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183B1 - 경각심을 일으킬 수 있는 도로표지병 - Google Patents
경각심을 일으킬 수 있는 도로표지병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0183B1 KR102300183B1 KR1020200141846A KR20200141846A KR102300183B1 KR 102300183 B1 KR102300183 B1 KR 102300183B1 KR 1020200141846 A KR1020200141846 A KR 1020200141846A KR 20200141846 A KR20200141846 A KR 20200141846A KR 102300183 B1 KR102300183 B1 KR 1023001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ad
- detection sensor
- detected
- leds
- control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 G08G1/05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photographing overspeeding vehic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에 접근하는 도로 이용자에게 경각심을 일으킬 수 있는 도로표지병을 제안한다. 상기 도로표지병은 빛을 발광할 수 있는 복수 개의 LED; 레이저 및 초음파 중 어느 하나를 방사한 후 반사되어 되돌아온 시간을 기초로 도로 위에 물체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물체와의 거리에 대응하여 사전에 설정된 발광 패턴 또는 밝기 값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LED를 발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통 안전 시설(traffic safety facilities)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에 접근하는 도로 이용자에게 경각심을 일으킬 수 있는 도로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도로표지병(road stud, raised pavement marker)은 도로상에 설치된 노면 표시의 선형을 보완하여 운전자의 시선을 명확히 유도함으로써, 교통 안전 및 원활한 소통을 도모하기 위하여 도로 표면에 설치되는 시설물이다.
이와 같은 도로표지병은 표지 방식에 따라, 반사 표지병, 무반사 표지병 및 발광형 표지병으로 구분될 수 있다. 반사 표지병은 차량의 전조등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재귀 반사하여 노면 표시하는 시설물이고, 무반사 표지병은 반사 표지병과 함께 설치되어 노면 표시를 보강하는 시설물이다. 그리고, 발광형 표지병은 빛을 점멸(flashing) 또는 점등(steady)하여 노면 표시하는 시설물이다.
한편, 최근 보행자 교통사고의 심각도(severity)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스쿨 존(school zone) 또는 횡단보도 주변을 주행하는 차량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다수 등장하였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7800호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고, 차량이 과속 시 이를 안내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이 적용된 교통 안전 시설물은 단순히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행 속도를 안내 또는 경고하거나, 또는 범칙금 부과를 위해 과속을 인식하는 수준에 불과하였다. 또한, 도로 상에 설치될 수 있는 교통 안전 시설물들은 그 수가 매우 많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기술들이 적용된 교통 안전 시설물들은 자체 기능의 구현에만 중점을 두고 있으며, 시설물의 유지 또는 보수에 대한 대비가 극히 미흡하였다.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에 접근하는 도로 이용자에게 경각심을 일으킬 수 있는 도로표지병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에 접근하는 도로 이용자에게 경각심을 일으킬 수 있는 도로표지병을 제안한다. 상기 도로표지병은 빛을 발광할 수 있는 복수 개의 LED; 레이저 및 초음파 중 어느 하나를 방사한 후 반사되어 되돌아온 시간을 기초로 도로 위에 물체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물체와의 거리에 대응하여 사전에 설정된 발광 패턴 또는 밝기 값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LED를 발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로표지병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LED 또는 감지 센서가 오작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도로표지병을 식별하기 위하여 사전에 부여된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LED의 전력 소비량을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LED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거리 값의 오차 범위를 기초로 상기 감지 센서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도로 위의 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도로와 교차하는 제2 도로에 설치된 제2 도로표지병에 상기 도로 위에 물체가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도로표지병으로부터 상기 제2 도로 위에 물체가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감지 센서의 물체 감지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제2 도로에서 교차로를 향하여 물체가 접근함을 알리기 위하여 상기 복수 개의 LED를 발광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도로표지병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도로 위의 물체의 속도에 대응하여 사전에 설정된 발광 패턴 또는 밝기 값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LED를 발광시킬 수도 있다.
상기 도로표지병은 외부의 소리를 입력 받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소리로부터 사전에 설정된 스키드음(skid sound)이 검출되면, 상기 감지 센서의 물체 감지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통신부가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설치된 모든 도로표지병에게 물체가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가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도로 위의 물체가 1차 감지되면 사전에 설정된 시간 차를 두고 2차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 감지된 거리와 2차 감지된 거리의 차이 값과, 1차 감지된 시각과 2차 감지된 시각의 차이 값을 이용하여 상기 물체의 속도를 결정하고, 상기 물체의 속도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발광 패턴 또는 밝기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도로표지병은 외부로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 감지된 거리와 2차 감지된 거리가 사전에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로 유지된 상태에서 사전에 설정된 주차 단속 시간이 경과하면, 차량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하여 사전에 설정된 소리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로표지병은 상기 감지 센서가 레이저 및 초음파 중 어느 하나를 방사하는 방향과 사전에 설정된 각도만큼 이격된 제2 방향을 향하여 레이저 및 초음파 중 어느 하나를 방사한 후 반사되어 되돌아온 시간을 기초로 상기 제2 방향의 도로 위에 물체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LED가 발광 중인 상태에서 상기 제2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되던 물체가 더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복수 개의 LED를 소광시킬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로표지병을 이용하여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에 접근하는 차량, 전동 이륜차, 자전거 또는 보행자에게 경각심을 일으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로 상에 설치되는 많은 수의 도로표지병을 용이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접한 교차로에 설치된 다른 도로표지병과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교차로에 진입하는 차량을 효과적으로 감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횡단보도에 접근하는 도로 이용자에게 경각심을 일으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이 자가 진단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이 도로 이용자의 속도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이 복수 개의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빛의 발광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이 인접한 교차로에서 도로 이용자의 접근을 알리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로 이용자에게 경각심을 일으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이 자가 진단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이 도로 이용자의 속도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이 복수 개의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빛의 발광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이 인접한 교차로에서 도로 이용자의 접근을 알리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로 이용자에게 경각심을 일으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교통 안전 시설물들은 단순히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행 속도를 안내 또는 경고하거나, 범칙금 부과를 위해 과속을 인식하는 수준에 불과하였다. 또한, 도로 상에 설치될 수 있는 교통 안전 시설물들은 그 수가 매우 많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기술들이 적용된 교통 안전 시설물들은 유지, 보수에 대한 대비가 극히 미흡하였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인접한 교차로에 설치된 다른 도로표지병과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도로 이용자에게 경각심을 일으킬 수 있는 교통 안전 시설물을 제안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횡단보도에 접근하는 도로 이용자에게 경각심을 일으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도로표지병(100)을 이용하여 도로 이용자(10)에게 경각심을 일으킬 수 있다.
여기서, 도로 이용자는 별도의 주행 수단에 탑승하여 도로를 이용하거나, 자신의 신체를 이용하여 도로를 이용하는 모든 자를 포함하는 용어로, 차량의 운전자, 전동 이륜차의 운전자, 자전거 운전자, 스마트 모빌리티(smart mobility) 운전자 및 보행자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이를 위한, 도로표지병(100)은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와 인접한 도로를 가로질러 설치되거나, 또는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와 인접한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100)은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를 향하여 접근하는 도로 이용자(10)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로표지병(100)은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에 접근하는 도로 이용자(10)를 향하여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100)은 기본적으로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를 향하여 접근하는 도로 이용자로 하여금 주의를 기울이도록 경각심을 일으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100)은 자가 진단을 수행하여 감지된 오작동 상태를 외부에 알림으로써 보다 용이한 유지, 보수를 가능하게 하며, 인접한 교차로에 설치된 다른 도로표지병과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교차로에 접근하는 도로 이용자의 경각심을 일으킬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도로표지병(100)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시스템은 기본적으로 하나 이상의 도로표지병(100-1, 100-2, …, 100-n; 1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시스템은 보조 태양광 패널(2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시스템은 시설물 관제 서버(300)와 이동통신 단말기(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로표지병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은 도로의 구성, 도로의 폭, 차량의 이동량 또는 달성하고자 하는 감속의 정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로표지병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은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요소들을 나타낸 것에 불과하므로, 실제 물리적 환경에서는 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둘 이상의 구성요소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로표지병(100)은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와 인접한 도로를 가로질러 설치되거나, 또는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와 인접한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를 향하여 접근하는 도로 이용자(10)를 감지하고,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에 접근하는 도로 이용자(10)를 향하여 빛을 발광할 수 있다.
특징적으로, 도로표지병(100)은 자가 진단을 수행하여 감지된 오작동 상태를 시설물 관제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로표지병(100)은 인접한 교차로에 설치된 다른 도로표지병에 도로 이용자(10)의 접근 상태를 알리고, 인접한 교차로에 설치된 다른 도로표지병이 도로 이용자(10)의 접근을 감지하면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로표지병(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 구성으로, 보조 태양광 패널(200)은 하나 이상의 도로표지병(100)에 추가적인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와 같은, 보조 태양광 패널(200)은 지리적인 위치 또는 환경적인 요인 등으로 도로표지병(100)의 동작에 필요한 최소한의 태양광이 확보되지 않을 때, 도로표지병(100)에 추가적인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 태양광 패널(200)은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와 인접한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될 수 있다. 보조 태양광 패널(200)은 광기전 효과(photovoltaic effect)를 이용하여 태양광에 의해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보조 태양광 패널(200)은 발생된 전압을 이용하여, 전원 공급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도로표지병(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보조 태양광 패널(200)과 도로표지병(100)을 직접 연결하고 있는 전원 공급 케이블은 도로 아래의 매설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 구성으로, 시설물 관제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교통 안전 시설물들을 관리하고 통제하기 위한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시설물 관제 서버(300)는 도로표지병(100)으로부터 오작동 상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시설물 관제 서버(300)는 수신된 오작동 상태 신호를 분석하여, 도로표지병(100)의 오작동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오작동 상태 신호는 도로표지병(100)의 내부 구성요소 중에 오작동하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알리기 위한 신호이다. 이와 같은, 오작동 상태 신호에는 도로표지병의 식별번호, 오작동이 감지된 내부 구성요소의 식별번호 및 감지된 오작동의 유형번호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시설물 관제 서버(300)는 오작동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400)에 전송하여, 도로표지병(100)의 보수를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설물 관제 서버(3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100)만을 관리, 통제하기 위한 전용 장치에 해당하거나,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 여러 교통 안전 시설물들을 관리, 통제하기 위해 운용하는 범용 장치에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다음 구성으로, 이동통신 단말기(400)는 도로표지병(100)의 오작동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400)는 시설물 관제 서버(300)로부터 오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400)는 수신된 오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400)는 도로표지병(100)의 오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의 출력만을 위한 전용 장치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도로표지병(100)를 보수하는 자가 전화 통화, 메시지 수발신, 인터넷 검색, 게임 등의 여러 용도로 널리 사용하는 범용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400)는 스마트폰(smart phone), 랩탑(laptop), 패블릿(phablet), 태블릿(tablet), 개인용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전자책 단말기(E-Book reader) 등과 같은 이동식 컴퓨팅 장치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도로표지병(100), 시설물 관제 서버(300) 및 이동통신 단말기(400) 사이의 무선 신호는 이동통신 기지국을 통해 중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통신 기지국은 로라(LoRa, Long Range) 통신을 통해 도로표지병(100)으로부터 오작동 상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오작동 상태 신호를 기간망(backbone network)을 통해 시설물 관제 서버(3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동통신 기지국은 기간망을 통해 시설물 관제 서버(300)로부터 오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오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4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기간망에는 이더넷(ethernet), 디지털가입자선(x Digital Subscriber Line, xDSL), 광동축 혼합망(Hybrid Fiber Coax, HFC), 광가입자망(Fiber To The Home, FTTH)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동통신 네트워크에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와이드 밴드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DMA, WCDMA), 고속 패킷 접속(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5세대 이동통신(fif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도로표지병(100)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100)은 하나 이상의 감지 센서(110), 복수 개의 LED(120-1, 120-2, …, 120-n; 120), 태양광 패널(130), 배터리(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100)은 감지 센서(100)가 제1 감지 센서(110-1)와 제2 감지 센서(110-2)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100)은 통신부(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100)은 스피커(170) 및 마이크(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도로표지병(100)의 추가 구성요소들은 도로표지병(100)의 도로 이용자(10)의 감지 정확도를 향상시키거나, 또는 도로표지병(100)에 기능을 추가시키기 위하여 부가된 선택적인 구성요소에 불과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도로표지병(100)의 구성요소들은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요소들을 나타낸 것에 불과하므로, 실제 물리적 환경에서는 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둘 이상의 구성요소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면, 감지 센서(110)는 도로 위의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다.
구체적으로, 감지 센서(110)는 레이저 및 초음파 중 어느 하나를 방사한 후 반사되어 되돌아온 시간을 기초로, 도로 위에 물체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지 센서(110)는 라이다(lidar) 또는 초음파 거리계(ultrasonic distance meter)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100)은 둘레면 중 일 면에 하나 이상의 감지 센서(110)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110)은 둘레면 중 서로 대향하는 두 면에 각각 하나 이상의 감지 센서(110)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110)은 모든 둘레면에 각각 하나 이상의 감지 센서(110)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감지 센서(110)는 제1 시각에 방사된 레이저 또는 초음파를 기초로 도로 위의 물체가 1차 감지되면, 사전에 설정된 시간 차를 둔 제2 시각에 레이저 또는 초음파를 방사하여 2차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 회의 감지는 도로 이용자(10) 감지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거나 또는 도로 이용자(10)의 이동 속도를 산출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 구성으로, 복수 개의 LED(120-1, 120-2, …, 120-n; 120)는 제어부(150)에 의해 결정된 발광 순서, 발광 패턴 및 밝기에 따라, 빛을 발광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중인 복수 개의 LED(12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발광 중인 빛을 소광시킬 수 있다.
다음 구성으로, 태양광 패널(130)은 광기전 효과를 이용하여 태양광에 의해 전압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압을 이용하여 배터리(140)를 충전할 수 있다.
다음 구성으로, 배터리(140)는 태양광 패널(130), 보조 태양광 패널(200) 또는 직접 연결된 유선 전원 케이블을 통해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감지 센서(110), LED(120) 및 제어부(15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40)는 도로표지병(100)의 구성에 따라, 통신부(160), 스피커(170) 및 마이크(180)에 추가로 전원을 인가할 수도 있다.
다음 구성으로, 제어부(150)는 감지 센서(110) 및 LED(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도로표지병(100)의 구성에 따라, 통신부(160) 스피커(170) 및 마이크(180)를 추가로 제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감지 센서(110)를 제어하여, 도로 위에 물체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감지 센서(110)에 의해 감지된 물체와의 거리에 대응하여 사전에 설정된 발광 패턴 및 밝기 값에 따라, 복수 개의 LED(120)의 발광 패턴 및 밝기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결정된 발광 패턴 및 밝기 값에 따라, 복수 개의 LED(120)를 발광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감지 센서(110)에 의해 도로 위의 물체가 감지(1차 감지)되면, 사전에 설정된 시간 차를 두고 감지 센서(110)를 제어하여 2차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2차 감지된 거리와 1차 감지된 거리의 차이 값과, 2차 감지된 시각과 1차 감지된 시각의 차이 값을 이용하여, 도로 위 물체의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결정된 물체의 속도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복수 개의 LED(120)의 발광 패턴 또는 밝기 값을 결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감지 센서(110)에 의해 물체가 감지된 이후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도과하면, 발광 중인 복수 개의 LED(120)를 소광시킬 수 있다.
다음 구성으로, 통신부(160)는 시설물 관제 서버(300) 또는 다른 도로표지병(1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60)는 로라 통신을 이용하여, 시설물 관제 서버(300)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160)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는 로라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에 전송되며, 이동통신 기지국은 통신부(16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간망을 이용하여 시설물 관제 서버(300)에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통신부(16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인접한 교차로에 설치된 다른 도로표지병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에는 WiFi(Wireless Fidelity), 지그비(Zigbee),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 구성으로, 스피커(17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180)는 외부의 소리를 입력 받아,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로표지병(100)은 복수 개의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LED(120)의 발광과 소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감지 센서(110-1)는 사전에 설정된 제1 방향을 향하여 레이저 및 초음파 중 어느 하나를 방사한 후, 반사되어 되돌아온 시간을 기초로 제1 방향의 도로 위에 물체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감지 센서(110-1)는 도로의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즉, 주행 중인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레이저 또는 초음파를 방사하여, 도로 위에 물체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감지 센서(110-2)는 제1 감지 센서(110-1)의 제1 방향과 사전에 설정된 각도만큼 이격된 제2 방향을 향하여 레이저 및 초음파 중 어느 하나를 방사한 후, 반사되어 되돌아온 시간을 기초로 제2 방향의 도로 위에 물체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감지 센서(110-1)는 도로의 진행 방향을(즉, 주행 중인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레이저 또는 초음파를 방사하여, 도로 위에 물체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제1 감지 센서(110-1)와 제2 감지 센서(110-2)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의 도로 위에 물체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제1 감지 센서(110-1)에 의해 도로 위에 물체가 감지되면, 복수 개의 LED(120)를 발광시킬 수 있다. 복수 개의 LED(120)가 발광 중인 상태에서 제2 감지 센서(110-2)에 의해 감지되던 물체가 더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발광 중인 복수 개의 LED(120)를 소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로표지병(100)은 자가 진단을 수행하여 오작동 상태를 외부로 알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감지 센서(110), 복수 개의 LED(120)가 오작동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감지 센서(110)에 의해 감지된 거리 값이 사전에 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감지 센서(110)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복수 개의 LED(120)의 전력 소비량이 사전에 설정된 최소 전력 소비량의 이하인지 여부를 기초로, 복수 개의 LED(120)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감지 센서(110) 또는 복수 개의 LED(120)가 오작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통신부(160)를 통해 오작동 상태 신호를 시설물 관제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도로표지병(100)의 구성에 따라, 통신부(160), 스피커(170) 및 마이크(180)의 전력 소비량이 사전에 설정된 최소 전력 소비량의 이하인지 여부를 기초로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통신부(160), 스피커(170) 또는 마이크(180)가 오작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통신부(160)를 통해 오작동 상태 신호를 시설물 관제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오작동 상태 신호는 도로표지병(100)의 내부 구성요소 중에 오작동하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알리기 위한 신호이다. 이와 같은, 오작동 상태 신호에는 도로표지병의 식별번호, 오작동이 감지된 내부 구성요소의 식별번호 및 감지된 오작동의 유형번호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로표지병(100)은 인접한 교차로에 설치된 다른 도로표지병과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교차로로 접근하는 도로 이용자의 경각심을 일으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감지 센서(100)에 의해 도로 위의 물체가 감지되면, 통신부(160)를 통해 도로표지병(100)이 설치된 도로와 교차하는 제2 도로(즉, 인접한 교차로)에 설치된 제2 도로표지병에, 도로 위에 물체가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통신부(160)를 통해 제2 도로표지병으로부터 제2 도로 위에 물체가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2 도로표지병으로부터 제2 도로 위에 물체가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감지 센서(110)의 물체 감지 여부와 무관하게, 제2 도로에서 교차로를 향하여 물체가 접근함을 알리기 위하여 복수 개의 LED(120)를 발광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통신부(160)를 통해 제2 도로표지병으로부터 제2 도로 위의 물체의 속도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2 도로표지병으로부터 수신된 제2 도로 위의 물체의 속도에 대응하여 사전에 설정된 발광 패턴 또는 밝기 값에 따라, 복수 개의 LED(120)의 발광 패턴 및 밝기 값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결정된 발광 패턴 및 밝기 값에 따라, 복수 개의 LED(120)를 발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로표지병(100)은 교통 사고를 감지하여 인접한 교차로에 설치된 다른 도로표지병에 전파하여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마이크(180)를 통해 입력된 소리에 사전에 설정된 스키드음(skid sound)이 포함되어 있는지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마이크(180)를 통해 입력된 소리로부터 스키드음이 검출되면, 감지 센서(110)의 물체 감지 여부와 무관하게, 통신부(160)가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설치된 모든 도로표지병에 도로 위에 물체가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가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로표지병(100)은 불법 주정차된 차량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감지 센서(110)를 통해 도로 위의 물체가 1차 감지되면, 사전에 설정된 시간 차를 두고 감지 센서(110)를 제어하여 2차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1차 감지된 거리와 2차 감지된 거리가 사전에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로 유지된 상태에서 사전에 설정된 주차 단속 시간이 경과하면, 차량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하여 사전에 설정된 소리를 스피커(17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도로표지병(100)의 다양한 특징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이 자가 진단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100)은 내부 구성요소가 오작동하는지 자가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우선, 도로표지병(100)은 감지 센서(110), 복수 개의 LED(120), 통신부(160), 스피커(170) 또는 마이크(180)가 오작동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로표지병(100)은 감지 센서(110)에 의해 감지된 거리 값이 사전에 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감지 센서(110)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로표지병(100)은 복수 개의 LED(120), 통신부(160), 스피커(170) 및 마이크(180)의 전력 소비량이 사전에 설정된 최소 전력 소비량의 이하인지 여부를 기초로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도로표지병(100)은 감지 센서(110), 복수 개의 LED(120), 통신부(160), 스피커(170) 또는 마이크(180)가 오작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오작동 상태 신호를 시설물 관제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오작동 상태 신호는 도로표지병(100)의 내부 구성요소 중에 오작동하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알리기 위한 신호이다. 이와 같은, 오작동 상태 신호에는 도로표지병의 식별번호, 오작동이 감지된 내부 구성요소의 식별번호 및 감지된 오작동의 유형번호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시설물 관제 서버(300)는 도로표지병(100)으로부터 오작동 상태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도로표지병(100)의 오작동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시설물 관제 서버(300)는 오작동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400)에 전송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동통신 단말기(400)는 도로표지병(100)으로부터 오작동 상태와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도로표지병(100)의 보수를 요청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이 도로 이용자의 속도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100)은 도로 이용자(10)의 속도를 산출하여 다양하게 빛을 발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로표지병(100)은 도로 위의 물체(10, 즉 차량)이 감지(1차 감지)되면, 사전에 설정된 시간 차를 두고 2차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도로표지병(100)에 의해 물체(10)가 1차 감지된 시각을 t1, 1차 감지된 거리를 d1이라 하고, 물체(10)가 2차 감지된 시각을 t2, 2차 감지된 거리를 d2라 하자.
이 경우, 도로표지병(100)은 2차 감지된 거리(d2)와 1차 감지된 거리(d1)의 차이 값(d2 - d1)과, 2차 감지된 시각(t2)과 1차 감지된 시각(t1)의 차이 값(t2 - t1)을 이용하여, 도로 위의 물체(10)의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도로표지병(100)은 산출된 물체(10)의 속도를 이용하여 결정된 발광 패턴 및 밝기 값에 따라, 복수 개의 LED(120)를 발광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이 복수 개의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빛의 발광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100)은 도로의 진행 방향을 향하여 레이저 또는 초음파를 방사하는 추가적인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빛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로표지병(100)은 제1 감지 센서(110-1)를 이용하여 도로의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즉, 주행 중인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레이저 또는 초음파를 방사하여, 도로 위에 물체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로표지병(100)은 제1 감지 센서(110-1)에 의해 도로 위에 물체가 감지되면, 복수 개의 LED(120)를 발광시킬 수 있다.
도로표지병(100)은 복수 개의 LED(120)가 발광 중인 상태에서, 제2 감지 센서(110-1)를 이용하여 도로의 진행 방향을(즉, 주행 중인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레이저 또는 초음파를 방사하여, 도로 위에 물체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로표지병(100)은 제2 감지 센서(110-2)에 의해 감지되던 물체가 더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발광 중인 복수 개의 LED(120)를 소광시킬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이 인접한 교차로에서 도로 이용자의 접근을 알리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100)은 인접한 교차로에 설치된 다른 도로표지병과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도로 이용자의 경각심을 일으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도로표지병(100-1)은 인접한 교차로에 설치된 제2 도로표지병(100-2)으로부터 도로 위에 물체(10)가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도로표지병(100-1)은 자신의 감지 센서(110)가 물체를 감지하였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제2 도로표지병(100-2)이 설치된 도로에서 교차로를 향하여 물체(10)가 접근함을 알리기 위하여, 복수 개의 LED(120)를 발광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도로표지병(100-1)은 제2 도로표지병(100-2)으로부터 도로 위에서 감지된 물체(10)의 속도를 더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1 도로표지병(100-1)은 수신된 속도에 대응하여 사전에 설정된 발광 패턴 또는 밝기 값에 따라, 복수 개의 LED(120)를 발광시킬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도로표지병(100)의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로 이용자에게 경각심을 일으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로표지병(100)은 감지 센서(110)를 제어하여, 도로 위에 물체(10)가 위치하는지 감지를 시도할 수 있다(S100). 그리고, 도로표지병(100)은 감지 센서(110)에 의해 감지된 거리 값이 사전에 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0).
판단 결과, 감지 센서(110)에 의해 감지된 물체(10)와의 거리 값이 사전에 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도로표지병(100)은 오작동 상태 신호를 시설물 관제 서버(300)로 전송하고(S300), 이하의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종료할 수 있다.
감지 센서(110)에 의해 감지된 물체(10)와의 거리 값이 사전에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인 경우, 도로표지병(100)은 도로표지병(100)이 설치된 도로와 교차하는 제2 도로(즉, 인접한 교차로)에 설치된 다른 도로표지병에 도로 위에 물체(10)가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400). 본 단계는 도로표지병(100)이 인접한 교차로에 설치된 다른 도로표지병에 도로 이용자(10)의 접근 사실을 전파하기 위함이다.
도로표지병(100)은 감지 센서(110)에 의해 감지된 물체와의 거리에 대응하여 사전에 설정된 발광 패턴 및 밝기 값에 따라, 복수 개의 LED(120)의 발광 패턴 및 밝기 값을 결정할 수 있다(S500).
이 경우, 도로표지병(100)은 감지 센서(110)에 의해 도로 위의 물체가 감지(1차 감지)되면, 사전에 설정된 시간 차를 두고 감지 센서(110)를 제어하여 2차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도로표지병(100)은 2차 감지된 거리와 1차 감지된 거리의 차이 값과, 2차 감지된 시각과 1차 감지된 시각의 차이 값을 이용하여, 도로 위 물체의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로표지병(100)은 결정된 물체의 속도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복수 개의 LED(120)의 발광 패턴 또는 밝기 값을 결정할 수도 있다.
도로표지병(100)은 결정된 발광 패턴 및 밝기 값에 따라, 복수 개의 LED(120)를 발광시킬 수 있다(S600).
도로표지병(100)은 발광된 복수 개의 LED(120)의 전력 소비량이 사전에 설정된 최소 전력 소비량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00).
판단 결과, 복수 개의 LED(120)의 전력 소비량이 사전에 설정된 최소 전력 소비량의 이하인 경우, 도로표지병(100)은 오작동 상태 신호를 시설물 관제 서버(300)로 전송하고(S300), 이하의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종료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LED(120)의 전력 소비량이 사전에 설정된 최소 전력 소비량의 이상인 경우, 도로표지병(100)은 감지 센서(110)에 의해 물체가 감지된 이후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도과하면, 발광 중인 복수 개의 LED(120)를 소광시킬 수 있다(S800).
이 경우, 도로표지병(100)은 도로의 진행 방향을(즉, 주행 중인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레이저 또는 초음파를 방사하여 도로 위에 물체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추가적인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되던 물체가 더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발광 중인 복수 개의 LED(120)를 소광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선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로표지병: 100 보조 태양광 패널: 200
시설물 관제 서버: 300 이동통신 단말기: 400
감지 센서: 110 LED: 120
태양광 패널: 130 배터리: 140
제어부: 150 통신부: 160
스피커: 170 마이크: 180
시설물 관제 서버: 300 이동통신 단말기: 400
감지 센서: 110 LED: 120
태양광 패널: 130 배터리: 140
제어부: 150 통신부: 160
스피커: 170 마이크: 180
Claims (10)
- 빛을 발광할 수 있는 복수 개의 LED;
로라(LoRa)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레이저 및 초음파 중 어느 하나를 방사한 후 반사되어 되돌아온 시간을 기초로 도로 위에 물체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물체와의 거리에 대응하여 사전에 설정된 발광 패턴 또는 밝기 값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LED를 발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LED의 전력 소비량을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LED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거리 값의 오차 범위를 기초로 상기 감지 센서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 개의 LED 또는 감지 센서가 오작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내부 구성요소 중에 오작동하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알리기 위한 오작동 상태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오작동 상태 신호는 도로표지병의 식별번호, 오작동이 감지된 상기 내부 구성요소의 식별번호 및 감지된 오작동의 유형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 삭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도로 위의 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도로와 교차하는 제2 도로에 설치된 제2 도로표지병에 상기 도로 위에 물체가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도로표지병으로부터 상기 제2 도로 위에 물체가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감지 센서의 물체 감지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제2 도로에서 교차로를 향하여 물체가 접근함을 알리기 위하여 상기 복수 개의 LED를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도로표지병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도로 위의 물체의 속도에 대응하여 사전에 설정된 발광 패턴 또는 밝기 값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LED를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 제4 항에 있어서,
외부의 소리를 입력 받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소리로부터 사전에 설정된 스키드음(skid sound)이 검출되면, 상기 감지 센서의 물체 감지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통신부가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설치된 모든 도로표지병에게 물체가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가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도로 위의 물체가 1차 감지되면 사전에 설정된 시간 차를 두고 2차 감지를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 감지된 거리와 2차 감지된 거리의 차이 값과, 1차 감지된 시각과 2차 감지된 시각의 차이 값을 이용하여 상기 물체의 속도를 결정하고, 상기 물체의 속도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발광 패턴 또는 밝기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 제8 항에 있어서,
외부로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 감지된 거리와 2차 감지된 거리가 사전에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로 유지된 상태에서 사전에 설정된 주차 단속 시간이 경과하면, 차량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하여 사전에 설정된 소리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가 레이저 및 초음파 중 어느 하나를 방사하는 방향과 사전에 설정된 각도만큼 이격된 제2 방향을 향하여 레이저 및 초음파 중 어느 하나를 방사한 후 반사되어 되돌아온 시간을 기초로 상기 제2 방향의 도로 위에 물체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LED가 발광 중인 상태에서 상기 제2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되던 물체가 더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복수 개의 LED를 소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1846A KR102300183B1 (ko) | 2020-10-29 | 2020-10-29 | 경각심을 일으킬 수 있는 도로표지병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1846A KR102300183B1 (ko) | 2020-10-29 | 2020-10-29 | 경각심을 일으킬 수 있는 도로표지병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00183B1 true KR102300183B1 (ko) | 2021-09-09 |
Family
ID=77777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41846A KR102300183B1 (ko) | 2020-10-29 | 2020-10-29 | 경각심을 일으킬 수 있는 도로표지병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0183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54096B1 (ko) * | 2023-01-19 | 2024-04-03 | 주식회사 해건 | 전방 차량 사고신호 정보 전달기능을 가진 지능형 델리네이터 |
KR102711800B1 (ko) * | 2023-11-13 | 2024-09-30 | (주)미라클산업 | 무선 전원이 공급이 가능한 도로 표지병 |
JP7582167B2 (ja) | 2021-11-26 | 2024-11-13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道路鋲システム、道路鋲の制御方法および道路鋲の制御プログラム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54360A (ko) * | 2007-11-26 | 2009-05-29 | 이정대 | 사고 알림 장치 및 사고 알림 방법 |
KR101429123B1 (ko) * | 2013-02-05 | 2014-08-12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센서 노드, 교차로 안전 시스템 및 교차로 안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
KR20150003616U (ko) * | 2014-03-20 | 2015-10-06 | 진명규 | 교차로에 장착되는 도로 표지병 |
KR101897800B1 (ko) | 2018-06-14 | 2018-09-13 | (주)벨류데이터 |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 측정이 가능한 과속 안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KR20200012618A (ko) * | 2018-07-27 | 2020-02-05 | 한국자동차연구원 | 차량용 안내정보 표시 장치 |
-
2020
- 2020-10-29 KR KR1020200141846A patent/KR10230018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54360A (ko) * | 2007-11-26 | 2009-05-29 | 이정대 | 사고 알림 장치 및 사고 알림 방법 |
KR101429123B1 (ko) * | 2013-02-05 | 2014-08-12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센서 노드, 교차로 안전 시스템 및 교차로 안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
KR20150003616U (ko) * | 2014-03-20 | 2015-10-06 | 진명규 | 교차로에 장착되는 도로 표지병 |
KR101897800B1 (ko) | 2018-06-14 | 2018-09-13 | (주)벨류데이터 |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 측정이 가능한 과속 안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KR20200012618A (ko) * | 2018-07-27 | 2020-02-05 | 한국자동차연구원 | 차량용 안내정보 표시 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582167B2 (ja) | 2021-11-26 | 2024-11-13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道路鋲システム、道路鋲の制御方法および道路鋲の制御プログラム |
KR102654096B1 (ko) * | 2023-01-19 | 2024-04-03 | 주식회사 해건 | 전방 차량 사고신호 정보 전달기능을 가진 지능형 델리네이터 |
KR102711800B1 (ko) * | 2023-11-13 | 2024-09-30 | (주)미라클산업 | 무선 전원이 공급이 가능한 도로 표지병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40094353A1 (en) | Lidar system, apparatus communicating with the lidar system, and apparatus located in a field of view (fov) of the lidar system | |
US9976265B2 (en) | Technologies for communicating roadway information | |
KR102300183B1 (ko) | 경각심을 일으킬 수 있는 도로표지병 | |
CN106530771B (zh) | 一种高速公路主动发光轮廓标交通诱导装置及方法 | |
US11878761B2 (en) | Collision alert systems and methods for micromobility vehicles | |
CN109887311A (zh) | 一种根据人数智能调节交通红绿灯的系统以及应用方法 | |
KR102137678B1 (ko) | 보행자 안전 제공장치 | |
JP2020515964A (ja) | 状況認識標識システム | |
US11948457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vehicle | |
US20210287544A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lluminated route for an object moving on a path | |
JP4930043B2 (ja) | 路車間通信システム及び距離認識方法とこれに用いる光ビーコン、車載機 | |
CN113811927B (zh) | 基于操作者熟练度的基础设施制品 | |
CN104349543A (zh) | 控制车辆的灯的设备和使用该设备控制车辆的灯的方法 | |
Smiai et al.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research opportunities in dynamic charging for electric vehicle | |
CN105070085A (zh) | 智慧城市智能交通引导系统 | |
KR20130104721A (ko) | 사고 예방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 |
JP5082298B2 (ja) | 自律移動装置 | |
FI122746B (fi) | Valaistava liikenteen hallinnoimisväline | |
KR20210018728A (ko) | 비상차선확보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20210121479A (ko) | 차량 감속 유도 시스템 | |
KR102522319B1 (ko) | 온라인 전기차량의 충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
KR102122552B1 (ko) | 차량으로 경고 정보를 전송하는 보행자 경고 시스템 | |
US20210295059A1 (en) | Structured texture embeddings in pathway articles for machine recognition | |
KR102193154B1 (ko) | 표출수단을 이용한 교차로 교통 제어시스템 | |
KR102431316B1 (ko) |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