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170974B1 - 영수증 인쇄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객관리를 위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수증 인쇄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객관리를 위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974B1
KR102170974B1 KR1020200037851A KR20200037851A KR102170974B1 KR 102170974 B1 KR102170974 B1 KR 102170974B1 KR 1020200037851 A KR1020200037851 A KR 1020200037851A KR 20200037851 A KR20200037851 A KR 20200037851A KR 102170974 B1 KR102170974 B1 KR 102170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ne number
affiliated store
reward
store terminal
receip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폰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폰지
Priority to KR1020200037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9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97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4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9Specified transaction journal output feature, e.g. printed receipt or voice outpu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영수증 인쇄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객관리를 위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결제 이벤트가 발생한 후 영수증 인쇄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경우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영수증 인쇄 프로세스에 포함된 영수증 데이터와 매핑하여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을 등록하는 등록부,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에서 결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영수증 인쇄 프로세스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영수증 인쇄 프로세스가 완료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에서 전화번호가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전화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영수증 데이터를 전화번호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전화번호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의 리워드를 발급하여 메세지로 전달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수증 인쇄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객관리를 위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REWARD ACCUMULATING SERVICE USING MONITORING OF PRINING RECEIPT FOR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본 발명은 영수증 인쇄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객관리를 위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화번호만으로 스탬프를 적립하고 조건을 만족하는 고객에게 쿠폰을 전송하며 이탈고객을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현대의 마케팅 이론에서는 근시안적이고 지속적이지 않기 때문에 단기 수익 극대화와 같은 단기적 성과 지향전략을 비판하고, 고객과의 장기적 관계를 유지하여 지속적으로 장기적 수익을 확보하고자 하는 관계 마케팅과 같은 장기적 성과 지향 전략을 옹호하여 왔다. 마케팅 이론에서의 이러한 주장은 마케팅의 목표가 기업의 장기적 수익성을 반영하는 기업 가치의 향상에의 공헌으로 변화되면서 더욱 강조되어 왔고, 이러한 흐름에 있는 연구들은 기업이 고객과의 관계를 창조하기 위해 투자함으로써 수익이 줄어들 수 있지만, 이 투자들이 고객들에게 반복적 거래를 유도하고 기업과의 장기적 관계를 유지할 유인을 제공하여, 결국에는 기업의 장기적 수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론적 바탕에도 불구하고 마케팅의 실무적 측면에서는 일반적인 마케팅 이론과 일치하지 않는 현상이 존재하고 있으며, 특히 개인 및 소상공인의 경우 마케팅 비용에 투자할 여력이 없고 투자한다고 할지라도 성과가 나타나지 않아 답보상태에 빠져있다.
이때, 스마트폰 및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고객 및 마일리지를 관리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339930호(2013년12월10일 공고)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3-0075040호(2013년07월05일 공개)에는, 종이 쿠폰을 대체하도록 모바일 마일리지를 이용하고, 업체별로 모바일 마일리지를 이용하도록 구성되고, 할인쿠폰 또한 모바일 기반으로 수신하여 이용하는 구성과, 가맹점에서 호 발신이 존재할 때마다 마일리지나 쿠폰을 포함하는 리워드를 문자메세지로 전송하도록, 고객의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쿠폰 적립 계정을 생성 및 관리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을 이용한다고 할지라도, 할인쿠폰을 발급하고 고객을 관리하기 위한 식별자가 요구되는데, 이러한 식별자는 일련의 번호, 바코드 또는 QR 코드 형태로 고객을 식별하게 되므로 고객이 번호를 암기하거나 바코드를 보여주는 방식으로 결제 시간을 증가 및 대기 시간을 지연시킨다. 또,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쿠폰을 전송한다고 할지라도 하루에도 수 개 또는 수 십개씩 오는 문자메세지 중 쿠폰을 일일이 찾아서 사용하는 것조차 불편 수준을 넘어 불가능한 상황에 이르렀다. 이에, 사용자나 가맹점주의 개입 및 인프라의 증축 없이도 용이하게 고객을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결제 이벤트가 발생한 후 인쇄 프로세스를 모니터링하고, 인쇄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리워드인 스탬프를 전화번호를 기준으로 매핑하여 저장하고, 이와 동시에 전화번호로 적립 스탬프를 문자메세지로 전송함으로써, 각 가맹점에서는 추가적인 장비의 구입이나 투자없이도 고객의 로열티를 유도할 수 있고, 고객은 카드나 QR 코드의 휴대없이도 적립이 가능하며 그 결과까지 문자메세지로 즉시 받아볼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증대되며, 장기간 이탈고객에게는 쿠폰을 전송하여 다시 가맹점으로 복귀할 수 있는 마케팅이 가능하고, 장기적 성과지향 전략 및 단기적 성과지향 전략을 모두 가지는 고객관계관리를 수행할 수 있어 과잉 투자와 그로 인한 수익악화의 가능성을 제로화할 수 있는, 영수증 인쇄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객관리를 위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결제 이벤트가 발생한 후 영수증 인쇄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경우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영수증 인쇄 프로세스에 포함된 영수증 데이터와 매핑하여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을 등록하는 등록부,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에서 결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영수증 인쇄 프로세스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영수증 인쇄 프로세스가 완료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에서 전화번호가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전화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영수증 데이터를 전화번호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전화번호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의 리워드를 발급하여 메세지로 전달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결제 이벤트가 발생한 후 인쇄 프로세스를 모니터링하고, 인쇄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리워드인 스탬프를 전화번호를 기준으로 매핑하여 저장하고, 이와 동시에 전화번호로 적립 스탬프를 문자메세지로 전송함으로써, 각 가맹점에서는 추가적인 장비의 구입이나 투자없이도 고객의 로열티를 유도할 수 있고, 고객은 카드나 QR 코드의 휴대없이도 적립이 가능하며 그 결과까지 문자메세지로 즉시 받아볼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증대되며, 장기간 이탈고객에게는 쿠폰을 전송하여 다시 가맹점으로 복귀할 수 있는 마케팅이 가능하고, 장기적 성과지향 전략 및 단기적 성과지향 전략을 모두 가지는 고객관계관리를 수행할 수 있어 과잉 투자와 그로 인한 수익악화의 가능성을 제로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수증 인쇄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객관리를 위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수증 인쇄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객관리를 위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수증 인쇄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객관리를 위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리워드의 적립은 리워드의 발급이나 쿠폰의 발급을 포함하며, 각종 이벤트, 홍보 및 광고에 따른 혜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수증 인쇄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객관리를 위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수증 인쇄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객관리를 위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영수증 인쇄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객관리를 위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영수증 인쇄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객관리를 위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리워드 적립 결과를 문자 메세지 또는 메신저 메세지를 통하여 수신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이탈고객 또는 타겟고객으로 추출된 경우, 쿠폰 등의 정보를 문자 메세지 또는 메신저 메세지를 통하여 수신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영수증 인쇄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객관리를 위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을 등록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결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영수증 인쇄 프로세스를 모니터링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영수증 인쇄 프로세스가 완료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전화번호를 입력받도록 제어하는 서버일 수 있고, 전화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전화번호로 적립된 리워드, 예를 들어, 적립된 스탬프의 현황을 포함하는 메세지를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설정한 조건 또는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300) 자체에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의 쿠폰 등의 정보를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전화번호를 기준으로 적립된 리워드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고, 영수증 인쇄 프로세스 또는 결제일시를 기준으로 구매 또는 주문한 상품의 리스트를 매핑하여 저장하고, 고객관계관리를 수행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영수증 인쇄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객관리를 위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가맹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엑세스권을 부여하고, 결제 이벤트가 발생한 후 영수증 인쇄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경우, 결제일시 또는 영수증 인쇄 프로세스에 포함된 영수증 데이터를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스탬프 또는 쿠폰 조건을 설정하여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업로드할 수 있고, 타겟고객 정보를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등록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POS(Point of Sale),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OS(Point of Sale),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수증 인쇄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객관리를 위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등록부(310), 모니터링부(320), 제어부(330), 저장부(340), 전송부(350), 이탈고객관리부(360), 리워드인쇄부(370) 및 마케팅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 영수증 인쇄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객관리를 위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영수증 인쇄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객관리를 위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등록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을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신청하기 위하여 신청 및 등록 데이터를 등록부(310)로 전송할 수 있고, 매장의 위치, 로고, 사진, 메뉴, 상품, 타겟고객, 리워드 적립 조건, 이탈고객 선정조건 등을 등록 및 설정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결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영수증 인쇄 프로세스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결제 이벤트는 오프라인 결제 및 온라인 결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피를 직접 매장에서 구매하는 경우도 존재하지만, 온라인을 통하여 배달을 주문하거나 미리 만들어놓기를 주문하는 경우도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결제 이벤트가 발생한 후 영수증 인쇄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경우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영수증 인쇄 프로세스에 포함된 영수증 데이터와 매핑하여 전달할 수 있고, 영수증 인쇄 프로세스를 모니터링한 결과값에 전화번호가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온라인 주문 또는 배달인 경우 별도의 전화번호 입력없이 바로 전화번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백그라운드 모드(Background Mode)로 결제 이벤트 및 영수증 인쇄 프로세스의 모니터링을 위한 웹트래픽 모니터링 엑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음식배달 중개 애플리케이션, 웹페이지, 앱페이지 또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수신되는 주문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주문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 결제를 위해서는 현금인 경우를 제외하면 신용카드사 또는 VAN 사로 승인을 요청하고 승인을 받는 과정이 존재하는데, 이렇게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발생하는 데이터 송수신을 일컫는다. 트래픽은 데이터 송수신과 동일한 의미로 정의한다.
제어부(330)는, 영수증 인쇄 프로세스가 완료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전화번호가 입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POS 프로그램을 변경하거나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화면 또는 키패드만을 더 추가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개인정보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개인정보관리자를 사이트마다 두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화번호 이외의 고유식별부호는 수집되지 않으므로 전화번호를 제외한다면 나머지는 통계적 데이터에 불과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개인정보관리자의 인력손실을 줄이고 개인정보유출의 가능성도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소비자(고객, 사용자) 또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바코드를 찾아서 출력하거나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없으므로 극대화된 편의성 및 높아진 감성품질을 경험할 수 있다.
이때, HTML5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을 더 추가할 수 있는데, 여기서, HTML5는, 웹문서 표준인 HTML(Hyoer Text Markup Language)의 최신 규격으로 문서 작성 중심에서 그림, 동영상, 음악 등을 실행하는 기능이 포함되었다. HTML5는 플러그인 기반의 액티브 엑스(Active-X), Flash 와 같이 프로그램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발생한 문제는 대부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이때, 종래의 HTML 표준과 HTML5의 가장 큰 차이점은 시맨틱 마크업을 지원하는 점과 추가적인 API를 제공하는 점이다. 시맨틱 마크업은 웹 문서를 의미적으로 구조화 할 수 있는 새로운 요소이다. 예를 들어, 문서의 내용을 머리말, 본문, 꼬리말로 구분할 수 있도록 <head>, <section>, <footer> 라는 요소로 문서를 작성하게 되면, 문서의 내용을 구조적으로 명확히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HTML5에서는 다양한 API를 제공한다. HTML5에서 제공하는 API는 2차원 그래픽을 지원하거나, 디바이스의 지리적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는 등 웹 애플리케이션에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HTML5는, 웹 페이지를 만들 때 사용이 되는 마크업 언어로 하이퍼링크와 텍스트로 표시하던 HTML을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까지 표현하고 제공할 수 있다. HTML5는 웹 문서 구조 설계를 위한 마크업 언어인 HTML, 디자인 표현을 위한 CSS, 인터랙티브한 동작을 표현하기 위한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기존의 HTML의 태그에 새로운 태그들이 더 추가될 수 있으며, 콘텐츠들을 담기 위한 구조로 개선되어 플랫폼의 역할까지도 수행할 수 있다. 또, HTML5는 모바일 웹을 위한 표준은 아니지만, 앞서 설명한 여러 기능 중에서 모바일 웹의 구현에 필요한 기능들을 다수 제공해 주고 있다. 2차원 그래픽, 오디오, 다양한 웹 폼 등은 모바일 웹의 UI(User Interface)를 풍부하고 다양하게 해줄 수 있다. 즉, 모바일 웹 환경에서도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동적인 상호작용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모바일 웹 환경에서는 모바일 환경의 특성상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는 환경이 자주 발생하지만, 이러한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있는 것이 웹 클라이언트의 캐시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거나 로컬에 DB를 저장하여 SQL문으로 질의할 수 있다.
또는, SaaS(Software as a Servcie)를 이용할 수도 있는데, SaaS는 인터넷 어디에서든 쉽게 이용할 수 있고, 웹브라우저만 있으면 어디서든 접근할 수 있다. 이때, 가맹점의 요구사항에 따라 BaaS(Backend as a Service)를 더 추가할 수도 있다. 물론, 인프라나 플랫폼 자체가 구비되지 않은 가맹점의 경우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로 서버 운영에 필요한 서버자원, IP, Network, Storage, 전력 등 여러 인프라 자원을 탄력적이고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IaaS는 자원을 쉽게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으며 운영체제를 제공하므로 친숙한 환경이 주어질 수 있다. 또, PaaS(Platform as a Service)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안정적인 환경과 그 환경을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API까지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PaaS는 간편하게 원시코드를 빌드 및 배포할 수 있으며 사용량에 따라 스케일 아웃(Scale Out)을 하기 용이하다. BaaS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서비스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기 힘든 회원관리 및 푸시, 파일 처리 등 서버 측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PaaS의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고 제공되는 백앤드 모듈을 REST API나 라이브러리 CALL을 통해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저장부(340)는, 전화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영수증 데이터를 전화번호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디스플레이 및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로부터 전화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물론, 전화번호가 변경되는 경우도 존재하므로, 자동으로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를 리딩 및 로딩하고, 이를 기준으로 적립할 수도 있다. 자주 가는 매장이 아닌 경우에는 전화번호가 변경된 경우가 존재하고, 전화번호가 변경될 때마다 계속하여 입력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때, IMEI를 리딩할 때 전화번호까지 함께 무선으로 리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고객의 사용자 단말(100)은 NFC 태그에 IMEI와 전화번호를 로딩해두고 엑세스를 허용해야 하고, 가맹점 단말(400)은 NFC 태그 리더기를 설치해야 한다.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100)의 초기 세팅 및 설정이 요구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초기 세팅 및 설정은 사용자가 직접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및 실행하지 않아도, 저장부(340)에서 사용자가 엑세스 허용만 하면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될 수도 있다. 또는, NFC의 개입없이도, 사용자 단말(100)의 GPS 신호와 가맹점 단말(400)의 위치가 일치하는 경우, 본 발명의 플랫폼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IMEI를, 사용자 단말(100)에서 가맹점 단말(400)과 연결된 WIFI의 AP(Access Point)로 전송하도록 하고, 가맹점 단말(400)은 이를 수집하여 사용자를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100)은 출력된 승인 버튼만 누르는 것으로도 전화번호 11자리를 누르는 것을 대체할 수도 있다.
전송부(350)는, 전화번호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의 리워드를 발급하여 메세지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리워드는 적립형 스탬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번 주문에 1 개의 스탬프 발행, 10 개 스탬프를 모으면 1 개 상품 또는 메뉴 무료 등의 조건이 설정되었다면, 1 번 주문시마다 스탬프를 발행할 수 있다. 리워드는 스탬프, 쿠폰, 포인트, 복권 등을 모두 포함하는 상위 개념으로 정의한다. 이때, 메세지는 SMS, MMS와 같은 CS 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메세지와, 메신저의 메세지와 같은 LTE 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메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객은 일일이 본인이 체크하지 않아도, 결과만 통보받는 입장이므로, 고객이 무엇을 하거나 챙기지 않아도 자동으로 적립된 결과를 빠르게 보고받을 수 있음과 동시에 몇 개의 스탬프를 더 모으면 공짜상품 또는 메뉴를 받을 수 있는지 계속하여 리마인더받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구매유도가 가능하다.
이탈고객관리부(360)는, 전화번호에 매핑되어 저장된 리워드의 발급일자로부터 기 설정된 주기 또는 기간을 도과한 경우, 발급일자가 기 설정된 주기 또는 기간을 도과한 전화번호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의 쿠폰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주기가 한 달이라면 한 달동안 아무 주문 또는 구매가 없던 사용자에게 쿠폰을 제공하여 회귀 및 구매를 유도하는 것이다. 이때, 쿠폰의 종류가 다양하고 많은 경우, 적용되는 상품이 서로 다를 수 있고, 만약 사용자가 사고싶지도 않은 상품인 경우 쿠폰의 효과 및 복귀유도의 효과는 제로로 떨어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을 분석하여 원하는 상품을 샀을 때 사은품을 주거나 할인을 해주는 쿠폰이 유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구매 히스토리를 분석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전화번호를 기준으로 고객의 정보인 구매 히스토리가 영수증 데이터로부터 추출 및 누적되었으므로 사용자의 성별, 거주지, 직업 등은 알 수 있지만, 구매 히스토리로부터 가장 중요한 취향 정보를 알 수 있다. 단순하게는, 고객 A가, B-C-D-B-C-D 패턴으로 한 달 간격으로 주문을 하다가 세 달이 넘게 주문이 없었다고 가정하면, B를 주문할 차례이므로 B에 대한 할인쿠폰을 전송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주문 또는 구매할 일이 없는데 쿠폰을 보내는 경우, 스팸으로 전락해버릴 가능성이 높으므로, 시기적절하게 출력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이탈고객관리부(360)는, 구매 시점을 예측할 수 있는데, 데이터에서 모든 발생 주체에 대해 이러한 패턴을 분석하고 다음 행동을 예측하는 유사주기 패턴 분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유사주기 패턴은 그 특징에 따라 시간 유사주기 패턴, 미발생 유사주기 패턴, 복합 유사주기 패턴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시간 허용치(Time tolerance) 라는 개념을 도입해서 시간 유사주기 패턴을 탐색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거나, 사건 미발생 허용치(Event Skipping Threshold)라는 개념을 도입해서 미발생 유사주기 패턴을 탐색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는, 분류된 각각의 패턴을 표현하는 패턴 표현형을 정의하고 이 표현형을 이용해 시간 데이터베이스에서 각 구매의 발생 시점을 추적하여 구매의 모든 유사주기를 탐색할 수도 있고, 이를 적용하여 각 고객이 제품을 구매하는 주기적 패턴을 탐색할 수도 있다. 이를 이용해 쉽게 고객의 다음 구매시점 예측이 가능하며, 특정 제품이 필요한 시기 및 양을 예측함으로써 쿠폰을 보내는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주기 패턴은 크게 완전주기 패턴과 유사주기 패턴으로 분류해 볼 수 있다. 완전주기 패턴이란 현상이 정확한 시간 간격으로 발생하는 경우를 말한다. 그에 비해 유사주기 패턴은 현상의 발생 시간 간격에 오차가 있거나, 발생해야 할 시점에 발생하지 않거나 둘 다인 경우를 말한다. 유사주기 패턴은 이러한 특징에 따라 시간 유사주기 패턴, 미발생 유사주기 패턴, 복합 유사주기 패턴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렇게 분류한 주기 패턴의 성질을 주기 표현형을 사용해 축약하여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개 현상의 완전주기 패턴은 현상이 처음 발생한 시점, 발생 간격, 최근에 발생한 시점의 정보로 표현형을 정의할 수 있다. 시간 유사주기 패턴은 발생 간격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각 구매 사이 발생 간격의 평균을 주기 폭으로 사용할 수 있고, 반대로 각 발생 간격들의 차이가 너무 심할 경우에는 해당 현상이 주기적인 패턴을 가진다고 할 수 없다고 정의한다. 이에 따라, 발생 간격들의 편차가 허용치를 초과할 경우 주기 패턴으로 인정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발생 간격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완전주기 패턴 표현에서와 같이 현상이 출현한 횟수를 정확히 알 수 없어서 이를 주기 표현에 추가한다. 따라서, 시간 유사주기 패턴의 주기 표현형을 상술한 파라미터로 정의할 수 있고, 미발생 유사주기 패턴의 경우 완전주기 패턴이 미발생 횟수를 추가하여 표현형을 정의할 수 있다. 복합 유사주기 패턴은 시간 유사주기 패턴과 미발생 유사주기 패턴을 통합하여 표현형을 정의할 수 있다. 복합 유사주기 패턴의 표현형이 다른 모든 유형의 주기 패턴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실제 구현에서는 복합 유사주기 패턴의 표현형을 사용할 수 있다.
덧붙여서, 쿠폰이 고객의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되었다고 할지라도, 이를 사용자가 찾지 못하거나 시간이 없는 경우에는 무용지물이 된다. 이에 따라, 이탈고객관리부(360)는, 쿠폰을 발행한 가맹점의 위치와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가 동일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서 이미 메세지로 받은 쿠폰이 자동으로 화면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리워드인쇄부(37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발생한 결제 이벤트가 배달 페이지에서 발생한 결제 이벤트인 경우, 배달 페이지로부터 주문자의 전화번호를 리딩(Reading) 및 로딩(Loading)한 후 영수증 인쇄 프로세스가 진행될 때 적립된 리워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배달 페이지에는 전화번호 또는 안심번호가 기재되게 되는데, 안심번호는 매번 바뀌는 번호이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하면 스탬프가 제대로 쌓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리워드인쇄부(370)는, 전화번호를 독출하고 영수증이 인쇄될 때, 해당 고객이 몇 개의 스탬프를 쌓았는지를 영수증에 함께 인쇄하도록 가맹점 단말(4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온라인 주문, 예를 들어, 배달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수신된 주문과 같은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바로 전화번호 독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직원 또는 점주는, 가맹점 단말(400)에 어떠한 입력을 하지 않아도 리워드 자동 적립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주문을 한 소비자는 본 발명의 플랫폼에서 리워드를 적립할 수 있고, 프린터로 바로 인쇄되어 배달이 되기 때문에 이를 즉시 인지할 수 있으며, 그 전에라도 사용자 단말(100)로 바로 메세지가 전송되므로 더 빠르게 인지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예로 안심번호로 적립여부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한 다음 적립을 원하는 경우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해당 번호로 리워드를 적립할 수도 있다.
마케팅부(380)는, 영수증 데이터에 포함된 상품 리스트 및 결제일시를 전화번호를 기준으로 저장하고, 고객 데이터를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기 설정한 타겟 고객 조건과 일치하는 경우, 쿠폰 또는 할인 정보가 포함된 메세지를 전화번호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타겟 고객 조건은, 상술한 바와 같이 패턴을 분석한 결과로 시기가 예측된 고객 또는 장기간 구매이력이 없어 이탈회원으로 분류된 고객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 고객관계관리(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관점에서 SVM(Support Vector Machines)을 이용하여 구매할 물품이나 메뉴를 예측하고, 이에 대응하는 쿠폰을 전송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SVM은 데이터로부터 분류와 규칙을 학습하기 위한 훈련 알고리즘으로, 통계적 학습 이론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다만, 일반적인 통계적 학습방법에서의 경험적 리스크 최소화(Empirical Risk Minimize)와는 다른 구조적 리스크 최소화(Structural Risk Minimize)를 통해 오류를 최소화시키는 방법을 이용한다. SVM에서, 훈련데이터들을 서로 다른 두 개의 클래스로 분류할 때 기준이 되는 분리경계면(Hyperplane)을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찾는 것이 목표이다. 즉, SVM의 목적은 학습자료로 주어진 N 차원의 벡터공간에서 분류공간 간에 모든 점들 사이의 거리를 최대화하도록 만들어 하나의 평면을 구해내는 것인데, 이 선형 평면 분류 경계면을 OSH(Optimal Separating Hyperplane)라고 하며, OSH에 가장 가까운 점들을 서포트 벡터(Support Vector)라고 부른다. N 차원의 OSH는 N 차원 방향벡터 W와 기준 벡터 b로 WX+b=0를 만족하는 점들의 집합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원리의 SVM은 입력 벡터를 고차원(High Dimensional)의 특징공간(Feature Space)으로 이동시켜(Mapping) 분리 경계가 매우 복잡한 문제를 선형판별함수의 사용이 가능한 단순한 문제로 변화시키기 때문에, 수학적 분석이 수월하고 조정해야 할 모수(Parameter)의 수가 많지 않아 비교적 간단하게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규명할 수 있다. 구조적 위험을 최소화함으로써 과대적합문제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볼록함수를 최소화하는 학습을 진행하기 때문에 전역적 최적해(Global Optima)를 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신경망보다 성능이 우수하다. 이를 이용하는 경우, 마케팅부(380)는 영수증 인쇄 프로세스에서 추출한 영수증 데이터와 입력된 전화번호를 기준으로 LIBSVM에 적용가능한 텍스트 파일로 변환하고, 학습용 데이터 셋에 의해 생성된 모델이 검증용 데이터 셋의 임의의 상품에 대한 구매 여부를 얼마나 정확하게 분류 및 예측하는지를 판단하고, 예측도가 높은 상품을 추출하여 해당 상품을 구매할 때 사용할 쿠폰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가맹점 등록을 받고, (b) 가맹점 단말(400)에서 결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영수증 인쇄 프로세스를 모니터링하며 전화번호를 입력받도록 함으로써 전화번호를 기준으로 리워드를 적립할 수 있다. 또, (c) 수집된 구매 히스토리는 가맹점의 위치, 결제일시, 상품명 또는 메뉴명을 전화번호를 기준으로 저장하고, 이를 고객의 다음 구매 상품이나 메뉴 또한 일시도 예측을 하게 되고, (d) 이탈 고객, 우수 고객, 타겟 고객 등에게 예측한 일시에 구매가 예측된 상품에 대한 쿠폰을 전송하는 방법으로 CRM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가 구현되는 화면인데,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는, 고객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타겟 고객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도 4b를 참조하면, 고객과 점주 모두 인프라의 증축이나 투자, 고객 멤버쉽 카드나 바코드를 이용하지 않고도 전화번호만 입력하면 간단하게 스탬프(리워드)가 적립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플랫폼 자체에 저장되는 것 이외에도, 결제 즉시 전화번호를 입력한 사용자 단말(100)로 스탬프 적립 현황이 메세지를 통하여 전송되게 되므로, 사용자는 간편하게 결과만 보고받을 수 있으며 회원에 가입할 필요도 없다. 또, 도 4d를 참조하면, 고객관리를 위하여 우수, 신규, 생일, 이탈 회원 등에게 쿠폰을 쿠폰을 발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객의 로열티를 높일 수 있고 이탈회원을 복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영수증 인쇄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객관리를 위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영수증 인쇄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객관리를 위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영수증 인쇄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객관리를 위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을 등록하고(S5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에서 결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영수증 인쇄 프로세스를 모니터링한다(S5200).
또,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는, 영수증 인쇄 프로세스가 완료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에서 전화번호가 입력되도록 제어하고(S5300) 전화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영수증 데이터를 전화번호와 매핑하여 저장한다(S5400).
마지막으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전화번호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의 리워드를 발급하여 메세지로 전달한다(S5500).
상술한 단계들(S5100~S55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5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영수증 인쇄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객관리를 위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영수증 인쇄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객관리를 위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수증 인쇄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객관리를 위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수증 인쇄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객관리를 위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수증 인쇄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객관리를 위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결제 이벤트가 발생한 후 영수증 인쇄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경우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영수증 인쇄 프로세스에 포함된 영수증 데이터와 매핑하여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을 등록하는 등록부(310),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결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영수증 인쇄 프로세스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320), 상기 영수증 인쇄 프로세스가 완료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전화번호가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30), 상기 전화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영수증 데이터를 상기 전화번호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340), 상기 전화번호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의 리워드를 발급하여 메세지로 전달하는 전송부(350)를 포함하는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포함하고,
    상기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전화번호에 매핑되어 저장된 리워드의 발급일자로부터 기 설정된 주기 또는 기간을 도과한 경우, 상기 발급일자가 기 설정된 주기 또는 기간을 도과한 전화번호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의 쿠폰을 전송하는 이탈고객관리부(3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탈고객관리부(360)는, 데이터에서 모든 발생 주체에 대해 주문 또는 구매에 대한 패턴을 분석하고 다음 행동을 예측하는 유사주기 패턴 분석을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의 쿠폰을 전송하며,
    상기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발생한 결제 이벤트가 배달 페이지에서 발생한 결제 이벤트인 경우, 상기 배달 페이지로부터 주문자의 전화번호를 리딩(Reading) 및 로딩(Loading)한 후 상기 영수증 인쇄 프로세스가 진행될 때 적립된 리워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리워드인쇄부(3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영수증 데이터에 포함된 상품 리스트 및 결제일시를 상기 전화번호를 기준으로 저장하고, 고객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기 설정한 타겟 고객 조건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쿠폰 또는 할인 정보가 포함된 메세지를 상기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마케팅부(38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마케팅부(380)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쿠폰은 SVM(Support Vector Machines)을 이용하여 구매할 물품이나 메뉴를 예측하고, 이에 대응하는 쿠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수증 인쇄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객관리를 위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백그라운드 모드(Background Mode)로 상기 결제 이벤트 및 영수증 인쇄 프로세스의 모니터링을 위한 입출력 데이터 모니터링 엑세스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수증 인쇄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객관리를 위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워드는 적립형 스탬프, 적립형 포인트, 제공형 쿠폰, 제공형 복권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수증 인쇄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객관리를 위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디스플레이 및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로부터 상기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수증 인쇄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객관리를 위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삭제
KR1020200037851A 2020-03-27 2020-03-27 영수증 인쇄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객관리를 위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tive KR102170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851A KR102170974B1 (ko) 2020-03-27 2020-03-27 영수증 인쇄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객관리를 위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851A KR102170974B1 (ko) 2020-03-27 2020-03-27 영수증 인쇄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객관리를 위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974B1 true KR102170974B1 (ko) 2020-10-29

Family

ID=73129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851A Active KR102170974B1 (ko) 2020-03-27 2020-03-27 영수증 인쇄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객관리를 위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9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1420A (ko) 2021-03-18 2022-09-28 구흥규 지연집단 구성 매장 간의 포인트 리워드 방법과 시스템
KR102747914B1 (ko) * 2023-07-18 2024-12-31 주식회사 먼슬리키친 임시회원 기반 포인트 적립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095A (ko) * 2006-12-29 2009-01-07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통합 마일리지 관리 서비스 방법
KR101409976B1 (ko) * 2011-05-24 2014-07-08 주식회사 비플러스마케팅 영수증과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마일리지 포인트 적립 서비스 방법
KR101478119B1 (ko) * 2013-07-08 2015-01-02 (주)이앤티브레인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포인트적립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포인트적립/사용방법
KR20160116413A (ko) * 2015-03-30 2016-10-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맞춤형 쿠폰 제공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095A (ko) * 2006-12-29 2009-01-07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통합 마일리지 관리 서비스 방법
KR101409976B1 (ko) * 2011-05-24 2014-07-08 주식회사 비플러스마케팅 영수증과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마일리지 포인트 적립 서비스 방법
KR101478119B1 (ko) * 2013-07-08 2015-01-02 (주)이앤티브레인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포인트적립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포인트적립/사용방법
KR20160116413A (ko) * 2015-03-30 2016-10-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맞춤형 쿠폰 제공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1420A (ko) 2021-03-18 2022-09-28 구흥규 지연집단 구성 매장 간의 포인트 리워드 방법과 시스템
KR102747914B1 (ko) * 2023-07-18 2024-12-31 주식회사 먼슬리키친 임시회원 기반 포인트 적립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8694B2 (en) Providing single-use offers
US10909568B2 (en) Tracking offers across multiple channels
US11023917B2 (en) Time period distribution of offer codes
US10535083B2 (en) Providing offers and associated location information
KR102295636B1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상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5037955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dispatcher for offer redemption work flows
US2016017147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location-based service and retail service enhancement applications
KR102170974B1 (ko) 영수증 인쇄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객관리를 위한 리워드 적립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231784B1 (ko) 엔에프씨를 이용한 고객 단말기와 영업점포 단말기 간의 정보교환 방법
US201800770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information
US201502788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o-location based content delivery
US11257107B2 (en) Individual use code for multiple users in a loyalty program
KR102110495B1 (ko) 빅데이터 기반 인플루언서 광고를 이용한 할인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681534B1 (ko)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지급결제수단 추천 시스템
US116513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context-based electronic offer communication
KR102429941B1 (ko) 트래픽 기반 화장품 신제품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6736499B2 (ja) 提供装置、提供方法及び提供プログラム
KR102213206B1 (ko) 고객카드를 이용한 전자쿠폰 제공 시스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2755026B1 (ko) 상점 간 동맹을 이용한 쇼핑몰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37255B1 (ko) 라이선스 상품 기반 토탈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339930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마일리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22018038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538748B1 (ko) 인증사진 보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90107416A (ko) 게임 포인트 기반 가맹점 및 사용자 간의 단말 연동을 이용한 통합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Klede-Schnabel et al. Customer loyalty programs in fashion retail-a change from multichannel to omnichan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0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0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