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984B1 - Automatic box packing machine - Google Patents
Automatic box packing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87984B1 KR102287984B1 KR1020190106841A KR20190106841A KR102287984B1 KR 102287984 B1 KR102287984 B1 KR 102287984B1 KR 1020190106841 A KR1020190106841 A KR 1020190106841A KR 20190106841 A KR20190106841 A KR 20190106841A KR 102287984 B1 KR102287984 B1 KR 1022879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ckaging
- packaging box
- supply device
- box
- produc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03—Packaging lines, e.g. general layou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16—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ipp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0—Removing separate l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4—Packaging single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2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operation
- B65B2220/16—Packaging contents into primary and secondary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Filling Or Packaging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상자의 뚜껑을 개봉한 후 인박스를 내장하고 뚜껑을 다시 닫아서 봉인하는 일련의 포장공정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포장상자가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상자 공급장치와, 상기 포장상자 공급장치와 인접하게 배치되되 제품이 포장된 인박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제품 공급장치와, 상기 포장상자 공급장치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되 포장상자 공급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포장상자의 뚜껑을 개봉하는 상지 분리장치와, 상기 제품 공급장치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되 제품 공급장치를 통하여 공급된 복수의 인박스를 제품 공급장치와 인접하게 배치된 포장상자 공급장치의 포장상자 하지에 인박스를 삽입하는 제품 삽입장치와, 상기 포장상자 공급장치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되 하지에 인박스가 수납된 상태에서 하지 상단에 상지를 결합시켜 주는 상지 결합장치와, 상기 장치들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장착되어 포장불량 상태를 점검하는 검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싸바리 포장박스에 인박스를 자동 공정에 의하여 포장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지 분리장치, 제품 삽입장치, 상지 결합장치는 슬라이드로 왕복작동하는 왕복장치를 구비하고, 왕복장치에는 대상물을 잡아 상측으로 견인하거나 하부측으로 하강시키는 이송대를 장착하여 반복 작동에 의하여 왕복운동하면서 포장공정을 수행되도록 하고, 이송대는 복수로 구성하면서 이송대를 개별 또는 그룹핑하여 작동편차를 발생시킴으로써 대상물을 미세하게 기울어지게 승강시켜 정위치 포장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performing a series of packaging processes of embedding an in-box after opening the lid of the packaging box and sealing the lid by closing the lid again. A packaging box supply device, a product supply device disposed adjacent to the packaging box supply device and sequentially supplying an inbox in which the product is packaged, and a packaging box supply device disposed on the transport path of the packaging box supply device through the packaging box supply device An upper limb separation device for opening the lid of the supplied packaging box, and a plurality of inboxes that are disposed on the transport path of the product supply device and supplied through the product supply device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product supply device. A product inserting device for inserting an inbox into a lower part of a packing box, an upper extremity coupling device disposed on a transport path of the packing box supply device and coupling the upper extremities to the upper part of the lower extremities in a state in which the inbox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extremity; By including an inspection device that is mounted on any one or more of these to check the condition of packaging defects, it enables the packaging work to be performed by automatic process of the in-box in the packaging box, as well as the upper extremity separation device and product insertion The device and the upper limb coupling device are provided with a reciprocating device that reciprocates with a slide, and the reciprocating device is equipped with a transporter that grabs an object and pulls it upward or lowers it to the lower side so that the packaging process is performed while reciprocating by repeated operation, The transport tabl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ransport platforms, and by individually or grouping the transport platforms, an operation deviation is generated, so that the object is raised and lowered at a slight inclination to achieve in-place packag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싸바리 포장상자의 인박스 자동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상자의 뚜껑을 개봉한 후 인박스를 내장하고 뚜껑을 다시 닫아서 봉인하는 일련의 포장공정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in-box packaging device for a sabari packaging box, and more particularly, after opening the lid of the packaging box, a series of packaging processes of embedding the in-box and closing the lid again to seal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It is related to the packaging device that made it possible.
제품을 포장하는 박스는 제품의 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박스에 포장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고가의 고급 제품들은 운반 및 보관 등 유통과정에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손상이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 포장된 제품의 가치를 더욱 높게 보이게 하기 위하여 견고한 포장상자에 포장된 상태로 유통하는 것이 선호된다.The box packaging product is packaged in various types of boxes to increase the value of the product. In general, expensive high-end products prevent damage or damage from external shocks during the distribution process such as transportation and storage, and the packaging In order to make the value of the product appear higher, it is preferred to distribute it packaged in a sturdy packaging box.
이렇게 고가의 제품을 포장하는 박스는 포장대상물의 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대부분의 경우 이른바 싸바리 형태의 포장상자에 포장이 이루어지며, 싸바리 박스의 일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4602호(2011. 09. 06 등록)에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increase the value of the packaging object, in most cases, a box for packaging an expensive product is packaged in a packaging box of the so-called sabari type. .09.06 registration).
싸바리 형태의 포장상자는 두꺼운 종이로 박스 틀을 구현하고 그 표면에 인쇄된 고급 종이나 천, 가죽 등의 싸개지라고 하는 겉지로 싸서 바르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통칭하여 말하며, 겉지와 속지가 별개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구조를 2단 또는 3단, 4단구조로 제작하거나, 개방되는 방식에 따라서 상하로 분리 개방되는 구조 또는 뚜껑이 절첩되면서 개방되는 구조 등 매우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고, 외관이 화려하며 튼튼하게 구성되므로 고급 포장에 주로 사용된다.The wrapper-type packaging box is a generic term for implementing a box frame with thick paper and wrapping it with an outer paper called wrapping paper, such as high-quality paper, cloth, or leather, printed on the surface. Because it is made of , it can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a two-tier, three-tier, or four-tier structure, or a structure that separates and opens up and down depending on the opening method or a structure that opens while the lid is folded. Because of its sturdy construction, it is mainly used for high-end packaging.
그런데 이러한 싸바리 포장상자는 그 구조상 포장능률이 매우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such a packaging box has a problem in that the packaging efficiency is very low due to its structure.
즉, 싸바리 포장상자는 대부분 포장상자 내부에 여러 개의 인박스를 내장하여 이중으로 포장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중 포장에 의하여 고급 포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하는데, 싸바리 포장상자의 구조상 박스가 접힌 상태로 납품될 수 없기 때문에 포장상자가 조립된 상태에서 뚜껑이 닫힌 상태의 완제품 박스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인박스를 담기 위해서는 반드시 뚜껑을 개봉한 이후에 인박스를 담고, 뚜껑을 다시 닫아서 포장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여러 개의 인박스를 싸바리 포장상자에 수납하는 작업은 수작업에 의존하여 포장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In other words, the biggest feature of Savari packaging boxes is that they can provide high-quality packaging by double packaging by embedding several in-boxes inside the packaging boxes. Because the box cannot be delivered in a folded state due to its structure, supply is made as a finished product box with the lid closed while the packaging box is assembled. However, since packing must be done by closing the lid again, the operation of storing several inboxes in a packing box is a situation that relies on manual work for packaging.
따라서 싸바리 포장상자는 인박스를 넣기 위한 공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현재 수작업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며, 이로 인하여 포장능률이 매우 떨어지므로 생산성 저하되며,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공간 및 인력의 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제작원가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the Savari packaging box has no choice but to rely on manual labor because the process for putting the inbox is complicated. As a result, the packaging efficiency is very low, which leads to a decrease in productivity, and it is necessary to secure space and manpower to improve productivity.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an increase in the production cost.
예를 들어, 박스를 개봉하고, 인박스를 내장하고, 박스를 다시 닫고, 봉인하는 등의 각각의 공정에 작업자를 배치하여 분업화함으로써 싸바리 포장상자의 포장을 수행하고 있으나, 이렇게 분업화하여 수작업으로 포장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생산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For example, the packaging of the packaging box is performed by dividing the labor by placing workers in each process such as opening the box, embedding the inbox, closing the box again, and sealing the box. Packaging is very cumbersome and productivity is very low.
물론,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각각의 분업화된 공정들간을 컨베이어로 연결하여 자동이송라인에서 작업자의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있으나, 인력에 의한 공정상 생산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Of course, in order to improve productivity, the productivity is improved by connecting each division of labor with a conveyor so that a worker's work is performed on an automatic transfer line, but there is a limit to the improvement of productivity in the process by manpower.
뿐만 아니라, 작업자 배치상태를 따라서 이송라인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므로 시설비용이 지나치게 많이 소모되고, 공간을 비효율적으로 활용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어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In addition, since it is necessary to secure a considerable space to implement the transfer lin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workers, there are problems in that the facility cost is consumed excessively and the space is inefficiently used, so improvement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싸바리 포장상자와 제품이 담겨진 인박스를 동시에 공급하면서 뚜껑을 개봉하고 인박스를 포장상자에 담은 후 다시 닫아서 봉인하는 일련의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series of processes of opening the lid, putting the inbox in the packaging box, and then closing and sealing again while supplying the packaging box and the inbox containing the product at the same time are automatically performed. This was done to improve productivity.
또한, 자동화 시설을 컴팩트하게 구성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포장상자의 뚜껑을 개봉하거나 인박스를 삽입하거나 뚜껑을 닫는 자동화 공정에서 뚜껑의 개폐 및 인박스 삽입이 어긋남이 없이 이루어지며 오작동이나 오류가 없이 포장불량을 최소화하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compact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on facility enables installation in a narrow space, as well as opening and closing of the lid and insertion of the inbox without any deviation in the automated process of opening the lid of the packaging box, inserting the inbox, or closing the lid. This is done so that there is no malfunction or error, and packaging defects are minimiz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포장상자가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상자 공급장치와, 상기 포장상자 공급장치와 인접하게 배치되되 제품이 포장된 인박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제품 공급장치와, 상기 포장상자 공급장치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되 포장상자 공급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포장상자의 뚜껑을 개봉하는 상지 분리장치와, 상기 제품 공급장치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되 제품 공급장치를 통하여 공급된 복수의 인박스를 제품 공급장치와 인접하게 배치된 포장상자 공급장치의 포장상자 하지에 인박스를 삽입하는 제품 삽입장치와, 상기 포장상자 공급장치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되 하지에 인박스가 수납된 상태에서 하지 상단에 상지를 결합시켜 주는 상지 결합장치와, 상기 장치들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장착되어 포장불량 상태를 점검하는 검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싸바리 포장박스에 인박스를 자동 공정에 의하여 포장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a technical idea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ackaging box supply device that allows the packaging box to be sequentially supplied, and the packaging box supply device arranged adjacent to the packaging box supply device to sequentially supply the packaged product inbox A product supply device, an upper limb separation device disposed on a transport path of the packaging box supply device and opening a lid of a packaging box supplied through the packaging box supply device, and a product supply disposed on the transport path of the product supply device A product insertion device for inserting a plurality of inboxes supplied through the device into the lower part of the packaging box of the packaging box supply device disposed adjacent to the product supply device, and a product insertion device disposed on the transport path of the packaging box supply device. In the state in which the inbox is stored, the upper limb coupling device for coupling the upper limb to the upper part of the lower limb, and an inspection device mounted on any one or more of the devices to check the packaging defect condition, This is to enable the packaging of the box to be carried out by an automatic process.
또한, 상지 분리장치, 제품 삽입장치, 상지 결합장치는 슬라이드로 왕복작동하는 왕복장치를 구비하고, 왕복장치에는 대상물을 잡아 상측으로 견인하거나 하부측으로 하강시키는 이송대를 장착하여 반복 작동에 의하여 왕복운동하면서 포장공정을 수행되도록 하고, 이송대는 복수로 구성하면서 이송대를 개별 또는 그룹핑하여 작동편차를 발생시킴으로써 대상물을 미세하게 기울어지게 승강시켜 정위치 포장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upper extremity separating device, the product inserting device, and the upper extremity coupling device are provided with a reciprocating device that reciprocates with a slide, and the reciprocating device is equipped with a transporter that grabs an object and pulls it upward or lowers it to the lower side, thereby reciprocating by repeated operation. The packaging process is performed while the transport is configured in plurality, and the transport is individually or grouped to generate operational deviations, thereby elevating the object at a slight inclination to achieve in-place packaging.
본 발명의 싸바리 포장상자의 인박스 자동 포장장치에 의하면, 싸바리 포장이 자동 공정에 의하여 수행되므로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고, 포장라인의 배열구조를 컴팩트하게 구성함으로써 비교적 협소한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공간활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음은 물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저렴한 투자비용으로도 현저한 생산성 향상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box automatic packaging device of the packaging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ackaging is performed by an automatic process, productivi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and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packaging line is compactly configured to be installed in a relatively narrow space Because space can be used efficiently, as well as labor costs can be reduced, a remarkable productivity improvement effect can be expected even with a low investment cost.
또한, 포장을 위한 이송 및 분리결합 구조가 흡착방식 및 개별 정밀제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뚜껑의 개봉 및 재결합이 정밀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포장상자 내에 식기리패드가 내장되는 구조인 경우에도 제품이 담겨진 인박스를 정위치에 어긋남 없이 정밀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포장공정에서의 불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ransport and separation and coupling structure for packaging consists of an adsorption method and a structure that allows individual precise control, opening and recombination of the lid is made precisely, and even if the tableware pad is built-in in the packaging box, the product is The contained inbox can be precisely inserted without deviation from the correct position, and defects in the packaging proces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뿐만 아니라, 이중 포장 구조에서 인박스가 식기리패드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유통과정에서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제품 손상을 최소화하고 내부 포장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box is firmly fixed to the tableware pad in the double packaging structure, even if a shock occurs during distribution, damage to the product is minimized, the inner packaging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and the product's marketability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싸바리 포장장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세부구조를 나타낸 확대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포장상자 공급장치의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포장상자 공급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투입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이송컨베어의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품 공급장치의 구조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상지 분리장치의 구조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상지 분리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품 삽입장치의 구조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품 삽입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상지 결합장치의 구조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품 삽입장치와 상지 결합장치의 외관도
도 20은 도 19의 작동상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상지 결합장치의 작동상태도1 is a plan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packa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Figure 1;
3 to 5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packaging box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packaging box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first transfer conveyor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product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structural diagrams of the upper extremity separ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re operational state diagrams of the upper extremity separ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4 and 15 are structural diagrams of the product inser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6 and 17 are operational state diagrams of the product inser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upper limb coup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n external view of the product insertion device and the upper limb coup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FIG. 19
21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upper limb coup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상자(B)를 공급하는 포장상자 공급장치(100)와, 제품이 담겨진 인박스(b)를 공급하는 제품 공급장치(200)와, 포장상자의 뚜껑을 개봉하는 상지 분리장치(300)와, 인박스(b)를 포장상자(B)에 삽입하는 제품 삽입장치(400)와, 포장상자의 뚜껑을 다시 결합하는 상지 결합장치(500)와, 포장불량 여부를 점검하는 검사장치(600), 포장과정에서 하지로부터 분리된 상지를 이송하여 재공급하기 위한 상지 이송컨베어(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ackaging
포장상자 공급장치(100)는 싸바리 형태를 갖는 포장상자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에서의 싸바리 포장상자는 제품이 이중 구조로 포장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때 겉포장을 구성하는 상자를 통칭하며, 비교적 두꺼운 재질로 이루어져 내장된 제품을 보호하는 겉포장으로 사용되는 상자를 의미한다.The packaging
포장상자 공급장치(100)는 포장상자를 연속 반복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구조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상자를 다층으로 쌓아 적층하는 적재단(120)과, 포장상자를 이송하는 제1이송컨베어(140)와, 적재단(120)에 적층되어 있는 포장상자를 제1이송컨베어(140)로 반복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투입장치(160)가 구비될 수 있다.The packaging
적재단(120)은 포장상자(B)가 조립된 상태에서 뚜껑이 닫힌 상태의 완제품 박스가 다층으로 적층보관할 수 있도록 일정한 틀을 갖는 다이로 구성될 수 있다.The
이 다이에는 적층되어 있는 포장상자가 순차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제1이송컨베어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며, 개구부는 다이의 하단에 위치되어 적층되어 있는 포장상자들 중에서도 최하층의 포장상자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n opening is formed in this die toward the first transfer conveyor so that the stacked packaging boxes can be sequentially drawn out, and the opening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die to sequentially supply the lowest-layer packaging boxes among the stacked packaging boxes. This is preferable.
이때, 적재단(120)에서 제1이송컨베어(140)로 투입되는 포장상자는 포장상자를 하나씩 개별투입하는 것보다는 3개씩 또는 5개씩 복수로 투입하면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복수의 포장상자를 동시에 투입하는 경우 포장상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띄워서 차후 공정에서 작업간섭을 방해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ackaging box input from the
이를 위하여 투입장치(160)는 복수의 포장상자를 동시에 투입하는 밀대(162)와, 동시에 투입되는 복수의 포장상자 간격을 이격시키는 이격장치(16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그리고 포장상자의 간격을 벌려 이격시키는 이격장치(164)는 에어 흡착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일 예로 포장상자를 3개씩 공급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단에 위치한 포장상자의 외부측에 슬라이드 작동하는 흡착기를 구비하여 포장상자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양측단에 위치한 두개의 포장상자를 흡착하여 당겨줌으로써 중앙에 위치한 포장상자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And the
이때, 포장상자를 밀어서 제1이송컨베어(140)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인 밀대(162)는, 제1밀대(162a)와 제2밀대(162b)로 구성되도록 하여 제1밀대에 의하여 적재단(120)에 적재되어 있는 포장상자(B)를 이격장치(164)로 공급한 후, 다시 제2밀대에 의하여 이격장치에서 등간격으로 벌어진 포장상자를 제1이송컨베어(140)로 공급토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위 제1밀대(162a)와 제2밀대(162b)는 일체로 구성되어 동시에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포장상자를 밀어서 투입한 이후에는 포장상자의 상부측을 경유하여 원위치로 복원되어 작동 준비상태가 되고, 다시 포장상자를 투입하는 작동을 수행하며, 이러한 작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포장상자를 지속적으로 반복 공급할 수 있게 된다.The
그리고 이와 같이 포장상자가 이격장치(164)에 의하여 벌어져 제1이송컨베어(140)에 안착되게 공급된 상태에서 제1이송컨베어(140)가 작동할 때 포장상자가 공급되는 간격을 등간격으로 유지함으로써 이후 공정에서 작업 간섭을 방지하고 인박스가 포장상자의 하지에 정위치 끼움될 수 있다.And in this way, when the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이송컨베어(140)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상자가 이격된 상태에서 컨베어를 타고 이송이 이루어질 때 그 간격을 등간격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1이송컨베어(140)에는 간격유지구(144)가 장착될 수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8 , the
한편, 제품 공급장치(200)는 포장상자(B)에 담겨지는 인박스(b)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인박스(b)는 제품이 담겨져 1차 포장이 이루어진 것으로, 인박스는 육면체의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제품의 종류나 특성에 따라서 원기둥이나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의 인박스가 적용될 수 있다.Here, the inbox (b) is a product in which the product is contained and the primary packaging is made, and the inbox is generally formed in a hexahedral box shape, but inboxes of various shapes such as cylinders or polygons may be applied depending on the type or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공급장치(200)는 제품이 담겨있는 인박스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장치로서, 상기 포장상자 공급장치(100)를 통하여 공급되는 포장상자(B)에 인박스(b)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포장상자 공급장치(100)와 인접하게 제품 공급장치(200)가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 the
특히, 제품 공급장치(200)에는 인박스의 지속적인 공급을 위하여 제2이송컨베어(240)가 구비되며, 제2이송컨베어(240)는 제1이송컨베어(140)와 인접하게 병렬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제2이송컨베어(240)를 통하여 공급되는 제품, 즉 인박스 상태로 포장된 제품을 제품 삽입장치(400)를 이용하여 포장상자의 하지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이렇게 제품을 하지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포장상자의 뚜껑을 먼저 개봉하여야 하는데, 뚜껑 개봉을 위하여 포장상자 공급장치의 이송경로 상에 상지 분리장치(300)를 장착함으로써 포장상자가 제1이송컨베어(140)를 통하여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지를 하지로부터 분리하여 뚜껑을 개봉할 수 있다.In order to insert the product into the lower limbs, the lid of the packaging box must first be opened. By mounting the upper
상지 분리장치(300)는 제1이송컨베어(140) 및 제1이송컨베어와 인접하게 병렬 배치되는 상지 이송컨베어(700)를 현수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포장상자(B)가 제1이송컨베어를 통하여 공급되는 과정에서 포장박스의 하지로부터 상지를 분리함으로써 포장상자의 뚜껑을 개봉할 수 있도록 되는 것으로서, 분리된 상지는 상지 이송컨베어(700)를 통하여 상지 결합장치(500)로 안내되어 포장박스이 뚜껑을 다시 닫을 수 있게 된다.The upper
상지 분리장치(30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송컨베어와 상지 이송컨베어를 왕복 작동하는 왕복장치(320)와, 그 왕복장치(320)에 장착되어 상,하로 승강작동하는 이송대(340)가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대(340)가 상지에 밀착되어 상부측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상지를 하지로부터 분리시켜 뚜껑이 개봉되게하고, 그 상태에서 상지를 상지 이송컨베어(700)로 이송하여 내려 놓음으로써 하지는 제1이송컨베어를 통하여 그대로 공급되고, 하지로부터 분리된 상지는 상지 이송컨베어(700)를 통하여 공급되어 이후 상지를 재결합하는 공정까지 분리 이송된다.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upper
이때, 상기 이송대(340)에 상지를 밀착하기 위해서 이송대의 하단에는 흡착판이 장착되고, 그 흡착판을 통하여 에어를 흡입하여 진공력에 의하여 이송대가 상지의 상면에 밀착되어 견인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suction plate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conveyer in order to adhere the upper limbs to the
제품 삽입장치(400)는 제품 공급장치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되 제품 공급장치를 통하여 공급된 복수의 인박스를 제품 공급장치와 인접하게 배치된 포장상자 공급장치의 포장상자 하지에 인박스를 삽입하는 장치로서, 포장상자 공급장치(100)와 제품 공급장치(200)의 병렬 연결된 상태를 현수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제품 공급장치를 통하여 공급된 복수의 인박스를 포장상자에 삽입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즉,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이송컨베어와 제2이송컨베어를 왕복 작동하는 왕복장치(420)와, 그 왕복장치(420)에 장착되어 상,하로 승강작동하는 이송대(4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송대는 대상물을 잡아 상측으로 견인하거나 하부측으로 하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14 and 15, the
따라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대(440)가 인박스에 밀착되어 상부측으로 들어올려 견인하고, 그 상태에서 인박스를 제1이송컨베어(140)로 이송하여 하지에 삽입함으로써 하지에 인박스가 삽입된 상태로 제1이송컨베어를 통하여 이후 공정으로 안내되고, 왕복장치가 왕복운동하고 이송대가 상,하로 승강되는 반복 작동에 의하여 반복적인 포장공정이 수행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6 , the
이때, 상기 이송대(440)에 인박스를 밀착하기 위해서 이송대의 하단에는 흡착판이 장착되고, 그 흡착판을 통하여 에어를 흡입하여 진공력에 의하여 이송대가 인박스의 상면에 밀착되어 견인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 suction plate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conveyer in order to adhere the inbox to the
이때, 상기 포장상자(B)는 하지에 인박스를 일정한 간격으로 띄워 수납할 수 있는 고정틀인 식기리패드(B1)가 내장될 수 있는 것으로, 식기리패드에는 인박스의 형상과 대응하게 타공된 장착부가 형성되어 인박스를 정위치에 삽입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ckaging box (B) may have a tableware pad (B1), which is a fixed frame that can be accommodated by floating the inbox at regular intervals on the lower part, in which the tableware pad (B1) is perforat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box. A mounting portion may be formed to be provided to insert the inbox in place.
식기리패드는 인박스를 포장상자에 삽입한 상태에서 포장외관을 고급화하고, 내용물이 외부충격에 의하여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이 식기리패드에 인박스가 빡빡하게 끼워져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식기리패드의 장착부와 인박스의 외경이 지나치게 빡빡하게 재단된 경우 인박스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내압에 의하여 삽입이 잘 이루어지지 않거나 작동오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The tableware pad is provided to enhance the appearance of the packaging while the inbox is inserted into the packing box and to prevent the contents from being damaged or damaged by external impact.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mounting portion of the tableware pad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inbox are cut too tightly, there is a risk that the insertion may not be performed well or an operation error may occur due to the internal pressure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inbox.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대(440)를 복수로 구성하고, 복수의 이송대가 분리 구동되어 작동편차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이송대(440)는 인박스가 포장상자의 고정틀에 타공된 구멍에 삽입될 때 기울어지게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인박스가 식기리패드의 장착부의 일측 모서리 부분에 먼저 위치 설정을 한 후 삽입됨으로써 인박스의 정위치 설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인박스가 삽입될 때 공기저항을 최소화하고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prevent this, as shown in FIG. 17 , a plurality of
그리고 이렇게 이송대의 분리 구동을 위한 작동구조로서, 이송대는 개별 구동되거나 또는 그룹핑하여 동작시킴으로써 개별 또는 그룹핑된 이송대가 시차를 두고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시차를 두고 구동이 이루어지는 범위는 이송대의 상,하 작동범위 전체에 걸쳐 수행되거나 또는 일부분에서만 시차를 두고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And as an operation structure for the separate driving of the transport in this way, the individual or grouped transports can be driven with a time difference by operating the transport individually or by grouping the transport, and in this case, the range in which the driving is performed with a time difference is the phase of the transport, The operation may be performed over the entire lower operating range or may be driven with a time difference in only a portion.
즉, 이송대에 인박스가 흡착된 상태에서 이송대가 하강할 때, 초기 작동시부터 인박스가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하강되도록 하거나, 또는 초기 작동시에는 수평으로 하강하다가 식기리패드에 근접하여 미세하게 기울어지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That is, when the transport is lowered while the inbox is adsorbed to the transport, the inbox is inclined to one side from the initial operation, or descends horizontally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and approaches the tableware pad. Various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such as to enable the operation to be slightly inclined.
또한, 이렇게 개별 구동 또는 그룹핑 구동을 정밀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각각의 이송대를 서보모터로 연결하고, 서보모터를 통하여 제어를 함으로써 기울기의 미세조정이 가능하게 되며, 작동오류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정밀조작으로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인박스가 식기리패드에 삽입된 상태에서 유동이 발생하지 않게 긴밀히 끼워 조립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enable precise control of individual driving or grouping driving, each transfer table is connected to a servo motor and controlled through the servo motor, so that fine adjustment of the inclination is possible, and when an operation error occurs Since the control is possible with precision operation, the inbox is tightly fitted so that no flow occurs while the inbox is inserted into the dish pad.
그리고 상기 제품 삽입장치(400)에는 이송대(440)가 인박스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가압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프레싱바(460)가 더 장착될 수 있는 것으로, 이송대(440)에 의하여 인박스가 삽입된 상태에서 이송대를 분리시킬 때 인박스가 상부측으로 딸려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고 이송대와 인박스를 완전히 분리시켜 인박스가 삽입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도하도록 할 수 있다.And a
프레싱바(460)는 이송대(440)와 시차를 두고 작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송대가 상부로 들어올려질 때 프레싱바(460)가 그와 역행하게 하강되어 인박스의 상부를 눌러줌으로써 이송대와 인박스를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The
이때, 프레싱바(460)는 인박스를 가압할 때 마찰력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인박스의 표면에 스크래치나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는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며, 프레싱바에 의하여 인박스가 삽입되어 눌려진 최종단계에서 인박스의 들뜸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상지 결합장치(500)는 상기 포장상자 공급장치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인박스가 하지 또는 식기리패드가 구비된 하지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지 상단에 상지를 결합시켜 포장상자를 다시 닫아주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상지 결합장치(500)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이송컨베어와 상지 이송컨베어를 왕복 작동하는 왕복장치(520)와, 그 왕복장치(520)에 장착되어 상,하로 승강작동하는 이송대(5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송대는 대상물을 잡아 상측으로 견인하거나 하부측으로 하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upper
따라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대(540)가 상지 이송컨베어를 통하여 이송되어진 상지에 밀착되어 상부측으로 들어올힌 후 제1이송컨베어로 이송되어 하지의 직상부에 상지가 위치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상지를 하강시킴으로써 하지의 상단에 상지가 끼워져 포장상자가 닫히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20, the
이때, 상기 이송대(540)에 상지를 밀착하기 위해서 이송대의 하단에는 흡착판이 장착되고, 그 흡착판을 통하여 에어를 흡입하여 진공력에 의하여 이송대가 상지의 상면에 밀착되어 견인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suction plate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transport table in order to adhere the upper limbs to the transport table 540, and air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late so that the transport tabl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limbs by vacuum force to make traction. do.
또한, 상지 분리장치(300)와 상지 결합장치(500)는 상지 이송컨베이어(700)로 연결되어 제1이송컨베어와 병렬로 배치된 상태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상지를 하지에 다시 결합할 수 있도록 재공급되는 것으로, 상지 이송컨베어에는 이송 속도제어를 위한 가속 컨베어(720)가 더 구비되어 제1이송컨베어의 속도에 대응하게 상지의 이송속도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한편, 상기 포장박스를 구성하는 상지와 하지는 비교적 두꺼운 두께로 이루어지고, 서로 맞물리는 면이 빡빡하게 끼워져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상지 분리장치(300)를 이용하여 상지를 하지로부터 분리하거나, 상지 결합장치를 지나치게 빡빡하게 제작된 경우 상,하지를 분리 또는 결합하는 과정에서 내압에 의하여 쉽게 분리되지 않거나 결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작동오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and lower limbs constituting the packaging box are made of a relatively thick thickness, and the interlocking surfaces are tightly fitted to be firmly fixed. If it is manufactured too tightly, there is a risk that an operation error may occur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limbs are not easily separated or combined well due to internal pressure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or combining the upper and lower limbs.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하지 분리장치(300,500)의 이송대(340,540)를 복수로 구성하고, 복수의 이송대가 분리 구동되어 작동편차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이송대(340,540)는 상지가 하지로부터 분리되거나 삽입될 때 기울어지게 투입이 이루어져 공기저항을 최소화함으로써 원활하게 분리, 결합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 plurality of
즉, 상지 분리장치(300)를 이용하여 상지를 하지로부터 분리할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지의 어느 일측을 먼저 들어올려서 공기가 포장상자 내부로 유입되는 유로를 최대한 확보한 상태에서 상지를 상부로 견인함으로써 공기저항을 최소화하여 쉽게 인출될 수 있으며, 반대로 상지 결합장치(500)를 이용하여 상지를 하지에 결합할 경우에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지가 하지의 일측 모서리 부분에 먼저 위치 설정을 한 후 삽입됨으로써 상지가 정위치에 설정되면서도 상지가 하지 상단에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질 때 상지가 하지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투입이 이루어져 상,하지간 마찰력이나 공기압에 의한 작동오류가 발생하지 않고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That is, when separating the upper extremities from the lower extremities using the upper
그리고 이렇게 이송대의 분리 구동을 위한 작동구조로서, 이송대는 개별 구동되거나 또는 그룹핑하여 동작시킴으로써 개별 또는 그룹핑된 이송대가 시차를 두고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시차를 두고 구동이 이루어지는 범위는 이송대의 상,하 작동범위 전체에 걸쳐 수행되거나 또는 일부분에서만 시차를 두고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And as an operation structure for the separate driving of the transport in this way, the individual or grouped transports can be driven with a time difference by operating the transport individually or by grouping the transport, and in this case, the range in which the driving is performed with a time difference is the phase of the transport, The operation may be performed over the entire lower operating range or may be driven with a time difference in only a portion.
또한, 이렇게 개별 구동 또는 그룹핑 구동을 정밀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각각의 이송대를 서보모터로 연결하고, 서보모터를 통하여 제어를 함으로써 기울기의 미세조정이 가능하게 되며, 작동오류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정밀조작으로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상지가 하지에 긴밀히 끼워 조립되고 포장공정에서 작동오류나 분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enable precise control of individual driving or grouping driving, each transfer table is connected to a servo motor and controlled through the servo motor, so that fine adjustment of the inclination is possible, and when an operation error occurs Because it can be controlled by precise manipulation, the upper and lower extremities are assembled closely to the lower extremities, and operation errors and quantities in the packaging process can be minimized.
한편, 상기와 같이 뚜껑을 개봉하고 인박스를 삽입한 후 다시 뚜껑을 덮어서 포장하는 공정들 각각에는 포장불량 상태를 점검하는 검사장치(600)가 장착된다.On the other hand, in each of the processes of opening the lid, inserting the inbox, and then covering the lid again and packaging as described above, the
검사장치(600)는 비젼센서 등을 적용한 검사수단이 장착되어 포장공정에서의 불양유무를 검사할 수 있는 것으로, 제1이송컨베어를 통하여 포장공정이 진행되는 경로상에 복수의 검사장치가 장착되어 포장 불량유무를 측정할 수 있다.The
즉, 상지 분리장치(300)와 제품 삽입장치(400)의 사이에는 제1검사장치가 장착되어 포장상자의 상지가 하지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하지의 이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inspection device is mounted between the upper
또한, 제품 삽입장치(400)와 상지 결합장치(500)의 사이에는 제2검사장치가 장착되어 하지에 삽입되어 있는 인박스의 이상 여부, 예를 들어 인박스가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되게 삽입되었는지 삽입방향을 측정하는 등의 이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inspection device is mounted between the
또한, 상지 결합장치(500)의 이후 공정에는 상,하지 이상을 확인하거나, 포장상자 표면의 날인 이상을 확인하거나, 봉함스티커를 부착하는 경우 봉함 이상 등을 확인하기 위한 기타 검사장치들이 장착될 수 있으며, 각각의 공정마다 검사장치가 설치되고 각각의 검사장치를 통하여 포장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별도의 분기라인을 통하여 선별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ubsequent process of the upper and lower
즉, 상기 검사장치(600)에서 이상신호가 감지된 상품은 별도의 배출장치를 이용하여 분리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제1이송장치의 말단에는 분리 배출기가 연결되어 선별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product for which an abnormal signal is detected in the
100: 포장상자 공급장치
120: 적재단
140: 제1이송컨베어 144: 간격유지구
160: 투입장치 162: 밀대
162a: 제1밀대 162b: 제2밀대
164: 이격장치
200: 제품 공급장치 240: 제2이송컨베어
300: 상지 분리장치 320: 왕복장치 340: 이송대
400: 제품 삽입장치 420: 왕복장치 440: 이송대
460: 프레싱바
500: 상지 결합장치 520: 왕복장치 540: 이송대
600: 검사장치
700: 상지 이송컨베어 720: 가속 컨베어100: packing box feeder
120: load stage
140: first conveying conveyor 144: gap maintenance tool
160: input device 162: pusher
162a:
164: spacer
200: product supply unit 240: second transfer conveyor
300: upper extremity separator 320: reciprocating device 340: transport
400: product insertion device 420: reciprocating device 440: transport
460: pressing bar
500: upper limb coupling device 520: reciprocating device 540: transport
600: inspection device
700: upper limb transfer conveyor 720: accelerated conveyor
Claims (8)
상기 포장상자 공급장치와 인접하게 배치되되 제품이 포장된 인박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제품 공급장치;
상기 포장상자 공급장치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되 포장상자 공급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포장상자의 뚜껑을 개봉하는 상지 분리장치;
상기 제품 공급장치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되 제품 공급장치를 통하여 공급된 복수의 인박스를 제품 공급장치와 인접하게 배치된 포장상자 공급장치의 포장상자 하지에 인박스를 삽입하는 제품 삽입장치;
상기 포장상자 공급장치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되 하지에 인박스가 수납된 상태에서 하지 상단에 상지를 결합시켜 주는 상지 결합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포장상자 공급장치는 포장상자가 적층된 적재단과, 포장상자를 이송하는 제1이송컨베이어와, 적재단에 적층된 포장상자를 제1이송컨베어로 공급하는 투입장치를 포함하되, 투입장치는 복수의 포장상자를 동시에 투입하는 밀대와, 복수의 포장상자 간격을 이격시키는 이격장치가 형성되고, 이격장치는 양측단에 위치한 포장상자의 외부측에 슬라이드 작동하는 흡착기를 장착하여 에어 흡착방식으로 중앙에 위치한 포장상자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시키고, 제1이송컨베어에는 포장상자가 공급되는 간격을 등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간격유지구가 장착되어 이후 공정에서 인접한 박스간에 작업 간섭을 방지하고 인박스가 포장상자의 하지에 정위치 끼움될 수 있게 되고,
상기 상지 분리장치, 제품 삽입장치, 상지 결합장치는 슬라이드로 왕복작동하는 왕복장치가 구비되고, 왕복장치에는 대상물을 잡아 상측으로 견인하거나 하부측으로 하강시키는 이송대가 장착되어 반복 작동에 의하여 왕복운동하면서 포장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품 삽입장치는 이송대가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이송대는 인박스가 포장상자의 고정틀에 타공된 구멍에 삽입될 때 기울어지게 투입이 이루어져 정위치 설정이 이루어지지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이송대가 분리 구동되어 작동편차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포장상자의 상지를 분리하거나 결합하는 상지 분리장치 또는 상지 결합장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은 이송대가 복수로 구성되고, 상지를 하지로부터 분리하거나 상지를 하지에 결합할 때 상지가 하지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투입이 이루어져 상,하지간 마찰력이나 공기압에 의한 작동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복수의 이송대가 분리 구동되어 작동편차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이송대는 에어 흡착방식으로 구성되되, 개별 구동 또는 그룹핑 구동을 정밀제어가 가능하도록 각각의 이송대를 서보모터로 연결하고, 서보모터를 통하여 제어하여 기울기의 미세조정이 가능하게 되면서도 작동오류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정밀조작으로 제어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싸바리 포장상자의 인박스 자동 포장장치.a packaging box supply device that allows the packaging boxes to be sequentially supplied;
a product supply device disposed adjacent to the packaging box supply device and sequentially supplying an inbox in which the product is packaged;
an upper limb separation device disposed on the transport path of the packaging box supply device and opening the lid of the packaging box supplied through the packaging box supply device;
a product insertion device disposed on the transport path of the product supply device and inserting a plurality of inboxes supplied through the product supply device into the underside of the packaging box of the packaging box supply device disposed adjacent to the product supply device;
an upper extremity coupling device disposed on the transport path of the packaging box supply device and coupling the upper extremities to the lower extremities in a state in which the inbox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extremities;
including,
The packaging box supply device includes a loading end on which the packaging box is stacked, a first transport conveyor for transporting the packaging box, and an input device for supplying the packaging box stacked on the loading end to the first transport conveyor, wherein the input device includes: A push rod for inserting a plurality of packaging boxes at the same time and a spacer for separating the plurality of packaging boxes are formed, and the spacer is equipped with an adsorber that slides on the outer side of the packaging box located at both ends to form a central air adsorption method. spaced apart from the packaging box located in the It can be fitted in the correct position to the lower part of the packaging box,
The upper extremity separating device, the product inserting device, and the upper extremity coupling device are provided with a reciprocating device that reciprocates with a slide, and the reciprocating device is equipped with a transporter that grabs an object and pulls it upward or lowers it to the lower side. carry out the process,
The product insertion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port platforms, and the plurality of transport platforms are tilted when the inbox is inserted into a hole punched in the fixing frame of the packaging box so that it can be inserted while setting the correct position. The feeder is driven separately, so it is possible to generate operating deviations,
Any one or more of the upper extremity separating device or the upper extremity coupling device for separating or combining the upper extremities of the packaging box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ransport platforms, and when the upper extremities are separated from the lower extremities or the upper extremities are coupled to the lower extremities, the upper extremities are insert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lower extremities. In this way, a plurality of transport platforms are driven separately to prevent operation errors caused by friction between upper and lower limbs or air pressure, thereby generating operational deviations,
The transport is configured in an air adsorption method, and each transport is connected to a servo motor to enable precise control of individual driving or grouping driving, and controlled through the servo motor to enable fine adjustment of the inclination, while preventing operational errors, etc. In-box automatic packaging device for sabari packaging box,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 is made with precision operation even in case of occurren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6841A KR102287984B1 (en) | 2019-08-29 | 2019-08-29 | Automatic box packing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6841A KR102287984B1 (en) | 2019-08-29 | 2019-08-29 | Automatic box packing machi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6288A KR20210026288A (en) | 2021-03-10 |
KR102287984B1 true KR102287984B1 (en) | 2021-08-10 |
Family
ID=75148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6841A Active KR102287984B1 (en) | 2019-08-29 | 2019-08-29 | Automatic box packing mach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8798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75310B1 (en) * | 2020-03-04 | 2022-03-17 | (주)제이에스아이 | Continuous box feeder for box packaging |
KR102471740B1 (en) * | 2020-11-18 | 2022-11-29 | 주식회사티엠프라자 | Box automated packaging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000756A (en) * | 2013-06-17 | 2015-01-05 | 大森機械工業株式会社 | Box pack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06724B2 (en) * | 1991-03-07 | 1995-11-15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Golf ball cartoning machine |
JPH05147604A (en) * | 1991-11-29 | 1993-06-15 | Nichiden Mach Ltd |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lid |
-
2019
- 2019-08-29 KR KR1020190106841A patent/KR10228798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000756A (en) * | 2013-06-17 | 2015-01-05 | 大森機械工業株式会社 | Box pack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6288A (en) | 2021-03-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560249B2 (en) | Case unpacking system and method | |
US12006168B2 (en) | Palletizer-depalletizer system for distribution facilities | |
US20200324929A1 (en) | Device and method for packing a cushioning element in a carton | |
US6959525B2 (en) | Method and assembly for filling a box | |
KR102221767B1 (en) | Auto lading equipment and auto boxing lading system using the same | |
JP6817534B2 (en) | Box transport equipment | |
KR102287984B1 (en) | Automatic box packing machine | |
JP7395603B2 (en) | Order picking system with parternostel conveyor and how to use such a system | |
CN104854006A (en) | Apparatus for sorting objects | |
KR20080105754A (en) | Finished tire shipping device | |
CN208994709U (en) | a production line | |
CN105691679A (en) | Full-automatic four-station tray circulation feeding assembling machine | |
US7464804B2 (en) | Automatic pallet loader system and method | |
JP7294628B2 (en) | Fruit and vegetable automatic boxing and discharging method, fruit and vegetable storage box automatic stacking and discharging method, fruit and vegetable automatic box packing and discharging device, fruit and vegetable storage box automatic stacking and discharging device | |
CN217437160U (en) | Robot visual identification bottle lid intelligence transport production line | |
KR102286654B1 (en) | Automatic bagging machine | |
JP7157446B2 (en) | Fruit and vegetable boxing method, packaging box stacking method, packaging box discharging method, fruit and vegetable boxing device, packaging box stacking device, packaging box discharging device | |
KR102375310B1 (en) | Continuous box feeder for box packaging | |
JP3668576B2 (en) | Agricultural product sorting and packaging equipment | |
KR101984467B1 (en) | Packing Robot System | |
US20140157733A1 (en) |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rod-shaped articles | |
JP3590417B2 (en) | Long-size box packing equipment | |
KR20090006552A (en) | Kimjae device | |
JP2004292060A (en) | Encasing apparatus for long article | |
CN116249660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ceramic produc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9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8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8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8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