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112504B1 - 육수용 pla부직포 주머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육수용 pla부직포 주머니 - Google Patents

육수용 pla부직포 주머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육수용 pla부직포 주머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504B1
KR102112504B1 KR1020190114044A KR20190114044A KR102112504B1 KR 102112504 B1 KR102112504 B1 KR 102112504B1 KR 1020190114044 A KR1020190114044 A KR 1020190114044A KR 20190114044 A KR20190114044 A KR 20190114044A KR 102112504 B1 KR102112504 B1 KR 102112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pla
bag
woven fabric
pock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영익
Original Assignee
심영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영익 filed Critical 심영익
Priority to KR1020190114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5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50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74Auxiliary operations
    • B31B70/81Forming or attaching accessories, e.g. opening devices, closures or tear strings
    • B31B70/812Applying patches, strips or strings on sheets or webs
    • B31B70/8123Applying stri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70/20Cutting sheets o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70/64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heat or pressur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LA부직포를 재단하고 단부를 초음파 융착하여 자루형태로 만듦으로써 불량률이 낮고 생산성은 높은 새로운 방식의 육수용 PLA부직포 주머니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어 생분해성을 가져서 환경친화적이며, 내구성도 우수하고 코스트로 저렴한 새로운 구성의 육수용 PLA부직포 주머니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1) PLA부직포를 세로로 긴 직사각형태로 재단하여 상기 주머니본체를 형성할 주머니 원단을 만드는 과정; (2) PLA부직포를 길이가 긴 끈형태로 재단하여 한 쌍의 묶음용 끈(200)을 만드는 과정: (3) 상기 묶음용 끈(200)들을 일단부가 상기 주머니 원단의 좌우 양단 상측부에 각각 겹쳐지도록 배치하는 과정; (4) 상기 주머니 원단의 하반부를 상향으로 접어서 주머니 원단을 상하로 중첩시키는 과정; 및 (5) 상기 상하로 중첩되게 접힌 주머니 원단의 좌우 양단부를 초음파 융착기로 초음파 융착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수용 PLA부직포 주머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육수용 PLA부직포 주머니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육수용 PLA부직포 주머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육수용 PLA부직포 주머니{Manufacturing method of PLA non-woven fabric pouch for dashi and PLA non-woven fabric pouch for dashi}
본 발명은 육수용 PLA부직포 주머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육수용 PLA부직포 주머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부를 초음파융착방식으로 융착함으로써 불량률이 낮고 생산성은 높은 새로운 방식의 육수용 PLA부직포 주머니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어 환경친화적이며 내구성도 우수하고 코스트로 저렴하며 새로운 구성의 육수용 PLA부직포 주머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찌개나 국 등을 조리할 때에는 풍미를 좋게 하기 위해 멸치, 다시마, 새우, 야채 등을 사용하여 미리 육수(다시)를 만들어서 사용한다.
그런데 육수를 만들 때에는 육수 재료를 간편하게 건져내기 위해 육수재료를 스텐레스스틸제 타공망으로 만든 거름통에 넣고 끓이는데, 거름통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거름통에 담긴 육수재료를 털어내고 거름통을 일일이 세척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거름통의 타공을 통해 육수재료의 부스러기가 빠져나와서 육수가 지저분해지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최근에는 부직포로 된 일회용 육수 주머니가 시판되고 있는데, 이러한 일회용 육수 주머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주머니에 육수재료를 담아서 끓인 다음, 주머니를 건져내고 육수재료를 털어내고 주머니를 그냥 버리면 되므로 주머니를 세척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기는 하나, 부직포가 PE나 PP 등의 합성섬유를 제조되어 썩지 않는 특성을 가지므로 폐기 후에 환경오염을 유발한다.
한편, 이러한 부직포로 된 일회용 육수 주머니의 제조시 부직포를 주머니 형태로 만들기 위해 부직포를 원하는 형태 및 크기로 절단하고 겹친 다음, 단부를 열융착기를 이용하여 융착시키는데, 융착온도가 높으면 융착과정에서 부직포가 과도하게 용융되어 주머니에 구멍이 뚫려서 불향이 발생되고, 반대로 융착온도가 낮으면 단부가 제대로 융착되지 않아 불량이 발생된다.
따라서 사용하는 부직포의 물성에 따라 융착온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는데, 부직포가 상당히 얇기 때문에 불량이 발생되도록 융착온도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주머니를 만들기가 쉽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11627호(2005. 01. 29.)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0735호(2004. 08. 2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20647호(2005. 10. 0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1011호(2012. 03. 2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0227호(2015. 05. 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PLA부직포를 재단하고 단부를 초음파 융착하여 자루형태로 만듦으로써 불량률이 낮고 생산성은 높은 새로운 방식의 육수용 PLA부직포 주머니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어 생분해성을 가져서 환경친화적이며, 내구성도 우수하고 코스트로 저렴한 새로운 구성의 육수용 PLA부직포 주머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1) PLA부직포를 세로로 긴 직사각형태로 재단하여 상기 주머니본체를 형성할 주머니 원단을 만드는 과정; (2) PLA부직포를 길이가 긴 끈형태로 재단하여 한 쌍의 묶음용 끈(200)을 만드는 과정: (3) 상기 묶음용 끈(200)들을 일단부가 상기 주머니 원단의 좌우 양단 상측부에 각각 겹쳐지도록 배치하는 과정; (4) 상기 주머니 원단의 하반부를 상향으로 접어서 주머니 원단을 상하로 중첩시키는 과정; 및 (5) 상기 상하로 중첩되게 접힌 주머니 원단의 좌우 양단부를 초음파 융착기로 초음파 융착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수용 PLA부직포 주머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육수용 PLA부직포 주머니가 제공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PLA부직포를 사용하기 때문에, 일회용품에도 불구하고 환경친화적인 육수용 주머니를 만들 수 있다.
둘째, 초음파 융착하여 주머니형태로 접합시키기 때문에, 열융착방식으로 접합시키는 경우에 비해 생산성이 우수하며, 사용하는 PLA부직포의 물성에 따라 진동에너지의 진폭을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융착시 융착부위에 구멍이 발생되는 등의 불량발생원인이 해소되기 때문에, 불량률이 감소된다. 따라서 불량률이 감소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므로 제품의 코스트가 저하된다.
셋째, 초음파 융착하여 주머니 형태로 접합시키기 때문에, 융착부위가 열융착된 부위보다 융착강도가 높아서 융착부위가 견고한 내구성이 높은 제품을 만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육수 주머니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다른 묶음용 끈의 정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육수 주머니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묶음용 끈의 정면도
도 5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육수 주머니의 정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육수 주머니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자루형태이 주머니본체(100)와, 주머니본체(100)의 좌우 양단 상측에 한 쌍의 묶음용 끈(200)이 결합된 구성을 가지는 육수용 주머니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1) PLA부직포를 재단하는 과정
PLA(Poly lactic acid)부직포는 공지된 것을 사용하는데, PLA부직포를 세로로 긴 직사각형태를 갖도록 재단하여 주머니 원단을 만든다.
2) 묶음용 끈을 만드는 과정
상기 주머니 원단을 만든 PLA부직포와 동일한 종류의 PLA부직포를 길이가 긴 끈형태로 재단하여 한 쌍의 묶음용 끈(200)을 만든다. 이 묶음용 끈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육수 제조시에 육수재료가 육수 주머니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주머니본체의 상단부를 묶기 위한 것이다.
3) 묶음용 끈을 배치하는 과정
상기 묶음용 끈들을 일단부가 상기 주머니 원단의 좌우 양단 상측부위에 각각 겹쳐지도록 묶음용 끈들을 배치한다.
4) 주머니 원단을 접는 과정
상기 주머니 원단의 하반부를 상향으로 접어서 주머니 원단을 상하로 중첩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묶음용 끈의 일단부는 상하로 중첩된 주머니 원단 사이에 위치되고, 주머니 원단의 상반부와 하반부가 완성된 주머니본체의 전면 및 배면을 이루게 된다.
5) 주머니 원단의 좌우 양측 단부를 초음파 융착시키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상하로 중첩된 주머니 원단의 좌우 양측단부를 초음파 융착시킨다. 이 과정은 초음파 융착기를 사용하여 행해지는데, 초음파 융착기는 초음파의 진동을 이용하여 피가공물을 융착하는 것으로서, 발진기(generator)를 통하여 20~40kHz(1sec)의 전기적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전기적 에너지를 컨버터(진동자)와 부스터(메인혼)를 통해 기계적인 진동에너지로 변환한 후 공구혼을 통하여 피가공물에 전달시켜서 피가공물을 융착시키는 것으로서, 진동에너지(초음파)가 피가공물에 전달되면 순간적인 강력한 진동에 의한 마찰열이 발생되어 피가공물이 융착된다. 접합면이 용착된다.
이러한 초음파 융착과정에서는 사용되는 PLA부직포의 융점, 두께 등의 물성에 따라 진동에너지의 진폭을 미세하게 조절하여, 융착부위가 과도하게 용융되어 구멍이 생기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잘 융착되도록 한다.
본 과정에서 초음파 융착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열융착을 통해 PLA부직포, 즉, 주머니 원단의 좌우 양단부를 부착시킬 수도 있을 것이나, 열융착시에는 제품 불량을 없애기 위해 PLA부직포의 물성에 따라 열융착기의 열판의 온도를 미세하게 조절하여야 하는데, 열융착기의 열판 온도 조절에 비해 초음파 융착기의 진동에너지의 진폭을 한층 더 미세하게 조절하기가 용이하므로 초음파 융착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열융착방법을 사용하는 것 보다 제품 불량을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초음파융착은 강력한 진동에너지에 피가공물에 순간적으로 고온의 마찰열이 발생되어 융착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1초 이하의 상당히 짧은 시간에 융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열융착에 비해 생산성도 높은 장점을 가진다.
특히, 초음파 융착시에는 초음파 진동에 의해 피가공물의 융착면이 용융되어 젖음상태가 된 상태에서 계속적인 진동이 가해지면 피가공물의 중합체에서 결합하고 남은 가원자들 사이에 분자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순히 표면이 용융되어 융착이 이루어지는 열융착에 비해 융착강도가 높은 장점을 가진다.
이와 같이 상하로 중첩되게 접은 주머니 원단의 좌우 양단부를 융착시키면, 상부가 개방된 주머니본체(100)가 형성되면서 주머니본체(100)에 묶음용 끈(200)이 결합되어 상부가 개방된 자루형태의 육수 주머니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는 육수 주머니는 PLA부직포로 이루어지므로 생분해성을 가지므로 환경친화적인 장점을 가지는 것은 물론이며, 초음파 융착으로 단부를 융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열융착방법으로 융착시키는 것에 비해 생산성이 높고 불량률도 낮으며, 융착된 부분의 융착강도가 우수하여 사용시 융착된 부분이 터질 우려도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사용하면 생분해성을 가져서 환경친화적이고 품질이 우수한 육수 주머니를 저렴한 코스트도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와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묶음용 끈(200)이 가로로 긴 묶음부(210)와, 묶음부(210)의 일단부에서 세로로 길게 일체로 연장되는 세로겹침부(220)로 이루어지도록, PLA부직포를 재단하여 묶음용 끈(200)을 만든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묶음용 끈(200)이 묶음부(210)의 일단부에 세로겹침부(220)가 세로로 길게 일체로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ㄱ형상을 가지는데, 세로겹침부(220)는 주머니 원단의 세로길이의 1/2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묶음용 끈(200)의 세로겹침부(220)가 주머니 원단의 좌우 양단부에 겹쳐지도록 배치하고, 이 상태에서 주머니 원단의 하반부를 상향으로 접어 올리는데, 이와 같이 하면 묶음용 끈(200)의 세로겹침부(220)가 주머니 원단의 상반부와 하반부 사이에 위치되어 묶음용 끈(200)의 세로겹침부(220)와 주머니 원단의 상반부와 하반부가 겹쳐진 부위가 3겹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주머니 원단의 좌우 양단부를 초음파 융착시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묶음용 끈(200)의 세로겹침부(220)가 주머니 원단의 좌우 양단부와 겹쳐진 상태로 융착되어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묶음용 끈(200)의 세로겹침부(210)가 주머니본체(100)의 좌우 양단부에 결합되기 때문에, 묶음용 끈(200)과 주머니본체(100)가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융착되어 묶음용 끈(100)과 주머니본체(100)의 결합이 한층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묶음용 끈(200)의 일단부가 주머니 원단의 좌우 양단부에 겹쳐지는 부분만 3겹이고 다른 부분은 2겹인데 반해, 본 실시예에서는 세로겹침부(220)가 주머니 원단의 상반부 및 하반부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초음파 융착부위가 전체적으로 3겹의 두께를 가지므로, 초음파 융착부위 전체가 다른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가져서 보강된다. 따라서 융착상태가 견고하기 때문에, 육수 주머니에 육수재료를 넣기 위해 주머니본체(100)를 벌리더라도 초음파 융착부위가 쉽게 터지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묶음용 끈(200)이 묶음부(210)와 세로겹침부(220)를 포함하되, 묶음부(210)와 세로겹침부(220) 사이에는 묶음부(210)와 세로겹침부(220)의 연결부위를 넓게 확장시키기 코너확장부(23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코너확장부(230)가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예시되었다.
이와 같이 묶음용 끈(200)의 묶음부(210)와 세로겹침부(220) 사이에 코너확장부(230)가 형성되면, 묶음용 끈(200)으로 주머니본체(100)의 상단부를 묶을 때 사용자가 묶음용 끈(200)을 비교적 큰 힘으로 잡아당기더라도 묶음부(210)와 세로겹침부(220)의 연결부위에 응력이 집중되어 묶음부(210)의 단부가 세로겹침부(220)에서 끊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한층 더 견고한 육수용 주머니를 만들 수 있다.

Claims (4)

  1. 상부가 개방된 자루형태의 주머니본체(100)와, 주머니본체(10))의 좌우 양단 상측에 좌우 한 쌍의 묶음용 끈(200)이 결합된 육수용 주머니를 만드는 방법으로서,
    (1) PLA부직포를 세로로 긴 직사각형태로 재단하여 상기 주머니본체를 형성할 주머니 원단을 만드는 과정;
    (2) PLA부직포를 길이가 긴 끈형태로 재단하여 상기 한 쌍의 묶음용 끈(200)을 만드는 과정:
    (3) 상기 묶음용 끈(200)들을 일단부가 상기 주머니 원단의 좌우 양단 상측부에 각각 겹쳐지도록 배치하는 과정;
    (4) 상기 주머니 원단의 하반부를 상향으로 접어서 주머니 원단을 상하로 중첩시키는 과정; 및
    (5) 상기 상하로 중첩되게 접힌 주머니 원단의 좌우 양단부를 초음파 융착기로 초음파 융착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묶음용 끈(200)을 만드는 과정에서는,
    상기 묶음용 끈(200)이 가로로 긴 묶음부(210)와, 상기 묶음부(210)의 일단부에서 상기 주머니 원단의 세로길이의 1/2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세로로 연장된 세로겹침부(220)를 포함하도록 묶음용 끈(200)을 만들고,
    상기 묶음용 끈(200)을 배치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세로겹침부(220)가 상기 주머니 원단의 좌우 양단에 겹쳐지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수용 PLA부직포 주머니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묶음부(210)와 세로겹침부(230) 사이의 코너부위에는 묶음부(210)와 세로겹침부(220)의 연결부위를 확장시키는 코너확장부(2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수용 PLA부직포 주머니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수용 PLA부직포 주머니.
KR1020190114044A 2019-09-17 2019-09-17 육수용 pla부직포 주머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육수용 pla부직포 주머니 Expired - Fee Related KR102112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044A KR102112504B1 (ko) 2019-09-17 2019-09-17 육수용 pla부직포 주머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육수용 pla부직포 주머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044A KR102112504B1 (ko) 2019-09-17 2019-09-17 육수용 pla부직포 주머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육수용 pla부직포 주머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2504B1 true KR102112504B1 (ko) 2020-05-19

Family

ID=70913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044A Expired - Fee Related KR102112504B1 (ko) 2019-09-17 2019-09-17 육수용 pla부직포 주머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육수용 pla부직포 주머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5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29410A (zh) * 2020-10-26 2021-03-02 无锡纯宇环保制品有限公司 一种环保服装包装袋及其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0101A (ja) * 2001-01-23 2002-08-06 Aimu Kk 水切り袋
KR200360735Y1 (ko) 2004-06-18 2004-09-01 주식회사 바다누리 다시국물제조용 부직포주머니
KR20050011627A (ko) 2003-07-22 2005-01-29 윤승갑 다시국물용 위생팩 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520647B1 (ko) 2003-07-30 2005-10-12 바다원주식회사 멸치 육수 티백
KR101131011B1 (ko) 2009-07-20 2012-03-29 (주) 화인시스템 티백용 태그 융착장치 및 그 융착방법
KR101520227B1 (ko) 2014-07-14 2015-05-13 구기승 친환경 생분해 부직포 및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0101A (ja) * 2001-01-23 2002-08-06 Aimu Kk 水切り袋
KR20050011627A (ko) 2003-07-22 2005-01-29 윤승갑 다시국물용 위생팩 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520647B1 (ko) 2003-07-30 2005-10-12 바다원주식회사 멸치 육수 티백
KR200360735Y1 (ko) 2004-06-18 2004-09-01 주식회사 바다누리 다시국물제조용 부직포주머니
KR101131011B1 (ko) 2009-07-20 2012-03-29 (주) 화인시스템 티백용 태그 융착장치 및 그 융착방법
KR101520227B1 (ko) 2014-07-14 2015-05-13 구기승 친환경 생분해 부직포 및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29410A (zh) * 2020-10-26 2021-03-02 无锡纯宇环保制品有限公司 一种环保服装包装袋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337579B1 (no) Filterpose og fremgangsmåte for dens fremstilling
RU2337862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варного шва, а также изготовления фольговых пакетов
JP6544935B2 (ja) 電子レンジ用包装袋及び製袋方法
KR102112504B1 (ko) 육수용 pla부직포 주머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육수용 pla부직포 주머니
JP2523318B2 (ja) 液体用パツクとその製造方法
MX2012005978A (es) Metodo para sellar un cuerpo de bolsa.
JP5950906B2 (ja) 使い捨て飲料容器ホルダー
JP5421073B2 (ja) 合成樹脂シートのシール加工方法、袋の製造方法、シール加工装置、及び袋製造設備
JP2017019513A (ja) 超音波溶着溶断装置及び包装体
JP2015531725A5 (ko)
JP5460927B2 (ja) 複合フィルム並びに複合フィルムを製造する方法並びに少なくとも1つの複合フィルムから成るフィルム結合体を製造する方法並びに複合フィルムを製造する装置
JP3553892B2 (ja) 支持具付抽出バッグ、被抽出材料収容支持具付抽出バッグ、及びそれらの製造用シート複合体
GB2534930A (en) Filled article and method
JP5367353B2 (ja) 洋傘
JPH09208002A (ja) ゴミ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5019538B2 (ja) 包装袋及び縦形製袋充填包装機
JP4307210B2 (ja) 四面体状容器形成用袋状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056345A (ja) ファスナ付き袋とその製造方法
WO2011074426A1 (ja) 簡易型濾過器
JP5721208B2 (ja) 再利用防水シート
JP7351452B2 (ja) 自立式水切りゴミ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313635A (ja) 衛生マスクの製造方法
WO2018019880A4 (en) Packaging for fluid or semisolid products and relative method of production
JP6904469B1 (ja) ドリッパーとその製造方法
CN106628559A (zh) 省料平整式无纺布方底立体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5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