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782B1 - 용융재 처리 플랜트 - Google Patents
용융재 처리 플랜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2782B1 KR102132782B1 KR1020157022231A KR20157022231A KR102132782B1 KR 102132782 B1 KR102132782 B1 KR 102132782B1 KR 1020157022231 A KR1020157022231 A KR 1020157022231A KR 20157022231 A KR20157022231 A KR 20157022231A KR 102132782 B1 KR102132782 B1 KR 1021327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lt
- splitter
- cross
- processing plant
- chann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6—Auxiliary treatment of granu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05—Direct recuperation and re-use of scrap material during moulding operation, i.e. feed-back of used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02—Methods
- B29B7/007—Methods for continuous mix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2—Heating or cooling
- B29B7/826—Apparatu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B29B9/065—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under-water, e.g. underwater pelletiz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55—Flow control means, e.g. valves
- B29C48/2556—Flow control means, e.g. valves provided in or in the proximity of d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69—Extrusion in non-steady condition, e.g. start-up or shut-down
- B29C48/2692—Material chan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695—Flow dividers, e.g. breaker pl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74—Bypassing means, i.e. part of the molten material being diverted into downstream stages of the extrud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74—Bypassing means, i.e. part of the molten material being diverted into downstream stages of the extruder
- B29C48/745—Bypassing means, i.e. part of the molten material being diverted into downstream stages of the extruder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76—Venting, drying means; Degass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76—Venting, drying means; Degassing means
- B29C48/761—Venting, drying means; Degassing means the vented material being in liquid for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4—Particle-shap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k Je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처리 헤드, 특히, 펠레타이징 헤드를 용융재로 충진하기 위한 용융재 충진기를 포함하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처리 헤드의 업스트림에는 시동 또는 리툴링 단계 동안 용융재를 방출시키기 위한 다이버터 밸브가 용융재 충진기와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플리터 헤드의 용융재 채널들은, 용융재 채널들의 유입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계단형 단면 확대부, 방출 채널의 출구 단면과 상이한 단면 형상, 및 스플리터 외부의 개방된 오리피스 구역을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처리 헤드, 특히 용융재를 갖는 펠레타이징(pelletizing) 헤드를 충진하기 위한 용융재 충진기를 포함하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처리 헤드의 업스트림에서 시동 또는 리툴링(retooling) 단계 동안 용융재를 방출하기 위한 다이버터 밸브가 용융재 충진기와 연결된다.
이러한 용융재 처리 플랜트들은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고, 특히, 예를 들어, 수중 펠레타이징 플랜트들의 형태인 펠레타이징 플랜트들로서 형성될 수 있고, 여기서, 적용에 따라, 예를 들어, 추진제와 혼합된 확장가능한 폴리머들, 섬유들 또는 용융 조건에서 처리가능한 다른 재료들과 혼합된 용융재 화합물들, 특히 플라스틱 용융재들의 형태로,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첨가제를 갖는 그리고 첨가제가 없는 폴리머 화합물들 및 혼합물들과 같은 용융재로서 상이한 재료들이 처리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펠레타이징 플랜트들에 대한 대안으로서, 용융재 처리 플랜트는 또한, 파이프 압출 플랜트 또는 블로운 필름(blown film) 플랜트로서 형성될 수 있고, 여기서 대응하는 압출 헤드 또는 필름 블로잉 헤드가 처리 헤드로서 제공된다. 적용에 따라, 용융재 처리 플랜트의 상기 처리 헤드는 또한 다른 형성 툴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용융재가 원하는 방식으로 형성되거나 몰딩된다.
이러한 용융재 처리 플랜트들은 통상적으로, 다이버터 밸브에 의해 동작되어, 플랜트를 시동할 때, 예를 들어 플랜트를 다른 펠레타이징 헤드 또는 처리 헤드로 리툴링할 때, 예를 들어, 착색 용융재로부터 비착색 용융재로 용융재를 변경할 때 또는 정적 동작 조건에서 또는 세트 동작 포인트에서 플랜트가 가동될 수 없는 다른 전환 동작에서, 용융재 충진기에 의해 전달되는 용융재가 적어도 하나의 처리 헤드를 통과하여 방출될 수 있다. 이러한 처리 헤드형 수중 펠레타이징 헤드들은, 이들이 용융재로 충진될 때 비교적 민감하여 타겟 상태로부터 너무 멀리, 예를 들어, 너무 차가운 용융재로 또는 그 결과로 너무 점성인 용융재로 벗어나서, 예를 들어, 다이 플레이트의 막힘을 초래할 수 있다.
다이버터 밸브는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압출기와 같은 용융재 충진기 및 처리 헤드로부터 전달 경로에 배열되고, 여기서, 처리 헤드에 연결가능한 피드 또는 공급 출구에 추가하여, 다이버터 밸브는, 용융재를 처리 헤드를 통과시켜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 출구를 포함한다. 배경으로 개방할 수 있고 융재 처리 플랜트의 적절한 처리 루트 또는 용융재 충진기와 처리 헤드 사이의 연결로부터 빠져나가게 하거나 분기시킬 수 있는 이러한 방출 출구를 통해, 용융재 처리 플랜트의 처리 헤드에서 추가적인 처리에 적합하지 않은 재료 또는 용융재 재료는 처리 헤드로부터 배출될 수 있고, 말하자면, 폐기될 수 있고, 여기서 이러한 방식으로 분리될 용융재는 스크랩 재료로서 취급될 수 있는데, 이는, 예를 들어, 이러한 용융재가 아직 정확한 온도를 갖지 않거나 용융되지 않은 부분들을 여전히 포함하고 있거나 색상 불순물을 포함하거나 펠레타이징 또는 처리 헤드에서의 처리가 불리한 특성들을 갖기 때문이다. 용융재 충진기와 연결가능한 다이버터 밸브의 입구 채널은, 예를 들어, 회전식 베인(vane) 등의 형태로 조정가능한 스위치에 의해 피드 채널과 또는 방출 채널과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다이버터 밸브는 예를 들어, 문헌 EP 1970180호로부터 공지된다. 게다가 일반적 다이버터 밸브는 또한 분배 기능을 떠맡거나 분배기 밸브로서 기능할 수 있고, 특히, 복수의 처리 출구들을 통해 복수의 처리 헤드들과 연결가능할 수 있어서, 용융재를 각각 적절히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이버터 밸브를 통해 다양한 처리 헤드들에 안내되는 용융재를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다이버터 밸브로부터 방출되는 용융재는 때때로 지상으로 배출되는데, 여기서, 시동 동작의 지속기간에 따라, 용융재가 확산되어 더 많거나 더 적은 큰 플레이트들 또는 럼프(lump)들을 형성하고, 이것은, 응고 이후 지상으로부터 제거되고 분쇄되어야 하며, 이는 본질적으로 매우 고가이다. 단순히 지상으로 배출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 때때로, 예를 들어, 방출 밸브 아래에 이동 슈트들의 형태로 수집 탱크들을 배치하는 것이 또한 제공되며, 그 다음, 탱크들이 채워지자 마자 탱크들은 제거되고 새로운 비어있는 탱크들로 대체된다. 통상적으로 정적인 액체 용융재를 갖는 탱크들을 제거하는 것은 안전 관점에서 매우 위험한데, 이는 용융재가 탱크로부터 새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용융재의 냉각 및 응고 이후 핸들링 문제들이 발생하는데, 이는, 매우 큰 블록들이 획득되고, 이 블록들은 먼저 탱크로부터 제거되고 그 다음 핸들링가능한 조각들로 쵸핑(chop)되어야 동일한 탱크가 재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문헌 WO 01/10620호는 용융재 스크랩을 분리하는 것을 제안하는데, 용융재 스크랩은 스플리터를 이용하여 다이버터 밸브를 통해 편리한 조각들로 방출되고, 이는 슈트를 통해 워터 제트 압력으로 그리고 솟구치는 물의 유동으로 수집 바스켓에 전달된다. 스플리터는 2개의 용융재 채널들을 갖는 왕복가능한 캐리지(carriage)를 포함하고, 용융재 채널들은, 캐리지의 왕복운동으로 교번하여 다이버터 밸브에서 유입되는 방출 채널과 유동 연결될 수 있어서, 용융재는 교번하여 하나의 용융재 채널을 통해 흐르고 그 다음 나머지 용융재 체널을 통해 흐르고, 대응하는 용융재 부분들이 획득된다. 동시에, 정적인 천공된 플레이트가 용융재 채널들의 출구에 제공되고, 천공된 플레이트는 캐리어의 반복운동으로 교번하여 용융재 채널들의 출구들을 폐쇄 및 개방하여, 용융재 채널들로부터 배출되는 용융재 엉김이 그 천공된 플레이트의 엣지에서 절단된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된 용융재 스플리터에서는, 펠레타이징 헤드에서와 유사한 문제들이 차례로 발생한다. 한편, 스플리터 헤드는 동작 사이클 이후 세정하기 어렵다. 플랜트의 시동 공정이 종료되고 다이버터 밸브가 더 이상 스크랩으로서의 용융재를 방출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이를 펠레타이징 헤드로 통과시키는 경우, 용융재 잔여물들은 어떠한 추가적인 용융재의 공급이 없으면 스플리터 헤드에서 응고될 것이어서, 플랜트의 다음 시동 공정에서, 세정이 없으면 스플리터 헤드의 막힘이 위협적이 될 것이고, 다이버터 밸브의 우회 기능은 더 이상 보장되지 않을 것이다. 한편, 스플리터 헤드의 왕복운동으로 용융재 채널들의 유동 연결이 변경되거나 용융재 채널들이 완전히 개방되지 않는 경우, 방출되는 재료의 분리 시에 압력 파동들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슈트 아래로의 워터 제트 또는 솟구치는 물이 충분히 강하지 않는 경우, 용융재 엉김들이 다시 함께 방출 슈트들 상에 달라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목적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개선된 용융재 처리 플랜트 및 개선된 방법을 생성하여,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회피하고 종래 기술을 유리한 방식으로 발전시키는 것이다. 특히, 스크랩 용융재의 분리는 고장에 덜 민감하게 되어야 하고, 가능한 한 유지보수가 필요없어야 하고, 매우 변동하는 스크랩 용융재 질량 유동들의 경우에도 적절히 기능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용융재 처리 플랜트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상들은 종속항들의 요지이다.
스크랩 용융재의 분리된 용융재 엉김들이, 이동하는 스플리터 헤드의 용융재 채널들에 여전히 존재하는 경우, 이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널 벽들로부터 분리되고, 중력에 의해 이동되어 스플리터 헤드로부터 더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스플리터 헤드를 형성하는 것이 제안된다. 다이버터 밸브로부터 유입되는 방출 채널과 교번하여 연결되는 스플리터 헤드의 다양한 용융재 채널들이 특수한 방식으로 형상화되어, 스플리터 헤드의 끈적임이 발생할 가능성이 없게 되고, 스플리터 헤드의 세정이 불필요하거나 적어도 상당히 더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플리터 헤드의 용융재 채널들은 적어도 채널들의 유입 부분에 계단형 단면의 확대부, 방출 채널의 출구 단면과 상이한 단면 형상 및 스플리터로부터 개방된 오리피스(orifice) 구역을 갖는다. 방출 채널과 상이한 용융재 채널들의 단면 형상과 함께 계단형 단면 확대부로 인해, 용융재 또는 분리된 용융재 엉김은 스플리터 헤드의 벽들로부터 더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동시에, 용융재 부분들은 스플리터 헤드의 용융재 채널들로부터 방해없이 배출될 수 있는데, 이는, 용융재 채널들의 오리피스들이 개방되어 있고 스플리터 헤드의 어떤 부분에도 배리어들이 없고, 천공된 플레이트들 또는 절단 나이프들에 의해 방해되지 않기 때문이다. 용융재 스트랜드가 궁극적으로 원하는 용융재 부분들로 분리되게 하는 용융재의 해체는, 방출 채널과 이동하는 스플리터 헤드 사이의 계면에서 실질적으로 직접 발생한다.
본 발명의 전개에 따르면, 스플리터 헤드의 용융재 채널들의 유입 부분의 상기 계단형 단면 확대부는 오버행 또는 오버행잉, 언더컷 용융재 절벽을 갖는 해체 엣지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구역에서, 용융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재 채널 벽들로부터 분리되고, 엣지의 다운스트림에서 자유롭게 매달린 용융재가 중력에 의해 떨어지거나 이동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벽 접촉 없이 용융재 채널들을 통해 또는 용융재 채널들로부터 이동된다.
채널 벽들에서 용융재의 해체 또는 용융재의 분리를 추가로 지원하기 위해, 계단형 단면 확대부의 구역에서 스플리터 헤드의 용융재 채널들은 자신들의 단면 치수 또는 자신들의 단면적을 급격하게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들의 단면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계단형 단면 확대부의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에서, 스플리터 헤드에 형성된 용융재 채널들은 다양한 단면 형상들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일 부분에서는 둥글게 또는 둘레가 둥글게 형성될 수 있고 다른 부분에서는 코너들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단면 확대부의 업스트림에서, 용융재 채널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둥근 단면 형상을 갖고 단면 확대부의 다운스트림에서는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둥근 단면 형상으로부터 각진 단면 형성까지의 이러한 전이로 인해, 급격한 단면 확대부들은, 특히 용융재 재료가 따를 수 없는 추가된 코너들의 구역들에서 발생하여, 용융재 부분들의 개선된 분리가 발생한다.
양적 측면에서, 단면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계단형 점프는, 단면 확대부를 통과하는 용융재 스트랜드가 단면에서 점프를 따를 수 없도록 그리고 분리가 발생하도록 설계된다. 특히, 계단형 단면 확대부의 다운스트림에서, 상기 용융재 채널들 각각은, 특히 방출 채널이 채널의 개구부 단면에서 관측될 때, 다이버터 밸브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방출 채널의 출구 단면적보다 적어도 2배, 바람직하게는 3배 초과에 이르는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채널 단면의 3배화 또는 배수화는, 어떠한 더 많은 용융재도 방출되지 않고 스플리터 헤드로 공급되지 않는 경우, 특히 또한 시동 공정의 종료를 향해 용융재 엉김들의 신뢰가능한 배출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발에서, 특히 단면에서의 점프는, 스플리터 헤드의 각각의 용융재 채널이 방출 채널과 유동 연결되는 경우, 다이버터 밸브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방출 채널과 이동하는 스플리터 헤드 사이의 바로 계면에서 발생한다. 특히, 스플리터 헤드의 용융재 채널들의 유입 단면들 각각은 ― 즉, 서로 합산이 아니라 이와 같은 각각은 ― 상기 방출 채널의 출구 단면보다 클 수 있다. 대응하는 스플리터 헤드 위치에 있어서 스플리터 헤드의 용융재 채널들 중 하나로 개방하는 방출 채널의 상기 출구 단면은 자체로 해체 엣지를 형성할 수 있고, 해제 엣지에서, 용융재 스트랜드는 채널 벽으로부터 분리되어, 그 다음, 용융재 스트랜드는 벽 접촉 없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플리터 헤드의 용융재 채널로 진입한다.
원칙적으로 배출 채널의 출구 개구부에 비해, 스플리터 헤드의 용융재 채널들의 유입 단면들의 과대화는 상이하게 치수화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방출 채널 출구 단면적의 적어도 1/4인데, 즉, 용융재 채널들 각각은 방출 채널의 출구 단면적의 적어도 125%의 유입 단면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용융재 채널의 유입 개구부에서 각각의 용융재 채널의 단면적은 또한 방출 채널의 출구 단면적의 200% 또는 그 초과에 이를 수 있다.
용융재 채널들의 입구 개구부는 유리하게는, 부분적으로, 방출 채널의 출구 단면의 윤곽에 형상에서 적응되지만, 부분적으로는 그와는 상이하게 형성된다. 특히, 스플리터 헤드의 용융재 채널들의 입구 개구부들은, 각각의 용융재 채널의 개구부가 방출 채널을 향해 먼저 개방하는 측면들 상에서 방출 채널의 윤곽에 형상에서 적응될 수 있다. 이것은, 스플리터 헤드가 상기 방출 채널에 대해, 방출 채널의 개방 단면이 완전히 클리어되는 범위까지 이동되는 경우, 여전히 부분적으로 커버된 위치로부터 완전히 개방된 위치까지의 전이가 급격하게 발생하는 것, 즉, 스플리터 헤드의 용융재 채널의 입구 개구부의 형상에서 적응된 부분이 방출 채널의 출구 단면에 걸쳐 완전히 스위핑(sweep)하는 경우에 대한 사실을 초래한다. 그에 따라 조금씩 시행되는 방출 채널의 느린 클리어링이 회피되는데, 이는, 예를 들어, 직선 입구 엣지의 경우, 둥근 출구 엣지에 걸쳐 스위핑할 것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발에서, 스플리터 헤드의 용융재 채널들의 입구 개구부들 각각은 ―대략적으로 말해서― V-형상 방식으로, 특히 끝이 둥근 V 형태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정점 부분에서 방출 채널의 출구 단면의 둥근 부분에 적응되는 대략적으로 타원형의 윤곽을 가질 수 있다.
V-형상의 윤곽은 유리하게는, 스플리터 헤드의 이동 방향에 대칭으로 배열된다. 스플리터 헤드가 캐리지의 방식으로 선형으로 왕복운동하는 경우, 이동의 선형 축은 상기 V-윤곽의 중심선을 형성한다. 캐리지가 회전식으로 이동가능한 경우, 원주 방향 또는 그에 대한 접선 방향이 상기 V에 대한 중심선을 형성한다.
V-형상의 윤곽은, 스플리터 헤드의 개구부 이동 동안 V의 둥근 팁이 앞서도록 배향된다.
상기 스플리터 헤드에 제공되는 용융재 채널들은 원칙적으로, 종래 방식으로 채널들의 원주 상에서 완전히 폐쇄된 튜브형 채널들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개발에 따른 상기 용융재 채널들은 원주 상에서 일측을 향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고 채널 원주의, 예를 들어, 10% 내지 50%의 개방된 원주 섹터를 가질 수 있다. 캐리지로서 형성되는 경우, 특히 캐리지의 말단 면들을 향해, 즉, 이동 방향의 말단 면 상에 위치된 측면들을 향해 배열된 채널 벽들은 누락될 수 있거나, 채널들이 상기 말단 면들을 향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스플리터 헤드의 외부를 향해 개방된 채널의 원주 측은 상당히 더 용이한 세정을 제공한다.
스플리터 헤드에 복수의 용융재 채널들을 제공함으로써, 유리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용융재 채널은 항상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유지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다이버터 밸브로부터 용융재의 연속적인 방출이 가능해지고, 특히 상기 단면 확대부와 관련하여 순환적 저수로 인한 압력 변동들이 회피된다. 용융재 채널들 중 하나가 방금 셧 오프되거나 분리 수단에 의해 그 출구 단면에서 손상되면, 용융재는 다른 용융재 채널을 통해 흘러 내릴 수 있어서, 전체적으로 다이버터 밸브로부터 연속적인 방출이 실현될 수 있다. 세분화는 순환적 셧-오프 또는 용융재 스트랜드의 순환적 분리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는, 추가적인 배출이 금지되거나 재료의 연속적인 스트림이 분리되기 전에, 항상 각각의 용융재 채널로부터 오직 정의된 용융재 체적만이 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스플리터 헤드는, 상이한 방식들로 셧-오프 밸브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플리터 헤드는 다이버터 밸브의 방출 채널이 오리피스 구역의 다운스트림에서 셧-오프 밸브에 대해 배열되고 이동가능하게 탑재될 수 있고, 유리하게는 그 오리피스 구역에 직접 인접하여, 유리하게는, 스플리터 헤드의 위치에 따라, 각각의 다른 용융재 채널이 다이버터 밸브의 방출 개구부와 유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스플리터 헤드의 하나 이상의 용융재 채널들의 셧-오프는, 다이버터 밸브에 대해 분배기 헤드를 시프트 또는 이동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셧-오프 수단은, 다이버터 밸브와 분배기 헤드 사이의 계면에 의해 형성되고, 분배기 헤드의 각각의 용융재 채널은 다이버터 밸브의 방출 채널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되는 경우에 클리어되는 한편, 다이버터 밸브의 방출 채널과 정렬을 벗어나는 경우 용융재 채널은 셧 오프된다.
그러나, 분배기 헤드는 반드시 다이버터 밸브의 방출 개구부와 직접 연결될 필요는 없다. 유리하게, 다이버터 밸브와 확고하게 연결되고 그의 출구 채널과 연결되는 방출 채널을 포함하는 중간적 조각이 또한 제공될 수 있고, 그 다음, 중간적 조각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분배기 헤드를 이동시킴으로써 분배기 헤드에 제공된 용융재 채널과 유체 연결되거나 유체 연결을 벗어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플리터는 독립적인 조립체로서 형성될 수 있고, 여기서, 이동가능한 스플리터 헤드에 대한 계면들은 다이버터 밸브에 의해 특정되지 않지만, 상기 중간적 또는 어댑터 조각에 의해 적절히 적응될 수 있다.
유리하게, 방출 채널의 직경은 또한 상기 중간적 조각에 의해 적절히 적응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결 조각의 방출 채널은 출구를 향해 제공된 용융재 채널의 단면 테이퍼 는 노즐-형상 형성을 제공할 수 있어서, 이에 의해 용융재 스트랜드를 셧 오프 또는 분리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유리하게, 상기 방출 채널의 단면 윤곽은, 용융재 엉김의 외측 윤곽 또는 형상을 원하는 방식으로 형성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방출 채널은 자신의 출구에서 노즐-형상 테이퍼를 가질 수 있고, 그 다음, 노즐-형상 테이퍼는 적어도 대략적으로 실린더형 출구 부분에 의해 인접되고, 여기서 실린더형은, 원형 실린더형을 의미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를 의미할 필요는 없는데, 이는, 원하는 용융재 엉김 형상들에 따라 다양한 기본적인 단면 윤곽들이 이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대략적으로 일정한 단면을 갖는 상기 노즐-형상 테이퍼 또는 연속적인 출구 부분과 무관하게, 방출 채널은,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라 자신의 출구에서 둥근 또는 대략적으로 둥근 단면 윤곽을 가질 수 있고, 특히, 원형 또는 계란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한 s-형상 방식으로 둥글 수 있거나 꽃-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둥근 단면 형상들에 대한 대안으로, 방출 채널은 또한 각진 단면 윤곽을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출구 구역에서, 특히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또는 삼각형 또는 다각형 또는 별-형상 또는 x-형상 윤곽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발에서, 전술된 단면 윤곽들의 혼합된 형태들이 또한 가능한데, 예를 들어, 일측에서는 2개의 코너들을 갖는 각진 U 방식으로 그리고 반대쪽에서는 둥근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대략적으로 십자형 단면 윤곽이 또한 제공될 수 있고, 여기서 내측 코너들 또는 외측 코너들이 둥글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발에서, 방출 채널은 또한 링-형상 단면 윤곽을 가질 수 있고, 또는 링 노즐로서 형성될 수 있어서, 분리될 용융재 스트랜드는 중공 호스 방식으로 생성되고, 그에 따라 내부에 용융재 부분들 중공이 생성될 수 있다. 방출 채널의 상기 링-형상 단면 윤곽은 바람직하게는 출구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둥글게 또는 각지게 형성될 수 있다. 링-형상 단면 윤곽의 내측 껍데기 표면 및 외측 껍데기 표면은 서로에 대응하게 형성되거나 윤곽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내부 및 외부에서는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내부 및 외부에서 별-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링 윤곽의 내측 및 외측 껍데기 표면들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내측 껍데기 표면의 링 갭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외측 껍데기 표면에서는 별-형상 또는 각지게 형성된다. 원칙적으로, 전술된 단면 윤곽들 모두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발에서, 노즐 오리피스 또는 방출 채널 또는 출구 단면의 크기는 조절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특히, 노즐 부분의 테이퍼의 직경 또는 단면적 또는 각도, 즉, 노즐 부분의 출구 직경에 대한 입구의 비는 조절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어서, 방출 채널 또는 채널의 출구 단면을, 처리될 각각의 용융재의 팽창 동작에 적응시킬 수 있다.
상기 조절가능성은 부착가능한 어댑터 조각들 또는 대체가능한 방출 채널 삽입부들에 의해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드릴 청크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조절가능한 솔루션들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분배기 헤드는 다이버터 밸브에 통합될 수 있어서, 특히, 다이버터 밸브는 둘 또는 둘보다 많은 방출 채널들을 포함하고, 이들은 선택적으로, 특히 대안적으로, 다이버터 밸브의 분배기 스위치 또는 밸브 바디를 시프트시킴으로써 다이버터 밸브의 입구 채널과 유체 연결되고 유체 연결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버터 밸브는 용융재 충진기와 연결가능한 입구 채널, 처리 헤드와 연결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피드 채널 및 적어도 2개의 방출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예를 들어, 밸브 슬라이드 또는 회전식 베인의 형태인 적어도 하나의 밸브 바디에 의해, 입구 채널은 선택적으로 피드 채널 또는 2개의 방출 채널들 중 하나로 스위칭될 수 있다. 유리하게, 다양한 채널들의 개방 또는 셧-오프를 함께 달성하는 공통 이동가능 밸브 바디가 제공될 수 있다. 입구 채널이 제 1 방출 채널로 스위칭되는 위치와, 입구 채널이 제 2 방출 채널로 스위칭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밸브 바디를 순환적으로 왕복운동시킴으로써, 다이버터 밸브로부터 방출되는 용융재의 세분화가 달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 용융재 부분들의 크기는, 밸브 바디가 왕복운동하는 속력 또는 빈도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다이버터 밸브에 통합되는 이러한 형성에 대한 대안으로, 상기 스플리터 헤드는 또한 별개의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고, 출구 측에서 조립체는 다이버터 밸브의 방출 개구부 또는 방출 개구부들 상에 놓인다.
스플리터 헤드, 중간적 또는 어댑터 조각 및 다이버터 밸브의 연결 부분들은 원칙적으로 상이한 재료들로 제조될 수 있고, 여기서 특히 마모 페어링의 연결 조각들 및 스플리터 툴들의 경우, 고온 스틸들이 이용될 수 있고, 고온 스틸은, 처리될 플라스틱 용융재들의 특성들에 대응하여, 마모 방지, 부식 방지 또는 둘 모두의 조합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고온 스틸은 또한, 서로에 대해 이동하고 마모 페어링을 형성하는 다른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펠레타이징 헤드의 대응하는 컴포넌트들에 대해 편리할 수 있다.
컴포넌트 특성들을, 처리될 플라스틱 용융재들에 선택적으로 적응시키기 위해, 대응하는 컴포넌트들, 특히 스플리터 헤드 및 상기 중간적 또는 어댑터 조각 및 대응하는 연결 조각들에는 또한 표면 코팅 또는 기능 층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마모 페어링의 연결 조각들 및 스플리터 툴들은 기능 층을 이용하여 플라스틱 용융재들의 대응하는 특성들에 대해 조절될 수 있어서, 마모 페어링의 서로에 대한 또는 각각 다른 것에 대한 접착, 응집, 부착 성장, 마모, 확산, 부식, 용접 픽업 또는 시져(seizure)는 회피되거나 적어도 감소될 뿐만 아니라, 특히 절삭 또는 용융재 엉김 편향 구역으로부터 플라스틱 용융재의 분리가 증진되고 끈적임이 회피된다.
상기 스플리터 헤드가 전술된 방식으로 다이버터 밸브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배열되면, 스플리터 헤드는 유리하게는, 캐리지 드라이브에 의해 왕복운동으로 구동될 수 있는 카트 또는 캐리지의 일부일 수 있다. 특히 캐리지는 왕복운동될 수 있어서, 교번하여, 스플리터 헤드의 복수의 용융재 채널들 중 다른 하나가 각각 다이버터 밸브의 방출 개구부와 유체 연결될 수 있는 한편, 스플리터 헤드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용융재 채널은 각각 다이버터 밸브의 방출 개구부와 유체 연결로부터 벗어난다. 원칙적으로, 이러한 왕복운동으로 이동가능한 캐리지에 대한 구동 디바이스는 상이한 방식들로 형성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수압, 공압, 전기적 또는 기계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동작할 수 있거나 또는 몇몇 다른 방식으로 외부 에너지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압력 매체 실린더가 제공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스플리터 헤드는 미리 결정된 선형 이동 경로를 따라 왕복운동될 수 있고, 여기서 특히 상기 이동 경로는 직선일 수 있지만 가능하게는 또한 활 모양으로 곡선일 수 있다.
이러한 캐리지 솔루션에 대한 대안으로 또는 이에 추가하여, 스플리터 헤드는 또한 회전가능하게 탑재될 수 있고, 회전식으로, 가능하게는 연속적으로, 회전식 드라이브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스플리터 헤드는 터렛 헤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고, 터렛 헤드는, 회전 축을 중심으로 공통 피치 원 상에 복수의 용융재 채널들을 포함하고, 다이버터 밸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배열되어, 다이버터 밸브의 방출 채널의 오리피스는 상기 피치 원 상에 놓이고, 따라서 분배기 헤드를 회전시킴으로써 다양한 용융재 채널들은 차례로 다이버터 밸브의 방출 채널과 유체 연결될 수 있다.
회전식 드라이브는 마찬가지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수압, 공압, 전기적 또는 상기 가능성들의 조합으로 동작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벨트들, 기어 휠들을 통해 또는 트랜스미션에 의한 몇몇 다른 방식으로 회전가능한 스플리터 헤드와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회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발에서, 용융재 부분들의 크기는, 스플리터 헤드의 이동 속력 또는 이동 빈도를 다이버터 밸브에 대해 변화시킴으로써 가변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동 속력 또는 이동 빈도가 증가되는 경우, 더 적은 용융재 부분들이 달성될 수 있는 한편, 상기 이동 속력 또는 이동 빈도를 느리게 함으로써 더 큰 용융재 부분들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발에서, 스플리터 헤드의 상기 이동 속력 또는 이동 빈도는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특히, 검출된 용융재 부분 크기, 용융재 부분 무게 또는 용융재 부분 체적에 따라, 방출되는 용융재 질량 유동에 따라 자동으로 또는 반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특히, 용융재 부분들이 너무 커지는 경우 또는 용융재 피드 스트림이 증가하는 경우, 이동 속력 또는 이동 빈도가 증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세분화되는 용융재 조각들의 크기가, 예를 들어, 광학적으로 또는 몇몇 다른 방식으로 수행되는 입자 크기 결정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용융재 충진기에 의해 제공되고 다이버터 밸브에 의해 방출되는 용융재 질량 유동이 결정될 수 있다.
스플리터 헤드로부터 배출되는 용융재 부분들을, 재료 조각들이 더 이상 서로 달라붙지 않고 핸들링하기 용이하게 되는 범위까지 적어도 하나의 외부에서 가능한 한 빨리 응고 또는 경화시키기 위해, 용융재 부분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고된 재료의 청크들로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디바이스가 본 발명의 개발에서 제공된다.
세분화된 용융재 체적들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디바이스는 원칙적으로 상이한 방식들로 형성될 수 있고,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다양한 냉각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발에 따르면, 상기 냉각 디바이스는 다이버터 밸브로부터 배출되는 용융재 스트랜드를 미리 냉각시킬 수 있는 한편, 용융재 스트랜드는 세분화 디바이스에 의해 부분들로 분할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냉각은 또한 세분화 직전에 이미 시작할 수 있고 세분화 직후에 수행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다이버터 밸브의 오리피스 구역에 또는 세분화 디바이스의 구역에 제공되는 냉각 수단은 상이한 방식들로 형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냉각 수단은 특히, 예를 들어, 냉각 송풍기 또는 냉각 공기 흡입 디바이스의 형태로, 냉각 공기 또는 냉각 가스로 용융재를 충진하기 위한 공기 또는 가스 냉각기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냉각 수단은, 유리하게는 액체 스프레이의 형태로, 냉각 액체로 용융재를 충진하기 위한 액체 냉각기를 포함할 수 있고, 액체 스프레이는, 다이버터 밸브로부터 배출되는 용융재 스트랜드 상으로 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레이 노즐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냉각 수단은 또한, 배출되는 용융재 스트랜드에 의해 접촉되는 냉각 표면을 포함하는 접촉 냉각기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접촉 냉각기는 다이버터 밸브의 오리피스 구역에 또는 전술된 스플리터 헤드에 통합될 수 있어서, 특히 스플리터 헤드의 오리피스 구역에 통합될 수 있어서, 대응하는 용융재 채널들의 오리피스 구역들을 냉각시킬 수 있다.
세분화 시에 용융재를 냉각시키는 것에 대한 대안적으로 또는 그에 추가하여, 냉각 디바이스는 또한, 가능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미리 응고될 수 있는, 세분화된 용융재 조각들을 미리 냉각시킬 수 있다. 특히, 세분화 디바이스의 다운스트림에서, 세분화된 용융재 조각들이 침지되어, 열을 냉각액으로 발산하고 그에 따라 냉각시키는 냉각 배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 배쓰에 의해, 열은 세분화된 용융재 조각들로부터 액체 접촉으로 인해 특히 효율적으로 소산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발에서, 상기 냉각 배쓰는 세분화 디바이스 아래에 배열되고, 중력에 의해 용융재 부분들이 도달가능하다. 대응하게, 외부 에너지에 의해 작동되는 전송 디바이스가 세분화 디바이스와 냉각 배쓰 사이에서 생략될 수 있다. 특히, 냉각 배쓰는 세분화 디바이스의 실질적으로 수직 아래에 배열될 수 있어서, 용융재 부분들은 자율 낙하로 냉각 배쓰로 떨어질 수 있다. 가능하게는, 용융재 부분들은 또한 슈트를 통해 용융재 배쓰로 전달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슈트는 수직에 대해 다소간의 예각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용되는 체적 및 냉각액에 따라, 냉각 배쓰는 특수한 냉각 수단없이 필요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가능하게는, 냉각 배쓰는 2개의 회로들로 형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냉각 배쓰 외부에 배열되는 열 교환기 또는 1차 냉각액을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 배쓰 내에 배열되는 열 교환기를 갖는 2차 냉각 회로가 냉각 배쓰와 연결될 수 있다. 수중 펠레타이저가 이용되는 경우, 펠레타이저의 수로가 냉각 배쓰를 냉각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재료의 청크들 또는 용융재 부분들로부터 소산되는 열은 단순히 발산에 의해, 예를 들어, 주위 공기와의 대응하는 열 교환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유리한 개발에서, 재료의 청크들 또는 용융재 부분들로부터 소산될 열은 회수되고, 열이 필요하거나 가열이 필요한, 처리 플랜트 또는 시설 설비의 다른 부분에서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열 회수 수단이 냉각 디바이스와 연결될 수 있고, 열 회수 수단은 냉각에서 획득된 열을 선택적으로 회수 및 저장하고 가열될 플랜트 또는 빌딩 부분에서 이를 이용하거나 상기 플랜트 또는 빌딩 부분에 열을 전달한다.
원칙적으로, 열 회수는 다양한 지점들에서 시행될 수 있고, 냉각 디바이스의 다양한 냉각 수단과 연결될 수 있다. 특히, 회수는, 적어도 하나의 냉각 배쓰의 구역에서 시행될 수 있고, 1차 또는 2차 회로의 적어도 하나의 열 교환기가 그와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열이 회수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열 회수는 또한 사전-냉각, 예를 들어, 전술된 접촉 냉각기의 구역에서 대응하는 열 교환기를 통해 시행될 수 있고, 접촉 냉각기를 이용하여, 세분화될 용융재 스트랜드는 다이버터 밸브 또는 세분화 디바이스의 구역에서 냉각된다.
예를 들어, 회수된 열은, 건조 공기를 사전가열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고, 건조 공기는 예를 들어, 냉각되고 응고된 재료의 청크들이 건조될 다운스트림 건조 스테이션에서 송풍기에 의해 이용된다. 수중 펠레타이저가 이용되면, 회수된 열은,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수정 펠레타이저의 수로를 사전가열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용융재 처리 플랜트의 처리 헤드는 회수된 열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처리 플랜트 컴포넌트들을 가열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 또는 그에 추가하여, 회수된 열은 또한, 예를 들어, 공장 홀을 가열하거나 빌딩의 가열을 지원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냉각 배쓰에서 응고되고 냉각되는 재료의 청크의 추가적인 핸들링을 용이하게 하고 자동화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개발에 따라, 냉각 배쓰로부터 플라스틱 재료의 청크들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 컨베이어가 제공된다. 원칙적으로, 상기 제거 컨베이어는 상이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그물 네트 방식으로 형성되고 구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수집 체(sieve)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냉각 배쓰에 침지되고, 그에 존재하는 재료의 청크들을 걷어 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개발에 따르면, 특히, 벨트 컨베이어가 유리하게 제공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냉각 배쓰에 존재하는 재료의 청크들이 냉각 배쓰로부터 제거된다.
본 발명의 개발에 따르면, 벨트 컨베이어는, 수평에 대해 예각으로 기울어지고 냉각 배쓰의 레벨에 걸쳐 연장되는 수집 벨트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수집 벨트 부분은 냉각 배쓰 상에 유동하는 재료의 청크들을 수집하고 제거한다. 유리하게, 제거 컨베이어 또는 별개의 기능 모듈은, 냉각 배쓰와 연결된 순환 수단을 포함할 수 있어서, 냉각 배쓰를 순환시키고, 순환으로 인해, 물 위에서 유동하는 청크들을 컨베이어로 이동시킨다. 특히, 순환 수단은, 수집 벨트 부분을 향해 이동하는 흐름이 생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순환 수단은, 예를 들어, 회전 블레이드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예를 들어, 벨트 컨베이어의 편향 풀리(pulley) 또는 편향 롤러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가라앉는 재료의 청크들을 제거할 수 있기 위해, 레벨에 걸쳐 비스듬히 연장되는 상기 수집 벨트 부분에 대한 대안으로 또는 그에 추가하여, 벨트 컨베이어는, 냉각 배신(basin)의 바닥에 배열되는 수집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또는 수평에 대해 단지 약간 기울어져 배열되고, 특히, 냉각 배신의 바닥을 커버하여, 가라앉는 재료의 청크들이 상기 수집 벨트 부분으로 반드시 들어가게 한다.
물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수집될 재료의 청크들을 따라 운반하기 위해, 벨트 컨베이어는, 예를 들어, 상단 스트랜드로부터 위로 돌출하는 돌출부들의 형태의 회전 운반 수단 상에 탑재되는 운반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 이러한 운반기들은, 예를 들어, 레이크(rake)의 형태 또는 천공된 플라이트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어서, 액체 배쓰 상에 너무 강한 순환 효과를 가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발에 따르면, 벨트 컨베이어의 회전 수단은 액체-침투가능하게 또는 액체를 보유하지 않게 형성된다. 특히, 회전 전달 수단은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오목부를 통해, 초기에 전달 수단 상에 있는 물이 흘러 내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천공된 컨베이어 벨트는, 예를 들어, 직물 벨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스트립-타입 벨트 컨베이어가 제공될 수 있고, 여기서, 컨베이어 벨트는 나란히(one beside the other) 연장되는 복수의 스트랩들로 형성되어, 액체가 스트랩들 사이의 갭들을 통해 흘러 내릴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벨트 컨베이어의 상단 스트랜드는 또한 약간 횡으로 기울어질 수 있고 단면에서 약간 볼록하게 곡선을 이룰 수 있어서, 컨베이어 벨트 상에 있는 물이 측면을 향해 흘러 내릴 수 있다.
함께 운반되는 재료의 청크들이 아래로 측방향으로 떨어지거나 구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측방향 플라이트들이, 예를 들어, 레일 형태로 컨베이어 벨트와 연결될 수 있고, 여기서, 유리하게, 적어도 작은 갭이 컨베이어 벨트와 경계 사이에 제공되어, 액체가 측면을 향해 흘러 내릴 수 있게 한다. 갭의 크기는, 제거될 청크들에 적응되어, 상기 청크들은 미끄러질 수 없다.
본 발명의 개발에 따르면, 제거되는 재료의 청크들을 추가로 냉각 또는 건조시키기 위해, 냉각 디바이스 또는 건조 디바이스가 상기 제거 컨베이어와 연결될 수 있다. 가능하게는, 이러한 추가적인 냉각 디바이스 또는 건조 디바이스는, 제거 컨베이어의 제 1 부분이 제 1 냉각 배쓰로부터 또는 프론트 냉각 배쓰로부터 청크들을 전달하는 추가적인 냉각 배쓰 이후에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냉각 배쓰들에 의해 에너지-효율적인 그리고 열적으로 동등하게 효과적인 냉각을 달성하기 위해, 차례로 배열되는 냉각 배쓰들은 연속적으로 더 낮은 온도를 가질 수 있는데, 즉, 제 2 냉각 배쓰는 제 1 냉각 배쓰보다 낮은 온도를 가질 수 있고, 제 3 냉각 배쓰는 제 2 냉각 배쓰보다 낮은 온도를 가질 수 있는 식이다.
제 1 또는 추가적인 냉각 배쓰 이후 제거 컨베이어와 연결되는, 전술된 추가적인 냉각 디바이스 또는 건조 디바이스는, 원칙적으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응하는 냉각 수단은, 냉각 공기 또는 냉각 가스로 제거 컨베이어에 의해 운반되는 재료의 청크들을 충진하기 위한 공기 또는 가스 냉각기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냉각액으로 제거 컨베이어에 의해 운반되는 재료의 청크들을 충진하기 위한 액체 냉각기가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냉각된 컨베이어 벨트 형태의 접촉 냉각기가 제공될 수 있다.
냉각된 재료의 청크의 건조를 달성하기 위해, 제거 컨베이어의 다운스트림에 배열되는 건조 스테이션이 제공될 수 있고, 건조 스테이션은 제거 컨베이어에 의해 적층된 재료의 청크들을 건조시킨다. 유리한 개발에서, 이러한 건조 스테이션은 원심분리 건조기, 사이클론 분리기 또는 또한 이동 건조기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예를 들어, 셰이커(shaker)로서 형성될 수 있고, 재료의 청크들을 셰이크하거나 진동시켜, 재료의 청크들에 여전히 부착된 액체 방울들을 기계적으로 떨어뜨린다.
제거 컨베이어의 다운스트림에 배열된 이러한 건조 스테이션에 대한 대안으로 또는 그에 추가하여, 제거 컨베이어 부분과 연결되고 재료의 청크들이 건조되는 동안 재료의 청크들을 제거하는 연속적인 건조기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연속적인 건조기는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송풍기, 추출기 또는 사이클론 분리기의 형태인 공기 건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적외선 방사에 의해 제거 컨베이어 상에서 운반된 재료의 청크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건조시키는 방사 건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연속적인 건조기는 또한 이동 건조기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제거 컨베이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는 진동 라인의 형태로, 이러한 이동 건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거 컨베이어의 일부는 진동하거나 셰이킹하는 컨베이어로서 형성될 수 있다.
방출 채널로부터 배출되는 용융재의 또는 스플리터로부터 배출되는 용융재 엉김들의 원치않는, 예를 들어, 열화 효과들 또는 용융재의 휘발성 성분들의 배출의 형태인 반응들을 회피하기 위해, 정의된 대기로 배출 용융재 또는 분리된 용융재 부분들을 충진하는 대기 발생기가 스플리터와 연결되거나 스플리터의 다운스트림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대기는 예를 들어, 특정 화학 조성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비활성 또는 차폐 가스를 포함하거나 그로 구성될 수 있고 특정 압력 조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 용융재 또는 대응하는 분리된 용융재 엉김은 차폐 가스로 충진될 수 있고, 또는 공기로 또한 가압될 수 있는데, 즉, 과압에 노출될 수 있거나, 또는 음압(negative pressure) 또는 진공에 또한 노출될 수 있다.
용융재 부분들이 배출될 원하는 대기에 따라, 대기 발생기는 다양한 충진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발에서, 스플리터의 출구 구역에는 분리된 용융재 엉김들을 차폐 가스로 충진하기 위한 가스 샤워가 충진되거나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스플리터의 출구 구역은 캡슐화되어 형성되어, 용융재 부분들이 주위 대기와 접촉하게 되는 것 또는 반대로 용융재 부분으로부터 배출되는 휘발성 성분들이 주위 대기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캡슐화는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스플리터에 연결된 기밀 콘테이너에 의해 실현될 수 있어서, 분리된 용융재 부분들은 콘테이너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간다. 수행되는 사후처리에 따라, 상기 콘테이너는 연속적인 처리 스테이션에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이를 또한 밀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전술된 액체 디핑(dipping) 배쓰의 통과 연결될 수 있고 스플리터의 구역에 존재하는 플랜트 컴포넌트 또는 스플리터에 연결될 수 있는 상기 배쓰 통 형태의, 바람직하게는 기밀 엔빌로프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세분화 디바이스의 출구에 콘테이너가 제공되고, 콘테이너는 대응하여, 용융재 부분들을 수용하고, 그에 따라 이러한 부분들은 정의된 대기, 예를 들어, 압축 공기의 정의된 과압에 의해 또는 적절한 차폐 가스에 의해 비활성이 된다. 이러한 가스는 중간 압력으로 흐를 수 있어서, 배출되는 휘발성 성분들을 수용하고 열화 효과들에 대항할 수 있거나, 과압에 의해 용융재 부분들의 이러한 성분들을 대체로 밀봉할 수 있다. 가스 또는 압축 공기에 의한 이러한 커버링 또는 과압의 원리는 가변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모든 부분들이 수용될 수 있고, 냉각 및 "탈가스" 둘 모두를 충분히 행할 수 있을 정도로 세분화 디바이스 아래의 콘테이너가 크게 치수화될 수 없는 경우, 전술된 효과들을 방지하기 위해, 연속적인 탱크들 및 컨베이어들이 또한 동일한 방식으로 충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들 및 연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후속적으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처리 헤드, 특히 용융재를 갖는 펠레타이징(pelletizing) 헤드를 충진하기 위한 용융재 충진기를 포함하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처리 헤드의 업스트림에서 시동 또는 리툴링(retooling) 단계 동안 다이버터 밸브에 의해 용융재를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른 수중 펠레타이징 플랜트의 형태인 용융재 처리 플랜트의 개략적 도면을 도시하고, 여기서, 용융재 충진기는, 과립들을 획득하기 위해 용융재를 펠레타이징함으로써 다이버터 밸브를 통해 수중 펠레타이징 헤드를 용융재로 충진한다.
도 2는, 다이버터 밸브, 다이버터 밸브와 연결된 세분화 수단, 및 다이버터 밸브로부터 방출되고 세분화되는 용융재 부분들을 냉각시키기 위해, 세분화 수단의 다운스트림에 그리고 응고된 재료의 청크들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 컨베이어의 다운스트림에 배열되고 그와 연결되는 냉각 디바이스의 개략적 도면을 도시한다.
도 3은, 세분화 디바이스의 스플리터 헤드의 개략적 측면도를 도시하고, 여기서, 왕복운동가능한 캐리지 및 그 목적으로 제공되는 캐리지 드라이브가 도시된다.
도 4는, 도 3의 부분 사시 단면도를 도시하고, 복수의 용융재 채널들의 윤곽 및 다양한 출구들을 도시한다.
도 5는, 용융재 채널들 중 하나로의, 스플리터 헤드의 비스듬한 도면을 도시하고, 여기서, 분배기 헤드의 용융재 채널의 입구 윤곽 및 그와 유체 연결되는 방출 채널의 출구 윤곽이 도시된다.
도 6은 도 3 내지 도 5의 스플리터의 사시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3 내지 도 6의 세분화 디바이스의 다양한 노즐 삽입부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른 다이버터 밸브와 연결되는 세분화 디바이스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여기서 회전식으로 구동가능한 분배기 헤드가 제공된다.
도 9는, 아래로부터 스플리터 헤드를 도시하는, 도 8의 세분화 디바이스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재료의 청크들 또는 세분화된 용융재를 제거하기 위한 제거 컨베이어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개략적 도면을 도시하며, 여기서, 부분도 a)는, 냉각 배쓰에서 유동하는 재료의 청크들을 수집하기 위한 제거 컨베이어의 구성을 도시하고, 부분도 b)는, 냉각 배쓰에서 유동하지 않는 재료의 청크들을 위한 제거 컨베이어의 구성을 도시하고, 부분도 c)는 공기 또는 스프레이 냉각을 위해 제거 컨베이어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1과 유사한 용융재 처리 플랜트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스플리터 및 연속적인 운반 및 처리 수단은 기밀 방식으로 캡슐화되어, 주위 대기와의 반응으로부터, 분리된 용융재 부분들을 보호하고, 휘발성 성분들의 환경으로의 배출을 방지한다.
도 12는, 도 11의 플랜트의 캡슐화된 구역으로의 압축 공기 또는 가스의 적용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른 수중 펠레타이징 플랜트의 형태인 용융재 처리 플랜트의 개략적 도면을 도시하고, 여기서, 용융재 충진기는, 과립들을 획득하기 위해 용융재를 펠레타이징함으로써 다이버터 밸브를 통해 수중 펠레타이징 헤드를 용융재로 충진한다.
도 2는, 다이버터 밸브, 다이버터 밸브와 연결된 세분화 수단, 및 다이버터 밸브로부터 방출되고 세분화되는 용융재 부분들을 냉각시키기 위해, 세분화 수단의 다운스트림에 그리고 응고된 재료의 청크들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 컨베이어의 다운스트림에 배열되고 그와 연결되는 냉각 디바이스의 개략적 도면을 도시한다.
도 3은, 세분화 디바이스의 스플리터 헤드의 개략적 측면도를 도시하고, 여기서, 왕복운동가능한 캐리지 및 그 목적으로 제공되는 캐리지 드라이브가 도시된다.
도 4는, 도 3의 부분 사시 단면도를 도시하고, 복수의 용융재 채널들의 윤곽 및 다양한 출구들을 도시한다.
도 5는, 용융재 채널들 중 하나로의, 스플리터 헤드의 비스듬한 도면을 도시하고, 여기서, 분배기 헤드의 용융재 채널의 입구 윤곽 및 그와 유체 연결되는 방출 채널의 출구 윤곽이 도시된다.
도 6은 도 3 내지 도 5의 스플리터의 사시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3 내지 도 6의 세분화 디바이스의 다양한 노즐 삽입부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른 다이버터 밸브와 연결되는 세분화 디바이스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여기서 회전식으로 구동가능한 분배기 헤드가 제공된다.
도 9는, 아래로부터 스플리터 헤드를 도시하는, 도 8의 세분화 디바이스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재료의 청크들 또는 세분화된 용융재를 제거하기 위한 제거 컨베이어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개략적 도면을 도시하며, 여기서, 부분도 a)는, 냉각 배쓰에서 유동하는 재료의 청크들을 수집하기 위한 제거 컨베이어의 구성을 도시하고, 부분도 b)는, 냉각 배쓰에서 유동하지 않는 재료의 청크들을 위한 제거 컨베이어의 구성을 도시하고, 부분도 c)는 공기 또는 스프레이 냉각을 위해 제거 컨베이어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1과 유사한 용융재 처리 플랜트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스플리터 및 연속적인 운반 및 처리 수단은 기밀 방식으로 캡슐화되어, 주위 대기와의 반응으로부터, 분리된 용융재 부분들을 보호하고, 휘발성 성분들의 환경으로의 배출을 방지한다.
도 12는, 도 11의 플랜트의 캡슐화된 구역으로의 압축 공기 또는 가스의 적용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용융재 처리 플랜트는 수중 펠레타이징 플랜트(1)로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출기(34)를 포함할 수 있는 용융재 충진기(2)는공급 채널(35)을 통해 수중 펠레타이저의 펠레타이징 헤드(3)에 용융재를 공급하며, 용융재는 펠레타이징 헤드(3)에서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복수의 보어(bore)들을 갖는 다이 플레이트를 통해 압박되고, 펠레타이징 나이프에 의해 펠릿(pellet)들로 절단되며, 펠릿들은 펠레타이징 플랜트(1)의 용액로(36)에 의해 펠레타이징 헤드(3)로부터 멀리 운반되고, 예를 들어, 원심 건조기와 같은 건조기(37)로 유입될 수 있고, 건조기에서 건조된다.
공정을 시작할 때 또는 리툴링 단계 동안 용융재가 펠레타이징 헤드(3)를 통과하여 방출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다이버터 밸브(4)가 용융재 충진기(2)와 펠레타이징 헤드(3) 사이에 제공되고, 다이버터 밸브(4)는 동작 위치에서는 용융재 충진기(2)와 펠레타이징 헤드(3) 사이에서 공급 채널(35)을 통해 스위칭하지만, 다이버팅 또는 방출 또는 우회 위치에서는 용융재 충진기(2)로부터 유입되는 용융재를 방출한다. 이를 위해, 다이버터 밸브(4)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 채널 및 적어도 하나의 피드 채널뿐만 아니라 방출 개구부(38)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우회 채널을 포함한다(도 1 참조). 다이버터 밸브(4)는 또한, 가능하게는 복수의 용융재 충진기들(2)을 복수의 펠레타이징 헤드들(3)에 연결시키기 위해 또는 용융재를 다양한 처리 헤드들에 걸쳐 적절한 기능 조건으로 분배하기 위해, 복수의 입구 채널들 또는 복수의 피드 채널들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분화 디바이스(5)는 다이버터 밸브와 연결되고, 방출된 용융재를 편리한 용융재 부분들로 세분화하고, 특히 다이버터 밸브(4)의 방출 개구부(38)로부터 배출되는 용융재 스트랜드를 각각 대략적으로 동일한 크기의 용융재 엉김들로 분리하고, 그 다음, 용융재 엉김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각됨으로써 응고되고 재료의 청크들(39)을 형성하며, 그 후 추가적인 냉각 및 건조가 재순환 회로(40)에서 다시 처리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용융재 생성기로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재료의 청크들(39)의 용융재 생성기로의 직접 재순환에 대한 대안으로, 재료의 청크들(39)은 또한 몇몇 다른 방식으로 재순환되고 추가로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료의 청크들(39)은 또한, 장래의 요건들에 따른 용도를 정의하기 위해 초기에는 오직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재료의 청크들(39)은, 이들이 방출되었던 처리 플랜트로 다시 공급될 필요가 없다. 오히려, 재료의 청크들(39)은 또한, 다른 용도들로, 예를 들어, 대응하는 재료가 요구되는 파이프 압출 또는 다른 적용들을 위해 공급될 수 있고, 여기서, 가능하게는 추가적인 예비 또는 중간적 처리 단계들, 예를 들어, 분쇄 또는 다른 물질들과의 혼합이 수행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다이버터 밸브(4)의 방출 개구부(38)에 배열되는 세분화 디바이스(5)는, 다이버터 밸브(4)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탑재되는 스플리터 헤드(8)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다이버터 밸브(4)에 대해 선형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는 캐리지(14)의 일부이다. 상기 스플리터 헤드(8)는 복수의 용융재 채널들(9 및 10)을 포함하고, 용융재 채널들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다양한 오리피스 구역들을 갖는다. 이들의 입구 개구부들에 있어서, 2개의 용융재 채널들(9 및 10)은 서로 바로 인접하여 위치되는 한편(도 4 참조), 용융재 채널들(9 및 10)의 출구 구역들은 서로 이격된다. 이것은, 상이한 기울기를 갖는 채널 라우팅에 의해 달성된다(도 4 참조).
캐리지(14)를 이용하여, 스플리터 헤드(8)는 다이버터 밸브(4)에 대해 왕복운동할 수 있어서, 2개의 용융재 채널들(9 및 10)은 자신들의 입구 구역을 다이버터 밸브(4)의 방출 개구부(38) 위로 이동시키고, 캐리지(14)의 위치에 따라, 일 시간에는 하나의 용융재 채널(9)이 그리고 다른 시간에는 다른 용융재 채널(10)이 상기 방출 개구부(38)와 유동 연결된다. 공정 시에, 각각의 다른 용융재 채널(9)이 유동 연결로부터 벗어나서, 방출되는 용융재 스트림으로부터 절단된다.
캐리지(14)의 용융재 채널(9 및 10)은 다이버터 밸브(4)의 방출 개구부(38)와 직접 맞물리거나 유동 연결될 필요가 없다. 유리하게, 스플리터(7)는, 노즐 삽입의 형태인 어댑터 조각(41)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다이버터 밸브(4) 상에 정적으로 탑재되고, 상기 방출 개구부(38)와 유동 연결된다. 캐리지(14)는 어댑터 조각(41)에 대해 왕복운동하여, 스플리터 헤드(8)의 용융재 채널들은 어댑터 조각(41)의 노즐 삽입부의 노즐 개구부와 유동 연결되거나 그와의 유동 연결로부터 벗어난다.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 조각(4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스플리터 어셈블리의 입구는, 유동 방향의 단면에서 테이퍼링되고, 다이버터 밸브(4)의 방출 개구부(38)의 출구 단면을 명백하게 더 작은 지경으로 테이퍼링하는 방출 채널(4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단면의 프로파일들이 여기서 제공될 수 있고, 여기서 테이퍼는 유리하게, 더 큰 단면의 입구 구역을 더 작은 단면의 노즐 출구 구역으로 테이퍼링하는 실질적으로 원뿔형의 채널 부분을 통해 달성된다. 특히 어댑터 조각(41)의 유동 단면은, 방출되는 용융재의 점성에 적응될 수 있고, 여기서, 직경에서의 확장들이 결국 또한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용융재들의 경우, 노즐-형상 단면의 테이퍼가 특히 통상적인 용융재들의 경우 도움이 될 것인데, 이는, 이들이 수중 펠레타이저들에서 이용되기 때문이다. 유리하게, 노즐 삽입부의 출구 단면은, 용융재의 재료 및 점성에 따라 입구 단면의 75% 미만, 바람직하게는 50% 미만 및 특히 약 25%-50%일 수 있다 (도 7 참조).
도 7의 다양한 표현들 a-f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출 채널(42)은, 다양한 단면 윤곽들, 예를 들어, 둥근 형태, 특히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 단면들, 또는 또한 도 7d-7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진 윤곽들의 형태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예를 들어, 방출 채널(42)의 사각형, 삼각형 및 별 모양 단면 윤곽이 도시된다. 그러나, 용융재 엉김들을 원하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둥글거나, 실린더형이거나 또는 더 광범위한 관점에서 구형 또는 타원형의 용융재 엉김들 형성하기 위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른 단면 윤곽들이 또한 제공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14)는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형상의 운반기(43) 상에 선형으로 시프트가능하게 안내 또는 탑재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운반기(43)는 전술된 어댑터 조각(41)을 운반 또는 포함하고 다이버터 밸브(4)에 탑재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운반기(43)는 유리하게, 다이버터 밸브(4)의 윤곽에 적응되는 탑재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캐리지(14)를 왕복운동 가능하게 이동시킬 수 있기 위해, 캐리지 드라이브(15)가 제공될 수 있고, 캐리지 드라이브(15)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압력-매체 실린더로 구성되지만,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또한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 드라이브(15)는 한편으로는 캐리지(14)에 연결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운반기(43)에 연계될 수 있다.
캐리지(14)를 왕복운동시킴으로써, 스플리터 헤드(8)의 복수의 용융재 채널들(9 및 10)은 교번하여 방출 개구부(38)와 유동 연결된다. 용융재 채널이 방출 개구부와 유동 연결되는 경우, 각각의 다른 용융재 채널은 유동 연결로부터 벗어난다. 그 결과, 기존의 용융재 스트랜드는 대응하는 조각들로 분리된다. 오직 개략적으로 표현된 제어 디바이스(13)에 의해, 캐리지 드라이브(15)는 원하는 방식으로 용융재의 분리를 달성하기 위해 원하는 방식으로 동작된다. 특히, 제어 수단(18)은, 부분 크기를 변화시키기 위해 또는 부분 크기를 원하는 방식으로 제어하기 위해 또는 부분 크기를 원하는 부분 크기로 조절하기 위해, 드라이빙 속력 및 빈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최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용융재 채널들(9 및 10)은, 다이버터 밸브(4)로부터 유입되는 방출 채널(42)에 비해, 단면 형상 및 단면 치수의 관점에서 명백하게 구별되게 치수화 및 형성된다. 특히, 이동가능한 스플리터 헤드(8)의 용융재 채널들(9 및 10)은, 상기 방출 채널(42)의 출구 단면보다 몇배 더 큰 단면적을 갖는다.
방출 채널(42)의 출구 단면과 인접한 이들의 유입 부분들에서, 용융재 채널들(9 및 10)은, 용융재 채널들(9 및 10)로 진입하는 용융재를 스플리터 헤드(8)의 벽들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해체 엣지와 같이 동작하는 오버행을 형성하는 계단형 단면 확대부를 갖는다.
상기 단면 확대부(100)의 구역에서, 용융재 채널들(9 및 10)의 단면적은 급격하게 증가할 뿐만 아니라 채널들의 단면 형상 또한 급격하게 변한다. 특히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측의 용융재 채널들(9 및 10)은, 깔때기 형상 또는 원뿔형 방식으로 유입 방향에서 확장되는 입구 칼라(101)에 의해 정의된다. 상기 입구 웹 또는 입구 칼라(101)에 후속하여, 채널 단면은 급격하게 확장되고, 여기서 상기 용융재 채널들(9 및 10)은 다각형, 특히 상기 입구 칼라(101)의 다운스트림에서 직사각형 윤곽을 갖는다.
입구 칼라(101)에 바로 후속하여, 용융재 채널들(9 및 10) 각각은, 대략 장방형 윤곽을 갖고, 이는, 용융재 채널들(9 및 10)의 출구 쪽으로 비스듬한 면이 있는 단면 윤곽으로 전이하는데, 즉, 초기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된 측벽들(102, 103 및 104)은 수직에 대해 각을 이루는 비스듬히 배향된 채널 벽들(105, 106)로 전이할 것이다.
입구 칼라(101)와 인접한 용융재 채널들(9 및 10)의 채널 부분 각각은 입구 칼라(101)에 대해 뒤에 세팅되거나 그의 단면 치수에서 명확하게 더 크게 세팅되어, 입구 칼라와 인접한 각을 이룬 채널 부분 사이에서 언더컷(107)이 획득된다(도 4 참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융재 채널들(9 및 10)의 입구 칼라들(101) 각각은, 포물선 또는 V-형상으로, 더 정확하게는 둥근 V 형태로 형성되어, 입구 웹 또는 입구 칼라(101)에 의해 정의된 용융재 채널들(9 및 10)의 입구 개구부는 캐리지(14)의 반대쪽 단부 면을 향해 확장되는데, 즉, 상기 V의 레그(leg)들은 캐리지의 이동 방향에 대칭적으로 발산되고, 여기서 V 또는 포물선의 레그의 연결 부분은 2개의 용융재 채널들(9 및 10) 사이의 전이 구역을 향해 배열된다. 입구 개구부의 발산하는 레그들 사이의 상기 전이 구역은 방출 채널(42)의 단면 윤곽에 적응되어(도 5 참조), 개구부에서, 더 정확하게는 각각의 용융재 채널들(9 및 10)의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 도달하는 곳에서, 채널 단면의 급격한 확장이 시행된다.
방출 채널(42)의 형상에 적응되는 용융재 채널들(9 및 10)의 입구 개구부의 단면 섹터들(108)은 이러한 용융재 채널들(9 및 10)의 측면 상에 위치되고, 섹터들(108)은 용융재 채널들(9 및 10)의 개구부 상에서 방출 채널(42)을 먼저 개방한다. 도 5에 도시된 용융재 채널(10)을 보면, 용융재 채널(10) 또는 캐리지(14)는 상기 용융재 채널(10)의 개구부 상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고, 여기서, 용융재 채널(10)의 입구 개구부의 좌측 엣지 구역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방출 채널(42)의 출구 단면의 형상에 적응된다. 개구부 방향 반대쪽으로, 즉, 도 5에 따른 우측으로, 입구 칼라(101) 또는 그에 의해 정의된 용융재 채널(10)의 입구 개구부의 레그들이 발산한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캐리지 솔루션에 대한 대안으로, 스플리터(7)는 또한 도 8 및 도 9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 도시되는 바와 같이, 회전식으로 이동가능한 스플리터 헤드(8)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스플리터 헤드(8)는 실질적으로 플레이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용융재 채널들(9 및 10)을 형성하는 복수의 쓰루 보어들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용융재 채널들의 수는 변할 수 있다. 유리하게, 여기서 적어도 2개의 용융재 채널들이 제공되지만, 둘 초과의 용융재 채널들을 이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러한 용융재 채널들 중 4개가 스플리터 헤드(8)에 형성된다.
용융재 채널들(9 및 10)은 회전축(44)을 중심으로 공통 피치 원 상에 배열되어, 스플리터 헤드(8)의 회전 동안 이들은 동일한 순환 경로 상에서 순환한다. 회전축(44)은 다이버터 밸브(4)의 방출 채널의 종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어댑터 조각(41)의 노즐 개구부의 종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앞선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어댑터 조각(41)이 또한 도 8 및 도 9에 따른 실시예에서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고, 어댑터 조각(41)은, 특히 이미 설명된 운반기(43)를 이용하여 다이버터 밸브(4)의 방출 개구부(38) 상에 견고하게 탑재가능하고, 운반기(43) 위에 스플리터 헤드(8)가 이동가능하게 탑재된다.
스플리터 헤드(8)를 회전시킴으로써, 다른 용융재 채널들(9 또는 10) 각각이 중간 조각(41)의 노즐 개구부와 유체 연결되고, 따라서, 다이버터 밸브(4)의 방출 개구부(38)와 유체 연결되는 한편, 각각의 다른 용융재 채널들은 유출 용융재로부터 절단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존의 용융재 스트랜드의 세분화가 대응적으로 달성된다. 스플리터 헤드(8)의 회전 속력 또는 스플리터 헤드(8)가 회전식으로 진행되는 빈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용융재 부분 크기가 또한 여기서 조절될 수 있다. 스플리터 헤드(8)의 회전은 적절한 회전 드라이브(17)에 의해 시행될 수 있고, 회전 드라이브는 원칙적으로 다양한 방식들로, 예를 들어, 연결된 기어 스테이지를 갖는 전기 모터 형태로 형성되어, 원하는 속력을 조절할 수 있고, 또한 가능하게는 원하는 속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회전식 스플리터 헤드(8)의 용융재 채널들은 도 3 내지 도 5에 따라 앞서 설명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형성되고,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대해 참조된다.
스플리터 헤드(8) 및 중간적 또는 연결 조각(41)은 가능하게는, 플라스틱 용융재의 분리를 지원하고 들러붙음을 회피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마모 페어링 표면들 상에서 마모 및 삭마를 회피하거나 적어도 감소시키기 위해, 특히 용융재 채널들(9 및 10) 및 방출 채널(42)의 구역에서 그리고 유리하게는 또한 마모 페어링들을 형성하는 표면들의 구역에서 기능 층 또는 기능적 표면 층과 함께 완전히 또한 코팅될 수 있다. 스플리터 헤드(8) 및 상기 중간적 또는 연결 조각(41)은 유리하게는 적절한 고온 스틸(steel)들로 제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 디바이스(6)는 특히, 세분화시에 바로 또는 세분화 직후에 용융제를 냉각시키는 냉각 수단(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 수단(33)은 예를 들어, 스프레이 냉각 수단으로서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스플리터(7)로부터 배출되는 배출 용융재 스트랜드 상에 냉각액을 스프레이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냉각 수단(33)은 또한, 용융재 스트랜드 상에 냉각 공기 또는 냉각 가스를 향하게 하는 에어 또는 가스 냉각기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냉각 수단(33)은 그 다음, 용융재 스트랜드와 접촉하게 되는 냉각 표면을 갖는 접촉 냉각기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플리터 헤드(8) 또는 다이버터 밸브(4), 특히 밸브의 방출 측면은 적절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액체 회로 냉각으로 냉각될 수 있어서, 용융재가 세분화되는 경우 미리 사전 냉각되어 용융재는 가능하게는 세분화될 때 이미 응고를 시작한다.
게다가, 냉각 디바이스(6)는 유리하게는, 세분화 디바이스(5)의 다운스트림에, 특히 세분화 디바이스(5) 아래에 배열되는 냉각 배쓰(23) 형태인 적어도 하나의 냉각 스테이션을 포함하여, 분리된 용융재 부분들은 중력에 의해 상기 냉각 배쓰로 바로 떨어질 수 있다. 냉각 배쓰(23)는, 하나의 회로로 또는 앞서 설명된 방식에서 요구되는 바와 같이 2개의 회로들로 형성될 수 있어서, 원하는 냉각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냉각 배쓰(23)에서, 용융재 부분들의 응고는 핸들링가능한 재료의 청크들(39)을 획득하기 위해 시행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 펠레타이저가 처리 플랜트로서 이용되는 경우, 수중 펠레타이저의 수로 또는 용액로(36)는 또한 유리하게, 냉각 배쓰(23) 또는 추가적인 냉각 배쓰(24)를 템퍼링 또는 냉각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은 열 방출기들(46 및 47)을 통해 냉각 배쓰(23)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수로(36)를 사전가열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수로(36) 및 그의 냉각 수단은 또한 단순히 요구에 따라 냉각 배쓰(23)를 냉각 또는 템퍼링하기 위해서만 이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열 교환기(48)를 통해 냉각 배쓰(23) 또는 냉각 배쓰(24)로부터 배출된 열은 또한, 예를 들어, 다운스트림 건조 스테이션(30)에서 이용되는 건조 공기를 사전가열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냉각 배쓰(23)의 액체로부터 재료의 청크들(39)을 분리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개발에 따라 제거 컨베이어(25)가 제공되고, 제거 컨베이어(25)는 유리하게는 벨트 컨베이어(26)로서 형성될 수 있고, 유리하게는, 냉각 배쓰(23)에서, 특히, 그 레벨 아래에서 연장되는 벨트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벨트 부분은 냉각 배쓰(23) 외부로 연장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26)는 유리하게는, 수평에 대해 예각으로 기울어진 제1수집 벨트 부분(27)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냉각 배쓰(23)의 레벨을 관통하고, 냉각 배쓰(23) 상에서 유동하는 재료의 청크들(39)을 수집하고, 이를 냉각 배쓰(23)로부터 제거한다 (도 10의 부분도 a) 참조).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벨트 컨베이어(26)는 또한, 냉각 배쓰(23)의 바닥에 배열되는 제2수집 벨트 부분(28)을 포함하여, 가라앉거나 내려가는 재료의 청크들(39)을 수집하고 운반할 수 있다. 이러한 바닥측 수집 부분(28)은 가능하게는, 유동하는 재료의 청크들(39)을 수집하고 운반하기 위한 수집 부분(27)과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의 부분도 b) 참조).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냉각 배쓰(23)가 생략되고 그 대신 공기 또는 스프레이 냉각이 제공되는 경우, 제거 컨베이어(25)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형성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또는 스프레이 냉각은 또한, 예를 들어, 냉각 배쓰(23) 외부로 연장되는 제거 컨베이어(25)의 부분의 구역에 냉각 배쓰(23)가 제공되는 경우 제공될 수 있다. 냉각 배쓰(23)로부터 전송되는 재료의 청크들(29)을 냉각시키기 위한 이러한 추가적인 냉각 수단(45)은 도 2의 참조 부호 45로 도시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냉각 배쓰(23)의 다운스트림에 추가적인 냉각 배쓰(24)가 제공될 수 있고, 이는 유리하게는, 제 1 또는 선행하는 냉각 배쓰(23)보다 더 큰 체적 또는 더 낮은 냉각제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 컨베이어(25)는 다시, 추가적인 냉각 배쓰(24)에 연결되어, 침전 또는 유동-냉각된 재료의 청크들(39)은 다시 분리되고 배쓰로부터 운반될 수 있다.
최후 냉각 배쓰 이후, 추가적인 냉각 수단, 특히 또한 건조 디바이스(30)가 제거 컨베이어(25)의 다운스트림과 연결되거나 그에 제공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건조 디바이스(30)는, 예를 들어, 원심분리 건조기의 형태인 정적 건조 스테이션(31)일 수 있고, 제거 컨베이어(25)가 재료의 청크들(39)을 건조를 위해 건조 스테이션(31)에 공급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건조 디바이스(30)는 또한 스루피드에서 동작할 수 있고, 연속적 건조기(32)를 포함할 수 있고, 연속적 건조기(32)를 통해 제거 컨베이어(25)가 재료의 청크들(39)을 이동시키는데, 즉, 재료의 청크들(39)은 제거되고 추가로 전송되는 동안 건조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연속적 건조기(32)는 예를 들어, 팬 냉각 또는 스프레이 냉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의된 대기로 분리되거나 분리될 용융재 부분들(39)을 충진하기 위한 대기 발생기(200)가 스플리터(7)의 다운스트림과 연결되거나 배열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대기 발생기(200)는, 실질적으로 기밀하게 형성된 캡슐화기(201)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스플리터(7) 및 스플리터의 연속적인 출구 구역은 캡슐화되고 주변 대기에 대해 차폐된다.
특히, 스플리터(7)는 콘테이너(202)에 의해 밀봉될 수 있고, 여기서 과압 또는 차폐 가스 또는 몇몇 다른 대기, 예를 들어, 또한 진공의 공급이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운스트림 플랜트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냉각 배쓰(23) 또는 제거 컨베이어(25)는 유사한 컨테이너들 또는 상기 컨테이너(202)가 충분히 크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컨테이너(202)에 의해 또한 밀봉될 수 있고, 여기서 상이한 컨테이너 부분들이 기밀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컨테이너(202)에 의해 밀봉되는 내부 공간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또는 압축-공기 회로(103)를 이용하여 가스 또는 압축된 공기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충진될 수 있다. 이러한 공압 제어 회로(303)는 예를 들어, 셧오프 엘리먼트들, 압력 게이지들 및 압력 제어 또는 제한 엘리먼트들과 같은 압력 제어 모듈들을, 예를 들어, 대응하는 밸브들의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1 : 수중 펠레타이징 플랜트 2 : 용융재 충진기
3 : 펠레타이징 헤드 4 : 다이버터 밸브
5 : 세분화 디바이스 6 : 냉각 디바이스
7 : 스플리터 8 : 스플리터 헤드
9 : 용융재 채널 10 : 용융재 채널
13 : 제어 디바이스
14 : 캐리지 15 : 캐리지 드라이브
16 : 회전식 헤드
17 : 회전 드라이브 18 : 제어 수단
23 : 냉각 배쓰 24 : 냉각 배쓰
25 : 제거 컨베이어 26 : 벨트 컨베이어
27 : 제 1 수집 벨트 부분 28 : 제 2 수집 벨트 부분
29 : 순환 수단 30 : 건조 디바이스
31 : 건조 스테이션 32 : 연속적인 건조기
33 : 냉각 수단 34 : 압출기
35 : 공급 채널 36 : 용액로
37 : 원심 건조기 38 : 방출 개구부
39 : 청크(chunk) 40 : 재순환 회로
41 : 어댑터 조각 42 : 방출 채널
43 : 운반기 44 : 회전축
46 : 열 방출기 47 : 열 방출기
48 : 열 교환기
50 : 열 회수 디바이스
100 : 단면 확대부 101 : 입구 칼라
102, 103, 104 : 측벽 105, 106 : 채널 벽
107 : 언더컷 108 : 제 1 부분
110 : 개방된 원주 부분
200 : 대기 발생기 201 : 캡슐화기
202 : 컨테이너 203 : 공압 제어 회로
3 : 펠레타이징 헤드 4 : 다이버터 밸브
5 : 세분화 디바이스 6 : 냉각 디바이스
7 : 스플리터 8 : 스플리터 헤드
9 : 용융재 채널 10 : 용융재 채널
13 : 제어 디바이스
14 : 캐리지 15 : 캐리지 드라이브
16 : 회전식 헤드
17 : 회전 드라이브 18 : 제어 수단
23 : 냉각 배쓰 24 : 냉각 배쓰
25 : 제거 컨베이어 26 : 벨트 컨베이어
27 : 제 1 수집 벨트 부분 28 : 제 2 수집 벨트 부분
29 : 순환 수단 30 : 건조 디바이스
31 : 건조 스테이션 32 : 연속적인 건조기
33 : 냉각 수단 34 : 압출기
35 : 공급 채널 36 : 용액로
37 : 원심 건조기 38 : 방출 개구부
39 : 청크(chunk) 40 : 재순환 회로
41 : 어댑터 조각 42 : 방출 채널
43 : 운반기 44 : 회전축
46 : 열 방출기 47 : 열 방출기
48 : 열 교환기
50 : 열 회수 디바이스
100 : 단면 확대부 101 : 입구 칼라
102, 103, 104 : 측벽 105, 106 : 채널 벽
107 : 언더컷 108 : 제 1 부분
110 : 개방된 원주 부분
200 : 대기 발생기 201 : 캡슐화기
202 : 컨테이너 203 : 공압 제어 회로
Claims (41)
- 용융재 처리 플랜트로서,
처리 헤드를 용융재로 충진하기 위한 용융재 충진기(2) ―상기 용융재 충진기(2)와 상기 처리 헤드 사이에, 상기 처리 헤드를 지나가는 용융재를 방출하기 위한 다이버터 밸브(4)가 제공됨―, 및 상기 다이버터 밸브(4)로부터 유출되는 방출된 용융재 스트랜드를 용융재 부분들로 분리하기 위한 스플리터(7)를 포함하고, 상기 스플리터(7)는 이동 가능한 스플리터 헤드(8)를 포함하고, 상기 스플리터 헤드(8)는 다수의 용융재 채널들(9, 10)을 갖으며, 상기 스플리터 헤드(8)를 서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용융재 채널(9,10)들 각각은 상기 다이버터 밸브로부터 유입되는 방출 채널(42)과 순환적으로 유체 연결되고,
상기 스플리터 헤드(8)의 상기 용융재 채널들(9, 10)은 적어도, 채널들의 유입 부분에, 상기 방출 채널(42)의 출구 단면과 상이한 단면 형상인 계단형 단면 확대부(100)를 갖고 상기 스플리터(7)로부터 개방된 오리피스 구역을 갖으며,
상기 단면 확대부(100)는 용융재의 유입측에서 배출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확장 형성된,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형 단면 확대부(100)는, 오버행을 갖는 해체 엣지를 형성하고, 상기 해체 엣지의 구역에서, 상기 용융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용융재 채널의 벽들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해체 엣지의 다운스트림에서, 자유롭게 매달린 용융재는 떨어지고 중력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용융재 채널들(9, 10)을 통해 상기 용융재 채널들(9 및 10)로부터 배출되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형 단면 확대부(100)의 구역에서, 상기 스플리터 헤드(8)의 상기 용융재 채널들(9, 10)은 또한 상기 단면의 크기에 추가하여 자신들의 단면 형상을 변경하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형 단면 확대부의 업스트림에서, 상기 용융재 채널들(9, 1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둥근 단면 형상을 갖고, 상기 단면 확대부(100)의 다운스트림에서는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터 헤드(8)의 상기 용융재 채널들(9, 10)의 유입 단면들 각각은, 상기 방출 채널(42)의 유출 단면보다 크고, 상기 방출 채널(42)의 오리피스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스플리터 헤드(8)로 유입하는 용융재에 대한 해체 엣지를 형성하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재 채널들(9, 10) 각각은, 자신들의 원주 상에 벽 없이 개방된 원주 부분(110)을 갖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재 채널들(9, 10) 각각은, 입구 개구부를 갖고, 상기 입구 개구부의 원주 윤곽은, 상기 방출 채널(42)의 출구 윤곽의 형상에 적응되는 제 1 부분(108) 및 상기 방출 채널(42)의 출구 윤곽과 상이하게 형성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108)은 상기 각각의 용융재 채널들(9, 10)의 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용융재 채널(9, 10)의 개구부 상에서 먼저 상기 방출 채널(42)의 단면을 클리어하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재 채널들(9, 10)의 입구 개구부들 각각은 V-형상 또는 둥근 V 또는 포물선 형태로 형성되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 확대부(100)의 다운스트림에서, 상기 용융재 채널들(9, 10) 각각은, 상기 방출 채널(42)의 출구 단면적의 2배를 초과하는 단면적을 갖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재 채널들(9, 10)의 단면적은 상기 계단형 단면 확대부(100)에서 적어도 2배가 되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재 채널들(9, 10)은, 상기 스플리터 헤드(8)의 위치와는 독립적으로, 항상 하나의 용융재 채널(9)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다이버터 밸브로부터 유입되는 방출 채널(42)과 유동 연결되도록 상기 스플리터 헤드(8)에 형성되고 배열되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터 헤드(8)는, 캐리지 드라이브(15)에 의해 왕복운동가능하게 구동될 수 있는 캐리지(14)의 일부인,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터 헤드(8)는, 회전식 드라이브(17)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속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회전식 헤드(16)의 일부인,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터 헤드(8)의 이동 속력 및 이동 빈도를 상기 방출 채널에 대해 변화가능하게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18)이 제공되고, 상기 제어 수단(18)은, 청크 크기와는 독립적이거나 상기 용융재의 체적 유량과는 독립적으로 상기 이동 속력 또는 이동 빈도를 동작시키도록 형성되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터 헤드(8)와 상기 다이버터 밸브(4) 사이에 어댑터 조각(41)이 제공되고, 상기 어댑터 조각(41)은, 상기 다이버터 밸브(4)의 방출 개구부(38)에 연결가능하고 상기 스플리터 헤드(8)의 상기 용융재 채널들(9, 10)과 유동 연결될 수 있는 방출 채널을 포함하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 채널(42)은 노즐-형상의 윤곽 또는 상기 출구에 제공되는 단면 테이퍼를 갖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 채널(42)은 상기 출구에 제공되는, 둥근 곡선 단면 윤곽을 갖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 채널(42)은, 상기 출구에 제공되는 단면 윤곽을 갖고, 상기 윤곽은 원형 형상과는 상이하고, 각진 또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또는 삼각형 또는 다각형 또는 별-형상 또는 x-형상인,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 채널(42)은, 상기 출구에 제공되는 링-형상의 단면 윤곽을 포함하고 중공 용융재 부분들의 내부에 또한 형성하기 위한 링 노즐로서 형성되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의 단면 윤곽은, 윤곽의 측면에서 서로 대응하는 외측 및 내측 링 표면들 또는 윤곽의 측면에서 서로 상이한 내측 및 외측 링 표면들을 포함하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16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스플리터 헤드(8) 또는 상기 어댑터 조각(41)은 상기 용융재의 접착을 감소시키고 용융재의 분리를 지원하는 기능 층을 제공받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고된 재료의 청크들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용융재 부분들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디바이스(6)가 제공되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디바이스(6)는, 세분화 디바이스(5) 아래에 배열되는 냉각 배쓰(23)를 포함하고, 중력에 의해 상기 용융재 부분들이 상기 스플리터 헤드(8)로부터의 방출 이후 자유 낙하로 상기 냉각 배쓰(23)에 도달될 수 있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배쓰(23)는, 상기 용융재 부분들이 냉각되는 1차 냉각액을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용융재 부분들을 냉각시키는 액체 외부에 배열되는 열 교환기를 갖는 2차 냉각 회로를 포함하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재 부분들 또는 재료의 청크들로부터 소산될 열을 회수하기 위한 열 회수 디바이스가 상기 냉각 디바이스(6)와 연결되고, 상기 열 회수 디바이스(50)는 열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또는 회수된 열을 가열될 적어도 하나의 플랜트 컴포넌트 또는 빌딩 또는 외부 가열 시스템에 전달하기 위한 열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열 회수 디바이스(50)는, 냉각 배쓰(23, 24)에 포함된 열을 회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열 교환기(46, 47, 48)를 포함하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배쓰(23, 24)로부터 응고된 재료의 청크들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 컨베이어(25)가 상기 냉각 배쓰(23) 또는 추가적인 냉각 배쓰(24)와 연결되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컨베이어(25)는, 수평에 대해 예각으로 기울어지고, 유동하는 재료의 청크들을 수집하기 위해 상기 냉각 배쓰(23, 24)의 레벨에 걸쳐 연장되는 제 1 수집 벨트 부분(27) 또는 상기 냉각 배쓰(23, 24)에서 아래로 가라앉는 재료의 청크들을 수집하기 위해 배신(basin)의 바닥에 배열되는 제 2 수집 벨트 부분(28)을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26)를 포함하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컨베이어(25)는, 천공된 벨트의 액체-침투가능한 순환 수단(29)을 포함하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컨베이어(25)에 의해 제거되는 재료의 청크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 디바이스(30)가 상기 제거 컨베이어(25)와 연결되고, 상기 건조 디바이스(30)는, 원심분리 건조기, 사이클론 분리기 및 셰이커(shaker) 중 어느 하나의 이동 건조기 또는 재료의 청크들을 제거하는 동안 재료의 청크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건조시키기 위해 제거 컨베이어 부분과 연결되는 연속적인 건조기(32)를 포함하는 건조 스테이션(31)을 상기 제거 컨베이어의 다운스트림에 포함하고, 상기 연속적인 건조기(32)는, 송풍기, 추출기, 사이클론 분리기, 방사 건조기 및 셰이킹 건조기 중 어느 하나의 이동 건조기를 포함하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디바이스(6)는, 세분화 시에 또는 세분화 직후에 냉각하기 위해, 상기 세분화 디바이스(5) 구역에서 배열되는 냉각 수단(33)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수단(33)은, 냉각 공기 또는 가스로 상기 용융재를 충진하기 위한 공기 또는 가스 냉각기, 냉각액으로 상기 용융재를 충진하기 위한 액체 냉각기 또는 상기 용융재에 의해 접촉되는 냉각 표면을 갖는 접촉 냉각기를 포함하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버터 밸브(4)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융재 충진기(2)와의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구 채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 헤드와의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피드 채널, 및 상기 처리 헤드들을 통과하는 상기 용융재를 방출하기 위한 방출 개구부(38)를 갖는 스크랩 또는 방출 채널을 포함하고, 이동가능한 밸브 바디를 시프트시킴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구 채널은 상기 피드 채널들 또는 상기 스크랩 또는 방출 채널 중 하나와 선택적으로 유동 연결될 수 있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1 항에 있어서,
분리된 또는 분리될 상기 용융재 부분들을, 정의된 대기로 충진하기 위한 대기 발생기(200)가 상기 스플리터(7)와 연결되고 상기 스플리터(7)의 다운스트림에 제공되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발생기(200)는, 상기 스플리터(7)의 출구 환경 또는 다운스트림 처리 스테이션들의 환경을 고립시키기 위한, 기밀한 환경 캡슐화(201)를 포함하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터(7)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용융재 부분들(39)은 상기 대기 발생기(200)에 의한 차폐 가스 또는 과압으로 충진되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34 항에 있어서,
기밀하게 형성된 컨테이너(202)가 상기 스플리터(7)의 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스플리터(7)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용융재 부분들이 상기 컨테이너(202)로 들어가고, 과압 또는 음압의 가스 또는 공기로 상기 컨테이너(202)의 내부 공간을 충진하기 위한 압력 발생기 또는 가스 발생기가 상기 컨테이너(202)와 연결되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202)는 상기 스플리터(7)의 다운스트림에서 적어도 하나의 처리 컴포넌트인 냉각 배쓰(23) 또는 제거 컨베이어(25)에 연결되고 이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트림 처리 컴포넌트를 밀봉하여, 또한 이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트림 처리 컴포넌트의 구역에서 상기 컨테이너(202)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대기에 상기 용융재 부분들(39)이 노출되게 하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형 단면 확대부(100)의 구역에서, 상기 스플리터 헤드(8)의 상기 용융재 채널들(9, 10)은 둥근 단면 형상으로부터 각진 단면 형상으로 전이하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 채널(42)은 원형 또는 계란형 또는 타원형 또는 s-형상의 곡선 단면 윤곽을 갖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층은 상기 용융재 또는 방출 채널들(9, 10, 42)의 구역에 제공되는, 용융재 처리 플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201320001692 DE202013001692U1 (de) | 2013-02-21 | 2013-02-21 | Schmelzeverarbeitungsanlage |
DE202013001692.2 | 2013-02-21 | ||
PCT/EP2014/000464 WO2014127918A1 (de) | 2013-02-21 | 2014-02-21 | Schmelzeverarbeitunsanlag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2652A KR20150122652A (ko) | 2015-11-02 |
KR102132782B1 true KR102132782B1 (ko) | 2020-07-10 |
Family
ID=50179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22231A KR102132782B1 (ko) | 2013-02-21 | 2014-02-21 | 용융재 처리 플랜트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9821503B2 (ko) |
EP (1) | EP2958722B1 (ko) |
JP (1) | JP6328148B2 (ko) |
KR (1) | KR102132782B1 (ko) |
CN (1) | CN105102197B (ko) |
DE (1) | DE202013001692U1 (ko) |
WO (1) | WO201412791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648720B2 (en) | 2014-10-07 | 2023-05-16 | X-Per Extruder Performance Gmbh | Method for producing plastic products by means of an extruder, and shaping system |
EP3481612B1 (de) | 2016-08-17 | 2021-01-27 | Coperion GmbH |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färbten und eines ungefärbten kunststoffgranulates |
DE102018204584A1 (de) * | 2018-03-26 | 2019-09-26 | Coperion Gmbh | Anfahrventil-Drossel-Vorrichtung zum Austragen einer Schmelze aus einer Schneckenmaschine sowie Anlage zur Aufbereitung von Schüttgut mit einer derartigen Anfahrventil-Drossel-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stragen einer Schmelze aus einer Schneckenmaschine mittels einer derartigen Anfahrventil-Drossel-Vorrichtung |
DE102018215613A1 (de) * | 2018-09-13 | 2020-03-19 | Robert Bosch Gmbh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Polymerfolie |
CN113426369B (zh) * | 2021-07-28 | 2022-06-21 | 山东奇立伟肥业股份有限公司 | 一种化肥造料机用新型喷杯 |
DE102022107129A1 (de) * | 2022-03-25 | 2023-09-28 | Johannes Wissing | Verfahren und Anordnung zur Energie-Rückgewinnung beim Extrudieren |
CN116690837B (zh) * | 2023-06-28 | 2023-10-17 | 徐州海颜材料科技有限公司 | 一种色母粒制粒装置及其加工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110182A1 (en) * | 2003-11-21 | 2005-05-26 | Michael Eloo |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rystalline PET pellets |
DE202011104968U1 (de) * | 2011-08-25 | 2012-11-26 | Gala Industries, Inc. | Schmelzeverarbeitungsanlage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37862A1 (de) * | 1969-07-25 | 1971-02-04 | Werner & Pfleiderer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Unterwassergranulierung |
DE2751225C3 (de) | 1977-11-16 | 1981-08-13 | Werner & Pfleiderer, 7000 Stuttgart | Vorrichtung mit einer nach dem Siebpaket eines Schneckenextruders angeordneten Schmelzindex-Meß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Regeln der Viskosität von aufgeschmolzenem und auszuformendem Kunststoff |
DE4026371A1 (de) * | 1990-08-21 | 1992-02-27 | Daimler Benz Ag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quarzglasrohlings |
JPH07227844A (ja) | 1994-02-16 | 1995-08-29 | Toray Ind Inc | ポリマ処理装置 |
JP2000225615A (ja) * | 1999-02-05 | 2000-08-15 | Japan Steel Works Ltd:The | 溶融樹脂排出弁及び排出処理方法 |
WO2001010620A2 (en) | 1999-08-05 | 2001-02-15 |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Waste polymer processing device |
US6787073B1 (en) * | 1999-08-05 | 2004-09-07 | Invista North America S.A.R.L. | Waste polymer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
JP2001235037A (ja) * | 2000-02-22 | 2001-08-31 | Dainippon Ink & Chem Inc | 排出弁およびこれを用いた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の製造方法 |
JP2004130600A (ja) * | 2002-10-09 | 2004-04-30 | Japan Steel Works Ltd:The | 水中カット式造粒機の自動運転スタート方法 |
US6787673B2 (en) | 2002-11-08 | 2004-09-07 |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 Process for producing 2-bromocyclopentanone |
DE102005007102B4 (de) | 2005-02-16 | 2010-02-11 | Gala Industries, Inc. | Anfahrventil |
JP4344362B2 (ja) * | 2006-01-05 | 2009-10-14 | 株式会社日本製鋼所 | 押出機よりの排出溶融樹脂の搬送方法及び装置 |
DE202009011114U1 (de) * | 2009-08-14 | 2010-12-30 | Gala Industries Inc. | Granuliervorrichtung sowie Anfahrventil hierfür |
CA2791615C (en) * | 2010-03-24 | 2020-05-05 | Lanxess International Sa |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water and solvent-free polymers |
-
2013
- 2013-02-21 DE DE201320001692 patent/DE202013001692U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14
- 2014-02-21 WO PCT/EP2014/000464 patent/WO2014127918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2-21 EP EP14706483.6A patent/EP2958722B1/de active Active
- 2014-02-21 US US14/655,117 patent/US9821503B2/en active Active
- 2014-02-21 JP JP2015558375A patent/JP6328148B2/ja active Active
- 2014-02-21 KR KR1020157022231A patent/KR10213278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02-21 CN CN201480009460.9A patent/CN105102197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110182A1 (en) * | 2003-11-21 | 2005-05-26 | Michael Eloo |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rystalline PET pellets |
DE202011104968U1 (de) * | 2011-08-25 | 2012-11-26 | Gala Industries, Inc. | Schmelzeverarbeitungsanlag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202013001692U1 (de) | 2014-05-22 |
EP2958722B1 (de) | 2017-10-04 |
CN105102197B (zh) | 2017-11-10 |
JP2016511174A (ja) | 2016-04-14 |
JP6328148B2 (ja) | 2018-05-23 |
CN105102197A (zh) | 2015-11-25 |
EP2958722A1 (de) | 2015-12-30 |
WO2014127918A1 (de) | 2014-08-28 |
US20150321410A1 (en) | 2015-11-12 |
KR20150122652A (ko) | 2015-11-02 |
US9821503B2 (en) | 2017-1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32782B1 (ko) | 용융재 처리 플랜트 | |
US9873220B2 (en) | Melt processing plant | |
JP5726406B2 (ja) | ワックス及びワックス状の材料を造粒する装置及び方法 | |
CA2752086C (en) | Continuous pelletizing, drying and bagging systems with improved throughput | |
JP2017531703A (ja) | ペレットおよび他の物質を乾燥させ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JP2018505822A (ja) | 連続袋詰めプロセスおよびシステム | |
CN104884154A (zh) | 用于将可熔物质造粒的方法 | |
US4663099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eparate unagglomerated pellets of an extrudable material | |
CN111688055A (zh) | 用于回收聚烯烃的方法 | |
US20160279829A1 (en) | Apparatus and process for granulating molten material | |
JP4589944B2 (ja) | 脱塩素設備における造粒物回収装置 | |
JP4504566B2 (ja) | 押出機をパージする装置 | |
JP6957049B2 (ja) | 回収鋳物砂の冷却装置 | |
JP2005021824A (ja) | 樹脂ペレットの分離選別機 | |
JPS5942603B2 (ja) | 樹脂の造粒装置 | |
JPH07186236A (ja) | 押出装置、ペレット収容バケット、ペレット収容バケット送り込み装置およびペレット乾燥装置 | |
WO2001010620A2 (en) | Waste polymer processing device | |
JP2010274419A (ja) | 搬送装置及び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