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384287B1 - 광학 필름, 광학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 Google Patents

광학 필름, 광학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287B1
KR102384287B1 KR1020180136195A KR20180136195A KR102384287B1 KR 102384287 B1 KR102384287 B1 KR 102384287B1 KR 1020180136195 A KR1020180136195 A KR 1020180136195A KR 20180136195 A KR20180136195 A KR 20180136195A KR 102384287 B1 KR102384287 B1 KR 102384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particles
optical film
acrylate
organic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2776A (ko
Inventor
이한나
송인택
장영래
서정현
최희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136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287B1/ko
Publication of KR20200052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2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투과성 기재; 및 바인더 수지와 상기 바인더 수지에 분산된 2종 이상의 유기 미립자를 포함하는 방현층;을 포함하고, 상기 2종 이상의 유기 미립자 중 1종의 유기 미립자는 셀룰로오스 미립자인 광학 필름, 광학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학 필름, 광학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OPTICAL FILM, METHOD FOR PREPARING OPTICAL FILM, AND POLARIZ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학 필름, 광학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 (OLED), 또는 액정 표시 소자 (LCD) 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외광의 반사 또는 상의 비침에 의한 콘트라스트의 저하나, 시인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광의 산란 또는 광학 간섭 등을 이용해 상의 비침이나 반사 등을 줄이기 위해, 화상 표시 장치의 표면에 반사 방지 필름 등의 광학 적층 필름이 형성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소자 등에 있어서는 이전부터 방현층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 필름이 일반적으로 형성되어 왔다. 이러한 방현층은 주로 바인더와, 이러한 바인더 내에 포함된 미립자를 포함하며, 이러한 미립자는 통상 바인더 표면에 일부가 돌출되게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방현층은 상기 바인더 표면에 돌출된 미립자에 의한 표면 요철을 가짐에 따라, 광 산란/광 반사 등을 제어하여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 저하 등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전에 알려진 방현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의 경우, 표면에 요철을 형성시키기 위해 유기 입자와 무기 나노 입자를 함께 사용하였으나, 무기 나노 입자는 바인더 및 용매에 대한 분산성이 낮아 무기 나노 입자끼리 응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상기 무기 나노 입자는 유기 입자의 표면을 둘러싸면서 유기 입자의 응집을 유도하는데, 이러한 무기 나노 입자로 둘러싸인 유기 입자가 방현층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지나치게 응집되는 경우, 표면 요철이 지나치게 크거나 많이 형성되는 요철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요철 불량으로 인해, 오히려 방현층의 광학 특성이 저하되어 광 산란/광 반사 등을 제어하는 방현 특성 등이 제대로 발현되지 못하고, 그 부위에서 상이 일그러져 상선명성도 저하가 생기므로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방현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무기 나노 입자들 간의 및/또는 무기 나노 입자로 둘러싸인 유기 입자 간의 뭉침이 발생하여 필터 교환 등의 작업이 필요해 생산성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2종 이상의 유기 미립자의 분산 안정성이 향상된 방현층, 및 이를 포함하여 낮은 광택도, 높은 명암비, 우수한 상성명도 및 우수한 방현 특성 등 뛰어난 광학 특성을 나타내고, 동시에 내스크래치성 및 내오염성 등의 물리적 특성 또한 우수한 광학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입자 뭉침으로 인한 추가 작업을 방지하여 생산성이 향상된 광학 필름을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광투과성 기재; 및 바인더 수지와 상기 바인더 수지에 분산된 2종 이상의 유기 미립자를 포함하는 방현층;을 포함하고, 상기 2종 이상의 유기 미립자 중 1종의 유기 미립자는 셀룰로오스 미립자인 광학 필름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광투과성 기재 상에, 셀룰로오스 미립자; 상기 셀룰로오스 미립자와 다른 1종 이상의 유기 미립자; 및 반응성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경화성 코팅 조성물을 코팅하고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광학 필름, 광학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Meth)acrylate]은 아크릴레이트(acrylate) 및 메타크릴레이트(Methacrylate) 양쪽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광경화성 화합물은 빛이 조사되면, 예를 들어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의 조사되면 중합 반응을 일으키는 화합물을 통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제조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은 순차적 또는 연속적임을 명시하거나 다른 특별한 급이 있는 경우가 아니면, 하나의 제조 방법을 구성하는 하나의 단계와 다른 단계가 명세서 상에 기술된 순서로 제한되어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제조 방법의 구성 단계의 순서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그에 부수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변화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광투과성 기재; 및 바인더 수지와 상기 바인더 수지에 분산된 2종 이상의 유기 미립자를 포함하는 방현층;을 포함하고, 상기 2종 이상의 유기 미립자 중 1종의 유기 미립자는 셀룰로오스 미립자인 광학 필름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광학 필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2종 이상의 유기 미립자를 포함하는 방현층을 포함하고, 특히, 상기 2종 이상의 유기 미립자 중 1종의 유기 미립자는 셀룰로오스 미립자인 광학 필름은, 낮은 광택도, 높은 명암비, 우수한 상선명도 및 우수한 방현 특성 등 뛰어난 광학 특성을 나타내고, 동시에 내스크래치성 및 내오염성 등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낸다는 점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방현층의 표면에는 미세 요철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방현층에 유기 입자와 무기 나노 입자를 함께 사용하여 요철 형상을 형성함으로 인하여, 무기 나노 입자로 둘러싸인 유기 입자가 방현층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과도하게 응집되거나, 무기 나노 입자의 분산 안정성이 낮은 문제로 인해 무기 나노 입자의 과도한 응집이 생겨, 방현층의 표면에 요철이 지나치게 크거나 많이 형성되는 요철 불량이 발생하였다. 또한, 이러한 요철 불량으로 인하여 광학 특성이 저하되어 광 산란/광 반사 등을 제어하는 방현 특성 등이 제대로 발현되지 못하고, 그 부위에서 상이 일그러져 상선명성도 저하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광학 필름에 포함된 방현층은, 무기 나노 입자를 사용하지 않고, 셀룰로오스 미립자 및 상기 셀룰로오스 미립자 외의 다른 유기 미립자(이를 이하에서는 "제2 유기 미립자"라고 한다.)를 포함하는 2종 이상의 유기 미립자만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방현층의 바인더 수지 내에서 유기 미립자의 분산 안정성이 향상되어 종래의 요철 불량과 같은 문제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룰로오스 미립자를 제외한 제2 유기 미립자만을 사용하는 경우, 입자끼리 응집이 일어나지 않고 코팅층 내에 고르게 분산되어, 방현층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지 않아 방현 특성이 구현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상기 셀룰로오스 미립자는 표면의 하이드록실 그룹에 의해 친수성을 갖고 있어, 상기 제2 유기 미립자와 강한 인력으로 인해 응집 또는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룰로오스 미립자와 제2 유기 미립자 간의 인력이, 제2 유기 미립자 간의 인력에 비해, 현저히 크므로, 셀룰로오스 미립자와 제2 유기 미립자 간의 응집은 발생하기 쉽지만, 제2 유기 미립자간의 응집은 발생하기 어려울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셀룰로오스 미립자는 제2 유기 미립자에 비해 크기(단면의 직경)가 작으므로, 크기가 상이한 셀룰로오스 미립자와 제2 유기 미립자가 응집되어 요철을 형성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제2 유기 미립자들이 형성하는 틈에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셀룰로오스 미립자가 채워지므로, 요철이 지나치게 크거나 많이 형성되는 요철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셀룰로오스 미립자가 방현층에 포함되는 경우, 요철 불량을 방지하고, 방현층의 광학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면 요철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광학 필름은 낮은 광택도, 높은 명암비, 우수한 상선명도 및 우수한 방현 특성 등 뛰어난 광학 특성을 나타내고, 동시에 내스크래치성 및 내오염성 등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현층의 표면에는, 제2 유기 미립자들이 방현층의 표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응집하여 요철이 형성되는 것이므로, 상기 요철에는 제2 유기 미립자 전체가 포함되거나, 제2 유기 미립자의 일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2 유기 미립자의 50 부피% 이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기 미립자는,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co-스티렌,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co-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co-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마이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술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아세탈, 에폭시레진, 페놀레진, 실리콘 수지, 멜라민 수지, 벤조구아민, 폴리디비닐벤젠, 폴리디비닐벤젠-co-스티렌, 폴리디비닐벤젠-co-아크릴레이트, 폴리디알릴프탈레이트 및 트리알릴이소시아눌레이트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유기 미립자 100중량부 대비 상기 셀룰로오스 미립자의 함량은 20 내지 50중량부, 25 내지 45중량부 또는 30 내지 4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제2 유기 미립자 100중량부 대비 상기 셀룰로오스 미립자의 함량이 20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2종 이상의 유기 입자가 응집되지 않고, 이로 인해 방현층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지 않아 방현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50중량부 초과하면 상기 2종 이상의 유기 입자의 응집이 과도해져 방현층 표면이 거칠어져 상선명도 등의 광학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기 미립자의 단면 직경 대비 상기 셀룰로오스 미립자의 단면 직경 비율은 1 미만, 0.2 내지 0.8, 또는 0.3 내지 0.5일 수 있다. 상기 제2 유기 미립자의 단면 직경 대비 상기 셀룰로오스 미립자의 단면 직경 비율이 1 이상이면 셀룰로오스 미립자와 제2 유기 미립자의 응집체의 크기 혹은 셀룰로오스 미립자와 셀룰로오스 미립자의 응집체의 크기가 커지고, 이로 인해 요철 불량이 발생하여 방현층 표면이 거칠어져 상선명도 등의 광학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셀룰로오스 미립자 단면의 직경은 0.2 내지 10㎛, 0.3㎛ 내지 8㎛, 또는 0.4 내지 5㎛, 또는 0.5 내지 2㎛일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미립자의 직경이 0.2㎛ 미만이면 입자의 분산성이 저하되어 셀룰로오스 미립자끼리의 뭉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10㎛ 초과하면 입자 응집 사이즈가 커져 표면이 거칠어져 광학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미립자 및 상기 제2 유기 미립자의 직경은, 예를 들면 동적 광 산란법, 레이저 회절법, 원심 침강법, FFF(Field Flow Fractionation)법, 세공(細孔) 전기 저항법 등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방현층에 포함되는 2종 이상의 유기 미립자는 구형(spherical)일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셀룰로오스 미립자는 구형일 수 있다. 상기 유기 미립자가 구형인 특성으로 인해, 봉형 또는 무정형과 달리, 응집을 통한 표면 요철이 고르게 형성되어 우수한 명암비, 상선명도 및 방현성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방현층에 바인더 수지는, 비닐계 단량체, 비닐계 올리고머,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및 (메트)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닐계 단량체/올리고머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올리고머/고분자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비닐기를 1 이상, 또는 2 이상, 또는 3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의 구체적인 예로는,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 헵타(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폴리에톡시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헥사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이나, 또는 우레탄 변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사이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테르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덴드리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 내지 10,000일 수 있다.
상기 비닐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의 구체적인 예로는, 디비닐벤젠, 스티렌 또는 파라메틸스티렌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인더 수지에 포함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반응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군; 및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하이드록시 펜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렌 프로필 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 글리세롤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프로판 에톡시 트리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 글리세로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단량체로부터 유래한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는 관능기를 2개 이상 포함하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일 수 있다. 상기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고분자는, 예를 들어,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0,000 내지 약 800,000g/mol, 약 20,000 내지 약 700,000g/mol, 또는 약 30,000 내지 약 650,000g/mol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방현층은 상기 바인더 수지 100중량부 대비 상기 셀룰로오스 미립자를 0.1 내지 10중량부, 0.2 내지 9중량부, 또는 0.3 내지 8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 100중량부 대비 상기 셀룰로오스 미립자를 0.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미립자들이 응집되지 않아 방현층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이로 인해, 광학 필름의 방현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10중량부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미립자들이 응집이 과도하게 일어나 방현층 표면이 거칠어져 상선명도 등의 광학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광학 필름에 포함되는 상기 광투과성 기재는 투명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기재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기재 필름,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계 기재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기재 필름, 사이클로올레핀계(COP) 기재 필름 또는 아크릴(Acryl)계 기재 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편광자 보호용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재에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광학 필름은 광투과성 기재와 상기 방현층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광투과성 기재를 침식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부착증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증진층을 구비함으로 인해, 고경도, 고투명도, 및 고내찰상도를 구비하고, 박형화가 가능하면서도, 부착증진층과 기재와의 부착성이 우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연신 공정에서 고분자 재배열 들의 이유로 부착성이 감소한 연신 필름, 예를 들어, 폴리에스터 필름(PET), 환상 올레핀 중합체 필름(COP), 폴리카보네이트 필름(PC), 폴리노보넨 계 필름(PNB), 및 아크릴 계 필름 등이 광투과성 기재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별도의 프라이머 처리 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부착증진층은 수소 결합이 가능한 반응기를 갖는 광경화성 단관능 모노머의 경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소 결합이 가능한 반응기를 갖는 광경화성 단관능 모노머는 용제에 비해 덜 증발되며, 반응성이 좋아 광투과성 기재의 특성과 큰 관계 없이 광투과성 기재 상에 침식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재 침식으로 인하여 기재 침식 후 광투과성 기재와 부착증진층과의 화학적 결합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별도의 추가적인 접착제나 가교제 등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광투과성 기재의 특성에 상관없이 우수한 부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부착증진층은 광투과성 기재 침식 부분을 포함한 부착증진층 전체 두께의 약 20 내지 약 50%가 기재를 침식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증진층에 의한 광투과성 기재 침식 두께가 상기의 범위에 있을 때, 상기 부착증진층이 우수한 부착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광학 필름이 고경도, 고투명도 등의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부착증진층은 상기 경화 수지 내에서 수소 결합이 가능한 반응기가 존재하고, 경화 후 상기 부착증진층과 광투과성 기재의 경계면 내에서 분자 간 수소 결합이 가능하게 되어 기재와의 부착성이 더욱 우수해질 수 있다.
상기 수소 결합이 가능한 반응기는, 수소 결합이 가능한 반응기 또는 잔기 등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OH기, -NH2기, -NHR기, -COOH기, -CONH2기, -NHOH기 등의 반응기, 또는 분자 내에 -NHCO- 결합, -NH- 결합, -CONHCO- 결합, -NH-NH- 결합 등의 잔기를 들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수지 상에 포함된 부위라도 상호 간에 수소 결합이 가능하다면 수소 결합성 부위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N 또는 O를 포함하는 반응기 또는 잔기가 다른 수지에 포함된 -OH기 또는 -NH2기 등과 수소 결합이 가능하다면 상기 수소 결합성 부위로 볼 수 있다. 상기에서 R은 지방족 탄화수소, 방향족 탄화수소, 및 이들의 유도체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탄소수 1 내지 16 또는 탄소수 1 내지 9의 지방족 탄화수소, 탄소수 5 내지 30 또는 탄소수 5 내지 16의 방향족 탄화수소 및 이들의 유도체일 수 있다.
이러한 수소 결합이 가능한 반응기를 갖는 광경화성 단관능 모노머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N-치환(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N,N-치환(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하이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하이드록시기 함유 모노머, (메트)아크릴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 아세트산, 3-(메트)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산, 4-(메트)아크릴로일옥시 부틸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 등과 같은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 비닐 피롤리돈 또는 아크릴로일 모폴린과 같은 헤테로 고리 화합물, 2-우레이도-피리미디논기 함유 모노머 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아크릴레이트(tetrahydrofurfurylacrylate, THFA),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메타크릴레이트(tetrahydrofurfurylmethacrylate THFMA),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ydroxyethylacrylate, HEA),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methacrylate HEMA), 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carboxyethylacrylate), 카르복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carboxyethylmethacrylate)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바와 같은 수소 결합이 가능한 반응기를 갖는 광경화성 단관능 모노머는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광경화성 단관능 모노머는 고리형 구조를 갖는 단관능 희석 모노머와 함께 직쇄형 구조 또는 분지쇄형 구조를 갖는 단관능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독으로 또는 서로 다른 종류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착증진층은 수소 결합이 가능한 반응기를 갖는 광경화성 단관능 모노머 및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의 경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소 결합이 가능한 반응기를 갖는 광경화성 단관능 모노머에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가 중합되어 다양한 형태의 결합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부착증진층이 더욱 우수한 부착성 및 내찰상성을 갖게될 수 있다.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exandiol diacrylate, HDDA),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tripropyleneglycoldiacrylate, TPGDA), 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ethyleneglycoldiacrylate, EGDA),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MPTA), 트리메틸올프로판에톡시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ethoxylated triacrylate, TMPEOTA), 글리세린 프로폭실화 트리아크릴레이트(glycerol propoxylated triacrylate, GPTA),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PETA), 및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DPHA)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별다른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화 수지가 수소 결합이 가능한 반응기를 갖는 광경화성 단관능 모노머와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의 경화 수지일 경우, 상기 수소 결합이 가능한 반응기를 갖는 광경화성 단관능 모노머 전체 약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가 약 10 내지 약 150 중량부로 경화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경화 수지가 상기 범위로 경화되어 있을 때, 상기 광학 필름이 물리적, 광학적 특성의 저하 없이 충분한 가요성 및 부착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은 상기 부착증진층과 방현층 사이에 하드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은 상기 광학 필름의 경도를 높여주기 위한 것으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하드코팅층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광학 필름의 헤이즈 값이 높을수록 외부광의 확산 정도가 커져 방현 효과가 탁월한 반면, 표면에서의 빛의 산란에 의한 이미지의 왜곡 현상과 내부 산란에 의한 백화 현상으로 명암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구현예의 광학 필름은 헤이즈를 50% 이하, 45% 이하, 40% 이하, 또는 35% 이하로 제어하여, 방현 효과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명암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광투과성 기재 상에, 셀룰로오스 미립자; 상기 셀룰로오스 미립자와 다른 1종 이상의 유기 미립자; 및 반응성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경화성 코팅 조성물을 코팅하고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광투과성 기재는 광학 필름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종래에는 유기 미립자 및 무기 나노 입자를 포함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나, 바인더 및 용매에 대한 분산성이 낮은 무기 나노 입자로 인해 무기 나노 입자들의 뭉침이 발생하여 필터 교환 등의 추가 작업이 필요해 생산성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다른 구현예의 상기 경화성 코팅 조성물은, 무기 나노 입자를 사용하지 않고, 셀룰로오스 미립자 및 제2 유기 미립자를 포함하는 2종 이상의 유기 미립자만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조성물 내에서 유기 미립자의 분산 안정성이 향상되어 추가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경화성 코팅 조성물로 제조된 방현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은 낮은 광택도, 높은 명암비, 우수한 상성명도 및 우수한 방현 특성 등 뛰어난 광학 특성을 나타내고, 동시에 내스크래치성 및 내오염성 등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유기 미립자의 종류, 상기 제2 유기 미립자 100중량부 대비 상기 셀룰로오스 미립자의 함량, 상기 제2 유기 미립자 대비 상기 셀룰로오스 미립자의 직경/밀도 비율, 상기 셀룰로오스 미립자의 직경/형상 등에 관한 내용은 상기 광학 필름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경화성 코팅 조성물은, 반응성 단량체, 반응성 올리고머 또는 반응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성 코팅 조성물은 광경화성이거나 열경화성일 수 있으며, 광경화 및 열경화의 특성을 모두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경화성 코팅 조성물이 광경화성인 경우에는 상기 경화성 코팅 조성물은 광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경화성 코팅 조성물이 열경화성인 열경화제 또는 경화 촉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단량체, 반응성 올리고머 또는 반응성 고분자는, 예를 들어, 비닐계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이거나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올리고머 또는 고분자일 수 있으며, 비닐계 단량체/올리고머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Žh에/올리고머/고분자는 광학 필름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광개시제는, 예를 들어,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 케톤,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판온, 2-하이드록시-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메틸-1-프로판온, 메틸벤조일포르메이트, α,α-디메톡시-α-페닐아세토페논, 2-벤조일-2-(디메틸아미노)-1-[4-(4-모포린일)페닐]-1-부타논, 2-메틸-1-[4-(메틸씨오)페닐]-2-(4-몰포린일)-1-프로판온 디페닐(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 또는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현재 시판되고 있는 상품으로는 Irgacure 184, Irgacure 500, Irgacure 651, Irgacure 369, Irgacure 907, Darocur 1173, Darocur MBF, Irgacure 819, Darocur TPO, Irgacure 907, Esacure KIP 100F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광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서로 다른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성 코팅 조성물은 유기 용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기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탄올과 같은 알코올계 용매, 2-메톡시에탄올, 2-에톡시에탄올, 1-메톡시-2-프로판올과 같은 알콕시 알코올계 용매,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프로필케톤, 사이클로헥사논과 같은 케톤계 용매,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디에틸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2-에틸헥실에테르와 같은 에테르계 용매, 벤젠, 톨루엔, 자일렌과 같은 방향족 용매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성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은 본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바 코팅 방식, 나이프 코팅방식, 롤 코팅방식, 블레이드 코팅방식, 다이 코팅방식,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방식, 콤마코팅 방식, 슬롯다이 코팅방식, 또는 립 코팅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성 코팅 조성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방현층을 형성하는 경우, 자외선의 조사량은, 예를 들면 약 20 내지 약 600mJ/cm2 일 수 있다. 자외선 조사의 광원으로는 본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고압 수은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블랙 라이트(black light) 형광 램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구현예에 따른 광학 필름 제조방법은, 상기 경화성 코팅 조성물을 코팅하고 경화하는 단계 전에, 광투과성 기재의 상에, 부착증진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부착증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부착증진층 상에 상기 경화성 코팅 조성물을 도포한 후 방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부착증진층은 광투과성 기재에 침식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방현층을 형성하기 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착증진층 형성용 조성물은 수소 결합이 가능한 반응기를 갖는 광경화성 단관능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소 결합이 가능한 반응기를 갖는 광경화성 단관능 모노머는 광학 필름에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부착증진층 형성용 조성물은 광중합성 개시제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방현성 기재 필름에 포함된 광중합성 개시제 및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착증진층 형성용 조성물을 광투과성 기재에 도포 후 광경화하여 부착증진층을 형성하는데, 이때, 광경화는 상기 수소 결합이 가능한 반응기를 갖는 광경화성 단관능 모노머 및/또는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의 일부가 가교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일부가 가교된다 함은, 상기 수소 결합이 가능한 반응기를 갖는 광경화성 단관능 모노머 및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가 완전히 가교되는 것을 100%로 할 때 100% 미만으로 부분적으로만 가교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수소 결합이 가능한 반응기를 갖는 광경화성 단관능 모노머 및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에 포함된 관능기의 약 30 내지 약 60몰%, 또는 약 40 내지 약 50몰%가 가교될 때까지 수행할 수 있다. 일부만 가교시키는 광경화 후,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 및 광경화 과정을 통해, 광경화 기재와의 부착성을 보다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광경화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컬 또는 경화 수축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술한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상기 광학 필름은 예를 들어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 작용하여 상술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어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작용하는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는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입사되는 빛으로부터 한쪽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을 추출할 수 있는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특성은 요오드를 흡수한 PVA(poly vinyl alcohol)를 강한 장력으로 연신하여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PVA 필름을 수용액에 담가 팽윤(swelling)시키는 팽윤하는 단계, 상기 팽윤된 PVA 필름에 편광성을 부여하는 이색성 물질로 염색하는 단계, 상기 염색된 PVA 필름을 연신(stretch)하여 상기 이색성 염료 물질을 연신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시키는 연신 단계, 및 상기 연신 단계를 거친 PVA 필름의 색을 보정하는 보색 단계를 거쳐 편광자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은 편광자의 양면에 부착되거나,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만 부착되고 다른 일면에는 TAC과 같이 편광자 보호용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범용의 보호 필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편관판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 편광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광학 필름의 우수한 광학 특성으로 인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외광의 반사 또는 상의 비침에 의한 콘트라스트의 저하나, 시인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현층 내에 포함된 2종 이상의 유기 미립자의 분산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낮은 광택도, 높은 명암비, 우수한 상성명도 및 우수한 방현 특성 등 뛰어난 광학 특성을 나타내고, 동시에 내스크래치성 및 내오염성 등의 물리적 특성 또한 우수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자 뭉침으로 인한 추가 작업을 방지하여 생산성이 향상된 광학 필름을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제조>
(1) 제조예 1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 상기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해 광중합 개시제로서 Irgacure184 6.2 중량부, 유기 용매로서 에틸 알코올 100 중량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co-스티렌 미립자(구형의 PMMA/PS 미립자, 굴절률(n)=1.555, 직경: 2.0㎛) 4.0 중량부, 및 셀룰로오스 미립자 (구형, 단면의 직경: 1㎛)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 제조예2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 상기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해 광중합 개시제로서 Irgacure184 6.2 중량부, 유기 용매로서 에틸 알코올 50 중량부, 2-부틸 알코올 50 중량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co-스티렌 미립자(구형의 PMMA/PS 미립자, 굴절률(n)=1.555, 직경: 2.0㎛) 2.8 중량부, 셀룰로오스 미립자 (구형, 단면의 직경: 1㎛) 1.1 중량부를 혼합하여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3) 제조예3
트리메틸올 프로필 트리 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 상기 트리메틸올 프로필 트리 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해 광중합 개시제로서 Irgacure184 6.2 중량부, 유기 용매로서 에틸 알코올 50 중량부, 2-부틸 알코올 50 중량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co-스티렌 미립자(구형의 PMMA/PS 미립자, 굴절률(n)=1.555, 직경: 3.5㎛) 4.7 중량부, 셀룰로오스 미립자 (구형, 단면의 직경: 2㎛)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4) 비교 제조예1
상기 셀룰로오스 미립자를 사용하지 않았다는 점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5) 비교 제조예2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co-스티렌 미립자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셀룰로오스 미립자를 4.0중량부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6) 비교 제조예3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co-스티렌 미립자 2.8 중량부 및 셀룰로오스 미립자 1.1중량부 대신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co-스티렌 미립자 4.0 중량부 및 실리카 나노입자(30% 고형분 in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0.8 중량부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7) 비교 제조예4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co-스티렌 미립자 2.8 중량부 및 셀룰로오스 미립자 1.1중량부 대신 셀룰로오스 미립자 4.0중량부 및 실리카 나노입자(30% 고형분 in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0.8 중량부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8) 비교 제조예5
실리카 나노입자(30% 고형분 in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0.8 중량부를 더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비교예 : 광학 필름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께 60㎛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기재 필름 위에, 상기 제조예 1 내지 3 및 비교 제조예 1 내지 5에서 각각 제조된 조성물을 바(Bar) 코팅 방식으로 방현층의 건조 후 두께가 4~5um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이후, 90℃에서 2분간 건조한 후, 수은 램프로 200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방현층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 광학 필름 평가>
상기 제조된 광학 필름을 하기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고, 그 결과값을 하기 표 1 에 나타내었다.
1. 헤이즈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으로부터 4cm × 4cm의 시편을 준비하고 헤이즈 측정기(HM-150, A 광원, 무라카미社)로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계산하고, 이를 전체 헤이즈 값으로 산출하였다. 헤이즈는 JIS K 7136 규격에 의해 측정하였다.
2. 방현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을 형광등 아래에서 비추었을 때 램프의 눈부심 방지 효과를 육안으로 확인하였으며, 그 평가 기준은 하기와 같다.
양호: 램프 눈부심 방지 효과가 있음
불량: 램프 상이 또렷하게 맺힘
3. 광택도(Gloss)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에 대해 광태계(Gloss Meter, BYK社)를 이용하여 60°의 광 입사각으로 광택도를 측정하였다.
4. 표면의 요철 특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의 30cm × 30cm 면적의 표면에서, 불균일하게 볼록하게 튀어나온 요철의 개수를 세어, 광학 필름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 특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요철 육안 평가에 숙련된 검사자 5인의 평가를 결과를 평균하였고, 그 평가 기준은 하기와 같다. 한편, 하기 표 1에서 표면에 요철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 '-'로 표시하였다.
양호: 10개 미만
불량: 10개 이상
5. 연필 경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에 대해 연필경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 표준 JIS K5400에 따라 500g의 하중으로 5회 왕복한 후 흠집이 없는 연필 경도를 확인하였다.
6. 내스크래치성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에 대해 Steel wool #0000에 500g 하중을 걸어 왕복하여 10회 문지른 뒤 흠집이 생기는지 육안으로 평균하였고, 그 평가 기준은 하기와 같다.
양호: 흠집 없음
불량: 흠집 발생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조성물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비교 제조예1 비교 제조예2 비교 제조예3 비교 제조예4 비교 제조예5
헤이즈 4.2 3.2 21.0 3.8 2.7 3.5 2.8 5.3
방현성 양호 양호 양호 불량 불량 양호 불량 양호
광택도(60°) 82 85 52 89 90 85 90 75
요철 특성 양호 양호 양호 - - 불량 - 불량
연필경도 3H 3H 3H 3H 3H 3H 3H 3H
내스크래치특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상기 표 1에 따르면, 실시예 1 내지 3의 광학 필름이, 비교예 1 내지 5의 광학 필름에 비해, 방현성 및 요철 특성이 우수함을 확인했다.
한편, 비교예 1의 방현층은 제2 유기 미립자만을 포함하므로, 제2 유기 미립자만으로는 응집이 이루어지지 않아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지 않음을 확인했고, 비교예 2의 방현층은 셀룰로오스 미립자만을 포함하므로, 표면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는 충분한 응집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확인했다. 또한, 비교예 3의 방현층은 제2 유기 미립자 및 무기 나노 입자를 포함하므로, 방현층의 두께방향으로 입자가 과도하게 응집되어 요철 특성이 불량하다는 점을 확인하고, 비교예 4의 방현층은 셀룰로오스 미립자 및 무기 나노 입자만을 포함하므로, 표면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는 충분한 응집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확인했다. 또한, 비교예 5의 방현층은 무기 미립자를 추가적으로 포함함으로 인해, 방현층의 두께방향으로 입자가 과도하게 응집되어 요철 특성이 불량하다는 점을 확인했다.

Claims (14)

  1. 광투과성 기재; 및 바인더 수지와 상기 바인더 수지에 분산된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유기 미립자를 포함하는 방현층;을 포함하고,
    상기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유기 미립자 중 1종의 유기 미립자는 셀룰로오스 미립자인, 광학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현층은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co-스티렌,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co-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co-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마이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술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아세탈, 에폭시레진, 페놀레진, 실리콘 수지, 멜라민 수지, 벤조구아민, 폴리디비닐벤젠, 폴리디비닐벤젠-co-스티렌, 폴리디비닐벤젠-co-아크릴레이트, 폴리디알릴프탈레이트 및 트리알릴이소시아눌레이트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2 유기 미립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기 미립자는 상기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유기 미립자에 포함되는, 광학 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기 미립자 100중량부 대비 상기 셀룰로오스 미립자의 함량은 20 내지 50중량부인, 광학 필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기 미립자의 단면 직경 대비 상기 셀룰로오스 미립자의 단면 직경 비율은 1 미만인, 광학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기 미립자의 단면 직경 대비 상기 셀룰로오스 미립자의 단면 직경 비율은 0.2 내지 0.8인, 광학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미립자 단면의 직경이 0.2 내지 10㎛인, 광학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유기 미립자는 구형인, 광학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성 기재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기재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기재 필름,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계 기재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기재 필름, 사이클로올레핀계(COP) 기재 필름 또는 아크릴(Acryl)계 기재 필름인, 광학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비닐계 단량체, 비닐계 올리고머,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및 (메트)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성 기재와 상기 방현층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광투과성 기재를 침식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부착증진층을 더 포함하는, 광학 필름.
  11. 제1항의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12. 광투과성 기재 상에,
    셀룰로오스 미립자; 상기 셀룰로오스 미립자와 다른 1종 이상의 유기 미립자; 및 반응성 단량체, 반응성 올리고머 또는 반응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경화성 코팅 조성물을 코팅하고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의 광학 필름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코팅 조성물을 코팅하고 경화하는 단계 전에,
    광투과성 기재의 상에, 부착증진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부착증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증진층 형성용 조성물은 수소 결합이 가능한 반응기를 갖는 광경화성 단관능 모노머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제조방법.
KR1020180136195A 2018-11-07 2018-11-07 광학 필름, 광학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2384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195A KR102384287B1 (ko) 2018-11-07 2018-11-07 광학 필름, 광학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195A KR102384287B1 (ko) 2018-11-07 2018-11-07 광학 필름, 광학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776A KR20200052776A (ko) 2020-05-15
KR102384287B1 true KR102384287B1 (ko) 2022-04-06

Family

ID=70678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195A KR102384287B1 (ko) 2018-11-07 2018-11-07 광학 필름, 광학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2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3551A (ja) * 2004-09-14 2006-04-27 Konica Minolta Opto Inc 偏光板保護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5961049B2 (ja) * 2012-06-26 2016-08-02 株式会社ダイセル 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690B1 (ko) * 2013-06-21 2017-05-15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자 보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2090810B1 (ko) * 2016-12-16 2020-03-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형성용 조성물,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3551A (ja) * 2004-09-14 2006-04-27 Konica Minolta Opto Inc 偏光板保護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5961049B2 (ja) * 2012-06-26 2016-08-02 株式会社ダイセル 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776A (ko) 202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5329B2 (ja) ハード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
EP2873995B1 (en) Polarizing plate comprising hard coating film
JP4552480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6687184B2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これを含む偏光板、および前記偏光板を含む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US20160146978A1 (en) A polarizer protective film,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s amended)
JP4995925B2 (ja) 環状オレフィン系フィルムとの付着性に優れる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て製造したコーティング層を含む環状オレフィン系フィルム
JP6231209B2 (ja)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750187B2 (ja) 高色再現フィルム、これを製造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む偏光板、ならびに前記偏光板を含む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012779B1 (ko) 고색재현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JP2016522838A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用樹脂組成物、偏光子保護フィルム、これを含む偏光板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KR102520585B1 (ko) 광학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35690B1 (ko) 편광자 보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N111433640A (zh) 防眩膜、以及其制造方法及用途
KR101656454B1 (ko) 편광자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CN111448487B (zh) 防眩膜、以及其制造方法及用途
KR102077318B1 (ko)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CN111448488B (zh) 防眩膜、以及其制造方法及用途
KR102384287B1 (ko) 광학 필름, 광학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2294399B1 (ko) 광학 필름, 광학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2155400B1 (ko) 고색재현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09683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