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395047B1 -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047B1
KR102395047B1 KR1020190176137A KR20190176137A KR102395047B1 KR 102395047 B1 KR102395047 B1 KR 102395047B1 KR 1020190176137 A KR1020190176137 A KR 1020190176137A KR 20190176137 A KR20190176137 A KR 20190176137A KR 102395047 B1 KR102395047 B1 KR 102395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terminal
cage
elevating
transfer body
rechargeabl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3646A (ko
Inventor
장기홍
Original Assignee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6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047B1/ko
Publication of KR20210083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5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uspended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충전 배터리를 승강 케이지에 장착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승강 케이지가 이송 본체와 결합시 충전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전원 케이블을 이송 본체로부터 승강 케이지 측으로 연결할 필요가 없어 이송 본체 및 승강 케이지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제작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특히, 충전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특별한 제어 과정없이 기본적인 운행 과정에서 충전 배터리가 자동 충전될 수 있어 더욱 편리하고 안정적인 운행이 가능한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Electric Monorail System}
본 발명은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충전 배터리를 승강 케이지에 장착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승강 케이지가 이송 본체와 결합시 충전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전원 케이블을 이송 본체로부터 승강 케이지 측으로 연결할 필요가 없어 이송 본체 및 승강 케이지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제작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특히, 충전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특별한 제어 과정없이 기본적인 운행 과정에서 충전 배터리가 자동 충전될 수 있어 더욱 편리하고 안정적인 운행이 가능한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물류라는 용어는 물적 유통(physical distribution)의 줄임말로서,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제품, 재화를 효과적으로 옮겨주는 기능 또는 활동의 총칭이다. 일반적으로 포장, 하역, 수송, 보관 및 정보와 같은 여러 활동을 말한다.
통상적으로 제품, 재화를 수송하는 데는 포장, 보관, 집하/적재, 수송, 하역/배달, 보관 등의 여러 과정을 거친다. 어떠한 수송수단을 이용하든 이러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는 제품, 재화의 이동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이동의 전체를 종합적으로 보는 것이 물적 유통(물류)인 것이다.
근래에 들어서는 대량생산, 대량판매, 대량소비가 시대의 추세가 되었으며, 그 사이를 잇는 물자의 흐름을 효율화할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에 물류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물류 창고는 일반적으로 공장 또는 생산지에서 대량으로 생산된 각종 식료품, 음료, 의류, 가전, 잡화 및 산업용품 등의 일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물품들을 일시 또는 장기간 적재 보관하기 위한 저장창고를 말한다. 이러한 물류 창고는 최근 물류산업의 급속한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물류의 관리차원에서 벗어나 물류 창고 내 보관재고의 물품배치에서부터 효율적인 입출고는 물론 재고관리 등의 새로운 비즈니스의 창출을 도모할 수 있도록 설계 및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물류 창고는 신속한 화물의 입고와 출고가 생명이기 때문에 대부분 기계화 또는 자동화된 화물의 적재 및 하역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스태커 크레인, 셔틀, 리프트 등의 자동화 설비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외에도 공장이나 창고 바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반송 대차이 이동하며 물품을 이송하는 RTV(Robotic Transfer Vehicle), 천장에 설치된 모노레일을 따라 이송 대차가 이동하며 물품을 이송하는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 다양한 화물을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분류 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분류 이송하는 소터(sorter) 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다.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은 창고 내에 물품을 입출고 및 이송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거나 공장에서 제조 공정의 순서에 따라 작업물을 이송하는 목적으로 설치되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고 있다.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소음과 진동이 적고 간단한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 있는 전기 모노레일 시스템(EMS: Electric Monorail System)의 형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의 이송 캐리어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에 주행 레일(101)이 설치되고, 주행 레일(101)을 따라 측면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전극(102)이 형성된다. 이러한 주행 레일(101)은 설치 환경에 따라 다양한 경로를 갖도록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하나의 폐루프 경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주행 레일(101)을 따라 이송 캐리어가 이동하는데, 이송 캐리어는 주행 레일(101)을 따라 주행하는 이송 본체(100)와, 물품을 탑재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송 본체(100)로부터 승강 이동하는 승강 케이지(200)와, 승강 케이지(200)를 승강 구동하는 승강 구동 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송 본체(100)에는 주행 레일(101)의 트롤리 전극(102)에 접촉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트롤리 바(120)가 장착되고, 트롤리 바(12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전달받아 이송 캐리어의 각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미도시)가 장착된다. 또한, 이송 본체(100)에는 이송 본체(100)가 주행 레일(101)을 따라 이동하도록 이송 본체(100)를 이동시키는 메인 구동부(110)가 장착된다.
승강 구동 수단(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본체(100)로부터 하향 인출되거나 상향 견인되는 승강 벨트(3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승강 케이지(200)는 승강 벨트(310)의 끝단에 결합되어 승강 벨트(310)와 함께 상하 이동한다. 승강 케이지(200)는 물품을 탑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승강 케이지(200)의 일측에는 탑재된 물품이 이탈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물품 이탈 감지 센서(201)가 장착되고, 다른 일측에는 승강 케이지(200)에 물품이 탑재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물품 감지 센서(202)가 장착된다. 또한, 승강 케이지(200)에는 물품을 파지하여 탑재할 수 있는 별도의 로딩 아암(미도시) 등이 장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승강 케이지(200)에는 물품 이탈 감지 센서(201) 및 물품 감지 센서(202) 등이 장착되므로, 이들의 작동을 위해서는 승강 케이지(200)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어야 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을 위해 이송 본체(100)로부터 별도의 전원 케이블 등이 승강 케이지(200) 측으로 연장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케이블 연장으로 인해 장치가 복잡해지는 것은 물론이고, 승강 케이지(200)의 승강 이동시 케이블이 꼬이거나 손상되며, 다른 부품과의 간섭에 의한 안전 사고의 위험이 존재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승강 케이지(200)의 승강 이동시에도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함과 동시에 케이블의 외부 늘어짐 등을 방지하기 위해 이송 본체(100)에는 케이블이 권취되는 릴 형태의 케이블 공급 장치가 별도로 구비되기도 한다. 이 경우, 케이블 공급 장치를 승강 케이지(200)의 승강 이동 동작과 동기화하여 작동시킬 수 있는 별도의 구동 장치가 추가로 필요하여 전체 장치의 구성 및 제어가 더욱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이 연구되고 있으나 복잡한 접점 구조 또는 마찰 구조 등에 따라 분진 발생이 초래되는 등 아직까지 그 연구 성과가 미미한 실정이다.
국내등록특허 제10-1158483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충전 배터리를 승강 케이지에 장착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승강 케이지가 이송 본체와 결합시 충전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전원 케이블을 이송 본체로부터 승강 케이지 측으로 연결할 필요가 없어 이송 본체 및 승강 케이지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제작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특히, 충전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특별한 제어 과정없이 기본적인 운행 과정에서 충전 배터리가 자동 충전될 수 있어 더욱 편리하고 안정적인 운행이 가능한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전 배터리의 충전량을 표시하거나 충전 단자의 접촉 불량을 감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장이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관리자 또는 작업자에 의해 해당 상황이 용이하게 인식되도록 하여 신속한 복구 처리가 가능한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된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하며 일측에 전원 공급부가 장착되는 이송 본체; 물품을 탑재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송 본체에 장착된 승강 구동 수단에 의해 상기 이송 본체로부터 상하 이동하는 승강 케이지; 및 상기 승강 케이지 측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승강 케이지에 장착되는 충전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본체에는 상기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는 제 1 충전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 케이지에는 상기 충전 배터리에 연결되는 제 2 충전 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 케이지가 상승 이동하여 상기 이송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충전 단자와 제 2 충전 단자가 서로 접촉 연결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충전 배터리에 충전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 1 충전 단자 및 제 2 충전 단자는 상기 이송 본체와 상기 승강 케이지의 상호 대향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 구동 수단은 상기 이송 본체에 하향 인출되거나 상향 견인되도록 장착되며, 하단에 상기 승강 케이지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승강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충전 단자 및 제 2 충전 단자는 상기 승강 벨트와 인접한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은, 상기 충전 배터리의 충전량을 감지할 수 있는 충전 감지부; 및 상기 충전 감지부로부터 상기 충전 배터리의 충전량을 인가받고, 인가받은 상기 충전 배터리의 충전량에 따라 상기 승강 구동 수단을 동작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배터리의 충전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승강 케이지가 상기 이송 본체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승강 구동 수단을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은, 상기 제 1 충전 단자와 제 2 충전 단자의 접촉 상태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 케이지가 상기 이송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 감지부에 의해 상기 제 1 충전 단자와 제 2 충전 단자가 접촉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된 경우, 별도의 알람 출력부를 통해 경고 상태가 출력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 본체 및 상기 승강 케이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충전 배터리의 충전량을 표시할 수 있는 충전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충전 배터리를 승강 케이지에 장착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승강 케이지가 이송 본체와 결합시 충전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전원 케이블을 이송 본체로부터 승강 케이지 측으로 연결할 필요가 없어 이송 본체 및 승강 케이지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제작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특히, 충전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특별한 제어 과정없이 기본적인 운행 과정에서 충전 배터리가 자동 충전될 수 있어 더욱 편리하고 안정적인 운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충전 배터리의 충전량을 표시하거나 충전 단자의 접촉 불량을 감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장이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관리자 또는 작업자에 의해 해당 상황이 용이하게 인식되도록 하여 신속한 복구 처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의 이송 캐리어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의 충전 단자 배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의 충전 단자 접촉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의 제어 관련 구성을 기능적으로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의 충전 단자 배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의 충전 단자 접촉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의 제어 관련 구성을 기능적으로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은, 배경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천장에 주행 레일(101)이 설치되고, 주행 레일(101)을 따라 측면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전극(102)이 형성되며, 주행 레일(101)을 따라 이송 캐리어가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송 캐리어는 주행 레일(101)을 따라 주행하는 이송 본체(100)와, 물품을 탑재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송 본체(100)로부터 승강 이동하는 승강 케이지(200)와, 승강 케이지(200)를 승강 구동하는 승강 구동 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송 본체(100)에는 주행 레일(101)의 트롤리 전극(102)에 접촉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트롤리 바(120)가 장착되고, 트롤리 바(12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전달받아 이송 캐리어의 각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미도시)가 장착되며, 이송 본체(100)가 주행 레일(101)을 따라 이동하도록 이송 본체(100)를 이동시키는 메인 구동부(110)가 장착된다.
승강 구동 수단(300)은 이송 본체(100)로부터 하향 인출되거나 상향 견인되도록 장착되는 승강 벨트(310)와, 승강 벨트(310)를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하며, 승강 케이지(200)는 승강 벨트(31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승강 벨트(310)와 함께 상하 이동한다. 승강 구동 수단(300)은 승강 벨트 이외에 단순 가이드 바, 랙 피니언 등 다양한 기계 요소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승강 케이지(200)는 이러한 승강 구동 수단(300)에 의해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승강 케이지(200)는 물품을 탑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승강 케이지(200)의 일측에는 탑재된 물품이 이탈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물품 이탈 감지 센서(201)가 장착되고, 다른 일측에는 승강 케이지(200)에 물품이 탑재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물품 감지 센서(202)가 장착될 수 있다.
이송 본체(100)에는 제어부(600)가 구비되며, 제어부(600)는 메인 구동부(110) 및 승강 구동 수단(300)를 동작 제어하여 이송 본체(100)의 이동 및 승강 케이지(200)의 상하 이동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600)가 메인 구동부(110)를 동작 제어함으로써, 이송 본체(100)가 주행 레일(101)을 따라 이동하며, 제어부(600)가 승강 구동 수단(300)를 동작 제어함으로써, 승강 케이지(200)가 상하 이동한다.
또한, 제어부(600)는 승강 케이지(200)의 물품 이탈 감지 센서(201) 및 물품 감지 센서(202)와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며, 감지 센서들의 감지 신호에 따라 이송 본체(100)의 정지 또는 승강 케이지(200)의 정지 동작이 수행되도록 메인 구동부(110) 및 승강 구동 수단(300)을 동작 제어한다.
이와 같이 승강 케이지(200)에는 물품 이탈 감지 센서(201) 및 물품 감지 센서(202) 등이 장착되므로, 이들의 작동을 위해서는 승강 케이지(200)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승강 케이지(20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에서는 이송 본체(100)의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승강 케이지(200) 측으로 연장하여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케이블의 꼬임이나 손상, 복잡한 구조 등에 의해 제작 및 유지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전원 케이블에 의한 전원 공급 방식이 아니라 별도의 충전 배터리(800)를 승강 케이지(200)에 장착하고, 충전 배터리(800)의 전원을 승강 케이지(200) 측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충전 배터리(800)는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가 적용되며, 니켈이온전지, 폴리머전지 등 다양한 2차 전지 형태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전 배터리(800)를 승강 케이지(200)에 장착함으로써, 별도의 전원 케이블을 이송 본체(100)로부터 연결할 필요가 없어 이송 본체(100) 및 승강 케이지(200)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제작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충전 배터리(800)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구조가 필요한데, 충전 배터리(800)의 충전용 전원은 이송 본체(100)의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본체(100)에는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는 제 1 충전 단자(710)가 형성되고, 승강 케이지(200)에는 충전 배터리(800)에 연결되는 제 2 충전 단자(720)가 형성되며, 승강 케이지(200)가 상승 이동하여 이송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 1 충전 단자(710)와 제 2 충전 단자(720)가 서로 접촉 연결되어 전원 공급부로부터 충전 배터리(800)에 충전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공급부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송 본체(100) 내부에 배치되어 트롤리 바(120)와 연결되는 별도의 파워 서플라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트롤리 바(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다시 외부로 공급하는 다양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제 1 충전 단자(710)와 제 2 충전 단자(720)는 승강 케이지(200)가 이송 본체(100)에 결합하도록 상향 이동한 상태에서 상호 접촉하도록 이송 본체(100)와 승강 케이지(200)의 상호 대향면에 각각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승강 케이지(200)가 이송 본체(100)에 결합하도록 상향 이동한 상태에서 승강 케이지(200)의 상승 상태 변화에 따른 제 1 충전 단자(710)와 제 2 충전 단자(720)의 접촉 오류가 최소화되도록 제 1 충전 단자(710)와 제 2 충전 단자(720)는 승강 벨트(310)와 인접한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즉,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충전 단자(710)는 이송 본체(100)의 하면에서 승강 벨트(31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충전 단자(720)는 승강 케이지(200)의 상면에서 승강 벨트(31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 1 충전 단자(710)와 제 2 충전 단자(720)가 승강 벨트(31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승강 케이지(200)의 상승시 위치 및 각도 등 상승 이동 상태에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승강 벨트(310)에 대한 상승 거리 및 위치는 상대적으로 변화가 작으므로, 다른 위치에 비해 제 1 충전 단자(710)와 제 2 충전 단자(720)의 접촉 오류가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더욱 안정적인 충전 배터리(800)의 충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케이지(200)가 하강 이동한 상태에서는 제 1 충전 단자(710)와 제 2 충전 단자(720)가 서로 접촉하지 않고, 이 상태에서는 승강 케이지(200)에 장착된 충전 배터리(800)의 전원을 통해 각종 센서들이 작동하게 된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케이지(200)가 상승 이동한 상태에서는 제 1 충전 단자(710)와 제 2 충전 단자(720)가 서로 접촉하고, 이 상태에서는 이송 본체(100)의 전원 공급부로부터 제 1 충전 단자(710) 및 제 2 충전 단자(720)를 통해 승강 케이지(200)의 충전 배터리(800)에 충전 전원이 공급되어 충전 배터리(800)가 충전된다.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의 운행 특성상 승강 케이지(200)는 주행 레일(101)을 주행하는 동안 승강 케이지(200)가 상승 이동하여 이송 본체(100)에 결합한 상태를 유지하고, 특정 영역에서 승강 케이지(200)에 물품을 탑재하거나 배출시키는 동안에만 승강 케이지(200)가 하강 이동하여 이송 본체(100)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따라서, 승강 케이지(200)는 전체 주행 레일(101)을 주행하는 과정에서 물품의 이송을 위해 대부분의 시간 동안 승강 케이지(200)가 이송 본체(100)에 결합되고, 이에 따라 대부분의 시간 동안 제 1 충전 단자(710)와 제 2 충전 단자(720)가 접촉되어 충전 배터리(800)의 충전 과정이 진행되고, 물품의 탑재 및 배출을 위한 국소 시간 동안에만 승강 케이지(200)가 하강하여 이송 본체(100)로부터 이탈되므로, 국소 시간 동안에만 제 1 충전 단자(710)와 제 2 충전 단자(720)가 접촉하지 않고 충전 배터리(800)의 전원이 사용된다.
즉,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의 운행 특성상 대부분의 시간 동안 제 1 충전 단자(710)와 제 2 충전 단자(720)가 접촉하여 충전 배터리(800)가 충전되고, 국소 시간 동안에만 충전 배터리(800)의 전원이 사용되므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충전 전원량은 항상 충분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전 전원량이 충분하게 유지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충전 배터리(800)의 충전량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충전 배터리(800)의 충전량을 감지할 수 있는 충전 감지부(8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00)는 충전 감지부(810)로부터 충전 배터리(800)의 충전량을 인가받고, 인가받은 충전 배터리(800)의 충전량에 따라 승강 구동 수단(300)을 동작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 배터리(800)의 충전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승강 케이지(200) 측으로의 전원 공급이 안정적이지 못하여 각종 센서들이 오작동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제어부(600)는 승강 케이지(200)가 이송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승강 구동 수단(300)을 동작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강 케이지(200)가 이송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면, 충전 배터리(800)의 충전량이 증가하게 되므로, 이후, 충전 배터리(800)의 충전량이 기준치 이상으로 회복되면, 승강 케이지(200)가 하강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이송 본체(100) 및 승강 케이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충전 배터리(800)의 충전량을 표시할 수 있는 충전 표시부(830)가 구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관리자 및 작업자들이 승강 케이지(200)의 충전 배터리(800)에 대한 충전량을 쉽게 인식할 수 있어 더욱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다.
한편, 승강 케이지(200)가 상승 이동하여 이송 본체(100)에 결합될 때, 제 1 충전 단자(710)와 제 2 충전 단자(720)의 접촉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 1 충전 단자(710)와 제 2 충전 단자(720)는 승강 벨트(310)에 근접하게 위치하는데, 이외에도 도 3의 (b)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충전 단자(710)는 제 2 충전 단자(720)와의 안정적인 접촉 상태 유지를 위해 탄성판 형태로 하향 탄성 지지되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제 2 충전 단자(720)가 탄성판 형태로 상향 탄성 지지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제 1 충전 단자(710)와 제 2 충전 단자(720)의 접촉 오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 1 충전 단자(710)와 제 2 충전 단자(720)의 접촉 상태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 감지부(8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00)는 승강 케이지(200)가 이송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접촉 감지부(840)에 의해 제 1 충전 단자(710)와 제 2 충전 단자(720)가 접촉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된 경우, 별도의 알람 출력부(820)를 통해 경고 상태가 출력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알람 출력부(820)는 이송 본체(100) 또는 승강 케이지(200)에 형성될 수 있으며, 경고등과 같은 시각 정보 또는 경고음과 같은 청각 정보를 출력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알람 출력부(820)에 의해 경고 상태가 출력되면, 관리자 또는 작업자가 해당 승강 케이지(200)의 위치를 조정하는 등의 방식으로 제 1 충전 단자(710)와 제 2 충전 단자(720)의 접촉 상태를 정상 상태로 신속하게 수정함으로써, 고장이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이송 본체
101: 주행 레일
200: 승강 케이지
300: 승강 구동 수단
310: 승강 벨트
600: 제어부
710: 제 1 충전 단자
720: 제 2 충전 단자
800: 충전 배터리
810: 충전 감지부
820: 알람 출력부
830: 충전 표시부
840: 접촉 감지부

Claims (7)

  1. 천장에 설치된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하며 일측에 전원 공급부가 장착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는 제 1 충전 단자가 형성되는 이송 본체;
    물품을 탑재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송 본체에 장착된 승강 구동 수단에 의해 상기 이송 본체로부터 상하 이동하고 제 2 충전 단자가 형성되는 승강 케이지;
    상기 승강 케이지 측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승강 케이지에 장착되며 상기 제 2 충전 단자와 연결되는 충전 배터리;
    상기 제 1 충전 단자와 제 2 충전 단자의 접촉 상태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 감지부;
    상기 충전 배터리의 충전량을 감지할 수 있는 충전 감지부; 및
    상기 충전 감지부로부터 상기 충전 배터리의 충전량을 인가받고, 인가받은 상기 충전 배터리의 충전량에 따라 상기 승강 구동 수단을 동작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케이지가 상승 이동하여 상기 이송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충전 단자와 제 2 충전 단자가 서로 접촉 연결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충전 배터리에 충전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승강 케이지와 이송 본체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충전 단자와 제 2 충전 단자 간에 안정적인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 1 충전 단자가 탄성판 형태로 하향 지지되게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충전 단자가 탄성판 형태로 상향 지지되게 형성되며,
    상기 승강 케이지는 상기 이송 본체가 상기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동안 상기 이송 본체에 결합한 상태를 유지하고, 특정 영역에서 물품의 탑재 또는 배출을 위해서 하강 이동하여 상기 이송 본체로부터 이탈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배터리의 충전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승강 케이지가 상기 이송 본체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승강 구동 수단을 동작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 케이지가 상기 이송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 감지부에 의해 상기 제 1 충전 단자와 제 2 충전 단자가 접촉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된 경우, 별도의 알람 출력부를 통해 경고 상태가 출력되도록 동작 제어하고,
    상기 승강 케이지의 일측에는 탑재된 물품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물품 이탈 감지 센서가 장착되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승강 케이지의 물품 탑재 여부를 감지하는 물품 감지 센서가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품 이탈 감지 센서와 물품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승강 케이지의 정지 동작이 수행되도록 상기 승강 구동 수단을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충전 단자 및 제 2 충전 단자는 상기 이송 본체와 상기 승강 케이지의 상호 대향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 수단은
    상기 이송 본체에 하향 인출되거나 상향 견인되도록 장착되며, 하단에 상기 승강 케이지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승강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충전 단자 및 제 2 충전 단자는 상기 승강 벨트와 인접한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본체 및 상기 승강 케이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충전 배터리의 충전량을 표시할 수 있는 충전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

KR1020190176137A 2019-12-27 2019-12-27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 KR102395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137A KR102395047B1 (ko) 2019-12-27 2019-12-27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137A KR102395047B1 (ko) 2019-12-27 2019-12-27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646A KR20210083646A (ko) 2021-07-07
KR102395047B1 true KR102395047B1 (ko) 2022-05-09

Family

ID=76861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137A KR102395047B1 (ko) 2019-12-27 2019-12-27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0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6775A (ja) * 2005-12-13 2007-06-28 Ogawa Seisakusho:Kk 電気駆動型建設用タワークレーン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9242088A (ja) * 2008-03-31 2009-10-2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クレー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2285A (ja) * 1991-10-04 1993-04-23 Nec Yamagata Ltd 無人搬送装置
KR101158483B1 (ko) 2010-10-28 2012-06-21 현대로템 주식회사 천장주행형 물류반송시스템용 반송장치
JP6696406B2 (ja) * 2016-10-31 2020-05-20 株式会社ダイフク 移載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6775A (ja) * 2005-12-13 2007-06-28 Ogawa Seisakusho:Kk 電気駆動型建設用タワークレーン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9242088A (ja) * 2008-03-31 2009-10-2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クレー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646A (ko)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08708B2 (ja) 自動化保管およびピッキングシステムのための安全システムとその動作の方法
CN102565749B (zh) 一种电能表柔性自动化检定系统及方法
KR101993402B1 (ko) 자동 창고 및 현수식(懸垂式) 스태커 크레인
KR101733544B1 (ko) 화물 비상 반출이 가능한 물류 자동창고 시스템
KR102390558B1 (ko)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
KR20200016790A (ko) 반송 장치
CN107537781B (zh) 一种物流货物自动分拣装置
CN108840008A (zh) 一种用于电芯仓库项目的自动仓储物流系统
CN109704237B (zh) 一种具有智能判定识别感知功能的agv牵引叉车
CN110104589B (zh) 一种仓储物流智能搬运设备
KR102395047B1 (ko)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
EP3511271B1 (en) Transport apparatus for object handling system, and object handling system incorporating such apparatus
KR20180036087A (ko) 자동 화물 반출입시스템
CN209988030U (zh) 一种升降机构及超薄型单向潜伏式自动导引运输车
KR102124818B1 (ko) 물품 이송 대차용 포크 어셈블리
CN202421490U (zh) 一种电能表柔性自动化检定系统
KR101720199B1 (ko) 자동화물 시스템용 화물 리프트 동기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22328B1 (ko)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
JP7342434B2 (ja) 有軌道台車システム
KR20000066060A (ko) 전동랙 입출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46680B1 (ko) 소터 장치의 이송 모듈 비정상 상태 검출 방법
KR102665049B1 (ko) 캐리어 관제 시스템
KR102673119B1 (ko) 반송 대차용 호이스트용 벨트의 와이어 다발 단선 검출방법 및 단선 검출 기능을 갖는 호이스트 장치의 그리퍼 유닛
KR102512036B1 (ko) 포크 리프트
CN214454550U (zh) 分体式滑橇输送的开关组合应用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