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124812B1 - 유해동물용 자동 포획장치 - Google Patents

유해동물용 자동 포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812B1
KR102124812B1 KR1020190120692A KR20190120692A KR102124812B1 KR 102124812 B1 KR102124812 B1 KR 102124812B1 KR 1020190120692 A KR1020190120692 A KR 1020190120692A KR 20190120692 A KR20190120692 A KR 20190120692A KR 102124812 B1 KR102124812 B1 KR 102124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ture
capture frame
inlet
open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스
Priority to KR1020190120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8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16Box traps
    • A01M23/18Box traps with pivoted closure fl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Multimedia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동물을 먹이를 이용해 포획틀 내부로 유인하면 자동으로 유인을 위한 출입구를 닫히도록 하여 유해동물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포획되게 하면서 유해동물의 크기에 상관없이 포획 가능하게 하고, IoT 기반의 스마트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해동물용 자동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포획틀(110)의 내부로 사방이 막힌 공간(S)이 마련되고, 상기 포획틀(110)의 공간(S)을 이용해 동물을 유인하는 포획틀 부재(100)와; 상기 포획틀 부재(100)에 제1유입구(211) 및 제2유입구(221)를 각각 형성하는데, 상기 제1유입구(211)는 제1도어부(210)가 개폐되게 하고, 상기 제2유입구(221)는 제2도어부(220)가 개폐되게 하며, 상기 제1도어부(210) 및 제2도어부(220)의 개폐작용을 이용해 상기 포획틀(110)에 유인된 동물을 가두는 개폐 부재(200)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카메라(310)를 이용해 포획틀(110)의 영상데이터를 원거리 통신 환경에서 실시간 제공하며, 상기 실시간 제공되는 영상데이터를 활용하여 원거리에서 포획틀 부재(100)의 상태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관제 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유해동물용 자동 포획장치 {Hazardous Animal Trap device}
본 발명은 유해동물을 먹이를 이용해 포획틀 내부로 유인하면 자동으로 유인을 위한 출입구를 닫히도록 하여 유해동물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포획되게 하면서 유해동물의 크기에 상관없이 포획 가능하게 하고, IoT 기반의 스마트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해동물용 자동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해동물은 사람의 주거 공간을 침범하면서 농작물, 기물 등을 손괴하여 피해를 주거나, 사람에게 위협을 가해 사고 위험 등의 위해를 가하는 동물을 지칭하며, 최근에는 유해동물의 야생 서식지가 점차 줄거나, 가정에서 기르던 개과 동물들이 버려지면서 야생에서 적응하여 유해동물의 도심 주거지 등지의 침입이 늘어나고 있어 유해동물의 포획을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유해동물의 포획을 위한 장치는 기본적으로 유해동물을 가두기 위한 포획틀을 마련하고, 포획틀의 출입구로 포획틀에 유인된 유해동물이 도망가지 못하도록 가두기 위한 도어가 마련된 포획 장치가 대표적이다.
예를 들어, 종래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625188호를 살펴보면, 복수의 프레임들을 격자형상으로 연결하면서 각 프레임들간은 철망으로 커버되도록 한 철망틀로서 이루어지는 상방 측면과 상부면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측면 중 앞뒷면에는 한 쌍의 철망틀을 상호 반대측 단부가 경첩으로 연결되게 하여 각각 안쪽으로만 회전하면서 개방되도록 하며,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복귀되면서 닫혀지도록 제1도어부를 형성하고, 지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하향 개방되게 구비되는 상부 트랩; 상기 상부 트랩의 하부에서 복수의 프레임들에 평판의 판재를 결합한 사방의 측판들 하단부가 하부판에 맞춤결합되도록 하고, 상향 개방되는 밀폐식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지하에 매립되는 하부 트랩; 상기 상부 트랩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 트랩의 상단부가 맞춤결합되면서 상부 트랩과 하부 트랩의 공간이 분리되도록 하며, 한 쌍의 판면이 서로 반대측의 단부가 경첩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면서 서로 마주보는 단부는 하향으로만 일정 각도를 회전하여 상기 경첩의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복귀되는 스윙형식으로 구비되는 제2 도어를 형성하고, 제2 도어의 바깥측 판면에는 복수의 확인창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경계판;으로 이루어지는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포획장치에서 유해동물을 가두기 위한 도어는 보통 성체에 맞는 크기로 제작되기 때문에 유형(幼形)의 시기인 새끼들은 성체에 맞게 제작된 도어의 무게에 의해 밀고 들어갈 수 없어 유해동물의 새끼 포획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경계심이 많은 유해동물의 경계심을 줄이기 위해 포획장치를 장기적으로 설치하여 사람이 직접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유해동물의 포획 여부를 사람이 직접 확인하기 때문에 포획장치의 유지관리가 매우 번거롭고, 포획 확인이 어려워 편의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625188호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포획장치에 유해동물의 성체 및 새끼가 각각 크기에 맞는 입구로 유인될 수 있는 도어를 마련하여 유해동물의 크기별로 유해동물을 포획될 수 있게 하여 포획 대상의 개체 폭을 확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획장치에 IoT 스마트 시스템 기반의 감시 기기를 설치하여 원거리에서 포획장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포획장치의 유지관리를 간편하게 하여 편의성을 대폭 향상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포획틀의 내부로 사방이 막힌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포획틀의 공간을 이용해 동물을 유인하는 포획틀 부재와;
상기 포획틀 부재에 제1유입구 및 제2유입구를 각각 형성하는데, 상기 제1유입구는 제1도어부가 개폐되게 하고, 상기 제2유입구는 제2도어부가 개폐되게 하며, 상기 제1도어부 및 제2도어부의 개폐작용을 이용해 상기 포획틀에 유인된 동물을 가두는 개폐 부재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카메라를 이용해 포획틀의 영상데이터를 원거리 통신 환경에서 실시간 제공하며, 상기 실시간 제공되는 영상데이터를 활용하여 원거리에서 포획틀 부재의 상태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관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용 자동 포획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해동물의 크기별로 복수의 도어가 마련됨에 따라 유해동물의 크기에 상관없이 유해동물을 포획될 수 있게 하여 포획 대상의 개체 폭을 확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획장치의 바닥으로 설치 장소의 땅이 노출됨에 따라 유인되는 유해동물이 이질감을 느끼지 않고 포획되어 포획 확률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획장치에 IoT 스마트 기반의 감시 기기가 설치됨에 따라 원거리에서 포획장치의 상태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어 포획장치의 유지관리가 간편해지면서 편의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해동물용 자동 포획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유해동물용 자동 포획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유해동물용 자동 포획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유해동물용 자동 포획장치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유해동물용 자동 포획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본 고안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고안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의 실시 예로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해동물용 자동 포획장치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1 내지 도 2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포획장치의 사시도, 도 2는 포획장치의 정면도, 도 3은 포획장치의 측면도, 도 4는 포획장치 중 관제 부재의 제어 블럭도이다.
이에 따른 유해동물용 자동 포획장치(1)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동물을 유인하는 포획틀 부재(100); 유인된 동물을 가두는 개폐 부재(200); 포획틀 부재(100)의 상태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관제 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유해동물용 자동 포획장치(1)의 세부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포획틀 부재(100)는;
포획틀(110)의 내부로 사방이 막힌 공간(S)이 마련되고, 상기 포획틀(110)의 공간(S)을 이용해 동물을 유인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포획틀 부재(100)는; 제1유입구(211) 및 제2유입구(221)를 제외한 사방이 막힌 공간(S)을 갖는 포획틀(1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포획틀(110)은 다수의 각파이프를 이용해 틀 형태인 베이스프레임(111)이 조립되어 이루어지는데, 상기 포획틀(110)은 기본적으로 내부에 공간(S)을 갖는 직사각의 케이지로 제작되며, 상기 포획틀(110)의 사방면에는 유인된 동물을 가두면서 포획틀(110)의 내외부를 볼수 있도록 견고한 망, 빗살 등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포획틀(110)은 개폐 부재(200)와 연계하여 내부 공간(S)으로 유해동물을 유인하여 가두는데, 상기 유해동물을 유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먹이 등을 공간(S)에 두어 유인할 수 있고, 먹이 이외에 유해동물이 선호하는 냄새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상기 포획틀(110)은 포획장치(1)의 설치 장소 설치 환경에 따라 크기, 형상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상기 포획틀(110)에 포획된 동물을 반출할 수 있는 별도의 여닫이 문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획틀(110)의 공간(S)에 유해동물이 선호하는 먹이, 냄새 등을 두어 유해동물을 유인하면, 유인된 동물은 개폐 부재(200)를 통해 포획틀(110)의 공간(S)으로 들어오면서 자동으로 개폐 부재(200)를 통해 가두어져 포획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 부재(200)는;
상기 포획틀 부재(100)에 제1유입구(211) 및 제2유입구(221)를 각각 형성하는데, 상기 제1유입구(211)는 제1도어부(210)가 개폐되게 하고, 상기 제2유입구(221)는 제2도어부(220)가 개폐되게 하며, 상기 제1도어부(210) 및 제2도어부(220)의 개폐작용을 이용해 상기 포획틀(110)에 유인된 동물을 가두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개폐 부재(200)는; 포획틀(110)의 일면에 제1유입구(211)를 형성하며, 상기 제1유입구(211)의 안쪽 일방향으로만 열려 동물이 밀고 들어갈 수 있게 하고, 중력에 의해 상기 포획틀(110)의 바닥 측으로 회전하여 닫히면서 상기 제1유입구(211)를 닫아 밀폐하는 제1도어부(2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도어부(210)는 포획틀(110)의 일면에 개방된 통로 형태의 제1유입구(211)를 형성하는데, 상기 제1유입구(211)는 포획틀(110)의 일면에 유해동물 중 크기가 큰 성체가 유인될 수 있도록 포획하려는 유해동물의 성체에 맞게 대응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유입구(211) 측에는 상기 제1유입구(211)를 개폐하는 제1개폐문(212)이 힌지(230)를 이용해 결합된 구조이다.
한편, 상기 제1개폐문(212)은 내측이 개구된 틀 형태로 상기 제1유입구(211)를 개폐하도록 제작되는데, 상기 제1유입구(211)에 하나 또는 그 이상 설치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는 2개의 제1개폐문(212)이 결합된 상태를 기본으로 도시하였으며, 상기 제1개폐문(212)의 개구 측으로 유인된 동물을 가두면서 내외부를 볼 수 있도록 견고한 망, 빗살 등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개폐문(212)을 제1유입구(211) 측에 결합하는 힌지(230)는 상기 제1개폐문(212)이 제1유입구(211)의 안쪽 일방향으로만 열려 동물이 밀고 들어갈 수 있는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열린 제1개폐문(212)은 중력에 의해 상기 포획틀(110)의 바닥 측으로 회전하여 닫히면서 상기 제1유입구(211)를 닫아 밀폐한다.
여기서, 상기 제1개폐문(212)은 제1유입구(211)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되면서 상기 제1개폐문(212)이 닫히면 상기 포획틀(110)의 바닥에 지지되면서 내향 경사를 갖고, 상기 제1개폐문(212)이 닫힌 상태의 내향 경사를 통해 지지력이 향상되며, 포획틀(110)에 갇힌 유해동물이 쉽게 제1개폐문(212)을 열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개폐 부재(200)는; 포획틀(110)의 일면에 상기 제1도어부(210) 대비 작은 크기의 제2유입구(221)를 형성하며, 상기 제2유입구(221)의 안쪽 일방향으로만 열려 동물이 밀고 들어갈 수 있게 하고, 중력에 의해 상기 포획틀(110)의 바닥 측으로 회전하여 닫히면서 상기 제2유입구(221)를 닫아 밀폐하는데, 상기 제1도어부(210)를 통과하지 못하는 동물을 유인되게 하는 제2도어부(2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도어부(220)는 상기 제1도어부(210)의 중첩되지 않는 위치로 포획틀(110)의 일면 하부에 개방된 통로 형태의 제2유입구(221)를 형성하는데, 상기 제2유입구(221)는 제1도어부(210) 대비 크기를 작게 형성하여 크기가 작은 동물이 제1도어부(210)의 제1개폐문(212)을 밀지 못하는 상황을 대비하여 제2개폐문(222)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제작되고, 상기 제2유입구(221) 측에는 상기 제2유입구(221)를 개폐하는 제2개폐문(222)이 힌지(230)를 이용해 결합된 구조이다.
한편, 상기 제2도어부(220)는 포획틀 부재(100)의 일측방 하부에 상기 제1도어부(210)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로 선택적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도어부(210)의 측방에 인접한 측에 마련되고, 보통 동물의 성체와 함께 다니는 새끼들이 같은 방향의 통로로 자연스럽게 유인되도록 한다.
상기 제2개폐문(222)은 내측이 개구된 틀 형태로 상기 제2유입구(221)를 개폐하도록 제작되는데, 상기 제2개폐문(222)의 개구 측으로 유인된 동물을 가두면서 내외부를 볼 수 있도록 견고한 망, 빗살 등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개폐문(222)을 제2유입구(221) 측에 결합하는 힌지(230)는 상기 제2개폐문(222)이 제2유입구(221)의 안쪽 일방향으로만 열려 동물이 밀고 들어갈 수 있는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열린 제2개폐문(222)은 중력에 의해 상기 포획틀(110)의 바닥 측으로 회전하여 닫히면서 제2유입구(221)를 닫아 밀폐한다.
이 경우 상기 제2개폐문(222)은 제2유입구(221)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되면서 상기 제2개폐문(222)이 닫히면 상기 포획틀(1110)의 바닥에 지지되면서 내향 경사를 갖고, 상기 제2개폐문(222)이 닫힌 상태의 내향 경사를 통해 지지력이 향상되며, 포획틀(110)에 갇힌 유해동물이 쉽게 제2개폐문(222)을 열지 못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2도어부(220)는; 힌지(230)를 이용해 포획틀(110)에 결합되어 상기 포획틀(110)의 안쪽으로 일방향으로만 열리고, 상기 포획틀(110)에 결합된 측 하단으로 상기 제2개폐문(222)이 포획틀(110) 안쪽 일방향으로만 열리도록 힌지(230) 결합시켜 상기 제2개폐문(222)에 2중 접철 기능을 제공하는 제3개폐문(224)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3개폐문(224)은 내측이 개구된 틀 형태로 제작되는데, 상기 제3개폐문(224)의 개구 측으로 유인된 동물을 가두면서 내외부를 볼 수 있도록 견고한 망, 빗살 등이 구비되고, 상기 제3개폐문(224)의 상단부는 힌지(230)를 통해 포획틀(110)에 결합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제2개폐문(222)이 결합된 측의 제2유입구(221) 상부를 개폐하도록 하며, 상기 제3개폐문(224)의 하단으로 상기 제2개폐문(222)이 힌지 결합되면서 상기 제2개폐문(222)에 대한 2중 접철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3개폐문(224)을 통해 제2개폐문(222)이 제2유입구(221)에서 2중 접철 구조로 열고 닫힘에 따라 크기가 작은 동물은 상기 제2개폐문(222)을 통해 유인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제2개폐문(222) 대비 크기가 큰 동물이 상기 제2개폐문(222)으로 유인되는 경우에 상기 제3개폐문(224)이 함께 열리면서 제2개폐문(222)을 통해 유인될 수 없는 크기의 동물을 유인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제1개폐문(212), 제2개폐분(222)에는 유해동물이 쉽게 밀고 들어올 수 있도록 상기 제1개폐문(212) 및 제2개폐문(222)이 열리는 방향으로 당기는 탄성력이 작용되게 하는 스프링(250)이 선택적 마련되고, 상기 스프링(250)은 제1개폐문(212) 및 제2개폐문(222)과 포획틀(110) 사이에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250) 이외에 상기 제1개폐문(212) 및 제2개폐문(222) 측으로 와이어를 연결한 후 상기 제1개폐문(212) 및 제2개폐문(222)을 각각 개방한 상태에서 와이어를 포획틀(110) 내부의 유해동물 유인측에 구비된 트랩에 연결하는 와이어 트랩 방식을 적용할 수 있고, 와이어 트랩 방식은 유인을 위한 측에 상기 제1개폐문(212) 및 제2개폐문(222)을 개방한 와이어의 장력을 상쇄시키는 구조를 만들어 유인된 동물이 트랩을 건드리면 와이어가 풀리면서 상기 제1개폐문(212) 및 제2개폐문(222)을 닫아 동물을 가둘 수 있게 한다.
예컨대, 상기 제1도어부(210) 및 제2도어부(220)를 통해 서로 다른 크기의 입구를 제공하는 개폐 부재(200)를 부가함에 따라 포획장치(1)에 유해동물의 성체 및 새끼가 각각 크기에 맞는 입구로 유인될 수 있어 유해동물의 크기별로 유해동물을 포획할 수 있어 포획 대상의 개체 폭을 확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관제 부재(30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카메라(310)를 이용해 포획틀(110)의 영상데이터를 원거리 통신 환경에서 실시간 제공하며, 상기 실시간 제공되는 영상데이터를 활용하여 원거리에서 포획틀 부재(100)의 상태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관제 부재(300)는; 포획틀(110)의 공간(S)을 실시간 촬영 가능한 위치로 설치되는데, 상기 촬영한 포획틀(110)의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카메라(3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310)는 사물을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데이터로 제공하기 위한 비디오카메라의 일종이며, 상기 카메라(310)는 포획틀(110)의 공간(S)을 촬영하기 위한 방향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 상기 포획틀(110)에 설치되면서 상기 포획틀(110)의 내부를 실시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카메라(310)를 통해 제공되는 영상데이터를 활용하여 포획틀(110)에 유해동물의 포획 여부, 상황 등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310)는 제어부(330)에 별도 케이블을 이용해 연결되면서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상기 제어부(330)에 제공하여 활용되게 한다.
한편, 상기 카메라(310)는 난반사 및 촬영 대상의 변색에 따른 물체 인식에 대한 장애를 해소하기 위해 조명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더불어 광각렌즈를 사용하여 큰면적을 동시에 촬영 가능하게 한다.
상기 카메라(310)에 조명기능이 부가되면 낮에는 조명을 끄고, 밤에만 작동하도록 빛 감지센서를 상기 카메라(310)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제 부재(300)는; 포획틀(110)에 하나 또는 그 이상 설치되는데, 상기 포획틀(11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감지데이터를 제공하는 감지부(3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320)는 움직임을 감지한 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의 일종이며, 기본적으로 3축 모션 감지 센서를 적용하지만, 필요에 따라 변위센서, 적외선 센서 등을 적용할 수 있고, 포획틀(110)에 하나 또는 그 이상 설치되면서 유인되는 유해동물을 통해 발생하는 움직임을 감지한 감지데이터를 제공하며, 상기 감지부(320)를 통해 제공되는 감지데이터를 활용하여 카메라(310)의 작동여부를 결정하거나, 포획 사실을 관리자에게 즉각 알릴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감지부(320)는 제어부(330)에 별도 케이블을 이용해 연결되면서 감지한 감지데이터를 상기 제어부(330)에 제공하여 활용되게 한다.
한편, 상기 감지부(320)는 카메라(310)와 함께 사용하거나, 카메라(310) 대신 상기 감지부(320)만 사용하거나, 또는 카메라(310)만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감지부(320) 만을 사용하는 경우 감지데이터를 전송하면서 포획 사실을 관리자에게 즉각 알리는 알람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관제 부재(300)는; 감지부(320)의 감지데이터 및 카메라(310)의 영상데이터가 전송되며, 상기 전송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카메라(310)를 자동 작동시키고, 제1통신부(340)를 이용해 감지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관리자에게 전송하여 원거리에서 동물의 포획 상황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제어부(3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330)는 포획틀 부재(1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310) 및 감지부(320)와 별도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310) 및 감지부(32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데이터 및 감지데이터가 전송되어 이를 활용하는데, 상기 제어부(330)는 영상데이터, 감지데이터를 관리자의 단말기(350)에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포획 상황을 전달하거나, 상기 감지데이터를 이용해 카메라(310)의 작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30)는 감지부(320)의 감지데이터를 이용해 카메라(310)가 동물의 포획 상황에서만 작동되게 하여 카메라(310) 작동에 따른 배터리(331)의 전기를 절약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30)는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331)가 마련되고, 상기 배터리(331)는 별도 충전되어 충전된 용량만큼 사용하거나, 전원을 연결하여 연속적 충전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33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하는 컴퓨터의 일종이며, 상기 카메라(310) 및 감지부(320)를 통해 전송되는 영상데이터 및 감지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고, 입력장치를 이용해 미리 카메라(310)의 작동시간, 작동시점 및 감지부(320)의 전송시점 등의 포획장치(1)의 관제를 위한 포괄적인 설정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입력된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장치 및 입력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모니터 및 별도 개발되는 소프트웨어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제 부재(300)는; 인터넷통신환경에서 제어부(330)와 관리자 사이에 통신을 수행되게 하여 IoT 기반에서 포획장치(1)를 관제하게 하는 제1통신부(3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통신부(340)는 제어부(330)와 전기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별도 케이블을 이용해 연결되면서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통신환경을 제공하는 모뎀의 일종이며, 상기 제1통신부(340)는 통신회선을 이용하여 디지털 통신 장비와 통신하기 위해 데이터신호를 변환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제1통신부(340)는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망(Wi-Fi)를 사용하거나, 이동통신사 기지국을 활용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사용할 수 있고, 이동통신사 기지국을 활용하는 경우 LTE 규격의 회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인터넷통신환경의 기반에서 IoT(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통신부(340)는 인터넷통신환경의 제어 기반에서 상기 제어부(330)와 관리자의 단말기(350)를 상호 통신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어부(330)에 전송되는 영상데이터 및 감시데이터를 원거리에서 실시간으로 관리자에게 전송되게 한다.
또한, 상기 관제 부재(300)는; 상기 제1통신부(340)를 통해 무선 인터넷통신환경에서 통신을 수행하면서 상기 제어부(330)를 통해 제공되는 감지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원거리에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3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350)는 스마트폰과 같이 무선인터넷을 활용 가능한 단말기의 일종이며, 상기 제1통신부(340)를 통해 제어부(330)와 인터넷통신환경에서 연결되면서 상기 제어부(330)를 통해 영상데이터 및 감시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를 활용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전송받는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별도 개발된 모바일 응용 소프트웨어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통신부(340)를 이용하 원거리 통신에 따라 IoT 기반에서 단말기(350)를 활용학 한다.
예컨대 상기 관제 부재(300)를 더 부가함에 딸 IoT 스마트 시스템의 제어 기반에서 포획장치(1)의 포획 상황을 원거리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포획장치(1)의 유지관리가 간편하여 편의성이 대폭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제2 실시 예에 따른 유해동물용 자동 포획장치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5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유해동물용 자동 포획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에 따르면,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유해동물용 자동 포획장치(1) 중 상기 관제 부재(300)는; 제2통신부(361)를 이용해 다수의 제어부(330)와 통신을 수행하는데, 상기 제어부(330)에서 활용되는 감지데이터 및 영상데이터가 전송되며, 상기 전송되는 감지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활용하여 한 장소에서 다수의 포획장치(1)의 상태를 통합적으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중앙관제부(3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중앙관제부(360)는 다수의 포획장치(1)가 설치된 장소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한 지점에 설치되는데, 상기 중앙관제부(360)는 제2통신부(361)를 이용해 다수의 제어부(330)와 동시에 통신을 수행하고, 다수의 장소에 설치된 포획장치(1)의 제어부(330)로부터 각각 영상데이터 및 감시데이터를 전송받아 다수의 포획장치(1)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중앙관제부(36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하는 컴퓨터의 일종이며, 다수의 포획장치(1)로부터 제공되는 영상데이터 및 감시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처리되는 영상데이터 및 감시데이터를 모니터를 이용해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다수의 포획장치(1)에 대한 관제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중앙관제부(360)는 입력장치를 이용해 다수의 포획장치(1)의 카메라(310) 작동시간, 작동시점 및 감지부(320)의 전송시점 등의 포획장치(1)의 관제를 위한 포괄적인 설정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입력된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장치 및 입력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모니터 및 별도 개발되는 소프트웨어를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중앙관제부(360)를 더 부가함에 따라 원거리의 한 지점에서 다수의 포획장치(1)를 통합적으로 관제할 수 있어 포획장치(1)를 늘려도 관리자의 수가 늘지 않아 유지관리비용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고, 다수의 포획장치(1)를 운용할 수 있어 포획량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중앙관제부(360)는 인터넷통신환경에서 제1통신부(340)와 통신을 수행되게 하여 IoT 기반에서 다수의 포획장치(1)를 관제하게 하는 제2통신부(36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통신부(361)는 다수의 포획장치(1)에 구비된 제어부(330)과 전기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별도 케이블을 이용해 상기 중앙관제부(360)와 연결되면서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통신환경을 제공하는 모뎀의 일종이며, 상기 제1통신부(340)는 통신회선을 이용하여 디지털 통신 방지와 통신하기 위해 데이터신호를 변환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제2통신부(361)는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망(Wi-Fi)를 사용하거나, 이동통신사 기지국을 활용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사용할 수 있고, 이동통신사 기지국을 활용하는 경우 LTE 규격의 회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인터넷통신환경의 기반에서 IoT(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관제 부재(300)는; 포획틀 부재(100)에 설치되는데, GPS 위성의 정보를 기반으로 설치된 포획틀 부재(100)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GPS수신부(3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GPS수신부(370)는 제어부(330)에 연결된 상태에서 포획틀 부재(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GPS 위성과 실시간 통신하면서 설치된 포획틀 부재(100)의 위치정보를 전기신호로 상기 제어부(330)에 제공하는 수신기의 일종이며, 상기 위치정보를 제공받은 제어부(330)는 해당하는 포획장치(1)의 위치를 관리자의 단말기(350)에 전송하여 설치장소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GPS수신부(370)의 위치정보는 제어부(330)를 통해 상기 중앙관제부(360)에 전송하면서 다수의 포획장치(1)에 대한 위치를 중앙관제부(360)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상기 GPS수신부(370)를 더 부가함에 따라 다수의 포획장치(1)에 대한 설치장소의 위치를 중앙관제부(360)에서 확인할 수 있어 통상 야산 등지에 광범위하게 설치된 포획장치(1)의 위치를 간편하게 찾으면서 포획된 동물 수거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고, 사용이 완료된 포획장치(1)의 회수 역시 체계적으로 수행되어 포획장치(1)의 분실에 의한 환경 파괴를 방지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제3 실시 예에 따른 유해동물용 자동 포획장치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6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포획장치의 사시도이다.
이에 따르면,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포획장치(1) 중 상기 관제 부재(300)는; 태양광선의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한 전기를 제어부(330)를 통해 공급하는 태양광발전부(3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태양광발전부(380)는 태양전지에 의해 생성된 전기를 제어부(330), 카메라(310), 감지부(320)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기에너지를 생성하여 제공하고, 상기 태양전지는 태양광선의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꾸는 형태로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사용하고, 빛을 비추면 내부에서 전하가 이동하여 P극과 N극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며, 이때 태양전지에 부하를 연결하면 전류가 흐르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태양광발전부(380)는 태양전지판들이 태양광을 받기 위해 포획틀 부재(100)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별도 케이블을 이용해 제어부(330)의 배터리(331)에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한다.
이때, 상기 태양광발전부(380)로부터 생성된 전기는 배터리(331)에 충전되어 전기를 저장 활용되게 한다.
예컨대, 상기 태양광발전부(380)를 더 부가함에 따라 전기 사용에 따른 유지비용을 절감하면서, 보통 포획장치(1)의 설치 장소의 특성상 전기 사용이 어려운데 상기 태양광발전부(380)에 의해 이를 완벽히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제4 실시 예에 따른 유해동물용 자동 포획장치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7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포획장치의 사시도이다.
이에 따르면,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포획장치(1) 중 상기 포획틀 부재(100)는; 포획틀(110)의 내부 중앙 측 하부로 공간(S)을 가로질러 수평 설치되어 포획된 동물의 달음박질을 위한 공간을 차단하는 중간봉(1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중간봉(120)은 포획틀(110)의 공간(S)을 가로질러 수평 설치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파이프 형태로 제작되는데, 상기 중간봉(120)은 하나 또는 그 이상 포획된 동물의 다리 높이 정도의 높이로 설치되며, 바람직하게 두개의 중간봉(12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중간봉(120)의 양단은 상기 포획틀(110)의 베이스프레임(111)에 별도 클램프를 이용해 고정하고, 상기 중간봉(120)이 포획틀(110)의 내부 중앙 측에 구비됨으로 포획틀(110)의 공간(S)을 구획하면서 포획된 동물이 흥분하면 달음박질하는 거리를 줄여 속도를 높이지 못하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중간봉(120)을 더 부가함에 따라 포획틀(110)의 길이방향 공간(S)을 줄이면서 포획된 동물이 흥분에 의해 달음박질하는 거리를 줄여 속도를 높이지 못하게 하면서 포획틀(110)를 동물이 박아 파손하는 것을 방지하며, 포획된 동물이 중간봉(120)의 높낮이에 의해 타고 넘어가는데 문제가 없도록 한다.
또한, 상기 포획틀 부재(100)는; 포획틀(110)의 바닥에 안착되는데, 다수의 돌출부(131)를 갖고, 포획된 동물이 땅을 파는 과정에서 동물의 발에 상기 돌출부(131)가 걸리거나, 찔리게 하여 동물의 땅파기를 차단하는 바닥판(13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바닥판(130)은 망판 형태로 제작된 상태에서 포획틀(110)의 바닥 양측에 각각 구비되면서 중앙 측에 포획틀(110)의 바닥의 땅이 노출되게 하는데, 상기 포획틀(110)의 바닥으로 안착되면서 상기 포획틀(110)의 하중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바닥판(130)은 망판 구조에 따라 일방향으로 다수의 돌출부(131)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31)는 포획틀(110) 중앙 측으로 돌출되면서 땅을 파는 습성이 있는 동물이 포획틀(110) 중앙에 노출된 땅을 파면서 상기 돌출부(131)에 걸리거나, 찔리게 하여 땅파기를 방해한다.
예컨대 상기 바닥판(130)을 더 부가함에 따라 포획된 동물의 땅파기 습성에 따라 포획틀(110)의 바닥 땅을 파면 상기 바닥판(130)의 돌출부(131)에 동물의 발이 걸리거나 찔리면서 땅파기를 방해하여 차단함으로 땅을 파고 동물이 탈출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포획틀 부재(100)는; 포획틀(110)이 설치되는 장소의 바닥에 울타리 형태로 가벽체(141)가 세워지게 마련되는데, 상기 가벽체(141)의 안쪽 공간으로 상기 포획틀(110)이 조립되면서 상기 가벽체(141)에 의해 지지되게 하는 앵글(1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앵글(140)은 단면이 'ㄴ'자 형태의 프레임으로 포획틀(110)의 설치 공간에 대응하여 가벽체(141)가 사각 울타리 형태로 세워지게 제작되는데, 상기 울타리 형태의 가벽체(141)는 내부로 포획틀(110)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상기 포획틀(110)의 하부 측단을 지지하게 하여 포획틀(110)의 설치 중 임시 고정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앵글(140)은 포획틀(110)에 구비되는 바닥판(130)의 둘레부에 기본적으로 안착되면서 상기 바닥판(130)이 들리지 않도록 지지하고, 상기 앵글(140)과 바닥판(130)이 설치되면 상기 앵글(140)의 가벽체(141) 안쪽으로 포획틀(110)이 바닥판(130) 상부에 안착되면서 조립되어 상기 바닥판(130)을 앵글(140)과 함께 고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컨대 상기 앵글(140)을 더 부가함에 따라 포획틀(110)의 설치 중 임시 고정을 위한 틀을 미리 설치장소에 구비할 수 있어 상기 포획장치(1)의 조립이 간편하고, 설치시간을 대폭 줄여 시공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이 용어들에 대한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포획장치 100; 포획틀 부재
110; 포획틀 200; 개폐 부재
210; 제1도어부 220; 제2도어부
230; 힌지 300; 관제 부재
310; 카메라 320; 감지부
330; 제어부 340; 제1통신부
350; 단말기 360; 중앙관제부
370; GPS수신부 380; 태양광발전부

Claims (5)

  1. 포획틀(110)의 내부로 사방이 막힌 공간(S)이 마련되고, 상기 포획틀(110)의 공간(S)을 이용해 동물을 유인하는 포획틀 부재(100)와;
    상기 포획틀 부재(100)에 제1유입구(211) 및 제2유입구(221)를 각각 형성하는데, 상기 제1유입구(211)는 제1도어부(210)가 개폐되게 하고, 상기 제2유입구(221)는 제2도어부(220)가 개폐되게 하며, 상기 제1도어부(210) 및 제2도어부(220)의 개폐작용을 이용해 상기 포획틀(110)에 유인된 동물을 가두는 개폐 부재(200)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카메라(310)를 이용해 포획틀(110)의 영상데이터를 원거리 통신 환경에서 실시간 제공하며, 상기 실시간 제공되는 영상데이터를 활용하여 원거리에서 포획틀 부재(100)의 상태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관제 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포획틀 부재(100)는 포획틀(110)의 내부 중앙 측 하부로 공간(S)을 가로질러 수평 설치되어 포획된 동물의 달음박질을 위한 공간을 차단하는 중간봉(1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포획틀 부재(100)는 포획틀(110)의 바닥에 안착되는데, 다수의 돌출부(131)를 갖고, 포획된 동물이 땅을 파는 과정에서 동물의 발에 상기 돌출부(131)가 걸리거나, 찔리게 하여 동물의 땅파기를 차단하는 바닥판(1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포획틀 부재(100)는 포획틀(110)이 설치되는 장소의 바닥에 울타리 형태로 가벽체(141)가 세워지게 마련되는데, 상기 가벽체(141)의 안쪽 공간으로 상기 포획틀(110)이 조립되면서 상기 가벽체(141)에 의해 지지되게 하는 앵글(1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 부재(200)는 포획틀(110)의 일면에 제1유입구(211)를 형성하며, 상기 제1유입구(211)의 안쪽 일방향으로만 열려 동물이 밀고 들어갈 수 있게 하고, 중력에 의해 상기 포획틀(110)의 바닥 측으로 회전하여 닫히면서 상기 제1유입구(211)를 닫아 밀폐하는 제1도어부(2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 부재(200)는 포획틀(110)의 일면에 상기 제1도어부(210) 대비 작은 크기의 제2유입구(221)를 형성하며, 상기 제2유입구(221)의 안쪽 일방향으로만 열려 동물이 밀고 들어갈 수 있게 하고, 중력에 의해 상기 포획틀(110)의 바닥 측으로 회전하여 닫히면서 상기 제2유입구(221)를 닫아 밀폐하는데, 상기 제1도어부(210)를 통과하지 못하는 동물을 유인되게 하는 제2도어부(2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제 부재(300)는 감지부(320)의 감지데이터 및 카메라(310)의 영상데이터가 전송되며, 상기 전송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카메라(310)를 자동 작동시키고, 제1통신부(340)를 이용해 감지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관리자에게 전송하여 원거리에서 동물의 포획 상황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제어부(3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제 부재(300)는 인터넷통신환경에서 제어부(330)와 관리자 사이에 통신을 수행되게 하여 IoT 기반에서 포획장치(1)를 관제하게 하는 제1통신부(3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도어부(220)는 힌지(230)를 이용해 포획틀(110)에 결합되어 상기 포획틀(110)의 안쪽으로 일방향으로만 열리는데, 하단으로 제2개폐문(222)이 힌지(230)를 이용해 결합되어 상기 제2개폐문(222)과 함께 2중 접철 기능을 제공하는 제3개폐문(224)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제 부재(300)는 제2통신부(361)를 이용해 다수의 제어부(330)와 통신을 수행하는데, 상기 제어부(330)에서 활용되는 감지데이터 및 영상데이터가 전송되며, 상기 전송되는 감지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활용하여 한 장소에서 다수의 포획장치(1)의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면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중앙관제부(3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제 부재(300)는 포획틀 부재(100)에 설치되는데, GPS 위성의 정보를 기반으로 설치된 포획틀 부재(100)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GPS수신부(370)를 더 포함한 유해동물용 자동 포획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20692A 2019-09-30 2019-09-30 유해동물용 자동 포획장치 KR102124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692A KR102124812B1 (ko) 2019-09-30 2019-09-30 유해동물용 자동 포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692A KR102124812B1 (ko) 2019-09-30 2019-09-30 유해동물용 자동 포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4812B1 true KR102124812B1 (ko) 2020-07-07

Family

ID=71602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692A KR102124812B1 (ko) 2019-09-30 2019-09-30 유해동물용 자동 포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81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929B1 (ko) 2020-04-27 2021-04-13 장정식 동물 포획장치
KR102276549B1 (ko) * 2020-11-05 2021-07-12 (주)동아씨앤지 인공지능 기반의 선택객체 감지 카메라를 통한 유해조수 식별 및 포획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43407A (ko) * 2020-09-29 2022-04-05 이동근 멧돼지 포획틀
KR20220144609A (ko) 2021-04-20 2022-10-27 찬 정 유실수용 유해동물 차단장치
KR20230013799A (ko) * 2021-07-20 2023-01-27 국립생태원 소형 포유류 안전 포획장치
KR102629421B1 (ko) 2023-07-25 2024-01-30 (주)아이나래컴퍼니 IoT 기반의 유기동물 포획 탐지 및 관리 방법, 유기동물포획 탐지 및 관리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3198A (ja) * 2009-10-13 2011-04-28 Yoshito Murakami 捕獲装置及び捕獲装置システム
KR20140119927A (ko) * 2013-03-29 2014-10-13 주식회사 세스코 포획기용 관리제어장치
KR20150089543A (ko) * 2014-01-28 2015-08-05 주식회사 디엠씨 야생동물 원격 포획 시스템
KR101625188B1 (ko) 2014-04-15 2016-05-27 김종석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
JP2018093857A (ja) * 2016-12-08 2018-06-21 元皓能源股▲分▼有限公司 駆逐装置の制御システム
KR20190001198U (ko) * 2017-11-10 2019-05-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먹이 유인부가 구비된 유해 동물 트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3198A (ja) * 2009-10-13 2011-04-28 Yoshito Murakami 捕獲装置及び捕獲装置システム
KR20140119927A (ko) * 2013-03-29 2014-10-13 주식회사 세스코 포획기용 관리제어장치
KR20150089543A (ko) * 2014-01-28 2015-08-05 주식회사 디엠씨 야생동물 원격 포획 시스템
KR101625188B1 (ko) 2014-04-15 2016-05-27 김종석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
JP2018093857A (ja) * 2016-12-08 2018-06-21 元皓能源股▲分▼有限公司 駆逐装置の制御システム
KR20190001198U (ko) * 2017-11-10 2019-05-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먹이 유인부가 구비된 유해 동물 트랩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929B1 (ko) 2020-04-27 2021-04-13 장정식 동물 포획장치
KR20220043407A (ko) * 2020-09-29 2022-04-05 이동근 멧돼지 포획틀
KR102546178B1 (ko) 2020-09-29 2023-06-20 이동근 멧돼지 포획틀
KR102276549B1 (ko) * 2020-11-05 2021-07-12 (주)동아씨앤지 인공지능 기반의 선택객체 감지 카메라를 통한 유해조수 식별 및 포획 방법 및 시스템
WO2022097824A1 (ko) * 2020-11-05 2022-05-12 (주)동아씨앤지 인공지능 기반의 선택객체 감지 카메라를 통한 유해조수 식별 및 포획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44609A (ko) 2021-04-20 2022-10-27 찬 정 유실수용 유해동물 차단장치
KR20230013799A (ko) * 2021-07-20 2023-01-27 국립생태원 소형 포유류 안전 포획장치
KR102605648B1 (ko) * 2021-07-20 2023-11-22 국립생태원 무산쇠족제비 안전 포획장치
KR102629421B1 (ko) 2023-07-25 2024-01-30 (주)아이나래컴퍼니 IoT 기반의 유기동물 포획 탐지 및 관리 방법, 유기동물포획 탐지 및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812B1 (ko) 유해동물용 자동 포획장치
US104704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pping animals
JP6454847B2 (ja) クラウド型の有害動物捕獲支援システム
AU2019324953B2 (en) A detection system
KR100863112B1 (ko) 쥐 포획 상자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US2014001805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d communicating the status of traps for vermin or pests
US20230042831A1 (en) Intelligent rodent management system
KR20080098276A (ko) 포충등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Adams et al. Evaluating effectiveness and cost of time-lapse triggered camera trapping techniques to detect terrestrial squamate diversity
JP2015122976A (ja) 捕獲対象動物の捕獲監視システム
CN111708281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家居机器人及其控制方法
KR20150089543A (ko) 야생동물 원격 포획 시스템
KR101625188B1 (ko)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
JP6722434B2 (ja) 積層可能なブロック状のユニット構造を備えた情報杭
KR100703240B1 (ko) 동물 포획장치
JP7165354B2 (ja) クラウド型の有害動物捕獲システム
KR20230013799A (ko) 소형 포유류 안전 포획장치
JP4570640B2 (ja) 有害小動物管理システム
KR20080098275A (ko) 보행해충 트랩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102198139B1 (ko) 해충 맞춤형 롤트랩 자동예찰 장치
KR100877552B1 (ko) 자동 감김 장치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102168760B1 (ko)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
CN201088086Y (zh) 白蚁诱集网络系统
KR20230019336A (ko) 모션 감지 기반의 야생동물 포획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야생동물 스마트 포획장치
Klemens et al. A motion‐detection based camera trap for small nocturnal mammals with low latency and high signal‐to‐noise rat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