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502B1 -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 - Google Patents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8502B1 KR102368502B1 KR1020170074633A KR20170074633A KR102368502B1 KR 102368502 B1 KR102368502 B1 KR 102368502B1 KR 1020170074633 A KR1020170074633 A KR 1020170074633A KR 20170074633 A KR20170074633 A KR 20170074633A KR 102368502 B1 KR102368502 B1 KR 1023685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tergent
- input space
- detergent box
- cover
- tub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6—Gaskets mounted between tub and casing around the loading opening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벽면에 거치되는 리어 패널; 상기 리어 패널의 전면에 제공되고 세탁수가 내부에 담수되는 터브;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 가능하게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드럼;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터브의 전방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고,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는 급수 밸브 어셈블리;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을 커버링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전방에서 상기 프론트 패널로 인입되거나, 상기 프론트 패널로부터 상기 커버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고,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 투입 공간 및 유연제를 수용하는 유연제 투입 공간을 포함하는 세제함; 상기 커버의 세탁물 투입구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하여 상기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 및 상기 리어 패널과 결합되고, 상기 터브를 감싸는 캐비닛을 포함하고, 상기 세제함은, 상기 세제 투입 공간이 형성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유연제 투입 공간이 형성되는 제2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세제 투입 공간의 입구와 상기 유연제 투입 공간의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세제 투입 공간의 일부 및 상기 유연제 투입 공간의 일부를 차폐하는 비산 방지부를 포함하는 캡; 및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제공되는 전면부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벽면에 거치되는 리어 패널; 상기 리어 패널의 전면에 제공되고 세탁수가 내부에 담수되는 터브;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 가능하게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드럼;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터브의 전방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고,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는 급수 밸브 어셈블리;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을 커버링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전방에서 상기 프론트 패널로 인입되거나, 상기 프론트 패널로부터 상기 커버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고,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 투입 공간 및 유연제를 수용하는 유연제 투입 공간을 포함하는 세제함; 상기 커버의 세탁물 투입구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하여 상기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 및 상기 리어 패널과 결합되고, 상기 터브를 감싸는 캐비닛을 포함하고, 상기 세제함은, 상기 세제 투입 공간이 형성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유연제 투입 공간이 형성되는 제2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세제 투입 공간의 입구와 상기 유연제 투입 공간의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세제 투입 공간의 일부 및 상기 유연제 투입 공간의 일부를 차폐하는 비산 방지부를 포함하는 캡; 및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제공되는 전면부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세탁수와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포에서 오염물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세탁수에 용해된 세제에 의한 화학적 작용과 세탁수 및 내조(inner basket)의 기계적 작용에 의해 세탁포로부터 오염물을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탁기는 세탁물의 투입 방식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방식의 세탁기,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의 세탁기, 탑 로딩 방식과 프론트 로딩 방식이 결합된 복합 형태의 세탁기 등으로 나뉠 수 있다.
최근에는 욕실이나 화장실 등 좁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출시되고 있는데, 일반적인 벽걸이형 세탁기는 소형화를 위해 프론트 로딩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벽걸이형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캐비닛 내부에 제공되어 세탁수가 채워지는 터브와,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과, 드럼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터브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장치와, 터브로부터 세탁수를 캐비닛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벽걸이형 세탁기는 세제를 넣는 세제함과 유연제를 넣는 유연제함이 별도로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세탁과정을 위해서, 세탁기에서 세제함을 인출하여 세제를 공급한 뒤 세제함을 인입하고, 다시 유연제함을 인출하여 유연제를 공급한뒤 유연제함을 인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아울러, 세제함으로 급수되는 세탁수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낙하되면서 세탁수의 비산이 발생하고, 세탁수가 세제로 낙하되면서 세제도 세탁수와 함께 비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하나의 세제함에 세제와 유연제를 동시에 공급하여, 한번의 세제함 인입 및 인출만으로도 세제와 유연제를 공급할 수 있는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세제함으로 공급되는 세탁수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벽면에 거치되는 리어 패널; 상기 리어 패널의 전면에 제공되고 세탁수가 내부에 담수되는 터브;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 가능하게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드럼;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터브의 전방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고,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는 급수 밸브 어셈블리;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을 커버링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전방에서 상기 프론트 패널로 인입되거나, 상기 프론트 패널로부터 상기 커버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고,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 투입 공간 및 유연제를 수용하는 유연제 투입 공간을 포함하는 세제함; 상기 커버의 세탁물 투입구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하여 상기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 및 상기 리어 패널과 결합되고, 상기 터브를 감싸는 캐비닛을 포함하고, 상기 세제함은, 상기 세제 투입 공간이 형성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유연제 투입 공간이 형성되는 제2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세제 투입 공간의 입구와 상기 유연제 투입 공간의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세제 투입 공간의 일부 및 상기 유연제 투입 공간의 일부를 차폐하는 비산 방지부를 포함하는 캡; 및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제공되는 전면부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에는 세제함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에는 세제함 투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세제함이 인입되어 고정되는 세제함 수용부가 형성되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와 상기 프론트 패널의 결합을 위해, 상기 세제함 투입구의 하측 중앙부와 상기 세제함 수용부의 하측 중앙부 각각에는 프론트 패널 체결부와 커버 체결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저면 중앙부에는 상기 프론트 패널 체결부와 상기 커버 체결부에 대응되는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가 제공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오목부의 중심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되, 상기 케이스의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여 상기 세제 투입 공간과 상기 유연제 투입 공간을 구획하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산 방지부는 상기 격벽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제함 수용부의 상측에는 상기 급수 어셈블리로부터 제공되는 세탁수를 상기 세제 투입 공간으로 제공하는 제1 피팅과, 상기 급수 어셈블리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유연제 투입 공간으로 제공하는 제2 피팅이 연결되고, 상기 제1 피팅과 상기 제2 피팅은 상기 제1 피팅 및 상기 제2 피팅으로부터 낙하하는 세탁수가 상기 비산 방지부에 직접 부딪히지 않도록 배치되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제함 수용부의 입구에는 상기 케이스에 밀착되어 상기 세제함으로 급수되는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세제함 개스킷이 결합되고, 상기 세제함 개스킷은 상기 커버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세제함 수용부에 고정되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산 방지부는, 상기 격벽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로부터 상기 제1 부분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세제 투입 공간의 일부를 차폐하는 제1 차단막; 및 상기 중심부로부터 상기 제2 부분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유연제 투입 공간의 일부를 차폐하는 제2 차단막을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의 상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가장 높은 지점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차단막과 상기 제2 차단막은 상기 중심부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중심부로부터 멀어지게 형성되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분의 저면에는 상기 세제 투입 공간의 세제가 용해된 세제 수용액을 상기 터브로 배출하기 위한 제1 배출구가 제공되고, 상기 제2 부분의 저면에는 상기 유연제 투입 공간의 유연제가 용해된 유연제 수용액을 상기 터브로 배출하기 위한 제2 배출구가 제공되며, 상기 제1 부분의 배면에는 상기 제1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지 못한 세제가 용해된 세제 수용액을 상기 터브로 배출하는 제1 오버플로우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2 부분의 배면에는 제2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지 못한 유연제가 용해된 유연제 수용액을 상기 터브로 배출하는 제2 오버플로우부가 제공되며, 상기 제1 오버플로우부와 상기 제2 오버플로우부는 상기 비산 방지부로부터 먼 쪽에 배치되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를 통해 제공되는 세탁수에 세제가 용해된 세제 수용액을 상기 터브로 배출하는 제1 사이펀부와, 상기 제2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를 통해 제공되는 세탁수에 유연제가 용해된 유연제 수용액을 상기 터브로 배출하는 제2 사이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이펀부와 상기 제2 사이펀부는 상기 비산 방지부로부터 먼 쪽에 배치되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벽걸이형 세탁기의 프론트 패널에 형성된 세제함 수용부에 인입 및 인출되도록 제공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으로서, 세제 투입 공간이 형성되고 세제가 세탁수에 용해된 세제 수용액을 터브로 제공하기 위한 제1 사이펀부를 포함하는 제1 부분과, 유연제 투입 공간이 형성되고 유연제가 세탁수에 용해된 유연제 수용액을 터브로 제공하기 위한 제2 사이펀부를 포함하는 제2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세제 투입 공간의 입구와 상기 유연제 투입 공간의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세제 투입 공간의 일부 및 상기 유연제 투입 공간의 일부를 차폐하는 비산 방지부를 포함하는 캡; 및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전면부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산 방지부는, 상기 격벽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세제 투입 공간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차단막; 및 상기 중심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유연제 투입 공간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차단막을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부와 상기 제1 차단막과 상기 제2 차단막은 상기 세제 투입 공간의 입구와 상기 유연제 투입 공간의 입구를 형성하는 상기 캡의 전면 및 후면과 연결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사이펀부는,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고, 세제 수용액이 배출되기 위한 제1 배출구를 구비하는 제1 사이펀 유도홈; 상기 제1 배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제1 사이펀 유도홈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며, 상측으로 유입된 세제 수용액이 상기 제1 배출구로 배출될 수 있도록 중공 형상을 갖는 제1 기둥; 상기 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기둥의 외주면 및 상단부와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기둥을 감싸며, 하단부는 상기 제1 사이펀 유도홈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제1 덮개를 포함하고, 제2 사이펀부는,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고, 유연제 수용액이 배출되기 위한 제2 배출구를 구비하는 제2 사이펀 유도홈; 상기 제2 배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제2 사이펀 유도홈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며, 상측으로 유입된 세제 수용액이 상기 제2 배출구로 배출될 수 있도록 중공 형상을 갖는 제2 기둥; 상기 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둥의 외주면 및 상단부와 간격을 두고 상기 제2 기둥을 감싸며, 하단부는 상기 제2 사이펀 유도홈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제2 덮개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분의 배면에는 상기 제1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지 못한 세제가 용해된 세제 수용액을 상기 터브로 배출하는 제1 오버플로우부가 제공되고, 제2 부분의 배면에는 제2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지 못한 유연제가 용해된 유연제 수용액을 상기 터브로 배출하는 제2 오버플로우부가 제공되며, 상기 제1 오버플로우 홀과 상기 제2 오버플로우 홀은 상기 비산 방지부로부터 먼 쪽에 배치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벽걸이형 세탁기의 프론트 패널에 형성된 세제함 수용부에 인입 및 인출되도록 제공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으로서, 세제 투입 공간이 형성되고 세제가 세탁수에 용해된 세제 수용액을 터브로 제공하기 위한 제1 사이펀부를 포함하는 제1 부분과, 유연제 투입 공간이 형성되고 유연제가 세탁수에 용해된 유연제 수용액을 터브로 제공하기 위한 제2 사이펀부를 포함하는 제2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세제 투입 공간의 입구와 상기 유연제 투입 공간의 입구를 포함하는 캡; 및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캡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세제 투입 공간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제1 차단막과 상기 유연제 투입 공간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제2 차단막을 포함하는 비산 방지부가 제공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차단막과 상기 제2 차단막은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캡 중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에 따르면, 하나의 세제함에 세제와 유연제를 동시에 공급하여, 한번의 세제함 인입 및 인출만으로도 세제와 유연제를 공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세제함으로 공급되는 세탁수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세탁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세탁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커버와 프론트 패널에 세제함이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세제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7의 세제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세제함을 선 B-B'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세제함을 선 C-C'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세제함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7의 세제함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4의 커버와 프론트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6의 프론트 패널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세제함 개스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세제함 개스킷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4의 도어와 커버와 프론트 패널이 결합된 것을 선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원 D의 확대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세탁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세탁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커버와 프론트 패널에 세제함이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세제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7의 세제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세제함을 선 B-B'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세제함을 선 C-C'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세제함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7의 세제함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4의 커버와 프론트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6의 프론트 패널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세제함 개스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세제함 개스킷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4의 도어와 커버와 프론트 패널이 결합된 것을 선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원 D의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세탁기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세탁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10)는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과, 캐비닛(100)의 일측에 배치되고 캐비닛(100)의 개방된 전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200)와, 도어(200)가 개폐되도록 도어(200)와 연결되는 커버(300)와, 커버(300)의 후면에 배치되는 프론트 패널(400)과, 프론트 패널(400)의 일측에 수용되고 세제 및 유연제를 수용하는 세제함(500)과, 세탁물이 수납되는 드럼(600)과, 드럼(600)을 감싸고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700)와, 벽체에 거치되는 리어 패널(8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후면은 벽체와 가까운 면을 의미하고, 전면은 후면과 반대되는 면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캐비닛(100)은 내부가 빈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전원 버튼(102)과, 커버(300)와 연결되는 커버 연결부(104)와, 리어 패널(800)과 연결되는 리어 패널 연결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버튼(102)은 캐비닛(100)의 일측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세탁기(10)의 온오프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전원 버튼(102)은 캐비닛(100)의 전면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캐비닛(100)의 전면 하측에 제공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전원 버튼(102)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캐비닛(100)의 전면 좌측이나 우측에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를 기준으로, 세탁기(10)에서 세제함(500)이 제공되는 측을 상측, 세탁기(10)에서 전원 버튼(102)이 제공되는 측을 하측이라 한다. 또한, 도어 개방 버튼(210)이 제공되는 측을 우측, 도어 힌지(360)가 제공되는 측을 좌측이라 한다.
캐비닛(100)은 커버(300)와 연결되는 커버 연결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연결부(104)는 캐비닛(100)의 개방된 전면 테두리에 대응될 수 있으며, 커버(300)가 캐비닛(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커버(30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300)는 캐비닛(100) 내부의 후면에서 전면측으로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커버 연결부(104)의 직경이 커버(300)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커버(300)는 커버 연결부(104)에 끼움 결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커버(300)는 캐비닛(100)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캐비닛(100)은 리어 패널(800)과 연결되는 리어 패널 연결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패널 연결부(106)는 캐비닛(100)의 개방된 후면 테두리에 대응될 수 있으며, 리어 패널(8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캐비닛(100)은 리어 패널(800)과 볼트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리어 패널 연결부(106)에는 복수 개의 볼트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캐비닛(100)의 전면에는 도어(200)가 제공될 수 있다. 도어(200)는 세탁물을 투입 및 인출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갖도록 볼트 결합될 수 있고, 커버 연결부(104)와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도어 내부 프레임(230)은 커버 연결부(104)와 접촉될 수 있으며,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캐비닛(100)에 연결된 커버(300)를 완전히 차폐할 수 있다.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커버(300)와의 연결을 위한 도어 힌지 연결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힌지 연결부(232)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일측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후술할 커버(300)의 도어 힌지(36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어 내부 프레임(230)과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사이 공간에는 디스플레이(202)가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2)는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전면이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디스플레이(202)가 노출될 수 있도록 홀(미표기)을 포함하거나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202)는 입력 또는 출력이 가능한 터치 패널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02)를 통해 작동 상태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터치를 통한 벽걸이형 세탁기(10)의 조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02)에 대한 터치 조작을 수행하여 세탁 및 헹굼 등의 과정을 선택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202)를 통해 잔여 세탁 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도어 외부 프레임(24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202)는 보호 유리(204)를 통해 보호될 수 있다. 보호 유리(204)는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전면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투명하게 제공되어 디스플레이(202)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보호 유리(204)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과 같은 직경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보호 유리(204)의 일측에는 홀(미표기)이 제공될 수 있고, 홀(미표기)을 통해 도어 개방 버튼(210)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어 개방 버튼(210)은 전자식 개폐방식을 사용하여 캐비닛(100)의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으로서, 도어 외부 프레임(240)에 제공될 수 있고, 보호 유리(204)의 홀(미표기)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도어(200)는 도어 개방 유닛(250) 및 도어 걸림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개방 유닛(250) 및 도어 걸림부(260)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커버(300)의 일측에 접촉 및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개방 유닛(250)은 개폐 보조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탄성력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방 유닛(250)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고, 스프링의 탄성력을 통해 도어(200) 개방 시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200)가 폐쇄되어있을 경우에는, 도어 개방 유닛(250)이 압축되어 커버(300)의 일측에 제공된 홈(미표기)에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 개방 버튼(210)을 조작하여 도어(200)가 개방되면, 도어 개방 유닛(250)은 커버(300)의 일측 홈(미표기)에서 이탈되고, 이완된 채로 커버(300)의 일측 홈의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다. 즉, 도어 개방 유닛(250)의 이완된 길이만큼 도어(200)와 커버(300) 사이에 공간이 제공되어, 도어(200)가 자동으로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 개방 유닛(250)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고, 도어 내부 프레임(230)에 형성된 가이드 구조물 내에 위치하거나, 미리 정한 스트로크 범위로 직선 이동하여 돌출되는 것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푸셔 스템 조립체(pusher stem assembly)일 수 있다.
도어 걸림부(260)는 도어 개방 유닛(25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공되는 것으로서, 일부가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외부로 돌출된 후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어 걸림부(260)의 돌출된 부분은 후술할 커버(300)의 도어 잠금 유닛(330)에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200)가 폐쇄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200)는 도어 개방 버튼(210)을 통해 개방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 개방 버튼(210)을 작동하면, 도어 개방 유닛(250) 및 도어 걸림부(260)가 커버(300)에서 이탈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200)는 커버(300)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탄성력을 갖는 도어 개방 유닛(250)이 이완되어 커버(300)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200)와 커버(300)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제공되어, 자동으로 도어(200)가 닫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커버(300) 측으로 도어(200)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도어(200)를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도어(200)의 가장 외측인 보호 유리(204)의 일측을 누를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 개방 유닛(250)이 압축되어 커버(300)의 홈(미표기)으로 수용될 수 있고, 도어 걸림부(260)의 돌출된 부분이 커버(300)의 도어 잠금 유닛(33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별도의 핸들 없이 도어(200)의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할 수 있다.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중심 측은 개방될 수 있고, 개방된 중심 측에 도어 글라스(280)가 제공될 수 있다. 도어 글라스(280)는 세탁기(10) 외부에서 내부의 세탁물을 볼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도어 글라스(280)는 후방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도어 글라스(280)의 돌출된 측은 커버(300)의 개방된 측에 끼워질 수 있다.
한편, 도어(200)는 회전 가능하도록 커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커버(300)는 프론트 패널(400)을 감싸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세탁물 투입구(302)와, 세제함(500)을 투입할 수 있는 세제함 투입구(304)와, 전원 버튼(102)을 제어하는 전원 처리부(306)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세탁물 투입구(302)를 통해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다. 세탁물 투입구(302)는 소정의 직경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 세탁물 투입구(302)의 직경은 도어 글라스(280)의 돌출된 부분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0)가 폐쇄되면, 도어 글라스(280)가 세탁물 투입구(302)를 막을 수 있고, 사용자가 도어(200)를 개방하면, 도어 글라스(280)가 세탁물 투입구(302)에서 이탈되어, 세탁물 투입구(302)를 통한 세탁물의 투입이 가능할 수 있다.
세탁물 투입구(302)의 상측에는 세제함(500)을 투입할 수 있는 세제함 투입구(304)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세제함 투입구(304)는 세제함(5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300)는 중심에 세탁물 투입구(302)를 구비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커버(300)는 일측이 하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 하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전원 처리부(306)가 제공될 수 있다. 전원 처리부(306)는 캐비닛(100)의 외부로 돌출된 전원 버튼(102)의 작동에 따라 전원 여부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전원 버튼(102)과 연결된 PCB 기판일 수 있다.
한편, 커버(300)는 도어 걸림부(260)와 대응되는 위치에 도어 잠금 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잠금 유닛(330)은 후크 형태의 도어 걸림부(260)와 결합되는 것으로서, 도어 걸림부(260)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일 수 있다. 따라서, 도어 걸림부(260)가 도어 잠금 유닛(330)에 결합됨에 따라, 도어(200)가 세탁물 투입구(302)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커버(300)는 도어 힌지 연결부(232)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어 힌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힌지(360)는 도어(200)의 일측과 커버(300)의 일측이 연결된 채로 개방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어 힌지(360)의 일측은 도어 힌지 연결부(232)에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힌지(360)는 세탁물 투입구(302)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긴 곡선의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도어(2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도어 힌지 연결부(232)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도어 힌지(360)의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을 따라 도어(200)가 회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커버(300)의 후면에는 프론트 패널(400)이 제공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400)은 터브(700)와 결합되는 것으로서, 드럼(600)과 터브(700)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차폐부(410)와, 세제함(500)을 수용하는 세제함 수용부(420)와, 세제함(500)과 결합되는 부분이 밀폐되도록 제공되는 세제함 개스킷(430)과, 세제함(500) 내부로 급수하는 피팅(440)과, 도어(200)와 접촉되는 부분이 밀폐되도록 제공되는 도어 개스킷(450)과,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는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410)는 드럼(600) 및 터브(700) 사이에서 발생되는 공간을 차폐하는 것으로서, 커버(3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커버(300)와 같은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중심 측에 세탁물 투입구(302)에 대응되는 개방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차폐부(410)의 개방부는 드럼(6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드럼(600)과 터브(700) 사이 공간이 차폐될 수 있다.
차폐부(410)의 일측에는 세제함(500)을 수용하는 세제함 수용부(420)가 제공될 수 있다. 세제함 수용부(420)는 세제함(50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커버(300)의 세제함 투입구(304)와 연통될 수 있다. 즉, 세제함(500)은 커버(300)의 세제함 투입구(304)를 거쳐 세제함 수용부(420)에 수용될 수 있다.
세제함 수용부(420)는 세제함(500)에 의해 가압되는 세제함 개스킷(430)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함 개스킷(430)은 세제함 수용부(420) 단부의 둘레에 배치되어 세제함(500)을 밀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고무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세제함 개스킷(430)을 통해 세제함(500) 내부의 세제, 유연제, 및 세제함(500)으로 공급되는 세탁수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을 수 있다.
세제함 수용부(420)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피팅(440)이 제공될 수 있다. 피팅(440)은 외부 급수원과 연결된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세제함(500)의 내부로 세탁수를 급수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수가 세제함(500)을 통해 드럼(600) 및 터브(700)의 내부로 급수되므로, 드럼(600) 및 터브(700)로 공급되는 세탁수에는 세제 또는 유연제가 용해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차폐부(410)의 개방부에는 도어(200)의 도어 글라스(280)에 의해 가압되는 도어 개스킷(4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개스킷(450)은 차폐부(410)의 개방부 단부(예: 개방부의 환형 단부)에 배치되어 도어 글라스(280)를 밀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고무 소재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0)가 폐쇄될 경우, 커버(300)의 세탁물 투입구(302)를 관통한 도어 글라스(280)가 도어 개스킷(450)을 가압하고, 이에 따라, 드럼(600) 및 터브(700) 내부의 세탁수가 도어(200)의 외부로 누수되지 않을 수 있다.
피팅(440)은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를 통해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는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선택적으로 피팅(440)을 통해 세제함(500)에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는 세 방향 밸브(three-way valve)일 수 있으며,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로부터 연장되는 공급 유로 중 2개는 세제함(500)에 연결된 피팅(440)에 연결되고, 1개는 도어 개스킷(450)을 통해 직접 드럼(600)에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세제함(500)은 세제 및 유연제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세제함 손잡이(502)와, 세제가 투입되는 세제 투입 공간(504)과, 유연제가 투입되는 유연제 투입 공간(506)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함 손잡이(502)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커버(3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어(200) 개방 후, 사용자가 세제함 손잡이(502)를 파지하여 세제함(500)을 세제함 수용부(420)로부터 인출 또는 삽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제함(500)의 전면 중앙에 세제함 손잡이(502)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공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세제함 손잡이(502)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세제함 수용부(420)는 세제함(500)의 전면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세제함(500)은 내부의 중앙이 구획되어, 각각 세제 및 유연제를 수용할 수 있는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피팅(440)은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에 대응되도록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팅(440)은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로부터 제공되는 세탁수를 세제 투입 공간(504)으로 제공하는 제1 피팅(440a)과,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로부터 제공되는 세탁수를 유연제 투입 공간(506)으로 제공하는 제2 피팅(44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피팅(440a)과 제2 피팅(440b)은 제1 피팅(440a)과 제2 피팅(440b)으로부터 낙하하는 세탁수가 세제 투입 공간(504)과 유연제 투입 공간(506)의 중심부로 낙하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세제 투입 공간(504)과 유연제 투입 공간(506)의 세제 및 유연제는 선택적으로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도어(200)를 개방한 후 세제함(500)을 세제함 수용부(420)로부터 인출하고,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에 각각 세제 및 유연제를 투입할 수 있다. 세제 및 유연제가 채워진 세제함(500)은 다시 세제함 수용부(420)로 삽입될 수 있고, 세탁 과정에 따라,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은 각각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600) 및 터브(700)에 선택적으로 세제 또는 유연제를 포함한 세탁수가 공급될 수 있다.
한편, 프론트 패널(400)은 드럼(600)과 연결될 수 있다. 드럼(600)은 세탁물이 수납되는 것으로서, 전면에 드럼 입구부(610)를 포함하고, 후면에 스파이더(6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드럼(600)의 둘레에는 터브(700)와 유체 연통되기 위한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드럼 입구부(610)는 차폐부(410)의 개방된 부분에 대응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드럼 입구부(610)는 드럼(600) 전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고, 드럼 입구부(610)가 차폐부(410)의 개방된 부분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프론트 패널(400) 및 드럼(600)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물이 커버(300)의 세탁물 투입구(302) 및 프론트 패널(400)의 개방된 부분을 거쳐 드럼(60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드럼(600)은 스파이더(680)를 통해 회전될 수 있다. 스파이더(680)는 후술할 구동 모터(91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으로서, 드럼(600)과 별도로 제공되어, 드럼(60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드럼(600)의 후면에는 스파이더(68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스파이더(680)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스파이더(680)는 중앙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암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파이더(680)는 드럼(600)의 반지름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3개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암은 12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파이더(680)의 중앙은 후술할 드럼 회전축(916)을 통해 후술할 제2 풀리(914)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파이더(680) 및 스파이더(680)에 결합된 드럼(600)이 회전될 수 있다. 드럼(600)의 구체적인 회전 방법은 후술하겠다.
드럼(600)의 외측에는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700)가 제공될 수 있다. 터브(700)는 드럼(60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드럼(600)의 직경보다 기 설정된 길이만큼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700)는 드럼(600)의 외측에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터브(700)의 내부로 급수된 세탁수는 드럼(600)의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홀을 통해 드럼(600)의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드럼(600)의 내부 세탁수가 드럼(600)의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홀을 통해 터브(700)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이때, 드럼(600)과 터브(700)는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터브(700)는 세탁수를 가열하는 히터(70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브(700)의 내측에 히터(702)가 안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터브(700) 내측 홈에 히터(702)가 분리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702)는 터브(700) 내부에 담수된 세탁수를 가열할 수 있다.
한편, 터브(700)는 리어 패널(800)과 일체로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리어 패널(800)은 벽체에 거치되는 것으로서, 벽체에 결합되기 위한 앵커가 연결되는 앵커 연결부(802)와, 캐비닛(100)을 고정하는 캐비닛 고정부(804)와, 터브(70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806)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브(700)와 리어 패널(800)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리어 패널(800)의 전방으로 터브(700)가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리어 패널(800)의 후면은 별도의 앵커를 통해 벽체에 거치될 수 있다. 앵커는 앵커 연결부(802)를 통과하여 벽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앵커가 리어 패널(800)을 벽체에 거치할 수 있다. 이때, 터브(700)와 리어 패널(800)이 일체로 제공됨으로써, 터브(700)를 지지하는 별도의 댐퍼 또는 탄성부재가 요구되지 않아 부품수가 절감되고, 세탁기(10)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터브(700)가 제공되는 리어 패널(800)의 전면에는 터브(700)를 감싸도록 캐비닛(10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리어 패널(800)의 둘레를 따라 계단 형태를 갖도록 캐비닛 고정부(804)가 제공될 수 있고, 캐비닛 고정부(804)에 캐비닛(100)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볼트 등의 체결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리어 패널(800)은 벽걸이형 세탁기(10)의 전체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810)과, 터브(700)에 담수된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 유닛(8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810)은 리어 패널(800)의 전면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벽걸이형 세탁기(10)의 각종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세탁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유닛(810)이 도면을 기준으로 터브(700)의 우측에 제공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제어 유닛(81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원 라인(904)은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상술한 전장 장비들과 제어 유닛(810), 구동 모터(91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라인(904)은 리어 패널(800)을 관통하여 리어 패널(800)의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서 외부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전원 라인(904)은 별도의 고정 수단을 통해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전원 라인(904)이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서 외부로 연장된 형태로 제공됨에 따라, 세탁기(10)의 외관이 미려하게 마무리될 수 있다.
리어 패널(800)의 하부에는 배수 유닛(820)이 제공될 수 있다. 배수 유닛(820)은 터브(700) 내부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리어 패널(800)의 전면 하측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배수 유닛(820)은 세탁수를 가압하는 배수 펌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수 호스(902)와 연결되어 세탁수를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수 호스(902)는 배수 유닛(820)과 연결되고, 리어 패널(800)의 후면을 따라 외부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배수 유닛(820)의 압력을 통해 세탁수가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 과정이 종료된 후, 배수 유닛(820)이 작동되면, 배수 유닛(820)의 압력 변화로 인해 세탁수가 배수 호스(902)를 통해 캐비닛(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리어 패널(800)에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910)와, 구동 모터(910)와 연결되는 제1 풀리(912) 및 제2 풀리(914)와, 제2 풀리(914)와 연결되어 드럼(600)을 회전시키는 드럼 회전축(916)과, 제1 풀리(912) 및 제2 풀리(914)를 연결하는 벨트(918)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어 패널(800)의 전면에는 구동 모터(910)가 제공될 수 있다. 구동 모터(910)는 제어 유닛(8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제어 유닛(810) 및 배수 유닛(820)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구동 모터(910)는 제1 풀리(91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구동 모터(910)의 축(shaft)(미표기)은 리어 패널(800)을 관통하여 제공될 수 있고,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서 구동 모터(910)의 축(미표기)과 제1 풀리(912)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풀리(912)는 벨트(918)를 통해 제2 풀리(914)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풀리(914)는 스파이더(680)와 연결된 드럼 회전축(916)을 감싸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드럼 회전축(916)은 스파이더(680)와 연결된 채로 리어 패널(800)을 관통할 수 있다. 즉,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서 제2 풀리(914)와 드럼 회전축(916)이 연결될 수 있다.
정리하면, 피팅(440)을 통해 터브(700)에 세탁수가 모두 담수되면, 제어 유닛(810)은 구동 모터(9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 모터(910)와 연결된 제1 풀리(912)가 회전하게 되고, 제1 풀리(912)의 회전에 의해, 제2 풀리(914)가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풀리(914)와 연결된 드럼 회전축(916) 또한 회전하게 되므로, 드럼(600)이 캐비닛(100) 및 터브(700)의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다. 즉, 드럼(600) 내부의 세탁물이 세탁될 수 있다.
한편,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는 배기 라인(92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배기 라인(920)은 배수 유닛(820)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터브(700) 및 배수 유닛(82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기 라인(920)은 배수 호스(902)과 연결되고, 리어 패널(800)을 관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리어 패널(800)의 후면까지 연장되어 외부로 배기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1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우선, 사용자는 도어(200)를 개방하여, 드럼(600) 내부에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고, 프론트 패널(400)에서 세제함(500)을 인출할 수 있다. 이때, 세제함(500)은 중앙이 구획되어, 세제 및 유연제를 각각 투입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세제 및 유연제를 투입한 세제함(500)을 다시 프론트 패널(400)에 삽입한 후, 사용자는 도어(200)를 폐쇄하고, 전원 버튼(102) 및 디스플레이(202)를 통해 세탁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세탁 작동이 시작되면,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를 통해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세탁수는 피팅(440)을 통해 세제함(500)으로 급수될 수 있으며, 세탁수는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을 통과한 후 드럼(600) 및 터브(700)의 내부로 급수될 수 있다. 즉, 드럼(600) 및 터브(700)에 담수되는 세탁수에는 세제 및 유연제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터브(700)에 세탁수가 모두 채워지면, 제어 유닛(810)은 구동 모터(9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 모터(910)는 제1 풀리(912) 및 제2 풀리(914)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풀리(914)는 드럼 회전축(916)을 통해 드럼(600)과 연결될 수 있으므로, 구동 모터(910)를 통해 드럼(600)이 회전될 수 있다. 즉, 드럼(600)의 회전에 의해, 드럼(600)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이 용이하게 세탁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커버와 프론트 패널에 세제함이 결합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세제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7의 세제함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세제함을 선 B-B'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의 세제함을 선 C-C'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6의 세제함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7의 세제함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세제함(500)은 커버(300)에 형성된 세제함 투입구(304)와 프론트 패널(400)에 형성된 세제함 수용부(420)에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세제함(500)은 세제함 손잡이(502)가 제공되는 전면부(510)와, 세제 투입 공간(504)과 유연제 투입 공간(506)을 형성하는 케이스(530)와, 세제 투입 공간(504)의 입구(503)와 유연제 투입 공간(506)의 입구(505)를 포함하는 캡(55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부(51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세제함 손잡이(502)를 제공할 수 있다. 전면부(510)는 커버(300)의 세제함 투입구(304)에 인입되어 커버(300)의 전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면부(510)는 커버(300)의 전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300)에 굴곡이 형성되면, 전면부(510)는 이에 대응되는 굴곡(5102)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부(510)를 앞에서 바라볼 때, 전면부(510)는 커버(300)의 원주 방향에 대응하여 원호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5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전면부(510)의 배면에는 케이스 끼움부(513)(도 17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끼움부(513)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7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이러한 전면부(510)는 케이스(530)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전면부(510)는 케이스(530)의 전면보다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케이스(530)는 격벽(531)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구획되는 제1 부분(533)과 제2 부분(5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533)은 세제 투입 공간(504)을 형성하고, 제2 부분(535)은 유연제 투입 공간(506)을 형성할 수 있다.
캡(550)은 제1 부분(533)과 제2 부분(535)의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케이스(530)의 상부에 결합되고, 세제 투입 공간(504)의 입구(503)과 유연제 투입 공간(506)의 입구(50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캡(550)은 격벽(531)의 상측에 배치되어 세제 투입 공간(504)과 유연제 투입 공간(506)의 일부를 차폐하는 비산 방지부(55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캡(550) 각각의 입구(503, 505)는 비산 방지부(551)를 기준으로 캡(550)의 양측 바닥 부위에 개방된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비산 방지부(551)는 중심부(5512), 제1 차단막(5514) 및 제2 차단막(5516)을 포함할 수 있다. 비산 방지부(551)의 중심부(5512)는 격벽(531)에 결합되어 지지되며, 격벽(531)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비산 방지부(551)의 제1 차단막(5514)은 중심부(5512)로부터 제1 부분(533)측으로 연장되고 세제 투입 공간(504)의 일부를 차폐할 수 있다. 비산 방지부(551)의 제2 차단막(5516)은 중심부(5512)로부터 제2 부분(536)측으로 연장되고 유연제 투입 공간(5060)의 일부를 차폐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차단막(5514)과 제2 차단막(5516)은 중심부(5512)에서 각각 세제 투입 공간(504)과 유연제 투입 공간(506)측으로 외측면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며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 차단막(5514)과 제2 차단막(5516)은 중심부(5512)를 꼭지점으로 하여 영문 'V'자의 뒤집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비산 방지부(551)는 제1 피팅(440a)과 제2 피팅(440b)에 의해 세제 투입 공간(504)과 유연제 투입 공간(506)으로 각각 제공되는 세탁수가 비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피팅(440a)으로부터 세제 투입 공간(504)으로 낙하하는 세탁수는 케이스(530)의 바닥면에 부딪히며 비산될 수 있는데, 이 때, 세제 투입 공간(504)에서 비산되려는 세탁수가 제1 차단막(5514)의 내면에 부딪히면서 세제 투입 공간(504) 외부로의 비산이 방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차단막(5514)은 세제 투입 공간(504)에서 비산되는 세탁수가 유연제 투입 공간(506)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세제가 물에 용해된 세탁수는 세제 수용액으로 호칭되고, 유연제가 물에 용해된 세탁수는 유연제 수용액으로 호칭될 수 있다.
즉, 세제 수용액이 유연제 투입 공간(506)에서 유연제 수용액과 섞여서 터브(700)로 배출되는 문제는 예방될 수 있다. 제2 차단막(5516)도 제1 차단막(5514)과 마찬가지로, 유연제 투입 공간(506)으로 낙하하는 세탁수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비산 방지부(551)가 캡(55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비산 방지부(551)는 캡(550)에 분리형으로 제작되는 경우(미도시), 비산 방지부(551)의 제1 차단막(5514)과 제2 차단막(5516)은 격벽(531) 상단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차단막(5514)은 세제 투입 공간(504)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중심부(5512)에서 회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단막(5514)은 격벽(531)과 수직한 상태로 세제 투입 공간(504)을 차단하거나, 제1 차단막(5514)이 격벽(531)과 평행한 상태로 하강하여 세제 투입 공간(504)을 개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차단막(5516)은 유연제 투입 공간(506)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세제함(500)은 케이스(530)와 캡(550)의 결합에 의해, 세탁수에 세제가 용해된 세제 수용액을 터브(700)로 배출하는 제1 사이펀부(S1)와, 유연제가 용해된 유연제 수용액을 터브(700)로 배출하는 제2 사이펀부(S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이펀부(S1)를 통해 미처 배출되지 못한 세제 수용액을 세제함(50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 오버플로우부(5337)와, 제2 사이펀부(S2)를 통해 미처 배출되지 못한 유연제 수용액을 세제함(50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 오버플로우부(535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사이펀부(S1)와 제1 오버플로우부(5337)는 제1 부분(533)에 제공되고, 제2 사이펀부(S2)와 제2 오버플로우부(5357)는 제2 부분(535)에 제공될 수 있다.
먼저, 본 실시예의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 따르면, 제1 오버플로우부(5337) 및 제2 오버플로우부(5357)는 케이스(53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오버플로우 홈 자체를 의미 또는 지칭하거나, 그 홈의 상측 개구부가 캡(550)에 의해 막혀질 경우 제1 오버플로우 홀 또는 제2 오버플로우 홀을 의미 또는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이펀부(S1)는 케이스(530)의 제1 부분(533)의 바닥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 사이펀 유도홈(5331)과, 제1 사이펀 유도홈(5331)에서 세제 수용액이 배출되기 위한 제1 배출구(5352), 제1 배출구(5352)와 연통되고 제1 사이펀 유도홈(5331)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의 높이 돌출되고 상측으로 유입된 세제 수용액이 제1 배출구(5352)로 배출될 수 있도록 중공 형상을 갖는 제1 기둥(5333)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사이펀부(S1)는 캡(550)에 형성되고 제1 기둥(5333)에 씌워질 수 있는 제1 덮개(55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덮개(553)의 내표면은 상기 제1 기둥(5333)의 외주면 및 제1 기둥(5333)의 상단부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제1 기둥(5333)을 감싸게 된다. 이때, 제1 기둥(5333)의 하단부의 주변에서는 제1 덮개(553)의 하단부가 제1 사이펀 유도홈(5331)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덮개(553)는 세제 투입 공간(504)을 기준으로 캡(550)의 좌측면과 후면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기둥(5333)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제1 결합 리브(5334)가 돌출 형성되어, 제1 덮개(553)가 제1 기둥(5333)에 끼워질 때, 제1 결합 리브(5334)가 제1 덮개(553)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제1 덮개(553)가 제1 기둥(5333)에 억지끼움될 수 있다. 이런 제1 결합 리브(5334)는 간격 유지 수단일 수 있다.
다만, 제1 결합 리브(5334)는 제1 사이펀부(S1)에서 사이펀 효과가 작용하는데 방해되지 않을 정도의 개수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 리브(5334)는 제1 기둥(5333)에서 3개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사이펀부(S1)는 세제 투입 공간(504)의 좌측면과 후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사이펀부(S1)는 압력 차를 이용하여 세제 투입 공간(504)내의 세제 수용액을 제1 배출구(5352)를 통해 터브(700)로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수는 제1 피팅(440a)에 의해 세제 투입 공간(504)으로 공급되고, 그 곳의 세제와 혼합되어 세제 수용액이 된다. 여기서, 제1 피팅(440a)은 세탁수의 공급을 위해서 세제함 수용부(420)와 연결되고, 제1 사이펀부(S1)와 격벽(531) 사이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대기압은 세제 투입 공간(504)의 세제 수용액의 표면에 작용하여 세제 수용액의 표면을 누른다. 이렇게 대기압을 받는 세제 수용액은 제1 사이펀 유도홈(5331)을 통해 제1 기둥(5333)과 제1 덮개(553) 사이의 공간에 점점 차오르게 된다. 제1 기둥(5333)과 제1 덮개(553)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세제 수용액은 제1 기둥(5333)과 제1 덮개(553) 사이 공간의 상측 꼭대기에 도달한 뒤 제1 기둥(5333)을 월류하게 되고, 중력 때문에 제1 기둥(5333)에 형성된 중공을 통해 제1 배출구(5332)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사이펀부(S1)에 의해 세제 수용액은 터브(700)로 배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사이펀부(S2)는 케이스(530)의 제2 부분(535)의 바닥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 사이펀 유도홈(5351), 제2 사이펀 유도홈(5351)에서 유연제 수용액이 배출되기 위한 제2 배출구(5352), 제2 배출구(5352)와 연통되고 제2 사이펀 유도홈(5351)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의 높이 돌출되는 중공 형상의 제2 기둥(5353)을 포함한다.
또한, 제2 사이펀부(S2)는 캡(550)에 형성되고 제2 기둥(5353)에 씌워질 수 있는 제2 덮개(55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덮개(555)의 내표면은 상기 제2 기둥(5353)의 외주면 및 제2 기둥(5353)의 상단부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제2 기둥(5353)을 감싸게 된다. 이때, 제2 기둥(5353)의 하단부의 주변에서는 제2 덮개(555)의 하단부가 제2 사이펀 유도홈(5351)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덮개(555)는 유연제 투입 공간(506)을 기준으로 캡(550)의 우측면과 후면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덮개(555)가 제2 기둥(5353)에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제2 기둥(5353)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제2 결합리브(5354)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사이펀부(S2)는 앞서 설명한 제1 사이펀부(S1)와 동일한 원리로 급수 및 배출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2 사이펀부(S2)와 격벽(531)사이 공간의 상측에 배치된 제2 피팅(440b)에서 공급되는 세탁수 또는 유연제 투입 공간(506)에 수용된 유연제 수용액은 제1 사이펀부(S1)와 동일한 원리에 의해 제2 배출구(5352)를 통해 터브(700)로 배출될 수 있다.
추가로, 캡(550)에는 제1 덮개(553)와 제2 덮개(555)에 각각 연결되어 최대 수위를 표시하는 제1 최대 수위 표시부(557)와 제2 최대 수위 표시부(55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최대 수위 표시부(557)는 세제 투입 공간(504)의 입구(503) 측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투입해야하는 세제의 양의 최대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최대 수위 표시부(557)는 제1 사이펀부(S1)를 형성하는 제1 덮개(553)의 상면보다 케이스(530)의 바닥면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최대 수위 표시부(558)는 사용자가 투입하는 유연제의 양의 최대칠 표시하기 위해 유연제 투입 공간(506)의 입구(505)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최대 수위 표시부(558)도 제2 덮개(555)의 상면보다 케이스(530)의 바닥면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오버플로우부(5337)는 제1 부분(533)의 배면에 제공되어 제1 사이펀부(S1)의 제1 배출구(5332)를 통해 터브(700)로 배출되지 못한 세제 수용액을 터브(700)로 배출시킬 수 있다. 제1 오버플로우부(5337)는 케이스(530)에 형성되는 제1 오버플로우부(5337)의 상측 개구부가 캡(550)에 의해 막혀 형성될 수 있다. 제1 오버플로우부(5337)는 비산 방지부(551)로부터 먼 쪽인 제1 사이펀부(S1) 직후방에 배치되고, 제1 오버플로우부(5337)의 최하단부는 제1 기둥(5333)의 상면 높이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오버플로우부(5337)의 최하단부와 사이펀의 원리가 작용되는 제1 기둥(5333)의 상면과의 높이 차는 2mm일 수 있다.
제1 오버플로우부(5337)의 배수는 제1 사이펀부(S1)의 배수 이후에 시작될 수 있다. 즉,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는 제1 사이펀부(S1)를 통해 먼저 배출되고, 제1 사이펀부(S1)를 통해 배출되는 세탁수의 배출량보다 세탁수의 급수량이 많아지게 될 경우에, 제1 사이펀부(S1)를 통해 배출되지 못한 세제 수용액은 제1 오버플로우부(5337)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제2 오버플로우부(5357)는 제2 부분(535)을 통해 배출되지 못한 유연제 수용액을 터브(700)로 배출시킬 수 있다. 제2 오버플로우부(5357)는 케이스(530)에 형성되는 제2 오버플로우부(5357)의 상측 개구부가 캡(550)에 의해 막혀 형성될 수 있다. 제2 오버플로우부(5357)는 비산 방지부(551)로부터 먼 쪽인 제2 사이펀부(S2)의 직후방에 배치되어, 제2 사이펀부(S2)를 통해 배출되지 못한 유연제 수용액을 터브(700)로 배출시킬 수 있다. 유연제 수용액이 제2 사이펀부(S2)를 통해 먼저 배출되고, 그 이후 제2 오버플로우부(5357)로 배출되도록, 제2 오버플로우부(5357)는 제2 사이펀부(S2)에서 사이펀 효과가 작용하는 제2 기둥(5353)의 상단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오버플로우부(5357)의 최하단부는 제2 기둥(5353)의 상면 높이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오버플로우부(5357)의 최하단부와 사이펀의 원리가 작용되는 제1 기둥(5333)의 상면과의 높이 차는 2mm일 수 있다.
이에 따른, 세제함(500)은 프론트 패널(400)의 세제함 수용부(420)에 인입되기 위한 가이드 홈(539)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홈(539)은 케이스(530)의 양 측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539)에 후술할 세제함 수용부(420)의 가이드 돌기(425)(도 12 참조)가 체결되어, 세제함(500)이 세제함 수용부(420)에 인입된 상태에서 유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홈(539)의 일 지점에는 세제함 걸림부(5392)가 형성될 수 있다. 세제함 걸림부(5392)는 가이드 돌기(425)에 형성되는 후크(426)에 걸려 탄성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홈(539)의 전단부는 세제함(500)의 인입 상태가 세제함 걸림부(5392)와 가이드 돌기(425)에 의해 유지될 수 있도록, 가이드 돌기(425)와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돌기(425)가 가이드 홈(539)의 중심측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가이드 홈(539)의 후단부는 가이드 홈(539)의 전단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세제함(500)을 세제함 수용부(420)에 인입 시, 가이드 돌기(425)가 부드럽게 가이드 홈(539)으로 진입될 수 있다.
더불어, 케이스(530)의 저면에는 세제함 투입구(304)와 세제함 수용부(420)에 형성되는 프론트 패널 체결부(309)(도 12 참조)와 커버 체결부(428)(도 12 참조)에 간섭되지 않고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오목부(537)가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 체결부(309) 및 커버 체결부(428)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2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12는 도 4의 커버와 프론트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6의 프론트 패널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세제함(500)이 커버(300)의 상부에 인입 및 인출되기 위해서, 세제함 투입구(304)는 커버(3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세제함 투입구(304)는 도어(200)의 배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세제함 투입구(304)의 상부는 전방으로 돌출되고, 세제함 투입구(304)의 중앙부는 후방으로 함몰된 기울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세제함 투입구(304)의 주변에는 세제함(500)의 전면부(510)가 안착되는 전면부 안착홈(305)이 형성될 수 있다. 세제함(500)이 세제함 투입구(304)에 인입되어 전면부(510)가 전면부 안착홈(305)에 안착되므로, 전면부(510)가 커버(300)의 전면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면부(510)는 커버(3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전면부(510)의 상측(5101)은 전면부(510)의 하측(5103)보다 전면으로 더 경사지게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그 결과 전면부(510)는 상측(5101)과 하측(5103)의 사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굴곡(5102)을 가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400)에 제공되는 세제함 수용부(420)는 세제함 투입구(304)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세제함 수용부(420)는 세제함(500)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421)과, 하우징(421)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세제함 개스킷(430)이 고정되는 세제함 개스킷 고정리브(423)와, 하우징(421)의 내측 양 측면에 형성되어 세제함(500)의 인입 및 인출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425)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21)은 세제함(500)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세제함(5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421)의 입구는 세제함 투입구(304)의 형상과 마찬가지로 도어(200)의 배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기울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세제함 개스킷 고정리브(423)는 세제함 수용부(420)의 전면 테두리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세제함 개스킷 고정리브(423)는 세제함 개스킷(430)과 결합(예: 끼움 결합)되어 세제함 개스킷(430)의 고정 기반이 된다.
세제함 개스킷 고정리브(423)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슬릿(424)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슬릿(424)은 세제함 개스킷 고정리브(423)에서 기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면서, 세제함 개스킷 고정리브(423)의 좌우측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세제함 개스킷(430)이 세제함 개스킷 고정리브(423)에 결합 또는 조립될 경우, 세제함 개스킷(430)의 고정 리브(433)는 세제함 개스킷 고정리브(423)의 슬릿(424)에 끼워진다. 이는 접촉에 의한 마찰 면적을 상대적으로 증대시키므로, 그 결과 세제함 개스킷(430)과 세제함 개스킷 고정리브(423)간의 고정력이 높아진다.
세제함(500)이 세제함 수용부(420)에 끼워질 경우, 가이드 돌기(42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세제함(500)의 가이드 홈(539)의 세제함 걸림부(5392)를 타고 넘은 후 정지될 때, 세제함 걸림부(5392)에 걸려 탄성 결합될 수 있는 후크(426)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425)의 후크(426)가 가이드 홈(539)의 세제함 걸림부(5392)에 걸리게 되어, 하우징(421)의 내측면에 인입되는 세제함(500)이 정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정지 상태로 유지된 세제함(500)을 세제함 수용부(42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후크(426)와 세제함 걸림부(5392)의 탄성 결합력보다 큰 힘으로 세제함(500)의 손잡이(502)를 잡아 당길 경우, 세제함(500)은 세제함 수용부(42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패널(400)에는 프론트 패널(400)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환형으로 형성되는 개방부(460)가 제공될 수 있다. 개방부(460)는 세제함 수용부(420)의 하측에서 세제함 수용부(420)의 하단부가 전방으로 돌출된 위치까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방부(460)는 개방부(460)의 단부에 형성된 환형 단부(462)를 포함할 수 있다. 환형 단부(462)는 개방부(460)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개방부(460)의 단부에서 돌출되어 있으므로, 돌출된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단차를 갖게 된다.
이러한 도어 개스킷(450)이 개방부(460)에 설치되었을 때, 도어 개스킷(450)은 개방부(460)의 환형 단부(462) 및 그의 단차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지지력을 받을 수 있다.
아울러, 커버(300)와 프론트 패널(400) 각각에는 상호 결합되기 위해, 세제함 투입구(304)의 하측 중앙부에는 프론트 패널 체결부(309)가 형성되고, 세제함 수용부(420)의 하측 중앙부에는 커버 체결부(428)가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 체결부(309)와 커버 체결부(428)는 세제함 투입구(304)와 세제함 수용부(420) 각각에서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홈(미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세제함(500)은 케이스(530)의 저면에 프론트 패널 체결부(309)와 커버 체결부(428)의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에 대응되도록 오목부(537)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세제함(500)이 세제함 투입구(304)와 세제함 수용부(420)에 인입될 때, 프론트 패널 체결부(309)와 커버 체결부(428)에 간섭되지 않고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3을 참조하면, 프론트 패널(400)에는 케이스(530)로부터 배출되는 세탁수를 터브(700)로 안내하고, 바닥면이 케이스(530)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는 가이드 홀(429)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패널(400)의 개방부(460)에 결합되는 도어 개스킷(450)에는 가이드 홀(429)에 의해 안내되는 세탁수를 개방부(460)의 측방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리브(452)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 개스킷(450)은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반면, 가이드 리브(452)는 도어 개스킷(450)의 상측 영역에만 존재하는 아치형 지붕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리브(452)의 양측 끝단에는 물이 터브(700) 쪽으로 떨어지는 개방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홀(429)은 세제함 수용부(420)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세제함 수용부(420)의 저면은 세제함(500)이 인입된 상태에서, 세제함(500)의 케이스(530)와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된 높이 차에 의해서, 제1 배출구(5332)와 제2 배출구(5352)로부터 배출되는 세탁수를 터브(700)로 공급하기 위한 가이드 홀(429)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452)는 가이드 홀(429)에 의해 안내되는 세탁수를 터브(70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가이드 리브(452)는 도어(200)에 제공되는 도어 글라스(280)의 최후단부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리브(452)는 도어 개스킷(450)의 상측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그 결과 프론트 패널(400)의 배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홀(429)로 배출된 세탁수는 가이드 리브(452)를 따라 터브(700)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다만, 가이드 리브(452)는 제1 오버플로우부(5337) 및 제2 오버플로우부(5357)와 동일한 위치 또는 더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제1 오버플로우부(5337)와 제2 오버플로우부(5357)에서 배출되는 세탁수는 가이드 홀(429)과 가이드 리브(452)를 통하지 않고, 바로 터브(700)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리브(452)에 의해 도어 글라스(280)에는 세탁수에 용해된 세제 또는 유연제가 묻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정리하면, 제1 사이펀부(S1) 또는 제2 사이펀부(S2)를 통해 배출되는 세탁수는 가이드 홀(429)로 배출되고, 가이드 홀(429)로 배출된 세탁수는 가이드 리브(452)를 따라 터브(700) 내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세제함 개스킷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의 세제함 개스킷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세제함 수용부(420)의 전면에는 세제함(500)의 전면부(510)가 밀착되는 세제함 개스킷(430)이 결합되고, 세제함 개스킷(430)은 커버(300)에 의해 가압되어 세제함 수용부(42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세제함 개스킷(430)은 케이스(530)에 밀착되어 세제함(500)으로 급수되는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제함 개스킷(430)은 세제함 수용부(420)의 입구를 둘러싸는 바디(431)와, 바디(431)의 후면에 형성되어 세제함 개스킷 고정리브(423)가 삽입되기 위한 고정홈(43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제함 개스킷(430)은 바디(431)의 내측면으로부터 바디(431)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세제함(500)의 둘레에 접촉되는 제1 방수 돌기(435)와, 바디(431)의 전면으로부터 바디(431)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차단 리브(312)에 의해 가압되는 제2 방수 돌기(437)를 포함한다.
또한, 세제함 개스킷(430)은 바디(431)의 외측면으로부터 바디(431)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지지 리브(314)에 의해 가압되는 제3 방수 돌기(439)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431)는 세제함 투입구(304)의 세제함 개스킷 고정리브(423)에 결합되므로, 세제함 투입구(304)와 하우징(421)의 입구의 기울기에 대응되도록 상부가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432)에는 세제함 개스킷 고정리브(423)에 형성된 슬릿(424)에 끼워질 수 있는 고정 리브(433)가 제공될 수 있다. 고정 리브(433)가 슬릿(424)에 끼워지면서, 세제함 개스킷(430)이 세제함 개스킷 고정리브(423)에 보다 높은 고정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방수 돌기(435)는 세제함(500)과 선접촉되도록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방수 돌기(435)는 세제함(500)이 세제함 수용부(420)에 인입된 상태에서 케이스(530)의 둘레에 밀착되어 세제함(500)과 선접촉되어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수 돌기(435)는 케이스(530)가 전면부(510)에 형성된 케이스 끼움부(513)에 끼워지는 케이스(530)의 전단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케이스(530)와 선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선접촉은 면접촉식의 세제함보다 세제나 옷감 등 이물질 걸림이 감소하게 되고, 이물질 걸림의 감소에 따라 누수 현상 발생이 감소할 수 있다.
제2 방수 돌기(437)은 세제함 개스킷(430)의 전방으로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커버(300)의 차단 리브(312)의 배면에 밀착되어 가압될 수 있다. 또한, 제3 방수 돌기(439)는 세제함 개스킷(430)의 외측면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지지 리브(314)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가압될 수 있다. 차단 리브(312)와 지지 리브(314)는 도 16 및 도 17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16은 도 4의 도어와 커버와 프론트 패널이 결합된 것을 선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원 D의 확대도이다.
커버(300)는 세제함(500)이 인입 및 인출되는 세제함 투입구(304)를 형성하는 차단 리브(312)와, 차단 리브(312)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지지 리브(314)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 리브(312)는 경사져 있으므로, 전면부(510)의 배면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전면부(510)의 배면과 세제함 개스킷(430) 사이에 배치되어, 세제함 개스킷(430)의 전방 노출을 차단할 수 있다.
지지 리브(314)는 차단 리브(312)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세제함 개스킷(430)의 둘레를 가압할 수 있다.
즉, 차단 리브(312)는 세제함 개스킷(430)의 전방에서, 지지 리브(314)는 세제함 개스킷(430)의 둘레에서 세제함 개스킷(430)을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제함 개스킷(430)은 세제함 수용부(420)의 입구에 결합되어, 세제함(500)과 차단 리브(312) 및 지지 리브(314)에 밀착되어 세제함(500)으로 급수되는 물이 세제함 수용부(420)의 전방으로 누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프론트 패널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벽걸이형 세탁기 100: 캐비닛
200: 도어 300: 커버
400: 프론트 패널 500: 세제함
600: 드럼 700: 터브
800: 리어패널 510: 전면부
520: 케이스 530: 캡
200: 도어 300: 커버
400: 프론트 패널 500: 세제함
600: 드럼 700: 터브
800: 리어패널 510: 전면부
520: 케이스 530: 캡
Claims (17)
- 벽면에 거치되는 리어 패널;
상기 리어 패널의 전면에 제공되고 세탁수가 내부에 담수되는 터브;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 가능하게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드럼;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터브의 전방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고,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는 급수 밸브 어셈블리;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을 커버링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전방에서 상기 프론트 패널로 인입되거나, 상기 프론트 패널로부터 상기 커버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고,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 투입 공간 및 유연제를 수용하는 유연제 투입 공간을 포함하는 세제함;
상기 커버의 세탁물 투입구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하여 상기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 및
상기 리어 패널과 결합되고, 상기 터브를 감싸는 캐비닛을 포함하고,
상기 세제함은,
상기 세제 투입 공간이 형성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유연제 투입 공간이 형성되는 제2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세제 투입 공간의 입구와 상기 유연제 투입 공간의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세제 투입 공간의 일부 및 상기 유연제 투입 공간의 일부를 차폐하는 비산 방지부를 포함하는 캡; 및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제공되는 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산 방지부는 상기 격벽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벽걸이형 세탁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세제함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에는 세제함 투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세제함이 인입되어 고정되는 세제함 수용부가 형성되는 벽걸이형 세탁기.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프론트 패널의 결합을 위해, 상기 세제함 투입구의 하측 중앙부와 상기 세제함 수용부의 하측 중앙부 각각에는 프론트 패널 체결부와 커버 체결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저면 중앙부에는 상기 프론트 패널 체결부와 상기 커버 체결부에 대응되는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가 제공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오목부의 중심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되, 상기 케이스의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여 상기 세제 투입 공간과 상기 유연제 투입 공간을 구획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 삭제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함 수용부의 상측에는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로부터 제공되는 세탁수를 상기 세제 투입 공간으로 제공하는 제1 피팅과,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로부터 제공되는 세탁수를 상기 유연제 투입 공간으로 제공하는 제2 피팅이 연결되고,
상기 제1 피팅과 상기 제2 피팅은 상기 제1 피팅 및 상기 제2 피팅으로부터 낙하하는 세탁수가 상기 비산 방지부에 직접 부딪히지 않도록 배치되는 벽걸이형 세탁기.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함 수용부의 입구에는 상기 케이스에 밀착되어 상기 세제함으로 급수되는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세제함 개스킷이 결합되고,
상기 세제함 개스킷은 상기 커버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세제함 수용부에 고정되는 벽걸이형 세탁기.
- 벽면에 거치되는 리어 패널;
상기 리어 패널의 전면에 제공되고 세탁수가 내부에 담수되는 터브;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 가능하게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드럼;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터브의 전방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고,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는 급수 밸브 어셈블리;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을 커버링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전방에서 상기 프론트 패널로 인입되거나, 상기 프론트 패널로부터 상기 커버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고,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 투입 공간 및 유연제를 수용하는 유연제 투입 공간을 포함하는 세제함;
상기 커버의 세탁물 투입구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하여 상기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 및
상기 리어 패널과 결합되고, 상기 터브를 감싸는 캐비닛을 포함하고,
상기 세제함은,
상기 세제 투입 공간이 형성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유연제 투입 공간이 형성되는 제2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세제 투입 공간의 입구와 상기 유연제 투입 공간의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세제 투입 공간의 일부 및 상기 유연제 투입 공간의 일부를 차폐하는 비산 방지부를 포함하는 캡; 및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제공되는 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산 방지부는,
상기 격벽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로부터 상기 제1 부분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세제 투입 공간의 일부를 차폐하는 제1 차단막; 및
상기 중심부로부터 상기 제2 부분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유연제 투입 공간의 일부를 차폐하는 제2 차단막을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상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가장 높은 지점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차단막과 상기 제2 차단막은 상기 중심부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중심부로부터 멀어지게 형성되는 벽걸이형 세탁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저면에는 상기 세제 투입 공간의 세제가 용해된 세제 수용액을 상기 터브로 배출하기 위한 제1 배출구가 제공되고,
상기 제2 부분의 저면에는 상기 유연제 투입 공간의 유연제가 용해된 유연제 수용액을 상기 터브로 배출하기 위한 제2 배출구가 제공되며,
상기 제1 부분의 배면에는 상기 제1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지 못한 세제가 용해된 세제 수용액을 상기 터브로 배출하는 제1 오버플로우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2 부분의 배면에는 제2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지 못한 유연제가 용해된 유연제 수용액을 상기 터브로 배출하는 제2 오버플로우부가 제공되며,
상기 제1 오버플로우부와 상기 제2 오버플로우부는 상기 비산 방지부로부터 먼 쪽에 배치되는 벽걸이형 세탁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를 통해 제공되는 세탁수에 세제가 용해된 세제 수용액을 상기 터브로 배출하는 제1 사이펀부와,
상기 제2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를 통해 제공되는 세탁수에 유연제가 용해된 유연제 수용액을 상기 터브로 배출하는 제2 사이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이펀부와 상기 제2 사이펀부는 상기 비산 방지부로부터 먼 쪽에 배치되는 벽걸이형 세탁기.
- 벽걸이형 세탁기의 프론트 패널에 형성된 세제함 수용부에 인입 및 인출되도록 제공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으로서,
세제 투입 공간이 형성되고 세제가 세탁수에 용해된 세제 수용액을 터브로 제공하기 위한 제1 사이펀부를 포함하는 제1 부분과, 유연제 투입 공간이 형성되고 유연제가 세탁수에 용해된 유연제 수용액을 터브로 제공하기 위한 제2 사이펀부를 포함하는 제2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세제 투입 공간의 입구와 상기 유연제 투입 공간의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세제 투입 공간의 일부 및 상기 유연제 투입 공간의 일부를 차폐하는 비산 방지부를 포함하는 캡; 및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산 방지부는,
상기 격벽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세제 투입 공간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차단막; 및
상기 중심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유연제 투입 공간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차단막을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
- 삭제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와 상기 제1 차단막과 상기 제2 차단막은 상기 세제 투입 공간의 입구와 상기 유연제 투입 공간의 입구를 형성하는 상기 캡의 전면 및 후면과 연결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펀부는,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고, 세제 수용액이 배출되기 위한 제1 배출구를 구비하는 제1 사이펀 유도홈;
상기 제1 배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제1 사이펀 유도홈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며, 상측으로 유입된 세제 수용액이 상기 제1 배출구로 배출될 수 있도록 중공 형상을 갖는 제1 기둥;
상기 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기둥의 외주면 및 상단부와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기둥을 감싸며, 하단부는 상기 제1 사이펀 유도홈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제1 덮개를 포함하고,
제2 사이펀부는,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고, 유연제 수용액이 배출되기 위한 제2 배출구를 구비하는 제2 사이펀 유도홈;
상기 제2 배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제2 사이펀 유도홈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며, 상측으로 유입된 세제 수용액이 상기 제2 배출구로 배출될 수 있도록 중공 형상을 갖는 제2 기둥;
상기 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둥의 외주면 및 상단부와 간격을 두고 상기 제2 기둥을 감싸며, 하단부는 상기 제2 사이펀 유도홈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제2 덮개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배면에는 상기 제1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지 못한 세제가 용해된 세제 수용액을 상기 터브로 배출하는 제1 오버플로우부가 제공되고,
제2 부분의 배면에는 제2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지 못한 유연제가 용해된 유연제 수용액을 상기 터브로 배출하는 제2 오버플로우부가 제공되며,
상기 제1 오버플로우부와 상기 제2 오버플로우부는 상기 비산 방지부로부터 먼 쪽에 배치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
- 삭제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막과 상기 제2 차단막은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캡 중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4633A KR102368502B1 (ko) | 2017-06-14 | 2017-06-14 |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 |
US15/939,920 US20180363222A1 (en) | 2017-06-14 | 2018-03-29 | Wall-mounted washing machine and detergent container thereof |
CN201810555199.2A CN109082836A (zh) | 2017-06-14 | 2018-06-01 | 壁装式洗衣机及其洗涤剂容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4633A KR102368502B1 (ko) | 2017-06-14 | 2017-06-14 |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6097A KR20180136097A (ko) | 2018-12-24 |
KR102368502B1 true KR102368502B1 (ko) | 2022-02-28 |
Family
ID=64657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4633A KR102368502B1 (ko) | 2017-06-14 | 2017-06-14 |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80363222A1 (ko) |
KR (1) | KR102368502B1 (ko) |
CN (1) | CN109082836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149461B2 (ja) * | 2019-02-08 | 2022-10-07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洗濯機 |
KR20210068911A (ko) * | 2019-12-02 | 2021-06-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세탁기 |
KR20230059487A (ko) * | 2021-10-26 | 2023-05-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의 세제공급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298866A1 (en) * | 2011-12-08 | 2014-10-09 |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 Wall-mounted drum type washing machine |
CN204151574U (zh) * | 2014-10-14 | 2015-02-11 |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 用于洗衣机的洗涤剂盒组件和洗衣机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4424C (zh) * | 1989-06-23 | 1994-05-04 | 普罗格特-什布尔公司 | 用于洗涤机中可溶解粒形产品洗涤纤维织物的装置 |
KR101082561B1 (ko) * | 2004-04-14 | 2011-11-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
JP3808487B2 (ja) * | 2005-02-28 | 2006-08-09 | 株式会社東芝 | 洗濯機 |
DE102006029661A1 (de) * | 2005-06-29 | 2007-02-01 | Lg Electronics Inc. | Waschmittelzuführungsvorrichtung für Waschmaschine |
KR101311448B1 (ko) * | 2006-09-25 | 2013-09-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 |
KR20080027677A (ko) * | 2006-09-25 | 2008-03-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 |
CN101177896B (zh) * | 2006-11-08 | 2011-06-08 |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 一种洗涤装置的洗涤剂供给机构 |
CN101397748B (zh) * | 2007-09-30 | 2012-01-25 | 海尔集团公司 | 洗涤剂盒组件 |
KR101506739B1 (ko) * | 2008-10-17 | 2015-03-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드럼 세탁기의 액체 세제 및 섬유 유연제 박스 어셈블리 및이를 구비하는 세제 디스펜서 |
WO2010056086A2 (ko) * | 2008-11-17 | 2010-05-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 |
EP2698462B1 (en) * | 2011-04-14 | 2020-04-15 | LG Electronics Inc. | Washing machine |
CN108560202A (zh) * | 2011-12-08 | 2018-09-21 | 大宇电子株式会社 | 壁装式滚筒洗衣机 |
US10174451B2 (en) * | 2011-12-08 | 2019-01-08 |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 Wall-mounted drum-type washing machine |
ES2627969T3 (es) * | 2011-12-08 | 2017-08-01 |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 Máquina lavadora de tipo tambor de montaje en pared |
CN103958763B (zh) * | 2011-12-08 | 2016-09-07 | 大宇电子株式会社 | 壁装式滚筒洗衣机及其制造方法 |
WO2013085299A1 (ko) * | 2011-12-08 | 2013-06-13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
ES2627880T3 (es) * | 2011-12-08 | 2017-07-31 |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 Máquina lavadora de tipo tambor de montaje en pared |
EP2604743B1 (en) * | 2011-12-14 | 2015-08-12 |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 Laundry washing machine |
KR101453274B1 (ko) * | 2012-04-04 | 2014-10-21 |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
KR101461388B1 (ko) | 2012-09-28 | 2014-11-13 |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
KR101343712B1 (ko) * | 2013-07-16 | 2013-12-20 | 김학열 | 드럼세탁기의 세제공급통 |
KR101568912B1 (ko) * | 2013-12-24 | 2015-11-12 |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 |
CN204343057U (zh) * | 2014-11-17 | 2015-05-20 | 合肥市宏键精工模具有限责任公司 | 波轮洗衣机进水速溶组件 |
-
2017
- 2017-06-14 KR KR1020170074633A patent/KR10236850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3-29 US US15/939,920 patent/US2018036322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8-06-01 CN CN201810555199.2A patent/CN109082836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298866A1 (en) * | 2011-12-08 | 2014-10-09 |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 Wall-mounted drum type washing machine |
CN204151574U (zh) * | 2014-10-14 | 2015-02-11 |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 用于洗衣机的洗涤剂盒组件和洗衣机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6097A (ko) | 2018-12-24 |
CN109082836A (zh) | 2018-12-25 |
US20180363222A1 (en) | 2018-1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48511B1 (ko) | 세탁기 | |
KR102270522B1 (ko) | 세탁기 | |
KR102368498B1 (ko) |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 |
KR20120053579A (ko) |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세탁기 | |
KR102368502B1 (ko) |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 | |
KR102459165B1 (ko) | 세탁기 | |
KR20180136104A (ko) |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 |
US20110041567A1 (en) | Washing machine | |
KR20150047372A (ko) | 세탁기 | |
KR20060039185A (ko) | 세탁기의 도어 | |
KR102368505B1 (ko) | 벽걸이형 세탁기 | |
KR20060039186A (ko) | 세탁기의 도어 | |
KR20180136084A (ko) |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리어 패널 | |
KR102368499B1 (ko) | 벽걸이형 세탁기 | |
KR20180136100A (ko) |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프론트 패널 | |
CN110318212B (zh) | 洗衣机和用于洗衣机的微泡产生器 | |
KR20180015872A (ko) | 세탁기 | |
KR20180136090A (ko) | 벽걸이형 세탁기 | |
KR20180136096A (ko) | 벽걸이형 세탁기 | |
US7827831B2 (en) | Detergent flush-in device | |
KR20180136099A (ko) |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 | |
KR20180136098A (ko) |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 | |
KR20180136092A (ko) |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터브 일체형 리어 패널,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터브 일체형 리어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금형 | |
KR20130064847A (ko) |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드럼 세탁기 | |
US20180363223A1 (en) | Wall mounted washing machine and rear panel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