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250331B1 -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0331B1
KR102250331B1 KR1020190102049A KR20190102049A KR102250331B1 KR 102250331 B1 KR102250331 B1 KR 102250331B1 KR 1020190102049 A KR1020190102049 A KR 1020190102049A KR 20190102049 A KR20190102049 A KR 20190102049A KR 102250331 B1 KR102250331 B1 KR 102250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guide
reel
frame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2832A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2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0331B1/ko
Publication of KR20210022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14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underwater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02Guiding arrangements to control paying-out and re-storing of the material
    • B65H75/4405Traversing devices; means for orderly arranging the material on the drum
    • B65H75/4407Traversing devices; means for orderly arranging the material on the drum positively driven, e.g. by a transmission between the drum and the travers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상용 펜스가 권취되는 펜스릴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릴지지대와, 수상용 펜스의 연장 경로 상에 펜스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프레임가이드와, 프레임가이드에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상용 펜스가 통과하는 펜스홀딩프레임과, 펜스릴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펜스홀딩프레임을 상기 프레임가이드의 일단부측으로 견인하거나 견인력을 해제하는 무동력견인장치와, 펜스홀딩프레임을 프레임가이드의 타단부측으로 가압하는 복귀가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WINDING DEVICE FOR WATER FENCE}
본 발명은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상용 펜스를 펜스릴에 권취하기 위한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 정박 중인 선박으로 이송물을 선적하거나, 선박으로부터 이송물을 하역하는 작업에 있어서, 오염물질이 선박 주위의 바다로 낙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오염물질이 바다로 유출됨을 방지하기 위해, 선박 주위에는 수상용 펜스가 설치된다. 이러한 수상용 펜스는, 사용자의 조작으로 회전되는 펜스릴에 권취되어 보관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1997-0062568호(1997. 12. 11 공개, 고안의 명칭: 오일 펜스 보관기구)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수상용 펜스를 펜스릴에 균일하게 권취시킬 수 있는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는, 수상용 펜스가 권취되는 펜스릴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릴지지대; 상기 수상용 펜스의 연장 경로 상에 상기 펜스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프레임가이드; 상기 프레임가이드에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상용 펜스가 통과하는 펜스홀딩프레임; 상기 펜스릴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펜스홀딩프레임을 상기 프레임가이드의 일단부측으로 견인하거나 견인력을 해제하는 무동력견인장치; 및 상기 펜스홀딩프레임을 상기 프레임가이드의 타단부측으로 가압하는 복귀가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동력견인장치는, 상기 릴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펜스릴의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하는 감속기; 일단부가 상기 감속기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회전견인바; 및 상기 회전견인바와 상기 펜스홀딩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연결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속기는, 상기 펜스릴과 동축상에 연결되는 입력축; 상기 입력축과 연결되는 입력기어; 상기 입력기어보다 확장된 직경을 가지고, 상기 입력기어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출력기어; 및 상기 출력기어와 동축상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견인바와 연결되는 출력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동력견인장치는, 상기 제1연결와이어의 연장방향을 상기 프레임가이드를 기준으로 가변시켜 안내하는 제1와이어가이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연결와이어는, 상기 회전견인바와 연결되고, 상기 릴지지대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가변연장부; 상기 릴지지대의 하부에서 상기 프레임가이드의 일단부까지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방연장부; 및 상기 프레임가이드의 일단부에서 상기 펜스홀딩프레임까지 좌향 연장되는 수평견인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와이어가이드장치는, 상기 릴지지대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변연장부와 상기 전방연장부의 연결부가 구름접촉되는 제1롤러가이드; 및 상기 프레임가이드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방연장부와 상기 수평견인연장부의 연결부가 구름접촉되는 제2롤러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귀가압장치는, 지주대; 상기 펜스홀딩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지주대에 상부가 걸쳐지게 연장되는 제2연결와이어; 및 상기 제2연결와이어의 단부에 결합되는 중량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귀가압장치는, 상기 제2연결와이어의 연장방향을 상기 지주대의 하부 또는 상기 프레임가이드의 타단부를 기준으로 가변시켜 안내하는 제2와이어가이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연결와이어는, 상기 펜스홀딩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지주대의 하부 또는 상기 프레임가이드의 타단부까지 좌향 연장되는 수평복귀연장부; 상기 지주대의 하부 또는 상기 프레임가이드의 타단부에서 상기 지주대의 상부까지 상향 연장되는 상향연장부; 및 상기 지주대의 상부에서 하향 연장되고, 상기 중량추와 연결되는 하향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와이어가이드장치는, 상기 중량추를 공중에 유지가능한 높이를 가지는 지주대; 상기 지주대의 하부 또는 상기 프레임가이드의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평복귀연장부와 상기 상향연장부의 연결부가 구름접촉되는 하부롤러가이드; 및 상기 지주대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향연장부와 상기 하향연장부의 연결부가 구름접촉되는 상부롤러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는, 펜스홀딩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동력원을 추가로 구비하지 않고도, 펜스릴의 회전에 연동하여 펜스홀딩프레임이 펜스릴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며 수상용 펜스가 펜스릴의 전 길이에 걸쳐 고르게 권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상용 펜스가 펜스릴의 일측에 편중되게 권취됨에 따른 수상용 펜스와 펜스릴의 손상을 방지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상용 펜스를 펜스릴에 균일하게 권취하기 위해 작업자가 펜스릴을 직접 밀거나 당기는 작업을 수행함에 따른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펜스릴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수상용 펜스를 펜스릴로부터 해권시키며 해상에 설치하는 작업 또한 수상용 펜스의 꼬임 없이 용이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의 감속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의 무동력견인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의 무동력견인장치의 다른 작동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무동력견인장치의 작동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의 다른 구성요소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무동력견인장치의 작동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의 다른 구성요소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1)는 릴지지대(10), 프레임가이드(20), 펜스홀딩프레임(30), 무동력견인장치(40), 복귀가압장치(50)를 포함한다.
릴지지대(10)는 수상용 펜스(2)가 권취되는 펜스릴(3)의 양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펜스릴(3)은 축방향 양단부가 한 쌍의 릴지지대(1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연동하여 정위치에서 회전된다.
프레임가이드(20)는 펜스홀딩프레임(30)을 릴지지대(10)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장치부로, 수상용 펜스(2)의 연장 경로 상에 펜스릴(3)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도 1 상에 프레임가이드(20)는 호 형상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나, 펜스홀딩프레임(30)을 릴지지대(10)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할 수 있다면 직선형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실시예를 포함하여,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펜스홀딩프레임(30)은 수상용 펜스(2)가 통과가능한 프레임 구조를 가지고 프레임가이드(20)에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1)의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릴지지대(10)의 전방에 프레임가이드(20)와 펜스홀딩프레임(30)이 배치된다고 전제하고, 상하방향, 좌우방향, 전후방향을 설정하기로 한다.
무동력견인장치(40)는 펜스릴(3)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펜스홀딩프레임(30)을 프레임가이드(20)의 우측단부측으로 견인하거나 견인력을 해제한다. 펜스릴(3)의 좌측단부는 좌측 릴지지대(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모터와 연결된다. 펜스릴(3)의 우측단부는 우측 릴지지대(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무동력견인장치(40)와 연결된다.
복귀가압장치(50)는 펜스홀딩프레임(30)을 프레임가이드(20)의 좌측단부측으로 가압한다. 펜스홀딩프레임(30)은 복귀가압장치(50)에 의해 지속적으로 프레임가이드(20)의 좌측단부측으로의 가압력을 받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복귀가압장치(50)의 가압력을 초과하는 세기로 작용하는 무동력견인장치(40)의 견인력에 의해 우측으로의 이동 변위를 가지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의 감속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의 무동력견인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의 무동력견인장치의 다른 작동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동력견인장치(40)는 감속기(41), 회전견인바(42), 제1연결와이어(43), 제1와이어가이드장치(44)를 포함한다.
감속기(41)는 릴지지대(10)에 고정설치되고, 펜스릴(3)의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속기(41)는 입력축(411), 입력기어(412), 출력기어(413), 출력축(414)을 포함한다.
입력축(411)은 펜스릴(3)과 동축상에 연결된다. 입력기어(412)는 입력축(411)과 연결된다. 출력기어(413)는 입력기어(412)보다 확장된 직경을 가지고, 입력기어(412)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된다. 출력축(414)은 출력기어(413)와 동축상에 연결되고, 회전견인바(42)와 연결된다.
출력기어(413)의 기어치는 펜스릴(3)의 좌측단부에서 우측단부에 이르기가지 수상용 펜스(2)를 권취하고자 하는 회수에 비례하여, 입력기어(412)의 기어치의 배수에 해당되는 개수를 가진다. 펜스릴(3)의 좌측단부에서 우측단부에 이르기가지 수상용 펜스(2)를 12회 권취하고자 하는 경우, 펜스릴(3)이 12회 회전 시, 회전견인바(42)가 반바퀴 회전된 상태가 되도록, 출력기어(413)는 입력기어(412)의 24배에 상당하는 개수의 기어치를 가진다.
이때, 출력축(414)과, 회전견인바(42)의 토크는 입력축(411)의 토크와 비교해 24배로 증가하므로, 감속기(41)에 의해 복귀가압장치(50)의 가압력을 초과하는 세기의 견인력을 확보할 수 있다.
회전견인바(42)는 감속기(41)의 출력축(414)과 연결되어, 보다 감속되고, 토크가 증가된 상태로 릴지지대(1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된다. 회전견인바(42)의 일단부는 감속기(41)의 출력축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릴지지대(1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회전견인바(42)의 타단부는, 회전견인바(42)의 길이에 대응되는 반경의 원형 궤적을 가진다.
제1연결와이어(43)는 회전변위를 가지는 회전견인바(42)와, 직선 변위를 가지는 펜스홀딩프레임(30)을 연결한다. 제1연결와이어(43)에 의해 회전견인바(42)의 회전변위가 직선 변위로 전환되어 펜스홀딩프레임(30)에 전달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와이어(43)는 가변연장부(431), 전방연장부(432), 수평견인연장부(433)를 포함한다.
가변연장부(431)는 원형 궤적을 가지는 회전견인바(42)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릴지지대(10)의 하부까지 연장된다. 전방연장부(432)는 릴지지대(10)의 하부에서 프레임가이드(20)의 일단부까지 전방으로 연장된다. 수평견인연장부(433)는 프레임가이드(20)의 일단부에서 펜스홀딩프레임(30)까지 좌향 연장된다.
제1연결와이어(43)는 가변연장부(431), 전방연장부(432), 수평견인연장부(433)의 형태로 점차적으로 그 연장방향이, 하측, 전방, 좌측으로 전환되면서 회전견인바(42)에서 펜스홀딩프레임(30)까지 연장된다. 이에 따라, 급격한 방향 전환으로 인해 제1연결와이어(43)의 일부에 하중,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방연장부(432)와 수평견인연장부(433)는 동일한 연장방향과 연장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되나, 가변연장부(431)는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연장방향과 연장길이가 회전견인바(42)의 각도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된다. 가변연장부(431)의 길이는 회전견인바(42)의 타단부가 제1와이어가이드장치(44)의 제1롤러가이드(441)(이하 설명)에 근접할수록 길이가 점차 짧아지고, 회전견인바(42)의 타단부가 제1롤러가이드(441)로부터 이격될수록 길이가 점차 길어진다.
제1와이어가이드장치(44)는 제1연결와이어(43)의 연장방향을 프레임가이드(20)를 기준으로 가변시켜 안내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와이어가이드장치(44)는 제1롤러가이드(441), 제2롤러가이드(442), 제1와이어가이드홀부(443)를 포함한다.
제1롤러가이드(441)는 롤러 구조를 가지고 릴지지대(1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롤러가이드(441)의 회전축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제1롤러가이드(441)는 회전견인바(42)와 이격거리를 두고, 펜스홀딩프레임(30)과 동일한 높이 상에 배치된다. 제1연결와이어(43)는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다가 제1롤러가이드(441)의 하부에 걸려 전방으로 수평되게 가변된다.
제2롤러가이드(442)는 롤러 구조를 가지고 프레임가이드(20)의 우측단부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롤러가이드(442)의 회전축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제2롤러가이드(442)는 펜스홀딩프레임(30), 제1롤러가이드(441)과 동일한 높이 상에 배치된다. 제1연결와이어(43)는 전방으로 연장되다가 제2롤러가이드(442)의 우측부에 걸려 그 연장방향이 좌측으로 가변된다.
제1롤러가이드(441)에는 가변연장부(431)와 전방연장부(432)의 연결부가 구름접촉된다. 제2롤러가이드(442)에는 전방연장부(432)와 수평견인연장부(433)의 연결부가 구름접촉된다. 회전견인바(42)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되면, 제1연결와이어(43) 전체가 이에 연동하여 가변연장부(431)의 길이변화량만큼 이동된다.
이때, 제1롤러가이드(441)는 가변연장부(431)와 전방연장부(432)의 연결부와 접촉된 상태로, 제1연결와이어(43)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된다. 또한, 제2롤러가이드(442)는 전방연장부(432)와 수평견인연장부(433)의 연결부와 접촉된 상태로, 제1연결와이어(43)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된다.
제1롤러가이드(441)와 제2롤러가이드(442)에 의해 가변연장부(431)와 전방연장부(432)의 연결부와, 전방연장부(432)와 수평견인연장부(433)의 연결부가, 제1롤러가이드(441)와 제2롤러가이드(442)의 롤러곡면에 대응하여 곡선의 형태로 구부러질 수 있고, 응력이 집중되지 않아, 국부 응력집중으로 인한 마모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제1와이어가이드홀부(44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프레임가이드(20)의 우측단부 상에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1와이어가이드홀부(443)는 펜스홀딩프레임(30), 제1롤러가이드(441), 제2롤러가이드(442)와 동일한 높이 상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연결와이어(43)의 수평견인연장부(433)는 제1와이어가이드홀부(443)에 의해 프레임가이드(20)에 그 우측부가 결속된 상태로 펜스홀딩프레임(30)에 견인력을 좌우 수평방향으로 안정되게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무동력견인장치의 작동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의 다른 구성요소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무동력견인장치의 작동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의 다른 구성요소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귀가압장치(50)는 지주대(51), 제2연결와이어(52), 중량추(53), 제2와이어가이드장치(54)를 포함한다.
지주대(51)는 중량추(53)를 공중에 유지가능한 높이를 가지고, 프레임가이드(20)의 좌측에 배치된다. 제2연결와이어(52)는 수평방향 변위를 가지는 펜스홀딩프레임(30)과, 상하방향 변위를 가지는 중량추(53)를 연결한다. 제2연결와이어(52)의 우측단부는 펜스홀딩프레임(30)과 연결되고, 중간부는 지주대(51)로 상부로 연장되고, 좌측단부는 중량추(53)와 연결된다.
제2연결와이어(52)에 의해 중량추(53)의 중량이 펜스홀딩프레임(30)을 좌측으로 상시 끌어당기는 가압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도 1,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와이어(52)는 수평복귀연장부(521), 상향연장부(522), 하향연장부(523)를 포함한다.
수평복귀연장부(521)는 펜스홀딩프레임(30)과 연결되고, 지주대(51)의 하부 또는 프레임가이드(20)의 타단부까지 좌향 연장된다. 상향연장부(522)는 지주대(51)의 하부 또는 프레임가이드(20)의 타단부에서 지주대(51)의 상부까지 상향 연장된다. 하향연장부(523)는 지주대(51)의 상부에서 하향 연장되고, 중량추(53)와 연결된다.
중량추(53)는 제2연결와이어(52)를 매개로 하여 펜스홀딩프레임(30)을 프레임가이드(20)의 좌측단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중량을 가지고, 제2연결와이어(52)의 좌측단부에 결합된다.
제2와이어가이드장치(54)는 제2연결와이어(52)의 연장방향을 지주대(51)의 하부 또는 프레임가이드(20)의 타단부를 기준으로 가변시켜 안내한다. 도 1,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제2와이어가이드장치(54)는 하부롤러가이드(541), 상부롤러가이드(542), 제2와이어가이드홀부(543)를 포함한다.
하부롤러가이드(541)는 롤러 구조를 가지고 지주대(51)의 하부 또는 프레임가이드(20)의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롤러가이드(541)는 지주대(51)의 하부에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하부롤러가이드(541)의 회전축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하부롤러가이드(541)는 제1연결와이어(43)의 수평견인연장부(433)와, 제2연결와이어(52)의 수평복귀연장부(521)가 동일한 수평선 상에 위치되게, 제2롤러가이드(442)에 대응되는 높이 상에 배치된다. 제2연결와이어(52)는 좌측으로 연장되다가 하부롤러가이드(541)의 하부에 걸려 그 연장방향이 상측으로 가변된다.
상부롤러가이드(542)는 롤러 구조를 가지고 지주대(51)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부롤러가이드(542)의 회전축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제2연결와이어(52)는 상측으로 연장되다가 상부롤러가이드(542)의 상부에 걸려 그 연장방향이 하측으로 가변된다.
하부롤러가이드(541)에는 수평복귀연장부(521)와 상향연장부(522)의 연결부가 구름접촉된다. 상부롤러가이드(542)에는 상향연장부(522)와 하향연장부(523)의 연결부가 구름접촉된다. 회전견인바(42)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되면, 제2연결와이어(52) 전체가 이에 연동하여 가변연장부(431)의 길이변화량만큼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된다.
이때, 하부롤러가이드(541)는 수평복귀연장부(521)와 상향연장부(522)의 연결부와 접촉된 상태로, 제2연결와이어(52)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된다. 또한, 상부롤러가이드(542)는 상향연장부(522)와 하향연장부(523)의 연결부와 접촉된 상태로, 제2연결와이어(52)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된다.
하부롤러가이드(541)와 상부롤러가이드(542)에 의해 수평복귀연장부(521)와 상향연장부(522)의 연결부와, 상향연장부(522)와 하향연장부(523)의 연결부가, 하부롤러가이드(541)와 상부롤러가이드(542)의 롤러곡면에 대응하여 곡선의 형태로 구부러질 수 있고, 응력이 집중되지 않아, 국부 응력집중으로 인한 마모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제2와이어가이드홀부(54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프레임가이드(20)의 좌측단부 상에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2와이어가이드홀부(543)는 펜스홀딩프레임(30), 제1롤러가이드(441), 제2롤러가이드(442), 제1와이어가이드홀부(443), 하부롤러가이드(541)와 동일한 높이 상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2연결와이어(52)의 수평복귀연장부(521)는 제2와이어가이드홀부(543)에 의해 프레임가이드(20)에 그 좌측부가 결속된 상태로 펜스홀딩프레임(30)에 가압력을 좌우 수평방향으로 안정되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1)에 의하면, 펜스홀딩프레임(30)을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동력원을 추가로 구비하지 않고도, 펜스릴(3)의 회전에 연동하여 펜스홀딩프레임(30)이 펜스릴(3)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며 수상용 펜스(2)가 펜스릴(3)의 전 길이에 걸쳐 고르게 권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상용 펜스(2)가 펜스릴(3)의 일측에 편중되게 권취됨에 따른 수상용 펜스(2)와 펜스릴(3)의 손상을 방지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상용 펜스(2)를 펜스릴(3)에 균일하게 권취하기 위해 작업자가 펜스릴(3)을 직접 밀거나 당기는 작업을 수행함에 따른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펜스릴(3)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수상용 펜스(2)를 펜스릴(3)로부터 해권시키며 해상에 설치하는 작업 또한 수상용 펜스(2)의 꼬임 없이 용이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 2 : 수상용 펜스
3 : 펜스릴 10 : 릴지지대
20 : 프레임가이드 30 : 펜스홀딩프레임
40 : 무동력견인장치 41 : 감속기
42 : 회전견인바 43 : 제1연결와이어
44 : 제1와이어가이드장치 50 : 복귀가압장치
51 : 지주대 52 : 제2연결와이어
53 : 중량추 54 : 제2와이어가이드장치
411 : 입력축 412 : 입력기어
413 : 출력기어 414 : 출력축
431 : 가변연장부 432 : 전방연장부
433 : 수평견인연장부 441 : 제1롤러가이드
442 : 제2롤러가이드 443 : 제1와이어가이드홀부
521 : 수평복귀연장부 522 : 상향연장부
523 : 하향연장부 541 : 하부롤러가이드
542 : 상부롤러가이드 543 : 제2와이어가이드홀부

Claims (8)

  1. 수상용 펜스가 권취되는 펜스릴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릴지지대;
    상기 수상용 펜스의 연장 경로 상에 상기 펜스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프레임가이드;
    상기 프레임가이드에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상용 펜스가 통과하는 펜스홀딩프레임;
    상기 펜스릴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펜스홀딩프레임을 상기 프레임가이드의 일단부측으로 견인하거나 견인력을 해제하는 무동력견인장치; 및
    상기 펜스홀딩프레임을 상기 프레임가이드의 타단부측으로 가압하는 복귀가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귀가압장치는,
    지주대;
    상기 펜스홀딩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지주대에 상부가 걸쳐지게 연장되는 제2연결와이어; 및
    상기 제2연결와이어의 단부에 결합되는 중량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동력견인장치는,
    상기 릴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펜스릴의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하는 감속기;
    일단부가 상기 감속기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회전견인바; 및
    상기 회전견인바와 상기 펜스홀딩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연결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는,
    상기 펜스릴과 동축상에 연결되는 입력축;
    상기 입력축과 연결되는 입력기어;
    상기 입력기어보다 확장된 직경을 가지고, 상기 입력기어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출력기어; 및
    상기 출력기어와 동축상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견인바와 연결되는 출력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동력견인장치는,
    상기 제1연결와이어의 연장방향을 상기 프레임가이드를 기준으로 가변시켜 안내하는 제1와이어가이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
  5. 수상용 펜스가 권취되는 펜스릴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릴지지대;
    상기 수상용 펜스의 연장 경로 상에 상기 펜스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프레임가이드;
    상기 프레임가이드에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상용 펜스가 통과하는 펜스홀딩프레임;
    상기 펜스릴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펜스홀딩프레임을 상기 프레임가이드의 일단부측으로 견인하거나 견인력을 해제하는 무동력견인장치; 및
    상기 펜스홀딩프레임을 상기 프레임가이드의 타단부측으로 가압하는 복귀가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무동력견인장치는,
    상기 릴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펜스릴의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하는 감속기;
    일단부가 상기 감속기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회전견인바;
    상기 회전견인바와 상기 펜스홀딩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연결와이어; 및
    상기 제1연결와이어의 연장방향을 상기 프레임가이드를 기준으로 가변시켜 안내하는 제1와이어가이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와이어는,
    상기 회전견인바와 연결되고, 상기 릴지지대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가변연장부;
    상기 릴지지대의 하부에서 상기 프레임가이드의 일단부까지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방연장부; 및
    상기 프레임가이드의 일단부에서 상기 펜스홀딩프레임까지 좌향 연장되는 수평견인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와이어가이드장치는,
    상기 릴지지대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변연장부와 상기 전방연장부의 연결부가 구름접촉되는 제1롤러가이드; 및
    상기 프레임가이드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방연장부와 상기 수평견인연장부의 연결부가 구름접촉되는 제2롤러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가압장치는,
    상기 제2연결와이어의 연장방향을 상기 지주대의 하부 또는 상기 프레임가이드의 타단부를 기준으로 가변시켜 안내하는 제2와이어가이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와이어는,
    상기 펜스홀딩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지주대의 하부 또는 상기 프레임가이드의 타단부까지 좌향 연장되는 수평복귀연장부;
    상기 지주대의 하부 또는 상기 프레임가이드의 타단부에서 상기 지주대의 상부까지 상향 연장되는 상향연장부; 및
    상기 지주대의 상부에서 하향 연장되고, 상기 중량추와 연결되는 하향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와이어가이드장치는,
    상기 지주대의 하부 또는 상기 프레임가이드의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평복귀연장부와 상기 상향연장부의 연결부가 구름접촉되는 하부롤러가이드; 및
    상기 지주대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향연장부와 상기 하향연장부의 연결부가 구름접촉되는 상부롤러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
KR1020190102049A 2019-08-21 2019-08-21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 KR102250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049A KR102250331B1 (ko) 2019-08-21 2019-08-21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049A KR102250331B1 (ko) 2019-08-21 2019-08-21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832A KR20210022832A (ko) 2021-03-04
KR102250331B1 true KR102250331B1 (ko) 2021-05-10

Family

ID=75174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049A KR102250331B1 (ko) 2019-08-21 2019-08-21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03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014522A1 (en) 2021-02-19 2024-01-11 Lg Energy Solution, Ltd.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9628A (ja) * 1996-08-22 1998-03-03 Kenji Kikuchi 整列機構付巻取装置
KR101310796B1 (ko) * 2011-09-29 2013-09-25 현대제철 주식회사 수상용 펜스 권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832A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32837A (fr) Machine tcg continu
KR102250331B1 (ko)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
CN213085317U (zh) 一种起重装置用钢绳张紧系统
CN111621919B (zh) 一种边坡锚索编织加工平台
KR200163244Y1 (ko) 전선의가선장치(架線裝置)
CN111017773A (zh) 一种用于水利工程建设的卷扬机
CN206885965U (zh) 一种巷道式堆垛机
JPS6013408A (ja) 巻回装置
JP4746605B2 (ja) 繰り出し装置
US3750591A (en) Drive means for cable-mounted vehicle
CN114314399B (zh) 一种煤矿井下输送绞车
CN109955866A (zh) 钢丝绳封闭环迁车装置
CN115385276A (zh) 新型风力发电机组塔筒外壁升降平台
CN209779158U (zh) 一种电缆编织机的锭子
FR2777484A1 (fr) Trefileuse peu encombrante avec montage au sol de la bobine
CN112374268A (zh) 一种放线支架
CN217947226U (zh) 旋转滑轨张力回馈装置
US206623A (en) Improvement in machines for making barbed ropes for wire fences
EP3090978B1 (en) A mechanism of a guiding arm for a wire rope in a winch
CN219296829U (zh) 一种钢丝绳收卷机
CN221675356U (zh) 一种卧式一字开卷放线架
US2876959A (en) Apparatus for suspending and feeding wire-tying machines
JPH03251124A (ja) 木材の枝払方法および木材等の架線運搬装置
CN210103029U (zh) 一种篷布制品卷曲、牵引一体机
CN113371539B (zh) 一种丙纶绳收卷加工机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