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483169B1 -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169B1
KR102483169B1 KR1020220103328A KR20220103328A KR102483169B1 KR 102483169 B1 KR102483169 B1 KR 102483169B1 KR 1020220103328 A KR1020220103328 A KR 1020220103328A KR 20220103328 A KR20220103328 A KR 20220103328A KR 102483169 B1 KR102483169 B1 KR 102483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walk
signal
traffic light
blue
r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3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원
Original Assignee
정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준원 filed Critical 정준원
Priority to KR1020220103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1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16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provided with indicators in which a mark progresses showing the time elapsed, e.g. of green phas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주행 도로에서 우회전 시 횡단보도의 보행자 통행 내지 멈춤 신호(파랑색 또는 빨강색)를 우회전하는 차량이 미리 예측할 수 있도록 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차량 운전자의 안전 또한 보장할 수 있는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 시스템 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횡단보도를 보행하고자 하는 보행자의 보행과 대기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횡단보도 신호등(400);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400)을 제어하는 신호등 제어기(200); 횡단보도 양측에 설치된 기둥; 상기 기둥에 설치되고,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400)과 연동하여 보행자의 보행과 대기를 시인성 있게 제어하는 LED 차단바(700); 인도와 도로의 경계에 설치된 펜스나 볼라드에 설치되고,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400)이 보행신호인 파랑색의 경우에는 빨강색이 켜지고,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400)이 보행대기인 빨강색인 경우에는 파랑색이 켜지되 우회전 방향에 설치된 횡단보도 신호등(400)과 연동되어 동작되어 우회전 차량 운전자가 우회전 시 미리 예측할 수 있도록 동작되는 복수의 신호예고등(500); 및 상기 신호등 제어기(200)와 연동하여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400)이 빨강색에서 파랑색으로 신호 변환되기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복수의 신호예고등(500)이 미리 설정된 시간간격을 갖고 미리 설정된 거리에서 파랑색에서 빨강색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LED 차단바(700)에 대하여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400)이 빨강색인 경우에는 보행자가 보행하지 않도록 상기 기둥에서 튀어나와 있도록 하고,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400)이 파랑색인 경우에는 상기 기둥으로 삽입되록 제어하는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 시스템{Crosswalk signal warning safety system }
본 발명은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주행 도로에서 우회전 시 횡단보도의 보행자 통행 내지 멈춤 신호(파랑색 또는 빨강색)를 우회전하는 차량이 미리 예측할 수 있도록 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차량 운전자의 안전 또한 보장할 수 있는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 시스템 에 관한 것이다.
교차로에서 횡단보도를 건너기 위해 신호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있으면 우선멈춤 후 우회전하는 제도로 시행됨에 따라 운전자가 횡단보도를 건너거나 기다리는 사람들을 정확히 인식하기 어렵다.
우회전을 하고자하는 차량이 횡단보도를 건너기 위해 신호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있으면 우선멈춤 후 우회전하는 제도가 2022년 7월부터 시행되고, 2023년 1월부터 ‘차량 전방 신호가 적색일 경우’ 우회전 전 횡단보도 앞에서 무조건 일시정지 후 보행자 유무를 살핀 후 우회전을 해야 한다는 개정 도로교통법이 추가로 시행됨에 따라 교차로에서 우회전 차량이 바로 앞의 횡단보도에서 건너거나 건너기위해 기다리는 사람들을 가로수, 전봇대, 가로등으로 인해 쉽게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우회전 하자마자 위치한 횡단보도를 기다리거나 건너는 사람들은 우측으로 90도 회전 후 위치해 있음에 따라 우회전하기 전 차량의 위치에서는 건물, 울타리, 담장, 가로수, 화단 등으로 가려져 있는 경우가 많아서 소수 인원이 횡단보도를 건너거나 신호를 기다리는 경우에는 우회전 운전자가 우회전하기 전뿐만 아니라 우회전 후에서도 횡단보도를 건너기 위해 기다리는 사람을 횡단보도 양쪽을 봐야하고 무단횡단을 하고 있는지도 봐야 하는 등으로 인해 인지하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이 횡단보도 신호등이 어떤 상태인지도 봐야 해서 집중하여 운전할 수 없다. 또한 우측으로 90도 회전 후 위치한 횡단보도를 건너기 위해 사람들이 기다리고 있는지도 건물 등에 가려서 눈에 잘 띄지 않는다.
주택가나 골목길 또는 이면도로에서 교차로나 곡선구간, 언덕구간, 사각지대 등으로 인해 운전자에게 시야가 확보되지 않아서 위험한 상황에 처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위험구간에서 속도를 줄이지 않고 운행하다가 돌발 상황에 대처하지 못해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횡단보도에 사람이 건너고 있는지 횡단보도를 건너기 위해 기다리고 있는지를 인식하고. 우회전 차량에 신호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우회전 차량을 위한 신호등 및 위험구간에 상황을 알려주는 신호등관련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은 아직 개발 중이므로 우회전 차량은 물론 일반 사람들도 많은 위험에 처할 수 있는 문제가 있을 것이다.
특히 횡단보도나 교차로에서 노란색(황색) 신호등일 때 직진이나 좌회전을 위해 더욱 속도를 높여 통과하려는 차량 또는 신호위반 차량들로 인해 늦게 통과하는 차량과 사람 간 충돌 또는 늦게 좌회전하는 차량과 좌측방향의 도로에서 대기하는 차량이 신호가 바뀌어 직진이나 좌회전 차량 간 충돌이 종종 발생한다. 또한 또한 횡단보도 신호등이 녹색으로 켜지거나 횡단보도를 건너기 위해 교통섬으로 건너는데 차량이 우회전을 위해 접근하는 차량과 사람이 서로 부주의하여 우회전 차량과 횡단보도를 건너려는 사람 간 충돌사고가 종종 발생하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야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13559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710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3308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게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운전자 눈으로 횡단보도에 사람이 건너고 있는지 횡단보도 앞에서 기다리고 있는지 직접 확인한 후 운전을 해야만 함에 따라 교통정체, 운전자의 시야분산으로 사고위험 등의 문제를 기존에 이미 설치되어진 신호등의 점등 여부에 따라 신호등과 휀스 또는 볼라드가 연동되어 점등되는 구조와 신호등 기둥에 차단바를 설치하고, 보행 신호등 적색 신호시에는 차단바가 동작하여 보행자의 통행을 차단하고, 보행 신호등 녹색 신호시에는 차단바가 신호등 기둥에 삽입되어 보행자의 통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며, AI 카메라를 통해 우회전 하고자 하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여 위험성이 있을 시 신호등에 설치된 경보기를 통해 보행자에게 경보음을 울리고, 신호등 차단바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우회전 차량에 의해 보행자에 대한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차량 운전자의 부주의에 의한 차량 운전자 역시 보호할 수 있는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횡단보도를 보행하고자 하는 보행자의 보행과 대기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횡단보도 신호등(400);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400)을 제어하는 신호등 제어기(200); 횡단보도 양측에 설치된 기둥; 상기 기둥에 설치되고,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400)과 연동하여 보행자의 보행과 대기를 시인성 있게 제어하는 LED 차단바(700); 인도와 도로의 경계에 설치된 펜스나 볼라드에 설치되고,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400)이 보행신호인 파랑색의 경우에는 빨강색이 켜지고,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400)이 보행대기인 빨강색인 경우에는 파랑색이 켜지되 우회전 방향에 설치된 횡단보도 신호등(400)과 연동되어 동작되어 우회전 차량 운전자가 우회전 시 미리 예측할 수 있도록 동작되는 복수의 신호예고등(500); 및 상기 신호등 제어기(200)와 연동하여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400)이 빨강색에서 파랑색으로 신호 변환되기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복수의 신호예고등(500)이 미리 설정된 시간간격을 갖고 미리 설정된 거리에서 파랑색에서 빨강색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LED 차단바(700)에 대하여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400)이 빨강색인 경우에는 보행자가 보행하지 않도록 상기 기둥에서 튀어나와 있도록 하고,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400)이 파랑색인 경우에는 상기 기둥으로 삽입되록 제어하는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복수의 신호예고등(500)은 회로적으로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400)이 빨강색에서 파랑색으로 바뀌기 5초 전에 5,4,3,2,1 과 같이 점등되면서 우회전 하려는 차량이 5초 후 우회전시 신호등에 빛이 파랑색으로 바뀌는 것을 미리 예견할 수 있도록 동작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횡단보도 신호등(400)이 빨강색에서 파랑색으로 바뀔때에는 복수의 신호예고등(500)이 모두 빨강색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 시스템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을 촬영하고, 촬영된 차량의 속도를 계산하는 AI 카메라(600)와, 상기 AI 카메라(600)의 계산결과에 따라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400)이 파랑색의 보행신호로 바뀌더라도 상기 횡단보도를 침범할 수 있다는 위험이 감지되는 경우 보행자에게 경보음을 발생하기 위한 스피커(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기존에 이미 설치되어진 보행신호등의 점등 여부에 따라 보행신호등과 휀스 또는 볼라드가 연동되어 점등되도록 미리 예고함으로써 우회전 하고자 하는 운전자에게 우회전 이전에 보행신호의 흐름을 알 수 있도록 하여 통행자와 운전자 모두 보호할 수 있다.
둘째, 신호등 기둥에 차단바를 설치하고, 보행 신호등 적색 신호시에는 차단바가 동작하여 보행자의 통행을 차단하고, 보행 신호등 녹색 신호시에는 차단바가 신호등 기둥에 삽입되어 보행자의 통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여 횡단보도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다.
셋째, AI 카메라를 통해 우회전 하고자 하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여 위험성이 있을 시 신호등에 설치된 경보기를 통해 보행자에게 경보음을 울리고, 신호등 차단바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우회전 차량에 의해 보행자에 대한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차량 운전자의 부주의에 의한 차량 운전자 역시 보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 시스템의 보행신호등과 연동되어 점등되는 펜스의 동작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 시스템의 보행신호등과 연동되어 점등되는 볼라드의 동작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 시스템의 보행신호등과 연동되어 점등되는 펜스의 동작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 시스템의 보행신호등과 연동되어 점등되는 볼라드의 동작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 시스템의 보행신호등과 연동되어 점등되는 펜스의 동작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데, 우선 본 발명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 시스템은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장치(100), 신호등 제어기(200), 주행차선 신호등(300), 횡단보도 신호등(400), 신호예고등(500), AI 카메라(600), LED 차단바(700), 스피커(800) 및 횡단보도 투광등(9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횡단보도 신호예고 안전 시스템에서, 횡단보도 양측에 기둥을 설치하고 기둥에는 시인성 LED 차단바(700)를 설치하여 보행자의 안정성을 높이며, 신호등 제어기(200)와 연동하여 횡단보드 신호등이 적색신호 시에는 LED 차단바(700)가 보행자의 보행을 차단하도록 한다. 또한 기존에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펜스에 신호예고등(500)을 설치하고, 횡단보도 신호등(400)이 빨강색에서 파랑색으로 바뀌기 전, 예로써 5초 전에 펜스에 설치된 신호예고등(500)이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차례로 점등되면서 우회전 하려는 차량이 5초 후 우회전시 보행자 신호등이 빨강색에서 파랑색으로 바뀌는 것을 미리 예견할 수 있도록 회로적으로 구성하여 보행자의 안전과 차량 운전자의 안전을 함께 보호할 수 있다. 이때, 횡단보도 신호등(400)이 빨강색에서 파랑색으로 바뀔때에는 펜스에 설치된 복수의 신호예고등(500)이 도 6에서와 같이 빨강색으로 하는 경우 운전자의 경각심을 보다 높일 수 있어 운전자와 보행자 모두 안전을 보다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보행자 신호등이 빨강색일 경우 펜스는 파랑색으로 전체가 발광상태로 할 수도 있으며, 그와 같은 경우 차량 운전자가 우회전하더라도 신호등이 빨강색으로 보행자 보행 정지 상태에 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 7 내지 도 12는 도 1 내지 도 6의 펜스 대신 볼라드에 신호예고등(500)이 설치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장치(100)는 기존에 이미 설치된 주행차선 신호등(300)과 횡단보도 신호등(400)을 제어하는 신호등 제어기(200)가 설치된 신호등 기둥에 설치되며,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 시스템 기둥(이하, 기둥이라 )에는 AI 카메라(600), LED 차단바(700) 및 횡단보도 투광등(900)이 설치된다. 그리고 스피커(800)는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장치(100) 또는 기둥에 구성될 수 있다.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장치(100)는 신호등 제어기(200)와 연동되어 동작되며, 신호등 제어기(200)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장치(100)에 대하여는 도 13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 시스템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장치(100), 신호등 제어기(200), 주행차선 신호등(300), 횡단보도 신호등(400), 신호예고등(500), AI 카메라(600), LED 차단바(700), 스피커(800) 및 횡단보도 투광등(900)으로 구성되며,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장치(100)는 신호분석부(110), LED 차단바 구동부(120), 신호예고등 제어부(130), 저장부(140), 통신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장치(100)는 신호등 제어기(200)와 연동하여 신호등 제어기(200)가 횡단보도 신호등(400)에 대하여 보행자 신호등이 빨강색일 경우에는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너면 안되므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LED 차단바(700)가 보행자 통행을 방지(금지)하도록 기둥에서 나와 동작되도록 하고, 펜스나 볼라드의 신호예고등(500)은 파랑색으로 점등되도록 하여 차량 운전자는 정상적으로 횡단보도를 통과하도록 한다.
그러나 횡단보도 신호등(400)에 대하여 보행자 신호등이 파랑색으로 변경되는 경우에는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너게 되므로, 도 5나 도 6에서와 같이 LED 차단바(700)가 보행자 통행을 방지(금지)하지 않도록 기둥에 삽입(해제)되어 나와 동작되도록 하고, 펜스나 볼라드의 신호예고등(500)은 빨랑색으로 점등되도록 하여 차량 운전자는 횡단보도 신호등(400)을 보지 않더라도 파랑색으로 동작되어 보행자들이 건널 수 있다는 것을 미리 알 수 있도록 한다.
신호등 제어기(200)는 기존에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들에게 신호를 알려주는 주행차선 신호등(300)과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횡단보도 대기 또는 보행 신호를 제어하는 횡단보도 신호등(400)을 제어하는 제어기이다.
신호예고등(500)은 도 1 내지 도 12에서와 같은 펜스나 볼라드에 설치되고,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장치(100)의 제어를 받아 횡단보도 신호등(400)이 빨강색인 경우에는 파랑색이 켜지고, 횡단보도 신호등(400)이 파랑색인 경우에는 빨강색이 켜진다.
AI 카메라(600)는 촬영부(카메라부)(611), 속도 계산부(612), 메모리부(613) 및 제어부(614)로 구성되며, 촬영부(611)는 우회전 차량, 즉 차선의 가장 우측 차선의 차량 또는 우측 깜빡이가 구동되는 차량을 촬영한다.
속도 계산부(612)는 촬영부(611)에서 촬영된 차량의 속도를 계산한다.
메모리부(613)는 도난차량을 포함하는 수배차량 정보가 저장되며, 신호위반차량을 촬영한 촬영정보가 저장된다.
제어부(614)는 속도 계산부(612)에서 계산된 차량속도에 따라 위험성이 있을 시 스피커(800)를 통해 보행자들에게 파랑색이더라도 건너지 말것을 안내하는 경보음을 울리도록 스피커(800)를 제어하고, 차량속도에 따라 위험성이 있을 시 LED 차단바(700)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614)는 촬영부(611)에서 촬영된 차량번호정보와 메모리부(613)에 저장된 수배차량정보를 검출하여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장치(100)로 전송하여 경찰서 서버(도시되지는 않음)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AI 카메라(600)는 각종 사고등을 인식하여 경찰서 서버에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횡단보도 내의 사고를 촬영 인식하여 증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해당 정보들은 메모리부(613)에 저장되고,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장치(100)로 전송하여 경찰서 서버(도시되지는 않음)로 전송되도록 프로그램 된다.
횡단보도 투광등(900)은 주로 야간이나 비나, 눈 또는 구름 등에 의해 어두운 날씨에 동작되도록 하며, 특히 횡단보도 신호등(400)과 연동하여 횡단보도 신호등(400)이 파랑색이 되는 경우 횡단보도 방향으로 투광되도록 설계하여 파랑색신호에서 보행자가 안전하게 건널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운전자들도 파랑색 신호에 따라 횡단보도를 횡단하는 보행자들을 특히 야간이나 어두운 시간대에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하여 보행자와 운전자 모두 안전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횡단보도 투광등(900)에는 조도 센서가 구성될 수 있다.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장치(100)는 신호분석부(110), LED 차단바 구동부(120), 신호예고등 제어부(130), 저장부(140), 통신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신호분석부(110)는 신호등 제어기(200)로부터 횡단보도나 주행차선 신호시간을 분석한다.
LED 차단바 구동부(120)와 신호예고등 제어부(130)는 신호분석부(110)의 분석결과에 따라 LED 차단바(700)와 신호예고등(5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저장부(140)는 AI 카메라(600)로부터 전송된 각종 촬영정보(신호위반, 도난차량, 횡단보도 사고 등)의 촬영정보를 저장한다.
통신부(150)는 예를 들면 경찰서 서버등과 연결되어 도난차량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수배차량 정보를 전송받아 AI 카메라(600)의 메모리부(613)에 저장되도록 하거나, AI 카메라(60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경찰청 서버로 전송하도록 한다.
제어부(160)는 신호분석부(110), LED 차단바 구동부(120), 신호예고등 제어부(130), 저장부(140) 및 통신부(150)를 제어한다.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장치
110 : 신호분석부 120 : LED 차단바 구동부
130 : 신호예고등 제어부 140 : 저장부
150 : 통신부 160 : 제어부
200 : 신호등 제어기 300 : 주행차선 신호등
400 : 횡단보도 신호등 500 : 신호예고등
600 : AI 카메라 700 : LED 차단바
800 : 스피커 900 : 횡단보도 투광등

Claims (4)

  1. 횡단보도를 보행하고자 하는 보행자의 보행과 대기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횡단보도 신호등(400);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400)을 제어하는 신호등 제어기(200);
    횡단보도 양측에 설치된 기둥;
    상기 기둥에 설치되고,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400)과 연동하여 보행자의 보행과 대기를 시인성 있게 제어하는 LED 차단바(700);
    인도와 도로의 경계에 설치된 펜스나 볼라드에 설치되고,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400)이 보행신호인 파랑색의 경우에는 빨강색이 켜지고,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400)이 보행대기인 빨강색인 경우에는 파랑색이 켜지되 우회전 방향에 설치된 횡단보도 신호등(400)과 연동되어 동작되어 우회전 차량 운전자가 우회전 시 미리 예측할 수 있도록 동작되는 복수의 신호예고등(500);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을 촬영하고, 촬영된 차량의 속도를 계산하는 AI 카메라(600);
    상기 AI 카메라(600)의 계산결과에 따라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400)이 파랑색의 보행신호로 바뀌더라도 상기 횡단보도를 침범할 수 있다는 위험이 감지되는 경우 보행자에게 경보음을 발생하기 위한 스피커(800);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400)과 연동하여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400)이 파랑색이 되는 경우 횡단보도 방향으로 투광되도록 설계하여 파랑색신호에서 보행자가 안전하게 건널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운전자들도 파랑색 신호에 따라 횡단보도를 횡단하는 보행자들을 야간이나 어두운 시간대에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하여 보행자와 운전자 모두 안전하도록 하고, 야간이나 비, 눈 또는 구름에 의해 어두운 날씨에 동작되도록 하기 위한 조도센서가 구성된 횡단보도 투광등(900); 및
    상기 신호등 제어기(200)와 연동하여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400)이 빨강색에서 파랑색으로 신호 변환되기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복수의 신호예고등(500)이 미리 설정된 시간간격을 갖고 미리 설정된 거리에서 파랑색에서 빨강색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LED 차단바(700)에 대하여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400)이 빨강색인 경우에는 보행자가 보행하지 않도록 상기 기둥에서 튀어나와 있도록 하고,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400)이 파랑색인 경우에는 상기 기둥으로 삽입되록 제어하는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신호예고등(500)은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400)이 빨강색에서 파랑색으로 바뀌기 5초 전에 5,4,3,2,1 과 같이 점등되면서 우회전 하려는 차량이 5초 후 우회전시 신호등에 빛이 파랑색으로 바뀌는 것을 미리 예견할 수 있도록 동작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400)이 빨강색에서 파랑색으로 바뀔때에는 복수의 신호예고등(500)이 모두 빨강색으로 구동되고,
    기존에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펜스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신호예고등(500)은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400)이 빨강색에서 파랑으로 바뀌기 5초 전에 차례로 점등되어 5초 후 보행자 신호등인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400)이 빨강색에서 파랑색으로 바뀌는 것을 차량 운전자가 미리 예견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경각심을 보다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며,
    보행자 신호등인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400)이 빨강색일 경우 펜스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신호예고등(500)은 파랑색으로 전체가 발광상태로 하여 차량 운전자가 우회전하더라도 신호등이 빨강색으로 보행자 보행 정지 상태에 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되고,
    상기 AI 카메라(600)는 촬영부(카메라부)(611), 속도 계산부(612), 메모리부(613) 및 제어부(614)로 구성되며, 차선의 가장 우측 차선의 차량 또는 우측 깜빡이가 구동되는 차량을 촬영하는 촬영부(611)와, 상기 촬영부(611)에서 촬영된 차량의 속도를 계산하는 속도 계산부(612)와, 도난차량을 포함하는 수배차량 정보가 저장되며, 신호위반차량을 촬영한 촬영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613) 및 상기 속도 계산부(612)에서 계산된 차량속도에 따라 상기 스피커(800)를 통해 보행자들에게 파랑색이더라도 건너지 말것을 안내하는 경보음을 울리도록 상기 스피커(800)를 제어하고, 차량속도에 따라 위험성이 있을 시 상기 LED 차단바(700)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촬영부(611)에서 촬영된 차량번호정보와 상기 메모리부(613)에 저장된 수배차량정보를 검출하여 경찰서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AI 카메라(600)의 촬영부(611)에서 촬영된 횡단보도 내의 사고를 촬영 인식하여 증거자료로 활용되도록 메모리부(613)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경찰서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장치(100)는,
    상기 신호등 제어기(200)로부터 횡단보도나 주행차선 신호시간을 분석하는 신호분석부(110)와, 상기 신호분석부(110)의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LED 차단바(700)와 신호예고등(500)의 동작을 제어하는 LED 차단바 구동부(120)와 신호예고등 제어부(130)와, 상기 AI 카메라(600)로부터 전송된 각종 신호위반, 도난차량, 횡단보도 사고를 포함하는 촬영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40)와, 상기 경찰서 서버와 연결되어 도난차량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수배차량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AI 카메라(600)의 상기 메모리부(613)에 저장되도록 하거나, 상기 AI 카메라(60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경찰청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150) 및 상기 신호분석부(110), LED 차단바 구동부(120), 신호예고등 제어부(130), 저장부(140) 및 통신부(150)를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20103328A 2022-08-18 2022-08-18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 시스템 Active KR102483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328A KR102483169B1 (ko) 2022-08-18 2022-08-18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328A KR102483169B1 (ko) 2022-08-18 2022-08-18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3169B1 true KR102483169B1 (ko) 2022-12-30

Family

ID=84538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3328A Active KR102483169B1 (ko) 2022-08-18 2022-08-18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1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660B1 (ko) 2023-10-11 2024-02-20 주식회사 더블유에스에프 보행자 안전용 횡단보도 신호등 우회전 차단 및 알람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107B1 (ko) 2008-12-19 2009-07-09 광주광역시 남구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
KR20130114885A (ko) * 2012-04-10 2013-10-21 신상희 횡단보도의 통행안전장치
KR20150033080A (ko) 2013-09-23 2015-04-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횡단보도 보행자의 안전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60135597A (ko) 2015-05-18 2016-11-28 한국교통연구원 딜레마 존과 사고위험 존 등에 대한 경고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신호등
KR20170139800A (ko) * 2016-06-10 2017-12-20 윤종식 과속 및 신호위반에 의한 횡단보도 교통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80078493A (ko) * 2016-12-30 2018-07-10 충주시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
KR20200093828A (ko) * 2019-01-29 2020-08-06 주식회사 군장종합건설 스쿨존의 횡단보도를 어린이가 안전하게 건너가도록 횡단보도와 차도에 게이트를 설치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107B1 (ko) 2008-12-19 2009-07-09 광주광역시 남구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
KR20130114885A (ko) * 2012-04-10 2013-10-21 신상희 횡단보도의 통행안전장치
KR20150033080A (ko) 2013-09-23 2015-04-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횡단보도 보행자의 안전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60135597A (ko) 2015-05-18 2016-11-28 한국교통연구원 딜레마 존과 사고위험 존 등에 대한 경고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신호등
KR20170139800A (ko) * 2016-06-10 2017-12-20 윤종식 과속 및 신호위반에 의한 횡단보도 교통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80078493A (ko) * 2016-12-30 2018-07-10 충주시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
KR20200093828A (ko) * 2019-01-29 2020-08-06 주식회사 군장종합건설 스쿨존의 횡단보도를 어린이가 안전하게 건너가도록 횡단보도와 차도에 게이트를 설치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660B1 (ko) 2023-10-11 2024-02-20 주식회사 더블유에스에프 보행자 안전용 횡단보도 신호등 우회전 차단 및 알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966B1 (ko) 보행자 보호 장치
CN109272742B (zh) 带有行人预警立柱的行人过街预警系统及控制方法
KR101663929B1 (ko) 스쿨존 횡단보도 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673211B1 (ko) 횡단보도 교통사고 예방 방법
KR102305577B1 (ko) 우회전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
KR101661237B1 (ko) 횡단보도의 교통신호안전시스템
KR101388872B1 (ko) 횡단보도 교통 안전 시스템
KR200481229Y1 (ko) 도로의 점멸신호 안전관리 시스템
KR102526583B1 (ko) 딥러닝 기반 교차로 객체검지 및 자동 알람 시스템
KR102433394B1 (ko)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102484348B1 (ko) 교통약자 횡단보도 구역 보행자 위치 추적 스마트폴시스템
KR20160067435A (ko) 횡단보도의 무단횡단 알림 시스템
KR102483169B1 (ko)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 시스템
KR20180002976A (ko)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횡단보도 신호 제어 방법
KR20010103326A (ko) 보행자 보호용 신호등 제어시스템
KR20180082788A (ko) 도로의 점멸신호 안전관리 시스템
KR102351316B1 (ko) 스마트 횡단보도 시스템
KR20240054038A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스마트 펜스 및 그 동작 방법
KR20130014704A (ko) 스쿨존 횡단보도의 보행자 보호용 차단장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6900438B2 (ja) 警報器および信号灯器
KR102725647B1 (ko) 횡단보도 보조 신호 시스템
KR102427061B1 (ko) 객체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69257A (ko) Led 안전 감지센서 횡단보도
KR102357213B1 (ko) 난입 감지등을 이용한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808003B1 (ko) 교차로에서 우회전 차량을 위한 신호등 시스템, 어린이 보호구역 신호등 시스템, 이면도로의 위험 알림신호등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