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950B1 -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2950B1 KR102142950B1 KR1020180012901A KR20180012901A KR102142950B1 KR 102142950 B1 KR102142950 B1 KR 102142950B1 KR 1020180012901 A KR1020180012901 A KR 1020180012901A KR 20180012901 A KR20180012901 A KR 20180012901A KR 102142950 B1 KR102142950 B1 KR 1021429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ing
- coupled
- infant seat
- infant
- protru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9/00—Children's cycles
- B62K9/02—Tri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시트의 하부에 결합하는 몸체부와, 몸체부에 결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유아용 시트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이동부와, 몸체부에 결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유아용 시트의 전방과 후방이 바뀌도록 상기 유아용 시트를 회전시키는 회전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유아가 전방뿐만 아니라 보호자를 바라볼 수 있도록 유아용 시트의 위치를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 중 유아가 불안함을 느낄 경우 보호자를 바라볼 수 있도록 회전시켜 유아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으며, 회전으로 인한 다양한 효용성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유아가 전방뿐만 아니라 보호자를 바라볼 수 있도록 유아용 시트의 위치를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 중 유아가 불안함을 느낄 경우 보호자를 바라볼 수 있도록 회전시켜 유아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으며, 회전으로 인한 다양한 효용성을 획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호자가 유아용 시트의 위치를 회전시켜 유아가 전방뿐만 아니라 유아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도록 보호자를 바라볼 수 있도록 하고, 유아 성장에 대응하여 안장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용 자전거는 탑승완구로써 유아가 자전거를 타면서 밸런스를 잡는 연습과 동시에 다리근육을 길러주는 등의 놀이 및 운동학습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아가 자전거를 처음 탈 경우에 제대로 중심을 잡지 못하고 넘어지기 때문에 자전거를 넘어지지 않고 탈수 있도록 자전거의 바퀴 구조가 앞바퀴와 2개의 뒷바퀴로 이루어진 세발자전거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세발 자전거의 경우에도 안장에 앉은 상태에서 중심을 제대로 잡지 못하고 쉽게 넘어지기 때문에 유아가 혼자 탈 수 있을 때까지는 대부분 유아를 탑승시킨 상태에서 엄마 혹은 아빠와 같은 보호자가 자전거를 잡고 이동하면서 유아를 태우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유아용 자전거에 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9089호에는, 전륜 장착부와, 안장 장착부와, 보호자 밀대 장착부와, 후륜 장착부로 이루어진 자전거의 프레임부, 페달이 부착된 전륜, 전륜을 조향하는 핸들, 안장 장착부에 부착되는 안장, 후륜 장착부에 장착되는 한 쌍의 후륜, 프레임부의 보호자 밀대 장착부에 끼워지는 보호자 밀대, 보호자가 파지할 수 있는 형태를 갖는 브라켓,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아이가 딛고 설 수 있게 후륜 및 보호자 밀대의 후방에 배치되는 발판,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브라켓에 설치되는 손잡이, 보호자 밀대와 포크형 프레임을 연결하는 링크부재 및 손잡이의 상하 방향 회전 각도를 유지하도록 브라켓 및 손잡이에 제공된 각도유지 수단을 포함하는 유아용 삼륜 자전거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유아용 자전거는 유아가 탑승한 자세가 항상 전방만을 바라보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유아입장에선 보호자를 볼 수가 없어 불안함을 느끼는 경우가 있고, 또한 유아는 빠르게 성장하는 만큼 일정기간 사용 후에는 유아용 시트(안장)와 패달과의 거리가 맞지 않아 오랫동안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유아가 전방뿐만 아니라 보호자를 바라볼 수 있도록 유아용 시트의 위치를 회전시킬 수 있어 유아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용성을 다양하게 할 수 있고, 유아 성장에 대응하여 안장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하여 유아에게 보다 편안한 탑승이 가능하고 오랫동안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아용 시트의 하부에 결합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유아용 시트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이동부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유아용 시트의 전방과 후방이 바뀌도록 상기 유아용 시트를 회전시키는 회전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유아용 시트의 하부에 위치하고 하부 중앙부에 원통형의 삽입부가 형성된 지지몸체와, 원통형으로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고, 상면이 상기 유아용 시트의 하부와 결합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하부에 연결되고 하부에 상기 대상체의 프레임과 결합하며, 상기 회전몸체가 상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하도록 하는 베이스몸체와,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베이스몸체의 양측을 감싸 지지하고 상면이 상기 지지몸체와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몸체를 지지하는 측면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몸체는, 상부로 상기 회전몸체와 상기 지지몸체가 대면하고 하면이 상기 측면몸체의 상면이 대면하도록 위치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에 돌출되어 하부에 상기 프레임이 결합되고, 측면으로 상기 측면몸체의 내측면이 대면하도록 위치하는 돌출베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몸체는, 내측이 상기 베이스몸체의 일측과 대면하도록 위치하는 제1측면몸체와, 내측이 상기 베이스몸체의 타측과 대면하도록 위치하는 제2측면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이동부는, 상기 베이스몸체에 결합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유아용 시트를 전후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버튼부와, 상기 슬라이딩 버튼부와 결합하여 상기 슬라이딩 버튼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버튼부는, 상기 베이스몸체에 결합하며, 상기 측면몸체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측면몸체의 내측면에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끼움홈들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끼워지는 돌출끼움부와, 상기 돌출끼움부와 결합하여 상기 돌출끼움부와 연동하여 작동하고, 상기 돌출끼움부가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상기 제1탄성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끼움홈에 삽입된 상기 돌출끼움부를 사용자가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몸체의 외측에 노출되게 형성되는 푸시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이동부는, 상기 측면몸체에 결합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유아용 시트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버튼부와, 상기 회전 버튼부와 결합하여 상기 회전 버튼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버튼부는, 상기 측면몸체에 끼워져 결합하며, 상기 회전몸체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록킹홈에 끼워지는 록킹부와, 상기 록킹부와 결합하여 상기 록킹부와 연동하여 작동하고, 상기 록킹부가 상기 록킹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상기 제2탄성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록킹홈에 삽입된 상기 록킹부를 사용자가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측면몸체의 외측에 노출되게 형성되는 풀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록킹홈은 상기 회전몸체의 외주면에 전방 및 후방에 각각 180도 간격으로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이동부는 상기 풀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유아용 시트가 전방 방향 또는 후방방향으로 각도가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는, 상기 측면몸체에 결합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유아용 시트를 전후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버튼부와, 상기 슬라이딩 버튼부와 결합하여 상기 슬라이딩 버튼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버튼부는, 상기 측면몸체에 결합하며, 상기 베이스몸체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베이스몸체의 내측면에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끼움홈들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돌출끼움부와, 상기 돌출끼움부와 결합하여 상기 돌출끼움부와 연동하여 작동하고, 상기 돌출끼움부가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상기 제3탄성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끼움홈에 삽입된 상기 돌출끼움부를 사용자가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측면몸체의 외측에 노출되게 형성되는 풀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측면몸체에 끼워져 결합하며 상기 회전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록킹홈에 끼워지는 돌출끼움부가 돌출 형성된 록킹몸체와, 상기 록킹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록킹몸체와 연동하여 작동하고, 사용자가 상기 록킹몸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또는 제2측면몸체의 외측에 노출되게 형성되는 풀버튼몸체와, 상기 록킹몸체와 결합하여 상기 돌출끼움부가 상기 록킹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4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이동부는, 상기 풀버튼몸체로부터 상기 베이스몸체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풀버튼몸체의 이동과 연동하여 작동하고, 상기 베이스몸체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된 삽입홈에 끼워지는 록킹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기 록킹부의 삽입깊이는, 상기 록킹홈에 삽입되는 상기 돌출끼움부의 삽입깊이 보다 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유아가 전방뿐만 아니라 보호자를 바라볼 수 있도록 유아용 시트의 위치를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 중 유아가 불안함을 느낄 경우 보호자를 바라볼 수 있도록 회전시켜 유아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으며, 회전으로 인한 다양한 효용성을 획득할 수 있다.
둘째, 유아 성장에 대응하여 안장의 위치를 유아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여 유아에게 보다 편안한 탑승을 유도하고, 이용기간을 늘려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와 이와 결합하는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에서 평면상으로 슬라이딩이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슬라이딩이동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에서 평면상으로 회전 이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회전 이동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3의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에서 평면상으로 슬라이딩이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3의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에서 슬라이딩이동부와 회전이동부가 하나로 결하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에서 평면상으로 슬라이딩이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슬라이딩이동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에서 평면상으로 회전 이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회전 이동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3의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에서 평면상으로 슬라이딩이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3의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에서 슬라이딩이동부와 회전이동부가 하나로 결하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400)는 유아용 시트(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유아용 시트(10)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및 전방 및 후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400)는 상부로는 유아용 시트와 결합하고 하부로는 대상프레임에 결합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때의 대상프레임은 유아용 자전거 또는 유아용 유모차 등 다양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4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400)는, 유아용 시트의 하부에 결합하는 몸체부(100)와, 몸체부(100)에 결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유아용 시트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이동부(200)와, 몸체부(100)에 결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유아용 시트의 전방과 후방이 바뀌도록 유아용 시트를 회전시키는 회전이동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몸체부(100)는 지지몸체(110)와, 회전몸체(120)와, 베이스몸체(130)와, 측면몸체(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몸체(110)는 유아용 시트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면이 유아용 시트에 접촉되게 연결되고, 하부 중앙부에 원통형의 삽입부(111)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몸체(110)는 하측으로 베이스몸체(130)가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위치하고, 측면몸체(140)와 고정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에서 상기 지지몸체(1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는 복수개의 보강리브가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공지의 구성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회전몸체(120)는, 원통형으로 삽입부(111)에 삽입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면이 유아용 시트의 하부와 고정 결합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함에 따라 유아용 시트를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몸체(120)는, 외주면을 따라 180도 간격으로 한 쌍의 록킹홈(121)이 형성되어, 전방 및 후방으로만 회전이동이 되도록 회전을 제한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회전이동부(300)의 작동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회전몸체(120)는, 하면으로 돌출가이드부(122)가 전후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가이드부(122)는, 베이스몸체(130)의 상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삽입부(131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시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몸체(130)는, 상기 회전몸체(120)의 하부에 연결되고 하부에 대상프레임과 고정 결합하며, 지지몸체(110)와 회전몸체(120)와는 회전몸체(120)가 상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베이스몸체(130)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몸체(130)는 플랜지부(131)와, 돌출베이스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부(131)는 상부로 회전몸체(120)와 지지몸체(110)가 대면 접촉하고 하면이 측면몸체(140)의 상면이 대면하도록 위치한다.
상기 플랜지부(131)는 전술한 슬라이딩 삽입부(131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복수개의 보강리브들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131)는, 후술하는 슬라이딩이동부의 돌출끼움부(211)가 끼워지는 홈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베이스부(132)는, 플랜지부(131)의 하부에 돌출되어 하부로 대상프레임이 결합되고, 측면으로 측면몸체(140)의 내측면이 대면하도록 위치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133은 대상프레임과 결합하기 위한 프레임 결합부이다.
상기 측면몸체(140)는, 베이스몸체(130)의 돌출베이스부(132)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여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베이스몸체(130)의 양측을 감싸 지지하고, 상면이 상기 지지몸체(110)와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몸체(13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측면몸체(140)는 접촉면(1411,1421)으로 플랜지부(131)가 접촉되게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몸체(110)와 고정 결합되어, 플랜지부(131)를 포함하는 베이스몸체(130)가 지지몸체(11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한다. 여기서, 상기 측면몸체(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일부가 지지몸체(110)의 내측에 삽입되고,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하여 지지몸체(110)와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이 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측면몸체(140)는 내측이 베이스몸체(130)의 일측과 대면하도록 위치하는 제1측면몸체(141)와, 내측이 베이스몸체(130)의 타측과 대면하도록 위치하는 제2측면몸체(14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면에서 상기 제2측면몸체(142)는 회전이동부(300)의 풀버튼(312)이 삽입되어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슬라이딩이동부의 구성 및 이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200)는, 베이스몸체(130)에 결합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유아용 시트를 전후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버튼부(210,231,200a)와, 슬라이딩 버튼부(210,231,200a)와 결합하여 상기 슬라이딩 버튼부(210,231,200a)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스프링(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버튼부(210,231,200a)는, 베이스몸체(130)에 결합하며, 측면몸체(14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측면몸체(140)의 내측면에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끼움홈(143)들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돌출끼움부(211)와, 돌출끼움부(211)와 결합하여 돌출끼움부(211)와 연동하여 작동하며 사용자가 조작가능한 푸시버튼(2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푸시버튼(212)은 내측일부는 돌출베이스부(132)에 삽입되고 외측 일부는 돌출베이스부(132)로부터 외측에 노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밀어서 작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푸시에 의하여 돌출끼움부(211)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끼움홈(143)들은 도면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3개가 이격되게 형성되어, 지지몸체(110)와 회전몸체(120)가 전후방향으로 3단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탄성스프링(220)은, 돌출끼움부(211)가 끼움홈(143)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슬라이딩 버튼부(210,231,200a)를 탄성 지지하여, 푸시버튼(212)을 누르면 압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슬라이딩이동부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슬라이딩이동부는 사용자가 조작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돌출끼움부(211)가 끼움홈(143)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이 제한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유아용 시트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슬라이딩이동부의 푸시버튼(212)을 누르게 되고, 그러면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돌출끼움부(211)도 같이 눌려지게 되어 돌출끼움부(211)가 도면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끼움홈(143)으로부터 해제된다.
이렇게 돌출끼움부(211)가 끼움홈(143)으로부터 이동하여 빠져나오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유아용시트와 이와 결합된 지지몸체(110)와 회전몸체(120)를 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도 6참조).
이하에서는 상기 회전이동부(300)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이동부(300)는, 측면몸체(140)에 결합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유아용 시트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버튼부(310,도 1참조)와, 회전 버튼부(310)와 결합하여 회전 버튼부(31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스프링(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 버튼부(310)는, 측면몸체(140)에 끼워져 결합하며, 회전몸체(12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록킹홈(121)에 끼워지는 록킹부(311)와, 록킹부(311)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풀버튼(3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에서 상기 회전 버튼부(310)는, 블록구조의 몸체 2개가 상부와 하부로 다단으로 엇갈리게 접촉 결합되어, 상부는 지지몸체(110) 내에 삽입되어 록킹부(311)가 구비되고, 하부는 제2측면몸체(142)에 끼워지고 풀버튼(312)이 구비된다.
상기 록킹부(311)는, 회전몸체(12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회전몸체(12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록킹홈(121)에 끼워지거나 또는 풀버튼(312)에 의하여 이동하여 회전몸체(12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풀버튼(312)은, 사용자가 외측으로 잡아당겨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록킹부(311)와 결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하면 록킹부(311)도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한다. 상기 풀버튼(312)은 사용자가 록킹부(311)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1측면몸체(141)의 외측에 노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잡아당겨 이동시키면 록킹부(311)도 외측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록킹홈(1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몸체(120)의 외주면에 전방과 후방에 각각 180도 간격으로 한 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상기 회전이동부(300)는 풀버튼(312)의 조작에 따라 록킹부(311)가 록킹홈(121)에 삽입 또는 해제되면서 유아용 시트가 전방 방향 또는 후방방향으로 각도가 조절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탄성스프링(320)은, 록킹부(311)가 록킹홈(121)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회전 버튼부(310)를 탄성 지지하여, 풀버튼(312)을 잡아 당기면 압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회전이동부(300)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 7과 같이 록킹부(311)가 록킹홈(121)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유아용 시트를 회전시키고자 하면,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풀버튼(312)을 잡아당겨 록킹부(311)를 좌측방향인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록킹부(311)가 록킹홈(121)으로부터 빠져나와 회전몸체(120)가 회전할 수 있게 되며, 이렇게 록킹부(311)가 이동된 상태에서 회전몸체(120)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후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전몸체(120)가 회전하여 록킹부(311)가 위치한 지점에 반대쪽의 다른 록킹홈(121)이 위치하게 되면 록킹부(311)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몸체(120)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 버튼부(310)는 제2탄성스프링(320)에 의하여 록킹부(311)가 록킹홈(12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처음 풀버튼(312)을 잡아당겨 록킹부(311)를 이동시키기만 하면 되며, 회전몸체(120)의 회전 시 록킹부(311)가 회전몸체(120)의 외주면에 접촉되다가 록킹홈(121)에 위치하면 제2탄성스프링(320)에 의하여 자동으로 록킹부(311)가 록킹홈(121)에 삽입되어 끼워진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도 4에서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200)는 사용자가 푸시버튼(212)을 누르면 돌출끼움부(211)가 이동하면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지만, 도 10의 슬라이딩 이동부(230)는 사용자가 푸시버튼(212)이 아닌 풀버튼(312) 방식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당기면 돌출끼움부(231)가 이동하여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한 슬라이딩 이동부(23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는 전술한 제1측면몸체(141)와 제2측면몸체(142)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부(230)와 회전 이동부(300)를 양측으로 설치하여, 사용자는 양측에서 풀버튼 방식으로 슬라이딩 이동부(230)와 회전 이동부(300)를 각각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슬라이딩 이동부(230)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슬라이딩 이동부(2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유아용 시트를 전후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버튼부(233)와, 슬라이딩 버튼부(233)와 결합하여 슬라이딩 버튼부(23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탄성스프링(2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버튼부(233)는, 회전이동부(300)와의 사용상의 혼돈을 피할 수 있도록 제2측면몸체(142)에 결합하는 회전이동부(300)와 대향되는 방향에 위치하도록 제1측면몸체(141)에 결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측면몸체(141)에서 회전이동부(300)를 작동시키고 제2측면몸체(142)에서 슬라이딩 이동부(230)를 작동시키도록 서로 구분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버튼부(233)는, 돌출끼움부(231)와, 풀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돌출끼움부(231)는 제1측면몸체(141)에 결합하며, 베이스몸체(13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베이스몸체(130)의 내측면에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끼움홈(123)들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끼움홈(123)들은 베이스몸체(130)의 구성 중 플랜지부(13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풀버튼은, 돌출끼움부(231)와 결합하여 돌출끼움부(231)와 연동하여 작동하며 제2측면몸체(142)의 외측에 노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외측으로 당기면 이와 연동하여 돌출끼움부(231)가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풀버튼은 도 3의 풀버튼(31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3탄성스프링(232)은 상기 제1측면몸체(141)와 슬라이딩 버튼부(233)에 각각 끼워져 결합하고, 돌출끼움부(231)가 끼움홈(123)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돌출끼움부(231)가 베이스몸체(130)가 위치하는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슬라이딩 버튼부(233)의 세부작동은 도 5 및 도 6의 작동방식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슬라이딩 이동부(500)와 회전이동부(300a)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500)와 회전이동부(300a)는 전술한바와 같이 슬라이딩 이동부(500)와 회전이동부(300)가 각각 별도로 구성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슬라이딩 이동부(500)와 회전이동부(300a)가 하나의 버튼 구성으로 이루어져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고, 1단 및 2단 조작을 통하여 유아용 시트의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을 모두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500)는, 록킹몸체(510)와, 풀버튼몸체(520)와, 제4탄성스프링(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록킹몸체(510)는 제1측면몸체(141) 또는 제2측면몸체(142)에 끼워져 결합하며 회전몸체(12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록킹홈(121)에 끼워지는 돌출끼움부(51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풀버튼몸체(520)는, 록킹몸체(510)와 일체로 형성되어 록킹몸체(510)와 연동하여 작동하고, 사용자가 록킹몸체(51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1측면몸체(141) 또는 제2측면몸체(142)의 외측에 노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4탄성스프링(530)은 록킹몸체(510)와 결합하여 록킹몸체(51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돌출끼움부(511)가 록킹홈(12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회전이동부(300a)는, 풀버튼몸체(520)로부터 베이스몸체(13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어 풀버튼몸체(520)의 이동과 연동하여 작동하고, 베이스몸체(130)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된 삽입홈(1312)에 끼워지는 록킹부(5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홈(1312)에 삽입되는 록킹부(4521)의 삽입깊이는, 회전몸체(120)와 플랜지부(131)의 외측면(131a)에 대하여 록킹홈(121)에 삽입되는 돌출끼움부(511)의 삽입깊이 보다 깊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500)와 회전이동부(300a)는 록킹몸체(510)와 풀버튼몸체(520)를 통하여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유아용 시트의 회전 또는 슬라이딩 이동에 대응하여 풀버튼몸체(520)를 1단 및 2단으로 당기면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풀버튼몸체(520)를 1단으로 당겨 작동시키면 록킹홈(121)에 끼워져있던 돌출끼움부(511)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몸체(120)가 회전할 수 있으며, 풀버튼몸체(520)를 2단까지 우측방향으로 더 이동시키면 록킹부(521)가 삽입홈(1312)으로부터 빠져나오면서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몸체부 110 : 지지몸체
111 : 삽입부 120 : 회전몸체
121 : 록킹홈 122 : 돌출가이드부
130 : 베이스몸체 131 : 플랜지부
1311 : 슬라이딩 삽입부 1312 : 삽입홈
132 : 돌출베이스부 133 : 프레임 결합부
140 : 측면몸체 141 : 제1측면몸체
1411,1421 : 접촉면 142 : 제2측면몸체
143,123 : 끼움홈 200,230,500 : 슬라이딩 이동부
210,233 : 슬라이딩 버튼부 211,231,511 : 돌출끼움부
212 : 푸시버튼 220 : 제1탄성스프링
232 : 제3탄성스프링 300,300a : 회전이동부
310 : 회전 버튼부 311,411,521 : 록킹부
312 : 풀버튼 320 : 제2탄성스프링
400 :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 510 : 록킹몸체
520 : 풀버튼몸체 530 : 제4탄성스프링
111 : 삽입부 120 : 회전몸체
121 : 록킹홈 122 : 돌출가이드부
130 : 베이스몸체 131 : 플랜지부
1311 : 슬라이딩 삽입부 1312 : 삽입홈
132 : 돌출베이스부 133 : 프레임 결합부
140 : 측면몸체 141 : 제1측면몸체
1411,1421 : 접촉면 142 : 제2측면몸체
143,123 : 끼움홈 200,230,500 : 슬라이딩 이동부
210,233 : 슬라이딩 버튼부 211,231,511 : 돌출끼움부
212 : 푸시버튼 220 : 제1탄성스프링
232 : 제3탄성스프링 300,300a : 회전이동부
310 : 회전 버튼부 311,411,521 : 록킹부
312 : 풀버튼 320 : 제2탄성스프링
400 :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 510 : 록킹몸체
520 : 풀버튼몸체 530 : 제4탄성스프링
Claims (9)
- 유아용 시트의 하부에 결합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유아용 시트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이동부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유아용 시트의 전방과 후방이 바뀌도록 상기 유아용 시트를 회전시키는 회전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유아용 시트의 하부에 위치하고 하부 중앙부에 원통형의 삽입부가 형성된 지지몸체와,
원통형으로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고, 상면이 상기 유아용 시트의 하부와 결합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하부에 연결되고 하부에 대상체의 프레임과 결합하며, 상기 회전몸체가 상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하도록 하는 베이스몸체와,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베이스몸체의 양측을 감싸 지지하고 상면이 상기 지지몸체와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몸체를 지지하는 측면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측면몸체는,
내측이 상기 베이스몸체의 일측과 대면하도록 위치하는 제1측면몸체와,
내측이 상기 베이스몸체의 타측과 대면하도록 위치하는 제2측면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는,
상기 제1측면몸체 또는 제2측면몸체에 끼워져 결합하며 상기 회전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록킹홈에 끼워지는 돌출끼움부가 돌출 형성된 록킹몸체와;
상기 록킹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록킹몸체와 연동하여 작동하고, 사용자가 상기 록킹몸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측면몸체 또는 제2측면몸체의 외측에 노출되게 형성되는 풀버튼몸체와;
상기 록킹몸체와 결합하여 상기 돌출끼움부가 상기 록킹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4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이동부는,
상기 풀버튼몸체로부터 상기 베이스몸체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풀버튼몸체의 이동과 연동하여 작동하고, 상기 베이스몸체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된 삽입홈에 끼워지는 록킹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기 록킹부의 삽입깊이는,
상기 록킹홈에 삽입되는 상기 돌출끼움부의 삽입깊이 보다 깊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몸체는,
상부로 상기 회전몸체와 상기 지지몸체가 대면하고 하면이 상기 측면몸체의 상면이 대면하도록 위치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에 돌출되어 하부에 상기 프레임이 결합되고, 측면으로 상기 측면몸체의 내측면이 대면하도록 위치하는 돌출베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2901A KR102142950B1 (ko) | 2018-02-01 | 2018-02-01 |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2901A KR102142950B1 (ko) | 2018-02-01 | 2018-02-01 |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3359A KR20190093359A (ko) | 2019-08-09 |
KR102142950B1 true KR102142950B1 (ko) | 2020-08-10 |
Family
ID=67613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2901A KR102142950B1 (ko) | 2018-02-01 | 2018-02-01 |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2950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5801311U (zh) * | 2016-01-20 | 2016-12-14 | 嘉兴小虎子车业有限公司 | 一种童车座凳调节机构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9089Y1 (ko) | 2011-09-26 | 2012-03-21 | 라귀복 | 유아용 삼륜 자전거 |
KR20140008117A (ko) * | 2012-07-10 | 2014-01-21 | (유)삼송 |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 |
WO2015099230A1 (ko) * | 2013-12-26 | 2015-07-02 | 조용훈 | 뒤보기와 슬라이딩 가능한 시트를 갖는 어린이용 자전거 |
KR20150090477A (ko) * | 2014-01-29 | 2015-08-06 | 민인영 | 회전구조를 갖는 유아용 자전거용 안장 |
-
2018
- 2018-02-01 KR KR1020180012901A patent/KR10214295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5801311U (zh) * | 2016-01-20 | 2016-12-14 | 嘉兴小虎子车业有限公司 | 一种童车座凳调节机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3359A (ko) | 2019-08-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986564A (en) | Adjustable mechanism for a seat back of a stroller | |
US5728030A (en) | Infant training walker | |
KR200474422Y1 (ko) | 손을 사용하지 않고 속도제어 가능한 전동 구동장치 장착 유모차 | |
US20150115685A1 (en) | Footrest for car seat | |
KR20150115767A (ko) | 다중-탑승자 세발자전거 | |
EP1764281B1 (en) | Baby stroller frame with seat direction changing mechanism | |
KR20190046945A (ko) | 유모차 부속물, 및 유모차와 그러한 부속물을 포함하는 운송 어셈블리 | |
US2907372A (en) | Combination scooter, walker, and stroller | |
US6811173B1 (en) | Baby tricycle steering control arrangement | |
US20080100014A1 (en) | Combination jogging apparatus and stroller | |
KR200459090Y1 (ko) | 유아용 삼륜 자전거 | |
KR200459089Y1 (ko) | 유아용 삼륜 자전거 | |
KR102142950B1 (ko) |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 | |
US20140217705A1 (en) | Child's active transporta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 |
CN112109795A (zh) | 无动力车体用包括驱动单元的搭乘装置 | |
US5845963A (en) | Walking chair incorporative of a rocking chair | |
CN216102326U (zh) | 儿童推车 | |
CN107600159B (zh) | 可调节后轮座 | |
US3680889A (en) | Baby walking trainer | |
KR101709291B1 (ko) | 유아용 운송수단 | |
US20160176432A1 (en) | Gliding motion apparatus in use with an infant/toddler carrier | |
EP1717139B1 (en) | Combination vehicle frame | |
JPH0347287A (ja) | 小供用乗物 | |
KR200480448Y1 (ko) | 자전거용 라이더 및 이를 포함하는 자전거 | |
KR101814900B1 (ko) | 방향성 캐스터를 이용한 자전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