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302B1 - Automatic Clip Pedal Apparatus - Google Patents
Automatic Clip Pedal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91302B1 KR102491302B1 KR1020210100267A KR20210100267A KR102491302B1 KR 102491302 B1 KR102491302 B1 KR 102491302B1 KR 1020210100267 A KR1020210100267 A KR 1020210100267A KR 20210100267 A KR20210100267 A KR 20210100267A KR 102491302 B1 KR102491302 B1 KR 1024913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otrest
- pedal
- rack gear
- fastening
- fasten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3/00—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 B62M3/08—Pedals
- B62M3/083—Toe clip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달에 접촉되는 신발이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발뒤꿈치에 맞닿는 멈춤부를 구비한 조정용발판이 페달 후방에 착설되어 있고, 신발이 접촉하는 페달의 일부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페달상판에 구비된 돌출되어 있는 누름판을 밟으면 발걸이가 발등을 감싸서 페달에 신발이 견고하게 묶이도록 됨으로써, 페달의 상부면에 토클립을 착용한 상태 또는 클릿페달/클릿슈즈를 착용한 것과 같은 효과가 되어 안전하게 페달링할 수 있으며, 신발을 페달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발로 페달 안쪽의 보호판을 바깥쪽으로 밀면 자동적으로 발걸이가 발등으로부터 해제상태로 되어 페달로부터 발을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자동클립페달장치에 관한 발명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adjustment footrest having a stopper in contact with the heel is provided behind the pedal so that the shoe in contact with the pedal is not pushed backward,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a part of the pedal in contact with the shoe to prevent slipping. In addition, when you step on the protruding pressure plate provided on the pedal top plate, the footrest wraps the foot so that the shoe is firmly tied to the pedal, so that it is the same as wearing a toe clip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dal or wearing a clip pedal / clip shoes. When separating the shoes from the pedal, the footrest is automatically released from the instep of the foot when the protective plate inside the pedal is pushed outwards, allowing the foot to be quickly and easily separated from the pedal. It is an invention related to a clip pedal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클립페달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페달에 접촉되는 착용한 신발이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발뒤꿈치에 맞닿는 멈춤부를 구비한 조정용발판이 페달 후방에 착설되어 있고, 신발이 접촉하는 페달의 일부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페달상판에 돌출되어 있는 누름판을 밟으면 발걸이가 발등을 감싸서 페달에 신발이 견고하게 묶여 지도록 잠김 상태가 됨으로써, 통상적인 토클립 페달을 착용한 상태 또는 클릿페달/클릿슈즈를 착용한 것과 같은 효과가 되어 안전하게 페달링할 수 있으며, 신발을 페달로부터 분리하는 경우(페달에서 발을 뗄 경우)에는 발로 발걸이체결부의 보호판을 바깥쪽으로 밀면 자동적으로 발걸이가 발등으로부터 해제상태로 되어 페달로부터 발을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자동클립페달장치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an adjustment footrest having a stopper in contact with a heel is installed behind the pedal so that worn shoes in contact with the pedal are not pushed backward,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a part to prevent slipping, and when you step on the pressure plate protruding from the top of the pedal, the footrest wraps the instep and becomes locked so that the shoes are firmly tied to the pedal. You can safely pedal because it has the same effect as wearing the condition or cleat pedal/cleat shoes, and when the shoes are separated from the pedal (when you take your foot off the pedal), if you push the protective plate of the footrest fastening part outward with your foot, the footrest is automatically released. The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capable of quickly and easily separating a foot from a pedal in a release state from the instep.
1980년도 중반에 피터캐버나(Peter Cavanagh)에 의해 “Typical Pedaling-Force Pattern & Direction crank of Rotation.,”“The biomechanics of cycling : Studies of the pedaling mechanics of elite pursuit riders.,”“Tips for the Recreational Cyclist" 이 발표된 이후, 자전거 부품업계인 Shimano 회사가 “Cleat Pedal & Cleated Shoes”에 대한 개발을 본격화하면서, 현재에는 수 백개 업체에서 수 천종의 제품이 쏟아져 나왔고, 자전거 레이서나, 애호가에게는 토클립 페달(Toe-Clip Pedal) 관련 제품이 필수적이 되었다.“Typical Pedaling-Force Pattern & Direction crank of Rotation.,” “The biomechanics of cycling: Studies of the pedaling mechanics of elite pursuit riders.,” “Tips for the Recreational After the announcement of "Cyclist", Shimano, a bicycle parts industry, started developing "Cleat Pedal & Cleatated Shoes" in earnest, and now hundreds of companies have poured out thousands of products, and bicycle racers and enthusiasts have toe clips. Pedal (Toe-Clip Pedal) related products have become essential.
실내외 자전거의 페달링은 일정위치(안장)에서 회전시키므로 기계적인 회전전달력은 cos(A)의 사선이 크랭크이므로, 톱 위치일 경우(cos90=0)에는 누르는 힘의 전달력은 0이고, 수평일 경우(cos180=1)에는 누르는 힘의 전달력은 1이 되어 100%가 전달되고, 시계바늘 6시에 있을 경우(cos270=0)에는 전달력은 0이 되고 그 사이는 cos값의 비례로 누르는 힘의 전달효율이 변화하게 된다.Since the pedaling of an indoor/outdoor bicycle rotates at a certain position (saddle), the mechanical rotational transmission force is the crank, so the diagonal line of cos(A) is the crank, so in the top position (cos90=0), the transmission force of the pressing force is 0, and the horizontal In the case of (cos180=1), the transmission force of the pressing force becomes 1 and 100% is transmitted, and in the case of the clock hand at 6 o'clock (cos270=0), the transmission force becomes 0, and in the meantime, the pressing force is proportional to the cos value. Th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changes.
자전거의 페달링의 주체는 기계기구가 아니고, 인간이기 때문에 인체공학 차원에서 누르고, 밀고, 당기는 힘의 전달 패턴에 따른 페달링 효율의 분석이론은 자전거 주행이론에 공헌한 바가 크며, 또한 토클립 페달 개발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Since the subject of bicycle pedaling is not a mechanical device, but a human being, the analysis theory of pedaling efficiency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pattern of pressing, pushing, and pulling forces at the level of ergonomics has contributed greatly to the theory of bicycle driving, and has als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oe clip pedals. It made a lot of impact.
한편, 실내외 자전거는 일정 위치에서 페달을 밟아 회전 구동하기 때문에 페달을 밟는 힘이 360도 회전 위치에 따라 전달효율이 달라진다. 즉, 시계 시침 방향 1시~5시의 위치에서는 페달의 밟는 힘이 거의 회전력에 전달되므로 전달효율에 있어서 차이가 발생되고 있으나, 시계 시침 방향 6시~12시의 위치에서는 사각(dead of angle) 위치이므로 밟는 힘이 크랭크의 회전력으로 전달되지 못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indoor and outdoor bicycles are driven by pedaling at a certain position, the transmission efficiency of the pedaling force varies depending on the 360-degree rotational position. That is, at the position of 1 o'clock to 5 o'clock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stepping force of the pedal is almost transmitted to the rotational force, so there is a difference in transmission efficiency, but at the position of 6 to 12 o'clock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re is a dead angle Because of this position, the stepping force cannot be transmitted to the rotational force of the crank.
따라서, 주행능률 혹은 운동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페달에 가해지는 회전압력을 크도록 해야 된다. 즉, 시계 시침 방향 6시~9시~12시 사이의 사각위치에서도 페달을 당기거나, 미는 힘을 증대시키기 위해 토클립 등의 발걸이를 페달에 장착하여 페달링하거나, 클릿(cleat)이 부착된 전용신발(일명‘클릿슈즈’)을 신고 클릿페달(cleat pedal)을 페달링하면, 상기와 같은 사각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페달을 전방위적으로 밟고, 밀고, 당기는 힘의 전달력을 높일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driving efficiency or exercise effec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rotational pressure applied to the pedal. That is, even at a square position between 6:00 and 9:00 to 12:00 in the clockwise direction, you can pull the pedal, or pedal by attaching a footrest such as a toe clip to the pedal to increase the pushing force, or use a dedicated pedal with a cleat attached. If you put on shoes (aka 'cleat shoes') and pedal the cleat pedal, you can step on the pedal in all directions, and increase the transmission power of pushing and pulling power regardless of the blind spot.
또한, 운동효과를 증대시거나, 주행력 제고를 위해서는 좌우 페달을 돌리는 다리의 회전력 전달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토클립 페달(toe clip pedals)이 부착된 자전거, 발걸이 페달(pedal straps)이 부착된 실내자전거, 주행력을 높이기 위하여 경기용 레이서나 자전거 애호가 중에서 클릿페달(Cleat pedal)/클릿슈즈(cleat shoes)가 적용되는 자전거가 사용되고 있으며, 클릿페달(cleated pedal) 이외에도 페달의 일측에 밴드를 부착하여 탑승자의 발목을 조이는 밴드형 페달(band pedal)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exercise effect or to improve driving power, bicycles with toe clip pedals, indoor bicycles with pedal straps, and driving power are installed to maximize the transmission of rotational force of the legs turning the left and right pedals. In order to increase the speed, bicycles to which a cleat pedal/cleat shoes are applied are used among racers and bicycle enthusiasts, and in addition to the cleated pedal, a band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pedal to prevent the rider's ankle. A tightening band type pedal is being used.
즉, 토클립 페달은 자전거 구동 전달효율을 높이고, 이탈을 방지하여 페달을 누르고, 밀고, 당기는 페달링에 있어서 효과적이기 때문에 자전거 애호가에게는 선호의 대상이다. 자전거의 페달링은 단순히 페달을 밟는(누르는) 힘으로 전진구동 시켜서 운동 효과를 얻는 방법 이외에, 토클립을 페달에 장착하여 페달을 누르고, 밀고, 끌어당기는 등 전방위적으로 다리의 힘을 페달구동에 이용함으로써, 전진구동의 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달리고, 언덕을 오르는데 일조함은 물론 이에 수반하는 운동효과도 발목, 장딴지, 허벅지, 엉덩이에 걸쳐서 골고루 영향이 미칠 수 있음은 다양한 실험 통계에서 확인되고 있다.That is, toe clip pedals are preferred by bicycle enthusiasts because they are effective in pedaling in which pedals are pressed, pushed, and pulled by increasing bicycle driving transmission efficiency and preventing departure.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obtaining an exercise effect by simply driving the bicycle forward with the power of stepping on (pressing) the pedal, the power of the legs is used in all directions to drive the pedal, such as pressing, pushing, and pulling the pedal by attaching a toe clip to the pedal. By doing this, since the efficiency of forward drive can be increased, it is confirmed in various experimental statistics that it not only contributes to running and climbing hills, but also that the accompanying exercise effect can affect the ankle, calf, thigh, and hip evenly. .
현재의 토클립 페달은 실외자전거인 경우에는 주행하면서 신발을 토클립에 삽입한다는 점과, 응급상황 발생 시에 페달로부터 발을 신속하게 분리할 수 없어서 자전거 등과 함께 넘어져서 부상을 입을 수 있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다. 즉, 기존 토클립-페달은 평상시 토클립이 아래로 회전되어 있기 때문에 신발을 끼울 경우에는, 신발 끝으로 토클립을 회전시켜서 신발을 끼우고, 한쪽 페달로는 주행하면서, 다른쪽 페달을 회전시켜서 신발을 끼우고, 또한 이탈되지 않도록 주행하면서 스트랩(strap)을 조여서 페달에 안착시켜서 페달링을 진행한다. 발을 뺄 경우에는 조여진 스트랩을 풀어서 신발을 빼고, 다른 한쪽도 동일한 방법으로 페달로부터 발을 이탈시킨다.Current toe clip pedals have fatal disadvantages in that shoes are inserted into the toe clip while riding in the case of outdoor bicycles, and that feet cannot be quickly separated from the pedals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which can cause injuries by falling along with the bicycle. there was. In other words, since the existing toe clip-pedal normally rotates the toe clip downward, when inserting shoes, rotate the toe clip with the tip of the shoe to insert the shoe, drive with one pedal, and rotate the other pedal. Pedaling is performed by inserting the shoes and tightening the strap while riding so as not to be separated so that the shoes are seated on the pedals. When you take your foot off, remove the shoe by loosening the fastened strap, and then release the foot from the pedal in the same way on the other side.
이와 같이 토클립 페달을 착탈하는 방법은 고도의 숙달된 레이서나, 애호가가 아닌 일반 주행자에게는 취급상의 복잡함으로 인하여 레이서나 또는 숙달 훈련된 자전거 애호가 이외의 일반자전거 애용자에게는 접근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다만 실내자전거의 경우에는 안정된 정지된 상태에서 토클립을 끼우고, 정지된 상태에서 안전하게 토크립에서 발을 이탈할 수 있기 때문에 남녀노소가 편리하게 이용하는 실내자전거 대부분은 토클립이 장착된 페달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This method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toe clip pedal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for a highly skilled racer or a general cyclist other than a racer or a skilled cyclist to access due to the complexity of handling to a general cyclist who is not a hobbyist. , However, in the case of indoor bicycles, most indoor bicycles that are conveniently used by men and women of all ages use pedals equipped with toeclips because you can insert the toeclip in a stable stopped state and safely release your feet from the torque lip in the stopped state. currently in use.
그러나 실내자전거에 장착된 토클립 페달의 경우에는, 효과 면에서 누르고 미는 힘의 전달효율 면에서는 우수하나, 당기는 힘의 전달효율 면에 있어서는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한다. 실외자전거에 장착된 토클립 페달의 경우에는, 당기는 힘의 전달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스트랩을 사용하고 있으며, 스트랩의 조임 정도에 따라 힘의 전달효율이 상이하다. 그러나 시계 시침방향 6시 이후의 당기는 힘에 대한 관성력을 높이기 위하여 스트랩을 단단히 조여서 발을 페달에 밀착시키면, 당기는 전달력은 어느 정도 얻을 수 있으나 장시간 페달링 하기에는 발의 저림으로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토클립 페달의 사용은 착탈이 어렵고, 안전상의 문제, 고가 등으로 보편화하는 데는 제한적이다.However, in the case of a toe clip pedal mounted on an indoor bicycle, it is excellent in terms of transmission efficiency of pressing and pushing force in terms of effect, but is not very helpful in terms of transmission efficiency of pulling force. In the case of a toe clip pedal mounted on an outdoor bicycle, a strap is used to increase the transmission efficiency of the pulling force, and the transmission efficiency of the forc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degree of tightening of the strap. However, in order to increase the inertial force for the pulling force after 6 o'clock in the clockwise direction, if the strap is tightly tightened and the foot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edal, the pulling transmission force can be obtained to some extent, but it is difficult to pedal for a long time due to numbness of the foot, as a result The use of toeclip pedals is difficult to attach and detach, and is limited in generalization due to safety problems and high price.
또한, 토클립 페달이나, 실내자전거에서 사용하는 발걸이 페달의 경우는, 그런대로 평상시에 수평으로 밸런스가 맞추어져 있고, 발을 끼우고 빼는(삽입/분리) 경우에 어려움이 없으며, 좌우 페달링 역시도 사각 위치에서도 끌어 올리고, 발을 페달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키는데 효과가 있기 때문에 실내자전거에서는 거의 대부분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일반자전거 뿐만 아니라 MTB 및 경주용에서도 많이 애용하고 있는 실정이고, 클릿슈즈에 비하여 밀고, 끌어 올리는 데는 효과적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oe clip pedals or footrest pedals used in indoor bicycles, they are normally balanced horizontally, there is no difficulty in inserting and removing (inserting/removing) the foot, and left and right pedaling is also in a blind position. Since it is effective in lifting and stably positioning the feet on the pedals, it is almost always used in indoor bicycles, and is widely used in MTB and racing as well as general bicycles. effective for
그러나, 가속이 필요한 경우인 당기는(시계방향 6시~ 9시) 각도에서는 힘의 전달력이 없고 다른 편 페달의 미는 힘으로 회전되므로 가속력이 떨어지고 운동 효과면에서도 그만큼 적어지게 됨으로 한계가 있다. 또한 실내자전거의 클립페달의 경우 평상시에 수평 밸런스를 유지시키기 위해서 무거운 추가 페달 하부면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무게면에서도 매우 무겁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at the pulling angle (6 o'clock to 9 o'clock in the clockwise direction), where acceleration is required, there is no power transmission, and since it is rotated by the pushing force of the other pedal, the acceleration force is reduced and the exercise effect is reduced by that much, so there is a limit.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lip pedal of an indoor bicycle, it is very heavy in terms of weight because a heavy additional pedal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edal to maintain horizontal balance in normal times.
한편, 클릿페달(Cleat pedal)/클릿슈즈(cleat shoes)의 경우는, 특정 위치(안장)에서 페달링을 하면서 누르고, 밀고 당기는 힘의 전달 효율이 우수하기 때문에 전달 효율면에서는 이상적이나, 클릿페달과 클릿슈즈가 고가이기 때문에 일반인이 이용하기에는 가격면에서 부담이 클 뿐만 아니라, 가장 중요한 착탈동작인 페달클릿에 신발을 끼우고, 위험시에 페달클릿으로부터 이탈하는 동작의 복잡함으로 인하여 사용면에서 레이서나 숙달 훈련된 자전거 애호가 이외의 일반자전거 애용자에게는 불편한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leat pedals/cleat shoes, they are ideal in terms of transmission efficiency because they are excellent in transmission efficiency of pressing, pushing, and pulling forces while pedaling at a specific position (saddle). Since cleat shoes are expensive, it is not only expensive for the general public to use, but also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operation of inserting shoes into the pedal cleats, which is the most important attachment and detachment operation, and separating from the pedal cleats in case of danger, it is difficult for racers and It is an inconvenient situation for general bicycle users other than those who have been trained for mastery.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는, 남녀노소 누구나 자전거를 탈수 있는 사람이라면, 밸런스가 유지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의 페달에 신발을 올려놓으면, 자동으로 클릿슈즈를 착용한 것처럼 발걸이가 발등을 조여서 페달에 신발이 견고하게 묶여진 상태에서 페달링을 할 수 있고, 내리려고 발을 떼면, 자동으로 신속하게 발걸이가 발등으로부터 해제되어 안전하게 발을 내릴 수 있는 자동클립페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caused by the prior art,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balance is maintained, if anyone can ride a bicycle, regardless of gender or age. When you put your shoes on the pedals, the footrest automatically tightens the instep as if you were wearing cleat shoes, so you can pedal while the shoes are firmly tied to the peda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that can safely lower the foo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는, 착탈의 어려움 없이 누구나 쉽게 페달에 발을 올려만 놓으면 발걸이가 채워지고, 언제든지 발을 떼고 싶으면 이탈되는 모드로서, 더욱이 평상시에도 수평으로 밸런스가 유지되어 있고, 자신의 발에 맞게 조정되어 있는 페달상판의 누름판에 발을 올려 놓으면, 스트랩 없이 발걸이가 채워져서 페달을 누르고, 밀고, 당기는 페달링이 클릿슈즈를 착용한 것과 같이 전방위적으로 힘이 전달되어 안전하고, 효율적인 페달링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자동클립페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de in which the footrest is filled when anyone easily puts their foot on the pedal without difficulty in attaching and detaching, and is released when they want to take their foot off at any time. , If you put your foot on the pressure plate of the pedal top plate adjusted to fit your foot, the footrest is filled without a strap, so the pedaling that presses, pushes, and pulls the pedal is transmitted in all directions as if wearing cleat shoes, making it safe and secu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capable of obtaining an efficient pedaling exercise effe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는, 남녀노소, 누구나 숙달 없이도 자전거 주행이 가능한 모든 애용자에게, 페달에 발을 올려놓음과 동시에 클릿페달의 클릿슈즈를 착용한 것과 같이 페달에 신발이 편리하게 견고하게 묶이게 되고, 위험시나 내릴시에는 페달에서 발을 옮기면(발을 떼면) 자동적으로 발걸이가 해제되어 이탈할 수 있기 때문에 미숙달된 자전거 애용자에게 선망의 대상인 페달의 누르고, 밀고, 당기는 힘의 전달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주행의 효율제고는 물론 그에 따른 장딴지, 허벅지, 엉덩이 등의 운동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자동클립페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ll users of all ages and genders, who can ride a bicycle without any skill, puts their feet on the pedals and at the same time puts their shoes on the pedals conveniently and firmly, as if wearing the cleat shoes of the clip pedals. In case of danger or dismounting, if you move your foot from the pedal (remove your foot), the footrest is automatically released and you can escape, so you can transfer the power of pressing, pushing, and pulling the pedal, which is an object of envy to inexperienced cyclists. Since it can be improv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capable of maximizing the exercise effect of the calves, thighs, buttocks, etc. as well as improving driving efficiency.
아울러, 실내 및 실외자전거에 적용되는 토클립 페달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는 착탈의 용이성은 물론 실내자전거 뿐만 아니라 실외자전거에도 보편화 될 수 있는 자동클립페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compared to toe clip pedals applied to indoor and outdoor bicycles,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purpose of providing 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that can be universally used not only for indoor bicycles but also for outdoor bicycles as well as ease of attachment and detachment. .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는, 신발바닥이 접촉하는 바닥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페달과; 상기 페달에 올려진 발등을 감싸기 위한 발걸이와; 상기 발걸이의 일측부와 결합되어 발걸이를 회전하기 위한 발걸이회전부; 및 상기 발걸이의 타측부를 체결하기 위한 발걸이체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dal having a protrusion formed on a bottom surface contacting a sole of a shoe; a footrest for wrapping the instep of the foot on the pedal; A footrest rotating unit coupled to one side of the footrest to rotate the footrest; And a footrest fastening part for fastening the other side of the footres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걸이회전부는, 상기 페달이 회전되는 페달회전축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발걸이회전축과; 상기 발걸이회전축에 끼워져서 형성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려서 형성되는 랙기어; 및 상기 랙기어의 상부에 결합되는 누름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trest rotation unit includes a footrest rotation shaft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pedal rotation shaft through which the pedal is rotated; a pinion gear form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footrest rotating shaft; a rack gear formed by meshing with the pinion gear; and a pressing plat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rack gea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의 발걸이는, 상기 발걸이의 일측부로서 상기 발걸이를 하방에서 상방으로 또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회전하기 위하여 발걸이회전부에 체결되는 발걸이연결판과; 상기 페달에 올려진 발등에 접촉하여 감싸기 위한 발걸이발등부; 및 상기 발걸이의 타측부로서 상기 발걸이를 잠금 및 해제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발걸이체결부에 체결되는 오목체결부;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otrest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otrest connection plate fastened to a footrest rotating part to rotate the footrest from bottom to top or from top to bottom as one side of the footrest; A footrest for wrapping the foot in contact with the foot placed on the pedal; And a concave fastening part fastened to the footrest fastening part in order to switch the footrest to a locking and unlocking state as the other side of the footrest.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including.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는, 상기 페달의 상부면보다 높게 위치한 발걸이회전부의 누름판을 누르면, 상기 누름판 하부에 결합된 렉기어가 수직 하방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랙기어와 톱니로 맞물린 피니언기어가 회전하면서 피니언기어의 발걸이회전축에 일측부가 결합된 발걸이도 하방에서 상방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발걸이의 타측부가 상기 발걸이체결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essing plate of the footrest rotating part locat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pedal is pressed, the rack gear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pressing plate moves vertically downward, and the pinion gear meshed with the rack gear rotat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side of the footrest is fastened to the footrest fastening part while rotating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footrest coupled to the footrest rotation shaft of the pinion gear.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에서, 상기 페달은, 상기 페달을 회전하기 위한 페달회전축과 상기 페달회전축을 지지하는 좌지지축 및 우지지축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축을 포함하는 페달프레임과; 상기 페달프레임의 일측 지지축 끝단부를 감싸도록 전방테두리와 후방테두리 및 전방테두리와 후방테두리를 연결하는 측방테두리로 이루어지도록‘ㄷ'자형으로 형성되며, 전방테두리의 일부에는 상부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되는 톱니형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페달테두리; 및 상기 페달프레임의 상부측을 덮기 위한 페달상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낟.In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edal includes a pedal frame including a pedal rotation shaft for rotating the pedal and a support shaft including a left support shaft and a right support shaft for supporting the pedal rotation shaft; It is formed in a 'c' shape so as to surround the end of one side of the support shaft of the pedal frame and consists of a front rim, a rear rim, and a side rim connecting the front rim and the rear rim, and a part of the front rim is formed to face upward A pedal rim having a serrated protrusion; And a pedal top plate for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pedal fram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grai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페달은, 상기 페달로부터 후방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하되 끝단부에 형성되는 멈춤부를 구비하는 조정용발판; 및 상기 조정용발판을 지지하며 조정용발판의 길이를 조정하도록 페달테두리에 고정 체결되어 형성되는 발판조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edal is formed to extend in the rear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pedal, but the adjustment footrest having a stopping portion formed at the end; and a footrest adjusting unit formed by fixing and fastening to the rim of the pedal to support the footrest for adjustment an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footrest for adjustme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발걸이는, 상기 발걸이의 일측부로서 상기 발걸이를 하방에서 상방으로 또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회전하기 위하여 상기 페달테두리의 측방테두리에 고정 결합되는 발걸이회전부에 체결되는 발걸이연결판과; 상기 페달에 올려진 발등에 접촉하여 감싸기 위한 발걸이 발등부; 및 상기 발걸이의 타측부로서 상기 발걸이를 잠금 및 해제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발걸이체결부에 체결되는 오목체결부;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trest, as one side of the footrest, is fastened to the footrest rotation part fixedly coupled to the side rim of the pedal rim to rotate the footrest from bottom to top or from top to bottom; Footrest instep for wrapping in contact with the instep placed on the pedal; And a concave fastening part fastened to the footrest fastening part in order to switch the footrest to a locking and unlocking state as the other side of the footres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발걸이회전부는, 상기 페달이 회전되는 페달회전축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발걸이회전축과; 상기 발걸이회전축에 끼워져서 형성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려서 형성되는 랙기어; 및 상기 랙기어의 상부에 결합되는 누름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trest rotation unit, and the footrest rotation shaft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pedal rotation shaft and the pedal is rotated; a pinion gear form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footrest rotating shaft; a rack gear formed by meshing with the pinion gear; and a pressing plat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rack gea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발걸이회전부는, 신발이 페달에 접촉되거나, 신발이 페달로부터 분리될 경우에 직접적으로 동작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하방으로 수직 운동을 진행하는 랙기어부; 및 상기 랙기어부와 상호 톱니에 의하여 맞물려서 회전되는 피니언기어부;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trest rotation unit, the shoe is in contact with the pedal, or when the shoe is separated from the pedal, the pressing plate is operated directly; a rack gear unit that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plate and vertically moves up and down; and a pinion gear part engaged with the rack gear part and rotated by mutual teeth.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including.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누름판은, 상기 누름판의 중심부에 구비된 누름판 연결부를 통하여 체결부재에 의하여 랙기어부에 체결되어 고정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 plate is fastened to and fixed to the rack gear unit by a fastening member through a press plate connecting part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press plat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랙기어부는, 상기 누름판이 체결되는 원기둥의 랙기어막대와, 상기 랙기어막대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부착되어 상하 직선 왕복운동을 진행하는 톱니형상으로 형성되는 랙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원기둥의 랙기어막대는, 상기 랙기어가 부착된 위치를 기준으로 하부로부터 절반정도의 길이의 중공부로 막대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ck gear unit includes a cylindrical rack gear rod to which the pressing plate is fastened, and a rack gear integrally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ack gear rod and formed in a sawtooth shape to perform vertical linear reciprocating motion. The columnar rack gear ro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d hollow part is formed as a hollow part about half the length from the lower part based on the position where the rack gear is attached.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는, 상기 랙기어부가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상하 직선 왕복운동을 진행하도록 안내하는 사각관이 더 구비된다.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quare tube for guiding the rack gear unit to perform vertical linear reciprocating motion in a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랙기어부를 안내하는 사각관은, 상기 랙기어부의 랙기어막대를 안내하기 위하여 내부가 원통형의 중공부로 형성되는 원통중공부와; 상기 랙기어부의 랙기어막대에 부착된 랙기어를 안내하기 위하여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부; 및 상기 슬롯부의 최상부에는 슬롯부에 끼워지는 랙기어가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이탈방지턱;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quare tube for guiding the rack gear part includes: a cylindrical hollow part having a cylindrical hollow part inside to guide the rack gear rod of the rack gear part; a slot part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surface to guide the rack gear attached to the rack gear rod of the rack gear part; and a release prevention bump formed at the top of the slot portion so that the rack gear inserted into the slot portion is not separated.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각관은, 상기 랙기어부의 원기둥의 랙기어막대가 원활하게 상기 원통중공부의 내부를 따라 안내되어 상하 직선 왕복운동을 진행하기 위하여 상기 원통중공부 내부에 자유 회전되도록 복수 개의 쌍으로 형성되는 롤러와; 상기 사각관의 원통중공부에 하방에서 상방으로 랙기어가 부착된 원기둥의 랙기어막대 및 압축스프링이 삽입된 후에 사각관 하부 밑바닥이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quare tube, a plurality of rack gear rods of the rack gear part are freely rotated inside the cylindrical hollow part so that the rack gear rod of the rack gear part is smoothly guided along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hollow part to perform vertical linear reciprocating motion. rollers formed in pairs of dogs; A cylindrical rack gear bar to which rack gears are attach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a compression spring are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hollow part of the square tube, and then a cover portion to which a lower bottom of the square tube is fastened by a fastening member is includ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피니언기어부는, 상기 페달이 회전되는 페달회전축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발걸이회전축과; 상기 발걸이회전축에 끼워져서 랙기어부에 형성되는 랙기어와 톱니로 맞물려서 회전운동을 진행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발걸이회전축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전방하우징과; 상기 발걸이회전축의 타측부에 형성되는 후방하우징과; 상기 발걸이회전축의 전방하우징 및 후방하우징에 끼워져서 일측부가 부착된 발걸이를 하방에서 상방으로 회전이동 진행되도록 형성되는 회전브라켓; 및 상기 발걸이회전축의 회전이 유지하도록 일측은 상기 발걸이회전축의 중심부에 끼워지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타측은 끝단부가 페달테두리의 측방테두리에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nion gear portion, and the footrest rotation shaft formed perpendicular to the pedal rotation shaft and the rotation of the pedal; a pinion gear inserted into the footrest rotating shaft and meshed with a rack gear formed in the rack gear part through teeth to perform a rotational motion; a front housing formed on one side of the footrest rotating shaft; a rear housing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ootrest rotating shaft; Rotating brackets inserted into the front and rear housings of the footrest rotating shaft so that the footrest to which one side is attached rotat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one side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be fitted in the center of the footrest rotation shaft to maintain the rotation of the footrest rotation shaft, and the other sid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bracket formed so that the end is fastened to the side edge of the pedal edg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랙기어부의 전방하우징은, 발걸이회전축에 고정되도록 발걸이회전축에 끼우지는 피니언기어후방에 끼워지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을 고정하도록 끼우지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랙기어부의 후방하우징은, 발걸이회전축에 고정되도록 발걸이회전축에 끼워지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을 고정하도록 끼우지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housing of the rack gear unit includes a bearing fitted to the rear of the pinion gear fitted to the footrest rotation shaft to be fixed to the footrest rotation shaft and a retainer fitted to fix the bearing, and the rear housing of the rack gear unit includes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earing inserted into the footrest rotation shaft so as to be fixed to the footrest rotation shaft, and a retainer fitted to fix the bearing.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발걸이회전축에 고정 형성되는 회전브라켓은, 상기 전방하우징에 끼워서 맞춤하는 사다리꼴 형상의 전방측면과 후방하우징에 끼워서 맞춤하는 사다리꼴 형상의 후방측면 및 상기 전방측면과 후방측면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밑면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밑면연결부에는 양측에는 연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발걸이의 발걸이연결판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발걸이연결부와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bracket fixedly formed to the footrest rotation shaft is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trapezoidal shape fitted to the front housing and the rear side of the trapezoidal shape fitted to the rear housing and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It includes a bottom connection portion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ion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connection portion to be fastened by a footrest connection portion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ootrest connection plate of the footrest and a fastening member.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피니언기어부를 고정하는 고정브라켓은, 상기 발걸이회전축의 중심부에 끼워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에 연장되어 상기 발걸이회전축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부재에 의하여 조여지는 조임부; 및 상기 조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페달테두리의 측방테두리에 고정 연결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bracket for fixing the pinion gear portion includes a fitting portion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be fitted into the center of the footrest rotating shaft; A tightening portion extended by the fitting portion and tightened by a fastening member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footrest rotating shaft; and a coupl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tightening portion and fixedly connected to the lateral rim of the pedal rim.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는, 남녀노소 누구나 자전거를 탈수 있는 사람이라면, 밸런스가 유지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의 페달에 신발을 올려놓으면, 자동으로 클릿슈즈를 착용한 것처럼 발걸이가 발등을 조여서 페달에 신발이 견고하게 묶여진 상태에서 페달링을 할 수 있고, 내리려고 발을 떼면, 자동으로 신속하게 발걸이가 발등으로부터 해제되어 안전하게 발을 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erson of all ages and gender can ride a bicycle, puts his/her shoes on the pedal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 the balance is maintained, the foot rests automatically as if wearing clip shoes. By tightening the top of the wig, you can pedal while the shoe is firmly tied to the pedal, and when you take your foot off to get off, the footrest is automatically and quickly released from the top of your foot, so you can safely lower your foo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는, 착탈의 어려움 없이 누구나 쉽게 페달에 발을 올려만 놓으면 발걸이가 채워지고, 언제든지 발을 떼고 싶으면 이탈되는 모드로서, 더욱이 평상시에도 수평으로 밸런스가 유지되어 있고, 자신의 발에 맞게 조정되어 있는 페달상판의 누름판에 발을 올려 놓으면, 스트랩 없이 발걸이가 채워져서 페달을 누르고, 밀고, 당기는 페달링이 클릿슈즈를 착용한 것과 같이 전방위적으로 힘이 전달되어 안전하고, 효율적인 페달링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de in which the footrest is filled when anyone easily puts their foot on the pedal without difficulty in attaching and detaching, and is released when they want to take their foot off at any time. , If you put your foot on the pressure plate of the pedal top plate adjusted to fit your foot, the footrest is filled without a strap, so the pedaling that presses, pushes, and pulls the pedal is transmitted in all directions as if wearing cleat shoes, making it safe and secure. , efficient pedaling exercise effect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는, 남녀노소, 누구나 숙달 없이도 자전거 주행이 가능한 모든 애용자에게, 페달에 발을 올려놓음과 동시에 클릿페달의 클릿슈즈를 착용한 것과 같이 페달에 신발이 편리하게 견고하게 묶이게 되고, 위험시나 내릴시에는 페달에서 발을 옮기면(발을 떼면) 자동적으로 발걸이가 해제되어 이탈할 수 있기 때문에 미숙달된 자전거 애용자에게 선망의 대상인 페달의 누르고, 밀고, 당기는 힘의 전달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주행의 효율제고는 물론 그에 따른 장딴지, 허벅지, 엉덩이 등의 운동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ll users of all ages and genders, who can ride a bicycle without any skill, puts their feet on the pedals and at the same time puts their shoes on the pedals conveniently and firmly, as if wearing the cleat shoes of the clip pedals. In case of danger or dismounting, if you move your foot from the pedal (remove your foot), the footrest is automatically released and you can escape, so you can transfer the power of pressing, pushing, and pulling the pedal, which is an object of envy to inexperienced cyclists. Since it can be improved, driv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as well as exercise effects such as calves, thighs, and buttocks can be maximized accordingly.
현재 실내자전거에만 적용되던 토클립 페달에 비하여 업그레이드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는 미끄러짐 없이 신발을 페달에 안정적으로 유지(retaining)시켜서 페달링에 의한 동력전달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페달로부터의 착탈이 신속하고 용이함으로 인하여 실내자전거 뿐만 아니라 실외자전거에도 보편화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Compared to toe clip pedals currently applied only to indoor bicycles,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been upgraded, can stably retain shoes on the pedals without slipping, thereby significantly improving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by pedaling. Due to the quick and easy attachment and detachment from the pedal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niversalized not only for indoor bicycles but also for outdoor bicycles.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해체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체결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해체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체결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의 페달프레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의 페달프레임의 상부를 덮어서 체결되는 페달상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해체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에 대한 후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체결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에 대한 후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해체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에 대한 우측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체결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에 대한 우측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해체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해체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체결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체결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에서 랙기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분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에서 다른 각도에서 랙기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분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에서 누름판이 누름상태(발걸이가 체결상태)알 경우에 랙기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에서 누름판이 누름상태(발걸이가 체결상태)알 경우에 랙기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에서 누름판이 당김상태(발걸이가 해체상태)일 경우에 랙기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에서 누름판이 당김상태(발걸이가 해체상태)일 경우에 랙기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의 피니언기어부에 회전브라켓 및 고정브라켓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의 피니언기어부에 회전브라켓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의 피니언기어부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의 고정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해체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해체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체결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체결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해체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에 대한 좌측면도이다.
도 15b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체결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에 대한 좌측면도이다.
도 16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의 발걸이체결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6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의 발걸이체결부에 대한 상세 분해도이다.
도 16c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의 발걸이체결부에서 잠금부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7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에서 발걸이가 발걸이체결부에서 해제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7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에서 발걸이가 발걸이체결부에 체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7c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에서 발걸이가 발걸이체결부로부터 해제되는 순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1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in a state in which a footrest is dismantled from a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in a state in which a footrest is fastened to a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footrest is dismantled from the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in a state where the footrest is fastened to the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plan view showing the pedal frame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plan view showing a pedal top plate fastened by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a pedal frame of 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 rear view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footrest is dismantled from the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rear view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footrest is fastened to the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 right side view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footrest is dismantled from the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 right side view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in a state where the footrest is fastened to the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footrest is dismantled from the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 rear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footrest is dismantled from the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a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in a state where the footrest is fastened to the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b is a rear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in a state where the footrest is fastened to the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A is a detailed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the rack gear part in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B is a detailed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the rack gear part from another angle in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A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ack gear unit when the pressing plate is pressed (the footrest is engaged) in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B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ack gear unit when the pressing plate is pressed (the footrest is engaged) in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A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ack gear unit when the pressing plate is pulled (the footrest is dismantled) in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B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ack gear unit when the pressing plate is pulled (the footrest is disassembled) in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otating bracket and a fixing bracket are mounted on a pinion gear unit of 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b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bracket is mounted on the pinion gear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a is an exploded view of the pinion gear part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bracket of 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a is a bottom view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footrest is dismantled from the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b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footrest is dismantled from the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a is a bottom view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in a state where the footrest is fastened to the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b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in a state where the footrest is fastened to the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A is a left side view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footrest is dismantled from the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B is a left side view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in a state where the footrest is fastened to the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a is a side view showing a footrest fastening part of 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B is a detailed exploded view of the footrest fastening part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c is a detailed view of the locking part in the footrest fastening part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A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ootrest is released from the footrest fastening part in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B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ootrest is fastened to a footrest fastening part in 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C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at the moment when the footrest is released from the footrest fastening part in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s in all the following drawings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petitive descriptions are omitted, and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onforms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pecifies that the concept should be interpreted in its own current meaning.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intervening elements exist.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refer to a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follow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than specified.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defined otherwise.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해체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체결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해체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체결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의 페달프레임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의 페달프레임의 상부를 덮어서 체결되는 페달상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1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in a state in which a footrest is dismantled from a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B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in a state in which a footrest is fastened to a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footrest is dismantled from the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in a state where the footrest is fastened to the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plan view showing a pedal frame of 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plan view showing a pedal top plate fastened by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pedal frame of 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10)는, 신발바닥이 접촉하는 페달(100)과, 페달(100)에 올려진 발등을 감싸서 조이기 위한 발걸이(200)와, 상기 페달(100)에 지지되고 상기 발걸이(200)의 일측부와 연결되어 상기 발걸이(200)를 하방에서 상방으로 또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회전하기 위한 발걸이회전부(300), 및 상기 발걸이(200)의 타측부를 착탈(잠금/해제)하기 위한 발걸이체결부(400)로 형성된다.As shown, the automatic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10)는, 도 1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페달과 동일한 형태로써 기초프레임으로써 페달프레임(110)과 페달테두리(120)를 구비한 페달(100)과, 이에 부가하여 발을 지지하여 페달링을 원활하게 하도록 페달(10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조정용발판(130)과, 상기 조정용발판(130) 끝단부에 형성되는 멈춤부(140) 및 상기 조정용발판(130)을 지지하면서 길이를 조정하도록 형성되는 발판조정부(150)를 구비하며, 이에 부가하여 상기 페달프레임(110)의 상부를 커버하는 페달상판(160)을 더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A to 3B, the automatic
보다 상세하게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페달프레임(110)은, 페달(100)의 회전축으로서 페달(100)이 회전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페달회전축(111)과 상기 페달회전축(111)을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지지축(112)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축(112)은 상기 페달회전축(111)의 중심으로부터 좌지지축(112-1)과 우지지축(112-2)을 구비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A, the
또한, 상기 페달테두리(120)는, 지지축(112)의 양끝단부를 감싸는 형태로써 “ㄷ”자형으로 형성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페달테두리(120)는 전방테두리(121)와, 후방테두리(122) 및 전방테두리(121)와 후방테두리(122)를 연결하는 측방테두리(123)로 형성되며, 상기 전방테두리(121)에는 상부방향으로 톱니모양의 돌출부(121-1)가 복수 개 형성되어 신발바닥이 페달(100)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조정용발판(130)은, 상기 페달(100)로부터 후방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발을 편안하게 올려놓고 페달링을 강화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구조로서, 상기 페달테두리(120)의 후방테두리(122) 면상에 체결부재에 의하여 고정 체결되는 발판조정부(150)에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설되면서 지지되도록 한다.The
또한, 상기 조정용발판(130)의 끝단부에는 발뒤꿈치가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형성되는 멈춤부(140)가 구비된다. 아울러, 신발의 크기에 따라 적합하게 사이즈를 조정하기 위하여 조정용발판(130)을 발판조정부(150)의 내부로 유도되어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조정하여 발뒤꿈치가 멈춤부(140)에 접촉되어 피팅되도록 알맞게 조정한 후에, 알맞게 조정된 사이즈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조정용발판(130)에 구비된 조정홈(135)과 발판조정부(150) 하부에 구비된 조정홀(155)을 통하여 체결부재로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
한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페달프레임(110)의 좌지지축(112-1)과 우지지축(112-2)에는 복수 개의 나사구멍을 형성하여 “ㄷ”자형의 페달테두리(120) 내측부를 따라 페달의 상부측을 덮기 위한 페달상판(160)을 나사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하여 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신발바닥이 접촉하는 바닥면인 페달상판(160) 일부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돌기부(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페달상판(160)의 일측부에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홈을 형성하여 후술되는 발걸이회전부(300)의 누름판(210)이 위치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B, a plurality of screw holes are formed in the left support shaft 112-1 and the right support shaft 112-2 of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10)에서, 페달에 발이 접촉하는 발등을 감싸서 묶여지도록 조이기 위한 발걸이(2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in the automatic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해체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에 대한 후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체결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에 대한 후면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해체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에 대한 우측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체결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에 대한 우측면도이다.Figure 4a is a rear view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footrest is dismantled from the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rear view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footrest is fastened to the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 right side view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footrest is disassembled from the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B is a right side view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footrest is fastened to the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에서, 도 1a 내지 도 2b 및 도 4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걸이(200)는, 페달(100)의 전방테두리(121)와 페달상판(160)과 조정용발판(130) 및 멈춤부(140)에 올려진 발등을 감싸서 페달(100)에 견고하게 조여서 묶여지도록 형성되는 구조이다.In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A to 2B and 4A to 5B, the
따라서, 상기 발걸이(200)의 형상은, 발등의 형상과 유사하게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발걸이(200)의 일측부로서 상기 페달(100)의 하방에 젖혀진 발걸이(200)를 하방에서 상방으로 또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회전하기 위한 발걸이회전부(300)에 부착하기 위하여 발걸이연결부(311)를 통하여 체결되는 발걸이연결판(310)과, 상기 발걸이(200)의 중앙부로서 발등을 감싸는 발걸이 발등부(220), 및 상기 발걸이의 타측부로서 상기 발걸이(200)를 잠금/해제(착탈)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발걸이체결부(400)에 체결되는 오목체결부(23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refore, the shape of the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10)에서 발걸이(200)의 오목체결부(230)가 발걸이체결부(400)에 체결 및 해체되는 세부적인 동작과정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발걸이체결부(400)의 상세 구조에서 발걸이(200)가 발걸이체결부(400)에서 해제된 상태, 발걸이(200)가 발걸이체결부(400)에 체결된 상태, 및 발걸이(200)가 발걸이체결부(400)로부터 해제되는 순간의 상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automatic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10)에서, 페달(100)에 지지되어 상기 발걸이(200)를 하방에서 상방으로 또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회전하기 위한 발걸이회전부(3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in the automatic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해체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해체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체결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체결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배면도이다.Figure 6a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footrest is dismantled from the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 rear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footrest is dismantled from the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a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ide of 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in a state in which a footrest is fastened to a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b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ide of 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in a state in which a footrest is fastened to a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rear view show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걸이회전부(300)의 랙기어부(320)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은 다음과 같다.In addition, drawings for explanation of the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에서 랙기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분해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에서 다른 각도에서 랙기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분해도이며, 또한,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에서 누름판이 누름상태(발걸이가 체결상태)알 경우에 랙기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에서 누름판이 누름상태(발걸이가 체결상태)알 경우에 랙기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에서 누름판이 당김상태(발걸이가 해체상태)일 경우에 랙기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고,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에서 누름판이 당김상태(발걸이가 해체상태)일 경우에 랙기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8A is a detailed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the rack gear part in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B is a detailed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the rack gear part from another angle in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a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ack gear unit when the presser plate is pressed (the footrest is engaged) in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A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ack gear unit in a pressed state (a footrest is engaged), and FIG. 10A is a side view of the rack gear unit in 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pulled state (a footrest is disassembled). 10B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and FIG. 10B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ack gear unit when the pressing plate is pulled (the footrest is dismantled) in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걸이회전부(300)의 피니언기어부(340)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은 다음과 같다.In addition, drawings for explanation of the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의 피니언기어부에 회전브라켓 및 고정브라켓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의 피니언기어부에 회전브라켓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의 피니언기어부에 대한 분해도이고,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의 고정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3a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해체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에 대한 저면도이고,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해체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저면도이며,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체결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에 대한 저면도이고, 도 14b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체결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저면도이다.1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otating bracket and a fixed bracket are mounted on the pinion gear of 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tion bracket mounted on the pinion gear of 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a is an exploded view of the pinion gear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xing bracket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a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ottom view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footrest is dismantled from the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b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footrest is dismantled from the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a is a bottom view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in a state in which a footrest is fastened to a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걸이회전부(300)는, 발이 페달에 접촉되거나, 발이 페달로부터 분리될 경우에 직접적으로 동작되는 누름판(310)과, 상기 누름판(3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하방으로 수직 운동을 진행하는 랙기어부(320)와, 상기 랙기어부(320)와 상호 톱니에 의하여 맞물려서 회전되는 피니언기어부(340)로 이루어져서 발걸이회전부(300)에 체결되어 부착되어 페달(100)의 하방으로 젖혀진 상태의 발걸이(200)를 상부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켜서 페달(100)에 올려진 발등을 감싸서 페달링 운동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the
도 6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10)에서 발걸이회전부(300)의 랙기어부(320)는, 상기 페달프레임(110) 중 전방테두리(121)에 고정 부착되어 동작된다.As shown in FIGS. 6A to 7B , in the automatic
또한, 도 11a 내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10)에서 발걸이회전부(300)의 피니언기어부(340)는, 상기 페달프레임(110) 중에서 측방테두리(123)에 고정 부착되어 동작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1A to 12B, in the automatic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10)의 발걸이회전부(300)에서, 상기 랙기어부(320)를 누르기 위한 누름판(310) 및 상기 누름판(3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하방 수직으로 직선운동을 진행하는 랙기어부(32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in the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10)의 발걸이회전부(300)는, 랙기어부(320)를 누르기 위한 누름판(310)이, 페달(100)에서 페달상판(160)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홈에 위치한다. More specifically, in the
상기 누름판(310)은, 도 6a, 도 6b 및 도 9a, 도 9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신발을 페달에 올려놓지 않은 상태는 상기 페달상판(160)에서 발이 분리된 경우로서, 이는 상기 누름판(310)이 당겨진 상태로써 상기 사다리꼴 형상의 누름판(310)은 페달상판(160) 보다 상부 위로 솟아 올라온 상태에 위치하며, 이때 발걸이(200)는 페달(100)의 하방으로 젖혀져서 페달(100)에 올려진 발등으로부터 해체된 상태이다.As shown in FIGS. 6A, 6B, 9A, and 9B, the
이와는 반대로, 상기 누름판(310)은, 도 7a, 도 7b 및 도 10a,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을 페달에 올려놓은 상태는 상기 페달상판(160)에 신발바닥이 접촉된 밟은 상태인 경우로서, 이는 상기 누름판(310)이 눌려진 상태로써 상기 사다리꼴 형상의 누름판(310)의 상부면이 페달상판(160)의 면과 동일하게 위치하며, 이때 발걸이(200)는 페달(100) 상방에 위치하여 페달(100)에 올려진 발등을 감싸서 페달(100)에 타이트하게 조여진 체결상태이다.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S. 7A, 7B, 10A, and 10B, the
상기 누름판(310)은, 도 8a, 및 도 8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판(310)의 중심부에 구비된 누름판 연결부(311)를 통하여 체결부재에 의하여 랙기어부(320)에 체결되어 고정된다.As shown in FIGS. 8A and 8B , the
상기 랙기어부(320)는, 상기 누름판(310)이 체결되는 원기둥의 랙기어막대(321)와, 상기 랙기어막대(321)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부착되어 상하 직선 왕복운동을 진행하는 톱니형상으로 형성되는 랙기어(323)를 구비하며, 이때, 원기둥의 랙기어막대(321)는 상기 랙기어(323)가 부착된 위치를 기준으로 하부로부터 절반정도의 길이의 중공부로 형성되는 막대중공부(322)가 구비되어 후술되는 압축스프링(334)이 삽입되도록 한다.The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10)는, 상기 랙기어부(320)가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상하 직선 왕복운동을 진행하도록 안내(유도)하는 사각관(330)을 구비할 수 있다.The automatic
상기 사각관(330)의 외부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는 원통형의 중공부가 형성되는 원통중공부(331)를 구비하며, 상기 사각관(330)의 원통중공부(331) 내부로 유도되는 상기 랙기어부(320)가 상하 수직으로 직선 왕복운동을 진행하면서 상기 랙기어부(320)에 부착된 랙기어(323)의 톱니와 맞물려서 피니언기어부(340)가 회전운동을 진행한다.The outside of the
또한, 상기 사각관(330)의 일측면에는 랙기어(323)를 안내하는 슬롯부(332)가 구비되어 상기 랙기어부(320)의 랙기어(323)가 원활하게 수직방향으로 상하 직선 왕복운동을 진행한다. 아울러, 상기 사각관(330)의 원통중공부(331) 내부에는 자유 회전되도록 복수 개가 쌍으로 형성되는 롤러(234)를 구비하여 원기둥의 랙기어막대(321)가 상하 왕복 운동되도록 유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234)는 상기 사각관(330)의 원통중공부(331) 상부 및 하부에 두 곳에 각각 쌍으로 구비되어 롤러핀(미도시)으로 끼워져서 자유 회전됨으로써 상기 랙기어부(320)의 원기둥의 랙기어막대(321)가 원활하게 사각관(330)의 원통형 내부를 따라 안내되어 수직방향으로 상하 직선 왕복운동을 진행한다.In addition, a
상기 사각관(330)의 내부인 원통중공부(331)에 압축스프링(334)이 삽입된 상태에서, 사각관(330)의 원통중공부(331)에 삽입되어 끼워진 롤러(333)를 따라 상하 수직으로 진행하는 랙기어(323)가 부착된 원기둥의 랙기어막대(321)가 동시에 상기 슬롯부(332)를 따라 랙기어(323)가 상하 수직으로 직선운동을 진행한다.In the state where the
상기와 같이, 사각관(330)의 원통중공부(331)에 하방에서 상방으로 랙기어(323)가 부착된 원기둥의 랙기어막대(321)와 압축스프링(334)을 삽입한 후에는 사각관(330) 하부 밑바닥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덮개부(335)로 마감한다. 이때 상기 랙기어막대(321)는 상기 원통중공부(331)에 삽입되고, 상기 랙기어(323)는 슬롯부(332)로 삽입되어 상부방향으로 수직 이동하며, 또한, 상기 압축스프링(334)의 상부 측 일부는 랙기어막대(321)의 막대중공부(322)에 삽입됨과 동시에 압축스프링(334)의 하부는 사각관의 원통중공부(331)에 놓이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fter inserting the cylindrical
이때, 일체형으로 형성된 랙기어막대(331) 및 랙기어(332)는 롤러(333) 사이에서 압축스프링(334)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로 수직 왕복운동을 진행한다.At this time, the integrally form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10)의 발걸이회전부(300)에서, 페달에 발이 접촉하거나 발이 페달로부터 분리될 경우에 동작되는 누름판(310) 및 상기 누름판에 결합된 랙기어부(320) 및 상기 랙기어부(320)를 유도하는 사각관(330) 사이에 상호 동작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in the
도 9a, 도 9b 및 도 10a,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판(310)과 체결부재로 연결된 랙기어(332)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랙기어막대(331)는, 신발을 페달에 올려서 누름판(310)을 밟게 되면, 누름판과 연결된 원기둥 형상의 랙기어막대(331)가 롤러(333)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랙기어막대(321)의 막대중공부(322) 및 사각관(330)의 원통중공부(331)에 걸쳐서 삽입되어 있던 압축스프링(334)이 압축상태로 되며, 이와 같은 경우에 랙기어막대(321)에 부착된 랙기어(323)는 사각관(330)의 슬롯부(332)를 따라 유도되어 하방으로 동시에 수직 이동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9A, 9B, 10A, and 10B, the
이와는 반대로 발이 누름판(310)으로부터 분리되어 누름판(310)이 상부로 당겨지는 상태는 압축스프링(33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랙기어막대(331)가 롤러(333)를 따라 상방으로 수직 이동하면서 랙기어막대(321)의 막대중공부(322) 외 사각관(330)의 원통중공부(331)에 걸쳐서 삽입되어 있던 압축스프링(334)이 원래의 펼쳐진 상태로 복원되며, 이 경우에는 랙기어막대(321)에 부착된 랙기어(323)는 사각관(330)의 슬롯부(332)를 따라 유도되어 상방으로 동시에 수직 이동하게 된다. Conversely, in a state in which the foot is separated from the
이때, 슬롯부(332)의 최상부에는 슬롯부(332)로부터 랙기어(323)가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이탈방지턱(미부호)을 구비함으로써, 압축스프링(334)이 원래의 펼쳐진 상태로 복원되는 경우에 랙기어막대(321)은 원통중공부(331)를 따라 상부방향으로 수직이동 진행함과 동시에 랙기어막대(321)에 부착 고정된 랙기어(323)는 상기 슬롯부(332)를 따라 상부로 수직 이동으로 진행하는 도중에 이탈방지턱(미부호)에 접하면서 정지하게 되어 랙기어막대(321)가 원통중공부(3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most part of the
또한, 상기 사각관(231)은, 일측면 외부에 형성되는 연결부(237)를 통하여 페달프레임(110)의 전방테두리(121)에 체결부재로 체결 및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랙기어부(320)가 상하 수직 왕복운동을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quare tube 231 is fastened and fixed as a fastening member to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10)의 발걸이회전부(300)에서, 상기 랙기어부(320)와 톱니에 의하여 서로 맞물려서 회전되는 피니언기어부(34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in the
도 11a, 도 11b 및 도 12a 내지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10)에서, 상기 랙기어부(320)에서 랙기어막대부(321)에 부착된 랙기어(323)의 톱니와 맞물려서 회전 운동을 진행하는 피니언기어(356)가 피니언기어부(340)에 형성된다.11A, 11B and 12A to 14B, in the automatic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10)의 피니언기어부(340)는, 페달(100)에 발을 올리고 누름판(310)을 누름으로 인하여 발걸이(200)가 발등을 감싸도록 페달(100)의 하방으로 젖혀진 발걸이(200)를 상방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발걸이회전축(341)과, 상기 발걸이회전축(341)의 일측부인 페달의 전방측으로 형성되는 전방하우징(350)과, 상기 발걸이회전축(341)의 타측부인 페달의 후방측으로 형성되는 후방하우징(360)과, 상기 발걸이회전축(341)의 전방하우징(350) 및 후방하우징(360)에 끼워져서 일측부가 부착된 발걸이(200)를 하방에서 상방으로 회전이동 진행되도록 회전이동을 진행하는 회전브라켓(370), 및 상기 발걸이회전축(341)의 회전이 원할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발걸이회전축(341)의 중심부에 원통형상의 끼움부(381)가 끼워지고 타측은 끝단부가 페달테두리(120)의 측방테두리(123)에 체결되어 지지하여 고정하는 고정브라켓(380)을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도 12a,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니언기어부(340)는, 궁극적으로 발걸이(200)를 회전하기 위한 중심축인 발걸이회전축(341)을 포함하여 형성하되, 상기 발걸이회전축(341)은 상기 페달을 회전하기 위한 페달회전축(111)에 수직하게 배치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12A and 12B, the
상기 페달프레임(110)의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형성된 발걸이회전축(341) 양측끝부에는, 즉 페달의 전방과 후방인 발걸이회전축(341) 전/후방에는 전방하우징(350)과 후방하우징(360)이 구비된다.A
상기 전방하우징(350)은, 발걸이회전축(341)에 고정되도록, 발걸이회전축(341)에 먼저 피니언기어(356)를 맞춰 끼우고, 그 다음 베어링(351)을 맞추어 끼우고 리테이너(352)로 고정한 후, 와샤(353)/너트(354)로 체결한 후에 캡(355)으로 마감한다.The
상기 후방하우징(360) 역시도, 발걸이회전축(341)에 베어링(361)을 끼워 맞춤하고, 리테이너(362)로 고정한 후, 와샤(363)/너트(364)로 체결한 후에 캡(365)으로 마감한다.The
아울러, 발걸이회전축(341)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380)을 체결부재에 의하여 페달테두리(120) 중 측방테두리(123)에 체결부재에 의하여 고정 체결한다.In addition, the fixing
상기와 같이, 발걸이회전축(341)에 전방하우징(350)과 후방하우징(360)을 조립한 후에 회전브라켓(370)을 강제로 끼워서 맞춤하고 체결부재로 영구적으로 고정시킨다.As described above, after assembling the
상기 발걸이회전축(341)에 고정 형성되는 회전브라켓(370)은, 전방하우징(350)에 끼워서 맞춤하는 사다리꼴 형상의 전방측면(371)과 후방하우징(360)에 끼워서 맞춤하는 사다리꼴 형상의 후방측면(372) 및 상기 전방측면(371)과 후방측면(372)에 연결되는 밑면연결부(373)를 포함하여 형성된다.The rotating
이때, 상기 회전브라켓(370)의 밑면연결부(373)에는 양측에 형성되는 연결홀(374)과 발걸이(200)의 발걸이연결판(21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발걸이연결부(215)를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하여 고정한다.At this time, the
이때, 회전브라켓(370)과 발걸이(200)는, 발걸이(200)가 완전히 위쪽에 있는 잠금상태에서 발걸이연결부(315)를 통하여 체결부재로 체결 및 고정한다.At this time, the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10)에서, 피니언기어부(340)를 고정하는 고정브라켓(380)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걸이회전축(341)의 중심부에 끼워지는 원통형의 끼움부(381)와 상기 끼움부(381)에 연장되어 상기 발걸이회전축(341)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부재에 의하여 조여지는 조임부(383)와 상기 조임부(383)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페달테두리(120) 중 측방테두리(123)에 고정 연결되는 결합부(38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In the automatic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피니언기어부(340)의 발걸이회전축(341)이 측방테두리(123)에 고정 체결된 상기 고정브라켓(280)의 원통형 끼움부(381) 내에 자유롭게 위치하여 회전되기 때문에, 따라서, 상기 랙기어부(320)에 형성된 랙기어(323)가 수직 상하 직선운동을 진행하면, 상기 랙기어(323)에 맞물려서 회전되는 상기 피니언기어부(340)에 형성된 피니언기어(356)가 회전운동을 진행하고, 상기 피니언기어부(340)에 부착된 발걸이회전축(341)이 상기 고정브라켓(280)의 원통형 끼움부(381) 내에 자유롭게 위치하여 회전동작을 수행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피니언기어부(340)에 고정 부착된 상기 회전브라켓(370)이 페달(100)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브라켓(370)의 밑면연결부(373)에 고정 부착된 발걸이(200)가 동시에 페달(100)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회전 이동하여 발등을 감쌈과 동시에 발걸이(200)의 오목체결부(230)가 좌측에 구비된 발걸이체결부(400)의 잠금부(420)에 체결되어 잠금상태가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10)는, 상기 전방하우징(350)에 구비되는 피니언기어(356)의 톱니와 랙기어막대(321)에 일체형으로 부착된 랙기어(323)의 톱니가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누름판(210)의 누름판연결부(211)에 체결부재로 고정된 랙기어막대(321) 및 랙기어(323)는 누름판(210)이 눌려질 경우에 동시에 수직으로 상하 직선 왕복운동을 진행하고, 상기 랙기어(323)와 맞물린 피니언기어(356)는 회전운동을 진행하기 때문에, 따라서 피니언기어(356)가 부착되는 발걸이회전축(341)이 회전되면, 이에 연결된 회전브라켓(370) 역시도 회전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회전브라켓(370)의 밑면연결부(373)에 체결된 발걸이(200)가 페달(100) 하방에서 상방으로 동시에 회전운동을 하여 발걸이체결부(400)의 페달펜스(410)에 발걸이(200)의 오목체결부(230)가 체결되어 발등을 감싸게 된다.Therefore, in the automatic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발걸이(200)의 발걸이연결판(210)이 부착되는 발걸이회전부(300)의 회전브라켓(370)이 하방에서 상부방향, 또는 상기 발걸이(200)의 발걸이연결판(210)이 부착되는 발걸이회전부(300)의 회전브라켓(370)이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회전운동을 진행한다, More specifically, the rotating
즉, 페달(100) 전방에 착설되어 있는 누름판(310)을 밟고/떼는 동작에 의하여, 랙기어(333)가 수직으로 상하 직선 왕복운동하고, 상기 랙기어(333)의 상하 직선운동에 따라 상기 랙기어(333)와 톱니에 의해 맞물려 있는 피니언기어(356)가 회전/역회전하면서 회전되기 때문에 따라서, 회전브라켓(370)에 고정 부착된 발걸이(200)가 하방에서 상부방향으로 회전 이동되어 발걸이 발등부(220)가 발등을 감싸지게 되어 발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That is, by stepping on/removing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10)에서 발걸이(200)를 착탈(잠금/해제)하기 위한 발걸이체결부(400)에 대하여 해당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도 15a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해체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에 대한 좌측면도이고, 도 15b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에 발걸이가 체결된 상태의 자동클립페달장치에 대한 좌측면도이며, 도 16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의 발걸이체결부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6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의 발걸이체결부에 대한 상세 분해도이며, 도 16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의 발걸이체결부에서 잠금부에 대한 상세도이다.15A is a left side view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footrest is disassembled from the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B is a left side view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footrest is fastened to the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a is a side view showing the footrest fastening part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b is a detailed exploded view of the footrest fastening part of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b is an automatic clip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etailed view of the locking part in the footrest fastening part of the device.
보다 상세하게는,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10)에서 발걸이(200)를 착탈(체결/해제)하는 발걸이체결부(400)는, 페달프레임(110) 지지축(112)의 좌지지축(112-1)에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되어 고정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5A and 15B, the
상기 발걸이체결부(400)는, 페달프레임(110)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본체인 페달펜스(410)와, 상기 페달펜스(410)에 체결부재로 체결되어 발걸이(200)의 오목체결부(230)와 끼움으로 결합되는 잠금상태 및 끼움이 해체되는 해체상태가 되도록 형성되는 잠금부(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상기 페달펜스(410)는,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10)에서 페달프레임(110)의 좌지지축(112)에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펜스연결부(411)와, 상기 잠금부(420)와 원활하게 잠금/해제되는 상기 발걸이(200)의 오목체결부(230)를 유도하기 위하여 상부 끝단부에 원호로 형성되는 고정바(412)와, 발걸이(200)의 오목체결부(230)와 체결되는 잠금부(420)를 결합하기 위하여 내측으로 형성되는 체결홀(413) 및 상기 내측으로 상기 체결홀 하방으로 직사각형의 그루브로 형성되는 오목부(4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6A and 16B , the
상기 잠금부(420)는, 도 16a, 도 16b 및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걸이(200)의 오목체결부(230)와 끼움으로 결합되도록 고리형으로 형성되는 걸림턱(421)과, 상기 페달펜스(410)의 체결홀(413)과 체결부재로 체결하기 위한 고리형의 결합홀(422)과, 상기 페달펜스(410)의 체결홀(413)과 고리형의 결합홀(422)과 함께 결합되어 상기 잠금부(420)를 원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트위스트스프링(423) 및 내측 하부면에는 페달에 안착된 발의 측부를 외측으로 밀어서 발걸이(200)의 오목체결부(230)가 상기 걸림턱(421)으로부터 해체되도록 유도하는 보호판(424)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S. 16A, 16B, and 16C, the locking
상기 잠금부(420)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는 보호판(424)은 신발의 측부가 접촉하기 때문에 발을 보호하기 위하여 비닐판 등과 같은 쿠션이 있는 소프트한 재질로 형성된다.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10)에서, i) 발걸이(200)가 발걸이체결부(400)에서 해제된 상태, ii) 발걸이(200)가 발걸이체결부(400)에 체결된 상태, 및 iii) 발걸이(200)가 발걸이체결부(400)로부터 해제되는 순간의 상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in the automatic
도 17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에서 발걸이가 발걸이체결부에서 해제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17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에서 발걸이가 발걸이체결부에 체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17c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에서 발걸이가 발걸이체결부로부터 해제되는 순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17A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ootrest is released from a footrest fastening unit in 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B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ootrest is fastened to a footrest fastening unit in 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c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at the moment when the footrest is released from the footrest fastening part in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걸이(200)가 발걸이체결부(400)에서 해제된 상태는, 자전거를 이용하지 않은 상태로서, 상기 발걸이체결부(400)의 페달펜스(410)에 형성된 원호형상의 고정바(412)의 원호 내측으로 상기 발걸이체결부(400)에 체결 결합된 잠금부(420)의 걸림턱(421)이 유도되어 있는 상태이다.As shown in FIG. 17A, the state in which the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걸이(200)가 발걸이체결부(400)에 체결된 상태는, 자전거를 이용하기 위해서 페달(100)의 페달상판(160)에 발을 올려서 누름판(310)을 누르는 순간에, 발걸이회전부(300)의 회전브라켓(370)이 하방에서 상방으로 180도 회전되고, 이에 부착되어 있던 발걸이(200)도 동시에 상방으로 180도 회전되어 상기 발걸이(200)의 좌측 끝단부에 형성된 오목체결부(230)가 페달펜스(410)에 형성된 원호형상의 고정바(412)와 상기 잠금부(420)의 걸림턱(421) 사이로 자연스럽게 유도되어서 상기 오목체결부(230)가 상기 잠금부(420)의 걸림턱(421)을 내측으로 밀면서 상기 오목체결부(230)와 상기 걸림턱(421)이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체결되어 잠금상태로 된다.As shown in FIG. 17B, the state in which the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걸이(200)가 발걸이체결부(400)로부터 해제되는 순간의 상태란, 더 이상 자전거를 이용하지 않고 내리려고 하거나, 위급 발생시 또는 발을 페달(100)로부터 이탈(분리)하기 위한 상태로서, 발로 발걸이체결부(400)의 잠금부(420) 하부에 구비된 보호판(424)을 바깥 외측으로 밀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판(424)의 바깥면이 상기 페달펜스(410) 내측부에 구비된 그루브인 오목부(413)로 밀려들어가고, 이때 상기 잠금부(420)가 내측으로 경사지게 위치하여 상기 잠금부(420)의 걸림턱(421)으로부터 상기 발걸이(200)의 오목체결부(230)가 이탈되어 잠금부(420)가 페달펜스(410)로부터 잠금 해제상태가 된다.As shown in FIG. 17C, the state at the moment when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10)의 동작 원리를 도 6a 내지 도 10b 및 도 17a 내지 도 17c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automatic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를 이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페달(100)의 페달상판(160) 일측부에 위치한 발걸이회전부(300)의 누름판(310)이 페달상판(160) 보다 상부로 튀어 올라온 상태이며, 이 경우에, 발걸이(200) 및 발걸이(200)가 부착된 발걸이회전부(300)는 페달(100)의 하방으로 젖혀진 상태이다.As shown in FIG. 17A, in a state where the bicycle is not used, the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페달(100)에 올려진 발등에 발걸이(200)가 잠금 체결상태로 되는 상태로서, 즉, 페달(100)에 접촉한 발등을 발걸이(200)의 발걸이발등부(220)가 하방으로 조여져 감싸서 발걸이(200) 및 피니언기어부(340)에 부착된 회전브라켓(370)이 움직이지 않게 잠금 체결되도록, 상기 발걸이체결부(400)의 페달펜스(410)에 형성된 원호형상의 고정바(412) 내측으로 유도되어 상기 발걸이(200)의 좌측 끝단부에 형성된 오목체결부(230)가 상기 잠금부(420)의 걸림턱(421)에 걸려서 잠금 체결상태로 된다.As shown in FIG. 17B, in order to use a bicycle, the
즉, 자전거를 이용하기 위하여 페달(100)의 페달상판(160)에 발을 올리고 페달상판(160) 일측부에 위치한 발걸이회전부(300)의 누름판(310)을 누르면, 누름판(310)의 하부에 체결된 랙기어부(320)가 사각관(330) 내부에 삽입 유도되어 하방으로 진행하며 랙기어막대(321) 막대중공부(322)와 상기 사각관(330)의 원통중공부(331)에 걸쳐서 위치하고 있는 압축스프링이(334)의 하방으로 수축되고, 랙기어막대(321)에 부착된 랙기어(323)가 사각관(330)의 구비된 슬롯부(332)를 따라 하방으로 유도되면서, 상기 랙기어(323)와 서로 톱니바퀴로 맞물려진 피니언기어(356)가 회전 동작하여 하방에 젖혀진 상태의 회전브라켓(370)이 180도 회전되도록 하여, 하방에 젖혀진 상태의 상기 회전브라켓(370)과 결합된 발걸이(200)도 180도 회전되어 상방으로 회전 진행하여 발걸이(200) 발걸이발등부(220)는 페달(100)에 접촉한 발등을 하방으로 조여져서 감싸고, 상기 발걸이(200)의 좌측 끝단부에 형성된 오목체결부(230)는 페달(100)의 좌측에 위치한 발걸이체결부(400)의 잠금부(420)의 걸림턱(421)에 걸려서 잠금 체결상태로 된다.That is, in order to use a bicycle, when the foot is placed on the pedal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이상 자전거를 이용하지 않고 내리려고 하거나, 또는 위급발생시 자전거로부터 이탈(분리)하기 위한 상태는, 잠금 해제 상태로 되기 위하여 즉, 위급발생시 또는 발을 페달(100)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발로 발걸이체결부(400)의 잠금부(420) 하부에 구비된 보호판(424)을 바깥쪽으로 밀면 보호판(424)의 바깥면이 상기 페달펜스(410) 내측부에 구비된 그루브인 오목부(413)로 밀려들어가 상기 잠금부(420)가 내측으로 경사지게 위치하여 상기 잠금부(420)의 걸림턱(421)으로부터 상기 발걸이(200)의 좌측 끝단부에 형성된 오목체결부(230)가 이탈되어 잠금부(420)가 페달펜스(410)로부터 잠금 해제상태가 된다.As shown in FIG. 17C, the state for dismounting (separating) from the bicycle when no longer using the bicycle or when an emergency occurs is to be unlocked, that is, when an emergency occurs or the foot is removed from the
즉, 더 이상 자전거를 이용하지 않고 내리려고 하거나, 또는 위급발생시 자전거로부터 이탈하기 위하여 발걸이체결부(400)의 잠금부(420) 하부에 구비된 보호판(424)을 바깥쪽으로 밀면, 발걸이체결부(400)의 상기 잠금부(420)의 걸림턱(421)과 상기 발걸이(200)의 오목체결부(230)의 체결상태가 해제되어 오목체결부(230)가 이탈되고, 페달(100)에 접촉한 발등을 감싸고 있던 발걸이(200)의 발걸이발등부(220)가 해제되어 페달(100)의 페달상판(160)으로부터 발을 분리할 수 있고, 이때 발로 눌려진 발걸이회전부(300)의 누름판(310)이 페달(100)의 페달상판(160) 위로 튀어 올라오게 된다. 이는 발걸이회전부(300)의 사각관(330)에 구비된 압축스프링(33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랙기어막대(321)를 위로 밀면서 랙기어막대(321)의 상부에 결합된 누름판(310)도 동시에 위로 밀리게 된다.That is, when the footrest fastening part ( The fastening state of the locking
이 경우에, 상기 압축스프링(33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랙기어막대(321)를 상부로 밀면 이에 부착된 랙기어(323)가 사각관(330)의 구비된 슬롯부(332)를 따라 하방에서 상방으로 유도되면서 수직 직선 운동하기 때문에, 이에 맞물려진 피니언기어(356)가 회전되면서 상방에 위치하던 회전브라켓(370)이 180도 회전되어 하방으로 젖혀지게 됨과 동시에 상방에 위치하던 상기 회전브라켓(370)과 결합된 발걸이(200)도 180도 회전되어 하방으로 회전 진행하여 발걸이(200) 발걸이발등부(220)는 페달(100)의 하방으로 젖혀지게 되어 해제상태로 된다.In this case, when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10)를 이용하기 위한 동작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for using the automatic
(제 1 단계) 먼저, 페달(100)의 페달상판(160)에 발을 놓고 발걸이(200)가 자신의 발등 크기에 적합하도록 위 아래로 조정하여 사이즈를 조절하는 단계로써, 회전브라켓(370)과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 결합된 발걸이(200)의 발걸이연결부(215) 양편을 조여 자신의 발에 맞도록 발걸이(200)를 맞춤한다.(First step) First, as a step of adjusting the size by placing the foot on the pedal
(제 2 단계) 다음으로, 발판조정부(150)에 삽입되어 끼워져 있는 조정용발판(130)을 전후로 조정하여 발뒤꿈치가 멈춤부(140)에 닿도록 발의 크기에 적합하게 조정한 후, 조정나사(155)로 조정용발판(130) 조정홈(135)을 통하여 조임하여 발등과 발뒤꿈치가 자신에게 알맞도록 고정되도록 한다.(Second step) Next, after adjusting the
(제 3 단계) 페달상판(160)의 누름판(310)을 밟으면, 랙기어(233)는 피니언기어(256)를 회전시켜, 페달(100) 아래에 위치해 있던 회전브라켓(370)과 이에 결합된 발걸이(200)가 180도 회전되어 상판으로 올라와 발등을 감싸면서, 발걸이체결부(400)의 페달펜스(410)에 형성되는 고정바(412)와, 잠금부(420)에 의해 자동으로 고정되어 발걸이(200)가 잠금상태가 되고, 발뒤꿈치는 멈춤부(140)에 접지되어 안착된다.(Third step) When the
(제 4 단계) 다른 한쪽의 페달(100)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페달상판(160)의 누름판(310)을 밟으면 동일하게, 발등이 알맞게 조정된 발걸이(200)와 페달상판(160)에 감싸여 페달링하고, 누르고, 끌어 올리고, 밀고 당기는 전방위적인 전달력으로 페달링을 수행할 수 있다.(Step 4) When the
(제 5 단계) 발을 페달(100)에서 떼는 경우는, 발걸이체결부(400)에 부착되어 있는 잠금부(420)의 보호판(424)을 가볍게 바깥쪽으로 밀면서 발을 내리면, 발걸이(200)가 순간적으로 180도 회전되어 발을 페달(100)로부터 분리하여 이탈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발걸이회전부(300)가 180도 회전 시에 정지된 지점은 누름판(310)의 밑면과 사각관(330)의 상면에 랙기어(323)가 위치하여 정지된다.(Step 5) In the case of releasing the foot from the
지금까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10)에 대하여 자전거의 페달에서 우측페달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좌측페달도 동일하게 설명되어질 수 있다.So far, the automatic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10)를 이용하여 자전거의 페달에 발을 올려놓고 내릴 때에는, 상기 제 1단계 내지 제 5 단계 과정을 반복 작동하여 이용하는 경우에, 종래 기술에 따른 클릿슈즈를 착용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다운스트로크, 백스트로크, 업스트로크 및 포워드스트로크와 같은 페달 링의 힘 전달 효율은 동일하면서도 페달로부터 착탈의 편리성이 탁월하다.As described above, when using the automatic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10)는, 페달로부터 착탈의 편리성과, 전달 효율 면에서 종래의 토클립 페달에 비하여 편리할 뿐만 아니라, 가격 대비 힘을 전달하는 전달력 차원에서 효율적이다. Therefore, the automatic
또한 본 발명 자동클립페달장치(10)는, 당기는 전달력까지 보장되어 있기 때문에 운동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 수평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한 무게추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밸런스가 유지되면서도 동시에 상대적으로 가볍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utomatic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10)는, 자전거를 타고 내릴 때 반복 작동하는 페달에 발을 올려놓고, 떼는 동작이 클릿슈즈를 착용했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밀고, 당기고, 누르는 페달 링의 전달효율은 유사하면서 페달로부터 착탈의 편리성이 매우 탁월하여 누구나 사용 가능하다.In the automatic
아울러, 종래기술에 따른 토클립-페달, 실내자전거의 클립페달, 및 클릿슈즈를 사용하는 클릿페달의 경우 페달의 필요성이나 운동 효과면 에서는 일정 목적을 달성하였으나, 정작 사용자의 편의성에 있어서는 낙제점이고, 고정 장치인 실내자전거나, 일부 애호가 이외는 사용이 제한되어 왔으나, 본 발명 자동클립페달장치(10)는, 운동 효과면에서 필요성에 부합하고,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고, 클릿슈즈/클릿페달에 버금가며, 가격면에서도 저렴할 수 있기 때문에 자전거 애호자에게 제공되어 보다 안전하고, 효율성 있는 페달링과, 운동효과 제고에 일익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toe clip-pedal, a clip pedal of an indoor bicycle, and a clip pedal using clip sho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certain objectives were achieved in terms of the necessity of the pedal or exercise effect, but in terms of user convenience, it is a failing point, Indoor bicycles, which are fixed devices, have been limited in use except for some enthusiasts, but the automatic
아울러, 자전거 페달링에 많은 장점이 있는 실내용의 다목적운동 자전거, 뿐만 아니라 실외자전거 등에,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를 적용하는 경우에 보다 극대화된 운동 효과를 이룰 수 있고 보편화된 자전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indoor multipurpose exercise bicycle having many advantages in bicycle pedaling, as well as an outdoor bicycle, a more maximized exercise effect can be achieved and a universal bicycle can be provided. There are possible effects.
10 : 본 발명에 따른 자동클립페달장치
100 : 페달
110 : 페달프레임 111 : 페달회전축
112 : 지지축
112-1 : 좌지지축 112-2 : 우지지축
120 : 페달테두리
121 : 전방테두리 121-1 : 돌출부
122 : 후방테두리 123 : 측방테두리
130 : 조정용발판 135 : 조정홈
140 : 멈춤부
150 : 발판조정부 155 : 조정나사
160 : 페달상판
200 : 발걸이
210 : 발걸이 연결판 215 : 발걸이 연결부
220 : 발걸이 발등부 230 : 오목체결부
300 : 발걸이 회전부
310 : 누름판 311 : 누름판 연결부
320 : 랙기어부 321 : 랙기어막대
322 : 막대중공부 323 : 랙기어
330 : 사각관 331: 원통중공부
332 : 슬롯부 333 : 롤러
334 : 압축스프링 335 : 덮개부
336 : 연결부
340 : 피니언기어부 341 : 발걸이 회전축
350 : 전방하우징 351: 베어링
352 : 리테이너 353 : 와샤
354 : 너트 355 : 캡
356 : 피니언기어
360 : 후방하우징 361: 베어링
362 : 리테이너 363 : 와샤
364 : 너트 365 : 캡
370 : 회전브라켓
371: 전방측면 372 : 후방측면
373 : 밑면연결부 374 : 연결홀
380 : 고정브라켓 381 : 끼움부
382 : 결합부 383 : 조임부
400 : 발걸이 체결부
410 : 페달펜스 411 : 펜스연결부
412 : 고정바 413 : 체결홀
414 : 오목부 420 : 잠금부
421 : 걸림턱 422 : 고정핀
423 : 트위스트 스프링 424 : 보호판10: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pedal
110: pedal frame 111: pedal rotation shaft
112: support shaft
112-1: left support shaft 112-2: right support shaft
120: pedal rim
121: front rim 121-1: protrusion
122: rear border 123: side border
130: scaffold for adjustment 135: adjustment groove
140: stop
150: footrest adjustment unit 155: adjustment screw
160: pedal top plate
200: footrest
210: footrest connection plate 215: footrest connection part
220: footrest instep 230: concave fastening
300: footrest rotating part
310: press plate 311: press plate connection
320: rack gear part 321: rack gear rod
322: rod hollow study 323: rack gear
330: square tube 331: cylindrical hollow part
332: slot portion 333: roller
334: compression spring 335: cover
336: connection part
340: pinion gear part 341: footrest rotation shaft
350: front housing 351: bearing
352: retainer 353: washer
354: nut 355: cap
356: pinion gear
360: rear housing 361: bearing
362: retainer 363: washer
364: nut 365: cap
370: rotation bracket
371: front side 372: rear side
373: bottom connection part 374: connection hole
380: fixing bracket 381: fitting part
382: coupling part 383: tightening part
400: footrest fastening part
410: pedal fence 411: fence connection
412: fixed bar 413: fastening hole
414: concave portion 420: locking portion
421: locking jaw 422: fixing pin
423: twist spring 424: protection plate
Claims (37)
상기 페달에 올려진 발등을 감싸기 위한 발걸이와;
상기 발걸이의 일측부와 결합되어 발걸이를 회전하기 위한 발걸이회전부; 및
상기 발걸이의 타측부를 체결하기 위한 발걸이체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발걸이는, 상기 발걸이의 일측부로서 상기 발걸이를 하방에서 상방으로 또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회전하기 위하여 발걸이회전부에 체결되는 발걸이연결판과, 상기 페달에 올려진 발등에 접촉하여 감싸기 위한 발걸이발등부 및 상기 발걸이의 타측부로서 상기 발걸이를 잠금 및 해제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발걸이체결부에 체결되는 오목체결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클립페달장치.A pedal having a protrusion formed on a bottom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ole of the shoe;
a footrest for wrapping the instep of the foot on the pedal;
A footrest rotating unit coupled to one side of the footrest to rotate the footrest; and
Footrest fastening part for fastening the other side of the footrest; Including,
The footrest is one side of the footrest, and a footrest connection plate fastened to the footrest rotation part to rotate the footrest from bottom to top or from top to bottom, and a footrest foot for contacting and wrapping the foot placed on the pedal, and 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including a concave fastening part fastened to the footrest fastening part to switch the footrest to a locking and unlocking state as the other side of the footrest.
상기 페달이 회전되는 페달회전축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발걸이회전축과;
상기 발걸이회전축에 끼워져서 형성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려서 형성되는 랙기어; 및
상기 랙기어의 상부에 결합되는 누름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클립페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otrest rotation unit,
a footrest rotation shaft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pedal rotation shaft through which the pedal is rotated;
a pinion gear form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footrest rotating shaft;
a rack gear formed by meshing with the pinion gear; and
a pressing plat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rack gear; Automatic clip pedal device comprising a.
상기 페달의 상부면보다 높게 위치한 발걸이회전부의 누름판을 누르면,
상기 누름판 하부에 결합된 렉기어가 수직 하방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랙기어와 톱니로 맞물린 피니언기어가 회전하면서 피니언기어의 발걸이회전축에 일측부가 결합된 발걸이도 하방에서 상방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발걸이의 타측부가 상기 발걸이체결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클립페달장치.in claim 2
When the pressing plate of the footrest rotating part locat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pedal is pressed,
As the rack gear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pressing plate moves vertically downward, the pinion gear meshed with the rack gear with teeth rotates, and the footrest coupled with one side of the footrest rotation shaft of the pinion gear also rotat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while the other of the footrest Automatic clip ped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portion is fastened to the footrest fastening portion.
상기 페달에 올려진 발등을 감싸기 위한 발걸이와;
상기 발걸이의 일측부와 결합되어 발걸이를 회전하기 위한 발걸이회전부; 및
상기 발걸이의 타측부를 체결하기 위한 발걸이체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페달은, 상기 페달을 회전하기 위한 페달회전축과 상기 페달회전축을 지지하는 좌지지축 및 우지지축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축을 포함하는 페달프레임과, 상기 페달프레임의 일측 지지축 끝단부를 감싸도록 전방테두리와 후방테두리 및 전방테두리와 후방테두리를 연결하는 측방테두리로 이루어지도록‘ㄷ'자형으로 형성되며, 전방테두리의 일부에는 상부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되는 톱니형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페달테두리 및 상기 페달프레임의 상부측을 덮기 위한 페달상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발걸이는, 상기 발걸이의 일측부로서 상기 발걸이를 하방에서 상방으로 또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회전하기 위하여 상기 페달테두리의 측방테두리에 고정 결합되는 발걸이회전부에 체결되는 발걸이연결판과, 상기 페달에 올려진 발등에 접촉하여 감싸기 위한 발걸이 발등부 및 상기 발걸이의 타측부로서 상기 발걸이를 잠금 및 해제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발걸이체결부에 체결되는 오목체결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클립페달장치.A pedal having a protrusion formed on a bottom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ole of the shoe;
a footrest for wrapping the instep of the foot on the pedal;
A footrest rotating unit coupled to one side of the footrest to rotate the footrest; and
Footrest fastening part for fastening the other side of the footrest; Including,
The pedal includes a pedal frame including a pedal rotation shaft for rotating the pedal, a support shaft including a left support shaft and a right support shaft for supporting the pedal rotation shaft, and a front edge and a rear edge so as to surround one end of the support shaft of the pedal frame. and side edges connecting the front edge and the rear edge, formed in a 'c' shape, and a pedal edge having a sawtooth-shaped protrusion formed upward on a part of the front edge and the upper side of the pedal frame. It is made including a pedal top plate for covering,
The footrest is one side of the footrest, and a footrest connection plate fastened to a footrest rotation part fixedly coupled to a side edge of the pedal rim in order to rotate the footrest from bottom to top or from top to bottom, and a footrest connecting plate mounted on the pedal. 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 footrest foot portion for contacting and wrapping the instep and a concave fastening portion fastened to the footrest fastening portion to switch the footrest to a locking and unlocking state as the other side of the footrest.
상기 페달로부터 후방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하되 끝단부에 형성되는 멈춤부를 구비하는 조정용발판; 및
상기 조정용발판을 지지하며 조정용발판의 길이를 조정하도록 페달테두리에 고정 체결되어 형성되는 발판조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클립페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pedal,
an adjustment footrest formed to extend from the pedal in a rear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stopping portion formed at an end portion; and
a footrest adjustment unit formed by fixing and fastening to the rim of the pedal to support the footrest for adjustment an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footrest for adjustment; Automatic clip ped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페달이 회전되는 페달회전축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발걸이회전축과;
상기 발걸이회전축에 끼워져서 형성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려서 형성되는 랙기어; 및
상기 랙기어의 상부에 결합되는 누름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클립페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ootrest rotation unit,
a footrest rotation shaft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pedal rotation shaft through which the pedal is rotated;
a pinion gear form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footrest rotating shaft;
a rack gear formed by meshing with the pinion gear; and
a pressing plat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rack gear; Automatic clip pedal device comprising a.
발이 페달에 접촉되거나, 발이 페달로부터 분리될 경우에 직접적으로 동작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하방으로 수직 운동을 진행하는 랙기어부; 및
상기 랙기어부와 상호 톱니에 의하여 맞물려서 회전되는 피니언기어부;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클립페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ootrest rotation unit,
a pressure plate that is directly operated when the foot contacts the pedal or when the foot is separated from the pedal;
a rack gear unit that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plate and vertically moves up and down; and
a pinion gear part engaged with the rack gear part by teeth and rotating; Automatic clip ped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including.
상기 누름판의 중심부에 구비된 누름판 연결부를 통하여 체결부재에 의하여 랙기어부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클립페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pressing plate,
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rack gear unit by a fastening member through a press plate connecting portion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press plate.
상기 누름판이 체결되는 원기둥의 랙기어막대와, 상기 랙기어막대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부착되어 상하 직선 왕복운동을 진행하는 톱니형상으로 형성되는 랙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원기둥의 랙기어막대는, 상기 랙기어가 부착된 위치를 기준으로 하부로부터 절반정도의 길이의 중공부로 막대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클립페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rack gear unit,
It includes a cylindrical rack gear rod to which the pressing plate is fastened, and a rack gear formed in a sawtooth shape integrally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ack gear rod and performing vertical linear reciprocating motion.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d hollow portion is formed as a hollow portion about half the length from the bottom of the cylindrical rack gear rod based on the position where the rack gear is attached.
상기 랙기어부가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상하 직선 왕복운동을 진행하도록 안내하는 사각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클립페달장치.The method of claim 11,
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further comprising a square tube for guiding the rack gear portion to be inserted and to perform vertical linear reciprocating motion.
상기 랙기어부의 랙기어막대를 안내하기 위하여 내부가 원통형의 중공부로 형성되는 원통중공부와;
상기 랙기어부의 랙기어막대에 부착된 랙기어를 안내하기 위하여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부; 및
상기 슬롯부의 최상부에는 슬롯부에 끼워지는 랙기어가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이탈방지턱;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클립페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square tube guiding the rack gear unit,
a cylindrical hollow part having a cylindrical hollow inside to guide the rack gear rod of the rack gear part;
a slot part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surface to guide the rack gear attached to the rack gear rod of the rack gear part; and
a release prevention bump formed at the uppermost part of the slot portion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rack gear inserted into the slot portio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랙기어부의 원기둥의 랙기어막대가 원활하게 상기 원통중공부의 내부를 따라 안내되어 상하 직선 왕복운동을 진행하기 위하여 상기 원통중공부 내부에 자유 회전되도록 복수 개의 쌍으로 형성되는 롤러와;
상기 사각관의 원통중공부에 하방에서 상방으로 랙기어가 부착된 원기둥의 랙기어막대 및 압축스프링이 삽입된 후에 사각관 하부 밑바닥이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클립페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square tube,
rollers formed in a plurality of pairs so that the cylindrical rack gear rod of the rack gear part is freely rotated inside the cylindrical hollow part so as to smoothly guide it along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hollow part and perform an up-and-down linear reciprocating motion;
After the cylindrical rack gear rod and the compression spring to which the rack gear is attach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are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hollow part of the square tube, the cover part to which the bottom of the bottom of the square tube is fastened by the fastening member Automatic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clip pedal device.
상기 페달이 회전되는 페달회전축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발걸이회전축과;
상기 발걸이회전축에 끼워져서 랙기어부에 형성되는 랙기어와 톱니로 맞물려서 회전운동을 진행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발걸이회전축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전방하우징과;
상기 발걸이회전축의 타측부에 형성되는 후방하우징과;
상기 발걸이회전축의 전방하우징 및 후방하우징에 끼워져서 일측부가 부착된 발걸이를 하방에서 상방으로 회전이동 진행되도록 형성되는 회전브라켓; 및
상기 발걸이회전축의 회전이 유지하도록 일측은 상기 발걸이회전축의 중심부에 끼워지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타측은 끝단부가 페달테두리의 측방테두리에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브라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클립페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claim 14, wherein the pinion gear unit,
a footrest rotation shaft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pedal rotation shaft through which the pedal is rotated;
a pinion gear inserted into the footrest rotating shaft and meshed with a rack gear formed in the rack gear part through teeth to perform a rotational motion;
a front housing formed on one side of the footrest rotating shaft;
a rear housing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ootrest rotating shaft;
Rotating brackets inserted into the front and rear housings of the footrest rotating shaft so that the footrest to which one side is attached rotat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A fixing bracket having one sid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be fitted into the center of the footrest rotation shaft to maintain rotation of the footrest rotation shaft and the other side having an end portion fastened to a side edge of the pedal border; Automatic clip pedal device comprising a.
상기 랙기어부의 전방하우징은, 발걸이회전축에 고정되도록 발걸이회전축에 끼우지는 피니언기어후방에 끼워지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을 고정하도록 끼우지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랙기어부의 후방하우징은, 발걸이회전축에 고정되도록 발걸이회전축에 끼워지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을 고정하도록 끼우지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클립페달장치.The method of claim 15
The front housing of the rack gear unit includes a bearing inserted into the rear of the pinion gear inserted into the footrest rotational shaft to be fixed to the footrest rotational shaft, and a retainer inserted to fix the bearing,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rear housing of the rack gear unit includes a bearing inserted into the footrest rotational shaft to be fixed to the footrest rotational shaft and a retainer inserted to fix the bearing.
상기 전방하우징에 끼워서 맞춤하는 사다리꼴 형상의 전방측면과 후방하우징에 끼워서 맞춤하는 사다리꼴 형상의 후방측면 및 상기 전방측면과 후방측면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밑면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밑면연결부에는 양측에는 연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발걸이의 발걸이연결판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발걸이연결부와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클립페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rotation bracket fixed to the footrest rotation shaft,
A trapezoidal front side fitted to the front housing, a trapezoidal rear side fitted to the rear housing, and a bottom connection formed by connecting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Connection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connection part, and the footrest connection part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ootrest connection plate of the footrest is fastened by a fastening member.
상기 발걸이회전축의 중심부에 끼워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에 연장되어 상기 발걸이회전축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부재에 의하여 조여지는 조임부; 및
상기 조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페달테두리의 측방테두리에 고정 연결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클립페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fixing bracket fixing the pinion gear part,
A fitting portion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footrest rotation shaft;
A tightening portion extended by the fitting portion and tightened by a fastening member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footrest rotating shaft; and
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including a coupl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tightening portion and fixedly connected to the side rim of the pedal rim.
상기 페달프레임 지지축의 좌지지축에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클립페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8, wherein the footrest fastening part,
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astened and fixed to the left support shaft of the pedal frame support shaft by a fastening member.
상기 페달프레임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본체인 페달펜스와;
상기 페달펜스에 체결부재로 체결되어 발걸이의 오목체결부와 끼움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잠금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클립페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9, wherein the footrest fastening part,
A pedal fence, which is a main body fastened to and fixed to the pedal frame;
A locking part fastened to the pedal fence as a fastening member and formed to be coupled with the concave fastening part of the footrest by fitting; Automatic clip pedal device comprising a.
페달프레임의 좌지지축에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펜스연결부와;
상기 잠금부와 잠금/해제되는 상기 발걸이의 오목체결부를 유도하기 위하여 상부 끝단부에 원호로 형성되는 고정바와;
상기 발걸이의 오목체결부와 체결되는 잠금부를 결합하기 위하여 내측으로 형성되는 체결홀; 및
상기 체결홀 하방으로 직사각형의 그루브로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클립페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0, wherein the pedal fence,
A fence connecting portion formed to be fastened and fixed to the left support shaft of the pedal frame by a fastening member;
A fixing bar formed in a circular arc at an upper end in order to induce a concave fastening portion of the footrest to be locked/unlocked with the locking portion;
A fastening hole formed inward to couple the locking part fastened with the concave fastening part of the footrest; and
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comprising a concave portion formed as a rectangular groove below the fastening hole.
상기 발걸이의 오목체결부와 끼움으로 결합되도록 고리형으로 형성되는 걸림턱과;
상기 페달펜스의 체결홀과 체결부재로 체결하기 위한 고리형의 결합홀과;
상기 페달펜스의 체결홀과 고리형의 결합홀과 함께 결합되어 상기 잠금부를 원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트위스트스프링; 및
내측 하부면에는 페달에 안착된 발의 측부를 외측으로 밀어서 발걸이의 오목체결부가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해체되도록 유도하는 보호판; 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클립페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1, wherein the locking unit,
a locking step formed in an annular shape so as to be fitted with the concave fastening portion of the footrest;
A ring-shaped coupling hole for fastening the pedal fence to the fastening hole and the fastening member;
A twist spring coupled with the coupling hole of the pedal fence and the ring-shaped coupling hole to return the locking unit to its original state; and
On the inner lower surface, a protective plate for inducing disassembly of the concave fastening part of the footrest by pushing the side of the foot seated on the pedal outward; Automatic clip ped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including.
상기 페달프레임 지지축 중 하나의 지지축에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되어 고정되는 본체인 페달펜스와;
상기 페달펜스에 체결부재로 체결되어 발걸이의 오목체결부와 끼움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잠금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클립페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ootrest fastening part,
a pedal fence, which is a main body fastened to and fixed to one of the pedal frame support shafts by a fastening member;
A locking part fastened to the pedal fence as a fastening member and formed to be coupled with the concave fastening part of the footrest by fitting; Automatic clip pedal device comprising a.
상기 페달프레임 지지축 중 하나의 지지축에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되어 고정되는 본체인 페달펜스와;
상기 페달펜스에 체결부재로 체결되어 발걸이의 오목체결부와 끼움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잠금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클립페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claim 9, wherein the footrest fastening part,
a pedal fence, which is a main body fastened to and fixed to one of the pedal frame support shafts by a fastening member;
A locking part fastened to the pedal fence as a fastening member and formed to be coupled with the concave fastening part of the footrest by fitting; Automatic clip pedal device comprising a.
페달프레임의 좌지지축에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펜스연결부와;
상기 잠금부와 잠금/해제되는 상기 발걸이의 오목체결부를 유도하기 위하여 상부 끝단부에 원호로 형성되는 고정바와;
상기 발걸이의 오목체결부와 체결되는 잠금부를 결합하기 위하여 내측으로 형성되는 체결홀; 및
상기 체결홀 하방으로 직사각형의 그루브로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클립페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4, wherein the pedal fence,
A fence connecting portion formed to be fastened and fixed to the left support shaft of the pedal frame by a fastening member;
A fixing bar formed in a circular arc at an upper end in order to induce a concave fastening portion of the footrest to be locked/unlocked with the locking portion;
A fastening hole formed inward to couple the locking part fastened with the concave fastening part of the footrest; and
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comprising a concave portion formed as a rectangular groove below the fastening hole.
상기 발걸이의 오목체결부와 끼움으로 결합되도록 고리형으로 형성되는 걸림턱과;
상기 페달펜스의 체결홀과 체결부재로 체결하기 위한 고리형의 결합홀과;
상기 페달펜스의 체결홀과 고리형의 결합홀과 함께 결합되어 상기 잠금부를 원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트위스트스프링; 및
내측 하부면에는 페달에 안착된 발의 측부를 외측으로 밀어서 발걸이의 오목체결부가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해체되도록 유도하는 보호판; 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클립페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5, wherein the locking unit,
a locking step formed in an annular shape so as to be fitted with the concave fastening portion of the footrest;
A ring-shaped coupling hole for fastening the pedal fence to the fastening hole and the fastening member;
A twist spring coupled with the coupling hole of the pedal fence and the ring-shaped coupling hole to return the locking unit to its original state; and
On the inner lower surface, a protective plate for inducing disassembly of the concave fastening part of the footrest by pushing the side of the foot seated on the pedal outward; Automatic clip ped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including.
상기 발걸이의 일측부로서 상기 발걸이를 하방에서 상방으로 또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회전하기 위하여 상기 페달테두리의 측방테두리에 고정 결합되는 발걸이회전부에 체결되는 발걸이연결판과;
상기 페달에 올려진 발등에 접촉하여 감싸기 위한 발걸이 발등부; 및
상기 발걸이의 타측부로서 상기 발걸이를 잠금 및 해제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발걸이체결부의 잠금부에 체결되는 오목체결부;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클립페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3, wherein the footrest,
A footrest connection plate fastened to a footrest rotating part fixedly coupled to a side edge of the pedal rim to rotate the footrest from bottom to top or from top to bottom as one side of the footrest;
Footrest instep for wrapping in contact with the instep placed on the pedal; and
A concave fastening part fastened to the locking part of the footrest fastening part in order to switch the footrest to a locking and unlocking state as the other side of the footrest; Automatic clip ped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상기 페달이 회전되는 페달회전축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발걸이회전축과;
상기 발걸이회전축에 끼워져서 형성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려서 형성되는 랙기어; 및
상기 랙기어의 상부에 결합되는 누름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클립페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7, wherein the footrest rotation unit,
a footrest rotation shaft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pedal rotation shaft through which the pedal is rotated;
a pinion gear form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footrest rotating shaft;
a rack gear formed by meshing with the pinion gear; and
a pressing plat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rack gear; Automatic clip pedal device comprising a.
발이 페달에 접촉되거나, 발이 페달로부터 분리될 경우에 직접적으로 동작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하방으로 수직 운동을 진행하는 랙기어부; 및
상기 랙기어부와 상호 톱니에 의하여 맞물려서 회전되는 피니언기어부;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클립페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7, wherein the footrest rotation unit,
a pressure plate that is directly operated when the foot contacts the pedal or when the foot is separated from the pedal;
a rack gear unit that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plate and vertically moves up and down; and
a pinion gear part engaged with the rack gear part by teeth and rotating; Automatic clip ped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including.
상기 누름판의 중심부에 구비된 누름판 연결부를 통하여 체결부재에 의하여 랙기어부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클립페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9, wherein the pressing plate,
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rack gear unit by a fastening member through a press plate connecting portion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press plate.
상기 누름판이 체결되는 원기둥의 랙기어막대와, 상기 랙기어막대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부착되어 상하 직선 왕복운동을 진행하는 톱니형상으로 형성되는 랙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원기둥의 랙기어막대는, 상기 랙기어가 부착된 위치를 기준으로 하부로부터 절반정도의 길이의 중공부로 막대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클립페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0, wherein the rack gear unit,
It includes a cylindrical rack gear rod to which the pressing plate is fastened, and a rack gear formed in a sawtooth shape integrally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ack gear rod and performing vertical linear reciprocating motion.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d hollow portion is formed as a hollow portion about half the length from the bottom of the cylindrical rack gear rod based on the position where the rack gear is attached.
상기 랙기어부가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상하 직선 왕복운동을 진행하도록 안내하는 사각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클립페달장치.The method of claim 31
A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further comprising a square tube for guiding the rack gear portion to be inserted and to perform vertical linear reciprocating motion.
상기 랙기어부의 랙기어막대를 안내하기 위하여 내부가 원통형의 중공부로 형성되는 원통중공부와;
상기 랙기어부의 랙기어막대에 부착된 랙기어를 안내하기 위하여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부; 및
상기 슬롯부의 최상부에는 슬롯부에 끼워지는 랙기어가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이탈방지턱;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클립페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2, wherein the square tube guiding the rack gear unit,
a cylindrical hollow part having a cylindrical hollow inside to guide the rack gear rod of the rack gear part;
a slot part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surface to guide the rack gear attached to the rack gear rod of the rack gear part; and
a release prevention bump formed at the uppermost part of the slot portion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rack gear inserted into the slot portion; Automatic clip ped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랙기어부의 원기둥의 랙기어막대가 원활하게 상기 원통중공부의 내부를 따라 안내되어 상하 직선 왕복운동을 진행하기 위하여 상기 원통중공부 내부에 자유 회전되도록 복수 개의 쌍으로 형성되는 롤러와;
상기 사각관의 원통중공부에 하방에서 상방으로 랙기어가 부착된 원기둥의 랙기어막대 및 압축스프링이 삽입된 후에 사각관 하부 밑바닥이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클립페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3, wherein the square tube,
rollers formed in a plurality of pairs so that the cylindrical rack gear rod of the rack gear part is freely rotated inside the cylindrical hollow part so as to smoothly guide it along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hollow part and perform an up-and-down linear reciprocating motion;
After the cylindrical rack gear rod and the compression spring to which the rack gear is attach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are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hollow part of the square tube, the cover part to which the bottom of the bottom of the square tube is fastened by the fastening member Automatic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clip pedal device.
상기 페달이 회전되는 페달회전축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발걸이회전축과;
상기 발걸이회전축에 끼워져서 랙기어부에 형성되는 랙기어와 톱니로 맞물려서 회전운동을 진행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발걸이회전축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전방하우징과;
상기 발걸이회전축의 타측부에 형성되는 후방하우징과;
상기 발걸이회전축의 전방하우징 및 후방하우징에 끼워져서 일측부가 부착된 발걸이를 하방에서 상방으로 회전이동 진행되도록 형성되는 회전브라켓; 및
상기 발걸이회전축의 회전이 유지하도록 일측은 상기 발걸이회전축의 중심부에 끼워지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타측은 끝단부가 페달테두리의 측방테두리에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브라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클립페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9 or claim 34, wherein the pinion gear unit,
a footrest rotation shaft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pedal rotation shaft through which the pedal is rotated;
a pinion gear inserted into the footrest rotating shaft and meshed with a rack gear formed in the rack gear part through teeth to perform a rotational motion;
a front housing formed on one side of the footrest rotating shaft;
a rear housing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ootrest rotating shaft;
Rotating brackets inserted into the front and rear housings of the footrest rotating shaft so that the footrest to which one side is attached rotat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A fixing bracket having one sid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be fitted into the center of the footrest rotation shaft to maintain rotation of the footrest rotation shaft and the other side having an end portion fastened to a side edge of the pedal border; Automatic clip pedal device comprising a.
상기 랙기어부의 전방하우징은, 발걸이회전축에 고정되도록 발걸이회전축에 끼우지는 피니언기어후방에 끼워지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을 고정하도록 끼우지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랙기어부의 후방하우징은, 발걸이회전축에 고정되도록 발걸이회전축에 끼워지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을 고정하도록 끼우지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클립페달장치.The method of claim 35
The front housing of the rack gear unit includes a bearing inserted into the rear of the pinion gear inserted into the footrest rotational shaft to be fixed to the footrest rotational shaft, and a retainer inserted to fix the bearing,
The automatic clip ped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rear housing of the rack gear unit includes a bearing inserted into the footrest rotational shaft to be fixed to the footrest rotational shaft and a retainer inserted to fix the bearing.
상기 전방하우징에 끼워서 맞춤하는 사다리꼴 형상의 전방측면과 후방하우징에 끼워서 맞춤하는 사다리꼴 형상의 후방측면 및 상기 전방측면과 후방측면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밑면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밑면연결부에는 양측에는 연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발걸이의 발걸이연결판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발걸이연결부와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클립페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5, wherein the rotation bracket fixed to the footrest rotation shaft,
A trapezoidal front side fitted to the front housing, a trapezoidal rear side fitted to the rear housing, and a bottom connection formed by connecting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Connection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connection part, and the footrest connection part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ootrest connection plate of the footrest is fastened by a fastening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0267A KR102491302B1 (en) | 2021-07-30 | 2021-07-30 | Automatic Clip Pedal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0267A KR102491302B1 (en) | 2021-07-30 | 2021-07-30 | Automatic Clip Pedal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91302B1 true KR102491302B1 (en) | 2023-01-26 |
Family
ID=85110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00267A Active KR102491302B1 (en) | 2021-07-30 | 2021-07-30 | Automatic Clip Pedal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91302B1 (en)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26938A (en) * | 1999-09-09 | 2001-04-06 | 윤영재 | Pedal of bicycle having instep cover |
KR20010053759A (en) * | 1999-12-01 | 2001-07-02 | 윤영재 | Pedal of bicycle having instep cover |
KR20120001030U (en) | 2010-08-03 | 2012-02-13 | 조승상 | Half clip with adjustable pedals and pedal lift |
KR20160091478A (en) * | 2015-01-23 | 2016-08-03 | 주식회사 만도 | Pedal Stand for Electronic Bicyle |
KR20170088477A (en) * | 2016-01-22 | 2017-08-02 | 성호철 | Pedal assembly |
KR102041551B1 (en) | 2016-10-06 | 2019-11-27 | 최윤석 | Asymmetric ellipse chain ring for clipless pedal |
CN211844780U (en) * | 2020-02-05 | 2020-11-03 | 河北对外经贸职业学院 | Foot-operated anti-slipping device for travel riding scooter |
CN211869597U (en) * | 2020-03-26 | 2020-11-06 | 天津市远东蓝剑科技有限公司 | A mountain bike pedal |
-
2021
- 2021-07-30 KR KR1020210100267A patent/KR10249130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26938A (en) * | 1999-09-09 | 2001-04-06 | 윤영재 | Pedal of bicycle having instep cover |
KR20010053759A (en) * | 1999-12-01 | 2001-07-02 | 윤영재 | Pedal of bicycle having instep cover |
KR20120001030U (en) | 2010-08-03 | 2012-02-13 | 조승상 | Half clip with adjustable pedals and pedal lift |
KR20160091478A (en) * | 2015-01-23 | 2016-08-03 | 주식회사 만도 | Pedal Stand for Electronic Bicyle |
KR20170088477A (en) * | 2016-01-22 | 2017-08-02 | 성호철 | Pedal assembly |
KR101838369B1 (en) | 2016-01-22 | 2018-04-09 | 성호철 | Pedal assembly |
KR102041551B1 (en) | 2016-10-06 | 2019-11-27 | 최윤석 | Asymmetric ellipse chain ring for clipless pedal |
CN211844780U (en) * | 2020-02-05 | 2020-11-03 | 河北对外经贸职业学院 | Foot-operated anti-slipping device for travel riding scooter |
CN211869597U (en) * | 2020-03-26 | 2020-11-06 | 天津市远东蓝剑科技有限公司 | A mountain bike peda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60356Y1 (en) | Rocker propelled scooter | |
US5031342A (en) | Device for enabling walking and protecting cleats on cycling shoes for quick release (clipless) pedals | |
US4361972A (en) | Rider's shoe | |
US5632708A (en) | Resistance apparatus for exercise equipment | |
US20090082177A1 (en) | Method of exercising on a stationary exercise bicycle | |
US4893523A (en) | Bicycle and pedal system | |
JP2020520853A (en) | Modified bicycle equipment | |
US6695332B1 (en) | Bicycle transmission device for unidirectional output from bi-directional input | |
US10843767B2 (en) | Dual pedal-driven scooter | |
HK1203165A1 (en) | Drive assembly and exercise apparatus including a drive assembly | |
KR101847865B1 (en) | fixing apparatus of shose | |
US5768702A (en) | Upper-extremity direct power-input device for bicyclists | |
KR102491302B1 (en) | Automatic Clip Pedal Apparatus | |
EP1796956B1 (en) | Cycl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mutual position between the leg and the foot | |
KR20110076731A (en) | Pedal Rotation Control System | |
KR101020647B1 (en) | Bicycle saddle angle adjuster on the go | |
KR100311944B1 (en) | Bicycle promoted by pedals and saddle movement | |
US20090308196A1 (en) | Cycle pedal | |
KR100858786B1 (en) | sled | |
KR100510165B1 (en) | A Bicycle for Rising Momentum | |
US20030166435A1 (en) | Aerobic abdominal flexion exercise apparatus | |
KR101514315B1 (en) | A pedal of bicycle for easy disassembling and reinforcing driving force | |
WO2008081432A2 (en) | Cycle pedal | |
KR101159308B1 (en) | A cycling shoes for reinforcing driving force | |
KR200467782Y1 (en) | A foot disconnection prevention device for health cy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