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498B1 -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 Google Patents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8498B1 KR102368498B1 KR1020170074622A KR20170074622A KR102368498B1 KR 102368498 B1 KR102368498 B1 KR 102368498B1 KR 1020170074622 A KR1020170074622 A KR 1020170074622A KR 20170074622 A KR20170074622 A KR 20170074622A KR 102368498 B1 KR102368498 B1 KR 1023684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glass
- wall
- outer frame
- passag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3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7
- 241000239290 Aran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4902 Sof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1068 load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56 performance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51 engineering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0—Power supply arrangements, e.g. stand-by circui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또는 습기 배출이 가능한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에 관한 것으로,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고, 도어 힌지를 구비한 커버; 및 상기 도어 힌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결합된 도어 내부 프레임과 도어 외부 프레임에 지지되는 도어 글라스를 갖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 글라스의 주변에 배치되어서, 상기 도어 글라스의 내부 공간과 상기 도어의 내부 공간을 상호 연결시키는 기체통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세탁수와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포에서 오염물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세탁수에 용해된 세제에 의한 화학적 작용과 세탁수 및 내조(inner basket)의 기계적 작용에 의해 세탁포로부터 오염물을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탁기는 세탁물의 투입 방식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방식의 세탁기,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의 세탁기, 탑 로딩 방식과 프론트 로딩 방식이 결합된 복합 형태의 세탁기 등으로 나뉠 수 있다.
최근에는 욕실이나 화장실 등 좁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출시되고 있는데, 일반적인 벽걸이형 세탁기는 소형화를 위해 프론트 로딩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벽걸이형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캐비닛 내부에 제공되어 세탁수가 채워지는 터브와,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과, 드럼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터브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장치와, 터브로부터 세탁수를 캐비닛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는 드럼의 내부 공간의 물의 온도와 도어 대부의 대기 온도의 차이 또는 압력차이로 인하여서 도어의 내부에 습기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는 주수 시험과 같이 강제적으로 물을 세탁기 쪽으로 뿌려서 시행하는 성능 테스트 또는 세탁기의 청소 도중의 물이 도어 개방시 도어 글라스의 표면을 따라 흐르다가 도어와 도어 글라스 사이의 틈새를 통해 도어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이 경우 도어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 또는 전자 장비에서 오작동, 고장, 누전 등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도어에 관한 습기 또는 물기 문제로 인한 안전성 확보가 매우 시급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전자식 개폐방식의 도어 개폐 장치를 구비하고, 도어의 내부에 발생 가능한 습기 또는 도어의 내부로 유입 가능한 수분을 안전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고, 도어 힌지를 구비한 커버; 및 상기 도어 힌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결합된 도어 내부 프레임과 도어 외부 프레임에 지지되는 도어 글라스를 갖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 글라스의 주변에 배치되어서, 상기 도어 글라스의 내부 공간과 상기 도어의 내부 공간을 상호 연결시키는 기체통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 글라스의 하측 위치를 기준으로 도어의 내부에 디스플레이용 회로를 구비한 원판형 구조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외곽 두께가 얇고, 상기 도어의 중심부 쪽으로 갈 수록 상기 도어의 두께가 증가되는 중심부 돌출형 구조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캐비닛에 연결된 커버; 및 상기 커버를 차폐하고, 도어 글라스를 장착할 수 있도록 상호 조립되는 도어 내부 프레임과 도어 외부 프레임을 갖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과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간 서로 겹치는 부위에 형성된 기체통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체통로부는, 상기 도어 글라스와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의 제 1 통로홈부로부터 제 2 통로홈부 및 제 3 통로홈부를 경유하여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의 유체 배출구까지 기체의 대류 경로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도어 글라스는, 상기 드럼을 향하여 팽출된 캡형상의 글라스 몸체; 상기 글라스 몸체로부터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 글라스의 외경이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글라스 경사부; 상기 글라스 경사부의 끝단에서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글라스 연장부; 및 상기 글라스 연장부의 끝단에서 상기 글라스 연장부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바깥쪽 방향으로 벤딩된 글라스 테두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 글라스는, 상기 글라스 테두리부의 상부 양측에서 이격되게 제공된 복수개의 위치 맞춤 돌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 글라스는, 상기 글라스 테두리부의 하측에 제공된 평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과, 상기 캐비닛에 연결된 커버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에 있어서, 도어 글라스를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기체통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체통로부는 상기 도어 글라스의 내부 및 외부의 기체를 서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도어 내부 프레임과 도어 외부 프레임간 서로 겹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도어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은, 상기 도어 글라스를 탑재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의 중심에서 두께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내부 프레임 홀부; 상기 내부 프레임 홀부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내부 프레임 홀부의 원주 방향으로 따라 이격 배치되고, 상기 도어 글라스의 상기 글라스 테두리부를 도어의 지름 방향으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리브; 상기 지지리브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내부 프레임 홀부의 내측면에서 도어 내부 프레임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벽체; 및 상기 기체통로부를 만들기 위해서, 도어 외부 프레임의 제 1 통로홈부 또는 제 2 통로홈부에 대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벽체의 끝단에 형성된 제 3 통로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의 벽체는, 상기 도어 글라스의 글라스 테두리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합될 수 있는 폐쇄 루프형 벽 구조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는, 상기 글라스 테두리부의 위치 맞춤 돌기부에 각각 대응하도록 상기 벽체의 상부에서 상호 이격되게 제공되는 복수개의 위치 맞춤 홈부; 및 상기 글라스 테두리부의 평면부에 대응하여 비접촉하도록, 상기 벽체의 하측에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제 1 가이드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이드벽이 상기 도어 글라스와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 사이의 틈새의 아래쪽에 이격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의 상기 제 3 통로홈부는, 상기 위치 맞춤 홈부의 사이의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벽체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의 상기 제 3 통로홈부는, 상기 제 1 가이드벽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이격된 지점을 기준으로 벽체의 끝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은, 상기 도어 글라스를 탑재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의 중심에서 두께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도어 글라스의 상기 글라스 테두리부의 내측면을 도어의 두께 방향으로 지지하는 외부 프레임 홀부; 상기 외부 프레임 홀부의 외곽에 이격되게 형성된 외부 프레임 홀보강부; 상기 외부 프레임 홀부와 상기 외부 프레임 홀보강부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리브; 상기 연결리브가 형성되지 않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외부 프레임 홀부의 끝단에 형성된 상기 제 1 통로홈부; 및 상기 제 1 통로홈부에 일치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외부 프레임 홀보강부의 끝단에 형성된 상기 제 2 통로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은, 상기 외부 프레임 홀보강부와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의 외곽 측 테두리의 사이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된 격벽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은, 상기 외부 프레임 홀보강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용 회로를 수용하기 위한 회로 수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은, 상기 격벽의 끝단과 상기 회로 수용부의 사이에 서로 연결되지 않은 내부 통로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기체통로부는, 상기 도어 글라스의 내부 공간과 공간상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 1 통로홈부; 상기 제 1 통로홈부에 대하여 공간상 연결되어 있고, 상기 외부 프레임 홀부와 상기 외부 프레임 홀보강부 및 상기 도어 글라스의 글라스 테두리부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상기 제 1 통로홈부의 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공간을 갖는 확장공간부; 상기 확장공간부에 공간상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 2 통로홈부; 상기 제 2 통로홈부에 공간상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통로홈부의 외곽 위치에서 겹쳐져 있는 상기 제 3 통로홈부; 및 상기 제 3 통로홈부로부터 상기 도어의 내부 공간 또는 상기 내부 통로부를 경유하여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의 하부의 유체 배출구까지 형성된 대류 공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체 배출구는, 벤트 홀의 역할을 위하여, 상기 커버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의 하부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구멍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에 따르면, 도어의 내부에 발생 가능한 습기를 외부 공기와의 대류 작용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의 틈새로 유입 가능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어에 관련된 습기 및 물기 문제를 해결하여, 세탁기 성능을 확보하고 누전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세탁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세탁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어 외부 프레임의 내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도어 내부 프레임의 외측면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보호 유리를 제외한 도어의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원 B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원 C의 확대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세탁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세탁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어 외부 프레임의 내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도어 내부 프레임의 외측면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보호 유리를 제외한 도어의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원 B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원 C의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세탁기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세탁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10)는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과, 캐비닛(100)의 일측에 배치되고 캐비닛(100)의 개방된 전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200)와, 도어(200)가 개폐되도록 도어(200)와 연결되는 커버(300)와, 커버(300)의 후면에 배치되는 프론트 패널(400)과, 프론트 패널(400)의 일측에 수용되고 세제 및 유연제를 수용하는 세제함(500)과, 세탁물이 수납되는 드럼(600)과, 드럼(600)을 감싸고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700)와, 벽체에 거치되는 리어 패널(8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후면은 벽체와 가까운 면을 의미하고, 전면은 후면과 반대되는 면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캐비닛(100)은 내부가 빈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전원 버튼(102)과, 커버(300)와 연결되는 커버 연결부(104)와, 리어 패널(800)과 연결되는 리어 패널 연결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버튼(102)은 캐비닛(100)의 일측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세탁기(10)의 온오프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전원 버튼(102)은 캐비닛(100)의 전면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캐비닛(100)의 전면 하측에 제공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전원 버튼(102)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캐비닛(100)의 전면 좌측이나 우측에 제공될 수 있다.
캐비닛(100)은 커버(300)와 연결되는 커버 연결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연결부(104)는 캐비닛(100)의 개방된 전면 테두리에 대응될 수 있으며, 커버(300)가 캐비닛(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커버(30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300)는 캐비닛(100) 내부의 후면에서 전면측으로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커버 연결부(104)의 직경이 커버(300)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커버(300)는 커버 연결부(104)에 끼움 결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커버(300)는 캐비닛(100)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캐비닛(100)은 리어 패널(800)과 연결되는 리어 패널 연결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패널 연결부(106)는 캐비닛(100)의 개방된 후면 테두리에 대응될 수 있으며, 리어 패널(8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캐비닛(100)은 리어 패널(800)과 볼트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리어 패널 연결부(106)에는 복수 개의 볼트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캐비닛(100)의 전면에는 도어(200)가 제공될 수 있다. 도어(200)는 세탁물을 투입 및 인출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갖도록 볼트 결합될 수 있고, 커버 연결부(104)와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도어 내부 프레임(230)은 커버 연결부(104)와 접촉될 수 있으며,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캐비닛(100)에 연결된 커버(300)를 완전히 차폐할 수 있다.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커버(300)와의 연결을 위한 도어 힌지 연결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힌지 연결부(232)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일측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후술할 커버(300)의 도어 힌지(36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어 내부 프레임(230)과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사이 공간에는 디스플레이(202)가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2)는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전면이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디스플레이(202)가 노출될 수 있도록 홀(미표기)을 포함하거나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202)는 입력 또는 출력이 가능한 터치 패널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02)를 통해 작동 상태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터치를 통한 벽걸이형 세탁기(10)의 조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02)에 대한 터치 조작을 수행하여 세탁 및 헹굼 등의 과정을 선택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202)를 통해 잔여 세탁 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도어 외부 프레임(24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202)는 보호 유리(204)를 통해 보호될 수 있다. 보호 유리(204)는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전면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투명하게 제공되어 디스플레이(202)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보호 유리(204)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과 같은 직경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보호 유리(204)의 일측에는 홀(미표기)이 제공될 수 있고, 홀(미표기)을 통해 도어 개방 버튼(210)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어 개방 버튼(210)은 전자식 개폐방식을 사용하여 캐비닛(100)의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으로서, 도어 외부 프레임(240)에 제공될 수 있고, 보호 유리(204)의 홀(미표기)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도어(200)는 도어 개방 유닛(250) 및 도어 걸림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개방 유닛(250) 및 도어 걸림부(260)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커버(300)의 일측에 접촉 및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개방 유닛(250)은 개폐 보조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탄성력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방 유닛(250)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고, 스프링의 탄성력을 통해 도어(200) 개방 시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200)가 폐쇄되어있을 경우에는, 도어 개방 유닛(250)이 압축되어 커버(300)의 일측에 제공된 홈(미표기)에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 개방 버튼(210)을 조작하여 도어(200)가 개방되면, 도어 개방 유닛(250)은 커버(300)의 일측 홈(미표기)에서 이탈되고, 이완된 채로 커버(300)의 일측 홈의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다. 즉, 도어 개방 유닛(250)의 이완된 길이만큼 도어(200)와 커버(300) 사이에 공간이 제공되어, 도어(200)가 자동으로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 개방 유닛(250)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고, 도어 내부 프레임(230)에 형성된 가이드 구조물 내에 위치하거나, 미리 정한 스트로크 범위로 직선 이동하여 돌출되는 것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푸셔 스템 조립체(pusher stem assembly)일 수 있다.
도어 걸림부(260)는 도어 개방 유닛(25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공되는 것으로서, 일부가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외부로 돌출된 후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어 걸림부(260)의 돌출된 부분은 후술할 커버(300)의 도어 잠금 유닛(330)에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200)가 폐쇄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200)는 도어 개방 버튼(210)을 통해 개방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 개방 버튼(210)을 작동하면, 도어 개방 유닛(250) 및 도어 걸림부(260)가 커버(300)에서 이탈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200)는 커버(300)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탄성력을 갖는 도어 개방 유닛(250)이 이완되어 커버(300)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200)와 커버(300)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제공되어, 자동으로 도어(200)가 닫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커버(300) 측으로 도어(200)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도어(200)를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도어(200)의 가장 외측인 보호 유리(204)의 일측을 누를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 개방 유닛(250)이 압축되어 커버(300)의 홈(미표기)으로 수용될 수 있고, 도어 걸림부(260)의 돌출된 부분이 커버(300)의 도어 잠금 유닛(33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별도의 핸들 없이 도어(200)의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할 수 있다.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중심 측은 개방될 수 있고, 개방된 중심 측에 도어 글라스(280)가 제공될 수 있다. 도어 글라스(280)는 세탁기(10) 외부에서 내부의 세탁물을 볼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도어 글라스(280)는 후방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도어 글라스(280)의 돌출된 측은 커버(300)의 개방된 측에 끼워질 수 있다.
한편, 도어(200)는 회전 가능하도록 커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커버(300)는 프론트 패널(400)을 감싸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세탁물 투입구(302)와, 세제함(500)을 투입할 수 있는 세제함 투입구(304)와, 전원 버튼(102)을 제어하는 전원 처리부(306)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세탁물 투입구(302)를 통해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다. 세탁물 투입구(302)는 소정의 직경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 세탁물 투입구(302)의 직경은 도어 글라스(280)의 돌출된 부분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0)가 폐쇄되면, 도어 글라스(280)가 세탁물 투입구(302)를 막을 수 있고, 사용자가 도어(200)를 개방하면, 도어 글라스(280)가 세탁물 투입구(302)에서 이탈되어, 세탁물 투입구(302)를 통한 세탁물의 투입이 가능할 수 있다.
세탁물 투입구(302)의 상측에는 세제함(500)을 투입할 수 있는 세제함 투입구(304)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세제함 투입구(304)는 세제함(5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300)는 중심에 세탁물 투입구(302)를 구비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커버(300)는 일측이 하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 하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전원 처리부(306)가 제공될 수 있다. 전원 처리부(306)는 케이스(100)의 외부로 돌출된 전원 버튼(102)의 작동에 따라 전원 여부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전원 버튼(102)과 연결된 PCB 기판일 수 있다.
한편, 커버(300)는 도어 걸림부(260)와 대응되는 위치에 도어 잠금 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잠금 유닛(330)은 후크 형태의 도어 걸림부(260)와 결합되는 것으로서, 도어 걸림부(260)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일 수 있다. 따라서, 도어 걸림부(260)가 도어 잠금 유닛(330)에 결합됨에 따라, 도어(200)가 세탁물 투입구(302)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커버(300)는 도어 힌지 연결부(232)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어 힌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힌지(360)는 도어(200)의 일측과 커버(300)의 일측이 연결된 채로 개방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어 힌지(360)의 일측은 도어 힌지 연결부(232)에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힌지(360)는 세탁물 투입구(302)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긴 곡선의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도어(2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도어 힌지 연결부(232)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도어 힌지(360)의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을 따라 도어(200)가 회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커버(300)의 후면에는 프론트 패널(400)이 제공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400)은 터브(700)와 결합되는 것으로서, 드럼(600)과 터브(700)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차폐부(410)와, 세제함(500)을 수용하는 세제함 수용부(420)와, 세제함(500)과 결합되는 부분이 밀폐되도록 제공되는 세제함 개스킷(430)과, 세제함(500) 내부로 급수하는 피팅(440)과, 도어(200)와 접촉되는 부분이 밀폐되도록 제공되는 도어 개스킷(450)과,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는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410)는 드럼(600) 및 터브(700) 사이에서 발생되는 공간을 차폐하는 것으로서, 커버(3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커버(300)와 같은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중심 측에 세탁물 투입구(302)에 대응되는 개방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차폐부(410)의 개방부는 드럼(6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드럼(600)과 터브(700) 사이 공간이 차폐될 수 있다.
차폐부(410)의 일측에는 세제함(500)을 수용하는 세제함 수용부(420)가 제공될 수 있다. 세제함 수용부(420)는 세제함(50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커버(300)의 세제함 투입구(304)와 연통될 수 있다. 즉, 세제함(500)은 커버(300)의 세제함 투입구(304)를 거쳐 세제함 수용부(420)에 수용될 수 있다.
세제함 수용부(420)는 세제함(500)에 의해 가압되는 세제함 개스킷(430)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함 개스킷(430)은 세제함 수용부(420) 단부의 둘레에 배치되어 세제함(500)을 밀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고무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세제함 개스킷(430)을 통해 세제함(500) 내부의 세제, 유연제, 및 세제함(500)으로 공급되는 세탁수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을 수 있다.
세제함 수용부(420)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피팅(440)이 제공될 수 있다. 피팅(440)은 외부 급수원과 연결된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세제함(500)의 내부로 세탁수를 급수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수가 세제함(500)을 통해 드럼(600) 및 터브(700)의 내부로 급수되므로, 드럼(600) 및 터브(700)로 공급되는 세탁수에는 세제 또는 유연제가 용해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차폐부(410)의 개방부에는 도어(200)의 도어 글라스(280)에 의해 가압되는 도어 개스킷(4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개스킷(450)은 차폐부(410)의 개방부 단부(예: 개방부의 환형 단부)에 배치되어 도어 글라스(280)를 밀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고무 소재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0)가 폐쇄될 경우, 커버(300)의 세탁물 투입구(302)를 관통한 도어 글라스(280)가 도어 개스킷(450)을 가압하고, 이에 따라, 드럼(600) 및 터브(700) 내부의 세탁수가 도어(200)의 외부로 누수되지 않을 수 있다.
피팅(440)은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를 통해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는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선택적으로 피팅(440)을 통해 세제함(550)에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는 세 방향 밸브(three-way valve)일 수 있으며,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로부터 연장되는 공급 유로 중 2개는 세제함(500)에 연결된 피팅(440)에 연결되고, 1개는 도어 개스킷(450)을 통해 직접 드럼(600)에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세제함(500)은 세제 및 유연제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세제함 손잡이(502)와, 세제가 투입되는 세제 투입 공간(504)과, 유연제가 투입되는 유연제 투입 공간(506)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함 손잡이(502)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커버(3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어(200) 개방 후, 사용자가 세제함 손잡이(502)를 파지하여 세제함(500)을 세제함 수용부(420)로부터 인출 또는 삽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제함(500)의 전면 중앙에 세제함 손잡이(502)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공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세제함 손잡이(502)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세제함 수용부(420)는 세제함(500)의 전면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세제함(500)은 내부의 중앙이 구획되어, 각각 세제 및 유연제를 수용할 수 있는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피팅(440)은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에는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세제 투입 공간(504)과 유연제 투입 공간(506)의 세제 및 유연제는 선택적으로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도어(200)를 개방한 후 세제함(500)을 세제함 수용부(420)로부터 인출하고,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에 각각 세제 및 유연제를 투입할 수 있다. 세제 및 유연제가 채워진 세제함(500)은 다시 세제함 수용부(420)로 삽입될 수 있고, 세탁 과정에 따라,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은 각각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600) 및 터브(700)에 선택적으로 세제 또는 유연제를 포함한 세탁수가 공급될 수 있다.
한편, 프론트 패널(400)은 드럼(600)과 연결될 수 있다. 드럼(600)은 세탁물이 수납되는 것으로서, 전면에 드럼 입구부(610)를 포함하고, 후면에 스파이더(6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드럼(600)의 둘레에는 터브(700)와 유체 연통되기 위한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드럼 입구부(610)는 차폐부(410)의 개방된 부분에 대응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드럼 입구부(610)는 드럼(600) 전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고, 드럼 입구부(610)가 차폐부(410)의 개방된 부분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프론트 패널(400) 및 드럼(600)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물이 커버(300)의 세탁물 투입구(302) 및 프론트 패널(400)의 개방된 부분을 거쳐 드럼(60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드럼(600)은 스파이더(680)를 통해 회전될 수 있다. 스파이더(680)는 후술할 구동 모터(91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으로서, 드럼(600)과 별도로 제공되어, 드럼(60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드럼(600)의 후면에는 스파이더(68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스파이더(680)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스파이더(680)는 중앙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암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파이더(680)는 드럼(600)의 반지름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3개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암은 12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파이더(680)의 중앙은 후술할 드럼 회전축(916)을 통해 후술할 제2 풀리(914)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파이더(680) 및 스파이더(680)에 결합된 드럼(600)이 회전될 수 있다. 드럼(600)의 구체적인 회전 방법은 후술하겠다.
드럼(600)의 외측에는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700)가 제공될 수 있다. 터브(700)는 드럼(60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드럼(600)의 직경보다 기 설정된 길이만큼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700)는 드럼(600)의 외측에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터브(700)의 내부로 급수된 세탁수는 드럼(600)의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홀을 통해 드럼(600)의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드럼(600)의 내부 세탁수가 드럼(600)의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홀을 통해 터브(700)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이때, 드럼(600)과 터브(700)는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터브(700)는 세탁수를 가열하는 히터(70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브(700)의 내측에 히터(702)가 안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터브(700) 내측 홈에 히터(702)가 분리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702)는 터브(700) 내부에 담수된 세탁수를 가열할 수 있다.
한편, 터브(700)는 리어 패널(800)과 일체로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리어 패널(800)은 벽체에 거치되는 것으로서, 벽체에 결합되기 위한 앵커가 연결되는 앵커 연결부(802)와, 캐비닛(100)을 고정하는 캐비닛 고정부(804)와, 터브(70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806)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브(700)와 리어 패널(800)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리어 패널(800)의 전방으로 터브(700)가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리어 패널(800)의 후면은 별도의 앵커를 통해 벽체에 거치될 수 있다. 앵커는 앵커 연결부(802)를 통과하여 벽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앵커가 리어 패널(800)을 벽체에 거치할 수 있다. 이때, 터브(700)와 리어 패널(800)이 일체로 제공됨으로써, 터브(700)를 지지하는 별도의 댐퍼 또는 탄성부재가 요구되지 않아 부품수가 절감되고, 세탁기(10)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터브(700)가 제공되는 리어 패널(800)의 전면에는 터브(700)를 감싸도록 캐비닛(10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리어 패널(800)의 둘레를 따라 계단 형태를 갖도록 캐비닛 고정부(804)가 제공될 수 있고, 캐비닛 고정부(804)에 캐비닛(100)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볼트 등의 체결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리어 패널(800)은 벽걸이형 세탁기(10)의 전체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810)과, 터브(700)에 담수된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 유닛(8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810)은 리어 패널(800)의 전면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벽걸이형 세탁기(10)의 각종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세탁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유닛(810)이 도면을 기준으로 터브(700)의 우측에 제공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제어 유닛(81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원 라인(904)은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상술한 전장 장비들과 제어 유닛(810), 구동 모터(91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라인(904)은 리어 패널(800)을 관통하여 리어 패널(800)의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서 외부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전원 라인(904)은 별도의 고정 수단을 통해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전원 라인(904)이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서 외부로 연장된 형태로 제공됨에 따라, 세탁기(10)의 외관이 미려하게 마무리될 수 있다.
리어 패널(800)의 하부에는 배수 유닛(820)이 제공될 수 있다. 배수 유닛(820)은 터브(700) 내부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리어 패널(800)의 전면 하측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배수 유닛(820)은 세탁수를 가압하는 배수 펌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수 호스(902)와 연결되어 세탁수를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수 호스(902)는 배수 유닛(820)과 연결되고, 리어 패널(800)의 후면을 따라 외부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배수 유닛(820)의 압력을 통해 세탁수가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 과정이 종료된 후, 배수 유닛(820)이 작동되면, 배수 유닛(820)의 압력 변화로 인해 세탁수가 배수 호스(902)를 통해 캐비닛(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리어 패널(800)에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910)와, 구동 모터(910)와 연결되는 제1 풀리(912) 및 제2 풀리(914)와, 제2 풀리(914)와 연결되어 드럼(600)을 회전시키는 드럼 회전축(916)과, 제1 풀리(912) 및 제2 풀리(914)를 연결하는 벨트(918)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어 패널(800)의 전면에는 구동 모터(910)가 제공될 수 있다. 구동 모터(910)는 제어 유닛(8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제어 유닛(810) 및 배수 유닛(820)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구동 모터(910)는 제1 풀리(91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구동 모터(910)의 축(shaft)(미표기)은 리어 패널(800)을 관통하여 제공될 수 있고,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서 구동 모터(910)의 축(미표기)과 제1 풀리(912)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풀리(912)는 벨트(918)를 통해 제2 풀리(914)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풀리(914)는 스파이더(680)와 연결된 드럼 회전축(916)을 감싸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드럼 회전축(916)은 스파이더(680)와 연결된 채로 리어 패널(800)을 관통할 수 있다. 즉,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서 제2 풀리(914)와 드럼 회전축(916)이 연결될 수 있다.
정리하면, 피팅(440)을 통해 터브(700)에 세탁수가 모두 담수되면, 제어 유닛(810)은 구동 모터(9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 모터(910)와 연결된 제1 풀리(912)가 회전하게 되고, 제1 풀리(912)의 회전에 의해, 제2 풀리(914)가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풀리(914)와 연결된 드럼 회전축(916) 또한 회전하게 되므로, 드럼(600)이 캐비닛(100) 및 터브(700)의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다. 즉, 드럼(600) 내부의 세탁물이 세탁될 수 있다.
한편,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는 배기 라인(92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배기 라인(920)은 배수 유닛(820)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터브(700) 및 배수 유닛(82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기 라인(920)은 배수 호스(902)과 연결되고, 리어 패널(800)을 관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리어 패널(800)의 후면까지 연장되어 외부로 배기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1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우선, 사용자는 도어(200)를 개방하여, 드럼(600) 내부에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고, 프론트 패널(400)에서 세제함(500)을 인출할 수 있다. 이때, 세제함(500)은 중앙이 구획되어, 세제 및 유연제를 각각 투입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세제 및 유연제를 투입한 세제함(500)을 다시 프론트 패널(400)에 삽입한 후, 사용자는 도어(200)를 폐쇄하고, 전원 버튼(102) 및 디스플레이(202)를 통해 세탁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세탁 작동이 시작되면,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를 통해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세탁수는 피팅(440)을 통해 세제함(500)으로 급수될 수 있으며, 세탁수는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을 통과한 후 드럼(600) 및 터브(700)의 내부로 급수될 수 있다. 즉, 드럼(600) 및 터브(700)에 담수되는 세탁수에는 세제 및 유연제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터브(700)에 세탁수가 모두 채워지면, 제어 유닛(810)은 구동 모터(9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 모터(910)는 제1 풀리(912) 및 제2 풀리(914)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풀리(914)는 드럼 회전축(916)을 통해 드럼(600)과 연결될 수 있으므로, 구동 모터(910)를 통해 드럼(600)이 회전될 수 있다. 즉, 드럼(600)의 회전에 의해, 드럼(600)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이 용이하게 세탁될 수 있다.
한편, 도어(200)의 폐쇄시 도어(200)는 커버(300) 쪽으로 회전할 수 있고, 도어(200)의 개방시, 도어(200)는 커버(300)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역회전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어 외부 프레임의 내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도어 내부 프레임의 외측면을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보호 유리를 제외한 도어의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8의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원 B의 확대도이고, 도 11은 도 9의 원 C의 확대도이다.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도어(200)는 도 4에 도시된 커버(300)의 도어 힌지(360)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도어(200)는 도어 글라스(280)의 하측 위치를 기준으로 도어(200)의 내부에 디스플레이(202)용 회로(2020)를 구비한 원판형 구조물 또는 조립체일 수 있다. 또한, 도어(200)는 그의 외곽 두께가 얇고, 도어(200)의 중심부 쪽으로 갈 수록 도어(200)의 두께가 증가되는 중심부 돌출형 구조물일 수 있다.
벽걸이형 세탁기는 도어(200)에 마련된 전자식 개폐방식의 도어 개폐 장치를 포함한다.
도어 개폐 장치는 도어(200)를 개방시킬 수 있는 전자식 장치이다.
예컨대, 도어 개폐 장치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도어(200)의 개방 버튼(210)을 단순히 누르는 것만으로도 도어(200)를 개방시킬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 개방 버튼(210)에 연동하는 개방 버튼 회로부(2100)의 컨택트 스위치(2130)는 온 동작 또는 오프 동작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도 4의 커버(300)의 도어 잠금 유닛(330)이 도어(200)의 도어 걸림부(260)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벽걸이형 세탁기는 도어(200)의 내부에 배치되고, 보호 유리(204)에 의해 보호되고, 도어 글라스(280)의 아래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202)용 회로(202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202)용 회로(2020)는 기본적으로 그의 외측에 처리된 몰딩부(미표기)에 의한 수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202)용 회로(2020)는 과도한 습기 또는 물기 등에 의해서, 오작동 혹은 장치 고장 확률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배수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배수 수단은 주수 시험 등과 같은 성능 테스트 혹은 세탁기의 청소 도중에 물이 도어(200)의 내부로 최대한 침투하지 않게 하는 역할과, 소량의 물이라도 일단 도어(200)의 내부에 침투할 경우, 도어(200)의 내부에 물이 고여있지 않고 도어(2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배수 수단은 후술되는 트랩부(2600)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습기 방지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습기 방지 수단은 벽걸이형 세탁기로 하여금 최대의 장치 안전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온도차, 또는 온도차에 대응한 압력차 등에 의해 발생 가능한 습기를 원활하게 도어(20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역할과, 도어(200)의 내부의 습기와 도어(200)의 외부의 건공기가 상호 노출되어서 대류에 의한 열교환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습기 방지 수단은 후술되는 기체통로부(2700)일 수 있다. 여기서, 온도차는 찬물이 직접 접촉되어 차가워진 도어 글라스(280)의 온도와 도어(200)의 내부 공간의 온도간 차이를 의미할 수 있다.
도어(200)에 포함되는 기체통로부(2700)는 물이 침투되기 어려운 경로를 고려하되, 트랩부(2600)의 설치 위치와 간섭되지 않는 미리 정한 지점을 기준으로 도어 글라스(280)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기체통로부(2700)는 도어 글라스(280)의 내부 공간과 도어(200)의 내부 공간을 상호 연결시켜서 각 공간 내부의 기체간 대류를 일으키거나 유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어(2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분리 또는 조립 가능하게 구성된 도어 내부 프레임(230)과 도어 외부 프레임(240)을 포함한다. 도어(200)는 내부 프레임(230)과 도어 외부 프레임(240)으로 합체된 조립물일 수 있다.
도어 개방 버튼(210)이 단순히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눌러지는 것만으로도, 도어(200)의 록킹이 해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은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폐 장치는 도어(200)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개방시킬 수 있는 수단이다.
도어 걸림부(260)는 도어(200)의 재질에 비해 구조적 강도가 큰 금속 재질로 제작되며, 볼트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어(200)의 재질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 또는 합성수지일 수 있다.
도어 걸림부(260)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에 장착되고, 도 4의 도어 잠금 유닛(330)에 결합(예: 록킹)되는 구성요소이거나, 또는 도어 잠금 유닛(330)으로부터 분리(예: 언록킹)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도어 잠금 유닛(330)은 탄성력 및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도어 걸림부(260)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킬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보호 유리(204)는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보호 유리(204)에는 도어 외부 프레임(240)를 향하여 돌출된 복수개의 체결부(20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어 외부 프레임(240)에는 체결부(2041)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형의 탄성 걸림턱부(2420)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 걸림턱부(2420)의 내부에는 탄성 범위 내에서 변형이 가능한 자유단 형식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걸림턱이 상기 체결부(2041)의 체결구멍(미표기)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도어 글라스(280)는 서로 결합된 도어 내부 프레임(230)과 도어 외부 프레임(240)에 지지된다.
도어(200)에 포함되는 트랩부(2600)는 물의 침투 경로를 고려하여서, 도어 글라스(280)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2)용 회로(2020) 쪽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 트랩부(2600)는 도어 글라스(280)의 아래쪽 혹은 디스플레이(202)용 회로(2020)의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트랩부(2600)는 도어 글라스(280)와 디스플레이(202)용 회로(2020)의 사이 위치를 기준으로, 혹은 도어 글라스(280)의 하측을 기준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런 트랩부(2600)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이 서로 조립되었을 때 만들어지거나 형성될 수 있다.
트랩부(2600)는 도어 글라스(280)와 도어 내부 프레임(230) 사이의 틈새(T)(예: 도 11을 참조)를 통해 유입 가능한 유체(예: 물 또는 세탁수 등)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트랩부(2600)는 도어 글라스(280)와 도어 내부 프레임(230) 사이의 틈새(T)로부터 도 5 또는 도 7에 도시된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유체 배출구(2800)까지 유체(예: 액체 또는 기체)의 흐름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글라스(280)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과 용이하게 조립되고, 조립 방향의 오류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예컨대, 도어 글라스(280)는 글라스 테두리부(284)의 상부 양측에서 이격되게 제공된 복수개의 위치 맞춤 돌기부(28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글라스(280)는 글라스 테두리부(284)의 하측에 제공된 평면부(286)를 포함한다.
평면부(286) 및 위치 맞춤 돌기부(285)를 제외하고, 도어 글라스(280)의 전면을 기준으로 글라스 테두리부(284)는 도어 글라스(28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곡선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에 비교되는 글라스 테두리부(284)의 평면부(286)은 도어 글라스(280)의 운반, 설치시 기준면에 면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도어 글라스(280)의 조립 방향 및 위치의 식별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평면부(286)에 의해 도어 글라스(280)는 기준면에서 수직하게 세워질 수 있고, 전반적으로 도어 글라스(280)의 조립 및 보관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글라스(280)는 상하 비대칭 단면을 가지고 있으면서 도 4의 드럼(600)을 향하여 팽출된 캡형상의 글라스 몸체(281)를 포함한다.
이러한 도어 글라스(280)는 글라스 몸체(281)로부터 도어 내부 프레임(230)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도어 글라스(280)의 외경이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글라스 경사부(282)를 포함한다.
또한, 도어 글라스(280)는 글라스 경사부(282)의 끝단에서 도어 내부 프레임(23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글라스 연장부(283)와, 글라스 연장부(283)의 끝단에서 글라스 연장부(283)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바깥쪽 방향으로 벤딩된 글라스 테두리부(284)를 포함할 수 있다.
글라스 경사부(282)에는 세탁기 작동 중 혹은 세탁기 청소 중 또는 세탁기 급수 중에 물방울(W_in)이 묻어 있고, 자중에 의해서 물방울(W_in)이 글라스 경사부(282)의 표면 및 그 주변의 표면을 따라 상기 틈새(T) 쪽으로 유동될 수 있는 상황이다.
더욱 상세하게, 틈새(T)는 도어 글라스(280)의 글라스 테두리부(284)의 외측면과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내부 프레임 홀부(2601)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고 하향으로 연장된 공극일 수 있다.
물방울(W_in) 또는 물과 같은 유체는 도어 글라스(280)의 표면을 따라 하강할 때의 유체력 또는 표면 장력으로 인하여 글라스 경사부(282)로부터 글라스 연장부(283)를 경유하여 상기 틈새(T)까지 침투될 수 있다.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외부 프레임 홀부(2701), 외부 프레임 홀보강부(2702), 연결리브(2703), 제 1 통로홈부(2704), 제 2 통로홈부(2705)를 포함한다.
도어 내부 프레임(230)은 내부 프레임 홀부(2601), 지지리브(2602), 벽체(2603), 제 3 통로홈부(2604), 위치 맞춤 홈부(2605), 제 1 가이드벽(2606)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내부 프레임 홀부(2601)는 도어 글라스(280)를 탑재하기 위하여,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중심에서 두께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지지리브(2602)는 내부 프레임 홀부(2601)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내부 프레임 홀부(2601)의 원주 방향으로 따라 이격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지지리브(2602)는 도어 글라스(280)의 글라스 테두리부(284)를 도어(200)의 지름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져 있다.
지지리브(2602)는 글라스 테두리부(284)와 점 접촉 또는 선 접촉을 하기 때문에, 면접촉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용이한 조립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예컨대, 면접촉에 의한 조립은 조립 위치뿐만 아니라 조립 방향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점 접촉 또는 선 접촉이 가능하므로, 조립 방향에 일부 편차가 있더라도 도어 글라스(280)와 도어 내부 프레임(230)간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벽체(2603)는 지지리브(2602)를 서로 연결하도록, 내부 프레임 홀부(2601)의 내측면에서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지지리브(2602)는 벽체(2603)와 내부 프레임 홀부(2601) 사이의 코너 부위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벽체(2603)는 도어 글라스(280)의 글라스 테두리부(284)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합될 수 있는 폐쇄 루프형 벽 구조물일 수 있다.
벽체(2603)는 지지리브(2602)의 돌출 높이에 비하여 내부 프레임 홀부(2601)의 내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제 3 통로홈부(2604)는 기체통로부(2700)를 만들기 위해서,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제 1 통로홈부(2704) 또는 제 2 통로홈부(2705)에 대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벽체(2603)의 끝단에 형성된다. 예컨대, 제 3 통로홈부(2604)의 개수는 기체통로부(2700)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제 3 통로홈부(2604) 중 최 상위에 배치된 것은 위치 맞춤 홈부(2605)의 사이의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벽체(2603)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다른 2개의 제 3 통로홈부(2604a, 2604b)는 제 1 가이드벽(2606)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이격된 지점을 기준으로 벽체(2603)의 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위치 맞춤 홈부(2605)는 글라스 테두리부(284)의 위치 맞춤 돌기부(285)에 형합될 수 있다. 위치 맞춤 홈부(2605)는 위치 맞춤 돌기부(285)에 각각 대응하도록 벽체(2603)의 상부에서 상호 이격되게 제공 또는 형성되어 있다.
제 1 가이드벽(2606)은 글라스 테두리부(284)의 평면부(286)에 대응하여 비접촉하도록, 벽체(2603)의 하측에 일체형으로 제공된다.
이때, 제 1 가이드벽(2606)은 도어 글라스(280)와 도어 내부 프레임(230) 사이의 틈새(T)의 아래쪽에 이격 배치되어 있고, 틈새(T)를 통해 새어 나오는 유체의 수직 유동을 수평 유동으로 변환시키거나 회류시키는 칸막이 역할을 담당한다. 즉, 틈새(T)를 통해 새어 나오는 유체의 수직 강하 유동은 제 1 가이드벽(2606)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도 6 또는 도 10에 도시된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외부 프레임 홀부(2701)는 도어 글라스(280)를 탑재하기 위하여,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중심에서 두께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외부 프레임 홀부(2701)는 글라스 테두리부(284)와 접촉하여서, 글라스 테두리부(284)의 내측면을 도어(200)의 두께 방향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외부 프레임 홀보강부(2702)는 외부 프레임 홀부(2701)의 외곽에 이격되게 형성되고, 외부 프레임 홀부(2701)와 함께 이중벽 구조물이 될 수 있다.
복수개의 연결리브(2703)는 외부 프레임 홀부(2701)와 외부 프레임 홀보강부(2702) 사이를 서로 연결하여서 상기 이중벽 구조물의 강도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제 1 통로홈부(2704)는 연결리브(2703)가 형성되지 않은 위치를 기준으로, 외부 프레임 홀부(2701)의 끝단에 형성되고, 기체간 대류를 위한 통로의 역할을 담당한다.
제 2 통로홈부(2705)는 제 1 통로홈부(2704)에 일치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외부 프레임 홀보강부(2702)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다.
도 6 또는 도 11에 도시된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외부 프레임 홀보강부(2702)는 기체통로부(2700)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외부 프레임 홀보강부(2702)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자 형태 또는 수평한 벽의 형태를 갖는 제 2 가이드벽(2607)을 포함한다.
즉, 제 2 가이드벽(2607)은 외부 프레임 홀보강부(2702)의 하측에 일체형으로 제공된다. 이때, 제 2 가이드벽(2607)은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제 1 가이드벽(2606)의 위쪽 위치에서 제 1 가이드벽(2606)에 대하여 이격되어 평행을 유지한다.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외부 프레임 홀보강부(2702)의 하측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고, 디스플레이(202)용 회로(2020)를 수용하기 위해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내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회로 수용부(2410)를 포함한다.
회로 수용부(2410)는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내측면에서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230)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고, 디스플레이(202)용 회로(2020)를 수용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회로 수용부(2410)는 수용벽체(2411) 및 나사 지지부(2412)를 포함한다.
수용벽체(2411)는 디스플레이(202)용 회로(2020)를 수용하기 위해서, 회로(2020)의 외곽에 대응하게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있고, 디스플레이(202)용 회로(2020)의 탑재를 위해서,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특히, 회로 수용부(2410)의 상단부(2413)는 제 2 가이드벽(2607)에 대하여 이격됨과 동시에 평행을 이루도록 일자 형태 또는 수평한 벽의 형태로서 수용벽체(2411)의 상부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런 회로 수용부(2410)의 상단부(2413)는 트랩부(2600)를 위한 유체의 흐름 경로의 일부를 형성한다.
나사 지지부(2412)는 수용벽체(2411)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내측면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나사 지지부(2412)는 도어 외부 프레임(240)과 도어 내부 프레임(230)간 나사 결합 또는 볼트 결합에 이용된다.
그리고, 회로 수용부(2410)의 전면은 보호 유리(204)에 의해 커버링될 수 있고, 회로 수용부(2410)의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회로 보호부(2310)에 의해 커버링될 수 있다.
이렇게 회로 수용부(2410)는 수용벽체(2411)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보호 유리(204) 또는 회로 보호부(2310)에 의해 마감되어 있다.
회로 보호부(2310)는 회로 수용부(2410)의 후면을 커버링할 수 있도록, 회로 수용부(2410)의 형상에 대응하게 도어 내부 프레임(23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어(200)에서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벽체(2603)의 제 1 가이드벽(2606)은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회로 수용부(2410)의 상단부(2413)와 외부 프레임 홀보강부(2702)의 제 2 가이드벽(2607)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서 트랩부(2600)를 형성한다.
트랩부(2600)는 제 1 유로(2610), 회류유로(2611), 제 2 유로(2612) 및 하강유로(2613)를 포함한다.
제 1 유로(2610)는 틈새(T)에 대하여 공간상 연결되어 있고 제 1 가이드벽(2606)의 상면과 제 2 가이드벽(2607)의 하면 사이의 공간으로 연장되어 있다.
회류유로(2611)는 상기 제 1 유로(2610)에 공간상 연결되어 있고, 제 1 유로(2610)의 유체 흐름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전환시킨다.
제 2 유로(2612)는 회류유로(2611)에 공간상 연결되어 있고 상기 회로 수용부(2410)의 상단부(2413)의 상면과 상기 제 1 가이드벽(2606)의 하면 사이의 공간으로 연장된다.
하강유로(2613)는 제 2 유로(2612)의 출구로부터 회로 보호부(2310)에 해당하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내측면을 따라서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하부의 유체 배출구(2800)까지 형성된다.
즉, 틈새(T)를 통해 유입된 수분 또는 수분이 응축되어 생긴 물방울(W_in)은 트랩부(2600)의 제 1 유로(2610), 회류유로(2611), 제 2 유로(2612) 및 하강유로(2613)를 경유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유체 배출구(2800)를 통해 배출(W_out)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202)용 회로(2020)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유체 배출구(2800)는 드레인 홀 및 벤트 홀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유체 배출구(2800)는 커버(300)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하부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구멍을 의미할 수 있다.
도 8 또는 도 10을 참조하면, 도어(200)는 앞서 언급한 기체통로부(2700)를 포함한다.
예컨대, 기체통로부(2700)는 도어 글라스(280)를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있다. 이때, 기체통로부(2700)는 도어(200)를 정면으로 보았을 때 도어(200)의 위쪽 1개 지점과, 도어(200)의 아래쪽 양측 2개 지점을 포함하여 총 3개의 지점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각 기체통로부(2700)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과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240)간 서로 겹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기체통로부(2700)는 도어 글라스(280)의 내부의 기체(예: 습기) 및 세탁기의 외부의 기체(예: 건공기)를 서로 유동 및 대류시킬 수 있다.
각 기체통로부(2700)는 도어 글라스(280)와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제 1 통로홈부(2704)로부터 제 2 통로홈부(2705) 및 제 3 통로홈부(2404)를 경유하여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유체 배출구(2800)까지 기체(예: 습기 또는 건공기)의 대류 경로를 형성한다.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그의 외부 프레임 홀보강부(2702)와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외곽 측 테두리(248)의 사이 위치를 기준으로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내측면에 형성된 격벽(247)을 포함한다.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격벽(247)의 끝단과 회로 수용부(2410)의 사이에 서로 연결되지 않은 내부 통로부(246)를 형성하고 있다.
내부 통로부(246)는 제 2 통로홈부(2705)를 빠져나온 기체의 통로 일부가 된다.
기체통로부(2700)는 도어 글라스(280)의 내부 공간과 공간상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 1 통로홈부(2704)와, 상기 제 1 통로홈부(2704)에 대하여 공간상 연결되어 있고, 상기 외부 프레임 홀부(2701)와 상기 외부 프레임 홀보강부(2702) 및 도어 글라스(280)의 글라스 테두리부(284)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상기 제 1 통로홈부(2704)의 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공간을 갖는 확장공간부(2710)를 포함한다.
기체통로부(2700)는 확장공간부(2710)에 공간상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 2 통로홈부(2705)와, 상기 제 2 통로홈부(2705)에 공간상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통로홈부(2705)의 외곽 위치에서 겹쳐져 있는 상기 제 3 통로홈부(2604)를 포함한다.
기체통로부(2700)는 제 3 통로홈부(2604)로부터 도어(200)의 내부 공간 또는 상기 내부 통로부(246)를 경유하여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하부의 유체 배출구(2800)까지 형성된 대류 공간부(2711)를 포함한다.
도어 글라스(280)의 내부 공간의 습기(A_in)는 기체통로부(2700)의 제 1 통로홈부(2704), 확장공간부(2710), 제 2 통로홈부(2705), 제 3 통로홈부(2604)를 통해 유동하는 기체(A_cir)가 된 후, 내부 통로부(246), 대류 공간부(2711)를 경유하여 유체 배출구(2800)를 통해 배출(A_out)되거나, 세탁기 외부의 건공기와 대류 작용을 함으로써, 도어 글라스(280)의 내부 표면에 습기가 응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벽걸이형 세탁기 100 : 캐비닛
200 : 도어 250 : 도어 개방 유닛
260 : 도어 걸림부 300 : 커버
330 : 도어 잠금 유닛 400 : 프론트 패널
450 : 도어 개스킷 500 : 세제함
600 : 드럼 680 : 스파이더
700 : 터브 800 : 리어 패널
200 : 도어 250 : 도어 개방 유닛
260 : 도어 걸림부 300 : 커버
330 : 도어 잠금 유닛 400 : 프론트 패널
450 : 도어 개스킷 500 : 세제함
600 : 드럼 680 : 스파이더
700 : 터브 800 : 리어 패널
Claims (20)
-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고, 도어 힌지를 구비한 커버; 및
상기 도어 힌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결합된 도어 내부 프레임과 도어 외부 프레임에 지지되는 도어 글라스를 갖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 글라스의 주변에 배치되어서, 상기 도어 글라스의 내부 공간과 상기 도어의 내부 공간을 상호 연결시키는 기체통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체통로부는,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된 격벽의 끝단과 디스플레이용 회로를 수용하기 위한 회로 수용부 사이에 형성된 내부 통로부;
상기 내부 통로부를 경유하여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의 하부에 제공된 유체 배출구까지 형성된 대류 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 글라스의 하측 위치를 기준으로 도어의 내부에 디스플레이용 회로를 구비한 원판형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외곽 두께가 얇고, 상기 도어의 중심부 쪽으로 갈 수록 상기 도어의 두께가 증가되는 중심부 돌출형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캐비닛에 연결된 커버; 및
상기 커버를 차폐하고, 도어 글라스를 장착할 수 있도록 상호 조립되는 도어 내부 프레임과 도어 외부 프레임을 갖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과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간 서로 겹치는 부위에 형성된 기체통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체통로부는,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된 격벽의 끝단과 디스플레이용 회로를 수용하기 위한 회로 수용부 사이에 형성된 내부 통로부;
상기 내부 통로부를 경유하여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의 하부에 제공된 유체 배출구까지 형성된 대류 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통로부는,
상기 도어 글라스와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의 제 1 통로홈부로부터 제 2 통로홈부 및 제 3 통로홈부를 경유하여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의 유체 배출구까지 기체의 대류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글라스는,
상기 드럼을 향하여 팽출된 캡형상의 글라스 몸체;
상기 글라스 몸체로부터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 글라스의 외경이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글라스 경사부;
상기 글라스 경사부의 끝단에서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글라스 연장부; 및
상기 글라스 연장부의 끝단에서 상기 글라스 연장부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바깥쪽 방향으로 벤딩된 글라스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글라스는,
상기 글라스 테두리부의 상부 양측에서 이격되게 제공된 복수개의 위치 맞춤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글라스는,
상기 글라스 테두리부의 하측에 제공된 평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과, 상기 캐비닛에 연결된 커버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에 있어서,
도어 글라스를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기체통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체통로부는 상기 도어 글라스의 내부 및 외부의 기체를 서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도어 내부 프레임과 도어 외부 프레임간 서로 겹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체통로부는,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된 격벽의 끝단과 디스플레이용 회로를 수용하기 위한 회로 수용부 사이에 형성된 내부 통로부;
상기 내부 통로부를 경유하여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의 하부에 제공된 유체 배출구까지 형성된 대류 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도어.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은,
상기 도어 글라스를 탑재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의 중심에서 두께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내부 프레임 홀부;
상기 내부 프레임 홀부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내부 프레임 홀부의 원주 방향으로 따라 이격 배치되고, 상기 도어 글라스의 글라스 테두리부를 도어의 지름 방향으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리브;
상기 지지리브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내부 프레임 홀부의 내측면에서 도어 내부 프레임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벽체; 및
상기 기체통로부를 만들기 위해서, 도어 외부 프레임의 제 1 통로홈부 또는 제 2 통로홈부에 대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벽체의 끝단에 형성된 제 3 통로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도어.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의 벽체는,
상기 도어 글라스의 글라스 테두리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합될 수 있는 폐쇄 루프형 벽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도어.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상기 글라스 테두리부의 위치 맞춤 돌기부에 각각 대응하도록 상기 벽체의 상부에서 상호 이격되게 제공되는 복수개의 위치 맞춤 홈부; 및
상기 글라스 테두리부의 평면부에 대응하여 비접촉하도록, 상기 벽체의 하측에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제 1 가이드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이드벽이 상기 도어 글라스와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 사이의 틈새의 아래쪽에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도어.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의 상기 제 3 통로홈부는,
상기 위치 맞춤 홈부의 사이의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벽체의 끝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도어.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의 상기 제 3 통로홈부는,
상기 제 1 가이드벽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이격된 지점을 기준으로 벽체의 끝단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도어.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은,
상기 도어 글라스를 탑재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의 중심에서 두께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도어 글라스의 상기 글라스 테두리부의 내측면을 도어의 두께 방향으로 지지하는 외부 프레임 홀부;
상기 외부 프레임 홀부의 외곽에 이격되게 형성된 외부 프레임 홀보강부;
상기 외부 프레임 홀부와 상기 외부 프레임 홀보강부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리브;
상기 연결리브가 형성되지 않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외부 프레임 홀부의 끝단에 형성된 상기 제 1 통로홈부; 및
상기 제 1 통로홈부에 일치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외부 프레임 홀보강부의 끝단에 형성된 상기 제 2 통로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도어.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은,
상기 외부 프레임 홀보강부와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의 외곽 측 테두리의 사이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된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도어.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은,
상기 외부 프레임 홀보강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용 회로를 수용하기 위한 회로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도어.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외부 프레임은,
상기 격벽의 끝단과 상기 회로 수용부의 사이에 서로 연결되지 않은 내부 통로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도어.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통로부는,
상기 도어 글라스의 내부 공간과 공간상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 1 통로홈부;
상기 제 1 통로홈부에 대하여 공간상 연결되어 있고, 상기 외부 프레임 홀부와 상기 외부 프레임 홀보강부 및 상기 도어 글라스의 글라스 테두리부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상기 제 1 통로홈부의 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공간을 갖는 확장공간부;
상기 확장공간부에 공간상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 2 통로홈부;
상기 제 2 통로홈부에 공간상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통로홈부의 외곽 위치에서 겹쳐져 있는 상기 제 3 통로홈부; 및
상기 제 3 통로홈부로부터 상기 도어의 내부 공간 또는 상기 내부 통로부를 경유하여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의 하부의 유체 배출구까지 형성된 대류 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도어.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배출구는,
벤트 홀의 역할을 위하여, 상기 커버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 내부 프레임의 하부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도어.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4622A KR102368498B1 (ko) | 2017-06-14 | 2017-06-14 |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
US15/936,186 US20180363227A1 (en) | 2017-06-14 | 2018-03-26 | Wall mounted washing machine and door thereof |
CN201810573761.4A CN109082848A (zh) | 2017-06-14 | 2018-06-06 | 壁装式洗衣机及其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4622A KR102368498B1 (ko) | 2017-06-14 | 2017-06-14 |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6086A KR20180136086A (ko) | 2018-12-24 |
KR102368498B1 true KR102368498B1 (ko) | 2022-02-28 |
Family
ID=64657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4622A KR102368498B1 (ko) | 2017-06-14 | 2017-06-14 |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80363227A1 (ko) |
KR (1) | KR102368498B1 (ko) |
CN (1) | CN109082848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63723B1 (ko) | 2018-11-07 | 2022-11-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군집주행 차량의 조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EP3690116B1 (en) * | 2019-02-01 | 2021-08-18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DE102020100945B4 (de) | 2019-02-01 | 2022-12-08 | Lg Electronics Inc. | Wäschebehandlungsvorrichtung |
KR102333379B1 (ko) | 2019-02-01 | 2021-12-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CN111519411B (zh) | 2019-02-01 | 2022-09-27 | Lg电子株式会社 | 衣物处理装置 |
CN111519410B (zh) | 2019-02-01 | 2022-09-27 | Lg电子株式会社 | 衣物处理装置 |
CN111519412B (zh) | 2019-02-01 | 2023-01-03 | Lg电子株式会社 | 衣物处理装置 |
CN111519406A (zh) | 2019-02-01 | 2020-08-11 | Lg电子株式会社 | 衣物处理装置 |
CN111519409B (zh) | 2019-02-01 | 2022-09-09 | Lg电子株式会社 | 衣物处理装置 |
KR20200096040A (ko) * | 2019-02-01 | 2020-08-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CN111519407B (zh) | 2019-02-01 | 2022-10-21 | Lg电子株式会社 | 衣物处理装置 |
CN111519416B (zh) | 2019-02-01 | 2023-05-30 | Lg电子株式会社 | 衣物处理装置 |
US11182123B2 (en) * | 2019-04-30 | 2021-11-23 | Whirlpool Corporation | User-interface system for a laundry applian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5504Y1 (ko) * | 2007-11-22 | 2013-02-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드럼세탁기 |
US20140298866A1 (en) * | 2011-12-08 | 2014-10-09 |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 Wall-mounted drum type washing machin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000248A (en) * | 1998-08-17 | 1999-12-14 | Maytag Corporation | Door vent for horizontal axis washing machines |
KR101084116B1 (ko) * | 2004-06-01 | 2011-11-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드럼세탁기의 도어 |
KR101278159B1 (ko) * | 2007-06-05 | 2013-06-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드럼세탁기 및 드럼세탁기의 도어 |
KR101461388B1 (ko) | 2012-09-28 | 2014-11-13 |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
-
2017
- 2017-06-14 KR KR1020170074622A patent/KR10236849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3-26 US US15/936,186 patent/US2018036322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8-06-06 CN CN201810573761.4A patent/CN109082848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5504Y1 (ko) * | 2007-11-22 | 2013-02-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드럼세탁기 |
US20140298866A1 (en) * | 2011-12-08 | 2014-10-09 |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 Wall-mounted drum type washing mach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6086A (ko) | 2018-12-24 |
US20180363227A1 (en) | 2018-12-20 |
CN109082848A (zh) | 2018-12-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68498B1 (ko) |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 |
US20180363198A1 (en) | Wall mounted washing machine and door thereof | |
US10472758B2 (en) | Wall-mounted drum-type washing machine | |
US10465325B2 (en) | Wall-mounted drum type washing machine | |
US10260190B2 (en) | Wall-mounted drum type washing machine | |
CN107447432B (zh) | 衣物处理装置 | |
US9783924B2 (en) | Wall-mounted drum-type washing machine | |
US20170121895A1 (en) | Wall-mounted drum type washing machine | |
WO2005118939A1 (en) | Drain system of drum-type washing machine | |
KR20170041416A (ko) | 세탁물 처리기기 | |
KR102368505B1 (ko) | 벽걸이형 세탁기 | |
KR20060039186A (ko) | 세탁기의 도어 | |
KR102368502B1 (ko) |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 | |
KR20180136088A (ko) |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스킷 | |
KR20180136108A (ko) |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스킷 | |
KR20180136084A (ko) |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리어 패널 | |
KR20180136110A (ko) |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급수 피팅 | |
KR20180136083A (ko) |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급수 밸브 어셈블리 | |
KR20180136107A (ko) |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스킷 | |
KR20180136087A (ko) |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스킷 | |
KR20180136100A (ko) |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프론트 패널 | |
KR20180136092A (ko) |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터브 일체형 리어 패널,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터브 일체형 리어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금형 | |
KR102368499B1 (ko) | 벽걸이형 세탁기 | |
KR20180136109A (ko) |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리어 패널 | |
KR200395272Y1 (ko) | 세탁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