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468846B1 - 정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정제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정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정제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8846B1
KR102468846B1 KR1020200071224A KR20200071224A KR102468846B1 KR 102468846 B1 KR102468846 B1 KR 102468846B1 KR 1020200071224 A KR1020200071224 A KR 1020200071224A KR 20200071224 A KR20200071224 A KR 20200071224A KR 102468846 B1 KR102468846 B1 KR 102468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unit
tablets
transfer unit
air in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4327A (ko
Inventor
이경호
김병인
Original Assignee
(주)엔클로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클로니 filed Critical (주)엔클로니
Priority to KR1020200071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846B1/ko
Publication of KR20210154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07Marking tabl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6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ills, lozenges or drag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1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ompressed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2Pill coun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021/845Objects on a convey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021/845Objects on a conveyor
    • G01N2021/8455Objects on a conveyor and using position det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제 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된 배출 유닛에 대한 것으로, 정제 이송부의 정제 흡착면으로부터 이격된 외부에 장착되어 공기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공기 분사기 및 정제 이송 방향을 따라서 상기 외부 공기 분사기 다음에 배치되며, 정제 이송부에서 이송 중인 정제의 유무를 체크하는 제1 센서부 및 정제 이송부의 정제 흡착면 내부에 장착되어 정제의 흡착된 표면에 공기를 분사하는 내부 공기 분사기를 포함하는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정제 검사 장치 및 정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닛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제 배출에 대해 복수의 체크를 수행하여 정제가 배출되지 않거나 정제 이송부에서 추출되지 않아 전체 장치의 고장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장치의 정확도 향상 및 고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정제 검사 장치{MEDICAMENTS INSPECTION APPARATUS INCLUDING A DISCHARGE UNIT FOR MEDICAMENTS}
본 발명은 정제를 분류하여 배출하기 위한 배출 장치를 포함하는 정제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상품 및 불량품 정제를 분류하여 배출하기 위한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제 또는 캡슐 등과 같은 약제는 자동화 공정을 통해 대량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성분이나 용량으로 인한 불량보다는 배출되는 과정에서 불량품이 많이 발생되었으며, 예를 들어, 이물질의 부착 또는 오염, 정제 간의 접촉이나 충격에 의한 크랙 또는 부분 손상, 변형이나 인쇄 불량 등과 같은 외관상의 흠결이 많이 발생되어, 정제 외관의 흠결을 검사하여 불량품을 판별하고, 정상품 및 불량품을 분류하여 배출하는 과정이 필요하였다.
더하여, 정제가 제대로 분류하여 배출되지 않을 경우, 작업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정제를 분류하여 배출시켜야 해서 작업 효율이 떨어지고 불필요한 시간 소모 및 비용 발생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정제가 제대로 배출되었는지 확인할 필요성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정제를 흡착하여 이송시키는 정제 검사 장치는, 정제를 배출시키려는 공기 분사기와 정제를 흡착시키는 이송부의 압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정제가 제대로 분류, 배출되지 못할 우려가 있으며,
특히, 불량품 정제 중에 정제 조각의 경우, 종이와 같이 납작하여 공기 분사기를 이용하여 공기 분사를 수행하여도 쉽게 이송 라인에서 분리되지 않으며, 강하게 공기 분사를 수행하여도 그 정제 형태상 이송 라인에서 쉽게 추출되지 않아 불량품이 정상품으로 분류되거나 계속 장치에 붙어 이동하며 장치 고장을 유발할 수 있어 문제되었다.
따라서, 정제의 형태에 구속되지 않고 정제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출 장치가 필요하며, 정제가 제대로 배출되었는지 체크하여 장치의 작동 여부를 결정할 배출 확인부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제 조각을 포함한 정제를 정제 이송부에서 추출할 수 있고, 제대로 추출되어 배출관으로 배출되었는지까지 여러 번 체크할 수 있어, 정제 배출을 재차 확인할 수 있는 배출 장치를 포함하는 정제 검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정제 검사 장치는, 상기 정제 이송부의 정제 흡착면으로부터 이격된 외부에 장착되어 공기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공기 분사기, 정제 이송 방향을 따라서 상기 외부 공기 분사기 다음에 배치되며, 상기 정제 이송부에서 이송 중인 정제의 유무를 체크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정제 이송부의 정제 흡착면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정제의 흡착된 표면에 공기를 분사하는 내부 공기 분사기를 포함하는 배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유닛은, 정제 이송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1 센서부 및 상기 내부 공기 분사기 다음에 배치되며, 상기 정제 이송부의 정제 흡착면으로부터 이격된 외부에 장착된 제2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센서부 및 제2 센서부에 연결된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2 센서부가 정제의 비추출을 감지한 경우 정제 검사 장치의 동작을 중단하는 명령을 전달하며, 상기 제1 센서부가 정제의 비추출을 감지한 경우 상기 내부 공기 분사기에게 공기 분사 명령을 전달할 수 있고, 이때, 상기 내부 공기 분사기는, 상기 공기 분사 명령을 전달 받음에 따라 상기 내부 공기 분사기의 분사 홀에 상기 정제의 흡착된 표면이 지나갈 때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정제 이송부의 일측에 외부 공기 분사기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정제가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불량품 배출관 및 정상품 배출관 및 상기 불량품 배출관 및 정상품 배출관을, 플랙서블한 소재가 사용된 차단벽에 의해 분리하여 상기 정제 이송부에 연결하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센서부 및 제2 센서부는, 상기 정제 이송부의 일측에 설치된 지지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정제 이송부의 정제 흡착면의 정면 또는 측면에서 상기 정제를 센싱하는 레이저 센서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제 이송 방향을 따라서 상기 외부 공기 분사기 이전에 배치되며, 상기 정제 이송부의 정제 흡착면으로부터 이격된 외부에 장착된 센서를 포함하는 카운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카운팅부는, 이송 중인 정상품 정제 또는 불량품 정제의 개수를 카운팅하며, 상기 제어부로 상기 개수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내부 공기 분사기의 분사 방향에 대응되도록 상기 정제 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내부 공기 분사기에 의해 배출된 정제를 수거하는 추가 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배출 유닛 제어 방법은, 정제에 대해 정제 이송부의 외부에 설치된 외부 공기 분사기로 공기를 분사하는 제1 단계, 상기 정제 이송 방향을 따라서 상기 외부 공기 분사기 다음에 위치한 제1 센서부에 의해 상기 정제 이송부에서 이송 중인 정제의 유무를 체크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제1 센서부에서 정제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감지된 정제에 대해 상기 정제 이송부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 공기 분사기로 공기를 분사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정제 이송 방향을 따라서 상기 내부 공기 분사기 다음에 위치한 제2 센서부에 의해 상기 정제 이송부에서 이송 중인 정제의 유무를 체크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2 센서부가 정제를 감지하면 정제 검사 장치 작동을 중단시키는 제5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정제 이송부에 대한 흡착력이 높은 정제 조각을 포함한 일체의 정제를 정제 이송부로부터 쉽게 추출할 수 있으며, 혹여 추출되지 않더라고 배출 수행 및 배출 확인을 여러 번 체크하여 배출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불량품 정제가 정상품 정제로 분류되거나 정상품 정제가 불량품 정제로 분류되는 것, 정제가 검사 장치에 남아 고장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바, 정제의 배출 효율뿐만 아니라 정제 분류 정확도까지 높일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개념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구성을 개념도로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3a 내지 3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배출부 및 상기 정제 배출부의 내부 공기 분사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장치를 포함하는 정제 검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 는 도 4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장치의 커버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관 불량의 정제 배출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사용되는 정제는 예컨대 알약 또는 캡슐 등으로 될 수 있으며, 예시적인 용어로서 다른 정제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되며 일정한 형태의 정제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별도로 표시되지 않는 한 '외부 공기 분사기' 및 '내부 공기 분사기'는 단수로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외부 공기 분사기' 및 '복수의 내부 공기 분사기'를 의미할 수 있다.
정제 배출 장치는 정제 외관 검사 장치를 거쳐 정상품으로 판정 받은 정제는 정상품 배출관, 불량품으로 판정받은 정제는 불량품 배출관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 분사기를 통해 공기를 분사하여 정제를 정제 이송부에서 추출시킬 수 있다.
이때, 정제는 정제 이송부에서 배출 장치에 의해 정제 배출부로 추출되어야 하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추출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배출 장치가 고장났거나, 공기 분사기를 통해 공기를 분사하였는데도 정제가 정제 이송부에서 추출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정제 조각은 종이같이 납작해서 정제 이송부의 외부에 설치된 공기 분사기를 통해 공기를 분사하는 경우, 정제 이송부 내부에서 정제를 붙잡는 흡착부의 힘이 외부 공기 분사의 힘보다 강해 쉽게 추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이 형태의 불량품 정제를 포함한 일체의 정제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위치의 공기 분사기를 포함하며, 정제의 배출 여부를 복수 체크할 수 있는 배출 장치를 도면 및 설명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제 검사부에서 정제의 외관을 촬영하여 정상품 또는 불량품 여부를 판별하고, 정제 이송부를 통해 상기 정제를 이송하며 제1 배출부에서 정상품 정제는 정상품 배출관, 불량품 정제는 불량품 배출관으로 분류하여 배출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제 검사부에서 이송중인 각 정제마다 정상품인지, 불량품인지를 판단하며, 정제 이송부를 통해 정제를 이송하면서 각 배출관으로의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불량품 정제가 정제 이송부에서 추출되어 불량품 배출부로 분류되지 않거나 정상품 정제가 정제 이송부에서 추출되어 정상품 배출부로 분류되지 않은 것이 제1 배출확인부에서 검출되면, 제2 배출부에서 다시 불량품 정제에 대한 배출을 수행할 수 있다.
더하여, 제2 배출확인부에서는 여전히 정제 이송부에서 이송중인 정제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할 수 있으며, 정제가 정제 이송부에 존재, 즉, 정제의 비추출이 검출되면 정제 검사 장치 전체를 중단할 수 있다.
한편, 제1 배출부는 정제 이송부의 흡입홀 외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공기 분사기, 적어도 하나의 정상품 배출관 및 불량품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공기 분사기로 이송 중인 정제에 대해 공기를 분사하여, 정상품 배출관 또는 불량품 배출관으로 추출되게끔 할 수 있다.
이때, 이송 중인 정제는 정제 이송부에 흡착되어 이동되며, 제1 배출부의 외부 공기 분사기는 정제 이송부의 상부에 별도의 지지브라켓을 통해 설치될 수 있으며, 정제에 작용하는 내부 흡착력과 다른 방향에서 공기를 분사하여 정제 이송부 및 정제 사이의 틈을 발생시키기 쉽고, 이를 통해 외부 공기 분사기의 공기 분사력이 정제 이송부의 흡착력보다 강하게 작용할 수 있어, 정제가 정제 배출부로 추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공기 분사기를 정제 이송부의 이송 라인을 따라 상부에 수직하게 설치하여 정제 이송부의 내부 흡착력과 수직 방향에서 공기를 분사하여 정제가 정제 배출부로 추출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불량품 정제가 종이 형태의 정제 조각일 경우, 정상품 정제에 대해 작용하는 정제 이송부의 흡착력보다 상기 불량품 정제에 대해 작용하는 흡착력이 더 커서, 제1 배출부의 외부 공기 분사기에 의해 정제 배출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정제 배출 여부를 제1 배출확인부를 통해 체크할 수 있다.
제1 배출확인부에 의해 불량품 정제의 배출 실패를 감지하는 경우, 제2 배출부를 통해 다시 불량품 정제의 배출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2 배출부는 정제 이송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흡입홀 사이로 공기를 분사하는 내부 공기 분사기 및 적어도 하나의 불량품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분사기를 정제 이송부의 내부에 배치하여 상기 정제 이송부에서 이송 중인 정제와 매우 가깝게 공기 분사기를 설치할 수 있으며, 정제 이송부의 흡입홀과 정반대 방향으로 힘을 주어 정제를 외부로 추출하는 직접적인 힘을 제공할 수 있어 제1 배출부보다 큰 힘이 정제에 작용할 수 있다.
더하여, 제2 배출부에서 불량품 정제의 배출을 다시 체크할 수 있으며, 여전히 불량품 정제가 배출되지 않고 정제 이송부에서 검출될 경우, 자동으로 불량품 배출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전체 정제 검사 장치의 작동을 중단하고, 작업자가 수동으로 정제를 추출하여 분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출 과정은 불량품 정제에 한정하지 않고 정상품 정제의 배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불량품 및 정상품의 배출을 번갈아가며 교대로 수행하거나, 불량품 정제에 대한 배출 및 배출확인까지 모두 완료한 후, 정상품 배출 및 배출확인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검사 장치의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는 정제 인쇄 및 검사 장치에서 정제 공급부(300),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는 정제 이송부(400), 제1 촬영부(500) 및 제2 촬영부(600)를 포함하는 정제 검사부를 도시한 것으로, 정제 배출부(20)는 정제 이송부(400)의 일측에 위치하여, 정제 이송부(400) 상에서 이송중인 정제에 대해 배출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정제 검사부 및 정제 배출부(20)는 본 발명과 모순되지 않는 다양한 실시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정제 공급부(3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프레임과 호퍼를 통하여 공급되는 정제를 원심력에 의해 외측에 일렬로 배열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되게 설치되며, 경사지게 배치되는 회전판이 있으며, 상기 회전판의 경사면에 정렬되어 원심력과 경사면에 의한 미끄러지는 힘에 의해 정제 이송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호퍼를 통하여 공급되는 정제를 한 알씩 배출시켜서 낙하되는 정제를 수집하여 이격되게 배열시키며, 정제 이송부로 정제를 배출하는 통로를 두어 정제를 이송시키는 공급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정제 공급부는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모순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제 이송부(400)는 회전 트레이일 수 있으며, 정제의 양면을 검사하기 위해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로서 제1 회전 트레이 및 제2 회전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 이송부(400)는, 회전축이 관통하여 설치되고,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압이 걸리는 부압공간을 형성하며, 적어도 부압공간과 연통하는 흡입홀이 마련된 고정판 및 회전축에 결합하여 회전하고, 부압공간과 연통될 수 있는 오목홈이 원주상으로 형성된 회전 트레이를 포함하고 있다.
회전판은 결합나사에 의해 회전축에 결합하고, 이 회전축은 예컨대 모터 등과 같은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한다. 이 회전판은 고정판의 일면을 덮어씌우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외주 선단부가 고정판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부를 형성하고, 이 연장부가 고정판의 선단면을 차폐하게 된다.
이 연장부에 오목홈이 형성되어, 회전판의 원주를 따라 배치되게 된다. 오목홈의 측벽에는 회전하면서 흡입홀 또는 배출홀과 연통될 수 있는 복수의 연통공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 트레이가 고정판의 일면을 덮어씌우면서 회전할 수 있게 되고, 회전 트레이의 연장부를 따라 원주상으로 형성된 오목홈의 연통공들을 통해 고정판의 흡입홀과 연통되는 위치에서는 오목홈 내에 부압이 걸리게 되고, 고정판의 배출홀과 연통되는 위치에서는 오목홈 내에 양압이 걸린다.
따라서, 부압이 걸리는 구간에서는 정제가 회전판의 원주를 따라 마련된 오목홈 상에 있는 안착부재에 흡착된 상태로 지지되어 순차적으로 회전판과 함께 회전하여 이송된다. 안착부재에 흡착된 정제의 위치는 반드시 연통공의 위치와 대응되지 않으며, 불균일한 간격으로 원주상의 오목홈에서 일렬로 정렬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제 이송부(400)는, 정제 공급부를 통해 순차적으로, 그리고 일렬로 공급되는 정제를 원주방향에 순차적으로, 그리고 공급 간격과 무관하게 흡착시켜 이송하면서, 정제 이송부 일측에 설치되어 정제 위치 추적 카메라를 포함하는 정제 센싱부(미도시)에 의해 정제 외관을 센싱한 후 정제 인쇄부(미도시)에 의해 인쇄를 수행하며, 제1 촬영부(500) 및 제2 촬영부(600)를 포함하는 정제 검사부에 의해 외관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정제 이송부(4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를 가진 회전 트레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모순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로서 정제 이송부(400)는 수직 회전 디스크 또는 수직 회전 드럼일 수 있으며,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디스크 또는 드럼의 원주면을 따라 정제가 배치되는 오목홈을 가지고, 오목홈 내부의 부압 및 양압에 따라 정제가 흡,탈착되며, 상기 수직 회전 디스크 또는 드럼의 원주면을 따라 외부에 정제 센싱부, 정제 인쇄부, 정제 검사부의 제1 촬영부(500), 제2 촬영부(600) 및 정제 배출부(20)를 배치하여 정제 인쇄 및 검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정제 이송부(400)는 반드시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로서 두 개의 수직 회전 디스크 또는 드럼 이송부를 가지는 것이 아니며, 하나의 수직 회전 디스크 또는 드럼의 하나의 이송부를 각도에 따라 분리하여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정제 이송부(400)는 컨베이어 벨트 형태로 수평 이송하는 벨트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제1 수평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에 정제를 위치시켜 일면을 이송시키고, 제1 수평 컨베이어 벨트와 연결된 제2 수평 컨베이어 벨트의 하부로 정제를 이동시키며, 정제 위치 반전 없이 정제를 흡착 이동시켜 타면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으며,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정제 센싱부(미도시), 정제 인쇄부(미도시), 정제 검사부(500,600), 정제 배출부(20)를 배치하여 정제 인쇄 및 검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정제 이송부(400)가 무한 궤도 형태로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컨베이어 벨트인 정제 이송부(400)의 상하부에 정제 센싱부(미도시), 정제 인쇄부(미도시), 정제 검사부(500,600), 정제 배출부(20)를 배치하여 정제가 이송되는 동안 정제 인쇄 및 검사 후 정제 분류 배출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술한 정제 이송부는 모두 정제를 이송하는 이송부 내부에 부압이 걸리는 구간 및 양압이 걸리는 구간을 두어 흡착을 통한 이송을 수행하는 것으로 간편한 설명을 위해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상기 정제 이송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또는 일 실시예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정제의 상하부 및 모서리를 모두 노출시킬 수 있어 정제 인쇄 및 외관 검사가 수행 가능한 정제 이송부라면 모두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정제 이송부에 대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설명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모순되지 않는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제 공급부(300)에서 정제 이송부(400)로 정제가 공급되면 위치 추적용 카메라를 포함한 정제 센싱부로 각 정제를 촬영하며, 촬영으로 얻은 영상을 통해 센싱한 정제의 상태를 기반으로 정제 인쇄부가 제1 이송부에서 이송 중인 정제의 일면에 정확하게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정제 센싱부 및 정제 인쇄부는 정제 이송부(400)의 이송방향을 따라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촬영부(500) 및 제2 촬영부(600)의 이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선택적으로, 정제 검사부는 제1 촬영부(500) 및 제2 촬영부(600)를 포함하여, 제1 촬영부(500)가 인쇄를 완료한 정제 일면 및 일면의 측면 모서리부에 대해 촬영을 수행하여 정제의 외관 불량 여부를 1차적으로 판별하고, 제1 이송부에서 제2 이송부로 정제의 일면을 흡착하여 정제 위치를 반전시켜 이송하면, 제2 촬영부(600)가 인쇄를 완료한 정제 일면의 반대쪽 면인 타면 및 타면의 측면 모서리부에 대해 촬영을 수행하여 정제의 외관 불량 여부를 2 차적으로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정제에 대한 정상품 또는 불량품 판정이 완료되면, 정제는 정제 이송부(400)를 따라 정제 배출부(20)로 이송되며, 이때 정제 배출부(20)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부 및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촬영부(500) 및 제2 촬영부(600)를 포함하는 정제 검사부에서 정상품 정제로 판정 받은 정제가 분류 배출되는 정상품 배출관, 및 불량품 정제로 판정 받은 정제가 배출되는 불량품 배출관을 포함하는 제1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배출부를 통해 정제가 모두 배출되었는지를 제2 센싱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더하여, 제2 센싱부에서 정제 이송부(400)에 남아 이송중인 정제를 감지한 경우, 제1 배출부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구성의 제2 배출부를 통해 정제 배출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2 배출부를 통해 정제가 모두 배출되었는지를 제3 센싱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정제 검사부에서 판정 받은 정제가 제1 배출부의 일측에 위치한 정제 이송부(400)를 지나기 전에, 정제 배출부(20)와 가까운 정제 검사부의 일단에 위치한 제1 센싱부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싱부는, 정상품 정제 및 불량품 정제의 개수를 체크할 수 있으며, 상기 체크된 개수를 제1 배출부의 정상품 배출관으로 배출된 정상품 정제의 개수, 불량품 배출관으로 배출된 불량품 정제의 개수와 차후 크로스 체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정제가 튀어 정상품 정제가 불량품 배출관으로 배출되거나, 불량품 정제가 정상품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에러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정제의 개수를 비교하여 오류 상황을 대비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정제 이송부(400)를 중심으로 정제 공급부(300), 제1 촬영부(500), 제2 촬영부(600) 및 정제 배출부(20)가 배치되며, 이때, 정제 배출부(20)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제 공급부(300), 제1 촬영부(500) 및 제2 촬영부(600)를 포함하는 정제 검사부를 지나 정제의 양불 판정이 완료되면, 정제는 정제 이송부(400)를 따라 정제 배출부(20)로 이송되며, 이때 정제 배출부(2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공기 분사기(100) 및 적어도 하나의 불량품 배출관(23a) 및 정상품 배출관(23b)을 포함하는 제1 배출부 및 상기 제1 배출부에 의해 정제가 배출되었는지 체크하는 제1 센서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정제 배출부(20)는, 제1 센서부(30)가 체크한 정제가 정제 이송부(400)로부터 배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정제에 대해 공기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공기 분사기(200) 및 상기 내부 공기 분사기(200)에 의해 배출된 상기 정제를 수집하는 추가 배출부(50)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제 배출부(20)에 포함된 외부 공기 분사기(100)가 정제 이송부(400) 상에서 이송중인 정제에 대해 제1 배출관(23a, 23b)으로 1차적으로 배출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촬영부(500) 및 제2 촬영부(600)를 포함한 정제 검사부가 정상품으로 판정한 정제는, 정제가 이송되는 이송라인의 일측에서 정상품 배출관(23a)의 입구에 대응되게 설치된 외부 공기 분사기(100)가 정상품 배출관(23a) 입구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하여 정상품 배출관(23a)로 배출될 수 있으며,
정제 검사부가 불량품으로 판정한 정제는, 정제가 이송되는 이송라인의 일측에서 불량품 배출관(23b)의 입구에 대응되게 설치된 외부 공기 분사기(100)가 불량품 배출관(23b) 입구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하여 불량품 배출관(23b)로 추출될 수 있다. 이때, 불량품 배출관(23b)에 대응되는 외부 공기 분사기(100)는 정상품 배출관(23a)에 대응되는 외부 공기 분사기(100)와 정제 이송 방향을 따라 나란히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센서부(30)는 정제 이송 방향을 따라서 제1 배출관(23a, 23b) 뒤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센서부(30)가 정제 이송부(400)의 정제 이송면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정제 이송부(400)에 여전히 정제가 존재가 존재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으며, 잔존 정제를 감지하면 정제 이송 방향을 따라서 제1 센서부(30) 뒤에 배치된 제2 배출부의 추가 공기 분사기를 통해 상기 정제에 대해 재배출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배출부의 추가 공기 분사기는 외부 공기 분사기에 의한 공기 분사 및 내부 공기 분사기에 의한 공기 분사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으며, 외부 공기 분사를 다시 수행한 후에 내부 공기 분사를 다시 수행하여 불량품 정제의 배출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추가 공기 분사기는 외부 공기 분사기가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정제 이송부의 오목홈 사이로 공기를 분사하여 정제를 외부로 밀어내는 내부 공기 분사기(200)를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 공기 분사기(200)는,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제 이송부(400) 내에 설치되며, 정제가 흡착되어 이송되고 있는 흡입홀과 연통된 오목홈 쪽에서 정제가 흡착된 이송면 방향으로 직접적으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정제가 위치한 정확한 공간에 대해 보다 가까운 거리에서 공기를 분사할 수 있어 제1 배출부에서 배출 실패한 정제라도 배출될 수 있다.
더하여, 제2 배출부의 공기 분사기로서 상기 내부 공기 분사기(200)는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내부 공기 분사기(200)가 설치된 일측의 맞은편에 대향되게 설치된 추가 배출관(50)으로 정제를 배출시킬 수 있으며, 정제 배출 성공을 확인하기 위해 정제 이송 방향을 따라서 추가 배출관(50) 다음에 설치된 제2 센서부(40)로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센서부(40)에서도 여전히 정제가 감지될 경우, 정제 검사 장치의 제어부는 제2 센서부(40)의 출력을 통해 정제 제거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정제 검사 장치 전체 구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제1 배출부 및 제2 배출부 이전에 이송 중인 정상품 정제 및 불량품 정제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카운팅부(10)를 더 설치할 수 있으며, 카운팅부(10)를 통해 사전에 카운팅부(10)에서 측정한 정제의 개수와 이후 정상품 배출관(23a), 불량품 배출관(23b) 및 추가 배출관(50)으로 배출된 정제의 개수를 비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제 배출이 누락되거나 불량품 정제가 정상품 배출관(23a)로 배출, 또는 정상품 정제가 불량품 배출관(23b)로 배출되는 에러 발생을 체크하여 정제가 오배출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트리플 체크 시스템을 통해 정제 검사 장치에서 정제가 배출되지 않고 계속해서 정제 검사 장치에 부착되어 장치 고장을 유발하는 에러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자동화 시스템에서 작업자가 모든 정제의 배출을 일일이 확인하지 않을 수 있어 비용 감소 및 효율적인 작업 수행이 가능하다.
또한, 정상품 배출구에 불량품 정제가 추출되거나 불량품 배출구에서 정상품 정제가 추출되는 에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가 제대로 된 배출을 수행하였는지 작업자가 수동으로 체크하지 않고도 오류 발생을 일정 수치 이하로 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제 배출부(20)는, 시계방향 회전하는 수직 회전 디스크 또는 드럼인 정제 이송부(400)의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이송하는 원주방향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정제가 정제 이송부(400)로부터 추출 후 중력의 영향으로 정제 배출부(20)로 쉽게 분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 배출부 및 제2 배출부의 공기 분사기는, 저면과 평행되는 정제 이송부(400)의 수직 디스크 지름 부분을 0도로 두고, 위쪽 90도(-90°), 아래쪽 60도(+60°) 이내의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정제 이송부(4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정제 배출부(20)의 제2 배출부는, 저면과 평행되는 정제 이송부(400)의 수직 디스크 지름 부분을 0도로 두고, 위쪽 60도(-60°), 아래쪽 60도(+60°) 이내의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 정제 이송부(4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일정한 각도 범위내에 제1 배출부 및 제2 배출부의 공기 분사기를 설치한 후, 정제 배출부(20)의 남은 각도(+60°~ +90°) 범위에서 제2 센서부(40)를 설치하여 정제 배출 수행이 모두 완료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제1 배출부의 정상품 정제 배출을 위한 외부 공기 분사기, 불량품 정제 배출을 위한 외부 공기 분사기를 나란히 배치할 필요가 없으며, 불량품 정제 배출 및 배출완료 수행을 일률적으로 체크한 후 수직 디스크 지름 부분을 0도로 두고, 아래쪽 90도(+90°)의 일정 범위 내에 정상품 정제 배출을 위한 외부 공기 분사기 및 정상품 배출관을 설치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 형태의 정제 이송부(400)에서 정상품 판정을 받은 정제는 제1 라인, 불량품 판정을 받은 정제는 제2 라인으로 이송하게 하여 각 벨트의 끝에서 정상품 배출관(23a) 및 불량품 배출관(23b)로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또는, 컨베이어 벨트의 끝단에서 정제의 양불 판정을 끝내고 정상품은 정상품 배출관(23a)으로, 불량품은 불량품 배출관(23b)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정제 배출부(20)는 정제 이송부의 컨베이어 벨트 끝 대신 일정 범위의 수평 벨트에 설치될 수 있며, 정상품 배출관(23a) 및 불량품 배출관(23b)과 대응되도록 별도의 지지브라켓에 설치된 외부 공기 분사기(100)를 통해 정상품 정제는 정상품 배출구 방향으로 공기 분사, 불량품 정제는 불량품 배출구 방향으로 공기 분사하여 배출을 수행할 수 있으며, 수평 벨트의 이송 방향을 따라 외부 공기 분사기(100) 이후에 수평 벨트의 이송 방향을 따라 제1 센서부(30)를 통해 배출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흡입홀을 통해 정제를 흡착하여 이송을 수행하는 정제 이송부(400) 내부에 내부 공기 분사기(200)를 설치하여 수평 벨트의 이송 방향을 따라 내부 공기 분사기(200) 이후 제2 센서부(40)를 설치하여 정제 배출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정제 이송부(400)의 구체적인 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과 모순되지 않는 한 상기 실시예에 구속되지 않고, 청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4 내지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이송부(400)가 제1 회전 트레이 및 제2 회전 트레이를 포함하는 경우, 구체적인 정제 배출부(20)의 일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청구범위 해석이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제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정제가 제1 회전 트레이 및 제2 회전 트레이에 의해 이송되며 정제 외관 검사를 수행받고, 제2 회전 트레이의 제1 회전 트레이 및 제2 회전 트레이의 접점 반대편 원주방향 측면에 정제 배출부(20)가 설치될 수 있다.
정제 배출부(20)는, 정제 이송부(400)의 정면 상부에 지지브라켓(6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브라켓(60)에 설치되어, 상기 정제 이송부(400)의 정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카운팅부(10), 제1 센서부(30), 제2 센서부(40)가 설치되고, 제1 센서부(30) 및 제2 센서부(40)의 일측에 정상품 배출관(23a) 및 불량품 배출관(23b)가 설치되며 상기 정상품 배출관(23a) 및 불량품 배출관(23b)를 커버하는 배출관 커버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관 커버부(21)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정상품 배출관(23a) 및 불량품 배출관(23b)를 분리하여 커버할 수 있어, 정제를 배출관으로 추출하는 과정에서 불량품 정제가 장치에 부딪히고 튕겨나가 정상품 배출관(23a)로 분류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플렉서블한 소재로 탄력이 있어 정제 이송부를 포함한 장치의 간격 또는 위치의 조절에 맞춰 별도로 배출관을 움직일 필요 없이 배출관 커버부(21)가 탄력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장치 개시할 때 칼리브레이션을 수행하며, 본 발명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배출관 커버부(21)에 설치된 커버홀(22)을 통해 정제가 제대로 분류되고 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커버홀(22)는 정상품 배출 및 불량품 배출을 확인하기 위해 적어도 두개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제 외관에 대한 정제 검사부를 통과한 정제는 카운팅부(10), 정상품 배출관(23a) 및 불량품 배출관(23b), 제1 센서부(30), 제2 센서부(40)을 통과할 수 있으며, 원칙적으로는 정제 검사부에서 판별한 대로 정상품 배출관(23a) 및 불량품 배출관(23b)로 배출되지만 검사 누락품이나 배출실패한 정제는 제 1 센서부(30) 이후에 추가 배출관(50)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도 4 에 도시된 순서 및 상기 구성의 서술 순서에 따라 정제 배출부(20)의 구성을 배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정제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제2 센서부(40)가 정제 배출부(20)의 마지막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는 지지브라켓(60)의 일부를 제거한 도면으로, 지지브라켓(60) 안쪽에 설치된 외부 공기 분사기(100)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구체적인 불량품 정제 배출 및 배출 확인 장치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6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공기 분사기(100)는, 정제 검사부에서 판별한 정제가 정상품일 경우 정상품 배출관(23a)에서 공기 분사를 수행하여 정제 이송부(400)에서 정상품 배출관(23a)으로 정제를 배출하고, 판별한 정제가 불량품일 경우, 불량품 배출관(23b)에서 공기 분사를 수행하여 정제 이송부(400)에서 불량품 배출관(23b)으로 정제를 배출할 수 있다.
그러나, 불량품 배출관(23b)의 상부에 위치한 외부 공기 분사기(100)로 정제 배출에 실패할 경우, 제1 센서부(30)에서 정제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제1 센서부(30)에서 불량품 정제의 존재를 감지하면 지지브라켓(60)에 설치된 외부 공기 분사기가 아니라 정제 이송부 내부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정제의 바로 뒤에서 공기 분사할 수 있는 내부 공기 분사기(200)를 통해 정제 배출을 수행할 수 있다.
보통 정제 이송부는 내부에 부분적으로 진공압이 걸리는 진공압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진공압 영역과 연통하는 흡입홀을 배치하여, 정제를 흡입하여 이송시키는 바, 내부 공기 분사기(200)는 정제의 바로 뒤에서 공기를 분사할 수는 있으나 상기 흡입홀을 뚫고 공기를 분사하여야 하여 지속적인 정제 배출 수행에 유리하지 않다.
다만, 강하게 흡착되어 분리되지 않는 불량품 정제에 한해서 내부 공기 분사기(200)를 이용한 공기 분사를 수행하도록 하여 이송부와 흡착된 정제 일면에 강하게 공기 분사하며, 이를 통해 불량품 정제를 용이하게 이송부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공기 분사기(200)의 공기 분사력과 대응하여 위치하지 않은 불량품 배출관(23b)으로 배출할 수 없는 바, 추가 배출관(50)으로 불량품 정제를 수거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내부 공기 분사기(200)에 의해서도 불량품 정제를 배출하지 못할 경우 제2 센서부(40)에서 불량품 정제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자동으로 불량품 배출을 수행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제어부는 상기 정제 외관 검사 장치를 일괄 중단시키고,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불량품 정제 배출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센서부 및 제2 센서부는, 상기 정제 이송부(400)의 정면 또는 측면에서 상기 정제를 센싱하는 레이저 센서일 수 있다. 제 1 센서부(30) 및 제 2 센서부(40)은 빠른 속도로 이송하는 정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면 족하고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제의 양품 또는 불량품 개수를 카운팅하여 체크하는 카운팅부(1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팅부(10)는 검사부를 통과한 정제의 개수를 헤아릴 수 있도록 검사부의 끝 쪽, 즉, 정제 배출부(20)의 시작부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처음 정제의 개수와 제1 센서부(30) 및 제2 센서부(40)을 통과할 때의 정제 개수와 비교하여 누락되거나 미싱되는 정제 없이 제대로 배출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 정제의 배출 완료에 대해 트리플 체크 수행할 수 있으며, 정제가 잘못 분류되거나 오분류되어 장치의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정제의 분류 정확도를 떨어트리는 일을 방지하여 작업자가 추가적으로 최종적인 점검을 수행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정제 분류를 완료할 수 있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제 이송부를 따라 이송 중인 정제에 대해 상기 정제의 외관 양불 판정을 수행하며(S110), 상기 정제에 대해 상기 정제 이송부의 외부에 설치된 외부 공기 분사기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S120).
이때, 정상품 판정 받은 정제는, 정상품 배출관으로, 불량품 판정 받은 정제는 불량품 배출관으로 분류하여 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정제 이송 방향을 따라서 상기 외부 공기 분사기 다음에 위치한 제1 센서부에 의해 상기 정제 이송부에서 이송 중인 정제의 유무를 체크할 수 있으며(S130), 상기 제1 센서부에서 정제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감지된 정제에 대해 상기 정제 이송부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 공기 분사기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S140).
상기 정제 이송 방향을 따라서 상기 내부 공기 분사기 다음에 위치한 제2 센서부에 의해 상기 정제 이송부에서 이송 중인 정제의 유무를 체크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센서부가 정제를 감지하면 정제 검사 장치 작동을 중단 시킬 수 있다(S150).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정제 배출을 일괄적으로 수행한 후 제1 센서부 및 제2 센서부에서 정제를 감지하는 경우, 제1 센서부 및 제2 센서부는 정제 감지 정보를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제어부(미도시)는 정제 감지 회차가 몇 회차인지에 따라 다른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제 감지 회차가 1회차면 추가적인 공기 분사를 통해 정제 추출을 수행할 수 있으며, 2회차면 공기 분사에 의한 정제 추출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상기 정제 검사 장치의 동작 중단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등의 하드웨어와 이에 탑재되어 기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예를 들어 신호 처리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CPU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전반적인 내용에 비추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번을 사용하는 구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10: 카운팅부,
20: 정제 배출부, 21: 배출관 커버부, 22: 커버홀,
23a: 정상품 배출관, 23b: 불량품 배출관
30: 제1 센서부, 40: 제2 센서부,
50: 추가 배출관,
60: 지지브라켓,
100: 외부 공기 분사기, 200: 내부 공기 분사기,
300: 정제 공급부, 400: 정제 이송부,
500: 제1 촬영부, 600: 제2 촬영부

Claims (10)

  1. 정제 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된 배출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정제 이송부의 정제 흡착면으로부터 이격된 외부에 장착되어 공기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공기 분사기;
    정제 이송 방향을 따라서 상기 외부 공기 분사기 다음에 배치되며, 상기 정제 이송부에서 이송 중인 정제의 유무를 체크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정제 이송부의 정제 흡착면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정제의 흡착된 표면에 공기를 분사하는 내부 공기 분사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정제 이송부의 일측에 설치된 지지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정제 이송부의 정제 흡착면의 정면 또는 측면에서 상기 정제를 센싱하는 레이저 센서인,
    정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정제 검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정제 이송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1 센서부 및 상기 내부 공기 분사기 다음에 배치되며, 상기 정제 이송부의 정제 흡착면으로부터 이격된 외부에 장착된 제2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정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정제 검사 장치.
  3. 정제 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된 배출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정제 이송부의 정제 흡착면으로부터 이격된 외부에 장착되어 공기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공기 분사기;
    정제 이송 방향을 따라서 상기 외부 공기 분사기 다음에 배치되며, 상기 정제 이송부에서 이송 중인 정제의 유무를 체크하는 제1 센서부;
    상기 정제 이송부의 정제 흡착면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정제의 흡착된 표면에 공기를 분사하는 내부 공기 분사기;
    정제 이송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1 센서부 및 상기 내부 공기 분사기 다음에 배치되며, 상기 정제 이송부의 정제 흡착면으로부터 이격된 외부에 장착된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1 센서부 및 제2 센서부에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2 센서부가 정제의 비추출을 감지한 경우 정제 검사 장치의 동작을 중단하는 명령을 전달하는,
    정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정제 검사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부가 정제의 비추출을 감지한 경우 상기 내부 공기 분사기에게 공기 분사 명령을 전달하며,
    상기 내부 공기 분사기는, 상기 공기 분사 명령을 전달 받음에 따라 상기 내부 공기 분사기의 분사 홀에 상기 정제의 흡착된 표면이 지나갈 때 공기를 분사하는,
    정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정제 검사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이송부의 일측에 외부 공기 분사기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정제가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불량품 배출관 및 정상품 배출관; 및
    상기 불량품 배출관 및 정상품 배출관을, 플랙서블한 소재가 사용된 차단벽에 의해 분리하여 상기 정제 이송부에 연결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정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정제 검사 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부는, 상기 정제 이송부의 일측에 설치된 지지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정제 이송부의 정제 흡착면의 정면 또는 측면에서 상기 정제를 센싱하는 레이저 센서인,
    정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정제 검사 장치.
  7.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정제 이송 방향을 따라서 상기 외부 공기 분사기 이전에 배치되며, 상기 정제 이송부의 정제 흡착면으로부터 이격된 외부에 장착된 센서를 포함하는 카운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운팅부는, 이송 중인 정상품 정제 또는 불량품 정제의 개수를 카운팅하며, 상기 제어부로 상기 개수를 전송하는,
    정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정제 검사 장치.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기 분사기의 분사 방향에 대응되도록 상기 정제 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내부 공기 분사기에 의해 배출된 정제를 수거하는 추가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정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정제 검사 장치.
  9. 정제에 대해 정제 이송부의 외부에 설치된 외부 공기 분사기로 공기를 분사하는 제1 단계;
    상기 정제 이송 방향을 따라서 상기 외부 공기 분사기 다음에 위치한 제1 센서부에 의해 상기 정제 이송부에서 이송 중인 정제의 유무를 체크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정제 이송부의 일측에 설치된 지지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정제 이송부의 정제 흡착면의 정면 또는 측면에서 상기 정제를 센싱하는 레이저 센서임-; 및
    상기 제1 센서부에서 정제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감지된 정제에 대해 상기 정제 이송부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 공기 분사기로 공기를 분사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정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닛 제어 방법.
  10. 정제에 대해 정제 이송부의 외부에 설치된 외부 공기 분사기로 공기를 분사하는 제1 단계;
    상기 정제 이송 방향을 따라서 상기 외부 공기 분사기 다음에 위치한 제1 센서부에 의해 상기 정제 이송부에서 이송 중인 정제의 유무를 체크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센서부에서 정제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감지된 정제에 대해 상기 정제 이송부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 공기 분사기로 공기를 분사하는 제3 단계;
    상기 정제 이송 방향을 따라서 상기 내부 공기 분사기 다음에 위치한 제2 센서부에 의해 상기 정제 이송부에서 이송 중인 정제의 유무를 체크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2 센서부가 정제를 감지하면 정제 검사 장치 작동을 중단시키는 제5 단계;
    를 포함하는 정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닛 제어 방법.
KR1020200071224A 2020-06-12 2020-06-12 정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정제 검사 장치 KR102468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224A KR102468846B1 (ko) 2020-06-12 2020-06-12 정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정제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224A KR102468846B1 (ko) 2020-06-12 2020-06-12 정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정제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327A KR20210154327A (ko) 2021-12-21
KR102468846B1 true KR102468846B1 (ko) 2022-11-21

Family

ID=79165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224A KR102468846B1 (ko) 2020-06-12 2020-06-12 정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정제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884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596B1 (ko) * 2015-08-07 2016-10-27 주식회사 대용파마텍 정제 자동검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555B1 (ko) * 2012-09-28 2014-09-23 주식회사 코사파트너스 정제 또는 캡슐의 자동 소분포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계수 및 소분포장 방법
KR101726809B1 (ko) * 2015-04-15 2017-04-17 (주)엔클로니 약품 공급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약품 외관 검사 장치
KR101738404B1 (ko) * 2015-04-17 2017-05-24 (주)엔클로니 정제 검사 장치
KR20200024799A (ko) * 2020-01-17 2020-03-09 (주)에스엘티지 비흡착형 물품외관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596B1 (ko) * 2015-08-07 2016-10-27 주식회사 대용파마텍 정제 자동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327A (ko)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58004B2 (ja) 錠剤の外観検査装置
US6741731B1 (en) Side surface inspecting apparatus for tablet, front and back surface inspecting apparatus for tablet, and tablet appearance inspec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5826696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small articles
EP2159171B1 (en) Vibrating feeder, carrying device and inspection device
JP4906058B2 (ja) ワーク搬送システム
KR101738404B1 (ko) 정제 검사 장치
JPH01250845A (ja) チップ状部品の自動外観検査機
JP2008008897A (ja) 錠剤の表裏面外観検査装置、側面外観検査装置及び外観検査装置
KR102468846B1 (ko) 정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정제 검사 장치
CN108569543B (zh) 可靠地供应合规封口元件的装置和方法
KR100836832B1 (ko) 전자부품의 외관 검사장치
JP4176390B2 (ja) 搬送装置
JP3262400B2 (ja) チップ自動分離送給装置
KR200416589Y1 (ko) 오링 자동검사장치
KR20150051714A (ko) 오작동이 적고 불량 강구를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는 강구 검사장치
KR101764238B1 (ko) 정량포장이 가능한 약품 검사장치
JP2007137635A (ja) 錠剤搬送装置
JP7394681B2 (ja) 錠剤印刷装置及び錠剤製造方法
JP4021812B2 (ja) ワーク送給装置
CN109963799B (zh) 搬送装置、印刷装置及搬送方法
KR102326139B1 (ko) 포켓피더가 적용된 공캡슐 검사용 약품 정렬장치
KR102193616B1 (ko) 정제 카운팅 장치
JPH11241999A (ja) 偏平錠剤の側面検査装置及び該側面検査装置を具備した外観検査装置
JP7473525B2 (ja) 錠剤印刷装置および錠剤印刷方法
KR101195229B1 (ko) 정제검사기용 이송디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