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359643B1 - 기 수집된 우량 정보, 토양 수분 정보 및 수위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발령정보의 정확성을 향상시킨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 수집된 우량 정보, 토양 수분 정보 및 수위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발령정보의 정확성을 향상시킨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643B1
KR102359643B1 KR1020210150868A KR20210150868A KR102359643B1 KR 102359643 B1 KR102359643 B1 KR 102359643B1 KR 1020210150868 A KR1020210150868 A KR 1020210150868A KR 20210150868 A KR20210150868 A KR 20210150868A KR 102359643 B1 KR102359643 B1 KR 102359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oil moisture
rainfall
water level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환
염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전자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전자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전자산업
Priority to KR1020210150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6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64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우량경보시스템은 하천 수위를 측정하여 수위 정보를 생성하는 수위국 장치, 하천 유역에 설치되어 우량을 측정하고, 우량 정보를 생성하는 우량국 장치, 하천 유역에 설치되어 토양 수분을 측정하고, 토양 수분 정보를 생성하는 토양 수분 측정장치 및 수위국 장치, 우량국 장치 및 토양 수분 장치로부터 각각 수위 정보, 우량 정보 및 토양 수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수신된 수위 정보, 우량 정보 및 토양 수분 정보를 수계 정보로서 저장하는 수계 정보 데이터 베이스, 발령 수위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위 정보 각각에 대하여 발령 수위에 도달한 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이전까지의 수계 정보를 포함하는 수계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계 정보 리스트를 획득하고, 적어도 하나의 수계 정보 리스트에서 포함된 토양 수분 정보를 기초로 토양 수분 함수율이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되기 시작한 수분 토출 시점을 획득하고, 수분 토출 시점의 기준 토양 수분 정보를 획득하고, 적어도 하나의 수계 정보 리스트에서 발령 수위에 도달한 시점으로부터 예상 대피 시간 이전 시점을 획득하고, 수계 정보 리스트에 포함된 우량 정보를 기초로 수분 토출 시점에서 발령 수위에 도달한 시점으로부터 예상 대피 시간 이전 시점 사이의 최대 우량 정보를 적어도 하나 획득하고, 최대 우량 정보를 기초로 발령 우량 정보를 생성하고, 기준 토양 수분 정보를 기초로 발령 토양 수분 정보를 생성하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통제국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 수집된 우량 정보, 토양 수분 정보 및 수위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발령정보의 정확성을 향상시킨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Automatic rainfall warning system with improved alarm accuracy by using data mining techniques based on collected rainfall information, soil moisture information, and water level information}
본 개시는, 기 수집된 우량 정보, 토양 수분 정보 및 수위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적정한 경보 발령 수치를 계산하고 계산된 발령 기준에 따라 발령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발령정보를 이용하여 예경보 대상 지역의 경보를 발령하는 방법, 그에 관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 자동우량경보시스템에서 하천유역의 발령기준은 하천모델의 수리학적 분석에 의해 예측되어진 발령 값을 기본으로 하여 설정된다.
그러나, 기후의 변화 및 하천 유역의 지형, 지질 변화 등에 하여 데이터들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수계모델링을 기반으로 모델링된 자동 경보 발생 시스템은 부정확한 경보를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변화된 데이터들을 반영하여 경보 발생 모델링을 하여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자동 경보 발생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경보발생의 근거가 되는 경보발령수치를 결정하는 수계 데이터를 기초로 정확한 경보발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이다.
본 개시의 목적은 경보발생의 근거가 되는 발령 우량 정보를 수년이상 누적한 수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확한 발령 우량 정보 및 발령 토양 수분 정보를 결정하고 경보 발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우량경보시스템은 하천 수위를 측정하여 수위 정보를 생성하는 수위국 장치, 하천 유역에 설치되어 우량을 측정하고, 우량 정보를 생성하는 우량국 장치, 하천 유역에 설치되어 토양 수분을 측정하고, 토양 수분 정보를 생성하는 토양 수분 측정장치 및 수위국 장치, 우량국 장치 및 토양 수분 장치로부터 각각 수위 정보, 우량 정보 및 토양 수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수신된 수위 정보, 우량 정보 및 토양 수분 정보를 수계 정보로서 저장하는 수계 정보 데이터 베이스, 발령 수위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위 정보 각각에 대하여 발령 수위에 도달한 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이전까지의 수계 정보를 포함하는 수계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계 정보 리스트를 획득하고, 적어도 하나의 수계 정보 리스트에서 포함된 토양 수분 정보를 기초로 토양 수분 함수율이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되기 시작한 수분 토출 시점을 획득하고, 수분 토출 시점의 기준 토양 수분 정보를 획득하고, 적어도 하나의 수계 정보 리스트에서 발령 수위에 도달한 시점으로부터 예상 대피 시간 이전 시점을 획득하고, 수계 정보 리스트에 포함된 우량 정보를 기초로 수분 토출 시점에서 발령 수위에 도달한 시점으로부터 예상 대피 시간 이전 시점 사이의 최대 우량 정보를 적어도 하나 획득하고, 최대 우량 정보를 기초로 발령 우량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통제국 장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은 경보발생의 근거가 되는 경보발령수치를 결정하는 수계 데이터를 기초로 발령 정보를 생성하여 정확한 경보발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개시의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은 경보발생의 근거가 되는 발령 우량 정보를 수년이상 누적한 수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확한 발령 우량 정보 및 발령 토양 수분 정보를 결정하고 경보 발령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우량경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우량경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국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량국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 측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제국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계 정보를 시계열적으로 표시한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령 수치에 따른 발령 우량 기준 정보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수계 정보 리스트를 표시한 그래프를 타나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우량경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우량경보시스템이 설치된 하천 유역의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자동우량경보시스템(10)은 수위국 장치(100), 우량국 장치(200), 토양 수분 측정 장치(300), 통제국 장치(400) 및 경보국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국 장치의 블록도이다.
수위국 장치(100)는 하천 유역에 설치되어 하천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수위국 장치(100)는 하천의 하류 또는 경보국 장치(500)의 주변에 설치되어 경보국 주변의 하천 수위를 감지하여 경보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위국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수위 센서(130)를 통해 하천의 수위를 측정하고, 수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생성된 수위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통제국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량국 장치의 블록도이다.
우량국 장치(200)는 하천 유역에 설치되어 우량을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우량국 장치(200)는 하천의 상류 유역에 설치되어 우량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량국 장치(200)의 프로세서(220)는 강우량계(230)를 통해 우량을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측정된 우량을 기초로 우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우량 정보는 소정의 단위 시간당 비가 내린 양을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생성된 우량 정보를 통신부(210)를 통해 통제국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 측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토양 수분 측정 장치(300)는 하천 유역에 설치되어 토양의 수분 함유율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토양 수분 측정 장치(300)는 우량국 장치(200)와 인접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토양 수분 측정 장치(300)는 우량국 장치(200)의 하나의 구성이 될 수도 있다. 토양 수분 측정 장치(300)는 토양 수분 함수율을 측정할 수 있는 토양 수분 센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 토양 수분 센서(330)는 단위 부피당 토양에 포함된 수분량(%)을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토양 수분 센서(330)에서 측정된 토양 수분 함수율 측정 값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토양 수분 센서(330)에서 기 설정된 시간마다 토양 수분 함수율 측정 값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획득한 토양 수분 함수율 측정 값에 기초하여 하천 유역의 토양의 단위 부피당 수분율에 대한 토양 수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20)는 획득한 토양 수분 정보를 통신부(310)를 통해 통제국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제국 장치의 블록도이다.
통제국 장치(400)는 수위국 장치(100), 우량국 장치(200) 및 토양 수분 장치(300)로부터 수위 정보, 우량 정보 및 토양 수분 정보 각각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통제국 장치(400)의 프로세서(420)는 수위 정보, 우량 정보 및 토양 수분 정보 각각을 통신부(4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420)는 수위국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수위 정보, 우량국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우량 정보 및 토양 수분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토양 수분 정보를 메모리(420)의 수계 정보 데이터베이스(421)에 저장할 수 있다.
수계 정보 데이터베이스(421)는 수위 정보, 우량 정보, 토양 수분 정보 각각이 측정된 시간과 연관하여 시계열적 데이터로서 저장할 수 있다. 수계 정보는 수위 정보, 우량 정보 및 토양 수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420)는 디스플레이부(430)를 통해 수계 정보 데이터베이스(421)에 저장된 수계 정보를 시계열적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계 정보를 시계열적으로 표시한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프로세서(420)는 복수의 시간(t, t-1, t-2, t-3, t-4, t-5)마다 수위 정보, 우량 정보 및 토양 수분 정보를 포함하는 수계 정보를 그래프화하여 디스플레이부(430)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통제국 장치(400)는 관리자가 단위 시간당 우량의 증가 또는 토양 수분의 함수율 증가에 따른 수위 증가 수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7을 참고하면, 하천 유역에 비가 내리기 시작하는 경우, 예를 들어, t-5 시점에서부터 우량이 검출되기 시작하는 경우, 토양에서 수분을 흡수하기 시작하면서 토양 수분 함수율이 점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지속적으로 비가 내리는 경우, 토양의 수분의 함습이 최고조에 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3 시점에 토양 수분 함수율은 최고치에 도달할 수 있다. 그 후, 비가 지속적으로 오는 경우 토양에서 더 이상 수분을 흡수할 수 없으므로, 토양 수분 함수율이 그대로 유지된다. 이 경우, 비는 토양에 흡수되지 않고 흘러 내려가게 된다. 따라서, 하천 상류 지역에 비가 지속적으로 내리는 경우, 토양 수분 함수율이 최고치에 도달하고, 비가 토양에 흡수되지 않고 흘러내리게 됨으로써, 소정의 시간 후에 하천의 수위가 상승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프로세서(420)는 수계 정보에 포함된 우량 정보, 토양 수분 함수율을 기초로 비가 내리기 시작하여 토양 함수율이 최고치에 도달하고, 비가 토양에 흘러내리기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수위가 어느정도 상승하기 시작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령 수치에 따른 발령 우량 기준 정보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프로세서(42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440)를 통해 발령 수위를 입력 받을 수 있다(S801). 또한, 프로세서(420)는 예상 대피 시간을 입력받을 수 있다.
발령 수위는 발령 정보를 발생시킬 하천의 수위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발령 정보는 주의보 발령, 경보 발령 및 대피 발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주의보 발령, 경보 발령, 대피 발령 순으로 위기 단계가 격상되고 발령 수위가 높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발령 수위는 주의보 발령 수위, 경보 발령 수위 및 대피 발령 수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상 대피 시간은 발령 수위에 도달하기 전에 사람들이 대피할 수 있는 예상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령 수위에 도달한 시점이 오후 1시 50분이고, 예상 대피 시간 10분인 경우, 오후 1시 40분에 미리 경보를 함으로써 발령 수위에 도달하는 오후 1시 50분 이전에 대피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프로세서(420)는 수계 정보 데이터베이스(421)로부터 입력받은 발령 수위에 도달했던 적어도 하나의 수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802).
프로세서(420)는 수계 정보 데이터베이스(421)에서 발령 수위에 도달했던 수계 정보를 하나 이상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20)는 입력된 발령 수위가 예를 들어 40 Cm인 경우 복수의 수계 정보에서 발령 수위(예를 들어, 40 Cm)에 도달하는 수위 정보를 갖는 하나 이상의 수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프로세서(420)는 입력된 발령 수위에 도달하는 수위 정보를 갖는 과거의 저장된 데이터에서 제1 수계 정보, 제2 수계 정보, 제3 수계 정보 및 제4 수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420)는 획득한 하나 이상의 수계 정보 각각에 대하여 발령 수위에 도달한 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이전까지의 수계 정보를 포함하는 수계 정보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S804). 이 수계정보 리스트는 과거 저장자료로부터 토양 수분 함수율에 의한 토출시간으로부터 우량이 지속되는 시간과 강도를 추출하여 정보화한 것을 의미할 수 잇다. 이 경우, 소정의 시간은 하천의 수위가 발령 수위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발령을 할 수 있도록 안전이 확보될 수 있는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프로세서(420)는 제1 수계정보, 제2 수계 정보, 제3 수계 정보 및 제4 수계 정보 각각에 대하여 발령 수위에 도달한 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이전까지의 제1 수계 정보 리스트, 제2 수계 정보 리스트, 제3 수계 정보 리스트 및 제4 수계 정보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420)는 획득한 수계 정보 리스트에서 토양 수분 정보를 기초로 토양 수분 함수율이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되기 시작한 수분 토출 시점을 획득하고 수분 토출 시점의 토양 수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805).
수분 토출 시점은 토양의 함수율이 최대치에 도달하고 포화되어 더 이상 토양에서 수분을 흡수할 수 없어, 토양에서 수분이 토출되는 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420)는 우량이 지속적으로 측정되는 상황에서 토양 수분 함수율이 상승하다가 토양의 최대 함수율에 도달하면서 토양 수분 정보가 유지되는 수분 토출 시점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20)는 획득한 수계 정보 리스트에서 토양 수분 정보가 소정의 토양 함수율 기준치에 도달한 수분 토출 시점을 획득할 수도 있다. 소정의 토양 함수율 기준치는 토양 함수율이 최대치가 될 수 있는 수치가 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20)는 획득한 수계 정보 리스트에서 수분 토출 시점의 기준 토양 수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프로세서(420)는 제1 수계 정보 리스트에서 토양 수분 정보가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되기 시작한 수분 토출 시점 (a1)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20) 제1 수계 정보 리스트에서 수분 토출 시점(a1)의 제1 기준 토양 수분 정보(905)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20)는 제2 수계 정보 리스트에서 토양 수분 정보가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되기 시작한 수분 토출 시점 (b1)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20) 제2 수계 정보 리스트에서 수분 토출 시점(b1)의 제2 기준 토양 수분 정보(906)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20)는 제3 수계 정보 리스트에서 토양 수분 정보가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되기 시작한 수분 토출 시점 (c1)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20) 제3 수계 정보 리스트에서 수분 토출 시점(c1)의 제3 기준 토양 수분 정보(907)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20)는 제4 수계 정보 리스트에서 토양 수분 정보가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되기 시작한 수분 토출 시점 (d1)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20) 제4 수계 정보 리스트에서 수분 토출 시점(d1)의 제4 기준 토양 수분 정보(907)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420)는 수계정보 리스트에서 발령 수위에 도달한 시점으로부터 예상 대피 시간 이전 시점을 획득할 수 있다(S805).
도 9를 참고하면, 예를 들어, 예상 대피 시간이 1 단위 시간(예를 들어, 10분)인 경우, 프로세서(420)는 제1 수계 정보 리스트에서 발령 수위에 도달한 시점으로부터 예상 대피 시간 이전 시점(a2)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20)는 제2 수계 정보 리스트에서 발령 수위에 도달한 시점으로부터 예상 대피 시간 이전 시점(b2)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20)는 제3 수계 정보 리스트에서 발령 수위에 도달한 시점으로부터 예상 대피 시간 이전 시점(c2)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20)는 제4 수계 정보 리스트에서 발령 수위에 도달한 시점으로부터 예상 대피 시간 이전 시점(d2)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420)는 수계정보 리스트에 포함된 우량 정보를 기초로 수분 토출 시점에서 발령 수위에 도달한 시점으로부터 예상 대피 시간 이전 시점 사이의 최대 우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806).
도 9를 참고하면, 프로세서(420)는 제1 수계 정보 리스트에서 수분 토출 시점(a1)에서 발령 수위에 도달한 시점으로부터 예상 대피 시간 이전 시점(a2) 사이의 제1 최대 우량 정보(901)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20)는 제2 수계 정보 리스트에서 수분 토출 시점(b1)에서 발령 수위에 도달한 시점으로부터 예상 대피 시간 이전 시점(b2) 사이의 제2 최대 우량 정보(902)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20)는 제3 수계 정보 리스트에서 수분 토출 시점(c1)에서 발령 수위에 도달한 시점으로부터 예상 대피 시간 이전 시점(c2) 사이의 제3 최대 우량 정보(903)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20)는 제4 수계 정보 리스트에서 수분 토출 시점(d1)에서 발령 수위에 도달한 시점으로부터 예상 대피 시간 이전 시점(d2) 사이의 제4 최대 우량 정보(904)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420)는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최대 우량 정보 우량 정보를 기초로 발령 우량 정보를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기준 토양 수분 정보를 기초로 발령 토양 수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807).
예를 들어, 최대 우량 정보가 복수인 경우, 프로세서(420)는 복수의 최대 우량 정보의 최소값, 평균값 또는 최대값을 발령 우량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20)는 제1 최대 우량 정보(901), 제2 최대 우량 정보(902), 제3 최대 우량 정보(903) 및 제4 최대 우량 정보(904)의 최소값, 평균값 또는 최대값을 발령 우량 정보로 생성할 수 잇다. 한편, 최소값을 발령 우량 정보로 생성하는 경우 민감하게 발령을 할 수 있어 사람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기준 토양 수분 정보가 복수 인 경우, 프로세서(420)는 복수의 기준 토양 수분 정보의 최소값, 평균값 또는 최대 값을 발령 토양 수분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20)는 제1 기준 토양 수분 정보(905), 제2 기준 토양 수분 정보(906), 제3 기준 토양 수분 정보(907) 및 제4 기준 토양 수분 정보(908)의 최소값, 평균값 또는 최대값을 발령 우량 정보로 생성할 수 잇다.
한편, 프로세서(420)는 생성된 발령 우량 정보 및 발령 토양 수분 정보를 기초로 정상발령 확률, 미발령 확률 및 오발령 확률을 획득할 수 있다(S809).
예를 들어, 프로세서(420)는 수계 정보 데이터베이스(421)에 있는 과거의 수계 정보에 대하여 발령 우량 정보 및 발령 토양 수분 정보를 기초로 발령 정보 생성을 테스트할 수 있다.
프로세서(420)는 발령 우량 정보 및 발령 토양 수분 정보를 기초로 발령 정보가 생성되는 시점에서 예상 대피 시간 이후에 수위가 발령 수위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20)는 발령 정보가 생성되는 시점에서 예상 대피 시간 이후에 수위가 발령 수위에 도달한 경우, 정상 발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20)는 발령 정보가 생성되는 시점에서 예상 대피 시간 이후에 수위가 발령 수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오발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20)는 발령 수위에 도달했으나, 예상 대피 시간 이전에 발령 정보가 생성되지 않은 경우, 미발령으로 분류할 수 있다.
프로세서(420)는 정상 발령 횟수, 오발령 횟수 및 미발령횟수를 기초로 정상 발령 확률, 오발령 확률 및 미발령 확률을 획득할 수 있다(S809).
예를 들어, 프로세서(420)는 정상 발령 횟수, 오발령 횟수 및 미발령횟수의 총 합을 분모로 하고, 정상 발령 횟수, 오발령 횟수 및 미발령횟수 각각을 분자로하여 백분율로 정상 발령 확률, 오발령 확률 및 오발령 확률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20)는 정상 발령 확률이 기 설정된 확률 이상이 될 때까지 발령 우량 정보 및 발령 토양 수분 정보를 소정의 범위에서 변경할 수 있다(S809).
또한, 프로세서(420)는 오발령 확률 또는 미발령 확률이 기 설정된 확률 이하가 될 때까지 발령 우량 정보 및 발령 토양 수분 정보를 소정의 범위에서 변경할 수 있다(S809).
예를 들어, 프로세서(420)는 발령 우량 정보의 값 및 발령 토양 수분 정보의 값을 소정의 범위에서 변경하고, 다시 정상 발령 확률, 오발령 확률 및 오발령 확률을 획득하고, 정상 발령 확률이 기 설정된 확률 이상인지 여부와, 오발령 확률 또는 미발령 확률이 기 설정된 확률 이하가 될 때까지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420)는 생성된 발령 우량 정보 또는 발령 토양 수분 정보를 기초로 경보 발령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경보 발령 정보를 경보국 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다(S809).
예를 들어, 프로세서(420)는 현재 우량 값 또는 토양 수분 값이 발령 우량 정보 또는 발령 토양 수분 정보를 충족하는 경우 경보 발령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프로세서(420)는 현재 토양 수분 값이 발령 토양 수분 정보의 값 이상이고, 현재 우량 값이 발령 우량 정보의 값 이상 인 경우, 경보 발령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20)는 생성된 경보 발령 정보를 통신부(410)를 통해 경보국 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경보국 장치(500)는 수신한 경보 발령 정보를 기초로 경보 방송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보국 장치(500)는 스피커 등을 통하여 경고 방송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5)

  1. 하천 수위를 측정하여 수위 정보를 생성하는 수위국 장치;
    하천 유역에 설치되어 우량을 측정하고, 우량 정보를 생성하는 우량국 장치;
    상기 하천 유역에 설치되어 토양 수분을 측정하고, 토양 수분 정보를 생성하는 토양 수분 측정장치 및
    상기 수위국 장치, 상기 우량국 장치 및 상기 토양 수분 장치로부터 각각 상기 수위 정보, 상기 우량 정보 및 상기 토양 수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수신된 수위 정보, 우량 정보 및 토양 수분 정보를 수계 정보로서 저장하는 수계 정보 데이터 베이스; 발령 수위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위 정보 각각에 대하여 상기 발령 수위에 도달한 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이전까지의 수계 정보를 포함하는 수계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계 정보 리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계 정보 리스트에서 포함된 토양 수분 정보를 기초로 토양 수분 함수율이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되기 시작한 수분 토출 시점을 획득하고, 상기 수분 토출 시점의 기준 토양 수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계 정보 리스트에서 상기 발령 수위에 도달한 시점으로부터 예상 대피 시간 이전 시점을 획득하고, 상기 수계 정보 리스트에 포함된 우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분 토출 시점에서 상기 발령 수위에 도달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예상 대피 시간 이전 시점 사이의 최대 우량 정보를 적어도 하나 획득하고, 상기 최대 우량 정보를 기초로 발령 우량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기준 토양 수분 정보를 기초로 발령 토양 수분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통제국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최대 우량 정보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최대 우량 정보의 최소값, 평균값 및 최대값 중 적어도 하나를 발령 우량 정보로 생성하는,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준 토양 수분 정보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기준 토양 수분 정보의 최소값, 평균값 및 최대값 중 적어도 하나를 발령 토양 수분 정보로 생성하는,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발령 우량 정보 및 상기 발령 토양 수분 정보를 기초로 정상발령 확률을 획득하고,
    상기 정상발령 확률이 기 설정된 확률 이상일 때까지 상기 발령 우량 정보 및 상기 발령 토양 수분 정보를 소정의 범위 내에서 변경하는,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발령 정보를 수신하는 경보국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제국 장치는 상기 발령 우량 정보를 기초로 경보 발령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경보국 장치로 상기 경보 발령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경보국 장치는,
    수신한 경보 발령 정보를 기초로 스피커를 통하여 경고 방송을 수행하는,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
KR1020210150868A 2021-11-04 2021-11-04 기 수집된 우량 정보, 토양 수분 정보 및 수위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발령정보의 정확성을 향상시킨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 Active KR102359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868A KR102359643B1 (ko) 2021-11-04 2021-11-04 기 수집된 우량 정보, 토양 수분 정보 및 수위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발령정보의 정확성을 향상시킨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868A KR102359643B1 (ko) 2021-11-04 2021-11-04 기 수집된 우량 정보, 토양 수분 정보 및 수위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발령정보의 정확성을 향상시킨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9643B1 true KR102359643B1 (ko) 2022-02-10

Family

ID=80253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868A Active KR102359643B1 (ko) 2021-11-04 2021-11-04 기 수집된 우량 정보, 토양 수분 정보 및 수위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발령정보의 정확성을 향상시킨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6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92811A (zh) * 2023-10-27 2024-01-12 浙江水文新技术开发经营有限公司 一种山丘降雨监测预警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720B1 (ko) * 2014-08-18 2014-10-08 주식회사 씨엔큐솔루션 하천 수위 현황 및 최근 기간 강우량을 고려한 강우 및 수위 경보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1778947B1 (ko) * 2017-07-21 2017-09-15 주식회사 한성전자산업 강우 지속 시간과 그 우량의 대지 흡수율을 이용한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
KR102268116B1 (ko) * 2019-12-30 2021-06-22 (주)로커스솔루션 선행강우를 고려한 홍수경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720B1 (ko) * 2014-08-18 2014-10-08 주식회사 씨엔큐솔루션 하천 수위 현황 및 최근 기간 강우량을 고려한 강우 및 수위 경보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1778947B1 (ko) * 2017-07-21 2017-09-15 주식회사 한성전자산업 강우 지속 시간과 그 우량의 대지 흡수율을 이용한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
KR102268116B1 (ko) * 2019-12-30 2021-06-22 (주)로커스솔루션 선행강우를 고려한 홍수경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92811A (zh) * 2023-10-27 2024-01-12 浙江水文新技术开发经营有限公司 一种山丘降雨监测预警系统
CN117392811B (zh) * 2023-10-27 2024-05-07 浙江水文新技术开发经营有限公司 一种山丘降雨监测预警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ng et al. Assessing the impact of reduced visibility on traffic crash risk using microscopic data and surrogate safety measures
Hisdal et al. Drought event definition
CN105223034B (zh) 一种制动性能测试方法及其系统
CN111259538B (zh) 一种振动报警方法、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102359643B1 (ko) 기 수집된 우량 정보, 토양 수분 정보 및 수위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발령정보의 정확성을 향상시킨 자동 우량 경보 시스템
Naaim-Bouvet et al. Detection of snowfall occurrence during blowing snow events using photoelectric sensors
JP6107967B2 (ja) 分析装置、分析方法および分析プログラム
US20150308920A1 (en) Adaptive baseline damag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TW201734444A (zh) 資訊處理裝置、參數修正方法及電腦程式產品
JP2002190090A (ja) 交通流の異常検知装置及び方法(スペクトル)
KR102016378B1 (ko) 센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사면 붕괴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9624138B (zh) 基于动态阈值的地质灾害风险预测方法、系统、设备及介质
US1099666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quality controlled data from a redundant sensor system
JP3876653B2 (ja) 交通流の異常検知装置及び方法
KR102253536B1 (ko) 강우레이더 정보 및 강우 실측 정보를 이용한 호우 예경보 발령 방법 및 이를 위한 자동우량경보시스템
JP7048026B2 (ja) 雨量等変化率計測システム、雨量等変化率計測方法、及び雨量等変化率計測用装置
KR101380675B1 (ko) 구름의 유무 결정 장치 및 방법
Novelan Monitoring water levels as flood detectors by utilizing telegram applications based on iot (internet of things)
JP6707749B1 (ja) ため池決壊予測システム、ため池決壊予測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orza-Villegas et al. Assessing short-term climate change impacts on water supply at the Wupper catchment area, Germany
KR102517917B1 (ko) 딥러닝 기반의 물관리 의사결정 지원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200080874A1 (e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CN110232477B (zh) 一种反映下垫面变化影响的洪水预警方法和装置
JP5548415B2 (ja) 火災警報器
KR102366086B1 (ko) 공기질 측정 시스템 및 공기질 측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