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477827B1 - Terminal assembly and Moto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erminal assembly and Moto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7827B1
KR102477827B1 KR1020150130282A KR20150130282A KR102477827B1 KR 102477827 B1 KR102477827 B1 KR 102477827B1 KR 1020150130282 A KR1020150130282 A KR 1020150130282A KR 20150130282 A KR20150130282 A KR 20150130282A KR 102477827 B1 KR102477827 B1 KR 102477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late
shield
contact inlet
grou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02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32663A (en
Inventor
임송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0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827B1/en
Publication of KR20170032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6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82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접촉입구와 제2 접촉입구를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제1 접촉입구에 삽입되는 전원 터미널과, 상기 제2 접촉입구에 노출되며 상기 전원 터미널에 연결되며 안착부를 포함하는 터미널플레이트 및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며, 터미널부와 상기 터미널부에서 꺽여 형성되며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접지부를 포함하는 터미널 조립체를 제공하여, 협소한 공간에서 버스바 터미널과 전원 터미널을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dy including a first contact inlet and a second contact inlet, a power terminal inserted into the first contact inlet, and a terminal plate exposed to the second contact inlet and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and including a seating portion. And by providing a terminal assembly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and including a terminal portion and a ground portion formed by bending at the terminal portion and protruding from the terminal portion, the bus bar terminal and the power terminal can be effectively connected in a narrow space. Advantageous effect to provide.

Description

터미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Terminal assembly and Motor having the same}Terminal assembly and motor including the same {Terminal assembly and Mo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미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터미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ssembly and a motor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assembly for connecting power to a motor and a motor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the same.

모터는 도체가 자기장 속에서 받는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바꾸는 장치이다. 통상적인 모터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샤프트와, 샤프트에 결합되는 로터와, 하우징에 고정되는 스테이터를 포함한다. 로터의 둘레를 따라 간극을 두고 스테이터가 설치된다, 그리고 스테이터에는 회전 자계를 형성하는 코일이 권선된다. A motor is a device that converts electrical energy into rotational energy by using the force received by a conductor in a magnetic field. A typical motor includes a shaft formed to be rotatable, a rotor coupled to the shaft, and a stator fixed to a housing. A stator is installed with a gap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tor, and a coil forming a rotating magnetic field is wound on the stator.

분할 코어 방식의 스테이터의 경우, 스테이터 위에 환형의 버스바(BUSBAR)가 마련된다. 스테이터의 코일은 코일 단자를 통해 버스바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버스바에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이 연결되는 버스바 터미널이 형성된다. In the case of a split-core stator, an annular bus bar (BUSBAR) is provided on the stator. The coil of the sta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s bar through the coil terminal. Bus bar terminals to which power supplies of different polarities are connected are formed on these bus bars.

버스바 터미널은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 터미널과 연결된다.The bus bar terminal is connected to a power terminal for connecting power.

그러나 버스바 터미널과 전원 터미널은 버스바 몰드의 공간적 제약으로 연결 구조를 구현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접지를 구현하는 쉴드터미널을 모터에 마련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연결 터미널 구조를 마련하거나, 볼팅(Bolting) 영역까지 이어지는 와이어를 마련해야 하다. 이러한 터미널 구성은 별도의 부품 추가로 제조 비용이 증가하고, 제조 공정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bus bar terminal and the power terminal have a problem in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implement a connection structure due to space limitations of the bus bar mold. In addition, in order to provide a shield terminal that implements grounding in the motor, a separate connection terminal structure must be prepared or a wire leading to the bolting area must be prepared. Such a terminal configuration has a problem in that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due to the addition of separate parts and productivity greatly decreases due to a complicated manufacturing process.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협소한 공간에서 버스바 터미널과 전원 터미널을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터미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assembly capable of effectively connecting a bus bar terminal and a power terminal in a narrow space and a motor including the same.

또한, 쉴드터미널의 접지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터미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assembly capable of simplifying the grounding structure of a shield terminal and a motor including the same.

또한, 쉴드터미널의 접지 구성의 구조적 안전성을 높이는 터미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assembly that increases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shield terminal's grounding configuration and a mo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herein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 접촉입구와 제2 접촉입구를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제1 접촉입구에 삽입되는 전원 터미널과, 상기 제2 접촉입구에 노출되며 상기 전원 터미널에 연결되며 안착부를 포함하는 터미널플레이트 및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며, 터미널부와 상기 터미널부에서 꺽여 형성되며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접지부를 포함하는 터미널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ody including a first contact inlet and a second contact inlet, a power terminal inserted into the first contact inlet, and exposed to the second contact inlet and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erminal assembly including a terminal plate including a seating portion and a ground portion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formed by being bent at the terminal portion and having a protruding projection formed there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플레이트는 수직하게 결합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ower terminal and the terminal plate may be coupled vertically.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미널플레이트는 상기 전원 터미널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terminal plate may be symmetrically disposed about the power terminal.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착부는 상기 터미널플레이트의 중심부에 마련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eating portion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terminal plate.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미널플레이트는 상기 전원 터미널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terminal plate may have a hole into which the power terminal is inser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미널플레이트는 상기 안착부를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와 우측에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보다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낮게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terminal plate includes a first plate disposed on the left side and a second plate disposed on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seating portion, and the seating portion is higher tha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in a height direction. Can be placed low.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의 중심부에 상기 쉴드터미널을 수용하는 쉴드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a shield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the shield terminal may be included in the center of the body.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지부는 상기 터미널부에 꺽여 형성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서 꺽여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부와 마주 보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접지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ground portion may include a bottom portion formed by bending the terminal portion and a ground connection portion formed by bending the bottom portion to face the terminal portion and having the holding protrusion formed therein.

바람직하게는, 상기 쉴드수용부는 상기 쉴드수용부의 양 측벽에 걸쳐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부와 상기 접지연결부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바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hield accommodating portion may include a fixing bar formed across both sidewalls of the shield accommodating portion and positioned between the terminal portion and the ground connection por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내측에 배치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에 결합하는 회전축과, 상기 스테이터 위에 배치되는 버스바 및 제1 접촉입구와 제2 접촉입구를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제1 접촉입구에 삽입되는 전원 터미널과, 상기 제2 접촉입구에 노출되며 상기 전원 터미널에 연결되며 안착부를 포함하는 터미널플레이트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쉴드터미널과, 상기 쉴드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탄성도체를 포함하는 터미널 조립체를 포함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Another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housing, a stato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 rotor disposed inside the stator, a rotating shaft coupled to the rotor, a bus bar disposed above the stator, and a first A body including a contact inlet and a second contact inlet, a power terminal inserted into the first contact inlet, a terminal plate exposed to the second contact inlet,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and including a seating portion, and the seating portion A motor including a terminal assembly including a shield terminal seated on the housing and an elastic conductor connecting the shield terminal and the housing may be provided.

바람직하게는, 모터로서 상기 쉴드터미널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며, 터미널부와 상기 터미널부에서 꺽여 형성되며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접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hield terminal as a motor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and may include a terminal portion and a ground portion formed by being bent at the terminal portion and having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terminal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지부는 상기 터미널부에 꺽여 형성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서 꺽여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부와 마주 보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접지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ground portion may include a bottom portion formed by bending the terminal portion and a ground connection portion formed by bending the bottom portion to face the terminal portion and having the holding protrusion formed therein.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도체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리도록 상기 접지연결부에 결합할 수 있다.Preferably, the elastic conductor may be coupled to the ground connection portion so as to be caught on the protrus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오목하게 접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접지홈에 상기 탄성도체가 삽입될 수 있다.Preferably, a ground groove is concavely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elastic conductor may be inserted into the ground groove.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도체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접지연결부와 상기 접지홈에 연결될 수 있다.Preferably, the elastic conductor may be connected to the ground connection portion and the ground groove so that restoring force acts in a radial direction about the rotation ax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터미널과 버스바의 터미널과 접촉하는 터미널플레이트를 구비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 버스바 터미널과 전원 터미널을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terminal plate in contact with the power terminal and the terminal of the bus bar, an advantageous effect of effectively connecting the bus bar terminal and the power terminal in a narrow space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쉴드터미널이 안착될 수 있는 영역을 구비하고 안착된 쉴드터미널의 접지부가 하우징의 상단에 결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쉴드터미널의 접지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ing structure of the shield terminal is simplified by providing an area where the shield terminal can be seated and configured such that the grounding portion of the seated shield terminal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housing,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It provides beneficial effects of saving and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쉴드터미널과 하우징을 연결하고, 하우징에 탄성 가압되는 탄성도체를 구비함으로써, 쉴드터미널과 터미널플레이트와 접촉성 및 하우징과의 결합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제품 설계의 용이성 및 제조 공정을 더욱 단순화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the shield terminal and the housing and providing an elastic conductor that is elastically pressed to the housing,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tactability between the shield terminal and the terminal plate and the coupling property with the housing, so product design It provides an advantageous effect of further simplifying the ease of and manufacturing proces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미널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몸체에 쉴드터미널을 축방향으로 고정하는 고정바를 형성시킴으로써, 쉴드터미널과 하우징의 결합구성을 배제하여 쉴드터미널의 접지 구조를 단순화시키며,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fixing bar for axially fixing the shield terminal to the body including the terminal plate, the connection configuration between the shield terminal and the housing is excluded to simplify the grounding structure of the shield terminal, It provides an advantageous effect of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모터에 장착된 터미널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버스바의 터미널에 결합하는 터미널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서 도시한 터미널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전원 터미널과 터미널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안착부에 결합하는 쉴드터미널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쉴드터미널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탄성도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mo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terminal assembly mounted on the motor of FIG. 1;
3 is a view showing a terminal assembly coupled to a terminal of a bus bar;
Figure 4 shows the terminal assembly shown in Figure 2;
5 is a diagram showing a power terminal and a terminal plate;
6 is a view showing a shield terminal coupled to a seating part;
7 is a diagram showing a shield terminal;
8 is a view showing an elastic conducto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appropriately defines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on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mo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터미널 조립체(10)와, 하우징(20)과, 스테이터(30)와, 로터(40)와, 회전축(50)과, 버스바(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mo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assembly 10, a housing 20, a stator 30, a rotor 40, a rotation shaft 50, and a bus bar. (60) may be included.

스테이터(30)는 하우징(20)에 결합되며, 스테이터(30)의 내측에는 로터(40)가 배치될 수 있다. 로터(40)의 중앙부에는 회전축(50)이 결합될 수 있다. 스테이터(30)에는 코일이 감겨 자기극을 갖게 되며, 코일의 권선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로터(40)가 회전하고 동시에 회전축(50)이 회전하게 될 수 있다.The stator 30 is coupled to the housing 20, and a rotor 40 may be disposed inside the stator 30. A rotating shaft 50 may be coupl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tor 40 . A coil is wound around the stator 30 to have a magnetic pole, and the rotor 40 rotates and the rotating shaft 50 rotates at the same time by the magnetic field formed by winding the coil.

먼저, 스테이터(30)는 복수의 스테이터 코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이터 코어는, 환형의 요크 부분과,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요크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등각도 간격으로 돌출되는 스테이터 티스의 부분을 포함하는 복수의 강판을 적층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 자계를 형성하는 코일이 이러한 스테이터 티스에 감길 수 있다. 이때, 인슐레이터를 통해 코일은 절연될 수 있다.First, the stator 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ator cores. For example, the stator core may be constructed by laminating a plurality of steel plates including an annular yoke portion and portions of stator teeth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protruding radially inward from the yoke at regular intervals. . Coils forming a rotating magnetic field may be wound around these stator teeth. At this time, the coil may be insulated through the insulator.

버스바(BUSBAR)(60)는 스테이터(30) 위에 마련될 수 있다. 버스바(60)는 병렬로 배치된 코일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버스바(60)에는 절연 재질로 구성되는 환형의 몸체가 마련되고 몸체에는 코일과 연결되는 터미널(도 3의 61)들이 마련된다. 그리고 버스바(60)는 단자와 연결되고 상호 다른 극성의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터미널(도 4의 200)을 통해 코일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A bus bar (BUSBAR) 60 may be provided on the stator 30 . The bus bar 60 is for connecting coils disposed in parallel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ils. An annular body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is provided on the bus bar 60, and terminals (61 in FIG. 3) connected to the coil are provided on the body. In addition, the bus bar 60 may supply electricity to the coil through a power terminal ( 200 in FIG. 4 ) connected to the terminal and supplied with external power having different polarities.

로터(40)는 스테이터(30)의 내측에 배치된다. 로터(40)는 로터 코어에 마그네트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로터 코어와 마그네트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로터(40)는 마그네트가 로터 코어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마그네트가 로터 코어의 포켓에 삽입되는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로터(40)의 상측에는 로터(40)의 위치 정보 획득을 위한 센싱 마그네트가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설치되거나, 이와 유사한 로터 위치 감지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The rotor 40 is disposed inside the stator 30. The rotor 40 may be configured by coupling a magnet to the rotor core, or in some cases, the rotor core and the magnet may be integrally configured. In addition, the rotor 40 may be configured in a type in which a magnet is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core or a type in which a magnet is inserted into a pocket of the rotor core. On the upper side of the rotor 40, a sensing magnet for obtaining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rotor 40 may be coupled to a plate and installed, or a similar rotor position sensing means may be installed.

회전축(50)의 양단은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50 may be rotatably supported by bearings.

이러한 모터는 차량에 장착되어 운행에 필요한 다양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서, 모터는 ARS(Active Roll Stabilizer, 이하, ARS라 한다)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ARS는 스태빌라이저 바(Stabilizer Bar)의 강성을 가변 시켜 차량의 안전성 및 승차감을 증대시키는 장치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선회 시, 스태빌라이저 바의 비틀림 정도를 조절하여 차량의 선회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장치이다.Such a motor may be mounted on a vehicle to provide various driving forces required for driving. As an example, the motor may be applied to an Active Roll Stabilizer (ARS). Here, ARS means a device that increases the safety and riding comfort of a vehicle by varying the rigidity of a stabilizer bar. Specifically, it is a device for improving turning safety of a vehicle by adjusting the degree of torsion of the stabilizer bar when turning the vehicle.

이때 모터는 스태빌라이저 바의 비틀림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At this time, the motor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generating a torsional force of the stabilizer bar.

차량의 좌우 측 바퀴에는 각각 2개의 스태빌라이저 바가 각각 연결되고, 일반적으로 2개의 스태빌라이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비틀림을 유발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모터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는 2개의 스태빌라이저 사이에 배치되어 스태빌라이저 바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Two stabilizer bars ar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wheels of the vehicle, respectively, and generally, at least one of the two stabilizers is rotatably configured to induce twist. At this time, an actuator including a moto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wo stabilizers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stabilizer bar.

도 2는 도 1의 모터에 장착된 터미널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버스바의 터미널에 결합하는 터미널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terminal assembly mounted on the motor of FIG. 1,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terminal assembly coupled to a terminal of a bus bar.

도 2 및 도 3을 참조라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조립체(10)는 버스바(60) 위에 배치된 상태에서 버스바(60)의 터미널(61)과 퓨징되어 설치될 수 있다. 버스바(60)의 몸체 위쪽으로 올라온 터미널(61)과 터미널플레이트(300)가 접촉한 상태로 결합된다.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terminal assembly 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sed and installed with the terminal 61 of the bus bar 60 in a state disposed on the bus bar 60. there is. The terminal 61 raised above the body of the bus bar 60 and the terminal plate 300 are coupled in a contact state.

도 4는 도 2에서 도시한 터미널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전원 터미널과 터미널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terminal assembly shown in FIG. 2,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power terminal and a terminal plat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터미널 조립체(10)는 몸체(100)와, 전원 터미널(200)과, 터미널플레이트(300)와, 쉴드터미널(4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5 , the terminal assembly 10 may include a body 100 , a power terminal 200 , a terminal plate 300 , and a shield terminal 400 .

몸체(100)는 터미널 조립체(10)의 하우징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전원 터미널(200)과 터미널플레이트(300)을 포함한 상태에서 몰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100)는 전원 터미널(200)과, 터미널플레이트(300)와, 쉴드터미널(400)을 하나의 부품으로 엮는 프레임 역할을 한다.The body 100 serves as a housing for the terminal assembly 10, and may be implemented in a molded form including the power terminal 200 and the terminal plate 300. The body 100 serves as a frame for combining the power terminal 200, the terminal plate 300, and the shield terminal 400 into one component.

그리고, 몸체(100)는 제1 접촉입구(110)와 제2 접촉입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입구(110)는 상향하여 개방된 형태로 실시되어 전원 터미널(200)과 연결되는 단자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2 접촉입구(120)는 절개 형성되어 터미널플레이트(300)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역할을 한다.Also, the body 100 may include a first contact inlet 110 and a second contact inlet 120 . The first contact inlet 110 is implemented in an upwardly open form to form a space into which a terminal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200 is inserted. The second contact inlet 120 is formed by cutting and serves to expose the terminal plate 300 to the outside.

몸체(100)의 중심부에는 제1 접촉입구(110)가 배치되고, 제1 접촉입구(110)이 하부에 1개의 제2 접촉입구(12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접촉입구(110)를 기준으로 양 측으로 대칭되어 2개의 제2 접촉입구(120)가 마련되어 모두 3개의 제2 접촉입구(120)가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제2 접촉입구(120)에 노출된 터미널플레이트(300)에는 버스바(60)의 U,V,W 상의 터미널(61)이 각각 퓨징되어 결합될 수 있다. A first contact inlet 110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body 100, and one second contact inlet 120 may be provided below the first contact inlet 110, and the first contact inlet 110 Symmetrically on both sides based on , two second contact inlets 120 are provided, and all three second contact inlets 120 may be provided. The terminals 61 on U, V, and W of the bus bar 60 may be fused and coupled to the terminal plate 300 exposed to each second contact inlet 120, respectively.

제1 접촉입구(110)의 전방에는 쉴드터미널(400)이 배치될 수 있다.A shield terminal 40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contact inlet 110 .

U,V,W 상의 터미널(61)과 대응되도록 모두 3개의 전원 터미널(2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터미널(200)에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가 연결될 수 있다.All three power terminals 200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terminals 61 on U, V, and W. A terminal for supplying external power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200 .

터미널플레이트(300)는 전원 터미널(200)과 버스바(60)의 터미널(61)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터미널플레이트(300)는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전원 터미널(200)이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terminal plate 300 serves to connect the power terminal 200 and the terminal 61 of the bus bar 60. The terminal plate 300 may be implemented in a flat plate shape, and the power terminal 200 may be coupled vertically.

도 5를 참조하면, 터미널플레이트(300)는 안착부(310)와 제1 플레이트(320)와 제2 플레이트(330)와 같은 3개의 파트가 조합되어 이루어 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terminal plate 300 may be formed by combining three parts such as a seating portion 310, a first plate 320, and a second plate 330.

안착부(310)는 3개의 전원 터미널(200) 중 중심에 배치되는 전원 터미널(200)과 수직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쉴드터미널(400)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The seating portion 310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power terminal 200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three power terminals 200, and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shield terminal 400 is seated.

안착부(310)를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에는 각각 제1 플레이트(320)와 제2 플레이트(330)가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20)와 제2 플레이트(330)는 개의 전원 터미널(200) 중 양 측에 배치되는 전원 터미널(200)과 각각 수직하게 결합할 수 있다.The first plate 320 and the second plate 330 may be symmetrically dispos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ing portion 310 , respectively. The first plate 320 and the second plate 330 may be vertically coupled to the power terminals 20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og power terminals 200 .

제1 플레이트(320)와 제2 플레이트(330)는 외형이 날개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버스바(60)의 터미널(61)의 위치를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실시될 수 있다.Although the first plate 320 and the second plate 330 are shown in the form of wings.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and sizes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61 of the bus bar 60.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안착부(310)는 제1 플레이트(320)와 제2 플레이트(330) 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높이 방향이라 함은, 터미널 조립체(10)가 모터에 설치되었을 때, 모터의 축방향이라 할 수 있다.Based on the height direction, the seating portion 310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first plate 320 and the second plate 330 . Here, the height direction may refe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motor when the terminal assembly 10 is installed in the motor.

한편, 터미널플레이트(300)에는 전원 터미널(200)이 삽입되는 홀(340)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hole 340 into which the power terminal 200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terminal plate 300 .

도 6은 안착부에 결합하는 쉴드터미널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hield terminal coupled to a seating part.

도 6을 참조하면, 몸체(100)의 중심부에는 쉴드수용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쉴드수용부(130)는 쉴드터미널(400)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쉴드수용부(130)는 3개의 전원 터미널(200) 중 중심에 배치되는 전원 터미널(200)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a shield accommodating portion 130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ody 100 . The shield accommodating portion 130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shield terminal 400 is disposed. The shield accommodating portion 130 may be formed in front of the power terminal 200 disposed in the center among the three power terminals 200 .

쉴드터미널(400)은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터미널부(410)와, 터미널부(410)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몸체(100)의 전방으로 돌출 배치되는 접지부(420)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hield terminal 400 may include a terminal portion 410 formed in a height direction and a ground portion 420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terminal portion 410 and protruding forward of the body 100 .

한편, 쉴드터미널(400)과 쉴드수용부(130)의 결합성을 확보하기 위해, 몸체(100)는 고정바(14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바(140)는 쉴드수용부(130)의 양 측벽에 수평하게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바(140)는 축방향을 기준으로 쉴드터미널(400)이 쉴드수용부(13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in order to secure coupling between the shield terminal 400 and the shield accommodating portion 130, the body 100 may include a fixing bar 140. The fixing bar 140 may be formed across both sidewalls of the shield accommodating portion 130 horizontally. The fixing bar 140 serves to prevent the shield terminal 4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hield accommodating part 130 in the axial direction.

도 7은 쉴드터미널을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hield terminal.

도 7을 참조하면, 쉴드터미널(400)의 접지부(420)는 바닥부(421)와 접지연결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421)는 터미널부(410)에서 수직하게 꺽여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접지연결부(422)는 바닥부(420)에서 상향하도록 꺽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접지연결부(422)는 터미널부(41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주 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ground portion 420 of the shield terminal 400 may include a bottom portion 421 and a ground connection portion 422 . The bottom portion 421 may be formed to protrude forward by being bent vertically from the terminal portion 410 . Also, the ground connection portion 422 may be bent upward from the bottom portion 420 . At this time, the ground connection portion 422 may be formed to face the terminal portion 4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접지연결부(422)는 터미널부(410) 사이의 이격공간은 고정바(140)가 끼워지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접지연결부(422)는 터미널부(410) 사이의 이격공간의 크기는 고정바(140)의 폭 이외에 탄성도체(도 8의500)와 접지연결부(422)와 결합을 위한 공간까지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The spaced space between the ground connection unit 422 and the terminal unit 410 may be used as a space into which the fixing bar 140 is fitted. The size of the spaced apart space between the terminal parts 410 of the ground connection part 422 is appropriate in consideration of the space for coupling with the elastic conductor (500 in FIG. 8) and the ground connection part 422 in addition to the width of the fixing bar 140. can be set.

이러한 접지연결부(422)는 탄성도체(도 8의500)에 연결되어 쉴드터미널(400)과 하우징(2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ground connection portion 422 is connected to an elastic conductor (500 in FIG. 8 ) and serve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hield terminal 400 and the housing 20 .

한편, 접지연결부(422)에는 걸림돌기(423)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locking protrusion 423 may be formed at the ground connection portion 422 .

걸림돌기(423)는 접지연결부(422)의 양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접지연결부(422)에 결합된 탄성도체(도 8의500)가 축방향을 기준으로 접지연결부(42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protrusions 423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ground connection part 422 so that the elastic conductor (500 in FIG. 8 ) coupled to the ground connection part 422 does not escape from the ground connection part 422 in the axial direction. serves to prevent

도 8은 탄성도체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n elastic conductor.

도 8을 참조하면, 하우징(20)의 상단에는 오목하게 접지홈(21)이 형성되고, 이 접지홈(21)에 탄성도체(500)가 장착될 수 있다. 탄성도체(500)는 압축 코일 스프링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탄성도체(500)는 어느 한 측 단부가 접지연결부(422)에 연결되고, 접지홈(21)에 삽입된 상태에서 다른 측 단부가 접지홈(21)의 내벽에 지지된다.Referring to FIG. 8 , a ground groove 21 is concavely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housing 20, and an elastic conductor 500 may be mounted in the ground groove 21. The elastic conductor 50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ression coil spring and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In addition, one end of the elastic conductor 500 is connected to the ground connection part 422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on the inner wall of the ground groove 21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round groove 21 .

이러한, 탄성도체(800)는 접지홈(21)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우징(20)과 접촉하여 하우징(20)과 쉴드터미널(4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모터의 반경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기 때문에 쉴드터미널(400)과 하우징(20)의 연결성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 The elastic conductor 800 electrically connects the housing 20 and the shield terminal 400 by contacting the housing 20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round groove 21 . In addition, since elastic force is appli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motor, there is an advantage in increasing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shield terminal 400 and the housing 20 .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assembly and the motor including the terminal assembly 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in detail.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몸체
110: 제1 접촉입구
120; 제2 접촉입구
130: 쉴드수용부
140: 고정바
200: 전원 터미널
300: 터미널플레이트
310: 안착부
320: 제1 플레이트
330: 제2 플레이트
400: 쉴드터미널
410: 터미널부
420: 접지부
421: 바닥부
422: 접지연결부
500: 탄성도체
100: body
110: first contact inlet
120; 2nd contact inlet
130: shield receiving unit
140: fixed bar
200: power terminal
300: terminal plate
310: seating part
320: first plate
330: second plate
400: shield terminal
410: terminal unit
420: ground
421: bottom
422: ground connection
500: elastic conductor

Claims (15)

제1 접촉입구와 제2 접촉입구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제1 접촉입구에 삽입되는 전원 터미널;
상기 제2 접촉입구에 노출되며 상기 전원 터미널에 연결되며 안착부를 포함하는 터미널플레이트;및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며, 터미널부와 상기 터미널부에서 꺽여 형성되며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접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중심부에 쉴드터미널을 수용하는 쉴드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부는 상기 터미널부에 꺽여 형성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서 꺽여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부와 마주 보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접지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쉴드수용부는
상기 쉴드수용부의 양 측벽에 걸쳐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부와 상기 접지연결부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바를 포함하는 터미널 조립체.
A body including a first contact inlet and a second contact inlet;
a power terminal inserted into the first contact inlet;
A terminal plate exposed to the second contact inlet,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and including a seating portion; And
It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and includes a terminal portion and a ground portion formed by being bent at the terminal portion and having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terminal portion;
A shield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a shield terminal in the center of the body,
The grounding part includes a bottom part bent at the terminal part and a ground connection part formed by bending the bottom part to face the terminal part and having the locking protrusion formed therein,
The shield receiving part
A terminal assembly comprising a fixing bar formed across both side walls of the shield accommodating portion and positioned between the terminal portion and the ground connection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플레이트는 수직하게 결합하는 터미널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A terminal assembly in which the power terminal and the terminal plate are vertically coupled.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플레이트는 상기 전원 터미널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터미널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2,
The terminal assembly wherein the terminal plate is disposed symmetrically about the power terminal.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터미널플레이트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터미널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3,
The terminal assembly wherein the seating portion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terminal plat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플레이트는 상기 전원 터미널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는 터미널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3,
The terminal assembly in which the terminal plate is formed with a hole into which the power terminal is inserted.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플레이트는
상기 안착부를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와 우측에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보다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낮게 배치되는 터미널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3,
The terminal plate
A terminal assembly comprising a first plate disposed on the left side and a second plate disposed on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seating portion, wherein the seating portion is disposed lower tha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in a height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의 내측에 배치되는 로터;
상기 로터에 결합하는 회전축;
상기 스테이터 위에 배치되는 버스바;및
제1 접촉입구와 제2 접촉입구를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제1 접촉입구에 삽입되는 전원 터미널과, 상기 제2 접촉입구에 노출되며 상기 전원 터미널에 연결되며 안착부를 포함하는 터미널플레이트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쉴드터미널과, 상기 쉴드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탄성도체를 포함하는 터미널 조립체;
를 포함하는 모터.
housing;
a stato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 rotor disposed inside the stator;
a rotating shaft coupled to the rotor;
A bus bar disposed above the stator; And
A body including a first contact inlet and a second contact inlet, a power terminal inserted into the first contact inlet, and a terminal plate exposed to the second contact inlet and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and including a seating portion; a terminal assembly including a shield terminal seated on a seating portion and an elastic conductor connecting the shield terminal and the housing;
A motor comprising a.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터미널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며, 터미널부와 상기 터미널부에서 꺽여 형성되며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접지부를 포함하는 모터.
According to claim 10,
The shield terminal,
A motor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and including a terminal portion and a ground portion formed by being bent at the terminal portion and having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terminal portion.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터미널부에 꺽여 형성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서 꺽여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부와 마주 보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접지연결부를 포함하는 모터.
According to claim 11,
The ground portion includes a bottom portion formed by bending the terminal portion and a ground connection portion formed by bending the bottom portion to face the terminal portion and having the locking protrusion formed therein.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도체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리도록 상기 접지연결부에 결합하는 모터.
According to claim 12,
The elastic conductor is coupled to the ground connection portion so as to be caught on the protrusion.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오목하게 접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접지홈에 상기 탄성도체가 삽입되는 모터.
According to claim 13,
A motor in which a ground groove is concavely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elastic conductor is inserted into the ground groove.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도체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접지연결부와 상기 접지홈에 연결되는 모터.
According to claim 14,
The elastic conductor is connected to the ground connection portion and the ground groove so that a restoring force acts in a radial direction about the rotation axis.
KR1020150130282A 2015-09-15 2015-09-15 Terminal assembly and Motor having the same Active KR1024778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282A KR102477827B1 (en) 2015-09-15 2015-09-15 Terminal assembly and Moto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282A KR102477827B1 (en) 2015-09-15 2015-09-15 Terminal assembly and Motor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663A KR20170032663A (en) 2017-03-23
KR102477827B1 true KR102477827B1 (en) 2022-12-15

Family

ID=58496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0282A Active KR102477827B1 (en) 2015-09-15 2015-09-15 Terminal assembly and Motor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82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715A (en) * 2018-12-27 2020-07-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Mo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5396A (en) * 1998-12-08 2000-06-23 Sawafuji Electric Co Ltd Stator for outer rotor type multi-pole generator
KR100651846B1 (en) * 2005-08-26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ic mot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49574C2 (en) * 2001-10-08 2003-10-09 Wolf Neumann-Henneberg Lead frame with a knife holder contac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5396A (en) * 1998-12-08 2000-06-23 Sawafuji Electric Co Ltd Stator for outer rotor type multi-pole generator
KR100651846B1 (en) * 2005-08-26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ic 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663A (en) 201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5650B2 (en) Electric motor
KR102509873B1 (en) Flange and Motor having the same
US10790626B2 (en) Busbar assembly and motor comprising same
KR102604381B1 (en) Stator Unit, Stator and Motor having the same
KR102212950B1 (en) Motor
JP2014017915A (en) Axial gap type rotary electric machine
JP2012147570A (en) Electric motor
KR102301927B1 (en) Stator assembly, Motor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the same
KR20220025768A (en) Motor
US20020079781A1 (en) Grounding of stator core to stator frame
KR102374858B1 (en) Terminal assembly and Motor having the same
KR102455645B1 (en) Motor
KR102477827B1 (en) Terminal assembly and Motor having the same
KR20180042686A (en) Ground terminal, Cover assembly and vehicle having the same
US20230035697A1 (en) Motor
KR101515585B1 (en) A brush card assembly for the motor
KR20180006819A (en) Cover assembly and Motor having the same
CN112673547A (en) Motor
KR102254356B1 (en) BUSBAR assembly and Motor having the same
KR102510163B1 (en) Motor
JP2011142760A (en) Direct current rotary electric machine
KR102305652B1 (en) Motor
JP5698003B2 (en) Electric motor
KR102371383B1 (en) Terminal assembly for motor and motor having the same
JP2012205442A (en) Electric m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6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9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