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114505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505B1
KR102114505B1 KR1020140149949A KR20140149949A KR102114505B1 KR 102114505 B1 KR102114505 B1 KR 102114505B1 KR 1020140149949 A KR1020140149949 A KR 1020140149949A KR 20140149949 A KR20140149949 A KR 20140149949A KR 102114505 B1 KR102114505 B1 KR 102114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ale
female
connector
conta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1173A (ko
Inventor
히데유키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센사타 테크놀로지스 매사추세츠,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사타 테크놀로지스 매사추세츠, 인크. filed Critical 센사타 테크놀로지스 매사추세츠, 인크.
Publication of KR20150051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1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2Printed circuits being in the same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컨택트들 사이의 바람직한 전기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보드간 커넥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드간 커넥터는 수형 커넥터(10) 및 암형 커넥터(20)를 포함한다. 수형 커넥터(10)는 한쌍의 수형 컨택트(100A, 100B)를 포함하고, 암형 커넥터(20)는 한쌍의 암형 컨택트(200A, 200B)를 포함한다. 수형 컨택트(100A, 100B)는 탄성 변형 가능한 돌출부(109A, 109B)를 포함하고, 암형 컨택트(200A, 200B)는 돌출부(109A, 109B)에 접촉하는 접촉부(208A, 208B)를 포함한다. 접촉부(208B)는 돌출부가 이동하는 다른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경사지는 제1 경사면(201A)과 제2 경사면(210B)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기판(substrate), 전자 부품(electronics) 및 반도체 칩 등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보드간(board-to-board)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회로 보드(board)가 퍼스널 컴퓨터 및 게임기와 같은 전자 기기 상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회로 보드는 필요에 따라 제거 가능한 커넥터를 거쳐 마더보드에 접속된다.
이러한 보드간 커넥터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보드간 커넥터는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부를 구비한 베이스 부재를 갖고 종방향으로 정렬된 컨택트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개구를 구비한 베이스 부재를 갖고 종방향으로 정렬된 컨택트를 갖는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단부들의 양측에 제공된 조작 레버 기구를 포함한다. 각각의 조작 레버 기구는 레버의 쌍의 회전 방향에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에 플러그 커넥터를 부착하고 또는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 플러그 커넥터를 탈착하기 위한 한쌍의 레버를 포함한다.
특허 문헌 1: JP2007-80641A
도 1의 (a)는 종래의 보드간 커넥터의 평면도이고, 도 1의 (b)는 도 1의 (a)의 라인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드간 커넥터(1)는 수형 커넥터(10) 및 암형 커넥터(20)를 포함한다. 수형 커넥터(10)는 종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수형 컨택트(12), 수형 컨택트(12)를 지지하는 수형 본체, 및 수형 커넥터를 기판에 고정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수형 본체(14)의 양 단부에 부착된 탭(16)을 포함한다. 암형 커넥터(20)는 수형 컨택트(12)와 각각 결합할 수 있는 복수의 암형 컨택트(22), 종방향으로 정렬된 암형 컨택트(22)를 지지하는 암형 본체(24), 및 암형 커넥터를 기판에 고정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암형 본체(24)의 양 단부에 부착된 탭(26)을 포함한다.
수형 커넥터(10)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삽입부(18)가 암형 커넥터(20)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개구(28) 내에 삽입될 때, 각각의 수형 컨택트(12)는 각각의 암형 컨택트(22)와 각각 결합하여 컨택트들 사이에 전기 접속이 이루어진다. 수형 컨택트(12)는 탄성 특성을 갖는 외팔보형 가동 컨택트를 구비하고, 반면에 암형 컨택트(22)는 고정 컨택트를 구비한다. 수형 컨택트(12)가 암형 컨택트(22)와 접촉할 때, 가동 컨택트는 수형 컨택트(12)가 암형 컨택트(22)를 와이핑하여 그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인가된 특정 로드와 고정 접촉에 대해 이동한다.
그러나, 컨택트 또는 본체의 표면에 견고하게 부착된 이물질은 완전하게 와이핑될 수 없어, 이러한 물질들이 결합시에 암형 컨택트들 사이에 잔류하게 된다. 이물질의 개입은 컨택트가 만족스럽게 전기 접속하는 것을 방지하고 느슨한 접속을 유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컨택트들 사이의 만족스러운 전기 접속을 제공할 수 있는 보드간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형 컨택트와 암형 컨택트가 서로 접속된다. 수형 컨택트는 그 단부에 탄성 변형 가능한 돌출부를 포함하고, 반면에 암형 컨택트는 돌출부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면을 포함한다. 접촉면은 돌출부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하고, 돌출부의 이동 방향과는 상이한 제1 방향으로 경사진 제1 경사면 및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경사진 제2 경사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경사면 및 제2 경사면은 연속적이고,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 사이의 높이 차이부에는 경사부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경사면의 경사각은 제2 경사면의 경사각과 동일하다. 바람직하게는, 제1 경사면 및 제2 경사면은 구형이다.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암형 컨택트는 한쌍의 접촉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반면에 한쌍의 수형 컨택트는 한쌍의 돌출부가 접촉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접촉면은 개구의 상부면 및 저부면과 접촉하도록 지지되고, 한쌍의 돌출부는 돌출부가 삽입되는 개구의 삽입부의 상부면 및 저부면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터는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를 더 포함한다. 수형 커넥터는 복수의 수형 컨택트 및 삽입부를 포함한다. 암형 커넥터는 복수의 암형 컨택트 및 개구를 포함한다. 삽입부가 개구 내에 삽입될 때 복수의 수형 컨택트는 복수의 암형 컨택트에 각각 접속된다. 바람직하게는,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는 수형 컨택트 및 암형 컨택트를 통해 각각 기판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및 제2 경사면이 암형 컨택트의 접촉면에 제공되어 2차원으로 와이핑 작업을 수행하여, 종래에는 제거될 수 없었던, 접촉면에 단단히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게 된다.
도 1의 (a)는 보드간 커넥터의 개략 평면도, 도 1의 (b)는 도 1의 (a)의 라인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형 본체의 후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형 컨택트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형 본체의 후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형 컨택트의 측면도.
도 6의 (a)는 암형 컨택트의 사시도, 도 6의 (b)는 도 6의 (a)의 라인 B1-B1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의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a)의 라인 B2-B2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들 사이의 와이핑 작업을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들 사이의 와이핑 작업을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형 커넥터와 결합하는 수형 커넥터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형 커넥터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이제,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선의 모드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수형 컨택트 및 암형 컨택트를 갖는 커넥터에 적용된다. 이러한 커넥터는 기판, 전자 부품 및 반도체 패키지와 같은 다양한 기기와의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보드간 커넥터에 적용되는 예가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르면, 보드간 커넥터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형 커넥터(10) 및 암형 커넥터(20)를 포함한다. 그러나, 커넥터에 사용된 각각의 수형 컨택트 및 각각의 암형 컨택트는 종래의 컨택트와는 상이한 구성을 갖는다.
도 2는 수형 커넥터(10)의 수형 본체의 후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도 1과 도 2 사이의 동일한 구성들을 지시하고 있다. 수형 커넥터(10)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이고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수형 본체(14)를 포함한다. 수형 본체(14)는 복수의 컨택트 장착부(30)를 갖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장착부(30)는 한쌍의 수형 컨택트(100A, 100B)를 장착하기 위한 슬릿형이다. 복수의 컨택트 장착부(30)는 수형 본체(14)의 종방향으로 배열된다. 한쌍의 수형 컨택트(100A, 100B)가 하나의 컨택트 장착부(30)에 장착된다.
각각의 컨택트 장착부(30)는 직사각형 형상인 한쌍의 개구(32A, 32B)를 포함하고, 격벽(34)이 개구(32A, 32B) 사이에 제공된다. 각각의 컨택트 장착부(30)의 격벽(34)은 수형 본체(14)의 삽입부(18)를 제공한다. 수형 컨택트(100A)는 개구(32A) 내에 삽입되고, 수형 컨택트(100B)는 개구(32B) 내에 삽입된다. 각각의 컨택트 장착부(30)는 수형 컨택트(100A, 100B)를 정렬하기 위한 직사각형 형상인 홈(36) 및 컨택트의 단부(102B)를 고정하기 위한 홈(38)을 더 포함한다.
도 3의 (a) 및 도 3의 (b)는 한쌍의 수형 컨택트(100A, 100B)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수형 컨택트(100A)는 구리 합금과 같은 금속의 시트를 스탬핑함으로써 형성된다. 수형 컨택트(100A)는 베이스부(102A), 베이스부(102A)로부터 직선으로 연장하는 연장부(104A), 연장부(104A)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06A), 및 절곡부(106A)로부터 경사지도록 외팔보로 연장하는 접촉부(108A)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2A)로부터 접촉부(108A)까지의 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베이스부(102A)는 실질적으로 L-형상이고, 그 편평부는 납땜 등(도시 생략)에 의해 기판의 전극 패드에 접속된다. 접촉부(108A)는 외팔보로 형성되도록 절곡부(106A)로부터 경사진다. 돌출부(109A)가 접촉부(108A)의 중간에 형성된다. 돌출부(107A)는 또한 접촉부(108A)의 팁 단부에 형성된다. 돌출부(109A)는 예를 들어 접촉부(108A)를 절곡함으로써 형성된다. 돌출부(109A)는 그 마모를 방지하도록 도금될 수도 있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돌출부(109A)의 팁 단부는 구형, 원추형 또는 피라미드 형상과 같은 첨예한 형상이다. 이 형상은 이물질 또는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향상된 와이핑 기능성을 가능하게 한다. 돌출부(107A)는 또한 절곡에 의해 형성된다.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특정 접촉 압력이 격벽(34)의 상부면(S1)과 돌출부(107A)를 접촉시킴으로써 돌출부(109A)에 의해 인가될 수 있다.
연장부(104A)가 홈(36) 내에 수용되고 접촉부(108A)가 개구(30A) 내에 삽입될 때, 절곡부(106A)는 개구(30A)의 측면들 사이에 압입되고, 돌출부(107A)는 격벽의 상부면(S1)에 대해 접하고, 접촉부(108A)는 격벽(34)의 상부면(S1)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지지된다. 이는 접촉부(108A)의 돌출부(109A)가 가동 컨택트로서 작용하게 한다.
수형 컨택트(100B)는 수형 컨택트(100A)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수형 컨택트(100B)는 구리 합금과 같은 금속의 시트를 스탬핑함으로써 형성되고, 베이스부(102B), 베이스부(102B)로부터 직선으로 연장하는 연장부(104B), 연장부(104B)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절곡부(106B), 및 절곡부(106B)로부터 경사지도록 외팔보로 연장하는 접촉부(108B)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2B)로부터 접촉부(108B)까지의 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수형 컨택트(100A)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베이스부(102B)는 실질적으로 L-형상이고, 그 편평부는 납땜 등(도시 생략)에 의해 기판의 전극 패드에 접속된다. 접촉부(108B)는 외팔보로 형성되도록 절곡부(106A)로부터 경사진다. 돌출부(109B)가 접촉부(108B)의 중간에 형성된다. 돌출부(107B)는 또한 접촉부(108B)의 팁 단부에 형성된다. 돌출부(109B)는 예를 들어 접촉부(108B)를 절곡함으로써 형성된다. 돌출부(109B)는 그 마모를 방지하도록 도금될 수도 있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돌출부(109B)의 팁 단부는 구형, 원추형 또는 피라미드 형상과 같은 첨예한 형상이다. 이 형상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향상된 와이핑 기능성을 가능하게 한다. 돌출부(107B)는 또한 절곡에 의해 형성된다.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돌출부(107B)는 격벽(34)의 저부면(S2)과 접하는 것에 의해 돌출부(109B)에 특정 접촉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연장부(104B)가 홈(36) 내에 수용되고 접촉부(108B)가 개구(32B) 내에 삽입될 때, 절곡부(106B)는 개구(32B)의 측면들 사이에 압입되고, 돌출부(107B)는 격벽의 저부면(S2)에 대해 접하고, 접촉부(108B)는 격벽(34)의 저부면(S2)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지지된다. 이는 접촉부(108B)의 돌출부(109B)가 가동 컨택트로서 작용하게 한다. 홈(38) 내에 삽입된 베이스부(102B)는 수형 본체의 저부면 내에서 베이스부(102A)의 대향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한쌍의 수형 컨택트(100A, 100B)가 컨택트 장착부(30)와 결합될 때, 한쌍의 접촉부(108A, 108B)가 도 1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삽입부(18)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어, 격벽의 수직 방향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암형 커넥터(20)의 암형 본체의 후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암형 커넥터(20)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이고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암형 본체를 포함한다. 암형 본체는 암형 컨택트(200A, 200B)를 각각 부착하기 위해 슬릿형 컨택트 장착부(40)를 갖도록 형성된다. 복수의 컨택트 장착부(40)는 암형 본체(24)의 종방향으로 배열된다. 각각의 컨택트 장착부(40)는 한쌍의 암형 컨택트(200A, 200B)를 장착한다.
각각의 컨택트 장착부(40)는 직사각형 형상인 한쌍의 개구(42A, 42B)를 포함한다. 격벽(44)이 개구(42A, 42B)들 사이에 형성된다. 격벽(44)은 삽입부(18)가 개구(28)(도 9 참조) 내에 삽입될 때 스토퍼(28A)로서 기능한다. 암형 컨택트(200A)는 개구(42A) 내에 삽입되고, 암형 컨택트(200B)는 개구(42B) 내에 삽입된다. 각각의 컨택트 장착부(40)는 암형 컨택트(200A, 200B)를 정렬하기 위해 직사각형 형상인 홈(46) 및 컨택트의 단부(202B)를 고정하기 위한 홈(48)을 더 포함한다.
도 5의 (a) 및 도 5의 (b)는 한쌍의 암형 컨택트(200A, 200B)를 도시하고 있다. 암형 컨택트(200A)는 구리 합금과 같은 금속의 시트를 스탬핑함으로써 형성된다. 암형 컨택트(200A)는 베이스부(202A), 베이스부(202A)로부터 선형으로 연장하는 연장부(204A),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부로부터 절곡된 절곡부, 및 절곡부(206A)로부터 수평으로 연장하는 접촉부(208A)를 포함한다. 베이스부(202A)로부터 접촉부(208A)까지의 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연장부(204A)가 홈(46) 내에 고정되고 접촉부(208A)가 개구(42A) 내에 삽입될 때, 접촉부(208A)는 개구(28)의 상부면을 가압한다.
암형 컨택트(200B)는 암형 컨택트(200A)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암형 컨택트(200B)는 구리 합금과 같은 금속의 시트로 제조된다. 암형 컨택트(200B)는 베이스부(202B), 베이스부(202B)로부터 선형으로 연장하는 연장부(204B),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부로부터 절곡된 절곡부, 및 절곡부(206B)로부터 수평으로 연장하는 접촉부(208B)를 포함한다. 베이스부(202B)로부터 접촉부(208B)까지의 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암형 컨택트(200A)의 폭과 동일하다. 연장부(204B)가 홈(46) 내에 고정되고 접촉부(208A)가 개구(42B) 내에 삽입될 때, 접촉부(208B)는 개구(28)의 저부면을 가압하고, 홈(46) 내에 삽입된 베이스부(202B)는 저부면 내에서 베이스부(202A)의 대향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한쌍의 암형 컨택트(200A, 200B)가 컨택트 장착부(40)로 장착될 때, 한쌍의 접촉부(208A, 208B)는 서로 대향되도록 개구(28)의 상부면 및 저부면에 각각 배치된다. 수형 커넥터(10)의 삽입부(18)가 암형 커넥터(20)의 개구(28) 내에 삽입될 때, 수형 컨택트(100A, 100B)의 접촉부(108A, 108B)는 암형 컨택트(200A, 200B)의 접촉부(208A, 208B)에 각각 접촉된다.
도 6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형 컨택트(200B)의 사시도이다. 도 6의 (b)는 라인 B1-B1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의 (c)는 라인 B2-B2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암형 컨택트(200B)의 접촉부(208B)는 수형 컨택트(100B)의 돌출부(109B)에 대한 접촉면을 제공하도록 연장 방향(축방향)에서 2개의 경사면(210B, 212B) 및 편평면(214B)을 포함한다. 즉, 경사면(210B, 212B) 및 편평면(214B)은 수형 컨택트(100B)의 돌출부(109B)가 접촉부(208B) 상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경사면(210B)은 접촉부(108B)의 축방향 또는 이동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에서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다. 경사면(210B)은 길이 L1로 축방향으로 연장한다. 경사면(212B)은 경사면(210B)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경사면(212B)은 경사면(210B)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다. 경사면(212B)은 길이 L2로 축방향으로 연장한다. 편평면은 경사부(212B)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도 6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경사면(210B)은 경사지지 않은 편평부(212B)에 대해 각도(θ1)로 경사진다. 도 6의 (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경사면(212B)은 경사지지 않은 편평부(214B)에 대해 각도(θ2)로 경사진다. 각도(θ1)는 각도(θ2)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양태에서, 경사면(210B, 212B)은 L1이 L2와 동일하고 θ1이 θ2와 동일하도록(L1=L2 및 θ1=θ2)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경사면(210B, 212B)은 L1≠L2 및 θ1≠θ2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컨택트(200A)의 접촉부(208A)는 또한 경사면(210A, 212A)을 갖도록 형성된다는 것을 주목하라. 경사면(210B, 212B) 및 편평부(214B)가 축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각각의 단차부가 각각의 경계에서 발생된다. 각각이 단차부는 돌출부(109B)의 이동을 위한 배리어일 수도 있고 마찰을 유발할 수도 있기 때문에, 경사부 또는 만곡된 표면과 같은 완만한 표면(230)이 단차부를 완만하게 하기 위해 제공되어 돌출부(109B)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고 마찰이 감소되게 된다(도 7에 도시되어 있음).
이제, 수형 컨택트와 암형 컨택트 사이의 접촉 및 와이핑 작업이 설명된다. 도 7의 (a), 도 7의 (b) 및 도 7의 (c)는 수형 컨택트가 암형 컨택트 상에서 이동되어 있는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경사면(210B, 212B)과 수형 컨택트(100B)의 접촉부(108B)의 돌출부(109B)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수형 커넥터(10)가 암형 커넥터(20)에 접속되어 있는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형 커넥터(10)의 삽입부(18)가 암형 커넥터(20)의 개구(28) 내에 삽입될 때, 한쌍의 수형 컨택트(100A, 100B)는 한쌍의 암형 컨택트(200A, 200B)에 접속된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판(300A)은 수형 컨택트(100A, 100B)를 통해 수형 본체(14)에 접속되고, 반면에 기판(300B)은 암형 컨택트(200A, 200B)를 통해 암형 본체(24)에 접속된다.
도 7의 (a)는 수형 컨택트(100B)의 단일의 접촉부(108B)가 암형 컨택트(208B)의 접촉부(208B) 상에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수형 컨택트(100B)의 돌출부(109B)는 암형 컨택트(200B)의 접촉부(208B)에 접속하기 시작한다. 이 때, 돌출부(109B)는 접촉부(208B)의 실질적인 축방향 중심(C)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암형 커넥터(20)로의 수형 커넥터(10)의 이동은 돌출부(109B)가 축방향으로 암형 컨택트(200B)의 접촉부(200B) 상에서 이동하게 한다.
도 7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형 컨택트(100B)의 돌출부(109B)가 암형 컨택트(200B)의 접촉부(208B)의 경사면(210B)에 도달할 때, 돌출부(109B)는 경사면(210B)[도 8의 (a) 참조]에 기인하여 경사 방향에 대응하는 힘(F1)을 수용한다. 힘(F1)은 돌출부(109B)의 이동이 접촉부(208B)의 축방향 중심(C)으로부터 경사 방향으로 시프트하게 한다.
돌출부(109B)가 경사면(210B)을 통과한 후에, 돌출부(109B)는 경사면(212B) 상에서 이동한다. 이 때, 돌출부(109B)는 도 8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경사면(210B) 내의 힘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F2)을 수용한다. 돌출부(109B)의 이동은 힘(F2)에 의해 접촉부(208B)의 축방향 중심(C)으로 복귀하도록 시프트되고, 축방향 중심(C)으로부터 경사 방향으로 더 시프트된다. 완만한 표면(230)이 경사면(210B, 212B) 사이의 단차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돌출부(109B)가 단차부를 넘어가더라도, 돌출부(109B)의 이동을 위한 장애물 및/또는 부하가 감소된다.
돌출부(109B)는 경사면(212B)을 통과한 후에 편평면(214B) 상에서 이동한다. 완만한 표면(232)은 경사면(212B)과 편평면(214B) 사이의 단차부에 제공되고, 따라서 돌출부(109B)의 이동이 원활해진다. 수형 본체(10)의 삽입부(18)가 결국에는 암형 본체(14)의 개구(28) 내의 스토퍼(28A)에 대해 접할 때(도 9에 도시되어 있음),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완료된다.
도 7의 (c)의 파선(W)은 와이핑 트랙을 표현한다. 돌출부(109B)가 경사면(210B, 212B) 상에서 이동할 때, 와이핑 트랙(W)은 경사면(210B, 212B)의 경사에 기인하여 지그재그 방식으로 3차원으로 사행한다(meander). 이는 와이핑 트랙이 돌출부(109B)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종래 기술에 비교할 때, 접촉부(208B) 상에 부착된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되게 한다. 이는 수형 컨택트(100A) 및 암형 컨택트(200A)에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그 결과, 바람직한 전기 접촉이 수형 컨택트(100A, 100B)와 암형 컨택트(200A, 200B) 사이에서 얻어진다.
경사면(212B)이 상기 실시예에서 경사면(210B)과 연속적으로 형성되지만, 특정 길이를 갖는 편평면이 경사면(210B, 212B)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다. 즉, 경사면(212B)은 경사면(210B)과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2개 초과의 경사면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경사면은 각각의 경사부가 반전되도록 서로 연결된다.
또한, 경사면(210B)의 양 측면의 높이(P1, P2)는 도 6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P1 < P2일 수도 있다. 경사면(212B)의 양 측면의 높이(Q1, Q2)는 도 6의 (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Q1 > Q2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경사면(210B, 212B)의 경사부는 스탬핑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양태에서, 측면들은 P1=Q2 및 P2=Q2이다. 다른 양태에서, 측면들은 P1≠Q2 및 P2≠Q2를 갖고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경사면(210B, 212)이 있는 측면은 P1=P2 및 Q1=Q2를 갖고 형성된다. 이 경우에, 경사면(210B, 212B)의 경사부는 접촉부(208B)를 비틀리게 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형 컨택트의 접촉부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이다. 도 10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편평부(240, 242)는 경사면(210A, 210B)의 양 측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경사 또는 만곡면은 편평부(240, 242) 사이의 단차부를 완만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10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만곡된 경사부가 선형 경사부 대신에, 경사면(210A, 210B)으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전술되었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도 있다.
10: 수형 커넥터 14: 암형 커넥터
18: 삽입부 20: 암형 커넥터
24: 암형 본체 28: 개구
28A: 스토퍼 30: 컨택트 장착부
32A, 32B: 개구 34: 격벽
36, 38: 홈 40: 컨택트 장착부
42A, 42B: 개구 44: 격벽
46, 48: 홈 100A, 100B: 수형 컨택트
102A, 102B: 베이스부 104A, 104B: 연장부
106A, 106B: 절곡부 108A, 108B: 컨택트부
109A, 109B: 돌출부 200A, 200B: 수형 컨택트
202A, 202B: 베이스부 204A, 204B: 연장부
206A, 206B: 절곡부 208A, 208B: 접촉부
210B, 212B: 경사면 214B: 편평면
230, 232: 완만한 표면 240, 242: 편평면

Claims (14)

  1. 수형 컨택트(100A, 100B)를 암형 컨택트(200A, 200B)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상기 수형 컨택트는 그 단부에 탄성 변형 가능한 돌출부(109A, 109B)를 포함하고,
    상기 암형 컨택트는 상기 돌출부와 접촉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면(208A, 208B)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면은 상기 접촉면의 제1 측면 상의 제1 높이(P2)에서 상기 접촉면의 제2 측면 상의 제2 높이(P1)로 경사진 제1 경사면(210B) 및 상기 접촉면의 상기 제1 측면 상의 제1 높이(Q1)에서 상기 접촉면의 상기 제2 측면 상의 제2 높이(Q2)로 경사진 제2 경사면(212B)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 사이의 단차부에 경사부(230)가 마련되는 것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의 경사각은 상기 제2 경사면의 경사각과 동일한 것인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은 만곡된 경사부를 가지는 것인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암형 컨택트는 대향하여 배치되고, 한쌍의 상기 수형 컨택트는 한쌍의 상기 돌출부가 한쌍의 상기 접촉면과 각각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접촉면은 개구의 상부면 및 저부면과 접촉하도록 지지되고, 한쌍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개구 내에 삽입된 삽입부의 상부면 및 저부면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것인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수형 컨택트 및 삽입부를 갖는 수형 커넥터; 및
    복수의 암형 컨택트 및 개구를 갖는 암형 커넥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형 컨택트 각각은 상기 삽입부가 상기 개구 내에 삽입될 때에 상기 복수의 암형 컨택트 각각과 접촉되는 것인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컨택트 및 상기 암형 컨택트를 통해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가 기판에 고정되는 것인 커넥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은 만곡된 경사부를 가지는 것인 커넥터.
  9. 제3항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암형 컨택트는 대향하여 배치되고, 한쌍의 상기 수형 컨택트는 한쌍의 상기 돌출부가 한쌍의 상기 접촉면과 각각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커넥터.
  10. 제4항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접촉면은 개구의 상부면 및 저부면과 접촉하도록 지지되고, 한쌍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개구 내에 삽입된 삽입부의 상부면 및 저부면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것인 커넥터.
  11. 제5항에 있어서,
    복수의 수형 컨택트 및 삽입부를 갖는 수형 커넥터; 및
    복수의 암형 컨택트 및 개구를 갖는 암형 커넥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형 컨택트 각각은 상기 삽입부가 상기 개구 내에 삽입될 때에 상기 복수의 암형 컨택트 각각과 접촉되는 것인 커넥터.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커넥터 및 상기 암형 커넥터는 상기 수형 컨택트 및 상기 암형 컨택트를 통해 기판에 고정되는 것인 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은 접촉면으로부터 서로 반대되는 측방향으로 돌출부를 압박하는 것인 커넥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감소된 마찰을 갖고 원활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 사이의 단차부를 완만하게 하기 위해 완만한 표면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KR1020140149949A 2013-11-01 2014-10-31 커넥터 KR1021145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27985 2013-11-01
JP2013227985A JP6254421B2 (ja) 2013-11-01 2013-11-01 コネクタ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173A KR20150051173A (ko) 2015-05-11
KR102114505B1 true KR102114505B1 (ko) 2020-05-22

Family

ID=51830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949A KR102114505B1 (ko) 2013-11-01 2014-10-31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50100B2 (ko)
EP (1) EP2869404B1 (ko)
JP (1) JP6254421B2 (ko)
KR (1) KR102114505B1 (ko)
CN (1) CN1047016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34676B2 (ja) * 2016-03-28 2020-08-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スライド型コネクタ
KR102118479B1 (ko) * 2018-07-25 2020-06-03 (주)케미텍 보드 연결용 커넥터
CN110190435A (zh) * 2018-11-30 2019-08-30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接触件及连接器
USD911291S1 (en) * 2019-05-28 2021-02-23 All Best Precision Technology Co., Ltd. Connector contac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7623A (ja) 2006-05-29 2007-12-06 Nec Saitama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6255Y2 (ja) * 1992-07-08 1997-08-27 矢崎総業株式会社 雌型端子金具
IE922722A1 (en) * 1992-10-09 1994-04-20 Molex Inc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5277607A (en) * 1993-01-15 1994-01-11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orting contacts which wipe against each other
JP3379747B2 (ja) * 1997-05-20 2003-02-24 矢崎総業株式会社 低挿入力端子
KR200439284Y1 (ko) * 2004-12-22 2008-04-03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개선된 이중 비임 접촉부를 갖는 커넥터
JP4173155B2 (ja) * 2005-09-13 2008-10-29 株式会社センサータ・テクノロジーズジャパン 基板対基板用コネクター
SG145604A1 (en) * 2007-03-08 2008-09-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 Connector apparatus
JP4858293B2 (ja) * 2007-05-08 2012-01-18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金具
US8764464B2 (en) * 2008-02-29 2014-07-01 Fci Americas Technology Llc Cross talk reduction for high speed electrical connectors
JP5253016B2 (ja) * 2008-06-30 2013-07-31 キヤノン株式会社 回路基板
MY164930A (en) * 2008-11-14 2018-02-15 Molex Inc Connector with terminals forming differential pairs
US7976326B2 (en) * 2008-12-31 2011-07-12 Fci Americas Technology Llc Gender-neutral electrical connector
JP5557518B2 (ja) * 2009-12-18 2014-07-2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端子
TW201328031A (zh) * 2011-12-30 2013-07-01 cheng-quan Wang 卡緣連接器及其製造方法
CN202601895U (zh) * 2012-04-25 2012-12-12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电连接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7623A (ja) 2006-05-29 2007-12-06 Nec Saitama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173A (ko) 2015-05-11
EP2869404B1 (en) 2018-05-23
US9350100B2 (en) 2016-05-24
JP2015088401A (ja) 2015-05-07
CN104701657A (zh) 2015-06-10
EP2869404A1 (en) 2015-05-06
CN104701657B (zh) 2019-01-01
US20150126071A1 (en) 2015-05-07
JP6254421B2 (ja) 201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04075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と接続対象物との接続構造
KR102088123B1 (ko) 프로브 핀
KR102099139B1 (ko) 프로브 핀
JP5481599B2 (ja) コネクタ
US8672713B2 (en) Connector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connecting target and to substrate
TWI614947B (zh) 電連接器
US9379466B2 (en) Connector
JP4425058B2 (ja) コンタクト構造及びそれを使用する電気コネクタ
JP2015095405A (ja) 電気コネクタ
KR20080007625A (ko) 커넥터 조립체
CN104347995B (zh) 电连接器
KR102114505B1 (ko) 커넥터
JP6144235B2 (ja) コネクタ端子及び電気コネクタ
US9287645B2 (en) Connector having a flexible fitting portion to connect and disconnect two objects
JP2011014326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を備える半導体試験装置
JP3192828U (ja) 電気コネクタ
JP6379254B2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