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333201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201B1
KR102333201B1 KR1020150120637A KR20150120637A KR102333201B1 KR 102333201 B1 KR102333201 B1 KR 102333201B1 KR 1020150120637 A KR1020150120637 A KR 1020150120637A KR 20150120637 A KR20150120637 A KR 20150120637A KR 102333201 B1 KR102333201 B1 KR 102333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cover
adhesive
adhesive layer
adhesive member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6715A (ko
Inventor
방진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0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201B1/ko
Publication of KR20170026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6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2Heating or cooling of liquid crystal cells other than for activation, e.g.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emperature control, stabilisation or uniform distribution over the cel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01L51/56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들뜸과 미끌림 현상을 방지하면서 리워크 작업시 패널과 백 커버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점착부재의 서로 다른 점착력을 갖는 일측면과 타측면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백 커버에 교차되며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들뜸과 미끌림 현상을 방지하면서 리워크 작업시 패널과 백 커버의 분리가 용이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Device),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양산화 기술, 구동수단의 용이성, 고화질의 구현이라는 장점에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제 1 기판(101), 제 1 기판(101)과 마주하는 제 2 기판(102)으로 구성되며, 제 1 및 제2 기판(101, 102)은 서로 이격되어 이의 가장자리부를 밀봉부재를 통해 봉지되어 합착되어 OLED패널(110)을 이룬다.
이때, OLED패널(110)의 상부면에는 편광판(140)이 부착되는데, 여기서, 편광판(140)은 OLED패널(110)이 외부광의 세기에 따라 콘트라스트가 크게 감소하는 단점이 있어, 외부광에 의한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OLED패널(110)은 배면이 접착부재(125)로, 수평면(121)과 측면(123)으로 이루어지는 백 커버(120)과 결합되며, 백 커버(120)의 측면(123)은 완충부재(130)가 결합되고 이의 외측에 케이스(160)가 OLED패널(110)의 전면 일부를 감싸면서 결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조와 조립이 끝난 후 패널에 불량이 발생되어 리워크하는 경우에 접착부재의 결합력 때문에 패널과 백 커버의 분리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무리하게 과도한 힘으로 패널과 백 커버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패널이 파손되거나 백 커버의 변형이 발생되어 리워크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시간만 소비하는 공정상의 손실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소면적 또는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두께를 최소화하면서 패널과 백 커버의 결합력도 유지하고 리워크시에는 패널과 백 커버의 분리도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면적 또는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두께를 대폭 줄여 슬림화와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면적 또는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두께를 대폭 줄이면서 패널이 들뜨는 품질 불량을 방지하고, 패널과 백 커버가 분리되어 수분이나 외부 충격으로 인한 패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면적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리워크시 패널과 백 커버의 분리가 가능해지고, 분리할 때 필요한 분리력도 대폭 줄어들게 되어 리워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결합되는 백 커버, 점착력이 서로 다른 제1점착층과 제2점착층이 일측면과 타측면에 구비되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과 백 커버의 전면 사이에 결합되는 점착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소면적 또는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두께를 대폭 줄여 슬림화와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면적 또는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두께를 대폭 줄이면서 패널이 들뜨는 품질 불량을 방지하고, 패널과 백 커버가 분리되어 수분이나 외부 충격으로 인한 패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면적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리워크시 패널과 백 커버의 분리가 가능해지고, 분리할 때 필요한 분리력도 대폭 줄어들게 되어 리워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백 커버와 점착부재의 박리강도 시험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백 커버와 점착부재의 전단강도 시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백 커버와 점착부재의 박리강도 시험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백 커버와 점착부재의 전단강도 시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201),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배면에 결합되는 백 커버(203), 점착력이 서로 다른 제1점착층(210)과 제2점착층(220)이 일측면과 타측면에 구비되며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배면과 백 커버(203)의 전면 사이에 결합되는 점착부재(230)를 포함한다.
종래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백 커버(203)를 접착부재를 이용해 결합함으로써 분리가 불가능했던 것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점착부재(230)를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만, 단순히 접착부재 대신 점착부재(230)를 이용하면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백 커버(203)와의 결합력이 낮아져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들뜨는 품질 불량이 발생되거나 백 커버(203)의 한쪽이 완전히 분리되어 수분이나 외부 충격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손상되는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점착부재(230)는 서로 다른 점착력을 갖는 일측면과 타측면이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백 커버(203)에 교차되며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점착부재(230)는 폴리우레탄 폼으로 형성되는 기재층(205)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제1점착층(210)과 제2점착층(220)이 구비되며, 도 2의 (a)와 같이 제1점착층(210)이 백 커버(203)에 결합되고 제2점착층(220)이 디스플레이 패널(201)에 결합되는 경우와, 도 2의 (b)와 같이 제1점착층(210)이 디스플레이 패널(201)에 결합되고 제2점착층(220)이 백 커버(203)에 결합되는 경우가 서로 혼재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의 디스플레이 패널(201)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이거나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에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는 경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 하부 기판에 부착된 하부 편광판, 및 상부 기판의 전면에 부착된 상부 편광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하부 기판 및 상부 기판의 구체적인 구성은 액정 패널의 구동모드, 예를 들어,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및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등에 따라, 당 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는 경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및 전원(VDD)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형성된 복수의 발광 셀을 포함하는 하부 기판 및 하부 기판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발광 셀 각각은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전원(VDD) 라인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 트랜지스터 및 구동 트랜지스터의 스위칭에 따라 제어되는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 소자(예로서, OLE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 기판은 수분 또는 대기 중의 산소로부터 발광 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흡습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부 기판에는 구동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발광 소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하부 기판의 발광 소자는 생략될 수도 있다.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픽셀 어레이에 있는 유기 화합물은 수분이나 산소에 노출되면 열화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픽셀 열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봉지부재(encapsulation member)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부 배면에 접합되어 픽셀 어레이를 밀봉할 수 있는데 여기서, 봉지부재는 금속 기판이나 유리 기판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는 편광필름이 접착될 수 있다.
그리고,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양측 최외곽의 배면에는 IC(미도시)가 실장된 복수개의 가요성 회로필름이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이 설치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가요성 회로필름은 TAB(Tape Automated Bonding) 공정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되는 것으로,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COF(Chip On Flexible Board 또는 Chip On Fil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01)은 복수개의 가요성 회로필름을 통해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접속 내지는 연결되며, 인쇄회로기판은 복수의 가요성 회로필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1)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각종 신호를 제공한다.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백 커버(203)의 두께가 초박형인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에 본 발명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기에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일례로 도시하였고, 자체적으로 빛을 발산하는 구조상 패널로 빛을 발산하는 백라이트 유닛은 구성되어 있지 않으며, 이하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백 커버(203)에 결합된 점착부재(230)의 다양한 실시예를 정면도로 도시하고 있는데, 백 커버(203)의 전면 중심부에는 그라파이트로 형성되는 방열부재(240)가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1)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백 커버(203)의 전면에 구비된 방열부재(240)가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배면과 밀착되게 결합되고 방열부재(240)의 둘레 영역에 점착부재(230)가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백 커버(203)를 결합시키면서 백 커버(203)로 열을 방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점착부재(230)는 제1점착층(210)의 박리강도가 제2점착층(220)의 박리강도보다 작게 형성되며,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1점착층(210)이 백 커버(203)의 전면에 결합되는 제1점착부재(230a)와, 제2점착층(220)이 백 커버(203)의 전면에 결합되는 제2점착부재(230b)가 각각 한개 이상씩 방열부재(240)의 둘레 영역에 배치되도록 결합되는데,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백 커버(203) 각각과의 결합력이 다르게 결합됨으로써 리워크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만, 여기서 제1점착부재(230a)와 제2점착부재(230b)는 동일한 점착부재(230)이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면과 배면이 백 커버(203)에 결합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구분한 것임을 참고하기 바란다.
그리고, 제1점착부재(230a)와 제2점착부재(230b)는 각각 두개 이상씩 방열부재(240)의 둘레 영역에 배치되는데, 제1점착부재(230a)와 제2점착부재(230b)가 각각 백 커버(203)의 좌우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결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백 커버(203)의 결합력이 전 영역에 일정하게 유지됨과 더불어 리워크시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백 커버(203)의 좌우 방향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제1점착부재(230a)와 제2점착부재(230b)가 각각 백 커버(203)의 상하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결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백 커버(203)의 결합력이 전 영역에 일정하게 유지됨과 더불어 리워크시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백 커버(203)의 상하 방향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리워크시 백 커버(203)의 상하 단부 부위부터 박리가 잘 될 수 있도록 제1점착부재(230a)가 백 커버(203)의 상하 최외곽에 배치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제1점착부재(230a)와 제2점착부재(230b)가 각각 백 커버(203)의 좌우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1점착부재(230a)가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가요성 회로필름 영역(A1 부위)을 제외한 백 커버(203)의 좌우 최외곽에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백 커버(203)의 결합력이 전 영역에 일정하게 유지됨과 더불어 리워크시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백 커버(203)의 좌우 방향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좌우 최외곽에 구비된 가요성 회로필름 영역(A1 부위)과 이격된 위치에 제1점착부재(230a)가 배치되도록, 백 커버(203)의 좌우 최외곽에서 가요성 회로필름 영역(A1 부위)만큼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리워크시 가요성 회로필름을 보호하면서 백 커버(203)의 좌우 단부 부위에서 박리가 잘 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제1점착부재(230a)와 제2점착부재(230b)의 면적비 즉, 백 커버(203)의 전면에서 방열부재(240)가 결합되는 면적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중에서 제1점착부재(230a)가 차지하는 면적과 제2점착부재(230b)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이 20:80 ~ 40:60 의 비율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점착부재(230)와 백 커버(203)와의 결합력이 점착부재(230)와 디스플레이 패널(201)과의 결합력보다 크게 되는데, 이는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백 커버(203)의 결합력 유지와 리워크시의 분리력을 일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여기서, 제1점착부재(230a)의 면적 비율이 20% 보다 작은 경우에는 점착부재(230)와 백 커버(203)의 결합력이 너무 높아서 리워크가 불가능해지거나 과도한 분리력이 필요해지게 되고, 제1점착부재(230a)의 면적 비율이 40% 보다 큰 경우에는 점착부재(230)와 백 커버(203)의 결합력이 너무 낮아서 패널(201)이 들뜨거나 패널(201)과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즉, 제1점착부재(230a)의 면적 비율이 20~40% 의 범위(또는 제2점착부재(230b)의 면적 비율이 80~60% 의 범위)에서 백 커버(203)와 결합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백 커버(203)의 적절한 결합력을 유지하면서도,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들뜨는 품질 불량을 방지하고 리워크시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백 커버(203)의 분리가 가능해짐과 동시에 분리하는 힘이 줄어들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여기서, 백 커버(203)는 성형성과 재료비 등을 고려하여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소정의 강도와 더불어 방열성도 고려하여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도장 금속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백 커버(203)는 무게와 두께를 최소화하면서 점착부재(230)의 점착력이 최적화될 수 있도록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도장 금속(PCM, Pre-Coated Metal)으로 형성되는데, 도 7과 같은 박리강도 시험에서 시편(M)에 부착된 점착부재(230)를 백 커버(203)에서 박리시킬 때 백 커버(203)의 재질이 스테인레스 스틸인 경우, 백 커버(203)와 제1점착층(210)의 박리강도는 260~300 gf/inch 이고, 백 커버(203)와 제2점착층(220)의 박리강도는 380~420 gf/inch 가 된다.
또한, 도 8과 같은 전단강도 시험에서 시편(M)에 부착된 점착부재(230)를 백 커버(203)에서 수평으로 분리시 백 커버(203)의 재질이 스테인레스 스틸인 경우, 백 커버(203)와 제1점착층(210)의 전단강도는 3.9~4.3 kgf/cm2 이고, 백 커버(203)와 제2점착층(220)의 전단강도는 5.5~5.9 kgf/cm2 가 된다.
그리고, 백 커버(203)의 재질이 도장 금속인 경우 스테인레스 스틸에 비해 대략 40~45% 낮은 박리강도와 전단강도를 갖는다.
즉, 백 커버(203)의 재질이 도장 금속인 경우, 백 커버(203)와 제1점착층(210)의 박리강도는 154~168 gf/inch 이고 백 커버(203)와 제2점착층(220)의 박리강도는 220~240 gf/inch 이며, 백 커버(203)와 제1점착층(210)의 전단강도는 2.2~2.4 kgf/cm2 이고 백 커버(203)와 제2점착층(220)의 전단강도는 3.1~3.4 kgf/cm2 이다.
이와 같은 박리강도 시험과 전단강도 시험에서 얻은 결과와,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백 커버(203)를 점착부재(230)로 결합시 패널(201)의 들뜸과 미끌림이 발생되지 않고 분리되지 않으면서, 리워크시에 과도한 분리력이 필요하지 않는 최적의 결합력을 같는 박리강도와 전단강도를 만족하는 제1점착층(210)과 제2점착층(220)의 면적비를 도출하였으며, 제1점착층(210)이 백 커버(203)의 전면에 결합되는 경우인 제1점착부재(230a)의 면적 비율이 20~40% 의 범위에서 백 커버(203)와 결합되도록 하였다.
즉, 백 커버(203)의 성형성, 강도, 방열성, 무게, 두께 등의 모든 조건을 함께 고려하면 스테인레스 스틸과 도장 금속이 최적의 재질이되지만 자석에 부착되지 않는 재질이어서, 종래 기술과 같이 접착부재로 결합하는 경우 리워크가 불가능해지므로 본 발명과 같이 서로 다른 점착력을 갖는 점착부재(230)의 제1점착층(210)과 제2점착층(220)이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백 커버(203)에 교차되면서, 20:80 ~ 40:60 의 비율로 결합됨으로써 패널(201)의 들뜸 방지와 더불어 리워크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소면적 또는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두께를 대폭 줄여 슬림화와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면적 또는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두께를 대폭 줄이면서 패널이 들뜨는 품질 불량을 방지하고, 패널과 백 커버가 분리되어 수분이나 외부 충격으로 인한 패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면적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리워크시 패널과 백 커버의 분리가 가능해지고, 분리할 때 필요한 분리력도 대폭 줄어들게 되어 리워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1: 디스플레이 패널 203: 백 커버
210: 제1점착층 220: 제2점착층
230: 점착부재 230a: 제1점착부재
230b: 제2점착부재

Claims (10)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결합되는 백 커버;
    점착력이 서로 다른 제1점착층과 제2점착층이 일측면과 타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과 상기 백 커버의 전면 사이에 결합되는 점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백 커버의 전면 중심부에는 방열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과 밀착되고, 상기 방열부재의 둘레 영역에 상기 점착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점착부재는 상기 제1점착층의 박리강도가 상기 제2점착층의 박리강도보다 작으며, 상기 제1점착층이 상기 백 커버의 전면에 결합되는 제1점착부재와, 상기 제2점착층이 상기 백 커버의 전면에 결합되는 제2점착부재가 각각 한개 이상씩 상기 방열부재의 둘레 영역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점착부재와 제2점착부재는 각각 두개 이상씩 상기 방열부재의 둘레 영역에 배치되되, 상기 제1점착부재와 제2점착부재가 각각 상기 백 커버의 좌우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점착부재와 제2점착부재가 각각 상기 백 커버의 상하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점착부재가 상기 백 커버의 상하 최외곽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점착부재가 상기 백 커버의 좌우 최외곽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요성 회로필름 영역만큼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점착부재와 제2점착부재의 면적비가 20:80 ~ 40:60 의 비율로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 커버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스틸이며, 상기 백 커버와 제1점착층의 박리강도는 260~300 gf/inch 이고 상기 백 커버와 제2점착층의 박리강도는 380~420 gf/inch 이며, 상기 백 커버와 제1점착층의 전단강도는 3.9~4.3 kgf/cm2 이고 상기 백 커버와 제2점착층의 전단강도는 5.5~5.9 kgf/cm2 인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 커버의 재질이 도장 금속이며, 상기 백 커버와 제1점착층의 박리강도는 154~168 gf/inch 이고 상기 백 커버와 제2점착층의 박리강도는 220~240 gf/inch 이며, 상기 백 커버와 제1점착층의 전단강도는 2.2~2.4 kgf/cm2 이고 상기 백 커버와 제2점착층의 전단강도는 3.1~3.4 kgf/cm2 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20637A 2015-08-27 2015-08-27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33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637A KR102333201B1 (ko) 2015-08-27 2015-08-27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637A KR102333201B1 (ko) 2015-08-27 2015-08-27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715A KR20170026715A (ko) 2017-03-09
KR102333201B1 true KR102333201B1 (ko) 2021-12-01

Family

ID=58402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637A KR102333201B1 (ko) 2015-08-27 2015-08-27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2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4943B (zh) 2017-08-21 2024-01-30 金学模 改善散热及电磁波屏蔽功能的层压石墨的膜上芯片型半导体封装
KR101969507B1 (ko) 2018-08-07 2019-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17519A (ko) 2019-08-08 2021-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03692A (ko) * 2020-07-01 2022-01-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재작업 방법 및 표시 장치의 분리 장치
CN117640804B (zh) * 2023-10-31 2024-10-25 荣耀终端有限公司 粘接结构和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3169A (ja) 2007-06-21 2009-01-08 Rohm Co Ltd 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065B1 (ko) * 2010-12-31 2019-04-1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재작업성이 향상된 양면 점착 테이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3169A (ja) 2007-06-21 2009-01-08 Rohm Co Ltd 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715A (ko)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8844B1 (ko)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3320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61326B1 (ko) 방습 구조체 및 표시 장치
KR102305489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684404B2 (en) Display device
US958185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9045855A (ja)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装置
TWI461796B (zh) 液晶顯示裝置
KR10227902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50301391A1 (en) Narrow bezel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US20160021773A1 (en) Display device and multi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32178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70059145A1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JP2013152330A (ja) 表示装置
US20220223819A1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KR102618293B1 (ko) 표시장치용 지지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205594261U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0082691B2 (en) Display device
KR10236721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0505153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OLED display panel
KR20160015476A (ko) 표시 장치
US20160109648A1 (en) Display device
KR101697972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장치
CN205405007U (zh) 显示装置
US20200205288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