방재난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화재사고, 화학공장 유독가스 누출사고, 지하구조물 침수사고, 건설현장 폭발사고 등 대형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소방대상시설의 정보와 구조를 신속하게 파악하는 것은 골든타임을 확보하고 초기재난에 대응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재난을 진압하기 위해 출동한 구난행위자에게 소방대상시설의 정보와 구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왜냐하면 소방대상시설의 건축설계자·건축재료·건축시기 등과 같은 정보와 입면도·평면도·피난계획도 등과 같은 구조를 기록하고 보관하는 방법이 모두 다르기 때문이다. 그런 내용은 보통 종이출력물이나 전자도면을 이용하는데 통일된 표준이 없다.
물론 ‘ISO 23601:2009에서 규정한 안전식별-탈출 및 대피 계획 표지판’의 표준모델이 있지만 모든 소방대상시설이 이 표준을 따르고 있지 않을뿐더러 피난계획도가 있어도, 실제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소방대상시설 내부에 설치된 모든 피난계획도를 구난행위자의 힘으로 순식간에 확보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설령 소방대상시설의 정보가 소방대상시설 내부의 특정한 곳에 있는 것을 알아도 재난이 발생한 곳으로 진입하여 열람하거나 정보를 취득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구난행위자들은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소방대상시설의 구조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고 구난행위를 하게 되는데, 이런 현상은 신속하게 재난에 대응하지 못하는 가장 중요한 장애요소이다. 소방대상시설에 접근한 구난행위자에게 시설주나 관리인이 신속히 건물의 정보와 구조, 그리고 관계자들의 비상연락망을 제공하는 일은 초기 재난대응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런 장애요소를 극복하고, 초기 재난대응에 만전을 기하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으며, 이에 소방대상시설에 접근한 구난행위자에게 시설주나 관리인이 신속히 건물의 정보와 구조, 그리고 관계자들의 비상연락망을 제공하여 초기 재난대응에 신속히 대처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전자명판을 이용하여 평상시에는 소방관리를 하고, 비상시에는 각종 비상 정보를 제공하며, 기간 통신망과 근거리 통신망을 모두 사용하여 화재로 기간 통신망이 불통될 때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화재 장소의 정보를 소방관 등이 신속하게 취득하여 초기 대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자명판을 이용한 소방재난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명판을 이용한 소방재난관리시스템은, 소방대상시설의 내부 구조 및 소방안전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에 접속 가능한 구난 행위자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전자명판, 및 상기 소방대상시설의 비상 상황 발생시, 상기 전자명판과 통신하여 상기 저장한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정당 권한자 여부를 인증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전자명판으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명판은, 상기 소방대상시설의 내부 구조 관련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소방대상시설의 외부에 설치되는 제1 전자명판, 및 상기 소방대상시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소방안전 관련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제2 전자명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자명판 및 상기 제2 전자명판에 각각 저장되는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소방재난관리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이종의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전자명판에 접속하며, 상기 비상 상황 발생시 제1 통신망의 접속이 불가할 때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전자명판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상기 제1 통신망으로서 기간망 서비스 업체의 기간 통신망을 이용하며, 상기 제2 통신망으로서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전자명판이 상기 소방대상시설의 층마다 구비될 때,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현재 위치하는 층의 상기 전자명판으로부터 층별 피난계획도 및 소방설비위치도를 상기 데이터로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자명판은 상기 소방대상시설의 관리를 위한 데이터 처리 동작이 없을 때 배터리의 전원 절약을 위한 전원절약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전자명판을 이용한 소방재난관리방법은, 전자명판이, 소방대상시설의 내부 구조 및 소방안전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에 접속 가능한 구난 행위자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장치가, 상기 소방대상시설의 비상 상황 발생시, 상기 전자명판과 통신하여 상기 저장한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정당 권한자 여부를 인증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전자명판으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재난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구난행위자가 전자명판을 이용하여 소방대상시설의 정보와 구조를 신속하게 취득하여 초기 재난대응의 골든타임을 확보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구난행위자와 소방재난관리자가 소방대상시설의 소방안전점검 상태를 기록, 관리 및 열람하는 데 표준화된 검색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어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언제든지 구난행위자와 소방재난관리자가 스마트폰 등의 ICT 단말기를 이용하여 동일한 플랫폼에서 업무를 처리하고 정보를 취득할 수 있어 소방재난관리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어떤 형태의 피난계획도, 피난안내도이든지 사진촬영이나 동영상파일 형태로 전자명판에 저장하고, ICT 단말기에서 다운로드받을 수 있어 사전에 허가받은 구난행위자나 소방재난관리자는 복잡한 절차나 별도의 프로그램 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명판을 이용한 소방재난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소방재난관리시스템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전자명판에 저장되는 정보의 유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전자명판을 예시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소방재난관리장치의 기능을 간략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명판을 이용한 소방재난관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7의 과정을 부연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의 다른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그리고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주요기능에 대한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소방재난관리시스템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전자명판에 저장되는 정보의 유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전자명판을 예시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소방재난관리장치의 기능을 간략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명판을 이용한 소방재난관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7의 과정을 부연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의 다른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그리고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주요기능에 대한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명판을 이용한 소방재난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소방재난관리시스템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전자명판에 저장되는 정보의 유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전자명판을 예시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도 1의 소방재난관리장치의 기능을 간략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명판을 이용한 소방재난관리시스템(이하, 소방재난관리시스템)(90)은 전자명판(100), 사용자 단말장치(혹은 ICT 단말기)(110), 통신망(120) 및 소방재난관리장치(1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통신망(120)이나 소방재난관리장치(1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전자명판(100)과 사용자 단말기(110)가 다이렉트 통신(예: P2P 통신)을 수행하거나, 소방재난관리장치(13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2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전자명판(100)은 소방대상시설인 가령 건물의 내외부에 설치된다. 전자명판(100)은 관공서를 비롯하여 학교, 병원, 요양원, 문화공연시설, 경기장, 아파트, 빌딩, 역, 지하쇼핑몰, 발전소, 변전소, 국가중요시설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운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명판(100)은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제1 전자명판과,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전자명판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물론 소방대상시설의 건물 내외부에는 다양한 형태로 전자명판(100)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건물 외부, 즉 건물로 진입하는 출입구에 제1 전자명판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어 건물의 각 층의 출입구마다 제1 전자명판을 설치하고, 그 이외에 구역에는 제2 전자명판을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명판은 건물의 내부 구조나 층의 구조 등과 관련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건물에서 위험상황 즉 화재 등의 비상 발생시 소방관 등의 구난행위자가 해당 건물의 구조를 신속히 파악하여 인명을 구조하여 대피시키기 위해 운영 및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자명판은 평상시 건물의 소방안전 관리를 기록하기 위하여 동작할 수 있다.
좀더 설명하면, 소방대상시설의 외부에 설치되는 제1 전자명판은 소방대상시설의 정보(혹은 데이터)가 기록되어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구난행위자가 소방대상시설의 외부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제2 전자명판은 소방대상시설의 정보가 기록되어 평상시에 구난행위자가 소방안전 관련 내용을 기록하고, 점검하며 열람하기 위해 운영 및 동작할 수 있다.
전자명판(100)은 가령 도 3에서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해당 데이터를 건물의 화재 등에 대비하여 전자명판(100) 내의 메모리에 저장한 후 구조행위자가 요청할 때 내부에 저장된 건물 구조 관련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관련 데이터는 구조행위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장치(110)로 전송된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건물 구조 관련 데이터는 피난 계획도, 피난안내도, 동영상 피난안내도, 공항의 경우에는 공항의 피난안내도, 상가의 경우나 가정집의 경우에는 손으로 그린 피난안내도 등도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명판(100)은 스마트태그전자식명판으로서 소방 및 재난관리용 건물의 운영도면, 피난계획도, 소방안전시설물 설치도, 탈출장비, 피난구역 등의 안내도면 및 재난 회피용 안내 매뉴얼, 소방안전대원이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점검표 및 점검일지 등을 내장한다. 전자명판(100)은 이와 같이 여러 형태의 피난계획도, 피난안내도, 동영상 피난안내도를 이미지파일 또는 동영상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명판(100)은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명판(100)은 후면 케이스(400)와 정면 케이스(410)의 내부에(혹은 사이에) 배터리(401), 회로기판(402), 그리고 NFC 안테나(40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정면 케이스(410)의 일측에는 전자종이(EPD)(415) 및 윈도우(420)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402)상에는 커넥터(402a)가 구성되며, 이외에도 CPU나 메모리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CPU는 NFC 안테나(403)를 제어하여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또 배터리(401)를 제어하여 소방 관련 데이터의 처리가 없는 경우에는 전원절약모드(mode)로 동작시켜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모드는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 동작하도록 기설정된 방식 정도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전자명판(100)은 가령 사용자 단말장치(110)로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전자 종이로 구성한다. 이때, 전자 종이는 종이의 느낌을 그대로 느낄 수 있으며 종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만든 전자장치로 e-페이퍼라고도 한다. 전자 종이는 전자장치의 종류나 성능에 따라서 검색 방법이나 속도, 정보의 양 등은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전자종이는 작은 공이나 캡슐들을 이용하여 잉크의 효과를 내는 방식과 기존의 액정디스플레이(LCD) 등 평판 디스플레이를 더욱 얇게 만들어 종이 효과를 내는 방식 등 2가지 원리를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전자명판(100)의 경우 상당기간 별도의 전원 없이 동작하고, 자체적으로 대용량 메모리를 가지고 있으며, 정보통신기술(ICT) 단말기와 같은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이용하여 빠르고 쉽게 정보를 열람하고, 저장하고, 수정할 수 있다. ICT 단말기에 연동하면서 자체적인 메모리를 갖는 전자명판(100)은 각종 기계, 통신, 전기설비의 외부에 부착하여 매뉴얼을 열람하거나 기계의 이상여부를 점검하고 기록하는 데 활용될 수도 있다. 또한 산악에서 조난을 당했을 때, 전자명판(100)에 ICT 단말기를 접촉하면 자신의 위치를 알려주고 그곳에서 조난당했을 때 조난자가 취해야 하는 행동요령을 안내해 주는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자명판(100)을 소방대상시설의 내외부에 시설하여 평상시에는 소방대상시설의 소방안전점검을 기록하고, 피난계획서를 최신으로 입력하여 열람할 수 있게 하며, 비상시에는 ICT 단말기 등의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무선통신망이 끊기더라도 구난행위자의 ICT 단말기에서 소방대상시설의 정보와 구조를 열람할 수 있으며 비상통신망을 조회하여 초기 소방재난에 신속히 대응할 수도 있다. 이때, 정보보호를 위하여 소방대상시설의 정보, 구조, 비상연락망 등은 사전에 인가된 자에 한하여 열람할 수 있게 하는 소방재난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구난행위자와 소방재난관리자가 사용하는 ICT 단말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하여 별도로 제작되는 전용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난행위자, 소방대상시설의 소방재난관리자, 지방자치단체 관련자 등 구난행위자와 소방재난관리자로 허가된 사람들이 사용하는 휴대폰, 가령 도 2의 스마트폰(110'), 태블릿PC, 노트북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재난발생시 안드로이드앱 등을 이용하여 스마트태그전자식명판 내 정보를 확인하여 빠른 시간 내에 발생한 재난을 진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소방안전대원이 건물 점검시 점검표 및 점검일지 등을 작성하여 명판 또는 서버(130')에 주기적으로 저장하여 관리 건물에 대한 점검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가령 앱을 앱스토아 등을 통해 다운로드받아 설치한 후 평상시에는 전자명판(100), 더 정확하게는 평상시 소방관련 기록을 위해 동작하는 제2 전자명판에 접속하여 소방대상시설의 소방재난관리 상태를 점검하고 기록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점검, 기록 등의 동작은 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구조행위자들이 소지하는 장치로서, 건물에 화재 등의 비상 발생시 인명 구조 등을 위해 신속하게 건물의 내부 구조를 파악할 수 있도록 전자명판(100)에 사전에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고 긴급한 경우에는 근거리 무선통신(예: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등)에 의해 바로 접속하여 내부에 저장된 건물의 내부 구조 관련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대로 전자명판(100)에 저장되어 있는 피난안내도 등의 데이터를 제공받아 구조행위자가 신속하게 내부 구조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현장에서 전자명판(100)에 접속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특정 건물의 비상 사태 발생시 소방재난관리장치(130)로부터 해당 건물의 위치가 파악된 경우에는 도 1의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바로 DB(130a)에 저장되어 있는 피난안내도 등의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그러나, 긴급 출동상황에도 통신망(120)을 통해 피난안내도 등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은 가령 통신망(120)에 데이터 트래픽이 증가하거나 불통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데이터 수신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현장의 건물에 설치된 전자명판(100)을 통해 데이터를 다이렉트로 수신하는 것이 오히려 안전에 더 유리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통신망(12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2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2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2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2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전자명판(100)이나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전자명판(100)이나 사용자 단말장치(110)와 지그비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소방재난관리장치(13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소방재난관리장치(130)는 가령 도 2에서와 같은 서버(130')로서 DB(130a)를 포함할 수 있다. 소방재난관리장치(130)는 소방 및 재난관리용 건물의 도면, 안전장구 설치 위치 등 최신자료 입력, 건물 점검표 및 점검일지 등을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소방재난관리장치(130)는 구난행위를 담당하는 소방기관의 서버와, 소방대상이 되는 설비, 건물, 장소 등 소방대상시설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소방기관은 소방청, 소방서, 소방본부, 소방학교, 지방자치단체, 자율소방대, 의용소방대, 기타 소방과 안전 재난을 담당하는 곳을 의미한다. 반면, 소방대상시설은 공공기관, 빌딩, 호텔, 공장, 위험물 취급소, 주유소, 화학공장, 발전소, 변전소, 학교, 건설현장, 지하철, 선박, 기타 소방재난관리가 필요한 모든 곳을 의미한다. 따라서, 소방대상시설의 소방재난관리 데이터베이스는 건물의 층별 도면, 피난계획도, 소방안전시설물 설치도, 탈출장비, 피난구역 등과 함께 평소 시행한 소방안전점검 내용이 기록되어 있으며, 소방서의 소방재난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구난행위자가 열람할 수 있는 매뉴얼과 절차가 기록되어 있고, 평상시에는 소방안전점검에 활용할 수 있는 점검표와 점검절차 등이 기록되어 있다.
소방재난관리장치(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장치(110)와 사용권한 정보, 사용자 로그인, 장비 정보, 데이터, 데이터 버전 정보, 다운로드/업로드 이력 등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방재난관리장치(130)는 서버에 전체 장비의 전자식 명판 정보를 구축한다(예: 지역별, 건물별 태그네임(명판 이름)에 대한 Database 구축). 필요시 지역별 서버를 구축하고, 본부에 통합서버를 구축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식 명판 기본 포맷을 등록한다. 무선단말 관리서버(MDM) 기능을 통해 스마트폰 인증을 획득하고, NFC 기능이 있는 스마트폰에 전자식 명판 기능을 지원하는 전용 앱(App)을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랜, 3G/4G 등 스마트폰에서 지원되는 통신수단으로 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서버에 버전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전자식 명판의 데이터를 스마트폰에 다운로드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복수개의 데이터를 전체 또는 개별적으로 선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전자식 명판 신규 등록시 서버(130')로부터 부여받은 식별번호를 "신규등록" 메뉴를 통해 입력하도록 한다. 입력과 동시에 주요 정보(예: 건물명, 설치일자, 설치건물주소 등)가 자동으로 표시된다. 프리뷰(Preview)를 통해 등록 전 확인이 가능하고 업데이트 버튼을 누른 후 전자식 명판의 NFC 안테나에 접촉한다. 기등록되어 있는 전자식 명판을 업데이트할 경우 "관리" 메뉴를 통해 수정할 수도 있다. 관리 메뉴에서 스마트폰을 전자식 명판의 NFC 안테나에 접촉하면 자동으로 식별번호, 제품명 및 버전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각 품목(예: 서버, 스마트폰, 전자식 명판)의 버전정보와 Preview를 통해 이상유무 확인 후 업데이트한다. 전자식 명판의 내용에 대한 오류 발생시 "수정요청" 메뉴를 통해 관리자에 통보하여 수정하도록 한다. 건물의 정기점검 이력은 스마트폰의 "점검이력관리" 메뉴를 통해 관리 및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별도의 작업 상황이 발생하지 않을 시 전자식 명판은 슬립 모드(Deep Sleep Mode)로 전환되어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시킨다. 수정 보완된 데이터는 서버 DB와 자동 동기화된다.
상기의 구성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를 저장, 조회, 수정, 다운로드할 수 있는 전자명판(100)을 소방대상시설의 내외부에 설치하고, 재난발생시 현장에 도착한 구난행위자 중 사전에 승인된 자가 ICT 단말기를 접촉하여 소방대상시설의 정보와 구조를 즉시 다운로드받아 활용하게 하여 초기에 신속하게 재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평상시에는 소방대상시설의 소방재난관리 상태를 점검하고 기록할 수 있다. 평상시에 메모리가 있는 전자명판(100)에 소방안전점검 사항을 기록하고 보관하며, 서버(130')와 ICT 단말기, 그리고 전자명판(100)이 연동하여 소방대상시설의 정보와 구조를 최신으로 업데이트하고, 재난 발생시에는 소방대상시설에 접근한 구난행위자가 갖고 있는 전용 단말기나 스마트폰(110') 등의 ICT 단말기를 활용하여 현장에서 즉시 소방대상시설의 정보와 구조를 열람하여 재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난행위자 중 승인된 자가 메모리 기능이 있는 전자명판(100)과 ICT 단말기를 연동하여, 평상시에는 소방대상시설의 안전점검 및 재난대비상태를 점검하고, 비상시에는 ICT 단말기의 LTE 무선통신망(혹은 제1 통신망)이 끊기더라도 ICT 단말기와 전자명판(100)을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WI-FI(혹은 제2 통신망)로 연결할 수 있어 전자명판(100)에 저장된 소방대상시설의 건물 평면구조, 건물 입면구조, 피난계획도, 소방설비 위치, 비상연락망 등을 다운받아 신속히 초기 대응을 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600), 제어부(610), 소방재난관리부(620) 및 저장부(6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부(64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6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소방재난관리부(620)와 같은 구성요소가 제어부(6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600)는 전자명판(100) 및 소방재난관리장치(130)와 각각 통신한다. 전자명판(100)과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소방재난관리장치(130)와는 LTE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600)는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변/복조, 인코딩/디코딩, 먹싱/디먹싱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600)는 소방재난관리장치(130)나 앱스토아 등에 접속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앱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변에 인식되는 전자명판(100)과 통신을 수행하여 특정 건물의 전자명판(100)을 인식하여 이를 소방재난관리장치(130)에 등록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전자명판(100)이 등록된 이후에는 해당 전자명판(100)에 소방재난관리 상태를 점검하고 기록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해당 기록된 데이터는 소방재난관리장치(130)와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동기화란 데이터의 공유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600)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장치간 서로의 장치식별정보를 등록시키기 위한 인증, 페어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증 및 페어링 동작을 통해 서로의 식별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전자명판(100)이 설치되는 건물에서 비상 발생시 전자명판(100)에 저장되어 있는 건물 구조 등의 데이터를 제공받아 신속하게 대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통신 인터페이스부(600)는 통상적으로는 LTE 등의 통신망에 접속하여 전자명판(100)과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지만, 만약 LTE 통신망 등의 불통이 있는 경우에는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전자명판(1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610)는 도 6의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구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600), 소방재난관리부(620) 및 저장부(630)의 전반적인 제어동작을 담당할 수 있다. 주변의 전자명판(100)을 도 1의 소방재난관리장치(130)에 등록시키기 위하여 소방재난관리부(620)를 제어하여 내부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건물의 식별정보로서 건물명을 등록하고, 또 전자명판(100)과의 인증, 페어링 동작 등을 통해 전자명판(100)의 장치식별정보를 건물명과 매칭하여 저장하도록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앱의 실행을 통해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소방재난관리부(620)는 전자명판(100)과 연계하여 특정 건물에서의 비상사태 발생시 구난행위자로부터 사건, 사고의 초기에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소방재난관리부(620)는 전자식 명판 신규 등록시 서버(130')로부터 부여받은 식별번호를 신규등록 메뉴를 통해 입력한다. 입력과 동시에 주요 정보(예: 건물명, 설치일자, 설치건물주소 등)가 가령 디스플레이부(640)에 자동으로 표시될 수 있다. 프리뷰(Preview)를 통해 등록 전을 확인하고 업데이트 버튼을 누른 후 전자식 명판의 NFC 안테나에 접촉한다. 기등록되어 있는 전자식 명판을 업데이트할 경우 관리 메뉴를 통해 수정할 수 있다. 관리 메뉴에서 스마트폰을 전자식 명판의 NFC 안테나에 접촉하면 자동으로 식별번호, 제품명 및 버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각 품목(예: 서버, 스마트폰, 전자식 명판)의 버전정보와 프리뷰를 통해 이상유무 확인 후 업데이트한다. 전자식 명판의 내용에 대한 오류 발생시 수정요청 메뉴를 통해 관리자에 통보하여 수정한다. 건물의 정기점검 이력은 스마트폰의 점검이력관리 메뉴를 통해 관리 및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저장부(630)는 제어부(6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 및 출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저장부(630)는 전자명판(100)으로부터 제공받은 피난안내도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 후 제어부(610)의 요청에 따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40)는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처리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로서, 터치 스크린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소방재난 관리부(620)에서 처리하는 신규등록 메뉴 화면, 관리메뉴 화면, 수정요청 메뉴 화면, 점검이력 관리 메뉴 화면 등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구난행위자가 전자명판(100)으로부터 제공받은 건물 내부 구조와 관련되는 피난안내도 등을 화면에 표시해 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610)는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그리고 연산부는 2진비트정보의 연산동작을,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인터프리터나 컴파일러 등을 포함하여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가령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동작 초기에 소방재난관리부(6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 즉 램(RAM)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명판을 이용한 소방재난관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과정을 부연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자체적인 메모리를 갖는 전자명판(101, 103)을 준비한다. 건물의 내부와 외부에 각각 설치하기 위한 전자명판(101, 103)을 준비한다. 이때 구난행위자(95) 또는 소방재난관리자(97)가 스마트폰 등의 ICT 단말기(110)를 이용해서 전자명판(101, 103)에 소방기관용 서버(131)의 정보나 소방대상시설용 서버(133)의 정보를 전자명판(101, 103)에 기록한다. 여기서, 구난행위자(95)는 경찰관, 구난대원 등을 포함한다. 또한 소방재난관리자(97)는 소방대상시설의 건물주, 관리인 등을 포함한다.
소방대상시설의 내외부에 전자명판(101, 103)을 설치한다. 이때 소방재난관리자(97)는 사전에 구난행위자(95)가 지정한 소방대상시설 내외부에 전자명판(101, 103)을 시설한다.
평상시에 전자명판(101, 103)에 소방안전점검 사항을 기록한다. 평상시에는 구난행위자(95)가 소방재난관리자(97)와 함께 또는 소방재난관리자(97)가 자체적으로 소방안전점검 사항을 전자명판(101, 103)에 저장한다. 이때 별도의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도 있고, 기존에 사용하는 점검양식을 사진으로 촬영하여 업로드할 수도 있다. 이때 소방기관의 DB(131a)에서 필요한 매뉴얼, 절차서 등을 서버와 ICT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LTE 통신으로 전자명판(101, 103)에 업로드할 수 있다. 만일 사전에 ICT 단말기(110)에 매뉴얼, 절차서 등이 저장되어 있다면 LTE 통신이 불통이더라도 ICT 단말기와 전자명판(101, 103) 사이에 NFC와 WIFI를 이용하여 정보를 업로드한다.
또한 평상시에 소방설비현황을 기록하고 점검하여 그 결과를 업로드할 수 있다. 이때 소방대상시설의 DB(133a)에서 필요한 소방설비 내역과 위치 등을 서버와 ICT 단말기(110)를 통해 전자명판(101, 103)에 업로드한다. 여기서, 소방대상시설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소방설비는 소화기, 소화전, 스프링쿨러, 완강기 등을 포함한다.
재난재해가 발생하였을 때(이하, 비상시)에 구난행위자(95)는 소방대상시설에 접근하여 외부에 시설된 전자명판(101)을 찾는다. 보통 이 전자명판(101)은 법으로 정해진 비상출입창문, 비상구, 정문 또는 인근의 옥외 소화전, 경비실 등 평소에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곳이나 눈에 띄기 쉬운 곳에 부착한다.
비상시 구난행위자(95)와 소방재난관리자(97)는 사전에 전자명판(101, 103)의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허가되어 등록되어 있다. 이처럼 허가된 구난행위자(95)와 소방재난관리자(97)는 ICT 단말기를 이용하여 보안절차를 지킨 프로그램 앱을 실행하고 ICT 단말기(110)를 접촉하여 정보를 다운로드한다. 이로써 이전에는 구난행위자(95)가 소방대상시설의 정보와 구조를 파악하는 일이 매우 어려운 일이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난행위자(95)가 소방대상시설의 정보와 구조를 신속하게 확보하여 재난의 초기대응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구난행위자(95)는 다운로드한 소방대상시설의 건물정보와 구조를 ICT 단말기(110)에서 열람하고 구난대상자(98)가 있을 만한 곳을 확인하고 구난계획을 세운다. 여기서 구난대상자(98)는 재해를 당해 고립된 자, 유약자, 환자 등을 포함한다. 구난행위자(95)는 ICT 단말기(110)에 이미 정보를 다운로드받았기 때문에 구난행위를 하면서 어둠 속에서 벽에 부착된 피난계획도를 확인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구난행위자(95)는 곳곳에 설치된 전자명판(101, 103)을 ICT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찾아서, 정보를 다시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구난행위자(95)는 층별 피난계획도와 소방설비위치도를 ICT 단말기(110)에서 열람하고 구난대상자(98)가 예상 피난동선을 확인하고 구난행위를 시작한다.
구난행위자(95)가 구난행위를 시행하면 이를 지원하는 지휘소에서는 소방대상시설의 피난계획서를 열람하고 후속 조치를 취한다.
구난행위자(95)를 지원하는 지휘소나 지원조에서는 소방대상시설의 소방재난관리자와 비상조직에 즉각적인 통신을 개통하기 위해 ICT 단말기(110)에서 다운로드 받은 비상연락망을 검색하여 즉시 통화버튼을 눌러 통화를 연결한다.
도 9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9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주변에 인식되는 전자명판(100)과 통신하여 기저장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근거로 전자명판(100)에 접속하기 위한 인증을 수행한다(S900).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인증 결과 정당 권한자로 판단될 때 전자명판(110)에 저장되어 있는 소방대상시설의 구조 관련 데이터를 수신한다(S910). 물론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내용을 송출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소방대상시설의 비상 발생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1 통신망이 불통일 때 제1 통신망과 다른 이종의 제2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한다(S920). 여기서, 제1 통신망은 기간 통신 서비스 업체에서 운영하는 LTE 등의 통신망이라며, 제2 통신망은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9의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10은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의 다른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주요기능에 대한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0 내지 도 12를 도 1 및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로그인 화면에서 기존에 등록된 사용자는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신규등록 사용자는 신규등록 화면에 정보입력을 통해 로그인을 완료한다(S1000 ~ S1030).
무선설정에서 NFC를 활성화시키고, NFC인식 화면에서 스마트폰(110')을 전자명판(100)에 근접시키면, NFC로 Wi-Fi접속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고, 전자명판(100)의 무선 AP에 스마트폰(110')이 클라이언트로 접속한다(접속이후에 전달되는 정보는 모두 Wi-Fi와 LTE를 이용함)(S1040, S1050). 이의 과정에서 튜토리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튜토리얼은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움직이는 데 필요한 사용 지침 따위의 정보를 알려주는 시스템 또는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접속이후에 로그아웃을 이용하여 사용을 완료한다.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접속 중 상태에서 S1060 단계에서와 같이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명판 관리, 도면 관리, 점검일지 및 설정 메뉴에 접속하여 명판 관리를 통해서는 명판 기본정보 입력이나 관리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점검일지 항목을 통해서는 데이터의 생성, 수정 및 삭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3은 스마트폰앱의 주요 사용 화면을 보여준다. 주요 기능을 살펴보면, 3가지의 구성요소가 있다. 첫째로, 명판관리에서는 신규로 명판을 제작하거나, 기존의 명판을 여러가지 편집툴을 이용하여 수정이 가능할 수 있으며, 템플릿을 이용하여 원하는 사양의 빠른 명판제작을 지원한다. 두 번째로 도면관리에서는 재난시 필요한 피난안내도 및 관련 자료를 가져오기/내보내기 기능을 이용하여 전자명판과 공유하며, 사진촬영을 이용하여 확인후 명판에 저장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마지막으로 점검일지에서는 점검이력을 보고서 형식으로 작성하고 저장하여, 담당자 변경시에도 업무에 이상이 없도록 한다. 앞서 언급한 3가지 주요기능과 관련된 정보들은 서버와 연동하여 저장이 가능하다.
프로토콜 설계 단계에서는 다수의 기능을 구현 및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함수들과 변수를 약속하는 문서를 작성한다. 이후 프로그래밍과 기능검증을 통해 완료된다. DB로 연동될 서버의 위치가 무선단말관리(MDM; Mobile Device Management) 서버의 보호를 받고 있다면, 스마트폰의 보안관리 솔루션의 인증을 받은 후에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스마트폰의 파일관리자앱을 이용하여, 다른 앱의 정보들(예: 3D촬영파일 / GPS정보 관련)을 스마트폰앱이 설치된 파일디렉토리에 이동 및 저장함으로써 전자명판과 공유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소방재난관리가 필요한 모든 소방대상시설에 이용할 수 있다. 관공서를 비롯하여, 학교, 병원, 요양원, 문화공연시설, 경기장, 아파트, 빌딩, 역, 지하쇼핑몰, 발전소, 변전소, 국가중요시설, 다중이용위생시설 등에 우선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응용하여 호텔에 사용하게 되면 호텔에 투숙한 다국적 고객에게 다국어 서비스로 호텔의 피난안내도를 비롯한 재난발생시 행동요령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건설 중인 소방대상시설물의 안전관리와 피난계획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주유소, 화학공장, 위험물취급소, 저유소, 가스취급소 등 특정소방대상물의 소방재난관리에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구난행위자와 소방재난관리자가 최신 정보를 취득하고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활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긴급 상황 발생시 발광을 통해 전자명판(100)의 위치를 통지할 수 있다. 이는 센서를 통해 화재 등을 감지하여 이의 감지신호를 통해 전자명판(100)이 발광 동작을 수행할 수 있지만, 도 1의 소방재난관리장치(130)의 제어명령에 의해 전자명판(100)이 발광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물론 발광을 위해서는 전자명판(100)이 별도로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재를 감지한 전자명판(100)이 전원이 오프되기 전에 건물 내 또는 건물 외에 배치된 다른 전자명판(100)에게도 발광을 지시하여 발광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나의 건물 내에 설치되는 전자명판(100)이 그룹으로 동작하고, 사물인터넷 통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동작할 수 있는 것이므로,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명판(100)이 근거리 통신을 통해 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긴급 상황이 발생된 지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구조행위자가 건물 설계도와 함께 해당 지역에 대한 정보를 함께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하여 전자명판(100)는 GPS와 통신하여 자신의 위치를 측위하기 위한 GPS 모듈을 포함하거나, 주변의 장치들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삼각 측량 등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계산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또는 건물명이나 주소정보의 형태로 위치정보를 처리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101, 103: 전자명판 110: 사용자 단말장치
120: 통신망 130: 소방재난관리장치
400: 후면 케이스 401: 배터리
402: 회로기판 403: NFC 안테나
410: 정면 케이스 415: 전자종이
420: 윈도우 600: 통신 인터페이스부
610: 제어부 620: 소방재난관리부
630: 저장부
120: 통신망 130: 소방재난관리장치
400: 후면 케이스 401: 배터리
402: 회로기판 403: NFC 안테나
410: 정면 케이스 415: 전자종이
420: 윈도우 600: 통신 인터페이스부
610: 제어부 620: 소방재난관리부
630: 저장부
Claims (7)
- 소방대상시설의 내부 구조 및 소방안전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에 접속 가능한 구난 행위자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전자명판; 및
상기 소방대상시설의 비상 상황 발생시, 상기 전자명판과 통신하여 상기 저장한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정당 권한자 여부를 인증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전자명판으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명판은,
정면 케이스의 일측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구성하는 전자종이(EPD); 및
상기 전자종이를 덮는 윈도우;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명판이 상기 소방대상시설의 층마다 구비될 때,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현재 위치하는 층의 상기 전자명판으로부터 층별 피난계획도 및 소방설비위치도를 상기 데이터로서 수신하는 전자명판을 이용한 소방재난관리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명판은,
상기 소방대상시설의 내부 구조 관련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소방대상시설의 외부에 설치되는 제1 전자명판; 및
상기 소방대상시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소방안전 관련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제2 전자명판;를 포함하며,
상기 소방재난관리시스템은,
상기 제1 전자명판 및 상기 제2 전자명판에 각각 저장되는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소방재난관리장치;를 더 포함하는 전자명판을 이용한 소방재난관리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이종의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전자명판에 접속하며, 상기 비상 상황 발생시 제1 통신망의 접속이 불가할 때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전자명판과 통신하는 전자명판을 이용한 소방재난관리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상기 제1 통신망으로서 기간망 서비스 업체의 기간 통신망을 이용하며, 상기 제2 통신망으로서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전자명판을 이용한 소방재난관리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명판은 상기 소방대상시설의 관리를 위한 데이터 처리 동작이 없을 때 배터리의 전원 절약을 위한 전원절약모드로 동작하는 전자명판을 이용한 소방재난관리시스템. - 전자명판이, 소방대상시설의 내부 구조 및 소방안전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에 접속 가능한 구난 행위자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장치가, 상기 소방대상시설의 비상 상황 발생시, 상기 전자명판과 통신하여 상기 저장한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정당 권한자 여부를 인증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전자명판으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명판은,
정면 케이스의 일측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구성하는 전자종이(EPD); 및
상기 전자종이를 덮는 윈도우;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명판이 상기 소방대상시설의 층마다 구비될 때,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현재 위치하는 층의 상기 전자명판으로부터 층별 피난계획도 및 소방설비위치도를 상기 데이터로서 수신하는 는 전자명판을 이용한 소방재난관리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4206A KR102512861B1 (ko) | 2020-12-14 | 2020-12-14 | 전자명판을 이용한 소방재난관리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4206A KR102512861B1 (ko) | 2020-12-14 | 2020-12-14 | 전자명판을 이용한 소방재난관리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84589A KR20220084589A (ko) | 2022-06-21 |
KR102512861B1 true KR102512861B1 (ko) | 2023-03-22 |
Family
ID=82221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74206A KR102512861B1 (ko) | 2020-12-14 | 2020-12-14 | 전자명판을 이용한 소방재난관리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12861B1 (ko)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5997B1 (ko) | 2001-12-21 | 2004-08-25 | 주식회사 성인전자 | 세탁기용 트랜스미션 |
KR100968229B1 (ko) * | 2008-02-28 | 2010-07-06 | (주)도울정보기술 |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led와 lcd 혼합형 전자게시판 및 인증 방법 |
KR101611932B1 (ko) | 2013-03-25 | 2016-04-27 | 주식회사 휴먼인텍 | 네임 플레이트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KR101389744B1 (ko) | 2013-09-24 | 2014-04-28 | 주식회사 윤성지엠텍 | Nfc와 ar 마커를 이용한 정보안내장치 |
KR101483393B1 (ko) | 2014-05-26 | 2015-01-16 | 박광석 | 무선 통신 태그 커넥터를 이용한 시설물 유지 관리 및 사회 안전망 구축 시스템 |
KR101587491B1 (ko) | 2014-12-30 | 2016-01-21 | 한국중부발전(주) | 발전소설비의 안전정비시스템 |
KR102478783B1 (ko) | 2015-12-02 | 2022-12-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탐색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KR102030812B1 (ko) * | 2017-11-02 | 2019-10-10 | 지앨에스 주식회사 | 초고속 대용량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화재 대응 시스템 및 방법 |
KR102090872B1 (ko) * | 2018-08-23 | 2020-03-18 | 진영배 | 기능성 소방안전관리 알림표지판 |
-
2020
- 2020-12-14 KR KR1020200174206A patent/KR102512861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84589A (ko) | 2022-06-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570607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nd activating emergency response assets | |
US10796396B2 (en) | Emergency response augmented reality-based notification | |
US9466199B2 (en) | Responder-ready reporting network | |
US9536407B2 (en) | Emergency monitoring of tagged objects | |
US9247408B2 (en) | Interactive emergency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 |
US20220014895A1 (en) | Spatiotemporal analysis for emergency response | |
US20160047663A1 (en) | Evacuation navigation device | |
CN103558827B (zh) | 矿山应急指挥通信和管理信息系统 | |
CN113543031A (zh) | 具有相关范围的信标广播的系统和方法 | |
CN110114794A (zh) | 事故指挥系统中的针对第一响应者的智能调试 | |
JP6889965B1 (ja) |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US20230351531A1 (en) | Safety management and building operational assessment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occupancy buildings | |
KR20180138484A (ko) | 소방설비 안전점검 시스템 | |
US11172535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nel accountability and tracking during public safety incidents | |
CN110832409A (zh) | 楼宇管理系统以及楼宇管理装置 | |
KR102512861B1 (ko) | 전자명판을 이용한 소방재난관리시스템 및 방법 | |
US11659069B2 (en) | Node/network aggregation gateway device | |
KR102387637B1 (ko) | 소방활동지원 시스템 및 소방활동지원 방법 | |
US11330095B2 (en) | Emergency kit | |
KR102113419B1 (ko) | 영상통화 자동전환을 이용한 재난 신고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1892963B1 (ko) | 전자 장치를 이용한 순찰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
US20220335810A1 (en) |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one or more users in an emergency | |
TW202011361A (zh) | 消防資訊整合系統 | |
US20240203233A1 (en) | Alarm system detector geofencing | |
US11153734B2 (en) | Land mobile radios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