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099B1 -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7099B1 KR102177099B1 KR1020200071639A KR20200071639A KR102177099B1 KR 102177099 B1 KR102177099 B1 KR 102177099B1 KR 1020200071639 A KR1020200071639 A KR 1020200071639A KR 20200071639 A KR20200071639 A KR 20200071639A KR 102177099 B1 KR102177099 B1 KR 1021770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ircumferential surface
- fixing ring
- ring
- flange member
- outer circumferenti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2—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 F16L27/04—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16L27/0804—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passing axially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12—Flange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접하여 설치되는 한쪽 파이프의 끝단 외주면에 결합되고 내주면과 외주면에 오링이 설치되고 외주면이 파이프의 접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인 구면으로 형성되는 합성수지재의 제1고정링; 서로 접하여 설치되는 다른쪽 파이프의 끝단 외주면에 결합되고 내주면과 외주면에 오링이 설치되고 외주면이 파이프의 접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인 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링과 측면이 밀착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합성수지재의 제2고정링; 상기 제1고정링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내주면은 상기 제1고정링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인 구면으로 형성되는 금속재의 제1플랜지부재; 상기 제2고정링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플랜지부재와 접한 상태로 설치되고 내주면은 상기 제2고정링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인 구면으로 형성되는 금속재의 제2플랜지부재; 상기 제1고정링과 제2고정링의 서로 마주하여 위치하는 측면에 끼워지는 탄성 공간링; 상기 제1플랜지부재와 제2플랜지부재를 서로 일체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복수의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 등이 발생하여 설치된 파이프가 서로 어긋나는 방향으로 경사되는 경우에도 연결부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파손이나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시설물 등에는 소방배관, 가스관, 송유관, 급수관, 배수관, 온수관, 난방관 등의 배관이 설치된다.
대부분 배관의 재질은 강관, 주철관, 동관 등으로 이루어지며, 배관의 설치 길이가 길 경우에는 중간 중간 이웃하는 파이프를 서로 일체로 고정 연결하여 사용한다.
그런데, 소방배관, 가스관, 송유관, 급수관, 온수관, 난방관, 배수관 등이 파손되는 경우에는 가스나 물, 석유의 누출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2차적인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 연결부의 구조적인 강도가 필요하다.
특히 지진 등이 발생하는 경우 파이프의 양쪽 연결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되고, 연결부위에 과도한 외력이 가해지고, 연결부가 파손되거나 누설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16798호, 제10-0745868호, 제10-1281050호, 제10-1332190호 등에는 내진 설계로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종래 파이프를 연결하는 구조의 경우에는 지진에 대비한 내진 설계가 충분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지진 등이 발생하여 설치된 파이프가 서로 어긋나는 방향으로 경사되는 경우에도 제1고정링과 제2고정링에 의하여 연결부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파손이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고정링과 제2고정링이 변형되면서 파이프 사이에 발생하는 변형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에 발생하는 틈새를 효과적으로 밀폐되는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접하여 설치되는 한쪽 파이프의 끝단 외주면에 결합되고 내주면과 외주면에 오링이 설치되고 외주면이 파이프의 접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인 구면으로 형성되는 합성수지재의 제1고정링; 서로 접하여 설치되는 다른쪽 파이프의 끝단 외주면에 결합되고 내주면과 외주면에 오링이 설치되고 외주면이 파이프의 접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인 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링과 측면이 밀착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합성수지재의 제2고정링; 상기 제1고정링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내주면은 상기 제1고정링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인 구면으로 형성되는 금속재의 제1플랜지부재; 상기 제2고정링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플랜지부재와 접한 상태로 설치되고 내주면은 상기 제2고정링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인 구면으로 형성되는 금속재의 제2플랜지부재; 상기 제1고정링과 제2고정링의 서로 마주하여 위치하는 측면에 끼워지는 탄성 공간링; 상기 제1플랜지부재와 제2플랜지부재를 서로 일체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복수의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공간링의 내측에 탄성 텍을 주어 파이프 내경에 맞춰 위치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탄성 공간링은 평면으로 복수개의 반원형상이 내원주부를 따라 나열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합성수지나 실리콘 등의 재질로 제1고정링과 제2고정링으로 형성하고 금속재로 제1플랜지부재와 제2플랜지부재를 형성하므로, 지진 등이 발생하여 이웃하여 연결되는 파이프가 서로 어긋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우에도 상기 제1고정링과 제2고정링이 변형되면서 파이프의 연결부위에 발생하는 틈새를 효과적으로 밀폐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1플랜지부재와 제2플랜지부재가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는 상태로 견고하게 파이프의 연결부위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한 형태의 공간링으로 제1고정링과 제2고정링이 변형되면서 파이프 사이에 발생하는 변형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에 발생하는 틈새를 효과적으로 밀폐되는 상태로 유지, 이웃하여 연결되는 파이프가 서로 어긋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밀착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이 유입되면 수압에 의해 내원주부의 공간으로 물이 유입되어, 제1플랜지부재와 제1고정링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면서 굴절되는 방향으로 폭이 축소되고 반대편은 팽창되도록 하고, 탄성 텍은 파이프의 내경에 중심을 잡아주어 탄성 공간링이 밀리지 않도록 하여 효과적으로 밀착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를 사용하여 배관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의 한쪽 부분만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의 수평 상태와 굴절 상태를 나타내는 조립단면도이다.
도 4 a, b, 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의 탄성 텍과 내원주부를 나타내는 조립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를 사용하여 건물의 배관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를 사용하여 건물의 배관을 연결한 상태에서 지진 등의 발생으로 배관이 경사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의 한쪽 부분만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의 수평 상태와 굴절 상태를 나타내는 조립단면도이다.
도 4 a, b, 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의 탄성 텍과 내원주부를 나타내는 조립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를 사용하여 건물의 배관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를 사용하여 건물의 배관을 연결한 상태에서 지진 등의 발생으로 배관이 경사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 내지 도 4 a, 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는, 파이프(2, 4), 스냅링(8), 제1고정링(10), 제2고정링(20), 제1플랜지부재(30), 제2플랜지부재(40), 탄성 공간링(50-1), 및 체결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고정링(10)은 서로 접하여 설치되는 한쪽 파이프의 끝단 외주면에 결합되고 내주면과 외주면에 오링이 설치되고 외주면이 파이프의 접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인 구면으로 형성되는 합성수지재이다.
제2고정링(20)은 서로 접하여 설치되는 다른쪽 파이프의 끝단 외주면에 결합되고 내주면과 외주면에 오링이 설치되고 외주면이 파이프의 접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인 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링과 측면이 밀착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합성수지재이다.
제1플랜지부재(30)는 상기 제1고정링(1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내주면은 상기 제1고정링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인 구면으로 형성되는 금속재질이다.
제2플랜지부재(40)는 상기 제2고정링(2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플랜지부재와 접한 상태로 설치되고 내주면은 상기 제2고정링(20)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인 구면으로 형성되는 금속재질이다.
탄성 공간링(50-1)은 상기 제1고정링(10)과 제2고정링(20)의 서로 마주하여 위치하는 측면에 끼워지는 탄성재질이다.
상기 탄성 공간링(50-1)이 두께 방향으로 수축하면 제1고정링(10)과 제2고정링(20) 사이도 안정적으로 실링할 수 있는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공간링(50-1)의 내측에 탄성 텍(50-3)을 주어 파이프 내경에 맞춰 위치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공간링(50-1)의 한측에만 탄성 텍(50-3)을 설치하여도 상기 파이프 내경에 맞추면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탄성 공간링(50-1)은 복수개의 반원형상이 내원주부를 따라 나열된다(도 4a 참조).
따라서 상기 제1고정링(10)과 제2고정링(20)이 변형되면서 파이프(2, 4) 사이에 발생하는 변형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에 발생하는 틈새를 효과적으로 밀폐되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원주부(50-2)가 그냥 곡선으로만 이루어진 경우 보다 신축성을 보완하고 지속적인 내구성을 보강하여 장시간 사용 가능하다.
서로 접하여 설치되는 양쪽 파이프(2, 4)의 끝부분 외주면에는 고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파이프(2, 4)의 고정홈에는 스냅링(8)을 삽입하여 설치하고, 상기 제1고정링(10)과 제2고정링(20)의 서로 접하는 측면의 내주면쪽 모서리에는 상기 스냅링의 일부가 삽입되는 걸림턱을 형성한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제1플랜지부재와 제2플랜지부재를 서로 일체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복수의 체결부재(7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는 제1고정링(10)과, 제2고정링(20)과, 제1플랜지부재(30)와, 제2플랜지부재(40)와, 체결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고정링(10)은 서로 접하여 설치되는 한쪽 파이프(2)의 끝단 외주면에 결합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2고정링(20)은 서로 접하여 설치되는 다른쪽 파이프(4)의 끝단 외주면에 결합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1고정링(10)과 제2고정링(20)의 내주면과 외주면에는 오링(60)이 설치된다.
상기 제1고정링(10)과 제2고정링(20)의 외주면에는 오링(60)이 삽입되는 링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링(10)과 제2고정링(20)의 내주면에도 오링(60)이 삽입되는 링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링(10)과 제2고정링(20)은 외주면이 이웃하는 파이프(2, 4)의 접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한다.
상기에서 제1고정링(10)과 제2고정링(20)의 외주면은 곡면(예를 들면, 구면의 일부)으로 형성하는 것이 상기 제1플랜지부재(30) 및 제2플랜지부재(40)와 구면접촉이 이루어지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고정링(10)과 제2고정링(20)은 합성수지나 실리콘 등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이웃하여 연결되는 파이프(2, 4)가 지진 등이 발생하여 서로 어긋나는 방향으로 경사져 연결부위에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제1고정링(10)과 제2고정링(20)이 변형되면서 파이프(2, 4) 사이에 발생하는 변형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에 발생하는 틈새를 효과적으로 밀폐되는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고정링(10)과 제2고정링(20)의 서로 마주하여 위치하는 측면에는 각각 복수의 탄성부재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제1고정링(10)의 탄성부재구멍과 상기 제2고정링(20)의 탄성부재구멍에 삽입되는 상태로 복수의 탄성부재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제1고정링(10)과 제2고정링(20) 사이에 탄성부재을 설치하면, 제1고정링(10)과 제2고정링(20) 사이에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파이프(2, 4)를 서로 결합시킨 상태에서 유체가 내부에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1고정링(10)과 제2고정링(20)이 중심부로 밀리면서 오링(60)이 상기 제2플랜지부재(30)와 제2플랜지부재(40)에 밀착되지 않아 유체가 누설될 수 있지만, 상기와 같이 제1고정링(10)과 제2고정링(20) 사이에 탄성부재을 설치하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상기 제1고정링(10)과 제2고정링(20)이 상기 제1플랜지부재(30)와 제2플랜지부재(40)에 밀착되어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플랜지부재(30)는 상기 제1고정링(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제2플랜지부재(40)는 상기 제2고정링(2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제1플랜지부재(30)와 제2플랜지부재(40)에는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체결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제2플랜지부재(40)는 상기 제1플랜지부재(30)와 서로 접하는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제1플랜지부재(30)와 제2플랜지부재(40)는 금속재로 형성하는 것이 구조적인 강도를 높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제1플랜지부재(30)와 제2플랜지부재(40)는 상기 체결구멍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체결부재(70)에 의하여 서로 밀착된 상태로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체결부재(70)는 볼트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볼트와 체결되는 너트(72)를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 a, b,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탄성 공간링(50-1)이 물이 유입되기 전 탄성력으로 제1고정링(10)과 제2고정링(20)을 밀어 내어, 초기에서 수압이 걸리기 전까지 기밀을 유지해 준다.
물이 유입되면 수압에 의해 내원주부(50-2)의 공간으로 물이 유입되어, 제1플랜지부재(30)와 제1고정링(10)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면서 굴절되는 방향으로 폭이 축소되고 반대편은 팽창되어도 효과적으로 밀착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탄성 텍(50-3)은 파이프(2, 4)의 내경에 중심을 잡아주어 탄성 공간링(50-1)이 밀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탄성 공간링(50-1)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굴절되는 방향으로는 폭이 축소되고, 반대편은 팽창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를 사용하여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파이프(2, 4)의 끝단에 고정홈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링(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링홈과 내주면에 현성된 링홈에 각각 오링(60)을 삽입하고, 상기 제2고정링(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링홈과 내주면에 현성된 링홈에 각각 오링(60)을 삽입한다.
또, 상기 제2플랜지부재(40)의 측면에 형성된 링홈에도 오링(60)을 삽입한다.
그리고, 한쪽 파이프(2)에는 제1플랜지부재(30)와 제1고정링(10)을 순차적으로 삽입하고, 다른쪽 파이프(4)에는 제2플랜지부재(40)와 제2고정링(20)을 순차적으로 삽입한다.
다음으로, 파이프(2, 4)의 고정홈(3, 5)에 스냅링(8)을 각각 결합한다.
상기에서 양쪽 파이프(2, 4)의 서로 마주하는 끝단은 완전 밀착되는 상태가 아니고, 약간의 간격(예를 들면, 10mm 정도)을 두고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파이프(2, 4)가 서로 어긋나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파이프끼리 간섭을 줄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링(10)과 제2고정링(20)의 서로 마주하는 끝면도 상기 양쪽 파이프(2, 4)와 마찬가지로 약간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제1플랜지부재(30)와 제2플랜지부재(40)를 이동시켜 서로 맞닿게 하고, 체결부재(70)를 이용하여 제1플랜지부재(30)와 제2플랜지부재(40)를 서로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체결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제1플린재부재(30)와 제2플랜지부재(40) 사이, 상기 제1플랜지부재(30)와 제1고정링(10)의 사이, 상기 제2플랜지부재(40)와 제2고정링(20)의 사이, 상기 제1고정링(10)과 한쪽 파이프(2)의 사이, 상기 제2고정링(20)과 다른쪽 파이프(4)의 사이에 각각 오링(6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기밀성이 높게 유지된다.
도 5에는 상기와 같이 양쪽 파이프(2, 4)를 연결한 구성을 건물(100)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를 사용하면, 파이프(2, 4)를 배관하기 위하여 건물의 벽체(100)에 형성된 배관구멍(102)과 파이프(2, 4) 사이의 틈새를 곡면(예를 들면, 구면의 일부)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1고정링(10) 또는 제2고정링(20)의 외주면이나 상기 제1플랜지부재(30) 또는 제2플랜지부재(40)의 외주면으로 폐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불연재나 시멘트 등의 채움재를 이용하여 충진할 필요가 없고, 배관 설치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 에는 지진 등이 발생하여 이웃하여 연결되는 파이프(2, 4)가 서로 어긋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우에 상기 제1고정링(10)과 제2고정링(20)이 변형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한쪽 파이프(2)와 다른쪽 파이프(4)에 서로 다른 방향의 외력이 작용하여 양쪽 파이프(2, 4)가 서로 어긋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되면, 양쪽 파이프(2, 4)의 서로 맞닿는 끝면은 한쪽은 붙고 반대쪽은 벌어지는 형상으로 변형되고, 상기 제1고정링(10)과 제2고정링(20)은 상기 파이프(2, 4)에 설치된 스냅링(8)에 걸림턱이 걸린 상태이므로 상기 파이프(2, 4)와 같은 형상으로 변형되는 반면에, 상기 제1플랜지부재(30)와 제2플랜지부재(40)는 체결부재(70)에 의하여 서로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에서 제1고정링(10)과 제2고정링(20)의 외주면을 곡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1플랜지부재(30)와 제2플랜지부재(40)의 내주면을 대응하는 곡면으로 형성하므로, 상기 제1고정링(10) 및 제2고정링(20)의 외주면과 상기 제1플랜지부재(30) 및 제2플랜지부재(40)의 내주면 사이에 구면접촉이 이루어져 상기 제1플랜지부재(30)와 제2플랜지부재(40)의 위치가 일정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고정링(10)과 제2고정링(20)은 상기 제1플랜지부재(30)와 제2플랜지부재(40)와의 사이에 미끄럼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양쪽 파이프(2, 4)가 서로 어긋나게 경사질 때에 상기 제1고정링(10)과 제2고정링(20)이 파이프(2, 4)와 함께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10 - 제1고정링,
50-1 : 탄성 공간링
50-2 : 내원주부, 50-3 : 탄성 텍, 60 - 오링, 70 - 체결부재
72 - 너트, 100 - 건물의 벽체, 102 - 배관구멍
50-1 : 탄성 공간링
50-2 : 내원주부, 50-3 : 탄성 텍, 60 - 오링, 70 - 체결부재
72 - 너트, 100 - 건물의 벽체, 102 - 배관구멍
Claims (2)
- 서로 접하여 설치되는 한쪽 파이프의 끝단 외주면에 결합되고 내주면과 외주면에 오링이 설치되고 외주면이 파이프의 접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인 구면으로 형성되는 합성수지재의 제1고정링;
서로 접하여 설치되는 다른쪽 파이프의 끝단 외주면에 결합되고 내주면과 외주면에 오링이 설치되고 외주면이 파이프의 접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인 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링과 측면이 밀착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합성수지재의 제2고정링;
상기 제1고정링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내주면은 상기 제1고정링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인 구면으로 형성되는 금속재의 제1플랜지부재;
상기 제2고정링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플랜지부재와 접한 상태로 설치되고 내주면은 상기 제2고정링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인 구면으로 형성되는 금속재의 제2플랜지부재;
상기 제1고정링과 제2고정링의 서로 마주하여 위치하는 측면에 끼워지는 탄성 공간링;
상기 제1플랜지부재와 제2플랜지부재를 서로 일체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복수의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공간링의 내측에 탄성 텍을 주어 파이프 내경에 맞춰 위치 고정할 수 있고,
상기 탄성 공간링은 평면으로 복수개의 반원형상이 내원주부를 따라 나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서로 접하여 설치되는 양쪽 파이프의 끝부분 외주면에는 고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파이프의 고정홈에는 스냅링을 삽입하여 설치하고,
상기 제1고정링과 제2고정링의 서로 접하는 측면의 내주면쪽 모서리에는 상기 스냅링의 일부가 삽입되는 걸림턱을 형성하는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1639A KR102177099B1 (ko) | 2020-06-12 | 2020-06-12 |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1639A KR102177099B1 (ko) | 2020-06-12 | 2020-06-12 |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7591A Division KR20200029162A (ko) | 2018-09-10 | 2018-09-10 |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2459A KR20200072459A (ko) | 2020-06-22 |
KR102177099B1 true KR102177099B1 (ko) | 2020-11-10 |
Family
ID=71142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1639A KR102177099B1 (ko) | 2020-06-12 | 2020-06-12 |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709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9868B1 (ko) | 2020-06-29 | 2022-03-02 | (주)라이트 앤 휴먼 | 다중 내진형 배관 거치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시공 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65369A (ja) | 1999-12-07 | 2001-06-22 | Toozen Sangyo Kk | 自在管継手 |
KR100917120B1 (ko) | 2007-08-21 | 2009-09-11 | 박내열 | 파이프용 커플러 |
KR101656219B1 (ko) | 2015-12-17 | 2016-09-13 |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성형장치 |
KR101837504B1 (ko) | 2016-11-18 | 2018-03-14 | 주식회사 보람 | 상하수도 배관 연결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16798B1 (ko) | 2005-04-07 | 2005-09-26 | 최인성 | 배관의 연결구조 |
KR100745868B1 (ko) | 2007-01-19 | 2007-08-02 | 홍광은 | 배관 연결장치 |
KR101281050B1 (ko) | 2012-01-10 | 2013-07-01 | 대한주물공업 주식회사 | 건축용 배관 연결구 |
-
2020
- 2020-06-12 KR KR1020200071639A patent/KR10217709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65369A (ja) | 1999-12-07 | 2001-06-22 | Toozen Sangyo Kk | 自在管継手 |
KR100917120B1 (ko) | 2007-08-21 | 2009-09-11 | 박내열 | 파이프용 커플러 |
KR101656219B1 (ko) | 2015-12-17 | 2016-09-13 |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성형장치 |
KR101837504B1 (ko) | 2016-11-18 | 2018-03-14 | 주식회사 보람 | 상하수도 배관 연결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2459A (ko) | 2020-06-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54397B1 (ko) | 내진용 무홈 커플링 | |
US3479063A (en) | Fluid pressure tightened joint | |
KR101916892B1 (ko) | 패스트 그루브 조인트 | |
KR101922419B1 (ko) |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 | |
JPH02107886A (ja) | 加圧流体を受容する、滑らかなパイプ用の接合具 | |
KR101341838B1 (ko) | 내진성을 갖는 배관 이음장치 | |
KR101330452B1 (ko) | 배관연결용 플랜지 | |
RU2159373C1 (ru) | Разъемное неподвижное уплот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 |
JP2019108939A (ja) | 管接続部の離脱防止構造 | |
US3628815A (en) | Conduit connection means | |
KR102177099B1 (ko) |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 | |
KR101318774B1 (ko) | 신축가동관 | |
EP1314917B1 (en) | Seal ring and seal structure at flange joint used for composite tanks and pipes | |
KR101997671B1 (ko) | 배관 커플링 구조체 | |
RU2564156C2 (ru) | Фиттинг с фланцами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 системой герметизации труб | |
KR101600290B1 (ko) | 배관 티 | |
US20240110643A1 (en) | Pipe coupling and anchoring system | |
KR20200029162A (ko) |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 | |
KR200446817Y1 (ko) | 가스켓 홈이 형성된 배관의 메탈링 | |
JP2019019867A (ja) | 漏洩防止装置 | |
KR102319277B1 (ko) | 밸브 접합관 | |
KR20170129573A (ko) | 배관 결속용 구조체 | |
JPS5833437B2 (ja) | パイプの連結装置 | |
JP7326524B2 (ja) | 管接続部の離脱防止構造 | |
KR100657227B1 (ko) | 실린더형 신축이음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