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270161B1 - 복합 경작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경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161B1
KR102270161B1 KR1020190055474A KR20190055474A KR102270161B1 KR 102270161 B1 KR102270161 B1 KR 102270161B1 KR 1020190055474 A KR1020190055474 A KR 1020190055474A KR 20190055474 A KR20190055474 A KR 20190055474A KR 102270161 B1 KR102270161 B1 KR 102270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arrow
support
front support
p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0928A (ko
Inventor
박기혁
Original Assignee
박기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혁 filed Critical 박기혁
Priority to KR1020190055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161B1/ko
Publication of KR20200130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21/00Harrows with rotary non-driven tools
    • A01B21/02Harrows with rotary non-driven tools with tooth-like tools
    • A01B21/04Harrows with rotary non-driven tools with tooth-like tools on horizontally-arranged ax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3/00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 A01B13/02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for making or working ridges, e.g. with symmetrically arranged mouldboards, e.g. ridging ploug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00Ploughs with fixed plough-shares
    • A01B3/24Tractor-drawn pl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합 경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랙터의 견인력에 의해 경작지를 경작하는 경작장치에 쟁기, 해로우, 배토기를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트랙터 견인시에 땅을 일구는 쟁기작업, 일군 흙을 파쇄하여 평탄화하는 작업, 평탄화된 경작지에 이랑을 형성하는 배토작업까지 한번에 작업할 수 있는 복합 경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도록 전방에 트랙터 연결부를 가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복수개의 쟁기가 구비된 쟁기부; 상기 쟁기부의 후방에서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고정된 전방 지지프레임에 지지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쟁기부에 의해 일궈진 흙을 파쇄하는 해로우; 상기 해로우의 후방에서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해로우의 전방 지지프레임에 고정된 후방 지지프레임에 지지되는 배토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복합 경작장치{Complex Cultivator}
본 발명은 복합 경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랙터의 견인력에 의해 경작지를 경작하는 경작장치에 쟁기, 해로우, 배토기를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트랙터 견인시에 땅을 일구는 쟁기작업, 일군 흙을 파쇄하여 평탄화하는 작업, 평탄화된 경작지에 이랑을 형성하는 배토작업까지 한번에 작업할 수 있는 복합 경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쟁기는 작물을 재배할 목적으로 우마 등의 가축이나 기계 등을 이용하여 흙을 파서 일구고 뒤집어 엎어 두둑을 만드는 데 사용하는 것이다.
통상적인 트랙터용 쟁기장치는 그 예로서, 본 출원인이 등록한 공개특허 제10-2010-0046678호(트랙터용 쟁기장치)에 나타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에 복수의 쟁기부가 구비된 구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쟁기장치에 의해 경작지의 땅이 일구어지게 되고, 일구는 과정 중에 발생된 흙덩어리를 잘게 파쇄하기 위하여 해로우를 사용하게 된다.
등록특허 제10-1053758호(보습부가 구비된 해로우 배토기)에서는 본체의 하측부에서 일정 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수직 형성된 복수개의 경운칼날이 트랙터의 구동부와 기어체결되어 동력을 인가받음으로써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흙을 잘게 파쇄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해로우는 복수의 경운칼날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체결구조로 되어 있어서,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또한 그 복잡성에 의해 제조비용도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해로우는 흙덩어리를 잘게 파쇄할 수 있지만, 파쇄된 흙을 평탄화하지 못하고, 또한 흙을 일굴 때 파헤쳐지는 지푸라기, 뿌리 등의 부산물 등은 지면 위로 노출됨으로써 이를 별도로 제거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매우 좋지 않게 된다.
아울러 쟁기작업과 배토작업을 위하여 각각 쟁기와 배토기를 별도로 구비하여 비용도 많이 소요됨을 물론, 작업시간도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공개특허 제10-2010-0046678호
(트랙터용 쟁기장치)
2. 등록특허 제10-1053758호
(보습부가 구비된 해로우 배토기)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쟁기, 해로우, 배토기를 후방으로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한번의 트랙터 견인시에 쟁기작업과, 해로우 작업, 그리고 배토작업이 일괄적 또는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한 복합 경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합 경작장치는,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도록 전방에 트랙터 연결부를 가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복수개의 쟁기가 구비된 쟁기부;
상기 쟁기부의 후방에서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고정된 전방 지지프레임에 지지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쟁기부에 의해 일궈진 흙을 파쇄하는 해로우;
상기 해로우의 후방에서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해로우의 전방 지지프레임에 고정된 후방 지지프레임에 지지되는 배토부;로 구성된다.
상기 해로우는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길게 위치하는 전방 지지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는 전방 지지암;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의 양단에서 상기 프레임의 견인방향으로 각각 회전하도록 축설되는 한 쌍의 회전판;
봉 형태로 되어 복수개가 구비되며, 그 양단이 각각 상기 한 쌍의 회전판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고정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판을 연결하는 연결바;
링 또는 원판 형태로 되어 상기 복수의 연결바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삽입되며, 외측 또는 내측 둘레에는 상기 연결바들이 고정되어 연결바가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고,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된 지지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둘레를 따라서 일정간격마다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파쇄날;을 구비하며, 상기 파쇄날은 상기 지지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에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파쇄날이 볼트에 의해 상기 고정공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전방 지지암의 상하방향 회전각도를 고정시켜 쟁기부의 경심을 조절하는 경심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경심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전방 지지암의 일측을 축설시키고,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핀공이 형성된 지지편;
상기 지지편의 핀공에 삽입되어 상기 전방 지지암의 상측 이동과 하측 이동을 고정시키는 고정핀;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은 상기 전방 지지암에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유압에 의해 신축되는 실린더의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의 타측은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에는 'V'형태의 회전간이 축설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유압에 의해 신축되는 실린더의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의 타측은 상기 회전간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회전간의 타측은 상기 배토부의 후방 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쟁기부의 후방에 해로우가 설치됨으로써 쟁기부로부터 일궈진 흙을 잘게 부수어 평탄화하게 되고, 또한 해로우의 후방에 배토부가 설치되어 이랑 형성까지 일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별도로 쟁기와 배토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절감 측면에서 매우 유리함은 물론 빠른 경작 작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배토부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경작작업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쟁기작업과 해로우 작업만을 원하는 경우에 배토부를 상승시킴으로써 경작지의 쟁기작업과 해로우 작업까지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해로우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쟁기부의 경심조절이 가능하고, 또한 실린더에 의해 배토부의 경심조절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 경작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본 발명에서 적용된 해로우의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지지부에 파쇄날이 장착되는 구조를 보인 도.
도4는 경심 조절부에 의해 쟁기부의 경심을 조절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5는 배토부의 경심을 조절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크게 프레임(100), 쟁기부(130), 해로우(200), 배토부(300)로 구성된다.
프레임(100)은 트랙터의 후방에 연결되어 견인되는 것으로서, 그 전방의 상하방향으로 3점식의 트랙터 연결부(1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100)의 후방부위에는 복수의 쟁기가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프레임(100)의 폭방향으로 고정되는 쟁기부(1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쟁기부(130)의 후방에는 해로우(20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해로우(200)는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고, 전방 지지프레임(210)에 힌지부(22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축설된 실린더(17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지거나 또는 지면으로 내려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해로우(200)가 프레임(100)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상기 실린더(17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실린더(170)의 양측으로는 한 쌍의 전방 지지암(150,160)이 위치하며, 그 전방 지지암(150,160))의 일측은 상기 프레임(100)에 구비된 경심조절부(310,31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축설되고, 타측은 해로우(200)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실린더(170)의 일측은 힌지(171)에 의해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고, 타측은 전방 지지프레임(210)에 구비된 힌지부(220)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는데, 이때 회전간(180)을 매개로 하여 실린더(170)의 타측이 전방 지지프레임(210)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된다.
상기 회전간(180)은 'V'형태로서, 그 하측이 힌지부(22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전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 회전간(180)의 전방부위에 상기 실린더(170)의 타측이 핀(18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회전간(180)의 후방부위는 배토부(300)의 후방 지지프레임(310)에 핀(182)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해로우(2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 쌍의 전방 지지암(150,160)에 의해 트랙터의 견인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르는 흡사 통 형태로 구성되는데, 프레임(100)의 폭방향으로 길게 위치하는 전방 지지프레임(210)이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170)의 타측이 중앙에 축설되고, 또한, 그 양측으로는 각각 후방 지지암(150,160)의 타측이 고정된다.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210)의 양단은 하측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된 부위에는 각각 원판 형태의 회전판(230,240)이 각각 트랙터의 견인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회전축(231,241)에 의해 축설되며, 그 한 쌍의 회전판(230,240) 사이에는 복수의 연결바(250)가 위치하여 그 회전판(230,240)을 서로 연결시키게 된다.
즉, 봉 형태로 된 복수의 연결바(250)의 양단이 회전판(230,240)의 둘레를 따라서 일정간격마다 고정됨으로써 전방 지지프레임(210)의 양단에서 서로 이격된 회전판(230,240)을 서로 연결하게 되며, 트랙터의 견인에 의해 구름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연결바(250)들은 그 양단이 회전판(230,240)의 동일한 위치에 수평하게 고정되지 않고, 일측방향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약간 하향경사지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쟁기부(130)에 의해 경작되어 일구어진 흙덩어리를 효율적으로 파쇄화면서 또한 지푸라기, 뿌리 등의 부산물을 지면 속으로 효과적으로 매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하나의 연결바(250)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지면에 시간을 두고 연속하여 접촉함으로써 흙덩어리 또는 부산물의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파쇄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바(250)들은 긴 봉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흙덩어리 또는 뿌리 등의 저항에 의해 휘어질 수 있으므로, 그 연결바(250)들의 간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또한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지지부(260)가 일정간격마다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부(260)는 원형의 링 형태로서 상기 복수의 연결바(250)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그 외측으로 연결바(250)들이 고정되거나 또는 지지부(260)의 내측으로 상기 연결바(250)들을 삽입시켜 그 내측으로 연결바(250)들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는 링 형태의 지지부(260)가 연결바(250)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그 외측으로 복수의 연결바(250)들이 고정되는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원판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연결바(250)들의 외측의 끼워지는 경우에는 링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상기 지지부(260)는 도3에 도시한 바와같이 원형의 링 형태로 되고, 외측으로는 상기 연결바(250)들이 접촉하여 고정될 부위에 연결바(250)를 끼워서 고정하기 위한 연결바 끼움홈(261)이 일정간격마다 형성되어 있어서, 연결바(250)를 연결바 끼움홈(261)에 삽입시킨 다음 용접 등에 의해 고정시키게 된다.
물론, 이러한 지지부(260)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원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260)에는 일정간격마다 파쇄날(270)이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파쇄날(270)은 연결바 끼움홈(261) 사이에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설치되며, 지지부(26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이는 연결바(250)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 즉, 연결바(250)들 사이의 간격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되어 경작부(130,140)에 의해 일궈진 흙덩어리를 잘게 파쇄하게 된다.
즉, 연결바(250)의 회전에 의해서도 흙덩어리가 파쇄될 수 있지만, 파쇄날(270)에 의해 흙덩어리를 더욱 잘게 파쇄함으로써 평탄화 작업이 더욱 효율적으로 행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파쇄날(270)의 탈부착을 위하여 연결바 끼움홈(261)의 사이마다 고정공(262)이 형성되고, 상기 파쇄날(270)의 하부에는 볼트공(271)이 형성되어 있어서, 볼트공(271)과 고정공(262)을 관통하여 볼트(272)가 삽입되고, 너트(273)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파쇄날(270)의 탈부착 구조는 다양하게 실현될 수 있으며, 아울러 파쇄날(270)의 구조도 흙덩어리를 파쇄하기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해로우(200)의 후방에는 프레임(100)의 폭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후방 지지프레임(310)에 복수의 배토날(340)이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후방 지지 프레임(310)에는 양측에 각각 후방 지지암(320,330)의 타측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방 지지암(320,330)의 일측은 상기 해로우(200)의 전방 지지프레임(210)에 구비된 핀고정부(290,291)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됨으로써 해로우(200)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후방 지지프레임(310)의 중앙부위에는 연결부(350)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간(180)의 후방부위가 핀(18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축설되어 있다.
한편, 해로우(200)가 프레임(100)에 경심 조절부(410,410')를 매개로 하여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는데, 상기 경심 조절부(410,410')에 의해 해로우(200)의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쟁기부(130)의 경심이 조절될 수 있다.
즉, 해로우(200)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프레임(100) 전방의 높이를 조절하여 쟁기부(130)의 경심을 조절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해로우(200)는 경심 조절부(410,410')를 매개로 하여 프레임(100)에 고정되는데, 상기 경심 조절부(410,410')는 양측이 동일한 형태를 가지므로, 하나의 경심 조절부(410)를 중심으로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경심 조절부(410)는 프레임(100) 상에서 나란히 한 쌍의 지지편(411,412)이 서로 간격을 두고 고정되며, 상기 지지편(411,412)에는 동일한 위치에서 복수의 핀공(413,41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핀공(413,414)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방 지지암(160)의 회전 경로를 따르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전방 지지암(160)은 그 일측이 상기 한 쌍의 지지편(411,412) 사이에서 축설부(415)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축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방 지지암(160)의 상측과 하측방향의 회전을 고정시키도록 고정핀(416,417)이 핀공(413,414)에 삽입되는데, 2개의 고정핀(416,417)이 전방 지지암(160)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핀공(413,414)에 삽입됨으로써 전방 지지암(160)이 고정핀(416,417)에 걸리게 되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즉, 상기의 고정핀(416,417)은 전방 지지암(160)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핀공(413,414)은 전방 지지암(160)의 최대 회전각도 범위에서 복수개가 형성되며, 가장 상측에 형성된 핀공(413,414)의 하단부위는 전방 지지암(160)이 상측으로 최대 회전하였을 때 전방 지지암(160)의 상단부위와 동일한 높이가 되고, 가장 하측에 형성된 핀공(413,414)의 상단부위도 마찬가지로 전방 지지암(160)이 하측으로 최대 회전하였을 때 전방 지지암(160)의 하단부위와 동일한 높이가 되어야 한다.
또한, 각 핀공(413,414)의 간격은 전방 지지암(160)의 두께만큼을 가지게 된다.
상기 전방 지지암(160)의 타측에는 해로우(200)의 전방 지지프레임(210)의 상측이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도4에서와 같이 전방 지지암(160)을 핀공(413,414)과 고정핀(416,417)에 의해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고정시키게 되면, 지면(G)에 전방 해로우(200)가 접지되어 버티게 됨으로써 그 접지되는 힘에 의해 프레임(100)의 들리는 정도가 조절되어 결국, 쟁기부(130)가 땅을 파고드는 깊이 즉 경심이 조절되는 것이다.
즉, 경심을 얕게 하고자 한다면 전방 지지암(160)의 경사각도를 크게 하여 해로우(200)가 프레임(100)을 밀어서 들어올림으로써 프레임(100)과 지면(G)의 이격거리를 크게 하여 쟁기부(130)의 경심을 얕게 조절하고, 반대로 경심을 깊게 하고자 한다면, 전방 지지암(160)의 각도를 완만하게 하여 프레임(100)과 지면(G)의 이격거리를 작게함으로써 쟁기부(130)가 땅을 깊게 파고들 수 있도록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경심 조절부(410)의 또다른 형태로서, 전방 지지암(160)을 관통하여 핀공이 형성되어 하나의 고정핀이 핀공(413,414)과 전방 지지암(160)에 형성된 핀공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전방 지지암(160)의 회전을 구속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실린더(170)의 압축과 신장에 의해 배토부(300)의 경심이 조절되고, 아울러 배토부(300)를 사용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는 배토부(300)를 해로우(200) 보다 상측으로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도5에서와 같이 실린더(170)를 신장시키게 되면, 해로우(20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간(180)이 후방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해로우(200)의 전방 지지프레임(2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후방 지지암(320)이 하측방향으로 회전하으로써 배토날(340)이 지면(G)을 파고들게 되는 것이다.
실린더(170)의 실장 길이에 따라 배토날(340)의 경심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배토부(3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실린더(170)가 압축됨으로써 배토부(300)가 후방 지지암(320)에 지지되어 상측으로 회전함으로써 배토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배토부(300)와 함께 해로우(200)도 사용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 또는 이동시에는 경심조절부(410,410')의 고정핀(416,417)을 제거하여 전방 지지암(150,160)의 구속상태를 해제시킴으로써 회전가능하도록 한 다음 실린더(170)를 더 압축시키게 되면, 회전간(180)이 전방으로 회전하면서 회전간(180)의 후방부위와 실린더(170)가 직선 상태가 됨으로써 당기는 힘이 해로우(200)에 가해져 해로우(200)가 지면의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는 것이다.
그리고, 실린더(170)를 압축 또는 신장시켜 전방 지지암(150,160)을 경심조절부(160)로부터 회전각도를 조절시키게 되는데, 고정핀(416,417)을 제거한 다음 실린더(170)를 압축시키게 되면, 회전간(180)이 전방으로 회전하면서 배토부(300)와 함께 해로우(200)가 상측으로 회전하게 되어 전방 지지암(150,160)도 상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전방 지지암(150,160)이 회전한 상태에서 고정핀(416,417)을 핀공(313,314)에 다시 끼우게 되면, 그 위치에서 전방 지지암(150,160)의 회전이 구속된다.
반대로 실린더(170)를 신장시키게 되면, 회전간(180)이 후방으로 회전하면서 전방 지지암(150,160)이 하측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전방 지지암(150,160)의 회전에 의해 해로우(200)가 지면에 접촉하는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쟁기부(130)의 경심을 조절하게 되며, 전방 지지암(150,160)의 회전각도를 실린더(170)에 의해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배토부(300)는 해로우(200)의 전방 지지프레임(210)이 아닌 프레임(100)에 직접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프레임(100)이 해로우(200)의 상측으로 더 연장되고, 그 연장된 프레임(100)에 후방 지지암(320,330)이 축설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는 해로우(200)는 상기 경심조절부(410,410')에 의해 경심이 조절되고, 배토부(300)의 경심은 실린더(170)와 회전간(180)에 의해 조절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쟁기작업, 해로우 작업, 배토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쟁기부(130)의 경심과 배토부(300)의 경심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로우 또는 배토작업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예일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0 : 프레임
110 : 트랙터 연결부
130 : 쟁기부
150,160 : 전방 지지암
170 : 실린더
180 : 회전간
200 : 해로우
210 : 전방 지지프레임
220 : 힌지부
230,240 : 회전판
231,241 : 회전축
250 : 연결바
260 : 지지부
261 : 연결바 끼움홈
262 : 고정공
270 : 파쇄날
271 : 볼트공
272 : 볼트
273 : 너트
300 : 배토부
310 : 후방 지지프레임
320,330 : 후방 지지암
340 : 배토날
350 : 연결부
410,410' : 경심 조절부
411,412 : 지지편
413,414 : 핀공
415 : 축설부
416,417 : 고정핀

Claims (11)

  1.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도록 전방에 트랙터 연결부를 가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복수개의 쟁기가 구비된 쟁기부;
    상기 쟁기부의 후방에서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고정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쟁기부에 의해 일궈진 흙을 파쇄하는 해로우;
    상기 해로우의 후방에서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해로우에 고정된 배토부;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서 일측이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축설되고, 타측은 상기 해로우의 외측에서 회전축에 의해 상기 해로우를 축설시키는 한 쌍의 지지암;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암의 상하방향 회전각도를 고정시켜 상기 해로우의 경심을 조절하는 경심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경심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의 측방향에서 나란히 간격을 두고 구비되고,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핀공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편;
    상기 지지암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지지편의 핀공에 삽입되어 상기 전방 지지암의 상측 이동과 하측 이동을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경작장치.
  2.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도록 전방에 트랙터 연결부를 가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복수개의 쟁기가 구비된 쟁기부;
    상기 쟁기부의 후방에서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고정된 전방 지지프레임에 지지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쟁기부에 의해 일궈진 흙을 파쇄하는 해로우;
    상기 해로우의 후방에서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해로우의 전방 지지프레임에 고정된 후방 지지프레임에 지지되는 배토부;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서 일측이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축설되고, 타측은 상기 해로우의 외측에서 회전축에 의해 상기 해로우를 축설시키는 한 쌍의 지지암;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암의 상하방향 회전각도를 고정시켜 상기 해로우의 경심을 조절하는 경심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경심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의 측방향에서 나란히 간격을 두고 구비되고,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핀공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편;
    상기 지지암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지지편의 핀공에 삽입되어 상기 전방 지지암의 상측 이동과 하측 이동을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경작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로우는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길게 위치하는 전방 지지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는 전방 지지암;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의 양단에서 상기 프레임의 견인방향으로 각각 회전하도록 축설되는 한 쌍의 회전판;
    봉 형태로 되어 복수개가 구비되며, 그 양단이 각각 상기 한 쌍의 회전판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고정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판을 연결하는 연결바;
    링 또는 원판 형태로 되어 상기 복수의 연결바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삽입되며, 외측 또는 내측 둘레에는 상기 연결바들이 고정되어 연결바가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고,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된 지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경작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둘레를 따라서 일정간격마다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파쇄날;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경작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날은 상기 지지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경작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파쇄날이 볼트에 의해 상기 고정공에 체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경작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은 상기 전방 지지암에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유압에 의해 신축되는 실린더의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의 타측은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경작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에는 회전간이 축설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유압에 의해 신축되는 실린더의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의 타측은 상기 회전간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회전간의 타측은 상기 배토부의 후방 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경작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간은 'V'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경작장치.
KR1020190055474A 2019-05-13 2019-05-13 복합 경작장치 KR102270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474A KR102270161B1 (ko) 2019-05-13 2019-05-13 복합 경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474A KR102270161B1 (ko) 2019-05-13 2019-05-13 복합 경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928A KR20200130928A (ko) 2020-11-23
KR102270161B1 true KR102270161B1 (ko) 2021-06-28

Family

ID=73680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474A KR102270161B1 (ko) 2019-05-13 2019-05-13 복합 경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1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1989A (ja) * 2012-07-05 2014-01-23 Sugano Farm Machinery Mfg Co Ltd 踏圧緩和具を装着した農作業機
KR101740377B1 (ko) * 2016-09-27 2017-05-26 주식회사 그린맥스 치즐 배토기 형식의 디스크해로우
JP2019022469A (ja) * 2017-07-25 2019-02-14 小橋工業株式会社 農作業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9417A (ko) * 2000-11-21 2002-05-27 문병영 미맥 다기능 파종기
KR20130050044A (ko) * 2011-11-07 2013-05-15 주식회사 세웅 로터리용 작업기프레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1989A (ja) * 2012-07-05 2014-01-23 Sugano Farm Machinery Mfg Co Ltd 踏圧緩和具を装着した農作業機
KR101740377B1 (ko) * 2016-09-27 2017-05-26 주식회사 그린맥스 치즐 배토기 형식의 디스크해로우
JP2019022469A (ja) * 2017-07-25 2019-02-14 小橋工業株式会社 農作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928A (ko) 2020-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7202B2 (en) Cultivator
US5209306A (en) Turf aerator with improved bearings for lateral tine movement
KR102273479B1 (ko)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EP2436250A1 (en) Soil working apparatus and method
US10368474B2 (en) Double rolling basket linkage
JP7142381B2 (ja) まぐわを有する耕作装置
KR102270159B1 (ko)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US10405476B2 (en) Double rolling basket attachment
KR102270161B1 (ko) 복합 경작장치
CN218125341U (zh) 单垄复合型山地秸秆还田机
KR101054606B1 (ko) 두둑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토기
CN214676403U (zh) 多功能深松条耕机
CN213245629U (zh) 一种开沟深度调节的耕具组件
KR102273483B1 (ko)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CN213938766U (zh) 一种犁铧式翻转犁
KR102539591B1 (ko)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CN211064061U (zh) 一种旋耕机的机械支撑结构
JP2731686B2 (ja) 盛土高さ検出装置
CN211982492U (zh) 一种便于土块粉碎的耕田装置
JPS6219127Y2 (ko)
JP3529116B2 (ja) 水田圃場の均一な土層を形成する作業機
CN216253794U (zh) 一种便于更换的农业机械犁地机构
JPH08280201A (ja) 圃場の均一な土層を形成する方法及び、この作業に適した作業機
JP2005058006A (ja) 砕土整地作業機
EP3970461A1 (en) Improved beam attachment bra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