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044401B1 - 웨어러블 단말기, 스마트 단말기 및 웨어러블 단말기에 의한 스마트 단말기 간편 사용 인증 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단말기, 스마트 단말기 및 웨어러블 단말기에 의한 스마트 단말기 간편 사용 인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401B1
KR102044401B1 KR1020180126590A KR20180126590A KR102044401B1 KR 102044401 B1 KR102044401 B1 KR 102044401B1 KR 1020180126590 A KR1020180126590 A KR 1020180126590A KR 20180126590 A KR20180126590 A KR 20180126590A KR 102044401 B1 KR102044401 B1 KR 102044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terminal
authentication
terminal
current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진
Original Assignee
정해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해진 filed Critical 정해진
Priority to KR1020180126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4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로 전류를 흘려보낼 수 있는 스마트 단말기, 인체로부터 전류를 감지할 수 있는 웨어러블 단말기 및 인체를 통하는 전류를 이용하여 간단한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마트 단말기 간편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상호 작용에 의한 간편 인증 방법으로서, (a)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가 인체 착용 상태를 감지한 컨디션에서 보안 인증 후 지정된 스마트 단말기에 대한 인증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스마트 단말기가 인증신호를 수신하고, 그립(grip)을 감지하는 즉시 또는 그립을 감지한 상태에서 온버튼이 눌려지는 즉시 호출전류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웨어버블 단말기가 상기 호출전류를 감지하는 즉시 응답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스마트 단말기가 상기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보안모드를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단말기에 의한 스마트 단말기 간편 사용 인증 방법」을 함께 제공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단말기, 스마트 단말기 및 웨어러블 단말기에 의한 스마트 단말기 간편 사용 인증 방법{Wearable device, Smart device and Smart device simple authentication method by wearable device }
본 발명은 인체로 전류를 흘려보낼 수 있는 스마트 단말기, 인체로부터 전류를 감지할 수 있는 웨어러블 단말기 및 인체를 통하는 전류를 이용하여 간단한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마트 단말기 간편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의 스마트 단말기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고, 이에 발맞추어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교신이 이루어지며 각종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웨어러블 단말기가 시계, 안경, 목걸이 등의 형태로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다. 스마트 단말기의 발전에 따라 각 스마트 단말기에는 사용자의 중요한 정보, 자료, SNS, 통신 내역 등이 기록되므로 보안을 위한 인증 수단도 함께 발전하고 있다.
현재, 인증의 신뢰성과 편의성을 모두 충족시키기 위해 지문인식, 홍체인식, 안면인식 등의 생체인식을 통한 인증방식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다만, 지문인식은 손가락을 정확히 대기 어려울 때가 있고, 손에 물이 묻은 상황에서는 인식이 안되는 문제가 있고, 홍체인식은 카메라와의 각도 및 거리를 잘 맞춰야 하며, 안면인식 역시 홍체인식과 비슷한 문제에 더하여 화장이나 모자, 안경 착용 등에 따라 인식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은 등 생체인식의 개별 수단별로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웨어러블 단말기를 이용한 스마트 단말기 사용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들이 소개되고 있는데, 공개특허 10-2016-0149651, 등록특허 10-1646566, 공개특허 10-2017-0133577 등과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스마트 단말기 사용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들이 대부분이다.
다만, 생체신호 분석 기술은 적용이 어렵고, 사용자의 생체 상태에 따라 사용자 인식에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비정형적 상황(연동된 단말기를 타인이 소지한 경우 등)에 대한 대응이 어려워 보안상의 취약점도 있다.
1. 공개특허 10-2016-0149651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환경에서의 피부 임피던스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 2. 등록특허 10-1646566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환경에서의 심전도 신호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 3. 공개특허 10-2017-0133577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본 발명은 웨어러블 단말기와 스마트 단말기 간에 인체를 통한 전류가 흐르면 스마트 단말기의 보안이 해제되도록 하는 간편한 방식의 스마트 단말기 사용 인증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인체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착용감지부; 상기 착용감지부가 인체 착용 상태를 감지한 컨디션에서 보안 인증 후 지정된 스마트 단말기에 대한 인증신호를 생성하는 인증부; 상기 인체를 통해 호출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 및 상기 전류감지부에서 호출전류를 감지하는 즉시 응답신호를 생성하는 응답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웨어러블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안모드에서, 지정된 웨어러블 단말기로부터 인증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활성화되어 그립(grip)을 감지하는 그립감지부; 상기 그립감지부가 그립을 감지하는 즉시 또는 그립을 감지한 상태에서 스마트 단말기의 화면을 켜는 온버튼이 눌려지는 즉시 호출전류를 생성하여 인체로 흘려보내는 전류생성부; 및 상기 호출전류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보안모드를 해제하고, 화면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화하면서 상기 보안모드가 복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스마트 단말기」를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상호 작용에 의한 간편 인증 방법으로서, (a)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가 인체 착용 상태를 감지한 컨디션에서 보안 인증 후 지정된 스마트 단말기에 대한 인증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스마트 단말기가 인증신호를 수신하고, 그립(grip)을 감지하는 즉시 또는 그립을 감지한 상태에서 온버튼이 눌려지는 즉시 호출전류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웨어버블 단말기가 상기 호출전류를 감지하는 즉시 응답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스마트 단말기가 상기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보안모드를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단말기에 의한 스마트 단말기 간편 사용 인증 방법」을 함께 제공한다.
상기 (b)단계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가 보안모드에서만 상기 호출전류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응답신호로는 인체에 흘려보내는 전류 또는 도달 거리가 제한된 전파를 적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웨어러블 단말기를 착용하고, 스마트 단말기에 대한 일반적인 인증을 거친 후에는 스마트 단말기를 손으로 잡는 것만으로 사용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어,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 편의성이 높아진다.
2. 본 발명에 따른 사용 인증에 의해 스마트 단말기의 보안모드가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의 착용을 해제하거나, 스마트 단말기를 손에서 놓은 채 화면이 오프되거나, 스마트 단말기가 웨어러블 단말기로부터 멀어지는 등의 상황에서는 다시 보안모드가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보안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단말기에 의한 스마트 단말기 간편 사용 인증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웨어러블 단말기와 스마트 단말기의 구성 및 상호 작용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웨어러블 단말기에서 인증신호를 생성하는 여러 가지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기(200)가 인체로 호출전류를 흘려 보내고, 이에 대해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발신한 응답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사용자 인증(보안모드 해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웨어러블 단말기(100), 스마트 단말기(200) 및 웨어러블 단말기(100)에 의한 스마트 단말기(200)의 간편 사용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착용감지부(110); 상기 착용감지부(110)가 인체 착용 상태를 감지한 컨디션에서 보안 인증 후 지정된 스마트 단말기(200)에 대한 인증신호를 생성하는 인증부(120); 상기 인체를 통해 호출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130); 및 상기 전류감지부(130)에서 호출전류를 감지하는 즉시 응답신호를 생성하는 응답부(14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제공한다.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시계, 목걸이, 안경 등의 형태로 스마트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수단으로 교신하고, 시각전달수단(화면), 청각전달수단(스피커), 촉각전달수단(진동)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으로 사용자에게 필요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기기를 통칭한다. [도 2]는 손목시계형 웨어러블 단말기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시된 착용감지부(110), 인증부(120), 전류감지부(130) 및 응답부(140)는 설계상의 필요에 따라 그 형태와 배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착용감지부(110)가 인체 착용 상태를 감지한 경우, 상기 인증부(120)는 보안 인증 후 지정된 스마트 단말기(200)의 보안모드 해제를 위한 인증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인체 착용 상태"라 함은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종류에 따른 착용 상태를 완성하고, 전원을 켠(on) 상태를 의미한다.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물리적으로 착용했더라도 전원을 끈(off) 상태는 "착용 해제 상태"로 취급한다.
상기 보안 인증은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100) 또는 지정된 스마트 단말기(200)를 통한 텍스트(암호) 입력, 음성인식, 패턴인식, 생체인식 등의 수단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인증신호는 전류, 전파 등의 형태로 생성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착용감지부(110)가 착용 해제 상태를 감지한 컨디션에서는 소극적으로 상기 인증신호 생성을 차단하거나 적극적으로 인증 차단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안 인증을 위해 웨어러블 단말기(100)와 스마트 단말기(200) 간의 페어링이 선행되도록 하거나, 상기 보안 인증과 함께 또는 보안 인증 후에 웨어러블 단말기와 스마트 단말기간의 페어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도 3]의 ①방법(페어링 → 보안인증 → 인증신호 생성), ②방법(보안인증 → 페어링 → 인증신호 생성) 및 ③방법(보안인증/페어링 → 인증신호 생성)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①,②방법상의 페어링과 보안인증 사이 또는 보안인증과 페어링 사이에는 물리적으로 시차가 발생할 수 있으나, 보안인증과 인증신호 발생 또는 페어링과 인증신호 발생은 개념적으로는 선·후 관계가 성립되더라도 물리적으로는 동시에 진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③방법과 같이 보안인증과 페어링이 동시에 진행되고, 인증신호 생성 역시 물리적으로는 동시에 진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착용감지부(110)와 인증부(120)의 작용을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사용 상황에 따라 풀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착용감지부(110) 및 상기 인증부(120)는 아무런 작용을 하지 않는다. 스마트 단말기(200)는 자체 설정에 의해 보안모드 상태, 보안모드 해제 상태가 선택적으로 운용된다.
(2)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상기 착용감지부(110)의 인체 착용 상태 감지에 따라 상기 인증부(120)가 작동하여 보안 인증 후 인증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지정된 스마트 단말기(200) 및 웨어러블 단말기(100)에서 후속 작업이 이루어지는 조건을 형성시킨다. 상기 보안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인증신호를 생성하지 않으며, 스마트 단말기(200)는 자체 설정에 의해 보안모드 상태, 보안모드 해제 상태가 선택적으로 운용된다.
(3)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착용하고 있다가 착용을 해제하면, 상기 착용감지부(110)가 착용 해제 상태를 감지하여 소극적으로 인증신호의 생성을 차단하거나, 적극적으로 인증 차단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인증신호의 생성 차단 또는 인증 차단신호 생성에 의해, 스마트 단말기(200)는 자체 설정에 의해 보안모드 상태, 보안모드 해제 상태가 선택적으로 운용된다.
상기 전류감지부(130)는 상기 인체를 통해 호출전류를 감지하고, 상기 응답부(140)는 상기 전류감지부(130)에서 호출전류를 감지하는 즉시 응답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전류감지부(130)와 응답부(140)의 구동은 상기 인증신호를 수신한 스마트 단말기(200)에서 생성하여 인체에 흘려보낸 호출전류에 반응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에 관한 상세한 사항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스마트 단말기(200)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모드에서, 지정된 웨어러블 단말기(100)로부터 인증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활성화되어 그립(grip)을 감지하는 그립감지부(210); 상기 그립감지부(210)가 그립을 감지하는 즉시 또는 그립을 감지한 상태에서 스마트 단말기의 화면을 켜는 온버튼이 눌려지는 즉시 호출전류를 생성하여 인체로 흘려보내는 전류생성부(220); 및 상기 호출전류에 대한 응답신호(230)를 수신하여 상기 보안모드를 해제하고, 화면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화하면서 상기 보안모드가 복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3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스마트 단말기(200)」를 제공한다.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을 통칭하며, 전술한 바와 같은 그립감지부, 전류생성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스마트 단말기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시된 그립감지부(210), 전류생성부(220) 및 제어부(230)는 설계상의 필요에 따라 그 형태와 배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그립감지부(219)는 보안모드에서 지정된 웨어러블 단말기(100)로부터 인증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활성화되어 그립(grip)을 감지한다. 즉, 상기 그립감지부(210)는 스마트 단말기(200)의 1) 보안모드 조건과, 2) 인증신호 수신 조건을 모두 만족할 때 그 기능이 활성화된다. 스마트 단말기(200)가 그립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베젤(bezel), 후면부 등 사용자 손이 많이 닿는 부분에 탐촉자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립(grip)의 사전적 정의는 물건을 감싸쥐는 것을 의미하나, 본 발명에서는 손으로 특정 부위를 터치하는 것을 그립(grip)의 범주에서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의 보안모드가 비활성화된 경우에는 상기 그립감지부(210) 역시 비활성화되어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한다.
상기 보안모드가 활성화된 경우라도 상기 인증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그립감지부(210)는 비활성화된다.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이거나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착용했더라도 보안 인증을 거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그립감지부(210)가 활성화되어 그립을 감지하고, 후속 작용에 의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의 보안모드가 해제된 상태이더라도,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100)로부터 인증신호가 차단되거나 인증 차단신호를 수신한 경우(웨어러블 단말기의 착용 해제 상태)에는 상기 그립감지부(210)가 비활성화되고, 해제되었던 스마트 단말기(200)의 보안모드가 다시 활성화된다.
상기 전류생성부(220)는 상기 그립감지부(210)가 그립을 감지하는 즉시 또는 그립을 감지한 상태에서 스마트 단말기의 화면을 켜는 온버튼이 눌려지는 즉시 호출전류를 생성하여 인체로 흘려보내고,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전류감지부(130)는 상기 인체를 통해 호출전류를 감지한다.
상기 온버튼은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기(200)를 사용하기 위해 화면이 켜지도록 누르는 전원버튼, 홈버튼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온버튼은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와 페어링된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재생버튼 등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의 화면을 켜는 기능이 있는 모든 버튼을 포함한다.
인체의 상당 부분은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미세전류도 잘 통하며, 전류의 식별을 위해 다양한 파장(Hz)의 전류를 호출전류로 특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의 응답부(130)는 상기 호출전류에 대한 응답신호를 생성하는데, 상기 응답신호는 "인체에 흘려보내는 전류"의 형태로 생성하거나, "도달 거리가 제한된 전파"의 형태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호출전류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보안모드를 해제하고, 화면이 오프된 상태에서는 상기 보안모드가 복구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보안모드가 복구된 상태에서 다시 그립감지부(210)가 그립을 감지하거나, 그립을 감지한 상태에서 온버튼이 눌려지면 곧바로 호출전류를 생성하여 인체로 흘려보내고, 상기 호출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다시 보안모드가 해제되고, 상기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보안모드를 유지한다.
상기 그립감지부(210)가 그립을 감지하는 즉시 호출전류를 생성시키도록 구성된 경우는 스마트 단말기(200) 화면이 오프 상태이더라도 사용자의 그립에 의해 상기 호출전류와 응답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져 보안모드가 해제되고, 이후 상기 온버튼을 누르면 아무런 추가 작용 없이 스마트 단말기(20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그립감지부(210)가 그립을 감지한 상태에서 온버튼이 눌려지는 즉시 호출전류를 생성시키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기(200) 사용을 위해 온버튼을 누를 때 비로소 호출전류와 응답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져 보안모드가 해제된다.
스마트 단말기(200)는 일정 시간 동안에 화면 터치가 없거나 재생되는 영상이 없으면 화면이 오프되도록 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화면 오프와 함께 보안 해제 상태도 마감되어 보안모드가 복구되도록 하였다. 이후에 복구된 보안모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호출전류와 응답신호의 송·수신이 다시 이루어져야 하므로 스마트 단말기(200)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면서도 보안상의 문제를 해소하였다.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응답신호를 전류 또는 전파로 생성시킬 수 있다.
응답신호를 "전류"로 생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호출전류와는 다른 파장의 전류를 사용하여 양자가 구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기(200)를 손에서 놓아 두면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제어부(230)가 상기 응답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므로, 스마트 단말기(200)의 보안모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를 사용하는 상황에 따라 본 발명의 작용을 부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착용하고, 스마트 단말기(200)가 인증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를 짚어든 즉시(그립 상태) 또는 짚어들고 온버튼을 누르는 즉시(그립 상태에서 온버튼을 누를 때) 상기 그립감지부(210)가 인체로 호출전류를 흘려낸다. 이후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는 상기 호출전류에 대하여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발신한 응답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보안모드가 해제된다. 이후로는 스마트 단말기(200) 화면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 전환될 때 다시 보안모드가 복귀되나,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스마트 단말기를 짚어 들거나 스마트 단말기를 집어 들고 온버튼(홈버튼 또는 전원버튼)을 누른 후 곧바로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호출전류와 응답신호의 교환에 의해 보안모드가 다시 해제되기 때문이다.
(2)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가 인증신호를 수신한 경우라 하더라도,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착용한 사용자 외의 다른 사람이 스마트 단말기(200)를 집어 들어 온버튼을 누르는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가 호출전류를 인체에 흘려보내더라도 이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할 수 없으므로 보안모드는 해제되지 않는다.
(3) 전술한 과정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200)의 보안모드 해제 상태가 유지되고 있더라도,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착용상태를 해제(웨어러블 단말기의 전원을 끄거나 물리적으로 이탈 시킴)하면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인증신호의 생성을 차단하거나 인증 차단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으로 상기 그립감지부(210)를 비활성화 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보안모드가 활성화된다.
(4) 전술한 과정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200)의 보안모드 해제 상태가 유지되고,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착용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스마트 단말기(200)가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스마트 단말기(200)와 웨어러블 단말기(100) 상호 간의 일반적인 거리 감지 기능을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의 보안모드가 자동으로 복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해 스마트 단말기(200)의 보안모드가 해제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기(200)를 특정 장소에 놔두고 일정 거리 만큼 이동한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에서 상기 인증신호를 감지하지 못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보안모드가 복원된다.
(5) 전술한 과정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200)의 보안모드 해제 상태가 유지되고,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착용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스마트 단말기(200)가 사용자로부터 멀어지지 않은 경우라도, 스마트 단말기(200)의 일반 설정에 의해 일정 시간 경과 후에는 화면이 오프되고, 보안모드가 복구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 외의 타인이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를 들거나, 스마트 단말기(200)를 들고 온버튼을 눌러 호출전류가 발생되더라도, 응답신호는 수신할 수 없으므로 보안모드는 해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전술한 웨어러블 단말기(100)와 스마트 단말기(200)의 상호 작용에 의한 간편 인증 방법으로서, 「(a)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인체 착용 상태를 감지한 컨디션에서 보안 인증 후 지정된 스마트 단말기(200)에 대한 인증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가 인증신호를 수신하고, 그립(grip)을 감지하는 즉시 또는 그립을 감지한 상태에서 온버튼이 눌려지는 즉시 호출전류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웨어버블 단말기(100)가 상기 호출전류를 감지하는 즉시 응답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가 상기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보안모드를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기 간편 사용 인증 방법」을 함께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가 보안모드 상태인 것이 전제된다.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는 보안모드 상태이되,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착용하고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에서 생성한 인증신호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가 수신한 상태(이하, '상호 인증 상태'라 함)에서,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기(200)를 사용하기 위해 손으로 짚어들거나, 손으로 짚어들고 온버튼을 누르는 것 자체로 보안모드가 해제되어 그 사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이 제공하는 스마트 단말기 간편 인증 방법이 구현되기 위한 전제 조건은,
1)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를 착용할 것(이하, '1조건'이라 함)
2) 웨어러블 단말기와 스마트 단말기의 상호 인증 상태일 것(이하, '2조건'이라 함)
3) 스마트 단말기가 호출전류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할 것(이하, '3조건'이라 함)으로 정리할 수 있다.
반대로, 위의 1 내지 3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충족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보안모드가 지속되거나 즉시 복원됨으로써 정보 보안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단말기(100)나 스마트 단말기(200)가 사용자로부터 이탈한 경우에는 양 기기 간의 상호 인증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보안모드가 실행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스마트 단말기 간편 인증 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a)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인체 착용 상태를 감지한 컨디션에서 보안 인증 후 지정된 스마트 단말기(200)에 대한 인증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즉,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100) 또는 스마트 단말기(200)를 통해 인증정보(패턴입력, 암호입력, 신체인식 등)를 입력함으로써 보안 인증이 이루어지고 지정된 스마트 단말기에 대한 인증신호를 생성한다.
반대로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인체 착용 상태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즉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전원이 꺼지거나 사용자에게서 이탈한 경우에는 상기 인증신호의 생성이 차단되거나, 인증 차단신호가 생성되도록 한다.
본 (a)단계는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착용 해제 상태에서 착용 상태로 전환될 때마다 거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b)단계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가 인증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그립이 감지되는 즉시 또는 그립이 감지된 상태에서 온버튼이 눌려지는 즉시 호출전류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1,2 조건이 충족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기(200)를 손에 쥐거나, 손에 쥐고 온버튼을 누름으로써 상기 호출전류가 생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스마트 단말기(200)의 베젤부에 탐촉자가 구비되어야 한다는 점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호출전류는 인체를 통해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전류감지부(130)로 전달된다.
상기 호출전류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가 보안모드일 때에만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미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의 보안모드가 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본 발명의 적용이 불필요하므로 전력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c)단계는 상기 웨어버블 단말기(100)가 상기 호출전류를 감지하는 즉시 응답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즉,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기(200)를 손에 쥔 것을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인식하고 그 인식상황을 상기 응답신호를 통해 전달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응답신호로는 인체에 흘려보내는 전류나, 도달 거리가 제한된 전파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d)단계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가 상기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보안모드를 해제하는 단계이다. 보안모드가 해제되었다는 것은 스마트 단말기(200) 사용을 위한 별도 인증(패턴인식, 암호입력, 생체인식 등) 없이 곧바로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을 의미하며, 전술한 1 내지 3조건이 충족되고 있는 이상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보안모드 해제 상태가 지속되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진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위의 실시 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수정 또는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와 같은 수정 또는 변형을 포함한다.
100 : 웨어러블 단말기 110 : 착용감지부
120 : 인증부 130 : 전류감지부
140 : 응답부
200 : 스마트 단말기 210 : 그립감지부
220 : 전류생성부 230 : 제어부

Claims (5)

  1. 스마트 단말기와 연동되는 웨어러블 단말기로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보안모드에서 지정된 웨어러블 단말기로부터 인증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활성화되어 그립(grip)을 감지하는 그립감지부; 및 상기 그립감지부가 그립을 감지하는 즉시 또는 그립을 감지한 상태에서 스마트 단말기의 화면을 켜는 온버튼이 눌려지는 즉시 호출전류를 생성하여 인체로 흘려보내는 전류생성부; 가 구비된 것이고,
    인체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착용감지부;
    상기 착용감지부가 인체 착용 상태를 감지한 컨디션에서 보안 인증 후 지정된 스마트 단말기에 대한 인증신호를 생성하는 인증부;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서 생성된 호출전류를 상기 인체를 통해 감지하는 전류감지부; 및
    상기 전류감지부에서 호출전류를 감지하는 즉시 응답신호를 생성하는 응답부; 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가 상기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보안모드를 해제토록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2. 웨어러블 단말기와 연동되는 스마트 단말기로서,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는, 인체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착용감지부; 상기 착용감지부가 인체 착용 상태를 감지한 컨디션에서 보안 인증 후 지정된 스마트 단말기에 대한 인증신호를 생성하는 인증부; 상기 인체를 통해 호출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 및 상기 전류감지부에서 호출전류를 감지하는 즉시 응답신호를 생성하는 응답부; 가 구비된 것이고,
    보안모드에서, 지정된 웨어러블 단말기로부터 인증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활성화되어 그립(grip)을 감지하는 그립감지부;
    상기 그립감지부가 그립을 감지하는 즉시 또는 그립을 감지한 상태에서 스마트 단말기의 화면을 켜는 온버튼이 눌려지는 즉시 호출전류를 생성하여 인체로 흘려보내는 전류생성부; 및
    상기 호출전류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보안모드를 해제하고, 화면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화하면서 상기 보안모드가 복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스마트 단말기.
  3. 제1항의 웨어러블 단말기와 제2항의 스마트 단말기의 상호 작용에 의한 간편 인증 방법으로서,
    (a)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가 인체 착용 상태를 감지한 컨디션에서 보안 인증 후 지정된 스마트 단말기에 대한 인증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스마트 단말기가 인증신호를 수신하고, 그립(grip)을 감지하는 즉시 또는 그립을 감지한 상태에서 온버튼이 눌려지는 즉시 호출전류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가 상기 호출전류를 감지하는 즉시 응답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스마트 단말기가 상기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보안모드를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단말기에 의한 스마트 단말기 간편 사용 인증 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가 보안모드에서만 상기 호출전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에 의한 스마트 단말기 간편 사용 인증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서,
    상기 응답신호는 인체에 흘려보내는 전류 또는 전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에 의한 스마트 단말기 간편 사용 인증 방법.
KR1020180126590A 2018-10-23 2018-10-23 웨어러블 단말기, 스마트 단말기 및 웨어러블 단말기에 의한 스마트 단말기 간편 사용 인증 방법 KR102044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590A KR102044401B1 (ko) 2018-10-23 2018-10-23 웨어러블 단말기, 스마트 단말기 및 웨어러블 단말기에 의한 스마트 단말기 간편 사용 인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590A KR102044401B1 (ko) 2018-10-23 2018-10-23 웨어러블 단말기, 스마트 단말기 및 웨어러블 단말기에 의한 스마트 단말기 간편 사용 인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4401B1 true KR102044401B1 (ko) 2019-12-02

Family

ID=68847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590A KR102044401B1 (ko) 2018-10-23 2018-10-23 웨어러블 단말기, 스마트 단말기 및 웨어러블 단말기에 의한 스마트 단말기 간편 사용 인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4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9648A1 (ko) * 2022-02-07 2023-08-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22914A (ja) * 2013-03-15 2016-08-04 プロテウス デジタル ヘル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本人認証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646566B1 (ko) 2015-06-18 2016-08-0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환경에서의 심전도 신호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49651A (ko) 2015-06-18 2016-12-2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환경에서의 피부 임피던스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20170133577A (ko) 2016-05-25 2017-12-06 한국스마트아이디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22914A (ja) * 2013-03-15 2016-08-04 プロテウス デジタル ヘル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本人認証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646566B1 (ko) 2015-06-18 2016-08-0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환경에서의 심전도 신호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49651A (ko) 2015-06-18 2016-12-2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환경에서의 피부 임피던스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20170133577A (ko) 2016-05-25 2017-12-06 한국스마트아이디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9648A1 (ko) * 2022-02-07 2023-08-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65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llowing access to electronic devices using a body area network
EP3116138B1 (en) Method for implementing short-distance unlocking according to electrocardiogram, and system thereof
US10325083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s
EP3078157B1 (en) A wearable device and a method for storing credentials associated with an electronic device in said wearable device
US1061640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device, terminal device, and wearable device thereof
US12045390B2 (en) Measurement of facial muscle EMG potentials for predictive analysis using a smart wearable system and method
TWI646442B (zh) 用於使用者認證之存活性偵測技術
US10397686B2 (en) Detection of movement adjacent an earpiece device
US20190053739A1 (en) Wearable apparatus, settlement system, and settlement method
KR20160009741A (ko) 착용형 제어장치 및 이를 위한 인증 및 페어링 방법
KR20160148302A (ko) 주변 디바이스의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15121840A (ja) 電子機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60135410A (ko) 생체 신호를 이용한 착용형 인증 장치
KR102044401B1 (ko) 웨어러블 단말기, 스마트 단말기 및 웨어러블 단말기에 의한 스마트 단말기 간편 사용 인증 방법
EP3431003B1 (en) Electronic device, authentication method and program
TWI590100B (zh) 手持裝置的操作方法
CN107133506A (zh) 一种身份认证模式确定方法和装置
KR101826300B1 (ko) 다중 생체인식을 이용한 본인 인증 웨어러블 장치 및 그 방법
CN109891364A (zh) 信息处理装置、方法和程序
KR20160113788A (ko) 형태 변형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한 보안 처리 방법
KR101535964B1 (ko) 인체 탐지 기능을 가지는 착용 방식의 보청기 제어기
CN112865826A (zh) 一种触摸操作的识别方法及穿戴设备
CN112293882A (zh) 具有高度安全性的穿戴装置与其中的皮肤传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