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260868B1 -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그 방법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그 방법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868B1
KR102260868B1 KR1020190165613A KR20190165613A KR102260868B1 KR 102260868 B1 KR102260868 B1 KR 102260868B1 KR 1020190165613 A KR1020190165613 A KR 1020190165613A KR 20190165613 A KR20190165613 A KR 20190165613A KR 102260868 B1 KR102260868 B1 KR 102260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sture
mode
electronic device
start icon
mode sel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이섭
조재한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65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8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86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그 방법 및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는 터치스크린, 및 터치스크린에 시작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고, 시작 아이콘의 터치에 연이은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른 해당 모드를 선택하여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시작 아이콘의 터치에 연이은 제스처의 방향, 형태 및 순서에 따라 해당 제스처를 판단한다.

Description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그 방법 및 기록매체{Electronic device with function for selecting mode based on gesture and method and reco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그 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 장치는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일례로,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그림 기능은 노트와 펜 등의 필기구를 대체하고 있다. 특히, 그림 기능의 경우, 전문 디자이너들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에 의해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한편, 전자 장치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은 많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메뉴 또는 하위 모드가 복잡화되고 있다. 이를 위해 트리 구조로 메뉴가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메뉴 및 모드의 구조는 사용자에게 여러 번의 조작을 요구한다. 이는 편집 등과 같은 해당 기능의 주요 작업과 상관없는 불필요한 동작이 요구하므로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이 증가한다.
또한, 메뉴를 단순화하는 경우, 스타일러스 펜 등과 같은 입력수단에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나 선택을 위한 다수의 버튼 등 추가적인 구성이 수반된다.
KR 2016-0146735 A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시작 아이콘의 터치에 연이은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직관적으로 모드를 빠르게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는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그 방법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 시작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시작 아이콘의 터치에 연이은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른 해당 모드를 선택하여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작 아이콘의 터치에 연이은 상기 제스처의 방향, 형태 및 순서에 따라 해당 제스처를 판단하는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드 중 관련성이 있는 모드는 상기 제스처 중에서 유사한 패턴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스처의 방향은 수직 방향, 수평 방향 및 대각선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스처의 형태는 직선, 곡선형, 직선 방향의 길이 및 직선 방향의 슬라이딩 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스처의 순서는 수평 방향 후 수직 방향 및 수직 방향 후 수평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시작 아이콘이 디스플레이하고 이동하는 인접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임의의 위치가 일정시간 터치 또는 일정횟수 연속 터치되면, 해당 위치로 상기 시작 아이콘을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의 직선 방향에 따라 지우기 모드, 그리기 모드, 재실행(Redo) 및 실행취소(undo)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고, 상기 제스처의 대각선 방향에 따라 패닝 모드, 줌 모드 및 선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며, 상기 제스처의 수방 방향 및 수직 방향 순서에 따라 텍스트 변환, 텍스트 입력,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지우기 옵션, 제1그리기 옵션(펜, 색 및 굵기를 포함하는 그래픽 콘텍스트) 및 제2그리기 옵션(라인, 박스 및 서클)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고, 상기 제스처의 곡선형에 따라 삭제를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에 시작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시작 아이콘의 터치에 연이은 제스처의 방향, 형태 및 순서에 따라 해당 제스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제스처에 따른 해당 모드를 선택하여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모드 중 관련성이 있는 모드가 상기 제스처 중에서 유사한 패턴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스처의 방향이 수직 방향, 수평 방향 및 대각선 방향 중 어느 방향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스처의 형태가 직선, 곡선형, 직선 방향의 길이 및 직선 방향의 슬라이딩 속도 중 어느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스처의 순서가 수평 방향 후 수직 방향 및 수직 방향 후 수평 방향 중 어느 순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시작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고 이동하는 인접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방법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임의의 위치가 일정시간 터치 또는 일정횟수 연속 터치되면, 해당 위치로 상기 시작 아이콘을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스처의 직선 방향에 따라 지우기 모드, 그리기 모드, 재실행(Redo) 및 실행취소(undo)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고, 상기 제스처의 대각선 방향에 따라 패닝 모드, 줌 모드 및 선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며, 상기 제스처의 수방 방향 및 수직 방향 순서에 따라 텍스트 변환, 텍스트 입력,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지우기 옵션, 제1그리기 옵션(펜, 색 및 굵기를 포함하는 그래픽 콘텍스트) 및 제2그리기 옵션(라인, 박스 및 서클)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고, 상기 제스처의 곡선형에 따라 삭제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 장치의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방법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그 방법 및 기록매체는 시작 아이콘의 터치에 연이은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모드를 선택하여 실행함으로써, 메뉴의 하위에 구성되는 모드를 직관적으로 직접 선택하여 빠르게 실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조작의 번거로움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그 방법 및 기록매체는 제스처에 따라 모드를 직접 선택 및 실행함으로써, 메뉴 및 모드 선택을 위한 시간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그 방법 및 기록매체는 메뉴 및 모드 선택을 위한 시작 아이콘만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메뉴 및 모드를 표시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상에서 사용자의 활용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그 방법 및 기록매체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시작 아이콘의 터치 후 동작으로 판단함으로써, 스타일러스 펜에 특별한 기능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도구에 대한 종속성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전자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의 시작 아이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의 제스처 패턴의 제1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의 제스처 패턴의 제2예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의 제스처 패턴의 제3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의 제스처 패턴의 제4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방법에 의한 제스처 패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100)는 터치스크린(110), 메모리(120), 인터페이스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100)는 휴대 단말일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내비게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칠판일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칠판은 전면에 터치스크린(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전자 장치(100)는 휴대 단말을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전자 칠판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터치스크린(110)은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례로, 터치스크린(110)은 실행중인 기능을 위한 사용자 메뉴 및 그에 따른 하위 모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10)은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10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10)은 사용자 입력부로서 사용자의 선택이 입력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제어부(14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는 제어부(140)에 의해 실행되는 기능들과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인터페이스부(13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및 이어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40)는 그림 기능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메뉴 또는 모드 선택을 위한 시작 아이콘을 터치스크린(11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사용자에 의한 시작 아이콘의 터치를 통해 시작 아이콘을 이용하여 해당 메뉴를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시작 아이콘의 터치에 연이은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른 해당 모드를 선택하여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제스처는 사용자가 시작 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시작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 일례로, 사용자의 제스처는 시작 아이콘을 상하 수직 방향, 좌우 수평 방향 및 대각선 방향 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키거나 직선 또는 곡선의 형태로 이동시키거나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의 조합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
이에 의해,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100)는 메뉴의 하위에 구성되는 모드를 직관적으로 직접 선택하여 빠르게 실행할 수 있으므로 메뉴 선택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신속하게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조작의 번거로움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100)는 하나의 시작 아이콘에 의해 직관적인 제스처에 따라 메뉴 및 모드를 선택하므로 해당 기능의 주요 작업을 제외한 메뉴 및 모드의 단순한 선택을 위한 시간을 생략할 수 있고 따라서 전체적인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더욱이,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100)는 스타일러스 펜뿐만 아니라 손가락 등으로 시작 아이콘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스타일러스 펜에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나 선택을 위한 다수의 버튼이 구비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사용도구에 대한 종속성을 해소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시작 아이콘의 터치에 연이은 상기 제스처의 방향, 형태 및 순서에 따라 해당 제스처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드 중 관련성이 있는 모드는 제스처 중에서 유사한 패턴에 대응될 수 있다. 일례로, 지우기 모드와 지우기 옵션은 유사한 제스처 패턴으로 설정되고, 그리기 모드와 그리기 옵션은 유사한 제스처 패턴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메뉴는 그림 기능일 수 있다. 또한, 제스처에 따른 모드는 상기 메뉴의 하위 메뉴일 수 있다. 일례로, 그림 기능 의 메뉴는 하위의 편집 메뉴로서, 지우기 모드, 그리기 모드, 지우기 옵션, 그리기 옵션, 재실행(Redo), 실행취소(Undo), 패닝 모드, 선택 모드, 줌 모드, 이전 페이지 및 다음 페이지 등의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어부(140)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의 시작 아이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의 제스처 패턴의 제1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의 제스처 패턴의 제2예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의 제스처 패턴의 제3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의 제스처 패턴의 제4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시작 아이콘(114)을 터치스크린(11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터치스크린(110)은 화면(112)에 시작 아이콘(114)이 디스플레이되고 이동하는 인접 영역(11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접 영역(116)은 원형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100)는 하나의 시작 아이콘만으로 메뉴 및 모드를 표시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상에서 사용자의 활용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도 3에서는 인접 영역(116)이 화면(112)의 우측 상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접 영역(116)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화면(112)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10)의 임의의 위치를 일정시간 터치 또는 일정횟수 연속 터치함으로써 제어부(140)는 시작 아이콘(114') 및 인접 영역(116')을 해당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가 시작 아이콘(114)을 일정시간 또는 일정 횟수 연속 터치함으로써, 제어부(140)는 시작 아이콘을 임의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손가락(10)이나 스타일러스 펜(11)에 의해 화면(112) 상의 시작 아이콘(114)이 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터치스크린(110)은 사용자의 손가락(10)이나 스타일러스 펜(11)의 터치를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시작 아이콘(114)이 인접 영역(116) 내에서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시작 아이콘(114)이 사용자의 제스처에 의해 이동한 후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인접 영역(116)이 화면(112)의 전체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40)는 시작 아이콘(114)이 정지된 위치를 기준으로 다음 제스처에 따라 시작 아이콘(114)이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시작 아이콘(114)을 이용한 제스처의 방향은 상하 수직 방향 및 좌우 수평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스처의 형태는 직선일 수 있다. 또한, 제스처의 형태는 직선 방향의 길이 및 직선 방향의 슬라이딩 속도에 따라 구분될 수도 있다.
여기서, 모드 M11 내지 M14는 짧은 직선으로 좌측, 상측, 우측 및 하측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할 수 있다. 모드 M11' 내지 M14'는 긴 직선으로 좌측, 상측, 우측 및 하측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할 수 있다.
이때, 직선 방향의 길이는 시작 아이콘(114)이 인접 영역(116) 내의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하는 경우는 짧은 것으로 정의되고, 인접 영역(116)의 가장자리 또는 이를 초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는 긴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
또한, 슬라이딩 속도는 시작 아이콘(114)을 터치한 상태로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과 시작 아이콘(114)을 튕기듯이 일 방향으로 빠르게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40)는 그림 기능 메뉴에서,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스처의 직선 방향에 따라 지우기 모드, 그리기 모드, 재실행(Redo) 및 실행취소(undo)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시작 아이콘(114)을 이용한 제스처의 방향은 대각선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스처의 형태는 직선일 수 있다. 여기서, 모드 M21 내지 M24는 순서대로 각각 좌상, 우상, 좌하 및 우하의 대각선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40)는 그림 기능 메뉴에서, 상기 제스처의 대각선 방향에 따라 패닝 모드, 줌 모드 및 선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에서와 유사하게, 대각선 방향에 대해서도 대각선의 길이 및 대각선 방향의 슬라이드 속도에 따라 구분된 제스처의 형태가 모드에 대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시작 아이콘(114)을 이용한 제스처의 순서는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의 순서에 따른 조합일 수 있다. 즉, 제스처의 순서는 수평 방향 후 수직 방향 및 수직 방향 후 수평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평 방향은 좌우 두 가지이고, 수직 방향을 상하 두 가지이다. 따라서 제스처의 순서는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조합에 따라 8개의 모드가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드 M31 및 M32는 상측 수직 방향 후 좌측 또는 우측 수평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할 수 있다. 모드 M33 및 M34는 좌측 수평 방향 후 상측 또는 하측 수직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할 수 있다. 모드 M35 및 M36은 우측 수평 방향 후 상측 또는 하측 수직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할 수 있다. 모드 M37 및 M386는 하측 수직 방향 후 좌측 또는 우측 수평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40)는 상기 제스처의 수방 방향 및 수직 방향 순서에 따라 텍스트 변환, 텍스트 입력,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지우기 옵션, 제1그리기 옵션(펜, 색 및 굵기를 포함하는 그래픽 콘텍스트) 및 제2그리기 옵션(라인, 박스 및 서클)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시작 아이콘(114)을 이용한 제스처는 방향이 대각선 방향이고 형태가 곡선형일 수 있다. 여기서 곡선형은 돼지꼬리로 명명되는 곡선 모양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드 M41 내지 M44는 돼지꼬리 형상의 곡선형이 우상, 우하, 좌상 및 좌하의 대각선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40)는 곡선형 제스처에 따라 삭제를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곡선형의 개수에 따라 구분된 제스처의 형태 또는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에 따라 구분된 제스처의 형태가 모드에 대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100)는 메뉴의 하위에 구성되는 모드를 직관적으로 직접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조작의 번거로움을 감소시킬 수 있고, 메뉴를 표시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상에서 사용자의 활용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으며, 스타일러스 펜에 특별한 기능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도구에 대한 종속성을 해소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자 장치의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방법에 의한 제스처 패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자 장치의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방법(200)은 시작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210), 시작 아이콘에 의한 제스처를 판단하는 단계(S220 및 S230) 및 해당 제스처에 대응하는 모드를 선택하여 실행하는 단계(S24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전자 장치(100)는 터치스크린(110)에 시작 아이콘(114)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210).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작 아이콘(114)이 디스플레이되고 이동하는 인접 영역(116)이 터치스크린(110)의 화면(112)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인접 영역(116)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화면(112)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인접 영역(116)은 화면(112)의 전체 또는 일부로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10)의 임의의 위치를 일정시간 터치 또는 일정횟수 연속 터치함으로써, 전자 장치(100)는 시작 아이콘(114) 및 인접 영역(116)을 해당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시작 아이콘(114)의 이동를 위한 사용자의 터치 패턴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전자 장치(100)는 시작 아이콘(114)이 터치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20). 이때, 전자 장치(100)는 시작 아이콘(114)에 의해 해당 메뉴를 실행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장치(100)는 그림 기능의 메뉴를 실행할 수 있다.
단계 S220의 판단결과, 시작 아이콘(114)이 터치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사용자의 손가락(10) 또는 스타일러스 펜(11) 등을 이용하여 시작 아이콘(114)을 터치할 때까지 대기한다.
단계 S220의 판단결과, 시작 아이콘(114)이 터치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시작 아이콘(114)에 의한 제스처를 판단한다(단계 S230). 이때, 전자 장치(100)는 시작 아이콘(114)의 터치에 연이은 제스처의 방향, 형태 및 순서에 따라 해당 제스처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제스처의 방향이 수직 방향, 수평 방향 및 대각선 방향 중 어느 방향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 방향은 상하, 수평 방향은 좌우, 대각선 방향은 우상, 우하, 좌상 및 좌하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도 5,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스처의 형태가 직선, 곡선형, 직선 방향의 길이 및 직선 방향의 슬라이딩 속도 중 어느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직선 방향의 길이는 시작 아이콘(114)이 인접 영역(116) 내의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하는 경우는 짧은 것으로 정의되고, 인접 영역(116)의 가장자리 또는 이를 초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는 긴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속도는 시작 아이콘(114)을 터치한 상태로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과 시작 아이콘(114)을 튕기듯이 일 방향으로 빠르게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곡선형은 돼지꼬리로 명명되는 곡선 모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스처의 순서가 수평 방향 후 수직 방향 및 수직 방향 후 수평 방향 중 어느 순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 방향은 좌우 두 가지이고, 수직 방향을 상하 두 가지이다. 따라서 제스처의 순서는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의 조합에 따라 8개의 모드가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시작 아이콘(114)은 인접 영역(116) 내에서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시작 아이콘(114)은 사용자의 제스처에 의해 이동한 후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인접 영역(116)이 화면(112)의 전체로 설정된 경우, 시작 아이콘(114)은 이전 제스처에 의해 정지된 위치를 기준으로 다음 제스처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 장치(100)는 판단된 제스처에 따른 해당 모드를 선택하여 실행한다(단계 S240). 여기서, 제스처에 따른 모드는 상기 메뉴의 하위 메뉴일 수 있다. 여기서, 모드는 편집 모드일 수 있다.
일례로서 도 10을 참조하면, 그림 기능 메뉴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스처의 직선 방향에 따라 지우기 모드, 그리기 모드, 재실행(Redo) 및 실행취소(undo)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지우기 모드는 좌측 방향 직선, 그리기 모드는 우측 방향 직선, 재실행은 상측 방향 직선, 실행취소는 우측 방향 직선의 제스처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제스처의 대각선 방향에 따라 패닝 모드, 줌 모드 및 선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패닝 모드는 좌상 대각선 방향, 줌 모드는 우상 대각선 방향, 선택 모드는 좌하 대각선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제스처의 수방 방향 및 수직 방향 순서에 따라 텍스트 변환, 텍스트 입력,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지우기 옵션, 제1그리기 옵션(펜, 색 및 굵기를 포함하는 그래픽 콘텍스트) 및 제2그리기 옵션(라인, 박스 및 서클)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텍스트 변환 및 텍스트 입력은 상측 수직 방향 후 좌측 또는 우측 수평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할 수 있다. 지우기 옵션은 좌측 수평 방향 후 상측 수직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할 수 있다. 제1그리기 옵션 및 제2그리기 옵션은 우측 수평 방향 후 상측 또는 하측 수직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할 수 있다. 이전 페이지 및 다음 페이지 이동은 하측 수직 방향 후 좌측 또는 우측 수평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제스처의 곡선형에 따라 삭제를 실행할 수 있다. 이때, 곡선형 제스처는 우상 대각선 방향의 돼지꼬리 형상일 수 있다.
이때, 모드 중 관련성이 있는 모드는 제스처 중에서 유사한 패턴에 대응될 수 있다. 일례로, 지우기 모드와 지우기 옵션은 동일 방향의 직선 및 순서 조합의 제스처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그리기 모드와 그리기 옵션은 동일 방향의 직선 및 순서 조합의 제스처에 대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 장치(100)는 종료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250), 종료가 선택된 경우, 전자 장치의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방법(200)을 종료한다.
단계 S250의 판단결과, 종료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단계 S220으로 복귀하여 전자 장치(100)는 단계 S220 내지 S240의 제스처에 따른 모드 선택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방법(200)은 메뉴의 하위에 구성되는 모드를 직관적으로 직접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조작의 번거로움을 감소시킬 수 있고, 메뉴를 표시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상에서 사용자의 활용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으며, 스타일러스 펜에 특별한 기능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도구에 대한 종속성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1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특히, 이러한 단계들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판독가능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110 : 터치스크린
112 : 화면 114 : 시작 아이콘
116 : 인접 영역 120 : 메모리
130 : 인터페이스부 140 : 제어부
10 : 사용자의 손가락 11 : 스타일러스 펜

Claims (17)

  1.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 시작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시작 아이콘의 터치에 연이은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른 해당 모드를 선택하여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작 아이콘의 터치에 연이은 상기 제스처의 방향, 형태 및 순서에 따라 해당 제스처를 판단하고,
    해당 모드와 그의 하위 옵션은 상기 제스처 중에서 유사한 패턴으로 설정되며,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시작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고 이동하는 인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스처의 방향은 수직 방향, 수평 방향 및 대각선 방향을 포함하며,
    상기 제스처의 순서는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의 순서에 따른 조합이고,
    상기 제스처의 형태는 직선, 곡선형, 직선 방향의 길이 및 직선 방향의 슬라이딩 속도를 포함하되, 상기 곡선형은 돼지꼬리로 명명되는 곡선 모양이며, 상기 직선 방향의 길이는 상기 시작 아이콘이 상기 인접 영역의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하는 경우는 짧은 것으로 정의되고, 상기 인접 영역의 가장자리 또는 이를 초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는 긴 것으로 정의되는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임의의 위치가 일정시간 터치 또는 일정횟수 연속 터치되면, 해당 위치로 상기 시작 아이콘을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의 직선 방향에 따라 지우기 모드, 그리기 모드, 재실행(Redo) 및 실행취소(undo)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고,
    상기 제스처의 대각선 방향에 따라 패닝 모드, 줌 모드 및 선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며,
    상기 제스처의 수방 방향 및 수직 방향 순서에 따라 텍스트 변환, 텍스트 입력,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지우기 옵션, 제1그리기 옵션(펜, 색 및 굵기를 포함하는 그래픽 콘텍스트) 및 제2그리기 옵션(라인, 박스 및 서클)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고,
    상기 제스처의 곡선형에 따라 삭제를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9. 터치스크린에 시작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시작 아이콘의 터치에 연이은 제스처의 방향, 형태 및 순서에 따라 해당 제스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제스처에 따른 해당 모드를 선택하여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해당 모드와 그의 하위 옵션은 상기 제스처 중에서 유사한 패턴으로 설정되며,
    상기 제스처의 순서는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의 순서에 따른 조합이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시작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고 이동하는 인접 영역을 표시하며,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스처의 방향이 수직 방향, 수평 방향 및 대각선 방향 중 어느 방향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스처의 형태가 직선, 곡선형, 직선 방향의 길이 및 직선 방향의 슬라이딩 속도 중 어느 것인지를 판단하되, 상기 곡선형은 돼지꼬리로 명명되는 곡선 모양이며, 상기 직선 방향의 길이는 상기 시작 아이콘이 상기 인접 영역의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하는 경우는 짧은 것으로 정의되고, 상기 인접 영역의 가장자리 또는 이를 초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는 긴 것으로 정의되는 전자 장치의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임의의 위치가 일정시간 터치 또는 일정횟수 연속 터치되면, 해당 위치로 상기 시작 아이콘을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스처의 직선 방향에 따라 지우기 모드, 그리기 모드, 재실행(Redo) 및 실행취소(undo)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고,
    상기 제스처의 대각선 방향에 따라 패닝 모드, 줌 모드 및 선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며,
    상기 제스처의 수방 방향 및 수직 방향 순서에 따라 텍스트 변환, 텍스트 입력,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지우기 옵션, 제1그리기 옵션(펜, 색 및 굵기를 포함하는 그래픽 콘텍스트) 및 제2그리기 옵션(라인, 박스 및 서클)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고,
    상기 제스처의 곡선형에 따라 삭제를 실행하는 전자 장치의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방법.
  17. 제9항, 제15항 및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방법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90165613A 2019-12-12 2019-12-12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그 방법 및 기록매체 Active KR102260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613A KR102260868B1 (ko) 2019-12-12 2019-12-12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그 방법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613A KR102260868B1 (ko) 2019-12-12 2019-12-12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그 방법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868B1 true KR102260868B1 (ko) 2021-06-07

Family

ID=76374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613A Active KR102260868B1 (ko) 2019-12-12 2019-12-12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그 방법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8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16691A (zh) * 2022-05-30 2022-09-06 海宁奕斯伟集成电路设计有限公司 电子黑板功能实现服务端、客户端、系统及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4094A (ko) * 2011-07-29 2013-02-07 (주)아이비리더스 모바일 디바이스 환경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150143069A (ko) * 2014-06-13 2015-12-23 (주)멜파스 터치 앤 드래그 이벤트의 방향을 이용한 잠금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46735A (ko) 2014-04-28 2016-12-2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대화형 디스플레이 스크린들에 대한 압력, 회전 및 스타일러스 기능
KR20180065133A (ko) * 2016-12-07 2018-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36061A (ko) * 2017-09-27 2019-04-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3d 객체의 터치 방식 회전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4094A (ko) * 2011-07-29 2013-02-07 (주)아이비리더스 모바일 디바이스 환경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160146735A (ko) 2014-04-28 2016-12-2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대화형 디스플레이 스크린들에 대한 압력, 회전 및 스타일러스 기능
KR20150143069A (ko) * 2014-06-13 2015-12-23 (주)멜파스 터치 앤 드래그 이벤트의 방향을 이용한 잠금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65133A (ko) * 2016-12-07 2018-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36061A (ko) * 2017-09-27 2019-04-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3d 객체의 터치 방식 회전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16691A (zh) * 2022-05-30 2022-09-06 海宁奕斯伟集成电路设计有限公司 电子黑板功能实现服务端、客户端、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7782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workspace views
JP7412572B2 (ja) ウィジェット処理方法及び関連する機器
JP5204305B2 (ja) 携帯用端末機におけるパターン認識を用いた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及び方法
US886073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imation method, and program
US903588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virtual keyboards on a user interface
KR101224588B1 (ko) 멀티포인트 스트록을 감지하기 위한 ui 제공방법 및 이를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KR10202034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
US20180067638A1 (en) Gesture Language for a Device with Multiple Touch Surfaces
US20120162093A1 (en) Touch Screen Control
KR20110081040A (ko) 투명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단말에서 컨텐츠 운용 방법 및 장치
EP3002664A1 (en) Text processing method and touchscreen device
US20180018067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screen and input processing method thereof
CN107066167A (zh) 一种区域选择方法、装置和图形用户界面
JP201008623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I655572B (zh)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09110286A (ja) 情報処理装置、ランチャー起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ランチャー起動制御方法
US20140145945A1 (en) Touch-based input control method
JP2012155698A (ja) 電子装置およびその情報表示方法
KR20140074141A (ko)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 윈도우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EP2965181B1 (en) Enhanced canvas environments
CN114690887B (zh) 一种反馈方法以及相关设备
KR102260868B1 (ko) 제스처 기반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그 방법 및 기록매체
KR20140089696A (ko) 가상 키패드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2551568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12431B1 (ko) 멀티 터치와 탭핑을 결합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5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6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