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260564B1 - turnout apparatus for monorail railway - Google Patents

turnout apparatus for monorail railw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564B1
KR102260564B1 KR1020200131194A KR20200131194A KR102260564B1 KR 102260564 B1 KR102260564 B1 KR 102260564B1 KR 1020200131194 A KR1020200131194 A KR 1020200131194A KR 20200131194 A KR20200131194 A KR 20200131194A KR 102260564 B1 KR102260564 B1 KR 102260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driving
monorail
s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1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종규
남정준
이대영
Original Assignee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1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56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56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08Tracks for mono-rails with centre of gravity of vehicle above the load-bearing rail
    • E01B25/12Switches; Cros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4Monorai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5/00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point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Visible or audible signals; 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visible or audible signals
    • B61L5/06Electric devices for operating points or scotch-blocks, e.g. using electromotive driv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2/00Characteristics of moving parts of rail systems, e.g. switches, special frogs, tongues
    • E01B2202/02Nature of the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간이나 구릉과 같은 경사 구간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을 높여주어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분기 제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진입 선로와 한 쌍의 분기 선로 사이에 설치되는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진입 선로와 한 쌍의 분기 선로 사이에 한 쌍의 이동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 레일은 좌우로 이동하여 상기 진입 선로와 각 분기 선로를 각각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orail branch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it can be easily installed even in a slope section such as a mountain or a hill, and can reduce maintenance costs by increasing durability, and can easily perform branch control. It relates to a monorail branch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onorail branch system installed between an entry line and a pair of branch lines, a pair of moving rails is provided between the entry line and a pair of branch lines, and the moving The rai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oves left and right to connect the entry line and each branch line, respectively.

Description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turnout apparatus for monorail railway}Monorail branching system {turnout apparatus for monorail railway}

본 발명은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간이나 구릉과 같은 경사 구간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을 높여주어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분기 제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orail branch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it can be easily installed even in a slope section such as a mountain or a hill, and can reduce maintenance costs by increasing durability, and can easily perform branch control. It relates to a monorail branch system.

모노레일은 궤도가 하나인 철도의 총칭으로서, 도로교통에 지장을 주지 않고, 환경오염, 소음 및 진동 공해가 적고, 안정성이 높다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세계 각지에서 관광이나 시내교통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Monorail is a generic name for a single-track railroad, and it has advantages such as not impeding road traffic, low environmental pollution, noise and vibration pollution, and high stability, so it is used as a means of tourism or city transportation around the world. .

이러한 모노레일은 크게 차체가 궤도에 매달려서 운행되는 현수식과 궤도 위를 열차가 운행하는 방식인 과좌식으로 구분된다. 특히, 과좌식 모노레일의 경우, 유도바퀴(Guide wheel)를 이용해 달리는 차량의 평형을 유지한다.These monorails are largely divided into a suspension type, in which the vehicle body is suspended from a track, and a super-seated type, in which a train operates on the track.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over-seating monorail, the balance of the running vehicle is maintained using a guide wheel.

여기서, 과좌식 모노레일 시스템에서, 두 개 이상의 차량 이동 경로 사이에서 차량을 용이하게 분기시키기 위해서는 분기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분기 장치가 미국 등록 특허 US 6,450,103 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Here, in the over-seated monorail system, a branching device is required to easily branch a vehicle between two or more vehicle movement paths. Such a branching device is disclosed in US Patent No. 6,450,103 and the like.

도 1은 기존의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conventional monorail branching system,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a of FIG. 1,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b-b of FIG. 1 .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기존의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는 가요성의 가이드 레일(1)을 구비하고, 이를 휨으로써 차량 주행 방향을 변경시킨다. 기존의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는 가요성의 가이드 레일(1) 이외에도, 크랭크 모터(2), 지지브라켓(3), 레버아암(4), 확장가능한 레버아암(5)을 더 구비한다.1 to 3 , the conventional monorail branching system includes a flexible guide rail 1 and changes the vehicle traveling direction by bending the guide rail 1 . The existing monorail branching system further includes a crank motor 2 , a support bracket 3 , a lever arm 4 , and an expandable lever arm 5 in addition to the flexible guide rail 1 .

여기서, 크랭크 모터(2)는 궤도 하부에 지지브라켓(3)으로 고정되며, 궤도(6)에는 구동슬롯(7)이 형성되어 있다. 가요성의 가이드 레일(1)의 말단은 가이드 풋(8)과 연결되며, 가이드 풋(8)은 구동슬롯(7)을 통과해 궤도(6)의 하부에 노출된다. 이 가이드 풋(8)은 크랭크 모터(2)와 확장가능한 레버아암(5) 및 레버아암(4)과 연결된다.Here, the crank motor 2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track by a support bracket 3 , and the drive slot 7 is formed in the track 6 . The end of the flexible guide rail 1 is connected with a guide foot 8 , which passes through a drive slot 7 and is exposed at the bottom of the track 6 . This guide foot (8) is connected with a crank motor (2) and an expandable lever arm (5) and a lever arm (4).

그리고, 크랭크 모터(2)를 통해 레버아암(4), 확장가능한 레버아암(5), 가이드 풋(8)에 힘을 가하고, 이와 연결된 가요성의 가이드 레일(1)의 말단이 이동함으로써, 가이드 레일(1)의 방향은 변경된다.And, by applying force to the lever arm 4, the expandable lever arm 5, and the guide foot 8 through the crank motor 2, and the end of the flexible guide rail 1 connected thereto moves, the guide rail The direction of (1) is changed.

그런데, 전술한 종래의 분기 장치는 상기와 같은 기존의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는 별도의 가요성을 가진 가이드 레일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별도의 제작 라인을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가요성을 가진 레일의 특성상 내구성이 좋지 못하여 쉽게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branching device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production line must be provided because the conventional monorail branching system needs to use a separate flexible guide rail, a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exible rai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urability is not good and can be easily damaged.

또한, 경사도가 있는 구릉이나 산악 지역과 같은 분기 구간이 넓은 장소에서는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안정적인 작동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install and stable operation is difficult in a place with a wide branching section, such as a hilly or mountainous area with a slope.

미국등록특허 제US6450103호US Registered Patent No. US6450103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진입 선로와 한 쌍의 분기 선로 사이에 형성되는 분기 구간에 한 쌍의 이동 레일을 구비하되, 상기 이동 레일의 하부에는 레일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레일과 레일 지지부를 좌우로 이동시켜 진입 선로를 각 분기 선로와 연결하도록 하여 이동 레일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제어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ir of moving rails in a branch section formed between an entry track and a pair of branch lines, and a rail under the moving rail Provide a monorail branching system that not only facilitates control but also enhances durability by providing a support and moving the moving rail and the rail support to the left and right to connect the entry track with each branch line to firmly support the moving rail will do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기 구간의 하부를 형성하는 베이스부를 양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구간과 중심부에 형성되는 구동 구간의 3단으로 형성하고 모노레일이 설치되는 경사구간의 경사도에 따라 각 구간이 서로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산간이나 구릉과 같은 경사 구간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다.And,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the base portion forming the lower part of the branching section into three stages of a guide section formed on both sides and a driving section formed in the center, and each section is mutually It is to provide a monorail branching system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even in an inclined section such as a mountain or a hill by forming a step differenc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se problems;

진입 선로와 분기 선로 사이에 설치되는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진입 선로와 한 쌍의 분기 선로 사이에 한 쌍의 이동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 레일은 좌우로 이동하여 상기 진입 선로와 각 분기 선로를 각각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onorail branching system installed between an entry line and a branching line, a pair of moving rails are provided between the entry track and a pair of branching lines, and the moving rails are moved left and right to move between the entry track and each branch lin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is connected.

여기서, 상기 이동 레일의 하부에는 레일 지지대가 구비되어 한 쌍의 이동 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레일 지지대의 길이방향 양단부 하부에는 각각 가이드 대차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대차는 분기구간의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a rail support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oving rail, a pair of moving rails are installed, and a guide bogie is respectively installed below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rail support, and the guide bogie is a base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branch s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oves left and right along the frame.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길이방향 양단부에 가이드 구간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구간의 일측에는 폭방향으로 카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대차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카 레일의 상부에 연결되는 카 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guide section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ase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ar rail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guide s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car roller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car rail is installed at one lower side of the guide bogie. characterized by being

여기서, 상기 가이드 구간의 타측에는 폭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대차의 하부 타측에는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지지되는 수직 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수직 롤러의 측부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측면과 접하도록 수평 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a guide rail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guide s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vertical roller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is installed on the other lower side of the guide bogie, and the side of the vertical roller is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guide rai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horizontal roller is installed to do so.

한편, 상기 레일 지지대의 길이방향 중심부에는 구동 대차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구간의 사이에는 구동 구간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 구간에는 상기 구동 대차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구동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a driving bogie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rail support, a driving section is formed between the base frame and the guide section, and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driving bogie to the left and right is installed in the driving section do it with

이때, 상기 구동 대차의 하면 양측에는 폭방향을 따라 랙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 구간의 폭방향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랙을 이동시키는 피니언과, 상기 구동 구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rack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driving bogie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the driving unit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driving shaf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driving section, and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driving shaft to move the rack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inion and a driving moto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section to rotate the driving shaft.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구간 및 구동 구간은 경사도에 따라 계단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pair of guide section and driving se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stepwise manner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부와 후부에는 상기 이동 레일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ont and rear of the base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moving rail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가이드 대차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는 제1고정블럭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상기 제1고정블럭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제2고정블럭과, 상기 제1,2고정블럭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고정바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바를 이동시키는 고정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fixing device includes a first fixing block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bogie, a second fixing block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to correspond to the first fixing block, an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lock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fixing bar provided to pass through, and a fixing cylind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to move the fixing bar.

이때, 상기 고정바와 고정 실린더 사이에는 링크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링크부는 상기 고정 실린더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보조 링크와, 일측 단부는 고정바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보조 링크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고정 링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링크의 중심부는 상기 구동 구간과 가이드 구간 사이에 형성되는 수직벽에 설치되는 링크 브라켓의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a link portion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ixed bar and the fixed cylinder, and the link portion includes an auxiliary link hinged to an end of the fixed cylinder, one end of which is hinged to an end of the fixed bar, and the other end of the auxiliary link is an end of the auxiliary link. It consists of a fixed link hinged to the fixed link,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xed link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end of the link bracket installed on the vertical wall formed between the driving section and the guide section.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진입 선로와 한 쌍의 분기 선로 사이에 형성되는 분기 구간에 한 쌍의 이동 레일을 구비하되, 상기 이동 레일의 하부에는 레일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레일과 레일 지지부를 좌우로 이동시켜 진입 선로를 각 분기 선로와 연결하도록 하여 이동 레일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제어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 configuration, a pair of moving rails is provided in a branching section formed between the entry track and a pair of branching lines, and a rail support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oving rail, and the moving rail and the rail support are provided. By moving the left and right to connect the entry line with each branch line to firmly support the moving rail, there is an effect of not only facilitating control but also enhancing durability.

그리고, 본 발명은 분기 구간의 하부를 형성하는 베이스부를 양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구간과 중심부에 형성되는 구동 구간의 3단으로 형성하고 모노레일이 설치되는 경사구간의 경사도에 따라 각 구간이 서로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산간이나 구릉과 같은 경사 구간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d,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base part forming the lower part of the branching section into three stages of a guide section formed on both sides and a driving section formed in the center, and each section has a step difference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slope section where the monorail is installed. By forming it, there is an effect that it can be easily installed even in an inclined section such as a mountain or a hill.

도 1은 종래의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의 평면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의 가로 지지대가 설치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의 가이드 구간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의 구동 구간의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의 고정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의 고정 장치의 개념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a conventional monorail branch system.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 .
4 is a plan conceptual view of a monorail branc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norail branc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view in which the horizontal support of the monorail branc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guide section of a monorail branc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riving section of a monorail branc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fixing device of a monorail branc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fixing device of a monorail branch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repeat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의 평면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의 가로 지지대가 설치된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의 가이드 구간의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의 구동 구간의 개념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의 고정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의 고정 장치의 개념도이다.4 is a plan conceptual view of a monorail branc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norail branc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in which a horizontal support of the monorail branc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guide section of a monorail branc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riving section of a monorail branc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fixing device of a monorail branc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fixing device of a monorail branch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진입 선로(110)와 진출 방향에 형성되는 분기 선로(120) 사이에 설치되는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상기 진입 선로(110)와 한 쌍의 분기 선로(120) 사이에 구비되는 한 쌍의 이동 레일(130)로 이루지는데, 상기 이동 레일(130)은 좌우로 이동하여 상기 진입 선로(110)와 각 분기 선로(120)를 각각 연결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orail branching system installed between an entry line 110 and a branching line 120 formed in an exit direction, and as shown in FIGS. 4 to 9, the configuration of the entry line 110 and one It consists of a pair of moving rails 130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branch lines 120 , wherein the moving rail 130 moves left and right to connect the entry line 110 and each branch line 120 , respectively. will do

그래서, 상기 진입 선로(110)를 통하여 진입하는 모노레일 차량을 원하는 분기 선로(120)로 진출하도록 제어하게 된다.Therefore, the monorail vehicle entering through the entry track 110 is controlled to advance to the desired branch line 120 .

그리고, 상기 이동 레일(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모노레일 차량이 진입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하나의 진입 선로(110)와 모노레일 차량이 진출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한 쌍의 분기 선로(120)를 연결하기 위하여 한 쌍이 구비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moving rail 130 connects one entry track 110 positio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norail vehicle enters and a pair of branch lines 120 positio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norail vehicle advances. A pair is provided for this.

물론, 상기 분기 선로(120)가 다수개가 형성될 경우, 그에 따라 동일한 갯수로 이동 레일(130)을 형성할 수 있다.Of course, when a plurality of branch lines 120 are formed, the same number of moving rails 130 may be formed accordingly.

여기서, 상기 이동 레일(130)의 하부에는 한 쌍의 이동 레일(130)을 지지하기 위한 레일 지지대(140)가 구비되는데, 상기 레일 지지대(140)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로 지지대(142)와 상기 가로 지지대(1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동 레일(130)과 직접 연결되는 세로 지지대(144)로 이루어져 한 쌍의 이동 레일(130)을 하방에서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Here, a rail support 140 for supporting a pair of moving rails 130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oving rail 130 , and the rail support 140 is a horizontal support 142 elong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support 144 that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support 142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movable rail 130 to firmly support the pair of movable rails 130 from below. will do

이때, 상기 레일 지지대(140)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하부에는 각각 가이드 대차(300)가 설치되는데, 상기 가이드 대차(300)는 분기구간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200)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guide bogie 300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s of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support 140 , and the guide bogie 300 moves left and right along the base frame 200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ranch section. will do

그래서, 상기 가이드 대차(300)의 이동에 의해 레일 지지대(140) 및 이동 레일(130)이 좌우로 이동하여 진입 선로(110)를 한 쌍의 분기 선로(120) 중 어느 일측과 연결하게 된다.Therefore, the rail support 140 and the moving rail 130 move left and right by the movement of the guide bogie 300 to connect the entry track 110 with any one side of the pair of branch lines 120 .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가이드 구간(220)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구간(220)의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 대차(300)가 안착되어 가이드 구간(220)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guide sections 220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ase frame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guide cart 300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section 220 to move left and right along the guide section 220 . will do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구간(220)의 일측에는 가이드 구간(220)의 폭방향을 따라 카 레일(222)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대차(300)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카 레일(222)의 상부에 연결되는 카 롤러(310)가 설치된다.Here, a car rail 222 is install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guide section 220 on one side of the guide section 220 formed at both ends of the base frame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bogie 300 . A car roller 310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ar rail 222 is installed on one side.

이때, 상기 카 레일(222)은 그 단면의 형상이 다각 또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카 롤러(310)의 외주면에는 카 레일(222)의 외측이 삽입되도록 삽입홈(312)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car rail 222 has a polygonal or circular cross-section, and an insertion groove 312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r roller 310 so that the outside of the car rail 222 is inserted.

그래서, 상기 삽입홈(312)에 상기 카 레일(222)의 상단 일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카 롤러(310)가 카 레일(222)에서 이탈되지 않고 가이드 구간(220)의 폭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us, by inserting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car rail 222 into the insertion groove 312 , the car roller 310 is not separated from the car rail 222 and moves stabl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uide section 220 . be able to

그리고, 상기 가이드 대차(300)의 하부 타측에는 베이스 프레임(200)의 가이드 구간(220)의 상면과 접하도록 수직 롤러(320)가 설치되어 가이드 대차(30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a vertical roller 320 is installed on the other lower side of the guide bogie 30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section 220 of the base frame 200 to prevent the guide bogie 300 from being inclined to one side. .

여기서, 상기 가이드 구간(220)의 상면 타측에는 가이드 구간(220)의 폭방향을 따라 가이드 레일(224)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 롤러(320)의 측부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224)의 측면과 접하도록 수평 롤러(330)가 설치된다.Here,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section 220, a guide rail 224 is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guide section 220, and on the side of the vertical roller 320, the side surface of the guide rail 224 is in contact. A horizontal roller 330 is installed to do so.

따라서, 상기 레일 지지대(14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300)은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카 롤러(310)의 삽입홈(312)에는 카 레일(222)의 일측이 삽입되고, 하부 타측에 설치되는 수평 롤러(330)는 가이드 레일(224)의 측면을 지지하여 가이드 대차(300)가 흔들리지 않고 가이드 구간(220)의 폭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one side of the car rail 22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12 of the car roller 31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one of the guide rails 300 respectively install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support 140, The horizontal roller 330 installed on the other lower side supports the side surface of the guide rail 224 so that the guide bogie 300 does not shake and can be stably mov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guide section 220 .

한편, 상기 레일 지지대(140)의 길이방향 중심부에는 구동 대차(400)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에는 상기 가이드 구간(220) 사이에 구동 구간(210)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 구간(210)의 상부에 구동 대차(400)가 위치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driving bogie 400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rail support 140 , and a driving section 210 is formed between the guide sections 220 in the base frame 200 to form the driving section 210 . ), the driving bogie 400 is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여기서, 상기 구동 구간(210)에는 구동부(500)가 구비되는데,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구동 대차(400)를 구동 구간(210)의 폭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시키게 된다.Here, a driving unit 500 is provided in the driving section 210 , and the driving unit 500 moves the driving bogie 400 left and right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driving section 210 .

이때, 상기 구동 대차(400)의 하면 양측에는 구동 구간(210)의 폭방향을 따라 랙(410)이 설치되는데,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구동 구간(210)의 폭방향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구동축(530)과 상기 구동축(530)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랙(410)을 이동시키는 피니언(550)과 상기 구동 구간(2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530)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510)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rack 410 is install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driving section 210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driving cart 400 , and the driving unit 500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driving section 210 . A pinion 55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driving shaft 530 and the driving shaft 530 to move the rack 410 an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section 210 to rotate the driving shaft 530 and a driving motor 510 .

그래서, 상기 구동 모터(510)의 제어에 의해 구동축(530) 및 피니언(550)을 회전시킴으로써, 구동 대차(400)의 랙(410)을 이동시켜 구동 대차(400)가 설치된 레일 지지대(140)와 이동 레일(130)을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진입 선로(110)와 각 분기 선로(120)를 각각 연결하게 된다.So, by rotating the driving shaft 530 and the pinion 550 under the control of the driving motor 510, the rack 410 of the driving bogie 400 is moved to the rail support 140 on which the driving bogie 400 is installed. and the moving rail 130 are moved left and right to connect the entry line 110 and each branch line 120 ,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구동 모터(510)와 구동축(530)은 각각 기어가 구비되어 동력을 전달받을 수도 있고, 체인이나 벨트를 구비하여 동력을 전달받을 수도 있다.Here, the drive motor 510 and the drive shaft 530 may each be provided with a gear to receive power, or may be provided with a chain or a belt to receive power.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을 형성하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구간(220) 및 구동 구간(210)은 분기구간의 바닥을 형성하는 경사도에 따라 계단식으로 형성되어 본 발명의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를 설치할 때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air of guide sections 220 and driving sections 210 forming the base frame 200 are formed in a stepwise manner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that forms the bottom of the branch section, so that when installing the monorail branch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이때, 상기 구동 대차(400) 및 가이드 대차(300)의 상부는 상기 경사도에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레일 지지대(140)를 구성하는 가로 지지대(144) 역시 동일한 경사도로 형성되어 이동 레일(130)이 경사도에 따라 적절한 경사도를 형성하도록 설치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upper portions of the driving bogie 400 and the guide bogie 300 are formed to be inclin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d the horizontal supports 144 constituting the rail support 140 are also formed at the same inclination to move the rail 130 . According to this inclination, it becomes possible to install so that an appropriate inclination may be formed.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전부와 후부에는 고정 장치(600)가 각각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 장치(600)를 통하여 상기 이동 레일(130)의 위치를 고정하여 모노레일 차량이 주행시에 이동 레일(130)이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주행을 가능하게 한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base frame 200 are provided with a fixing device 600, respectively, by fixing the position of the movable rail 130 through the fixing device 600, when the monorail vehicle is running, the movable rail ( 130) prevents arbitrarily moving, enabling stable driving.

여기서, 상기 고정 장치(600)는 상기 가이드 대차(30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는 제1고정블럭(6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상면에 상기 제1고정블럭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제2고정블럭(620)과 상기 제1,2고정블럭(610,620)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고정바(64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바(640)를 이동시키는 고정 실린더(630)로 이루어진다.Here, the fixing device 600 includes a first fixing block 61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bogie 300 and a second fixing block 610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200 to correspond to the first fixing block. A fixing bar 640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fixing block 620 an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locks 610 and 620 and a fixing cylind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200 to move the fixing bar 640 . (630).

그래서, 상기 구동부(500)의 제어에 의해 이동 레일(130)을 일측으로 이동시켜 진입 선로(110)와 일측의 분기 선로(120)를 연결한 후, 상기 고정 실린더(630)를 제어하여 고정바(640)가 상기 제1,2고정블럭(610,620)을 관통하도록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이동 레일(130)이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So, by moving the moving rail 130 to one side under the control of the driving unit 500 to connect the entry line 110 and the branch line 120 at one side, the fixed cylinder 630 is controlled to control the fixed bar By inserting and fixing the 640 to pas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locks 610 and 620, the movable rail 130 is prevented from arbitrarily moving.

그리고, 전술한 고정 장치(600)는 고정 실린더(630)와 고정바(640)이 높이가 동일한 위치에 설치된 상태일때의 구성이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악과 같은 지형에서는 설치 위치가 한정되기 때문에 고정 실린더(630)와 고정바(640)의 설치 높이가 서로 상이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And, the above-described fixing device 600 is a configuration when the fixing cylinder 630 and the fixing bar 640 are installed at the same height, and as shown in FIG. 10 , the installation position is limited in the terrain such as a mountain. Therefore,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fixing cylinder 630 and the fixing bar 640 may be install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따라서, 상기 고정 실린더(630)와 고정바(640) 사이에는 링크부(65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링크부(650)는 상기 고정 실린더(630)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보조 링크(654)와 일측 단부는 고정바(640)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보조 링크(654)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고정 링크(652)로 이루어진다.Accordingly, a link portion 650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ixed cylinder 630 and the fixed bar 640 , and the link portion 650 is an auxiliary link 654 hinged to an end of the fixed cylinder 630 . And one end is hinged to the end of the fixed bar (640), the other end is made of a fixed link (652) hinged to the end of the auxiliary link (654).

여기서, 상기 고정 링크(652)의 중심부는 상기 구동 구간(210)과 가이드 구간(220) 사이에 형성되는 수직벽에 설치되는 링크 브라켓(656)의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Here,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xed link 652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end of the link bracket 656 installed on the vertical wall formed between the driving section 210 and the guide section 220 .

이때, 상기 고정 링크(652)의 단부에는 장공이 형성되어 회동시에 상기 고정바(640)가 상하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전후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용이하게 이동 레일(130)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 long hol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ixing link 652 so that the fixing bar 640 can stably move back and forth without shaking up and down during rotation, so that the movable rail 130 can be easily fixed.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레일(130)의 양단부는 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제1경사면(132)이 형성되고, 진입 레일(110)의 단부는 상기 제1경사면(132)에 대응되도록 단부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는 제2경사면(112)이 형성된다.And, as shown in FIG. 5 , both ends of the moving rail 130 are formed with a first inclined surface 132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end direction, and the end of the entry rail 110 is the first inclined surface 132 . A second inclined surface 112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end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분기 레일(120)의 단부에도 단부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Her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end of the branch rail 120 is also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end.

그래서, 이동 레일(130)이 진입 레일(110)과 접할 때, 제1,2경사면(132,112)에 의해 상하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모노레일이 주행시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게 한다.Therefore, when the moving rail 130 is in contact with the entry rail 110 , it is supported up and down by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132 and 112 , thereby enabling the monorail to travel stably while driving.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ose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간이나 구릉과 같은 경사 구간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을 높여주어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분기 제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orail branch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it can be easily installed even in a slope section such as a mountain or a hill, and can reduce maintenance costs by increasing durability, and can easily perform branch control. It relates to a monorail branch system.

110 : 진입 레일 120 : 분기 레일
130 : 이동 레일 140 : 레일 지지대
200 : 베이스 프레임 210 : 구동 구간
220 : 가이드 구간 300 : 가이드 대차
310 : 카 롤러 320 : 수직 롤러
330 : 수평 롤러 400 : 구동 대차
410 : 랙 500 : 구동부
510 : 구동 모터 530 : 구동축
550 : 피니언 600 : 고정 장치
610 : 제1고정블럭 620 : 제2고정블럭
630 : 고정 실린더 640 : 고정바
650 : 링크부
110: entry rail 120: branch rail
130: moving rail 140: rail support
200: base frame 210: driving section
220: guide section 300: guide cart
310: car roller 320: vertical roller
330: horizontal roller 400: drive bogie
410: rack 500: driving unit
510: drive motor 530: drive shaft
550: pinion 600: fixing device
610: first fixed block 620: second fixed block
630: fixed cylinder 640: fixed bar
650: link part

Claims (10)

진입 선로와 분기 선로 사이에 설치되는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진입 선로와 한 쌍의 분기 선로 사이에 한 쌍의 이동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 레일은 좌우로 이동하여 상기 진입 선로와 각 분기 선로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이동 레일의 하부에는 레일 지지대가 구비되어 한 쌍의 이동 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레일 지지대의 길이방향 양단부 하부에는 각각 가이드 대차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대차는 분기구간의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길이방향 양단부에 가이드 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부와 후부에는 상기 이동 레일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가 구비되되,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가이드 대차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는 제1고정블럭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상기 제1고정블럭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제2고정블럭과, 상기 제1,2고정블럭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고정바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바를 이동시키는 고정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
In the monorail branch system installed between the entry line and the branch line,
A pair of moving rails is provided between the entry line and the pair of branch lines,
The moving rail moves left and right to connect the entry line and each branch line, respectively,
A rail support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oving rail, a pair of moving rails are installed, and a guide bogie is respectively installed below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rail support, and the guide bogie is a base frame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branch section. moving left and right,
The base frame has guide sections form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moving rail is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base frame,
The fixing device includes a first fixing block installed under one side of the guide bogie, a second fixing block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to correspond to the first fixing block, an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locks passing through A monorail branch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ed bar provided to do so, and a fixed cylind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to move the fixed ba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구간의 일측에는 폭방향으로 카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대차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카 레일의 상부에 연결되는 카 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레일 지지대의 길이방향 중심부에는 구동 대차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구간의 사이에는 구동 구간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 구간에는 상기 구동 대차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구동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car rail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guide s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A car roller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car rail is installed on one lower side of the guide bogie,
A driving bogie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rail support,
In the base frame, a driving section is formed between the guide sections,
Monorail branch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section for moving the driving bogie left and right is installed in the driving s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구간의 타측에는 폭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대차의 하부 타측에는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지지되는 수직 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수직 롤러의 측부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측면과 접하도록 수평 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A guide rail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guide s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A vertical roller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is installed on the other lower side of the guide bogie,
A monorail branch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horizontal roller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vertical roller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guide rail.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대차의 하면 양측에는 폭방향을 따라 랙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 구간의 폭방향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랙을 이동시키는 피니언과,
상기 구동 구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Racks are install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driving bogie,
The driving unit includes a driving shaft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driving section;
a pinion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drive shaft to move the rack;
Monorail branch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section consisting of a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driving shaf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구간 및 구동 구간은 경사도에 따라 계단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monorail branch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air of guide sections and driving sections are formed in a stepwise manner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와 고정 실린더 사이에는 링크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링크부는 상기 고정 실린더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보조 링크와,
일측 단부는 고정바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보조 링크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고정 링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링크의 중심부는 상기 구동 구간과 가이드 구간 사이에 형성되는 수직벽에 설치되는 링크 브라켓의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분기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A link portion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ixed bar and the fixed cylinder,
and an auxiliary link hinged to the end of the fixed cylinder;
One end is hinged to the end of the fixed bar and the other end is made of a fixed link hinged to the end of the auxiliary link,
A monorail branch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xed link is rotatably installed at an end of a link bracket installed on a vertical wall formed between the driving section and the guide section.
KR1020200131194A 2020-10-12 2020-10-12 turnout apparatus for monorail railway Active KR1022605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194A KR102260564B1 (en) 2020-10-12 2020-10-12 turnout apparatus for monorail railw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194A KR102260564B1 (en) 2020-10-12 2020-10-12 turnout apparatus for monorail railw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564B1 true KR102260564B1 (en) 2021-06-08

Family

ID=76399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194A Active KR102260564B1 (en) 2020-10-12 2020-10-12 turnout apparatus for monorail railw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56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71216A (en) * 2023-06-21 2023-10-31 北京易同云网科技有限公司 Rail device and system for facility agricul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0103B2 (en) 1996-05-07 2002-09-17 Einar Svensson Monorail system
JP2011236625A (en) * 2010-05-10 2011-11-24 Kaho Manufacturing Co Ltd Traverser device and dividing/uniting system of monorail car by rack-pinion drive method
JP2012107434A (en) * 2010-11-18 2012-06-07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Branch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0103B2 (en) 1996-05-07 2002-09-17 Einar Svensson Monorail system
JP2011236625A (en) * 2010-05-10 2011-11-24 Kaho Manufacturing Co Ltd Traverser device and dividing/uniting system of monorail car by rack-pinion drive method
JP2012107434A (en) * 2010-11-18 2012-06-07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Branch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71216A (en) * 2023-06-21 2023-10-31 北京易同云网科技有限公司 Rail device and system for facility agricul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576888A1 (en) TRANSLATOR ELEVATOR FOR URBAN ROADS IN PARTICULAR
KR100765359B1 (en) Mountain monorail system
US5465668A (en) Overhead cable transport installation having two cables
JP2012528965A (en) Tracks and bogies for suspended vehicles
US4702173A (en) Vehicle supported in cantilever fashion and switching of at rail divergent junctions
KR102228872B1 (en) Track vehicle which of tilting angle cab be cahnge
KR102482679B1 (en) Track vehicle system for running on two-line rails
RU2247187C2 (en) Guide rail for passenger vehicle
CN107130480B (en) Railway switch transport vehicle
KR102260564B1 (en) turnout apparatus for monorail railway
CN111016931A (en) Suspension rail trolley walking device
US4171670A (en) Overhead rail transportation systems
CN112918493B (en) Flexible steel cable track traffic system
CN201573646U (en) Overhead soft track traffic system
KR102502998B1 (en) Curved section travelling system for mountain railways
KR100511450B1 (en) A guide frame structure of light rail vehicle
KR102237157B1 (en) Driving apparatus for monorail vehicle
JPH05131920A (en) Hybrid-type circulation cableway usable with railway
JP3094219B2 (en) High-speed transport mechanism on rail-type tracks
KR101538459B1 (en) A leisure vehicle installation drivable both earth and sky
RU141932U1 (en) TRANSPORT SYSTEM (ROPE METRO)
JP3135963B2 (en) Suspended transport equipment for both trolling and rail travel
KR102271802B1 (en) expansion and contraction sturcture of turnout apparatus for monorail railway
CN107142798B (en) Operation method of railway turnout transport vehicle
JP2604183B2 (en) Cable suspension railw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5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6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