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326550B1 - 관절식 암을 갖는 트롤리 - Google Patents

관절식 암을 갖는 트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6550B1
KR102326550B1 KR1020167011647A KR20167011647A KR102326550B1 KR 102326550 B1 KR102326550 B1 KR 102326550B1 KR 1020167011647 A KR1020167011647 A KR 1020167011647A KR 20167011647 A KR20167011647 A KR 20167011647A KR 102326550 B1 KR102326550 B1 KR 102326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load
arm
platform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1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7915A (ko
Inventor
팀 브랜차드
Original Assignee
후크 업 솔루션즈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크 업 솔루션즈 엘티디 filed Critical 후크 업 솔루션즈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60067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 B60P1/54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with a fixed base
    • B60P1/542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with a fixed base attached to the loading platform or simi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6Mobile jib-cranes with non-slewable j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 B60P1/54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with a fixed base
    • B60P1/542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with a fixed base attached to the loading platform or similar
    • B60P1/542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with a fixed base attached to the loading platform or similar and having the first pivot on a horizont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 B60P1/54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with a fixed base
    • B60P1/542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with a fixed base attached to the loading platform or similar
    • B60P1/543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with a fixed base attached to the loading platform or similar and having the first pivot on a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B60P7/14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the load bracing means comprising a movable bulk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61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characterised by having a lifting ji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65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non-mas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65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non-masted
    • B66F9/0655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non-masted with a telescopic bo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자주식(self-propelled) 평베드 트롤리는, 동력화된 이동 수단, 짐 지탱 플랫폼, 물품을 플랫폼에 싣고 그로부터 내리도록 되어 있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암을 가지며 물품의 질량 중심을 트롤리를 위한 지지 베이스 내에 위치시키기 위해 조종될 수 있는 관절식 크레인, 및 동력화된 이동 수단 및 관절식 크레인을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관절식 암을 갖는 트롤리{TROLLEY WITH ARTICULATED ARM}
본 발명의 분야는 짐 운반 장치, 특히 벌크 건축 재료의 단거리 운반에 관한 것이다.
정원 등에 있는 공간에 대한 계획법 및 사안의 구속 요건에 때문에, 주택 확장 등과 같은 중간 규모의 프로젝트를 위한 건축 작업의 대부분은 건물의 뒤에서 일어난다. 이 때문에 접근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 왜냐하면, 많은 건물의 경우에, 거주 주택의 후방에 대한 도로 접근, 및 예컨대 옆 문을 통해 거주 주택의 측면 주위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고, 매우 좁을 수 있기 때문이다. 모래와 자갈 등과 같은 벌크 건축 재료는 일반적으로 1톤 백 안에 담겨 또는 벽돌/블럭 등과 같은 팔레트(pallet) 운반 재료로 약 1.5 톤까지 전달된다. 상기 백/팔레트는 "HIAB" TM 크레인을 갖는 17.5톤 트럭과 같은 트럭으로 종종 전달되며, 이 크레인은 트럭으로부터 4m 까지 재료를 트럭으로부터 구동기 또는 보도 상으로 내릴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차량은 일반적으로 건축 재료를 건축 현장에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며 텔레스코픽(telescopic) 크레인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은 일반적으로 건축 재료의 전달 또는 건물의 앞에서 또는 도로접근이 가능한 곳에서 행해지는 작업에 만족스럽다. 그러나, 도로 접근이 안 되거나 재료를 좁은 길을 따라 전달해야 하는 건물의 후방 또는 다른 곳에서 하는 프로젝트의 경우에, 건축업자는 벌크 재료를 프로젝트 현장에 전달하고 폐재료를 제거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이 때문에 노동력/시간/돈이 극히 많이 들 수 있으며, 그 결과, 건축 프로젝트의 비용 및 완공 시간이 상당히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작업이 수행되는 건물의 뒤쪽에 접근할 수 있도록 감소된 규모의 트럭 및 크레인(전규모(full-scale)로 당업계에 이미 알려져 있는 종류의)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감소된 규모의 차량은 많은 단점을 갖고 있는데, 이러한 차량은 비교적 무거워, 에너지가 낭비되고 또한 전달 가능한 짐의 총량이 감소되며, 또한 계획된 종류의 짐을 운반할 수 없게 될 것인데, 왜냐하면, 그렇게 하는 경우, 감소된 규모의 차량이 수송 또는 짐 내리기 중에 전복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1톤의 짐을 이동시키려면 이 짐을 차량의 기울어짐이 없이 안전하게 매달기 위해서는 적어도 3.5톤 기계가 필요한 것으로 종래 기술에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들 중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장 넓은 양태에서, 동력화된 이동 수단, 짐 지탱 플랫폼, 물품을 상기 플랫폼에 싣고 그로부터 내리도록 되어 있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암을 갖는 관절식 크레인, 및 상기 동력화된 이동 수단 및 관절식 크레인 수단을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자주식(self-propelled) 평베드(flat-bed) 트롤리를 제공한다. 이 트롤리는 그의 평베드에 재료를 싣고 내릴 수 있으며, 또한 전통적인 재료 운반 수단은 이동할 수 없는 좁은 통로를 통해 재료를 운반할 수 있다.
일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크레인은 상기 물품의 질량 중심을 상기 트롤리를 위한 지지 베이스 내에 위치시키기 위해 조종될 수 있다. 그러므로, 관절식 크레인은 회전 및/또는 연장으로 베이스의 외부에서 물품에 도달하여 이 물품을 싣고 내릴 수 있으며 또한 지지 베이스 내에서 물품을 트롤리의 평베드에 이동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롤리는, 이 트롤리에 힌지(hinge)로 부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암을 포함하고, 이 추가 암은 상기 트롤리를 위한 안정화 아웃리거(outrigger)로서 작용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암이 플랫폼 상에 실려 있는 물품을 고정시키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이는 짐을 운반하는 중에 트롤리에 안정성을 제공하게 되는데, 왜냐하면, 상기 암은 그의 제2 위치에서 짐을 구속하여 짐이 평베드 주위로 슬라이딩하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가 암은 만곡되어 있다. 이리하여, 상기 암은 그의 피봇 둘레로 더 작은 호를 그리면서 움직여 지상에 도달하여 짐과 결합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가 암은 2개의 부분, 즉 상기 힌지에 대해 근위에 있고 "u" 형으로 실질적으로 상방으로 만곡되어 있는 제1 부분, 및 상기 힌지로부터 원위에 있고 "n" 형으로 실질적으로 하방으로 만곡되어 있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만곡형 암은 제1 위치에서 통상적으로 작동하지만, 암의 "킹크(kink)"는 제2 위치에서 더 빨리 짐과 결합할 수 있고, 그래서 장치는 안정화 암을 뒤로 더 회전시킬 필요 없이 더 작은 짐을 고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청구항 5에 따른 자주식 평베드 트롤리는 상기 추가 암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는 로크 판(lock-plate)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 암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로크 판은 플랫폼 상의 물품과 결합하여 이 물품을 구속하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정화 암은 상기 추가 암에 있는 복수의 수용점을 포함하고, 이 수용점은 상기 로크 판을 위한 복수의 부착점을 제공하며, 그래서, 다른 형상과 크기의 짐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크 판은 상기 추가 암과 경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그래서, 로크 판이 짐과 어떤 각도로 결합하든지 간에, 로크 판의 경사 가능한 헤드는 짐과 더 잘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크 판은, 짐과 결합하기 위한 헤드부, 및 상기 헤드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로크 판을 트롤리의 상기 추가 암에 부착시키기 위한 스템부를 포함하며, 트롤리의 상기 추가 암으로부터 상기 헤드부의 거리가 고정될 짐의 크기에 따라 조정될 수 있도록 상기 스템부는 그 길이를 따라 있는 복수의 부착점을 포함한다. 이렇게 해서, 트롤리의 안정화 암으로부터 로크 판의 리치(reach)를 연장시킴으로써 로크 판은 더 작은 짐도 고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롤리는 상기 짐 지탱 플랫폼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장벽면을 더 포함하고, 이 장벽면은 상기 플랫폼 상에 실려 있는 물품을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구속한다. 이는 운반 중에 짐이 지탱되어 고정될 수 있는 면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롤리는, 상기 장벽면의 양 측에 있고 이 장벽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서로 대향하는 측면 패널을 포함한다. 이들 측면 패널은 측면 지지를 제공하여 짐을 유지시키고 지지하여 옆방향 움직임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면 패널은 플랫폼의 바닥에 있는 개별적인 위치 구멍과 결합하는 핀에 의해 트롤리 플랫폼에 고정된다. 이리하여, 패널이 쉽게 다시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로 대향하는 상기 측면 패널 사이의 거리는 조정이 쉽도록 유압식으로 제어된다. 상기 패널은 또한 트롤리 평베드 상에 짐을 다시 위치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코너와 접촉할 수 있는 짐이 손상되지 않도록 상기 측면 패널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라운딩된 코너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면 패널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짐이 손상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이 측면 패널에 패드가 부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절식 크레인은, 상기 텔레스코픽 암을 지지하는 마스트(mast), 및 상기 암 및 마스트와 결합하는 유압식 지지 램(ram)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스트는 상기 유압식 지지 램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부를 형성하는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이리하여, 짐을 위한 공간이 평베드 트롤리에 확보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텔레스코픽 암은, 상기 마스트와 결합되는 제1 암 부분, 및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암 부분에 대해 유압식으로 움직일 수 있는 텔레스코픽 제2 암 부분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텔레스코픽 제2 부분은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마스트를 통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위치는 짐 지탱 플랫폼에 인접하여 마스트의 일 측에 있는 제1 작동 위치이고, 상기 제2 위치는 짐 지탱 플랫폼에 대해 마스트의 반대 측에 있는 제2 작동 위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텔레스코픽 암은 이 텔레스코픽 암의 나머지 및 상기 제2 암에 대해 움직일 수 있는 추가 암 부분을 더 포함하고, 이 추가 암 부분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짐 유지 판을 포함한다. 이리하여, 플랫폼 상에 위치되어 있는 짐은 더 구속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짐 유지 판은 유압식으로 제어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이동 수단은 건축 현장의 거친 땅을 쉽게 횡단하기 위한 무한 궤도(caterpillar track)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크레인의 텔레스코픽 암은 만곡되어 있다. 그래서, 크레인은 한번의 동작으로 도달하고 내려갈 수 있어, 필요한 작업자의 입력이 더 적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텔레스코픽 암은 플랫폼 쪽으로 내려가 이 플랫폼 상에 실려 있는 물품과 결합하여 그를 고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절식 크레인은 트롤리의 전방에서 직접 물품을 싣고 내릴 수 있도록 트롤리 플랫폼의 전방부를 넘어 연장될 수 있다. 그래서, 크레인이 회전할 수 있어야 할 필요가 없고, 또한 크레인은 좁은 환경에서도 충분히 작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작업자는 지상에서 트롤리와 크레인의 이동 및 배향을 제어하고 조작한다.
이제,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술한 양태 및 다른 양태를 단지 예시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짐을 갖는 트롤리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짐 싣기 및 짐 내리기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롤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연장 상태에 있는 만곡형 텔레스코픽 암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후퇴 상태에 있는 도 3의 실시 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롤리 및 피봇식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실시 형태의 정면도로, 안정화 암 부분이 구속 상태에 있다.
도 8은 도 7의 실시 형태의 측면도로, 안정화 암 부분이 구속 상태에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이중 만곡형 안정화 암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헤드 스톡과 측면 패널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측판을 포함하는 마스트를 갖는 트롤리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가역적인 붐 요소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실시 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짐 유지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는 새로운 리프팅 프레임 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팔레트와 결합하여 본 발명에 사용되기 위한 짐을 준비하는 신속하고 용이하며 안전한 방법을 제공하는 새로운 리프팅 채널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조정 가능한 측면 패널 요소의 측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19는 회전 가능한 안정화 레그의 일 실시 형태의 측면도,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20은 짐 싣기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측면도,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예컨대 건축 재료와 같은 짐을 한정된 영역에서 운반하기 위한 관절식 크레인 기구를 갖는 궤도식 차량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가 도 1 에 나타나 있다. 이 실시 형태는 자주식(self-propelled) 트롤리(300)를 제공하는데, 이 트롤리는 짐(302)의 운반을 위한 평베드 플랫폼(301) 및 짐(302)을 싣고 내리기 위한 텔레스코픽(telescopic) 크레인(303)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무한 궤도(311)가 제공되어, 울퉁불퉁한 영역을 횡단할 때 장치의 안정성을 개선한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궤도가 없는 바퀴식 트롤리도 이러한 목적에 유용하고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을 알 것이다.
도 1 에 도시되어 있는 짐(302)은, 벌크 건축 재료를 작은 크기 및 중간 크기의 건축 현장에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종류의 대표적인 1톤 백인 것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종류의 짐에도 적합하고 본 발명은 어떤 한 종류의 짐의 운반에 한정되지 않는다.
트롤리를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추진 장치(304)가 제공되어 있다. 이 추진 장치는 전형적으로는 가솔린 엔진 또는 디젤 엔진이거나 배터리 구동식 모터이다. 본 발명은 어떤 한 추진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추진 장치(304)는 플랫폼 돌출부(305)에 위치된다. 이는 트롤리(300) 상에 배치되는 짐에 대해 균형을 잡아 줌으로써 이 트롤리를 안정화시키는 데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상기 추진 장치(304)는 짐 내리기 시에 트롤리를 불균형하게 하지 않도록 궤도 또는 바퀴에 충분히 가까이 있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다른 배치도 유사한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음을 알 것이다. 예컨대, 추진부(304)는 완전히 트롤리의 지지 베이스 내에, 즉 바퀴 또는 무한 궤도의 베이스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텔레스코픽 크레인(303)은 마스트(306), 붐(boom)(312), 지지 램(309), 및 후크(310)를 포함하고, 상기 붐 자체는 제1 부분(307)과 제2 연장 부분(308)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제1 부분(307)은 그의 장축선을 따라 마스트(306)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움직여 위치(313)로 갈 수 있으며, 이 위치에서, 제1 부분(307)의 일 부분은 실질적으로 마스트의 뒤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조치에 의해, 짐을 마스트(306) 쪽으로 가능한 한 멀리 끌어 당기고 또한 중량체를 마스트를 넘어 짐(302)의 반대쪽에 전달하여 균형 잡기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수송 중에 추가적인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상기 후크(310)는 많은 다른 부착 모듈로 대체될 수 있다. 예컨대, 트롤리는 관절식 크레인과 결합되는 "회전기(rotator)" 모듈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 회전기 모듈은 그 아래에 매달려 있는 짐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는 짐을 트롤리 플랫폼 상에 정확하게 배치하는 데에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900mm 미만의 폭을 가지며 트롤리가 지탱하는 짐의 일반적인 중량 보다 가벼운 상기 트롤리는, 집의 보행자 측면 통로 내에 맞도록 되어 있고, 또한 벌크 재료의 가득찬 1톤 백을 들어올려 싣고 고정시키고 건축 현장에 운반하여 내릴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트롤리는 동일한 1톤 백을 사용하여 건축 현장으로부터 폐재료를 제거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는 건축업자에게는 비용 및 편리성 면에서 분명 큰 이익이 되는 것이며, 또한 백을 단지 길가 뿐만 아니라 건축 작업의 '중심부(heart)' 안으로 바로 전달함으로써 회사가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해준다. 실질적으로 900mm의 폭을 갖는 실시 형태에 추가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750mm의 폭을 갖는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다른 폭도 가능하고 본 발명은 어떤 특정한 폭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본 발명은 이 발명이 사용될 길과 영역에 쉽게 맞게 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도 2는 짐 싣기 및 짐 내리기 상태에 있는 트롤리(300)의 사시도이다. 관절식 크레인(303)은, 무한 궤도의 운동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향하는 수송 위치로부터, 궤도를 실질적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이다. 후퇴 가능한 지지대(strut)(404)(일반적으로 트롤리(300)의 본체 내부에서 관 또는 채널(405) 안에 보관될 수 있음)가, 지지 잭(406)과 결합되는 연장 위치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들 지지대는 짐(302)의 중량을 매달 수 있도록 트롤리를 위한 더 넓은 지지 베이스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데, 이 실시 형태에서, 크레인(300)은 만곡형 텔레스코픽 암(501)을 포함한다. 이 만곡형 텔레스코픽 암(501)은 제1 부분(502) 및 제2 연장 부분(503)을 포함한다. 도 3은 연장 상태(504)에 있는 연장 부분(503)을 보여 주며, 도 4는 도 3의 실시 형태의 측면도로, 연장 부분(503)은 그의 후퇴 상태(601)에 있다. 텔레스코픽 암의 고정 부분 및 연장 부분 모두가 만곡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텔레스코픽 암이 "붐 아웃(boom out)"할 때, 즉, 만곡형 붐이 한번의 동작으로 크레인의 말단부를 연장하고 내리고/하강시킬 때 텔레스코픽 암(501)의 더욱 컴팩트한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 붐을 제어하는 유압 암에서 요구되는 이동량은 더 작게 되며, 이리하여, 작업자 입력이 감소되고 에러의 가능성이 감소되며 또한 안전성이 증가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붐 작용이 단일의 유압 램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잡성이 감소되고 또한 중량이 결정적으로 감소되는 이점이 얻어진다.
도 5는 다른 실시 형태의 측면도로, 이 실시 형태에서, 텔레스코픽 암(501)의 제2 연장 부분(503)은 제1 부분(502) 내부에 완전히 물러나 있어, 제2 연장 부분(503)의 일 단부에 위치되어 있는 후크(310)가 실질적으로 제1 부분(502)의 중심부에 위치되어 있다. 이리하여 유리하게도, 짐을 마스트(306) 가까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마스트(306)에 대해 원위에 있는 크레인 단부(701)가 플랫폼(301) 상에 위치되어 있는 짐 상으로 내려가, 짐의 수송 중에 이 짐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다. 텔레스코픽 암의 만곡은 또한 점(702)에서의 텔레스코픽 암과 짐의 접촉을 개선시킴으로써 이 구속에 기여하게 된다.
따라서, 짐(302)은 트롤리의 옆 또는 트롤리의 끝에서 평베드 플랫폼 상으로 들어 올려질 수 있고, 암(501)의 작용으로 이 플랫폼 상에 유지되며, 그래서, 수송 중에 짐이 움직이는 경향이 줄어든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짐 움직임의 문제에 대한 다른 해결 방안이 제공되는데, 이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상기 만곡형 텔레스코픽 암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플랫폼(301)에 제공되어 있는 피봇식 암 부분(801)을 나타내는데, 이 암 부분은, 트롤리가 정지되어 있고 짐이 실리고 내려지고 있을 때 안정화기(stabilizer) 및 아웃리거(out-rigger) 모두로서 작용하며, 또한 트롤리에 짐이 실리어 이 트롤리가 움직이고 있을 때에는 짐 구속 요소로서 작용하게 된다. 특히, 도 6은 그러한 피봇식 암 부분(801)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의 사시도로, 피봇식 부분(801)이 트롤리(300)의 플랫폼(301)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6에서, 피봇식 부분(801)은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안정화기 위치(802)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는데, 이 위치에서 상기 피봇식 부분은 안정화기로서 작용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피봇식 부분(801)에 이중 만곡부(복합 만곡부)가 제공되어 있다. 피봇식 부분이 그의 안정화기 위치(802)에 있을 때 제1 만곡부(803)가 트롤리(300)로부터 외측 옆으로 있다. 이 만곡부에 의해, 피봇식 부분(801)은 트롤리(300)의 플랫폼(301) 보다 넓은 폭으로 연장될 수 있고, 그래서, 짐이 플랫폼(301) 상으로 실리기 전에, 상기 장치는 그의 안정화기 암을 앞에 위치되어 있는 짐(트롤리 플랫폼(301)의 폭과 같거나 약간 더 넓음) 주위로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 피봇식 부분(801)의 제2 만곡부는 아래쪽으로 향해 있고, 피봇식 부분과 지면 사이의 접촉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 실시 형태에서, 연장 위치에서, 제1 만곡부(803)가 처음에 트롤리(300)로부터 외측 옆으로 있을 때, 만곡형 안정화기 암(801)은 내측으로 뒤로 만곡되어 있고, 트롤리(300)의 폭 보다 실질적으로 더 넓게 연장되지 않으며, 그래서 트롤리는 여전히 제한된 폭의 환경 내에서 작동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안정화 암은 특정의 만곡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트롤리와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곧은 아웃리거를 포함하여, 사실 어떤 적절한 형상이라도 될 수 있다.
일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트롤리 플랫폼(301)과 피봇식 안정화기 암(801) 사이에 작용하는 힌지가, 플랫폼(301)의 전방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되어 있거나 실질적으로 이 전방 가장자리의 주위에 위치되어 있다. 힌지는 플랫폼(301)의 방향과 실질적으로 정렬되어 있는 전후 방향으로 작동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피봇식 안정화기 암(801)이 트롤리(300)의 전진 방향에 대해 각도를 이루어 회전하여 플랫폼(301)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또한 플랫폼(301) 및 이 위에 위치되어 있는 짐 쪽으로 상방 내측으로 물러나도록 상기 힌지는 각을 이룰 수 있다. 일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피봇식 안정화기 암은 트롤리의 전진 방향에 대해 약 45°로 회전하도록 배향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만곡형 안정화기 암과 조합되면, 45°의 회전각으로, 안정화기 암은 짐 싣기 및 짐 내리기 중에 트롤리의 앞에 있는 짐의 폭을 넘어 연장될 수 있지만(짐이 지면 상에서 상기 암 사이에 위치될 수 있음), 하지만 트롤리의 폭 내의 위치로 물러나 운반을 위해 짐을 트롤리 플랫폼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일단 짐이 평베드 플랫폼(301) 상에 위치되면, 피봇식 부분(801)은 지면 결합 위치로부터, 트롤리 상의 짐과 결합하는 위치로 움직여, 이 짐을 트롤리 상에 위치 유지시킨다. 도 7은 도 6의 실시 형태의 정면도로, 피봇식 부분(801)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속 상태(901)에 있다. 이 상태에서, 피봇식 부분(801)은 짐(302)을 플랫폼(301) 상에 유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구속 위치(901)에 있는 피봇식 부분(801)이 짐(302)에 대한 구속 요소로서 작용함으로써, 짐(302)이 운반되고 있는 중에 이 짐에서의 또한 짐의 과도한 움직임이 방지된다. 이 움직임의 방지는 경량의 트롤리(300)의 전복을 방지하는 데에 중요하다.
도 8은 도 6의 실시 형태의 측면도로, 피봇식 부분(801)은 그의 제1 구속 위치(901)에 있다. 도 8은 하강 위치에 있는 만곡형 텔레스코픽 암(501)과 피봇식 부분(901)이 서로 협력하여 짐(302)을 구속하는 것을 도시한다.
짐(302)의 위치 고정은 트롤리의 전체적인 안정성에 크게 기여하게 된다. 짐은 훨씬 더 무거운 차량에서도 크레인을 매우 쉽게 불안정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 당업계에서 잘 알려져 있다. 일단 12톤 크레인이 주위로 움직이기 시작하면, 1톤 백이 이 크레인의 전복을 야기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움직일 수 있는 큰 짐의 작은 속도라도 차량에 큰 모멘텀을 제공할 것이기 때문에, 짐의 비교적 작은 이동도 차량을 전복시키기에 충분할 수 있다. 짐의 이러한 본래의 불안정성 때문에, 통상의 기술자는 건축 재료를 운반하기 위한 목적으로 매우 가벼운 차량, 특히 그의 전형적인 짐보다 가벼운 차량의 사용은 고려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감소된 크기의 크레인 탑재식 차량은 여기서 설명하는 목적에는 너무 불안정할 것이라는 종래의 견해는, 적절히 고정되면 차량의 일 부분으로서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예상 보다 훨씬 더 큰 안정성이 얻어지게 하는 짐의 효과를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측면도로, 이 실시 형태에서, 텔레스코픽 암(303)은 3개의 부분, 즉 고정 부분(307), 제1 연장 부분(308) 및 제2 연장 부분(1101)을 포함한다. 도 9에서, 텔레스코픽 암(303)은 연장 위치(1102)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텔레스코픽 암의 제3 부분에 의해 얻어지는 이점으로서, 이 제3 부분은 암을 더 길게 연장시킬 수 있어 측면이 아닌 차량의 전방에서의 짐 싣기 및 짐 내리기를 가능하게 해준다. 이에 따라, 암이 주위로 회전할 필요가 없게 되어 유압 기구의 복잡성이 감소되고 또한 짐 싣기 및 짐 내리기 중에 균형 잡기 지지가 필요한 정도가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트롤리(300)는 관절식 암을 회전시킬 필요가 없을 때 좁은 작업 환경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텔레스코픽 암에서 2개의 더 긴 부분을 사용해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측면이 아닌 차량의 전방에서의 짐 싣기 및 짐 내리기가 가능하게 된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3개 보다 많은 부분을 텔레스코픽 암에 사용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또한 3개 이상의 부분을 만곡형 텔레스코픽 암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은 텔레스코픽 암의 특정 수의 부분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부분의 수와 형상의 어떤 조합에도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시, 트롤리(300)는 운반될 벌크 건축 재료와 동일한 트럭 상에서 건축 현장에 운반될 수 있다. 트롤리는 충분히 가벼워, 다른 짐에 대한 공간의 손실이 최소한으로 되며 또한 트롤리는 벌크 재료를 내리는 데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크레인으로 내려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일단 트롤리(300)가 지면 상에 내려지면, 접근이 제한된 건축 현장과 전달 트럭 사이에서 벌크 재료의 운반이 시작될 수 있다. 벌크 재료는 트럭에서 내려지게 된다. 지지대(404)가 트롤리의 옆으로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트롤리(300)는 트럭 근처에 위치되거나, 또는 필요한 경우, 피봇식 부분(801)이 트럭의 전방으로 그의 안정화기 위치(802)로 움직이게 된다. 그런 다음, 트롤리 크레인이 측면 위치로 회전되거나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후크가 짐을 걸게 된다. 일단 짐이 크레인(303)에 의해 들어 올려지면, 이 짐은 크레인과 텔레스코픽 암의 적절한 운동에 의해 플랫폼(301) 상으로 내려질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크레인이 짐 상으로 내려가 이 짐에 구속력을 가하여 짐을 트롤리 상에 유지시킨다. 그런 다음 지지대(404)가 그의 연장 위치로부터 철수하거나, 피봇식 부분(801)이 그의 구속 위치(901)로 움직여 짐을 더 고정시키게 된다. 일단 짐이 고정되면, 트롤리가 이동할 수 있다. 짐이 플랫폼(301) 상에 단단히 고정된 상태에서, 트롤리는 성능의 손실 없이 이 고정된 짐을 경사면이나 울퉁불퉁한 표면 주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짐(302)은 일반적으로 좁은 길을 지나 건물의 후방이나 유사하게 접근이 제한된 어떤 다른 장소까지 원하는 대로 운반될 수 있다. 일단 트롤리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이 트롤리는 짐 내리기가 일어날 수 있도록 재구성된다.
도 5 내지 도 8의 만곡형 안정화기는 양호한 안정성 및 짐을 고정시키는 유용한 수단을 제공하지만, 크기와 형상이 변하는 짐을 다룰 때에는 더 큰 유연성이 유리할 수 있다. 짐의 안정성과 그의 위치 유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있어 중요하다. 그래서, 일 대안적인 안정화기의 형상이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해 제공되는데, 이의 측면도가 도 10에 나타나 있다. 도 10은 트롤리에 대해 근위에 있는 단부에 있는 피봇점(1202)에서 트롤리(300)의 평베드 플랫폼(301)과 피봇 연결되어 있는 안정화기(1201)를 나타내며, 이 안정화기(1201)는 트롤리(300)에 대해 원위에 있는 단부점(1203)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기 안정화기는, 피봇점(1202)과 단부점(1203) 사이에서 축선(1206)에 대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는 제1 부분(1204)과 제2 부분(1205)을 포함한다. 제1 만곡 부분(1204)의 만곡부(1207)는 트롤리의 통상적인 사용시 예컨대 "u" 형으로 지면 쪽으로 하방으로 만곡되어 있다. 제2 만곡 부분(1203)의 만곡부(1208)는 예컨대 "n" 형으로 상방으로 만곡되어 있다.
제1 및 2 만곡 부분의 서로 다른 만곡부는, 다른 크기와 형상의 짐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도 10에 있는 점선은 실질적으로 직립인 2개의 서로 다른 안정화 위치(1209, 1210)에 있는 안정화기를 나타내는데, 이들 안정화 위치는 짐의 안정화에 도움이 되도록 되어 있다. 화살표(A)는 지면 결합 위치와 짐 안정화 위치 사이에서의 안정화기의 움직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안정화기(1201)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로크 판(lock-plate)(1211)이 짐(302)과의 개선된 접촉을 제공한다. 로크 판을 안정화기(1201)에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연결점(1212, 1213, 1214)이 제공되어 있다. 서로 다른 상기 연결점은 안정화기에 대한 서로 다른 짐 구속 위치에 대응한다. 예컨대, 안정화 위치(1209)에서, 연결점(1212)이 사용되고, 위치(1210)에서는 연결점(1213)이 사용된다. 명료성을 위해 단지 3개의 연결점만 나타나 있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 보다 많거나 적은 연결점도 제공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어떤 특정한 수의 연결점에 한정되지 않음을 알 것이다. 상기 로크 판은 또한 피봇 풋(pivot-foot)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피봇 풋은, 안정화기가 그의 고정 위치에 있을 때 이 안정화기가 짐과 어떤 각도로 만나든지 간에 상기 로크 판이 그의 연결점 둘레로 회전하여 짐에 더 잘 맞게 조정될 수 있게 해준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로크 판은 안정화기 암에 대한 그의 연결부 둘레로 경사 가능하게 조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암으로부터의 거리도 조정될 수 있다. 로크 판은 이 로크 판의 베이스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스템에 의해 안정화기 암에 부착되며, 복수의 연결점 중 어떤 연결점에서도 안정화기 암을 통과한다. 상기 로크 판 스템은 그 길이를 따라 복수의 연결점/구멍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로크 판은 전술한 바와 같은 안정화기 암을 따라 있는 복수의 점에서 안정화기에 부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볼트/핀을 연결 암의 길이를 따라 있는 대응하는 연결점을 통해 고정시킴으로써 로크 판과 안정화기 암 사이의 거리(또는 "리치(reach)")도 조정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안정화기 암이 그의 유지 위치로 물러날 때 로크 판이 더 빨리 짐과 결합하도록 로크 판과 안정화기 암 사이의 거리, 즉 그의 리치를 증가시킴으로써, 특히 작은 짐이 여전히 안정화기 암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짐(302)을 플랫폼의 마스트 단부 쪽에 고정시키는 "헤드 스톡(head stock)"의 포함으로 짐의 안정성이 더 개선될 수 있다. 이 헤드 스톡은, 트롤리의 마스트 단부에 위치되어 짐에 대한 구속을 제공하는 일 세트의 바(bar)와 같은 판, 그릴(grille) 또는 다른 적절한 장벽으로 되어 있다. 도 11은 헤드 스톡(1301)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이 헤드 스톡은 관절식 크레인(306)의 마스트의 전방 단부와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위치된다. 일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헤드 스톡은, 플랫폼(301)에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또한 트롤리(300)의 통상적인 운동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 내에 위치된다.
짐 유지 측면 패널 또는 "윙(wing)"(1302, 1303)에 의해 추가적인 횡방향 안정화가 제공된다. 이는 도 18의 측면도와 정면도에서 더 자세히 알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이들 측면 패널은 트롤리의 각 측면에 위치되는 2개의 판을 포함한다. 측면 패널은 다른 크기와 형상의 짐에 횡방향 안정화를 제공하기 위해 플랫폼(301)에 대해 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화살표(B)로 나타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측면 패널(1302, 1303)은 플랫폼의 바닥에 있는 개별적인 위치 구멍과 결합하는 핀에 의해 트롤리 플랫폼에 고정된다. 측면 패널은 고정 구멍이 있는 곳에 대응하는 평베드 플랫폼(301) 상의 복수의 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측면 패널(1302, 1303)의 코너(1304)는 백을 포함하는 짐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라운딩 처리되어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벽돌과 같은 물품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측면 패널에 패드 부착 페이싱(facing) 또는 고무 페이싱이 제공되어 있다.
일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도 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측면 패널(1302, 1302)은 유압식으로 제어되고, 횡방향으로 움직여 측면 패널 사이의 폭을 조정할 수 있다. 2개의 유압 램(ram)이 일반적으로 헤드 스톡(1301) 뒤에 제공된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램의 위치는 변할 수 있고 본 발명은 유압 램의 어떤 한 위치에 한정되지 않음을 알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측면 패널의 제어는 마스트의 베이스에 위치되는 단일의 램에 의해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측면 패널은 트롤리 플랫폼 상에 배치되어 있는 짐을 다시 위치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측면 패널은, 원하는 위치에서 벗어나 트롤리 상에 내려진 짐을 "사각형으로 맞추거나(square)" 또는 "중심 맞추기(centre)" 위해 사용된다. 그래서, 일단 크레인을 사용하여 짐을 트롤리 플랫폼 상에 내려 놓으면, 측면 패널을 사용하여 짐을 플랫폼 주위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다시 위치시키게 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짐이 운반을 위해 최대한 고정되게 정확히 배치되도록 이 짐을 플랫폼 상의 정확한 위치로 누르고/압착하고/조종하기 위해, 회전 가능한 암을 사용할 수 있다.
크레인에 부착되어 있는 회전 모듈과 함께 사용될 때 정사각형/직사각형 짐(일반적인 것과 같은)은, 이 짐의 일 코너를 측면 패널 중의 하나에 접하게 "잡고(trapping)"/위치시키고 짐을 제 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트롤리 상에 쉽고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작업자는 짐을 한 코너로 안내하기만 하면 되고, 회전기가 이어서 이 짐의 나머지를 정확하게 정렬시키게 될 것이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측면 패널은 훨씬 더 작은 짐과 결합하도록 될 수 있다. 서로 대향하는 두 패널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해(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유압 시스템은 그의 내측 범위와 외측 범위 모두가 제한될 것이다. 가장 좁게 있는 측면 패널에 의해서도 짐이 효과적으로 고정되기에 너무 좁으면, 추가적인 협소화 패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8의 측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측면 패널은 그의 외측면에서 2개의 구멍을 포함한다. 협소화 블럭은 이 협소화 블럭에 포함되어 있는 자석 시스템에 의해 측면 패널의 내측면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것이다. 상기 자석은 매우 강한 힘을 제공할 필요는 없고, 협소화 블럭이 좁은 짐과 결합할 때까지 이 협소화 블럭을 위치 유지시키기에 충분한 힘만 제공하면 되는데, 이는 협소화 블럭이 압축을 받으면서 위치 유지될 것이기 때문이다. 협소화 블럭의 외측면에 있는 스피곳(spigot)이 측면 패널 내의 대응하는 구멍과 결합하여, 협소화 블럭을 정확하게 위치시키고 지지하게 된다. 상기 블럭은 외측면 측면 패널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갖지만 훨씬 더 큰 깊이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일단 협소화 블럭이 측면 패널의 내측면에 부착되면, 이 협소화 블럭은 이전에는 결합되어 고정되기에는 너무 좁은 짐과 결합하여 이 짐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어떤 짐(재목 또는 목재와 같은)은 그의 외측면에서 균일하게 평탄하지 않고 균일하게 성형되어 있지도 않다. 그러므로, 짐을 고정시키기 위한 표준적인 수단은 효과가 없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협소화 블럭은 울퉁불퉁한 짐에 더 큰 파지력/잡기력을 제공하도록 거칠거나 예리한 또는 치형의(toothed) 내측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협소화 블럭을 갖는 측면 패널은 폐쇄될 수 있고, 울퉁불퉁한 짐이 서로 대향하는 파지면 사이에 고정될 것이다.
잠재적으로 한정된 영역에서 사용되는 자주식 트롤리에서는, 트롤리의 전체 크기에 대한 트롤리 상의 사용 공간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짐(load)"의 사용에 이용가능하지 않는 트롤리 상의 공간은 버려질 것으로 생각될 수 있으며 최소한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버려지는 공간을 줄이기 위해, 새로운 마스트 구성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 제공될 수 있는데, 이 실시 형태에서 마스트는 2개의 외측 판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판 사이에 지지 붐이 위치된다. 도 12는 이 실시 형태에 따른 마스트의 평면도로, 제1 측판(1401)과 제2 측판(1402)을 나타낸다. 이들 측판(1401, 1402)은, 텔레스코픽 크레인(303)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고, 또한 지지 램(309)이 후퇴 위치에 있을 때 이 지지 램을 수용하는 공동부(1403)를 제공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지지 램(309)은 마스트의 앞에서 트롤리 베드(301)에 위치되어 유용한 짐 싣기 공간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전술한 "중공(hollow)" 마스트 실시 형태에 의해 지지 램(309)은 두 측판(1401, 1402)의 베이스 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리하여 플랫폼(301) 상의 공간이 자유롭게 된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상기 판 및 지지부에 대한 대안적인 구성이 가능함을 알 것이다. 예컨대, 종래의 크레인 마스트가 램 아래에 사용될 수 있고, 이 크레인 마스트는 2개의 판으로 분할되어 유압식 지지 램을 수용한다. 본 발명은 측판 및 지지 램의 어떤 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가역적인 붐(1501)이 제공되는데, 이 붐에 의해, 크레인은 제1 모드(이 모드에서는 건축 재료를 싣고 트롤리로부터 내리기 위한 크레인이 사용됨)에서 짐을 트롤리에 싣고, 또한 제2 모드에서는 작업자가 트롤리 상에 서서 연석, 담 기둥 등과 같은 물품의 정확한 들어 올림 및/또는 위치 잡기를 위해 붐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이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붐의 180°회전이 가능하지 않는 한정된 공간에서 작업할 때 특히 유용하다. 도 13은, 건축 재료의 위치 잡기에 사용되는 가역적인 붐 요소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측면도로, 가역적인 붐(1501)이 제2 모드에 위치해 있다. 도 13은 마스트(306)의 반대 측에서 역전 위치(1502)에 있는 가역적인 붐(1501)을 나타내며, 이 역전된 위치에서 상기 붐은 건축 재료의 정확한 위치 잡기에 사용될 수 있다. 제2 모드에서 이제 작업자(1503)는 크레인을 조작하면서 플랫폼(301) 상에 서 있을 수 있다. 텔레스코픽 크레인의 위치를 역전시키기 위해 축선 상에서 주위로 회전하는 대신에, 상기 가역적인 붐(1501)을 갖는 실시 형태에 의하면 크레인 부분이 마스트를 통과할 수 있으며, 그래서, 트롤리가 한정된 공간에 있을 때 붐이 트롤리(300)에 대해 역전될 수 있다. 크레인이 그의 역전 위치(1502)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제2 후크(1504)가 제공되어 있다.
도 14는 특히 본 발명의 추가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데, 이 실시 형태는 붐이 판 사이의 공동부를 통해 플랫폼 위의 제1 작동 위치에서 반대쪽의 제2 작동 위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게 하여 상기 가역적인 붐을 실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2-판 마스트 구조를 포함한다. 도 14는 제1 모드에서의 작업에 대응하는 제1 작동 위치(1601)에 있는 붐(1501)을 나타내는데, 이 붐은 지지판(1401, 1402) 사이의 공동부(1403)를 통해 제2 모드에 대응하는 제2 작동 위치(1502)로 움직일 수 있다.
"짐 유지기(load retainer)"를 추가하는 형태로 텔레스코픽 크레인을 더 수정하여 짐에 대한 추가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도 15는 짐 유지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측면도이다. 유지기(1701)는 텔레스코픽 크레인 암(303)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1 부분(1702) 및 이 제1 부분(1702)의 일 단부(1704)에 매달려 있는 제2 부분(1703)을 포함하며, 또한 유지판(1705)을 더 포함하고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유지기(1701)의 제1 부분(1702)은 텔레스코픽 크레인(303) 내부에서 신축자재하게 후퇴 가능하다. 사용시, 유지기는 짐(302)의 크기에 맞게 후퇴되거나 연장될 수 있다. 유지판(1705)은 짐을 더 안정화시키기 위해 이 짐(302)과 접촉하게 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유지판(1705)은 짐의 각도에 맞게 자동적으로 조정되도록 "피봇 풋(pivot foot)" 설계를 사용한다.
일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트롤리(300)는 텔레스코픽 크레인의 마스트의 뒤에서 트롤리의 후방부 쪽에 위치되어 있는 제어 수단에 의해 제어되고 작동된다. 작업자는 트롤리의 뒤에서 지상에서 장치를 조작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작업자가 트롤리 장치 위에 서서 또는 앉아서(예컨대, 상기 가역적인 구성을 포함하는 실시 형태의 크레인을 조작할 때) 트롤리를 조작할 수 있거나 또는 트롤리 장치로부터 떨어져서 원격으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조작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추가 개량예는 새로운 팔레트 리프팅 시스템 및 새로운 벌크 백 리프팅 시스템을 포함한다.
도 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새로운 리프팅 시스템은 서로 수직인 두쌍의 평행 빔(beam)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포함한다. 한쌍의 빔은 다른 쌍을 넘어 연장되어 있고, 그래서 내측 및 외측 쌍의 빔을 포함하는 이중 폭 I-빔을 형성한다. 빔은 바람직하게 강(steel)이고, 그리드 형태로 그의 긴 가장자리를 따라 배향되어 있다. 빔의 면 각각은 그 길이를 따라 다수의 구멍을 포함하는데, 짐을 상기 프레임의 아래에 매달기 위해 스트랩이 상기 구멍을 통과할 수 있다. 외측 평행 빔의 4개의 단부 각각에는, 자체의 고리를 포함하는 짐을 지지하기 위한 후크가 제공되어 있다. 다른 짐 폭을 수용하기 위해 어떤 스트랩이라도 직접 구멍을 통과해 고리로 될 수 있고 또는 빔 위를 지나 다른 쌍의 구멍 중의 하나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라운딩/매끄럽게 되어 있는 상부 가장자리를 가지며, 그래서 이 가장자리 위를 지나는 어떤 스트랩도 채핑(chaffing) 없이 그렇게 할 수 있다. 사용시, 새로운 리프팅 시스템이 텔레스코픽 크레인(회전기 모듈을 포함할 수 있음)의 말단부의 아래에 매달리며, 짐용 리프팅 스트랩이 짐의 크기에 대응하는 적절한 점에서 강 그리드에 부착된다. 그러므로, 더 넓은 짐이, 서로 이격되어 벌려져 있는 수직 하니스(harness)에 의해 들어 올려져 지지될 수 있으며, 이 수직 하니스는 매달려 있는 짐을 압박하지 않을 것인데, 하니스가 모두 단일의 리프팅 점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짐을 압박할 수 있다.
도 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새로운 채널 시스템은 팔레트에 있는 지게차 채널을 통해 이송되는 역 u-빔(즉, n-빔)을 포함한다. 각각의 빔은 테이퍼형 단부를 가지고 있어 이 단부는 팔레트 채널 안으로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코너가 또한 라운딩되어 있어 팔레트 채널을 통한 이송에 도움을 준다.
일단 팔레트 채널을 통해 이송되면, 각 빔의 각 단부는 "D-링" 부착물(정면도에 나타나 있음)을 통해 리프트 스트랩의 일 단부에 부착된다. 리프트 빔의 직립 가장자리 각각은 각 D-링의 하부 립을 수용하는 다수의 수직 컷아웃 슬롯을 포함한다. 어느 슬롯을 사용할지는 짐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D-링"(이 자체는 리프팅 스트랩에 고정되는, 금속, 바람직하게는 강으로 된 연속적인 정사각형 고리임)이 리프트 빔 위에 배치되어 들어 올려져, 이용가능한 수직 슬롯 중의 하나에 하부 가장자리가 끼워지게 된다. 각 슬롯의 위쪽에서 각 채널의 저부안에 포함되어 있는 자석에 의해, 스트랩이 느슨하게 될 때에도 D-링이 슬롯 안에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D-링이 부주의로 리프팅 빔에서 분리되는 위험은 없다. 일단 D-링이 부착되면 짐이 들어 올려져 다시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 단지 하나의 부착점만 사용하여 평베드 트럭 또는 다른 적절한 차량의 뒤쪽에서 트롤리 자체를 싣고 내릴 수 있다. 복수의 하니스를 트롤리에 부착해야 하는 대신에, 크레인을 사용하여, 관절식 크레인의 붐에 위치되어 있는 단일의 부착점을 통해 장치를 들어 올리고 내릴 수 있다. 그러므로, 크레인 구조는 짐의 하향력을 견디면서 이 하향력 하에서 작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짐이 실리지 않은) 트롤리가 크레인에 의해 들어 올려질 때 이 트롤리의 중량도 지탱할 수 있다.
도 20은 상기 장치의 전진 방향에 대해 약 45°의 각도를 이루는 회전 가능한 안정화 암, 마스트를 형성하는 2개의 서로 대향하는 지지 구조물 사이에 수용되는 텔레스코픽 크레인의 지지 램, 유압식으로 제어되는 측면 패널, 및 상기 회전 가능한 안정화 암에 부착되어 있는 완전 조정 가능한 로크 판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한 3개의 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의 상세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피봇식 부분(801)은 트롤리(300)의 어떤 적절한 부분에도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피봇식 부분은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이중 만곡부 대신에 단지 하나의 만곡부를 가질 수도 있다.
300 자주식 트롤리
301 평베드 플랫폼
302 짐
303 텔레스코픽 크레인
304 추진 장치

Claims (29)

  1. 자주식(self-propelled) 평베드 트롤리로서,
    동력화된 이동 수단,
    짐 지탱 플랫폼,
    물품을 상기 플랫폼에 싣고 그로부터 내리도록 되어 있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암을 갖는 관절식 크레인, 및
    상기 동력화된 이동 수단 및 관절식 크레인 수단을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트롤리는, 이 트롤리에 힌지(hinge)로 부착되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추가 암은 상기 트롤리를 위한 안정화 아웃리거(outrigger)로서 작용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추가 암은 플랫폼 상에 실려 있는 물품을 고정시키고,
    상기 추가 암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는 로크 판(lock-plate)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 암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로크 판은 플랫폼 상의 물품과 결합하여 이 물품을 구속하도록 되어 있는, 자주식 평베드 트롤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은 상기 물품의 질량 중심을 상기 트롤리를 위한 지지 베이스 내에 위치시키기 위해 조종될 수 있는, 자주식 평베드 트롤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추가 암은 만곡되어 있는, 자주식 평베드 트롤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추가 암은 2개의 부분인,
    상기 힌지에 대해 근위에 있고, "u" 형으로 실질적으로 상방으로 만곡되어 있는 제1 부분, 및
    상기 힌지로부터 원위에 있고, "n" 형으로 실질적으로 하방으로 만곡되어 있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자주식 평베드 트롤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가 암에 있는 복수의 수용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점은 상기 로크 판을 위한 복수의 부착점을 제공하는, 자주식 평베드 트롤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크 판은 상기 추가 암과 경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자주식 평베드 트롤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크 판은,
    짐과 결합하기 위한 헤드부, 및
    상기 헤드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로크 판을 트롤리의 상기 추가 암에 부착시키기 위한 스템부를 포함하며,
    트롤리의 상기 추가 암으로부터 상기 헤드부의 거리가 고정될 짐의 크기에 따라 조정될 수 있도록, 상기 스템부는 그 길이를 따라 있는 복수의 부착점을 포함하는, 자주식 평베드 트롤리.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는 상기 짐 지탱 플랫폼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장벽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벽면은 상기 플랫폼 상에 실려 있는 물품을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구속하는, 자주식 평베드 트롤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장벽면의 양 측에 있고 상기 장벽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서로 대향하는 측면 패널을 포함하는, 자주식 평베드 트롤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측면 패널은 플랫폼의 바닥에 있는 개별적인 위치 구멍과 결합하는 핀에 의해 트롤리 플랫폼에 고정되는, 자주식 평베드 트롤리.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상기 측면 패널 사이의 거리는 유압식으로 제어되는, 자주식 평베드 트롤리.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측면 패널은 트롤리 상의 짐을 원하는 위치에 다시 위치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는, 자주식 평베드 트롤리.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측면 패널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라운딩된 코너를 포함하는, 자주식 평베드 트롤리.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측면 패널은, 상기 측면 패널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짐이 손상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패드가 부착되어 있는, 자주식 평베드 트롤리.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식 크레인은,
    상기 텔레스코픽 암을 지지하는 마스트(mast), 및
    상기 암 및 마스트와 결합하는 유압식 지지 램(ram)을 포함하는, 자주식 평베드 트롤리.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는 상기 유압식 지지 램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부를 형성하는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자주식 평베드 트롤리.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 암은,
    상기 마스트와 결합되는 제1 암 부분, 및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암 부분에 대해 유압식으로 움직일 수 있는 텔레스코픽 제2 암 부분을 더 포함하는, 자주식 평베드 트롤리.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 제2 암 부분은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마스트를 통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는, 자주식 평베드 트롤리.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짐 지탱 플랫폼에 인접하여 마스트의 일 측에 있는 제1 작동 위치이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짐 지탱 플랫폼에 대해 마스트의 반대 측에 있는 제2 작동 위치인, 자주식 평베드 트롤리.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 암은 이 텔레스코픽 암의 나머지 및 상기 제2 암에 대해 움직일 수 있는 추가 암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 암 부분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짐 유지 판을 포함하는, 자주식 평베드 트롤리.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짐 유지 판은 유압식으로 제어되는, 자주식 평베드 트롤리.
  2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무한 궤도(caterpillar track)인, 자주식 평베드 트롤리.
  2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의 텔레스코픽 암은 만곡되어 있는, 자주식 평베드 트롤리.
  2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 암은 플랫폼 쪽으로 내려가 상기 플랫폼 상에 실려 있는 물품과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자주식 평베드 트롤리.
  2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식 크레인은 트롤리의 전방에서 직접 물품을 싣고 내릴 수 있도록 트롤리 플랫폼의 전방부를 넘어 연장될 수 있는, 자주식 평베드 트롤리.
  2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작업자는 지상에서 트롤리와 크레인의 이동 및 배향을 제어하고 조작하는, 자주식 평베드 트롤리.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KR1020167011647A 2013-10-02 2014-10-02 관절식 암을 갖는 트롤리 KR1023265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317471.9 2013-10-02
GBGB1317471.9A GB201317471D0 (en) 2013-10-02 2013-10-02 Trolley
GBGB1318052.6A GB201318052D0 (en) 2013-10-02 2013-10-11 Trolley
GB1318052.6 2013-10-11
GB1415535.2 2014-09-02
GB1415535.2A GB2521713B (en) 2013-10-02 2014-09-02 Trolley with articulated arm
PCT/GB2014/052987 WO2015049530A1 (en) 2013-10-02 2014-10-02 Trolley with articulated ar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915A KR20160067915A (ko) 2016-06-14
KR102326550B1 true KR102326550B1 (ko) 2021-11-16

Family

ID=49585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1647A KR102326550B1 (ko) 2013-10-02 2014-10-02 관절식 암을 갖는 트롤리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017094B2 (ko)
EP (1) EP3052426B1 (ko)
JP (1) JP6446050B2 (ko)
KR (1) KR102326550B1 (ko)
AU (1) AU2014330935B2 (ko)
CA (1) CA2963032C (ko)
DE (1) DE112014004574T5 (ko)
DK (1) DK3052426T3 (ko)
ES (1) ES2714534T3 (ko)
GB (3) GB201317471D0 (ko)
PT (1) PT3052426T (ko)
WO (1) WO20150495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8056B (en) * 2017-11-02 2022-09-21 Hook Up Solutions Ltd Transporter
CN107914627A (zh) * 2017-12-27 2018-04-17 河南嘉联农林有限公司 一种背树机
NO344889B1 (en) * 2018-06-06 2020-06-15 Autostore Tech As A service vehicle, a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ing such a service vehicle and a method thereof
FI128475B (fi) * 2018-08-30 2020-06-15 Ponsse Oyj Järjestely ja menetelmä metsäkoneen kuorman purkamisen hallintaan
US10988188B2 (en) * 2018-12-12 2021-04-27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Overturn control by side support
US11422437B2 (en) * 2020-04-09 2022-08-23 Chapman/Leonard Studio Equipment, Inc. Telescoping electric camera crane
US11642999B2 (en) * 2020-09-29 2023-05-09 Dianomix Inc. Delivery vehicle with unloading arm
US20220315085A1 (en) * 2021-04-03 2022-10-06 Anand Parthasarathy Portable load lif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489685A (ko) * 1948-06-18
US3187905A (en) * 1963-01-11 1965-06-08 Moskopf Peter Franziskus Jibs
US3407947A (en) * 1965-12-22 1968-10-29 Antonio Valla & C S N C Material-moving device for moving objects
GB1318199A (en) * 1969-10-29 1973-05-23 Mcfarland D Industrial vehicle carrying a crane
US3754516A (en) * 1970-12-23 1973-08-28 Brammall Inc Parallel motion mechanism
FR2144153A5 (ko) * 1971-06-28 1973-02-09 Mariage Michel
JPS548490Y2 (ko) * 1972-06-30 1979-04-19
US4052083A (en) * 1974-04-05 1977-10-04 Lutz David E Load bracing device
DK510074A (da) * 1974-09-27 1976-03-28 Bay Schmith N Fremgangsmade til at lesse afgrodeballer eller lignende enheder pa et koretoj og apparat til brug ved udovelse af fremgangsmaden
JPS51116511U (ko) * 1975-03-17 1976-09-21
RO64284A2 (fr) * 1976-09-27 1978-10-15 Mecanica Intreprinderea Chariot electrique a plate-forme et grue tournante
SU709038A1 (ru) * 1978-06-15 1980-01-1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А-1373 Приемно-за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лесозаготовительной машины
AT373848B (de) * 1981-11-09 1984-02-27 Murauer Manfred Tragvorrichtung fuer einen auf der ladeflaeche eines lastwagens zu befestigenden ladekran
FR2517607B1 (fr) 1981-12-03 1987-03-20 Ppm Sa Engin mobile porteur de charges
DE3340437A1 (de) * 1983-11-09 1985-05-15 Howaldtswerke-Deutsche Werft Ag Hamburg Und Kiel, 2300 Kiel Arbeitswagen
SE459307B (sv) * 1986-06-12 1989-06-26 Oesa Ab Kranfoersedd skogsmaskin
US4772165A (en) * 1986-10-14 1988-09-20 Jimmie Bartkus Load restraining apparatus for vehicles
US5106255A (en) * 1990-10-04 1992-04-21 Motoda Electronics Co., Ltd. Posture adjusting mechanism of cargo handling device for use in cargo trucks
US5427487A (en) * 1993-06-02 1995-06-27 Brosfske; Frederic G. Cargo stabilizer for pickup trucks
JPH0747365Y2 (ja) * 1993-06-22 1995-11-01 特殊車輌整備工業株式会社 荷姿矯正装置
US5433566A (en) * 1993-07-26 1995-07-18 Bradley; Douglas B. Tailgate-mounted stabilizing apparatus
JPH0986879A (ja) * 1995-09-22 1997-03-31 Tadano Ltd 移動式作業機のアウトリガ装置
AT409485B (de) * 1999-05-18 2002-08-26 Winter Udo Ing Mag Teleskopausleger für ein fahrzeug oder ein hebezeug
JP3376559B2 (ja) * 2000-07-31 2003-02-10 株式会社筑水キャニコム ポールを備えた林内作業車
US6688836B2 (en) * 2001-08-21 2004-02-10 Chris M. Gourand Self-propelled dolly with power lift
US7172083B1 (en) * 2002-09-09 2007-02-06 Raines Harry F Mobile hydraulic hoist
CN101434214B (zh) * 2008-12-17 2011-04-06 三角轮胎股份有限公司 轮胎成型鼓装卸专用电动车
JP2012111578A (ja) * 2010-11-22 2012-06-14 Meirin Consultant Kk クレーン付車両及びこれを用いた被移送物の移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52426A1 (en) 2016-08-10
AU2014330935B2 (en) 2018-10-04
DE112014004574T5 (de) 2016-08-25
GB2521713B (en) 2016-03-30
JP6446050B2 (ja) 2018-12-26
JP2016532616A (ja) 2016-10-20
GB201318052D0 (en) 2013-11-27
CA2963032A1 (en) 2015-04-09
GB2521713A (en) 2015-07-01
GB201415535D0 (en) 2014-10-15
US20160250959A1 (en) 2016-09-01
GB201317471D0 (en) 2013-11-13
WO2015049530A1 (en) 2015-04-09
AU2014330935A1 (en) 2016-05-12
DK3052426T3 (en) 2019-03-18
US10017094B2 (en) 2018-07-10
CA2963032C (en) 2022-08-02
PT3052426T (pt) 2019-03-21
KR20160067915A (ko) 2016-06-14
EP3052426B1 (en) 2018-12-05
ES2714534T3 (es) 2019-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6550B1 (ko) 관절식 암을 갖는 트롤리
US5829948A (en) Multipurpose lift apparatus and method
US9038835B2 (en) Crane mat carrier
EP1259398B1 (en) An apparatus for lifting, handling and transporting a container
JP2016532616A5 (ko)
US20120161407A1 (en) Transportation Cart
US20180370779A1 (en) Forklift Adapter
NZ516763A (en) Container handling apparatus or cradle
US3954189A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US20050244255A1 (en) Remotely operated self-loading/unloading railroad gondola car-top material handler
EP0134784A1 (en) Chassis assembly for mobile machine
EP0906241B1 (en) A straddle carrier
KR101626146B1 (ko)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
CN210973745U (zh) 搬运车
CN214399669U (zh) 一种多功能平衡运输车
JP3240716U (ja) 地上式消火栓の搬送機構。
CN210620066U (zh) 一种起吊车设备
CA1334831C (en) Foldup towable hoist with truck guide channels
JP3315601B2 (ja) 運搬車両
JPS63230496A (ja) 建設工事用運搬装置
JP2004149271A (ja) クレーン
JPH0333638B2 (ko)
JPH0718975U (ja) 荷役装置
JPH0882109A (ja) 車輪付荷台シャーシの格納方法及び格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