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270B1 -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 조립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37270B1 KR102037270B1 KR1020170063320A KR20170063320A KR102037270B1 KR 102037270 B1 KR102037270 B1 KR 102037270B1 KR 1020170063320 A KR1020170063320 A KR 1020170063320A KR 20170063320 A KR20170063320 A KR 20170063320A KR 102037270 B1 KR102037270 B1 KR 1020372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oint
- synthetic resin
- support
- block
-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8—Alignment aids for plumb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 판넬의 일측에 구비되되 제1 및 제2홀더가 지지된 플렉시블 파이프에 삽입된 합성수지관의 양단부에 제1 및 제2부싱이 각각 끼워진 상태의 플렉시블 파이프의 양단에 구비되는 인조인트 및 아웃조인트가 안착되는 인조인트지지부 및 아웃조인트지지부가 형성되는 조인트 지지블럭과, 상기 인조인트지지부 및 아웃조인트지지부에 지지된 인조인트 및 아웃조인트의 제1 및 제2부싱를 가압하여 상기 제1 및 제2홀더에 지지하는 제1 및 제2부싱 가압블록과, 상기 베이스 판넬의 타측에 구비되되 상기 합성수지관의 타단에 제2부싱을 끼울 수 있도록 상기 아웃조인트로 노출되는 합성수지관의 타단부를 당겨 지지하는 합성수지관 당김지지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부싱 가압블록와 합성수지관 당김지지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 조립장치는 플렉시블 파이프에 삽입하는 합성수지관의 양단부에 제1 및 제2부싱을 각각 끼워 플렉시블 파이프의 인조인트 및 아웃조인트에 끼워 조립하는데 유용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싱크대 수전용으로 사용되는 플렉시블 토수관을 조립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의 싱크대에 설치되는 수도꼭지(Faucet)는 건물 건축시 이미 고정된 높이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서 수도꼭지의 높이에 맞추어 통상적으로 주방용 싱크대가 설치된다.
따라서, 주방에 설치되는 수도꼭지는 항상 일정한 높이를 갖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는 높이 또는 방향조절이 필요하게 되고, 이와 같이 사용상의 편리함을 위한 수단으로 수도꼭지의 토수 노즐을 상하좌우로 회동할 수 있도록 "자바라"라고 하는 플렉시블 토수관을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플렉시블 토수관의 일 예로 등록특허 제10-1158094호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수도꼭지용 가변토수관에 관한 것으로, 상수도와 연결되는 수도꼭지에 설치되는 가변토수관에 있어서, 상기 가변토수관은 내부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이루어지면서 그 양단부에는 부싱이 삽입된 연질의 관로와, 이 관로의 외주면을 감싸는 플렉시블 파이프와, 상기 관로의 양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 및 상기 플렉시블 파이프의 양단부에 각각 제공되어 홀더를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조인트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등록특허의 수도꼭지용 가변토수관은 관로를 플렉시블 파이프의 양단부에는 가변토수관을 구성하는 부품의 고정 및 이 가변토수관을 수도꼭지 및 절수기 헤드에 조립할 수 있도록 조인트가 구비되며, 관로의 양쪽 끝단부에는 부싱이 각각 끼워지고, 부싱의 외측면으로는 상기 조인트에 일체로 조립되어 각각의 부싱을 지지하는 홀더가 위치한다.
그런데 등록특허에서 제안된 바와 같은 종래의 가변토수관은 그 관로를 플렉시블 파이프 내에 삽입하고 양단에 부싱을 끼우고 홀더로 지지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작업에 의존하여 수행함에 따라 가변토수관의 생산성이 저하로 인해 대량생산에 어려움이 있고 아울러 생산원가 상승의 문제점도 안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싱크대 수전용으로 사용되는 플렉시블 토수관을 조립시 수작업을 최소화하여 조립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 조립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물이 이동하는 합성수지관을 플렉시블 파이프 내에 삽입하고 그 합성수지관의 양단을 간단히 고정할 수 있는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 조립장치를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 판넬의 일측에 구비되되 제1 및 제2홀더가 지지된 플렉시블 파이프에 삽입된 합성수지관의 양단부에 제1 및 제2부싱이 각각 끼워진 상태의 플렉시블 파이프의 양단에 구비되는 인조인트 및 아웃조인트가 안착되는 인조인트지지부 및 아웃조인트지지부가 형성되는 조인트 지지블럭과, 상기 인조인트지지부 및 아웃조인트지지부에 지지된 인조인트 및 아웃조인트의 제1 및 제2부싱를 가압하여 상기 제1 및 제2홀더에 지지하는 제1 및 제2부싱 가압블록과, 상기 베이스 판넬의 타측에 구비되되 상기 합성수지관의 타단에 제2부싱을 끼울 수 있도록 상기 아웃조인트로 노출되는 합성수지관의 타단부를 당겨 지지하는 합성수지관 당김지지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부싱 가압블록와 합성수지관 당김지지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부싱 가압블록은 제1 및 제2가압돌부가 로드의 하단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합성수지관 당김지지수단은 상기 아웃조인트가 거치되는 아웃조인트거치부가 형성되는 거치블록과, 상기 아웃조인트거치부에 거치된 아웃조인트의 단부로 노출되는 합성수지관의 타단부를 1차 가압하는 1차 밀착블록과, 상기 1차 밀착블록을 상측으로 이송하는 승강블록과, 상기 승강블록에 의해 상기 합성수지관이 상측으로 당겨지면 상기 아웃조인트의 단부로 노출되는 합성수지관의 타단부를 2차 가압하는 2차 밀착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1차 밀착블록은 승강판의 전면에 고정되는 거치구와, 상기 거치구 방향으로 전후진하며 상기 합성수지관을 상기 거치구의 전면으로 가압하는 제1가압구가 로드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3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블록은 상기 베이스 판넬에 고정되어 로드의 단부에 상기 승강판이 일체로 고정되는 제4실린더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 판넬에는 상기 승강판의 양측을 상하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가이드블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2차 밀착블록은 상기 베이스 판넬에 고정되며 로드의 단부에 상기 합성수지관을 거치블록의 일측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구가 구비되는 제5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판넬은 받침판의 상부에 경첩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판넬의 후측에는 제1지지볼트가 체결되는 지지공이 형성되는 브라켓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의 상부 후측에는 양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지지볼트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복수의 조절공을 전후측에 나란히 구비되는 고정부재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볼트에는 지지대의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며 상기 지지대의 타단부는 제2지지볼트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 조립장치는 플렉시블 파이프에 삽입하는 합성수지관의 양단부에 제1 및 제2부싱을 각각 끼워 플렉시블 파이프의 인조인트 및 아웃조인트에 끼워 조립하는데 유용하다.
특히 본 발명은 플렉시블 토수관 조립시 수작업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합성수지관의 고정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어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쩜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 조립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 조립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에 삽입된 합성수지관의 단부에 제1부싱을 끼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에 삽입된 합성수지관의 단부에 제1부싱을 끼워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에 삽입된 합성수지관의 단부에 제1부싱을 가압하여 인조인트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에 삽입된 합성수지관을 당기기 위해 합성수지관 당김지지수단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에 삽입된 합성수지관의 단부를 1차로 가압하여 상측으로 당김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에 삽입된 합성수지관의 단부를 상측으로 당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에 삽입된 합성수지관의 단부를 상측으로 당긴 상태에서 합성수지관의 노출 단부를 2차로 가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에 삽입된 합성수지관의 단부에 제2부싱을 끼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에 삽입된 합성수지관의 단부에 제2부싱을 끼워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에 삽입된 합성수지관의 단부에 제1부싱을 가압하여 인조인트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쩜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 조립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 조립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에 삽입된 합성수지관의 단부에 제1부싱을 끼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에 삽입된 합성수지관의 단부에 제1부싱을 끼워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에 삽입된 합성수지관의 단부에 제1부싱을 가압하여 인조인트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에 삽입된 합성수지관을 당기기 위해 합성수지관 당김지지수단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에 삽입된 합성수지관의 단부를 1차로 가압하여 상측으로 당김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에 삽입된 합성수지관의 단부를 상측으로 당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에 삽입된 합성수지관의 단부를 상측으로 당긴 상태에서 합성수지관의 노출 단부를 2차로 가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에 삽입된 합성수지관의 단부에 제2부싱을 끼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에 삽입된 합성수지관의 단부에 제2부싱을 끼워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에 삽입된 합성수지관의 단부에 제1부싱을 가압하여 인조인트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쩜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 조립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 조립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13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 조립장치는 싱크대 수전용으로 사용되는 플렉시블 토수관(1)을 조립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플렉시블 토수관(1)은 내부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이루어진 연질의 합성수지관(10)과, 상기 합성수지관(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플렉시블 파이프(20)를 포함한다. 상기 합성수지관(10)은 인체에 무해하면서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파이프(20)는 일 예로 등록특허 제10-1158094호에 제안된 바와 같이 원형의 단면을 갖는 철심이 코일 형태로 감겨지는 제1탄성부재와, 이 제1탄성부재의 철심 사이에서 면 접촉하는 상태로 코일형태로 감겨지는 제2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 공지의 구조로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렉시블 파이프(20)의 양단에는 플렉시블 토수관(1)을 수도꼭지 및 절수기 헤드에 조립할 수 있도록 인조인트(22) 및 아웃조인트(24)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인조인트(22) 및 아웃조인트(24)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조인트(22)는 수도꼭지(미도시)에 연결되어 물이 유입되고, 상기 아웃조인트(24)는 절수기 헤드(미도시)에 연결되어 물이 배출된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관(10)의 양단부에는 제1 및 제2부싱(12,14)이 각각 끼워지고, 제1 및 제2부싱(12,14)의 외측면으로는 상기 인조인트(22) 및 아웃조인트(24)에 일체로 조립되어 각각의 제1 및 제2부싱(12,14)을 제1 및 제2홀더(16,18)가 지지한다.
상기 제1 및 제2부싱(12,14)은 제1 및 제2홀더(16,18)에 지지되어 합성수지관(10)이 수축 또는 인장되더라도 합성수지관(10)의 양단의 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부싱(12,14)은 몸체(12a,14a)와, 상기 몸체(12a,14a)의 일측에 형성된 플랜지부(12b,14b)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12a,14b)에는 내부에 물이 이동할 수 있는 관통공(12c,14c)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부싱(12,14)의 몸체(12a,14a)는 외경이 합성수지관(10)의 내경보다 약간 더 크게 이루어져 제1 및 제2부싱(12,14)은 합성수지관(10)에 긴밀하게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부싱(12,14)이 합성수지관(10)의 양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더욱 튼튼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부싱(12,14)의 몸체(12a,14a) 바깥 둘레부에는 다수의 걸림돌기(12d,14d)가 형성된다. 이 걸림돌기(12d,14d)는 높은 마찰력을 갖도록 톱니모양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홀더(16,18)는 제1 및 제2부싱(12,14)이 각각 지지되는 것으로, 공간부(16a,18a)가 중앙에 형성되어 합성수지관(10) 및 제1 및 제2부싱(12,14)의 몸체(12a,14a)가 삽입되고, 그 단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부싱(12,14)의 플랜지부(12b,14b)와 면 접촉되는 플랜지부(16b,18b)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홀더(16,18)는 외주면에 지지홈(16c,18c)이 형성되어 인조인트(22) 및 아웃조인트(24)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제1 및 제2오링(16d,18d)이 끼워진다. 물론 이 경우 제1 및 제2홀더(16,18)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인조인트(22) 및 아웃조인트(24)에 각각 억지 끼움 방식으로 조립된다.
이와 같은 플렉시블 토수관(1)을 조립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 판넬(100)의 일측에 구비되되 제1 및 제2홀더(16,18)가 지지된 플렉시블 파이프(20)에 삽입된 합성수지관(10)의 양단부에 제1 및 제2부싱(12,14)이 각각 끼워진 상태의 플렉시블 파이프(20)의 양단에 구비되는 인조인트(22) 및 아웃조인트(24)가 안착되는 인조인트지지부(112) 및 아웃조인트지지부(114)가 형성되는 조인트 지지블럭(110)과, 상기 인조인트지지부(112) 및 아웃조인트지지부(114)에 지지된 인조인트(22) 및 아웃조인트(24)의 제1 및 제2부싱(12,14)를 가압하여 상기 제1 및 제2홀더(16,18)에 지지하는 제1 및 제2부싱 가압블록(120,130)과, 상기 베이스 판넬(100)의 타측에 구비되되 상기 합성수지관(10)의 타단에 제2부싱(14)을 끼울 수 있도록 상기 아웃조인트(24)로 노출되는 합성수지관(10)의 타단부를 당겨 지지하는 합성수지관 당김지지수단(140)과, 상기 제1 및 제2부싱 가압블록(120,130)와 합성수지관 당김지지수단(1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50)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상기 베이스 판넬(100)은 받침판(200)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때, 베이스 판넬(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상기 조인트 지지블럭(110)은 플렉시블 파이프(20)의 양단에 구비되는 인조인트(22) 및 아웃조인트(24)가 지지되는 인조인트지지부(112) 및 아웃조인트지지부(11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인조인트지지부(112)와 아웃조인트지지부(114)는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인조인트(22) 및 아웃조인트(24)가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 지지블럭(110)의 상측에는 상기 인조인트지지부(112)와 아웃조인트지지부(114)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1 및 제2가압돌부(121,131)가 구비되는 제1 및 제2부싱 가압블록(120,130)이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부싱 가압블록(120,130)은 상기 조인트 지지블럭(110)의 인조인트지지부(112)와 아웃조인트지지부(114)에 안착되는 플렉시블 파이프(20)의 인조인트(22) 및 아웃조인트(24) 방향으로 진행하며 제1 및 제2부싱(12,14)을 인조인트(22) 및 아웃조인트(24) 내측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베이스 판넬(100)에 고정되며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부싱 가압블록(120,130)은 제1 및 제2가압돌부(121,131)가 로드(122,132)의 하단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실린더(123,13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부싱 가압블록(120,130)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실린더(123,133)는 공압실린더 방식을 채용하지만, 유압 또는 전동모터 방식을 채용함도 가능한 것으로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한편, 합성수지관 당김지지수단(140)은 상기 베이스 판넬(100)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아웃조인트(24)로 노출되는 합성수지관(10)의 타단부를 당겨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아웃조인트(24)가 거치되는 아웃조인트거치부(142a)가 형성되는 거치블록(142)과, 상기 아웃조인트거치부(142a)에 거치된 아웃조인트(24)의 단부로 노출되는 합성수지관(10)의 타단부를 1차 가압하는 1차 밀착블록(144)과, 상기 1차 밀착블록(144)을 상측으로 이송하는 승강블록(146)과, 상기 승강블록(146)에 의해 상기 합성수지관(10)이 상측으로 당겨지면 상기 아웃조인트(24)의 단부로 노출되는 합성수지관(10)의 타단부를 2차 가압하는 2차 밀착블록(148)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1차 밀착블록(144)은 승강판(144a)의 전면에 고정되는 거치구(144b)와, 상기 거치구(144b) 방향으로 전후진하며 상기 합성수지관(10)을 상기 거치구(144b)의 전면으로 가압하는 제1가압구(144c)가 로드(144d)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3실린더(144e)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승강판(144a)의 전면 일측에 브라켓(144f)이 구비되어 상기 제3실린더(144e)의 로드(144d)의 단부에 고정되는 제1가압구(144c)가 상기 거치구(144b)를 향하도록 제3실린더(144e)의 몸체가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3실린더(144e)의 구동에 의해 상기 로드(144d)가 전후진되며, 그에 따라 제1가압구(144c)가 상기 거치구(144b) 방향으로 전진하면서 합성수지관(10)을 거치구(144b)에 밀착 지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승강블록(146)은 베이스 판넬(100)의 타측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거치블록(142)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 판넬(100)에 고정되는 브라켓(146a)에 의해 일체로 구비되어 로드(146b)의 단부에 상기 승강판(144a)이 일체로 고정되는 제4실린더(146c)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판넬(100)의 전면에는 상기 승강판(144a)의 양측을 상하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145a)가 형성되는 가이드블럭(145)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2차 밀착블록(148)은 상기 거치블록(142)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합성수지관(10)이 상측으로 당겨지면 상기 아웃조인트(24)의 단부로 노출되는 합성수지관(10)의 타단부를 2차 가압하여 당김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 판넬(100)에 브라켓(148a)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며 로드(148c)의 단부에 상기 합성수지관(10)을 거치블록(142)의 일측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구(148d)가 구비되는 제5실린더(148b)로 구성된다.
이상의 제3 내지 제5실린더(144e,146c,148b) 역시 상기 제1 및 제2부싱 가압블록(120,130)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실린더(123,133)와 마찬가지로 공압실린더 방식을 채용하지만, 유압 또는 전동모터 방식을 채용함도 가능한 것으로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150)은 상기 제1 및 제2부싱 가압블록(120,130)와 합성수지관 당김지지수단(14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150)은 상기 제1 및 제2부싱 가압블록(120,130)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실린더(123,133)의 구동시 발로 간단히 조작할 수 있도록 베이스 판넬(100)의 하부에 구비하여 작업자가 발로 밟을 수 있도록 풋스위치(152)를 구비하고, 상기 합성수지관 당김지지수단(140)의 제3 내지 제5실린더(144e,146c,148b)를 연속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동 및 정지 버튼(154a,154b) 등이 구비되는 조작판넬(154)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부싱 가압블록(120,130)은 하나의 풋스위치(152) 작동에 의해 동시에 작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지지만, 필요에 따라서 제1 및 제2부싱 가압블록(120,130)을 각각 구동하기 위해 풋스위치(152)를 2개 구비하여 운영함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제어수단(150)은 하나의 판넬에 이상의 스위치 및 버튼을 모두 구비함도 가능하며 이는 일반적인 구성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장치를 이용해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을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1)의 조립을 위한 플렉시블 파이프(20)는 양단에 인조인트(22) 및 아웃조인트(24)가 각각 결합된 구조이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파이프(20)의 아웃조인트(24)에 오링(18d)이 장착된 제2홀더(18)를 끼워 고정한 상태에서 합성수지관(10)의 일단부를 제2홀더(18)를 통해 플렉시블 파이프(20) 내부로 삽입하여 합성수지관(10)의 일단부를 인조인트(22)를 통해 노출시킨 후 별도의 고무 재질의 보호관(29)을 인조인트(22) 내부에 삽입한 후, 오링(16d)이 장착된 제1홀더(16)를 인조인트(22)에 끼워 고정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홀더(16)를 통과하여 노출된 합성수지관(10)의 단부를 벌려 제1부싱(12)을 끼운 후 합성수지관(10)을 플렉시블 파이프(20) 후측에서 잡아당겨 제1부싱(12)이 제1홀더(16) 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 지지블럭(110)의 인조인트지지부(112)에 인조인트(22)를 지지하고 풋스위치(152)를 밟게 되면 제어수단(150)의 제어에 의해 제1부싱 가압블록(120)의 제1가압돌부(121)가 하강하며 제1부싱(12)을 제1홀더(16) 내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하게 된다.
이후 풋스위치(152)에서 발을 떼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싱 가압블록(120)의 제1가압돌부(121)가 상승하게 되고 이후 상기 플렉시블 파이프(20)를 조인트 지지블럭(110)의 인조인트지지부(112)에서 분리한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시블 파이프(20)의 아웃조인트(24)를 합성수지관 당김지지수단(140)의 거치블록(142)에 형성된 아웃조인트거치부(142a)에 거치하고 아웃조인트(24) 방향으로 노출된 합성수지관(10)을 상측으로 승강판(144a)의 전면에 고정되는 거치구(144b) 방향으로 배치한 후 조작판넬(154)의 구동 버튼(154a)을 누르면 1차 밀착블록(144)가 구동되어 제1가압구(144c)를 전진시켜 거치구(144b)에 합성수지관(10)을 가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수단(15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이어 승강블록(146)을 구동하여 가이드블럭(145)을 따라 상기 승강판(144a)을 상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 파이프(20) 내부에 위치하는 합성수지관(10)이 당겨지게 된다.
이후 제어수단(150)은 도 10에 도시된 바아 같이 2차 밀착블록(148)을 구동하여 상기 아웃조인트(24)의 단부로 노출되는 합성수지관(10)의 타측을 제2가압구(148d)가 거치블록(142)의 일측에 2차 가압하여 당김상태를 유지시킨다.
그와 같은 상태에서 가위 등의 절단공구(300)를 이용해 합성수지관(10)의 타측을 절단하고 그 노출된 합성수지관(10)의 단부를 벌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싱(14)을 끼운다.
이후, 조작판넬(154)의 정지 버튼(154b)을 누르면 2차 밀착블록(148)의 제2가압구(148d)가 후진하여 복귀하고, 승강블록(146)의 복귀에 의해 승강판(144a)이 하강한 후 2차 밀착블록(148)의 제1가압구(144c)가 후진하여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되면 당겨져 있던 합성수지관(10)의 복원력에 의해 타단부가 플렉시블 파이프(20)의 내측으로 당겨지며 제2부싱(14)이 제2홀더(18)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 지지블럭(110)의 아웃조인트지지부(114)에 아웃조인트(24)를 지지하고 풋스위치(152)를 밟게 되면 제어수단(150)의 제어에 의해 제2부싱 가압블록(130)의 제2가압돌부(131)가 하강하며 제2부싱(14)을 제2홀더(18) 내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하게 된다.
이후 풋스위치(152)에서 발을 떼게 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싱 가압블록(130)의 제2가압돌부(131)가 상승하게 되고 이후 상기 플렉시블 파이프(20)를 조인트 지지블럭(110)의 아웃조인트지지부(114)에서 분리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이상의 과정은 조립 순서는 본 발명의 부분적인 설계변경을 통해 상기 플렉시블 파이프(20)의 아웃조인트(24) 방향에서 제2부싱(14)을 먼저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같은 정도의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한편,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쩜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 조립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이에 의하면 베이스 판넬(100)은 받침판(200)의 상부에 경첩(20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작업자가 키 등을 고려하여 베이스 판넬(100)을 수직으로 세우거나 뒤로 젖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상기 베이스 판넬(100)의 후측에는 제1지지볼트(202)가 체결되는 지지공(212)이 형성되는 브라켓(210)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200)의 상부 후측에는 양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지지볼트(204)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복수의 조절공(222)을 전후측에 나란히 구비되는 고정부재(220)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볼트(202)에는 지지대(230)의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며 상기 지지대(230)의 타단부는 제2지지볼트(204)에 힌지결합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23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제1 및 제2지지공(232,234)이 각각 형성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지지볼트(202,204)는 제1 및 제2너트(203,205)에 의해 체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지지대(230)의 일단부가 힌지결합된 상태이므로 작업자는 베이스 판넬(100)을 적절한 각도로 눕이거나 세우기 위해서는 상기 제2지지볼트(204)를 복수의 조절공(222) 중에 임의의 위치에 끼워 조립함으로서 조절이 가능하다. 이 경우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쉽게 조임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상기 제2지지볼트(204)는 나비볼트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 플렉시블 토수관 10: 합성수지관
12: 제1부싱 14: 제2부싱
16: 제1홀더 18: 제2홀더
20: 플렉시블 파이프 22: 인조인트
24: 아웃조인트 100: 베이스 판넬
110: 조인트 지지블럭 120: 제1부싱 가압블록
130: 제2부싱 가압블록 140: 합성수지관 당김지지수단
142: 거치블록 144: 1차 밀착블록
146: 승강블록 148: 2차 밀착블록
150: 제어수단 200: 받침판
12: 제1부싱 14: 제2부싱
16: 제1홀더 18: 제2홀더
20: 플렉시블 파이프 22: 인조인트
24: 아웃조인트 100: 베이스 판넬
110: 조인트 지지블럭 120: 제1부싱 가압블록
130: 제2부싱 가압블록 140: 합성수지관 당김지지수단
142: 거치블록 144: 1차 밀착블록
146: 승강블록 148: 2차 밀착블록
150: 제어수단 200: 받침판
Claims (8)
- 베이스 판넬(100)의 일측에 구비되되 제1 및 제2홀더(16,18)가 지지된 플렉시블 파이프(20)에 삽입된 합성수지관(10)의 양단부에 제1 및 제2부싱(12,14)이 각각 끼워진 상태의 플렉시블 파이프(20)의 양단에 구비되는 인조인트(22) 및 아웃조인트(24)가 안착되는 인조인트지지부(112) 및 아웃조인트지지부(114)가 형성되는 조인트 지지블럭(110)과, 상기 인조인트지지부(112) 및 아웃조인트지지부(114)에 지지된 인조인트(22) 및 아웃조인트(24)의 제1 및 제2부싱(12,14)를 가압하여 상기 제1 및 제2홀더(16,18)에 지지하는 제1 및 제2부싱 가압블록(120,130)과, 상기 베이스 판넬(100)의 타측에 구비되되 상기 합성수지관(10)의 타단에 제2부싱(14)을 끼울 수 있도록 상기 아웃조인트(24)로 노출되는 합성수지관(10)의 타단부를 당겨 지지하는 합성수지관 당김지지수단(140)과, 상기 제1 및 제2부싱 가압블록(120,130)와 합성수지관 당김지지수단(1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50)으로 구성되며;
상기 합성수지관 당김지지수단(140)은 상기 아웃조인트(24)가 거치되는 아웃조인트거치부(142a)가 형성되는 거치블록(142)과, 상기 아웃조인트거치부(142a)에 거치된 아웃조인트(24)의 단부로 노출되는 합성수지관(10)의 타단부를 1차 가압하는 1차 밀착블록(144)과, 상기 1차 밀착블록(144)을 상측으로 이송하는 승강블록(146)과, 상기 승강블록(146)에 의해 상기 합성수지관(10)이 상측으로 당겨지면 상기 아웃조인트(24)의 단부로 노출되는 합성수지관(10)의 타단부를 2차 가압하는 2차 밀착블록(14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 조립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부싱 가압블록(120,130)은 제1 및 제2가압돌부(121,131)가 로드(122,132)의 하단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실린더(123,13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 조립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밀착블록(144)은 승강판(144a)의 전면에 고정되는 거치구(144b)와, 상기 거치구(144b) 방향으로 전후진하며 상기 합성수지관(10)을 상기 거치구(144b)의 전면으로 가압하는 제1가압구(144c)가 로드(144d)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3실린더(144e)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 조립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블록(146)은 상기 베이스 판넬(100)에 고정되어 로드(146b)의 단부에 승강판(144a)이 일체로 고정되는 제4실린더(146c)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 판넬(100)에는 승강판(144a)의 양측을 상하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145a)가 형성되는 가이드블럭(14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 조립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밀착블록(148)은 상기 베이스 판넬(100)에 고정되며 로드(148c)의 단부에 상기 합성수지관(10)을 거치블록(142)의 일측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구(148d)가 구비되는 제5실린더(148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 조립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판넬(100)은 받침판(200)의 상부에 경첩(20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 조립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판넬(100)의 후측에는 제1지지볼트(202)가 체결되는 지지공(212)이 형성되는 브라켓(210)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200)의 상부 후측에는 양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지지볼트(204)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복수의 조절공(222)을 전후측에 나란히 구비되는 고정부재(220)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볼트(202)에는 지지대(230)의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며 상기 지지대(230)의 타단부는 제2지지볼트(204)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 조립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3320A KR102037270B1 (ko) | 2017-05-23 | 2017-05-23 |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 조립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3320A KR102037270B1 (ko) | 2017-05-23 | 2017-05-23 |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 조립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8166A KR20180128166A (ko) | 2018-12-03 |
KR102037270B1 true KR102037270B1 (ko) | 2019-10-28 |
Family
ID=64743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3320A KR102037270B1 (ko) | 2017-05-23 | 2017-05-23 |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 조립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37270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3567Y1 (ko) | 2000-08-07 | 2001-02-15 | 주식회사코푸렉스 | 호스의 압착부재 공급장치 |
JP2009228402A (ja) | 2008-03-24 | 2009-10-08 | San-Ei Faucet Mfg Co Ltd | 水栓における回転式吐水部材の組付構造 |
KR101644637B1 (ko) * | 2014-08-29 | 2016-08-12 | 주식회사 세광하이테크 | 마킹 호스 절단기 |
KR101674372B1 (ko) * | 2016-08-03 | 2016-11-09 | 지은희 | 튜브 조립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751376B2 (ja) * | 1996-09-04 | 2006-03-01 |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 ホースの口金取付け方法および装置 |
-
2017
- 2017-05-23 KR KR1020170063320A patent/KR10203727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3567Y1 (ko) | 2000-08-07 | 2001-02-15 | 주식회사코푸렉스 | 호스의 압착부재 공급장치 |
JP2009228402A (ja) | 2008-03-24 | 2009-10-08 | San-Ei Faucet Mfg Co Ltd | 水栓における回転式吐水部材の組付構造 |
KR101644637B1 (ko) * | 2014-08-29 | 2016-08-12 | 주식회사 세광하이테크 | 마킹 호스 절단기 |
KR101674372B1 (ko) * | 2016-08-03 | 2016-11-09 | 지은희 | 튜브 조립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8166A (ko) | 2018-1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948656A (zh) | 一种建盏制作用上釉装置 | |
CN110682126B (zh) | 一种旋转式中空薄壁型材切割机 | |
KR102037270B1 (ko) | 싱크대 수전용 플렉시블 토수관 조립장치 | |
WO2000057685A3 (en) | Method of linear actuation by inflation and apparatus therefor | |
CN219966962U (zh) | 一种对接防护设备及供热管道连接控制系统 | |
CN110625951A (zh) | 一种pvc管道热熔拼接装置 | |
CN111842579B (zh) | 适用于中空型材弯折的顶弯设备及其顶弯方法 | |
KR20160130933A (ko) |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 | |
CN219485589U (zh) | 一种防止转动的车架管件加工用固定工装 | |
CN211968479U (zh) | 为留置针软管与漏斗的组装持续提供留置针软管的装置 | |
CN115781057B (zh) | 一种管材加工自动切割装置 | |
CN113909350B (zh) | 一种铝塑复合管折弯预制设备 | |
CN209174692U (zh) | 一种用于管件的拔孔对中装置 | |
CN212422215U (zh) | 门架式pe管套接安装单元 | |
JPH0593435A (ja) | 給水具の昇降装置 | |
CN220784180U (zh) | 一种镀膜塑钢管的切膜机 | |
JPH07186279A (ja) |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曲管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 |
CN216782478U (zh) | 一种线材生产加工用注塑机 | |
JP5616705B2 (ja) | 樹脂管融着装置 | |
CN111657047A (zh) | 一种渣土区苗木养护装置及其方法 | |
CN220647197U (zh) | 一种波纹管伸缩节 | |
CN221221719U (zh) | 一种装配式水电管线安装结构 | |
CN116690176A (zh) | 一种卡簧安装装置 | |
CN217394128U (zh) | 一种壳体焊接辅助设备 | |
CN217671061U (zh) | 钢丝网骨架管封口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