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169363B1 - 2 코일 액티브 엔진마운트 - Google Patents

2 코일 액티브 엔진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9363B1
KR102169363B1 KR1020150079784A KR20150079784A KR102169363B1 KR 102169363 B1 KR102169363 B1 KR 102169363B1 KR 1020150079784 A KR1020150079784 A KR 1020150079784A KR 20150079784 A KR20150079784 A KR 20150079784A KR 102169363 B1 KR102169363 B1 KR 102169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urrent
engine mount
active engine
electromagnetic fiel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9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3285A (ko
Inventor
김장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9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363B1/ko
Publication of KR20160143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36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2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characterised by adjusting or regulating devices responsive to exterior conditions
    • F16F13/26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characterised by adjusting or regulating devices responsive to exterior conditions comprising means for acting dynamically on the walls bounding a passage between working and equilibration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티브 엔진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고주파 조건에서 반전방향으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하여 발생하는 역기전력에 의하여 액티브 엔진마운트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저감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일 인가전류에 의하여 생성된 전자기장과 반대방향의 전자기장을 생성하는 제2코일을 추가구성하여 역기전력을 상쇄시킴으로써, 고주파 조건에서도 코일 인가전류가 저감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2 코일 액티브 엔진마운트 {2 Coil Active Engine Mount}
본 발명은 액티브 엔진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주파 조건에서 역기전력에 의하여 액티브 엔진마운트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저감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일 인가전류와 반대방향의 전자기장을 생성하는 제2코일을 부설하여 역기전력을 상쇄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유발되는 진동, 및 상기 진동에 의하여 2차적으로 유발된 소음은 차량의 승차감 및 정숙성을 저해하여 상품성을 떨어뜨리는 요소이다.
그러나, 상기 엔진, 또는, 엔진과 트랜스미션을 포함하는 파워플랜트(power plant)는 차체에 고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엔진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이 차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엔진마운트(engine mount)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엔진마운트는 엔진과 차체 사이에서 진동을 감쇠시키는 기능을 하며, 엔진 구동시 상기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 차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감쇠시키는 기능과 차량 주행시 노면으로부터 전달되어 차체를 통하여 상기 엔진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두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종래의 엔진마운트는 러버의 탄성력을 통해 진동을 절연 및 감쇠시키는 러버마운트와 소정량의 하이드로액이 봉입되도록 구성된 유체봉입식 마운트(하이드로 마운트)가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다양한 진동의 동특성에 대응하지 못하는 수동적인 구조를 가지므로 진동 저감에는 한계가 있었다.
예를 들어, 상기 엔진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아이들(idle)시 및 저속 운전상태와 고속 운전상태에서 상이하게 발생하며, 이때문에 아이들 및 저속 운전상태와 고속 운전상태에서는 각각 서로 다른 엔진 마운트 장치의 동강성(dynamic stiffness)이 요구된다(아이들 및 저속 운전 상태에서는 낮은 동강성이 요구되고 고속 주행시에는 높은 동강성이 요구됨). 그러나, 상기한 수동 엔진마운트들은 이러한 다양한 동특성에 대응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상황 및 엔진의 작동상태에 따라 엔진마운트의 진동 절연성능을 보다 더 액티브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전기적 제어에 의해 동특성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액티브 엔진마운트가 개발되었으며, 대표적으로 전동식 엔진마운트와 전자식 엔진마운트가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동식 액티브 엔진마운트 중 일 예를 나타내며, 도 2는 종래의 전자식 액티브 엔진마운트 중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동식 액티브 엔진마운트는 영구 자석과 전류를 인가한 코일간의 로렌츠 힘을 이용하여 구동기를 작동하고, 이를 이용하여 디커플러를 상하방향으로 운동시킴으로써 필요로 하는 구간에서 마운트의 동특성을 낮추어 파워트레인의 진동전달율을 저감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기에서 마운트에 입력되는 진동을 계측 또는 추정하여 코일에 그에 대응하는 전류를 동위상으로 인가하여 디커플러를 진동시킴으로써 마운트 동특성을 저감하는 구성을 가진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자식 액티브 엔진마운트는 마운트 주액실 하부에 고무 재질의 가진판을 두고 전자식 구동기를 사용하여 마운트로 입력되는 진동을 상하운동시켜 마운트를 통해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에 대한 절연율 향상시킨다. 이를 위하여 운전조건별로 전자식 구동기에 인가하는 제어신호를 가변시켜 가진판을 마운트에 입력되는 진동과 동위상으로 상하운동하게 함으로서 주액실 체적을 변화시키고 이로 인한 마운트 동강성 저감을 통해 진동을 효과적으로 절연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종래의 액티브 엔진마운트들은 인가되는 진동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의 제어력을 액티브적으로 발생시켜 효과적으로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고주파 조건에서는 코일 인가전류가 저감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도 3에 도시된 해당 기술분야의 선행기술을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3은 미국 특허 공개공보 US 7,878,489 B2 에 기술된 액티브 엔진마운트의 두가지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a의 실시예는 링 형태의 가진판(34)을 1개의 코일(37)이 감겨있는 보빈(35)에 연결하여 영구 자석(38)과 전류를 인가한 코일간의 로렌츠 힘을 이용하여 가진판을 상하로 작동시켜 주액실 체적 변화로 압력을 제어하여 진동을 절연하는 구성의 액티브 엔진마운트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b의 실시예는 원판 형태의 가진판(40)을 1개의 코일(43)이 감겨있는 보빈(41)에 연결하여 영구 자석(45)과 전류를 인가한 코일간의 로렌츠 힘을 이용하여 가진판을 상하로 작동시켜 주액실 체적 변화로 압력을 제어하여 진동을 절연 하는 구성의 액티브 엔진마운트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액티브 엔진마운트는 진동 감쇠를 위하여 가진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전류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반전시켜야 한다. 즉, 상기 액티브 엔진마운트는 제어력의 발생을 위하여 상기한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는 과정에서 가진판의 상하 이동 방향에 따라 각각 반대방향의 전류를 인가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반전될 때마다 이전 방향의 인가 전류로 인한 전자기장에 의해 발생되는 역기전력(Back EMF)으로 인해 반전된 방향으로 상기 코일을 통해 전달되는 전류가 저감되며 전류의 방향 반전 속도, 즉, 주파수가 높아지는 고주파수일 수록 역기전력에 의하여 저감되는 전류의 양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고주파 조건, 즉, 상기 코일에 고주파의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상기한 역기전력에 의하여 코일에 전류가 잘 흐르지 못하여 전류가 적게 흐르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출력전압을 승압시키거나, 또는 코일에 제어신호를 오랜 시간 인가하도록 함으로써, 고주파 대역에 대한 제어력 저하를 보상해야 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높은 작동전압 또는 오랜시간 인가된 고주파 전류는 다량의 전자파를 방출시킴과 동시에, 발열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전자파 또는 열에 의하여 수반되는 내구성 저하, 또는 효율 저하 등의 부작용을 가져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액티브 엔진마운트에 있어서, 고주파 조건에서 반전방향으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하여 발생하는 역기전력에 의하여 액티브 엔진마운트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저감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일 인가전류와 반대방향의 전자기장을 생성하는 제2코일을 추가구성하여 역기전력을 상쇄시킴으로써, 고주파 조건에서도 코일 인가전류가 저감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하여 생성된 전자기장와 영구자석 간의 로렌츠힘에 의하여 진동을 저감하는 액티브 엔진마운트에 있어서, 상기 제1코일과 나란히 배치된 제2코일; 및 상기 제1코일 및 제2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로부터 생성된 전자기장의 방향을 서로 반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코일에서 생성된 전자기장 중 최소한 일부를 상기 제2코일에서 생성된 전자기장으로 상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코일 및 상기 제2코일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감긴 코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에 서로 반대방향의 전류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코일 및 상기 제2코일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긴 코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에 서로 동일방향의 전류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코일은, 상기 제1코일보다 적은 폭을 가지고, 상기 제1코일의 내측에 상기 제1코일과 동일축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코일은, 상기 제1코일보다 적은 감김수(turn)를 갖는 코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제1코일에서 생성되는 역기전력을 상쇄시킬 수 있는 제2코일을 부설하고, 상기 제2코일에는 상기 제1코일과 반대방향 전자기장을 생성하도록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1코일에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생성된 전자기장에 의해 발생되는 역기전력을 저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종래의 액티브 엔진마운트가 가지고 있는 문제, 즉, 전자파 방출, 발열량 증가 및 내구성, 또는 효율 저하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은 서로 반대되는 전자기장을 생성하도록 전류가 동시에 인가되므로, 고주파 조건에서 전류 방향이 반전되는 속도가 증가하더라도 전류의 양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동식 액티브 엔진마운트 중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종래의 전자식 액티브 엔진마운트 중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미국 특허 공개공보 US 7,878,489 B2 에 기술된 액티브 엔진마운트의 두가지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2 코일 액티브 엔진마운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제1코일 및 제2코일의 전류 인가에 따른 전자기장 상쇄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에 적용되는 액티브 엔진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주파 조건에서 액티브 엔진마운트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역기전력에 의하여 저감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발명으로, 액티브 엔진마운트를 구성하는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하여 생성된 전자기장과 반대방향의 전자기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2코일을 부설하여 역기전력을 상쇄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2 코일 액티브 엔진마운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링 형태의 가진판(미도시)을 1개의 제1코일(10)이 감겨있는 보빈에 연결하여 영구 자석과 전류를 인가한 코일간의 로렌츠 힘(Lorentz force)을 이용하여 가진판을 상하로 작동시켜 주액실 체적 변화로 압력을 제어하여 진동을 절연하는 전자식 액티브 엔진마운트의 구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상기 제1코일(10)의 내측에 상기 제1코일(10)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하여 생성된 전자기장과 반대방향의 전자기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2코일(20)을 부설하는 특징적인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로렌츠 힘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적용된 제1코일(10)(종래의 코일에 해당)에 반대방향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2코일(20)을 부설함으로써, 상기 제1코일(10)에서 발생하는 역기전력을 상기 제2코일(20)을 통하여 상쇄시키는 것에 있다.
따라서, 서로 반대방향의 전자기장을 생성하는 2개의 코일을 갖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해당 기술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종래의 어떠한 액티브 엔진마운트의 기술 구성에도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전자식 액티브 엔진마운트의 구성을 기반으로 제2코일(20)이 추가된 구성을 가지고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전동식 액티브 엔진마운트의 구성을 기반으로 제2코일(20)을 추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 기술되는 실시예에서,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로부터 발생하는 역기전력을 상쇄하기 위한 기술 구성 이외의 액티브 엔진마운트를 구성하는 기타 구성요소들은 특별히 별도로 기술하지 않는 한 종래의 동일 명칭의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2 코일 액티브 엔진마운트는 액티브 엔진마운트의 내부에 제1코일(10) 및 제2코일(20)을 포함하는 2 코일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코일(10)은 전자식 액티브 엔진마운트의 가진판(미도시)과 연결된 보빈에 감긴 상태로 세로(액티브 엔진마운트의 축방향)로 배치되고, 제어부로부터 상기 제1코일(10)에 전류가 인가되면,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과 상기 보빈의 내측에 배치된 영구자석간에 작용하는 로렌츠 힘을 이용하여 가진판을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주액실의 체적을 변화시켜 압력을 제어하여 상기 액티브 엔진마운트로 인가되는 진동을 절연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제1코일(10)에 인가되는 전류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하여 제어된다. 상기 제어부는 본 발명의 2 코일 액티브 엔진마운트에 인가되는 진동을 계측 또는 추정하여 이에 대응하는 전류를 상기 제1코일(10)에 인가하여 상기 주액실의 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마운트 동특성을 저감하는 구성요소이며, 종래의 액티브 엔진마운트의 제어부에 대응하는 구성요소이므로 더이상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액티브 엔진마운트에 작용하는 진동의 감쇠를 위하여 인가되는 진동에 대응하여 상기 가진판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전류를 계속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반전시켜야 한다.
그러나,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반전되면, 이전 방향의 인가 전류에 의하여 생성된 전자기장에 의해 발생되는 역기전력(Back EMF)이 발생하며, 이 역기전력은 상기 코일을 통해 전달되는 전류를 저감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현상은 전류의 방향 반전 속도, 즉, 주파수가 높아지는 고주파수 조건일 수록 증가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상기 제1코일(10)과 별도 구성된 제2코일(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코일(10)과 상기 제2코일(20)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감긴 코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제1코일(10)과 상기 제2코일(20)로 동일한 방향의 전류가 인가된다면, 상기 제1코일(10)과 상기 제2코일(20)로부터 생성된 전자기장의 방향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생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코일(10)로부터 생성된 전자기장 중 최소한 일부를 상기 제2코일(20)로부터 생성된 전자기장으로 상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1코일(10)과 상기 제2코일(20)로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서로 반대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이 상기 제1코일(10)과 상기 제2코일(20)로부터 생성된 전자기장의 방향을 서로 반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코일(10)에서 생성된 전자기장 중 최소한 일부를 상기 제2코일(20)에서 생성된 전자기장으로 상쇄시키는데 있으므로,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코일(10)과 상기 제2코일(20)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감긴 코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제1코일(10)과 상기 제2코일(20)로 동일한 방향의 전류가 인가된다면, 상기 제1코일(10)과 상기 제2코일(20)로부터 생성된 전자기장의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생성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1코일(10)로부터 생성된 전자기장 중 최소한 일부를 상기 제2코일(20)로부터 생성된 전자기장으로 상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1코일(10)과 상기 제2코일(20)로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서로 동일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제어부는 상기 제1코일(10) 및 상기 제2코일(20)로부터 생성된 전자기장의 방향이 서로 반대되도록 인가하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한다.
이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상기 제1코일(10)과 상기 제2코일(20)의 구성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감긴 코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준으로 발명의 기술 구성을 기술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코일(20)은 상기 제1코일(10)의 내측에 배치되며 이너요크에 고정된다(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코일(20)은 상기 제1코일(10)보다 적은 폭을 가지고 상기 제1코일(1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1코일(10)과 나란히 상기 제1코일과 동일축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코일(10)과 반대방향 전류가 상기 제2코일(20)에 인가되면, 상기 제1코일(10)과 정반대 방향의 전자기장이 발생하며, 이로인하여 상기 제1코일(10)로부터 생성된 전자기장 중 최소한 일부가 상기 제2코일(20)에 의하여 생성된 전자기장에 의하여 상쇄된다.
이러한 구성은 결과적으로 상기 제1코일(10)에 의하여 생성된 잔여 전자기장에 의하여 발생하는 역기전력을 감쇄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코일(20) 역시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코일(20)에 인가하는 전류의 방향을 상기 제1코일(10)에 인가하는 전류의 방향과 정 반대 방향으로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1코일(10)과 상기 제2코일(20)로부터 서로 반대방향의 전자기장이 생성되도록 제어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코일(10)과 상기 제2코일(20)에 인가하는 전류 사이에 소정의 시간차를 갖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코일(20)은 상기 제1코일(10)보다 적은 감김수(turn)를 갖는 코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코일(10)은 로렌츠힘에 의하여 가진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상기 제2코일(20)에 의하여 전자기장이 완전히 상쇄된다면 오히려 진동 저감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코일(20)은 상기 제1코일(10)보다 적은 감김수를 갖는 코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역기전력을 상쇄시키면서도 상기 제1코일(10)로부터 생성되는 전자기장의 순기능을 저해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제1코일(10) 및 제2코일(20)의 전류 인가에 따른 전자기장 상쇄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상기 제1코일(10)에 시계방향 전자기장을 생성하는 전류(이하, '시계방향 전류'라 함)를 인가하고, 상기 제2코일(20)에 그 반대 방향의 전류, 즉, 반시계방향 전자기장을 생성하는 전류(이하, '반시계방향 전류'라 함)를 인가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6은 상기 제1코일(10)에 반시계방향 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제2코일(20)에 그 반대 방향의 전류, 즉, 시계방향 전류를 인가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코일(10)에 인가된 시계방향 전류에 의하여 시계방향의 전자기장이 생성되고, 상기 제2코일(20)에 인가된 반시계방향의 전류에 의하여 반시계방향 전자기장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코일(20)에 의하여 생성된 반시계방향 전자기장은 상기 제1코일(10)에 의하여 생성된 시계방향 전자기장을 상쇄시킨다.
이때, 상기 제2코일(20)에서 생성된 전자기장은 상기 제2코일(20)의 감김수 또는 폭에 의하여 상기 제1코일(10)에서 생성된 전자기장 보다 약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제1코일(10)에서 생성된 전자기장 중 일부를 상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결과적으로, 상기 제1코일(10)에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생성된 전자기장에 의해 발생되는 역기전력을 저감할 수 있으며, 역기전력이 저감되면 상기 제1코일(10)을 통하여 전달되는 전류의 양이 증대되어 종래의 액티브 엔진마운트가 가지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특히, 상기 제1코일(10)과 상기 제2코일(20)은 서로 전류가 동시에 인가되도록 구성되므로, 고주파 조건에서 전류 방향이 반전되는 속도가 증가하더라도 전류의 양이 감소되지 않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코일(10)에 인가된 반시계방향 전류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의 전자기장이 생성되고, 상기 제2코일(20)에 인가된 반대방향 전류에 의하여 시계방향 전자기장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코일(20)에 의하여 생성된 시계방향 전자기장은 상기 제1코일(10)에 의하여 생성된 반시계방향 전자기장을 상쇄시킨다.
이러한 구성 역시, 결과적으로, 상기 제1코일(10)에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생성된 전자기장에 의해 발생되는 역기전력을 저감할 수 있으며, 역기전력이 저감되면 상기 제1코일(10)을 통하여 전달되는 전류의 양이 증대되어 종래의 액티브 엔진마운트가 가지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코일(10)과 상기 제2코일(20)은 서로 전류가 동시에 인가되도록 구성되므로, 고주파 조건에서 전류 방향이 반전되는 속도가 증가하더라도 전류의 양이 감소되지 않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2 코일 액티브 엔진마운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특정한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제1코일
20: 제2코일

Claims (5)

  1. 제1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하여 생성된 전자기장와 영구자석 간의 로렌츠힘에 의하여 진동을 저감하는 액티브 엔진마운트에 있어서,
    상기 제1코일과 나란히 배치된 제2코일; 및
    상기 제1코일 및 제2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로부터 생성된 전자기장의 방향을 서로 반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코일에서 생성된 전자기장 중 최소한 일부를 상기 제2코일에서 생성된 전자기장으로 상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코일 액티브 엔진마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일 및 상기 제2코일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감긴 코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에 서로 반대방향의 전류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코일 액티브 엔진마운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일 및 상기 제2코일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긴 코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에 서로 동일방향의 전류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코일 액티브 엔진마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일은,
    상기 제1코일보다 적은 폭을 가지고,
    상기 제1코일의 내측에 상기 제1코일과 동일축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코일 액티브 엔진마운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일은,
    상기 제1코일보다 적은 감김수(turn)를 갖는 코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코일 액티브 엔진마운트.
KR1020150079784A 2015-06-05 2015-06-05 2 코일 액티브 엔진마운트 Active KR102169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784A KR102169363B1 (ko) 2015-06-05 2015-06-05 2 코일 액티브 엔진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784A KR102169363B1 (ko) 2015-06-05 2015-06-05 2 코일 액티브 엔진마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285A KR20160143285A (ko) 2016-12-14
KR102169363B1 true KR102169363B1 (ko) 2020-10-23

Family

ID=57575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784A Active KR102169363B1 (ko) 2015-06-05 2015-06-05 2 코일 액티브 엔진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36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7753A (ja) 2004-08-20 2006-03-02 Honda Motor Co Ltd 能動型防振支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732B1 (ko) * 2008-12-29 2011-09-1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축제어형 하이브리드 능동마운트
KR101551950B1 (ko) * 2010-09-17 2015-09-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컴팩트 전동식 능동 마운트
KR101772081B1 (ko) * 2011-06-28 2017-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레그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7753A (ja) 2004-08-20 2006-03-02 Honda Motor Co Ltd 能動型防振支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285A (ko)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8951B2 (ja) 制振装置
US9033319B2 (en) Electronic active mount capable of bidirectional control
JP6375211B2 (ja) 防振用電磁式アクチュエータと、それを用いた能動型流体封入式防振装置および能動型制振装置
US9835218B2 (en) Vehicle active damper
TW200842536A (en) Damping device, control method of damping device, correcting method of offset of damping device, and laminated spring
JP5547000B2 (ja) エンジンマウントシステム
JP2003028232A (ja) 被動系における振動を抑制する装置
KR102169363B1 (ko) 2 코일 액티브 엔진마운트
KR100802547B1 (ko) 능동 하이브리드 마운트
Shin et al. Design considerations of linear electromagnetic actuator for hybrid-type active mount damper
KR101551950B1 (ko) 컴팩트 전동식 능동 마운트
JP2009226967A (ja) エンジン制振システム
Bai et al. Design and control of a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dynamic vibration absorber for powertrain mount systems of automobiles
JP2009092237A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JP6264952B2 (ja) 振動低減装置
KR101846784B1 (ko) 자동차용 액티브 댐핑 장치
JP2006177547A (ja) 車両用振動制御装置の動吸振器構造
JP2005337497A (ja) 能動型制振器
KR20090112177A (ko) 능동 동흡진기
KR20110121906A (ko) 종횡방향 제어 능동 엔진 마운트
JP2018091350A (ja) 制振装置
JP2006077982A (ja) 能動消振器
JP6448350B2 (ja) 能動型防振装置
JP6448353B2 (ja) 能動型防振装置
KR20210043078A (ko) 차량용 액티브 마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0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6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0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0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