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239741B1 - 페이스보우용 스캔마커 및 이를 이용한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 방법 - Google Patents

페이스보우용 스캔마커 및 이를 이용한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741B1
KR102239741B1 KR1020210013082A KR20210013082A KR102239741B1 KR 102239741 B1 KR102239741 B1 KR 102239741B1 KR 1020210013082 A KR1020210013082 A KR 1020210013082A KR 20210013082 A KR20210013082 A KR 20210013082A KR 102239741 B1 KR102239741 B1 KR 102239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n
facebow
virtual
recognition unit
artic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3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종목
Original Assignee
한종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종목 filed Critical 한종목
Priority to KR1020210013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7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741B1/ko
Priority to PCT/KR2021/006931 priority patent/WO202203074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2018/2035Beam shaping or redirecting; Optical components therefor
    • A61B2018/20351Scanning mechanisms
    • A61B2018/20353Scanning in three dimensions [3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를 위한 페이스보우용 스캔마커는, 상기 페이스보우의 베이스틀에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고정블럭 및 상기 고정블럭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블럭을 포함하는 회동부; 상기 회동블럭에 마련된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 가이드바 및 상기 가이드바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페이스보우에 설치된 바이트포크에 대한 3차원 공간에서의 상대적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표지부를 포함하는 스캔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캔인식부의 상기 표지부는 치과용 캐드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가상교합기의 3차원 가상공간 상에서 위치데이터가 미리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페이스보우용 스캔마커 및 이를 이용한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 방법{SCANMARKER FOR FACEBOW, AND METHOD OF FACEBOW TRANSFER TO VIRTUAL ARTICULATOR}
본 발명은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취득한 환자의 구강스캔데이터를 치과용 캐드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가상교합기에 페이스보우 트랜스퍼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합기는 이와 잇몸의 교합상태를 측정하여 의치, 치관수복, 보철물 등의 제작 및 진단에 사용하는 기구로서, 환자에게서 채득한 치아모형, 즉 상악모델 및 하악모델을 부착한 후, 하악의 운동을 기계적으로 모방하는 기구이다. 교합기는 교합의 문제로 발생할 수 있는 질병들에 대해 진단하고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임플란트와 교정 등 각종 치과 진료에 다양하게 사용되는 장비이다.
도 1은 종래의 실물교합기를 도시하였다. 도 1에서 보듯이, 실물교합기(10)에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베이스(11, 12)가 구비되고, 상부 및 하부 베이스(11, 12) 각각에는 상악 및 하악 마운팅 플레이트(13, 14)가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다. 환자로부터 채득한 상악모델(21) 및 하악모델(22)은 페이스보우(Facebow)를 통해 채득한 상악 및 하악 치아의 교합면에 따라 3차원 공간상에 배치된다. 즉, 상악모델(21) 및 하악모델(22)은, 실물교합기(10)에서 환차의 치아 교합면에 따라 배치되도록, 석고 등의 고정재(21a, 22a)를 이용하여 상부 및 하부 마운팅 플레이트(13, 14)에 고정된다(일반적으로 이러한 과정을 마운팅이라 칭한다). 이와 같이 상악모델(21) 및 하악모델(22)을 교합시킨 상태에서, 상하좌우 또는 전후로 이동시키면서 교합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또한, 환자의 치아 교합면은 페이스보우를 통해 채득된다. 즉, 도 2에서 보듯이, 페이스보우는 환자의 귀에 걸어 고정하는 베이스틀(31)에 바이트포크(33)를 장착하여, 바이트포크(33)가 베이스틀(31)로부터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인상재(또는 왁스)(34)가 도포된 바이트포크(33)는 환자의 입에 물리게 되어 본을 뜸으로써 환자의 치아 배열을 확인할 수 있다. 베이스틀(31)의 양단(32)을 환자의 양쪽 귀에 고정하고, 추가적으로 환자의 이마 측에 베이스틀(31)을 고정하여 수평상태를 맞춘 후, 환자가 입에 물고 있는 바이트포크(33)의 위치 상태를 고정하여, 환자의 치아 교합면을 찾아낸다. 이렇게 찾아낸 치아 교합면은, 교합기(10)의 콘다일(15)에 베이스틀(31)을 고정하여 상악모델(21) 및 하악모델(22)에 전이한다(이러한 전이 과정을 페이스보우 트랜스퍼(Facebow Transfer)라고 한다).
한편, 디지털 치의학의 발전으로 많은 보철물이 치과용 캐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자인되고 있다. 구강스캐너는 스위스 취리히 대학의 Mormann과 Brandestini가 1980년대 초에 소개한 뒤에 계속적으로 발전하였으며,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다른 회사에서도 다양한 방식과 형태의 장비들을 소개하면서 치과에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아울러, 치과용 캐드 프로그램이 발전하면서 가상교합기 기능이 추가되었고, 이는 실물 교합기를 대체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다. 하지만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온 페이스보우(Facebow)를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여 가상교합기에 옮기려면, 인상채득 후에 모델을 만들어 교합기에 마운팅을 하고 이것을 모델스캐너(Model Scanner)로 스캔하여 옮길 수 있었다.
상술한 치과용 캐드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가상교합기는, 구강스캐너(Intraoral Scanner)를 이용하여 상악 및 하악에 대한 모델없이 보철물을 제작할 때는 사용하기 어렵다. 종래에는 가상교합기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표준화된 안면 사진을 이용하여 사람의 평균적인 상악 및 하악 위치 관계에 대한 데이터를 활용하거나, CBCT(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등을 이용하는 방법들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표준화된 안면 사진을 이용하는 것은 환자 개개인의 상하악 구조에 대해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고, 고가의 CBCT를 이용하는 것은 사용의 편리성이나 비용 측면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특허문헌 1) KR10-2008-0089805 A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환자의 상악 및 하악에 대한 모델을 제작하지 않고도,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페이스보우를 이용하여 구강스캐너를 통해 취득한 구강스캔데이터를 치과용 캐드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가상교합기에 직접 마운팅할 수 있는, 페이스보우용 스캔마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를 위한 페이스보우용 스캔마커는, 상기 페이스보우의 베이스틀에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고정블럭 및 상기 고정블럭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블럭을 포함하는 회동부; 상기 회동블럭에 마련된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 가이드바 및 상기 가이드바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페이스보우에 설치된 바이트포크에 대한 3차원 공간에서의 상대적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표지부를 포함하는 스캔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캔인식부의 상기 표지부는 치과용 캐드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가상교합기의 3차원 가상공간 상에서 위치데이터가 미리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베이스틀에 거치되는 한쌍의 브라켓; 상기 브라켓 각각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표지부는 외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다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견지에서, 치과용 캐드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가상교합기의 3차원 가상공간 상에서 가상스캔인식부의 위치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가상스캔인식부와 동일한 형상 및 규격을 갖는 스캔인식부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스캔인식부를 설치한 페이스보우용 스캔마커가 장착된 페이스보우를 이용하여 환자의 인상을 채득한 후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바이트포크 및 상기 스캔인식부를 스캔함으로써 3차원 구강스캔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구강스캔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스캔인식부의 위치데이터 및 상기 가상스캔인식부의 위치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구강스캔데이터를 상기 가상교합기에 정렬함으로써 환자의 치아 교합면을 상기 가상교합기에 페이스보우 트랜스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페이스보우용 스캔마커를 이용한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 방법을 제공한다.
보철물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악 모델 및 하악 모델을 제작하여 실물교합기에 페이스보 트랜스퍼하는 것이 전통적인 방법이나, 이는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라는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불편을 피하기 위해, 치과용 캐드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가상교합기를 사용하기 위해서, 일반적인 사람의 평균값을 이용하는 것은 환자 개개인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못하므로 정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CBCT를 이용하여 3차원 스캔데이터를 얻는 방법은, 방사선의 위험, 사용의 불편함 및 비용의 증가로 인해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보우용 스캔마커를 이용하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페이스보우 및 구강스캐너를 통해 취득한 구강스캔데이터를 가상교합기에 직접 페이스보 트랜스퍼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치과용 캐드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가상교합기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치과용 실물교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페이스보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보우용 스캔마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보우용 스캔마커에서 스캔인식부를 회동부에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5는 치과용 캐드 프로그램의 가상공간(S) 상에서 디자인된 가상스캔인식부를 가상교합기의 하악 마운팅 플레이트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스크린 이미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캔마커를 페이스보우에 장착하여 환자의 인상을 채득한 상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종래에, 널리 사용되는 치과용 캐드 프로그램으로는 EXOCAD, Dental System(3shape) 등이 있으며, 모델스캐너를 이용하여 실물교합기(Physical Articulator)에 마운팅된 상하악 모델의 위치를 캐드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가상교합기(Virtual Articulator)에 옮기게 된다(이 과정을 페이스보우 트랜스퍼라고 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서는, 실물교합기 및 모델스캐너를 사용하지 않고도 페이스보우 및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가상교합기에 직접 페이스보우 트랜스퍼할 수 있는 페이스보우용 스캔마커 및 그 방법을 제시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보우용 스캔마커(100)를 도시하였다. 도 3에서 보듯이, 페이스보우용 스캔마커(100)는, 페이스보우(30)의 베이스틀(31)에 체결되는 체결부(110)와, 체결부(1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회동부(120)와, 회동부(120)에 체결되는 스캔인식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110)는, 스캔마커(100)를 페이스보우(30)의 베이스틀(31)에 거치 및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체결부(110)는, 페이스보우(30)를 이용하여 환자의 인상을 채득할 때, 미리 베이스틀(31)에 스캔마커(100)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바람직하게는, 체결부(110)는, 베이스틀(31) 상에서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한쌍의 브라켓(112) 및 각각의 브라켓(112)에 마련되어 스캔마커(100)를 베이스틀(3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스크류(1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한쌍의 브라켓(112)은 페이스보우(30)를 통한 인상 채득 시, 스캔인식부(130)의 위치가 가변되지 않도록 수평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도 4에서 보듯이, 회동부(120)는 체결부(1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고정블럭(121) 및 고정블럭(12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블럭(1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블럭(121)은 연결부(113)를 통해 체결부(1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회동블럭(122)은 스크류(123) 및 너트(124)를 통해 고정블럭(121)에 설치된다. 회동블럭(122)은 고정블럭(121)에 대하여 스크류(123)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회동블럭(122)에는 가이드홈(122a)이 마련되고, 이 가이드홈(122a)에 스캔인식부(130)가 설치된다. 스캔인식부(130)는, 가이드홈(122a)에 삽입되어 인입 및 인출되는 가이드바(132)와, 가이드바(132a)의 일단에 형성되고 페이스보우(30)에 설치된 바이트포크에 대한 3차원 공간에서의 상대적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표지부(1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표지부(131)는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취득한 구강스캔데이터에서 스캔인식부(130)의 국소 영역이 명확히 인식되도록 한다. 표지부(131)는 구강스캔데이터에서 식별이 가능한 형상이면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돌기, 홈, 기타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표지부(131)는 외주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다수의 돌기(131a)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돌기(131a)는 외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강스캐너를 이용한 스캔 과정에서 돌기의 외측면이 각진 모서리를 갖는 경우 난반사에 의해 인식률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면, 상술한 페이스보우용 스캔마커(100)를 이용하여 환자의 인상을 가상교합기에 페이스보우 트랜스퍼하는 방법을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치과용 캐드 프로그램의 가상공간(S) 상에서 디자인된 가상스캔인식부(230)를 가상교합기의 하악 마운팅 플레이트(14a) 위에 배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스크린 이미지이다. 여기서, 가상스캔인식부(230)는 앞에서 설명한 실물 스캔인식부(130)를 제작하기 위한 3차원 입체 모델(이렇게 캐드 프로그램 상에서 디자인된 스캔인식부를 가상스캔인식부라고 칭한다)로서, 가상스캔인식부(230) 및 실물스캔인식부(13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 및 규격을 가진다. 예컨대 가상스캔인식부(230)는, 앞에서 설명한 실물 스캔인식부(130)의 세부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디자인되는데, 즉 가상스캔인식부(230)는 표지부(131)에 대응되는 가상표지부(231), 가이드바(132)에 대응되는 가상가이드바(232), 돌기(131a)에 대응되는 가상돌기(231a)를 갖는다. 특히, 가상스캔인식부(230)의 가상표지부(231) 및 실물 스캔인식부(130)의 표지부(131)는 동일한 형상 및 규격을 갖는다. 아울러,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가상교합기의 하악 마운팅 플레이트(14a)를 기준으로 가상스캔인식부(230)를 정렬하였지만, 상악 마운팅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하여도 된다. 이를 통해, 가상교합기 내의 3차원 가상공간(S) 상에서 하악 마운팅 플레이트(14a)에 대하여 가상스캔인식부(230)가 가지는 상대적 위치에 대한 정보(즉, 위치데이터)가 미리 결정된다.
위와 같이 치과용 캐드 프로그램을 통해 디자인된 가상스캔인식부(230)의 3차원 데이터를 기초로, 예컨대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실물 스캔인식부(130)를 제작할 수 있다(도 3의 도면부호 130). 실물 스캔인식부(130)는 합성수지 등의 다양한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한편, 가상스캔인식부(230)를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출력할 때, 도 5의 캐드 프로그램의 가상공간(S) 상에서 하악 마운팅 플레이트(14a)과 가상스캔인식부(230)의 상대적 위치는, 하악 마운팅 플레이트(14a)와 가상스캔인식부(230)를 연결하는 연장부(233)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므로, 가상공간(S) 상에서 디자인된 하악 마운팅 플레이트(14a), 연장부(233) 및 가상스캔인식부(230)의 3차원 데이터를 기초로, 이와 동일한 모형을 제작한다. 이렇게 제작된 모형을 페이스보우(30)가 설치된 실물교합기에 배치하고, 아울러 페이스보우(30)를 실물교합기에 배치한다. 그 후, 페이스보우(30)에 체결부(110)를 이용하여 스캔마커(100)를 고정하고, 실물 스캔인식부(130)의 가이드바(132)를 회동부(120)에 체결한다. 이때, 가이드바(132)의 인입거리 및 회동블럭(122)의 회전각도를 조절한다. 이렇게, 페이스보우(30)에 설치된 스캔마커(100)에 스캔인식부(130)를 고정하면, 가상교합기의 3차원 가상공간 상에서 가상스캔인식부(230)의 3차원 위치데이터(즉, 하부 페이스(12a)에 대한 가상표지부(231a)의 상대적 위치)는 페이스보우(30)에 설치된 스캔마커(100)에 그대로 이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연장부(233) 및 하악 마운틴 플레이트(14a)의 모형 부분을 실물 스캔인식부(130)로부터 제거하면, 최종적으로 스캔인식부(130)의 표지부(131)가 캐드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가상교합기의 3차원 가상공간 상에서 위치데이터가 미리 결정된 스캔마커(100)를 페이스보우(30)에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스캔마커(100)가 설치된 페이스보우(30)를 이용하여 환자의 인상을 채득한다. 즉, 인상재(왁스)(34)를 도포한 바이트포크(33)를 통해 환자의 치아 구조의 본을 뜬 후, 페이스보우를 통해 환자의 치아 교합면에 따라 바이트포크를 고정한다. 이에 의해, 환자의 턱관절과 상하악의 상대적 구조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캔마커(100)를 페이스보우(30)에 설치한 후, 환자의 인상을 채득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페이스보우(30)를 통해 환자의 인상을 채득한 후,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바이트포그(33) 및 스캔인식부(131)를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함으로써 3차원 구강스캔데이터를 취득한다. 이때, 바이트포크(33) 상에는 환자의 치아 구조가 복사된 인상재(34)가 고형화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구강스캐너를 통해 취득된 3차원 구강스캔데이터는 환자의 상악 및 하악의 치아 배열상태에 대한 정보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강스캐너를 통해 취득된 3차원 구강스캔데이터에는, 환자의 상악 및 하악의 치아 배열에 대한 정보(인상재에 의한 치아 배열 구조), 및 환자의 턱관절과 상하악 사이의 3차원적 구조에 대한 정보와 함께, 스캔인식부(131)에 대한 3차원 위치데이터를 포함한다. 아울러, 앞에서 캐드 프로그램의 가상공간 상에서 디자인된 가상스캔인식부(230)에 따라 제작된 스캔인식부(130)는 가상교합기의 마운팅 플레이트에 대한 상대적 위치정보(즉, 가상스캔인식부의 위치좌표 정보)가 미리 결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구강스캐너를 통해 취득된 3차원 구강스캔데이터에 포함된 스캔인식부(130)에 대한 위치데이터 및 가상교합기의 하악 마운팅 플레이트(14a)에 대해 정렬된 가상스캔인식부(230)의 위치데이터를 기초로, 구강스캔데이터를 가상교합기에 정렬하면, 환자의 치아 교합면을 가상교합기에 페이스보우 트랜스퍼될 수 있다.
보철물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악 모델 및 하악 모델을 제작하여 실물교합기에 페이스보 트랜스퍼하는 것이 전통적인 방법이나, 이는 매우 번거로운 작업을 수반한다. 이러한 불편을 피하기 위해, 캐드 프로그램의 가상교합기를 사용할 때 일반적인 사람의 평균값을 이용하는 것은 환자 개개인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못하므로 정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CBCT를 이용하여 3차원 스캔데이터를 얻는 방법은, 방사선의 위험, 사용의 불편함 및 비용의 증가로 인해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보우용 스캔마커를 이용하면, 상하악 모델을 제작해야 하는 실물교합기 및 모델스캐너를 이용하지 않고도,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페이스보우 및 구강스캐너를 통해 취득한 구강스캔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상교합기에 페이스보 트랜스퍼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치과용 캐드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가상교합기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치과용 캐드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가상교합기의 3차원 가상공간 상에서 가상스캔인식부의 위치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가상스캔인식부와 동일한 형상 및 규격을 갖는 스캔인식부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스캔인식부를 설치한 페이스보우용 스캔마커가 장착된 페이스보우를 이용하여 환자의 인상을 채득한 후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바이트포크 및 상기 스캔인식부를 스캔함으로써 3차원 구강스캔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구강스캔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스캔인식부의 위치데이터 및 상기 가상스캔인식부의 위치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구강스캔데이터를 상기 가상교합기에 정렬함으로써 환자의 치아 교합면을 상기 가상교합기에 페이스보우 트랜스퍼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페이스보우용 스캔마커를 이용한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보우용 스캔마커는,
    상기 페이스보우의 베이스틀에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고정블럭 및 상기 고정블럭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블럭을 포함하는 회동부;
    상기 회동블럭에 마련된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 가이드바 및 상기 가이드바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페이스보우에 설치된 바이트포크에 대한 3차원 공간에서의 상대적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표지부를 포함하는 스캔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캔인식부의 상기 표지부는 치과용 캐드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가상교합기의 3차원 가상공간 상에서 위치데이터가 미리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보우용 스캔마커를 이용한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 방법.
KR1020210013082A 2020-08-07 2021-01-29 페이스보우용 스캔마커 및 이를 이용한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 방법 KR102239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082A KR102239741B1 (ko) 2021-01-29 2021-01-29 페이스보우용 스캔마커 및 이를 이용한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 방법
PCT/KR2021/006931 WO2022030740A1 (ko) 2020-08-07 2021-06-03 스캔마커 및 이를 이용한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082A KR102239741B1 (ko) 2021-01-29 2021-01-29 페이스보우용 스캔마커 및 이를 이용한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741B1 true KR102239741B1 (ko) 2021-04-12

Family

ID=75439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082A KR102239741B1 (ko) 2020-08-07 2021-01-29 페이스보우용 스캔마커 및 이를 이용한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7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740A1 (ko) * 2020-08-07 2022-02-10 한종목 스캔마커 및 이를 이용한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 방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0079A (ja) * 2001-11-15 2003-08-05 Katamasa Miyamoto 咬合分析装置とその分析方法及びリファレンスマーカー
KR20100130200A (ko) * 2008-02-22 2010-12-10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엘엘씨 의치를 전자적으로 모델링하고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22992B1 (ko) * 2013-01-11 2014-07-24 안영홍 치과용 페이스 보우
KR101706619B1 (ko) * 2008-07-03 2017-02-14 얼라인 테크널러지, 인크. 치과 과정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794561B1 (ko) * 2016-06-22 2017-11-07 주식회사 메디트 치아모델 교합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합방법
WO2018050836A1 (en) * 2016-09-16 2018-03-22 Gc Europe N.V. Calibration members and method for calibrating a virtual articulator
US20180110603A1 (en) * 2016-08-11 2018-04-26 John P. Stipek, SR. Physical and virtual systems for recording and simulating dental motion having 3d curvilinear guided pathways and timing controls
KR101909829B1 (ko) * 2017-07-07 2018-10-18 김오봉 치과용 페이스 보우
US10492895B1 (en) * 2018-08-31 2019-12-03 King Saud University Facebow with double bite forks
JP2020116275A (ja) * 2019-01-25 2020-08-06 株式会社Grin 歯科用測定器具、測定方法、及びアタッチメント器具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0079A (ja) * 2001-11-15 2003-08-05 Katamasa Miyamoto 咬合分析装置とその分析方法及びリファレンスマーカー
KR20100130200A (ko) * 2008-02-22 2010-12-10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엘엘씨 의치를 전자적으로 모델링하고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06619B1 (ko) * 2008-07-03 2017-02-14 얼라인 테크널러지, 인크. 치과 과정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422992B1 (ko) * 2013-01-11 2014-07-24 안영홍 치과용 페이스 보우
KR101794561B1 (ko) * 2016-06-22 2017-11-07 주식회사 메디트 치아모델 교합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합방법
US20180110603A1 (en) * 2016-08-11 2018-04-26 John P. Stipek, SR. Physical and virtual systems for recording and simulating dental motion having 3d curvilinear guided pathways and timing controls
WO2018050836A1 (en) * 2016-09-16 2018-03-22 Gc Europe N.V. Calibration members and method for calibrating a virtual articulator
KR101909829B1 (ko) * 2017-07-07 2018-10-18 김오봉 치과용 페이스 보우
US10492895B1 (en) * 2018-08-31 2019-12-03 King Saud University Facebow with double bite forks
JP2020116275A (ja) * 2019-01-25 2020-08-06 株式会社Grin 歯科用測定器具、測定方法、及びアタッチメント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740A1 (ko) * 2020-08-07 2022-02-10 한종목 스캔마커 및 이를 이용한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944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ntal procedures
Úry et al. Accuracy of transferring analog dental casts to a virtual articulator
Ender et al. In-vitro evaluation of the accuracy of conventional and digital methods of obtaining full-arch dental impressions.
ES2896679T3 (es) Producto de programa informático para la planificación, visualización y optimización de restauraciones dentales
KR101273386B1 (ko) 영상정보 정합을 위한 마커
US201203220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denture
US9763757B2 (en) Method for creating a virtual oral-maxillofacial anatomical representation
Agustín-Panadero et al. Stereophotogrammetry for Recording the Position of Multiple Implants: Technical Description.
CN113412098B (zh) 数字三维牙齿模型牙科系统
US11786344B2 (en) System and method of digital workflow for surgical and restorative dentistry
US2013008453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creating dental prosthetics
KR102239741B1 (ko) 페이스보우용 스캔마커 및 이를 이용한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 방법
KR102221475B1 (ko)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를 이용한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 방법
WO2022030740A1 (ko) 스캔마커 및 이를 이용한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 방법
Abdeen et al. Effect of different condylar guidance registration records on balanced occlusion of complete denture
US2023022583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obtaining hinge axis position and condyle guide inclination from a patient
Gracis et al. The Orientation in Space of the Maxillary Arch: New and Old Devices in the Prosthetic Digital Workflow
WO2024097419A1 (en) Protocol for preparing and fitting prosthetics using pre-surgical fiducial markers and registration images formed thereby
Lin et al. Virtual Articulators
Palomino-Granados et al. Dental digital impressions with intraoral scanners: a review of the literature
Pooja Kakade et al. EVOLUTION OF INTRAORAL SCANNERS IN DENTISTRY: AN OVERVIEW
KR20200017645A (ko) 인상 트레이 홀더를 갖는 ct 영상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틀니 제조 방법
JP2013094461A (ja) 歯列模型入力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