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823B1 - 전기조리기 - Google Patents
전기조리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81823B1 KR102481823B1 KR1020160084995A KR20160084995A KR102481823B1 KR 102481823 B1 KR102481823 B1 KR 102481823B1 KR 1020160084995 A KR1020160084995 A KR 1020160084995A KR 20160084995 A KR20160084995 A KR 20160084995A KR 102481823 B1 KR102481823 B1 KR 1024818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ar
- electric cooker
- fixing pin
- lid
- protru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뚜껑의 잠금 상태를 자동 및 수동으로 전환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편의성 및 위생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이 내부에 장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측에 구비되어 개폐되되, 상기 내솥을 선택적으로 잠금하기 위해 하면부에 장착된 록킹링을 회전구동하는 회전개폐수단이 구비되고, 상면부를 커버하는 외부뚜껑부에 상기 회전개폐수단이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리드캡을 통해 개폐되는 수동개폐홀이 구비된 뚜껑을 포함하는 전기조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의 잠금 상태를 자동 및 수동으로 전환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편의성 및 위생성이 개선되는 전기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조리기는 음식을 조리하는데 쓰는 기구로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이 내장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전기조리기는 음식물이 수용된 내솥을 가열하여 고온 고압의 상태로 음식물을 조리하며, 뚜껑의 하면부에 구비된 록킹링의 돌기부가 내솥의 플랜지부에 걸림됨에 따라 뚜껑과 내솥이 잠겨 조리시 고온 고압의 증기 누출로 인한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조리기 뚜껑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조리기(1)는 사용자의 편의성 및 청결성을 개선하고 디자인적인 제약을 덜기 위해 뚜껑부의 핸들을 삭제하고 버튼의 조작에 따른 모터(5)의 구동으로 록킹링을 회전시켜 뚜껑 및 내솥 간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전환하는 자동잠금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자동잠금장치는 모터(5)의 정/역회전에 따른 회전력을 록킹링(미도시)에 연결된 회전부재(3)로 전달하되 작은 용적으로 큰 감속비를 얻기 위해 웜기어가 내장된 기어박스(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웜기어는 외주를 따라 조밀한 피치간격으로 연속된 나선돌기가 돌설되어 동력원에 연결되는 웜(worm)과, 상기 나선돌기의 피치간격에 대응되는 복수의 톱니돌기가 돌설되어 출력축에 연결되는 웜휠(worm wheel)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웜의 회전시 나선돌기의 각 피치에 맞물림된 톱니돌기가 피치의 진행방향으로 가압되어 웜휠이 회전되고, 동력원의 회전력이 수직방향으로 전환되어 출력축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웜기어의 일반적인 동력전달 구조로 인해 동력원 내지 동력원에 연결된 웜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웜휠 내지 웜휠에 연결된 출력축의 회전이 제한된다.
이로 인해, 정전이나 전원부, 제어장치의 오류 등으로 인한 모터(5)의 정지, 모터(5) 자체의 파손 및 고장, 출력축 및 회전부재(3) 간의 기어부 파손과 같은 단순한 잠금장치의 고장시에도 뚜껑의 개폐가 불가능하므로 전기조리기의 기본적인 기능을 전혀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전기조리기는 전문지식 없이 분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안전상의 이유로 분해시 주의가 요구되므로 수리점 등을 방문하기 전까지의 기간 동안에 내솥 내부에 수용된 조리 중의 음식물이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 부패하는 등 위생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뚜껑의 잠금 상태를 자동 및 수동으로 전환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편의성 및 위생성이 개선되는 전기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이 내부에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에 구비되어 개폐되되, 상기 내솥을 선택적으로 잠금하기 위해 하면부에 장착된 록킹링을 회전구동하는 회전개폐수단이 구비되는 뚜껑; 및 상기 뚜껑의 상면부를 커버하되, 상기 회전개폐수단이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리드캡을 통해 개폐되는 수동개폐홀이 구비된 외부뚜껑부를 포함하는 전기조리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개폐수단은 상기 뚜껑의 상면부 일측에 구비되되 구동기어를 정/역 회전구동하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 및 상기 구동기어가 선택적으로 연동 회전되도록 착탈되는 고정핀과, 상기 록킹링과 회동되도록 연결되되, 상기 뚜껑의 상면부 타측에 회전 지지되어 상기 구동기어를 통해 회전되는 회전베이스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베이스부에는 상기 고정핀이 착탈되도록 고정핀착탈홀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터부에는 단부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디컷면이 형성된 출력축이 구비되며, 상기 구동기어의 내부에는 상기 출력축의 최대외경부에 대응되도록 관통 형성되되, 내주에 상기 디컷면에 대응되도록 상기 출력축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클러치홈이 형성된 연결홀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핀에는 상기 구동기어 및 상기 출력축이 연동 회전되도록 상기 클러치홈에 삽입되어 상기 디컷면을 구속하는 클러치돌기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조리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리드캡의 분리 후 수동개폐홀 및 고정핀착탈홀로 노출된 고정핀을 제거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모터부 및 구동기어의 연동이 해제되어 회전베이스부의 수동 조작이 가능하므로 정전 등으로 인한 모터부의 작동 불가능 상태나 회전개폐수단의 고장시에도 뚜껑을 개방하여 조리 중인 음식물을 취출하고 내솥을 세척할 수 있어 제품의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정전시 모터부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비상전원구조가 불필요하므로 보다 컴팩트한 제품의 설계가 가능하다.
둘째, 상기 리드캡의 하면부에 고정핀의 상단을 지지하는 지지리브가 돌설되어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리드캡의 조립시 고정핀이 출력축에 고정되고 리드캡을 분리하기만 하면 고정핀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므로 제품의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조리기 뚜껑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뚜껑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뚜껑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회전개폐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A-B 단면에서 고정핀의 결합 및 분리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고정핀의 분리시 회전베이스부의 수동회전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회전개폐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C-D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뚜껑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뚜껑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회전개폐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A-B 단면에서 고정핀의 결합 및 분리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고정핀의 분리시 회전베이스부의 수동회전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회전개폐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C-D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뚜껑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뚜껑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회전개폐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A-B 단면에서 고정핀의 결합 및 분리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고정핀의 분리시 회전베이스부의 수동회전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100)는 본체(미도시), 뚜껑(10), 회전개폐수단(30), 록킹링(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미도시)의 내부에는 열판히터나 유도가열장치 등의 가열수단이 구비된 장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공간의 내측에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미도시)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내솥(미도시)에는 플랜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내솥(미도시)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된 복수개의 구속돌기(미도시)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뚜껑(10)은 상기 본체(미도시)의 상측에 구비되어 개폐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링(20)은 상기 뚜껑(10)의 하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내솥을 선택적으로 잠금하기 위해 내주를 따라 상기 구속돌기(미도시)에 대응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설된 복수개의 잠금돌기(21)가 돌설된다.
상세히, 상기 각 잠금돌기(21)가 구속돌기(미도시)의 하부에 배치되는 잠금 각도에서는 상기 잠금돌기(21)가 구속돌기(미도시)의 하면에 구속되어 내솥과 뚜껑(10)이 잠금되고, 각 잠금돌기(21)가 구속돌기(미도시)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잠금해제 각도에서는 내솥과 뚜껑(10)이 잠금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10)에는 상기 회전개폐수단(30)을 포함하는 각종 전장부품과 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선(미도시)이 설치되되, 상기 뚜껑(10)의 상면부는 외부뚜껑부(10a)에 의해 커버된다. 물론, 상기 외부뚜껑부(10a)는 상기 뚜껑(10)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회전개폐수단(30)은 모터부(30a), 고정핀(30b), 그리고 회전베이스부(40)를 포함하여, 상기 록킹링(20)을 회전 구동한다.
상세히, 상기 모터부(30a)는 상기 뚜껑(10)의 상면부 일측에 구비되되 내부에 정/역 회전되는 구동축(미도시)이 구비된 개폐모터(30e)와, 내부에 웜기어가 구비된 기어박스(30d)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30c)는 기어박스(30d)를 통해 상기 구동축(미도시)과 연결되어 정/역 회전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베이스부(40)는 상기 록킹링(20)과 회동되도록 연결되되 상기 뚜껑(10)의 상면부 타측에 회전 지지되어 상기 구동기어(30c)를 통해 회전된다.
이때, 상기 기어박스(30d)는 웜기어(미도시)를 통해 작은 공간에서 큰 감속비로 구동축(미도시)의 회전력을 감속하여 상기 구동기어(30c)로 전달할 수 있으며, 개폐모터(30e)의 출력 증가 내지 다수의 감속기어구조 없이 컴팩트한 구조로 회전베이스부(40) 및 록킹링(20)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뚜껑(10)의 상면부 일측은 상기 록킹링(20)의 회전궤적과 인접한 외곽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뚜껑(10)의 상면부 타측은 상기 록킹링(20)의 회전중심과 인접한 중앙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미도시) 내지 뚜껑(10)에는 잠금 및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조작버튼(미도시) 및 마이컴(미도시)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마이컴(미도시)은 입력된 조작버튼(미도시)의 신호에 따라 개폐모터(30e)의 구동축(미도시)이 정/역회전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구동축(미도시)의 회전력은 상기 기어박스(30d), 상기 구동기어(30c), 상기 회전베이스부(40)를 거쳐 상기 록킹링(20)으로 전달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베이스부(40)는 지지부(41) 및 기어결합부(42)를 포함하며, 지지부(41) 및 기어결합부(42)는 일체로 성형되어 하나의 부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41)는 부채꼴 형상으로 구비된 상기 회전베이스부(40)의 꼭지점측에 형성되며, 지지부(41)의 하면부에는 뚜껑(10)의 상면부 타측에 돌설된 지지돌기(13)가 삽입되는 회전지지홈부(41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지지홈부(41a) 및 상기 지지돌기(13)는 원형의 단면으로 구비되어 지지돌기(13)가 회전지지홈부(41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베이스부(40)가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지지홈부(41a) 및 상기 지지돌기(13) 간의 겹침 높이는 상기 회전베이스부(40)가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뚜껑(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외부뚜껑부(10a) 및 상기 회전베이스부(40)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어결합부(42)는 상기 지지부(41)로부터 상기 구동기어(30c)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되, 하면부에 상기 구동기어(30c)에 물림되는 기어돌기(42b)가 돌설된다.
이때, 상기 기어돌기(42b)는 상기 록킹링(20)의 잠금 및 잠금 해제 각도 사이 간격에 대응하여 원호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회전베이스부(40)는 기어돌기(42b)를 통해 구동기어(30c)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결합부(42)의 상면부에는 상기 기어돌기(42b) 및 상기 구동기어(30c) 간의 결합부분을 따라 고정핀착탈홀(42a)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핀착탈홀(42a)은 상기 기어돌기(42b)의 시작부분으로부터 종료부분까지를 커버하는 원호형으로 확장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착탈홀(42a)을 통해 구동기어(30c) 및 기어돌기(42b)간의 형합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핀착탈홀(42a)은 상기 고정핀(30b)이 통과 가능한 크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핀(30b)이 상기 회전베이스부(40)를 관통하여 상기 구동기어(30c)의 상면부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결합부(42)의 원호측 외측단에는 상기 록킹링(20)의 상면에 돌설된 연결돌기(22)가 체결되는 연결부(42c)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뚜껑(10)에는 상기 록킹링(20)이 잠금 각도로부터 잠금 해제 각도까지 회전될 때 연결돌기(22)의 이동 궤적에 대응되도록 원호형 장공(14)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돌기(22)는 원호형 장공(14)을 관통하여 연결부(42c)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베이스부(40)와 상기 록킹링(20)이 연동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원호형 장공(14)의 양측단부를 통해 연결돌기(22)가 걸림되어 상기 록킹링(20)의 회전반경이 기구학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42c) 및 고정핀착탈홀(42a)의 경계 부분에 그립부(42d)가 돌설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핀(30b)은 상기 모터부(30a)와 상기 구동기어(30c)가 선택적으로 연동 회전되도록 상기 기어박스(30d)의 출력축(31)에 착탈된다.
즉, 상기 고정핀(30b) 및 상기 출력축(31)의 결합시 상기 출력축(31)과 상기 구동기어(30c)가 연동 회전되고, 상기 고정핀(30b) 및 상기 출력축(31)의 분리시 상기 출력축(31)과 상기 구동기어(30c) 간의 연동이 해제된다.
상세히, 상기 기어박스(30d)는 작은 공간에서 큰 감속비를 얻기 위해 웜기어(미도시)를 포함하여 구비되고, 개폐모터(30e)의 구동축(미도시)으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은 웜기어를 거쳐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전환되고 토크가 증가되어 기어박스(30d) 상면부의 출력축(31)으로 전달된다.
이때, 도 4 내지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출력축(31)의 단부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디컷면(31a)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출력축(31)은 상기 구동기어(30c)의 중앙부에 형성된 연결홀(32)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디컷면(31a)은 상기 연결홀(32)의 내주면과 대향되는 부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홀(32)은 상기 출력축(31)의 최대외경부, 즉 디컷면(31a)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출력축(31)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되 내주 일측이 상기 출력축(3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 개구되어 클러치홈(32a)이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홀(32)의 최소내경부는 상기 출력축(31)의 최대외경부 이상의 단면적을 갖는다.
또한, 상기 고정핀(30b)은 상기 구동기어(30c)의 상면부에 안착되는 안착몸체부(33)와, 상기 안착몸체부(33)의 하면부에 돌설되는 클러치돌기부(33a)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안착몸체부(33)는 상기 연결홀(32)의 단면적을 초과하는 크기의 원형블록 부재로 구비되며, 상기 클러치돌기(33a)는 상기 디컷면(31a)과 상기 클러치홈(32a)이 상호 대향 배치된 상태에서 디컷면(31a) 및 클러치홈(32a)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직경의 원형 단면을 갖도록 돌설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몸체부(33)의 중앙부에는 상기 출력축(31)의 상단부에 돌설된 결합지지돌기(31e)가 삽입되는 결합지지홀(33b)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클러치돌기(33a)가 상기 디컷면(31a)과 상기 클러치홈(32a) 사이로 삽입되면, 클러치돌기(33a)의 일측 외주가 클러치홈(32a)에 밀착되어 걸림된 상태에서 클러치돌기(33a)의 타측 외주가 디컷면(31a)을 구속함에 따라 상기 구동기어(30c) 및 상기 출력축(31)이 연동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지지홀(33b)의 내주가 상기 결합지지돌기(31e)의 외주에 지지됨에 따라 클러치돌기(33a)가 클러치홈(32a) 및 디컷면(31) 사이에서 비틀림되지 않도록 고정핀(30b)의 측방향 유동이 방지되며, 구동기어(30c) 및 출력축(31)의 연동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모터(30e)가 회전되면 구동축(미도시)의 회전력은 기어박스(30d), 출력축(31), 클러치돌기(33a)를 거쳐 구동기어(30c)로 전달되고, 상기 구동기어(30c)와 맞물림된 기어돌기(42b)를 통해 상기 회전베이스부(40) 및 상기 록킹링(20)이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모터(30e)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록킹링(20)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뚜껑과 내솥 간의 잠금 및 잠금해제 상태가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b와 같이, 상기 클러치돌기(33a)가 상기 클러치홈(32a)으로부터 분리되면 출력축(31)의 디컷면(31a)과 클러치홈(32a) 간의 구속이 해제되고, 상기 구동기어(30c)가 상기 출력축(31)으로부터 자유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출력축(31)은 웜기어를 통해 개폐모터(30e)와 연결되어 회전되며, 개폐모터(30e)측 웜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웜훨측 출력축(31)의 회전이 제한된다.
이때, 상기 구동기어(30c)가 자유 회전되도록 고정핀(30b)이 출력축(31)으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구동기어(30c)와 기어돌기(42b)를 통해 기어 결합된 회전베이스부(40)가 수동 조작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뚜껑부(10a)에는 상기 회전개폐수단(30)이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리드캡(12)을 통해 개폐되는 수동개폐홀(11)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동개폐홀(11)은 상기 고정핀(30b)의 상부에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록킹링(20)의 잠금 및 잠금 해제 각도에 대응되는 상기 회전베이스부(40)의 회전시 상기 그립부(42d)의 회전궤적을 커버하는 크기로 확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리드캡(12)은 상기 수동개폐홀(11)에 대응되는 단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리드캡(12)의 일측에는 타측으로 탄발 변형되는 탄성편(12b)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탄성편(12b)은 상기 수동개폐홀(11)의 테두리와 인접한 리드캡(12)의 일측이 'U'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구비되며, 상기 수동개폐홀(11)의 테두리와 대면되는 외측면에 후크돌기(12c) 및 분리돌기(12d)가 돌설된다.
이때, 상기 후크돌기(12c) 및 상기 분리돌기(12d)는 상기 수동개폐홀(11)의 일측 테두리에 돌설된 걸림턱(11a)의 두께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리드캡(12)의 타측에는 상기 수동개폐홀(11)의 타측 테두리에 걸림되도록 결합돌기(12e)가 돌설된다.
여기서, 상기 리드캡(12)의 결합돌기(12e)가 상기 수동개폐홀(11)의 타측 테두리 하면부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리드캡(12)의 일측을 하방 가압하면 상기 후크돌기(12c)의 경사진 단부가 상기 걸림턱(11a)을 따라 슬라이드되며 상기 탄성편(12b)이 타측으로 탄발 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돌기(12c)가 걸림턱(11a)을 통과하면 탄성편(12b)이 탄발 복원되고, 상기 후크돌기(12c)의 단턱진 상부측이 걸림턱(11a)의 하면부에 걸려 리드캡(12)이 수동개폐홀(11)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드캡(12)의 테두리가 수동개폐홀(11)의 테두리에 밀착되어 수동개폐홀(11)이 폐쇄되고 외부 이물질의 침투가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드캡(12)의 하면부에는 상기 고정핀(30b)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하향 돌설된 지지리브(12a)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지지리브(12a)는 상기 리드캡(12)이 수동개폐홀(11)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핀(30b)의 상단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돌설되되, 리드캡(12)의 하면부 및 상기 고정핀(30b)의 상면부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로 돌설된다.
이에 따라, 상기 리드캡(12)의 장착시 상기 고정핀(30b)의 상단부가 상기 지지리브(12a)를 통해 가압됨에 따라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클러치돌기(33a)가 클러치홈(32a)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동개폐홀(11)의 상부로 노출된 탄성편(12b)의 분리돌기(12d)를 타측으로 가압하면 탄성편(12b)이 타측으로 탄발 변형되고 상기 후크돌기(12c)의 단턱진 상부측이 걸림턱(11a)의 하면부으로부터 이탈되어 걸림이 해제되므로, 상기 리드캡(12)을 상측으로 당겨 분리하면, 수동개폐홀(11)이 개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리드캡(12)이 원터치 방식으로 손쉽게 착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동개폐홀(11)에 결합된 리드캡(12)이 분리되면, 기어결합부(42)의 고정핀착탈홀(42a)측 상면부가 노출되고, 상기 기어결합부(42)의 고정핀착탈홀(42a)을 통해 고정핀(30b) 및 구동기어(30c)가 노출된다.
이때, 상기 고정핀(30b)은 지지리브(12a)를 통한 가압이 해제된 상태로, 고정핀착탈홀(42a)의 상부로 노출된 안착몸체부(33)를 상측으로 당김에 따라 손쉽게 분리될 수 있으며, 고정핀(30b)의 분리시 클러치돌기(33a)가 클러치홈부(32a)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출력축(31)과 연동이 해제된 구동기어(30c)가 자유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a 내지 도 6b와 같이, 상기 그립부(42d)를 수동개폐홀(11)의 개방된 범위를 따라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조작하여 상기 록킹링(20)의 잠금 및 잠금해제 상태가 전환될 수 있다.
이처럼, 리드캡(12)의 원터치 분리 후 고정핀(30b)을 제거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상기 회전베이스부(40)가 수동 조작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으며, 수동개폐홀(11)을 통해 노출된 그립부(42d)를 조작하여 뚜껑과 내솥 간의 잠금 및 잠금 해제가 손쉽게 전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전 등으로 인한 모터부(30a)의 작동 불가능 상태나 회전개폐수단의 고장시 전문지식 없이 회전베이스부(40)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뚜껑(10)을 수동 개방하여 음식물을 취출하고 세척함에 따라 내솥 내부가 청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정전시 모터부(30a)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043310) 등 별도의 비상전원구조가 불필요하므로 보다 컴팩트한 제품의 설계가 가능하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회전개폐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C-D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제2실시예에서는 고정핀(130b) 및 출력축(131)의 세부적인 형상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출력축(131)의 단부에는 외주 양측에 한쌍의 디컷면(131a,131b)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홀(132)의 양측에는 상기 디컷면(131a,131b)에 대응되는 각도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한쌍의 클러치홈(132a,132b)이 형성되되, 상기 고정핀(130b)의 안착몸체부(133) 하면에는 각 클러치홈(132a,132b)에 삽입되도록 한쌍의 클러치돌기(133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각 클러치돌기(133a)는 외주 일측(133c)이 상기 클러치홈(132a)의 내면에 형합되도록 라운드지게 구비되되, 외주 타측(133d)이 상기 디컷면(131a)에 면접촉되도록 평탄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클러치돌기(133a)가 상기 클러치홈(132a) 및 디컷면(131a) 사이 공간에 형합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구동기어(130c) 및 출력축(131) 사이의 회전력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축(131)의 중앙부에는 나사체결홈(131e)이 형성되되, 나사부재(미도시)가 상기 안착몸체부(133)의 중앙부에 형성된 나사체결홀(133b)을 관통하여 상기 나사체결홈(131e)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고정핀(130b)이 상기 출력축(131)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조작으로 인한 리드캡의 해제 등으로 고정핀(130b)이 출력축(131)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정핀(130b)의 분실 우려가 감소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100: 전기조리기 10: 뚜껑
20: 록킹링 30,130: 회전개폐수단
40: 회전베이스부
20: 록킹링 30,130: 회전개폐수단
40: 회전베이스부
Claims (11)
-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이 내부에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에 구비되어 개폐되되, 상기 내솥을 선택적으로 잠금하기 위해 하면부에 장착된 록킹링을 회전구동하는 회전개폐수단이 구비되는 뚜껑; 및
상기 뚜껑의 상면부를 커버하되, 상기 회전개폐수단이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리드캡을 통해 개폐되는 수동개폐홀이 구비된 외부뚜껑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개폐수단은
상기 뚜껑의 상면부 일측에 구비되되 구동기어를 정/역 회전구동하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 및 상기 구동기어가 선택적으로 연동 회전되도록 착탈되는 고정핀과,
상기 록킹링과 회동되도록 연결되되, 상기 뚜껑의 상면부 타측에 회전 지지되어 상기 구동기어를 통해 회전되는 회전베이스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는
내부에 정/역 회전되는 구동축이 구비된 개폐모터와,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이 감속되어 상기 구동기어로 전달되도록 내부에 웜기어가 구비된 기어박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구동기어의 상면부에 안착되는 안착몸체부와,
상기 안착몸체부의 하면부에 돌설된 클러치돌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베이스부에는 상기 고정핀이 착탈되도록 고정핀착탈홀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캡의 하면부에는 상기 고정핀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하향 돌설된 지지리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에는 단부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디컷면이 형성된 출력축이 구비되며,
상기 구동기어의 내부에는 상기 출력축의 최대외경부에 대응되도록 관통 형성되되, 내주에 상기 디컷면에 대응되도록 상기 출력축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클러치홈이 형성된 연결홀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핀에는 상기 구동기어 및 상기 출력축이 연동 회전되도록 상기 클러치홈에 삽입되어 상기 디컷면을 구속하는 클러치돌기가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베이스부는
상기 뚜껑의 상면부 타측에 돌설된 지지돌기가 삽입되도록 하면부에 회전지지홈부가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구동기어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되, 연장된 부분의 하면부에 상기 구동기어에 물림되는 기어돌기가 돌설된 기어결합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결합부의 상면부에는 상기 고정핀이 착탈되도록 상기 기어돌기 및 상기 구동기어 간의 결합부분을 따라 고정핀착탈홀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결합부의 상면부에는 그립부가 돌설되되,
상기 수동개폐홀은 상기 고정핀의 상부에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회전베이스부의 회전시 상기 그립부의 회전궤적을 커버하는 크기로 확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캡의 일측에는 타측으로 탄발 변형되는 탄성편이 구비되되,
상기 탄성편의 외측면에는 상기 수동개폐홀의 테두리에 돌설된 걸림턱에 걸림되는 후크돌기가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4995A KR102481823B1 (ko) | 2016-07-05 | 2016-07-05 | 전기조리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4995A KR102481823B1 (ko) | 2016-07-05 | 2016-07-05 | 전기조리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5058A KR20180005058A (ko) | 2018-01-15 |
KR102481823B1 true KR102481823B1 (ko) | 2022-12-28 |
Family
ID=61001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84995A KR102481823B1 (ko) | 2016-07-05 | 2016-07-05 | 전기조리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8182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123132B (zh) * | 2018-02-08 | 2020-11-06 |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 上盖组件和压力烹饪器具 |
KR20240048177A (ko) * | 2022-10-06 | 2024-04-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도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4387B1 (ko) * | 2014-01-07 | 2020-11-04 | 쿠쿠전자 주식회사 | 전기조리기 |
KR101598817B1 (ko) * | 2014-05-28 | 2016-03-02 | (주)쿠첸 | 전기압력밥솥을 위한 랙과 피니언 방식의 자동 잠금 장치 |
KR101576947B1 (ko) * | 2014-05-28 | 2015-12-11 | (주)쿠첸 | 전기압력밥솥의 자동잠금장치의 수동구동 조립체 |
KR101642273B1 (ko) * | 2014-12-15 | 2016-07-26 | (주)힌지코리아 |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 |
KR20200137593A (ko) | 2019-05-31 | 2020-12-09 | 이학철 | 파일 편직물 및 그 제조방법 |
-
2016
- 2016-07-05 KR KR1020160084995A patent/KR102481823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5058A (ko) | 2018-0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31401B2 (en) | Appliance for simultaneous cooking and stirring | |
CA2558342C (en) | Popcorn maker | |
KR20080109428A (ko) | 안전장치가 구비된 내솥 뚜껑 분리형 전기 압력 조리기 | |
EP0910978A1 (en) | Drive mechanism for salad spinner and the like | |
KR102481823B1 (ko) | 전기조리기 | |
KR102474495B1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 |
CN109984587B (zh) | 锅盖和具有其的烹饪器具 | |
CN109984582B (zh) | 锅盖和烹饪器具 | |
KR100878254B1 (ko) | 안전장치가 구비된 내솥 뚜껑 분리형 전기 압력 조리기 | |
JP6066886B2 (ja) | 改良されたロック解除制御を備える圧力下食品調理器具 | |
KR102392702B1 (ko) | 전기조리기 | |
JP2001500044A (ja) | 容器上に配置される駆動ユニットを有するキッチン器具 | |
JP2010252825A (ja) | 電動調理器 | |
CN220988449U (zh) | 能够进行压力烹饪和空气煎炸的盖以及具有该盖的设备 | |
KR101673893B1 (ko) | 전기 밥솥 | |
CN108720622B (zh) | 烹饪器具旋转开盖组件以及具有它的盖体和烹饪器具 | |
JP5522838B2 (ja) | 電動調理器 | |
CN103976647B (zh) | 电压力锅的开盖装置和电压力锅 | |
JP5522837B2 (ja) | 電動調理器 | |
CN107296491B (zh) | 一种煲盖组件及其煲具 | |
CN209995961U (zh) | 盖体组件及烹饪器具 | |
RU2452358C2 (ru) | Кухонный комбайн с кнопкой разблокировки на крышке | |
JP2023528625A (ja) | 取り外し可能なプルストリング駆動装置を備えたキッチン器具 | |
KR200409245Y1 (ko) | 압력밥솥의 뚜껑 잠금장치 | |
CN107080454B (zh) | 蒸煮器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