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503136B1 - 유체압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압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136B1
KR102503136B1 KR1020207011775A KR20207011775A KR102503136B1 KR 102503136 B1 KR102503136 B1 KR 102503136B1 KR 1020207011775 A KR1020207011775 A KR 1020207011775A KR 20207011775 A KR20207011775 A KR 20207011775A KR 102503136 B1 KR102503136 B1 KR 102503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neutral
circuit system
pump
ma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1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1372A (ko
Inventor
도시유키 기타니
노부요시 요시다
Original Assignee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61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13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16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1/17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using two or more p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02F9/2239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two or more pumps with cross-assis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71Actuators and supports therefor and protection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82Systems using center bypass type changeover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92Systems with two or mor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32Modular valves
    • F15B13/0839Stacked plate typ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15B2211/20507Type of prime mover
    • F15B2211/20523Internal combustion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15B2211/2053Type of pump
    • F15B2211/20538Type of pump constant capa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15B2211/2053Type of pump
    • F15B2211/20546Type of pump variable capa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15B2211/20576Systems with pumps with multipl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30Directional control
    • F15B2211/305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valves
    • F15B2211/3056Assemblies of multiple valves
    • F15B2211/3059Assemblies of multiple valves having multiple valves for multiple output members
    • F15B2211/30595Assemblies of multiple valves having multiple valves for multiple output members with additional valves between the groups of valves for multiple output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30Directional control
    • F15B2211/31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s of the valve element
    • F15B2211/3105Neutral or centre pos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30Directional control
    • F15B2211/31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s of the valve element
    • F15B2211/3105Neutral or centre positions
    • F15B2211/3111Neutral or centre positions the pump port being closed in the centre position, e.g. so-called closed cent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30Directional control
    • F15B2211/31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s of the valve element
    • F15B2211/3105Neutral or centre positions
    • F15B2211/3116Neutral or centre positions the pump port being open in the centre position, e.g. so-called open cent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30Directional control
    • F15B2211/315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s of the valve or valves in the circuit
    • F15B2211/31523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s of the valve or valves in the circuit being connected to a pressure source and an output member
    • F15B2211/31535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s of the valve or valves in the circuit being connected to a pressure source and an output member having multiple pressure sources and a single output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30Directional control
    • F15B2211/315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s of the valve or valves in the circuit
    • F15B2211/3157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s of the valve or valves in the circuit being connected to a pressure source, an output member and a return line
    • F15B2211/31582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s of the valve or valves in the circuit being connected to a pressure source, an output member and a return line having multiple pressure sources and a single output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30Directional control
    • F15B2211/32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ion
    • F15B2211/329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ion actuated by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40Flow control
    • F15B2211/42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ion
    • F15B2211/428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ion actuated by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40Flow control
    • F15B2211/45Control of bleed-off flow, e.g. control of bypass flow to the return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50Pressure control
    • F15B2211/505Press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essure control means
    • F15B2211/50509Press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essure control means the pressure control means controlling a pressure upstream of the pressure control means
    • F15B2211/50518Press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essure control means the pressure control means controlling a pressure upstream of the pressure control means using 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1Multiple output members, e.g. multiple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 F15B2211/7135Combinations of output members of different types, e.g. single-acting cylinders with rotary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1Multiple output members, e.g. multiple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 F15B2211/7142Multiple output members, e.g. multiple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the output members being arranged in multiple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유체압 제어 장치(100)에 있어서의 주회로 계통(HC1)은, 제1 중립 통로(11)와 탱크(T)를 연통 또는 차단하는 중립 커트 밸브(110)와, 제1 중립 통로(11)에 있어서의 제1 제어 밸브(12)의 하류이며 또한 중립 커트 밸브(110)의 상류에 연통하여, 작동 유체를 외부로 공급 가능한 제1 외부 출력 통로(14)와, 중립 커트 밸브(110)를 통해 공급되는 작동 유체를 외부로 공급 가능한 제2 외부 출력 통로(15)를 갖고, 중립 커트 밸브(110)는, 작동 유체가 탱크(T)로 유도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위치(P1)와, 작동 유체가 제2 외부 출력 통로(15)를 통해 외부로 공급되는 것을 금지하는 제2 위치(P2)와, 작동 유체가 제2 외부 출력 통로(15)를 통해 외부로 공급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3 위치(P3) 사이에서 전환된다.

Description

유체압 제어 장치
본 발명은, 유체압 제어 장치에 관한다.
JP2016-204826A에는, 제1 펌프에 접속된 복수의 제어 밸브를 갖는 제1 회로 계통과, 제2 펌프에 접속된 복수의 제어 밸브를 갖는 제2 회로 계통를 구비한 유체압 제어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JP2016-204826A에 기재된 유체압 제어 장치에서는, 제1 중립 통로와 탱크의 접속을 연통 또는 차단하는 중립 커트 밸브와, 중립 커트 밸브의 상류에 연통하여, 제1 펌프로부터 토출된 작동 유체를 외부로 공급 가능한 외부 출력 통로가 마련되고, 제1 회로 계통으로부터 외부 출력 통로를 통해 작동 유체를 외부로 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JP2016-204826A에 기재된 유체압 제어 장치는, 외부 출력 통로를 통해 제1 회로 계통과는 다른 회로 계통에 작동 유체를 빼내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제1 회로 계통에는, 외부 출력 통로가 하나밖에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JP2016-204826A에 기재된 유체압 제어 장치에서는, 외부 출력 통로에 접속되는 회로 계통과는 다른 회로 계통을 추가하여 제1 회로 계통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회로 계통의 증설의 자유도가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회로 계통의 증설의 자유도가 높은 유체압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작동 유체에 의해 구동되는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유체압 제어 장치이며, 상기 펌프에 접속되어 메인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주제어 밸브를 갖는 주회로 계통을 구비하고, 상기 주회로 계통은, 상기 주제어 밸브가 중립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펌프의 작동 유체를 탱크로 환류시키는 주중립 통로와, 상기 주중립 통로에 있어서의 상기 주제어 밸브의 하류에 마련되어, 상기 주중립 통로와 상기 탱크를 연통 또는 차단하는 중립 커트 밸브와, 상기 주중립 통로에 있어서의 상기 주제어 밸브의 하류이며, 또한 상기 중립 커트 밸브의 상류에 연통하여, 상기 펌프로부터 토출된 작동 유체를 외부로 공급 가능한 제1 외부 출력 통로와, 상기 펌프로부터 토출되어, 상기 중립 커트 밸브를 통해 유도되는 작동 유체를 외부로 공급 가능한 제2 외부 출력 통로를 갖고, 상기 중립 커트 밸브는, 상기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작동 유체가 상기 탱크로 유도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위치와, 상기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작동 유체가 상기 제2 외부 출력 통로를 통해 외부로 공급되는 것을 금지하고, 또한 상기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작동 유체가 상기 탱크로 유도되는 것을 금지하는 제2 위치와, 상기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작동 유체가 상기 제2 외부 출력 통로를 통해 외부로 공급되는 것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작동 유체가 상기 탱크로 유도되는 것을 금지하는 제3 위치 사이에서 전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유체압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2는 메인 밸브 블록 및 서브 밸브 블록의 간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유체압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유체압 제어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체압 제어 장치(100)는, 예를 들어 파워셔블 등의 작업기에 사용된다. 여기서는, 작업기가 파워셔블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유체압 제어 장치(100)는, 휠 로더 등의 다른 작업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유체압 제어 장치(100)에서는, 작동 유체로서 작동유가 사용되지만, 작동수 등의 다른 유체를 작동 유체로서 사용해도 된다.
도시하지 않지만, 파워셔블은, 크롤러식의 주행부와, 주행부의 상부에 선회 가능하게 마련되는 선회부와, 선회부에 마련되는 굴삭부를 구비한다. 주행부는, 좌우 한 쌍의 크롤러를 갖는다. 주행부의 좌우 한 쌍의 크롤러가 구동됨으로써, 파워셔블이 주행된다. 굴삭부는, 선회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붐과, 붐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암과, 암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킷을 구비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워셔블은, 엔진(도시하지 않음)과,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작동유를 토출하는 유체압 펌프로서의 제1 펌프(10) 및 제2 펌프(20)와, 제1 펌프(10) 및 제2 펌프(2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에 의해, 주행부, 선회부, 굴삭부 등을 구동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유체압 제어 장치(100)와, 유체압 제어 장치(100)로부터 작동유가 환류되는 탱크(T)를 구비한다.
유체압 제어 장치(100)는, 제1 펌프(10) 및 제2 펌프(2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의 액추에이터를 제어한다. 복수의 액추에이터로서는, 예를 들어 주행부 구동용 유압 모터(7A, 8A), 선회부 구동용 유압 모터(도시하지 않음), 붐 구동용 유압 실린더(도시하지 않음), 암 구동용 유압 실린더(도시하지 않음), 버킷 구동용 유압 실린더(7B), 예비 어태치먼트 구동용 유압 실린더(8B), 추가 어태치먼트 구동용 유압 실린더(9A) 등이 있다.
또한, 예비 어태치먼트 및 추가 어태치먼트로서는, 예를 들어 버킷 대신에 설치되는 브레이커 및 크러셔, 붐을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오프셋 장치, 그리고 선회부에 설치되는 도저 블레이드 등이 있다.
유체압 제어 장치(100)는, 제1 펌프(10)에 접속되어 제1 펌프(10)로부터 작동유가 공급되는 제1 회로 계통(HC1)과, 제2 펌프(20)에 접속되어 제2 펌프(20)로부터 작동유가 공급되는 제2 회로 계통(HC2)과, 제1 회로 계통(HC1)에 접속되어 후술하는 중립 커트 밸브(110)를 통해 제1 펌프(10)로부터 작동유가 공급되는 제3 회로 계통(HC3)을 구비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행 직진용 제어 밸브(6)가 전환됨으로써, 제1 펌프(1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는, 제2 회로 계통(HC2)으로도 공급되고, 제2 펌프(2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는, 제1 회로 계통(HC1) 및 제3 회로 계통(HC3)으로도 공급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압 제어 장치(100)는, 주회로 계통으로서의 제1 회로 계통(HC1) 및 제2 회로 계통(HC2)을 갖는 메인 밸브 블록(101)과, 부회로 계통으로서의 제3 회로 계통(HC3)을 갖는 서브 밸브 블록(103)을 구비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밸브 블록(103)은, 복수의 볼트(105)를 사용하여, 메인 밸브 블록(101)에 설치 가능하다. 또한, 메인 밸브 블록(101)은, 복수의 밸브 블록을 적층하여, 체결함으로써 형성해도 되고, 하나의 밸브 블록으로 형성해도 된다.
메인 밸브 블록(101)에는, 외면에 개구되고, 볼트(105)가 설치되는 볼트 설치 구멍(115)이 형성된다. 메인 밸브 블록(101)의 상면에 서브 밸브 블록(103)을 적재하여, 볼트(105)의 축부를 서브 밸브 블록(103)의 볼트 삽입 관통 구멍(135)에 통과시키고, 볼트(105)의 축부의 선단부를 볼트 설치 구멍(115)에 나사 장착함으로써, 서브 밸브 블록(103)이 메인 밸브 블록(101)에 고정된다.
서브 밸브 블록(103)은, 추가 어태치먼트 구동용 유압 실린더(9A)를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다. 종래, 추가 어태치먼트 구동용 유압 실린더(9A)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서브 밸브 블록(103)을 메인 밸브 블록(101)과는 별도 설치로 하여, 제3 회로 계통(HC3)을 제1 펌프(10) 및 제2 펌프(20)와는 다른 새로운 유압 펌프에 접속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메인 밸브 블록(101) 상에 서브 밸브 블록(103)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유체압 제어 장치(100)의 설치 면적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 밸브 블록(101)과 서브 밸브 블록(103) 사이에 배관을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유체압 제어 장치(100)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브 밸브 블록(103)에는, 메인 밸브 블록(101)을 통해 제1 펌프(10)의 작동유가 공급되기 때문에, 새로운 유압 펌프를 서브 밸브 블록(103)에 접속할 필요도 없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새로운 유압 펌프를 접속한 서브 밸브 블록(103)을 메인 밸브 블록(101)과는 별도 설치로 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 개수 및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로 계통(HC1)은, 제1 펌프(1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를 탱크(T)로 유도하는 주중립 통로로서의 제1 중립 통로(11)와, 제1 중립 통로(11)에 직렬로 접속되는 복수의 주제어 밸브로서의 제1 제어 밸브(12)와, 후술하는 주행 직진용 제어 밸브(6)보다 상류의 제1 중립 통로(11)로부터 분기되는 제1 패럴렐 통로(13)와, 탱크(T)에 접속되는 배출 통로(19)를 구비한다. 복수의 제1 제어 밸브(12)는, 제1 중립 통로(11)에 의해 직렬로 접속되고, 제1 패럴렐 통로(13)에 의해 병렬로 접속된다.
제1 회로 계통(HC1)에 마련되는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주제어 밸브인 제1 제어 밸브(12)에는, 제1 주행용 제어 밸브(12A), 버킷용 제어 밸브(12B), 붐 1속용 제어 밸브(12C) 및 암 2속용 제어 밸브(12D)가 포함된다. 제1 펌프(1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는,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주행용 제어 밸브(12A), 버킷용 제어 밸브(12B), 붐 1속용 제어 밸브(12C) 및 암 2속용 제어 밸브(12D)로 유도된다.
제1 주행용 제어 밸브(12A)는, 파워셔블의 차체의 좌측에 마련되는 주행부 구동용 유압 모터(7A)로의 작동유의 급배를 제어한다. 버킷용 제어 밸브(12B)는, 버킷 구동용 유압 실린더(7B)로의 작동유의 급배를 제어한다. 붐 1속용 제어 밸브(12C)는, 붐 구동용 유압 실린더(도시하지 않음)로의 작동유의 급배를 제어한다. 암 2속용 제어 밸브(12D)는, 암 구동용 유압 실린더(도시하지 않음)로의 작동유의 급배를 제어한다. 또한, 제1 제어 밸브(12)에 의해 제어되는 메인 액추에이터(유압 모터(7A), 유압 실린더(7B) 등)는, 총칭하여 제1 액추에이터(7)라고도 기재한다.
이와 같이, 제1 회로 계통(HC1)은, 제1 펌프(10)에 접속되어 복수의 제1 액추에이터(7)를 제어하는 복수의 제1 제어 밸브(12)를 갖는다. 배출 통로(19)는, 제1 액추에이터(7)로부터 제1 제어 밸브(12)를 통해 배출되는 작동유를 탱크(T)로 유도한다.
제1 회로 계통(HC1)에서는, 후술하는 주행 직진용 제어 밸브(6)가 통상 위치(A)에 있고, 또한 후술하는 중립 커트 밸브(110)가 제1 위치(P1)에 있는 경우이며, 모든 제1 제어 밸브(12)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1 펌프(1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는 제1 중립 통로(11)를 통해 탱크(T)로 환류된다. 이에 비해, 복수의 제1 제어 밸브(12)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1 중립 통로(11)에 있어서의 제1 펌프(10)와 탱크(T)의 연통이 차단된다.
또한, 제1 회로 계통(HC1)에서는, 제1 제어 밸브(12A 내지 12C)의 어느 것이 구동 위치로 전환되고 제1 중립 통로(11)에 있어서의 제1 펌프(10)와 탱크(T)의 연통이 차단된 경우라도, 제1 펌프(1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를, 제1 패럴렐 통로(13)를 통해 각 제1 제어 밸브(12B 내지 12D)로 공급할 수 있다.
제1 회로 계통(HC1)은, 제1 중립 통로(11)에 있어서의 모든 제1 제어 밸브(12)의 하류(즉, 암 2속용 제어 밸브(12D)의 하류)에 마련되어, 제1 중립 통로(11)와 탱크(T)를 연통 또는 차단하는 중립 커트 밸브(110)와, 제1 중립 통로(11)에 있어서의 모든 제1 제어 밸브(12)의 하류(즉, 암 2속용 제어 밸브(12D)의 하류)이며, 또한 중립 커트 밸브(110)의 상류에 연통하여, 제1 펌프(1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를 외부로 공급 가능한 제1 외부 출력 통로(14)와, 제1 펌프(10)로부터 토출되어, 중립 커트 밸브(110)를 통해 유도되는 작동유를 외부로 공급 가능한 제2 외부 출력 통로(15)를 더 구비한다.
제1 외부 출력 통로(14)는, 메인 밸브 블록(101)의 외면에 개구되는 제1 외부 출력 포트(14o)에 접속된다. 제2 외부 출력 통로(15)는, 메인 밸브 블록(101)의 외면에 개구되는 제2 외부 출력 포트(15o)에 접속된다. 제1 패럴렐 통로(13)는, 메인 밸브 블록(101)의 외면에 개구되는 출력 포트(13o)에 접속된다.
제1 회로 계통(HC1)은, 작동유를 탱크(T)로 유도하는 배출 통로(19)로부터 분기하는 분기 통로(191, 192)를 더 구비한다. 분기 통로(191, 192)는, 각각 메인 밸브 블록(101)의 외면에 개구되는 도입 포트(191i, 192i)에 접속된다.
중립 커트 밸브(110)는, 제1 파일럿압실(116a) 및 제2 파일럿압실(116b)에 공급되는 파일럿압에 따라, 제1 위치(P1)와 제2 위치(P2)와 제3 위치(P3) 사이에서 스풀이 전환되는 파일럿식 전환 밸브이다. 제1 파일럿압실(116a) 및 제2 파일럿압실(116b)에 작용하는 파일럿압은, 예를 들어 파워셔블의 동작 상태, 중립 커트 밸브(110)를 조작하기 위한 전용의 조작 부재(도시하지 않음)의 조작 위치 등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중립 커트 밸브(110)는, 제1 파일럿압실(116a) 및 제2 파일럿압실(116b)의 각각에 파일럿압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 센터링 스프링(117)의 가압력에 의해 제1 위치(P1)에 보유 지지된다.
중립 커트 밸브(110)는, 제1 중립 통로(11)에 있어서의 암 2속용 제어 밸브(12D)의 하류에 연통하는 제1 입구 포트(111) 및 제2 입구 포트(112)와, 배출 통로(19)에 연통하는 탱크 포트(119)와, 제2 외부 출력 통로(15)에 연통하는 출구 포트(113)를 갖는다.
중립 커트 밸브(110)가 제1 위치(P1)에 있는 경우, 제1 입구 포트(111)와 탱크 포트(119)가 연통되고, 또한 제2 입구 포트(112)와 출구 포트(113)의 연통이 차단된다. 제1 입구 포트(111)와 탱크 포트(119)가 연통하기 때문에, 제1 중립 통로(11)로 유도되는 작동유는, 중립 커트 밸브(110)를 통해 배출 통로(19)로 유도된다.
즉, 중립 커트 밸브(110)는, 제1 위치(P1)에 있는 경우, 제1 펌프(1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가 제2 외부 출력 통로(15)를 통해 메인 밸브 블록(101)의 외부로 공급되는 것을 금지하고, 또한 제1 펌프(1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가 배출 통로(19)를 통해 탱크(T)로 유도되는 것을 허용한다.
중립 커트 밸브(110)가 제2 위치(P2)에 있는 경우, 제1 입구 포트(111)와 탱크 포트(119)의 연통이 차단되고, 또한 제2 입구 포트(112)와 출구 포트(113)의 연통이 차단된다.
즉, 중립 커트 밸브(110)는, 제2 위치(P2)에 있는 경우, 제1 펌프(1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가 제2 외부 출력 통로(15)를 통해 메인 밸브 블록(101)의 외부로 공급되는 것을 금지하고, 또한 제1 펌프(1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가 배출 통로(19)를 통해 탱크(T)로 유도되는 것을 금지한다.
중립 커트 밸브(110)가 제3 위치(P3)에 있는 경우, 제1 입구 포트(111)와 탱크 포트(119)의 연통이 차단되고, 또한 제2 입구 포트(112)와 출구 포트(113)가 연통된다. 제2 입구 포트(112)와 출구 포트(113)가 연통되기 때문에, 제1 중립 통로(11)로 유도되는 작동유는, 중립 커트 밸브(110)를 통해 제2 외부 출력 통로(15)로 유도된다.
즉, 중립 커트 밸브(110)는, 제3 위치(P3)에 있는 경우, 제1 펌프(1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가 제2 외부 출력 통로(15)를 통해 메인 밸브 블록(101)의 외부로 공급되는 것을 허용하고, 또한 제1 펌프(1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가 배출 통로(19)를 통해 탱크(T)로 유도되는 것을 금지한다.
이와 같이, 제1 위치(P1)는, 제1 중립 통로(11)와 탱크(T)를 연통하는 위치이고, 제2 위치(P2) 및 제3 위치(P3)는, 제1 중립 통로(11)와 탱크(T)의 연통을 차단하는 위치이다. 또한, 제3 위치(P3)는, 제1 중립 통로(11)와 후술하는 제3 회로 계통(HC3)의 제3 중립 통로(31)를 연통하는 위치이고, 제1 위치(P1) 및 제2 위치(P2)는, 제1 중립 통로(11)와 제3 중립 통로(31)의 연통을 차단하는 위치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메인 밸브 블록(101)에 서브 밸브 블록(103)을 설치함으로써, 제1 펌프(1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를 제1 회로 계통(HC1)을 통해 제3 회로 계통(HC3)으로도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서브 밸브 블록(103)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메인 밸브 블록(101)의 외면에 개구되는 각 포트(13o, 15o, 191i, 192i)는, 플러그에 의해 폐지된다. 서브 밸브 블록(103)이 설치되는 경우, 메인 밸브 블록(101)의 외면에 개구되는 각 포트(13o, 15o, 191i, 192i)는, 서브 밸브 블록(103)의 외면에 개구되는 각 포트(33i, 31i, 38o, 39o)에 접속된다.
제3 회로 계통(HC3)은, 제1 회로 계통(HC1)의 중립 커트 밸브(110) 및 제2 외부 출력 통로(15)를 통해 유도되는 작동유를 탱크(T)로 유도하는 제3 중립 통로(31)와, 제3 중립 통로(31)에 접속되어 서브 액추에이터로서의 제3 액추에이터(9)를 제어하는 부제어 밸브로서의 제3 제어 밸브(32)와, 제1 회로 계통(HC1)의 제1 패럴렐 통로(13)를 통해 유도되는 작동유를 제3 제어 밸브(32)로 유도하는 제3 패럴렐 통로(33)와, 제1 회로 계통(HC1)의 배출 통로(19)에 연통하는 배출 통로(38, 39)를 구비한다. 제3 중립 통로(31)는, 제1 회로 계통(HC1)의 제2 외부 출력 통로(15)에 접속되어, 제1 회로 계통(HC1)을 통해 작동유가 유도되는 제2 외부 입력 통로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1 회로 계통(HC1)에 제3 회로 계통(HC3)이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회로 계통에서는, 제1 중립 통로(11), 제2 외부 출력 통로(15) 및 제3 중립 통로(31)가, 제1 펌프(1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를 탱크(T)로 환류시키는 중립 통로로서 기능한다. 즉, 제1 회로 계통(HC1)에 제3 회로 계통(HC3)이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회로 계통에서는, 복수의 제1 제어 밸브(12) 및 제3 제어 밸브(32)가, 중립 통로로서의 제1 중립 통로(11), 제2 외부 출력 통로(15) 및 제3 중립 통로(31)에 의해 직렬로 접속되고, 제1 패럴렐 통로(13) 및 제3 패럴렐 통로(33)에 의해 병렬로 접속된다.
제3 제어 밸브(32)는, 파일럿압실에 작용하는 파일럿압에 따라, 추가 어태치먼트를 구동하는 제3 액추에이터(9)로서의 유압 실린더(9A)로의 작동유의 급배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제3 회로 계통(HC3)은, 제1 펌프(10)로부터 토출되고, 메인 밸브 블록(101)을 통해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제3 액추에이터(9)를 제어하는 제3 제어 밸브(32)를 갖는다. 또한, 제3 제어 밸브(32)는, 중립 위치에 있을 때에 제3 중립 통로(31)와 배출 통로(39)를 연통하여, 제3 중립 통로(31)로 유도되는 작동유를 탱크(T)로 유도하는 오픈 센터 타입의 제어 밸브이다.
제3 중립 통로(31)는 서브 밸브 블록(103)의 외면에 개구되는 외부 입력 포트(31i)에 접속된다. 서브 밸브 블록(103)의 외부 입력 포트(31i)는, 메인 밸브 블록(101)의 제2 외부 출력 포트(15o)에 접속된다.
제3 패럴렐 통로(33)는, 서브 밸브 블록(103)의 외면에 개구되는 입력 포트(33i)에 접속된다. 서브 밸브 블록(103)의 입력 포트(33i)는, 메인 밸브 블록(101)의 출력 포트(13o)에 접속된다.
유압 실린더(9A)로부터 제3 제어 밸브(32)를 통해 작동유가 유도되는 배출 통로(38)는, 서브 밸브 블록(103)의 외면에 개구되는 도출 포트(38o)에 접속된다. 서브 밸브 블록(103)의 도출 포트(38o)는, 메인 밸브 블록(101)의 도입 포트(191i)에 접속된다.
제3 중립 통로(31)로부터 제3 제어 밸브(32)를 통해 작동유가 유도되는 배출 통로(39)는, 서브 밸브 블록(103)의 외면에 개구되는 도출 포트(39o)에 접속된다. 서브 밸브 블록(103)의 도출 포트(39o)는, 메인 밸브 블록(101)의 도입 포트(192i)에 접속된다.
제3 회로 계통(HC3)에서는, 제3 제어 밸브(32)가 중립 위치에 있는 경우, 제1 회로 계통(HC1)으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는, 제3 중립 통로(31) 및 배출 통로(39)를 통해 탱크(T)로 환류된다.
제2 회로 계통(HC2)은, 제2 펌프(2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를 탱크(T)로 유도하는 주중립 통로로서의 제2 중립 통로(21)와, 제2 중립 통로(21)에 직렬로 접속되는 복수의 주제어 밸브로서의 제2 제어 밸브(22)와, 제2 제어 밸브(22)보다 상류의 제2 중립 통로(21)로부터 분기되는 제2 패럴렐 통로(23)와, 탱크(T)에 접속되는 배출 통로(19)를 구비한다. 복수의 제2 제어 밸브(22)는, 제2 중립 통로(21)에 의해 직렬로 접속되고, 제2 패럴렐 통로(23)에 의해 병렬로 접속된다.
제2 회로 계통(HC2)에 마련되는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주제어 밸브인 제2 제어 밸브(22)에는, 제2 주행용 제어 밸브(22A), 예비용 제어 밸브(22B), 선회용 제어 밸브(22C), 붐 2속용 제어 밸브(22D) 및 암 1속용 제어 밸브(22E)가 포함된다. 제2 펌프(2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는,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2 주행용 제어 밸브(22A), 예비용 제어 밸브(22B), 선회용 제어 밸브(22C), 붐 2속용 제어 밸브(22D) 및 암 1속용 제어 밸브(22E)로 유도된다.
제2 주행용 제어 밸브(22A)는, 파워셔블의 차체의 우측에 마련되는 주행부 구동용 유압 모터(8A)로의 작동유의 급배를 제어한다. 예비용 제어 밸브(22B)는, 예비 어태치먼트 구동용 유압 실린더(8B)로의 작동유의 급배를 제어한다. 선회용 제어 밸브(22C)는, 선회부 구동용 유압 모터(도시하지 않음)로의 작동유의 급배를 제어한다. 붐 2속용 제어 밸브(22D)는, 붐 구동용 유압 실린더(도시하지 않음)로의 작동유의 급배를 제어한다. 암 1속용 제어 밸브(22E)는, 암 구동용 유압 실린더(도시하지 않음)로의 작동유의 급배를 제어한다. 또한, 제2 제어 밸브(22)에 의해 제어되는 메인 액추에이터(유압 모터(8A), 유압 실린더(8B) 등)는, 총칭하여 제2 액추에이터(8)라고도 기재한다.
이와 같이, 제2 회로 계통(HC2)은, 제2 펌프(20)에 접속되어 복수의 제2 액추에이터(8)를 제어하는 복수의 제2 제어 밸브(22)를 갖는다. 배출 통로(19)는, 제2 액추에이터(8)로부터 제2 제어 밸브(22)를 통해 배출되는 작동유를 탱크(T)로 유도한다. 또한, 배출 통로(19)는, 제1 회로 계통(HC1) 및 제2 회로 계통(HC2)의 작동유를 탱크(T)로 유도하는 통로로서 공통으로 사용된다.
제2 회로 계통(HC2)에서는, 모든 제2 제어 밸브(22)가 중립 위치에 있는 경우, 제2 펌프(2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는 제2 중립 통로(21)를 통해 탱크(T)로 환류된다. 이에 비해, 복수의 제2 제어 밸브(22)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2 중립 통로(21)에 있어서의 제2 펌프(20)와 탱크(T)의 연통이 차단된다.
또한, 제2 회로 계통(HC2)에서는, 제2 제어 밸브(22A 내지 22D)의 어느 것이 구동 위치로 전환되어 제2 중립 통로(21)에 있어서의 제2 펌프(20)와 탱크(T)의 연통이 차단된 경우라도, 제2 펌프(2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를, 제2 패럴렐 통로(23)를 통해 각 제2 제어 밸브(22B 내지 22E)로 공급할 수 있다.
제2 회로 계통(HC2)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를 소정의 제2 제어 밸브(22)(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비용 제어 밸브(22B))의 상류로 유도하는 제1 외부 입력 통로(24)를 갖는다. 제1 외부 입력 통로(24)는, 메인 밸브 블록(101)의 외면에 개구되는 제1 외부 입력 포트(24i)에 접속된다.
제1 회로 계통(HC1)은, 제1 중립 통로(11)에 있어서의 제1 패럴렐 통로(13)와의 분기점보다 하류이며 제1 주행용 제어 밸브(12A)보다 상류에 접속되는 주행 직진용 제어 밸브(6)를 더 구비한다. 주행 직진용 제어 밸브(6)에는, 제2 패럴렐 통로(23)가 접속된다. 제2 패럴렐 통로(23)는, 제2 펌프(20)와 주행 직진용 제어 밸브(6)를 접속하는 제2 패럴렐 상류측 통로(23a)와, 주행 직진용 제어 밸브(6)와 제2 제어 밸브(22B 내지 22E)를 접속하는 제2 패럴렐 하류측 통로(23b)를 갖는다.
주행 직진용 제어 밸브(6)는, 도 1의 우측에 도시하는 통상 위치(A)와, 도 1의 좌측에 도시하는 주행 직진 위치(B)의 두 위치로 전환된다. 주행 직진용 제어 밸브(6)는, 파일럿압실(6a)에 작동유가 공급되면 주행 직진 위치(B)로 전환된다. 파일럿압실(6a)에 파일럿압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주행 직진용 제어 밸브(6)는 리턴 스프링(6c)의 가압력에 의해 통상 위치(A)에 보유 지지된다.
통상 위치(A)에서는, 제2 패럴렐 통로(23)의 제2 패럴렐 상류측 통로(23a)가 제2 패럴렐 통로(23)의 제2 패럴렐 하류측 통로(23b)에 접속됨과 함께, 주행 직진용 제어 밸브(6)보다 하류의 제1 중립 통로(11)가 제1 펌프(10)에 접속된다. 이로써, 제1 펌프(1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는, 제1 중립 통로(11) 및 제1 패럴렐 통로(13)를 통해 각 제1 제어 밸브(12)로 유도된다. 또한, 제2 펌프(2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는, 제2 중립 통로(21) 및 제2 패럴렐 통로(23)를 통해 각 제2 제어 밸브(22)로 유도된다.
또한, 중립 커트 밸브(110)가 제3 위치(P3)에 있는 상태에서는, 제1 펌프(1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는, 제1 중립 통로(11), 중립 커트 밸브(110), 제2 외부 출력 통로(15) 및 제3 중립 통로(31)를 통해 제3 제어 밸브(32)로도 유도된다. 또한, 제1 펌프(1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는, 제1 패럴렐 통로(13) 및 제3 패럴렐 통로(33)를 통해 제3 제어 밸브(32)로도 유도된다.
주행 직진 위치(B)에서는, 제2 패럴렐 통로(23)의 제2 패럴렐 상류측 통로(23a)가 주행 직진용 제어 밸브(6)보다 하류인 제1 중립 통로(11)에 접속됨과 함께, 제2 패럴렐 하류측 통로(23b)가 제1 펌프(10)에 접속된다. 이로써, 제1 펌프(1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는, 제1 패럴렐 통로(13)를 통해 제1 제어 밸브(12B 내지 12D)로 유도됨과 함께, 제2 패럴렐 통로(23)의 제2 패럴렐 하류측 통로(23b)를 통해 제2 제어 밸브(22B 내지 22E)로 유도된다. 또한, 제2 펌프(2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는, 주행 직진용 제어 밸브(6)보다 하류인 제1 중립 통로(11)를 통해 제1 제어 밸브(12A)로 유도됨과 함께, 제2 중립 통로(21)를 통해 제2 제어 밸브(22A)로 유도된다.
또한, 중립 커트 밸브(110)가 제3 위치(P3)에 있는 상태에서는, 제1 펌프(1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는, 제1 패럴렐 통로(13) 및 제3 패럴렐 통로(33)를 통해 제3 제어 밸브(32)로도 유도된다. 또한, 제2 펌프(2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는, 제1 중립 통로(11), 중립 커트 밸브(110), 제2 외부 출력 통로(15) 및 제3 중립 통로(31)를 통해 제3 제어 밸브(32)로도 유도된다.
파워셔블이, 굴삭부를 구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주행하고 있을 때에는, 파일럿압실(6a)은 탱크압으로 되어 있고, 주행 직진용 제어 밸브(6)는 통상 위치(A)에 유지된다. 따라서, 주행부 구동용 유압 모터(7A, 8A)만을 조작하는 경우, 제1 주행용 제어 밸브(12A)에는, 제1 펌프(1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가 공급되고, 제2 주행용 제어 밸브(22A)에는, 제2 펌프(2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가 공급된다.
한편, 주행부 구동용 유압 모터(7A, 8A)를 구동하고 있을 때에, 굴삭부의 액추에이터가 구동되면, 파일럿압실(6a)에 파일럿압이 작용하여, 주행 직진용 제어 밸브(6)가 주행 직진 위치(B)로 전환된다. 즉, 주행부 구동용 유압 모터(7A, 8A)와 유압 모터(7A, 8A) 이외의 액추에이터를 동시 조작한 경우, 제1 주행용 제어 밸브(12A) 및 제2 주행용 제어 밸브(22A)에는, 제2 펌프(2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가 공급된다. 또한, 다른 제1 제어 밸브(12B 내지 12D), 다른 제2 제어 밸브(22B 내지 22E) 및 제3 제어 밸브(32)에는, 제1 펌프(1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가 공급된다. 이로써, 주행용 회로와 주행용 이외의 회로가 독립되게 되므로, 차체의 주행 직진성이 확보된다.
이어서, 중립 커트 밸브(1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중립 커트 밸브(110)는, 제1 파일럿압실(116a) 및 제2 파일럿압실(116b)이 각각 탱크(T)에 접속되고, 제1 파일럿압실(116a) 및 제2 파일럿압실(116b) 내에 작동유가 공급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풀이 제1 위치(P1)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1 입구 포트(111)와 탱크 포트(119)가 연통되고, 제2 입구 포트(112)와 출구 포트(113)의 연통이 차단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중립 통로(11)를 통해 제1 입구 포트(111)로 유입된 작동유는, 탱크 포트(119)를 통해 탱크(T)에 배출된다.
이 상태로부터, 제1 파일럿압실(116a)에 작동유가 공급되면, 스풀은 제1 파일럿압실(116a)에 공급된 작동유의 압력에 의해 센터링 스프링(117)에 의한 가압력에 저항하여 이동하여, 제2 위치(P2)로 전환된다. 이로써, 제1 입구 포트(111)와 탱크 포트(119)의 연통이 차단된다. 또한, 제2 입구 포트(112)와 출구 포트(113)의 연통의 차단은 유지된다.
제1 외부 출력 포트(14o)는, 중립 커트 밸브(110)의 위치에 관계 없이, 제1 중립 통로(11)와 상시 연통되어 있다. 그러나, 중립 커트 밸브(110)가 제1 위치(P1)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중립 통로(11)와 탱크(T)가 연통되기 때문에, 제1 외부 출력 포트(14o)도 탱크(T)에 연통된다. 이로써, 제1 펌프(10)에 의해 토출된 작동유는, 제1 외부 출력 포트(14o)를 통해 외부로 공급되지 않고 탱크(T)로 환류된다.
이에 비해, 중립 커트 밸브(110)가 제2 위치(P2)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중립 통로(11)와 탱크(T)의 연통이 차단된다. 이 때문에, 암 2속용 제어 밸브(12D)의 하류이며 중립 커트 밸브(110)의 상류인 제1 중립 통로(11)로 유입된 작동유는, 제1 외부 출력 통로(14)를 통해, 그 전량이 메인 밸브 블록(101)의 외부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유체압 제어 장치(100)에서는, 중립 커트 밸브(110)를 제2 위치(P2)로 전환함으로써, 제1 펌프(10)로부터 제1 회로 계통(HC1)으로 공급된 작동유를 제1 외부 출력 포트(14o)를 통해 외부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유체압 제어 장치(100)에서는, 예를 들어 제1 펌프(10)로부터 제1 회로 계통(HC1)으로 공급된 작동유를 제1 외부 출력 포트(14o)를 통해, 새롭게 추가되는 액추에이터(도시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해 사용하거나, 제1 액추에이터(7), 제2 액추에이터(8) 및 제3 액추에이터(9) 중 어느 것을 구동시키는 회로에 합류시키거나 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예비 어태치먼트 구동용 유압 실린더(8B)의 유로에, 제1 외부 출력 포트(14o)를 통해 외부로 공급된 작동유를 합류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외부 출력 포트(14o)와 제1 외부 입력 포트(24i)를 메인 밸브 블록(101)의 외부에 있어서, 외부 배관(30)에 의해 접속한다. 즉, 제1 외부 출력 통로(14)는, 외부 배관(30)을 통해, 제1 외부 입력 통로(24)에 접속된다.
이 상태에서, 유압 실린더(8B)로의 작동유의 급배를 제어하는 예비용 제어 밸브(22B)의 파일럿압실과, 중립 커트 밸브(110)의 제1 파일럿압실(116a)에 작동유를 공급한다. 이로써, 예비용 제어 밸브(22B)가 조작되면, 예비용 제어 밸브(22B)에는 제2 펌프(2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에 더하여, 제1 펌프(1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가 제1 외부 출력 통로(14), 외부 배관(30), 제1 외부 입력 통로(24)를 통해 공급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펌프(1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는, 제1 회로 계통(HC1)의 제1 외부 출력 통로(14)를 통해 외부로 유도되고, 제2 회로 계통(HC2)의 제1 외부 입력 통로(24)를 통해 예비용 제어 밸브(22B)의 상류로 유도되어, 제2 펌프(2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에 합류한다.
또한, 중립 커트 밸브(110)는, 예비용 제어 밸브(22B)를 제어하는 파일럿 압력 Pp에 따라 제1 중립 통로(11)와 탱크(T)를 연통 또는 차단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파일럿 압력 Pp가 낮은 상태에서는 중립 커트 밸브(110)의 스풀을 제1 위치(P1)에 유지하고, 파일럿 압력 Pp가 높은 상태에서는 중립 커트 밸브(110)의 스풀을 제2 위치(P2)로 전환하도록, 센터링 스프링(117)의 스프링 하중을 설정하면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비용 제어 밸브(22B)의 조작량이 작을 때에는, 유압 실린더(8B)는 제2 펌프(2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만으로 구동된다. 또한, 예비용 제어 밸브(22B)의 조작량이 클 때에는, 유압 실린더(8B)는 제2 펌프(2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에 더하여 제1 펌프(1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예비용 제어 밸브(22B)의 조작량을 크게 함으로써, 예비용 제어 밸브(22B)에 대한 작동유의 유량을 증가시켜, 예비용 제어 밸브(22B)에 의해 제어되는 유압 실린더(8B)의 동작을 증속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새롭게 추가되는 액추에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계통에, 제1 외부 출력 통로(14)를 통해 작동유를 공급하는 경우, 추가되는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킬 때, 중립 커트 밸브(110)를 제2 위치(P2)로 전환하면 된다.
한편, 중립 커트 밸브(110)의 제2 파일럿압실(116b)에 작동유가 공급되면, 스풀은 제2 파일럿압실(116b)에 공급된 작동유의 압력에 의해 센터링 스프링(117)에 의한 가압력에 저항하여 이동하고, 제3 위치(P3)로 전환된다. 이로써, 제2 입구 포트(112)와 출구 포트(113)가 연통되고, 또한 제1 입구 포트(111)와 탱크 포트(119)의 연통이 차단된다.
중립 커트 밸브(110)가 제3 위치(P3)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제3 회로 계통(HC3)의 제3 중립 통로(31)가 제1 회로 계통(HC1)의 제1 중립 통로(11)에 연통한다. 또한, 제3 회로 계통(HC3)의 제3 패럴렐 통로(33)는, 제1 회로 계통(HC1)의 제1 패럴렐 통로(13)에 상시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중립 커트 밸브(110)가 제3 위치(P3)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복수의 제1 제어 밸브(12) 및 제3 제어 밸브(32)가, 중립 통로로서의 제1 중립 통로(11), 제2 외부 출력 통로(15) 및 제3 중립 통로(31)에 의해 직렬로 접속되고, 제1 패럴렐 통로(13) 및 제3 패럴렐 통로(33)에 의해 병렬로 접속된다.
이 때문에, 중립 커트 밸브(110)가 제3 위치(P3)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제1 제어 밸브(12A 내지 12D)의 어느 것, 혹은 모두가 구동 위치로 전환되어 제1 중립 통로(11)에 있어서의 제1 펌프(10)와 탱크(T)의 연통이 차단된 경우라도, 제1 펌프(1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를, 제1 패럴렐 통로(13) 및 제3 패럴렐 통로(33)를 통해 제3 제어 밸브(32)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밸브 블록(103)을 메인 밸브 블록(101)에 설치함으로써, 제1 펌프(10) 또는 제2 펌프(2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에 의해, 제1 액추에이터(7)와 마찬가지로 구동 가능한 제3 액추에이터(9)를 용이하게 증설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음의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중립 커트 밸브(110)를 제2 위치(P2)로 전환함으로써, 제1 펌프(1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를, 제1 외부 출력 통로(14)를 통해, 메인 밸브 블록(101)의 외부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중립 커트 밸브(110)를 제3 위치(P3)로 전환함으로써, 제1 펌프(1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를, 제2 외부 출력 통로(15)를 통해, 메인 밸브 블록(101)의 외부로 공급할 수 있다.
제1 펌프(10)로부터 제1 회로 계통(HC1)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제1 외부 출력 통로(14)뿐만 아니라, 제2 외부 출력 통로(15)를 통해 외부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회로 계통의 증설의 자유도가 높은 유체압 제어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유체압 제어 장치(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도면 중,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 또는 상당하는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3 회로 계통(HC3)이 오픈 센터 타입인 제3 제어 밸브(32)를 갖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이에 비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3 회로 계통(HC32)이 클로즈드 센터 타입인 제3 제어 밸브(232)를 갖는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회로 계통(HC1) 및 제2 회로 계통(HC2)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지만, 제3 회로 계통(HC32)의 구성이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즉,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메인 밸브 블록(101)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지만, 서브 밸브 블록(203)의 구성이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제3 회로 계통(HC32)을 갖는 서브 밸브 블록(203)은, 제1 회로 계통(HC1)으로부터의 작동유를 도입하는 인렛 블록(B30)과, 추가 어태치먼트 구동용 제3 액추에이터(9)를 제어하는 밸브 블록(B31, B32)을 구비한다. 인렛 블록(B30)은, 작동유를 탱크(T)로 배출하기 위한 아울렛 블록이기도 하다. 또한, 밸브 블록(B31)과 밸브 블록(B32)의 구성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밸브 블록(B32)의 도시를 일부 생략하고 있다. 또한, 밸브 블록의 수는, 추가하는 액추에이터의 수에 의해 임의로 변경가능하다.
제3 회로 계통(HC32)은, 복수의 제3 액추에이터(9)를 제어하는 복수의 제3 제어 밸브(232)와, 제1 회로 계통(HC1)의 제2 외부 출력 통로(15)에 접속되는 제2 외부 입력 통로로서의 공급 통로(231)와, 탱크(T)에 접속되는 탱크 통로(239)와, 복수의 제3 액추에이터(9)의 부하압 중 가장 높은 부하압이 유도되는 부하압 통로(241)를 구비한다. 공급 통로(231)는, 제1 펌프(210)로부터 토출되어, 제1 중립 통로(11), 중립 커트 밸브(110) 및 제2 외부 출력 통로(15)를 통해 공급되는 작동유를 제3 제어 밸브(232)로 유도한다. 제3 제어 밸브(232)는, 제1 펌프(210)로부터 토출되어, 메인 밸브 블록(101)을 통해 공급 통로(231)에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제3 액추에이터(9)를 제어한다.
인렛 블록(B30)에는, 공급 통로(231)에 접속되는 토출압 출력 포트(231p) 및 부하압 통로(241)에 접속되는 부하압 출력 포트(241p)가 마련된다. 또한, 인렛 블록(B30)에는, 공급 통로(231)에 접속되는 릴리프 밸브(261)가 마련된다. 릴리프 밸브(261)는, 중립 커트 밸브(110)가 제3 위치(P3)에 있을 때, 메인 밸브 블록(101)의 제1 회로 계통(HC1)에 서브 밸브 블록(203)의 제3 회로 계통(HC3)이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회로의 최고 압력을 규정한다.
각 밸브 블록(B31, B32)은, 공급 통로(231)에 접속되는 제3 제어 밸브(232)와, 제3 제어 밸브(232)와 제3 액추에이터(9) 사이에 마련되는 압력 보상 밸브(234)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제3 제어 밸브(232)의 미터 인 스로틀부의 하류에 압력 보상 밸브(234)가 마련된 애프터 오리피스형의 로드 센싱 시스템이 채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로드 센싱 시스템에 있어서는, 각 제3 액추에이터(9)의 복수를 동시 조작한 때, 각 제3 액추에이터(9) 사이의 부하의 조정으로서 압력 보상 밸브(234)가 기능한다.
압력 보상 밸브(234)에는, 제3 제어 밸브(232)에 마련된 미터 인 스로틀부의 하류의 압력과, 복수의 제3 액추에이터(9)의 부하압 중에서 가장 높은 부하압이 부여된다. 압력 보상 밸브(234)는, 미터 인 스로틀부의 하류의 압력이, 제3 액추에이터(9)의 최고 부하압보다도 소정값만큼 높은 압력으로 되도록 보상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제3 제어 밸브(232)를 동시에 구동할 때, 제3 액추에이터(9)의 부하압의 대소에 관계 없이, 제3 제어 밸브(232)의 스풀의 조작량에 따른 유량의 압유를 공급할 수 있다.
제1 펌프(210) 및 제2 펌프(220)는, 가변 용량형의 피스톤 펌프이고, 레귤레이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경사판의 기울기가 변경됨으로써 토출 용량이 변화된다. 제1 펌프(210) 및 제2 펌프(220)의 토출 용량은, 레귤레이터(도시하지 않음)로 유도되는 펌프 토출압과, 제3 액추에이터(9)의 최고 부하압의 차압이 소정의 값으로 되도록, 소위 로드 센싱 제어에 의해 제어된다.
제3 액추에이터(9)의 최고 부하압은, 부하압 출력 포트(241P)로부터 배관 등을 통해, 제1 펌프(210) 및 제2 펌프(220)의 레귤레이터(도시하지 않음)로 유도된다. 또한, 펌프 토출압은, 토출압 출력 포트(231p)로부터 배관 등을 통해, 제1 펌프(210) 및 제2 펌프(220)의 레귤레이터(도시하지 않음)로 유도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메인 밸브 블록(101)에 있어서 사용하지 않는 출력 포트(13o), 도입 포트(191i, 192i)는, 서브 밸브 블록(203)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사용하지 않는 포트(13o, 191i, 192i)가, 서브 밸브 블록(203)에 의해 폐색되기 때문에, 플러그 등의 폐지 부재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어, 부품 개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메인 밸브 블록(101)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메인 밸브 블록(101)은, 서브 밸브 블록(103, 203)의 제3 제어 밸브(32, 232)가, 오픈 센터 타입(도 1 참조) 및 클로즈드 센터 타입(도 3 참조)의 어느 것이라도 대응이 가능하다. 즉, 상술한 중립 커트 밸브(110)를 마련함과 함께, 소정의 포트(15o, 13o, 191i, 192i)를 마련함으로써, 범용성이 높은 메인 밸브 블록(101)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 내이고, 변형예에 나타내는 구성과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을 조합하거나, 상술한 다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끼리를 조합하거나, 이하의 다른 변형예에서 설명하는 구성끼리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변형예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액추에이터(7) 및 제1 제어 밸브(12)가 각각 복수 마련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액추에이터(7) 및 제1 제어 밸브(12)는, 각각 적어도 하나 마련되어 있으면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액추에이터(8) 및 제2 제어 밸브(22)가 각각 복수 마련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액추에이터(8) 및 제2 제어 밸브(22)는, 각각 적어도 하나 마련되어 있으면 된다.
<변형예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회로 계통(HC1)의 제1 중립 통로(11)에 중립 커트 밸브(110)를 마련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중립 통로(11)에 마련되는 중립 커트 밸브(110) 대신에, 혹은 제1 중립 통로(11)에 마련되는 중립 커트 밸브(110)에 더하여, 제2 중립 통로(21)에 중립 커트 밸브(110)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중립 커트 밸브를 마련해도 된다.
즉, 제2 회로 계통(HC2)에,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제1 회로 계통(HC1)의 제1 외부 출력 통로(14) 및 제2 외부 출력 통로(15)와 동일한 제1, 제2 외부 출력 통로를 마련하여,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서브 밸브 블록(103)과 동일한 서브 밸브 블록을 메인 밸브 블록(101)에 설치하고, 서브 밸브 블록의 회로 계통을 제2 회로 계통(HC2)에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2 회로 계통(HC2)에,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제1 외부 출력 통로(14)와 동일한 제1 외부 출력 통로를 마련함과 함께, 제1 회로 계통(HC1)에,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제1 외부 입력 통로(24)와 동일한 제1 외부 입력 통로를 마련하여, 양자를 외부 배관으로 접속해도 된다. 이 경우, 제2 회로 계통(HC2)에 마련된 중립 커트 밸브를 사용하여, 제2 회로 계통(HC2)의 작동유를 제1 회로 계통(HC1)에 합류시킴으로써, 제1 액추에이터(7)의 동작을 증속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구성, 작용 및 효과를 정리하여 설명한다.
유체압 제어 장치(100, 200)는, 펌프(제1 펌프(10, 210), 제2 펌프(20, 22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 유체에 의해 구동되는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유체압 제어 장치이며, 펌프(제1 펌프(10, 210), 제2 펌프(20, 220))에 접속되어 메인 액추에이터(제1 액추에이터(7), 제2 액추에이터(8))를 제어하는 주제어 밸브(제1 제어 밸브(12), 제2 제어 밸브(22))를 갖는 주회로 계통(제1 회로 계통(HC1), 제2 회로 계통(HC2))을 구비하고, 주회로 계통(제1 회로 계통(HC1), 제2 회로 계통(HC2))은, 주제어 밸브(제1 제어 밸브(12), 제2 제어 밸브(22))가 중립 위치에 있는 경우에 펌프(제1 펌프(10, 210), 제2 펌프(20, 220))의 작동 유체를 탱크(T)로 환류시키는 주중립 통로(제1 중립 통로(11), 제2 중립 통로(21))와, 주중립 통로(제1 중립 통로(11), 제2 중립 통로(21))에 있어서의 주제어 밸브(제1 제어 밸브(12), 제2 제어 밸브(22))의 하류에 마련되어, 주중립 통로(제1 중립 통로(11), 제2 중립 통로(21))와 탱크(T)를 연통 또는 차단하는 중립 커트 밸브(110)와, 주중립 통로(제1 중립 통로(11), 제2 중립 통로(21))에 있어서의 주제어 밸브(제1 제어 밸브(12), 제2 제어 밸브(22))의 하류이며, 또한 중립 커트 밸브(110)의 상류에 연통하여, 펌프(제1 펌프(10, 210), 제2 펌프(20, 220))로부터 토출된 작동 유체를 외부로 공급 가능한 제1 외부 출력 통로(14)와, 펌프(제1 펌프(10, 210), 제2 펌프(20, 220))로부터 토출되어, 중립 커트 밸브(110)를 통해 유도되는 작동 유체를 외부로 공급 가능한 제2 외부 출력 통로(15)를 갖고, 중립 커트 밸브(110)는, 펌프(제1 펌프(10, 210), 제2 펌프(20, 22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 유체가 탱크(T)로 유도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위치(P1)와, 펌프(제1 펌프(10, 210), 제2 펌프(20, 22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 유체가 제2 외부 출력 통로(15)를 통해 외부로 공급되는 것을 금지하고, 또한 펌프(제1 펌프(10, 210), 제2 펌프(20, 22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 유체가 탱크(T)로 유도되는 것을 금지하는 제2 위치(P2)와, 펌프(제1 펌프(10, 210), 제2 펌프(20, 22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 유체가 제2 외부 출력 통로(15)를 통해 외부로 공급되는 것을 허용하고, 또한 펌프(제1 펌프(10, 210), 제2 펌프(20, 22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 유체가 탱크(T)로 유도되는 것을 금지하는 제3 위치(P3) 사이에서 전환된다.
이 구성에서는, 펌프(제1 펌프(10, 210), 제2 펌프(20, 220))로부터 주회로 계통(제1 회로 계통(HC1), 제2 회로 계통(HC2))으로 공급되는 작동 유체를 제1 외부 출력 통로(14)뿐만 아니라, 제2 외부 출력 통로(15)를 통해 외부로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회로 계통의 증설의 자유도가 높은 유체압 제어 장치(100, 200)를 제공할 수 있다.
유체압 제어 장치(100, 200)는, 주회로 계통으로서의 제1 회로 계통(HC1) 및 제2 회로 계통(HC2)을 갖고, 제1 회로 계통(HC1) 및 제2 회로 계통(HC2)의 한쪽에, 중립 커트 밸브(110) 및 제1 외부 출력 통로(14)가 마련되고, 제1 회로 계통(HC1) 및 제2 회로 계통(HC2)의 다른 쪽에, 외부 배관(30)을 통해 제1 외부 출력 통로(14)가 접속되는 제1 외부 입력 통로(24)가 마련된다.
이 구성에서는, 제1 회로 계통(HC1) 및 제2 회로 계통(HC2)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외부 배관(30)을 통해 작동 유체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제1 회로 계통(HC1) 및 제2 회로 계통(HC2)의 다른 쪽에 마련되는 액추에이터(제1 액추에이터(7), 제2 액추에이터(8))의 동작을 증속시킬 수 있다.
유체압 제어 장치(100, 200)는, 주회로 계통(제1 회로 계통(HC1) 및 제2 회로 계통(HC2))을 갖는 메인 밸브 블록(101)과, 펌프(제1 펌프(10, 210), 제2 펌프(20, 220))로부터 토출되고, 메인 밸브 블록(101)을 통해 공급되는 작동 유체에 의해, 서브 액추에이터(제3 액추에이터(9))를 제어하는 부제어 밸브(제3 제어 밸브(32, 232))를 갖는 부회로 계통(제3 회로 계통(HC3, HC32))과, 부회로 계통(제3 회로 계통(HC3, HC32))을 갖는 서브 밸브 블록(103, 203)을 더 구비하고, 부회로 계통(제3 회로 계통(HC3, HC32))이, 제2 외부 출력 통로(15)에 접속되는 제2 외부 입력 통로(제3 중립 통로(31), 공급 통로(231))를 갖고, 서브 밸브 블록(103, 203)이, 메인 밸브 블록(101)에 설치 가능하다.
이 구성에서는, 서브 밸브 블록(103, 203)을 메인 밸브 블록(101)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서브 밸브 블록(103, 203)을 메인 밸브 블록(101)과 별도 설치로 하는 경우에 비해, 유체압 제어 장치(100, 200)의 설치 면적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 밸브 블록(101)과 서브 밸브 블록(103, 203) 사이에 배관을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유체압 제어 장치(100, 200)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상기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적용예의 일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상기 실시 형태의 구체적 구성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본원은 2018년 11월 20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특허 출원 제2018-217345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본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Claims (3)

  1.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작동 유체에 의해 구동되는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유체압 제어 장치이며,
    상기 펌프에 접속되어 메인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주제어 밸브를 갖는 주회로 계통을 구비하고,
    상기 주회로 계통은,
    상기 주제어 밸브가 중립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펌프의 작동 유체를 탱크로 환류시키는 주중립 통로와,
    상기 주중립 통로에 있어서의 상기 주제어 밸브의 하류에 마련되어, 상기 주중립 통로와 상기 탱크를 연통 또는 차단하는 중립 커트 밸브와,
    상기 주중립 통로에 있어서의 상기 주제어 밸브의 하류이며, 또한 상기 중립 커트 밸브의 상류에 연통하여, 상기 펌프로부터 토출되어 상기 주중립 통로를 흐르는 작동 유체를 외부로 공급 가능한 제1 외부 출력 통로와,
    상기 펌프로부터 토출되어 상기 주중립 통로를 흐르고, 상기 중립 커트 밸브를 통해 유도되는 작동 유체를 외부로 공급 가능한 제2 외부 출력 통로를 갖고,
    상기 중립 커트 밸브는,
    상기 펌프로부터 토출되어 상기 주중립 통로를 흐르는 작동 유체가 상기 탱크로 유도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위치와,
    상기 펌프로부터 토출되어 상기 주중립 통로를 흐르는 작동 유체가 상기 제2 외부 출력 통로를 통해 외부로 공급되는 것을 금지하고, 또한 상기 펌프로부터 토출되어 상기 주중립 통로를 흐르는 작동 유체가 상기 탱크로 유도되는 것을 금지하는 제2 위치와,
    상기 펌프로부터 토출되어 상기 주중립 통로를 흐르는 작동 유체가 상기 제2 외부 출력 통로를 통해 외부로 공급되는 것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펌프로부터 토출되어 상기 주중립 통로를 흐르는 작동 유체가 상기 탱크로 유도되는 것을 금지하는 제3 위치 사이에서 전환되는,
    유체압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회로 계통으로서의 제1 회로 계통 및 제2 회로 계통을 갖고,
    상기 제1 회로 계통 및 상기 제2 회로 계통의 한쪽에, 상기 중립 커트 밸브 및 상기 제1 외부 출력 통로가 마련되고,
    상기 제1 회로 계통 및 상기 제2 회로 계통의 다른 쪽에, 외부 배관을 통해 상기 제1 외부 출력 통로에 접속되는 제1 외부 입력 통로가 마련되는,
    유체압 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회로 계통을 갖는 메인 밸브 블록과,
    상기 펌프로부터 토출되어, 상기 메인 밸브 블록을 통해 공급되는 작동 유체에 의해, 서브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부제어 밸브를 갖는 부회로 계통과,
    상기 부회로 계통을 갖는 서브 밸브 블록을 더 구비하고,
    상기 부회로 계통은, 상기 제2 외부 출력 통로에 접속되는 제2 외부 입력 통로를 갖고,
    상기 서브 밸브 블록은, 상기 메인 밸브 블록에 설치 가능한,
    유체압 제어 장치.
KR1020207011775A 2018-11-20 2019-08-06 유체압 제어 장치 Active KR1025031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17345A JP7121641B2 (ja) 2018-11-20 2018-11-20 流体圧制御装置
JPJP-P-2018-217345 2018-11-20
PCT/JP2019/030975 WO2020105230A1 (ja) 2018-11-20 2019-08-06 流体圧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372A KR20200061372A (ko) 2020-06-02
KR102503136B1 true KR102503136B1 (ko) 2023-02-23

Family

ID=70774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1775A Active KR102503136B1 (ko) 2018-11-20 2019-08-06 유체압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686440B1 (ko)
JP (1) JP7121641B2 (ko)
KR (1) KR102503136B1 (ko)
CN (1) CN111556929B (ko)
WO (1) WO202010523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46042A (en) 1977-03-17 1979-05-16 Caterpillar Tractor Co Crossover plural circuit fluid system
JP2001153102A (ja) 1999-11-29 2001-06-08 Kayaba Ind Co Ltd 多連弁
WO2001077532A1 (fr) 2000-04-10 2001-10-18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Dispositif d'entrainement hydraulique et machine de travail
JP2016204826A (ja) 2015-04-15 2016-12-08 Kyb株式会社 流体圧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2630A (ja) * 1991-04-11 1992-11-04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油圧回路
JPH07238575A (ja) * 1994-02-28 1995-09-12 Komatsu Ltd 走行用油圧装置
JP2896071B2 (ja) * 1994-04-20 1999-05-31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パイロットチェック弁
JP3244257B2 (ja) * 1995-12-28 2002-01-07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作業機械の作業機制御回路
JP3597693B2 (ja) * 1998-02-18 2004-12-08 日立建機株式会社 油圧駆動回路
JP3699587B2 (ja) * 1998-03-06 2005-09-28 東芝機械株式会社 多連油圧バルブ
CN202012523U (zh) * 2011-04-18 2011-10-19 陈子行 分体式全液压坑道钻机液压系统
CN102996560B (zh) * 2012-12-28 2015-06-24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泵送设备及阀块
CN103174696B (zh) * 2013-03-21 2015-12-23 徐工集团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 阀体集成装置及履带式强夯机
CN103697007B (zh) * 2013-12-20 2016-06-01 中国北方车辆研究所 一种基于控制闭式系统的阀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46042A (en) 1977-03-17 1979-05-16 Caterpillar Tractor Co Crossover plural circuit fluid system
JP2001153102A (ja) 1999-11-29 2001-06-08 Kayaba Ind Co Ltd 多連弁
WO2001077532A1 (fr) 2000-04-10 2001-10-18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Dispositif d'entrainement hydraulique et machine de travail
JP2016204826A (ja) 2015-04-15 2016-12-08 Kyb株式会社 流体圧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556929B (zh) 2022-07-19
KR20200061372A (ko) 2020-06-02
WO2020105230A1 (ja) 2020-05-28
EP3686440A1 (en) 2020-07-29
JP2020085077A (ja) 2020-06-04
CN111556929A (zh) 2020-08-18
EP3686440A4 (en) 2021-07-21
JP7121641B2 (ja) 2022-08-18
EP3686440B1 (en) 202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0310B2 (en) Closed-loop hydraulic system having regeneration configuration
JP5297187B2 (ja) 圧力補償装置を有する油圧システム
JP5669448B2 (ja) 掘削機用油圧駆動システム
JP5996778B2 (ja) 建設機械の油圧駆動装置
EP3201475B1 (en) Directional control valve
WO2014192458A1 (ja) 建設機械の油圧駆動装置
WO2014021015A1 (ja) 建設機械の油圧駆動装置
US20200348699A1 (en) Valve device
KR102353675B1 (ko) 유체압 제어 장치
US11078646B2 (en) Shovel and control valve for shovel
KR102026550B1 (ko) 유체압 제어 장치
KR102503136B1 (ko) 유체압 제어 장치
US10072396B2 (en) Working machine control system
JP3692009B2 (ja) 作業機械の制御装置
US10208457B2 (en) Working machine control system
WO2024127892A1 (ja) 流体圧制御装置
US20210324608A1 (en) Control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