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709291B1 - 유아용 운송수단 - Google Patents

유아용 운송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291B1
KR101709291B1 KR1020160071241A KR20160071241A KR101709291B1 KR 101709291 B1 KR101709291 B1 KR 101709291B1 KR 1020160071241 A KR1020160071241 A KR 1020160071241A KR 20160071241 A KR20160071241 A KR 20160071241A KR 101709291 B1 KR101709291 B1 KR 101709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seat
infant
front whee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1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수
서호준
원영재
Original Assignee
(주)동인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인기연 filed Critical (주)동인기연
Priority to KR1020160071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2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9/00Children's cycles
    • B62K9/02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B62J1/04Saddles capable of swinging about a horizontal piv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2Handlebars; Handlebar 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운송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전방 연결부와 후방 연결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시트부; 상기 전방 연결부 및 상기 후방 연결부에 구비되는 전륜 및 후륜; 상기 전방 연결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륜을 조향하는 전방 조향부; 및 상기 후방 연결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륜을 조향하는 후방 조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륜은, 상기 후방 조향부에 의해 조작되는 경우에 360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아용 운송수단{Vehicle for baby}
본 발명은 운송수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용 운송수단에 관한 것이다.
3세에서 8세 사이의 유아들은 그 성장에 맞추어 다리의 근력을 기르는 운동이 필요하다. 유아용 자전거는 놀이를 하면서 다리 강화 운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유아의 성장기에 꼭 필요한 놀이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유아용 자전거는 일반적으로 세발 자전거이지만, 이륜에 보조 바퀴를 부착한 사륜 자전거도 존재한다. 이러한 유아용 자전거는 유모차를 대신하여 외출시 유아를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운송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전술한 유아용 자전거의 운행 조작은 유아가 어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자전거를 미는 보호자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유아용 자전거의 프레임 후단에 보호자가 자전거를 밀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가 배치되고, 보호자가 상기 손잡이를 움직임에 따라 앞바퀴가 조향될 수 있도록 하는 링크 부재가 상기 손잡이의 축과 앞바퀴 사이에 제공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유아용 자전거는 보호자와 유아가 자전거를 함께 조향하므로 이에 대한 조향성능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이 뿐만아니라, 유아가 유아용 자전거 시트에 안착시 유아가 느끼는 편안함 및 보호자의 관찰을 위한 자세 등을 위해 시트의 움직임에 대해서 많은 연구 또한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조향성능을 향상시키고, 안전성 및 편의성이 증대되며 분해조립이 용이한 유아용 운송수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운송수단은, 전방 연결부와 후방 연결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시트부; 상기 전방 연결부 및 상기 후방 연결부에 구비되는 전륜 및 후륜; 상기 전방 연결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륜을 조향하는 전방 조향부; 및 상기 후방 연결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륜을 조향하는 후방 조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륜은, 상기 후방 조향부에 의해 조작되는 경우에 360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륜은, 상기 전방 조향부에 의해 조작되는 경우에 기설정각도의 범위에서만 회전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방 연결부는, 상기 전방 조향부를 수용하는 위치에 상기 전방 조향부가 상기 기설정각도의 범위에서만 회전가능하도록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전륜을 수용하는 위치에 상기 전륜이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스토퍼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방 연결부는, 상기 전방 조향부와는 연결되고, 상기 전륜과는 연결 또는 연결해제되는 커넥터 장치; 및 상기 커넥터 장치와 연결되어 전방 조향부 조향모드 또는 후방 조향부 조향모드를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조향모드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장치는, 상기 전방 조향부 조향모드를 선택시, 상기 조향모드 제어장치와 함께 일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륜과 연결되며, 상기 후방 조향부 조향모드를 선택시, 상기 조향모드 제어장치와 함께 타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륜과 연결해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방 연결부는, 전방 조향부 조향모드 또는 후방 조향부 조향모드를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조향모드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향모드 제어장치는, 상기 전방 조향부 조향모드를 선택시, 상기 전방 조향부에 가해지는 힘이 상기 전륜에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후방 조향부 조향모드를 선택시, 상기 전방 조향부에 가해지는 힘이 상기 전륜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아를 상기 시트부에 구속시키는 안전 가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 가드부는, 상기 유아를 상기 시트부에 인입시키기 위해 개방 또는 폐쇄되는 개폐장치가 상기 유아의 측면과 대향하는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안전 가드부에서 상기 유아의 양측면과 대향하는 부분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트부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트부는, 유아가 안착하는 시트; 상기 유아의 등과 맞닿으며, 상기 시트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등받이; 및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시트가 틸팅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시트 연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트부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트부는, 유아가 안착하는 시트; 상기 유아의 등과 맞닿으며, 상기 시트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등받이; 및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시트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방 조향부는, 상기 후방 연결부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방 연결부는, 상기 후방 조향부가 연장 또는 단축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방 연결부는, 상기 전방 조향부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방 연결부는, 상기 전방 조향부와 탄성 체결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 체결구는, "U"자형으로 형성된 탄성 체결구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운송수단은, 전륜 및 후륜을 통해 운행되는 본체; 상기 전륜을 조향하는 전방 조향부;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시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부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 또는 틸팅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트부는, 유아가 안착하는 시트; 상기 유아의 등과 맞닿으며, 상기 시트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등받이; 및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시트가 회전 또는 틸팅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시트 연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연결장치는, 상기 시트와 연결되며 회전 또는 틸팅 가능하도록 곡면형으로 하측 돌출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부분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트 연결장치는, 상기 제2 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부분에 형성된 제1 홈에 삽입 또는 해제되는 틸팅 제어부; 및 상기 제2 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부분에 형성된 제2 홈에 삽입 또는 해제되는 회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운송수단은, 전륜을 360도로 조향가능하도록 제작함으로써 보호자의 조향성능이 매우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운송수단은, 유아용 운송수단의 시트의 틸팅 및 회전을 등받이뿐만 아니라 의자 자체가 회전 또는 틸팅가능하도록 하여 유아의 편의성 및 보호자의 유아 관찰을 위한 시트 조작이 매우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운송수단은, 각 프레임, 시트 및 전,후륜 등의 구성품들을 일체형이 아닌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제작하여 유아용 운송수단의 휴대성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운송수단은, 등받이 및 보호자 조향 프레임(후방 조향부)이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유모차용 또는 자전거로 쉽게 변경가능하므로, 유아용 운송수단을 사용할 수 있는 유아의 연령의 범위가 매우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운송수단은, 유아를 시트에 구속시키는 안전가드를 측면에서 개폐가능하도록 하여 보호자가 유아를 시트에 착석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운송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운송수단의 전방부분 조립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운송수단의 전방 연결부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운송수단의 안전가드 조립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운송수단의 시트부 조립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운송수단의 시트부 뒤보기 틸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운송수단의 시트부 앞보기 틸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운송수단의 모드 변경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운송수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운송수단의 전방부분 조립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운송수단의 전방 연결부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운송수단의 안전가드 조립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운송수단의 시트부 조립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운송수단(1)은, 본체(10), 전방 연결부(20), 후방 연결부(30), 전방 조향부(40), 전륜 연결부(50), 시트부(60), 안전가드(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유아용 운송수단(1)은, 도면 상에 세발 자전거 또는 세발 유모차 등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두발 자전거, 네발 자전거, 네발 유모차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체(10)는, 전방 연결부(20)와 후방 연결부(30)가 구비되며, 유아용 운송수단(1)의 주요구성들이 결합되어 운행과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프레임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일례로 유아(도시하지 않음)가 착석 후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중앙이 만곡한 호형의 프레임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트러스(truss)구조를 가진 프레임 또는 직선의 프레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체(10)는, 일단에 전방 연결부(20)와 연결되고, 타단에 후방 연결부(3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중앙에는 후술할 시트부(60)가 연결될 수 있다. (도 5 참조) 이때, 전방 연결부(20), 후방 연결부(30) 및 시트부(60)는 모두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일례로 탄성 체결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전방 연결부(20)는, 본체(10)의 전단에 구비되어, 전방 조향부(40) 및 전륜 연결부(50)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전방 연결부(20)는, 일측이 본체(10)의 전단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측에는 전방 조향부(40)가 삽입되고 하측에는 전륜 연결부(50)가 삽입되어 전방 조향부(40) 및 전륜 연결부(50)를 연결할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5 참조)
전방 연결부(20)는, 하우징(24)에 의해 커넥터 장치(21) 및 해제장치(23)를 수용하며 조향모드 제어장치(22)가 하우징(24)의 전방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커넥터 장치(21)는, 전방 조향부(40)와는 연결되고 전륜 연결부(50)와는 연결 또는 연결해제되도록 구성되며, 하우징(24)의 내부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터 장치(21)는, 상측이 전방 조향부(40)와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하측이 전륜 연결부(50)와 분리 또는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임의의 길이만큼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커넥터(211), 커넥터(211)의 상측을 둘러싸는 상부 하우징(212) 및 하측을 둘러싸는 하부 하우징(213)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장치(21)는, 후술할 조향모드 제어장치(22)와 연결되어 조향모드 제어장치(22) 의해 전방 연결부(20)의 내부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고, 조향모드 제어장치(22)에 의한 상측 또는 하측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전륜 연결부(50)와 연결 또는 연결해체될 수 있다.
일례로 커넥터 장치(21)가 조향모드 제어장치(22)에 의해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에는 전륜 연결부(50)와의 연결이 해제되어 후방 조향부(322)에 의해 전륜(FR)이 조향되도록 하고, 커넥터 장치(21)가 조향모두 제어장치(22)에 의해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에는 전륜 연결부(50)와 연결되어 전방 조향부(40)에 의해 전륜(FR)이 조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커넥터 장치(21)의 하부 하우징(213)이 조향모드 제어장치(22)와 핀(부호 도시하지 않음) 또는 리벳 등의 기타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커넥터 장치(21)는, 조향모드 제어장치(22)의 슬라이딩 이동에 대응되어 함께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조향모드 제어장치(22)는, 커넥터 장치(21)와 연결되어 유아용 운송수단(1)이 전방 조향부 조향모드 또는 후방 조향부 조향모드를 선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향모드 제어장치(22)는, 하우징(24)의 전방을 덮도록 형성되는 제어 하우징(221)과, 하우징(24)의 양측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슬라이딩 홀(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하우징(221)은, 사용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 이때, 제어 하우징(221)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거리(L1)는 슬라이딩 홀(22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어 하우징(221)은, 일례로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 후방 조향부 조향모드가 선택되고,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 전방 조향부 조향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제어 하우징(221)은, 핀 또는 리벳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슬라이딩 홀(222)을 연통하여 커넥터 장치(21)의 하부 하우징(213)과 결합되어 커넥터 장치(21)가 조향모드 제어장치(22)의 슬라이딩 이동에 대응되어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전방 조향부 조향모드 및 후방 조향부 조향모드를 설명하도록 하며, 먼저 후방 조향부 조향모드를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하우징(221)이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후방 조향부 조향모드가 선택되게 되고, 커넥터 장치(21)가 제어 하우징(21)의 상측 슬라이딩 이동에 대응되어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커넥터 장치(21)가 전륜 연결부(50)와 연결해제되고 이로 인해 전륜(FR)은 독립적으로 자유구동하게 된다.
이때, 전륜(FR)은, 전륜 연결프레임(51)에 의해서 전방 연결부(2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후방 조향부(322)로부터 전달되는 힘이 바로 전달되게 된다. 전륜 연결프레임(51)은 상측에 돌출된 돌출부(511)가 해제장치(23)의 클립구(232)에 의해 고정되어 전방 연결부(20)로부터 탈착되지는 않고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전륜(FR)은, 단지 지면과의 마찰력과 후방 조향부(322)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발생되는 토크로 조향이 이루어지며, 이때 전륜 연결프레임(51)과 전방 연결부(20)가 연결되는 위치(바람직하게는 전륜 연결프레임(51)의 돌출부(511))에 별도의 조향 각도를 제한하는 장치가 구비되지 않아 전륜(FR)이 360도 회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후방 조향부(322)로 유아용 운송수단(1)을 조향하는 경우(후방 조향부 조향모드) 전륜(FR)이 360도로 회전가능하여 최소한의 힘으로도 유아용 운송수단(1)을 조향할 수 있게되므로 사용자의 조향성능이 매우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전방 조향부 조향모드를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하우징(221)이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전방 조향부 조향모드가 선택되게 되고, 커넥터 장치(21)가 제어 하우징(21)의 하측 슬라이딩 이동에 대응되어 함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커넥터 장치(21)가 전륜 연결부(50)와 연결되고(바람직하게는 돌출부(511) 이로 인해 전륜(FR)은 전방 조향부(40)에 의존적으로 종속구동하게 된다.
이때, 전륜(FR)은, 전륜 연결프레임(51)에 의해서 전방 연결부(2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또한, 전륜 연결프레임(51)의 돌출부(511)도 커넥터 장치(21)와 고정 연결되어 전방 조향부(40)로부터 전달되는 힘이 직접적으로 전달되게 된다.
이때 전륜(FR)은, 전방 연결부(20)와 연결되는 위치에 조향 각도를 제한하는 장치(바람직하게는 전방 연결부(20)의 하우징(24) 내부에 임의의 돌출부분을 형성하는 스토퍼(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전륜(FR)이 기설정각도만 회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아가 전방 조향부(40)를 통해 전륜(FR)을 조향하는 경우에 과도한 조향각 회전으로 인해 유아용 운송수단(1)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아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유아용 운송수단(1)은, 유아가 조향하는 경우에는 유아의 안정성 향상에 초점을 맞추어 조향각도를 제한하고, 사용자(보호자)가 조향하는 경우에는 유아의 안정성이 어느정도 담보되므로 유아의 안정성보다는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조향성능)의 향상에 초점을 맞추어 조향각도의 제한을 해제하고 있어, 유아용 운송수단(1)의 서로 다른 조향자에 따라 최적의 효과를 도출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해제장치(23)는, 하우징(234)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전방 연결부(20)로부터 전륜 연결부(50)와 전방 조향부(40)를 분리 또는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제장치(23)는, 하우징(234)에 스위치(231), 클립구(232), 탄성구(233)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하우징(24)의 하단에 하우징(234)이 결합된다.
스위치(231)는, 클립구(232)를 가압하여 클립구(232)가 지지하고 있는 전륜 연결프레임(51)의 돌출부(511)를 지지해제하도록 함으로써, 전륜 연결부(50)가 전방 연결부(20)로부터 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스위치(231)가 클립구(232)를 가압해제하는 경우에는 클립구(2320가 탄성구(233)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지지위치로 복원되므로 돌출부(511)의 전방 연결부(20) 삽입시 지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전륜 연결부(50)가 전방 연결부(20)에 고정될 수 있다.
클립구(232)는, 중앙에 홀이 형성되어 전륜 연결프레임(51)의 돌출부(511)가 상기 홀로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돌출부(511)는, 전방 연결부(20)에 삽입시 클립구(232)의 홀을 통과하여 위치하고(이때, 클립구(232)는 스위치(231)에 의해 가압된 상태) 이후, 스위치(231)에 의한 클립구(232) 가압을 해제하면 클립구(232)는, 탄성구(233)의 복원력에 의해 지지위치에 위치하게되어 돌출부(511)를 지지할 수 있다.
후방 연결부(30)는, 본체(10)의 후단에 구비되어, 후방 조향부(322) 및 후륜(RR)을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후방 연결부(30)는, 일측이 본체(10)의 후단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하측은 양갈래로 연장형성되는 후륜 프레임(31)에 의해 후륜(RR)과 연결되며, 상측은 상방 연장형성되는 후방 조향부 연결 프레임(32)에 의해 후방 조향부(322)와 연결될 수 있다.
후륜 프레임(31)은, 본체(10)의 일측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양측으로 갈래가 형성되어 후륜(RR)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후륜(RR)은 바람직하게 두 개 구비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한 개만 구비될 수도 있다.
후방 조향부 연결 프레임(32)은, 본체(10)의 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며 후방 조향부(32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후방 조향부 연결 프레임(32)은, 후방 조향부(322)와 해제구(321)에 의해 분리 또는 결합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또한, 후방 조향부(322)가 삽입 또는 연장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방 조향부 연결 프레임(32)은, 후방 조향부(322)가 삽입되도록 후방 조향부(322)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해제구(321)에 의해 후방 조향부(322)와 분리 또는 결합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후방 조향부(322)는 해제구(321)에 의해 후방 조향부 연결 프레임(32)과 완전 분리후, 후방 조향부 연결 프레임(32)으로부터 일정 간격(L1) 연장되도록 위치한 후 다시 해제구(321)에 의해 후방 조향부 연결 프레임(32)에 결합되도록 수행함으로서, 후방 조향부(322)가 후방 조향부 연결 프레임(32)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반대의 매커니즘으로 수행시 후방 조향부(322)는 후방 조향부 연결프레임(32)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후방 조향부(322)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에 맞게 후방 조향부(322)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후방 조향부(322)가 해제구(321)에 의해 후방 조향부 연결 프레임(32)으로부터 완전 분리되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용 자전거로 변형될 수 있다. 도 8을 통해서 살펴보면, 도 8(a)는 본 발명의 유아용 운송수단(1)이 유아용 유모차일 경우의 모습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유아용 운송수단(1)이 유아용 자전거일 경우의 모습으로, 도 8(a)에서 도 8(b)로 변형되는 모습이다.
이때, 후술할 시트부(60)의 등받이(62)도 시트(61)와 착탈가능하게 형성되는데, 후방 조향부(322)가 해제구(321)에 의해 후방 조향부 연결 프레임(32)으로부터 완전 분리됨과 함께 등받이(62)가 시트(61)로부터 완전 분리됨으로써, 유아용 자전거로 변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운송수단(1)은, 등받이(62) 및 후방 조향부(322)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유모차용 또는 자전거로 쉽게 변경가능하므로, 유아용 운송수단(1)을 사용할 수 있는 유아의 연령의 범위가 매우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후방 조향부(322)는, 사용자의 조향력을 후방 조향 연결 프레임(32)으로 전달하고, 이 조향력이 전술한 전방 연결부(20) 및 전륜 연결 프레임(51)까지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전륜(FR)을 조향하게 된다.
전방 조향부(40)는, 전방 연결부(20)에 구비되며 전륜(FR)을 조향한다.
구체적으로, 전방 조향부(40)는, U자형으로 형성되는 조향구(41) 및 조향구(41)의 일측에 하방 연장형성되는 전방 조향부 연결 프레임(42)을 포함한다.
조향구(41)는, U자형으로 구성되어 양갈래로 연장형성되고, 양갈래로 연장형성된 양단부에 손잡이(411)가 형성되어 유아가 조작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손잡이(411)가 형성된 단부와 대향하는 단부에 전방 조향부 연결 프레임(42)와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설명한 조향구(41)의 형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든 일례일뿐이며, “U”자형 외에도 유아가 조작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방 조향부 연결 프레임(42)은, 일측이 조향구(41)와 연결되고 타측이 전방 연결부(20)의 커넥터(211)와 연결되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형성되며 내부에 탄성 체결구(421)를 수용하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전방 조향부 연결 프레임(42)은, 전방 연결부(20)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U 자형으로 형성된 탄성 체결구(421)에 의해 전방 연결부(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탄성 체결구(421)는, 전방 조향부 연결 프레임(42)의 내부에 수용되어 U자형의 양 단부가 전방 조향부 연결 프레임(42)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전방 조향부 연결 프레임(42) 양측외부로 돌출된 탄성 체결구(421)의 단부들에 외력이 가해지면 전방 조향부 연결 프레임(42)이 전방 연결부(20)와 분리되고, 전방 조향부 연결 프레임(42) 양측외부로 돌출된 탄성 체결구(421)의 단부들에 외력이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해 전방 조향부 연결 프레임(42)이 전방 연결부(20)와 결합된다.
전륜 연결부(50)는, 전륜(FR)과 전방 연결부(20)를 연결하며, 전륜 연결 프레임(51), 페달 장착 프레임(52) 및 구동페달(P1)을 포함할 수 있다.
전륜 연결부 프레임(51)은, 돌출부(511)에 의해 전륜 연결부(50)와 전방 연결부(20)를 연결하고 페달 장착 프레임(52)에 의해 전륜(FR)과 연결될 수 있다.
페달 장착 프레임(52)은, 중앙부에 전륜(FR)을 위치시키도록 전륜(FR)을 연통하고, 전륜 연결부 프레임(51)을 연통하여 전륜 연결부 프레임(51)이 전륜(FR)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페달 장착 프레임(52)은 전륜(FR)이 위치한 중앙부를 기준으로 일단부가 상측으로 단차가 지고 타단부가 하측으로 단차가 지도록 형성되며, 일단부와 타단부에 구동페달(P1)이 결합될 수 있다.
전륜(FR)은 구동페달(P1)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어 유아용 운송수단(1)에 추진력을 발생시키고 전륜 연결 프레임(51)으로부터 조향력이 전달되어 유아용 운송수단(1)에 조향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시트부(60)는, 본체(10)에 연결되어 유아가 착석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고, 본체(10)에 대하여 틸팅 또는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시트부(60)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시트부(60)는, 본체(10)와 연결되며 유아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일례로 본체(1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고, 시트(61), 등받이(62), 차양 연결구(63) 및 시트 연결장치(64)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61)는, 유아의 둔부와 대면하여 유아를 유아용 운송수단(1)에 착석시킬 수 있고, 상측 일단부에 등받이(62)와 연결되며, 하측에 시트 연결장치(64)와 연결될 수 있다.
등받이(62)는 시트(61)의 상측 일단부에 연결되며, 유아의 등과 대면하여 유아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유아의 등을 지지할 수 있고 시트(61)에 대하여 틸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등받이(62)는 U자형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프레임의 일부에 차양 연결구(6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등받이(62)는, 시트(61)의 상측 일단부에 연결시 시트(61)와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등받이(62)가 시트(61)로부터 완전 분리되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용 자전거로 변형될 수 있다.
도 8을 통해서 살펴보면, 도 8(a)는 본 발명의 유아용 운송수단(1)이 유아용 유모차일 경우의 모습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유아용 운송수단(1)이 유아용 자전거일 경우의 모습으로, 도 8(a)에서 도 8(b)로 변형되는 모습이다.
이때, 전술한 후방 조향부(322)도 후방 연결부(30)로부터 착탈되는데,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운송수단(1)은, 등받이(62) 및 후방 조향부(322)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유모차용 또는 유아가 직접 운행하는 자전거로 쉽게 변경가능하므로, 유아용 운송수단(1)을 사용할 수 있는 유아의 연령의 범위가 매우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차양 연결구(63)는, 등받이(62)의 프레임 일부에 연결형성되며, 유아를 외부요인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차양(도시하지 않음)을 등받이(62)에 고정할 수 있다.
시트 연결장치(64)는, 본체(10)에 대하여 시트(61)가 틸팅 또는 회전되도록 본체(10)와 시트(61)를 연결하며, 시트(61)와 고정연결되며 회전 또는 틸팅이 용이하도록 곡면형으로 형성되어 하측 돌출되는 제1 부분(641) 및 본체(10)와 연결되며 제1 부분(641)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2 부분(6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641)은, 상측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시트(61)와 고정연결되고 타측이 볼록한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시트(61)가 회전 또는 틸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부분(641)은 전체적으로 밥그릇(Bowl)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부분(641)은, 제1 홈(6411) 및 제2 홈(64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홈(6411) 및 제2 홈(6412)에 의해 시트(61)의 회전범위 또는 틸팅범위가 정의될 수 있다.
제1 홈(6411) 및 제2 홈(6412)은 제1 부분(641)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시트(61)의 회전범위 또는 틸팅범위에 따라 그 갯수 또는 홈의 크기가 정해질 수 있다.
제2 부분(642)은, 상측이 오목한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1 부분(641)을 수용하고, 하측이 본체(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2 부분(642)의 하측은 본체(10)가 연통되도록 중공관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제2 부분(642)은 틸팅 제어부(6421) 및 회전 제어부(64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틸팅 제어부(6421) 및 회전 제어부(6422)가 제1 홈(6411) 및 제2 홈(6412)에 삽입 또는 삽입해제됨으로써, 회전범위 또는 틸팅범위가 정의될 수 있다.
틸팅 제어부(6421)는, 제2 부분(642)을 관통하여 제1 부분(641)의 제1 홈(6411)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2 부분(642)을 관통한 부분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즉, 틸팅 제어부(6421)는, 일단부가 제2 부분(642)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타단부가 제1 부분(641)의 제1 홈(6411)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제2 부분(642)을 관통할 수 있다.
회전 제어부(6422)는, 제2 부분(642)을 관통하여 제1 부분(641)의 제2 홈(6412)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2 부분(642)을 관통한 부분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즉, 회전 제어부(6422)는, 일단부가 제2 부분(642)의 후방으로 돌출되고 타단부가 제1 부분(641)의 제2 홈(6412)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제2 부분(642)을 관통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체(10)에 대하여 시트(61)가 틸팅 또는 회전되는 매커니즘에 대해서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하며, 먼저 본체(10)에 대하여 시트(61)가 틸팅되는 매커니즘에 대해서 기술하도록 한다.
도 6의 (a) 및 도 7의 (a)가 틸팅 전의 모습이고, 도 6의 (b) 및 도 7의 (b)가 틸팅 후의 모습이다.
틸팅 제어부(6421)가 사용자에 의해 제2 부분(642)으로부터 전방으로 당겨지는 경우 틸팅 제어부(6421)가 제1 부분(641)의 제1 홈(6411)으로부터 삽입해제되게 된다. 이 경우 시트(61)는 시트 연결장치(64)로부터 자유롭게 틸팅이 이루어질 수 있고, 시트(61)가 원하는 틸팅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틸팅 제어부(6421)를 당긴 힘을 해제하면 틸팅 제어부(6421)가 다른 제1 홈(도시하지 않음)으로 삽입되어 틸팅이 해제된다.
이때, 틸팅 전과 틸팅 후에 틸팅 제어부(6421)가 삽입 또는 삽입해제되는 제1 홈(6411)과 다른 제1 홈은 서로 다른 구성이다. (제1 홈(6411)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틸팅 범위에 따라 그 갯수가 정해질 수 있으며, 틸팅 위치에 제1 홈(6411)과 다른 제1 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체(10)에 대하여 시트(61)가 회전되는 매커니즘에 대해서 기술하도록 한다.
도 6이 회전 전 도 7이 회전 후의 모습으로, 도 6은 사용자와 유아가 대면하는 뒤보기 도 7은 사용자와 유아가 대면하지 않는 앞보기 상태이다.
회전 제어부(6422)가 사용자에 의해 제2 부분(642)으로부터 후방으로 당겨지는 경우 회전 제어부(6422)가 제1 부분(641)의 제2 홈(6412)으로부터 삽입해제되게 된다. 이 경우 시트(61)는 시트 연결장치(64)로부터 자유롭게 360도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고, 시트(61)가 원하는 회전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회전 제어부(6422)를 당긴 힘을 해제하면 회전 제어부(6422)가 다른 제2 홈(도시하지 않음)으로 삽입되어 회전이 해제된다.
이때, 틸팅 전과 틸팅 후에 회전 제어부(6422)가 삽입 또는 삽입해제되는 제2 홈(6412)과 다른 제2 홈은 서로 다른 구성이다. (제2 홈(6412)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회전 범위에 따라 그 갯수가 정해질 수 있으며, 회전 위치에 제2 홈(6412)과 다른 제2 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운송수단(1)은, 시트(61)의 틸팅 및 회전을 등받이(62)뿐만 아니라 시트(61) 자체가 본체(10)에 대하여 틸팅 또는 회전가능하도록 하여 유아의 편안함 및 보호자의 유아 관찰을 위한 시트(61) 조작이 매우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안전가드(70)는, 유아를 시트부(60)에 구속시키며, 유아의 인입을 위해 개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가드(70)는, 연결구(71)에 의해 등받이(62)에 연결되며, 돌출구(711)와 수용구(722)의 결합에 의해 연결구(71)와 가드(72)가 연결될 수 있다.
연결구(71)는 일측에 돌출구(711)가 형성되고, 돌출구(711)에 대향하는 타측에 등받이(62)와 고정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구(71)는, 유아가 시트부(60)에 위치시 유아의 측면에 돌출구(711)가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돌출구(711)와 수용구(722)의 결합위치가 유아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가드(72)는 유아가 시트(61)에 구속되도록 유아의 움직임을 제한하며, U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드(72)는, 가드(72)가 절환될 수 있도록하는 절환구(721)가 중앙에 형성될 수 있고, 연결구(71)의 돌출구(711)와 결합될 수 있도록 수용구(722)가 양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안전가드(70)는, 상기 기술한 절환구(721) 및 수용구(722)를 통해서 유아를 인입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절환구(721)와 수용구(722)는 개폐장치로서, 유아가 시트부(60)에 위치시의 유아의 측면에 위치한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유아를 시트부(60)에 착석시키려는 경우, 사용자는 유아를 제쳐두고 양손으로 조작하여 안전가드(70)를 개방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사용자가 이러한 조작을 수행하는 시기에 유아가 외부요인으로부터 위험해질 우려가 있었다.
이는 개폐장치가 유아가 시트부(60)에 위치시의 유아의 정면에 위치하는 것에 기인한다. 즉, 사용자가 개폐장치에 의해 안전가드(70)를 개방하더라도 안전가드(70)를 벌어지게 하려면 한 손으로 조작하기가 힘이 많이 든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개폐장치(절환구(721)와 수용구(722))가 유아가 시트부(60)에 위치시의 유아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개폐장치에 의해 안전가드(70)가 개방시 안전가드(70)가 자연스럽게 벌어지도록 함으로써,(가드(72)의 무게중심이 일측으로 쏠리게되어 토크가 발생해 자연스럽게 벌어짐) 사용자가 유아를 시트부(60)에 착석시키려는 경우에 한 손으로도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운송수단(1)은, 유아를 시트(61)에 구속하는 안전가드(70)를 측면에서 개폐가능하도록 하여 보호자가 유아를 시트(61)에 착석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절환구(721)와 수용구(722)는 한 쌍씩 구성되어, 유아가 시트부(60)에 위치시 유아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있으나, 이는 일례일 뿐, 절환구(721)와 수용구(722)가 단일하게 구성되어 유아가 시트부(60)에 위치시 유아의 한측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기술한 본 발명의 유아용 운송수단(1)의 효과를 종합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운송수단(1)은, 전륜(FR)을 360도로 조향가능하도록 제작함으로써 보호자의 조향성능이 매우 증대되는 효과가 있고, 유아용 운송수단(1)의 시트(61)의 틸팅 및 회전을 등받이(62)뿐만 아니라 시트(61) 자체가 틸팅 또는 회전가능하도록 하여 유아의 편안함 및 보호자의 유아 관찰을 위한 시트(61) 조작이 매우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운송수단(1)은, 각 구성품(10-70)들을 일체형이 아닌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제작하여 유아용 운송수단(1)의 휴대성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고, 등받이(62) 및 후방 조향부(322)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유모차용 또는 자전거로 쉽게 변경가능하므로, 유아용 운송수단(1)을 사용할 수 있는 유아의 연령의 범위가 매우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운송수단(1)은, 유아를 시트(61)에 구속하는 안전가드(70)를 측면에서 개폐가능하도록 하여 보호자가 유아를 시트(61)에 착석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유아용 운송수단 10: 본체
20: 전방 연결부 21: 커넥터 장치
211: 커넥터 212: 상부 하우징
213: 하부 하우징 22: 조향모드 제어장치
221: 제어 하우징 222: 슬라이딩 홀
23: 해제장치 231: 스위치
232: 클립구 233: 탄성구
234: 하우징 24: 하우징
30: 후방 연결부 31: 후륜 프레임
32: 후방 조향부 연결 프레임 321: 해제구
322: 후방 조향부 40: 전방 조향부
41: 조향구 411: 손잡이
42: 전방 조향부 연결 프레임 421: 탄성 체결구
50: 전륜 연결부 51: 전륜 연결 프레임
511: 돌출부 52: 페달 장착 프레임
60: 시트부 61: 시트
62: 등받이 63: 차양연결구
64: 시트 연결장치 641: 제1 부분
6411: 제1 홈 6412: 제2 홈
642: 제2 부분 6421: 틸팅 제어부
6422: 회전 제어부 70: 안전가드
71: 연결구 711: 돌출구
72: 가드 721: 절환구
722: 수용구
P1: 구동페달 P2: 고정페달
FR: 전륜 RR: 후륜

Claims (19)

  1. 전방 연결부와 후방 연결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시트부;
    상기 전방 연결부 및 상기 후방 연결부에 구비되는 전륜 및 후륜;
    상기 전방 연결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륜을 조향하는 전방 조향부; 및
    상기 후방 연결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륜을 조향하는 후방 조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연결부는,
    상기 전방 조향부와는 연결되고, 상기 전륜과는 연결 또는 연결해제되는 커넥터 장치; 및
    상기 커넥터 장치와 연결되어 전방 조향부 조향모드 또는 후방 조향부 조향모드를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조향모드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장치는,
    상기 전방 조향부 조향모드를 선택시, 상기 조향모드 제어장치와 함께 일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륜과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연결되며,
    상기 후방 조향부 조향모드를 선택시, 상기 조향모드 제어장치와 함께 타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륜과 연결해제되고,
    상기 전륜은,
    상기 후방 조향부에 의해 조작되는 경우에 360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운송수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은,
    상기 전방 조향부에 의해 조작되는 경우에 기설정각도의 범위에서만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운송수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연결부는,
    상기 전방 조향부를 수용하는 위치에 상기 전방 조향부가 상기 기설정각도의 범위에서만 회전가능하도록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전륜을 수용하는 위치에 상기 전륜이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스토퍼를 구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운송수단.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연결부는,
    전방 조향부 조향모드 또는 후방 조향부 조향모드를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조향모드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향모드 제어장치는,
    상기 전방 조향부 조향모드를 선택시, 상기 전방 조향부에 가해지는 힘이 상기 전륜에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후방 조향부 조향모드를 선택시, 상기 전방 조향부에 가해지는 힘이 상기 전륜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운송수단.
  6. 제 1 항에 있어서,
    유아를 상기 시트부에 구속시키는 안전 가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 가드부는,
    상기 유아를 상기 시트부에 인입시키기 위해 개방 또는 폐쇄되는 개폐장치가 상기 유아의 측면과 대향하는 부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운송수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안전 가드부에서 상기 유아의 양측면과 대향하는 부분 모두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운송수단.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운송수단.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유아가 안착하는 시트;
    상기 유아의 등과 맞닿으며, 상기 시트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등받이; 및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시트가 틸팅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시트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운송수단.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운송수단.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유아가 안착하는 시트;
    상기 유아의 등과 맞닿으며, 상기 시트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등받이; 및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시트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시트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운송수단.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조향부는,
    상기 후방 연결부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운송수단.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연결부는,
    상기 후방 조향부가 연장 또는 단축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운송수단.
  14. 삭제
  15. 전방 연결부와 후방 연결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시트부;
    상기 전방 연결부 및 상기 후방 연결부에 구비되는 전륜 및 후륜;
    상기 전방 연결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륜을 조향하는 전방 조향부; 및
    상기 후방 연결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륜을 조향하는 후방 조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륜은,
    상기 후방 조향부에 의해 조작되는 경우에 360도 회전하고,
    상기 전방 연결부는,
    상기 전방 조향부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전방 조향부와 탄성 체결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운송수단.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체결구는,
    "U"자형으로 형성된 탄성 체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운송수단.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60071241A 2016-06-08 2016-06-08 유아용 운송수단 KR101709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241A KR101709291B1 (ko) 2016-06-08 2016-06-08 유아용 운송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241A KR101709291B1 (ko) 2016-06-08 2016-06-08 유아용 운송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9291B1 true KR101709291B1 (ko) 2017-02-23

Family

ID=58315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1241A KR101709291B1 (ko) 2016-06-08 2016-06-08 유아용 운송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2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892B1 (ko) * 2021-05-26 2021-12-29 박순복 하지 부자유자를 위한 스마트 재활 훈련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5538A (ko) * 2013-05-16 2014-11-26 (주)이디 등받이 각도 조절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유아용 승용 장치
KR101502298B1 (ko) * 2015-01-09 2015-03-18 김갑수 유아자전거
KR20160003520A (ko) * 2014-07-01 2016-01-11 강홍기 안장 각도 및 방향 조절수단이 구비된 유모차 겸용 삼륜자전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5538A (ko) * 2013-05-16 2014-11-26 (주)이디 등받이 각도 조절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유아용 승용 장치
KR20160003520A (ko) * 2014-07-01 2016-01-11 강홍기 안장 각도 및 방향 조절수단이 구비된 유모차 겸용 삼륜자전거
KR101502298B1 (ko) * 2015-01-09 2015-03-18 김갑수 유아자전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892B1 (ko) * 2021-05-26 2021-12-29 박순복 하지 부자유자를 위한 스마트 재활 훈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3398B2 (en) Baby stroller frame with seat direction changing mechanism
JP6212572B2 (ja) 複数乗員用三輪車
ES2449391T3 (es) Vehículo con rueda pivotante
US7367581B2 (en) Baby stroller frame with seat direction changing mechanism
US7377537B2 (en) Adjustable seat for a baby stroller with one-handed inclination control
US9010857B2 (en) Child safety seat
EP1764281B1 (en) Baby stroller frame with seat direction changing mechanism
US20080150247A1 (en) Detachable connecting device for a child carrier
EP2441646A1 (en) Carrier and baby carriage
CN101952156A (zh) 折叠式婴儿车致动系统
JP3162022U (ja) ベビーカーのフレーム
US10960912B2 (en) Stroller apparatus incorporating apparatus for steering by pulling in a leading or abreast position
JP2019526499A (ja) ベビーカーアクセサリおよび、ベビーカーとこのようなアクセサリを含む輸送アセンブリ
JP2005538764A (ja) 乳幼児用多目的カーシート
KR101709291B1 (ko) 유아용 운송수단
KR20120030626A (ko) 시트 회전이 가능한 유모차
TW202241747A (zh) 車架與嬰兒車
JP6400913B2 (ja) ベビーカー
CN215475529U (zh) 车辆系统
CN112441103B (zh) 推车车架
JP6374749B2 (ja) ベビーカー
KR102142950B1 (ko)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
JP6910665B1 (ja) 育児器具およびガード装置
GB2410928A (en) Collapsible frame assembly for pushchair or the like
JP3129587U (ja) 簡易移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