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034400B1 - 완충기 - Google Patents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400B1
KR102034400B1 KR1020187009410A KR20187009410A KR102034400B1 KR 102034400 B1 KR102034400 B1 KR 102034400B1 KR 1020187009410 A KR1020187009410 A KR 1020187009410A KR 20187009410 A KR20187009410 A KR 20187009410A KR 102034400 B1 KR102034400 B1 KR 102034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choke
cylinder
piston
sid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9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0359A (ko
Inventor
신이치 다카마츠
Original Assignee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50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 F16F9/3481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characterised by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in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05Throttling passages in or on piston body, e.g. sl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6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slots arranged in cylinder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16F9/512Means responsive to load action, i.e. static load on the damper or dynamic fluid pressure changes in the damper, e.g. due to changes in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82Dimensional tolerances, e.g. play between mechanic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완충기(100)는, 작동유가 봉입되는 실린더(10)와, 실린더(10)에 대해 진퇴 자유롭고 실린더(10)에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30)와, 실린더(10)에 설치되고 신장측실(1)과 압축측실(2)을 구획하는 피스톤(20)과, 신장측실(1)과 압축측실(2)을 연통하고, 굴곡부(51a)를 갖는 초크 통로(51)가 관통하여 형성되는 초크부(5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완충기
본 발명은,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완충기는, 예를 들어 자동차 등의 차량에 탑재되고, 감쇠력을 발생시켜 차체의 진동을 억제한다. 이러한 완충기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낮을 때에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초크 통로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JP2012-167785A에는, 실린더와, 실린더 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로드와, 실린더의 내주에 미끄럼 접촉하여 실린더 내를 2개의 작용실로 구획하는 피스톤을 구비하는 완충기가 개시된다. 로드의 선단에는 대략 통 형상의 케이스 부재가 나사 결합된다. 피스톤은 환상으로 형성되고, 케이스 부재의 외주에 보유 지지되어 로드에 연결된다.
이 완충기에서는, 케이스 부재에는 초크 부재가 삽입된다. 초크 부재의 외주에는 나선 형상의 초크 홈이 마련되고, 케이스 부재의 내주면과 초크 홈에 의해, 실린더 내의 2개의 작용실을 연통하는 나선 형상의 초크 통로가 형성된다.
JP2012-167785A에 개시되는 완충기의 초크 부재는, 케이스 부재의 내주면과 초크 부재의 초크 홈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케이스 부재의 내경이 초크 부재의 외경과 비교하여 크면, 초크 홈으로부터 작동 유체가 누설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케이스 부재의 내경이 초크 부재의 외경과 비교하여 지나치게 작으면, 초크 부재를 케이스 부재에 삽입할 때에 초크 홈이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 초크 홈으로부터의 작동 유체의 누설 및 초크 홈의 변형에 의해, 원하는 감쇠력이 초크 통로로부터 발생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JP2012-167785A에 개시되는 완충기에서는, 원하는 감쇠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케이스 부재 및 초크 부재의 양쪽의 치수 공차를 엄격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어, 완충기의 제조에 고도의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제조가 용이한 완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완충기는,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실린더에 대해 진퇴 자유롭고 실린더에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와, 실린더 내에 마련되는 제1 유체실과 제2 유체실을 구획하는 피스톤과, 제1 유체실과 제2 유체실을 연통하는 하나로 이어진 초크 통로가 관통하여 형성되는 초크부를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완충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피스톤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초크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초크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초크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초크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완충기의 단면도이며, 초크부가 피스톤 로드에 설치된 형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완충기의 단면도이며, 초크부가 피스톤과 일체로 형성된 형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완충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완충기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는, 작동 유체로서 작동유가 사용되는 유압 완충기에 대해 설명하지만, 작동수 등의 다른 유체를 작동 유체로서 사용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완충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완충기(100)는, 예를 들어 차량(도시하지 않음)의 차체와 차축 사이에 설치되고 감쇠력을 발생시켜 차체의 진동을 억제하는 장치이며, 「모노 튜브 쇼크 업소버」라고도 불린다.
완충기(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유가 봉입되는 실린더(10)와, 실린더(10)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밸브 디스크로서의 피스톤(20)과, 실린더(10)에 진퇴 자유롭게 삽입되는 피스톤 로드(30)를 구비한다. 피스톤 로드(30)는, 피스톤(20)에 연결되고, 실린더(10)의 외부로 연장된다.
실린더(10)는, 대략 통 형상의 튜브(11)와, 튜브(11)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로드 가이드(12) 및 오일 시일(13)과, 튜브(11)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캡 부재(14)를 갖는다.
로드 가이드(12)는, 피스톤 로드(30)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오일 시일(13)은, 실린더(10)로부터의 작동유의 누설을 방지함과 함께 실린더(10) 내로의 이물의 유입을 방지한다. 피스톤 로드(30)와 오일 시일(13)에 의해, 튜브(11)의 한쪽 개구(11a)가 폐색된다. 로드 가이드(12) 및 오일 시일(13)은, 통 형상의 튜브(11)의 일단부를 내측으로 구부리는 코킹 가공에 의해 튜브(11)에 고정된다.
캡 부재(14)는, 용접에 의해 튜브(11)에 고정되고, 튜브(11)의 다른 쪽 개구(11b)를 폐색한다. 튜브(11)를 소성 가공에 의해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캡 부재(14)를 튜브(11)에 설치하는 일 없이 튜브(11)의 타단부가 폐색되어도 된다.
캡 부재(14)에는, 차량에 설치되는 연결 부재(60)가 설치된다. 피스톤 로드(30)의 일단부의 외주면에는, 차량의 연결부(도시하지 않음)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30a)가 형성된다. 연결 부재(60)가 차량에 설치되고 수나사(30a)가 차량의 연결부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완충기(100)가 차량에 탑재된다.
피스톤(20)은, 그 중심에 구멍(21)을 갖는 환상으로 형성된다. 피스톤(20)의 구멍(21)에는 피스톤 로드(30)의 타단부가 삽입 관통된다. 피스톤 로드(30)의 타단부의 외주면에는 수나사(30b)가 형성된다. 너트(31)가 수나사(30b)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피스톤(20)이 피스톤 로드(30)의 일단부에 고정된다.
피스톤(20)은, 실린더(10)의 내부를, 피스톤(20)보다 로드 가이드(12)측에 위치하는 신장측실(1)(유체실)과, 피스톤(20)보다 캡 부재(14)측에 위치하는 압축측실(2)(유체실)로 구획한다. 신장측실(1)과 압축측실(2)에는 작동유가 봉입된다.
또한, 완충기(100)는, 실린더(10) 내에 기실(3)을 구획 형성하는 프리 피스톤(40)을 구비한다. 기실(3)은, 압축측실(2)보다 캡 부재(14)측에 위치하고, 프리 피스톤(40)에 의해 압축측실(2)과 이격된다. 기실(3)에는 기체가 봉입된다.
프리 피스톤(40)은 실린더(10)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프리 피스톤(40)의 외주에는, 기실(3)의 기밀성을 유지하는 시일 부재(41)가 설치된다.
완충기(100)가 수축되어 피스톤 로드(30)가 실린더(10)에 진입하면, 프리 피스톤(40)은 기실(3)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기실(3)은, 진입한 피스톤 로드(30)의 체적 분만큼 수축한다. 완충기(100)가 신장되어 피스톤 로드(30)가 실린더(10)로부터 퇴출되면, 프리 피스톤(40)은 기실(3)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기실(3)은 퇴출된 피스톤 로드(30)의 체적 분만큼 팽창한다. 이와 같이, 기실(3)은 완충기(100)의 동작에 수반되는 실린더(10) 내의 용적 변화를 보상한다.
도 2는, 피스톤(20)을 압축측실(2)측으로부터 본 저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20)은 신장측실(1)과 압축측실(2)을 연통하는 통로(22, 23)를 갖는다. 피스톤(20)의 신장측실(1)측에는, 환상의 리프 밸브(24a)를 갖는 감쇠 밸브(24)가 설치된다. 피스톤(20)의 압축측실(2)측에는, 환상의 리프 밸브(25a)를 갖는 감쇠 밸브(25)가 설치된다.
감쇠 밸브(24)는, 피스톤 로드(3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단차부(30c)와, 피스톤(20)에 의해 끼움 지지된다. 감쇠 밸브(25)는, 피스톤(20)과 너트(31)에 의해 끼움 지지된다.
완충기(100)의 수축 동작 시에는, 피스톤(20)은, 신장측실(1)을 확대하고 압축측실(2)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때문에, 신장측실(1)의 압력이 저하되고 압축측실(2)의 압력이 상승한다. 신장측실(1)과 압축측실(2)의 압력차에 의해, 감쇠 밸브(24)는 개방되어 통로(22)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흐름을 허용한다. 이때, 감쇠 밸브(25)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여, 통로(23)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흐름을 차단한다.
감쇠 밸브(24)의 개방에 수반하여, 압축측실(2) 내의 작동유가 통로(22)를 통해 신장측실(1)로 이동한다. 이때, 감쇠 밸브(24)는, 통로(22)를 통해 신장측실(1)로 이동하는 작동유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한다. 즉, 감쇠 밸브(24)는, 수축 동작 시의 감쇠력 발생부이다.
완충기(100)의 신장 동작 시에는, 피스톤(20)은, 신장측실(1)을 축소하고 압축측실(2)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때문에, 신장측실(1)의 압력이 상승하고 압축측실(2)의 압력이 저하된다. 신장측실(1)과 압축측실(2)의 압력차에 의해, 감쇠 밸브(25)는 개방되어 통로(23)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흐름을 허용한다. 이때, 감쇠 밸브(24)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여, 통로(22)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흐름을 차단한다.
감쇠 밸브(25)의 개방에 수반하여, 신장측실(1) 내의 작동유가 통로(23)를 통해 압축측실(2)로 이동한다. 이때, 감쇠 밸브(25)는, 통로(23)를 통해 압축측실(2)로 이동하는 작동유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한다. 즉, 감쇠 밸브(25)는, 신장 동작 시의 감쇠력 발생부이다.
또한, 완충기(100)는, 하나로 이어진 초크 통로(51)가 관통하여 형성되는 초크부(50)를 더 구비한다. 초크 통로(51)의 내벽은 일체 형성된다. 초크 통로(51)는, 감쇠 밸브(24, 25)를 우회하여 신장측실(1)과 압축측실(2)을 상시 연통한다.
도 3은, 초크부(50)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크부(50)는 원기둥 형상의 축부(52)와, 축부(52)의 단부면(52a)에 마련되는 육각 기둥 형상의 헤드부(53)를 갖는다. 축부(52)와 헤드부(53)는 일체로 형성된다.
축부(52)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 피스톤(20)에는 단면 원형의 복수의 구멍(26)이 형성되고, 각 구멍(26)의 내주면에는, 축부(52)의 수나사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 축부(52)의 수나사와 구멍(26)의 암나사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초크부(50)가 피스톤(20)에 설치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완충기(100)는, 피스톤(20)에 마련되는 나사부(90)를 더 구비하고, 나사부(90)에 초크부(50)가 설치된다. 나사부(90)는, 실린더(10), 피스톤 로드(30)에 설치되어도 된다.
복수의 구멍(26)은 피스톤(20)의 중심축에 대해 대칭으로 위치하고, 복수의 초크부(50)가 피스톤(20)의 중심축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된다. 그 때문에, 피스톤(20)의 무게 중심을 피스톤(20)의 중심축 상에 위치시키는 것이 용이하고, 피스톤(20)의 치우침을 방지할 수 있다.
초크부(50)는, 수나사와 암나사의 나사 결합에 의해 피스톤(20)에 설치되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축부(52)의 외경이 구멍(26)의 내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구멍(26)과 축부(52)의 감합에 의해 초크부(50)가 피스톤(20)에 설치되어도 된다.
초크 통로(51)는, 축부(52)의 타단부면(초크부(50)의 제1 단부면)(52b)으로부터 헤드부(53)의 상면(초크부(50)의 제2 단부면)(53a)까지 나선 형상으로 하나로 이어져 축부(52)의 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초크 통로(51)를 갖는 초크부(50)는, 3D 프린터 등을 사용한 부가 제조 기술에 의해 제작된다.
초크 통로(51)는, 피스톤(20)의 속도가 낮을 때,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초크 통로(51)에 의한 감쇠력의 발생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감쇠 밸브(24, 25)는, 피스톤(20)의 속도가 낮아 신장측실(1)과 압축측실(2)의 압력차가 작은 경우에는, 개방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감쇠 밸브(24)가 통로(22)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흐름을 차단하고 감쇠 밸브(25)가 통로(23)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흐름을 차단하므로, 신장측실(1) 및 압축측실(2) 내의 작동유는 통로(22, 23)를 통하지 않고, 감쇠 밸브(24, 25)는 감쇠력을 발생하지 않는다.
초크 통로(51)는 감쇠 밸브(24, 25)를 우회하여 형성되므로, 초크 통로(51)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흐름은, 감쇠 밸브(24, 25)의 개폐에 관계없이 허용된다. 그 때문에, 완충기(100)의 동작 시에는, 실린더(10) 내의 작동유는, 초크 통로(51)를 통해 신장측실(1)과 압축측실(2) 사이를 오간다. 이때, 초크 통로(51)는, 초크 통로(51)를 통하는 작동유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한다.
이와 같이, 초크 통로(51)는, 피스톤(20)의 저속 시에,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초크 통로(51)에 의한 감쇠력은, 초크 통로(51)의 유로 단면(작동유의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을 말함)과, 초크 통로(51)의 유로 길이(작동유의 흐름 방향을 따른 길이를 말함)에 의존한다. 구체적으로는, 초크 통로(51)에 의한 감쇠력은, 초크 통로(51)의 유로 단면이 작을수록 크고, 초크 통로(51)의 유로 길이가 길수록 크다. 이 때문에, 초크 통로(51)의 유로 단면 및 유로 길이는, 피스톤(20)의 저속 시에 있어서 요구되는 감쇠력에 따라서 설계된다.
초크 통로(51)에 의한 감쇠력을 더 크게 하기 위해, 초크 통로(51)의 유로 단면을 작게 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초크 통로(51)의 유로 단면을 작게 하면, 작동유 중의 고체가 초크 통로(51)에 쌓일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작동유 중에 이물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자기 점성 유체 완충기에서는, 작동유 중에 강자성을 갖는 미립자가 포함된다. 이물 및 강자성의 미립자와 같은 고체가 초크 통로(51)에 쌓임으로써, 초크 통로(51)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흐름이 차단되어, 초크 통로(51)가 감쇠력 발생부로서 작동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부터, 초크 통로(51)의 유로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초크 통로(51)에 의한 감쇠력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초크 통로(51)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초크부(50)는, 초크 통로(51)의 유로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초크 통로(51)의 유로 길이를 연장해도, 초크부(50)를 실린더(10)의 축 방향으로 대형화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완충기(100)는, 소형으로 더 큰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초크 통로(51)가 초크부(50)를 관통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초크부(50)의 치수 공차를 관리하면 되며, 초크부(50) 이외의 부분의 치수 공차, 예를 들어 피스톤(20)의 구멍(26)의 치수 공차를 엄격하게 관리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완충기(100)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초크 통로(51)는,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굴곡부(51a)를 갖는 형상이면 되고, 예를 들어 소용돌이 형상, 지그재그 형상, 대략 환상 또한 지그재그 형상, 또는 대략 환상 또한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초크 통로(51)는, 도 4, 도 5, 도 6에 도시한 형상이어도 된다.
도 4는, 초크 통로(51)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낸 예에서는, 초크 통로(51)는, 초크부(50)의 제1 단부면(52b)과 제2 단부면(53a) 사이를 관통하는 직선 형상의 관통 통로부(51b)와, 관통 통로부(51b)로부터 분기되는 분기 통로부(51c, 51d)를 갖는다. 분기 통로부(51c, 51d)는, 제2 단부면(53a)에 개구된다. 그리고, 분기 통로부(51c, 51d)가 굴곡되어 있다. 즉, 분기 통로부(51c, 51d)가 굴곡부(51a)를 갖는다. 굴곡부(51a)는 굴절되어도 되고, 만곡되어도 된다.
초크 통로(51)가 굴곡부(51a)를 가지므로, 초크부(50)는, 초크 통로(51)의 유로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완충기(100)는, 소형으로 더 큰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로부(51b, 51c, 51d)의 유로 단면은 상이해도 된다.
도 5는, 초크 통로(51)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나타낸 예에서는, 초크 통로(51)는 초크 통로의 개구로부터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1 통로부(51e)와, 제1 통로부(51e)를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2 통로부(51f)와, 제1 통로부(51e)와 제2 통로부(51f)를 접속하는 접속부(51g)를 갖는다. 접속부(51g)는, 작동유의 흐름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바꾼다.
접속부(51g)가 작동유의 흐름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바꾸기 때문에, 초크부(50)는, 초크 통로(51)의 유로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완충기(100)는 소형으로 더 큰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6은, 초크 통로(51)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나타낸 예에서는, 초크 통로(51)는, 초크 통로의 개구로부터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1 통로부(51e)와, 제1 통로부(51e)의 연장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통로부(51h)와, 제1 통로부(51e)와 복수의 제2 통로부(51h) 중 하나를 접속하는 제1 접속부(51i)와, 제2 통로부끼리를 접속하는 제2 접속부(51j)를 갖는다. 제1 접속부(51i)는, 작동유의 흐름 방향을 대략 90도 바꾼다. 제2 접속부(51j)는, 작동유의 흐름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바꾼다.
제1 접속부(51i)가 작동유의 흐름 방향을 대략 90도 바꾸고 제2 접속부(51j)가 작동유의 흐름을 반대 방향으로 바꾸기 때문에, 초크부(50)는, 초크 통로(51)의 유로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완충기(100)는, 소형으로 더 큰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통로부(51h)의 연장 방향은, 제1 통로부(51e)의 연장 방향과 대략 직교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제1 통로부(51e)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고 있으면 된다. 또한, 제1 접속부(51i)는, 작동유의 흐름 방향을 대략 90도 바꿀 필요는 없고, 작동유의 흐름 방향을, 제1 통로부와 제2 통로부 사이의 각도만큼 바꿀 수 있으면 된다.
초크부(5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30)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초크부(50)는, 실린더(10)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초크부(50)가, 실린더(10), 피스톤(20) 및 피스톤 로드(30)와는 별체로 형성되어 실린더(10), 피스톤(20) 또는 피스톤 로드(30)에 설치되므로, 초크부(50)의 교환이 용이하다. 그 때문에, 초크 통로(51)의 유로 길이 또는 형상을 변경할 때에는, 초크부(50)를 교환하면 되며, 실린더(10), 피스톤(20) 및 피스톤 로드(30)에 변경을 가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완충기(100)의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초크부(5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20)과 일체로 형성되어도 되고, 도시하지 않지만 실린더(10) 또는 피스톤 로드(30)와 일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초크부(50)를 실린더(10), 피스톤(20) 또는 피스톤 로드(30)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완충기(100)의 제조 시에, 초크부(50)를 실린더(10), 피스톤(20) 또는 피스톤 로드(30)에 설치하는 공정이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완충기(100)의 제조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초크부(50)와 일체로 형성되는 실린더(10), 피스톤(20) 또는 피스톤 로드(30)는, 3D 프린터 등을 사용한 부가 제조 기술에 의해 제작된다.
다음으로, 완충기(100)의 동작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완충기(100)의 수축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완충기(100)의 수축 동작 시에는, 피스톤(20)은, 신장측실(1)을 확대하고 압축측실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신장측실(1)의 압력이 저하되고, 압축측실(2)의 압력이 상승한다.
피스톤(20)의 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신장측실(1)과 압축측실(2)의 압력차가 크고, 감쇠 밸브(24)는 개방되어 통로(22)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흐름을 허용한다. 이때, 감쇠 밸브(25)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여, 통로(23)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흐름을 차단한다. 따라서, 압축측실(2) 내의 작동유가, 통로(22)와 초크 통로(51)를 통해 신장측실(1)로 이동한다.
감쇠 밸브(24)는, 통로(22)를 통해 신장측실(1)로 이동하는 작동유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하고, 신장측실(1)과 압축측실(2)의 압력차를 발생시켜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초크 통로(51)의 유로 단면은 통로(22)의 유로 단면보다 작아, 초크 통로(51)를 흐르는 작동유의 양은, 통로(22)를 흐르는 작동유의 양에 비해 적다. 따라서, 초크 통로(51)를 통하는 작동유의 흐름에 발생하는 저항력은, 감쇠 밸브(24)를 통과하는 작동유의 흐름에 발생하는 저항력보다 작다. 즉, 완충기(100)의 감쇠력은, 초크 통로(51)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고, 주로 감쇠 밸브(24)에 의해 발생한다.
피스톤(20)의 속도가 낮은 경우에는, 신장측실(1)과 압축측실(2)의 압력차가 작다. 그 때문에, 감쇠 밸브(24, 25)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여, 통로(22, 23)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흐름을 차단한다. 따라서, 압축측실(2) 내의 작동유는, 초크 통로(51)를 통해 신장측실(1)로 이동한다.
초크 통로(51)는, 초크 통로(51)를 통해 신장측실(1)로 이동하는 작동유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하고, 신장측실(1)과 압축측실(2)의 압력차를 발생시켜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즉, 완충기(100)의 감쇠력은, 초크 통로(51)에 의해 발생한다.
다음으로, 완충기(100)의 신장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피스톤(20)의 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신장측실(1)과 압축측실(2)의 압력차가 크기 때문에, 감쇠 밸브(25)는 개방되고, 감쇠 밸브(24)는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신장측실(1) 내의 작동유는, 주로 통로(23)를 통해 압축측실(2)로 이동한다. 감쇠 밸브(25)는, 통로(23)를 통해 압축측실(2)로 이동하는 작동유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하고, 신장측실(1)과 압축측실(2)의 압력차를 발생시켜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피스톤(20)의 속도가 낮은 경우에는, 신장측실(1)과 압축측실(2)의 압력차가 작기 때문에, 감쇠 밸브(24, 25)는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신장측실(1) 내의 작동유는, 초크 통로(51)를 통해 압축측실(2)로 이동한다. 초크 통로(51)는, 초크 통로(51)를 통해 신장측실(1)로 이동하는 작동유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하고, 신장측실(1)과 압축측실(2)의 압력차를 발생시켜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완충기(100)에서는, 피스톤(20)의 고속 시에는 감쇠 밸브(24, 25)가 감쇠력을 발생시키고, 피스톤(20)의 저속 시에는 초크 통로(51)가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완충기(100)는 피스톤(20)의 속도에 관계없이,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상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발휘한다.
초크 통로(51)가 초크부(50)를 관통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초크부(50)의 치수 공차를 관리하면 되며, 초크부(50) 이외의 부분의 치수 공차를 엄격하게 관리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완충기(100)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초크 통로(51)가 굴곡부(51a)를 갖기 때문에, 초크 통로(51)의 유로 길이를 연장할 때에 초크부(50)를 대형화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완충기(100)는 소형으로 더 큰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초크부(50)가, 실린더(10), 피스톤(20) 및 피스톤 로드(30)와는 별체로 형성되어 실린더(10), 피스톤(20) 또는 피스톤 로드(30)에 설치되는 형태에서는, 초크부(50)의 교환이 용이하다. 따라서, 초크 통로(51)의 유로 길이 또는 형상의 변경이 용이하여, 완충기(100)의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초크부(50)가, 실린더(10), 피스톤(20) 또는 피스톤 로드(30)와 일체로 형성되는 형태에서는, 완충기(100)의 제조 시에, 초크부(50)를 실린더(10), 피스톤(20) 또는 피스톤 로드(30)에 설치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완충기(100)의 제조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완충기(200)에 대해 설명한다. 완충기(200)는, 「트윈 튜브 완충기」라고도 불리고, 완충기(100)와 마찬가지로, 감쇠력을 발생시켜 차체의 진동을 억제하는 장치이다. 여기서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충기(200)는, 튜브(11)를 덮어 배치되는 아우터 튜브(15)를 구비한다. 이하에 있어서, 튜브(11)를 아우터 튜브(15)와 명확하게 구별하기 위해, 「이너 튜브(11)」라고 칭하기도 한다.
이너 튜브(11)와 아우터 튜브(15) 사이에는, 작동유를 저류하는 리저버(4)(유체실)가 형성된다. 리저버(4)에는, 작동유와 압축 기체가 봉입된다. 압축 기체는, 완충기(200)의 동작에 수반되는 실린더(10) 내의 용적 변화를 보상한다.
아우터 튜브(15)는,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로드 가이드(12) 및 오일 시일(13)은, 아우터 튜브(15)의 일단부에 설치된다. 오일 시일(13)은, 작동유 및 압축 기체가 신장측실(1) 및 리저버(4)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이물이 신장측실(1) 및 리저버(4)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로드 가이드(12) 및 오일 시일(13)은, 통 형상의 아우터 튜브(15)의 일단부를 내측으로 구부리는 코킹 가공에 의해 아우터 튜브(15)에 고정된다.
캡 부재(14)는, 아우터 튜브(15)의 타단부에 설치된다. 캡 부재(14)는, 용접에 의해 아우터 튜브(15)에 고정되고, 아우터 튜브(15)의 다른 쪽 개구(15b)를 폐색한다. 캡 부재(14)에는, 연결 부재(60)가 설치된다.
이너 튜브(11)에는, 이너 튜브(11)의 개구(11b)를 폐색하도록 밸브 디스크로서의 베이스 밸브(7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 밸브(70)는 압축측실(2)과 리저버(4)를 구획한다.
베이스 밸브(70)는, 압축측실(2)과 리저버(4)를 연통하는 통로(71, 72)를 갖는다. 베이스 밸브(70)의 압축측실(2)측에는, 환상의 리프 밸브(73a)를 갖는 체크 밸브(73)가 설치된다. 베이스 밸브(70)의 리저버(4)측에는, 환상의 리프 밸브(74a)를 갖는 감쇠 밸브(74)가 설치된다.
체크 밸브(73)는, 완충기(200)의 신장 동작 시에 압축측실(2)과 리저버(4)의 압력차에 의해 개방되어, 통로(71)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흐름을 허용한다. 또한, 체크 밸브(73)는, 완충기(200)의 수축 동작 시에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여 통로(71)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흐름을 차단한다.
감쇠 밸브(74)는, 완충기(200)의 수축 동작 시에 압축측실(2)과 리저버(4)의 압력차에 의해 개방되어, 통로(72)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흐름을 허용함과 함께, 압축측실(2)로부터 통로(72)를 통해 리저버(4)로 이동하는 작동유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한다. 또한, 감쇠 밸브(74)는, 완충기(200)의 신장 동작 시에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여 통로(72)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흐름을 차단한다.
또한, 완충기(200)는, 초크 통로(81)가 관통하여 형성되는 초크부(80)를 더 구비한다. 초크 통로(81)는, 체크 밸브(73) 및 감쇠 밸브(74)를 우회하여 압축측실(2)과 리저버(4)를 상시 연통한다.
초크부(80)는, 베이스 밸브(70)와는 별체로 형성되어, 베이스 밸브(70)에 설치된다. 초크부(80)의 구조는, 초크부(50)(도 3 참조)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초크 통로(81)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초크부(80)는 초크 통로(81)의 유로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초크 통로(81)의 유로 길이를 연장해도, 초크부(80)를 실린더(10)의 축 방향으로 대형화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완충기(200)는 소형으로 더 큰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초크 통로(81)가 초크부(80)를 관통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초크부(80)의 치수 공차를 관리하면 되며, 초크부(80) 이외의 부분의 치수 공차를 엄격하게 관리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완충기(200)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초크부(80)가, 베이스 밸브(70)와는 별체로 형성되어 베이스 밸브(70)에 설치되므로, 초크부(80)의 교환이 용이하다. 그 때문에, 초크 통로(81)의 유로 길이 또는 형상을 변경할 때에는, 초크부(80)를 교환하면 되며, 베이스 밸브(70)에 변경을 가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완충기(200)의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초크부(80)는, 베이스 밸브(70)와 일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초크부(80)를 베이스 밸브(70)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완충기(200)의 제조 시에, 초크부(80)를 베이스 밸브(70)에 설치하는 공정이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완충기(200)의 제조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초크부(80)와 일체로 형성되는 베이스 밸브(70)는, 3D 프린터 등을 사용한 부가 제조 기술에 의해 제작된다.
다음으로, 완충기(200)의 동작에 대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완충기(200)의 수축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완충기(200)의 수축 동작 시에는, 피스톤(20)은, 신장측실(1)을 확대하고 압축측실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신장측실(1)의 압력이 저하되고, 압축측실(2)의 압력이 상승한다.
피스톤(20)의 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신장측실(1)과 압축측실(2)의 압력차가 커, 감쇠 밸브(24)가 개방된다. 그 때문에, 압축측실(2) 내의 작동유는, 통로(22)를 주로 통해 신장측실(1)로 이동한다. 감쇠 밸브(24)는, 통로(22)를 통해 신장측실(1)로 이동하는 작동유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하고, 신장측실(1)과 압축측실(2)의 압력차를 발생시켜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피스톤(20)의 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압축측실(2)과 리저버(4)의 압력차가 크기 때문에, 감쇠 밸브(74)는 개방되어 통로(72)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흐름을 허용한다. 이때, 체크 밸브(73)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여, 통로(71)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흐름을 차단한다.
완충기(200)의 수축 동작에 수반하여, 피스톤 로드(30)가 실린더(10) 내로 진입하므로, 진입한 피스톤 로드(30)의 체적분의 작동유가, 압축측실(2)로부터 통로(72) 및 초크 통로(81)를 통해 리저버(4)로 이동한다.
감쇠 밸브(74)는, 통로(72)를 통해 리저버(4)로 이동하는 작동유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하고, 리저버(4)와 압축측실(2)의 압력차를 발생시켜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초크 통로(81)의 유로 단면은 통로(72)의 유로 단면보다 작아, 초크 통로(81)를 흐르는 작동유의 양은, 통로(72)를 흐르는 작동유의 양에 비해 적다. 따라서, 초크 통로(81)를 통하는 작동유의 흐름에 발생하는 저항력은, 감쇠 밸브(74)를 통과하는 작동유의 흐름에 발생하는 저항력보다 작다.
즉, 피스톤(20)의 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완충기(200)의 감쇠력은, 초크 통로(51, 81)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고, 주로 감쇠 밸브(24, 74)에 의해 발생한다.
피스톤(20)의 속도가 낮은 경우에는, 신장측실(1)과 압축측실(2)의 압력차가 작아, 감쇠 밸브(24, 25)가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그 때문에, 압축측실(2) 내의 작동유는, 초크 통로(51)를 통해 신장측실(1)로 이동한다. 초크 통로(51)는, 초크 통로(51)를 통해 신장측실(1)로 이동하는 작동유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하고, 신장측실(1)과 압축측실(2)의 압력차를 발생시켜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피스톤(20)의 속도가 낮은 경우에는, 압축측실(2)과 리저버(4)의 압력차가 작으므로, 감쇠 밸브(74)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여, 통로(72)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흐름을 차단한다. 따라서, 압축측실(2) 내의 작동유는, 진입한 피스톤 로드(30)의 체적만큼, 초크 통로(81)를 통해 리저버(4)로 이동한다.
초크 통로(81)는, 초크 통로(81)를 통해 신장측실(1)로 이동하는 작동유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하고, 리저버(4)와 압축측실(2)의 압력차를 발생시켜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즉, 피스톤(20)의 속도가 낮은 경우에는, 완충기(200)의 감쇠력은, 초크 통로(51, 81)에 의해 발생한다.
다음으로, 완충기(200)의 신장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피스톤(20)의 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신장측실(1)과 압축측실(2)의 압력차가 크기 때문에, 감쇠 밸브(25)는 개방되고, 감쇠 밸브(24)는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신장측실(1) 내의 작동유는, 주로 통로(23)를 통해 압축측실(2)로 이동한다. 감쇠 밸브(25)는, 통로(23)를 통해 압축측실(2)로 이동하는 작동유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하고, 신장측실(1)과 압축측실(2)의 압력차를 발생시켜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피스톤(20)의 속도가 낮은 경우에는, 신장측실(1)과 압축측실(2)의 압력차가 작기 때문에, 감쇠 밸브(24, 25)는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신장측실(1) 내의 작동유는, 초크 통로(51)를 통해 압축측실(2)로 이동한다. 초크 통로(51)는, 초크 통로(51)를 통해 압축측실(2)로 이동하는 작동유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하고, 신장측실(1)과 압축측실(2)의 압력차를 발생시켜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완충기(200)의 신장 동작 시에는, 피스톤(20)의 미끄럼 이동 속도에 관계없이, 체크 밸브(73)는 개방되어 통로(71)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흐름을 허용한다. 이때, 감쇠 밸브(74)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여, 통로(72)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흐름을 차단한다.
완충기(200)의 신장 동작에 수반하여, 피스톤 로드(30)가 실린더(10)로부터 퇴출되므로, 퇴출된 피스톤 로드(30)의 체적분의 작동유가, 리저버(4)로부터 통로(71) 및 초크 통로(81)를 통해 압축측실(2)로 이동한다.
초크 통로(81)의 유로 단면은 통로(71)의 유로 단면보다 작기 때문에, 리저버(4) 내의 작동유는, 주로 통로(71)를 통해 압축측실(2)로 이동한다. 그 때문에, 초크 통로(81)는, 초크 통로(81)를 통하는 작동유의 흐름에 저항을 거의 부여하지 않아, 감쇠력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와 같이, 완충기(200)에서는, 피스톤(20)의 수축 동작 시에는 감쇠 밸브(24) 또는 초크 통로(51, 81)가 감쇠력을 발생시키고, 피스톤(20)의 신장 동작 시에는 감쇠 밸브(25) 또는 초크 통로(51)가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피스톤(20)의 미끄럼 이동 속도가 높은 경우에는 감쇠 밸브(24, 25, 74)가 감쇠력을 발생시키고, 피스톤(20)의 미끄럼 이동 속도가 낮은 경우에는 초크 통로(51, 81)가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완충기(200)는 피스톤(20)의 미끄럼 이동 속도에 관계없이,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구성, 작용 및 효과를 정리하여 설명한다.
완충기(100, 200)는, 작동유가 봉입되는 실린더(10)와, 실린더(10)에 대해 진퇴 자유롭고 실린더(10)에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30)와, 실린더(10)에 설치되어 신장측실(1)과 압축측실(2)을 구획하거나, 또는 압축측실(2)과 리저버(4)를 구획하는 피스톤(20) 또는 베이스 밸브(70)와, 신장측실(1)과 압축측실(2)과 연통하거나, 또는 압축측실(2)과 리저버(4)를 연통하여, 굴곡부(51a)를 갖는 초크 통로(51, 81)가 관통하여 형성되는 초크부(50, 80)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서는, 초크 통로(51, 81)가 초크부(50, 80)를 관통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초크부(50, 80)의 치수 공차를 관리하면 되며, 초크부(50, 80) 이외의 부분의 치수 공차를 엄격하게 관리할 필요가 없다. 또한, 초크 통로(51, 81)가 굴곡부(51a)를 가지므로, 초크 통로(51, 81)의 유로 길이를 연장할 때에 초크부(50, 80)를 대형화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완충기(100, 200)는, 소형으로 더 큰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초크부(50, 80)는, 실린더(10), 피스톤 로드(30), 피스톤(20) 및 베이스 밸브(70) 중 어느 것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 구성에서는, 초크부(50, 80)가 실린더(10), 피스톤 로드(30), 피스톤(20) 또는 베이스 밸브(70)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완충기(100, 200)의 제조 시에, 초크부(50, 80)를 실린더(10), 피스톤 로드(30), 피스톤(20) 또는 베이스 밸브(70)에 설치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완충기(100, 200)의 제조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초크 통로(51, 81)가 굴곡부(51a)를 갖는다.
이 구성에서는, 초크 통로(51, 81)가 굴곡부(51a)를 갖기 때문에, 초크 통로(51, 81)의 유로 길이를 연장할 때에 초크부(50, 80)를 대형화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완충기(100, 20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초크 통로(51, 81)가 나선 형상으로 하나로 이어져 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구성에서는, 초크 통로(51, 81)가 나선 형상으로 하나로 이어져 축 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초크 통로(51, 81)의 유로 길이를 연장할 때에 초크부(50, 80)를 대형화시킬 필요가 없다. 원통 형상인 것의 경우, 최대한으로 유로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완충기(100, 20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초크 통로(51, 81)의 내벽이 일체 형성된다.
이 구성에서는, 초크 통로(51, 81)의 내벽이 일체 형성되기 때문에, 초크 통로(51, 81)의 치수 공차를 관리하면 되며, 초크 통로(51, 81) 이외의 부분의 치수 공차를 엄격하게 관리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완충기(100, 200)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완충기(100, 200)는, 실린더(10), 피스톤 로드(30), 피스톤(20) 및 베이스 밸브(7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나사부(90)를 더 구비하고, 나사부(90)에 초크부(50, 80)가 설치된다.
이 구성에서는, 나사부(90)에 초크부(50, 80)가 설치되므로, 나사부(90)의 나사 결합만으로 초크부(50, 80)가 실린더(10), 피스톤 로드(30), 피스톤(20) 또는 베이스 밸브(70)에 설치된다. 따라서, 완충기(100, 200)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규격 변경 등, 실린더(10), 피스톤 로드(30), 피스톤(20)의 사이즈 등 사양이 바뀌어도, 나사부(90)는 공통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초크 통로(51, 81)는, 초크부(50, 80)를 관통하는 관통 통로부(51b)와, 관통 통로부(51b)로부터 분기되어 초크부(50, 80)의 제2 단부면(53a)에 개구되는 분기 통로부(51c, 51d)를 갖고, 분기 통로부(51c, 51d)가 굴곡한다.
이 구성에서는, 분기 통로부(51c, 51d)가 굴곡하므로, 분기 통로부(51c, 51d)의 유로 길이를 연장할 때에 초크부(50, 80)를 대형화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완충기(100, 20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초크 통로(51, 81)는, 초크 통로(51, 81)의 개구로부터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1 통로부(51e)와, 제1 통로부(51e)를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2 통로부(51f)와, 제1 통로부(51e)와 제2 통로부(51f)를 접속하고, 작동 유체의 흐름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바꾸는 접속부(51g)를 갖는다.
이 구성에서는, 접속부(51g)가 제1 통로부(51e)와 제2 통로부(51f)를 접속하고, 작동유의 흐름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바꾸기 때문에, 초크 통로(51, 81)의 유로 길이를 연장할 때에 초크부(50, 80)를 대형화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완충기(100, 20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초크 통로(51, 81)는, 초크 통로(51, 81)의 개구로부터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1 통로부(51e)와, 제1 통로부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통로부(51h)와, 제1 통로부(51e)와 복수의 제2 통로부(51h) 중 하나를 접속하는 제1 접속부(51i)와, 제2 통로부(51h)끼리를 접속하고, 작동유의 흐름 방향을 반대로 바꾸는 제2 접속부(51j)를 갖는다.
이 구성에서는, 제1 및 제2 접속부(51i, 51j)가 작동유의 흐름 방향을 바꾸기 때문에, 초크 통로(51, 81)의 유로 길이를 연장할 때에 초크부(50, 80)를 대형화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완충기(100, 20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초크부(50, 80)는, 실린더(10), 피스톤 로드(30), 피스톤(20) 및 베이스 밸브(70)와는 별체로 형성되고, 실린더(10), 피스톤 로드(30), 피스톤(20) 또는 베이스 밸브(70) 중 어느 것에 설치된다.
이 구성에서는, 초크부(50, 80)는, 실린더(10), 피스톤 로드(30), 피스톤(20) 및 베이스 밸브(70)와는 별체이며 실린더(10), 피스톤 로드(30), 피스톤(20) 또는 베이스 밸브(70)에 설치된다. 초크 통로(51, 81)는, 이러한 초크부(50, 80)에 의해 형성된다. 그 때문에, 초크 통로(51, 81)의 유로 길이 또는 형상을 변경할 때에는, 초크부(50, 80)를 교환하면 되며, 실린더(10), 피스톤 로드(30), 피스톤(20) 및 베이스 밸브(70)에 변경을 가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완충기(100, 200)의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상기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적용예의 일부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상기 실시 형태의 구체적 구성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본원은 2015년 9월 14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5-180974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Claims (10)

  1. 완충기이며,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대해 진퇴 자유롭고 상기 실린더에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실린더 내에 마련되는 제1 유체실과 제2 유체실을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제1 유체실과 상기 제2 유체실을 연통하는 하나로 이어진 초크 통로가 형성되는 초크부와,
    상기 실린더, 상기 피스톤 로드 및 상기 피스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구멍에 설치되고, 상기 초크부가 마련되는 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나사부는, 상기 구멍의 내주면과 나사 결합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일단에 마련되는 헤드부를 갖고,
    상기 초크 통로는 단일의 부재만으로 형성되고, 상기 축부의 단면과 상기 헤드부의 단면과의 사이를 관통하고 구부러진,
    완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크 통로가 굴곡부를 갖는,
    완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크 통로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완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크 통로는,
    상기 나사부를 관통하는 관통 통로부와,
    상기 관통 통로부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나사부의 단면에 개구되는 분기 통로부를 갖고,
    상기 분기 통로부가 굴곡하는,
    완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크 통로는,
    상기 초크 통로의 개구로부터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1 통로부와,
    상기 제1 통로부를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2 통로부와,
    상기 제1 통로부와 상기 제2 통로부를 접속하고, 작동 유체의 흐름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바꾸는 접속부를 갖는,
    완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크 통로는,
    상기 초크 통로의 개구로부터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1 통로부와,
    상기 제1 통로부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통로부와,
    상기 제1 통로부와 상기 복수의 제2 통로부 중 하나를 접속하는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통로부끼리를 접속하고, 작동 유체의 흐름 방향을 반대로 바꾸는 제2 접속부를 갖는,
    완충기.
  7. 완충기이며,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대해 진퇴 자유롭고 상기 실린더에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실린더 내에 마련되는 제1 유체실과 제2 유체실을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제1 유체실과 상기 제2 유체실을 연통하는 하나로 이어진 초크 통로가 관통하여 형성되는 초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초크 통로는,
    상기 초크부를 관통하는 관통 통로부와,
    상기 관통 통로부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초크부의 외주면에 개구되는 분기 통로부를 갖고,
    상기 분기 통로부가 굴곡하는,
    완충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7009410A 2015-09-14 2016-09-09 완충기 KR1020344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80974 2015-09-14
JP2015180974A JP6487816B2 (ja) 2015-09-14 2015-09-14 緩衝器
PCT/JP2016/076680 WO2017047526A1 (ja) 2015-09-14 2016-09-09 緩衝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359A KR20180050359A (ko) 2018-05-14
KR102034400B1 true KR102034400B1 (ko) 2019-11-08

Family

ID=58288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9410A KR102034400B1 (ko) 2015-09-14 2016-09-09 완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78185B2 (ko)
JP (1) JP6487816B2 (ko)
KR (1) KR102034400B1 (ko)
CN (1) CN108027006B (ko)
DE (1) DE112016004167T5 (ko)
WO (1) WO20170475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89178B (zh) * 2018-05-21 2021-02-05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减震装置和衣物处理装置
TWI731259B (zh) * 2018-08-28 2021-06-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用於機械手臂的負載平衡裝置
DE102018220122A1 (de) * 2018-11-23 2020-05-28 Zf Friedrichshafen Ag Dämpferkolben für einen Kraftfahrzeugschwingungsdämpfer
CN110715009A (zh) * 2019-09-30 2020-01-21 华中科技大学 一种单向阻尼器活塞拉杆组件以及单向阻尼器
US20240052908A1 (en) * 2021-02-12 2024-02-15 Kyb Corporation Shock absorber
JP7485624B2 (ja) 2021-02-12 2024-05-16 カヤバ株式会社 緩衝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2087B2 (ja) * 1997-10-02 2007-10-17 カヤバ工業株式会社 減衰力発生構造
JP2010169256A (ja) * 2008-12-24 2010-08-05 Kayaba Ind Co Ltd 減衰バルブ
JP2015081639A (ja) * 2013-10-23 2015-04-27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ショックアブソーバ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845638A (fr) 1937-11-10 1939-08-29 Kronprinz Ag Fu R Metallindust Dispositif de suspension applicable par exemple aux trains d'atterrissage pour avions
DE1932373B2 (de) 1969-06-26 1972-11-02 Papierwagen-daempfungseinrichtung fuer schreib- oder aehnliche bueromaschinen
US4596270A (en) * 1985-05-20 1986-06-24 Consolidated Controls Corporation Bi-directional flow control device
DE3913912A1 (de) * 1989-04-27 1990-10-31 Karl Dr Ing Bittel Hydraulischer einrohr-gasdruck-stossdaempfer
JPH0577696U (ja) * 1992-03-24 1993-10-22 油谷重工株式会社 フィルタ機能付きコネクタ
JPH0979422A (ja) * 1995-07-07 1997-03-25 Meidensha Corp 流体の絞り機構
CN2265311Y (zh) 1996-07-05 1997-10-22 李仁植 液力防震装置
JP2009041740A (ja) 2007-08-10 2009-02-26 Tokai Rubber Ind Ltd 流体封入式防振装置
JP5681518B2 (ja) 2011-02-16 2015-03-11 カヤバ工業株式会社 流体圧緩衝器
CN102213287A (zh) * 2011-05-24 2011-10-12 扬州市明瑞气弹簧有限公司 节流缓冲气弹簧
CN202182142U (zh) * 2011-08-01 2012-04-04 浙江正星健身器有限公司 一种健身器用油缸阻尼调节装置
JP5941359B2 (ja) * 2012-07-10 2016-06-29 Kyb株式会社 緩衝器のバルブ構造
US9441699B2 (en) * 2013-05-13 2016-09-13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Orifice disc for regulating flow in damper
DE102014225346A1 (de) 2014-12-10 2016-06-16 Zf Friedrichshafen Ag Vorrichtung zum Wechselwirken mit einem elektrisch leitfähigen Fluid, Fluidschwingungsdämpfersystem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olchen Vorrichtung
JP2015180974A (ja) 2015-07-17 2015-10-15 株式会社ナビタイムジャパン 階層別地図データを備えた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2087B2 (ja) * 1997-10-02 2007-10-17 カヤバ工業株式会社 減衰力発生構造
JP2010169256A (ja) * 2008-12-24 2010-08-05 Kayaba Ind Co Ltd 減衰バルブ
JP2015081639A (ja) * 2013-10-23 2015-04-27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ショックアブソー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057878A (ja) 2017-03-23
WO2017047526A1 (ja) 2017-03-23
US20180259028A1 (en) 2018-09-13
US10578185B2 (en) 2020-03-03
CN108027006A (zh) 2018-05-11
JP6487816B2 (ja) 2019-03-20
KR20180050359A (ko) 2018-05-14
DE112016004167T5 (de) 2018-05-24
CN108027006B (zh) 2019-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4400B1 (ko) 완충기
CN107636344B (zh) 用于车辆悬架的液压减震器
KR102131400B1 (ko) 유압 압축 정지 어셈블리를 갖는 유압 댐퍼
TWI537496B (zh) 雙桿型吸振裝置
CN108291604A (zh) 压缩阶段冲击中具有液压阻尼的减振器
WO2019239720A1 (ja) 減衰力発生機構および圧力緩衝装置
CN110249154A (zh) 压力缓冲装置
JP6404484B2 (ja) シリンダ装置
JP6391512B2 (ja) 圧力緩衝装置
US8496030B2 (en) Hydraulic accumulator, especially pulsation damper
CA2948789A1 (en) Cylinder device
CN109780260A (zh) 调温阀
JP2006097880A (ja) 油圧ダンパ
EP2721307A1 (en) Device for damping of a piston inside a cylinder housing
JP5132266B2 (ja) 複筒型緩衝器
JP5106347B2 (ja) 液圧緩衝器
CN101782126B (zh) 用于减震器的杆引导装置
JP2011122691A (ja) ダンパー
US20180274621A1 (en) Damping valve for shock absorber
KR101716694B1 (ko) 쇽업소버용 피스톤
JP7154199B2 (ja) 緩衝器
JP5292501B2 (ja) 複筒型緩衝器
CN109780258A (zh) 调温阀
JP6630186B2 (ja) 緩衝器
JP6349153B2 (ja) 緩衝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