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077491B1 -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491B1
KR102077491B1 KR1020157021255A KR20157021255A KR102077491B1 KR 102077491 B1 KR102077491 B1 KR 102077491B1 KR 1020157021255 A KR1020157021255 A KR 1020157021255A KR 20157021255 A KR20157021255 A KR 20157021255A KR 102077491 B1 KR102077491 B1 KR 102077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input
string
receiving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1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8950A (ko
Inventor
김재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118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49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문자 도구 창을 표시하는 단계와 문자열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표시된 문자 도구 창에 수신한 전체 문자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전체 문자열 중 일부 문자열을 지우는 문자 지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지워진 일부 문자열을 복구하는 문자 복구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 복구 입력 수신에 따라 상기 지워진 일부 문자열을 복구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본 발명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워진 문자를 자동으로 복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신문 기사나 잡지의 재생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처럼,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됨에 따라 사용자는 문자를 입력, 삭제, 수정 또는 복구할 필요를 갖는다.
그러나, 단말기의 화면에서 문자를 입력, 삭제, 수정 또는 복구하기 위한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있지 못한 현실이다.
종래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가진 단말기는 입력된 문자열 중간에 오타가 발생한 경우, 커서를 오타가 난 문자까지 이동시켜 오타가 수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커서를 통해 오타가 난 문자까지 이동시키는 경우, 올바르게 입력된 일부 문자열이 삭제되고, 사용자는 삭제된 일부 문자열을 다시 일일이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지워진 문자를 자동으로 복구 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문자 도구 창을 표시하는 단계와 문자열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표시된 문자 도구 창에 수신한 전체 문자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전체 문자열 중 일부 문자열을 지우는 문자 지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지워진 일부 문자열을 복구하는 문자 복구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 복구 입력 수신에 따라 상기 지워진 일부 문자열을 복구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터치 센서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문자 도구 창을 표시하고, 문자열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표시된 문자 도구 창에 수신한 전체 문자열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전체 문자열 중 일부 문자열을 지우는 문자 지움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지워진 일부 문자열을 복구하는 문자 복구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문자 복구 입력 수신에 따라 상기 지워진 일부 문자열을 복구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간단한 터치 동작으로 지워진 문자열이 쉽게 복구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터치 동작으로 문자와 문자 사이에 문자를 삽입할 수 있고, 문자의 삽입 후에 지워진 문자열이 쉽게 복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문자 복구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문자 도구 창을 표시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문자 입력 수신에 따라 문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문자 입력 수신에 따라 문자를 지우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문자가 일부 지워진 상태에서 새로운 문자 입력을 수신하고, 입력된 새로운 문자의 변경된 상태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지워진 문자를 복구하는 복구 입력을 수신하고, 복구 입력의 수신에 따라 지워진 문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문자 복구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가 문자 삽입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문서 도구 창이 문자 삽입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입력 받은 문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지워진 문자를 복구하는 복구 입력을 수신하고, 복구 입력의 수신에 따라 지워진 문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다음은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단말기(100)와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다음은 도 2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도 1의 내용에 결부시켜 설명한다.
이하에서, 문자는 하나의 캐릭터 단위를 의미할 수 있고, 문자열은 2개 이상의 문자가 결합된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문자 복구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제어부(180)는 문자 도구 창의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S101). 제어부(180)는 터치 센서를 통해 문자 도구 창의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180)는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해 문자 도구 창의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수신된 문자 도구 창의 표시를 위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문자 도구 창을 표시한다(S103). 문자 도구 창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문자 도구 창을 표시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문자 도구 창(200)의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문자 도구 창(200)을 표시할 수 있다. 문자 도구 창(200)은 문자 입력 영역(210) 및 문자 표시 영역(220)을 포함할 수 있다.
문자 입력 영역(210)은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문자 표시 영역(220)에 입력될 문자, 입력된 문자를 수정 또는 복구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문자 입력 영역(210)은 문자 버튼(211) 및 복수의 도구 버튼(213~215)을 포함할 수 있다. 문자 버튼(211)은 한글의 자음, 한글의 모음, 알파벳, 숫자, 기호에 대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도구 버튼(213~215) 중 문자 삭제 버튼(213), 문자 간격 띄우기 버튼(214) 및 검색 버튼(215)을 포함할 수 있다.
문자 삭제 버튼(213)이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되면, 문자 표시 영역(220)에 표시된 문자열 중 하나의 문자가 삭제될 수 있다. 이 경우, 커서(221)의 이동이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하나의 문제가 삭제될 수 있다. 문자 간격 띄우기 버튼(214)이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되면, 문자 표시 영역(210)에는 아무런 문자가 표시되지 않으면서, 후술할 커서(221)가 우측으로 한칸 이동될 수 있다. 검색 버튼(215)이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되면, 문자 표시 영역(220)에 표시된 문자열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기 위한 검색이 수행될 수 있다.
복수의 도구 버튼에는 이외에도 다양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문자 표시 영역(220)은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입력될 문자, 입력된 문자를 수정 또는 복구하기 위한 과정을 표시하는 영역일 수 있다. 문자 표시 영역(220)은 문자 입력 영역(210)의 상 측에 위치될 수 있다.
문자 표시 영역(220)에는 커서(221) 및 전체 문자 삭제 버튼(223)이 표시될 수 있다. 커서(221)는 일정 시간 동안 깜박거려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문자 표시 영역(220)에 문자가 표시되는 경우, 표시된 문자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커서(221)는 입력될 문자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인디케이터 역할을 한다.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전체 문자 삭제 버튼(223)이 선택된 경우, 문자 표시 영역(220)에 표시된 전체 문자가 삭제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제어부(180)는 문자 도구 창(200)을 일반 모드로 진입시키고, 사용자의 문자 입력을 수신한다(S105). 일 실시 예에서 일반 모드는 후술할 문자 삽입 모드와는 구분되는 모드로 문자를 입력, 삭제, 복구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80)는 문자 입력 영역(210) 내의 문자 버튼(211)의 선택을 통해 문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문자 버튼(211)의 선택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수신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외부 입력 장치에 의해 문자 버튼(211)의 선택이 수신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제어부(180)는 문자 입력 수신에 따라 입력된 문자를 문자 도구 창(200)을 통해 표시한다(S107).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문자 입력 수신에 따라 문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문자 버튼(211)의 선택 수신에 의해 문자 표시 영역(220)에 ‘ABCDEXGHIJK’라는 문자열이 표시된 상태가 도시 되어 있다. 즉, 사용자의 문자 버튼(211) 선택에 따라 하나하나의 문자가 입력되어 상기 문자열이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커서(221)는 상기 문자열의 입력에 따라 가장 나중에 입력된 문자(K)의 우측으로 이동되어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그 후, 제어부(180)는 문자 표시 영역(220)에 문자가 표시된 상태에서 일부 문자를 지우는 문자 지움 입력을 수신하고(S109), 지워진 일부 문자의 변경된 상태를 표시한다(S111).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문자 입력 수신에 따라 문자를 지우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하여 표시된 문자열 ‘ABCDEXGHIJK’에서 문자 ‘X’가 오타가 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문자 하나가 오타가 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연속한 문자에 오타가 난 경우, 오타가 문자열의 사이 사이에 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문자 표시 영역(220)에서 사용자의 문자 지움 입력에 따라 ‘ABCDEXGHIJK’라는 문자열 중 일부 문자열인‘XGHIJK’이 지워지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문자 지움 입력은 문자 삭제 버튼(213)의 선택 수신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오타를 수정하기 위해 지우고자 하는 문자까지 문자 삭제 버튼(213)을 여러 번 터치하면, 커서(221)는 문자를 지우면서 문자 삭제 버튼(213)이 눌러진 횟수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지워진 문자열인‘XGHIJK’은 지워지지 않은 문자열 ‘ABCDE’과 다른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지워지지 않은 문자열인‘ABCDE’이 검정색으로 표시된 다면, 지워진 문자열인‘XGHIJK’ 은 회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지워진 문자열은 투명 상태의 백그라운드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고, 지워진 문자열의 각 문자 윤곽선만이 표시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만약, 지워진 문자열이 투명 상태의 백그라운드 형태로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는 지워진 문자열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문자 지움 입력은 문자 삭제 버튼(213) 이외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커서(221)를 일정시간 동안 터치하고, 커서(221)를 지우고자 하는 문자의 위치까지 드래그 앤 드랍하여 이동시킨 후, 문자 삭제 버튼(213)을 입력하면, 지우고자 하는 문자열인 ‘XGHIJK’을 삭제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새로운 문자 입력을 수신하고(S113), 입력된 새로운 문자의 변경된 상태를 표시한다(S115).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문자가 일부 지워진 상태에서 새로운 문자 입력을 수신하고, 입력된 새로운 문자의 변경된 상태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오타 문자인 ‘X’가 위치한 자리에 ‘F’문자 버튼(211)을 터치하여 새로운 문자 ‘F’를 문자 표시 영역(22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새로 입력된 문자 ‘F’는 지워지지 않은 문자열 ‘ABCDE’와 같은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새로 입력된 문자 ‘F’는 지워지지 않은 문자열 ‘ABCDE’및 지워진 문자열 ‘GHIJK’와 다른 색으로 표시되어 오타가 수정된 상태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지하게끔 할 수도 있다. 새로운 문자 ‘F’의 입력에 따라 커서(221)는 표시된 문자 ‘F’의 우측으로 이동한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제어부(180)는 새롭게 입력된 문자의 변경된 상태를 표시한 상태에서 지워진 문자를 복구하는 복구 입력을 수신하고(S117), 복구 입력의 수신에 따라 지워진 문자를 복구하여 복구된 문자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표시한다(S119). 복구 입력의 수신은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80)는 문자 표시 영역(220)에서 지워진 문자열 일 측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지워진 문자를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워진 문자는 지워지지 않은 문자와 같은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180)는 새롭게 입력된 문자를 일정시간 동안 터치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지워졌던 문자를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180)는 새롭게 입력된 문자 우측에 위치한 커서(221)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한 상태에서 지워진 문자열의 끝으로 드래그 앤 드랍 동작을 수행하는 입력을 받으면, 지워졌던 문자를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180)는 별도의 편집완료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지워졌던 문자열을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다.
지워진 문자를 복구하는 복구 입력을 수신하고, 복구 입력의 수신에 따라 지워진 문자를 복구하는 과정을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지워진 문자를 복구하는 복구 입력을 수신하고, 복구 입력의 수신에 따라 지워진 문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7은 문자 표시 영역(220)에서 지워진 문자열 일 측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지워진 문자를 자동으로 복구하는 실시 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오타를 삭제하고, 새로운 문자 ‘F’를 입력한 한 후, 지워진 문자열 ‘GHIJK’의 끝 측을 터치하면, 지워진 문자열 ‘GHIJK’이 복구될 수 있다. 지워진 문자열 ‘GHIJK’이 복구된다고 함은 지워지지 않은 문자열 ‘ABCDE’과 같은 색으로 표시됨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지워지지 않은 문자열 ‘ABCDE’이 검정색으로 표시되고, 지워진 문자열 ‘GHIJK’이 투명 상태의 백그라운드 형태로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지워진 문자열 ‘GHIJK’의 끝 측을 터치하면, 지워진 문자열 ‘GHIJK’이 검정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터치가 유지되는 시간은 1초일 수 있으나, 1초는 예시에 불과하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지워진 문자열 ‘GHIJK’의 끝 측이 아닌 지워진 문자열 ‘GHIJK’의 일부를 터치하면, 지워진 문자열 ‘GHIJK’이 복구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과정을 통해 문자열 중간에 오타가 난 경우, 오타를 수정하고, 간단한 터치 동작으로 지운 문자열을 다시 입력할 필요 없이 손쉽게 복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문자 수정 및 복구가 손쉬워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새롭게 입력된 문자를 일정시간 동안 터치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지워졌던 문자를 자동으로 복구하는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오타를 삭제하고, 새로운 문자 ‘F’를 입력한 한 후, 입력한 문자 ‘F’가 위치한 곳을 터치하면, 지워진 문자열 ‘GHIJK’이 복구될 수 있다. 지워진 문자열 ‘GHIJK’이 복구된다고 함은 지워지지 않은 문자열 ‘ABCDE’과 같은 색으로 표시됨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새롭게 입력된 문자 우측에 위치한 커서(221)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한 상태에서 지워진 문자열의 끝으로 드래그 앤 드랍 동작을 수행하는 입력을 받으면, 지워졌던 문자를 자동으로 복구하는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오타를 삭제하고, 새로운 문자 ‘F’를 입력한 후, 입력한 문자 ‘F’우 측에 위치한 커서(221)를 터치하고, 지워진 문자열 ‘GHIJK’이 끝나는 문자 ‘K’의 우측으로 커서(221)를 드래그 앤 드랍하면, 지워진 문자열‘GHIJK’이 자동으로 복구될 수 있다. 지워진 문자열 ‘GHIJK’이 복구된다고 함은 지워지지 않은 문자열 ‘ABCDE’과 같은 색으로 표시됨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편집완료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지워졌던 문자열을 자동으로 복구하는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오타를 삭제하고, 새로운 문자 ‘F’를 입력한 후, 편집완료 버튼(225)을 터치하면, 지워진 문자열‘GHIJK’이 자동으로 복구될 수 있다. 지워진 문자열 ‘GHIJK’이 복구된다고 함은 지워지지 않은 문자열 ‘ABCDE’과 같은 색으로 표시됨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지워진 문자열의 자동 복구는 지워진 문자열의 일부 문자를 입력한 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7 내지 도 10에서 사용자는 오타를 수정된 문자 ‘F’로 입력하고, 지워진 문자열 ‘GHIJK’중 일부 문자인 ‘G’를 입력한 후에 자동 복구를 수행하는 동작을 수행하면, ‘HIJK’가 자동으로 복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문자 복구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201 내지 단계 S211는 도 2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단계 S101 내지 단계 S111과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80)는 단말기(100)를 문자 삽입 모드로 진입시킨다(S213). 일 실시 예에서 문자 삽입 모드는 문자와 문자의 사이에 문자를 삽입할 수 있는 모드로 도 2에서 설명한 일반 모드와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문자 삽입 모드는 커서(221)를 연속하여 2번 터치 입력을 통해 진입될 수 있고, 별도의 문자 삽입 버튼의 선택에 의해 진입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가 문자 삽입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6의 과정 후 진행되는 과정일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오타를 삭제하고, 새로운 문자 ‘F’를 입력한 후, 커서(221)를 연속하여 2번 터치하면, 모드가 일반 모드에서 문자 삽입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문서 도구 창(200)의 모드가 문자 삽입 모드로 진입되면, 커서(221)의 색이 변경될 수도 있고, 커서(221)의 상하 길이가 더 길어지도록 커서(221)의 형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문서 도구 창(200)의 모드가 문자 삽입 모드로 진입되면, 커서(221)의 깜박거림이 사라질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오타를 삭제하고, 새로운 문자 ‘F’를 입력한 후, 문자 삽입 버튼(227)을 터치하면, 문서 도구 창의 모드가 일반 모드에서 문자 삽입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커서(221)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하면, 문서 도구 창의 모드가 일반 모드에서 문자 삽입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2초일 수 있으나, 2초는 예시에 불과하다.
다시 도 11을 설명한다.
제어부(180)는 단말기(100)가 문자 삽입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문자 삽입 입력을 수신하고(S215), 문자 삽입 입력에 따라 삽입된 문자를 표시한다(S217). 이 때,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삽입된 문자는 지워지지 않은 문자열과 지워진 문자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문서 도구 창이 문자 삽입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입력 받은 문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12의 상태에서 사용자의 문자 버튼(211) 선택을 통해 ‘NN’을 입력하면, ‘NN’이 문자 표시 영역(220)에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문서 도구 창(200)은 문자 삽입 모드에서 동작하므로, 삽입된 문자열 ‘NN’은 새로 입력되어 수정된 문자 ‘F’와 지워진 문자열 ‘GHIJK’사이에 표시될 수 있다. 만약, 수정된 문자 ‘F’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삽입된 문자 ‘NN’은 지워지지 않은 문자열 ‘ABCDE’및 지워진 문자열 ‘GHIJK’사이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된 문자열 ‘NN’은 지워지지 않은 문자열 ‘ABCDE’및 새로 입력된 문자 ‘F’와 동일한 색으로 표시될 수 있고, 다른 색으로 표시 될 수도 있다. 삽입된 문자열 ‘NN’이 ‘ABCDE’와 다른 색으로 표시되는 경우, 지워진 문자열 ‘GHIJK’의 색과도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도 13의 실시 예는 도 6의 실시 예와 구분될 수 있다. 즉, 도 6의 일반 모드에서는 새롭게 입력된 문자 ‘F’는 지워진 문자 ‘X’자리에 표시되나, 도 13의 문자 삽입 모드에서는 새롭게 입력된 문자 ‘NN’은 지워진 문자 자리인 ‘GH’자리에 표시되지 않고, 삽입되어 표시된다.
후술하겠지만, 사용자는 문자열의 필요한 부분에 누락된 문자를 삽입하면서 지워진 문자를 다시 입력하지 않고, 복구할 수 있다.
다시 도 11을 설명한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문자 도구 창(200)을 일반 모드로 진입시킨다(S219). 일반 모드는 전술한 문자 삽입 모드와는 구분되는 모드로 문자를 입력, 삭제, 복구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일반 모드로의 진입은 문자 삽입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도 13의 상태에서 커서(221)를 연속하여 2번 터치하면, 문서 도구 창(200)의 모드가 문자 삽입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문자 삽입 버튼(227)을 터치하면, 문서 도구 창(200)의 모드가 문자 삽입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문서 도구 창(200)이 일반 모드로 진입된 상태에서 지워진 문자를 복구하는 복구 입력을 수신하고(S221), 복구 입력의 수신에 따라 지워진 문자를 복구하여 복구된 문자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표시한다(S223). 복구 입력의 수신은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80)는 문자 표시 영역(220)에서 지워진 문자열 일 측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지워진 문자를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워진 문자는 지워지지 않은 문자와 같은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180)는 복구된 문자열 중 일부 문자를 일정시간 동안 터치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지워졌던 문자를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180)는 삽입된 문자열 우측에 위치한 커서(221)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한 상태에서 지워진 문자열의 끝으로 드래그 앤 드랍 동작을 수행하는 입력을 받으면, 지워졌던 문자를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180)는 별도의 편집완료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지워졌던 문자열을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다.
지워진 문자를 복구하는 복구 입력을 수신하고, 복구 입력의 수신에 따라 지워진 문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지워진 문자를 복구하는 복구 입력을 수신하고, 복구 입력의 수신에 따라 지워진 문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4는 문자 표시 영역(220)에서 지워진 문자열 일 측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지워진 문자를 자동으로 복구하는 실시 예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NN’문자열을 삽입한 후, 지워진 문자열 ‘GHIJK’의 끝 측을 터치하면, 지워진 문자열 ‘GHIJK’이 복구될 수 있다. 지워진 문자열 ‘GHIJK’이 복구된다고 함은 지워지지 않은 문자열 ‘ABCDE’과 같은 색으로 표시됨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지워지지 않은 문자열 ‘ABCDE’이 검정색으로 표시되고, 지워진 문자열 ‘GHIJK’이 투명 상태의 백그라운드 형태로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지워진 문자열 ‘GHIJK’의 끝 측을 터치하면, 지워진 문자열 ‘GHIJK’이 검정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터치가 유지되는 시간은 1초일 수 있으나, 1초는 예시에 불과하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지워진 문자열 ‘GHIJK’의 끝 측이 아닌 지워진 문자열 ‘GHIJK’의 일부를 터치하면, 지워진 문자열 ‘GHIJK’이 복구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과정을 통해 문자열 중간에 오타가 나고, 추가로 삽입해야 할 문자가 있는 경우, 오타를 수정하고, 문자를 삽입한 후, 간단한 터치 동작으로 지운 문자열을 다시 입력할 필요 없이 손쉽게 복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문자 수정 및 복구가 손쉬워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삽입된 문자를 일정시간 동안 터치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지워졌던 문자를 자동으로 복구하는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NN’문자열을 삽입한 후, 삽입한 문자열 중 일부 문자 ‘N’가 위치한 곳을 터치하면, 지워진 문자열 ‘GHIJK’이 복구될 수 있다.
지워진 문자열 ‘GHIJK’이 복구된다고 함은 지워지지 않은 문자열 ‘ABCDE’과 같은 색으로 표시됨을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수정된 문자 ‘F’가 위치한 곳을 터치하면, 지워진 문자열 ‘GHIJK’이 복구될 수 있다. 지워진 문자열 ‘GHIJK’이 복구된다고 함은 지워지지 않은 문자열 ‘ABCDE’과 같은 색으로 표시됨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을 참조하여, 삽입된 문자 우측에 위치한 커서(221)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한 상태에서 지워진 문자열의 끝으로 드래그 앤 드랍 동작을 수행하는 입력을 받으면, 지워졌던 문자를 자동으로 복구하는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문자열‘NN’을 삽입한 후, 삽입된 문자열 ‘NN’우 측에 위치한 커서(221)를 터치하고, 지워진 문자열 ‘GHIJK’이 끝나는 문자 ‘K’의 우측으로 커서(221)를 드래그 앤 드랍하면, 지워진 문자열‘GHIJK’이 자동으로 복구될 수 있다. 지워진 문자열 ‘GHIJK’이 복구된다고 함은 지워지지 않은 문자열 ‘ABCDE’과 같은 색으로 표시됨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을 참조하여, 별도의 편집완료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지워졌던 문자열을 자동으로 복구하는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문자열 ‘NN’을 삽입한 후, 편집완료 버튼(225)을 터치하면, 지워진 문자열‘GHIJK’이 자동으로 복구될 수 있다. 지워진 문자열 ‘GHIJK’이 복구된다고 함은 지워지지 않은 문자열 ‘ABCDE’과 같은 색으로 표시됨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문자를 입력하여 활용하는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를 통해 전화번호를 입력 및 수정하는 경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입력 및 수정하는 경우, SMS 나 MMS 와 같은 문자 메시지를 입력 및 수정하는 경우, 웹 브라우져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로그인이나 검색을 수행하는 경우 등이 활용 예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문자 도구 창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문자 도구 창을 일반 모드로 진입시키는 단계;
    문자열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표시된 문자 도구 창에 수신한 전체 문자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전체 문자열 중 일부 문자열을 지우는 문자 지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일반 모드를 삽입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전체 문자열 중 상기 지워진 일부 문자열과 지워지지 않은 문자열 사이에 문자를 삽입하는 상기 삽입 모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지워진 일부 문자열과 지워지지 않은 문자열 사이에 문자가 삽입되는 문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문자 입력 수신에 따라 삽입된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지워진 일부 문자열을 복구하는 문자 복구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 복구 입력 수신에 따라 상기 지워진 일부 문자열을 복구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복구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지워진 문자열의 일 측이 선택되는 입력을 통해 상기 문자 복구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지움 입력의 수신 후, 새로운 문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문자 복구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새로운 문자가 기 설정된 동안 선택되는 입력을 통해 상기 문자 복구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열의 입력에 따라 이동하는 커서를 상기 문자 도구 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복구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지워진 일부 문자열 전단에 위치한 상기 커서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커서의 선택 입력이 유지되면서 상기 지워진 일부 문자열의 끝단으로 드래그 앤 드랍 동작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복구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문자 도구 창에 표시된 편집완료 버튼의 선택에 따라 상기 문자 복구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지움 입력의 수신에 따라 상기 지워진 일부 문자열을 지워지지 않은 문자열과 다른 색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워진 일부 문자열을 지워지지 않은 문자열과 다른 색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지워지지 않은 문자열을 검정색으로 표시하고, 상기 지워진 문자열을 투명 상태의 백그라운드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열의 입력에 따라 이동하는 커서를 상기 문자 도구 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 모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커서를 연속하여 2번 선택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열의 입력에 따라 이동하는 커서를 상기 문자 도구 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기 삽입 모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커서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선택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삽입된 문자가 상기 지워지지 않은 문자열과 동일한 색을 갖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복구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지워진 문자열의 일 측을 선택하여 상기 문자 복구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복구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삽입되어 표시된 문자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선택되는 입력을 통해 상기 문자 복구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열의 입력에 따라 이동하는 커서를 상기 문자 도구 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문자 복구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지워진 일부 문자열 전단에 위치한 상기 커서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커서의 선택 입력이 유지되면서 상기 지워진 일부 문자열의 끝단으로 드래그 앤 드랍 동작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복구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문자 도구 창에 표시된 편집완료 버튼의 선택에 따라 상기 문자 복구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18. 단말기에 있어서,
    터치 센서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문자 도구 창을 표시하고, 상기 문자 도구 창을 일반 모드로 진입시키고,
    문자열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표시된 문자 도구 창에 수신한 전체 문자열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전체 문자열 중 일부 문자열을 지우는 문자 지움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일반 모드를 삽입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전체 문자열 중 상기 지워진 일부 문자열과 지워지지 않은 문자열 사이에 문자를 삽입하는 상기 삽입 모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지워진 일부 문자열과 지워지지 않은 문자열 사이에 문자가 삽입되는 문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문자 입력 수신에 따라 삽입된 문자를 표시하고
    상기 지워진 일부 문자열을 복구하는 문자 복구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문자 복구 입력 수신에 따라 상기 지워진 일부 문자열을 복구하여 표시하는
    단말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워진 문자열의 일 측을 선택하여 상기 문자 복구 입력을 수신하는
    단말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새로운 문자가 기 설정된 동안 선택되는 입력을 통해 상기 문자 복구 입력을 수신하는
    단말기.
KR1020157021255A 2013-02-07 2013-02-07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Active KR1020774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0987 WO2014123260A1 (ko) 2013-02-07 2013-02-07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950A KR20150118950A (ko) 2015-10-23
KR102077491B1 true KR102077491B1 (ko) 2020-02-14

Family

ID=51299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1255A Active KR102077491B1 (ko) 2013-02-07 2013-02-07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96260B2 (ko)
KR (1) KR102077491B1 (ko)
WO (1) WO20141232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99358B (zh) * 2012-06-20 2017-08-08 南京中兴软件有限责任公司 光标显示位置的确定方法及装置
JP5830506B2 (ja) * 2013-09-25 2015-12-0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入力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978589B1 (ko) * 2015-01-28 2019-05-14 모토로라 솔루션즈, 인크. 필기 문자 입력을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DE102015011649A1 (de) * 2015-09-11 2017-03-30 Audi Ag Bedienvorrichtung mit Zeicheneingabe und Löschfunktion
JP6311684B2 (ja) * 2015-09-25 2018-04-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操作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6250268B (zh) * 2016-07-22 2019-04-0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文本内容恢复装置及方法
CN118051384A (zh) * 2018-04-28 2024-05-17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输入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4116113B (zh) * 2022-01-26 2022-07-26 荣耀终端有限公司 输入处理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33027A1 (en) * 2009-06-26 2010-12-3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Delete slider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1510A (ko) * 2004-07-30 200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시의 되살리기 장치 및 방법
KR100620014B1 (ko) * 2005-07-18 2006-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문자편집방법
KR100771626B1 (ko) 2006-04-25 2007-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명령 입력 방법
KR101429278B1 (ko) * 2007-08-08 2014-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삭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90082712A (ko) * 2008-01-28 2009-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편집 방법 및 장치
KR20110100121A (ko) * 2010-03-03 2011-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20110219323A1 (en) 2010-03-03 2011-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letter input based on cut or copy and paste
KR101842457B1 (ko) * 2011-03-09 2018-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텍스트 커서 운용방법
US20130285927A1 (en) * 2012-04-30 2013-10-31 Research In Motion Limited Touchscreen keyboard with correction of previously input text
US8584049B1 (en) * 2012-10-16 2013-11-12 Google Inc. Visual feedback dele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33027A1 (en) * 2009-06-26 2010-12-3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Delete slider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96260B2 (en) 2018-06-12
WO2014123260A1 (ko) 2014-08-14
US20150370477A1 (en) 2015-12-24
KR20150118950A (ko) 2015-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7491B1 (ko)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557358B1 (ko) 문자열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101859100B1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9239625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27951B1 (ko)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04446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1001633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1005445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티티에스 음성 데이터 출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00098802A (ko) 아이템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682725B1 (ko) 가상 키보드를 갖는 휴대 전자기기
KR10159229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KR101294306B1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7763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텍스트 편집 방법
KR10180995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59681A (ko) 카메라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124817A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스크롤 방법
KR10157203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1362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사용자 폰트 생성 방법
KR102056249B1 (ko)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30064421A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37717B1 (ko)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04394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028656B1 (ko) 단말기 및 단말기 동작 방법
KR20140094090A (ko)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02032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0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1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