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300B1 - Ui 제공 장치 및 그의 ui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Ui 제공 장치 및 그의 ui 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9300B1 KR102069300B1 KR1020120092625A KR20120092625A KR102069300B1 KR 102069300 B1 KR102069300 B1 KR 102069300B1 KR 1020120092625 A KR1020120092625 A KR 1020120092625A KR 20120092625 A KR20120092625 A KR 20120092625A KR 102069300 B1 KR102069300 B1 KR 1020693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output
- information
- failure
- degre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5
- 206010047571 Visual impairment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08000029257 vision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0000004393 visual impair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08000016354 hearing loss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08000032041 Hearing impaired Diseas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06010011878 Deaf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428 dysembryoplastic neuroepithelial tumo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4 electromagnetic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77 ren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60 site-specific infrared dichroism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UI 제공 장치가 개시된다. 본 UI 제공 장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 통신 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획득된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도록 UI(User Interface)를 설정하는 제어부 및, 설정된 UI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UI 제공 장치 및 그의 UI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UI 제공 장치 및 그의 UI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 장치는 사용자와의 의사 소통을 중계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들은 다양한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부터 특정 메뉴를 선택받을 수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장애 여부와는 무관하게, 제조시 설정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였다. 일반적으로 제조시 설정된 인터페이스는 비장애인을 기준으로 제공된다는 점에서, 장애인들은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데 다소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장애인들에게 용이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를 고려하여 UI(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는 UI 제공 장치 및 그의 UI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장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 통신 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획득된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도록 UI(User Interface)를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설정된 UI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 NFC 태그와 태깅을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NFC 리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장애 유형, 장애 유형에 따른 장애 정도 및, 사용자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장치는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비디오 출력부 및,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장애 유형이 시각 장애인 경우, 시각 장애 정도에 따라 그래픽 UI 및 음성 UI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각 장애 정도가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경우 해당 레벨에 대응되는 그래픽 UI를 출력하고, 상기 시각 장애 정도가 기설정된 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음성 UI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비디오 출력부 및,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장애 유형이 청각 장애인 경우, 청각 장애 정도에 따라 그래픽 UI 및 음성 UI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청각 장애 정도가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경우 해당 레벨에 대응되는 음성 UI를 출력하고, 상기 청각 장애 정도가 기설정된 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그래픽 UI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장치는,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가 상기 UI 제공 장치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 출력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장치는, 상기 UI의 출력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UI의 출력 상태가 변경된 후 상기 사용자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변경된 UI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장치는,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UI의 출력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UI 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장치의 UI 제공 방법은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 통신 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획득된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도록 UI(User Interface)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UI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NFC 리더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 NFC 태그와 태깅을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장애 유형, 장애 유형에 따른 장애 정도 및, 사용자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장애 유형이 시각 장애인 경우, 시각 장애 정도에 따라 그래픽 UI 및 음성 UI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시각 장애 정도가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경우 해당 레벨에 대응되는 그래픽 UI를 출력하고, 상기 시각 장애 정도가 기설정된 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음성 UI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장애 유형이 청각 장애인 경우, 청각 장애 정도에 따라 그래픽 UI 및 음성 UI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청각 장애 정도가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경우 해당 레벨에 대응되는 음성 UI를 출력하고, 상기 청각 장애 정도가 기설정된 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그래픽 UI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은, 상기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가 상기 UI 제공 장치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 출력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UI의 출력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UI의 출력 상태가 변경된 후 상기 사용자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변경된 UI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UI의 출력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UI 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따라 차별적인 UI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시스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UI 제공 시스템의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시스템의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시스템의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시스템의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시스템의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계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UI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그리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장치의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UI 제공 시스템의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시스템의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시스템의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시스템의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시스템의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계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UI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그리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장치의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시스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UI 제공 시스템은 UI 제공 장치(100), 서버(200) 및 통신 기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I 제공 장치(100)는 TV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폰, 모니터, PDA, 태블릿 PC,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UI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장애 유형과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User Interface)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UI는 UI 제공 장치(100)와 사용자 간의 의사 소통을 중계할 수 있는 모든 인터페이스로, 가령, UI 제공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거나, UI 제공 장치(100)에서 수행된 기능을 나타내기 위한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I 제공 장치(100)는 일반 모드에서는 디폴트로 설정된 UI를 출력하지만, 장애인에게 적용되는 모드에서는 음성 UI 또는 그래픽 UI를 출력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음성 UI와 그래픽 UI를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일반 모드에서 디폴트로 설정된 UI는 일반적으로 그래픽 UI가 될 수 있지만, UI 제공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에 따라 음성 UI가 디폴트로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UI 제공 장치(100)는 통신 기기(3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정보는 장애 유형, 장애 유형에 따른 장애 정도 및 사용자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UI 제공 장치(100)는 통신 기기(3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2를 함께 참조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UI 제공 시스템의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UI 제공 장치(100)는 통신 기기(3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다(S11). 이 경우, UI 제공 장치(100)에서의 사용자 정보 수집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UI 제공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 경우, UI 제공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리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를 포함하는 통신 기기(300)와 근거리 액세스되어 데이터를 리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액세스란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 및 리더가 중 적어도 하나가 상대 측으로 이동하여, 통신 가능 범위 이내에 위치하게 되는 행위를 의미한다. 다르게는 태깅(tagging)이라 칭할 수도 있다. 통신 가능 범위 이내에 위치하게 되면, 근거리 무선 통신 리더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reading)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의 예로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가 사용될 수 있다. NFC란 13.56M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이다. NFC 기술을 이용하면, 복수의 단말기가 약 10 cm 이내와 같이 근거리로 접근하였을 때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의 다른 예로 바코드 방식, QR 코드 방식, WiFi, 지그비, 블루투스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통신 기기(300)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정보를 UI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기기(300)는 사용자 정보가 기록된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로 구현되어, 태깅을 통해 UI 제공 장치(100)에 마련된 근거리 무선 통신 리더로 사용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기기(3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가 부착된 장애인 카드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UI 제공 장치(100)는 통신 기기(3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장애 유형과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출력한다(S12).
구체적으로, UI 제공 장치(100)는 통신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장애 유형과 장애 정도에 따라 그래픽 UI 및 음성 UI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것으로 판단되면, 시각 장애 정도에 따라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UI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그래픽 UI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UI 구성요소는 텍스트, 이미지, 커서, 포인터 등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UI 제공 장치(100)는 그래픽 UI 대신 음성 UI를 출력하거나,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UI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그래픽 UI와 음성 UI를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UI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청각 장애인인 것으로 판단되면, 청각 장애 정도에 따라 기설정된 볼륨 이상으로 음성 UI를 출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UI 제공 장치(100)는 음성 UI 대신 그래픽 UI를 출력하거나, 그래픽 UI와 함께 기설정된 볼륨 이상으로 음성 UI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UI 출력 장치(100)는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따라 출력되는 UI 타입, 그래픽 UI의 사이즈 및 음성 UI의 출력 볼륨 크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UI 출력 장치(100)는 통신 기기(300)로부터 수신된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 타입, 그래픽 UI의 사이즈 및 음성 UI의 출력 볼륨 크기 등을 판단하고, 그에 대응되는 UI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UI 제공 장치(100)가 사용자 정보를 통신 기기(300)로부터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UI 제공 장치(100)에서 사용자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가령, UI 제공 장치(100)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버튼 등과 같은 입력 수단을 구비하거나, 리모콘,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수단과 연결되는 경우, 사용자는 이러한 입력 수단을 통해 자신의 장애 유형, 장애 정도 및 사용자 식별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는 UI 제공 장치(100)에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나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외부 저장 매체를 연결하여, 외부 저장 매체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UI 제공 장치(1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PC, 노트북 PC, 태블릿 PC, 휴대폰 등과 같은 타 단말 장치와 UI 제공 장치(100) 간의 통신을 연결하여, 이러한 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UI 제공 장치(100)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여 줄 수도 있다.
한편, 통신 기기(3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UI 제공 장치(100)는 해당 정보를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그에 대응되는 UI를 출력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3을 함께 참조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시스템의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UI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 통신 기기(3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다(S21).
이때, 통신 기기(3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UI 제공 장치(100)가 통신 기기(300)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만을 수신한 경우, UI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S22).
이 경우, 서버(200)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를 UI 제공 장치(100)로 전송하고(S23), UI 제공 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UI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200)는 사용자 식별 정보별로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UI 제공 장치(100)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된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를 UI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버(200)는 정부 기관, 국공립 병원, 사립 병원 등에 마련될 수 있으며, UI 제공 장치(100)와 인터넷 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UI 제공 장치(100)에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따라 출력되는 UI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UI 제공 장치(100)는 해당 정보들을 서버(200)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4를 함께 참조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시스템의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UI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 통신 기기(3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다(S31).
한편, UI 제공 장치(100)가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따라 출력되는 UI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지 않은 경우, UI 제공 장치(100)는 통신 기기(3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S32). 이때, UI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거나,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전송하거나, 이들 모두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UI 제공 장치(100)에서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출력할 수 있도록, UI 출력 정보를 UI 제공 장치(100)로 전송한다(S33). 여기에서, UI 출력 정보는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따라 UI 제공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UI 타입, 그래픽 UI의 사이즈 및 음성 UI의 출력 볼륨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UI 제공 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UI 출력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따라 출력되는 UI 타입, 그래픽 UI의 사이즈, 음성 UI의 출력 볼륨 크기 등을 판단하고,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출력할 수 있다(S34).
한편, UI 제공 장치(100)는 UI의 출력 상태를 변경하고자 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후, UI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5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시스템의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UI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 통신 기기(3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다(S41). 그리고, UI 제공 장치(100)는 통신 기기(3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장애 유형과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출력한다(S42).
한편, UI 제공 장치(100)는 UI 출력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S43-Y), 그에 따라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S44). 이때, UI 제공 장치(100)는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를 출력 상태가 변경되기 전의 UI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UI 제공 장치(100)는 동일한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 제공 장치(100)에서 4급 시각 장애인에게 제공되도록 설정된 사이즈에 따라 그래픽 UI를 출력하던 도중, 출력되는 그래픽 UI의 사이즈를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조정된 그래픽 UI의 사이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정된 그래픽 UI의 사이즈는 해당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 즉, 4급 시각 장애에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후, 4급 시각 장애에 해당하는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UI 제공 장치(100)는 조정된 사이즈를 갖는 그래픽 UI를 출력할 수 있다.
비록, 상술한 예에서는, 그래픽 UI의 사이즈가 조정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그래픽 UI의 사이즈뿐만 아니라 음성 UI의 출력 볼륨 크기 또한 변경되어 해당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는, UI 제공 장치(100)에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따라 출력되는 UI 타입, 그래픽 UI의 사이즈 및 음성 UI의 출력 볼륨 크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된 상태에서, UI 출력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경우를 설명하였다.
다만, UI 제공 장치(100)에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가 기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도 4와 같은 경우, UI 제공 장치(100)는 UI의 출력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며, 서버(200)는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6을 함께 참조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시스템의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UI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 통신 기기(3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다(S51). UI 제공 장치(100)에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 즉,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따라 출력되는 UI 타입, 그래픽 UI의 사이즈 및 음성 UI의 출력 볼륨 크기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UI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고(S52), 서버(200)로부터 UI 출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53).
이에 따라, UI 제공 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UI 출력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따라 출력되는 UI 타입, 그래픽 UI의 사이즈, 음성 UI의 출력 볼륨 크기 등을 판단하고,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출력할 수 있다(S54).
한편, UI 제공 장치(100)는 UI의 출력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S55-Y), UI 제공 장치(100)는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S56). 이에 따라, 서버(200)는 UI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S57). 이때, 서버(200)는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200)는 UI 제공 장치(100)로부터 동일한 사용자 정보가 수신되면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를 UI 제공 장치(100)로 전송하며, UI 제공 장치(100)는 변경되 UI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 제공 장치(100)에서 4급 시각 장애인에게 제공되도록 설정된 사이즈에 따라 그래픽 UI를 출력하던 도중, 출력되는 그래픽 UI의 사이즈를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UI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조정된 그래픽 UI의 사이즈에 대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0)는 조정된 그래픽 UI의 사이즈를 사용자 정보 즉, 사용자 식별 정보, 해당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200)는 동일한 사용자 정보가 UI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면, 조정된 그래픽 UI의 사이즈에 대한 정보를 UI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UI 제공 장치(100)는 조정된 사이즈를 갖는 그래픽 UI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UI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따라 차별적으로 UI를 구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는 점에서, 몸이 불편한 사용자들도 UI 제공 장치(100)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과 같이, UI 제공 장치(100)는 수신부(110), 제어부(120) 및 출력부(130)를 포함한다.
수신부(110)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 통신 기기(도 1의 30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신부(110)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 NFC 태그와 태깅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NFC 리더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가 부착된 통신 기기(300)와 근거리 액세스되면, 그 태그 내에 기록된 정보를 리딩하여 제어부(120)로 제공한다. 수신부(110)는 무선 주파수 모듈 및 안테나 코일로 구성될 수 있다. 수신부(110)는 안테나 코일을 통해 전자파를 발산한다. 이에 따라, UI 제공 장치(100)를 기준으로 전자파 도달 거리 이내에 위치한 통신 기기(300)에 부착된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미도시)에서는 전자기 유도 방식에 따라 전류가 유도된다. 이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 내의 집적회로가 구동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RF 신호를 전송한다. 수신부(110) 내의 무선 주파수 모듈은 안테나 코일을 통해서 RF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RF 신호에 대해 복조 및 디코딩 작업을 수행하여, RF 신호에 실린 데이터를 검출한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수신부(110)가 NFC 리더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까지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수신부(110)는 NFC 외의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인 바코드 방식, QR 코드 방식, WiFi, 지그비, 블루투스 등을 통해 통신 기기(3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장애 유형, 장애 유형에 따른 장애 정도 및 사용자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장애 유형은 시각 장애, 청각 장애 등과 같이 특성에 따라 구분된 장애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장애 정도는 각 장애 유형별로 구분된 장애 등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로, 이름, 주민등록번호, 장애인 등록번호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정보를 구성하는 다양한 정보는 통신 기기(3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각 필드에 저장될 수 있다. 가령, 수신부(110)가 NFC 통신 방식에 의해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장애 유형, 장애 정도 및 사용자 식별 정보는 NFC 통신 방식에서 사용되는 데이터의 각 필드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 유형에 대한 정보는 제1 데이터 필드,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는 제2 데이터 필드, 사용자 식별 정보는 제3 데이터 필드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획득된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도록 UI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부(130)는 설정된 UI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각 필드로부터 장애 유형, 장애 정도 및 사용자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제1 데이터 필드로부터 추출된 비트가 1인 경우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것으로 판단하고, 제1 데이터 필드로부터 추출된 비트가 0인 경우 사용자가 청각 장애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예일 뿐, 장애 유형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는 다양한 방식으로 데이터에 기록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따라 UI 제공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UI 타입, 그래픽 UI의 사이즈 및 음성 UI의 출력 볼륨 크기를 결정한다. 이를 위해, UI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따라 출력되는 UI 타입, 그래픽 UI의 사이즈 및 음성 UI의 출력 볼륨 크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 출력 장치(100)는 사용자의 시각 장애 정도가 사물을 전혀 인지할 수 없는 등급인 경우 출력되는 UI 타입이 음성 UI라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UI 출력 장치(100)는 사용자의 시각 장애 정도가 사물을 인지할 수 있는 등급인 경우 출력되는 UI 타입이 그래픽 UI 또는, 그래픽 UI + 음성 UI라는 정보 및 출력되는 그래픽 UI의 사이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UI 출력 장치(100)는 사용자의 청각 장애 정도가 소리를 전혀 들을 수 없는 등급인 경우 출력되는 UI 타입이 그래픽 UI라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UI 출력 장치(100)는 사용자의 청각 장애 정도가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등급인 경우 출력되는 UI 타입이 음성 UI 또는, 그래픽 UI + 음성 UI라는 정보 및 음성 UI의 출력 볼륨 크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UI 출력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의 그래픽 UI 및 음성 UI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I 출력 장치(100)는 UI 제공 장치(100)에서 선택된 기능에 대한 피드백 형태의 UI, UI 제공 장치(100)에서 수행된 기능을 나타내는 UI, UI 제공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UI 등을 그래픽 형태 및 음성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UI 출력 장치(10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결정하고, 이를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장애 유형이 시각 장애인 경우 시각 장애 정도에 따라 그래픽 UI 및 음성 UI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도록 출력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시각 장애 정도가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경우 해당 레벨에 대응되는 그래픽 UI를 출력하고 시각 장애 정도가 기설정된 레벨 미만인 경우 음성 UI를 출력하도록 출력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의 시각 장애 정도가 사물을 전혀 인지할 수 없는 등급에 속하는지 또는 사물을 인지할 수 있는 등급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에 따라,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시각 장애 정도가 사물을 전혀 인지할 수 없는 등급에 속하는 경우 출력되는 UI를 음성 UI로 결정하고 출력부(130)를 통해 음성 UI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시각 장애 정도가 사물을 인지할 수 있는 등급에 속하는 경우 출력되는 UI를 그래픽 UI 또는 그래픽 UI + 음성 UI로 결정하고, 이를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음성 UI는 시각 장애 정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시각 장애 정도에 따라 음성 UI만이 출력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UI 제공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음성 UI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UI 제공 장치(100)에 구비된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 음성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 제공 장치(100)가 TV로 구현된 경우, 제어부(120)는 채널 선국을 위해 "채널 번호를 말씀하세요"라는 음성 UI를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하고, 수집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또한, 음성 UI는 UI 제공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일정한 텍스트를 낭독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메뉴, 1. 채널 관리, 2. 외부입력 관리,..."와 같이 특정 메뉴에 포함된 텍스트에 대응되는 음성 UI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시각 장애 정도에 따라 음성 UI가 그래픽 UI와 함께 출력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그래픽 UI를 통해 선택된 기능에 대한 피드백 형태의 음성 UI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기능이 올바르게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알림음 또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그래픽 UI에서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딩동댕" 또는 "메뉴가 선택되었습니다"와 같은 음성 UI를 출력할 수 있으며, 그래픽 UI에서 선택할 수 없는 메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삐익" 또는 "선택될 수 없는 메뉴입니다"와 같은 음성 UI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음성 UI가 그래픽 UI와 함께 출력되는 경우, 음성 UI는 그래픽 UI를 보조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음성 UI는 그래픽 UI를 설명하기 위한 형태일 수도 있다. 일 예로, 음성 UI는 그래픽 UI에 포함된 텍스트를 낭독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그래픽 UI, 커서 또는 하이라이트 메뉴 등이 위치한 그래픽 UI에 포함된 텍스트에 대응되는 음성 UI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번 채널을 선국하기 위한 그래픽 UI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번 채널이 선택되었습니다"와 같은 음성 UI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그래픽 UI도 시각 장애 정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시각 장애 정도에 따라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UI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그래픽 UI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시각 장애 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을 정도의 사이즈를 갖는 UI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그래픽 UI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UI 구성요소는 그래픽 UI를 구성하는 텍스트, 커서,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20)는 UI 구성요소의 색상을 변경하거나, 특정 부분을 하이라이트시켜 출력할 수도 있고, UI 구성요소의 표시 위치, 레이아웃 등을 변경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의 시각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그래픽 UI 및 음성 UI는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UI 제공 장치(100)에서 디폴트로 설정된 그래픽 UI의 사이즈, 색상, 위치, 레이아웃 등을 변경하여, 시각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그래픽 UI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해당 그래픽 UI 및 음성 UI는 시각 장애 정도별로 UI 제공 장치(100)에 기저장되어 있거나, 서버(2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장애 유형이 청각 장애인 경우 청각 장애 정도에 따라 그래픽 UI 및 음성 UI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도록 출력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청각 장애 정도가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경우 해당 레벨에 대응되는 음성 UI를 출력하고, 청각 장애 정도가 기설정된 레벨 미만인 경우 그래픽 UI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청각 장애인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의 청각 장애 정도가 소리를 전혀 들을 수 없는 등급에 속하는지 또는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등급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에 따라,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청각 장애 정도가 소리를 전혀 들을 수 없는 등급에 속하는 경우 출력되는 UI를 그래픽 UI로 결정하고 출력부(130)를 통해 그래픽 UI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청각 장애 정도가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등급에 속하는 경우 출력되는 UI를 음성 UI 또는, 그래픽 UI + 음성 UI로 결정하고 이를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UI 제공 장치(100)에 디폴트로 설정된 그래픽 UI를 출력할 수 있으나, 음성 UI의 경우 청각 장애 정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청각 정도에 따라 음성 UI가 출력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청각 장애 정도에 따라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볼륨으로 음성 UI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청각 장애인인 사용자가 청각 장애 정도에 따라 인식할 수 있을 정도의 볼륨으로 음성 UI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음성 UI는 UI 제공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음성 UI, 그래픽 UI를 통해 선택된 기능에 대한 피드백 형태의 음성 UI, 그래픽 UI를 설명하기 위한 형태의 음성 UI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청각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음성 UI는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UI 제공 장치(100)에서 디폴트로 설정될 음성 UI를 증폭하여, 청각 장애인인 사용자가 청각 장애 정도에 따라 인지할 수 있는 크기의 음성 UI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음성 UI는 청각 장애 정도별로 UI 제공 장치(100)에 기저장되어 있거나, 서버(2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이거나 청각 장애인인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UI 제공 장치(100)는 다른 종류의 장애를 갖는 사용자를 위해 UI를 차별적으로 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지체 장애와 같이 신체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장애인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디폴트로 설정된 그래픽 UI 대신 음성 UI를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에 따르면, UI 제공 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구성요소 외에 비디오 출력부(131), 오디오 출력부(133), 비디오 처리부(135), 오디오 처리부(137), 통신부(140), 감지부(150), 저장부(160), 입력부(170), GPS 수신부(181), DMB 수신부(183), 버튼(185), USB 포트(187), 카메라(189), 마이크(191)를 포함한다.
저장부(160)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60)는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60)는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출력되는 UI 타입, 그래픽 UI의 사이즈 및 음성 UI의 출력 볼륨 크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0)는 다양한 형태의 UI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60)는 UI 제공 장치(100)에서 디폴트로 설정된 그래픽 UI 및 음성 UI를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그래픽 UI 및 음성 UI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UI들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된 기능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UI, UI 제공 장치(100)에서 수행된 기능을 나타내기 위한 UI, UI 제공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UI 등과 같은 다양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그래픽 UI 및 음성 UI를 저장부(160)로부터 독출하고 이를 신호처리하여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120)는 디폴트로 설정된 그래픽 UI에 포함된 UI 구성요소의 사이즈를 변경하거나 음성 UI를 증폭하여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통신부(140)는 서버(도 2의 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통신부(14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141) 등을 구비하여 인터넷 망을 통해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고,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를 서버(200)로부터 수신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수신부(110)를 통해 통신 기기(3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고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를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출력되는 UI 타입, 그래픽 UI의 사이즈 및 음성 UI의 출력 볼륨 크기를 결정하고,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가 UI 제공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고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 출력 정보를 서버(200)로부터 수신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출력되는 UI 타입, 그래픽 UI의 사이즈 및 음성 UI의 출력 볼륨 크기에 대한 정보가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해당 정보들을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UI 출력 정보는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따라 UI 제공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UI 타입, 그래픽 UI의 사이즈 및 음성 UI의 출력 볼륨 크기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4급 시각 장애인인 경우,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UI 출력 정보는 4급 시각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UI는 그래픽 UI이며, 해당 그래픽 UI에 포함된 UI 구성요소의 사이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UI 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 타입, 그래픽 UI의 사이즈 및 음성 UI의 출력 볼륨 크기 등을 결정하고,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40)는 와이파이칩(142), 블루투스 칩(143), 무선 통신 칩(144)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142), 블루투스 칩(143)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 칩(142)이나 블루투스 칩(143)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144)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통신부(140)는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외부 기기들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감지부(150)는 지자기 센서(151), 자이로 센서(152), 가속도 센서(153), 터치 센서(154), 압력 센서(155)를 포함한다. 감지부(150)는 UI 제공 장치(100)에 대한 터치, 회전, 기울기, 압력 등과 같은 다양한 사용자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151)는 UI 제공 장치(100)의 회전 상태 및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자이로 센서(152)는 UI 제공 장치(100)의 회전각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지자기 센서(151) 및 자이로 센서(152)는 둘 다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 중 하나만 구비되어 있더라도 UI 제공 장치(100)는 회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53)는 UI 제공 장치(1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터치 센서(154)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은 비디오 출력부(131)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비디오 출력부(131)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이상과 같이 터치 센서(154)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압력 센서(155)는 사용자가 터치 조작을 할 때 UI 제공 장치(100)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를 감지하여 제어부(120)로 제공한다. 압력 센서(155)는 비디오 출력부(131)에 내장되어 압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압전 필름(piezo film)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터치 센서(154) 및 압력 센서(155)가 별개의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터치 센서(154)가 감압식 터치 센서로 구현된 경우, 그 감압식 터치 센서가 압력 센서(155)의 역할도 함께 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감지부(150)에서 감지된 각종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그 의도에 부합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터치 조작, 모션 입력, 음성 입력, 버튼 입력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 방식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 조작에는 단순 터치, 탭, 터치 앤 홀드, 무브, 플릭, 드래그 앤 드롭, 핀치 인, 핀치 아웃 등과 같은 다양한 조작이 있을 수 있다.
가령, 제어부(12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그 실행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저장부(160)에 저장된 각종 컨텐츠를 재생하여 줄 수도 있다. 여기에서, 컨텐츠란, 이미지, 텍스트, 사진, 동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통신부(140)를 통해서 외부 기기들과 통신을 수행하여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UI 제공 장치(100)의 회전 상태에 기초하여, 출력부(13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표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가령, UI 제공 장치(100)가 좌측으로 90°만큼 회전된 경우, 제어부(120)는 컨텐츠를 좌측으로 90°만큼 회전시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170)는 다양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으며, 제어부(120)는 입력부(170)를 통해 입력된 다양한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170)를 통해 UI 제공 장치(100)의 전원을 온 시키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제어부(120)는 UI 제공 장치(100)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170)는 리모컨,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수단으로부터 사용자 조작을 수신하기 위한 리모컨 수신부, 입력 포트 등으로 구현되거나, 출력부(130)와 함께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70)는 UI의 출력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UI의 출력 상태가 변경된 후 사용자 정보가 수신되면 변경된 UI를 출력하도록 출력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UI의 출력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UI 화면을 출력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UI 화면 상에서 그래픽 UI에 포함된 UI의 구성요소의 사이즈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거나, 음성 UI의 출력 볼륨 크기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사용자 조작에 따라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160)에 저장한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를 출력 상태가 변경되기 전의 UI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동일한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사이즈가 변경된 그래픽 UI 및 출력 볼륨의 크기가 변경된 음성 UI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급 시각 장애인에게 제공되도록 설정된 사이즈에 따라 그래픽 UI를 출력하던 도중, 출력되는 그래픽 UI의 사이즈를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제어부(12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조정된 그래픽 UI의 사이즈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조정된 그래픽 UI의 사이즈를 해당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 즉, 4급 시각 장애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4급 시각 장애에 해당하는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120)는 조정된 사이즈를 갖는 그래픽 UI를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변경된 UI 정보를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매칭시켜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제어부(120)는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에 대한 정보와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를 평균화(normalize)하고, 평균화된 UI에 대한 정보를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이후 동일한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평균화된 UI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제어부(120)는 4급 시각 장애인에 제공되도록 설정된 사이즈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조정된 사이즈를 평균화하고, 평균화된 그래픽 UI의 사이즈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평균화된 그래픽 UI의 사이즈를 해당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즉, 4급 시각 장애인에 제공되도록 설정된 사이즈가 7인 반면 사용자 조작에 의해 조정된 사이즈가 9라면, 이들의 평균치인 8을 4급 시각 장애인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4급 시각 장애에 해당하는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120)는 평균화된 사이즈를 갖는 그래픽 UI를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2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UI 출력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UI의 출력 상태가 변경되면,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서버(200)는 사용자 정보에 매칭시켜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0)는 동일한 사용자 정보가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면 사용자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며, 서버(200)는 사용자 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된 UI 출력 정보 즉,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를 UI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급 시각 장애인에게 제공되도록 설정된 사이즈에 따라 그래픽 UI를 출력하던 도중, 출력되는 그래픽 UI의 사이즈를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제어부(12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조정된 그래픽 UI의 사이즈에 대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0)는 동일한 사용자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서버(200)로 전송하게 되며, 제어부(120)는 서버(200)로부터 조정된 그래픽 UI의 사이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조정된 사이즈를 갖는 그래픽 UI를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가 서버(200)에 저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서버(200)는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 출력 정보와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를 평균화(normalize)하고, 평균화된 UI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서버(200)는 동일한 사용자 정보가 수신되면, 평균화된 UI에 대한 정보를 UI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제어부(120)는 평균화된 UI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출력할 수 있다.
GPS 수신부(181)는 GPS(Gr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UI 제공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DMB 수신부(183)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135)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135)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비디오 처리부(135)는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그래픽 UI를 비디오 출력부(131)에서 출력 가능한 형태로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디오 처리부(135)는 디폴트로 저장된 그래픽 UI 및 해당 그래픽 UI를 구성하는 UI 구성요소의 크기를 변경시켜 비디오 출력부(131)에서 출력 가능한 형태로 처리할 수도 있다.
오디오 처리부(137)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37)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오디오 처리부(137)는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음성 UI를 오디오 출력부(133)에서 출력 가능한 형태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7)는 디폴트로 저장된 음성 UI 및 해당 음성 UI를 증폭시켜 오디오 출력부(133)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비디오 출력부(131)와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부(133)를 포함한다.
비디오 출력부(131)는 비디오 처리부(135)에서 처리된 비디오 데이터를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비디오 출력부(131)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전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또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출력부(133)는 오디오 처리부(137)에서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로 출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오디오 출력부(133)는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출력부(133)는 잭 등과 같은 출력 포트, 스피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다양한 화면 또는 객체를 비디오 출력부(131) 및 오디오 출력부(133)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각종 이미지, 텍스트, 사진, 동영상 등을 비디오 처리부(135) 및 오디오 처리부(137)를 통해 처리 가능한 형태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비디오 출력부(131) 및 오디오 출력부(133)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화면을 비디오 출력부(13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2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UI 출력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비디오 출력부(13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그래픽 UI를 비디오 출력부(131)를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음성 UI를 오디오 출력부(133)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버튼(185)은 UI 제공 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후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버튼(185)을 통해 전원 온오프 명령 등과 같은 UI 제공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USB 포트(187)는 USB 메모리나 USB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는 포트를 의미하며, 이를 통해 각종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카메라(189)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메라(189)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191)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120)는 마이크(191)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통화(call) 과정에서 이용하거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
카메라(189) 및 마이크(191)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120)는 마이크(191)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이나 카메라(189)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모션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UI 제공 장치(100)는 모션 제어 모드나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카메라(189)를 활성화시켜 사용자를 촬상하고, 사용자의 모션 변화를 추적하여 전원 온 오프 등과 같은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 음성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그 밖에,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들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술한 제어부(130)의 동작은 저장부(16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부(160)에는 UI 제공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각종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입력되거나 설정되는 각종 데이터, 컨텐츠 등과 같이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UI 제공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120)는 RAM(121), ROM(122), 메인 CPU(123), 그래픽 처리부(12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5-1 ~ 125-n), 버스(126)를 포함한다.
RAM(121), ROM(122), 메인 CPU(123),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5-1 ~ 125-n) 등은 버스(13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5-1 내지 12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메인 CPU(123)는 저장부(16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6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6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2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23)는 ROM(12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60)에 저장된 O/S를 RAM(12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23)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21)에 복사하고, RAM(12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24)는 메인 CPU(123)의 제어에 따라 각종 화면을 구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또한, 그래픽 처리부(124)는 화면에 대한 표시 상태 값을 계산한다. 표시 상태 값이란 화면상에서 객체가 표시될 위치의 좌표값, 객체의 형태, 크기, 컬러 등을 나타내는 속성값 등이 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부(124)는 표시 상태 값이 계산되면, 그 값에 기초하여 렌더링을 수행하여, 화면을 생성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UI 제공 장치(100)의 구성은 일 예일 뿐이므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8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저장부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계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따르면, 저장부(160)에는 베이스 모듈(161), 센싱 모듈(162), 통신 모듈(163), 프리젠테이션 모듈(164), 웹 브라우저 모듈(165), 컨텐츠 처리 모듈(166)을 포함한다.
베이스 모듈(161)이란 UI 제공 장치(100)에 구비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을 의미한다.
베이스 모듈(161)은 스토리지 모듈(161-1), 위치 기반 모듈(161-2), 보안 모듈(161-3), 네트워크 모듈(161-4) 등을 포함한다.
스토리지 모듈(161-1)이란 데이터베이스(DB)나 레지스트리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메인 CPU(123)는 스토리지 모듈(161-1)을 이용하여 저장부(160)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여, 각종 데이터를 리딩(reading)할 수 있다. 위치 기반 모듈(161-2)이란 GPS 칩 등과 같은 각종 하드웨어와 연동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보안 모듈(161-3)이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고, 네트워크 모듈(161-4)이란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로 DNET 모듈, UPnP 모듈 등을 포함한다.
센싱 모듈(162)은 외부 입력 및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이를 이용하기 위한 모듈이다. 센싱 모듈(162)은 회전 인식 모듈(Rotation Recognition), 음성 인식 모듈(Voice Recognition), 터치 감지 모듈(Touch Recognition), 제스쳐 인식 모듈(Gesture Recognition)을 포함한다. 회전 인식 모듈이란 지자기 센서(151), 자이로 센서(152) 등과 같은 센서에서 감지된 센싱 값을이용하여 회전 각도 및 회전 방향을 산출하는 프로그램이다. 음성 인식 모듈은 마이크(191)에서 수집된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추출하는 프로그램이며, 터치 감지 모듈은 터치 센서(154)에서 감지된 센싱 값을 이용하여 터치 좌표를 검출하는 프로그램이며, 제스쳐 인식 모듈은 카메라(189)에서 촬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제스쳐를 인식하는 프로그램이다.
통신 모듈(163)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통신 모듈(163)은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163-1),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등을 포함하는 전화 모듈(163-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164)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이다. 프리젠테이션 모듈(164)은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64-1),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 그래픽 모듈(164-2)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모듈(164-1)은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UI & 그래픽 모듈(164-2)은 이미지를 조합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화면 상의 좌표를 조합하여 생성하는 좌표 조합 모듈, 하드웨어로부터 각종 이벤트를 수신하는 X11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모듈(165)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웹 브라우저 모듈(165)은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웹 뷰(web view) 모듈,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다운로드 에이전트 모듈, 북마크 모듈, 웹킷(Webkit)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처리 모듈(166)은 저장부(160)에 저장된 컨텐츠를 처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재생 능력 판단 모듈(166-1)은 재생 능력 정보와 컨텐츠 속성을 비교하는 알고리즘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이다. 파서(166-2) 및 코덱(166-3)은 컨텐츠 처리를 위해서 비디오 처리부(135)로 제공되는 소프트웨어이다. 파서(166-2)는 통상적으로 소프트웨어로만 구현되고, 코덱(166-3)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도 있고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경우도 있다.
그 밖에, 네비게이션 서비스 모듈, 게임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각종 프로그램 모듈들은 UI 제공 장치(10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 또는 추가될 수도 있다. 가령, UI 제공 장치(100)가 스마트폰인 경우라면, 전자책 어플리케이션, 게임 어플리케이션 및 기타 유틸리티 프로그램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도 9의 프로그램 모듈들 중에서 일부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에 따르면, 서버(200)는 통신부(210), 저장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UI 제공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는 인터넷 망을 통해 UI 제공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며,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210)는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 UI 출력 정보,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 등을 UI 제공 장치(100)와 송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20)는 사용자별로 매칭된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저장부(220)는 사용자 식별 정보별로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20)는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따라 출력되는 UI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20)는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따라 UI 제공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UI 타입, 그래픽 UI의 사이즈 및 음성 UI의 출력 볼륨 크기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20)는 사용자의 시각 장애 정도가 사물을 전혀 인지할 수 없는 등급인 경우 출력되는 UI 타입이 음성 UI라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20)는 사용자의 시각 장애 정도가 사물을 인지할 수 있는 등급인 경우 출력되는 UI 타입이 그래픽 UI 또는, 그래픽 UI + 음성 UI라는 정보 및 그래픽 UI의 사이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20)는 사용자의 청각 장애 정도가 소리를 전혀 들을 수 없는 등급인 경우 출력되는 UI 타입이 그래픽 UI라는 정보를 저장할 있다. 또한, 저장부(220)는 사용자의 청각 장애 정도가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등급인 경우 출력되는 UI 타입이 음성 UI 또는, 그래픽 UI + 음성 UI라는 정보 및 음성 UI의 출력 볼륨 크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20)는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UI 제공 장치(100)에서 그래픽 UI의 사이즈 및 음성 UI의 출력 볼륨 크기가 사용자 조작에 따라 변경되면, UI 제공 장치(100)는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저장부(220)는 UI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부(220)는 사용자 정보별로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UI 제공 장치(100)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여 UI 제공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UI 제공 장치(100)는 통신 기기(3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UI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 경우, 제어부(230)는 UI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정보를 저장부(220)로부터 검출하고, 이를 통신부(210)를 통해 UI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UI 제공 장치(100)로부터 사용자 정보가 수신되면,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 출력 정보를 UI 출력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저장부(210)에 저장된 정보 즉,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따라 출력되는 UI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UI 출력 정보를 UI 제공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UI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4급 시각 장애인인 것으로 판단되면, 저장부(220)에 저장된 UI 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4급 시각 장애인에게는 제공되는 UI는 그래픽 UI이며 해당 그래픽 UI를 구성하는 UI 구성요소의 사이즈에 대한 정보를 UI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UI 제공 장치(100)로부터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별로 매칭시켜 저장하고, 이후 사용자 정보가 수신되면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를 UI 제공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UI 제공 장치(100)에서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가 기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UI 제공 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UI 출력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서, UI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UI의 출력 상태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230)는 UI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부(220)에 저장하고, 이후 UI 제공 장치(100)로부터 사용자 정보가 수신되면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를 UI 제공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30)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UI에 대한 정보와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를 평균화하고, 평균화된 UI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4급 시각 장애인에 제공되도록 설정된 사이즈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조정된 사이즈를 평균화하고, 평균화된 그래픽 UI의 사이즈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30)는 평균화된 그래픽 UI의 사이즈를 해당 사용자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즉, 4급 시각 장애인에 제공되도록 설정된 사이즈가 7인 반면 사용자 조작에 의해 조정된 사이즈가 9라면, 이들의 평균치인 8을 4급 시각 장애인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UI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11 및 도 12는 통신 기기(3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것으로 판단되면 UI 제공 장치(100)는 음성 UI를 출력할 수 있다. 가령, 도 11과 같이, UI 제공 장치(100)는 환경 설정 메뉴(410)를 디폴트로 설정된 그래픽 UI으로 출력하지 않고, 해당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해당 메뉴를 낭독하는 형태의 음성 UI(420)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UI 제공 장치(100)는 시각 장애 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갖는 UI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그래픽 UI를 출력할 수 있다. 가령, 도 12와 같이, UI 제공 장치(100)는 디폴트로 설정된 환경 설정 메뉴(410)를 보다 큰 사이즈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UI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시각 장애 정도에 따라 그래픽 UI의 사이즈를 조정할 수 있다. 즉, UI 제공 장치(100)는 시각 장애 정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 제공되는 환경 설정 메뉴(430)보다 시각 장애 정도가 상대적 큰 경우에 환경 설정 메뉴(440)의 사이즈를 크게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13 및 도 14는 통신 기기(3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청각 장애인이 것으로 판단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청각 장애인인 것으로 판단되면, UI 제공 장치(100)는 그래픽 UI를 출력할 수 있다. 가령, 도 13과 같이, UI 제공 장치(100)는 환경 설정 메뉴를 음성 형태(510)로 출력하는 것이 디폴트로 설정되었더라도, 사용자가 청각 장애인인 것으로 판단되면 환경 설정 메뉴(520)를 그래픽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UI 제공 장치(100)는 청각 장애 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볼륨 크기를 갖는 음성 UI를 출력할 수 있다. 가령, 도 14와 같이, UI 제공 장치(100)는 디폴트로 설정된 음성 UI를 보다 큰 볼륨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UI 제공 장치(100)는 청각 장애 정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제공되는 음성 UI(530)보다 청각 장애 정도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 음성 UI(540)의 출력 볼륨 크기를 크게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그래픽 UI 및 음성 UI 중 하나가 출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UI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따라, 그래픽 UI 및 음성 UI를 함께 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UI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크기의 사이즈를 갖는 그래픽 UI와 함께 음성 UI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UI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청각 장애인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크기의 음성 UI와 함께 그래픽 UI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15는 UI의 출력 상태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UI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5(a)와 같이, UI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UI의 출력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UI 화면(610)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UI 화면(610)은 변경 대상이 되는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를 나타내는 GUI(611), 그래픽 UI의 사이즈를 조정하는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GUI(612), 음성 UI의 출력 볼륨을 조정하는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GUI(61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GUI(611)에 마련된 상/하 버튼을 선택하여 변경 대상이 되는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GUI(611)의 상 버튼을 선택하면, UI 화면은 5급 시각 장애인에게 설정된 그래픽 UI 및 음성 UI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GUI(611)의 하 버튼을 선택하면, UI 화면은 6급 시각 장애인에게 설정된 그래픽 UI 및 음성 UI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GUI(612) 및 GUI(613)에 마련된 상/하 버튼을 선택하여 그래픽 UI의 사이즈, 음성 UI의 출력 볼륨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UI 화면(610) 상에서 그래픽 UI의 사이즈 및 음성 UI의 출력 볼륨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면, UI 제공 장치(100)는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b)는 사용자에 의해 그래픽 UI의 사이즈가 변경되기 전과 변경된 후, 출력되는 그래픽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 15(b)의 좌측과 같이 사용자 조작에 의해 변경되기 전에는 4급 시각 장애인에 대응되는 사이즈를 갖는 환경 설정 메뉴(620)가 디스플레이되지만, 그래픽 UI의 사이즈가 사용자에 의해 변경된 경우 이후 4급 시각 장애인에게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된 사이즈를 갖는 환경 설정 메뉴(63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장치의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 통신 기기(30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다(S710). 이 경우, NFC 리더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 NFC 태그와 태깅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정보는 장애 유형, 장애 유형에 따른 장애 정도 및 사용자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식별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통신 기기(3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해당 정보들을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획득된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도록 UI(User Interface)를 설정한다(S720). 그리고, 설정된 UI를 출력한다(S730).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장애 유형이 시각 장애인 경우, 시각 장애 정도에 따라 그래픽 UI 및 음성 UI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각 장애 정도가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경우 해당 레벨에 대응되는 그래픽 UI를 출력하고, 시각 장애 정도가 기설정된 레벨 미만인 경우 음성 UI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사용자의 장애 유형이 청각 장애인 경우, 청각 장애 정도에 따라 그래픽 UI 및 음성 UI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청각 장애 정도가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경우 해당 레벨에 대응되는 음성 UI를 출력하고, 청각 장애 정도가 기설정된 레벨 미만인 경우 그래픽 UI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가 UI 제공 장치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고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 출력 정보를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르면, UI의 출력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고, 사용자 조작에 따라 UI의 출력 상태가 변경된 후 사용자 정보가 수신되면, 변경된 UI를 출력할 수 있다. 즉, 그래픽 UI에 포함된 UI 구성요소의 사이즈가 조정되거나 음성 UI의 출력 볼륨 크기가 조정되면,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후 사용자 정보가 재차 수신되면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조작에 따라 UI의 출력 상태가 변경되면, 변경된 UI 에 대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UI 제공 장치는 서버(200)로부터 UI 출력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서버(200)로부터 UI 출력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출력하는 경우, UI 출력 장치는 서버(200)로 변경된 UI 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며, 서버(200)는 변경된 UI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도시한 블록도에서는 버스(bus)를 미도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통신은 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상술한 다양한 단계를 수행하는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UI 제공 장치 110 : 수신부
120 : 제어부 130 : 출력부
120 : 제어부 130 : 출력부
Claims (22)
- UI 제공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 통신 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획득된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따라 그래픽 UI(User Interface) 또는 음성 UI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도록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결정된 UI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 NFC 태그와 태깅을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NFC 리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장애 유형이 청각 장애이고 상기 사용자의 청각 장애 정도가 기설정된 제1 레벨 이상인 경우 해당 레벨에 대응되는 음성 UI를 출력하고, 상기 청각 장애 정도가 상기 기설정된 제1 레벨 미만이고 기 설정된 제2 레벨 이상인 경우 그래픽 UI 및 음성 UI를 출력하고, 상기 청각 장애 정도가 상기 기 설정된 제2 레벨 미만인 경우, 그래픽 UI만 출력하도록 결정하고,
상기 음성 UI는 사용자의 청각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볼륨 크기로 출력 되는, UI 제공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장애 유형, 장애 유형에 따른 장애 정도 및, 사용자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비디오 출력부; 및,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장애 유형이 시각 장애인 경우, 시각 장애 정도에 따라 그래픽 UI 및 음성 UI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각 장애 정도가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경우 해당 레벨에 대응되는 그래픽 UI를 출력하고, 상기 시각 장애 정도가 기설정된 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음성 UI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비디오 출력부; 및,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하는 UI 제공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가 상기 UI 제공 장치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 출력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I의 출력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UI의 출력 상태가 변경된 후 상기 사용자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변경된 UI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UI의 출력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UI 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장치. - UI 제공 장치의 UI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 통신 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수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획득된 사용자의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따라 그래픽 UI(User Interface) 또는 음성 UI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도록 결정하는 단계; 및,
출력부를 통해 상기 결정된 UI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NFC 리더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 NFC 태그와 태깅을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출력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장애 유형이 청각 장애이고 상기 사용자의 청각 장애 정도가 기설정된 제1 레벨 이상인 경우 해당 레벨에 대응되는 음성 UI를 출력하고, 상기 청각 장애 정도가 상기 기설정된 제1 레벨 미만이고 기 설정된 제2 레벨 이상인 경우 그래픽 UI 및 음성 UI를 출력하고, 상기 청각 장애 정도가 상기 기 설정된 제2 레벨 미만인 경우, 그래픽 UI만 출력하도록 결정하고,
상기 음성 UI는 사용자의 청각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볼륨 크기로 출력 되는, UI 제공 방법. - 삭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장애 유형, 장애 유형에 따른 장애 정도 및, 사용자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UI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장애 유형이 시각 장애인 경우, 시각 장애 정도에 따라 그래픽 UI 및 음성 UI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시각 장애 정도가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경우 해당 레벨에 대응되는 그래픽 UI를 출력하고, 상기 시각 장애 정도가 기설정된 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음성 UI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 삭제
- 삭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UI 제공 방법은,
상기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가 상기 UI 제공 장치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장애 유형 및 장애 정도에 대응되는 UI 출력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UI의 출력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UI의 출력 상태가 변경된 후 상기 사용자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변경된 UI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UI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UI의 출력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UI 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2625A KR102069300B1 (ko) | 2012-08-23 | 2012-08-23 | Ui 제공 장치 및 그의 ui 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2625A KR102069300B1 (ko) | 2012-08-23 | 2012-08-23 | Ui 제공 장치 및 그의 ui 제공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25928A KR20140025928A (ko) | 2014-03-05 |
KR102069300B1 true KR102069300B1 (ko) | 2020-01-22 |
Family
ID=50640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2625A KR102069300B1 (ko) | 2012-08-23 | 2012-08-23 | Ui 제공 장치 및 그의 ui 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930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91222A (ko) * | 2020-12-23 | 2022-06-30 |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 다중이용장비 유니버셜 제어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304110B2 (en) | 2013-12-26 | 2019-05-28 | Ebay Inc. | Ticket listing triggered by URL links |
US10789554B2 (en) | 2014-01-08 | 2020-09-29 | Stubhub, Inc. | Validity determination of an event ticket and automatic population of admission information |
KR20170019815A (ko) * | 2015-08-12 | 2017-02-22 | (의료)길의료재단 | 신체 및 인지능력 평가를 통한 고령자 맞춤형 ui/ux 출력 방법 |
KR102662558B1 (ko) | 2016-11-02 | 2024-05-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
KR20180053883A (ko) * | 2016-11-14 | 2018-05-24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사용자 정보 및 콘텐츠 속성에 따라 변경되는 컨트롤러 유저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US11368810B2 (en) | 2018-10-31 | 2022-06-21 | Stubhub, Inc. | Digital content reconfiguration based on physical accommodations |
KR20200072798A (ko) * | 2018-12-13 | 2020-06-23 | 주식회사 이드웨어 | 개인화된 치매 예방 훈련 ui 생성 방법 |
KR20200072797A (ko) * | 2018-12-13 | 2020-06-23 | 주식회사 이드웨어 | 개인화된 치매 예방 훈련 시스템 |
KR102142033B1 (ko) * | 2019-06-26 | 2020-08-06 | 주식회사 샘물정보통신 | 수화 통역 검증 시스템 |
KR20240028852A (ko) * | 2022-08-25 | 2024-03-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05746A (ja) * | 1999-04-16 | 2000-11-02 | Mitsubishi Electric Corp | 画面制御方式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54315A (ko) * | 2005-11-23 | 2007-05-29 | 박정은 | 전시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KR100908734B1 (ko) * | 2007-07-30 | 2009-07-22 |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시각장애인을 위한 교통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1051036B1 (ko) * | 2009-07-20 | 2011-07-21 | 김시중 | 사용자 개개인의 청력에 맞추어 오디오 기기의 음질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
-
2012
- 2012-08-23 KR KR1020120092625A patent/KR10206930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05746A (ja) * | 1999-04-16 | 2000-11-02 | Mitsubishi Electric Corp | 画面制御方式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91222A (ko) * | 2020-12-23 | 2022-06-30 |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 다중이용장비 유니버셜 제어 시스템 |
KR102458421B1 (ko) * | 2020-12-23 | 2022-10-26 | 대한민국 | 다중이용장비 유니버셜 제어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25928A (ko) | 2014-03-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69300B1 (ko) | Ui 제공 장치 및 그의 ui 제공 방법 | |
US10701273B1 (en)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10365800B2 (en) | User interface (UI) providing apparatus and UI providing method thereof | |
US20190339740A1 (en) |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 |
US11178214B2 (en) |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electronic key thereof | |
US20190155492A1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 |
EP3105657B1 (en) |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 |
US10168797B2 (en) | Terminal apparatus, audio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volume of external speaker thereof | |
EP2808781B1 (en) | Method,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for mirroring screen data | |
CN106168875B (zh) |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 |
AU2018203008A1 (en) |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interfacing method thereof | |
US20150227225A1 (en) |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 |
US11157127B2 (en)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TW201643661A (zh) | 使用者終端裝置及其控制方法 | |
US20160191837A1 (en) |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 |
KR20200128493A (ko)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40136349A (ko) | 대화 기록 장치 및 그 방법 | |
KR101875744B1 (ko) |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 |
US20140101561A1 (en)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ui providing method thereof, and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EP2763383A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hort-cut number in user device | |
KR102351634B1 (ko) | 사용자 단말장치, 음향 시스템 및 외부 스피커의 음량 제어 방법 | |
KR102246645B1 (ko) | 영상 획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
US11284003B2 (en)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AU2014299558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curity environment | |
KR102317026B1 (ko) | 디바이스 및 그 전자 키 전송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