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182564B1 -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564B1
KR102182564B1 KR1020147032417A KR20147032417A KR102182564B1 KR 102182564 B1 KR102182564 B1 KR 102182564B1 KR 1020147032417 A KR1020147032417 A KR 1020147032417A KR 20147032417 A KR20147032417 A KR 20147032417A KR 102182564 B1 KR102182564 B1 KR 102182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disposable diaper
crotch
produc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2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3961A (ko
Inventor
사토루 사카구치
야스히로 야마나카
가나 사와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63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3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585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9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having visual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2013/4904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 A61F2013/49044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being stretchable non-elastic panels
    • A61F2013/49046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being stretchable non-elastic panels at the cro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2013/4904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 A61F2013/49044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being stretchable non-elastic panels
    • A61F2013/4905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being stretchable non-elastic panels at the wai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2013/4904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 A61F2013/4905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having a specific direction of stretchability
    • A61F2013/49053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having a specific direction of stretchability being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machine direction, i.e. longitudi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97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having decorations or indicia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에서는, 가랑이 영역(25)에 걸쳐 앞 몸통 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으로 연장되는 영역에, 일회용 기저귀(10)의 피부 비접촉면측(S)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디자인(300a, 300b)이 형성되어 있고, 크로치 신축부(200a)보다 앞 몸통 둘레 영역(20)측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디자인(300b)의 배치 방법 및 크로치 신축부(200a)보다 뒤 몸통 둘레 영역(30)측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디자인(300a)의 배치 방법이 상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기저귀{DISPOSABLE DIAPER}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앞 몸통 둘레 영역과, 뒤 몸통 둘레 영역과, 앞 몸통 둘레 영역과 뒤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가지며,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되고, 가랑이 영역에 걸쳐 앞 몸통 둘레 영역 및 뒤 몸통 둘레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는 흡수체를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가 알려져 있다.
여기서, 특허문헌 1에는,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착용 보조자에 의한 착용자에 대한 일회용 기저귀의 장착을 돕기 위한 디자인을 형성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4223405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에 형성되어 있는 디자인은,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의 기능 및 착용자의 신체에서의 적절한 장착 위치를 고려하여 형성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착용 보조자가, 이러한 디자인을 기준으로 하여,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자에게 장착시키려고 해도, 착용자의 신체에서의 적절한 위치에,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를 장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에 형성되어 있는 디자인과 착용자의 신체에서의 적절한 장착 위치가 일치하고 있지 않고, 오히려, 일회용 기저귀가 정확하게 장착되어 있지 않은 인상을 주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디자인을 기준으로 하여, 착용자의 신체에서의 적절한 위치에 장착할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앞 몸통 둘레 영역과, 뒤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가지며,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랑이 영역에 걸쳐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는 흡수체를 구비하며,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으로 향하는 제품 길이 방향과, 상기 제품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제품 폭 방향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가랑이 영역에 형성되며, 신축 가능한 크로치 신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랑이 영역에 걸쳐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으로 연장되는 영역에,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디자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크로치 신축부보다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측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디자인의 배치 방법 및 상기 크로치 신축부보다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측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디자인의 배치 방법이 상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앞 몸통 둘레 영역과, 뒤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가지며,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랑이 영역에 걸쳐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는 흡수체를 구비하며,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으로 향하는 제품 길이 방향과, 상기 제품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제품 폭 방향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가랑이 영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 내에 형성되며, 신축 가능한 크로치 신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랑이 영역에 걸쳐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으로 연장되는 영역에,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디자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랑이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흡수체의 상기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흡수체의 상기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디자인은, 상기 제품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라인이며, 상기 한 쌍의 라인끼리의 간격은, 상기 크로치 신축부에 있어서 가장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F1-F1선을 따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F2-F2선을 따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형성되어 있는 디자인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가 착용자에게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형성되어 있는 디자인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형성되어 있는 디자인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한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테이프형의 일회용 기저귀(10)를 예로 들어 설명을 행하지만, 본 발명은,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10)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의 전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F1-F1선을 따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F2-F2선을 따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에 형성되어 있는 디자인에 대해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가 착용자에게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전개 평면도는, 일회용 기저귀(10)를 구성하는 톱 시트(50)나 사이드 플랩(70) 등의 주름이 형성되지 않는 상태까지, 레그 신축부(75) 및 레그 사이드 개더(80)의 탄성 부재(71)를 신장시킨 상태의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는, 앞 몸통 둘레 영역(20)과, 가랑이 영역(25)과, 뒤 몸통 둘레 영역(30)을 갖는다.
여기서, 앞 몸통 둘레 영역(20)은, 착용자의 앞 몸통 둘레부(배 부분)와 접하는 부분이고, 뒤 몸통 둘레 영역(30)은, 착용자의 뒤 몸통 둘레부(등 부분)와 접하는 부분이며, 가랑이 영역(25)은, 앞 몸통 둘레 영역(20)과 뒤 몸통 둘레 영역(30)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앞 몸통 둘레 영역(20)으로부터 뒤 몸통 둘레 영역(30)으로 향하는 방향을 제품 길이 방향(L)이라고 부르고, 제품 길이 방향(L)과 직교하는 방향을 제품 폭 방향(W)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여기서, 가랑이 영역(25) 내에, 크로치부(200)가 형성되어 있으며, 크로치부(200)보다 착용자의 배측의 영역을, 앞 몸통 둘레 영역(20)이라고 정의하고, 크로치부(200)보다 착용자의 등측의 영역을, 뒤 몸통 둘레 영역(30)이라고 정의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0)에는,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35)가 형성된다. 다리 둘레 개구부(35)는,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폭 방향(W)의 측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일회용 기저귀(10)가 착용자에게 착용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는, 가랑이 영역(25)에 걸쳐 있고, 또한, 가랑이 영역(25)으로부터 앞 몸통 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 중 적어도 한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흡수체(40)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체(40)는, 흡수성 코어(40a)와 코어 랩(40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흡수성 코어(40a)는,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에서 이용되고 있는 것과 동일하며, 분쇄 펄프나 고흡수 폴리머 등, 공지의 부재나 재료를 이용하여, 흡수성 코어(40a)를 적절히 구성할 수 있다. 흡수성 코어(40a)는, 시트 형상의 코어 랩(40b)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코어 랩(40b)은, 흡수성 코어(40a)를 피복하는 시트이다. 코어 랩(40b)의 적어도 피부 접촉면측의 일부는, 액 투과성을 갖는 각종의 섬유 부직포 또는 티슈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코어 랩(40b)을 구성하는 부재로서는, 질량 약 10 g/㎡~30 g/㎡의 에어스루 섬유 부직포나, 스펀 본드 부직포나, SMS(스펀 본드-멜트 블로우-스펀 본드) 부직포나, 질량 약 10 g/㎡~30 g/㎡의 티슈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체(40)의 표면측(피부 접촉면측)에는, 액 투과성의 톱 시트(50)가 구비되어 있고, 흡수체(40)의 이면측(피부 비접촉면측(S))에는, 액 불투과성의 백 시트(60a)가 구비되어 있다.
흡수체(40)의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양측 가장자리부에는, 사이드 플랩(70)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70)은, 1장 또는 2장 이상의 복수 장 겹친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사이드 플랩(70)에는, 패스닝 테이프(90)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패스닝 테이프(90)는,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 있어서, 제품 폭 방향(W)으로 연장되어 있고, 앞 몸통 둘레 영역(20)의 피부 비접촉면에 부착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타겟부(95)는, 앞 몸통 둘레 영역(20)의 피부 비접촉면에 배치되어 있고,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90)는, 타겟부(95)에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에 있어서, 앞 몸통 둘레 영역(20)과 뒤 몸통 둘레 영역(30)과 패스닝 테이프(90)에 의해 몸통 둘레 유지부가 구성된다.
여기서,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서의 몸통 둘레 유지부는, 패스닝 테이프(90)의 결합 부재가 설치된 영역으로부터 제품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범위이고, 앞 몸통 둘레 영역(20)에서의 몸통 둘레 유지부는, 타겟부(95)가 설치된 영역으로부터 제품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범위이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는, 가랑이 영역(25)에 형성되며, 신축 가능한 크로치 신축부(200a)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크로치 신축부(200a)는, 크로치부(200) 내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랑이 영역(25) 내에 있어서 흡수체(40)가 배치되어 있는 흡수체 배치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크로치 신축부(200a)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체(40)의 표면측(톱 시트(50)측)에는, 다리 둘레 개구부(35)를 따라 형성되며, 적어도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신축 가능한 한 쌍의 레그 신축부(레그 개더)(75)가 구비되어 있다.
레그 신축부(75)는,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 크로치 신축부(200a)보다 길고,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 크로치 신축부(200a)보다 외측에 구비되어 있다.
레그 신축부(75)는, 다리 둘레 개구부(35)를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신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되고, 다리 둘레 개구부(35)를 따라 배치되어 있어도 좋으며, 레그 신축부(75)의 일부는, 다리 둘레 개구부(35)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레그 신축부(75)는, 신축성 시트 등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수축하는 부분이고, 수축력이 발휘되지 않는 상태에서 신축성 시트가 배치된 부분을 제외하는 개념이다. 한편, 레그 신축부(75)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로 상세히 설명한다.
<레그 사이드 개더(80)>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레그 신축부(75)의 내측(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중앙쪽)에는, 제품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레그 사이드 개더(80)가 구비되어 있어도 좋다.
레그 사이드 개더(80)는, 사이드 플랩(70)의 제품 폭 방향(W)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레그 신축부(75)보다 제품 폭 방향(W)의 내측에 배치되는 기립성의 신축 개더이다.
레그 사이드 개더(80)는, 종래에 있어서 주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사이드 플랩(70)과 다른 시트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사이드 플랩(70)은,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내측 단부에 있어서 톱 시트(50)측으로 접혀져, 2층으로 적층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된 상태의 사이드 플랩(70) 사이에,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신장된 상태로, 탄성 부재(71)(도 2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70) 및 탄성 부재(71)에 의해, 레그 사이드 개더(80)가 형성된다.
레그 사이드 개더(80)는, 톱 시트(50) 또는 백 시트(60a)에 접합되는 접합 부분(81)과, 탄성 부재(71)가 배치된 자유단 부분(82)을 갖는다.
자유단 부분(82) 중, 가랑이 영역(25)을 포함하는 제품 길이 방향(L)의 중앙 부분은, 탄성 부재(71)에 의해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수축하여, 수축부(84)를 구성한다.
레그 사이드 개더(80)는, 일회용 기저귀(10)의 착용시에는, 접합 부분(81)을 기단부로 하여 기립하고, 자유단 부분(82)의 수축부(84)가 정점부로서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한다. 즉, 접합 부분은, 레그 사이드 신축부의 기립의 기단부가 된다.
한편, 수축부(84)는, 탄성 부재(71)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수축한 부분이고, 수축력이 발휘되지 않는 상태에서 탄성 부재(71)가 배치된 부분을 제외하는 개념이다.
또한, 도 2에, 레그 사이드 개더(80)에 있어서, 사이드 플랩(70)과 톱 시트(50)(또는, 백 시트(60a) 등)가 접합된 접합 부분(81)에 사선을 붙여 나타낸다.
접합 부분(81)은,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접합 부분(81A)은, 수축부(84)보다 제품 길이 방향(L)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2 접합 부분(81B)은, 수축부(84)보다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레그 사이드 개더(80)는, 가랑이 영역(25)을 포함하는 제품 길이 방향(L)의 중앙 부분이 착용자측으로 기립하도록 구성된다.
레그 사이드 개더(80)의 접합 부분(81) 중, 수축부(84)보다 제품 길이 방향(L)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접합 부분(81A)은, 톱 시트(50)에 접합된다.
레그 사이드 개더(80)의 접합 부분(81) 중, 수축부(84)보다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접합 부분(81B)은,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 크로치 신축부(200a)와 레그 신축부(75)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접합 부분(81B)은, 제품 길이 방향(L)의 전체 길이에서 백 시트(60a)(및, 제품 길이 방향(L)의 일부에 있어서 외장 시트(60))에 접합된다. 한편, 백 시트(60a)는, 흡수체(40)와 외장 시트(60)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누설 방지 시트로서 기능한다.
한편, 레그 사이드 개더(80)의 접합 부분(81)은, 여러 가지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접합 부분(81)은, 예컨대, 제품 길이 방향(L)으로 가랑이 영역(25)으로부터 앞 몸통 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으로 연장되어, 톱 시트(50)에 접합되는 부분이어도 좋고, 흡수성 코어(40a)보다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에 있어서, 액 불투과성의 백 시트(60a)나 외장 시트(60)에 접합되는 부분이어도 좋으며, 기립의 기단부가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레그 사이드 개더(80)는, 레그 신축부(75)보다 제품 폭 방향(W)의 내측에 배치되는 기립성의 개더이면 되고, 전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종래에 있어서 주지의 레그 사이드 개더(80)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웨이스트 신축부(웨이스트 개더)(100)>
또한, 일회용 기저귀(10)는,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 형성되고, 제품 폭 방향(W)으로 신축 가능한 웨이스트 신축부(100)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웨이스트 신축부(100)는,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90)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패스닝 테이프(90) 사이를 제품 폭 방향(W)으로 수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웨이스트 신축부(100)는, 신축성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웨이스트 신축부(100)를 구성하는 부재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가능한 한 얇고 굽힘 강성이 낮으며, 폭 감소율이 작은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굽힘 강성이 낮은 재료에 의해 웨이스트 신축부(100)를 구성함으로써, 웨이스트 신축부(100)가, 착용자의 신체를 따라 구부러지기 쉬워지고, 착용자의 신체에 부하를 가하지 않고, 웨이스트 신축부(100)를 착용자의 신체에 따르게 하여 피트시킬 수 있다.
또한, 폭 감소가 작은 재료에 의해 웨이스트 신축부(100)를 구성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10)가 제품 폭 방향(W)으로 신장된 경우에 있어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의 수축을 억제하여, 착용자의 허리 둘레(웨이스트)에 있어서, 일회용 기저귀(10)가 착용자의 가랑이측으로 물러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웨이스트 신축부(100)로서, 단위 중량이 20 g/㎡~45 g/㎡인 신축성 필름을 이용하였다.
웨이스트 신축부(100)는, 비신장 상태(자연 상태)에서의 길이의 1.25배~2.5배로 늘려진 후, 핫멜트 접착제 또는 가열 처리 등에 의해 외장 시트(60)에 접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웨이스트 신축부(100)는, 외장 시트(60)와 백 시트(60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코어 랩(40b)이 흡수성 코어(40a)보다 제품 길이 방향(L)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구성에 있어서는, 웨이스트 신축부(100)는, 코어 랩(40b)과 백 시트(60a)(또는, 외장 시트(60))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웨이스트 신축부(100)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흡수체(40)가 배치되지 않는 영역에 있어서는, 웨이스트 신축부(100)는, 사이드 플랩(70)과 백 시트(60a)(또는, 외장 시트(60))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웨이스트 신축부(100)는, 제품 폭 방향(W)으로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제품 폭 방향(W) 및 제품 길이 방향(L)의 양방으로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체(40)에서의 저강성 영역(210)>
여기서, 흡수체(40)는,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 있어서, 흡수체(40)의 다른 부위보다 단위 중량이 낮거나 또는 흡수성 코어(40a)가 존재하지 않는 저강성 영역(210)을 갖는다.
또한, 저강성 영역(210)은, 흡수체(40)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뒤 몸통 둘레 영역(30)측의 단부(E9) 근방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저강성 영역(210)의 폭은, 흡수체(40)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뒤 몸통 둘레 영역(30)측의 단부(E9)로 향함에 따라 넓어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강성 영역(210)의 형상은, 일회용 기저귀(10)의 평면에서 보아, 쐐기 형상이다.
또한, 흡수체(40)는,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신축이 다른 영역보다 억제된 영역인 신축 억제 영역(220)을 갖는다.
여기서, 신축 억제 영역(22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강성 영역(210)의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신축 억제 영역(220)과 저강성 영역(210)의 경계는, 제품 폭 방향(W)의 중심을 향하여 볼록해지는 원호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강성 영역(210)보다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에 있어서의 흡수체(40)는, 뒤 몸통 둘레 영역(30)측의 단부(E9)를 향하여 볼록해지는 사다리꼴 형상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착용 보조자에 대하여, 착용자의 둔부(臀部)의 형상의 이미지를 품게 할 수 있다.
특히, 일회용 기저귀(10)가, 테이프형의 일회용 기저귀(10)인 경우에는, 착용자의 신체 밑에 일회용 기저귀(10)를 깔 때에, 흡수성 코어(40a)가 전술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 또는 뒤 몸통 둘레 영역(30)의 웨이스트 신축부(100)가 전술한 형상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착용 보조자에 대하여, 착용자의 둔부를 놓아야 할 위치를 상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일회용 기저귀(10)를 정확한 위치에 장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웨이스트 신축부(100) 및 흡수체(40)는, 일회용 기저귀(10)의 평면에서 보아,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겹쳐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웨이스트 신축부(100)는, 일회용 기저귀(10)의 평면에서 보아, 저강성 영역(210)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웨이스트 신축부(100)는, 저강성 영역(210)의 일부와 겹쳐져 배치되어 있으나, 저강성 영역(210) 모두와 겹쳐져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저강성 영역(210)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웨이스트 신축부(100)의 신축을 저해하지 않고, 웨이스트 신축부(100)가 수축하더라도, 저강성 영역(210)이 좁아져, 저강성 영역(210)보다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에 있어서의 흡수체(40)끼리의 간격이 좁아지기 때문에, 흡수체(40)가, 의도하지 않는 형상으로 융기되기 어려워진다.
한편, 저강성 영역(210)은, 배설물의 누설 방지를 고려하면, 웨이스트 신축부(100)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체(40)가, 웨이스트 신축부(100)에 의해 제품 폭 방향(W)으로 수축시켜져, 저강성 영역(210)보다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에 있어서의 흡수체(40)끼리의 간격이 좁아지면, 저강성 영역(210)에 있어서, 뒤 몸통 둘레 영역(30)측의 단부(E9)쪽의 부위가, 가랑이 영역(25)쪽의 부위보다 크게 제품 폭 방향(W)의 중앙으로 밀려오기 때문에, 뒤 몸통 둘레 영역(30)측의 단부(E9)쪽의 부위와 가랑이 영역(25)쪽의 부위에서는,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수축량의 차가 발생하여, 뒤 몸통 둘레 영역(30)이 기립하게 된다.
즉, 일회용 기저귀(10)에는, 제품 폭 방향(W)으로 신축 가능한 웨이스트 신축부(100) 및 쐐기 형상의 저강성 영역(21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의 장착시에, 피부 비접촉면측(S)으로 일회용 기저귀(10)가 불룩해지는 컵 형상이 형성되기 쉽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강성 영역(210)에는, 흡수성 코어(40a)가 존재하지 않고, 저강성 영역(210)과 겹쳐지도록, 웨이스트 신축부(100)가 존재하기 때문에, 저강성 영역(210)에 있어서, 뒤 몸통 둘레 영역(30)측의 단부(E9)쪽의 부위가, 흡수성 코어(40a)의 단부 위치보다 크게 제품 폭 방향(W) 중앙으로 밀려와, 뒤 몸통 둘레 영역(30)의 기립이, 보다 현저해지기 때문에, 컵 형상을 보다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웨이스트 신축부(100)는,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측가장자리를 넘어 존재하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를 컵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뒤 몸통 둘레 영역(30)측의 단부(E9)측쪽의 위치의 흡수성 코어(40a)에 대해서는, 착용자의 신체에 적극적으로 따르게 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웨이스트 신축부(100) 및 저강성 영역(210)의 적어도 일부는,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90)로부터 제품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영역에 존재한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10)를 밑에 깔고 착용자를 눕힌 상태에서,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에게 장착할 때라도,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측가장자리를 넘어 존재하는 웨이스트 신축부(100)가, 착용자의 신체 밑에 깔리지 않는다.
따라서,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90)를 잡아 당김으로써 웨이스트 신축부(100)의 측가장자리가 신장되고, 컵 형상의 웨이스트측쪽의 위치를, 보다 확실하게 착용자의 신체에 따르게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강성 영역(210)보다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에 있어서의 흡수성 코어(40a)가, 뒤 몸통 둘레 영역(30)측을 향하여 볼록 형상이다. 이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피부 비접촉면측(S)으로 일회용 기저귀(10)가 불룩해지는 컵 형상이 형성되기 쉽게 하는 것에 더하여, 흡수성 코어(40a)의 표면 면적이 유지되기 때문에, 흡수성 코어(40a)의 단부로부터의 배설물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강성 영역(210)은, 일회용 기저귀(10)의 평면에서 보아, 쐐기 형상이고, 흡수성 코어(40a)와 저강성 영역(210)의 경계는, 가랑이 영역(25)을 향하여 볼록해지는 원호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원호의 반경은, 50 ㎜~200 ㎜이다.
이 때문에, (자연 상태의) 저강성 영역(210)의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길이(폭)는,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뒤 몸통 둘레 영역(30)측의 단부(E9)로 감에 따라 비선형으로 커지고, 뒤 몸통 둘레 영역(30)의 기립이, 보다 현저해지기 때문에, 컵 형상을 보다 안정적으로 형성하기 쉽다.
또한, 흡수성 코어(40a)와 저강성 영역(210)의 경계가, 가랑이 영역(25)을 향하여 볼록해지는 원호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뒤 몸통 둘레 영역(30)이, 저강성 영역(210)의 수축에 의해 둥그스름한 컵 형상이 되어, 착용자의 둥그스름한 둔부를 따르기 쉬운 형상이 된다.
또한, 저강성 영역(210)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흡수체(40)의 뒤 몸통 둘레 영역(30)측의 단부(E9)에는, 좌우 각각에 뒤 몸통 둘레 영역(30)측으로 향하는 볼록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흡수체(40)의 형상은, 착용자의 둔부를 올려 놓는 것을 상기시키기 때문에, 착용 보조자는, 일회용 기저귀(10)를, 보다 착용자에게 있어서 정확한 위치에 맞추기 쉬워진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흡수체(40)의 굽힘 강성>
본 실시형태에서의 굽힘 강성은, 테이버법(JISP8125)에 준거한 강성값에 기초하고 있으며,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먼저, 일회용 기저귀(10)를 전개한 상태에서, 굽힘 강성의 측정 대상 부분의 샘플(예컨대, 흡수체(40))을 채취한다.
샘플은, 굽힘 강성의 측정 대상 부분에 대해서, 70 ㎜(제품 폭 방향(W)의 길이)×38 ㎜(제품 길이 방향(L)의 길이)의 치수로 한다. 샘플 중에, 탄성 부재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탄성 부재를 제거해 둔다. 한편, 강성값의 측정 시험기는, (주) 야스다 세이키 세이사쿠쇼 제조의 테이버 스티프니스 테스터를 사용한다. 또한, 샘플수는, 10이며, 각 샘플에 대해서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강성값으로 한다.
이러한 측정의 순서는, 이하의 (a)~(e)와 같다.
(a) 채취한 샘플의 두께(A)를 측정한다.
(b) 계속해서, 시험기의 척(하측)의 중심에 닿을 정도로 샘플을 끼워 넣는다.
(c) 지지 롤러와 샘플의 좌우 간극의 합계를 (A)×0.80(㎜)로 조절한다.
(d) 지시 하중 눈금이 최대 눈금의 15%~85%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보조추를 적절히 선택한다.
(e) 샘플을 좌우 양방향으로 회전시키고, 15도 지지 각선(刻線)과 진자의 중심각(中心刻)이 일치한 점에서 정지시키며, 시험기의 눈금을 읽는다. 눈금의 좌측의 수치를 (B)로 하고, 눈금의 우측의 수치를 (C)로 한다.
강성값은, 이하의 식에 의해 구해진다.
식: 강성값(mN·m)=(((B)+(C))/2)×(보조추 계수)×9.81×10-2
한편, 시험편의 폭이 38 ㎜를 채취할 수 없는 경우에는, 38 ㎜ 폭의 굽힘 모멘트로 환산을 행한다.
이와 같이 측정한 강성값이 높을수록, 굽힘 강성이 높고, 강성값이 낮을수록, 굽힘 강성이 낮아진다.
<패스닝 테이프 및 타겟부의 구성>
패스닝 테이프(90)는,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 대응하는 사이드 플랩(70)의 영역에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스닝 테이프(90)는, 사이드 플랩(70)에 연결된 기재 시트(91)와, 복수의 결합 부재로서의 결합훅(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고, 기재 시트(91)에 고정된 훅 시트(92)를 구비한다.
훅 시트(92)는, 결합 부재가 설치된 영역이며, 전술한 몸통 둘레 유지부는, 훅 시트(92)로부터 제품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영역이다.
훅 시트(92)는, 기재 시트(91)에 고정(구체적으로는, 접합)되어 있다.
이러한 훅 시트(92)와 기재 시트(91)의 접합은, 패스닝 테이프(90)의 강성이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훅 시트(92) 및 기재 시트(91)는, 점 형상, 선 형상 또는 스파이럴 형상과 같은 간헐적으로 도포된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훅 시트(92) 및 기재 시트(91)는, 열 시일 등으로 접합되어도 좋다.
기재 시트(91)는, 1장 또는 2장 이상의 복수 장 겹친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재 시트(91)로서는, SB(스펀 본드) 또는 SMS(스펀 본드-멜트 블로우-스펀 본드) 등의 제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기재 시트(91)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단위 중량(복수 장인 경우에는, 합계 단위 중량)은, 30 g/㎡~120 g/㎡이고, 바람직하게는 40 g/㎡~90 g/㎡이다.
타겟부(95)는, 앞 몸통 둘레 영역(20)의 외장 시트(60)의 피부 비접촉면에 형성되어 있다. 타겟부(95)는, 패스닝 테이프의 결합훅이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고, 훅과 루프의 걸림 시스템의 루프로서 기능한다. 타겟부(95)로서는, 예컨대, 에어스루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타겟부(95)는, 예컨대, 폴리올레핀계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로 만들어진 섬유 부직포 또는 폴리올레핀계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타겟부(95)에 부착된 루프는, 폴리올레핀계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타겟부(95)로서, 부피가 큰 부직포이며, 그 일부를 엠보스함으로써 부직포 표면의 보풀 발생을 방지한 부직포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0)의 외장 시트(60)를 부직포에 의해 형성하고, 패스닝 테이프(90)의 부착 위치를 나타내는 무늬를 백 시트(60a) 또는 외장 시트(60)의 피부 비접촉면에 인쇄하거나, 또는, 이러한 무늬의 시트를 백 시트(60a) 또는 외장 시트(60)의 피부 비접촉면측(S)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서도 타겟부(95)로 할 수 있다.
<레그 신축부(75)>
레그 신축부(75)는, 흡수체(40)보다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에 형성된 다리 둘레 개구부(35)를 따라 배치되고,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레그 신축부(75)는, 가랑이 영역(25)에 있어서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위치가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폭 방향 내단 영역(75I)을 갖고 있다.
다리 둘레 개구부(35) 및 레그 신축부(75)는, 특히,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 있어서, 가랑이 영역(25)으로부터 제품 길이 방향(L)의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한편, 레그 신축부(75)의 폭 방향 내단 영역(75I)은,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연속해서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연속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리 둘레 개구부(35)의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위치가 가랑이 영역에 있어서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영역은, 레그 신축부(75)의 폭 방향 내단 영역(75I)과 일치하고 있으나, 반드시 일치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레그 신축부(75)는, 신축성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이러한 신축성 시트로서는, 우레탄이나 스티렌과 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를 용융하여 필름 형상으로 한 신축성 필름이나, 신축 섬유로 이루어지는 신축성 부직포나, 신축성 필름이나 신축성 부직포에 부분적으로 절단되거나 또는 취약화된 비신장성 시트를 접합시킨 복합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신축성 시트 대신에,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나 천연 고무로 이루어지는 실 형상·띠 형상의 탄성 부재를, 1개 또는 복수 개 배치함으로써, 레그 신축부(75)를 구성해도 좋다.
또는, 예컨대, 레그 신축부(75)는, 소정 개수의 탄성 부재(예컨대, 3개의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레그 신축부(75)는, 사이드 플랩(70)과 외장 시트(6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는, 흡수체(40)와 외장 시트(60) 사이에 배치되는 백 시트(60a)가 구비되는 영역에서는, 레그 신축부(75)는, 백 시트(60a)와 사이드 플랩(7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신축성 시트 부재의 폭(일회용 기저귀(10)의 자연 상태에서의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폭)은, 적어도 가랑이 영역(25)에 있어서, 5 ㎜ 이상 4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5 ㎜ 이상 3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측정은, 신와 소쿠테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스프링 메저(테이프부: 유리 섬유가 들어간 염화비닐 피복)를 이용해서, 측정 대상 부위를 따르도록 하여 행하였다(10샘플).
여기서, 이러한 신축성 시트 부재의 폭이 5 ㎜ 미만에서는, 실질적으로 면으로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따름으로써, 부분적으로 조이는 힘이 집중되지 않고, 탄성 요소에 의한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부하를 낮춘다고 하는 효과가 발현되지 않으며, 이러한 신축성 시트 부재의 폭이 45 ㎜를 초과하면, (자연 상태의) 일회용 기저귀(10) 전체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와 비교하여 다리 둘레 개구부(35)를 따르는 영역이 지나치게 넓어져 버려, 신축성 시트가 착용자의 신체측으로 말려 들어가거나, 말려 올라가기 쉬워진다.
레그 신축부(75)의 신축률은, 1.5배~2.2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레그 신축부(75)의 신축률은, 1.8배~2.0배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신축률(ratio of expansion and contraction)은, 신축 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레그 신축부(75)의 신축의 정도를 의미하며, 이하와 같이 규정된다.
신축률=(최대 신장 상태에서의 레그 신축부(75)의 신축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자연 상태에서의 레그 신축부(75)의 신축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러한 신축률은, 예컨대, 다음과 같이 측정되는 것으로 한다.
첫째로, 일회용 기저귀(10)가 패키지 등에 봉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패키지로부터 일회용 기저귀(10)를 꺼낸다.
계속해서, 레그 신축부(75)의 배치 영역을 잘라낸다. 이때, 레그 신축부(75)에 접합되는 외장 시트(60)도 포함시켜 잘라낸다. 잘라낸 후의 레그 신축부(75)의 샘플의 신장률을 측정하고, 레그 신축부(75)의 신장률을 계측한다.
각 샘플에 대해서, 20℃±2℃, 상대 습도 60%±5% RH의 분위기하에서 60분간 방치하고, 신축 방향을 따라 레그 신축부(75)의 길이를 측정한다. 이 길이를, 「자연 상태의 레그 신축부(75)의 길이」로 한다.
둘째로, 이러한 상태(즉, 자연 상태)에서의 소망 영역의 신축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및 자연 상태로부터 탄성 부재에 의한 주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상태까지 연신했을 때의 소망 영역의 신축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측정한다. 이 길이를, 「신장 상태에서의 레그 신축부(75)의 길이」로 한다.
이들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전술한 식으로 산출함으로써 신장률이 측정된다.
또한, 좌우 한 쌍의 레그 신축부(75)의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내측단의 간격은, 가랑이 영역(25)으로부터 앞 몸통 둘레 영역(20)으로 향함에 따라 넓어지고, 가랑이 영역(25)으로부터 뒤 몸통 둘레 영역(30)으로 향함에 따라 넓어진다.
착용자의 신체에 일회용 기저귀(10)를 장착하는 경우, 가랑이부에서 좁고 앞뒤 몸통 둘레를 향하여 넓어지는 형상으로 레그 신축부(75)를 배치함으로써, 보다 레그 신축부(75)가, 착용자의 신체의 라인을 따르는 것이 가능해지고,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적합하게 레그 신축부(75)가 신장 배치되게 된다.
또한, 좌우 한 쌍의 레그 신축부(75)의 앞 몸통 둘레 영역(20)의 단부에서의 간격(도면 중의 D1)은, 좌우 한 쌍의 레그 신축부(75)의 뒤 몸통 둘레 영역(30)의 단부에서의 간격(도면 중의 D2)보다 좁다.
한편, 이들 간격은, 일회용 기저귀(10)를 자연 상태로부터 주름이 없는 상태로 제품 길이 방향(L) 및 제품 폭 방향(W)으로 확장하여 유지한 후, 좌우 한 쌍의 레그 신축부(75)의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내측단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 것이다.
착용자의 신체의 피부 표면의 신장은, 둔부에 있어서 특히 크고, 그 폭 방향 외측쪽의 위치에서 현저하다. 또한, 레그 신축부(75)는,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되어 있다. 그래서, D2>D1로 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10)에 착용자의 움직임이 가해진 경우라도, 착용자의 둔부측에서의 레그 신축부(75)가 밀착된 채로 신장할 수 있고, 신장의 변화량이 크더라도 레그 신축부(75)가 버티는 일이 없다. 따라서, 레그 신축부(75)에 의한 일회용 기저귀(10)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의 양 다리의 간격은, 가랑이부가 가장 좁고, 가랑이부로부터 배측이나 등측을 향하여 넓어지는 형상이다. 다리 둘레 개구부(35) 및 레그 신축부(75)는, 가랑이 영역(25)으로부터 제품 길이 방향(L)의 외측 및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형상이기 때문에,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따라 다리 둘레 개구부(35) 및 레그 신축부(75)를 배치할 수 있고, 국소적인 응력 집중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낮은 신장률로 착용자에게 밀착될 수 있어, 피부에 대한 부담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레그 신축부(75)는,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따라 일회용 기저귀(10)를 만곡시켜 수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레그 신축부(75)의 제품 길이 방향(L)의 단부는, 제품 폭 방향(W)으로 넓어지도록 배치되어 있고, 몸통 둘레 유지부의 근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레그 신축부(75)의 제품 길이 방향(L)의 단부는, 몸통 둘레 유지부와 함께 제품 폭 방향(W)으로 수축하도록 작용한다.
<크로치 신축부(200a)>
다음으로, 크로치 신축부(200a)의 형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크로치 신축부(200a)는, 흡수체(40)의 다른 부분보다, 일회용 기저귀(10)의 착용자에 대한 장착시에 있어서, 가랑이 영역(25)의 일부에 평탄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크로치 신축부(200a)는,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신축 가능해도 좋고, 제품 폭 방향(W)으로 신축 가능해도 좋으며, 제품 길이 방향(L) 및 제품 폭 방향(W)의 양방으로 신축 가능해도 좋다.
예컨대, 크로치 신축부(200a)는, 레그 신축부(75)와는 개별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흡수성 코어(40a)와 겹쳐지는 위치(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코어(40a)를 둘러싸는 코어 랩(40b)과 백 시트(60a)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이러한 위치에서의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자연 상태)의 60% 이상을 수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크로치 신축부(200a)에 의해 흡수성 코어(40a)가 배치된 부분을 수축시킴으로써, 흡수성 코어(40a)가 줄어들고, 흡수성 코어(40a)가 줄어들지 않는 부분과 비교하여 평탄한 형상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한편, 크로치 신축부(200a)보다 제품 길이 방향(L) 외측에 위치하는 앞 몸통 둘레 영역(20)이나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는, 크로치 신축부(200a)에 의해 수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패스닝 테이프(90)에 의해, 착용자의 허리나 웨이스트 둘레에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영역(25)에 평탄한 형상으로 유지되는 크로치 신축부(200a)가 과도하게 신체에 밀착되지 않고, 결과, 크로치 신축부(200a)가 적절히 신체를 따라 배치된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a)가, 제품 길이 방향(L)을 따라 신축 가능한 경우, 앞 몸통 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이, 크로치 신축부(200a)의 수축에 의해 기립하기 쉬워지고, 착용시에는, 착용자의 가랑이부에서 신체를 따라 평탄한 가랑이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크로치 신축부(200a)로부터 앞 몸통 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이 기립하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의 착용자에 대한 피트성이 향상된다.
즉, 크로치 신축부(200a)의 수축에 의해,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영역(25)이,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배치되도록, 안정적으로 일회용 기저귀(10)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크로치 신축부(200a)는, 신축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영역(25)의 일부가, 수축하여 일회용 기저귀(10)의 착의측(피부 비접촉면측(S))의 표면에 요철의 주름이 형성된다.
이 결과, 착용 보조자에 대하여, 시각적이고 또한 촉감적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에 있어서 크로치부(200)가 명확히 존재하는 것을 상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크로치 신축부(200a)는, 신축성 시트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신축성 시트 부재에 의해 크로치 신축부(200a)를 구성함으로써, 신축성 시트 부재를 배치한 영역의 흡수성 코어(40a)가 고르게 줄어들어, 평탄한 형상 유지가 보다 용이해진다. 한편, 신축성 시트 부재는, 예컨대, 레그 신축부(75)와 동일한 신축성 시트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신축성 시트 부재로서는, 우레탄이나 스티렌과 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를 용융하여 필름 형상으로 한 신축성 필름이나, 신축 섬유로 이루어지는 신축성 부직포나, 신축성 필름이나 신축성 부직포에 부분적으로 절단되거나 또는 취약화된 비신장성 시트를 접합시킨 복합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신축성 시트 부재 대신에,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나 천연 고무로 이루어지는 실 형상·띠 형상의 신축 가능한 탄성 부재를, 서로 병렬로 배열함으로써 크로치 신축부(200a)를 구성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 흡수성 코어(40a)의 강성 및 일회용 기저귀(10)를 구성하는 다른 부재의 강성을 고려하여, 이용하는 탄성 부재의 굵기나 배치하는 피치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나, 일회용 기저귀(10) 본체를 자연 상태(비신장 상태)로 했을 때에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측가장자리부 전역이 수축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a)에 의해 흡수성 코어(40a)를 고르게 줄이기 위해서는, 탄성 부재끼리의 간격을, 7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성 코어(40a)를 고르게 줄이기 위해서, 인접하는 탄성 부재의 간격의 차를, 2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크로치 신축부(200a)의 신축률은, 1.2배 이상 1.8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크로치 신축부(200a)의 신축률은, 1.4배로 설정되어 있다.
신축률은, 신축 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크로치 신축부(200a)의 신축의 정도를 의미하며, 이하와 같이 규정된다.
신축률=(최대 신장 상태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a)의 신축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자연 상태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a)의 신축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러한 신축률은, 예컨대, 다음과 같이 측정되는 것으로 한다.
첫째로, 일회용 기저귀(10)가 패키지 등에 봉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패키지로부터 일회용 기저귀(10)를 꺼내고, 그 상태에서 20℃±2℃, 상대 습도 60%±5% RH의 분위기하에서 60분간 방치하며, 신축 방향을 따라 크로치 신축부(200a)의 길이를 측정한다. 이 길이를, 「자연 상태의 크로치 신축부(200a)의 길이」로 한다.
둘째로, 이러한 상태(즉, 자연 상태)에서의 소망 영역의 신축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및 자연 상태로부터 탄성 부재에 의한 주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상태까지 연신했을 때의 소망 영역의 신축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측정한다. 이 길이를, 「최대 신장 상태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a)의 길이」로 한다.
이들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전술한 식으로 산출함으로써 신장률이 측정된다.
이와 같이, 크로치 신축부(200a)의 신축률을, 1.2배 이상 1.8배 이하로 함으로써, 착용자의 피부의 신축에 적합하게 추종할 수 있다.
예컨대, 착용자가, 신체 앞쪽이 움츠러드는 것과 같은 앞으로 구부린 자세를 취하면, 착용자의 둔부측의 피부에 있어서, 신체를 쭉 핀 상태에 대하여 30% 정도 신장되는 부위가 존재한다.
즉, 크로치 신축부(200a)의 신축률을 1.2배 이하로 하면, 자연 상태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a)의 수축이 충분하지 않고, 크로치 신축부(200a)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영역(25)에서의 흡수체 배치 영역의 수축이 작으며,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영역(25)이,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있어서 신체를 따르도록 평탄한 형상을 취하는 것이 불충분해져, 일회용 기저귀(10)가,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어긋나기 쉬워진다.
한편, 크로치 신축부(200a)의 신축률을 1.8배보다 크게 하면, 크로치 신축부(200a)의 수축 방향에 있어서의 수축 치수가 지나치게 커지기 때문에, 크로치 신축부(200a)가 존재하는 영역이, 신체를 따르기보다 밀착되는 상태가 되기 쉬워, 일회용 기저귀(10)가, 착용자의 하방으로 어긋나기 쉬워진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수축량은,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길이의 2%~8%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한편, 수축량은, 주름이 충분히 작아져, 샘플의 표면이 평활에 가까워지도록 신장한 상태에서의 길이 「b(㎜)」와, 샘플의 신축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자연 상태에서의 길이 「a(㎜)」의 차이며, (b-a)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길이」의 측정은, 신와 소쿠테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스프링 메저(테이프: 유리 섬유가 들어간 염화비닐 피복)를 이용해서, 측정 대상 부위를 따르도록 하여 측정한다.
본 발명자는,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수축량을,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길이의 2%~8%로 하면,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에 대하여 장착하는 과정에서, 크로치 신축부(200a)가, 바람직하게 착용자의 신체를 따르기 쉬워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수축량을, 8%보다 크게 하면, 크로치 신축부(200a)가, 지나치게 줄어들어 버려,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길이가 부족하여,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신체에 걸치기 어려워지거나, 일회용 기저귀(10) 및 착용자의 신체가, 가랑이 영역(25)에 있어서, 과도하게 밀착되어 어긋나기 쉬워진다.
한편,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수축량을, 2% 미만으로 하면,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신체에 근접시킨다고 하는 크로치 신축부(200a)의 효과 그 자체가 발현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크로치 신축부(200a)의 중심(O2)은,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중심(O1)보다, 앞 몸통 둘레 영역(20)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a)는,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중심(O1)에 걸쳐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a)는,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중심(O1)을 포함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뒤 몸통 둘레 영역(30)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길이(자연 상태)는, 앞 몸통 둘레 영역(20)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길이(자연 상태)보다 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뒤 몸통 둘레 영역(30)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길이(자연 상태)와 앞 몸통 둘레 영역(20)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길이(자연 상태)의 비율은, 1.1 이상 1.6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2 이상 1.5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율이, 1.6을 초과하면, 일회용 기저귀(10)의 배측과 등측의 밸런스가 무너져, 가랑이 영역(25)에 크로치 신축부(200a)를 따르게 한 경우에, 앞 몸통 둘레 영역(20)이 과도하게 밀착되어 버리거나, 뒤 몸통 둘레 영역(30)이 필요 이상으로 덮여져 버린다.
구체적으로는, 착용자의 신체는, 일반적으로, 하복부보다 둔부가 보다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크로치 신축부(200a)와 착용자의 가랑이부를 맞춘 후에, 전술한 비율을 전술한 범위로 함으로써, 복잡한 착용자의 신체의 형상에 대하여 일회용 기저귀(10)가 보다 적합한 형상이 된다.
즉, 치수가 부족한 부분이 생기는 것에 의한 일회용 기저귀(10)의 부분적인 당김이나, 치수가 남는 부분이 생기는 것에 의한 일회용 기저귀(10)와 신체 사이의 불필요한 간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특히, 보행 개시 전 또는 보행을 개시했을 즈음에 이용하는 유유아의 경우, 신체가 배측을 향하여 움츠린 자세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지고 있고, 그러한 자세에서는 둔부측의 피부가 신장된 상태가 되기 쉬우며, 전술한 비율을 전술한 범위로 함으로써, 이러한 자세를 취하기 쉬운 유유아의 신체에 적합한 상태가 된다.
일례를 들면,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400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자연 상태의 길이)에 대하여, 앞 몸통 둘레 영역(20)이 130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자연 상태의 길이)로 설정되고, 크로치부(200)가 80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자연 상태의 길이)로 설정되며, 뒤 몸통 둘레 영역(30)이 190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자연 상태의 길이)로 설정된다.
이 경우, 앞 몸통 둘레 영역(20)과 뒤 몸통 둘레 영역(30)의 길이(자연 상태)의 비율은, 약 1.46이다. 이러한 비율로 함으로써, 크로치 신축부(200a)뿐만 아니라,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 전체를 더욱 착용자의 신체에 따르게 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전후 방향 위치가 결정됨으로써, 착용자의 신체에 일회용 기저귀(10)가 정확히 맞아, 일회용 기저귀(10)의 디자인이 연동할 수 있게 된다고 하는 본 발명의 목적을 보다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다.
크로치 신축부(200a)가 수축한 상태는, 크로치 신축부(200a)보다 앞 몸통 둘레 영역(20)측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측의 흡수체 배치 영역에서의 비수축 상태와 비교하면 상이한 양태에 있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시키는 경우에는, 크로치 신축부(200a)를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맞춰 장착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크로치 신축부(200a)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코어(40a)의 부위가 수축한 상태에서는, 이러한 부위의 강성 또는 두께가, 다른 흡수성 코어(40a)의 부위의 강성 또는 두께와 상이하게 되기 때문에, 착용 보조자가,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영역(25)에 있어서 착용자의 가랑이부와 일치시키는 부위를 인식하기 쉬워진다.
나아가서는, 일회용 기저귀(10)의 장착 후에는, 크로치 신축부(200a)는, 착용자의 가랑이부에서 평탄한 형상을 유지하고, 일회용 기저귀(10) 그 자체가, 삼차원적인 형상이 되어,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영역(25)을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따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영역(25)과 착용자의 가랑이부가 일치하여 장착되는 것이 보다 확실해진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크로치 신축부(200a)의 중앙 위치(O2)에서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W5)(자연 상태)는,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크로치 신축부(200a)의 단부에서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W6)(자연 상태)보다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크로치 신축부(200a)의 외관으로부터 본 형상이, 예컨대 여성의 속옷의 가랑이부와 같이 잘록해진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 보조자는, 착용자에게 일회용 기저귀(10)를 입힐 때에, 크로치 신축부(200a)가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배치되도록 장착하고, 또한 장착 위치가 정확한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착용시에도, 착용 보조자에 대하여, 일회용 기저귀(10)에 크로치부(200)가 있는 것을 상기시켜, 보다 속옷에 가까운 이미지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체(40)의 가랑이 영역(25)에는, 노치부(110) 및 노치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부(110) 및 노치부(120)는, 흡수체(40)를 구성하는 흡수성 코어(40a)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노치부(110) 및 노치부(120)는, 흡수성 코어(40a)의 단위 중량이 다른 흡수성 코어(40a)의 부위보다 낮은 저강성부에 상당한다.
한편, 노치부(110) 및 노치부(120)를 형성하는 대신에, 흡수성 코어(40a)의 단위 중량을 다른 흡수성 코어(40a)의 부위보다 낮아지도록 해도 좋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치부(110) 및 노치부(120)는,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한편, 노치부(110) 및 노치부(120)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앞 몸통 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와, 가랑이 영역(25)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는,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연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 연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치부(110) 및 노치부(120)는,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으로 감에 따라,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길이(자연 상태)가 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이, 보다 줄어들기 쉬워지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에, 평탄한 「바닥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노치부(110)보다 앞 몸통 둘레 영역(20)측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 및 노치부(120)보다 뒤 몸통 둘레 영역(30)측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는, 평탄한 「바닥부」로부터 기립하여, 착용자의 신체(복부 및 둔부)의 둥그스름한 모양을 따르도록 만곡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 그 자체의 형상이 착용자의 몸의 형태에 보다 가까워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치부(110)의 앞 몸통 둘레 영역(20)측의 가장자리부 및 노치부(120)보다 뒤 몸통 둘레 영역(30)측의 가장자리부는, 원호 형상이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노치부(110)의 앞 몸통 둘레 영역(20)측의 가장자리부는, 원호의 중심이, 이러한 가장자리부보다 뒤 몸통 둘레 영역(30)측에 위치하는 것과 같은 형상이고, 노치부(120)의 뒤 몸통 둘레 영역(30)측의 가장자리부는, 원호의 중심이, 이러한 가장자리부보다 앞 몸통 둘레 영역(20)측에 위치하는 것과 같은 형상이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일회용 기저귀(10)의 착용자의 신체의 둥그스름한 모양을 따른 변형이, 보다 용이하고 또한 현저하게 일어나기 쉽다.
노치부(110)의 제품 길이 방향(L)의 앞 몸통 둘레 영역(20)측의 가장자리부는, 제1 변곡부(115)를 구성하고, 노치부(120)의 제품 길이 방향(L)의 뒤 몸통 둘레 영역(30)측의 가장자리부는, 제2 변곡부(125)를 구성한다.
한편, 제1 변곡부(115) 및 제2 변곡부(125)는, 제품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일회용 기저귀(10)의 굽힘 기점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디자인의 배치 방법>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 시트(60a)의 이면측(피부 비접촉면측(S))에는, 가랑이 영역(25)에 걸쳐 앞 몸통 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으로 연장되는 1장의 시트(61)(예컨대, 필름)가 구비되어 있고, 시트(61)의 이면측(피부 비접촉면측(S))에는, 외장 시트(6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가랑이 영역(25)에 걸쳐 앞 몸통 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으로 연장되는 영역에, 일회용 기저귀(10)의 피부 비접촉면측(S)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디자인(300a, 300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디자인(300a, 300b)은, 시트(61) 상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로치 신축부(200a)보다 앞 몸통 둘레 영역(20)측의 영역(A)에 형성되어 있는 디자인(300a)의 배치 방법 및 크로치 신축부(200a)보다 뒤 몸통 둘레 영역(30)측의 영역(B)에 형성되어 있는 디자인(300b)의 배치 방법이 상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러한 디자인(300a 및 300b), 즉, 도안이나 캐릭터 무늬나 모양이나 문자 등의 배치의 방향이나 크기나 색 등에 의해, 착용 보조자에 대하여, 전술한 영역(A)이 일회용 기저귀(10)의 앞 몸통 둘레 영역(20)측(배측)인 것을 상기시킬 수 있는 한편, 전술한 영역(B)이 일회용 기저귀(10)의 뒤 몸통 둘레 영역(30)측(등측)인 것을 상기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역(A)과 영역(B) 사이에서, 동일한 디자인(300a, 300b)이 이용되고 있고, 영역(A)에 형성되어 있는 디자인(300a) 및 영역(B)에 형성되어 있는 디자인(300b)은, 서로 180° 회전한 것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한편, 이러한 회전 각도는, 180° 이외의 각도여도 좋다.
예컨대, 이와 같이, 디자인(캐릭터 무늬)(300a 및 300b)의 배치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일회용 기저귀(10)가 장착된 후, 착용자를 배측 및 등측에서 보았을 때에, 정확한 방향으로 디자인(캐릭터 무늬)(300a 및 300b)을 보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자인(300a, 300b)의 배치 방법은, 크로치 신축부(200a)의 뒤 몸통 둘레 영역(30)측의 단부를 경계로 하여 상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a)의 앞 몸통 둘레 영역(20)측의 단부(X)를 경계로 하여 상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회용 기저귀(10)의 크로치 신축부(200a)의 기능에 의해, 착용자의 신체의 복부·가랑이부·등부와 일회용 기저귀(10)의 앞 몸통 둘레 영역(20)·가랑이 영역(25)·뒤 몸통 둘레 영역(30)이 보다 확실하게 일치해서 장착되어, 착용자의 신체의 방향에 맞춘 디자인이 배치될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10)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 보조자가, 이러한 디자인(300a 및 300b)을 기준으로 하여,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에게 장착함으로써, 착용자의 신체의 적절한 위치에, 일회용 기저귀(10)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가랑이부로부터의 누설이나 착용자의 가랑이부에서의 장착시의 위화감에 대해서 개선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명확하게 크로치부(200)가 존재하고, 이러한 크로치부(200)에 대하여 디자인이 실시되는, 즉, 이러한 크로치부(200)에 대하여 앞 몸통 둘레 영역(20)측과 뒤 몸통 둘레 영역(30)측에서 실시하는 디자인을 전환함으로써, 그 외관의 이미지를, 일회용 기저귀(10)의 이미지로부터, 속옷이나 내의에 가까운 이미지로 변화시키고, 착용 보조자에 대하여, 보다 장착감이 우수한 인상을 주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시트(61)의 제품 길이 방향(L)의 단부(E1, E2) 근방에서는, 전술한 디자인(300a, 300b)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단부(E3, E4)에는, 시트(61)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
마찬가지로, 시트(61)의 제품 폭 방향(W)의 단부(E5, E6) 근방에서는, 전술한 디자인(300a, 300b)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단부(E7, E8)에는, 시트(61)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
즉, 시트(61)는, 흡수체(40)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단부(E9, E10) 및 흡수체(40)의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단부(E11, E12)를 넘고, 또한,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단부(E3, E4) 및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단부(E7, E8)에 도달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트(61)의 단부 근방에, 디자인(300a 및 300b)을 형성하지 않고, 또한, 일회용 기저귀(10)의 단부와 겹쳐지는 위치에 시트(61)를 배치하지 않음으로써, 시트(61)에 형성한 디자인(300a 및 300b)이 일회용 기저귀(10)의 외주 단부에서 도중에 끊겨 버리는 것, 및 디자인(300a 및 300b)이 형성된 시트(61)와 일회용 기저귀(10)를 구성하는 다른 시트(부직포) 사이의 경계에서 디자인(300a 및 300b)이 도중에 끊겨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디자인(300a 및 300b)이, 시트(61)의 경계나 일회용 기저귀(10)의 단부에서 도중에 끊겨 버리는 것은, 착용 보조자가, 디자인(300a 및 300b)을 보는 경우에, 디자인(300a 및 300b)의 심미성(審美性)을 떨어뜨리고, 착용 보조자에 대하여, 일회용 기저귀(10)가 일부를 도려내고 새 것을 붙여서 만들어진 인상을 주어 버린다. 즉, 디자인(300a 및 300b)을 도중에 끊기는 일 없이 배치함으로써, 착용 보조자에 대하여, 보다 속옷에 가까운 인상을 상기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는, 흡수체(40) 전역을 커버하여 디자인(300a 및 300b)을 갖는 시트(61)가 배치되기 때문에, 배설물에 의한 흡수체(40)의 변색을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고, 보다 속옷의 인상을 사용 중에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앞 몸통 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 대응하는 영역에 있어서 디자인(300a 및 300b)이 차지하는 비율과 비교해서, 크로치 신축부(200a)가 존재하는 가랑이 영역(25)에 대응하는 영역에 있어서 디자인(300a 및 300b)이 차지하는 비율이, 보다 적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보다 착용시에 눈에 띄기 쉬운 앞 몸통 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서의 디자인이 차지하는 비율(디자인 비율)을 높임으로써, 앞 몸통 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을 강조하는 한편, 가랑이 영역(25)에서의 디자인이 차지하는 비율(디자인 비율)을 낮춤으로써, 가랑이 영역(25)을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가랑이 영역(25)이 크로치 신축부(200a)에 의해 착용자의 신체를 따르고 있는 경우에, 보다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위화감 없이 들어가 있는 인상을 줄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에서는, 가랑이 영역(25)에 배치되어 있는 크로치 신축부(200a)에 의해, 평탄한 「바닥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 보조자에 대하여, 앞 몸통 둘레 영역(20)과 가랑이 영역(25)과 뒤 몸통 둘레 영역(30)이 개별 독립되어 있는 것과 같은 인상을 준다.
따라서,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전후의 영역에서의 디자인(300a, 300b)의 배치 방법을 상이한 것으로 함으로써,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 보조자는, 디자인(300a, 300b)에 기초하여, 착용자의 신체의 적절한 위치에,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10)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에 의하면,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적절한 위치에 장착했을 때에, 착용자의 신체에 대하여, 일회용 기저귀(10)의 앞 몸통 둘레 영역(20)이나 가랑이 영역(25)이나 뒤 몸통 둘레 영역(30) 등에서의 디자인이 위화감 없이 배치되게 되어, 보다 내의 같은 인상을 줄 수 있다.
<일회용 기저귀(10)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하지 않는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기존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제조 방법은, 일례이고, 다른 제조 방법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10)의 제조 방법은, 구성 부품 형성 공정과, 구성 부품 배치 공정과, 다리 둘레 형성 공정과, 절단 공정을 적어도 포함한다.
구성 부품 형성 공정에서는, 일회용 기저귀(10)를 구성하는 구성 부품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흡수 재료를 적층하여 흡수체(40)를 성형한다.
구성 부품 배치 공정에서는, 백 시트(60a)를 구성하는 웨브 상에, 레그 신축부(75)를 구성하는 신축성 시트나, 톱 시트(50)를 구성하는 웨브 등의 다른 웨브나, 누설 방지 시트나, 흡수체(40) 등의 일회용 기저귀(10)를 구성하는 구성 부품을 배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레그 신축부(75)를 구성하는 신축성 시트를 신장시키고, 또한, MD 방향으로 변위시키면서 간헐 드럼 상에 전사하며, 간헐 드럼 상에서 개개의 제품 길이로 신축성 시트를 절단한다.
간헐 드럼의 회전에 따라 신축성 시트끼리의 간격을 형성하고, 신축성 시트를 연속하는 웨브 상에 전사한다. 이렇게 해서, 레그 신축부(75)를 곡선 형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다리 둘레 형성 공정은, 레그 신축부(75)의 MD 방향의 외측 단부를 따라, 톱 시트(50), 외장 시트(60) 및 백 시트(60a)를 절단한다. 이에 의해,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배치되는 다리 둘레 개구부(35)가 형성된다.
절단 공정에서는, 톱 시트(50)나 백 시트(60a)나 흡수체(40) 등이 배치된 연속체를, MD 방향을 따라 하나의 제품의 크기로 절단한다. 이에 의해, 일회용 기저귀(10)가 제조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에 대해서,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와의 상위점에 주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랑이 영역(25)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체(40)의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길이(W1)(자연 상태)는, 앞 몸통 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체(40)의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길이(W2, W3)(자연 상태)보다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크로치 신축부(200a)와 흡수성 코어(40a)의 폭(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길이)이 가장 좁은 부분이 겹쳐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흡수성 코어(40a)의 폭이 가장 좁은 부분 및 크로치 신축부(200a)가,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들어가고, 착용자의 가랑이부에서 일회용 기저귀(10)의 장착 위치가 결정되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신체의 적절한 위치에 장착하는 것이 보다 확실해진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에 형성되어 있는 디자인(400)은,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만곡된 라인(400)이다.
여기서, 한 쌍의 라인(400)끼리의 간격(W4)은, 크로치 신축부(200a)에서 가장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라인(400)끼리의 간격(W4)은,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앞 몸통 둘레 영역(20)측의 단부(제1 변곡부(115))에서 가장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에 의하면,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한 쌍의 라인(400)끼리의 간격(W4)에 대해서, 크로치 신축부(200a)에서 가장 좁아지도록 하고, 크로치 신축부(200a)를 경계로 앞 몸통 둘레 영역(20)측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측을 향하여 넓어지도록 함으로써, 크로치 신축부(200a)가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배치하는 요소인 것을, 보다 사용자에게 상기시킬 수 있고, 크로치 신축부(200a)를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맞춰 장착할 수 있으며, 착용시에는, 명확하게 크로치부(200)가 존재하는 것을 착용 보조자에게 상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에 대해서,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와의 상위점에 주목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에서는, 크로치 신축부(200a)에 걸쳐 제품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 영역(510) 내의 앞 몸통 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에 있어서, 주요 무늬(500a 및 500b)가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품 자연 상태에 있어서, 크로치 신축부(200a)는, 제품 폭 방향(W)의 중심선(O)에 걸쳐 좌우 대칭이어도 좋고, 제품 폭 방향(W)의 중심선(O)을 경계로 하여, 크로치 신축부(200a)의 좌우의 폭의 차가 10% 이내로 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에 의하면, 크로치 신축부(200a)가, 착용자의 신체의 중심에 걸쳐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장착되는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a)로부터 연장되는 가상 영역(510) 내에, 다른 디자인보다 눈을 끄는 주요 무늬(예컨대, 보다 큰 도안이나 캐릭터 무늬나 문자나 다른 부위와 상이한 색의 도안이나 캐릭터 무늬나 문자·모양)(500a 및 500b)를 배치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10)의 앞 몸통 둘레 영역(20)측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측의 중심 및 착용자의 몸의 중심(앞 몸통 둘레 영역(20)은, 배꼽 부근에 대응하고, 뒤 몸통 둘레 영역(30)측은, 등뼈 부근에 대응한다)에, 주요 무늬(500a 및 500b)를 맞추는 것을 상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착용 보조자에 대하여, 일회용 기저귀(10)의 크로치부(200)와 앞 몸통 둘레 영역(20)과 뒤 몸통 둘레 영역(30)이 각각 명확하게 존재하는 것을 상기시키고, 보다 속옷에 가까운 인상을 주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에 있어서, 크로치 신축부(200a)에 걸쳐, 일회용 기저귀(10)의 앞 몸통 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 둘레 영역(30)으로 연장되는 라인 무늬(600)가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라인 무늬(6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품 폭 방향(W)의 중심선(O)에 대략 평행하게 복수 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크로치 신축부(200a)에 의해, 착용자의 신체의 가랑이부나 복부나 등부의 위치와,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의 위치를 맞출 수 있는 것에 더하여, 이러한 라인 무늬(600)에 의해, 착용자의 가랑이부에서의 좌우의 중심 위치와,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폭 방향(W)의 위치를 맞출 수 있다.
이상, 전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분명하다.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양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하여 조금도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12-218839호(2012년 9월 28일 출원)의 모든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디자인을 기준으로 하여, 착용자의 신체에서의 적절한 위치에 장착할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할 수 있다.
10: 일회용 기저귀 20: 앞 몸통 둘레 영역
25: 가랑이 영역 30: 뒤 몸통 둘레 영역
35: 다리 둘레 개구부 40: 흡수체
40a: 흡수성 코어 40b: 코어 랩
50: 톱 시트 60a: 백 시트
60: 외장 시트 61: 시트
70: 사이드 플랩 75: 레그 신축부
80: 레그 사이드 개더 81: 접합 부분
82: 자유단 부분 90: 패스닝 테이프
95: 타겟부 100: 웨이스트 신축부
110, 120: 노치부 115: 제1 변곡부
125: 제2 변곡부 200: 크로치부
200a: 크로치 신축부 300a, 300b, 400: 디자인
500a, 500b: 주요 무늬 600: 라인 무늬

Claims (8)

  1. 앞 몸통 둘레 영역과, 뒤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가지며,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랑이 영역에 걸쳐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는 흡수체를 구비하며,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으로 향하는 제품 길이 방향과, 상기 제품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제품 폭 방향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가랑이 영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 내에 형성되며, 신축 가능한 크로치 신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랑이 영역에 걸쳐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으로 연장되는 영역에,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디자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측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디자인의 배치 방법 및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측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디자인의 배치 방법은, 상기 크로치 신축부의 앞 몸통 둘레 영역측의 단부 또는 상기 크로치 신축부의 뒤 몸통 둘레 영역측의 단부를 경계로 하여 상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상기 피부 비접촉면측에, 외장 시트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외장 시트와 상기 흡수체 사이에, 상기 가랑이 영역에 걸쳐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으로 연장되는 시트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는, 상기 흡수체의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 및 상기 흡수체의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를 넘고, 또한,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 및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도달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디자인은, 상기 시트의 제품 길이 방향의 단부 및 상기 시트의 제품 폭 방향의 단부보다 내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의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 근방 및 상기 시트의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 근방에는, 상기 디자인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치 신축부에 걸쳐 상기 제품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 영역 내의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중 주요 무늬가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치 신축부는, 상기 제품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품 폭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웨이스트 신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흡수체는,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다른 부위보다 단위 중량이 낮거나 또는 흡수성 코어가 존재하지 않는 저강성 영역을 가지며,
    상기 웨이스트 신축부는,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평면에서 보아, 상기 저강성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와 겹쳐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저강성 영역의 폭은, 상기 흡수체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측의 단부로 향함에 따라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치 신축부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수축량은,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의 2%~8%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와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의 비율은, 1.1 이상 1.6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크로치 신축부의 중앙 위치에서의 상기 제품 폭 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크로치 신축부의 단부에서의 상기 제품 폭 방향의 길이보다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KR1020147032417A 2012-09-28 2013-09-27 일회용 기저귀 KR1021825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18839A JP5249458B1 (ja) 2012-09-28 2012-09-28 使い捨ておむつ
JPJP-P-2012-218839 2012-09-28
PCT/JP2013/076399 WO2014051105A1 (ja) 2012-09-28 2013-09-27 使い捨ておむ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961A KR20150063961A (ko) 2015-06-10
KR102182564B1 true KR102182564B1 (ko) 2020-11-24

Family

ID=49041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2417A KR102182564B1 (ko) 2012-09-28 2013-09-27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016316B2 (ko)
EP (1) EP2901982B1 (ko)
JP (1) JP5249458B1 (ko)
KR (1) KR102182564B1 (ko)
CN (1) CN104619289B (ko)
AR (1) AR092706A1 (ko)
AU (1) AU2013320887B2 (ko)
SA (1) SA515360201B1 (ko)
TW (1) TWI598080B (ko)
WO (1) WO20140511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91212B2 (ja) 2012-02-07 2013-09-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放型使い捨ておむつ
JP6355499B2 (ja) * 2014-09-25 2018-07-11 花王株式会社 展開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6389814B2 (ja) * 2015-10-01 2018-09-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展開型おむつ、及び、展開型おむつの装着方法の説明方法
JP6427511B2 (ja) * 2016-02-01 2018-11-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の着用状態の評価方法、使い捨ておむつの着用状態の評価システム、及び、使い捨ておむつの着用状態を評価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6783608B2 (ja) * 2016-09-29 2020-11-11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紙おむつ
JP6322754B1 (ja) * 2017-07-28 2018-05-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及び、使い捨ておむつのパッケージ
ES2884136T3 (es) * 2018-04-05 2021-12-10 Drylock Tech Nv Artículo absorbente con núcleo absorbente reducido
JP3218598U (ja) * 2018-08-14 2018-10-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11998427B2 (en) 2018-09-27 2024-06-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woven webs with visually discernible patterns
BR112021011930A2 (pt) * 2018-12-17 2021-09-08 Dsg Technology Holdings Ltd. Núcleos absorventes com encaixe e absorvência melhorados
US11065165B2 (en) * 2019-08-24 2021-07-20 David Hairabedian Child sanitary napkin method and apparatus
JP7433862B2 (ja) * 2019-11-27 2024-02-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3000グラム以下の低体重児用展開型使い捨ておむ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2521A (en) 1986-04-11 1988-08-09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garment with quilted and conformable absorbent pad
JP2003199791A (ja) 2002-01-07 2003-07-15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36515A (ja) 2006-11-30 2008-06-19 Oji Nepia Kk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08253289A (ja) 2007-03-30 2008-10-23 Daio Paper Corp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11147516A (ja) 2010-01-19 2011-08-04 Unicharm Corp 使い捨て着用物品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9067B2 (en) * 1999-11-22 2005-02-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refastenable side seams
US20030158532A1 (en) 2002-02-20 2003-08-21 Magee Luke 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designed to facilitate an easy intuitive change
US20050065489A1 (en) * 2003-09-24 2005-03-24 Driskell Stacy J. Disposable Absorbent Artcle with Wetness Indicator
JP4439425B2 (ja) * 2005-03-30 2010-03-2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986461B2 (ja) * 2006-01-26 2012-07-25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4912902B2 (ja) 2007-01-31 2012-04-11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紙おむつ
JP5027525B2 (ja) 2007-02-22 2012-09-19 白十字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2010284430A (ja) * 2009-06-15 2010-12-24 Oji Nepia Co Ltd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シート切断装置
US20120173249A1 (en) * 2010-12-30 2012-07-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Integrated Machine Readable Cod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2521A (en) 1986-04-11 1988-08-09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garment with quilted and conformable absorbent pad
JP2003199791A (ja) 2002-01-07 2003-07-15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36515A (ja) 2006-11-30 2008-06-19 Oji Nepia Kk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08253289A (ja) 2007-03-30 2008-10-23 Daio Paper Corp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11147516A (ja) 2010-01-19 2011-08-04 Unicharm Corp 使い捨て着用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16316B2 (en) 2018-07-10
EP2901982B1 (en) 2018-03-21
JP5249458B1 (ja) 2013-07-31
CN104619289B (zh) 2017-03-08
TW201438684A (zh) 2014-10-16
AR092706A1 (es) 2015-04-29
EP2901982A1 (en) 2015-08-05
US20150238367A1 (en) 2015-08-27
EP2901982A4 (en) 2016-06-08
KR20150063961A (ko) 2015-06-10
AU2013320887B2 (en) 2018-02-22
SA515360201B1 (ar) 2016-11-21
TWI598080B (zh) 2017-09-11
JP2014068936A (ja) 2014-04-21
AU2013320887A1 (en) 2015-02-12
CN104619289A (zh) 2015-05-13
WO2014051105A1 (ja) 201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2564B1 (ko) 일회용 기저귀
JP5291214B1 (ja) 使い捨ておむつ
JP5255150B1 (ja) 使い捨ておむつ
JP5291238B1 (ja) 使い捨ておむつ
JP6181407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102153151B1 (ko) 일회용 기저귀
JP5255163B1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150090098A (ko) 일회용 기저귀
CN104306109A (zh) 一次性尿布
JP6200677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101453251B1 (ko) 일회용 기저귀
JP5140374B2 (ja) 吸収性着用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315291B1 (ko) 일회용 기저귀
JP6118647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6240411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150067087A (ko) 일회용 기저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