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291090B1 - 연속 작업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용 건식 및 습식 여과재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연속 작업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용 건식 및 습식 여과재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090B1
KR102291090B1 KR1020200156366A KR20200156366A KR102291090B1 KR 102291090 B1 KR102291090 B1 KR 102291090B1 KR 1020200156366 A KR1020200156366 A KR 1020200156366A KR 20200156366 A KR20200156366 A KR 20200156366A KR 102291090 B1 KR102291090 B1 KR 102291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acuum
filter medium
main body
separ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수
Original Assignee
김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수 filed Critical 김태수
Priority to KR1020200156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0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09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68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moving the filtering element
    • B01D24/4673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moving the filtering element using rotary devices or vibration mechanisms, e.g. 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38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24/383Feed or discharge devices using multiple wa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 작업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용 건식 및 습식 여과재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장치부(10); 여과재가 담긴 여과조(A)와 흡입배관(C)으로 연결되고, 진공장치부(10)와 진공배관(D)으로 연결되어 진공장치부(10)에 의해 선택적으로 흡입력이 작용하여 여과재를 흡입하여 분리하는 제1세퍼레이터부(20); 여과재가 담긴 여과조(A)와 흡입배관(C)으로 연결되고, 진공장치부(10)와 진공배관(D)으로 연결되어 진공장치부(10)에 의해 선택적으로 흡입력이 작용하여 여과재를 흡입하여 분리하는 제2세퍼레이터부(30); 제1세퍼레이터부(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제1세퍼레이터부(20)에서 분리한 여과재를 전달받아 퇴적시켰다가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배출장치부(40); 제2세퍼레이터부(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제2세퍼레이터부(30)에서 분리한 여과재를 전달받아 퇴적시켰다가 외부로 배출하는 제2배출장치부(50); 제1세퍼레이터부(20)와 제2세퍼레이터부(30)에 각각 설치되어 각 세퍼레이터부의 내부에 수집된 여과재 수집량을 감지하여 그 감지값을 제어부(70)에 제공하는 센서부(60); 센서부(60)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제1세퍼레이터부(20)와 제2세퍼레이터부(30)의 각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7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처리 장치용 여과재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장치의 멈춤 없이 연속적인 제거가 가능케 됨으로써 여과재 제거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며, 필요에 따라 건식과 습식을 선택하여 여과재를 제거함으로 여과재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연속 작업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용 건식 및 습식 여과재 제거장치{dry and wet filter removal device for water treatment devices with continuous operation}
본 발명은 연속 작업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용 건식 및 습식 여과재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처리 장치용 여과재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장치의 멈춤 없이 연속적인 제거가 가능케 하고, 여과재의 함수율에 따른 건식 및 습식 겸용이 가능케 하며, 여과재의 제거 과정에서 세퍼레이터의 내벽에 부착되는 여과재를 탈리시킬 수 있게 한 연속 작업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용 건식 및 습식 여과재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산업분야에서 발생하는 폐수는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할 뿐만 아니라, 발생량도 많아서 적절하게 처리하는데 상당한 노력과 비용이 소모된다.
아울러 폐수처리는 환경오염과 관련하여 그 중요성이 날로 커짐에 따라 좀 더 경제적이며, 효과적인 폐수처리와 관련된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가장 일반적인 폐수처리 장치는 여과재가 담긴 여과조 내부에 폐수를 통과시킴으로써 여과재를 이용해 폐수의 오염도를 낮추는 것인데, 이때 사용되는 여과재는 일반적으로 활성탄, 모래, 황토, 자갈, 맥반석 등이 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폐수처리 장치에 사용되는 여과재는 일정 기간 사용하면 여과재가 가지는 여과 성능이 현저히 저하되기 때문에 새로운 여과재로 교체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한편 여과조 내부에 투입된 여과재는 폐수의 오염도를 낮추는 여과 기능을 수행하면서 자중에 의해 뭉쳐짐에 따라 자연 배출이 어렵기 때문에 종래에는 여과 성능이 저하된 폐여과재를 여과조 내부에서 배출할 때, 작업자가 여과조 내부로 직접 들어가서 삽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폐여과재를 퍼내어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고 작업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하여 근래에 여과조 내부의 여과재를 진공장치부에서 발생한 진공을 이용해 흡입하여 세퍼레이터에서 분리한 후 배출장치부에 수집하였다가, 배출장치부에 여과재가 완충되면 여과재를 포장 배출하는 건식 여과재 제거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종래의 건식 여과재 제거장치는 배출장치부에 여과재가 완충되어 이를 포장 배출하기 위해서는 진공을 이용한 여과재의 흡입을 멈추어야 함으로써 여과재의 제거를 위한 효율성, 즉 연속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건식 여과재 제거장치는 함수율이 높은 여과재의 제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함수율이 높은 여과재의 제거를 시도하는 경우에 여과재가 세퍼레이터의 내벽에 장시간 부착되어 고착되는 경우에 여과재의 제거 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단점도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40368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처리 장치용 여과재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장치의 멈춤 없이 연속적인 제거가 가능케 한 연속 작업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용 건식 및 습식 여과재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함수율이 높은 여과재의 제거 과정에서 수분의 분리가 가능케 한 연속 작업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용 건식 및 습식 여과재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재의 제거 과정에서 세퍼레이터의 내벽에 부착되는 여과재를 탈리시킬 수 있게 한 연속 작업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용 건식 및 습식 여과재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연속 작업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용 건식 및 습식 여과재 제거장치는,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장치부(10);
여과재가 담긴 여과조(A)와 흡입배관(C)으로 연결되고, 진공장치부(10)와 진공배관(D)으로 연결되어 진공장치부(10)에 의해 선택적으로 흡입력이 작용하여 여과재를 흡입하여 분리하는 제1세퍼레이터부(20);
여과재가 담긴 여과조(A)와 흡입배관(C)으로 연결되고, 진공장치부(10)와 진공배관(D)으로 연결되어 진공장치부(10)에 의해 선택적으로 흡입력이 작용하여 여과재를 흡입하여 분리하는 제2세퍼레이터부(30);
상기 제1세퍼레이터부(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제1세퍼레이터부(20)에서 분리한 여과재를 전달받아 퇴적시켰다가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배출장치부(40);
상기 제2세퍼레이터부(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제2세퍼레이터부(30)에서 분리한 여과재를 전달받아 퇴적시켰다가 외부로 배출하는 제2배출장치부(50);
상기 제1세퍼레이터부(20)와 제2세퍼레이터부(30)에 각각 설치되어 각 세퍼레이터부의 내부에 수집된 여과재 수집량을 감지하여 그 감지값을 제어부(70)에 제공하는 센서부(60);
상기 센서부(60)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제1세퍼레이터부(20)와 제2세퍼레이터부(30)의 각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70); 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세퍼레이터부(20)는,
상기 진공장치부(10)에서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내부로 흡입되는 여과재를 분리하기 위한 호퍼 형태의 본체(201);
상기 본체(201)의 일측에 형성되어, 여과조(A)로부터 여과재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배관(C)과 연결되는 제1흡입밸브(202);
상기 본체(201)의 타측에 형성되어, 진공장치부(10)에서 발생한 흡입력을 제공받기 위한 진공배관(D)과 연결되는 제1진공밸브(203);
상기 본체(201)의 내부에 형성되어 진공장치부(10)에서 발생한 흡입력으로 원심력을 발생시켜 흡입력에 의해 내부로 흡입되는 여과재를 집진하는 집진부(204);
상기 본체(201)의 하부에 형성되어 집진부(204)에 집진된 여과재를 제1배출장치부(40)로 배출하기 위한 개폐부(20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세퍼레이터부(30)는,
상기 진공장치부(10)에서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내부로 흡입되는 여과재를 분리하기 위한 호퍼 형태의 본체(301);
상기 본체(301)의 일측에 형성되어, 여과조(A)로부터 여과재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배관(C)과 연결되는 제2흡입밸브(302);
상기 본체(301)의 타측에 형성되어, 진공장치부(10)에서 발생한 흡입력을 제공받기 위한 진공배관(D)과 연결되는 제2진공밸브(303);
상기 본체(301)의 내부에 형성되어 진공장치부(10)에서 발생한 흡입력으로 원심력을 발생시켜 흡입력에 의해 내부로 흡입되는 여과재를 집진하는 집진부(304);
상기 본체(301)의 하부에 형성되어 집진부(304)에 집진된 여과재를 제2배출장치부(50)로 배출하기 위한 개폐부(30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세퍼레이터부(20)는,
상기 흡입배관(C)을 통해 본체(201) 내부로 흡입된 함수율이 높은 여과재에 함유된 수분이 배출되도록 본체(201)의 주벽에 형성된 배수공(207);
상기 본체(201)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본체(201)의 주벽을 감싸게 형성되어 배수공(207)을 통해 배출되는 수분이 수집되는 집수부(208);
상기 집수부(208) 일측에 형성되어, 집수부(208) 내부에 수집된 수분이 배출되도록 배수배관(E)과 연결되어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되는 제1배수밸브(209);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세퍼레이터부(30)는,
상기 흡입배관(C)을 통해 본체(301) 내부로 흡입된 함수율이 높은 여과재에 함유된 수분이 배출되도록 본체(301)의 주벽에 형성된 배수공(307);
상기 본체(301)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본체(301)의 주벽을 감싸게 형성되어 배수공(307)을 통해 배출되는 수분이 수집되는 집수부(308);
상기 집수부(308) 일측에 형성되어, 집수부(308) 내부에 수집된 수분이 배출되도록 배수배관(E)과 연결되어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되는 제2배수밸브(309);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세퍼레이터부(20)는,
본체(201)의 주벽을 진동시켜 주벽 내면에 부착된 여과재를 탈리시키는 진동수단(201b);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세퍼레이터부(30)는,
본체(301)의 주벽을 진동시켜 주벽 내면에 부착된 여과재를 탈리시키는 진동수단(301b);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처리 장치용 여과재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장치의 멈춤 없이 연속적인 제거가 가능케 됨으로써 여과재 제거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과재의 제거 과정에서 여과재의 함수율에 따라 건식과 습식을 선택하여 여과재를 제거함으로 여과재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여과재의 제거 과정에서 세퍼레이터의 내벽에 부착되는 여과재를 진동수단을 이용해 탈리시킴으로써 여과재에 의한 여과재 제거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속 작업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용 건식 및 습식 여과재 제거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측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연속 작업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용 건식 및 습식 여과재 제거장치의 제1 실시 예에 제1세퍼레이터부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연속 작업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용 건식 및 습식 여과재 제거장치의 제1 실시 예에 제2세퍼레이터부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연속 작업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용 건식 및 습식 여과재 제거장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측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연속 작업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용 건식 및 습식 여과재 제거장치의 제3 실시 예에 제2세퍼레이터부 단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연속 작업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용 건식 및 습식 여과재 제거장치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측면 예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일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속 작업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용 건식 및 습식 여과재 제거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측면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연속 작업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용 건식 및 습식 여과재 제거장치의 제1 실시 예에 제1세퍼레이터부를 나타낸 측면 예시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연속 작업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용 건식 및 습식 여과재 제거장치의 제1 실시 예에 제2세퍼레이터부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연속 작업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용 건식 및 습식 여과재 제거장치는 수처리 장치용 여과재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장치의 멈춤 없이 연속적인 제거가 가능하도록 진공장치부(10), 제1세퍼레이터부(20), 제2세퍼레이터부(30), 제1배출장치부(40), 제2배출장치부(50), 센서부(60), 제어부(70)를 포함한다.
상기 진공장치부(10)는 진공을 발생시켜, 진공장치부(10)와 진공배관(D)으로 연결되는 제1세퍼레이터부(20) 및 제2세퍼레이터부(30)에 흡입력을 제공한다.
이때, 진공장치부(10)는 진공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며, 차량과 같이 이동 가능한 수단과 함께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세퍼레이터부(20)는 여과재가 담긴 여과조(A)와 흡입배관(C)으로 연결되고, 진공장치부(10)와 진공배관(D)으로 연결되어 진공장치부(10)에 의해 선택적으로 흡입력이 작용하여 여과재를 흡입하여 분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세퍼레이터부(20)는, 본체(201), 제1흡입밸브(202), 제1진공밸브(203), 집진부(204), 개폐부(205)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01)는 진공장치부(10)에서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내부로 흡입되는 여과재를 분리하기 위하여 호퍼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본체(201)의 주벽에는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세로 방향으로 긴 투명창(201a)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밸브(202)는 본체(201)의 일측에 형성되어, 여과조(A)로부터 여과재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배관(C)과 연결된다.
따라서 제1흡입밸브(202)의 개방량 조절을 통해 여과조(A)에서 제1세퍼레이터부(20)로 흡입되는 여과재의 흡입량 조절이 가능케 된다.
상기 제1진공밸브(203)는 본체(201)의 타측에 형성되어, 진공장치부(10)에서 발생한 흡입력을 제공받기 위한 진공배관(D)과 연결된다.
따라서 제1진공밸브(203)의 개방량 조절을 통해 제1세퍼레이터부(20)의 내부에서 작용하는 진공압의 조절이 가능케 된다.
이때, 본체(201)의 주벽 일측에는 진공장치부(10)에서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본체(201) 내부에 형성된 진공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진공해제밸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집진부(204)는 본체(201)의 내부에 형성되어 진공장치부(10)에서 발생한 흡입력으로 원심력을 발생시켜 흡입력에 의해 내부로 흡입되는 여과재를 집진한다.
상기 개폐부(205)는 본체(201)의 하부에 형성되어 집진부(204)에 집진된 여과재를 제1배출장치부(40)로 배출할 때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이때 개폐부(205)는 진공해제밸브와 연동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세퍼레이터부(30)는 여과재가 담긴 여과조(A)와 흡입배관(C)으로 연결되고, 진공장치부(10)와 진공배관(D)으로 연결되어 진공장치부(10)에 의해 선택적으로 흡입력이 작용하여 여과재를 흡입하여 분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세퍼레이터부(30)는, 본체(301), 제2흡입밸브(302), 제2진공밸브(303), 집진부(304), 개폐부(305)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301)는 진공장치부(10)에서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내부로 흡입되는 여과재를 분리하기 위하여 호퍼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본체(301)의 주벽에는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세로 방향으로 긴 투명창(301a)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흡입밸브(302)는 본체(301)의 일측에 형성되어, 여과조(A)로부터 여과재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배관(C)과 연결된다.
따라서 제2흡입밸브(302)의 개방량 조절을 통해 여과조(A)에서 제2세퍼레이터부(30)로 흡입되는 여과재의 흡입량 조절이 가능케 된다.
상기 제2진공밸브(303)는 본체(301)의 타측에 형성되어, 진공장치부(10)에서 발생한 흡입력을 제공받기 위한 진공배관(D)과 연결된다.
따라서 제2진공밸브(303)의 개방량 조절을 통해 제2세퍼레이터부(30)의 내부에서 작용하는 진공압의 조절이 가능케 된다.
이때, 본체(301)의 주벽 일측에는 진공장치부(10)에서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본체(301) 내부에 형성된 진공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진공해제밸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집진부(304)는 본체(301)의 내부에 형성되어 진공장치부(10)에서 발생한 흡입력으로 원심력을 발생시켜 흡입력에 의해 내부로 흡입되는 여과재를 집진한다.
상기 개폐부(305)는 본체(301)의 하부에 형성되어 집진부(304)에 집진된 여과재를 제2배출장치부(50)로 배출할 때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이때 개폐부(305)는 진공해제밸브와 연동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배출장치부(40)는 제1세퍼레이터부(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제1세퍼레이터부(20)에서 분리한 여과재를 전달받아 퇴적시켰다가 외부로 배출하도록 역각뿔형의 호퍼로 형성된다.
이때, 제1배출장치부(40)는 구조적 강도 보강을 위하여 상부와 연결 형성되고, 바닥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수직 프레임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배출장치부(50)는 제2세퍼레이터부(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제2세퍼레이터부(30)에서 분리한 여과재를 전달받아 퇴적시켰다가 외부로 배출하도록 역각뿔형의 호퍼로 형성된다.
이때, 제2배출장치부(50)는 구조적 강도 보강을 위하여 상부와 연결 형성되고, 바닥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수직 프레임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60)는 제1세퍼레이터부(20)와 제2세퍼레이터부(30)에 각각 설치되어 제1세퍼레이터부(20) 또는 제2세퍼레이터부(30)의 내부에 수집된 여과재 수집량을 감지하고, 그 감지값을 제어부(70)에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70)는 센서부(60)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제1세퍼레이터부(20)와 제2세퍼레이터부(30)의 각 밸브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70)에 의해 제1흡입밸브(202) 및 제1진공밸브(203)가 열리고, 제2흡입밸브(302) 및 제2진공밸브(303)가 닫히면, 진공장치부(10)에서 발생한 진공이 제1진공밸브(203)를 통해 제1세퍼레이터부(20)의 내부에 작용하고, 그로 인해 여과조(A)에 담긴 여과재가 제1흡입밸브(202)를 통과하여 제1세퍼레이터부(20) 내부로 흡입된 후 제1세퍼레이터부(20)의 내부에서 분리된다.
그리하여 제1세퍼레이터부(20)에서 분리된 여과재는 제1세퍼레이터부(20)에서 배출되어 제1배출장치부(40)의 내부에 일정량 퇴적되었다가 최종 배출된다.
한편, 센서부(60)에 의해 제1세퍼레이터부(20)의 내부에 일정량 이상의 여과재가 흡입, 분리되었음이 감지되면, 제어부(70)는 제1흡입밸브(202) 및 제1진공밸브(203)를 닫고,
제2흡입밸브(302) 및 제2진공밸브(303)를 열어 진공장치부(10)에서 발생한 진공이 제2진공밸브(303)를 통해 제2세퍼레이터부(30)의 내부에 작용하게 하면서 제1배출장치부(40)의 내부에 퇴적된 여과재를 배출시킨다.
아울러 제2흡입밸브(302) 및 제2진공밸브(303)의 개방에 의해 여과조(A)에 담긴 여과재는 제2흡입밸브(302)를 통과하여 제2세퍼레이터부(30) 내부로 흡입된 후 제2세퍼레이터부(30)의 내부에서 분리된다.
그리하여 제2세퍼레이터부(30)에서 분리된 여과재는 제2세퍼레이터부(30)에서 배출되어 제2배출장치부(50)의 내부에 일정량 퇴적되었다가 최종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된 본 발명의 연속 작업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용 건식 및 습식 여과재 제거장치는 여과조(A)에 담긴 여과재를 흡입하여 건식으로 여과재를 제거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제1세퍼레이터부(20)에서 여과재의 분리 과정이 완료되면, 분리된 여과재의 최종 배출을 위하여 제1세퍼레이터부(20)의 동작이 멈추었을 때, 제2세퍼레이터부(30)를 가동시켜 여과재의 분리 과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수처리 장치용 여과재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장치의 멈춤 없이 여과재의 연속적인 제거가 가능케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연속 작업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용 건식 및 습식 여과재 제거장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측면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일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배출장치부(40) 및 제2배출장치부(50)의 하부에는 포장부(80) 및 이송장치부(9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포장부(80)는 제1배출장치부(40) 및 제2배출장치부(50)의 하부에 형성되어 제1배출장치부(40) 및 제2배출장치부(50)에서 배출되는 여과재를 소정 규격의 포장용기에 자동 포장한다.
일 실시 예에서 포장용기는, 비닐, 플라스틱, 금속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과 직사각형, 원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부(90)는 포장부(80)의 하부에 형성되어 포장부(80)에서 배출되는 여과재가 포장된 포장용기를 이송한다.
일 실시 예에서 이송장치부(90)는, 자동화 된 컨베이어벨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도 5는 본 발명의 연속 작업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용 건식 및 습식 여과재 제거장치의 제3 실시 예에 제1세퍼레이터부 단면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연속 작업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용 건식 및 습식 여과재 제거장치의 제3 실시 예에 제2세퍼레이터부 단면 예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일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세퍼레이터부(20)는, 습식으로 여과재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배수공(207), 집수부(208), 제1배수밸브(20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수공(207)은 흡입배관(C)을 통해 본체(201) 내부로 흡입된 함수율이 높은 여과재에 함유된 수분이 배출되도록 본체(201)의 주벽에 형성된다.
배수공(207)의 크기나 형상은 한정하지 않으나 본체(201) 내부로 유입된 여과재에서 수분이 효과적으로 분리 배출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수공(207)의 내측에는 필터수단(207a)을 더 구비함으로써 여과재에서 수분을 분리 배출하는 과정에서 수분의 분리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배출되는 수분상기 집수부(208)는 본체(201)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본체(201)의 주벽을 감싸게 형성되어 배수공(207)을 통해 배출되는 수분이 수집된다.
상기 제1배수밸브(209)는 집수부(208) 일측에 형성되고, 배수공(207)을 통해 배출된 수분이 최종 배출되는 배수배관(E)과 연결되어,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제1배수밸브(209)의 개방량 조절을 통해 집수부(208)에서 배출되는 수분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배수배관(E)은 진공장치부(10)와 연결됨으로써 진공장치부(10)에서 발생하는 진공에 의해 집수부(208) 내부로 흡입력이 작용함에 따라본체(201) 내부로 유입된 함수율이 높은 여과재에서 수분이 효과적으로 분리되어 집수부(208)에 모일 뿐만 아니라, 집수부(208)에 모인 수분이 배수배관(E)을 통해 신속하게 배출된다.
한편, 진공장치부(10)에 의해 배수배관(E)에 작용하는 진공은, 진공배관(D)에 작용하는 진공과 동시에 작용하거나, 별개로 작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세퍼레이터부(30)는, 습식으로 여과재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배수공(307), 집수부(308), 제2배수밸브(30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수공(307)은 흡입배관(C)을 통해 본체(301) 내부로 흡입된 함수율이 높은 여과재에 함유된 수분이 배출되도록 본체(301)의 주벽에 형성된다.
배수공(307)의 크기나 형상은 한정하지 않으나 본체(301) 내부로 유입된 여과재에서 수분이 효과적으로 분리 배출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수공(307)의 내측에는 필터수단(307a)을 더 구비함으로써 여과재에서 수분을 분리 배출하는 과정에서 수분의 분리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집수부(308)는 본체(301)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본체(301)의 주벽을 감싸게 형성되어 배수공(307)을 통해 배출되는 수분이 수집된다.
상기 제1배수밸브(309)는 집수부(308) 일측에 형성되고, 배수공(307)을 통해 배출된 수분이 최종 배출되는 배수배관(E)과 연결되어,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제1배수밸브(309)의 개방량 조절을 통해 집수부(308)에서 배출되는 수분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배수배관(E)은 진공장치부(10)와 연결됨으로써 진공장치부(10)에서 발생하는 진공에 의해 집수부(308) 내부로 흡입력이 작용함에 따라본체(301) 내부로 유입된 함수율이 높은 여과재에서 수분이 효과적으로 분리되어 집수부(308)에 모일 뿐만 아니라, 집수부(308)에 모인 수분이 배수배관(E)을 통해 신속하게 배출된다.
한편, 진공장치부(10)에 의해 배수배관(E)에 작용하는 진공은, 진공배관(D)에 작용하는 진공과 동시에 작용하거나, 별개로 작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된 본 발명의 연속 작업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용 건식 및 습식 여과재 제거장치는 여과조(A)에 담긴 여과재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제1세퍼레이터부(20) 및 제2세퍼레이터부(30)에 함수율이 높은 여과재가 흡입되더라도, 여과재에 함유된 수분을 분리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부(70)에 의해 제1세퍼레이터부(20) 및 제2세퍼레이터부(30)의 연속적인 가동이 가능케 되어 수처리 장치용 여과재를 습식으로 제거하는 과정에서 장치의 멈춤 없이 여과재의 연속적인 제거가 가능케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연속 작업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용 건식 및 습식 여과재 제거장치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측면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일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세퍼레이터부(20)는, 본체(201)의 주벽을 진동시켜 주벽 내면에 부착된 여과재 등의 여과재를 탈리시키는 진동수단(201b)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진동수단(201b)은 본체(201)의 주벽을 보다 효과적으로 진동시키기 위하여 주벽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201)와, 본체(201)를 지지하는 지지부 간에는 진동마운트(201c)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세퍼레이터부(30)는, 본체(301)의 주벽을 진동시켜 주벽 내면에 부착된 여과재 등의 여과재를 탈리시키는 진동수단(301b)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진동수단(301b)은 본체(301)의 주벽을 보다 효과적으로 진동시키기 위하여 주벽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301)와, 본체(301)를 지지하는 지지부 간에는 진동마운트(301c)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여과조(A)의 여과재를 건식 또는 습식으로 제거하는 과정에서 제1세퍼레이터(20) 및 제2세퍼레이터(30)의 각 본체(201, 301)의 주벽 내면에 여과재 등이 부착될 때, 진동수단(201b, 301b)을 이용해 주벽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주벽의 내면에 부착된 여과재를 탈리시켜 주벽 내면에 부착된 여과재에 의한 여과재 제거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일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 여과조 B: 여과재
C: 흡입배관 D: 진공배관
E: 배수배관 10: 진공장치부
20: 제1세퍼레이터부 201: 본체
201a: 투명창 201b: 진동수단
202: 제1흡입밸브 203: 제1진공밸브
204: 집진부 205: 개폐부
207: 배수공 208: 집수부
209: 제1배수밸브 30: 제2세퍼레이터부
301: 본체 301a: 투명창
301b: 진동수단 302: 제2흡입밸브
303: 제2진공밸브 304: 집진부
305: 개폐부 307: 배수공
308: 집수부 309: 제2배수밸브
40: 제1배출장치부 50: 제2배출장치부
60: 센서부 70: 제어부
80: 포장부 90: 이송장치부

Claims (5)

  1.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장치부(10);
    여과재가 담긴 여과조(A)와 흡입배관(C)으로 연결되고, 진공장치부(10)와 진공배관(D)으로 연결되어 진공장치부(10)에 의해 선택적으로 흡입력이 작용하여 여과재를 흡입하여 분리하는 제1세퍼레이터부(20);
    여과재가 담긴 여과조(A)와 흡입배관(C)으로 연결되고, 진공장치부(10)와 진공배관(D)으로 연결되어 진공장치부(10)에 의해 선택적으로 흡입력이 작용하여 여과재를 흡입하여 분리하는 제2세퍼레이터부(30);
    상기 제1세퍼레이터부(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제1세퍼레이터부(20)에서 분리한 여과재를 전달받아 퇴적시켰다가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배출장치부(40);
    상기 제2세퍼레이터부(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제2세퍼레이터부(30)에서 분리한 여과재를 전달받아 퇴적시켰다가 외부로 배출하는 제2배출장치부(50);
    상기 제1세퍼레이터부(20)와 제2세퍼레이터부(30)에 각각 설치되어 각 세퍼레이터부의 내부에 수집된 여과재 수집량을 감지하여 그 감지값을 제어부(70)에 제공하는 센서부(60);
    상기 센서부(60)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제1세퍼레이터부(20)와 제2세퍼레이터부(30)의 각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70);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세퍼레이터부(20)는,
    상기 진공장치부(10)에서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내부로 흡입되는 여과재를 분리하기 위한 호퍼 형태의 본체(201);
    상기 본체(201)의 일측에 형성되어, 여과조(A)로부터 여과재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배관(C)과 연결되는 제1흡입밸브(202);
    상기 본체(201)의 타측에 형성되어, 진공장치부(10)에서 발생한 흡입력을 제공받기 위한 진공배관(D)과 연결되는 제1진공밸브(203);
    상기 본체(201)의 내부에 형성되어 진공장치부(10)에서 발생한 흡입력으로 원심력을 발생시켜 흡입력에 의해 내부로 흡입되는 여과재를 집진하는 집진부(204);
    상기 본체(201)의 하부에 형성되어 집진부(204)에 집진된 여과재를 제1배출장치부(40)로 배출하기 위한 개폐부(205); 및
    상기 흡입배관(C)을 통해 본체(201) 내부로 흡입된 여과재에 함유된 수분이 배출되도록 본체(201)의 주벽에 형성된 배수공(207);
    상기 본체(201)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본체(201)의 주벽을 감싸게 형성되어 배수공(207)을 통해 배출되는 수분이 수집되는 집수부(208);
    상기 집수부(208) 일측에 형성되고, 배수공(207)을 통해 배출된 수분이 최종 배출되는 배수배관(E)과 연결되어,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되는 제1배수밸브(209);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작업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용 건식 및 습식 여과재 제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세퍼레이터부(30)는,
    상기 진공장치부(10)에서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내부로 흡입되는 여과재를 분리하기 위한 호퍼 형태의 본체(301);
    상기 본체(301)의 일측에 형성되어, 여과조(A)로부터 여과재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배관(C)과 연결되는 제2흡입밸브(302);
    상기 본체(301)의 타측에 형성되어, 진공장치부(10)에서 발생한 흡입력을 제공받기 위한 진공배관(D)과 연결되는 제2진공밸브(303);
    상기 본체(301)의 내부에 형성되어 진공장치부(10)에서 발생한 흡입력으로 원심력을 발생시켜 흡입력에 의해 내부로 흡입되는 여과재를 집진하는 집진부(304);
    상기 본체(301)의 하부에 형성되어 집진부(304)에 집진된 여과재를 제2배출장치부(50)로 배출하기 위한 개폐부(30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작업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용 건식 및 습식 여과재 제거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세퍼레이터부(20)는,
    본체(201)의 주벽을 진동시켜 주벽 내면에 부착된 여과재를 탈리시키는 진동수단(201b);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작업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용 건식 및 습식 여과재 제거장치.
KR1020200156366A 2020-11-20 2020-11-20 연속 작업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용 건식 및 습식 여과재 제거장치 Active KR102291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366A KR102291090B1 (ko) 2020-11-20 2020-11-20 연속 작업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용 건식 및 습식 여과재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366A KR102291090B1 (ko) 2020-11-20 2020-11-20 연속 작업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용 건식 및 습식 여과재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090B1 true KR102291090B1 (ko) 2021-08-18

Family

ID=77464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366A Active KR102291090B1 (ko) 2020-11-20 2020-11-20 연속 작업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용 건식 및 습식 여과재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0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691B1 (ko) * 2022-08-23 2023-08-16 전인설 흡입을 통한 여과재 투입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992B1 (ko) * 2008-11-20 2009-09-02 이일영 진동수단을 구비한 집진장치
KR101440368B1 (ko) 2013-02-05 2014-11-03 주식회사 제이콘 활성탄 회수 분리기
KR101792457B1 (ko) * 2017-01-05 2017-10-31 한춘수 건식 여과재 제거 장치
KR102053710B1 (ko) * 2019-06-11 2019-12-09 (주)공영엔지니어링 연속 여과 운전이 가능한 마이크로 여과기 및 이를 이용한 여과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992B1 (ko) * 2008-11-20 2009-09-02 이일영 진동수단을 구비한 집진장치
KR101440368B1 (ko) 2013-02-05 2014-11-03 주식회사 제이콘 활성탄 회수 분리기
KR101792457B1 (ko) * 2017-01-05 2017-10-31 한춘수 건식 여과재 제거 장치
KR102053710B1 (ko) * 2019-06-11 2019-12-09 (주)공영엔지니어링 연속 여과 운전이 가능한 마이크로 여과기 및 이를 이용한 여과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691B1 (ko) * 2022-08-23 2023-08-16 전인설 흡입을 통한 여과재 투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5127B1 (en) Coolant cleaning device for machine tool
JP2010505611A (ja) 真空ライン清掃分離システム
KR102291090B1 (ko) 연속 작업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용 건식 및 습식 여과재 제거장치
KR102095745B1 (ko) 재생플라스틱 펠릿 선별장치
KR101792457B1 (ko) 건식 여과재 제거 장치
KR101768096B1 (ko) 슬래그 처리장치
KR20230047671A (ko) 에어 흡착을 이용한 종량제 및 폐비닐 봉지 선별기
KR101247566B1 (ko) 도정 부산물의 처리장치
US5862820A (en) Blank material washing booth and system
KR102669540B1 (ko) 진공에 기초한 폐배터리 방전장치 및 그 방법
KR102037913B1 (ko) 판재 모서리 처리 장치
JP2008264620A (ja) 砂除去装置、及び砂除去方法
CN207843414U (zh) 一种烟草包装机除尘装置
KR101202842B1 (ko) 분진 분리장치
JP5327580B2 (ja) 浮遊選鉱装置
JP2008142804A (ja) サンドブラスト装置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JP3497074B2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
CN113000547B (zh) 一种河道垃圾清扫智能化分类回收装置
KR100564252B1 (ko) 협잡물 및 모래 처리장치와 이의 제어방법
JP2001058165A (ja) 清掃車
JP2019131205A (ja) 粉粒体の貯蔵タンク
CN219965218U (zh) 一种便于上料的离心机
JP2537759B2 (ja) 下水道用ホッパ内含有汚水除去装置
JP5561945B2 (ja) 空気輸送システム
JP4395232B2 (ja) 砂礫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012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8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8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